조선선재 (120030) 공시 - [기재정정]주주총회소집공고

[기재정정]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3-17 15:06: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7000566


정 정 신 고 (보고)


2023년 03월 17일



1. 정정대상 공시서류 : 주주총회소집공고


2. 정정대상 공시서류의 최초제출일 : 2023년 03월 16일


3. 정정사항

항  목 정정사유  정 정 전 정 정 후
주주총회소집공고
3. 회의목적사항
안건 수정

《부의 안건》

제1호 의안 : 제13기(2022.01.01~2022.12.31) 재무제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포함) 승인의 건
                현금 배당 1주당 1,500원(액면가 300%)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사내이사 1명, 사외이사 3명)
제3호 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사외이사인 감사위원회 위원 3명)
제4호 의안 :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부의 안건》

제1호 의안 : 제13기(2022.01.01~2022.12.31) 재무제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포함) 승인의 건
                 현금 배당 1주당 1,500원(액면가 300%)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사내이사 1명, 사외이사 2명)
제3호 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선임의 건
                 (사외이사인 감사위원회 위원 1명)
제4호 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사외이사인 감사위원회 위원 2명)
제5호 의안 :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III. 경영참고사항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이사의 선임
안건 수정에 따른 정정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남성길 1967. 08. 30 사내이사 - - 이사회
김명현 1968. 04. 19 사외이사 - - 이사회
강남현 1970. 12. 25 사외이사 - - 이사회
서규섭 1974. 07. 06 사외이사 - - 이사회
총 (  4  ) 명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사내이사 1명, 사외이사 2명)
제3호 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선임의 건
                 (사외이사인 감사위원회 위원 1명)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남성길 1967. 08. 30 사내이사 - - 이사회
김명현 1968. 04. 19 사외이사 - - 이사회
강남현 1970. 12. 25 사외이사 - - 이사회
서규섭 1974. 07. 06 사외이사 분리선출 - 이사회
총 (  4  ) 명

III. 경영참고사항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감사위원회 위원의 선임
안건 수정에 따른 정정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김명현 1968. 04. 19 사외이사 - - 이사회
강남현 1970. 12. 25 사외이사 - - 이사회
서규섭 1974. 07. 06 사외이사 - - 이사회
총 (  3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
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김명현 부산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교수
2012. 03 ~ 현재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조선해양공학과 교수
-
2020. 03 ~ 현재 대한용접접합학회 편집장
2016. 03 ~ 현재 중국 하얼빈 공대 겸임교수
강남현 부산대학교
재료공학과
교수
2023.01~현재 대한용접접합학회 학술위원장 -
2023.01~현재 대한금속재료학회 재무이사
2009.03~현재 부산대학교 재료공학과 교수
서규섭 삼덕회계법인
공인회계사
2004.07~2016.11 안진회계법인 공인회계사 -
2016.11~2019.06 한영회계법인 공인회계사 (Partner)
2019.07~현재 삼덕회계법인 공인회계사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김명현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강남현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서규섭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김명현 감사위원회 위원 후보자>

후보자는 현재 부산대학교 및 중국 하얼빈 공대 교수로 재직 중이며 관련 분야의 전문적인 식견과 경험을 바탕으로 당사의 용접재료 사업부문의 제품과 기술에 대한 전략적인 통찰력과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추천하였습니다.

 

<강남현 감사위원회 위원 후보자>

후보자는 현재 부산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며 관련 분야의 전문적인 식견과 경험을 바탕으로 당사의 용접재료 사업부문의 제품과 기술에 대한 전략적인 통찰력과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추천하였습니다. 

 

<서규섭 감사위원회 위원 후보자>
후보자는 공인회계사로서 다년간 기업 및 단체의 감사업무를 수행하였고 회계/세무 분야의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기반으로 경영현안에 대한 의사결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추천하였습니다.


제4호 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사외이사인 감사위원회 위원 2명)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김명현 1968. 04. 19 사외이사 - - 이사회
강남현 1970. 12. 25 사외이사 - - 이사회
총 (  2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
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김명현 부산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교수
2012. 03 ~ 현재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조선해양공학과 교수
-
2020. 03 ~ 현재 대한용접접합학회 편집장
2016. 03 ~ 현재 중국 하얼빈 공대 겸임교수
강남현 부산대학교
재료공학과
교수
2023.01~현재 대한용접접합학회 학술위원장 -
2023.01~현재 대한금속재료학회 재무이사
2009.03~현재 부산대학교 재료공학과 교수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김명현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강남현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김명현 감사위원회 위원 후보자>

후보자는 현재 부산대학교 및 중국 하얼빈 공대 교수로 재직 중이며 관련 분야의 전문적인 식견과 경험을 바탕으로 당사의 용접재료 사업부문의 제품과 기술에 대한 전략적인 통찰력과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추천하였습니다.

 

<강남현 감사위원회 위원 후보자>

후보자는 현재 부산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며 관련 분야의 전문적인 식견과 경험을 바탕으로 당사의 용접재료 사업부문의 제품과 기술에 대한 전략적인 통찰력과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추천하였습니다.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년 03월 16일


회   사   명 : 조선선재주식회사
대 표 이 사 : 장 원 영
본 점 소 재 지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괴동로 43(장흥동)

(전   화) 02-3459-9368

(홈페이지) http://www.chosunwelding.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책임 (성  명) 홍 대 원

(전  화) 02-3459-9338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13기 정기주주총회)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 정관 제19조에 의하여 제13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  여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3년 03월 31일 (금) 09시 00분


2. 장    소 :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산읍 화산2길 34-13 조선선재온산(주) 강당


3. 회의목적사항

《보고 안건》 감사 보고, 영업 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부의 안건》

제1호 의안 : 제13기(2022.01.01~2022.12.31) 재무제표(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안) 포함) 승인의 건
                 현금 배당 1주당 1,500원(액면가 300%)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사내이사 1명, 사외이사 2명)
제3호 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선임의 건
                 (사외이사인 감사위원회 위원 1명)
제4호 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사외이사인 감사위원회 위원 2명)
제5호 의안 :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의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의결권 행사방법에 관한 사항

 가. 본인 또는 대리인의 참석에 의한 행사

 주주님께서는 본인이 직접 주주총회에 참석하시거나 대리인을 대신 참석하게 하는

 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 직접행사 : 신분증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 날인, 인감증명서 첨부),

                    대리인의 신분증

 나. 전자투표에 의한 행사

 우리회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와「자본시장과 금융투자

 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60조제5호에 따른 전자위임장권유제도를 이번 주주

 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두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

 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시거나, 전자위임장을 수여

 하실 수 있습니다.

 - 전자투표, 전자위임장권유관리시스템
    인터넷 주소 : https://evote.ksd.or.kr

     모바일 주소: https://evote.ksd.or.kr/m

 - 전자투표 행사, 전자위임장 수여기간 : 2023년 3월 21일 9시 ~ 2023년 3월 30일 17시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투표, 전자위임장 권유관리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공인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
   (K-VOTE에서 사용 가능한 인증서 한함)

 -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


6. 전자증권제도 시행에 따른 실물증권 보유자의 권리 보호에 관한 사항

2019년 9월 16일부터 전자증권제도가 시행되어 실물증권은 효력이 상실되었으며, 한국예탁결제원의 특별(명부)계좌주주로 전자등록되어 권리행사 등이 제한됩니다. 따라서 보유 중인 실물증권을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방문하여 전자등록으로 전환하시기 바랍니다.


7. 기타사항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 이하의 주식을 소유하고 계신 주주님들에 대하여 상법 제542조의 4 및 당사 정관 제19조에 의거 본 공고로 소집통지를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 안 내 용   가결
여부
사내이사 사외이사
임규섭
(출석:50.0%)
장원영
(출석:50.0%)
김창용
(출석:100.0%)
원형태
(출석:100.0%)
우종식
(출석:100.0%)
김명현
(출석:100.0%)
1 2022년 02월 10일 제12기 내부회계관리자의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보고 가결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관계사 거래 승인의 건 가결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제12기 내부결산 승인의 건 가결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2 2022년 02월 18일 금전 대여 결정의 건  가결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3 2022년 03월 10일 제12기 내부결산 승인의 건 가결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현금배당 결정의 건 가결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이사 후보자 선임의 건 가결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제12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가결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4 2022년 03월 25일 대표이사 선임의 건  가결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5 2022년 06월 13일 (주)키움코어리테일제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주식 청약의 건 가결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6 2022년 10월 14일 투자조합 출자의향서 제출의 건  가결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회차 개최일자  의 안 내 용 가결
여부 
사외이사
원형태
(출석:100.0%)
우종식
(출석:100.0%)
김명현
(출석:100.0%)
1 2022년 01월 20일 외부감사인 지정 요청 승인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2 2022년 03월 10일 제12기 정기주주총회 목적사항 심의 및 감사보고서 제출 승인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제12기 내부감시장치 가동현황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제12기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결과 승인 가결 찬성 찬성 찬성
3 2022년 03월 23일 감사인 선임 관련 준수사항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외부감사인 지정 관련 문서화 사항 승인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천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3명 3,000,000  50,400  16,800 -

※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를 포함한 이사 보수한도 총액입니다.

※ 지급총액은 2022년 01월 ~ 2022년 12월까지의 지급실적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 해당사항 없습니다.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 해당사항 없습니다.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현황

용접 산업은 우리나라 주력 산업인 자동차, 건설, 조선 등에 파급효과가 가장 큰 기반산업이며, 부품을 조립하여 제품으로서 기능을 부여하는 핵심 기술입니다. 용접 산업의 발전은 전방의 국가 주력 산업을 통한 국가의 성장과 수출을 주도하며 이를 통하여 후방으로는 다양한 소재, 부품, 원자재 분야 등 산업 전반에 걸친 발전을 도모하는 선순환 발전 유도가 되는 산업입니다.


산업연관구조


용접재료 산업은 금속 야금 기술과 고도의 공정기술이 요구되는 장치산업으로써 제품의 주요 사용 분야는 소규모 철공소부터 건설, 기계, 화공플랜트 등 대규모이면서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는 기간산업까지 금속을 접합하는 공정에 아주 다양하고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용접재료는 주로 산업 자재로써 유통되는 특성이 있으며,개인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일반소비재와는 시장의 형태가 아주 다릅니다.

국내 피복아크용접봉 제조기술은 자사를 필두로 이미 세계적 수준에 올라와 있으며, 현재 중국 등 신흥국가들은 가격을 무기로 거센 도전을 하고 있으며, 기술의 격차도 점차 줄어들고 있지만, 아직 당사를 포함한 국내 기술 수준을 따라오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다만, 피복아크용접봉 중 고합금 및 비철계열의 고부가 특수 합금 피복아크용접봉 시장의 경우 일본, 미국 등의 제품과 비교해 기술 차이가 있습니다. 하지만, 지속적인 R&D 투자와 연구개발을 통해 그 격차를 매년 줄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솔리드와이어의 경우 주로 자동차, 건설기계 등 산업에 사용되며, 관련 산업경기에 영향을 받습니다. 솔리드와이어는 제조 공정상 WIRE의 직선도 유지기술과 도금기술이 핵심입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경기변동의 특성

용접재료 산업은 산업 자재의 특성이 있기에 고가의 일반 소비재나 사치성 물품과 같이 경기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품목은 아닙니다. 따라서, 용접재료는 주요 기간산업의 영향을 받는 소재 산업 즉, 산업 자재의 특성이 있는바 일반적 경기지표들보다는 철강 자재의 소비와 아주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특히 철 구조물, 기계, 플랜트, 자동차 등의 산업경기와 맞물려 움직이며, 외부적 요인으로는 원자재 가격의 등락에 따라 수익성이 반영되는 산업이기도 합니다. 계절적인 요인으로는 여름이 비수기이며 그 외의 기간은 그다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습니다.


(2) 시장여건

용접재료는 건설, 조선, 자동차 등과 같은 국가중추산업의 핵심 기초 소재이며 자동차, 건설, 조선 등 각 산업에서 요구하는 특성에 따라 제품을 생산하며 계속된 공정 합리화와 연구개발을 통하여 고객의 요구에 빠르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당사를 포함하여 현대종합금속, 고려용접봉, 세아에삽 등 용접재료를 생산하는 업체들이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하여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습니다.


국가에서는 용접산업을 국가경쟁력의 기반이 되는 뿌리산업으로 선정하고  법과 제도적인 육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정부로부터 '뿌리기술전문기업'으로 선정되어 기술 역량과 경영역량을 대외적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또한, 산업발전에 이바지한 공로가 인정되어 '뿌리기업명가'로 선정되어 대통령 표창을 수상하기도 하였습니다.

(※ 뿌리기술전문기업이란 국내 제조업의 근간인 뿌리산업(용접, 주조, 금형, 소성가공, 표면처리, 열처리) 중"핵심뿌리기술"을 보유하고, 성장가능성이 우수한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 역량과 경영역량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국가에서 선정한 기업을 칭함.)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당사의 2022년 매출은 669억으로 전년 매출 681억에 비해 1.7% 감소하였고, 영업이익은 94억으로 전년 141억 대비 33.3% 감소하였습니다. 2021년 대비 원가 상승에 의해 매출액 및 영업이익 감소하였습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아래의 재무제표는 감사전 재무제표입니다.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 및 정기주주총회결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아래의 재무제표에 대한 상세한 주석사항은 3월 4째주 중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 제출" 공시를 참조하시기바랍니다.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제 13 기 2022. 12. 31 현재
제 12 기 2021. 12. 31 현재
(단위 : 원)
과목 제 13(당) 기말 제 12(전) 기말

자  산





Ⅰ.유동자산


112,016,258,371
104,086,173,727

  1.현금및현금성자산

73,730,843,936
72,021,547,442

  2.매출채권

10,156,089,685
7,103,429,935
  3.기타수취채권 1,531,598,736
1,464,579,872
  4.기타유동금융자산 8,017,830,000
5,901,947,000
  5.기타유동자산 12,498,567
8,719,649
  6.재고자산 18,567,397,447
17,585,949,829

 Ⅱ.비유동자산


33,117,038,226
35,462,767,412
  1.기타수취채권 3,740,131,000
6,888,610,000
  2.기타비유동금융자산 17,280,278,669
16,806,514,129

  3.유형자산

9,428,608,839
9,850,445,562

  4.무형자산

116,553,652
129,419,012
  5.투자부동산 1,019,340,524
1,030,693,493
  6.사용권자산 605,335,472
757,085,216
  7.순확정급여자산 926,790,070
-

자산총계


145,133,296,597
139,548,941,139

부  채





Ⅰ.유동부채


8,405,270,975
11,267,167,972

  1.매입채무

2,984,476,839
3,876,713,744
  2.기타지급채무 3,394,813,238
3,602,720,685
  3.유동성리스부채 556,810,074
613,098,157

  4.기타유동부채

333,399,153
251,342,747

  5.당기법인세부채

1,135,771,671
2,923,292,639

Ⅱ.비유동부채


842,908,298
1,871,942,280

  1.순확정급여부채

-
552,029,512
  2.기타지급채무 -
100,000,000
  3.리스부채 51,923,483
147,237,477
  4.종업원급여부채 285,310,500
313,055,301

  5.이연법인세부채

505,674,315
759,619,990

부채총계


9,248,179,273
13,139,110,252

자  본





Ⅰ.자본금


628,825,500
628,825,500

Ⅱ.주식발행초과금


11,718,865,854
11,718,865,854
Ⅲ.기타자본구성요소
(19,570,078,664)
(19,061,572,664)
Ⅳ.기타포괄손익누계액
(369,726,132)
(134,318,254)

Ⅴ.이익잉여금


143,477,230,766
133,258,030,451

자본총계


135,885,117,324
126,409,830,887

부채와자본총계


145,133,296,597
139,548,941,139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제 13 기 (2022. 01. 01 부터 2021. 12. 31 까지)
제 12 기 (2021. 01. 01 부터 2021. 12. 31 까지)
(단위 : 원)
과목 제 13(당) 기 제 12(전) 기
Ⅰ. 매출액
66,976,160,497
68,155,874,819
Ⅱ. 매출원가
51,132,005,157
47,914,703,941
Ⅲ. 매출총이익
15,844,155,340
20,241,170,878
Ⅳ. 판매비와관리비
6,408,742,372
6,104,134,555
Ⅴ. 영업이익
9,435,412,968
14,137,036,323
Ⅵ. 금융수익
8,680,194,550
5,210,201,913
Ⅶ. 금융비용
4,940,724,572
1,233,061,778
Ⅷ. 기타수익
39,751,370
110,062,840
Ⅸ. 기타비용
39,903,006
67,424,868
X.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13,174,731,310
18,156,814,430
XI. 법인세비용
2,652,596,029
3,613,356,519
XII. 당기순이익
10,522,135,281
14,543,457,911

XIII. 기타포괄손익


982,408,156
(283,145,154)
  1.후속기간에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가.순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1,217,816,034
(175,880,214)
    나.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평가손익 (260,240,549)
(107,264,940)
    다.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처분손익 24,832,671
-

XⅣ. 총포괄이익


11,504,543,437
14,260,312,757
XⅤ. 주당손익



   기본주당순이익
10,425
14,114


 - 자본변동표

<자본변동표>
제 13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31 까지)
제 12 기 (2021. 01. 01 부터 2021. 12. 31 까지)
(단위 : 원)
과목 자본금 주식발행초과금 기타자본구성요소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 합계
2021.01.01(전기초) 628,825,500 11,718,865,854 (15,834,686,164) (27,053,314) 120,456,353,754 116,942,305,630
 연차배당 - - - - (1,565,901,000) (1,565,901,000)
 자기주식의 취득 - - (3,226,886,500) - - (3,226,886,500)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평가손익 - - - (107,264,940) - (107,264,940)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175,880,214) (175,880,214)
 당기순이익 - - - - 14,543,457,911 14,543,457,911
2021.12.31(전기말) 628,825,500 11,718,865,854 (19,061,572,664) (134,318,254) 133,258,030,451 126,409,830,887
2022.01.01(당기초) 628,825,500 11,718,865,854 (19,061,572,664) (134,318,254) 133,258,030,451 126,409,830,887
 연차배당 - - - - (1,520,751,000) (1,520,751,000)
 자기주식의 취득 - - (508,506,000) - - (508,506,000)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평가손익 - - - (235,407,878) - (235,407,878)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1,217,816,034 1,217,816,034
 당기순이익 - - - - 10,522,135,281 10,522,135,281
2022.12.31(당기말) 628,825,500 11,718,865,854 (19,570,078,664) (369,726,132) 143,477,230,766 135,885,117,324


- 현금흐름표

<현금흐름표>
제 13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31 까지)
제 12 기 (2021. 01. 01 부터 2021. 12. 31 까지)
(단위 : 원)
과목 제 13(당) 기 제 12(전) 기
Ⅰ. 영업활동현금흐름
6,076,166,939
10,043,888,293
   1. 영업으로부터창출된현금흐름 8,292,404,193
10,476,416,011
     가. 당기순이익 10,522,135,281
14,543,457,911
     나. 조정 3,741,801,039
1,777,323,868
     다.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부채의 변동 (5,971,532,127)
(5,844,365,768)
   2. 이자의수취 2,572,066,623
1,012,438,325
   3. 이자의지급 (12,870,324)
(10,607,666)
   4. 배당금수취 175,354,283
43,074,551
   5. 법인세비용의납부 (4,950,787,836)
(1,477,432,928)
Ⅱ. 투자활동현금흐름
(1,428,983,598)
(18,058,975,279)
   1. 기타유동금융자산의 처분 33,668,927,000
5,946,676,626
   2. 기타수취채권의 감소 6,333,429,000
470,371,000
   3. 기타비유동금융자산의 처분 2,302,632,727


   4. 유형자산의 처분 -
46,861,318
   5. 기타유동금융자산의 취득 (34,781,980,000)
(7,754,350,431)
   6. 기타수취채권의 증가 (3,319,530,000)
(762,142,000)
   7. 기타비유동금융자산의 취득 (5,312,373,525)
(15,505,978,732)
   8. 유형자산의 취득 (271,646,000)
(489,256,060)
   9. 무형자산의 취득 (48,442,800)
(11,157,000)
Ⅲ. 재무활동현금흐름
(2,673,959,676)
(5,397,749,834)
   1. 리스부채의 상환 (644,702,676)
(604,962,334)
   2. 배당금의 지급 (1,520,751,000)
(1,565,901,000)
   3. 자기주식의 취득 (508,506,000)
(3,226,886,500)
Ⅳ. 외화표시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산에
    의한 증감

(263,927,171)
2,829,423,092
Ⅴ. 현금및현금성자산의증감
1,709,296,494
(10,583,413,728)
Ⅵ. 기초의현금및현금성자산
72,021,547,442
82,604,961,170
Ⅶ. 기말의현금및현금성자산
73,730,843,936
72,021,547,442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리계산서(결손금처리계산서)>
제 13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31 까지)
제 12 기 (2021. 01. 01 부터 2021. 12. 31 까지)
(단위 : 원)
과목 당기
(처분예정일: 2023년 3월 31일)
전기
(처분확정일: 2022년 3월 25일)
Ⅰ.미처분이익잉여금
142,662,818,016
132,443,617,701
  1.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130,922,866,701
118,076,040,004
  2.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1,217,816,034
(175,880,214)
  3.당기순이익 10,522,135,281
14,543,457,911
Ⅱ.이익잉여금처분액
1,513,551,000
1,520,751,000
  1.배당금 (주당배당금(률): 당기 1,500원(300%),
                                     전기 1,500원(300%))
1,513,551,000
1,520,751,000
Ⅲ.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141,149,267,016
130,922,866,701


-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

제 13(당) 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제 12(전) 기 2021년 12월 31일 현재
조선선재주식회사


1. 회사의 개요
조선선재주식회사(이하 "당사")는 CS홀딩스주식회사(구,조선선재주식회사)로부터   2010년 1월 1일자로 인적분할방식에 의하여 설립되었으며, 제조사업부문 중 피복용접재료부문을 승계하여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인적분할과 관련하여 회사설립 등기를 2010년 1월 5일자로 완료하였습니다.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상장시장에 2010년 2월 19일 분할된 주식이 재상장을 승인받아 거래소에서 매매가 개시되었습니다.

당기말  현재 납입자본금은 629백만원이며 당사의 주주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주명   주식수 지분율
CS홀딩스(주) 570,059주 45.33%
장원영 81,939주 6.52%
자기주식 248,617주 19.77%
기   타 357,036주 28.39%
합   계 1,257,651주 100%


2. 재무제표 작성기준


(1) 회계기준의 적용

당사는 주식회사등의외부감사에관한법률 제5조 1항 1호에서 규정하고 있는 국제회계기준위원회의 국제회계기준을 채택하여 정한 회계처리기준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재무제표를 작성하였습니다.


당사의 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27호 '별도재무제표'에 따른 별도재무제표로서 당사는 종속기업, 관계기업및공동기업에 대한 투자자산에 대해서 기업회계기준서제1027호에 따른 원가법을 선택하여 회계처리 하였습니다. 다만, 전환일의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별도재무상태표에서는 기준서 제1101호'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최초채택'을 적용하여 과거회계기준에 따른 장부금액을 간주원가로 사용하여 측정하였습니다. 한편, 종속기업, 관계기업및공동기업으로부터 수취하는 배당금은 배당을 받을 권리가 확정되는 시점에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2) 측정기준

당사의 재무제표는 금융상품 등 아래에 열거된 회계정책에서 언급하고 있는 재무상태표의 주요항목을 제외하고는 역사적원가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에서 사외적립자산의 순공정가치와 미인식된 과거근무원가를 차감한 확정급여부채


(3) 기능통화와 표시통화

당사의 재무제표는 영업활동이 이루어지는 주된 경제환경의 통화("기능통화")로 작성되고 있습니다. 당사의 재무제표는 당사의 기능통화 및 표시통화인 원화로 작성하여 보고하고 있습니다.


(4) 추정과 판단

1) 경영진의 판단 및 가정과 추정의 불확실성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는 재무제표를 작성함에 있어서 회계정책의 적용이나, 보고기간 말 현재 자산, 부채 및 수익, 비용의 보고금액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에 대하여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의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 말 현재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이 실제 환경과 다를 경우 이러한 추정치와 실제결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추정치와 추정에 대한 기본 가정은 지속적으로 검토되고 있으며, 회계추정의 변경은 추정이 변경된 기간과 미래 영향을 받을 기간 동안 인식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종료일 이후의 자산 및 부채 장부금액에 조정을 미칠 수 있는 유의적 위험에대한 추정 및 가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퇴직급여제도

당사는 확정급여형 퇴직급여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확정급여채무는 매 보고기간종료일에 보험수리적 평가를 수행하여 계산되며, 이러한 보험수리적 평가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할인율, 기대임금상승률, 사망률 등에 대한 가정을 추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② 법인세

당사는 보고기간종료일 현재까지의 영업활동의 결과로 미래에 부담할 것으로 예상되는 법인세효과를 추정하여 당기법인세 및 이연법인세로 인식하였습니다. 그러나 실제 미래 최종 법인세부담은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인식한 관련 자산ㆍ부채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최종 법인세효과가 확정된 시점의 당기법인세 및 이연법인세자산ㆍ부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③ 유무형자산 및 투자부동산의 내용연수

당사는 토지, 회원권을 제외한 유무형자산과 투자부동산에 대해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추정된 내용연수를 적용하고 정액법으로 상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정은 해당 유무형자산 및 투자부동산의 예상사용수준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었으며, 기술적 변화와 기타 다른 변화요인에 따라 중요하게 변동될 수 있습니다.


2) 공정가치 측정

당사의 회계정책과 공시사항은 다수의 금융 및 비금융자산과 부채에 대해 공정가치 측정을 요구하고 있는 바, 당사는 공정가치평가 정책과 절차를 수립하고 있습니다. 동 정책과 절차에는 공정가치 서열체계에서 수준 3으로 분류되는 공정가치를 포함한모든 유의적인 공정가치 측정의 검토를 책임지는 평가부서의 운영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결과는 재무담당임원에게 직접 보고되고 있습니다.


평가부서는 정기적으로 관측가능하지 않은 유의적인 투입변수와 평가 조정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공정가치측정에서 중개인 가격이나 평가기관과 같은 제3자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평가부서에서 제3자로부터 입수한 정보에 근거한 평가가 공정가치 서열체계 내 수준별 분류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기준서의 요구사항을 충족한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있습니다.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를 측정하는 경우, 당사는 최대한 시장에서 관측가능한 투입변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이 가치평가기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기초하여 공정가치 서열체계 내에서 분류됩니다.

- 수준 1: 측정일에 동일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접근 가능한 활성시장의 조정되지 않은 공시가격

- 수준 2: 수준 1의 공시가격 이외에 자산이나 부채에 대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관측가능한 투입변수

- 수준 3: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관측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여러 투입변수가 공정가치 서열체계 내에서 다른 수준으로 분류되는 경우, 당사는 측정치 전체에 유의적인 공정가치 서열체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의 투입변수와 동일한 수준으로 공정가치 측정치 전체를 분류하고 있으며, 변동이 발생한 보고기간 말에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수준간 이동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5) 회계정책의 변경

1) 회사가 채택한 제ㆍ개정 기준서

회사는 2022년 1월 1일로 개시하는 회계기간부터 다음의 제ㆍ개정 기준서를 신규로 적용하였습니다.

① 기업회계기준서 제 1116호 '리스' 개정 - 2021년 6월 30일 후에도 제공되는 코로나19 관련 임차료 할인 등
 

코로나19의 직접적인 결과로 발생한 임차료 할인 등이 리스변경에 해당하는지 평가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실무적 간편법의 적용대상이 2022년 6월 30일 이전에 지급하여야 할 리스료에 영향을 미치는 리스료 감면으로 확대되었습니다. 리스이용자는 비슷한 상황에서 특성이 비슷한 계약에 실무적 간편법을 일관되게 적용해야 합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② 기업회계기준서 제1103호 '사업결합' 개정 - 개념체계의 인용

사업결합 시 인식할 자산과 부채의 정의를 개정된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를 참조하도록 개정되었으나, 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 ‘충당부채, 우발부채 및 우발자산’ 및 해석서 제2121호 ‘부담금’의 적용범위에 포함되는 부채 및 우발부채에 대해서는 해당 기준서를 적용하도록 예외를 추가하고, 우발자산이 취득일에 인식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③ 기업회계기준서 제1016호 '유형자산' 개정 - 의도한 사용 전의 매각금액

기업이 자산을 의도한 방식으로 사용하기 전에 생산된 품목의 판매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생산원가와 함께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도록 요구하며, 유형자산의 취득원가에서 차감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④ 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 '충당부채, 우발부채 및 우발자산' 개정 - 손실부담계약: 계약이행원가

손실부담계약을 식별할 때 계약이행원가의 범위를 계약 이행을 위한 증분원가와 계약 이행에 직접 관련되는 다른 원가의 배분이라는 점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 2018-2020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 2018-2020은 2022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 채택’: 최초채택기업인 종속기업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금융부채 제거 목적의 10% 테스트 관련 수수료

·기업회계기준서 제1041호 '농림어업’: 공정가치 측정


2) 회사가 적용하지 않은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제정 또는 공표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않아 적용하지 아니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 부채의 유동/비유동 분류

 

보고기간말 현재 존재하는 실질적인 권리에 따라 유동 또는 비유동으로 분류되며, 부채의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권리의 행사가능성이나 경영진의 기대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또한, 부채의 결제에 자기지분상품의 이전도 포함되나, 복합금융상품에서 자기지분상품으로 결제하는 옵션이 지분상품의 정의를 충족하여 부채와 분리하여 인식된 경우는 제외됩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4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될 예정이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한 재무제표의 영향을 검토 중에 있습니다.


②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 '회계정책'의 공시

 

중요한 회계정책 정보를 정의하고 이를 공시하도록 하였습니다. 동 개정 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한 재무제표의 영향을 검토 중에 있습니다.


③ 기업회계기준서 제1008호 '회계정책, 회계추정의 변경 및 오류' - '회계추정'의 정의 

 

회계추정을 정의하고, 회계정책의 변경과 구별하는 방법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동 개정 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해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④ 기업회계기준서 제1012호 '법인세' -  단일거래에서 생기는 자산과 부채에 대한 이연법인세

자산 또는 부채가 최초로 인식되는 거래의 최초 인식 예외 요건에 거래시점 동일한 가산할 일시적차이와 차감할 일시적차이를 발생시키지 않는 거래라는 요건을 추가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해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⑤ 기업회계기준서 제1117호 '보험계약' 제정 

 

보험계약의 적용범위, 인식, 측정, 표시 및 공시 원칙이 제정되었습니다.  이 기준서는 2023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기준서의 적용범위에 해당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6) 재무제표의 발행승인일

회사의 재무제표는 2023년 2월 16일자로 이사회에서 승인되었으며, 정기주주총회에서 수정승인 될 수 있습니다.

3. 유의적인 회계정책

당사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른 재무제표 작성에 적용한 유의적인 회계정책은 아래 기술되어 있으며, 당기 및 비교표시된 전기의 재무제표는 동일한 회계정책을 적용하여 작성되었습니다.

 

(1) 부문별 보고

당사는 단일의 영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업부문은 최고영업의사결정자에게 보고되는 내부 보고자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최고영업의사결정자는 영업부문에 배부될 자원과 영업부문의 성과를 평가하는데 책임이 있습니다.

(2) 별도재무제표에서의 종속기업 및 관계기업 투자

당사의 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27호에 따른 별도재무제표입니다. 당사는 종속기업 및 관계기업에 대한 투자자산에 대해서 기업회계기준서 제1027호에 따른 원가법을 선택하여 회계처리하였습니다. 한편, 종속기업 및 관계기업으로부터 수취하는 배당금은 배당을 받을 권리가 확정되는 시점에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3) 현금및현금성자산

당사는 보유현금과 요구불예금, 유동성이 매우 높고 확정된 금액의 현금으로 전환이 용이하고 가치변동의 위험이 경미한 단기 투자자산을 현금및현금성자산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지분상품은 현금성자산에서 제외하고 있으나, 상환일이 정해져 있고 취득일로부터 상환일까지의 기간이 단기인 우선주와 같이 실질적인 현금성자산인 경우에는 현금성자산에 포함하고 있습니다.

(4) 재고자산

재고자산의 단위원가는 이동평균법(미착품은 개별법)으로 결정하고 있으며, 취득원가는 매입원가, 전환원가 및 재고자산을 이용가능한 상태로 준비하는데 필요한 기타 원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제품이나 재공품의 원가에 포함되는 고정제조간접원가는생산설비의 정상조업도에 기초하여 배부하고 있습니다.


재고자산의 판매에 따른 수익을 인식하는 기간에 재고자산의 장부금액을 매출원가로인식하고 있습니다. 재고자산은 취득원가와 순실현가능가치 중 낮은 금액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재고자산을 순실현가능가치로 감액한 평가손실과 모든 감모손실은 감액이나 감모가 발생한 기간에 비용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재고자산의 순실현가능가치의 상승으로 인한 재고자산평가손실의 환입은 환입이 발생한 기간의 비용으로 인식된 재고자산의 매출원가에서 차감하고 있습니다.

(5) 금융상품

1) 금융자산의 인식 및 측정

당사는 금융자산의 관리를 위한 사업모형과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 특성에 따라 금융자산을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및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세가지 범주로 분류하고 분류 명칭에 따라 후속적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내재파생상품은 주계약이 기준서 제1109호의 적용범위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분리하지 않고 복합금융상품 전체에 대해 위 세가지 범주중의 하나로 분류합니다.

 

유의적인 금융요소를 포함하지 않는 매출채권은 최초인식시점에 거래가격으로 측정하고 이외에는 공정가치로 측정하며,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이 아닌 경우 금융자산의 취득과 직접 관련되는 거래원가는 최초 인식시점에 공정가치에 가산하고 있습니다.

 

①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계약상 현금흐름의 수취를 목적인 사업모형하에서 계약조건에 따라 특정일에 원금과원금잔액에 대한 이자지급만으로 구성되는 현금흐름이 발생하는 금융자산을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원금은 최초 인식시점의 공정가치이며 이자는 화폐의 시간가치에 대한 대가 및 신용위험에 대가 등을 포함합니다.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은 유효이자율법에 따라 측정하고 이자수익은 당기손익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②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계약상 현금흐름의 수취와 매도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모형하에서 계약조건에 따라 특정일에 원금과 원금잔액에 대한 이자지급만으로 구성되는 현금흐름이 발생하는 금융자산을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공정가치의 변동으로 인한 차이는 기타포괄손익에 반영하고 처분시 당기손익으로 재순환시키며 이자수익 및 외환손익은 당기손익의 금융수익에, 손상차손(환입)은 기타손익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한편, 당사는 단기매매목적으로 보유하지 않는 지분상품은 최초 인식시점에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으로 취소불가능 한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선택을 하는 경우에는 배당금을 제외하고 해당 지분상품으로부터 발생하는 모든 손익은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고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순환시키지 않습니다.

 

③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금융자산이 상각후원가 또는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으로 분류하며 단기매매목적의 지분증권, 파생상품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기준서 1109호의 분류기준에 따라 상각후원가 또는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으로 분류되더라도 회계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으로 취소 불가능한 지정을 할 수 있습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과 관련된 손익은 당기손익의 기타손익에 인식하고 있습니다.

 

2) 금융부채의 분류 및 측정

당사는 계약의 실질에 따라 금융부채를 상각후원가측정금융부채,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한편, 당사가 복합금융상품을 발행한 경우에는 자본요소와 부채요소를 분리하고 부채요소의 공정가치를 측정하여 최초 장부금액을 부채요소에 먼저 배부하고 있습니다.

 

금융부채는 최초인식시점에 공정가치로 측정하며,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가 아닌 경우 금융부채의 발행과 직접 관련되는 거래원가는 최초 인식시점에 공정가치에 가산하고 있습니다. 후속적으로는 상각후원가측정금융부채는 유효이자율을 적용하여 측정하고 관련 이자비용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며,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는 공정가치로 측정하고 공정가치의 변동액을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3) 금융자산의 손상

당사는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과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채무상품에 대해 기대신용손실모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신용손상측정대상 금융자산에 대해 최초 인식 후 신용위험의 유의적 증가가 있는지에 대한 개별평가 및 대상금융자산의 경제적 성격을 고려한 집합평가를 매 보고기간 말에 수행하고 있습니다.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가 있는지를 평가할 때 신용등급(외부평가기관 및 내부에서의 평가결과 모두 참고), 재무구조, 연체정보 및 현재 및 미래의 예측가능한 경제적 상황의 변동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보고기간말 신용위험이 낮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최초인식 후 신용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하고 연체일수가 30일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명백한 반증이 없는 한 신용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매 보고기간말에 매출채권은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에 해당하는 금액을 손실충당금으로 측정하고 최초인식시점에 신용이 손상된 금융자산은 최초인식후 전체기간기대신용손실의 누적변동분만을 손실충당금으로 계상합니다. 이외의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및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지분증권제외) 대해서는12개월 기대신용손실로 측정한 손실충당금을 인식하며 최초 인식 후 신용위험의 유의적 증가가 있거나 신용손상이 있는 경우에는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에 해당하는 금액을 손실충당금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 말에 측정한 손실충당금과 장부금액과의 차이는 손상차손(환입)으로 당기손익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6) 유형자산

유형자산은 최초에 원가로 측정하여 인식하고 있으며, 유형자산의 원가에는 경영진이 의도하는 방식으로 자산을 가동하는데 필요한 장소와 상태에 이르게 하는데 직접 관련되는 원가 및 자산을 해체, 제거하거나 부지를 복구하는데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는 원가가 포함됩니다. 


유형자산은 최초 인식 후에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을 장부금액으로 하고 있습니다.

유형자산의 일부를 대체할 때 발생하는 원가는 해당 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미래 경제적 효익이 당사에 유입될 가능성이 높으며 그 원가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경우에 자산의 장부금액에 포함하거나 적절한 경우 별도의 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 때 대체된 부분의 장부금액은 제거하고 있습니다. 그 외의 일상적인 수선ㆍ유지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원가는 발생시점에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유형자산 중 토지는 감가상각을 하지 않으며, 그 외 유형자산은 자산의 취득원가에서잔존가치를 차감한 금액에 대하여 아래에 제시된 경제적 내용연수에 걸쳐 해당 자산에 내재되어 있는 미래 경제적 효익의 예상 소비 형태를 가장 잘 반영한 정액법으로 상각하고 있습니다.

유형자산을 구성하는 일부의 원가가 당해 유형자산의 전체원가와 비교하여 유의적이라면, 해당 유형자산을 감가상각할 때 그 부분은 별도로 구분하여 감가상각하고 있습니다.


유형자산의 제거로 인하여 발생하는 손익은 순매각금액과 장부금액의 차이로 결정되고 그 차액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당기 및 전기의 추정 내용연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추정내용연수
건물 20년 ~ 40년
구축물 5년 ~ 20년
기계장치 8년
차량운반구 4년
공기구비품 4년


당사는 매 보고기간 말에 자산의 잔존가치와 내용연수 및 감가상각방법을 재검토하고 재검토 결과 이를 변경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회계추정의 변경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7) 무형자산

무형자산은 최초 인식할 때 원가로 측정하며, 최초 인식 후에 원가에서 상각누계액과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을 장부금액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무형자산은 사용 가능한 시점부터 잔존가치를 영("0")으로 하여 아래의 내용연수 동안 정액법으로 상각하고 있습니다. 다만, 일부 무형자산에 대해서는 이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기간에 대하여 예측가능한 제한이 없으므로 당해 무형자산의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것으로 평가하고 상각하지 아니하고 있습니다.

구분 추정내용연수
소프트웨어 5 년
회원권 비한정내용연수


내용연수가 유한한 무형자산의 상각기간과 상각방법은 매 보고기간 말에 재검토하고내용연수가 비한정인 무형자산에 대해서는 그 자산의 내용연수가 비한정이라는 평가가 계속하여 정당한 지를 매 보고기간 말에 재검토하며, 이를 변경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회계추정의 변경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8) 정부보조금

정부보조금은 연결실체가 정부보조금에 부수되는 조건을 준수하고 그 보조금을 수취하는 것에 대해 합리적인 확신이 있을 경우에만 인식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비유동자산을 취득 또는 건설하는데 사용해야 한다는 기본조건이 부과된 정부보조금을 수령하고 있으며, 해당 자산의 장부금액을 계산할 때, 정부보조금을 차감하고 감가상각자산의 내용연수에 걸쳐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정부보조금을 정부보조금으로 보전하려 하는 관련원가를 비용으로 인식하는 기간에 걸쳐 관련비용에서 차감하는 방법으로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9) 투자부동산

임대수익이나 시세차익 또는 두 가지 모두를 얻기 위하여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은 투자부동산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투자부동산은 취득 시 발생한 거래원가를 포함하여 최초 인식시점에 원가로 측정하며, 최초 인식 후에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을 장부금액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후속원가는 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미래의 경제적 효익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으며, 그 원가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경우에 한하여 자산의 장부금액에 포함하거나적절한 경우 별도의 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후속지출에 의해 대체된 부분의 장부금액은 제거하고 있습니다. 한편, 일상적인 수선ㆍ유지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원가는 발생시점에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투자부동산 중 토지에 대해서는 감가상각을 하지 않으며, 토지를 제외한 투자부동산은 경제적 내용연수에 따라 5년에서 40년을 적용하여 정액법으로 상각하고 있습니다.


투자부동산의 감가상각방법, 잔존가치 및 내용연수는 매 보고기간말에 재검토하고 이를 변경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회계추정의 변경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10) 비금융자산의 손상

건설계약에서 발생한 자산, 종업원급여에서 발생한 자산, 생물자산, 재고자산, 이연법인세자산, 공정가치로 평가하는 투자부동산 및 매각예정으로 분류되는 비유동자산을 제외한 모든 비금융자산에 대해서는 매 보고기간말마다 자산손상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는지를 검토하며, 만약 그러한 징후가 있다면 당해 자산의 회수가능액을 추정하고 있습니다. 단, 사업결합으로 취득한 영업권 및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무형자산, 아직 사용할 수 없는 무형자산에 대해서는 자산손상을 시사하는 징후와 관계없이 매년 회수가능액과 장부금액을 비교하여 손상검사를 하고 있습니다.

회수가능액은 개별 자산별로, 또는 개별 자산의 회수가능액을 추정할 수 없다면 그 자산이 속하는 현금창출단위별로 회수가능액을 추정하고 있습니다. 회수가능액은 사용가치와 순공정가치 중 큰 금액으로 결정하고 있습니다. 사용가치는 자산이나 현금창출단위에서 창출될 것으로 기대되는 미래현금흐름을 화폐의 시간가치 및 미래현금흐름을 추정할 때 조정되지 아니한 자산의 특유위험에 대한 현행 시장의 평가를 반영한 적절한 할인율로 할인하여 추정합니다.

자산이나 현금창출단위의 회수가능액이 장부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자산의 장부금액을 감소시키며 즉시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사업결합으로 취득한 영업권은 사업결합으로 인한 시너지효과의 혜택을 받게 될 것으로 기대되는 각 현금창출단위에 배분합니다. 현금창출단위에 대한 손상차손은 우선, 현금창출단위에 배분된 영업권의 장부금액을 감소시키고, 그 다음 현금창출단위에 속하는 다른 자산 각각의 장부금액에 비례하여 자산의 장부금액을 감소시키고 있습니다. 영업권에 대해 인식한 손상차손은 후속기간에 환입할 수 없습니다.  매 보고기간말에 영업권을 제외한 자산에 대해 과거기간에 인식한 손상차손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거나 감소된 것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는지를 검토하고 직전 손상차손의 인식시점 이후 회수가능액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 추정치에 변화가 있는 경우에만 환입합니다.  손상차손환입으로 증가된 장부금액은 과거에 손상차손을 인식하기 전 장부금액의 감가상각 또는 상각 후 잔액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11) 리스

당사는 대가와 교환하여 일정 기간 동안 식별되는 자산의 사용통제권을 이전하는 계약을 리스로 분류하고 있으며 공장, 사무실, 기계장치 및 자동차 등을 리스하고 있습니다. 리스기간은 자산별로 다양하며 해지불능기간과 리스이용자의 연장선택권 및 종료선택권의 행사가능성 등 다양한 계약조건을 고려하여 리스기간을 적용합니다.

 

1) 리스이용자

당사가 리스를 이용하는 경우, 기초자산을 사용할 권리를 나타내는 사용권자산(리스자산)과 리스료를 지급할 의무를 나타내는 리스부채를 인식하고 있습니다. 다만, 단기리스(리스개시일에, 리스기간이 12개월 이하인 리스)와 소액자산 리스의 경우에는동 기준서의 예외규정을 선택하여 관련 리스료를 리스기간에 걸쳐 정액기준으로 비용을 인식합니다. 사용권자산은 유형자산의 감가상각에 대한 요구사항을 적용하여 리스개시일부터 사용권자산의 내용연수 종료일과 리스기간 종료일 중 이른 날까지 감가상각하며, 리스부채는 내재이자율(또는 증분차입이자율)에 따라 리스기간에 걸쳐 금융비용과 리스부채를 인식하고 지급한 리스료를 리스부채에서 차감합니다. 

 

리스부채는 리스개시일 현재 지급되지 않은 리스료의 현재가치로 측정하며 리스료는다음의 금액을 포함합니다. 

-

고정리스료(실질적인 고정리스료 포함하고 받을 리스 인센티브는 차감)

-

지수나 요율(이율)에 따라 달라지는 변동리스료

-

잔존가치보증(리스이용자가 지급할 금액)

-

매수선택권의 행사가격(리스이용자의 행사가능성이 상당히 확실한 경우)

-

리스종료위약금(리스기간이 리스이용자의 종료선택권 행사를 반영하는 경우)

 

리스의 내재이자율을 쉽게 산정할 수 있는 경우 그 이자율로 리스료를 할인합니다. 내재이자율을 쉽게 산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리스이용자가 비슷한 경제적 환경에서 비슷한 기간에 걸쳐 비슷한 담보로 사용권자산과 가치가 비슷한 자산을 획득하는 데 필요한 자금을 차입한다면 지급해야 할 이자율인 리스이용자의 증분차입이자율을 사용합니다.

 

사용권자산은 리스개시일의 원가로 측정하며 다음 항목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한편, 당사는 리스기간이 12개월 이하인 단기리스료와 소액리스료는 인식 면제규정을 적용하여 당기비용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

리스부채의 최초 측정금액

-

리스개시일이나 그 전에 지급한 리스료(받은 인센티브는 차감)

-

리스이용자가 부담하는 리스개설직접원가

-

기초자산의 해체, 복구 등에 대한 계약상 부담하는 원가


(12) 종업원급여

1) 단기종업원급여

종업원이 관련 근무용역을 제공한 보고기간의 말부터 12개월 이내에 결제될 단기종업원급여는 근무용역과 교환하여 지급이 예상되는 금액을 근무용역이 제공된 때에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단기종업원급여는 할인하지 않은 금액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2) 기타장기종업원급여

종업원이 관련 근무용역을 제공한 보고기간의 말일부터 12개월 이내에 지급되지 않을 기타장기종업원급여는 당기와 과거기간에 제공한 근무용역의 대가로 획득한 미래의 급여액을 현재가치로 할인하고, 관련 채무를 직접 결제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를 차감하여 부채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부채는 관련 급여의 만기와 유사한 만기를 가지는 우량회사채의 이자율을 사용하여 추정 미래 현금흐름을 할인한 후 결정되고 있습니다. 보험수리적 가정의 변동과 경험적 조정에서 발생하는 손익은 발생한 기간에 전액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3) 퇴직급여

당사는 확정급여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보고기간 말 현재 확정급여제도와 관련된 확정급여부채는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에서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를 차감하여 인식하고 있습니다. 확정급여부채는 매년 독립적인 계리사에 의해 예측단위적립방식으로 계산되고 있습니다.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는 확정급여제도에서 지급될 미래 현금흐름을 관련 퇴직급여의 만기와 유사한 만기를 가지는 퇴직금이 지급되는 통화로 표시된 우량회사채의 이자율을 사용하여 추정 미래 현금흐름을 할인한 후 결정되고 있습니다. 보험수리적 가정의 변동과 경험적 조정에서 발생하는 손익은 발생한 기간에 전액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에서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를 차감하여 산출된 순액이 자산일 경우, 제도로부터 환급받거나 제도에 대한 미래기여금이 절감되는 방식으로 이용가능한 경제적 효익의 현재가치를 한도로 자산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퇴직급여를 새로 도입하거나 변경함에 따라 종업원의 과거 근무용역에 대한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의 변동액인 과거근무원가는 관련 급여가 가득되기까지의 평균기간에 정액법을 적용하여 비용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단, 확정급여제도를 새로 도입하거나 개정하는 즉시 관련 급여가 가득되는 경우에는 해당 과거근무원가는 즉시 인식하고 있습니다.


(13) 충당부채

충당부채는 과거사건의 결과로 존재하는 현재의무(법적의무 또는 의제의무)로서, 당해 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경제적효익을 갖는 자원이 유출될 가능성이 높으며  그 의무의 이행에 소요되는 금액을 신뢰성 있게 추정할 수 있는 경우에 인식하고 있습니다.


충당부채로 인식하는 금액은 관련된 사건과 상황에 대한 불가피한 위험과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현재의무를 보고기간말에 이행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지출에 대한 최선의 추정치입니다.  화폐의 시간가치 효과가 중요한 경우 충당부채는 의무를 이행하기위하여 예상되는 지출액의 현재가치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충당부채를 결제하기 위해 필요한 지출액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3자가 변제할 것이 예상되는 경우 이행한다면 변제를 받을 것이 거의 확실하게 되는 때에 한하여 변제금액을 인식하고 별도의 자산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매 보고기간 말마다 충당부채의 잔액을 검토하고, 보고기간말 현재 최선의 추정치를 반영하여 조정하고 있습니다.  의무이행을 위하여 경제적효익이 내재된 자원이 유출될 가능성이 더 이상 높지 아니한 경우에는 관련 충당부채를 환입하고 있습니다.

충당부채는 최초 인식과 관련 있는 지출에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14) 외화

당사의 재무제표 작성에 있어서 당사의 기능통화 외의 통화(외화)로 이루어진 거래는거래일의 환율을 적용하여 기록하고 있습니다. 매 보고기간 말에 화폐성 외화항목은 보고기간 말의 마감환율로 환산하고 있습니다.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비화폐성 외화항목은 공정가치가 결정된 날의 환율로 환산하고, 역사적원가로 측정하는 비화폐성항목은 거래일의 환율로 환산하고 있습니다.

 

화폐성항목의 결제시점에 생기는 외환차이와 해외사업장순투자 환산차이 또는 현금흐름위험회피로 지정된 금융부채에서 발생한 환산차이를 제외한 화폐성항목의 환산으로 인해 발생한 외환차이는 모두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비화폐성항목에서 발생한 손익을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경우에는 그 손익에 포함된 환율변동효과도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고,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는 경우에는 환율변동효과도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15) 납입자본

보통주는 자본으로 분류하며 자본거래에 직접 관련되어 발생하는 증분원가는 세금효과를 반영한 순액으로 자본에서 차감하고 있습니다.

우선주는 상환하지 않아도 되거나 당사의 선택에 의해서만 상환되는 경우와 배당의 지급이 당사의 재량에 의해 결정된다면 자본으로 분류하고, 당사의 주주총회에서 배당을 승인하면 배당금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주주가 특정일이나 그 이후에 확정되거나 확정가능한 금액의 상환을 청구할 수 있거나 의무적으로 상환해야 하는 우선주는 부채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관련 배당은 발생시점에 이자비용으로 보아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자기 지분상품을 재취득하는 경우에 이러한 지분상품은 자기주식의 과목으로자본에서 직접 차감하고 있습니다. 자기지분상품을 매입 또는 매도하거나 발행 또는 소각하는 경우의 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지 아니합니다.

(16)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

1) 수익인식모형

당사의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은 제품매출, 상품매출, 용역수익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당사는 고객과의 계약이 개시되는 단계에서부터 통제가 고객에게 이전되는 시점 또는 통제가 고객에게 이전되는 기간에 걸쳐 다음의 5단계 수익인식모형에 따라 수익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① 계약의 식별

당사는 고객과의 사이에서 집행가능한 권리와 의무가 생기게 하는 합의를 계약으로 식별하고 계약으로 식별된 경우에는 수행의무의 식별 등 이후 단계를 추가 검토하여 수익인식여부를 판별하며, 계약으로 식별되지 못하였으나 고객에게서 대가를 받은 경우에는 부채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② 수행의무의 식별

수행의무는 고객과의 계약에서 '구별되는 재화나 용역'이나 '실질적으로 서로 같고 고객에게 이전하는 방식도 같은 일련의 구별되는 재화나 용역'을 고객에게 이전하기로 한 약속을 의미합니다. 당사는 계약 개시시점에 고객과의 계약에서 약속한 재화나용역을 검토하여 수행의무를 식별하고 있습니다.

 

③ 거래가격의 산정

거래가격은 고객에게 약속한 재화나 용역을 이전하고 그 대가로 기업이 받을 권리를 갖게 될 것으로 예상하는 금액으로서 추정치의 제약을 고려한 변동대가, 유의적인 금융요소, 비현금대가 및 고객에게 지급할 대가 등을 고려하여 산정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매출은 반품이 발생하지 않는 유형으로 변동대가에 반영할 금액은 발생하지 않으며, 수행의무를 이전하는 시점과 고객이 그에 대한 대가를 지급하는 시점 간의 기간이 12개월 이내이므로 유의적인 금융요소는 없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④ 거래가격의 배분

당사는 하나의 계약에서 식별된 여러 수행의무에 상대적 개별판매가격을 기초로 거래가격을 배분하고 있습니다. 각 수행의무의 개별판매가격이 없는 경우에는 시장평가조정접근법 등을 고려하여 개별판매가격을 적절하게 추정하고 있습니다. 

 

⑤ 수익인식

당사는 계약개시 시점에 해당 계약과 관련하여 수행의무를 이행할 때 수익을 인식할지 또는 수행의무를 이행하는 기간에 걸쳐 수익을 인식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의무를 수행하는 대로 고객이 동시에 효익을 얻고 소비하는 경우, 당사가 의무를 수행하여 자산이 만들어지거나 가치가 높아지는 것과 비례하여 고객이 그 자산을 통제하는 경우, 또는 의무를 수행하여 만든 자산이 당사 자체에는 대체용도가 없으나 현재까지 수행을 완료한 부분에 대해 집행가능한 지급청구권은 있는 경우에는 수행의무를 이행하는 기간에 걸쳐 수익을 인식합니다.

재화의 판매에 따른 제품매출 및 상품매출은 자산에 대한 통제가 고객에게 이전되는 시점(국내거래의 경우 인도시점, 해외수출의 경우 선적시점)에 수익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투자부동산으로부터의 임대수익은 리스기간에 걸쳐 정액기준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용역수익에 대해서는 당사가 의무를 수행하는 대로 고객이 동시에 효익을 얻고 소비하는 경우에 해당하여 수행의무를 이행하는 기간에 걸쳐 수익을 인식합니다.


2) 본인과 대리인의 구분

당사의 거래 중 상품이나 용역의 제공을 주선하는 '대리인'의 역할을 수행하는 거래는 없으며 모든 거래에서는 '본인'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수행의무의 이행결과로 이전되는 대가의 총액을 수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17) 금융수익과 금융비용

금융수익은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등에 대한 투자로부터의 이자수익,배당수익, 외화환산이익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자수익은 기간의 경과에 따라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하여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며, 배당수익은 주주로서 배당을 받을권리가 확정되는 시점에 수익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금융비용은 차입금에 대한 이자비용, 충당부채의 상각액, 부채로 분류되는 우선주에 대한 배당금, 외화환산손실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차입금에 대한 이자비용은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하여 기간의 경과에 따라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18) 법인세

법인세비용은 당기법인세와 이연법인세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타포괄손익이나 자본에 직접 인식되는 거래나 사건 또는 사업결합에서 발생하는 세액을 제외하고는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1) 당기법인세

당기법인세는 당기의 과세소득을 기초로 산정하고 있습니다. 과세소득은 포괄손익계산서상의 세전이익에서 다른 과세기간에 가산되거나 차감될 손익 및 비과세항목이나손금불인정항목을 제외하므로 포괄손익계산서상 손익과 차이가 있습니다. 당사의 당기법인세와 관련된 미지급법인세는 제정되었거나 실질적으로 제정된 세율을 사용하여 계산하고 있습니다.


2) 이연법인세

이연법인세부채와 이연법인세자산을 측정할 때에는 보고기간 말에 기업이 관련 자산과 부채의 장부금액을 회수하거나 결제할 것으로 예상되는 방식에 따른 세효과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이연법인세는 재무제표상 자산과 부채의 장부금액과 과세소득 산출 시 사용되는 세무기준액과의 차이를 바탕으로 인식되며, 자산부채법에 의하여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연법인세부채는 모든 가산할 일시적차이에 대하여 인식하며, 이연법인세자산은 차감할 일시적차이 중 일시적차이가 과세소득 발생으로 해소될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인식합니다. 그러나, 일시적차이가 영업권을 최초로 인식하는 경우나 자산ㆍ부채가 최초로 인식되는 거래가 사업결합 거래가 아니고, 거래 당시의 회계이익 또는 과세소득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는 거래의 경우 이연법인세를 인식하지 않고 있습니다.

종속기업, 관계기업 및 조인트벤처 투자지분에 관한 가산할 일시적차이에 대해서는 당사가 일시적차이의 소멸시점을 통제할 수 있으며, 예측가능한 미래에 일시적차이가 소멸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 이연법인세부채를 인식하고 있습니다. 또한, 차감할 일시적차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이연법인세자산은 일시적차이가 예측가능한 미래에 소멸 가능할 가능성이 높고, 일시적차이가 사용될 수 있는과세소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연법인세자산의 장부금액은 매 보고기간 말에 검토하고, 이연법인세자산으로 인한혜택이 사용되기에 충분한 과세소득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이상 높지 않은 경우 이연법인세자산의 장부금액을 감소시키고 있습니다.

이연법인세자산과 부채는 보고기간 말 제정되었거나 실질적으로 제정된 세법에 근거하여 당해 자산이 실현되거나 부채가 지급될 보고기간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되는 세율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있습니다. 이연법인세자산과 이연법인세부채를 측정할 때에는 보고기간 말 현재 당사가 관련 자산과 부채의 장부금액을 회수하거나 결제할 것으로 예상되는 방식에 따라 법인세효과를 반영하였습니다.


이연법인세자산과 부채는 동일 과세당국이 부과하는 법인세이고, 당사가 인식된 금액을 상계할 수 있는 법적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당기 법인세부채와 자산을 순액으로 결제할 의도가 있는 경우에만 상계하고 있습니다.

배당금 지급에 따라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법인세비용이 있다면 배당금지급과 관련한부채가 인식되는 시점에 인식하고 있습니다.

(19) 주당손익

당사는 보통주 기본주당손익과 희석주당손익을 계속영업손익과 당기순손익에 대하여 계산하고 포괄손익계산서에 표시하고 있습니다. 기본주당손익은 보통주에 귀속되는 당기순손익을 보고기간 동안에 유통된 보통주식수를 가중평균한 주식수로 나누어계산하고 있습니다. 희석주당손익은 전환사채와 종업원에게 부여한 주식기준보상 등모든 희석효과가 있는 잠재적 보통주의 영향을 고려하여 보통주에 귀속되는 당기순손익 및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를 조정하여 계산하고 있습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구분 제13기 제12기
주당배당금 1,500원 1,500원
배당금총액 1,513,551,000원 1,520,751,000원
시가배당율 1.4% 1.4%


□ 이사의 선임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사내이사 1명, 사외이사 2명)
제3호 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선임의 건
                 (사외이사인 감사위원회 위원 1명)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남성길 1967. 08. 30 사내이사 - - 이사회
김명현 1968. 04. 19 사외이사 - - 이사회
강남현 1970. 12. 25 사외이사 - - 이사회
서규섭 1974. 07. 06 사외이사 분리선출 - 이사회
총 (  4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남성길 조선선재주식회사
기술연구,품질부문장
1994.01 ~ 1997.03 조선선재 연구소 연구원 -
1997.03 ~2022.10 삼성중공업 연구소 센터장
2022.12 ~ 현재 조선선재 기술연구 및 품질부문장
김명현 부산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교수
2012. 03 ~ 현재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조선해양공학과 교수 -
2020. 03 ~ 현재 대한용접접합학회 편집장
2016. 03 ~ 현재 중국 하얼빈 공대 겸임교수
강남현 부산대학교
재료공학과 교수
2023.01~현재 대한용접접합학회 학술위원장 -
2023.01~현재 대한금속재료학회 재무이사
2009.03~현재 부산대학교 재료공학과 교수
서규섭 삼덕회계법인
공인회계사
2004.07~2016.11 안진회계법인 공인회계사 -
2016.11~2019.06 한영회계법인 공인회계사 (Partner)
2019.07~현재 삼덕회계법인 공인회계사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남성길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김명현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강남현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서규섭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김명현 사외이사 후보자>

1. 전문성
본 후보자는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다양한 연구활동의 수행을 통해 용접재료와 관련된 전문적인 식견과 경험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이사회에 참여함으로써 주주와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대변하는 동시에 회사의 장기적 성장과 기업가치 극대화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2. 독립성

본 후보자는 사외이사로서 최대주주로부터 독립적인 위치에 있어야 함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으며, 투명하고 독립적인 의사결정 및 직무수행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3. 책임과 의무에 대한 인식 및 준수
본 후보자는 선관주의와 충실 의무, 보고 의무, 감시 의무, 상호 업무집행 감시 의무, 경업금지 의무, 자기거래 금지 의무, 기업비밀 준수의무 등 상법상 사외이사의 의무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엄수할 것입니다.

 

<강남현 사외이사 후보자>

1. 전문성
본 후보자는 대학 교수 및 대한용접접합학회 학술위원장으로서 용접재료와 관련된 전문적인 식견과 경험을 바탕으로 이사회에 참여함으로써 주주와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대변하는 동시에 회사의 장기적 성장과 기업가치 극대화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2. 독립성

본 후보자는 사외이사로서 최대주주로부터 독립적인 위치에 있어야 함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으며, 투명하고 독립적인 의사결정 및 직무수행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3. 책임과 의무에 대한 인식 및 준수
본 후보자는 선관주의와 충실 의무, 보고 의무, 감시 의무, 상호 업무집행 감시 의무, 경업금지 의무, 자기거래 금지 의무, 기업비밀 준수의무 등 상법상 사외이사의 의무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엄수할 것입니다.

 

<서규섭 사외이사 후보자>

1. 전문성

본 후보자는 공인회계사로서 재무/회계분야에 대한 충분한 지식과 경험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이사회에 참여함으로써 주주와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대변하는 동시에 회사의 장기적 성장과 기업가치 극대화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2. 독립성

본 후보자는 사외이사로서 최대주주로부터 독립적인 위치에 있어야 함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으며, 투명하고 독립적인 의사결정 및 직무수행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3. 책임과 의무에 대한 인식 및 준수
본 후보자는 선관주의와 충실 의무, 보고 의무, 감시 의무, 상호 업무집행 감시 의무, 경업금지 의무, 자기거래 금지 의무, 기업비밀 준수의무 등 상법상 사외이사의 의무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엄수할 것입니다.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남성길 사내이사 후보자>

후보자는 당사 연구소를 거쳐 삼성중공업 연구소 센터장을 역임한 주요 사업분야 생산기술 연구의 전문가로서 제품의 기술연구 및 품질에 대한 통합적인 발전 전략을 수립하고 회사의 가치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추천하였습니다. 

 

<김명현 사외이사 후보자>

후보자는 현재 부산대학교 및 중국 하얼빈 공대 교수로 재직 중이며 관련 분야의 전문적인 식견과 경험을 바탕으로 당사의 용접재료 사업부문의 제품과 기술에 대한 전략적인 통찰력과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추천하였습니다.

 

<강남현 사외이사 후보자>

후보자는 현재 부산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며 관련 분야의 전문적인 식견과 경험을 바탕으로 당사의 용접재료 사업부문의 제품과 기술에 대한 전략적인 통찰력과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추천하였습니다. 

 

<서규섭 사외이사 후보자>
후보자는 공인회계사로서 다년간 기업 및 단체의 감사업무를 수행하였고 회계/세무 분야의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기반으로 경영현안에 대한 의사결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추천하였습니다.


확인서

이사 후보자 확인서_남성길


이사 후보자 확인서_김명현


이사 후보자 확인서_강남현


감사위원회 위원인 사외이사 후보자 확인서_서규섭(1)


감사위원회 위원인 사외이사 후보자 확인서_서규섭 (2)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감사위원회 위원의 선임

제4호 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사외이사인 감사위원회 위원 2명)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김명현 1968. 04. 19 사외이사 - - 이사회
강남현 1970. 12. 25 사외이사 - - 이사회
총 (  2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김명현 부산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교수
2012. 03 ~ 현재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조선해양공학과 교수 -
2020. 03 ~ 현재 대한용접접합학회 편집장
2016. 03 ~ 현재 중국 하얼빈 공대 겸임교수
강남현 부산대학교
재료공학과 교수
2023.01~현재 대한용접접합학회 학술위원장 -
2023.01~현재 대한금속재료학회 재무이사
2009.03~현재 부산대학교 재료공학과 교수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김명현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강남현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김명현 감사위원회 위원 후보자>

후보자는 현재 부산대학교 및 중국 하얼빈 공대 교수로 재직 중이며 관련 분야의 전문적인 식견과 경험을 바탕으로 당사의 용접재료 사업부문의 제품과 기술에 대한 전략적인 통찰력과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추천하였습니다.

 

<강남현 감사위원회 위원 후보자>

후보자는 현재 부산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며 관련 분야의 전문적인 식견과 경험을 바탕으로 당사의 용접재료 사업부문의 제품과 기술에 대한 전략적인 통찰력과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추천하였습니다. 


확인서

감사위원회 위원  후보자 확인서_김명현


감사위원회 위원  후보자 확인서_강남현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5 ( 3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3,000,000,000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6 ( 3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708,556,790
최고한도액 3,000,000,000

※ 2022년 3월 사임한 사내이사의 보수가 포함되어 있음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3년 03월 23일 1주전 전자문서 발송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1) 당사는 2023년 03월 23일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홈페이지(http://www.chosunwelding.com →  회사소개 → IR → 전자공고 → 조선선재)에 게재할 예정이오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 향후 사업보고서는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DART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co.kr)에 업데이트 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3)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에 관하여는「DART-정기공시」에 제출된 (http://dart.fss.or.kr) 사업보고서를 활용하여야 합니다.


※ 참고사항

<전자투표에 의한 행사>

우리회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와「자본시장과 금융투자

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60조제5호에 따른 전자위임장권유제도를 이번 주주

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두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

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시거나, 전자위임장을 수여

하실 수 있습니다.

- 전자투표, 전자위임장권유관리시스템
   인터넷 주소 : https://evote.ksd.or.kr

    모바일 주소: https://evote.ksd.or.kr/m

- 전자투표 행사, 전자위임장 수여기간 : 2023년 3월 21일 9시 ~ 2023년 3월 30일 17시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투표, 전자위임장 권유관리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공인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
   (K-VOTE에서 사용 가능한 인증서 한함)

-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


<주총 집중일 주총 개최 사유>

당사는 주주총회 집중일을 피하기 위해 날짜 변경을 노력하였으나 회계법인의 감사보고서 수령일정, 당사 임원진 및 감사위원회 위원의 일정, 원활한 주주총회 운영 준비로 불가피하게 주주총회 집중일에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7000566

조선선재 (12003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