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3-10-18 17:03: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1018000353
2023 년 10 월 18 일 | ||
회 사 명 : | 컨버즈 주식회사 | |
대 표 이 사 : | 곽 종 호 | |
본 점 소 재 지 : | 충청남도 당진시 시곡로 307 | |
(전 화) 070-7563-6333 | ||
(홈페이지)http://www.conbuzz.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이사 | (성 명) 박 대 원 |
(전 화) 02-2027-4748 | ||
(2023년 임시주주총회) |
주주각위
삼가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상법 제365조 및 당사의 정관 제16조에 의거하여 다음과 같이 임시주주총회를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다 음 -
1. 일 시 : 2023년 11월 2일 (목) 오전 09시
2. 장 소 : 충청남도 당진시 시곡로 307 본사 회의실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가) 감사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이사 선임의 건
제1-1호의안: 사내이사 허용호 선임의 건
제1-2호의안: 사내이사 박승희 선임의 건
제1-3호의안: 사내이사 곽종호 선임의 건
제1-4호의안: 사내이사 박진수 선임의 건
제1-5호의안: 사내이사 박지현 선임의 건
제1-6호의안: 사외이사 박기훈 선임의 건
제1-7호의안: 사외이사 이재홍 선임의 건
제2호 의안: 감사 장준식 선임의 건
제3호 의안: 정관 변경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의 3항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당사의 본사와 하나은행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였고, 금융감독원 또는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우리 회사의 이번 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 행사할 수 있습니다.
6.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주주총회 참석 시 아래의 서류 등을 지참하시기 바랍니다.
- 직접행사 : 신분증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위임자 신분증), 대리인 신분증
7. 코로나바이러스 19 관련 안내사항
코로나바이러스의 재확산에 따라, 코로나19 의 감염 및 전파를 예방하기 위하여 주주총회장 입구에서 주주님들의 체온 측정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때 발열(37.5℃이상) 또는 기타 감염 의심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입장을 제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또한 질병 예방을 위해 주주총회에 참석시 마스크 착용을 권장하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금번 주주총회에서는 기념품을 지급하지 않기로 하였으니 이점 양지하시기 바랍니다.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홍용건 | 김윤관 | 김문갑 | ||||||
출석률 | 0% | 출석률 | 100% | 출석률 | 100% | |||
출석 | 찬반 | 출석 | 찬반 | 출석 | 찬반 | |||
1 | 2023.01.03 | 실사보증금 지급계약 체결의 건 | 불참 | - | 참석 | 찬성 | 참석 | 찬성 |
2 | 2023.02.16 |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정기주주총회 소집결의의 건 | 불참 | - | 참석 | 찬성 | 참석 | 찬성 |
3 | 2023.04.26 | 제지사업 중단의 건 | 불참 | - | 참석 | 찬성 | 참석 | 찬성 |
4 | 2023.09.22 |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 불참 | - | 참석 | 찬성 | 참석 | 찬성 |
5 | 2023.10.18 | 임시주주총회 안건 확정의 건 | 사임 | 참석 | 찬성 | 참석 | 찬성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보수위원회 | 사외이사 김윤관사외이사 홍용건 사내이사 강유진 | 2021.03.17 | - 보수위원회 구성 및 위원장 선임의 건 | 가결 |
2022.02.16 | - 2022년도 이사 및 감사 보수한도 설정의 건 - 2022년도 임원 및 감사 보수 결정의 건 - 법인카드 사용한도 하향의 건 | 가결 | ||
2022.05.13 | - 보수위원회 구성 및 위원장 선임의 건 - 2022년도 신임 미등기임원 보수 결정에 관한 | 가결 | ||
2023.02.16 | - 2023년도 이사 및 감사 보수한도 설정의 건 - 2023년도 임원 및 감사 보수 결정의 건 - 법인카드 사용한도 동결의 건 | 가결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2 | 1,200 | - | - | - |
주1)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 4명을 포함한 등기이사 총 6명의 보수한도 총액임.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당사가 영위하는 사업은 아래와 같습니다. ■통신네트워크사업 ■커스터머사업 |
가. 업계의 현황
■ 통신네트워크사업부문
[중계기사업]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전세계적으로 정보통신 산업은 새로운 시장의 개척, 신규 고용의 창출, 여타 산업들의 부수적인 발전을 가져오는 등 국가의 기간산업으로써 자리잡고 있습니다. 최근의 통신산업은 방송 및 컴퓨터 기술과 융합되면서 통신사업 뿐만 아니라 방송 등 인접영역까지 포함한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습니다.다양한 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의 등장 직후 4G(LTE) 서비스로 진화하여 초고속의 무선데이터서비스가 폭증하며 이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산업이 함께 발전해 왔습니다. 2019년 4월 3일 세계최초로 상용화한 국내 5G 이동통신기술은 인공지능, 로봇, 사물인터넷, 자율주행차, 가상증강현실,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기본이 되는 네트워크 인프라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 역할을 할 것 입니다.
이동통신중계기 산업의 역할은 무선통신산업의 발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통화품질의 제고를위한 기반시설인 기지국을 대체 및 보완하는 기능입니다. 기지국은 투자비용이 막대하여 국가 경제적으로 저비용 대체재인 중계기의 실익이 인정 되고 있습니다. 국내 통신 장비 시장은 기존 통신망의 유지관리와 새로운 통신 서비스에 따른 신규 장비 투자, 경쟁 통신 사업자와의 망품질 차별화를 위한 투자에 따라 통신사업자의 투자규모로 결정 되고 있으며, 통신 사업자는 매년 일정 규모의 효율적인 투자를 통해 중계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해외 통신 장비 시장 또한 기존망에 대한 효율적인 운영과 스마트폰 사용증가에 따른 Data 사용량이 폭발적으로 증가 됨에 따라, 5G 서비스의 본격적 투자로 중계기의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 하고 있습니다. CDMA 및 WCDMA, WiBro시스템, LTE, 5G의 기술진화 선두국가로서 앞선 기술력과 원가 경쟁력으로 일본, 미국, 태국, 유럽, 인도 등 20여 개국으로의 해외 진출이 추진 및 진행되고 있어 향후 국가적인 수출 산업 성장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 됩니다.
(2) 산업의 성장성
중계기산업은 그동안 CDMA, WCDMA, WiBro, LTE 등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성장해 왔습니다. 국내는 2011년 7월 1일자로 4G(LTE)서비스를 개시, 해외시장인 일본은 2006년부터 WCDMA 도입에 맞추어 설비투자를 개시함으로써 ICS중계기, 가정용 RF중계기 등 신규 수요가 창출된 이후 국내중계기 업체들이 본격적으로 해외 진출하는 계기가 되었고 현재까지 4G(LTE)로의 진화속에 지속적인 수요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또한, 2019년 5세대 네트워크 상용화를 위하여 3.5GHz 및 28GHz 주파수 할당을 완료하여 그동안 상용화 서비스를 위한 구체적인 장비 규격 및 표준화를 추진하여 왔으며 2019년 4월 3일 상용서비스를 시작하였습니다. 이처럼 빠르게 5G 시장이 진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세계시장에서 5G의 선도 국가가 되기 위한 투자가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현재 국내의 경우 5G를 위한 기지국 설치와 망고도화 작업, 브로드밴드에서 기존망의 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투자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해외의 경우 선진국 중심의 5G 주도권 경쟁, 신흥국 중심의 4G망 구축과 업그레이드를 위한 무선중계기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다만, 최근 전세계적으로 Covid-19의 확산으로 인한 글로벌 경기침체의 여파로 전세계 다수의 통신사들의 투자가 축소 또는 연기되면서 통신장비업종 전반에 걸쳐 실적이 부진하였으나, 백신개발과 접종이 본격화되고 침체된 경기가 회복 조짐을 보이면서 인터넷수요와 스마트폰의 데이터 사용량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른 투자재개가 본격화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4) 경쟁요소
과거 중계기 업계는 약 100여개 업체가 난립해 있었으나, 현재는 독자 개발 및 영업력을 갖춘 10개 이내 기업으로 재편된 상황입니다. 중계기는 전파가 짧고 음영 지역이 많이 생기는 5G 주파수 특성상 수요가 꾸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매출 비중이 가장 높은 광중계기 외에도 소형 ICS 중계기와 DAS(분산안테나 시스템) 장비의 해외 신규 수주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국내 수요처는 대부분이 SK텔레콤, KT, LG 유플러스와 같은 대형 이동통신사업자이며, 해외향 수요는 일본/유럽/미국 등 다양한 국가로부터 점진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 통신사업자들은 자사통신망의 전파음영지역 해소 및 통화품질 개선, 신규서비스를 위한 중계기 수요가 발생하면 제한경쟁방식의 인증시험으로 품질과 성능이우수한 업체를 협력업체로 선정한 후, 선정업체들간의 경쟁입찰방식을 통해 공급업체를 선정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제한된 내수시장에서 국내 중계기 회사들간의 치열한 경쟁으로 인해 공급단가를 낮추는 방식으로 입찰이 이루어 지고 있으며, 이는 국내시장의 성장 침체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결국 해외 진출을 통한 시장 확대만이 해결책으로 보입니다.
[Optical사업]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광통신 산업은 기존의 전통적 통신 매체인 전기ㆍ전자 대신 광을 이용하게 되면서 생겨난 산업으로 광기술(산업)과 통신기술(산업)이 교차되는 지점에서 탄생하였습니다. 즉, 광산업을 구성하고 있는 광소재, 광원 및 광전소자, 광정밀기기, 광정보기기, 광학기기 분야에서 기술의 비약적 발전은 통신 매체로서 광의 가능성을 열어주었고, 그 결과 광통신 산업이 등장하게 된 것입니다. 우선 기술적인 측면에서 광통신 산업을 살펴보면, 통신 매체인 광의 송신에서 수신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즉, 광통신 산업은 1)전기 신호를 빛으로 바꾸어 주는 발광소자가 위치한 광송신부, 2)광섬유를 통하여 빛 신호를 전달하는 광중계 및 광전송부, 3)빛 신호를 다시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수광소자가 있는 수신부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산업의 가치사슬 측면에서 광통신 산업은 재료, 부품 등 중간재를 생산하는 후방 산업(상류산업)에서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전방 산업(하류산업)의 흐름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즉, 소재(실리카, 실리콘 등)로 소자(LD/PD칩, 수발광소자)를 만들고, 부품(능동 부품, 수동 부품, 광섬유) 및 모듈(광트랜시버, ROADM 모듈 등)의 조합으로 광통신을 위한 최종 제품인 장비 및 시스템(전송장비, 스위치ㆍ라우터, 가입자 장비 등)을 생산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광통신 산업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요컨대, 기술 및 가치사슬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광통신산업의 범위는 1)광통신장비 및 시스템, 이를 구성하고 있는 2)광통신 모듈 및 부품, 그리고 3)광통신을 위한기타 장치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전통적인 ICT가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거나 정보를 생성하고, 처리하는 연결 기반 ICT였다면, 최근에는 거대한 정보를 생성, 축적하는 것은 물론 인식, 학습 및 추론을 통해 최적의 해를 제시할 뿐만 아니라, 자율적인 판단까지 하는 지능 기반 ICT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의 역할 역시 가치 창출을 위한 필수 요소로 인식되고 있으며, 초 연결로 대변되고 있는 네트워크 역할의 중요성은 더욱 증대되고 있습니다.
전 세계 광통신 장비 시장은 2014년 기준 약 738억 달러를 기록한 가운데, 2021년에는 약 1,000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광통신 장비 및 시스템 장비의 규모는 약 558억 달러 규모로 특히, 광전송 장비(SDH/SONET, WDM) 시장은 중국의 주요 통신 사업자의 설비 투자 확대와 전 세계적인 모바일 백홀에서의 트래픽 증가, 데이터 센터의 확산 등으로 시장의 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SDH/SONET 장비는 감소하고, WDM 장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해당 분야의 사업자는 중국 벤더인 Huawei, ZTE와 Alcatel-Lucent, Cisco Systems, Juniper Networks 등의 대형 글로벌 업체가 시장을 선점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광모듈에 해당되는 광트랜시버의 경우, 100G급 수요 확대가 시장을 견인하였고, 향후 100G급 QSFP28의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능동 부품은 광트랜시버 시장의 영향으로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고, 이 시장에서 글로벌 선두 업체는 Finisar로 중국의 LTE 구축 확산 및 이동통신 기지국에 필요한 트랜시버 수요 증가로 인하여 최근 큰 성장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한편, 광통신 부품의 경우 벤더들 간의 수직계열화 현상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분야로 소자-부품-모듈의 수급에 따른 M&A, 전략적 제휴 등 치열한 경쟁이 전개되고 있습니다.
2014년 약 64억 달러 규모인 광섬유/광회로 시장은 중국 광통신 투자 확대로 시장이증가하였으나, 이후 중국 시장의 수요 감소로 시장 성장세가 둔화되고, 2018년 이후에는 시장 규모가 감소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광측정기/제조장치 시장을 견인하고있는 OTDR 장비는 현재 중국 시장에서 가격 경쟁이 본격화되었고, 북미 지역에서의모바일 기지국 광통신화 등으로 당분간 시장 성장세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광통신 세계 시장은 2019년 1,048억불 규모에서 2025년 1,564억불로 9년간 72%(CAGR : 5.61%) 성장하여 지속적인 시장 확대가 이어지고 있으며, 가장 높은 성장이 예상되는 분야는 광트랜시버로 2018년에서 2025년까지 7년간 성장률이 130% 이상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
(3) 경기변동의 특성
경기 호황기에는 국가 기간망 사업 추진에 속도가 붙으면서 광통신 인프라 구축과 함께 구매 수요가 증가하는 일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합니다. 그러나 불황기에도 마찬가지로 광통신망 유지보수 작업용 장비는 꾸준히 필요하므로 특별히 수요가 급감하지는 않는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4) 경쟁요소
당사의 ICT 부품은 다년간의 생산 기술 축적으로 QMS(품질관리 시스템)을 적용하여 안정된 품질과 빠른 납품 대응 및 효율적인 재고 관리로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있습니다. 당사는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전원공급의 연결 및 차단을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전원 제어시스템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광 통신 제품뿐만 아니라 IoT 기술을 통해 스마트 에너지 콘센트, 벽 스위치 등 스마트 홈 제품들의 생산기술력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Passive사업]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통신장비 산업은 무선(Mobile Access)과 유선(Broadband Access)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Network 구성에 따른 장비 형태와 사용에 따라 패시브 소자 제품과 액티브 소자 장비로 구분됩니다.
이동통신서비스는 1G(아날로그)와 2G(GSM, CDMA) 및 3G(W-CDMA, EV-DO rev.A)를 거쳐 4G(LTE), 최근에 5G 시장으로 진화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이루어 지기 위해서는 기지국 장비와 중계기 및 안테나 등 다양한 부대 장비들의 투자가 필요합니다. 특히 망이 고도화 됨에 따라 서비스 커버리지가 줄어들면서 안테나, 분배기, 필터 제품 등의 PASSIVE 제품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는 기존 서비스인 3G, 4G와 5G 를 통합하는 결합기, 분배기 등 PASSIVE 제품이 더욱 늘어남에 따라 산업이 빠르게 확장되어 가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 이동통신사업자의 CAPAX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다양한 형태의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해외 이동통신 사업자들 또한 국내 투자 절감 사례를 바탕으로 제품 개발 및 상용화 하고 있기에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시장이 더욱더 확장 될 것으로 예상 됩니다.
(2) 산업의 성장성
2019년 4월을 기하여 세계최초로 국내에 5G 이동통신 서비스가 개시되었습니다.
그러나, 현재 서비스 중인 3.5GHz의 주파수 대역은 망이 불안정하고 커버리지가 작아 기존 4G 이동통신 서비스 사용자 대비 큰 폭의 성능 향상을 체감할 수 가 없습니다. 이는, 5G 이동통신 네트워크가 코어 네트워크의 일부를 4G 이동통신 시스템과 공유 하거나 크게 다르지 않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5G 이동통신 서비스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종래의 주파수 대역보다 훨씬 더 높은 주파수 대역(28GHz 등)을 이용하는 밀리미터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높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경우 상대적으로 넓은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할 수 있어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일 수가 있습니다. 밀리미터파 주파수 대역의 경우 경로 감쇄가 크고, 직진성이 강해 이동통신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되어 왔으나, 다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특정 방향으로 에너지를 집중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Massive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술과 함께 사용한다면, 큰 폭의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밀리미터파 기술 및 Massive MIMO 기술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단말기 및 기지국(스몰셀 포함)의 RF 부품을 추가/변경하고, 신호처리 기술, 채널추정 기술 등에 대응하기 위해 일부 장비의 업그레이드가 필수적으로 상당한 규모의 설비 투자가 필요합니다. 이와 같이 망이 고도화될 때마다 기지국을 구성하는 각종 장비가 교체되어야 하는데, 특히 초고속, 대용량 성능 구현이 필수적인 5G의 특성상 기존(4G)보다 수십에서 수백배의 안테나 및 필터의 새로운 수요가 발생되며 이에 따른 통신장비 제조사들의 산업성장성은 지속할 것으로 보입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과거 통신사업 분야는 경기변동에 민감한 산업특성이 있습니다. 통신 서비스 사업자의 투자 여하에 따라 시장수요가 결정되는 구조입니다. 그러나 현재 전세계 통신산업 특성상 자국의 국가경쟁력 확보의 필수 인프라사업으로 구분되고 있어 4차 산업혁명 성공의 중요한 수단으로 이용하고자 민간통신사업자뿐만 아니라 국가단위의 공공기관 서비스확장을 위해 신규 통신시장 수요가 발생하고 있으며 향후 꾸준히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 됩니다.
(4) 경쟁요소
통신인프라서비스산업의 특성상 가격경쟁력뿐만 아니라 5년이상 장기적이면서 안정적인 운영이 필수적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높은 수준의 품질이 요구되면서도 즉각적인 유지보수 대응이 필연적 입니다. 동 사유로 인해 통신사업자는 저가의 해외 제조사보다는 국내 제조사들을 더 선호하고 있으며, 신규로 시장에 참여하고자 하는 제조사들에게 높은 진입장벽이 되고 있습니다.
■커스터머사업부문
[블랙박스사업]
(1) 산업의 특성
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의 주행 및 주차시 사고 등 분쟁에 대한 증거자료 및 교통법규 준수 유도, 교통법규 위반사례 단속, 범죄예방 뿐만 아니라, 차선이탈, 신호대기시 앞차 출발알림, 과속카메라 알림등 운전자 편의를 제공하는 시스템까지 지원하며 자동차 필수품으로 자리잡으면서 시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화물차 및 대형차 안전사고와 관련된 졸음운전경보와 IoT를 적용하면 차량 사고 통보와 충격 영상을 스마트폰으로 전송받을 수 있고 차량 위치와 운행이력, 주차장소 확인 등 실시간 통신과 연계하며 블랙박스 활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2) 산업의 성장성
국내 블랙박스 산업은 차량 안전에 대한 소비자 인식 확산과 운전관련 분쟁증가,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정부 및 지자체를 중심으로 사업용 차량에(대형 버스 및 화물차) 대한 의무화, 보조금 지급, 보험료 할인 등 국내 차량용 블랙박스의 성장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해외 역시 사고로 인한 분쟁의 증가로 블랙박스 규제 완화 및 후방카메라 탑재 의무화를 확대하고 있으며 일본과 유럽 등 다양한 국가에서 장착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해외 시장으로의 진출을 위하여 고화질, 야간화질개선, 커넥티드 연결 기능, 앞차출발알림(FVSA), 전방추돌경보(FCWS), 차선이탈경보(LDWS), 운행기록자기진단장치(OBD) 기능이 탑재된 고사양 블랙박스 제품 출시되고 있어 해외 블랙박스 시장은 점차 확대될것으로 예상됩니다.
|
(3) 경기변동의 특성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한 전 세계적인 반도체 부족 이슈 및 국내 완성차에 내장형 블랙박스인 '빌트인 캠(DVRS, Drive Video Record System)' 보급이 확대되어, 애프터 마켓이 주요 타깃인 블랙박스 업체들에게는 일정 부분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되지만, 기존업체들의 지속적인 기술 고도화를 통해 차선이탈경보(LDWS), 전방추돌경보(FCWS), 앞차출발알림(FVSA), 보행자인식경보(PCWS), 신호등 변경 알림(TLCA), 급커브감속경보시스템(CSWS) 등을 통한 실시간 통신 연동, 스마트폰 연동등 기존 제품과 차별화되는 기술력으로 경쟁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다만, 소비자의 기호 및 경기변동에 따라 블랙박스의 판매는 유동적입니다.
(4) 경쟁요소
당사의 '위니캠(WINYCAM)' 블랙박스는 2002년 설립된 주식회사 위니테크놀로지의 오래된 업력 및 다양한 블랙박스 솔루션 설계 경험을 바탕으로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핵심 기술로는 위니 부팅 제어 시스템(WLBS), 블랙박스 저전력 설계 알고리즘, 위니 포맷 프리 파일 시스템(WFFS), 위니 자동차 배터리 보호 시스템(WBPS) 등이 있으며, 당사는 핵심 기술을 기반으로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하며 신제품 개발 및 생산 중에 있습니다. 향후 국내시장의 변화에 대비하여 해외 및 온라인 판매에 집중해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TINT & PPF사업]
(1) 산업의 특성
차량용 윈도우 필름은 적외선 및 자외선 차단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유리 비산에 따른 2차 피해를 방지하며, 보호필름(PPF)은 외부 충격 및 오염으로부터 차량을 보호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차량 구입시 필수로 시공하고 있는 추세이며, 해외 선진국에서는 보급형을 기본으로 고품질 차량용 윈도우필름이 수요가 증가하고 개발도상국에서는 보급형 차량용 윈도우필름의 대중화가 시작되면서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차량용 외장보호필름인 PPF(Paint Protection Film) 시장은 현재 도입기 시장으로 고가 차량의 판매량 증가 등에 맞물려 태생하고 있는 시장입니다. PPF시장은 차량을 외부충격 및 오물에 대하여 차량을 보호하기 때문에 고가 차량 소유주 및 자동차 튜닝 시장에서 상당히 높이 평가되는 매력적인 시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차량용 윈도우필름은 차량 보급률 및 글로벌 경제 성장률에 따라 시장규모가 변동되는 경향이 있으나, 경기 민감도가 낮은 시장이며 계절적 특성으로 인하여 겨울보다는 여름에 매출이 다소 높은 특성이 있습니다.
PPF 필름은 Paint Protection Film 의 약자로 차량 도장용 보호 필름으로 운행 시 stone chip에 의해 차량 도장에 손상을 주는 것을 막아주는 보호필름으로서 세계적으로 활성화된지는 약 10년 정도 되었으며 국내에는 이제 막 도입기에 접어 들었습니다. PPF시장은 차량을 외부충격 및 오물에 대하여 차량을 보호하기 때문에 고가 차량 소유주 및 자동차 튜닝 시장에서 상당히 높이 평가되는 매력적인 시장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등
■ 통신네트워크사업부문
[중계기사업]
(1) 영업개황
당사는 2021년 4월 자회사인 (주)알에프윈도우와 흡수합병을 통해 사업의 다변화를 추진하였습니다. (주)알에프윈도우가 개발 및 생산하는 주요제품은 이동통신용 ICS / RF 중계기, 네트워크 최적화 컨설팅 및 중계기 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이동통신 중계기용 UPS, 감시박스 설계 및 공급, 5G 안테나 내장용 공용기 및 대역결합기 입니다.
중계기 제품의 핵심 기술로는 ICS 중계기 기술이 있습니다. ICS (Interference Cancellation System) 중계기는 이동통신 중계기 기술로 기존 RF 중계기에 비해 소형화, 간소화가 가능한 획기적인 기술입니다. 당사는 ICS 중계기 기술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하여 기술적으로 선구자적인 위치에 있습니다. 현재 일본의 NTT DOCOMO와 국내 Major 통신사의 1차 협력사로서 주요 매출을 발생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중계기 기술력은 세계 최초로 ICS중계기를 상용화한 기술을 기반으로 이동통신사업자에게 CAPEX와 OPEX 절감을 통한 효율적 네트워크 구성에 최적화된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국내 중계기 업계에서 기술력, 생산시설, 매출규모등 타 업체보다 비교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현재 당사는 일본의 NTT DOCOMO와 국내 Major 통신사의 신규 중계기 공급에 대한 RFP에 참가 중이며, 이에 선정되는 경우 당사의 사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일본은 2026년에 3G 서비스의 중단이 예정됨에 따라 2025년 내로 기존 감시박스를 LTE대응 감시박스로 전부 교체할 것으로 예상되어, 당사가 현재 NTT DOCOMO에 납품 중인 감시박스의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2) 시장현황 및 점유율
당사는 대한민국,독일,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산업에서의 5G 활성을 위해 상용망과 구분된 별도의 5G 주파수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주파수 할당 조건에 따라 이통사의 5G 전국망 구축에 오랜 기간이 소요되는 상황을 극복하고 5G를 빠르게 확산하기 위해 2019년 12월부터 5G 특화망 제도를 도입하였으며, 유선 사업자 / 5G 장비 업체 / 제조 업체 등이 시장에 참여 중이며, 당사도 준비 중에 있습니다. 5G 장비 업체(NEC / 후지쯔 등)는 5G 특화망에 필요한 장비, SW, 운영 노하우를 package화 하여 고객에게 맞춤형 솔루션 제공, 케이블TV 사업자(J:COM / NTT 동일본 등)는 5G 특화망을 통해 유선을 대체하여(FWA) 4K 방송과 같은 초고화질 동영상 콘텐츠 등을 제공, 제조 업체(도시바 / 파나소닉 등)는 5G 특화망을 자체 구축하여 산업용 로봇 등을 활용한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오피스 환경을 구축하고, 기업 고객 대상으로 관련 사업 확장 모색하고 있으며, 위 회사들과 사업 협력 및 참여 등 논의 하고 있습니다.
국내 시장에서도 정부의 5G 특화망 도입 정책 발표(1월) 이후, 네이버 등 대형 고객이 직접 사업에 필요한 자가망을 구축하거나 5G 장비 업체 등의 사업자가 5G 특화망 사업에 진출하려는 움직임이 있으며, 네이버는 100대 이상의 자율주행 로봇, 한전은 발전소 및 자회사의 설비 관리 관제, 삼성전자는 기업고객대상으로 5G 장비와 Managed Serviece, LG전자는 기지국과 서버등 결합하는 솔루션 제공 사업, 그 외 중견통신기업인 세종텔레콤 등 대기업 외 중견기업들이 5G 특화망 사업 진출을 공식화 하였습니다.
그 외 기타 공공기관 사회안전분야 사업 진출을 위해 소방청이 추진하는 드론 규제샌드박스 참여사업자에 참가하여, 군집드론부대의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 시스템에 당사 드론 중계기를 접목하여, 안정적인 기술 구현을 통한 공익 목적의 통신환경 구축 솔루션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추진중에 있습니다.
당사는 기존 통신사업자 위주의 제한된 시장을 넘어 급속도로 확장하는 새로운 국내외 통신시장에 그 동안 통신시장에 대한 영업력과 품질관리, 개발기술 노하우 등을 바탕으로 더욱 더 확장할 수 있도록 사업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동종 업계의 시장점유율과 관련된 공식 자료가 없어 기재를 생략합니다.
[Optical사업]
(1) 영업개황
당사는 2017년 9월 (주)위니테크놀러지와 흡수합병을 통해 Optical 부품 제조 및 공급하는 사업을 시작하였습니다. Optical 제품의 기술은 통신관련 기술로, LTE, 5G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기존의 CWDM(Coarse Wavelength Multiplexing) 방식에서 DWDM(Dense Wavelength Multiplexing) 방식으로 변경하여 단일 회선으로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도록 광 신호를 결합하고 분리하는 광 MUX(Multiplexer) 기술입니다.
Optical 사업 부분 중에서도 당사는 광 통신 장비 또는 제품을 주로 판매 및 생산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으로는 광 트랜시버와 광 MUX 등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중 광트랜시버는 스몰셀 안에 삽입되는 필수 부품으로 이동통신 인프라에 필수 부품으로 사용되며 국내 이동통신사의 5G 통신망 도입 등 트래픽 증가로 광통신 부품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광 점퍼코드, 광 감쇠기, 광 스위치 등 광 Passive 제품은 안정된 품질로 국내외 유수의 통신업체에 부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현재 국내 통신사에 광 Mux 공급 확대 등 시장 경쟁력 강화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2) 시장현황 및 점유율
현재 동종 업계의 시장점유율과 관련된 공식 자료가 없어 기재를 생략합니다.
[Passive사업]
(1) 영업개황
Passive 기술은 무선용 5G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장비로서 3.5GHz 주파수를 기존 4G 장비와 시설을 공유할 경우 발생하는 주파수 간섭을 저감시키는 장비를 말합니다. 당사는 주파수 간섭의 저감에 관하여 한국에서 가장 우수한 Low PIMD 제품의 개발을 통해 일본 Main 안테나업체인 DKK를 통해 기술인증 받았습니다.
당사의 Passive 제품은 5G 서비스에 이용되는 3.5GHz 주파수를 기존 장비들과 시설 공유하기 위한 다중 결합기이며 옥외 및 옥내에서 사용 할 수 있는 장비로써 제품의 납품을 2019년부터 개시하여 생산하고 있습니다.
Passive 제품의 수요는 점차 증가하고 있어 매년 전년대비 약 10% 이상의 성장이 예상되며, 향후 주요 공급처인 DKK외에도 타 통신사 역시 자사의 기지국 외에 통합 복합건물에 건물주 등과 협의하여 DAS(Distributed Antenna System)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이종간의 주파수 간섭을 제어해주며(상호간섭제어필터 : High PIMD Solution Multiplexer) 중복 투자를 방지해주는 대역 결합 시스템의 도입은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2) 시장현황 및 점유율
현재 동종 업계의 시장점유율과 관련된 공식 자료가 없어 기재를 생략합니다.
■커스터머사업부문
[블랙박스사업]
(1) 영업개황
당사는 사업 다각화를 위하여 2017년 6월 (주)위니테크놀러지의 지분 100%를 취득하였으며, 소규모 합병을 통해 블랙박스 개발, 제조 및 유통 사업을 시작하였습니다. 당사의 자체 블랙박스 브랜드인 '위니캠(WINYCAM)'은 1세대 블랙박스 제조 전문 업체로 2008년 국내 최초로 2채널 LCD 차량용 블랙박스와 카메라 일체형 포터블 DVR을 출시, 일본에 수출하였습니다. 당사는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기업 부설 연구소와 자체 생산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다년간 축적된 기술로 보급형 부터 고급형의 블랙박스 제품 라인업을 구축하여 생산 및 유통하고 있습니다.
또한 블랙박스의 필요성이 점차 글로벌 시장에서도 확대됨에 따라 일본과 북미 뿐 아니라 현재 싱가폴, 홍콩, 필리핀 등에 지속적인 수출도 병행하고 있으며 신규 제품이 개발되면 본격적으로 아시아 시장 뿐 아니라 유럽 시장에도판매 확장할 계획에 있습니다.
[블랙박스 제품군 비교] |
구분 | 제품 사양 | 주요 소비자 | 주요 유통채널 |
---|---|---|---|
고급형 | 2K+FHD 해상도 | 플래그쉽 스토어 | 온라인, 오프라인 |
보급형 | 2채널 / 3.5”형 | 카마스터 | 오프라인, 해외 |
(2) 시장현황 및 점유율
현재 블랙박스 시장은 공신력 있는 조사기관의 공식적인 시장점유율 자료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기재를 생략합니다.
[TINT & PPF사업]
(1) 영업개황
당사는 커스터머 사업 다각화의 일원으로 2021년 10월 차량용 윈도우 필름 브랜드 “BLOCKFORD”의 ㈜맨즈380과 북미 전역을 대상으로 총판권을 체결하여 2022년 4월부터 미국의 대리점에 TINT필름의 유통 및 판매를 시작하였습니다. 동년 6월에는 국내 생산을 위하여 ㈜맨즈380 및 오퍼社와 TINT 및 PPF 필름 주문자 생산방식(OEM)을 체결하였으며 TINT&PPF 사업 부문을 신설하여 외주 생산관리 및 연구개발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2022년 8월에는 당진3공장에 후공정 설비를 도입하여 외주 생산된 마스터롤을 리와인딩 작업을 거쳐 최종 소비자에 전달될 포장 및 배송 작업을 개시하였고, 2023년 자체 생산을위하여 제3의 장소에 생산 전 공정이 가능한 공장의 임대 및 설비 투자를 진행하여 3분기부터 본격적인 생산을 계획 중이며, 차량용 필름 외에도 건축용 및 광학용 필름 개발 및 생산을 목표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사업부문 | 주요 제품 |
---|---|
통신네트워크 | Optic Transceiver, Optic MUX-Multiplexer, Optic Switch |
블랙박스 | 블랙박스 INSIGHT FX Air |
(2)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해당사항 없음
(3) 조직도
조직도(컨버즈)_수정 |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허용호 | 1967.12.26 | 사내이사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이사회 |
박승희 | 1980.03.18 | 사내이사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이사회 |
곽종호 | 1975.12.23 | 사내이사 | 해당사항 없음 | 특수관계인 | 이사회 |
박진수 | 1965.02.02 | 사내이사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이사회 |
박지현 | 1993.11.29 | 사내이사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이사회 |
박기훈 | 1962.12.22 | 사외이사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이사회 |
이재홍 | 1972.04.30 | 사외이사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이사회 |
총 ( 7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당해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허용호 | 경영인 | - | 가천대학교 법학과 졸업 前 주성해운㈜ 대표이사 現주성씨앤에어㈜사내이사 | - |
박승희 | 경영인 | - | 숭실대학교 대학원 IT융합 석사 과정 現주성씨앤에어㈜이사 | - |
곽종호 | 경영인 | - | 고려대학교 졸업 알에프윈도우 상무이사 現컨버즈㈜대표이사 | - |
박진수 | 경영인 | - | 동신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現 주성씨앤에어㈜ 대표이사 現㈜비앤피주성대표이사 | - |
박지현 | 경영인 | - | 고려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석사 과정 前 COSCO 영업부 現㈜비앤피주성부장 | - |
박기훈 | 경영인 | - | 오하이오대학교 경제학 석사 前 현대상선㈜ 본부장 前 SM상선 대표이사 現동원그룹상근고문 | - |
이재홍 | 회계사 | - | 부산대학교 대학원 국제물류학 박사 수료 前 안진회계법인 공인회계사 前 인터지스 감사위원장 現이촌회계법인공인회계사- 전무이사 | -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허용호 | - | - | - |
박승희 | - | - | - |
곽종호 | - | - | - |
박진수 | - | - | - |
박지현 | - | - | - |
박기훈 | - | - | - |
이재홍 | - | - | -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1. 전문성 후보자는 사외이사로서의 전문성 및 독립성을 기초로 직무 수행 계획하고 기업 및 주주, 이해관계자 모두의 가치 제고를 위한 의사결정 기준과 투명한 의사개진을 통해 직무를 수행할 계획입니다. 2. 독립성 후보자는 사외이사로서 상법 제382조 제3항 및 제542조의8 제2항을 기초로 독립적인 위치에 있어야 함을 이해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경영상황의 이해를 바탕으로 회사의 업무집행에 있어 경영진과 대주주로부터 독립적인 의사결정을 하고 이사회를 통하여 경영진의 직무집행을 감독할 것입니다. 3. 책임과 의무에 대한 인식 및 준수 후보자는 선관주의와 충실의무, 보고의무, 감시의무, 상호업무집행감시의무, 경업금지의무, 자기거래금지의무, 기업비밀준수의무 등 상법상 사외이사의 의무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엄수할 것입니다. 그리고 주주 및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사외이사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겠습니다.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각 후보자는 당사에서 영위하는 사업에 대하여 다년간 근무한 경험이 있거나 관련 지식에 대하여 해박하여 관련 사업에 대한 전문성 및 이해도가 깊으므로, 그 경험을 살려 주주 전체 및 회사의 이익을 위하여 회사로 하여금 적법하고 윤리적이며 원칙을 준하는 경영활동을 할 수 있는 적임자로 판단됨에 따라 추천합니다. |
확인서
이사후보 확인서-1 |
이사후보 확인서-2 |
이사후보 확인서-3 |
이사후보 확인서-4 |
이사후보 확인서-5 |
이사후보 확인서-6 |
이사후보 확인서-7 |
□ 감사의 선임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장준식 | 1976.07.30 | 해당사항 없음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장준식 | 공인내부감사사 | - | 서울대학교 미래기술융합과정 수료 前 (주)아이씨디 경영지원실장 前회계법인성지이사(공인내부감사사) | -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장준식 | - | - | - |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감사 후보자에 대하여 과거경력, 그 동안의 업무수행 등을 토대로 회사가 바른 방향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객관적인 시각에서 회사의 경영활동을 감시하는 등 감사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적합한 인물로 판단되어 추천함. |
확인서
감사후보 확인서-1 |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 | 해당사항 없음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 1 조 (상호) 본 회사는 「컨버즈 주식회사」라 칭하고, 영문으로는 | 제 1 조 (상호) 본 회사는 「주식회사 주성코퍼레이션」이라 칭하고, 영문으로는 | - 사명 변경 |
제 2 조 (목적) 이 회사는 다음의 사업을 영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1. 각종 지류의 제조, 가공 및 판매업 1. 2차전지 및 장비 제조업 1. 2차전지 및 2차전지 소재의 제조 및 판매업 1. 2차전지 부품 및 모듈 제조, 조립 및 판매업 1. 자동차용 및 에너지 저장용 배터리의 개발, 제조, 판매 및 관련 부가사업 1. 바이오 제약 연구개발, 임상, 제조, 유통, 판매사업 및 관련 컨설팅업 1. 의약품 개발, 제조, 판매업 1. 의약품의 인허가, 품질검사 , 임상실험, 제조용역 위탁업 1. 신약 및 정밀화학 관련기술 기술판매, 기술자문 및 수탁업 1. 신약특허 기술이전 및 이에 따른 로열티 획득 사업 1. 신약 연구개발 및 제조 판매업 1. 의료용백신 및 치료제사업 1. 병원체 감염방지 시스템구축, 관리 및 판매 1. 전자상거래 및 관련 서비스업 1. 전자통신기계기구 및 관련기기와 그 부품의 제작, 판매업 1. 광통신기계기구 및 관련기기와 그 부품의 제작, 판매업 1. 정보통신 기술개발 및 제조, 판매 , 서비스업 1. 보안솔루션 제품의 개발, 제조 및 판매업 1. 보안컨설팅 및 서비스업 1. 정보화실현을 위한 시스템의 기획, 개발, 구축, 유지보수업 1. 부동산매매 및 임대업 1. 대부업 1. 인삼류 제조, 판매 및 수출입업 1. 홍삼의 제조, 판매 및 수출입업 1. 사료 제조, 판매업 1. 폐전지류 분해, 재가공, 판매 및 수출입업 1. 캠핑트레일러, 캠핑카 및 모빌홈 제작, 수출입, 도소매 및 임대업 1. 위 각 호에 관련된 제품의 도소매업 1. 위 각 호에 관련된 수출입업 및 대행업 등 부대사업 일체 | 제 2 조 (목적) 이 회사는 다음의 사업을 영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1. 각종 지류의 제조, 가공 및 판매업 1. 2차전지 및 장비 제조업 1. 2차전지 및 2차전지 소재의 제조 및 판매업 1. 2차전지 부품 및 모듈 제조, 조립 및 판매업 1. 자동차용 및 에너지 저장용 배터리의 개발, 제조, 판매 및 관련 부가사업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 전자상거래 및 관련 서비스업 1. 전자통신기계기구 및 관련기기와 그 부품의 제작, 판매업 1. 광통신기계기구 및 관련기기와 그 부품의 제작, 판매업 1. 정보통신 기술개발 및 제조, 판매 , 서비스업 1. 보안솔루션 제품의 개발, 제조 및 판매업 1. 보안컨설팅 및 서비스업 1. 정보화실현을 위한 시스템의 기획, 개발, 구축, 유지보수업 1. 부동산매매 및 임대업 1. 대부업 1. 인삼류 제조, 판매 및 수출입업 1. 홍삼의 제조, 판매 및 수출입업 1. 사료 제조, 판매업 1. 폐전지류 분해, 재가공, 판매 및 수출입업 1. 캠핑트레일러, 캠핑카 및 모빌홈 제작, 수출입, 도소매 및 임대업 1. 프로그램(물류시스템) 개발 1. 복합운송 주선업 1, 해운 항공화물 대리점업 1. 창고, 포장업 1. 해상운송 주선, 콘테이너 운송업 1. 무역(의류, 기계, 공구, 일반잡화) 1. 원자재 판매 및 수출입업 1. 자동차용품 제조 및 판매업 1. 위 각 호에 관련된 제품의 도소매업 1. 위 각 호에 관련된 수출입업 및 대행업 등 부대사업 일체 | - 사업목적 삭제 및 추가 |
| 부 칙 제 1 조 (시행일) 본 정관은 2023년 11월 2일부터 시행한다. |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2023년 03월 20일 |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 상법시행령 제31조(주주총회의 소집공고) 제4항 제4호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2022년) 및 감사보고서(2022년)는 주주총회 개최 1주 전까지 회사 홈페이지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 홈페이지 주소 : http://www.conbuzz.co.kr/
※ 코로나바이러스 19 관련 안내사항 코로나바이러스의 확산에 따라, 코로나19 의 감염 및 전파를 예방하기 위하여 주주총회장 입구에서 주주님들의 체온 측정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때 발열(37.5℃이상) 또는 기타 감염 의심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입장을 제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또한 감염병 예방을 위해 주주총회에 참석시 마스크 착용을 권장하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1018000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