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4-05-09 17:18: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509000551
2024년 05월 09일 | ||
회 사 명 : | (주)트루윈 | |
대 표 이 사 : | 남용현, 박찬영 | |
본 점 소 재 지 : | 대전광역시 유성구 엑스포로385 | |
(전 화)042-612-5000 | ||
(홈페이지) http://www.truwin.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본부장 | (성 명)신성국 |
(전 화)042-612-5000 | ||
(임시주주총회)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우리 회사는 정관 제20조에 의하여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상법 제542조의4 및 정관 22조에 의거하여 발행주식총수의 1%이하 소액주주에 대하여는 이 공고로 소집통지에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일시 : 2024년 05월 24일(금) 오전 10시
2. 장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엑스포로385 본관 대강당
3. 회의 목적사항
가. 부의안건
제 1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사명변경, 사업목적 추가 외)
제 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제2-1호 의안 : 사외이사 김태성 선임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당사의 금번 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 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 참석장에 의거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만 인정됨)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 날인,인감증명서), 신분증
7. 기타사항
- 별도의 기념품은 지급하지 않습니다.
2024년 05월 09일
주식회사 트루윈 대표이사 남용현, 박찬영 (직인생략)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배재우 (출석률: 91%) | 황일남 (출석률 : 67% ) | |||
찬 반 여 부 | 찬 반 여 부 | |||
1 | 2024.01.02 | 제1호의안 : 금전소비대차 기존대여계약 만기변경의 건 | 찬성 | - |
2 | 2024.01.05 | 제1호의안 : 유상증자(소액공모 제3자배정) 정정의 건 | 찬성 | - |
3 | 2024.01.12 | 제1호의안 : 유상증자 신주발행 제2호의안 : 임시주총 일정변경의 건 | 찬성 찬성 | - |
4 | 2024.01.15 | 제1호의안 : 대출연장의 건 | - | - |
5 | 2024.01.31 | 제1호의안 :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 찬성 | - |
6 | 2024.02.07 | 제1호의안 : 12CB 전환사채 발행조건 변경 계약 건 | 찬성 | - |
7 | 2024.02.14 | 제1호의안 : 유상증자 신주발행 일정변경(2차) | 찬성 | - |
8 | 2024.02.15 | 제1호의안 : 대표이사 선임의 건 | 찬성 | - |
9 | 2024.02.27 | 제1호의안 :금전소비대차계약의 건 | 찬성 | - |
10 | 2024.02.28 | 제1호의안 : 2023FY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찬성 | - |
11 | 2024.03.08 | 제1호의안 : 유상증자 신주발행 정정 건 제2호의안 : 전자투표제도 도입의 건 | 찬성 찬성 | - |
12 | 2024.03.13 | 제1호의안 : 제18기 정기주주총회 개최 제2호의안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 - | 찬성 찬성 |
13 | 2024.03.15 | 제1호의안 : 타법인 출자 및 출자증권 취득 결정의 건 제2호의안 : 금전소비대차계약의 건 | - | 찬성 찬성 |
14 | 2024.03.19 | 제1호의안 : 유상증자 신주발행의 건 | - | 찬성 |
15 | 2024.04.19 | 제1호의안 : 임시주주총회 개최의 건 제2호의안 : 금전소비대차 계약의 건 | - | 찬성 찬성 |
16 | 2024.04.23 | 제1호의안 : 금융상품(RP) 가입의 건 | - | 찬성 |
17 | 2024.05.02 | 제1호의안 : 금전대여의 건 제2호의안 : 제14회차 전환사채 만기 전 사채취득 건 | - | 반대 찬성 |
주1) 배재우 사외이사는 2024.03.08 일신상의 사유로 자진사임하였습니다.
주2) 황일남 사외이사는 2024.02.15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신규선임되었습니다.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1 | 1,000 | 6 | 6 | - |
주) 배재우 사외이사는 2024.03.08 일신상의 사유로 자진사임하였으며, 보수현황 내역에서 제외하였습니다.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관계회사 지분취득 | 한화인텔리전스 주식회사 (관계회사) | 2024.03.15 | 30 | 2.88 |
※ 비율산정은 2023년 자산총액 기준으로 1% 이상인 거래에 대해 기재함
- 거래기준 : 최근 사업연도(2023년) 자산총액(\104,302,926천원)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가. 업계의 현황
당사는 센서전문기업으로서 인쇄전자기술, 전자기응용기술, 열영상 적외선 기술 등을 보유하여 엑셀, 브레이크 페달 센서, 적외선 열영상 센서 및 모듈 등을 개발, 제조 및 공급하는 업체입니다. 자동차(자율주행차 및 친환경차 HEV/EV)에 적용되는 APS (Accelrator Pedal Sensor), BPS(Brake Pedal Sensor), SLS(Stop Lamp Switch)를 자동차 1차 Vendor를 고객으로 공급 중에 있으며, 적외선 열영상 센서 및 카메라의 수요시장 증가로 공급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1) 산업의특성
(가) 센서산업
센서란 대상에서 물리, 화학 및 바이오 정보를 감지ㆍ취득하여 관측자가 시스템에서 읽을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는 정보 소자를 의미합니다. 현재 거의 모든 산업에서 다양한 종류의 변위량을 계측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지능화된 스마트센서가 인터넷과 연결되어 IoT센서로 발전하고 있고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신산업에서 데이터를 획득하여 전송하는 핵심부품입니다. 센서의 종류로는 이미지센서, 압력센서, 가속센서, 온도센서, 유압센서 등이 존재하며, 센서 적용 사례로는 흔히 볼 수 있는 수온온도계, 전압계, 유압계, 자동차 속도계부터 닌텐도게임기, 스마트폰, 경비시스템, 에어백 등이 있습니다.
최초 센서는 개별 단위 센서부를 구성하는 소자/소재형 센서로 사용이 되다가 1975년대부터 비약적 발전을 이루며 1990년대에 반도체, 나노, MEMS (Micro Electromechanical System, 초소형전자기계시스템) 기술이 도입되면서 소형화됐으며, 2012년 이후 Micro Controller Unit(MCU)이 센서에 내장되면서 제어, 판단, 저장, 통신 기능을 갖춘 스마트 센서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현재 센서는 단일센서 모듈 → 복합센서 모듈 → One-chip화 복합센서로 융복합 지능화 추세의 센서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센서 발전 과정】 |
|
출처) | 지식경제부 보도자료, 2012.12.15 |
센서산업은 칩, 패키지, 모듈, 시스템의 단계를 거쳐 대부분의 산업에 활용되고 있으며, 차세대 성장산업, 수출유망 부품산업, 선진국 주도형산업, 첨단지식 산업 등의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타 산업과의 융복합을 통해 기존의 가치를 획기적으로 증대시키는 가치 향상산업이며, 미래 유망산업인 스마트기기, 미래자동차, 스마트공장, 로봇, 드론 등의 핵심부품으로 적용되는 차세대 신산업의 필수 요소이므로 전후방 효과가 큰 기반산업입니다.
또한 첨단기술 집약적 부품산업으로 IT 융합 완성제품의 기능과 성능을 좌우하고 4차산업혁명을 위한 빅데이터, 인공지능, 자율주행, 블록체인 등에 사용이 되어지는 첨단 지식 산업입니다. 이처럼 센서는 융합의 핵심매개체로서 부품 또는 모듈로 내재화되어 타산업의 제품, 서비스 및 공정을 혁신하거나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센서 산업의 특성】 |
|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2018), 센서산업분야 2018년 산업기술 R&BD전략 |
(나) 자동차용 센서산업
세계 각국의 교통 안전 법규와 환경 규제 정책 강화, 자동차의 안전성 향상에 대한 보험업계의 압력 등으로 인하여 자동차의 성능 기준은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과거와 같은 기계적 시스템 구현 방식을 통해서는 자동차의 기능을 추가하거나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이러한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 만든 것이 바로 다양한 전자장치이며, 그 핵심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자동차용 센서입니다.
자동차용 센서는 1971년 세계 최초로 미국 인텔사가 4비트 마이크로컴퓨터의 상용화 개발 성공을 바탕으로 인간이 조작하던 일들을 보조하는 역할은 물론 인간이 추구하는 친환경적 요소까지도 전자제어장치 기술의 접목을 통해 가능하게 되면서 그 적용이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마이크로컴퓨터의 급속한 발달은 자동차의 성능 향상은 물론 편의성과 안전성, 친환경성 등을 현실로 실현하는 혁신적 계기로 인간의 꿈을 실현해 나가게 되면서 자동차 전자제어 시스템 또한 많은 발전을 가져오게 되었습니다.
【대표적인 자동차 센서의 예】 |
| ||
출처)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자동차용 센서 기술동향" |
자동차용 센서는 안전과 직결되므로 높은 신뢰성과 내부 환경성이 중요합니다. 자동차 내부에서 발생하는 유동적인 온도 변화며, 차량이 속도를 냈을 때의 가속 환경, 이러한 차량에 있는 다양한 센서가 사람의 안전과 직결되기 때문에 높은 정밀도와 신뢰성을 갖추어야 합니다.
자동차용 센서의 경우 가정용, 공업용, 항공기용과 달리 그 요구가 까다로우며,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는 센서 디바이스가 차량에 탑재되어 각종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자동차용 센서는 그 원리나 구조 면에서 다른 센서와 큰 차이는 없으나 소형, 경량, 저가격, 그리고 매우 높은 신뢰성이 동시에 요구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적용분야에따른센서비교】 |
구 분 | 자동차용 | 가전기기용 | 산업용 | 항공기용 |
정확성 | 1~5% | 5~20% | 0.1~1% | 0.1~1% |
온도범위 | -40~120도 | -10~50도 | 0~60도 | -55~70도 |
진동 | 2~25g | 1~5g | 0~5g | 0.5~10g |
파워변동 | +/-50% | +/-10% | +/-10% | +/-10% |
EMC | 대 | 소 | 중 | 소 |
가격($) | 1~10 | 1~10 | 10~100 | 100~1000 |
위 표에서 비교한 바와 같이 자동차용 센서는 이용되는 환경이 매우 열악하여 요구되는 정밀도는 다소 높은 수준이며 동작 온도 범위가 넓게 형성되어 있습니다. 그에 비해 가격 저감 요구가 높으며 10~15년 이상의 내구성이 요구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다) 적외선 열영상 센서 및 카메라 모듈 산업
적외선 열영상 센서는 물체에서 방사되는 적외선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검출하는 장치로, 보편화 되어 있는 가시광 영상 센서는 야간 동작, 연기 등 가시광이 차단되면 영상 획득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나, 적외선 열영상 센서는 물체의 온도와 방사율의 차이에 의해 적외선 광량을 전기적 신호로 감지하여 영상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다른 광원의 도움 없이도 야간이나 가시광 영상 센서로 얻기 힘든 영상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최근 수년간 군수용 및 산업용 목적으로만 사용되던 열영상 카메라는 그 핵심요소인 적외선 열영상 센서의 소형화 기술이 개발되면서 자동차, 가정용 IT기기, 스마트폰, 의료기기 등 그 응용분야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소형화, 고품질화 제품군은 별도의 냉각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비냉각식 적외선 열영상 센서로서, 동작 원리에 따라 마이크로볼로미터, 초전형 적외선 센서, 열전대형 적외선 센서 등이 있으며, 그 중에서도 고품질 제품의 양산이 가능한 마이크로볼로미터가 최근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기존의 마이크로볼로미터가 적용된 열영상 카메라는 우수한 TCR과 낮은 노이즈 특성을 가진 바나듐 산화물 thermistor 기반의 모듈이 주를 이루었는데,바나듐 산화물의 경우 제작 공정 및 취급이 어렵고 공정단가가 높아 전체 모듈의 단가를 낮추는데 한계가 있어 아직 군수용, 산업용 이외 민수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당사의 산업 Chain】 |
후방산업 | 트루윈 | 전방산업 |
열상 센서 소재 및 부분품 (서미스터, 열전대, CMOS, 이미지 센서, Si 웨이퍼 등) | 비냉각 적외선 열상 센서 및 카메라 (마이크로볼로미터, 초전형 적외선 센서, 열전대형 적외선 센서) | 열화상 카메라, CCTV, 체열 진단기기, 자동차, 건물진단기기, 스마트홈, 스마트폰, 베이비캠 등 |
동 산업은 1960년대 이후 열영상 카메라를 구성하는 요소부품의 동작원리에 따라 세대별로 구분되어 발전되어 왔으며, 현재는 5세대 기술로서 마이크로볼로미터를 기반으로 한 적외선 열영상 센서를 적용한 제품이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미국 및 프랑스 등 상위 선도 기업이 상당 부분 점유하고 있는 특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비냉각식 적외선 열영상센서 산업은 향후 중기적으로는 전혀 다른 새로운 개념의 제품이나 대체제가 출현할 가능성보다는 고수율, 고품질, 초소형 및 초저가를 시현할 수 있는 기술과 생산의 완성도가 산업 내에서 중요한 경쟁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2009년 신종플루라고 부르는 인플루엔자 A(HIN1) 바이러스가 등장하면서 소형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의 인지도가 급속하게 높아지기 시작했으며, 최근에는 건물의 단열 진단, 중화학플랜트, 생산자동화, 식음료 프로세스 진단 분야 등 수요가 다양화되면서 시장이 점차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 적용 가능한 제품들이 출시되면서 시장의 급성장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스마트폰에 내장될 수 있을 정도로 크기가 작으면서 우수한 성능을 가진 저가형 모듈이 상용화될 경우 향후 열상 센서 모듈 시장은 모바일 시장 규모에 맞추어 급속하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어 고부가가치 기술로서 많은 기대를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
당사가 목표로 하는 시장은 열영상 카메라를 구성하는 핵심요소인 비냉각식 적외선 열영상 센서 모듈을 기반으로 하는 열영상 카메라가 1차 목표시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궁극적 목표는 적외선 열영상 센서 모듈의 스마트폰 적용으로, 주요 목표시장은 기존 차량용 센서 시장에서 벗어나 최근 급성장하는 스마트폰 및 관련 모바일 기기 시장입니다.
【비냉각식 적외선 카메라(IR Camera) 시장 및 스마트폰용 시장의 위치】 |
| ||
비냉각식 적외선 카메라(ir camera) 시장 및 스마트폰용 시장의 위치 |
( Source : Yole Developpment) |
당사가 영위하는 사업이 속한 시장은 2016년 기준 미국 FLIR사가 군수용 및 산업용 제품으로 글로벌 시장의 64.2%를 점유하고, 프랑스 ULIS사가 민수용 제품을 주력사업으로 하여 글로벌 시장의 16.7%를 점유하여 상위 1, 2위 업체가 높은 시장 점유를 차지하고 있는 독점 시장 형태의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편, 국내의 열화상 카메라 및 센서 관련 업체로는 대표적으로 아이쓰리시스템(주), (주)유우일렉트로닉스가 있는데, 아이쓰리시스템(주)은 군수용 냉각형 제품을 주력으로 생산하며 비냉각형 민수형 제품은 수요에 맞추어 소량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주)유우일렉트로닉스는 한국광기술원과 공동연구를 통해 MEMS 기반의 열상 센서를 개발하여 민수용 제품에 적용가능한 모듈을 생산, 판매하고 있습니다.
【비냉각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 글로벌 업체별 시장 점유율】 |
| ||
비냉각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 글로벌 업체별 시장 점유율(2016년 기준) |
( Source : Yole Developpment) |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현재 열화상 카메라 및 비냉각식 적외선 열상 센서는 미국 FLIR와 프랑스 ULIS 등 상위 선도업체들에 의해 독점형태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나, 당사가 궁극적으로 주력으로 하고자 하는 스마트폰 내장용 적외선 열상센서 모듈 제품은 최근 수요가 증가하기 시작한 미개척 시장으로 여타의 경쟁기업 및 경쟁제품이 다수 참여 가능한 상태에서 선도 기업들이 시장을 분할하는 중간 정도의 경쟁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가) 센서시장
글로벌 센서 시장 규모는 2022년 2,048억 달러로 평가 되었으며, 2023년 부터 2032년까지 CAGR 8.40% 성장하여 2032년에는 약 5,086억 4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세계 센서 시장규모】 |
|
(출처 : precedence research) |
센서 시장은 감시 카메라, 가전제품 , 실내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비디오 게임의 고정밀 모션 센서에 대한 수요 증가, 친환경 에너지 기술 채택 증가 등 여러 요인으로인해 확대되고 있으며, 신제품 연구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시장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현재 센서는 자동차산업과 장치산업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모바일 등 소비재 산업 및 의료산업에 적용되는 센서 비중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나) 자동차용 센서
자동차 분야 세계 센서시장은 2020년에 245억 달러에서 2025년에는 403억불로 연평균 10.5% 성장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자동차와 센서기술의 조합으로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어 앞으로 시장규모가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 ||
출처 : Marketsandmarkets, Automotive Sensor Market, 2020 |
그 중 우리나라의 자동차용 센서 시장은 2020년 8억 8,400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9.5%로 증가하여, 2025년에는 13억 9,3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자동차에서 센서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는 이유로, 첫번째는 환경오염 방지를 위한 자동차 배기가스, 유한한 지구 자원의 효율적 사용을 위한 연료 경제성 및 승객 보호를 위한 안전 등에 대한 범국가적 차원에서의 법적규제강화이고, 두번째는 소비자의 경제력 향상으로 자동차의 품질, 신뢰성 , 편의성 및 안전성에 대한 욕구 증대이고, 세번째는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고성능 저비용 시스템의 개발에 의한 용이한 접근성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 ||
자동차 1대당 적용되는 센서 수 |
자동차의 전장화 추세에 따라 자동차에 탑재되는 센서의 종류가 증가하고 있으며 스마트카를 구현하는 시스템 분야의 센서 산업이 더욱 크게 성장할 전망입니다. 글로벌 자동차 부품업체들은 미세전자 초소형 센서인 MEMS 센서를 개발 및 판매중이며 현재 자동차 등에서 기계식 센서를 대체하며 적용 범위를 확대하고 있고, 향후 스마트카 등의 차세대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크게 성장할 전망입니다.
【글로벌 자동차 부품구조 변화 전망】 |
|
(출처 : IHS Markit) |
(다) 적외선 열영상 센서 및 카메라 모듈 산업
현재 전 세계 열영상센서 시장은 2018년 43억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CAGR) 7%로 증가하여, 2024년에는 73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2018년을 기준으로 군수용(32%), 열화상(25%)목적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전장 및 자율 분야가 CAGR 23% 수준으로 향후 급격한 규모 성장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열영상 센서 시장 규모 및 전망】 |
| ||
|
(자료 : Thermal Images and detectors, Yole Developpment, 2019) |
3) 경기 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센서는 모든 산업에 응용되는 핵심 부품으로 전후방 산업은 물론 여타 산업에 대한 파급효과가 매우 큰 분야로 산업의 자동화, 정보화, 첨단화에 기여함으로써 차세대 핵심 사업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센서산업은 다양한 분야의 융합 기술로 빠른 기술혁신과 고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차세대 핵심 기술이므로 향후 자동차, 정보통신, 의료, 환경, 항공우주 등의 연관 분야의 경기변동에 연동되는 특성을 보입니다.
자동차의 범주로 좁혀 보자면, 자동차 산업은 경기변동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적정수준의 생산규모를 유지하고 생산원가를 절감시켜야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규모의 경제' 효과가 매우 뚜렷이 나타납니다. 따라서, 호황기의 자동차산업은 경기를 더욱 일으켜 세우는 촉매제 역할을 하나, 불황기에는 투자비와 개발비의 부담 때문에 다소 위축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자동차 수요는 경기침체가 지속되는 경우 구매력 감소와 더불어 소형차 중심의 구매패턴을 보이는 반면, 경기 회복기에는 보유차량의 가격을 연간 소득의 일정비율에 맞추어 구매하는 패턴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경제성장률, 실질구매력의 증감 및 국제유가 동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경기침체에 따른 자산가치 하락, 가계부채 증가등에 기인한 소비심리 위축과 고용불안정, 고유가의 지속으로 인한 유지비 부담 증가등은 자동차판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반대로 경기회복시에는 소득증가에 따른 소비심리 회복과 고용증가, 국내유가 안정 등의 긍정적인 요인으로 판매확대의 경향을 보입니다. 이외에도 차량구매 및 유지비용, 수입차의 시장점유율, 신차효과 등도 자동차 내수판매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4) 경쟁요소
자동차용 센서 시장은 각 분야별로 Bosch, Continental, Denso 등 선진부품업체들이 독과점하고 있는 시장입니다. 이는 선진업체들이 원천 기술에 대한 특허권을 장악하고 있어서 신규업체의 진입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최근 자동차용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선진업체의 R&D, 생산 등에 대한 투자가 확대되고 있어서 후발업체와의 격차는 더욱 벌어질 전망입니다.
글로벌 자동차용 센서 시장의 주요 기업 현황 | ||
| ||
출처 : MarketsandMarkets, Automotive Sensors Market, 2020 |
당사가 생산중인 자동차용 센서는 완성차업체에 공급되는 모듈의 부품이며, 일반적으로 2차 협력사가 센서를 생산하여 1차 협력사에게 공급한 후, 1차 협력사가 제조하는 모듈에 센서를 부착하여 완성차업체에 공급되는 형태를 지니고 있습니다. 해외 글로벌 업체(Bosch, Hella 등)의 경우 1~2차 구분 없이 자체적으로 센서를 생산하여 모듈에 부착한 후 완성차업체에 공급 중에 있습니다. 관련 센서들은 최근 전자식 방식의 제품 공급이 확대되고 있으며 당사와 Hella 등은 Inductive 방식의 센서기술을 확보하였고 Bosch 및 Denso 등은 Hall IC 방식의 전자식 센서기술을 확보하였습니다. 국내 자동차부품업체 중 센서를 직접 생산하는 곳은 전무하며, 해외업체들은 센서 및 모듈을 자체 생산하고 있어 당사의 경쟁회사로서 경쟁구조상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세계 센서산업은 BOSCH, NOVASENSOR, HONEYWELL, FREESCALE, ANALOG DEVICE 등 글로벌 기업들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센서산업은 자동차용 센서, 의료용 센서, 항공/군수용 센서, 민간용 센서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 분야별로 약 15~40개 이상의 글로벌 기업이 R&D 및 생산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당사가 주력하고 있는 자동차용 센서산업의 경우 약 40여개의 글로벌 기업이 R&D 및 생산에 참여하고 있으며, 가격, 신뢰성, 정밀도 등의 경쟁요소를 통해 BOSCH, ANALOG DEVICE, BEI TECH 등의 글로벌 기업이 전세계 시장의 과반수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주요 센서별 제작업체 및 응용분야】 |
구 분 | 해외업체 | 국내업체 | 응용분야 | |
물리센서 | 압력 | 모토로라, 덴소, 보쉬, 델파이, 인피니언, TI | KEC, 캐피코, 트루윈 | 자동차, 의료, 자동화공정, 가정/사무기기, 모바일기기 |
가속도 | ANALOG DEVICE, 보쉬, 덴소, 모토로라, TI, VTI | 현대오토넷, 케피코, 마이크로인피니티, SML전자, 트루윈 | 자동차, 자동화공정, 가정/사무 | |
각속도 | 보쉬, SILICON SENSING SYSTEM, 파나소닉, 지멘스 | 현대오토넷, 케피코, 마이크로인피니티, SML전자, 트루윈 | 자동차, 자동화공정, 가정/사무 | |
토크 | 보쉬, BI TECH, TRW, SSI TECH, 발레오, HELLA, KOYO, NSK, 소와 | 대성전기, LG이노텍, 트루윈 | 자동차, 자동화공정, 가정/사무 | |
레벨 | HELLA, AISHIN, WABCO | 현대오토넷, 트루윈 | 자동차, 자동화공정, 가정/사무 | |
유량/유속 | INTELLIGENT CONTROL, MCMILLAN, NAMCO CONTROLS, HANATEK | 아이에스텍, 두온시스템 | 자동차, 자동화공정, 의료, 환경 | |
온도 | SENSIVISION, KAMSTRUP, AUXITROL, TEMPERATURE SPECIALIST | 오토닉스, GE써모텍, 써머텍, SY하이텍 | 자동차, 의료, 환경, 자동화공정, 가정/사무 | |
습도 | SENSIVISION, ABLE INSTRUMENT&CONTROL | SY하이텍 | 자동차, 의료, 환경, 자동화공정, 가정/사무 | |
광 | GEMS SENSORS, ENDRICH, MIKOELEKTRONIC | 고덴시, KEC | 의료, 환경, 자동화공정, 가정/사무, 보안 | |
이미지 | AGILENT, OMNIVISON, TOSHIBA, SHARP, SONY, KODAK, MICRON, MASTUSITA, NIKON, MISTUBISHI | 삼성전자, 마그나칩, 한성엘컴텍, 트루윈 | 자동차, 의료, 환경, 자동화공정, 가정/사무, 보안, 모바일기기 | |
화학센서 | 가스 | FIGARO, FIS, NEMOTO, RIKEN KEIKI, MONOX | 오토전자, 신우전자, 한국가스기기, 세주실업, 센텍코리아 | 자동차, 의료, 환경, 자동화공정, 가정/사무, 보안, 모바일기기 |
바이오센서 | 혈당센서 | 산쿄제약, SONTRA, MEDICAL | 아이센스, 올메디쿠스 | 의료, 바이오 |
단백질센서 | CIPHERGEN, GENOME SOLUTIONS | 프로테오젠, 파나진, 바이오메드포토닉스 | 환경, 의료, 보안, 바이오 | |
DNA센서 | AFFYMETRICS, 캐피털바이오, CALIPER TECHNOLOGIES | 굿젠, 네오딘, 디스진, 마크로젠 | 환경, 의료, 보안, 바이오 | |
세포칩 | 마쯔시타전기, CEPHIED, APPLIED BIOSYSTEMS | 제노프라 | 가정/사무, 환경, 의료, 바이오 |
출처) | 이대성(2010.11), “IT 융합을위한지능형센서산업동향”, 트루윈 |
세계 자동차부품산업은 2008년~2009년 경제위기 이후 기술력 등 핵심역량을 보유한 전문화와 인수합병이나 전략적 제휴 등에 의한 대형화를 통해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국내외 완성차업체는 세계 자동차산업의 구조조정이 완료된 후 기술력 등 핵심역량을 보유하고, 규모의 경제로 비용절감이 가능한 부품업체와의 협력을 강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자동차 부품업체는 완성차 제조사에 차종별로 품질과 기술력, 시설 등에 관한 검증을받고 견적을 제출하여 수주를 받는 형태로 납품하고 있습니다. 신차가 출시되어 양산될 때까지는 제품기획, 제품설계 및 개발, 공정준비 및 확인, 부품지원 및 품질확보의단계를 거치며 엄격한 품질검사와 성능테스트 등의 긴 과정이 2년여 걸리는 것이 보통입니다. 따라서 신차종, 신기술에 대한 대응능력이 요구되며, 원가경쟁력, 불량률 감소 등이 중요한 경쟁요소가 됩니다. 또한 모든 부품을 별도로 생산, 조립하는 기존 방식과는 달리 연관성이 높은 부품을 함께 묶어 한 덩어리로 제작, 완성차 제조사에 공급하는 자동차 부품의 모듈화가 진행되면서 자동차의 부품수가 현저히 줄어드는 추세이므로 부품의 모듈화 능력이 중요한 경쟁요소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세계 자동차부품업체 순위(2023년 매출액 기준)】 |
(단위: 억달러) |
순위 | 업체명 | 국적 | 매출액 | 주요 부품 |
1 | 로버트 보쉬 | 독일 | 504 | 엔진시스템, 샤시, 전장 부품 |
2 | 덴소 | 일본 | 479 | 파워트레인제어시스템, 공조, 전장 부품 |
3 | ZF 프리드리히스하펜 | 독일 | 421 | 변속기, 조향장치, 서스펜션, 구동부품 |
4 | 마그나 | 캐나다 | 378 | 파워트레인, 내외장, 차체, 샤시 부품 |
5 | 닝더스다이(CATL) | 중국 | 335 | 차량용 전원배터리시스템, 전장 부품 |
6 | 현대모비스 | 대한민국 | 322 | 샤시, 칵핏모듈, 브레이크, 조향, 안전부품 |
7 | 아이신 세이키 | 일본 | 312 | 변속기, 엔진부품, 차체, 샤시 부품 |
8 | 포비아 | 프랑스 | 268 | 시트, 칵핏모듈, 도어판넬, 내장 부품 |
9 | 컨티넨탈 | 독일 | 254 | 타이어, 샤시, 전장, 시트 부품 |
10 | 리어 | 미국 | 208 | 변속기, 조향장치, 서스펜션, 구동부품 |
16 | 삼성SDI | 대한민국 | 156 | 전기차용 배터리, 전장부품 |
35 | 현대트랜시스 | 대한민국 | 84 | 브레이크, 스티어링, 서스펜션 시스템 |
41 | 한온시스템 | 대한민국 | 67 | 자동차용 공조시스템 |
43 | 현대위아 | 대한민국 | 61 | 샤프트, 엔진, 트렌스미션, 체시스 |
44 | SK온 | 대한민국 | 60 | 전기차용 배터리, 전장부품 |
46 | HL만도 | 대한민국 | 58 | 제동, 조향, 현가장치, 모듈 등 |
73 | SL | 대한민국 | 31 | 조향장치, 현가장치 |
87 | 유라코퍼레이션 | 대한민국 | 22 | 자동차 점화장치, 모듈 등 |
91 | 서연이화 | 대한민국 | 21 | 조향장치, 현가장치 |
100 | 현대케피코 | 대한민국 | 17 | 전자제어시스템 |
출처) | 오토모티브뉴스 글로벌 100대부품사(2023 Top Suppliers) |
완성차 납품 매출액 기준 세계 100대 부품회사들을 국적별로 살펴보면 국내업체의 경우 2008년 현대모비스와 HL만도 2개 업체에 불과했습니다. 하지만 2009년에는 현대모비스(12위), HL만도(61위)와 함께 현대위아(65위)가 100위 이내에 신규 진입하였으며, 2022년 매출액 기준으로는 현대모비스(6위), 삼성SDI(16위), 현대트랜시스(35위), 한온시스템(41위), 현대위아(43위), SK온(44위), HL만도(46위), 에스엘(73위), 유라코퍼레이션(87위), 서연이화(91위), 현대케피코(100위)로 11개 국내업체가 세계 100대 부품회사에 이름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현대모비스와 HL만도, 현대위아, 현대트랜시스가 세계 100대 부품회사 내에 선정된 이유는 국내 현대자동차그룹이라는 안정적인 매출처를 확보하고 있고 한국 내 업체들의 기술력이 세계적으로 인정받게 됨에 따라 해외유수의 자동차업체에 납품을 확대하게 되면서 성장성과 경영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한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현대차 그룹 외 삼성SDI, SK온은 전기차용 배터리 사업을 영위하며 빠르게 입지를 넓혀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까지 상위 10위권내 회사들의 대부분은 미국, 일본, 프랑스 그리고 독일 등 4개국의 부품업체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매출액 규모면에서는 여전히 선진국과의 격차가 존재합니다.
한편, 비냉각 적외선 열영상 센서 시장을 살펴보면, 2016년 기준 미국 FLIR사가 군수용 및 산업용 제품으로 글로벌 시장의 64.2%를 점유하고, 프랑스 ULIS사가 민수용 제품을 주력사업으로 하여 글로벌 시장의 16.7%를 점유하여 상위 1,2 업체가 강한 지배력으로 선도하는 독점시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장 구조는 지난 수십 년간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온 바, 현재 스마트폰 탑재용 적외선 열상 센서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이나 기존 상위 업체들의 브랜드 파워가 확고한 입지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시장의 경쟁 정도의 변화는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동 기술의 목표시장은 FLIR, ULIS 등 기존 상위 1,2위 선도업체가 주도하는 독점적 성격을 가지고 있으나, 기존 제품군이 아닌 스마트폰 내장형 모듈의 경우 기존 선도업체들도 아직 완전히 진입하지 못한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을 감안할때 여타의 경쟁기업 및 경쟁제품이 다수 참여 가능한 상태에서 선도 기업들이 시장을 분할하는 중간 정도의 경쟁구도를 이루고 있다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당사가 CMOS 양산 Foundry 공정에 적용 가능한 고수율, 초소형, 초저가 적외선 센서 모듈에 대한 독자적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상용화에 성공한 이후 시장 진입 시 영업이익률은 업종 평균보다 높은 수준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센서전문기업으로서 인쇄전자기술, 전자기응용기술, 열영상 적외선 기술 등을 보유하여 엑셀, 브레이크 페달 센서, 적외선 열영상 센서 및 모듈 등을 개발, 제조 및 공급하는 업체입니다. 자동차(자율주행차 및 친환경차 HEV/EV)에 적용되는 APS (Accelrator Pedal Sensor), BPS(Brake Pedal Sensor), SLS(Stop Lamp Switch)를 자동차 1차 Vendor를 고객으로 공급 중에 있으며, 적외선 열영상 센서 및 카메라의 수요시장 증가로 공급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당기 영업상황으로 주력 매출 품목인 자동차용 센서는 자동차 시장의 전기차 및 친환경차량의 공급 증가로 인하여 당사 ITEM 중 BPS, SLS 등의 매출이 확대 되었으며, 지속적 성장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또한 한화시스템과의 적외선열영상카메라(퀀텀레드미니) 135억원 규모의 공급계약을 체결하였으며, 협업을 통한 제품 라인업을 구축하여 핵심부품인 열화상 센서, 카메라 모듈 및 이와 관련된 시스템을 수직화 및 계열화하고 추가 제품 개발 예정에 있습니다.
자동차용 Sensor 사업은 미래 자동차 산업이 스마트카와 그린카의 급진적 성장이 예상됨에 따라 지속적 수요가 증가 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자동차용 센서에 대하여 센서 국산화에 성공하며 글로벌 자동차 부품회사및 완성차 업체에 지속적 매출 시현 및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10년 자동차 전장화는 35% 수준에서 전장화가 가속화 중이며 향후 2030년에는 50%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세계 자동차 전장 시장은 지난 2020년부터 오는 2023년까지 매년 7.4%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의 자동차용 Sensor 사업은 안정적인 사업구조 및 기대수요를 바탕으로 꾸준한 이익이 창출될 것으로 예상되며, 뛰어난 제조역량을 기반으로 경쟁력 있는 품질과 원가 확보를 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적외선 열영상 카메라는 온도를 가지고 있는 모든 물체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이를 영상화하는 이미지 센서로써 기존 군수용(냉각형) 목적으로 활용되었던 범위에서 민수용(비냉각형) 시장의 확대에 따른 급격한 규모 성장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우수한 기술력 기반으로 생산수율을 높이고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함으로써 원가절감된 대량생산이 가능해졌으며, 현재 양산 모델을 필두로 고사양의 신규모델의 기술 개발을 추진 중입니다. 또한 군사용 및 나이트 비전용 모델을 순차적으로 기술개발 및 양산 실현 목표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한국표준산업분류표의 소분류상 자동차부품 제조업체에 해당되며 자동차 센서 부문의 사업 및 적외선 열영상 센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당사가 영위하는 센서산업의 경우 센서산업의 적용 범위가 광범위하여 센서산업 내 시장 점유율 산출이 어렵습니다.
(3) 시장의 특성
세계 센서시장은 2020년 1,939억 달러에서 2023년 3,328억 달러로 연평균 11.4% 고성장이 예상되는 사업입니다. 주요 센서의 수요처는 모바일, 자동차, 가전, 로봇, 헬스케어 등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로, 5G 상용화와 자율주행자동차의 확산이 센서산업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세계센서산업 규모 | ||
| ||
출처 : BCC REPORT 2020 |
세계 각국은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산업과 기업의 제품제조 혁신, 의료·헬스케어, 사회 인 프라의 보전 및 안전관리, 스마트 빌딩 및 홈, 수 송 등의 분야를 위한 센서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IoT) 기술을 적극 도입하고 있으며, 국가별 센서 생 산량은 미국 32%, 일본 19%, 독일 12% 순으로 2% 인 한국과 상당한 격차를 보이고 있다.
국가별 세계 센서 생산량 점유율 | ||
| ||
출처 : GIA |
이는 센서산업이 개별 품목별 독과점 구조가 강하고 신규 신입장벽이 높은 다품종 산업으로 시장규모가 큰 일본, 미국, 유럽위주의 시장으로 선제적으로 센서산업에 투자함에 따라 현재 시장점유율을 통합 70% 수준으로 과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대기업과 특정 분야 센서를 생산하는 다수 중소기업이 참여하며, 온도센싱 기술은 세계 표준으로 인정받아 이미지센서, 압력, 촉각센서 등에서 경쟁우위를 확보 하였으며, 독일의 경우 세계시장 점유율 약 20%를 차지하며 자동차용 센서 등을 중심으로 성장하였습니다.
그러나, 산업특성상 기술 진입장벽이 높은 관계로 기업들은 M&A를 통해 주로 기술력을 확보하고 모듈화하여 판매하는 전략을 선호하며, 이에 따라 대기업 위주의 시장이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중소기업의 경우 기술개발 성공 후 양산을 추진하기에는 자금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아 중소기업 위주 M&A가 다수 발생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센서 수요는 자동차와 기계 제조 증가 및 프로세스 장비 출하 성장, 모든 신규 경차에전자 안정 조절 장치와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시스템 장착과 같은 정부 규제, 그리고 프로세서 제조업체의 출하 증가에 힘입어 가속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국내 센서 내수시장 규모 | ||
| ||
출처 : 통계청 광업,제조업통계조사 보고서(품목편), 국가통계포털 ICT 수출입통계 |
국내 센서 시장 역시 2020년 117.1억 달러에서 2030년에는 656.6억 달러로 성장할 전망이며, 연평균 18.8%의 성장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국내 센서기업의 주요 생산품목은 주력산업 분야인 자동차, 모바일, 가전, 바이오산업 분야에서 압력,적외선,이미지센서 등 수요가 높은 품목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나) 자동차용 센서산업
센서 산업의 성장 속에 국내외적으로 자동차용 센서 산업 역시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 ||
출처 : Marketsandmarkets, Automotive Sensor Market, 2020 |
우리나라 자동차용 센서 시장은 2020년 8억 8,400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9.5%로 증가하여, 2025년에는 13억 9,3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나 국내 자동차 센서 시장의 경우 기술력 한계 등으로 현재까지 해외기업 의존도가 높은 상황입니다. 특히, 자율주행자동차 센서 등 핵심 부품의 해외기업 의존도가 높은 편으로, 대부분의 자동차 센서 부품을 해외기업에 의존하기 때문에 국내 기업들의 매출액 대비 R&D 비중이 낮은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 적외선 열영상 센서 및 카메라 모듈 산업
비냉각형 적외선 열영상 센서(모듈) 시장을 살펴보면, 열영상 카메라를 구성하는 핵심요소로서 열영상 카메라를 1차적인 목표시장으로 볼 수 있습니다. 적외선 열영상 카메라는 1960년대에 짙은 어둠, 안개 및 연기와 같이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환경에서 전투를 하기 위한 군사용 제품으로 도입되었으며, 1965년 송전선 검사를 위한 산업용 제품이 개발되면서 본격적으로 상용화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후 소형화의 어려움과 높은 생산단가로 인해 군수용 및 산업용의 제한된 분야에 사용되던 열영상 카메라는 지난 수십 년간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MEMS기술을 적용한 마이크로볼로미터 방식의 비냉각식 열영상 센서를 적용한 모듈이 개발되기 시작하며 민수용 시장을 본격적으로 개척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버나듐 산화막 혹은 비정질 실리콘을 Thermistor로 활용한 마이크로볼로미터는 별도의 냉각장치를 필요로하지 않고 MEMS 기술 기반 공정을 통해 소형화가 가능하며, 기존 제품대비 단가가 저렴하여 방범,보안용 CCTV, 의료용 체열진단기기, 비파괴 검사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응용성을 인정받은 바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의 성장기반 사업인 Sensor 군에서는 최근 글로벌 자동차 산업이 친환경 동력을 이용한 전기차, 수소차 등의 친환경 차량의 수요가 증가됨에 따라 SLS(Stop Lamp Switch)와 BPS(Brake Pedal Sensor)의 공급 물량의 지속적 증가가 예상됩니다.
현재 BPS제품은 1차 고객사를 중심으로 HKMC 및 해외사에 양산 공급 중이며, 금년 공급목표는 약 100만대 이상 납품 계획이며, 또한 비접촉식 램프스위치용 ASIC을 적용한 SLS(Stop Lamp Switch)의 공급이 완성차의 전기차 시장 점유율 확대 계획에 따라 점진적 확대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친환경차량에 공급되는 BPS 및 전기차용 부품으로 공급되는 SLS제품은 제네시스 전기차 'GV80'와 '아이오닉5', 기아 'EV6'에 센서 부품형태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속적으로 신규차종에 추가 공급예정이며, 주력 차종으로는 BPS의 경우 현대 '그랜저','싼타페', 기아 '스포티지' 차종과 SLS의 경우 '아반떼', '아이오닉', '니로', 아이오닉 전기차 등에 공급 중에 있습니다.
또한 해외시장에서도 미국 포드, 중국판 테슬라 '니오(NIO)' 및 베트남 빈패스트의 신형 전기차 모델 'Vfe35', 'Vfe36' 등에 공급중이며 추가 수주확보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기존 HKMC 납품 중인 APS(Accelerator Pedal Sensor)의 Hall type 방식의 센서가 추가 수주됨에 따라 제품 확대 적용을 준비 중에 있으며 2024년부터 추가 공급이 진행 예정에 있습니다.
당사는 한화시스템과 열상 모듈 및 제품 사업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한화시스템이 자체 개발한 지능형 열상엔진 퀀텀레드를 주문자 상표 부착(OEM) 방식으로 독점 생산 공급 중에 있으며, 열영상 이미지 센서를 기반으로 한 소형·저가 지능형 열상엔진 모듈 및 자율주행 열상카메라 나이트비전에 대한 공동 연구를 개발 추진할 예정입니다. 기본적으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관련 시장 및 수요의 크기 등을 고려해볼 때 향후 개발 진행상황에 따라서 매출확대가 유력시 되고 있습니다.
또한 한화시스템과의 적외선열영상카메라(퀀텀레드미니) 135억원 규모의 공급계약을 체결하였으며, 협업을 통한 제품 라인업을 구축하여 핵심부품인 열화상 센서, 카메라 모듈 및 이와 관련된 시스템을 수직화 및 계열화하고 추가 제품 개발 예정에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한화시스템의 저격용 소총 AI 열영상 조준경 사업의 '퀀텀레드' 주문자 위탁생산(OEM) 공급계약을 체결함으로써 본격적으로 방산시장 등 다양한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적외선 열영상 카메라의 핵심부품인 적외선 열영상센서의 수요 증가효과가 성장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트루윈과 한화시스템은 2021년 합작법인 '한화인텔리전스'를 설립하였으며, 시스템반도체 센서기업으로의 변모를 꾀하며 나이트비전의 핵심 부품인 IR센서와 차량용 MEMS 센서를 전문으로 개발, 생산할 예정입니다.
한화인텔리전스는 성능 테스트 등 시운전 기간을 거쳐 2024년 상반기 內 열화상 카메라의 부품인 QVGA급(Quarter Video Graphics Array, 320 x 240 픽셀 해상도) 열 영상센서부터 생산에 돌입할 예정이며, 2024년 VGA(Video Graphics Array, 640 x 320 픽셀 해 상도) 열영상 센서를 개발완료 예정에 있습니다.
한화인텔리전스는 반도체 센서 개발의 원천 기술을 보유하고, 상용CMOS 제조 공법을 통한 반도체 생산 기술을 보유한 회사로서 IR(적외선) 센서, 자동차 센서의 생산 및 MEMS 파운드리 운영을 통한 고부가가치 사업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화인텔리전스는 반도체 센서 개발의 원천 기술을 보유하고, 상용CMOS 제조 공법을 통한 반도체 생산 기술을 보유한 회사로서 IR(적외선) 센서, 자동차 센서의 생산 및 MEMS 파운드리 운영을 통한 고부가가치 사업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트루윈은 저가형 비냉각방식 IR 센서를 보안감시, 산업 안전 카메라용으로 개발 및 공급할 예정입니다.
당사는 양산체계에 돌입한 자체 브랜드인 QRM(Quantum red mini) 열화상카메라를 개발완료하였으며 '화재징후 예측 감시시스템' 사업인 트루세이퍼(TRUSafer) 사업을 확대할 예정에 있습니다.
TRUSafer 사업은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한 각종 시설 및 장비 등의 온도를 상시모니터링하고 온도변화 자체분석 AI 알고리즘을 통해 화재징후를 사전에 감지하여 화재예방을 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각종 배전시설의 과열로 인한 화재 및 2차 전지 제조공정 중의 발화 등을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사전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을 지녔습니다.
TRUSafer 사업은 현재 정부기관 및 대전광역시의 전폭적 지원을 통해 감시시스템 시장을 선점하려는 전략을 가지고 있으며, 국내 모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플랫폼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에 있습니다.
아울러 한화인텔리전스(주)와 함께 당사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반도체 One-Chip Sensor 개발완료 및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표준화된 IPS(Inductive Pressure Sensor) 개발을 통해 기존 시장 제품을 대체하고 국산화 개발을 통해 시장점유율 확대을 모색할 계획입니다.
(5) 조직도
조직도 |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1조 (상호) 이 회사는 주식회사 트루윈 이라 한다. 영문으로는 Truwin Company Limited라 표기한다. | 제1조(상호) | 상호 변경 |
제2조 (목적) 이 회사는 다음 사업을 영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1.센서제품의 제조 및 판매 2.반도체의 설계, 제조 및 판매 3.인공지능(AI)반도체 개발 , 제조 및 판매업 4.반도체 및 관련 제품의 설계, 개발, 제작, 무역 및 판매업 5.반도체 및 시스템 설계 용역, 공급업 6.반도체 및 이를 이용한 솔루션의 설계, 개발, 제작, 판매 및 용역업 7.반도체 소자 및 응용제품, 재료, 제조장비, 핵심부품의 연구개발, 제조, 판매업 8.반도체 제조를 위한 원부자재의 제조 및 판매업 9.반도체 자동화장비 제조 및 판매업 10.센서 관련 제품의 제조 및 판매 11.센서류 및 센서 네트워크, 통신 관련 전자부품 연구개발, 제조 및 판매 12.광섬유, 광소자 등 광소재 부품 제조 판매업 13.적외선, X-ray 등 영상센서 및 이를 장착한 전자제품의 개발, 제조, 판매 14.기타 자동차부품의 설계, 조립, 제조, 공급 및 자동차부품의 마케팅, 판매업 15.전기전자제품 제조 및 판매 16.전기자동차 및 자율주행자동차의 부품, 차량의 제조 및 판매 17.첨단 정보통신 관련제품 제조 및 판매 18.첨단 정보통신 및 자동차부품 관련 용역업무 19.첨단 정보통신관련 컨설턴트 20.정보통신 기술과 자동차부품 및 전동기관련 제품의 인쇄업, 출판업, 무역업 21.자동차용 센서 및 전동기 관련 제품의 제조 및 판매업 22.일반 산업용 장비의 제작 및 판매 23.산업용 전동기 관련 제품의 제조 및 판매업 24.주형 및 금형 제조 및 판매업 25.교육용 IT기기 및 콘텐츠 제작 및 판매업 26.부동산 임대업 27.부동산 개발업 28.중개무역업 29.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30.소프트웨어 자문업 31.하드웨어 유통(피시, 서버 모바일 장비) 32.전자상거래업 33.인공지능(AI) 관련 제품 및 서비스 개발 및 공급업 34.광고 대행업 35.전시행사 및 대행업 36.전시 기획업 37.자동차 부품 제조 및 수출입업 38.자동차 부품 도소매업 39.IT용 유리가공 및 판매관련 장비업 40.유선 통신장비 제조업 41.전기경보 및 신호장치 제조업 42.분사기 및 소화기 제조업 43.전투용 차량 제조업 44.기타 광학 기기 제조업 45.기타 측정, 시험, 항해, 제어, 정밀기기제조업 46.비디오 및 기타 영상 기기 제조업 및 도소매업 47.기타 직물제품 제조업 및 도소매업 48.의료용품 및 기타 의약 관련제품 제조업 및 도소매업 49.그 외 기타 의료용 기기 제조업 및 도소매업 50.전기식 진단 및 요법 기기 제조업 및 도소매업 51.기체 여과기기 제조업 및 도소매업 52.방송장비 제조업 및 도소매업 53.유선 통신장비 제조업 및 도소매업 54.기타 주변 기기 제조업 55.물질검사, 측정 및 분석 기구 제조업 56.액정 표시장치 제조업 및 도소매업 57.시스템통합구축서비스의 판매업 58.컴퓨터 및 주변장치, 영상장비와 이에 관련되는 기기 및 부품의 제조, 판매, 임대, 설치 공사 및 수리업, 기타 관련 서비스업 59.전기,정보통신 관련 통신국사 및 그 부대시설 등의 임대 60.전기 전자 부품 및 소재의 설계, 개발, 제조, 판매업 61.방화ㆍ방재 및 안전기기 제조 및 판매, 설치 및 관련 서비스업 62.열화상제품용 아이알센서 및 자동차 부품용 센서 개발, 생산 및 판매업 63.열화상 카메라 및 유사제품군과 그 부품의 개발, 제조, 판매, 수출입업 64.열화상 카메라 및 유사제품군 마케팅 65.군납물자 및 장비와 동 부품에 대한 설계, 제조, 개조, 수리, 용역 및 군납품업 66.위 각 항에 부대되는 사업일체 | 제2조 (목적) 이 회사는 다음 사업을 영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1~65. 좌동 66.딥러닝, 인공지능 하드웨어 가속 장치 개발 및 판매업 67.딥러닝,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솔루션 개발 및 판매업 68.하드웨어 솔루션 외주 개발업 69.소프트웨어 솔루션 외주 개발업 70.시스템(HW/SW) 유지 및 보수지원업 71.게임(모바일/PC) 및 관련 솔루션 개발 및 판매업 72.금융거래 관련 솔루션 개발 및 판매업 및 서비스업 73.전자제품 개발, 전자제품 제조 및 판매 74.소프트웨어의 자문, 개발, 공급 및 유지보수업 75.전기 및 전자공학 연구개발업 76.교육훈련 및 연구용역사업 77.소화용 기계·기구 등의 제조·판매업 78.금속밸브류 제조·판매업 79.소화용 혼합가스 제조·저장 및 판매업 80.수출입업 81.무역 대리점업 82.로봇, 자동화 기계, 설비 제조 및 판매업 83.위 각 항에 부대되는 사업일체 | 사업목적 추가 |
제5조(발행예정주식의 총수) 이 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는 100,000,000주로 한다 | 제5조(발행예정주식의 총수) 이 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는 500,000,000주로 한다. | 발행예정주식총수 변경 |
제10조(신주인수권) ① 현행과 같음 ② 현행과 같음 1. 현행과 같음 2.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40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조의에 따라 일반공모증자 방식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 제10조(신주인수권) ① 좌동 ② 좌동 1. 좌동 2. 발행할 주식의 총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65조의 6에 따라 일반공모증자 방식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 신주인수권 조항 중 일반공모증자 신주발행 범위 변경 |
제17조(전환사채의 발행) ① 회사는 사채의 액면총액이 1,0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음 각 호의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다만, 전환사채 발행일 기준으로 전환권의 행사로 인해 최대주주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주주총회의 보통결의를 거쳐야 한다. | 제17조(전환사채의 발행) ① 회사는 사채의 액면총액이 3,0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음 각 호의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다만, 전환사채 발행일 기준으로 전환권의 행사로 인해 최대주주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주주총회의 보통결의를 거쳐야 한다. | 전환사채 발행한도 변경 |
제18조(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① 회사는 사채의 액면총액이 1,0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정관 제17조 제1항 각호에 해당하는 경우 이사회 결의로 주주 이외의 자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다만, 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일 기준으로 신주인수권의 행사로 인해 최대주주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주주총회의 보통결의를 거쳐야 한다. | 제18조(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① 회사는 사채의 액면총액이 3,0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정관 제17조 제1항 각호에 해당하는 경우 이사회 결의로 주주 이외의 자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다만, 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일 기준으로 신주인수권의 행사로 인해 최대주주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주주총회의 보통결의를 거쳐야 한다. | 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한도 변경 |
제32조(이사의 수) 회사의 이사는 3인 이상 10명 이내로 하고, 사외이사는 이사총수의 4분의 1이상으로 할 수 있다. | 제32조(이사의 수) 회사의 이사는 7인 이하로 하고, 사외이사는 이사총수의 4분의 1이상으로 할 수 있다. | 조문정비 (이사 수 변경) |
제38조(이사회의 구성과 소집) ① 이사회는 이사로 구성한다. ② 이사회는 대표이사(사장) 또는 이사회에서 따로 정한 이사가 있을 때에는 그 이사가 회일 2일전에 각 이사 및 감사에게 통지하여 소집한다. 그러나 이사 및 감사 전원의 동의가 있을 때에는 소집절차를 생략 할 수 있다. | 제38조(이사회의 구성과 소집) ① 좌동 ② 이사회는 대표이사(사장) 또는 이사회에서 따로 정한 이사가 있을 때에는 그 이사가 회일 1일전에 각 이사 및 감사에게 통지하여 소집한다. 그러나 이사 및 감사 전원의 동의가 있을 때에는 소집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 조문정비 (통지기간 변경) |
부칙 4. (정관변경내역) 생략 이 정관은 2024년 02월 15일부터 시행한다. | 부칙 4. (정관변경내역) 생략 이 정관은 2024년 02월 15일부터 시행한다. 이 정관은 2024년 05월 24일부터 시행한다. | 개정 정관 시행일 규정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김태성 | 1971.07.20 | 사외이사 | 해당사항 없음 | -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김태성 | 교수 | 1994 | 서울대학교 기계공학 학사 졸업 | - |
1998 | U.of Minnesota 기계공학 석사 졸업 | |||
2002 | U.of Minnesota 기계공학 박사 졸업 | |||
현재 |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학술이사 | |||
현재 |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학장 | |||
현재 |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부 교수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김태성 | - | - | -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사외이사 김태성> 1. 전문성 : 본 후보자는 업무에 필요한 충분한 경험과 지식을 갖추고 있음. 이를 바탕으로 이사회에 참여함으로써 주주권익을 보호하고 회사의 지속성장과 발전에 기여하고자 함. 2. 독립성 : 본 후보자는 사외이사로서 상법 제382조 제3항 및 제542조의8 제2항을 기초로 독립적인 위치에 있어야 함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음. 이를 바탕으로 회사의 업무집행에 있어 경영진과 대주주로부터 독립적으로 의사결정할 것임. 3. 책임과 의무에 대한 인식 및 준수 : 본 후보자는 선관주의와 충실 의무, 보고 의무, 감시 의무, 상호 업무집행 감시 의무, 경업금지 의무, 자기거래 금지 의무, 기업비밀 준수의무 등 상법상 사외이사의 의무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엄수할 것임.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사외이사 김태성> 상기 후보자는 전문성과 독립성을 바탕으로 경영진과 대주주로부터 독자적으로 견제, 감시 감독 역할을 수행하며, 대안 제시를 통한 당사의 경쟁력 제고에 기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어 사외이사 후보로 추천함 |
확인서
1. 확 인 서(사외이사선임후보자)-김태성 교수님_1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 - |
- 해당사항 없습니다.
※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509000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