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임상시험결과) (KLS-2031의 요천추 신경근병증(LSR) 통증에 대한 미국 FDA 1/2a상 임상시험 중간결과) 2023-10-31 19:04: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1031900784
투자판단 관련 주요경영사항(임상시험 결과)
투자 유의사항 | - 임상시험 약물이 의약품으로 최종 허가받을 확률은 통계적으로 약 10% 수준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임상시험 및 품목허가 과정에서 기대에 상응하지 못하는 결과가 나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당사가 상업화 계획을 변경하거나 포기할 수 있는 가능성도 상존합니다. - 투자자는 수시공시 및 사업보고서 등을 통해 공시된 투자 위험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중히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 |
1. 제목 | KLS-2031의 요천추 신경근병증(LSR) 통증에 대한 미국 FDA 1/2a상 임상시험 중간결과 | |
2. 주요내용 | 1) 임상시험명칭 | 요천추 신경근병증(LSR)으로 인한 신경병증성 통증이 있는 환자들에서 경추간공 경막외 주사로 투여된 단일 상승 용량의 KLS-2031의 안전성 및 치료 효과를 평가하는 인체 대상 최초, 이중 맹검 및 위약 대조의 제 1/2a상 임상시험 (A Phase 1/2a, First-in-Human,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to Evaluate the Safety and Therapeutic Activity of Single Ascending Doses of KLS-2031 Administered by Transforaminal Epidural Injection in Patients with Neuropathic Pain from Lumbosacral Radiculopathy) |
2) 임상시험단계 | 미국 FDA 임상시험 제1/2a상 | |
3) 임상시험승인기관 | 미국 식품의약국(FDA) | |
4) 임상시험실시국가 | 미국 | |
5) 임상시험실시기관 | 미국 내 2개 병원 | |
6) 대상질환 | Lumbosacral Radiculopathy (LSR, 요천추 신경근병증)로 기인한 중등~중증 통증 (PI-NRS 4~9) | |
7) 신청일 | 2019-01-31 | |
8) 승인일 | 2019-03-08 | |
9) 등록번호 | NCT04238793 / IND: 18735 | |
10) 임상시험 목적 | 1차 목적 - 요천추 신경근병증(LSR)으로 인한 신경병증성 통증이 있는 환자들에게 단일 상승 용량의 KLS-2031을 경추간공 경막외 주사로 투여한 후 발생하는 이상 반응(AEs) 및 활력 징후, 안전성, 실험실적 검사값의 변화를 통해 안전성 및 내약성 평가 2차 목적 - 요천추 신경근병증(LSR)로 인한 신경병증성 통증이 있는 환자들에게 경추간공 경막외 주사 투여 후 발생한 이상 반응(AEs) 및 활력징후, 안전성, 실험실 검사값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단일 상승 용량의 KLS-2031에 대한 장기적 안전성과 내약성을 평가 - 경추간공 경막외 주사 투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주사 부위 반응(Injection site reactions)을 측정함으로써 경추간공 경막외 주사의 국소적 안전성과 내약성(이상 반응(AEs), 실험실적 검사, 신체 검사 등 포함)을 평가 - 요천추 신경근병증(LSR)로 인한 신경병증성 통증이 있는 환자들에게 경추간공 경막외 주사 투여되는 단일 상승 용량의 KLS-2031에 대한 진통 효과 발생시점과 지속기간을 평가 | |
11) 임상시험 방법 | 이중맹검, 위약대조, 제1/2a상 임상시험 | |
12) 1차 지표 | KLS-2031 투여 후 52주 동안 이상반응의 빈도와 특성, 실험실적 검사 결과, 활력 징후 측정, 신체 및 신경학적 검사 및 12-lead ECG를 통해 안전성과 내약성 평가 | |
13) 임상시험기간 | 2020년 4월 16일 ~ 2022년 10월 05일 | |
14) 목표 시험대상자 수 | 18명 | |
3. 시험결과 | 1) 1차 지표 통계분석방법 | - KLS-2031 용량군별 및 전체 KLS-2031 투여군에서 이상반응(치료 후 발생 이상반응(TEAEs), 중대한 이상반응(SAE), 약물 관련 이상반응(drug-related TEAEs) 및 조기 중단으로 이어지는 이상반응 등)을 경험한 대상자 수와 백분율로 평가 - KLS-2031 용량군별 및 전체 KLS-2031 투여군에 따라 실험실적 검사, 활력징후, ECG, 신체 및 신경학적 검사는 기저치 대비 변화 평가 |
2) 결과값 | 본 임상시험은 2020년 04월 16일 부터 2022년 10월 05일까지 총 62명의 대상자가 서면 동의 후 스크리닝 검사를 받았으며, 등록된 대상자는 18명 입니다. 그 중 중간결과보고서 시점에서 52주차 까지의 이중맹검 치료 기간을 완료한 대상자는 10명입니다. 등록된 대상자의 성비는 남성 10명(55.6%), 여성 8명(44.4%), 평균 연령은 52.3세이며, 인종은 백인 17명 (94.4%), 아시아인 1명이었습니다. 본 임상시험은 사람에게서 수행된 최초의 임상시험으로, 안전성과 내약성 확인을 목적으로 합니다. 중간분석 결과 52주차까지 중대한 이상반응(SAE)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치료 후 발생 이상반응(TEAEs)를 경험한 대상자 수는 총 16명(KLS-2031 저용량 투여군 2명, 중용량 투여군 4명, 고용량 투여군 4명, 위약군 6명)입니다. 그 중 약물과 관련된 치료 후 발생 이상반응(drug-related TEAEs)은 총 2명으로, KLS-2031 고용량군 1명의 대상자에서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제(alanine aminotransferase, ALT) 상승이 관찰되었으나 2주 이내에 회복되었고, 위약군 1명의 대상자가 두통과 다한증을 경험하였습니다. KLS-2031은 모든용량(저,중,고용량)에서 우수한 내약성(well-tolerated) 및 안전성(good safety)이 확인되었습니다. | |
4. 사실발생(확인)일 | 2023-10-31 | |
5. 향후계획 | - 본 보고서는 1차지표인 52주까지의 안전성 및 내약성에 대한 결과보고서입니다. 추후 총 연구기간(104주)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최종 임상시험 결과보고서 제출 예정입니다. - 당사는 KLS-2031의 투약 후 5년차까지의 장기 안전성 및 내약성 데이터 확보를 위한 장기추적시험을 진행중입니다. 향후, 후기임상 권장용량(RP2D) 선정 등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후속 임상 개발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 |
6. 기타 투자판단과 관련한 중요사항 | ||
- 상기 4. 사실발생(확인)일은 당사가 CRO로부터 중간보고서에 대한 임상시험책임자(PI)의 최종 서명이 완료된 날짜입니다. - 상기 2.7)신청일 및 2.8)승인일은 동부표준시간(EST) 기준입니다. - 본 분석은 임상시험 중간단계 분석(1차지표)으로 임상시험(1/2a상) 종료 후 진행될 최종분석에는 결과가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 본 데이터는 공시 이후 당사의 IR자료, 보도자료 및 학회 발표 자료 등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 ||
※ 관련 공시 | -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10319007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