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큐리 (10059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3-03 15:49: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03000427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 년  03월  03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머큐리
대 표 이 사 :  황 하 영
본 점 소 재 지 :  인천광역시 서구 가재울로 90 (가좌동)

 (전   화) 032-580-3114

 (홈페이지)http://www.mercury.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경영지원본부장 (성  명) 이 진 호

(전  화) 032-580-3114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23기 정기)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와 정관 제 15 조에 의거 제 23 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 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법 제542조의4 에 의거하여 발행주식총수의 1% 이하 소유주주에 대하여는 이 공고로 소집통지를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3년 3월 20일(월요일)  오전 09시 00분

2. 장    소 : 인천광역시 서구 가재울로 90 (가좌동) ㈜머큐리 2층 교육장

3. 회의 목적 사항

   가. 보고사항

1) 감사보고 

2) 영업보고

3)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나. 부의안건

1) 제 1호 의안 : 제23기 (2022년 1월 1일~2022년 12월 31일) 재무제표 승인의 건

2) 제 2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3) 제 3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우리 회사의 이번 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들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 행사할 수 있습니다.

5. 주주총회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당사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금융위원회 및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 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6.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우리회사는 상법 제368조의 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삼성증권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 시스템 인터넷 및 모바일 주소 : https://vote.samsungpop.com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3년 3월 10일 09시 ~ 2023년 3월 19일 17시

      - 기간 중 24시간 의결권 행사 가능 (단, 마지막 날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

다. 본인 인증 방법은 공동인증, 카카오페이, 휴대폰인증을 통해 주주 본인을 확인 후 의안별로 의결권 행사

라. 수정 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

7.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가. 직접행사 : 주총참석장, 신분증

나. 대리행사 : 주총참석장, 위임장 (주주와 대리인의 인적 사항 기재, 인감날인), 대리인신분증(단, 1% 이하 소액주주의 경우 주총 참석장이 서면으로 발송되지 않으므로, 주총 참석장은 지참하지 아니하셔도 되며, 신분증 또는 위임장에 기재된 인적 사항과 당사에 비치한 주주명부에 의하여 권리주주임을 확인 하겠습니다.)

8. 기타사항 : 주주총회 기념품은 지급하지 않사오니 양지하시기 바랍니다.

 

                                           2023년 3월 3일

 

                                            주식회사  머큐리

                                            대표이사  황하영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김지환
(출석률:100%)
찬 반 여 부
22-01 2022.01.20 1. 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취득 변경의 건 참석 (찬성)
22-02 2022.02.08 1. 수입신용장 개설한도 약정 체결의 건 참석 (찬성)
22-03 2022.02.11 1. 이사회규정 일부 개정 승인의 건
2. 내부회계관리규정 개정 승인의 건
3. 감사의 직무규정 제정 승인의 건
참석 (찬성)
22-04 2022.02.15 1. 제22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에 관한 건
2.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3. 전자투표제도 도입 시행 승인의 건
[보고사항]
 1.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2. 외부감사인 선임 보고
참석 (찬성)
22-05 2022.03.21 1. 대표이사 선임의 건 참석 (찬성)
22-06 2022.06.30 1. 서울사무소 이전의 건 참석 (찬성)
22-07 2022.07.01 1. 임원처우기준 변경의 건 참석 (찬성)
22-08 2022.10.04 1. B2B(전자방식 외상매출채권) 대출 한도 약정 참석 (찬성)
22-09 2022.12.16 1. 제23기 정기주주총회 기준일 설정의 건 참석 (찬성)
22-10 2022.12.20 1. 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취득 결정의 건 참석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당사는 작성기준일 현재 이사회 내의 위원회를 구성하고 있지 않습니다.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2,000 25 25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주식취득 위지트
(기타특수관계자)
2022.01.26 50 3.33
주식취득 (주)이엔코퍼레이션
(지배기업의관계기업)
2022.02.09 32 2.16
전환사채취득 (주)이엔코퍼레이션
(지배기업의관계기업)
2022.02.09 16 1.07
임차보증금 (주)제이에스아이홀딩스
(기타특수관계자)
2022.03.28 ~
2022.05.30
22 1.46

※ 상기비율은 2021년도 자산총액 기준입니다.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주식회사 파워넷

(최대주주의최대주주)

제품매입 2022.01.01 ~
2022.12.31
123 10.17

※ 상기 비율은 2021년도 매출액대비 비율임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정보통신장비산업은 음성, 데이터, 영상을 전송 및 통신하기 위한 구동장비인 통신시스템을 생산하여 주로 기간통신사업자에게 공급하는 산업으로 정보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중추적인 산업입니다. 

당사는 통신단말장비, 광케이블, 네트워크장비를 직접 개발하거나 아웃소싱하여 기간통신사업자/군 또는 MSO등 통신사업자에게 납품하고 있으며, 홈단말 선도업체 입지를 이용하여 홈 IoT디바이스를 선도하고, 네트워크 특화기술과 차세대 기술을 접목하여 ICT/IoT 통합가치를 제공하며, 광케이블을 바탕으로 턴키사업에 진입하여FTTH솔루션 제공업체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중기적으로 “IoT 통신 Device글로벌 기업”이 되는 것을 비전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통신인프라 시장은 스마트통신의 상용화등으로 모바일, 빅데이터, 클라우드, WiFi, IoT가 정보통신산업의 큰 주제를 이루며 지속적으로 견실하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정부 또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ICT 산업 체질개선 및 ICT 융합투자확대 등을 통하여 우리 ICT 산업의 성장활력 회복을 위한 신성장동력을 발굴하여 육성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통신의 확산, 5G 도입, IP TV 가입증가, 인터넷전화 사용증가로 데이터 트래픽의 폭발적 증가와 다양한 통신서비스 요구등으로 통신장비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산업의 성장성을 바탕으로 당사의 통신단말장비는 모바일 트래픽의 폭발적인증가세로 무선랜 장비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음에 따라 지속적인 연구개발투자를 통하여 새로운 AP장비를 계속적으로 개발 및 생산하여 KT, SKT, LGU+, MSO에 납품하여 국내통신사업자 AP시장에서의 절대적인 시장지배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광케이블은 스마트통신, Giga인터넷, IP TV등의 서비스 증가 및 Mobile Data급증으로 기간통신사업자들이 트래픽 해소와 고품질의 통신서비스 제공을 위해 지속적으로 통신망을 확장하는 망고도화에 투자를 늘려가고 있으므로 통신기술의 진화에따라 FTTH, 다심선 광케이블의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며, 중국, 미국,유럽 등 선진국의 광케이블 네트워크 투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통신망 구축이 부진한 남미, 중동지역, 아프리카 등 해외시장 수요 증가도 기대됩니다.

또한 당사의 네트워크장비는 국내 네트워크장비 시장이 기가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차세대 네트워크 솔루션 투자와 PSTN시설의 IP화, 각 군의 위성통신체계 고도화를 추진함에 따라 이에 대비하여 당사의 특화기술과 차세대네트워크 기술을 접목하여 AGW분야, 차세대 GES분야, 차세대 군위성통신분야의 선도기업이 되기 위해 노력중입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정보통신장비 산업은 경기변동이나 계절적인 요인에 비탄력적인 통신서비스의 영향으로 경기변동에 대한 영향은 적습니다. 오히려 기간통신사업자의 서비스 방향과 투자시기등 정책적인 영향을 더 많이 받는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4) 경쟁요소
통신단말사업은 시장의 주요 수요처인 통신사업자들이 요구하는 높은 품질 및 성능을 충족해야 합니다. 통신사업자들의 장비 검증시험에서 적합한 장비로 인증을 받아야 하고, 통신사업자가 운용하는 망관리 시스템과 연동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이러한요건을 충족한 몇개의 업체가 통신사업자의 전체 물량을 공급하는 과점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진입장벽이 높은 편입니다.

(5) 규제환경 

통신단말사업은 통신장비제조업 관련 법령 및 방송통신기자재 적합성평가 제도, 유해물질 등의 환경 규제, 공정거래관련 규제, 수출입 관련 규제, 생산물배상책임(PL)법 등에 의거하여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정보통신장비(AP, 광케이블, 교환/위성장비 등)를 개발하여 생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회사로서, 국내 통신사업자를 대상으로 가정 내 단말장비(유무선공유기, 광모뎀, UTP통합모뎀 등) 제조 및 공급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단말장비 사업 외에 통신선로인 광케이블을 직접 생산하여 주요 통신사업자 등에게 제품을 공급 중이며, 수출을 통해 해외시장에도 지속 판매 중입니다.

더불어, 기존 유선전화 교환기를 IP(Internet Protocol)화한 TDXAGW 및 군 위성통신장비 사업, 소형교환기(DCS), IoT 장비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최근 신규사업으로 모빌리티 사업에 진출하여 전기오토바이 및 배터리 공유를 위한 스테이션을 제조, 판매하는 사업을 새롭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사업부문 구분]

사업부문

주요 제품

DX사업

유무선공유기(AP)

FTTH ONT

UTP 통합모뎀

VoIP 게이트웨이

IoT 게이트웨이

광통신사업

광케이블

컨버전스사업

TDXAGW

위성통신장비

소형 교환기 (DCS)
IoT 장비


[사업부문별 영업개황]

(단위: 백만원, %)
사업
부문
매출
유형
품 목 구분 2022년
(제23기)
2021년
(제22기)
2020년
(제21기)

금액

비율

금액

비율

금액

비율

DX
사업
제품/
상품

AP,

ONT

내수 110,647 67.85 89,616 73.69 83,596 70.96
수출

- 0.00 101 0.09
소계 110,647 67.85 89,616 73.69 83,697 71.05
기타
사업
제품/
상품
케이블,
TDXAGW
내수 33,441 20.51 25,844 21.25 25,952 22.02
수출 18,986 11.64 6,144 5.05 8,161 6.93
소계 52,427 32.15 31,988 26.31 34,113 28.95
합  계 내수 144,088 88.36 115,460 94.95 109,548 92.98
수출 18,986 11.64 6,144 5.05 8,262 7.02
합계 163,074 100 121,604 100 117,810 100


(2) 시장점유율

국내 인터넷 네트워크 장비 시장은 크게 기업 시장(Enterprise market)과 사업자 시장(Carrier market)으로 구분됩니다. 사업자 시장은 통신사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시장으로 당사의 사업이 속해 있는 시장입니다. 기업 시장은 Cisco등 글로벌 기업들의 벽이 높지만, 사업자 시장에서는 당사를 포함하여 품질과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국내 몇몇 업체들이 대부분의 시장을 점유하고 있습니다.
통신사업자별로 요구하는 특화된 기능을 만족해야 하고, 통신사업자가 운용하는 망관리 시스템과 연동 운용이 가능해야 하고, 신속한 기술지원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진입장벽이 높은 편입니다. 당사의 단말사업은 다수의 통신 단말장비를 국내 통신 3사와 모두 거래하고 있으며, 통신 3사와 오랜 업무 협력을 통해 기술을 인정 받아 시장 내 타 경쟁사에 비하여 높은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광케이블사업은 자체 생산시설 보유 및 30년 이상의 제조 노하우를 바탕으로 타사 대비 높은 품질과 효율적인 공급망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통신단말장비중 AP시장은 국내 기간통신사업자의 IP TV 활성화, 데이터 폭증해소, WiFi6 기술의 등장으로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나, AP제품의 고성능화에 따라 단말장비업체의 경쟁심화에도 불구하고 당사는 장기적인 연구개발투자로 주요통신사의 AP시장에서 절대적인 시장지배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광케이블시장중 국내시장은 LTE망, 스마트통신, IP TV등의 확대로 국내 통신사의 통신망고도화 투자에 따라 안정적인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향후 5G 서비스를 위하여 지속적인 광케이블망 진화가 요구됩니다. 또한 다양한 환경에 적합한 신규케이블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어 당사도 초다심, 울트라 마이크로케이블, 광전복합케이블 등 제품의 연구개발 및 생산을 준비중에 있습니다. 또한 해외시장에서는 유럽 및 중남미 시장진출 성공으로 비약적인 성장을 달성하였으며 아프리카와 동남아등 수출대상국가 확대를 위해 지속적인 영업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네트워크장비의 국내시장은 기가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차세대 네트워크 솔루션 투자와 PSTN시설의 IP화, 각 군의 위성통신체계 고도화를 추진함에 따라 이에 대비하여 당사의 특화기술과 차세대네트워크 기술을 접목하여AGW분야, 차세대GES분야, 차세대 군위성통신분야의 선도기업이 되기 위해 노력중입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통신 인프라 핵심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하여 기존 사업의 성장성과 수익성을 보완하고자 신규 유망사업을 발굴하고 기존 사업 영역을 확대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5G 라우터, 홈서버, IoT 장비, 보안 장비 등 신규 사업을 계획하고 있으며, 신규사업 개발 및 진출을 위하여 통신사업자, 해당 분야의 경쟁력을 가진 협력업체와의협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COVID19 등으로 인한 언택트 흐름에 따라 가정내 와이파이 환경이 중요해졌으며, 이로 인하여 기존 WiFi5에서 WiFi6로의 기술전환이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더불어 정부와 지자체 등에서 WiFi6로 공공 WiFi를 구축하고자 하는 수요가 커지고 있는 상황으로, 당사의 영업 환경에 긍정적인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또한,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게 될 핵심인프라인 무선 5G와 10기가 인터넷 구축 확대에 따라 당사의 통신 단말장비 및 광케이블 등의 통신장비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5) 조직도

조직도(2022)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재  무  상  태  표
제 23 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제 22 기   2021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머큐리                                                                                                        (단위 : 원)
과 목 제 23 기 제 22 기
자               산        
유동자산   88,969,346,229    110,349,866,581 
현금및현금성자산 6,730,144,809    24,139,817,762   
금융기관예치금 4,500,000,000    25,500,000,000   
기타포괄공정가치금융자산 14,925,360,585    11,439,300,211   
매출채권 13,427,301,738    8,839,887,968   
기타수취채권 564,701,641    210,072,659   
기타금융자산 848,147,988    1,040,219,530   
유동파생상품자산 489,657,854     
재고자산 44,060,045,480    30,633,781,495   
당기법인세자산    
기타자산 3,423,986,134    8,546,786,956   
비유동자산   47,584,619,682    39,350,769,122 
금융기관예치금 3,000,000    3,000,000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19,559,286,732    11,723,200,571   
관계기업투자 703,000,480    3,537,865,807   
기타금융자산 2,262,389,615    592,710,100   
이연법인세자산 2,609,449,274    2,054,708,487   
유형자산 21,838,913,581    20,830,704,157   
무형자산 608,580,000    608,580,000   
자산총계   136,553,965,911    149,700,635,703 
부               채        
유동부채   44,046,450,785    59,024,836,850 
매입채무 7,865,919,434    8,177,503,984   
차입금 7,289,149,179    10,873,422,836   
전환사채 19,263,180,715    28,330,095,970   
파생상품부채 5,921,074,954    6,123,585,988   
기타지급채무 2,641,618,962    3,089,475,075   
기타금융부채 504,428,890    77,536,023   
충당부채 312,784,876    395,021,924   
당기법인세부채 48,275,365    1,410,228,015   
기타부채 200,018,410    547,967,035   
비유동부채   2,252,802,945    3,970,883,084 
전환사채    
파생상품부채    
기타비유동금융부채 212,071,783    49,653,303   
기타지급채무 47,382,614    23,576,557   
순확정급여부채 1,993,348,548    3,897,653,224   
부채총계   46,299,253,730    62,995,719,934 
자               본        
납입자본   56,605,365,407    54,193,024,176 
자본금 7,562,448,000    7,400,864,500   
주식발행초과금 30,967,917,407    28,717,159,676   
감자차익 18,075,000,000    18,075,000,000   
이익잉여금   31,075,346,774    29,937,891,593 
기타자본구성요소   2,574,000,000    2,574,000,000 
자본총계   90,254,712,181    86,704,915,769 
부채와자본 총계   136,553,965,911    149,700,635,703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3 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제 22 기   2021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머큐리                                                                                       (단위 : 원)
과 목 제 23 기 제 22 기
매출액 163,074,227,992  121,604,103,517 
매출원가 140,054,032,669  100,249,631,279 
매출총이익 23,020,195,323  21,354,472,238 
판매비와관리비 18,136,327,447  15,711,450,456 
영업이익 4,883,867,876  5,643,021,782 
기타영업외수익 1,526,417,370  242,708,431 
기타영업외비용 3,380,261,158  848,643,446 
금융수익 2,065,382,443  3,997,221,895 
금융비용 6,226,478,073  1,620,630,696 
지분법손익 1,305,922,944  (462,134,193)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174,851,402  6,951,543,773 
법인세비용(수익) (360,624,692) 1,294,477,295 
당기순이익 535,476,094  5,657,066,478 
기타포괄손익 :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761,998,844  345,086,657 
   기타포괄손익 법인세효과 (160,019,757) (75,919,065)
법인세효과차감후 기타포괄손익 601,979,087  269,167,592 
총포괄이익(손실) 1,137,455,181  5,926,234,070 
주당당기이익(손실)    
 기본주당이익(손실) 36  383 
 희석주당이익 36  294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단위:원)
제23기 2022년  1월   1일 부터 제22기 2021년  1월   1일 부터
2022년 12월 31일 까지 2021년 12월 31일 까지
처분예정일 2023년   3월 20일

처분확정일 2022년   3월 21일

과 목 제 23 기 제 22 기
Ⅰ.미처분이익잉여금   31,075,346,774    29,937,891,593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29,937,891,593      24,011,657,523   
    회계변경의 누적효과                   -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601,979,087          269,167,592   
    당기순이익 535,476,094    5,657,066,478   
Ⅱ.이익잉여금처분액                     -                      - 
Ⅲ.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31,075,346,774      29,937,891,593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 해당사항 없습니다.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2,000백만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527백만원
최고한도액 2,000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 없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200백만원


(전 기)

감사의 수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43백만원
최고한도액 200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 없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3년 03월 10일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향후 사업보고서는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DART에 업데이트 할 예정이므로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

-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에 관하여는 「DART-정기공시」에 제출된 사업보고서를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 상법 제542조의4 및 상법시행령 제31조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개최 1주전까지 회사 홈페이지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 홈페이지 주소 : http://www.mercury.co.kr

※ 참고사항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에 관한 사항
   코로나19 확산과 관련하여 방역관리 지침과 보건안전수칙에 따라 총회장 출입       시 체온 측정을 진행할 예정이며 측정결과 발열이 의심되는 경우 출입이 제한될     수 있으며, 마스크 미착용시 입장이 불가합니다.  
- 주주총회 개최(예정)일 : 2023년 3월 20일(월) 오전 09시
*코스닥협회가 발표한 금년도 주주총회 집중예상일 :  3/24(금), 3/30(목), 3/31(금)
- 주주총회 집중일 개최 사유 : 해당사항 없음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03000427

머큐리 (10059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