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정정]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1-16 14:29: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116000147
2023년 01월 16일 |
1. 정정대상 공시서류 : 주주총회소집공고
2. 정정대상 공시서류의 최초제출일 : 2021년 12월 13일
3. 정정사항
항 목 | 정정사유 | 정 정 전 | 정 정 후 |
---|---|---|---|
주주총회소집공고 3. 회의의 목적사항 | 의안확정 | 제1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제2호 의안 : 사내이사 선임의 건 | 3. 회의 목적사항 제1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제2호 의안 : 감사 선임의 건 제2-1호 : 감사 이홍규 신규선임의 건
|
2023년 1월 16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아이티엑스에이아이 | |
대 표 이 사 : | 박상열,김진영 |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212, 코오롱디지털타워애스턴 9층 | |
(전 화) 02-2082-8500 | ||
(홈페이지)http://www.itxai.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이사 | (성 명) 정도균 |
(전 화) 02-2082-8500 | ||
(제26기 임시) |
(제26기 임시주주총회)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5조 및 당사 정관 제22조의 규정에 의거하여 다음과 같이 제26기 임시주주총회를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소액주주(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이하 주주님)에 대한 소집통지는 상법 제542조의 4와 당사정관 제 22조에 의거하여 이 공고로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다 음 - |
1. 일 시 : 2023년 1월 31일(화) 오전 9시 00분
2. 장 소 : 서울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212, 코오롱디지털타워애스턴 906호
(당사 본점내 소회의실)
3. 회의의 목적사항
가. 부의 안건
제1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제2호 의안 : 감사 선임의 건
제2-1호 : 감사 이홍규 신규선임의 건
4. 실질주주의 의결권행사에 관한 사항
금번 당사의 주주총회에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14조 제5항 단서규정에 의거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대리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 참석장에 의거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
5.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주주총회참석장, 신분증(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 또는 여권)
- 간접행사 : 주주총회참석장,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주주의 인감증명서 또는 주주의 신분증(사본가능), 대리인의 신분증
6.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 제3항 규정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당사의 본ㆍ지점 및 명의개서 대행회사인 국민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고,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 하였으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7.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우리회사는「상법」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으며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시스템
- 인터넷 주소:「https://evote.ksd.or.kr」
- 모바일 주소:「https://evote.ksd.or.kr/m」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3년 1월 21일 09시 ~ 2023년 1월 30일 17시
-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단, 마지막 날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
다.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투표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K-VOTE에서 사용가능한 인증서 한정)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 처리
2023년 1월 16일 |
주식회사 아이티엑스에이아이 |
대표이사 박상열,김진영(직인생략) |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A (출석률: %) | B (출석률: %) | C (출석률: %) | D (출석률: %) | |||
찬 반 여 부 | ||||||
- | - | - | - | - | - | -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 | - | - | - | - | - |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가. 업계의 현황
① 물리 보안장비 시장의 현황
물리 보안장비 시장은 크게 도난경보시스템(Burglar Alarm System), 출입통제시스템(Access Control System), 영상감시시스템(Video Surveillance System), 시스템 통합(System Integration) 그리고 CMS(Central Monitering Station) 또는 VMS(Video Management System)에 의한 보안영상분석 영역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그 중 당사는 영상감시시스템 분야를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현재 DVR(Digital Video Recorder), NVR(Network Video Recorder), Smart IP 카메라, VMS, 서버, 스토리지 등의 보안제품을 개발, 생산 및 공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인간중심의 융합적인 보안대책을 연구하고 또 지속적인 핵심 원천 기술 개발과 철저한 원가 및 품질관리를 통하여, 국내외 시장 수요에 부응하는 고품질, 고부가가치 상품개발에 주력하여, 미래의 지속가능한 창조경제를 구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자 합니다.
①-1. IP 카메라
IP 카메라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를 활용해 카메라가 촬영한 감시 영상을 저장하고 전송하는 네트워크 감시카메라로 기존 CCTV와는 달리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TCP/IP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패킷의 흐름 (Video Stream)으로 변환하는 인코더를 내장 하고 있습니다 . 주로 NVR과 함께 사용되며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보안 3세대 제품(1세대 : CCTV카메라(+VCR), 2세대 : DVR 구성)으로 분류됩니다.
①-2. 보안카메라 영상 저장장치 (Recoder)
현재 사용되고 있는 보안카메라 영상 저장장치(Recorder)로는 DVR(Digital Video Recorder)과 NVR(Network Video Recorder)이 있습니다.
DVR은 1990년대 후반 도입된 저장장치로, 감시카메라로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여 하드디스크 등에 압축ㆍ저장 하는 영상보안장치입니다.
한편 NVR은, 아날로그 카메라에서 제공되는 아날로그 스트림을 녹화하는 DVR과 달리, 카메라에서 이미 인코딩된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을 녹화합니다.
또한 DVR과 달리 동축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네트워크 케이블을 이용하여 설치 비용면에서 경제적이고 카메라의 위치와 개수에 구애받지 않아 DVR을 대체할 차세대 영상저장장치입니다.
①-3. IP 카메라+NVR 시스템
현재 보안용 카메라와 저장매체 시장은 크게 아날로그 카메라+DVR 시스템과 IP카메라+NVR 시스템으로 분류가 됩니다. IP카메라+NVR 시스템은 네트워크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높은 확장성과 저렴한 설치비용, 관리 및 보수의 용이성 등의 강점으로 아날로그 카메라+DVR 시스템을 대체할 차세대 영상저장장치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보안장비 시장은 크게 도난경보시스템(Burglar Alarm System), 출입통제시스템(Access Control System), 영상감시시스템(Video Surveillance System), 시스템 통합(System Integration) 그리고 CMS(Central Monitering Station) 또는 VMS(Video Management System)에 의한 보안서비스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그 중 당사는 영상감시시스템 분야를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현재 NVR(Network Video Recorder), DVR(Digital Video Recorder), IP카메라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현재 보안업계에서 당사는 가장 많은 고객의 주문자 상표 부착방식의 고객을 지역 편중 없이 전세계 여개국 100여개의 기존 거래선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업계가 10군데 미만의 주요 고객 혹은 심각한 매출의 지역편중을 통한 ODM매출이 전부였지만, 당사는 매출의 안정적이고도 지속적인 성장을 위하여 초창기부터 삼성전자, 에스원, PELCO(북미 주요 보안시장 최상위 점유 업체 중 하나), COSTCO, Sam’s club, CBC 등 Global Company들 뿐만 아니라 OEM이 아닌 강한 현지마케팅력과 탄탄한 Local Dealer Data Base 를 확보하고 있는 현지 Distributor들에게도 해당 바이어 자체의 Model을 준비해서 공급해온 관계로 약 100여 군데 가량의 Worldwide Base의 안정적인 ODM 고객을 확보 하고 있습니다. 즉 Multi ODM 전략을 통한 판매전략을 구사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와 같은 차별화 된 영업전락으로 동종업계에서 거의 유일한 형태로 지속적인 매출확대가 가능한 ODM 영업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현재의 보안시스템시장은 단순하게 영상만을 저장하는 장치가 아닌 급격하게 확대되고 있는 IP 기반 Network환경에 적절하게 부합될 수 있는 제품을 원하고 있습니다. 당사 제품의 Platform 자체가 이러한 시장에 적절히 부합될 수 있는 제품이어서 당사가 현재 보유하고 있는 Buyer data base는 NVR 등 IP 제품군의 판매에 있어서 훌륭한 가치를 부여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ODM을 통한 영업은 근본적으로 시간이 걸린다는 단점을 피할 수 없으며, 해당 ODM 바이어의 주문에 회사의 미래가 전적으로 의지하게 되는 상태가 초래되면 지속적인 매출확대 및 미래시장에 대한 예상은 필연적으로 불투명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당사는 유럽/러시아/중동/동남아시아/국내를 Brand 제품 sales의 거점지역으로 선정하여 ITX 자체 Brand가 부착된 제품의 판매에 적극적으로 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판매전략을 통하여 보다 안정적인 미래 매출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중요성 및 효율성 관점에서, 회사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에 대한 실익이 없어 단일 사업부로 공시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현재 국내 CCTV 생산업체 현황은 대량 생산에 따르는 규모의 경제와 지속적인 제품개발력에 따르는 과점 체제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으로 CCTV사업을 주된 영업으로 하는 업체의 수는 30~50여개 정도로 추정되고 있으나, 자체 개발한 NVR, IP카메라를 판매하면서 어느 정도 사업기반을 구축한 회사로서 당사의 국내 경쟁업체로 볼 수 있는 회사는 현재 1~2개사 정도밖에 없습니다. 그외에 국내 시장에 대해선 CCTV 시장에 대한 통계자료가 없는 상황이라 자세한 내용은 파악이 어렵습니다. 다만, 당사와 당사의 경쟁사 이외에, 가격경쟁에 기반한 다수의 소규모 기업이 시장에 참여하고 있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을 뿐입니다
(3) 시장의 특성
영상보안장비산업은 보안장비 특성상 일반적인 경기변동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보안장비 시장은 경기변동보다는 범죄 증가나 테러 발생 등 사회불안 요소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습니다. 또한, 특정 장소에는 법적인 의무사항으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수요가 꾸준하게 발생하기도 합니다. 한편, 보안 시스템에 대한 수요는 기존건물에 설치하는 경우도 있으나, 신규건물이 건설될 때 설치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건설 경기와 어느정도 연관성이 있습니다. 또한 영상보안장비산업은 폐쇄적인 유통구조를 지니고 있어 진입장벽이 높은 편입니다. 생산자, 판매자, 설치업자 간에 매우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어 신규업체의 시장 진입이 어려운 편입니다. 보안장비시스템의 유통은 일반적으로 대형 디스트리뷰터 (Distributer)가 구매한 후에 중소형 딜러, 지역의 설치업자를 거쳐 최종소비자에게 판매ㆍ설치되는 구조입니다.
현재 영상보안장비시장은 IP 카메라가 주도하는 더욱 강화된 네트워크 환경으로 인하여 지금까지의 시장과는 다르게 훨씬 더 IT화된 제품이 시장을 지배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즉, 완전히 디지털화된 영상과 네트워크 환경을 바탕으로 지금 보다는 훨씬 양상이 다르게 다양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CCTV 사업 영역 개요 ] |
■기술력 측면
CCTV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에 따라 하드웨어의 작동성능이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동일한 성능의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한 제품이라도 소프트웨어 개발 능력에 따라 고사양의 제품 개발이 가능합니다. 또한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끊임없는 기술개발은 필수적 요소이기 때문에 기술력 보유 여부, 양질의 기술인력 보유 여부에 따른 실질적인 시장 진입장벽은 높은 수준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유통구조 측면
CCTV의 유통은 일반적으로 대형 Distributor가 생산자로부터 구매를 한 후 중소형 딜러, 각 지역의 설치업자를 거쳐 최종판매자에게 판매/설치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생산자, 판매자, 설치업자간에 밀접한 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폐쇄적인 유통구조의 성격을 띄고 있습니다. 보안장비에서 최우선시 되는 요소인 안정성을 확보한 제품의 공급, 문제 발생 시 즉각적인 기술 지원 등 오랜 거래관계를 통한 유대관계가 중요시 되는 유통 구조로 인하여 신규업체들의 시장 진입 장벽은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대체시장의 현황
DVR은 1997년 상용화된 이후 빠르게 아날로그 VCR시장을 대체하면서 급격히 성장했습니다. 하지만 IMS 시장 보고서를 보면, IP 네트워크 기반의 보안 산업 시장이 성장하면서 DVR은 NVR로 대체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다만, 보안 시장의 보수적인 특성상 DVR시장이 쉽게 축소될 것으로 판단되지 않으며, 동유럽, 남미, 중국, 동남아 등의 개발도상국에서의 수요로 인해 DVR의 수요도 향후 얼마간은 현재 수준을 유지하며, 조금씩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IP Surveillance란 영상감시를 위해 인터넷 프로토콜(IP)을 사용하여 감시영상을 전송, 저장,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영상보안시스템입니다. DVR이 감시영상의 저장을 디지털화한 제품인데 비해, IP Surveillance는 인터넷 망을 이용해 유연한 영상보안감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입니다.
IP Surveillance는 확장성, 구축비용 절감, 유연한 원격 모니터링등에서 장점을 지니며 일반적으로 DVR이 16채널을 지원하는 비해, IP Surveillance는 네트워크 대역폭만 충분하다면 IP 카메라 설치 대수에 큰 제약이 없습니다. IP Surveillance의 경우, LAN이 구축되어 있는 장소에서는 추가로 케이블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배선이 어려운 곳에서는 무선 LAN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한편, 여러 장소에 흩어져 있는 수많은 IP 카메라를 원격지에서 인터넷을 통해 접속함으로써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아직 IP Surveillance 장비가격은 높은 수준이어서, 주로 선진국에서 급속한 시장의 성장을 이루며, DVR을 대체해나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현재 CCTV 시장의 키워드는 IP 카메라의 약진과 그에 따른 주변기기의 성장, 그리고 아날로그의 재정의를 꼽을 수 있습니다. 그동안 가능성에 비해 더딘 성장을 하던 IP 카메라는 지난해 급성장을 거두며 아날로그 카메라 시장을 넘어섰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또한 IP 카메라의 성장으로 인해 전송기술과 저장장치 역시 함께 발전하고 있으며, 반면에 고화질의 전송이 가능한 HD 아날로그 시스템의 등장으로 기존시스템을 그대로 사용하고자 하는 소비자에게도 고화질의 영상을 제공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범죄 테러 방지에 대한 관심 증가 ▲기술발전에 따른 기존 제품 업그레이드 수요 증가 ▲가격인하에 따른 수요저변 확대 등으로 시장은 성장을 이어 갈 것이며, 당사는 15년 이상의 경험으로 확보된 다양한 고객 Needs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량과 신제품의 개발기간을 단축하고 관련되는 제품 및 연관 산업에 진출 할 수 있는 이점을 적극 활용하여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것 입니다.
또한 현재 당사는 매출확대와 수익성 제고를 위해 향후 핵심사업의 일환으로, 오프라인의 서비스 공급자에게 온라인 채널 플랫폼을 제공하여 플랫폼과 장비 등에서 수익을 창출하는 O2O-Platform 사업에 진출하였습니다. 글로벌 O2O 플랫폼 표준을 목표로 하여, 교육, 엔터테인먼트, 금융, 스톡, 세무, 법무, 회계 등의 다양한 사업분야에서 서비스 플랫폼을 접목한 사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O2O-Platform은 당사가 보유한 CCTV 관련 핵심기술과 결합하여 차별화된 서비스로 시너지 창출을 도모할 것입니다.
(5) 조직도
조직도 |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10조(주식 및 신주인수권증서에 표시 되어야 할 권리의 전자등록) 회사는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에 따른 주식 등을 발행하는 경우에는 전자등록기관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주식 등을 전자등록하여야 한다. | 제10조(주식 및 신주인수권증서에 표시 되어야 할 권리의 전자등록) 회사는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에 따른 주식 등을 발행하는 경우에는 전자등록기관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주식 등을 전자등록하여야 한다. 다만, 회사가 법령에 따른 등록 의무를 부담하지 않는 주식 등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할 수 있다. | 의무등록 대상이 아닌 주식등에 대해서 전자등록을 하지 않을 수 있도록 관련 조문정비 |
제27조(결의) 주주총회의 결의는 법령 또는 정관에 다른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와 발행주식 총수의 4분의 1이상의 수로 하여야 한다.
| 제27조(결의) 주주총회의 결의는 법령 또는 정관에 다른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와 발행주식 총수의 4분의 1이상의 수로 하여야 한다. 다만, 회사가 상법제368조의4제1항에 따라 전자적 방법으로 의결권을 행사 할 수 있도록 한 경우에는 상법제368조제1항에도 불구하고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로써 제1항에 따른 감사의 선임을 결의할 수 있다. | 전자투표 도입시 감사를 출석주식수의 과반수로서 선임할 수 있도록 주주총회 결의요건을 완화하는 내용을 반영 |
제33조(이사 및 감사의 선임) ①~④ (생략) ⑤ 감사의 선임은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로 하되 발행주식총수의 4분의 1 이상의 수로 하여야 한다. 그러나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3을 초과하는 수의 주식을 가진 주주는 그 초과하는 주식에 관하여 감사의 선임에는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한다. 다만, 소유주식수의 산정에 있어 최대주주와 그 특수관계인, 최대주주 또는 그 특수관계인의 계산으로 주식을 보유하는 자, 최대주주 또는 그 특수관계인에게 의결권을 위임한 자가 소유하는 의결권 있는 주식의 수는 합산한다.
| 제33조(이사 및 감사의 선임) ①~④ (현행과 같음) ⑤ 감사의 선임은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로 하되 발행주식총수의 4분의 1이상의 수로 하여야 한다. 그러나 의결권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3을 초과하는 수의 주식을 가진 주주는 그 초과하는 주식에 관하여 제1항의 감사의 선임에 있어서는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한다. 다만, 소유주식수의 산정에 있어 최대주주와 그 특수관계인, 최대주주 또는 그 특수관계인의 계산으로 주식을 보유하는 자, 최대주주 또는 그 특수관계인에게 의결권을 위임한 자가 소유하는 의결권있는 주식의 수는 합산한다. 회사가 상법제368조의제4제1항에 따라 전자적 방법으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한 경우에는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로써 감사의 선임을 결의할 수 있다. | 전자투표 도입시 감사선임의 주주총회결의요건완화에 관한 내용을 반영 |
<부칙 추가> | 부 칙 이 정관은 2023년 1월 31일부터 일부 개정 시행한다. |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감사의 선임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이홍규 | 1971.03.09 | 해당사항 없음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이홍규 | 세무사 | 1979.09 2008.09-현재 | - 성균관대학교 회계학과 - (현)선진세무회계사무소 대표세무사 | 해당사항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이홍규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2022년 10월 26일 최대주주변경에 따른 사내감사 신규선임. - 상기 감사 후보자는 전문세무인(세무사)으로서, 폭넓은 경험과 전문성을 토대로 당사 경영전반에 대해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시각으로 감사 업무를 수행할 것으로 판단합니다. |
확인서
확인서 |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 - |
- 본 주주총회는 임시주주총회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 당사의 최근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DART 전자공시 시스템 및 당사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당사는 주주님께서 주주총회에 직접 참석하지 않고도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도록 전자투표제도(상법 제368조의 4)를 활용하기로 하였습니다. 일정상 주주총회에 참석이 어려우신 주주님께서는 전자투표를 통해 의결권 행사를 부탁드립니다. 가. 전자투표시스템 - 인터넷 주소:「https://evote.ksd.or.kr」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3년 1월 21일 09시 ~ 2023년 1월 30일 17시 -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단, 마지막 날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 다.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투표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코스콤 증권거래용 인증서, 금융결제원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 처리 - 코로나19의 감염 및 전파 예방을 위하여 총회장 입구에서 주주님들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으며, 발열이 의심되는 경우 출입을 제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또한 감염 예방을 위해 총회참석 시 반드시 보건용 마스크 착용을 부탁드립니다.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116000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