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2-12-29 16:59: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21229000696
2022 년 12월 29일 | ||
회 사 명 : | (주)멜파스 | |
대 표 이 사 : | 강정훈, 오상운(공동 대표이사) | |
본 점 소 재 지 :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 225-14 멜파스 빌딩 | |
전 화) 031-707-2280 | ||
(홈페이지) http://www.melfas.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대표이사 | (성 명) 오 상 운 |
(전 화) 031-707-2280 | ||
(임시주주총회) |
주주님께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5조 및 정관 제17조에 의거 2023년도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소액주주(당사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 총수의 1%이하)에 대한 소집통지는 상법 제542조의4 및 당사 정관 제19조 규정에 의거하여 이 공고로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시 : 2023년 01월 16일(월), 오전 09시 30분
2. 장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 225-14 (삼평동) 멜파스 본사 10층
3. 회의목적사항
가.보고 사항 : 감사보고
나.결의 사항
제1호 의안 : 정관변경의 건
제2호 의안 : 이사선임의 건
2-1호 의안 이성근 사내이사 선임의 건
2-2호 의안 이종우 사내이사 선임의 건
2-3호 의안 장재혁 사내이사 선임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 등 관련 법규에 따라 경영참고사항은 당사의 본점, 증권대행부, 금융감독원 및 한국거래소의 전자공시시스템에 게시 및 공시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주주님들께서는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 행사할 수 있습니다.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
- 대리행사 : 위임장(안건별 찬성 및 반대 기재, 주주 서명 및 날인),
주주를 증명할수 있는 법적인 서류(신분증, 법인등기부등본, 사업자등록증)
인감증명서(최근 3개월 이내),
신분증(주주 신분증 사본, 대리인 신분증 원본)
※ 개인 주주 : 위임장(안건별 찬성 및 반대 기재, 개인 주주 서명 및 날인)
신분증(주주 신분증 사본, 대리인 신분증 원본)
※ 법인 주주 : 위임장(안건별 찬성 및 반대 기재, 법인 주주 법인 인감 날인),
최근 3개월 이내 법인등기부등본 및 법인인감증명서
사업자등록증 사본(원본대조필 : 법인 인감 날인)
신분증(대리인 신분증 원본)
7. 기타사항.
-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의 감염 및 전파를 예방하기 위하여 총회장 출입 시 안내데스크 통제에 따라 ①발열체크 ②손 소독제 사용 ③마스크 착용 여부 확인 후 출입이 허용되오니 필히 마스크를 지참하시고 방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2022년 12월 29일
주식회사 멜파스
공동 대표이사 강정훈, 오상운 (직인생략)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방법 안내>
아시는 바와 같이 의결권은 주주총회에서 주주님의 의견을 반영시킬 수 있는 고유한 권리이며 중요한 수단입니다. 그러나 우리 회사는 주식지분이 고도로 분산된 관계로 금번 주주총회에 성원확보가 어려운 실정에 있습니다. 따라서 실질주주(증권회사 계좌를 통하여 주식을 소유하고 있는 주주)님께 아래와 같이 의결권 행사방법을 안내 드리오니 협조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의결권 행사의 일반적인 유형
<직접행사> 주주 본인이 주주총회에 직접 참석하여 행사함
<대리행사> 주주의 가족 등 제3의 대리인을 통하여 대리 행사함
※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권유에 관한 사항
우리회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와「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60조제5호에 따른 전자위임장권유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두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시거나, 전자위임장을 수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전자위임장권유관리시스템
- 인터넷주소 : 「https://evote.ksd.or.kr」
- 모바일주소 : 「https://evote.ksd.or.kr/m」
나. 전자투표 행사 ·전자위임장 수여기간 : 2023년 01월 03일 ~ 2023년 01월 15일
-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단, 마지막 날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
다. 인증서를 이용하여 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안별 전자투표 행사 또는 전자위임장 수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코스콤 증권거래용 인증서, 금융결제원 개인용도 제한용 인증서 등
※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제1임시주주총회 선임 | 제2임시주주총회 선임(*2) | 2022.11.11.임시주주총회 선임 | |||||
심영호 (출석률:100%) | 조경은 (출석률:-%) | 김형문 (출석률:80%) | 오혜명 (출석률:80%) | 김성근 (출석률:100%) | |||
찬 반 여 부 | |||||||
1 | 2022.01.27 | - 임시주주총회 연기의 건 | 찬성 | 2021.10.28 직무정지 가처분 | - | - | - |
- 자금조달을 위한 신주 발행 일정(2021.12.24 이사회 결의사항) 정정의 건 | - | - | - | ||||
- 부동산 자산재평가 진행의 건 | - | - | - | ||||
2 | 2022.02.09 | 2022년 2월25일 임시주주총회 의안 상정의 건 | 찬성 | - | - | - | |
3 | 2022.02.15 | 제22기(2021년)가결산 재무제표 승인의 건(외부감사 前) | 찬성 | - | - | - | |
4 | 2022.03.03 | 자금조달을 위한 신주 발행 일정(2022.1.27이사회 결의사항) 정정의 건 | 찬성 | - | - | - | |
5 | 2022.03.14 | 제22기 정기주주총회 개최의 건 | 찬성 | - | - | - | |
6 | 2022.03.21 | - 자사주 매각의 건 | 찬성 | - | - | - | |
- 임시주주총회 개최의건 | - | - | - | ||||
- 임시주주총회 권리주주확정을 위한 명의개서 정지의 건 | - | - | - | ||||
7 | 2022.03.22 | - 제22기(2021년도) 결산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찬성 | - | - | - | |
- 재무제표 보고사항으로 변경의 건 | - | - | - | ||||
8 | 2022.04.06 | 자금조달을 위한 신주 발행(2020.08.23 이사회 결의사항) 정정의 건 | 찬성 | - | - | - | |
9 | 2022.04.13 | 자금조달을 위한 신주 발행(2022.04.16 이사회 결의사항) 정정의 건 | 찬성 | - | - | - | |
10 | 2022.05.13 | 임시주주총회 개최의 건 | 2022.04.21. 임시지위 취소 | - | - | - | |
11 | 2022.06.13 | 임시주주총회 권리주주확정을 위한 명의개서 정지의 건 | - | - | - | ||
12 | 2022.07.13 | 임시주주총회 일정 연기의 건 | - | - | - | ||
13 | 2022.07.22 | 회생절차 개시 신청의 건 | - | - | - | ||
14 | 2022.08.12 | 임시주주총회 일정 연기의 건 | - | - | - | ||
15 | 2022.08.29 | - 임시주주총회 개최의 건 - 임시주주총회 권리주주확정을 위한 명의개서 정지의 건 | - | - | - | ||
16 | 2022.10.11 | - 임시주주총회 개최의 건 - 임시주주총회 권리주주확정을 위한 명의개서 정지의 건 | - | - | - | ||
17 | 2022.10.27 | - 임시주주총회 장소 확정의 건 - 전자투표 미시행(2022.11.11. 임시주주총회) | - | - | - | ||
18 | 2022.11.03 | - 임시주주총회 일정 연기의 건 | - | - | - | ||
19 | 2022.11.11 | - 이사회 의장선임의 건 - 공동대표규정설정(신설)의 건 - 공동대표이사(오상운, 강정훈) 선임의 건 | 2022.11.11. 해임 | 2022.11.11. 해임 | 찬성 | 찬성 | 찬성 |
20 | 2022.11.24 | - 이사보수 확정의 건 - 감사보수 확정의 건 - 지배인 선임의 건 | 찬성 | 불참 | 찬성 | ||
21 | 2022.12.05 | - 임시주주총회 개최의 건 - 임시주주총회 권리주주확정을 위한 명의개서 정지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
22 | 2022.12.09 | - 유상증자(3자배정)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
23 | 2022.12.28 | - 주총의안 확정의 건 - 유상증자(3자배정)의 건 - 타법인 주식 인수의 건 | 불참 | 찬성 | 찬성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4 | - | 24 | 6 | - |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가) 업계의 정의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는 입력 신호 및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술적 원리에 따라 기계식,광학식, 터치방식, 영상, 음성 입력장치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전자기기 입력장치>
기계식 | - 기계식 키 (단일 스위치, 키보드 등) |
광학 | - 바코드, 광학마크판독기(OMR) 등 |
터치 | - 터치 키,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등 |
영상 | - 스캐너, 디지털 카메라 등 |
기타 | - 음성/적외선(원격)/데이터 입력장치 등 |
당사의 사업 분야는 전자기기 입력장치 중에서도 터치 입력장치 제조업에 해당합니다. 터치 입력장치는 손가락 및 특정 물체의 가벼운 접촉만으로도 입력신호를 발생 시킬 수 있는 장치이며, 입력장치를 제어하는 터치 컨트롤러 IC가 터치스크린, FPCB,터치키 등의 모듈에 탑재되는 형태로 구성됩니다.
(나) 터치스크린 개황
1) 터치스크린 개요 및 구조
터치스크린이란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특정한 기능을 처리하도록 한 입력장치입니다. 1970년대 컴퓨터 보조 도구로서 개발된 터치스크린 기술은 적용 제품의 범위를 넓혀가면서 은행의 ATM, PDA, PMP, 노트북의 터치패드, Navigation 등에 적용되고 있고, 특히 정전용량방식은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에 활발히 적용되며 급성장해 왔습니다. 터치스크린은 화면을 직접 터치하여 조작 할 수 있으므로 조작 효율성, 편의성이 높은 장점이 있습니다.
터치스크린은 기본적으로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 컨트롤러 IC, FPCB 등으로 구성됩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PET 필름 또는 Glass 등의 기판(substrate)에 특정 형상으로 Patterning된 ITO 전극 및 ITO 전극과 연결되는 배선 패턴을 형성한 패널을 뜻합니다. 배선 패턴은 통상 은(Ag)으로 형성되며, 패널의 일단에는 FPCB와 연결하기 위한 접착 패드가 배치됩니다. 터치스크린 패널에 형성된 전극에서 접촉입력의 유무를 판단하고 입력좌표를 검출하며 터치 컨트롤러 IC로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합니다.
터치스크린 개요 및 구조 |
2) 터치스크린 기술 종류 및 특징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대표적인 터치스크린 기술은 정전용량방식과 저항막방식 기술인데 주로 스마트폰 등 중소형 사이즈의 터치스크린에 적용되며, 중대형 사이즈에 적용 시 문제가 되는 센서 전극의 큰 저항을 개선하기 위한ITO 대체 물질 등의 활발한 개발을 통해 기술적인 한계를 극복하고 중대형 사이즈에도 정전용량방식의 적용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가) 정전용량방식
정전용량방식을 이용한 터치스크린은 인체의 접촉에 의해 변화되는 정전용량 (Capacitance)을 감지하여 2차원 접촉 정보를 생성하는 입력 장치입니다. 정전용량은 물리적으로 2개의 전도성 물질이 존재할 때 생성되는데, 기본적인 정전용량방식 터치스크린의 구조는 아래 그림과 같이 특정 디자인에 따라 패턴을 이루고 있는 ITO 필름 층으로 하나의 전도체를 구현하고, 손가락과 같은 인체의 접촉 부위가 또 다른 하나의 전도체 역할을 하게 됩니다. 층 구조 및 ITO 필름의 패턴에 따라서 업체별로 기술 형태에 차이가 있습니다.
[정전용량 방식 터치스크린 구조] |
정전용량방식은 표면에 필름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저항막방식보다 내구성이 뛰어납니다. 저항막방식의 터치스크린 수명이 100만 터치 수준인데 비해서 정전용량방식은5,000만 터치 이상의 수명을 가집니다. 그리고 저항막방식에서는 구현되지 않는 멀티터치 기능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표면에 동시에 2개 이상의 접촉이 이루어져도 인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제품 소형화가 용이하고 빛 투과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휴대폰용 터치스크린에 적합하여, 삼성전자의 갤럭시 시리즈, LG전자의 G시리즈 등에 적용되었습니다.
나) 저항막방식
저항막 방식은 ITO가 코팅된 두 장의 기판을 합착시킨 구조로 두 기판 사이에는 스페이서(Spacer)들이 존재합니다. 손가락이나 펜으로 표면에 압력을 가할 경우 두 층이 붙으면서 전압 변화가 발생하는데, 이를 감지하여 입력이 가해진 위치를 인식하는 방법입니다. 상판은 구부러져야 하기 때문에 필름을 사용하며, 하판은 필름, 플라스틱, 글라스 등을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 구조] |
3) 터치스크린 기술 비교
정전용량방식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편의성, 제품 디자인 등과 관련한 기준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구분 | 정전용량방식 | 저항막방식 |
빛 투과율 | 90% 이상 | 75~85% |
내구성 | 강함 | 약함 |
기능 | 멀티터치 가능 | 멀티터치 어려움 |
패널 두께 | 얇음 | 상대적으로 두꺼움 |
기술 진입장벽 | 높음 (터치 컨트롤러 IC 설계기술) | 낮음 (패널 조립) |
입력 방법 | 손가락, 전도성 펜 | 손가락, 스타일러스 펜 |
(다) 터치키 개황
1) 터치키 개요 및 구조
터치키는 버튼을 힘을 주어 눌러야 입력 가능한 기계식 키와 다르게 사용자가 손가락을 접촉하는 동작만으로도 입력이 가능한 전자식 입력 장치입니다. 기술적으로는 터치스크린 기술에서 설명한 정전용량방식과 동일한 원리를 사용합니다. 사용자의 손가락과 같은 전도체를 단극판에 근접하거나 접촉하여 단극판의 유전율이 변화될 경우, 그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를 검출하여 그 결과에 따라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입니다.
(라) 터치 컨트롤러 IC 개황
1) 터치 컨트롤러 IC 개요 및 구조
터치 컨트롤러IC는 정전용량방식 터치스크린 솔루션에 핵심이 되는 제품으로서, 터치 패널에서 전송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디스플레이 상의 좌표를 출력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터치 컨트롤러 IC는 터치스크린, FPBA, 터치키 모듈에 포함되거나, 단품 그 자체로 판매되기도 합니다.
2) 터치 컨트롤러 IC 기술 종류 및 특징
터치 컨트롤러 IC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생성하는 구동 원리에 따라, 터치 센서에 직접 전하를 충/방전하여 전압의 변화를 측정하는 Self 방식과, Transceiver 채널(Tx)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전기장을 형성하고 이로 인해 Receiver 채널(Rx)에 유기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Mutual 방식으로 구분됩니다.
각각의 구동 원리와 함께 신호를 전달하는 전극을 구성하는 센서 패턴의 형태 및 구조도 결정되는데, 2-Layer Diamond Pattern 및 Bar Pattern, Single Layer Triangle Pattern 등이 대표적인 터치스크린의 구조입니다.
센싱 원리에 의해 터치 부위에서 센서를 통해 생성된 신호는 터치 컨트롤러 IC에 전달되는데, 터치 시 발생되는 정전용량 변화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2차원 위치 정보는 기본적으로 터치 부위에 이웃하는 전극 간의 정전용량 변화 비율에 의해 결정되고, 이와 함께 회로 및 외부 Noise 및 의도치 않은 터치에 의한 정보 생성을 막기 위한 필터링 기술이 추가되어 안정적인 터치 정보를 생성하게 됩니다.
터치 컨트롤러 IC 개발에 필요한 핵심 기술로는 터치 센싱 기술, 좌표 연산 DSP 기술, Noise 제거 기술, 기생 캐패시턴스 보상 기술, 저전력 설계 기술 등이 있습니다.
정전용량방식 터치스크린 동작원리 |
(2) 산업의 성장성
(가) OLED Display
1) OLED Display 업계 전망
시장조사에 따르면 OLED 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예상됩니다.
향후 다채로운 응용제품으로 출시가 될 계획으로 특히, 스마트폰과 태블릿 PC를 융합하는 컨버젼스 제품으로 폴더블 OLED는 flexible OLED 시장 성장을 가속시킬 것이며, 5G 스마트기술과 롤러블 OLED는 프리미엄 OLED 시장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해 줄 것입이다.
또한, 중국 패널 기업들의 수율 향상에 의한 Flexible OLED 출하량 증가와 함께 아이폰 Y-OCTA 및 자동차용 OLED 채용 등 기존LCD 기반의 시장이 OLED 시장으로 급격히 전환되는 시기가 겹쳐 전반적인 OLED Display 시장의 성장이 예상되어 성장세가 꾸준히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oled display 업계 전망 |
2) 터치스크린 동향
Rigid OLED 시장 관점에서 2017년 아이폰X에 처음으로 norch 디지인을 선보인 이후 스마트폰 시장의 최대 화두는 bezel을 없앤 Full Screen 구현이며, 지난 해 하반기부터 유행하기 시작한 홀디자인 (Hole design)이 올해 대세 입니다.
홀 디스플레이는 화면 아래, 위 베젤을 없앤 디스플레이로 전면부 카메라 구멍을 제외하고는 모두 디스플레이로 구현되어 있으며, 지난해 삼성이 홀 디자인을 적용한 첫 스마트폰 Galaxy A8s를 출시한 이후 화웨이가 Nova4를 내놓으면서 점점 더 많은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홀 디자인을 적용할 전망으로 LG 디스플레이, 차이나스타, AUO등 패널 제조사들이 올해 홀 디자인 적용을 계획하고 있어 해당 디자인을 사용하는 스마트폰이 크게 유행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최근 디자인 추세와 함께 터치산업이 주목해야 할 점은 카메라를 제외하고 전면 디스플레이에 적용되어 있던 센서들의 구조변화에 대한 부분이며, 특히, 송수신 시 주변 밝기를 감지하는 근조도 센서를 실장할 공간이 없어지면서 해당 역할을 기존의 터치 컨트롤러가 가지고 있는 셀프 센싱 방식을 활용하는 안이 활성화 되어 대부분의 중저가 스마트폰 제품에서 사용이 될 계획으로 셀프 성능의 특화된 당사의 하이브리드 터치 칩 제품의 채용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실제 해당 기술은 기존의 Add on 초저가 시장에서 검토되었었으며, 최근 중국의 Oppo ‘R17’에 최초로 탑재하여 출시된 기술로 In-cell에서 구현하기에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어 전면 디스플레이 Trend와 함께 기존의 OLED 디스플레이에 적용된 하이브리드 터치 시장의 확대가 예상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또 하나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주목할 점은 폴더블 스마트폰의 출시로, 한 시장조사업체는 최근 출간한 OLED 보고서를 통해 폴더블 OLED 시장이 2023년 246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5G 통신 기술은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 외에도 VR등 더 높은 화질과 대용량 컨텐츠들을 더욱 더 빠른 속도로 처리할 수 있는데 통신속도가 빨라지는만큼 그래픽이 정밀한 고해상도와 대화면을 요구하는 컨텐츠가 확대될 계획으로 현재의 6인치대 스마트폰에서 5G 통신시대의 4K 해상도를 담기에는 역부족하여 4K이상 해상도 처리가 가능한 7”이상급 대화면 사용이 상용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대화면 처리 및 폴더블 디스플레이(YOCTA w/ Film window)의 경우, 기존의 터치 컨트롤러 방식으로는 구동이 불가하여, 현재 YOCTA 구조에 적합한 신규 터치 기술개발이 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터치 기술의 한 단계 비약적인 발전과 함께 향후 초기 시장 점유를 위한 터치 컨트롤러 기술 우위 선점을 위한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폴더블 oled시장 전망 |
나. 회사의 현황
(1) 경쟁 상황
(가) 경쟁사 정의 기준: 터치 컨트롤러IC 생산 기술 보유 여부
최근 고객사의 상생운영 방침에 따라 외자 업체의 비중 축소 및 국내 공급 업체 매출 활성화를 위한 신기술 개발 참여 기회 확대 등의 지원이 이뤄지고 있어 플래그쉽 티어 제품군 공급업체는 삼성 System LSI 사로 지정, 중저가 공급업체는 당사를 포함한 국내 3사 체제로 고정 운영되고 있습니다.
중국의 스마트폰 제조사의 저가 정책 견제 및 인도 등의 신흥시장 공략을 위한 가격 우선 중심 운영 방향으로 도입된 인셀 디스플레이 진입으로 중저가 라인업에서 터치 컨트롤러 업체의 참여가 가능한OLED의 비중이 줄어들었으나 국내 외 Rigid OLED 디스플레이 채용의 확대로 인한 삼성 디스플레이 가동률 확보이후 OLED 디스플레이의 가격 경쟁력이 높아지고 있어 인셀 디스플레이의 점유율 추가 확대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
(2) 경쟁사 기술 비교 및 멜파스의 경쟁 우위
앞서 언급한 터치 컨트롤러 중저가 시장의 트렌트는 전면 디스플레이 채용에 따라 근접센서의 기능을 터치 셀프센싱 성능을 통해 대체하려는 움직임이며, 근접센싱을 구현하기 위해 필수로 구현해야 하는 셀프 성능의 경우, 당사가 초기 스마트폰 개화당시 수없이 양산했던 셀프 (Triangle 전극) 터치 솔루션의 기반을 활용한 것으로 해당 센싱 방식의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기존 해당 기능을 활용한 솔루션을 2014년 J1 mini라는 스마트폰 과제에서 검토하여 다양한 알고리즘이 확보되었고, 터치 키를 활용한 그립센싱이라는 기술로 상용화하여 현재까지 제품을 양산하고 있으며, 최근 삼성의 근접센싱 기술과 관련된 국내 3사 성능 비교 평가 결과에서 우위를 차지하여 올해 상반기 출시 예정인 다양한 중저가 라인업에 당사의 컨트롤러가 채용이 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3) 신규 제품 및 시장 : 무선 고속충전 칩
당사는 2016년 중국에 합작회사를 설립하여 중국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습니다. 합작회사를 통한 전략적 목표 중 하나는 IoT, 웨어러블 기기 등으로 대표되는 새로운 스마트 기기 시장에 대응할 수 있는 신규 제품 개발입니다. 급격히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는 IoT 등 스마트 기기에는 아래와 같은 핵심 요소 기술들이 필요합니다.
iot, wearable 3대 핵심요소 기술 |
이 중 당사가 보유한 터치 컨트롤러 IC기술과 함께 중국 합작회사가 개발한 통신 IC(BLE, 저전력 블루투스) 및 전력 IC(TX/RX무선충전칩)가 결합하여 본격적으로 개화하고 있는 IoT 시장에 초기 진입할 수 있게 됩니다. BLE와 무선충전칩은 2017년 말 개발 완료되었으며, 무선충전칩은 2018년 1분기부터 초기 양산을 시작하여 합작회사 자체적으로 중국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습니다. 당사는 중국 시장의 성과를 기반으로 국내 영업을 진행 중에 있으며, 기존 터치칩이 스마트폰 시장에 의존적이었던 것에 비해 송신용(TX)칩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어 고객군 확대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아래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무선충전이 적용된 제품 관련 시장의 성장은2015년을 출발점으로 하여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2021년 13조 이상의 시장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확장 가능성이 높은 송신용TX 칩 관련 시장이 전체 무선충전 시장의 70~80%를 차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무선충전과 관련된 기술에는 아래와 같이 크게 두 진영의 표준이 있으며, 현재 회사의 중국 합작회사는 TX/RX 모두에 대해 WPC의 Qi 인증을 획득하여, 무선충전을 채택한 거의 모든 스마트기기에 고속충전이 가능한 솔루션을 확보했습니다.
-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 자기유도방식 국제표준 Qi
- AirFuel Alliance : 자기유도방식PMA / 자기공명방식A4WP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 2조(사업목적) 이 회사는 다음 사업을 경영함을 목적으로 한다. 1. 반도체 및 관련제품의 개발, 제조 및 판매업 2. 반도체 설계 및 동 용역업 3.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베이스의 개발, 판매 및 용역업 4. 바이오센서의 개발, 생산 및 판매업 5. 도.소매업, 수출입업 및 동 대행업 6.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지식, 정보, 특허권, 실용신안권, 디자인권, 상표권, 브랜드권, 저작권 등 무형자산의 판매 및 임대사업 7. 통신기계기구 및 관련기기와 그 부품의 제작, 판매 및 서비스업 8. 부동산 개발, 판매, 임대 및 부동산 간접투자업 9. 자회사의 주식 또는 지분을 취득, 소유함으로써 자회사의 제반 사업 내용을 지배, 경영지도 및 육성하는 지주사업 10. 신기술 관련 투자, 관리, 운용 및 창업지원사업 11. 시장조사, 경영자문 및 컨설팅업 12. 위 각 호에 관련되는 직접 투자 부대사업 일체 | 제 2조(사업목적) 이 회사는 다음 사업을 경영함을 목적으로 한다. 1. 반도체 및 관련제품의 개발, 제조 및 판매업 12. 방송프로그램제작 및 배급 13. 영화제작 및 배급 14. 영상물 제작 및 배급 15. 음반, VDO, DVD 제작 및 배급 16. 인터넷방송 및 미디어사업 17. 엔터테인먼트사업 18. 광고제작 및 대행업 19. 출판업 20. 구매대행업 21. 온라인미디어(인터넷신문) 22. 정기간행물 출판업 23. 요식업, 음식점운영업 24. 각 호와 관련된 전자상거래업 25. 각 호와 관련된 프랜차이즈업 26. 각 호와 관련된 무역업 27. 각 호와 관련된 서비스업 28. 각 호와 관련된 부대사업 29. 법인경영,타법인에 투자관련 온라인 정보제공업 30. 위 각 호에 관련되는 직접 투자 부대사업 일체 | 신규사업 |
※ 기타 참고사항
-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이성근 | 1963.01.12 | - | - | 대표이사 | 이사회 |
이종우 | 1938.07.22 | - | - | 이사 | 이사회 |
장재혁 | 1968.06.09 | - | - | 이사 | 이사회 |
총 ( 3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이성근 | 송암글로벌 대표이사 이엔스컴퍼니 대표이사 | 1988.5 | 미EMORY대학교 MBA 전)커뮤니케이션윌 부회장 현)송암글로벌 대표이사 | - |
이종우 | 한국호머 회장 이엔스컴퍼니 이사 | 1987.3 | 영남대학교 기계공학과 전)온수산업관리공단 이사장 현)송암이종우장학재단 이사장,한국호머회장 | - |
장재혁 | 이엔스컴퍼니 이사 | 1995.3 | 청주대학교 회계학과 현)이엔스컴퍼니 이사 | -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이성근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무 |
이종우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무 |
장재혁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무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이사회는 본 후보자들이 상법 제382조(이사의 선임, 회사와의 관계 및 사외이사) 제3항 등에서 정한 자격요건이 적합한지 여부와 기업 경영에 실질적인 기여가 가능한 전문적인 경험 및 지식 등을 보유하고 있는지에 대해 충분히 심의하여 이사 후보로 추천하였습니다. |
확인서
01이성근-확인서 |
02이종우-확인서 |
03장재혁-확인서 |
※ 기타 참고사항
-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 - |
-
□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관련 안내 2) 발열 등 의심증상이 있거나 마스크를 착용하지 아니한 경우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212290006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