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4-03-06 10:02: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06000050
2024년 3월 6일 | ||
회 사 명 : | (주)칩스앤미디어 | |
대 표 이 사 : | 김 상 현 |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509(삼성동, 엔씨타워Ⅰ) 7, 8층 | |
(전 화) 02-568-3767 | ||
(홈페이지)http://www.chipsnmedia.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부사장 | (성 명) 이 호 |
(전 화) 02-568-3767 | ||
(제21기 정기주주총회)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와 정관 제 19조에 의거하여 정기 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2024년 3월 21일(목요일) 오전 9시
2. 장 소: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509(삼성동, 엔씨타워Ⅰ) 8층 본사 회의실
3. 회의 목적 사항
가. 보고사항
영업보고, 감사의 감사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실태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제21기(2023.1.1 ~ 2023.12.31) 연결재무제표 및 재무제표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안) 포함]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제21기 자본잉여금의 이익잉여금 전입 건
제3호 의안: 사내이사 선임의 건
제3-1호 의안: 사내이사 김상현 선임의 건
제3-2호 의안: 사내이사 이 호 선임의 건
제4호 의안: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5호 의안: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은 당사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본점과 명의개서대행회사(국민은행 증권대행사업부)에 비치하였으며, 금융위원회 및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신분증
- 대리행사: 위임장 (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 날인), 대리인신분증
6. 주주총회 기념품은 회사경비 절감을 위하여 지급하지 않습니다.
주주 여러분의 깊은 이해와 협조를 부탁 드립니다.
2024년 3월 6일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509(삼성동, 엔씨타워Ⅰ) 7, 8층
주식회사 칩스앤미디어
대표이사 김 상 현 (직인생략)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해당사항 없음 (출석률: %) | |||
찬 반 여 부 | |||
1 | 2023.02.01 | 제1호: 제 20기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제2호: 대표이사 및 내부회계관리자의 운영실태 평가보고서 승인의 건 제3호: 제20기 현금배당 결의의 건 | 찬성 |
2 | 2023.02.21 | 감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 보고의 건 | 찬성 |
3 | 2023.02.21 | 제20기(2022년 사업연도) 정기주주총회 소집에 관한 사항 및 부의안건 | 찬성 |
4 | 2023.08.21 | 자기주식 처분의 건 | 찬성 |
5 | 2023.10.30 | 준비금 자본전입에 관한 건(무상증자 결의) | 찬성 |
6 | 2023.11.14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 찬성 |
7 | 2024.02.01 | 제1호: 제 21기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제2호: 대표이사 및 내부회계관리자의 운영실태 평가보고서 승인의 건 | 찬성 |
8 | 2024.02.19 | 제21기(2023년 사업연도) 정기주주총회 소집에 관한 사항 및 부의안건 | 찬성 |
9 | 2024.02.19 | 감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 보고의 건 | 찬성 |
10 | 2024.02.29 | 제21기(2023년 사업연도) 정기주주총회 소집에 관한 사항 변경 건 | 찬성 |
주) 당사는 현재 사외이사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 | - | - | - | - | - |
주1) 당사는 현재 사외이사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주2) 사외이사에 대한 별도의 보수(주총승인금액)한도는 존재하지 않으며, 2023년 이사 총보수한도액은 20억원입니다.
(단위: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주1) 당사는 특수관계자와 최근 사업연도말 현재 매출총액의 100분의 5 이상의 금액에 해당하는 거래가 없습니다.
주2) 최근사업연도(2023년) 매출총액(연결기준): 276억원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반도체 IP는 반도체 칩 내에서 수행하는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며, 당사의 주요 사업 영역은 '비디오 IP' 기술 분야입니다. 당사의 비디오 IP는 멀티미디어 반도체칩 설계도의 일부로써, 영상 처리를 담당하는 기술입니다.
[스마트폰 & 디지털TV 적용 반도체 칩 구조도] |
IP라는 개념이 시장에 도입되기 시작한 것은 1996년 무렵입니다. IP를 사용한다는 의미는 칩 개발에 필요한 모든 기술을 직접 개발하지 않고 타인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이나 자신이 기존에 개발해 놓았던 기술을 재사용(Re-Use)한다는 개념입니다. IP 산업은 이와 같이 재사용 개념이 도입되면서 시장에 나타났으며, 재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자체 칩에서 사용할 뿐만 아니라 다른 기업에도 상업적으로 제공하는 비즈니스 모델로 확대하면서 IP 산업이 태동 되었습니다. 이후 IP 산업이 성장하면서 특정 기술 분야 또는 전문 분야를 중심으로 칩 개발 없이 IP만을 개발하여 라이선스 하는 기업들이 생겨나기 시작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당사는 반도체 칩을 제조하는 회사에게 비디오 IP를 라이선스하고, 반도체 칩 회사는 당사의 비디오 기술 및 자체 기술을 활용하여 스마트폰이나 디지털TV 등에 들어가는 반도체 칩을 설계, 개발 및 제조하여 이를 디지털기기 제조사에 납품합니다. 한편 디지털기기 제조사는 공급받은 반도체 칩 및 다른 여러 부품들을 조립하여 스마트폰, 디지털TV 등을 제조하여 소비자에게 판매하게 됩니다.
(가) 팹리스 업체와의 업사이드 공유
반도체 IP 업계 수익 구조의 중요한 한 축인 로열티 매출은 IP를 라이선스(제공)하는 시점으로부터 2~3년 뒤에 고객사의 칩 개발 및 판매에 따라 로열티(칩 생산 및 판매)가 발생하기 때문에, IP를 도입한 고객의 칩 프로젝트가 성공하는 경우에 그에 따른 로열티 매출이 비례하여 증가합니다.
(나) 업력 장기화에 따른 안정적인 수익 확보
반도체 IP 업계는 업력이 오래될수록 전체 매출에서 로열티 매출이 차지하는 부분이 높아지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이러한 특성은 반도체 IP 업체들에게 로열티 매출을 통한 안정적인 수익성을 확보해 줍니다.
(다) 고객 Reference의 중요성
반도체 IP 업계는 고객 Reference가 상당히 중요합니다. 반도체 칩 회사가 자체 개발 대신 IP를 도입하는 목적은 시장에서 검증된 기술을 사용하여 내부 개발 지연 및 실패에 따른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고객 Reference가 신규 진입 업체들에게 진입장벽으로 작용하며, 동시에 각 전문기술 분야 상위업체의 시장 지배력 강화에 기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미 시장에서 검증되어 많은 반도체 칩 회사들이 사용하는 IP를 사용하려는 경향이 강한 시장입니다.
(2) 산업의 성장성과 개발 동향
전 세계 IP 산업은 2021년 55억 달러로 평가되었으며, 2020년에서 2026년까지 연평균 15% 성장하여 2026년 111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리서치 기관 IP nest는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장은 전자제품용 멀티코어 기술의 발전, 칩 설계 비용의 상승, 최신 SoC 설계 및 커넥티드 디바이스에 대한 수요 증가 등으로 인하여 반도체 기술의 IP화(아웃소싱)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또한 4차 산업과 관련된 다양한 기기의 등장과 더불어 개발이 가속화되고, 가격 경쟁력이 우선시 되어 외부 기술 도입을 통해 원가절감 및 프로젝트를 성공하려는 반도체 기업들의 노력이 반도체 IP 시장의 성장으로 귀결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현재 회사가 당면하고 있는 전방 시장의 개발 동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Ultra HD(UHD) 비디오
네트워크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데이터 전송률이 증가함에 따라 초고화질 영화 및 TV 제품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습니다. Ultra HD 급의 초고화질 비디오는 TV, 셋톱박스, 모바일 등 기기는 물론 제작, 전송 및 응용 프로그램 산업에 있어 경쟁을 심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해상도의 증가는 기본적으로 고화질 콘텐츠가 제대로 전송될 때 이용이 가능합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통신의 발달과 함께 고효율 비디오 코덱의 적용이 필수적입니다. AVC/H.264, HEVC/H.265에 이어 HEVC 코덱보다 효율이 30~40%가량 뛰어난 AV1에 이르기까지 더 발달한 규격이 발표되면서 UHD 산업의 발전은 디스플레이 장비, 비디오 서버, 비디오 코덱 칩과 같은 제품의 광범위한 시장 성장을 인도할 전망입니다.
(나) 인공지능
인공지능은 차세대 기술 변화의 새로운 엔진으로써 일상생활의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 직간접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인공지능 산업 발전의 초석인 인공지능 칩은 알고리즘을 탑재하고 컴퓨팅 파워를 생성하며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딥러닝 알고리즘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컴퓨팅 성능에 대한 요구가 더 높아져 성능 고도화를 위한 시스템 반도체 발전이 따를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인간의 뇌 신경망 구조와 작동 원리를 모방하여 만든 뉴로모픽 프로세서(뉴로모픽 반도체)는 연산장치(CPU)와 메모리 장치 간의 직렬 통신에 의한 기존 반도체 구조의 한계를 극복하고 적은 양의 리소스와 저전력을 특성으로 병렬처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러한 특성은 더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향후 4차 산업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시장분석기관 가트너에 따르면 AI 반도체 세계시장 규모는 2020년 121억 달러, 2021년 181억 달러, 2022년 244억 달러, 2025년 711억 달러(약 85조원)로 급격히 늘어날 전망입니다.
(다) 자동차 전장화
자동차는 본래 목적인 이동수단으로써 뿐만 아니라 운전의 편의성과 탑승 중의 즐거움까지 경쟁의 요소가 되었습니다. 각 좌석에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영상을 시청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엔터테인먼트를 즐길 수 있게 하여 차량 내 통신, 디바이스가 증가하였으며 최근 수년간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자율 주행과 관련한 기술이 도입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차를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차량 주변 정보를 수집하고 상황을 판단할 수 있도록 카메라, 라이다 등과 같은 센서와 데이터를 처리하는 반도체의 고도화가 지속될 전망이며 현재 퀄컴, 인텔, 엔비디아 외 유수 IT기업들이 자율 주행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핵심 반도체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시장분석기관 가트너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자동차에 들어가는 반도체가 대당 400달러 정도인데 비해 2022년에는 600달러가 넘고 자율 주행 대중화 시점으로 예상되는 2024년께에는 투입되는 반도체가 대당 1,000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됩니다.
(라) 5G
5G(5세대 이동통신)는 4세대 이동통신 기술인 LTE에 비해 속도가 20배가량 빠르고 처리 용량은 100배가 많습니다. 5G는 초저지연성과 초연결성으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을 구현하는데 필수 요소로써 휴대폰의 영역을 넘어 모든 전자 기기를 연결하는 기술입니다. 이에 5G는 가상현실(VR),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과 연계해 스마트 팩토리, 원격의료, 무인배달, 클라우드 스트리밍 게임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세계적으로 5G가 반도체 수요를 이끌고 중장기적으로도 반도체 '슈퍼사이클'을 일으킬 것으로 예측됩니다.
(마) 사물인터넷(IoT)
웨어러블 기기, 스마트 가전, 스마트 로봇 등 다양한 기기들이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사물인터넷이 확산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시스템 반도체가 필수적입니다. 이에 따라 센서, 통신, 프로세서 중심으로 시스템 반도체 적용 분야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입니다. 사물인터넷은 기기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유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전송하며, 데이터를 분류 및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됩니다. 전력 공급이 제한되는 환경에서 데이터 수집, 분석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반도체의 저전력성이 핵심 기술로 부상하고 있으며 완제품 자체보다 요소 기술을 구성하는 시스템 반도체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전망입니다. 시장분석기관 MarketsandMarkets에 따르면 2020년 사물인터넷 반도체 칩 시장 규모가 3,920억 달러에서 2025년에는 5,254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였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반도체 IP 산업은 전자제품의 핵심 부품인 칩에 내장되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최적의 스펙 및 적합한 성능의 IP를 라이선스 하려는 반도체 칩 회사들을 대상으로 사업을 영위함에 따라 경기변동에 관한 민감도는 여타 산업과 비교하여 높지 않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경기 침체 및 전자제품별 산업의 특성상 반도체 칩 업체의 투자 여부에 따른 라이선스 건수는 변동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반도체 칩의 생산량에 영향을 받고 있는 반도체 IP 산업은 전자제품의 수요와 생산량에 따라 로열티 수취액이 비례하므로 영향을 받을 수 있으나, 계절적인 요인에 큰 영향을 받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당사의 실적이 상반기에 비해 하반기에 높은 현상을보이고 있는 바, 신규 IP 출시가 몇 년간 하반기에 이루어진 것에 기인합니다.
나. 시장의 안정성, 경쟁상황 및 시장점유율 추이
(1) 시장의 안정성
IP 사업 모델은 반도체 칩에 내장되어 특정 기능을 담당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반도체 칩 회사에 공급하는 것이므로 반도체 산업이 존재하는 한 사업 모델이 지속될 것입니다. 한편 IP 산업은 반도체 산업 규모의 성장과 반도체 칩 회사들의 외부 기술 도입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2) 경쟁상황
반도체 칩 회사는 개발 속도가 제한적이고, 개발 비용도 막대한 자체 개발보다는 표준화되고 재사용 가능한 외부의 기술(Reusable 반도체 IP)을 도입하여 반도체 회로에 집적시켜 빠른 시간 내에 반도체 칩 개발을 완료하는 방법으로 발전하여 왔습니다.
반도체 칩에 사용되는 기술 중 중앙처리장치(CPU) 분야는 이미 대다수의 반도체 칩 회사가 자체 기술보다는 외부의 기술을 도입하고 있으며, IP 산업 세계 1위 업체인 ARM Holdings의 CPU IP가 Mobile Phone Processor의 90% 이상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그래픽(Graphic) 분야도 기술 도입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어, 많은 반도체 칩 회사가 Imagination Technologies, ARM Holdings 그리고 AMD의 GPU IP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주력 산업인 비디오 코덱 IP의 경우, 아직 반도체 칩 회사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사용하는 비율이 외부 기술을 도입하는 비율보다 높은 편입니다. 한편, 초고화질 비디오 처리 기술에 대한 요구가 스마트폰과 TV를 중심으로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자율주행차, 영상보안카메라, 데이터센터, 드론, 로봇, 스포츠캠 등 여러 산업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기술 도입을 통한 신속한 제품 출시로 신시장을 선점하려는 반도체 칩 회사들의 전략이 당사와 같은 전문 IP 업체에게 많은기회를 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현재 당사와 비디오 IP 영역에서 경쟁하고 있는 주요 회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가) 중국의 VeriSilicon Microelectronics
Verisilicon은 고객으로부터 칩 제작을 의뢰받아 일괄 공급하는(Turn Key) 서비스를 주력으로 하는 회사입니다. 이러한 사업은 다양한 IP를 확보해야 유리하므로 비디오 IP 외에도 다양한 IP를 가지고 있으며, 확보한 IP로 라이선스 사업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Verisilicon은 2020년 8월 상해 증권시장에 상장하였습니다.
Verisilicon이 확보하고 있는 비디오 코덱 IP는 본래 핀란드 회사인 Hantro의 기술에서 출발한 것으로 Hantro는 2007년에 미국의 비디오 표준 업체인 ON2에 인수되었으며, ON2는 2010년 구글에 인수되었습니다. 이후 Verisilicon은 구글의 비디오 코덱 IP 사업 부문을 인수하여 자체 개발 및 라이선스 하고 있습니다.
(나) 프랑스의 Allegro DVT2
비디오 기술을 테스트 할 수 있는 스트림을 제작하여 IP 업체나 반도체 칩 업체에 판매하는 회사입니다. 당사도 Allegro의 비디오 테스트 스트림을 구매하여 사용하고 있을 정도로 이 분야에서 기술력이 있는 회사이며, 2013년도에 비디오 코덱 IP 제품을 출시하며 사업 영역을 비디오 코덱 IP 사업으로 확장하였습니다. 초기에는 비디오 코덱 IP 제품 포트폴리오가 다양하지 않고, Full HD(1920x1080p)급의 중저가 시장을 주요 타깃으로 하였으나, 2019년 동종업계 Amphion사를 인수하여 그 규모를 확장하였고 최근에는 UHD급 기술까지 보유하고 있습니다.
(다) 영국의 ARM Holdings
ARM은 CPU IP시장에서 강력한 시장지배력을 갖고 있으며, 크고 작은 M&A를 통해 System IP, GPU IP, ISP IP 등 다양한 분야로 시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비디오분야에서는 2008년 비디오 코덱 IP 개발업체인 Logipard를 인수하여 2013년부터 제품 프로모션을 시작했습니다. 제품 경쟁력이 있는 CPU, GPU IP와 함께 비디오 코덱 IP를 bundle로 라이선스 하는 마케팅 전략으로 모바일용 칩 회사들을 주요 타깃으로 하고 있습니다.
다.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및 회사의 비교 우위
첫 번째 IP 시장에서 당사의 경쟁력은 기술이며, 당사 비디오 IP의 경쟁 원천 역시 기술 비교 우위에서 나옵니다. 디지털 기기에서 비디오를 처리할 수 있는 방식은 크게 세가지로 분류 할 수 있는데 범용 프로세서에 의한 소프트웨어 처리, 전용 프로세서(DSP)에 의한 소프트웨어 처리, 그리고 전용 ASIC에 의한 하드웨어 처리가 그것입니다.
CPU나 GPU 등의 범용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소프트웨어로 모든 작업을 처리하는 접근법은 프로그래밍이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지만 영상 처리를 위해서는 많은 양의 계산이 필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높은 주파수를 요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비용과 전력 소모가 상당합니다.
DSP 방식은 소프트웨어만 교체하면 시스템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등 비교적 유연한 구조이고 성능도 디지털 신호 처리 전용으로 최적화 되어 모바일용으로 많이 사용되었으나, 디지털 기기가 Full HD급 및 Ultra HD급의 고해상도로 바뀌어 감에 따라 과다한 전력 소모 및 연산처리 능력의 한계를 보이고 있습니다.
반면, 전용 하드웨어로 영상을 구현하는 방식은 소프트웨어 접근법에 비해 유연성과 확장성은 기대할 수 없으나 고속 처리에 용이하여 고해상도 영상 처리가 가능하고 고도로 최적화된 면적 및 저전력의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당사는 전용 하드웨어 기반에 일부 소프트웨어를 도입한 구조를 채택하여 하드웨어 구현의 장점인 높은 성능과 전력 효율성은 유지하되 적절한 유연성도 보장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비디오를 처리하는 복잡한 연산을 하드웨어 코덱에서 담당하여 저전력, 고성능을 확보하고, 내부에 전용 RISC Processor를 두어 CPU와의 연결 및 하드웨어 코덱을 통제하게 만들어 유연성을 강화하는 방식입니다.
또한 당사는 인코더와 디코더 중 공유가 가능한 블록을 이용하여 한 코어에 인코더와 디코더 기능을 통합하였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저비용 설계를 가능케 하며 면적 절감의 효과가 커 AP칩에 사용하기 적합합니다.
두 번째는 핵심 연구인력의 상당수가 하드웨어 코덱 또는 관련 기업 출신들로 구성되어 있고 비디오 코덱에 대한 높은 이해도와 다양한 현장 경험을 보유하고 있어 비디오 IP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 및 개발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입니다. 또한 소프트웨어 연구 인력은 고객사의 다양한 요구사항이 도출될 때, 신속하고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유연한 대응 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비교우위 경쟁요소들을 기반으로 하여, 국내외 팹리스 회사와 종합 반도체 회사들을 대상으로 다년간 전문 비디오 IP 공급사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세 번째는 Full HD급을 대체하는 해상도인 Ultra HD급으로 급변하는 시장 속에서의 빠른 대응력입니다.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하여 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제품을 적시에 출시함으로써 지속적인 시장 선도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글로벌 기술표준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고 표준을 제품에 적용하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당사는 우수한 개발 인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표준이 적용된 경쟁력 있는 제품을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제품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시장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한편, 2018년부터 시작된 미중 무역분쟁의 일환으로 중국은 반도체 굴기를 지속하여 2010년 600여 개에 불과했던 팹리스가 2020년 약 2,200개, 2021년 2,810개로 빠르게 증가하였습니다. 또한 미국의 화웨이, 하이실리콘 제재로 하이실리콘이 약 70% 차지했던 전 세계 IP camera 시장을 당사의 고객사가 대체해 나가고 있어 해당 부문 로열티 수입이 증가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미중 무역 분쟁은 당사를 둘러싼 영업 환경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2003년 3월 설립된 이래 멀티미디어 반도체 칩을 제조하는 세계 각국의 회사들에게 비디오 IP를 라이선스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매출 전체가 기술 제공 대가로이루어져 있으며, 2023년 전체 매출의 94%가 수출입니다.
최근에는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자율주행차, 영상보안카메라, 데이터센터, 드론, 로봇, 스포츠캠 등 비디오 기능이 필요한 각종 기기들이 확대 됨에 따라 전방 시장의 수요는 증가될 것이라 예상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비디오 IP는 스마트폰칩, 디지털TV칩 등 멀티미디어 반도체 칩에 내장되어 동영상을 녹화하거나 재생시키는 기능을 합니다.
품목 | 매출 유형 | 2023년 매출 비율 | 특징 |
---|---|---|---|
비디오 IP | 라이선스 | 56.6% | 멀티미디어 반도체 칩의 동영상 기술을 설계하여 고객에게 제공시점 매출 인식 |
로열티 | 39.1% | 당사의 IP가 적용된 고객의 반도체 칩이 판매될 때 수취 | |
용역 | 4.3% | 당사의 IP에 대한 유료 기술지원 서비스 | |
계 | 100% |
(2) 시장점유율
IP 사업은 소수의 업체들이 과점체제를 이루고 있으며, 비디오 IP 시장은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발표하는 시장점유율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아 점유율을 산정하기가 불가능하여 비디오 IP 시장점유율을 기재하지 아니합니다.
(3) 시장의 특성
당사가 목표로 하고 있는 시장은 동영상이 필요한 모든 디지털 기기 시장으로써, 동영상을 녹화하거나 재생하는 기능이 필요한 디지털 기기에 장착되는 칩을 제조하는 모든 회사는 당사의 고객이 될 수 있습니다.
한편, 당사의 주요 영업지역은 시스템 반도체 칩 회사가 많은 미국, 일본, 대만, 중국,그리고 대한민국이며, 당사 비디오 IP에 대한 수요의 변동 요인은 비디오 기능이 내장된 디지털 기기 수요 변화 및 전체 반도체 회사의 숫자에 따라 영향을 받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다양한 전자제품에 특화된 시스템 반도체 칩 수요와 짧아진 제품 출시 주기로 인해 다수의 반도체 기업들은 고유의 기능을 제외한 나머지 기능들을 IP형태로 도입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한편 ARM Holdings, Synopsys, Imagination Technologies 등의 선두 IP 업체들은 주력 제품(e.g. CPU, GPU 등) 외에 기술적으로 연관된 IP들을 자체 개발 또는 M&A를 통해 확보하고 하나의 패키지로 고객들에게 제안함으로써 이러한 시장의 변화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고객은 전통적으로 팹리스 업체였으나 2019년 이후 고객군이 확대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첫째, 대형 IT 플랫폼 기업들이 당사의 고객군으로 들어오고 있습니다. LTE에서 5G에 이르기까지 인터넷 속도의 발달과 함께 플랫폼에서 유통되는 영상 콘텐츠의 양과 크기가 방대해져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처리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IT 플랫폼 기업들은 하드웨어 방식의 반도체 칩으로 영상을 처리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으며, 서비스 및 제품의 차별화를 위해 직접 칩을 기획하는 기업도 생겨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19년 하반기 해외 대형 IT 플랫폼 회사의 데이터센터 칩에 IP 라이선스를 하면서 해당 시장에 진출하였고 올해까지 신규 라이선스가 이어져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둘째, IT 플랫폼 기업과 통신사 등 그동안 반도체 기성품을 사용하던 기업들의 자체칩 생산 수요가 늘어나면서 ASIC Service를 제공하는 디자인하우스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팹리스뿐만 아니라 국내외 디자인하우스를 고객으로 한 라이선스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당사 역시 주력 제품인 비디오 코덱 IP 외에 유관 IP들을 확보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안전과 자율주행을 목적으로 하는 자동차의 ADAS와 드론(헬리캠), 웨어러블카메라(액션캠), 영상보안기기 등 카메라 센서가 적용되는 전자제품들이 나날이 다양해짐에 따라 당사에서는 ISP(Image Signal Processing) IP와 CP(Computational Photography)IP를 확보하여 2018년부터 라이선스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당사 역시 인공지능 IP를 직접 개발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은 차세대 기술 변화의 새로운 엔진으로써 각국의 수많은 테크 기업이 경쟁적으로 인공지능 반도체를 개발하고 있으며, 새로운 인공지능 IP는 이미 안정적으로 매출이 이루어지는 비디오 코덱 기술과 더불어 미래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당사가 속한 인공지능 기술 개발 동향은 아래와 같습니다.
고객의 인공지능 기술 구현에 당사의 기술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ChatGPT가 촉발시킨 인공지능 경쟁에서 데이터센터의 서버용 GPU(Graphic Processing Unit), NPU(Neural Processing Unit) 칩을 기획하는 고객사에게 당사의 비디오 IP를 제공하여 인공지능 기술의 조력자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영상 재생, 생성형 영상 처리 등 데이터센터에서 영상 컨텐츠가 차지하는 비율은 약 80%에 달하며, 영상에서 특정 사물을 탐지하기 위해 당사의 비디오 기술이 사용됩니다.
미중 반도체 전쟁으로 인해 중국에서는 엔비디아의 GPU를 대체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며, 중국 뿐 아니라 비용 절감, 보안 이슈로 자체 클라우드를 구축하려는 국내외 업체에 기술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IP 중 하나인 슈퍼 레졸루션(SR, Super Resolution) IP는 해상도가 낮은 영상을 단순히 확대만 하는 것이 아니라 딥러닝 기반의 알고리즘을 통해 높은 해상도로 변환하는 기술로 2020년 첫 매출 이후 2021년, 2022년에도 라이선스를 이루었습니다.
추가로 슈퍼 레졸루션(SR, Super Resolution), 노이즈 리덕션(NR, Noise Reduction), 객체 검출(OD, Object Detection) 기능을 구동할 수 있는 자체 NPU(Neural Processing Unit)를 개발하였습니다. 당사의 NPU는 Full-HD 이상의 고화질 영상처리에 최적화되어 일반적인 NPU에 비해 10~20% 정도의 Size로 구현하는 고객의 AI칩 연산 능력과 원가 절감에 효과적인 솔루션이 될 것입니다. 2024년부터 NPU 라이선스 매출을 계획하고 있으며, 고객에게 SR, NR, OD 알고리즘까지 함께 공급할 수 있는 솔루션 비지니스 모델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현재 이와 같은 기술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는 전세계에서 당사가 유일하며, 기술을 제공한 이후 SR, NR, OD등 추가로 학습한 Algorithm을 업그레이드하여 고도화된 알고리즘을 추가로 제공하면서 지속적인 고객 유치가 가능합니다.
영상 기술 역시 AI와 접목하여 시장 규모가 커질것으로 예상하며, 향후 비디오 IP 뿐 아니라 NPU IP까지 해당 시장에 라이선스하면서 매출을 확대할 수 있을것입니다.
(5) 조직도
조직도 |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III. 경영참조사항의 1. 사업의 개요의 나. 회사의 현황 참조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당사는 2024년 3월 13일 사업보고서를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홈페이지(http://www.chipsnmedia.com)에 게재할 예정이오니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
1) 연결 재무제표
연 결 재 무 상 태 표 | |
제 21 기 : 2023년 12월 31일 현재 | |
제 20 기 : 2022년 12월 31일 현재 | |
주식회사 칩스앤미디어와 그 종속기업 | (단위: 원) |
과 목 | 제 21 기 | 제 20 기 | ||
---|---|---|---|---|
자 산 | ||||
Ⅰ. 유 동 자 산 | 53,655,235,044 | 41,483,820,634 | ||
1. 현금및현금성자산 | 3,602,460,815 | 5,416,356,632 | ||
2. 금융기관예치금 | 34,000,000,000 | 22,000,000,000 | ||
3.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10,041,367,205 | 9,629,152,907 | ||
4. 매출채권, 계약자산 및 기타수취채권 | 5,758,624,399 | 4,151,021,217 | ||
5. 기타유동자산 | 252,782,625 | 287,289,878 | ||
Ⅱ. 비 유 동 자 산 | 24,334,064,385 | 21,591,899,352 | ||
1.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10,224,072,459 | 9,502,265,195 | ||
2.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1,084,468,643 | 796,913,333 | ||
3. 매출채권, 계약자산 및기타수취채권 | 3,003,545,379 | 2,044,439,651 | ||
4. 유형자산 | 2,941,448,503 | 3,194,037,775 | ||
5. 무형자산 | 829,908,272 | 676,322,073 | ||
6. 이연법인세자산 | 6,250,621,129 | 5,321,295,418 | ||
7. 기타비유동자산 | - | 56,625,907 | ||
자 산 총 계 | 77,989,299,429 | 63,075,719,986 | ||
부 채 | ||||
Ⅰ. 유 동 부 채 | 5,319,682,162 | 18,880,565,248 | ||
1. 기타지급채무 | 2,577,786,242 | 2,914,669,321 | ||
2. 리스부채 | 1,041,126,063 | 966,369,433 | ||
3. 파생상품부채 | - | 8,235,702,802 | ||
4. 상환전환우선주부채 | - | 322,125,109 | ||
5. 기타유동부채 | 1,605,053,587 | 6,287,260,693 | ||
6. 당기법인세부채 | 95,716,270 | 154,437,890 | ||
Ⅱ. 비 유 동 부 채 | 2,205,601,970 | 2,224,272,341 | ||
1. 기타장기지급채무 | 216,046,549 | 172,984,976 | ||
2. 장기리스부채 | 514,762,966 | 1,475,238,970 | ||
3. 기타비유동부채 | 317,833,033 | - | ||
4. 순확정급여부채 | 1,156,959,422 | 576,048,395 | ||
부 채 총 계 | 7,525,284,132 | 21,104,837,589 | ||
자 본 | ||||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자본 | 70,464,015,297 | 41,970,882,397 | ||
Ⅰ. 자본금 | 10,555,062,000 | 4,963,657,500 | ||
Ⅱ. 자본잉여금 | 60,385,347,027 | 14,464,996,909 | ||
Ⅲ. 기타자본구성요소 | (69,159,193) | (6,099,461,452) | ||
Ⅳ.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76,927,850 | (150,444,432) | ||
Ⅴ. 이익잉여금 | (484,162,387) | 28,792,133,872 | ||
비지배지분 | - | - | ||
자 본 총 계 | 70,464,015,297 | 41,970,882,397 | ||
부 채 와 자 본 총 계 | 77,989,299,429 | 63,075,719,986 |
연 결 포 괄 손 익 계 산 서 | |
제 21 기 :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제 20 기 :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칩스앤미디어와 그 종속기업 | (단위: 원) |
과 목 | 제 21 기 | 제 20 기 |
---|---|---|
영업수익 | 27,627,400,828 | 24,092,742,406 |
영업비용 | (19,857,959,581) | (16,789,714,676) |
영업이익 | 7,769,441,247 | 7,303,027,730 |
기타영업외수익 | 420,027,089 | 741,151,536 |
기타영업외비용 | (645,742,083) | (780,082,658) |
금융수익 | 2,902,451,591 | 2,503,299,689 |
금융비용 | (38,961,835,055) | (1,741,140,737)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28,515,657,211) | 8,026,255,560 |
법인세비용(수익) | (1,817,661,074) | (1,936,642,727) |
계속영업이익 | (26,697,996,137) | 9,962,898,287 |
당기순이익 | (26,697,996,137) | 9,962,898,287 |
기타포괄손익 : | (459,792,342) | 6,125,935 |
(1)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은 항목(세후기타포괄손익) | (459,911,460) | 6,187,296 |
1)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손익 | (687,164,624) | (118,706,180) |
2)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 227,253,164 | 124,893,476 |
(2)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수 있는 항목(세후기타포괄손익) | 119,118 | (61,361) |
1) 해외사업장환산외환차이 | 119,118 | (61,361) |
총포괄손익 | (27,157,788,479) | 9,969,024,222 |
주당이익 | ||
- 기본주당이익 | (1,412) | 521 |
- 희석주당이익 | (1,412) | 459 |
연 결 자 본 변 동 표 | |
제 21 기 :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제 20 기 :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칩스앤미디어와 그 종속기업 | (단위: 원) |
과 목 |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자본 | 비지배지분 | 합 계 | |||||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기타자본항목 | 기타포괄손익 누계액 | 이익잉여금 | 자본 합계 | |||
2022.1.1 (전기초자본) | 4,963,657,500 | 14,464,996,909 | (1,700,871,199) | (275,276,547) | 20,519,007,648 | 37,971,514,311 | - | 37,971,514,311 |
- 당기순이익 | - | - | - | - | 9,962,898,287 | 9,962,898,287 | - | 9,962,898,287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 - | - | - | 124,893,476 | - | 124,893,476 | - | 124,893,476 |
- 순확정급여 재측정요소 | - | - | - | - | (118,706,180) | (118,706,180) | - | (118,706,180) |
- 해외사업장환산손익 | - | - | - | (61,361) | - | (61,361) | - | (61,361) |
- 배당금의 지급 | - | - | - | - | (1,571,065,883) | (1,571,065,883) | - | (1,571,065,883) |
- 주식보상비용 | - | - | 178,317,047 | - | - | 178,317,047 | - | 178,317,047 |
- 자기주식의 취득 | - | - | (4,576,907,300) | - | - | (4,576,907,300) | - | (4,576,907,300) |
자본의 증가(감소) 합계 | - | - | (4,398,590,253) | 124,832,115 | 8,273,126,224 | 3,999,368,086 | - | 3,999,368,086 |
2022.12.31 (전기말자본) | 4,963,657,500 | 14,464,996,909 | (6,099,461,452) | (150,444,432) | 28,792,133,872 | 41,970,882,397 | - | 41,970,882,397 |
2023.1.1 (당기초자본) | 4,963,657,500 | 14,464,996,909 | (6,099,461,452) | (150,444,432) | 28,792,133,872 | 41,970,882,397 | - | 41,970,882,397 |
- 당기순이익 | - | - | - | - | (26,697,996,137) | (26,697,996,137) | - | (26,697,996,137)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 - | - | - | 227,253,164 | - | 227,253,164 | - | 227,253,164 |
- 순확정급여 재측정요소 | - | - | - | - | (687,164,624) | (687,164,624) | - | (687,164,624) |
- 해외사업장환산손익 | - | - | - | 119,118 | - | 119,118 | - | 119,118 |
- 배당금의 지급 | - | - | - | - | (1,891,135,498) | (1,891,135,498) | - | (1,891,135,498) |
- 주식보상비용 | - | - | 1,437,390,999 | - | - | 1,437,390,999 | - | 1,437,390,999 |
- 무상증자 | 4,820,157,500 | (4,820,157,500) | - | - | - | - | - | - |
- 자기주식의 취득 | - | - | (407,419,000) | - | - | (407,419,000) | - | (407,419,000) |
- 자기주식의 처분 | - | 4,161,053,110 | 5,000,330,260 | - | - | 9,161,383,370 | - | 9,161,383,370 |
- 상환전환우선주의 보통주 전환 | 771,247,000 | 46,579,454,508 | - | - | - | 47,350,701,508 | - | 47,350,701,508 |
자본의 증가(감소) 합계 | 5,591,404,500 | 45,920,350,118 | 6,030,302,259 | 227,372,282 | (29,276,296,259) | 28,493,132,900 | - | 28,493,132,900 |
2023.12.31 (당기말자본) | 10,555,062,000 | 60,385,347,027 | (69,159,193) | 76,927,850 | (484,162,387) | 70,464,015,297 | - | 70,464,015,297 |
연 결 현 금 흐 름 표 | |
제 21 기 :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제 20 기 :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칩스앤미디어와 그 종속기업 | (단위: 원) |
과 목 | 제 21 기 | 제 20 기 | ||
---|---|---|---|---|
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5,531,788,919 | 15,177,061,646 | ||
1.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 4,539,687,737 | 14,666,655,331 | ||
(1) 당기순이익 | (26,697,996,137) | 9,962,898,287 | ||
(2) 당기순이익조정을 위한 가감 | 38,015,732,196 | 175,496,703 | ||
(3)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부채의 변동 | (6,778,048,322) | 4,528,260,341 | ||
2. 이자수취 | 1,422,471,182 | 628,502,525 | ||
3. 법인세납부 | (430,370,000) | (118,096,210) | ||
Ⅱ.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14,144,858,319) | (16,878,359,895) | ||
1. 금융기관예치금의 감소 | 27,000,000,000 | 17,000,000,000 | ||
2.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처분 | 466,980,969 | - | ||
3. 유형자산의 처분 | - | 180,000 | ||
4. 무형자산의 처분 | 20,219,200 | - | ||
5. 기타수취채권의 감소 | 383,990,460 | 382,995,835 | ||
6. 금융기관예치금의 증가 | (39,000,000,000) | (29,000,000,000) | ||
7.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취득 | (289,722,725) | (3,315,267,798) | ||
8. 유형자산의 취득 | (951,626,114) | (522,604,922) | ||
9. 무형자산의 취득 | (411,172,400) | (298,543,010) | ||
10. 기타수취채권의 증가 | (1,363,527,709) | (1,125,120,000) | ||
Ⅲ.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6,810,290,934 | 2,828,972,367 | ||
1. 전환금융상품의 발행 | - | 9,999,988,602 | ||
2. 자기주식의 처분 | 10,260,827,238 | - | ||
3. 리스부채의 상환 | (1,052,082,748) | (1,023,126,906) | ||
4. 자기주식의 취득 | (407,419,000) | (4,576,907,300) | ||
5. 배당금의 지급 | (1,991,034,556) | (1,570,982,029) | ||
Ⅳ. 환율변동효과 반영전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순증가(감소)(Ⅰ+Ⅱ+Ⅲ) | (1,802,778,466) | 1,127,674,118 | ||
Ⅴ. 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 | 5,416,356,632 | 4,338,656,222 | ||
Ⅵ.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 (11,117,351) | (49,973,708) | ||
Ⅶ. 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Ⅳ+Ⅴ+Ⅵ) | 3,602,460,815 | 5,416,356,632 |
2) 별도 재무제표
재 무 상 태 표 | |
제 21 기 : 2023년 12월 31일 현재 | |
제 20 기 : 2022년 12월 31일 현재 | |
주식회사 칩스앤미디어 | (단위: 원) |
과 목 | 제 21 기 | 제 20 기 | ||
---|---|---|---|---|
자 산 | ||||
Ⅰ. 유 동 자 산 | 53,584,936,447 | 41,435,708,651 | ||
1. 현금및현금성자산 | 3,484,878,244 | 5,374,184,408 | ||
2. 금융기관예치금 | 34,000,000,000 | 22,000,000,000 | ||
3.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10,041,367,205 | 9,629,152,907 | ||
4. 매출채권, 계약자산 및 기타수취채권 | 5,758,624,399 | 4,149,197,648 | ||
5. 기타유동자산 | 300,066,599 | 283,173,688 | ||
Ⅱ. 비 유 동 자 산 | 24,611,483,581 | 21,872,400,819 | ||
1.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10,224,072,459 | 9,502,265,195 | ||
2.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1,084,468,643 | 796,913,333 | ||
3. 매출채권, 계약자산 및기타수취채권 | 2,996,760,262 | 2,039,107,129 | ||
4. 유형자산 | 2,938,856,816 | 3,193,075,764 | ||
5. 무형자산 | 829,908,272 | 676,322,073 | ||
6. 종속기업투자주식 | 286,796,000 | 286,796,000 | ||
7. 이연법인세자산 | 6,250,621,129 | 5,321,295,418 | ||
8. 기타비유동자산 | - | 56,625,907 | ||
자 산 총 계 | 78,196,420,028 | 63,308,109,470 | ||
부 채 | ||||
Ⅰ. 유 동 부 채 | 5,310,255,775 | 18,876,470,625 | ||
1. 기타지급채무 | 2,572,622,771 | 2,911,880,661 | ||
2. 리스부채 | 1,041,126,063 | 966,369,433 | ||
3. 파생상품부채 | - | 8,235,702,802 | ||
4. 상환전환우선주부채 | - | 322,125,109 | ||
5. 기타유동부채 | 1,600,790,671 | 6,285,954,730 | ||
6. 당기법인세부채 | 95,716,270 | 154,437,890 | ||
Ⅱ. 비 유 동 부 채 | 2,205,601,970 | 2,224,272,341 | ||
1. 기타장기지급채무 | 216,046,549 | 172,984,976 | ||
2. 장기리스부채 | 514,762,966 | 1,475,238,970 | ||
3. 기타비유동부채 | 317,833,033 | - | ||
3. 순확정급여부채 | 1,156,959,422 | 576,048,395 | ||
부 채 총 계 | 7,515,857,745 | 21,100,742,966 | ||
자 본 | ||||
Ⅰ. 자본금 | 10,555,062,000 | 4,963,657,500 | ||
Ⅱ. 자본잉여금 | 60,385,347,027 | 14,464,996,909 | ||
Ⅲ. 기타자본구성요소 | (69,159,193) | (6,099,461,452) | ||
Ⅳ.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66,814,697 | (160,438,467) | ||
Ⅴ. 이익잉여금 | (257,502,248) | 29,038,612,014 | ||
자 본 총 계 | 70,680,562,283 | 42,207,366,504 | ||
부 채 와 자 본 총 계 | 78,196,420,028 | 63,308,109,470 |
포 괄 손 익 계 산 서 | |
제 21 기 :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제 20 기 :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칩스앤미디어 | (단위: 원) |
과 목 | 제 21 기 | 제 20 기 |
---|---|---|
영업수익 | 27,627,400,828 | 24,092,742,406 |
영업비용 | (19,873,693,323) | (16,779,972,657) |
영업이익 | 7,753,707,505 | 7,312,769,749 |
기타영업외수익 | 416,079,344 | 731,122,176 |
기타영업외비용 | (645,742,083) | (780,082,658) |
금융수익 | 2,902,315,075 | 2,503,209,233 |
금융비용 | (38,961,835,055) | (1,741,140,737)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28,535,475,214) | 8,025,877,763 |
법인세비용(수익) | (1,817,661,074) | (1,936,642,727) |
계속영업이익 | (26,717,814,140) | 9,962,520,490 |
당기순이익 | (26,717,814,140) | 9,962,520,490 |
기타포괄손익 : | (459,911,460) | 6,187,296 |
(1)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은 항목(세후기타포괄손익) | (459,911,460) | 6,187,296 |
1)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손익 | (687,164,624) | (118,706,180) |
2)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 227,253,164 | 124,893,476 |
(2)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수 있는 항목(세후기타포괄손익) | - | - |
총포괄손익 | (27,177,725,600) | 9,968,707,786 |
주당이익 | ||
- 기본주당이익 | (1,413) | 521 |
- 희석주당이익 | (1,413) | 459 |
자 본 변 동 표 | |
제 21 기 :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제 20 기 :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칩스앤미디어 | (단위: 원) |
과 목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기타자본항목 | 기타포괄손익 누계액 | 이익잉여금 | 자본 합계 |
---|---|---|---|---|---|---|
2022.1.1 (전기초자본) | 4,963,657,500 | 14,464,996,909 | (1,700,871,199) | (285,331,943) | 20,765,863,587 | 38,208,314,854 |
- 당기순이익 | - | - | - | - | 9,962,520,490 | 9,962,520,490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 - | - | - | 124,893,476 | - | 124,893,476 |
- 순확정급여 재측정요소 | - | - | - | - | (118,706,180) | (118,706,180) |
- 배당금의 지급 | - | - | - | - | (1,571,065,883) | (1,571,065,883) |
- 주식보상비용 | - | - | 178,317,047 | - | - | 178,317,047 |
- 자기주식의 취득 | - | - | (4,576,907,300) | - | - | (4,576,907,300) |
자본의 증가(감소) 합계 | - | - | (4,398,590,253) | 124,893,476 | 8,272,748,427 | 3,999,051,650 |
2022.12.31 (전기말자본) | 4,963,657,500 | 14,464,996,909 | (6,099,461,452) | (160,438,467) | 29,038,612,014 | 42,207,366,504 |
2023.1.1 (당기초자본) | 4,963,657,500 | 14,464,996,909 | (6,099,461,452) | (160,438,467) | 29,038,612,014 | 42,207,366,504 |
- 당기순이익 | - | - | - | - | (26,717,814,140) | (26,717,814,140)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 - | - | - | 227,253,164 | - | 227,253,164 |
- 순확정급여 재측정요소 | - | - | - | - | (687,164,624) | (687,164,624) |
- 배당금의 지급 | - | - | - | - | (1,891,135,498) | (1,891,135,498) |
- 주식보상비용 | - | - | 1,437,390,999 | - | - | 1,437,390,999 |
- 무상증자 | 4,820,157,500 | (4,820,157,500) | - | - | - | - |
- 자기주식의 취득 | - | - | (407,419,000) | - | - | (407,419,000) |
- 자기주식의 처분 | - | 4,161,053,110 | 5,000,330,260 | - | - | 9,161,383,370 |
- 상환전환우선주의 보통주 전환 | 771,247,000 | 46,579,454,508 | - | - | - | 47,350,701,508 |
자본의 증가(감소) 합계 | 5,591,404,500 | 45,920,350,118 | 6,030,302,259 | 227,253,164 | (29,296,114,262) | 28,473,195,779 |
2023.12.31 (당기말자본) | 10,555,062,000 | 60,385,347,027 | (69,159,193) | 66,814,697 | (257,502,248) | 70,680,562,283 |
현 금 흐 름 표 | |
제 21 기 :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제 20 기 :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칩스앤미디어 | (단위: 원) |
과 목 | 제 21 기 | 제 20 기 | ||
---|---|---|---|---|
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5,451,524,110 | 15,184,340,199 | ||
1.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 4,459,559,444 | 14,674,024,340 | ||
(1) 당기순이익 | (26,717,814,140) | 9,962,520,490 | ||
(2) 당기순이익조정을 위한 가감 | 38,014,803,421 | 174,677,209 | ||
(3)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부채의 변동 | (6,837,429,837) | 4,536,826,641 | ||
2. 이자수취 | 1,422,334,666 | 628,412,069 | ||
3. 법인세납부 | (430,370,000) | (118,096,210) | ||
Ⅱ.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14,140,631,943) | (16,878,359,895) | ||
1. 금융기관예치금의 감소 | 27,000,000,000 | 17,000,000,000 | ||
2.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처분 | 466,980,969 | - | ||
3. 유형자산의 처분 | - | 180,000 | ||
4. 무형자산의 처분 | 20,219,200 | - | ||
5. 기타수취채권의 감소 | 383,990,460 | 382,995,835 | ||
6. 금융기관예치금의 증가 | (39,000,000,000) | (29,000,000,000) | ||
7.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취득 | (289,722,725) | (3,315,267,798) | ||
8. 유형자산의 취득 | (948,897,447) | (522,604,922) | ||
9. 무형자산의 취득 | (411,172,400) | (298,543,010) | ||
10. 기타수취채권의 증가 | (1,362,030,000) | (1,125,120,000) | ||
Ⅲ.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6,810,290,934 | 2,828,972,367 | ||
1. 전환금융상품의 발행 | - | 9,999,988,602 | ||
2. 자기주식의 처분 | 10,260,827,238 | - | ||
3. 리스부채의 상환 | (1,052,082,748) | (1,023,126,906) | ||
4. 자기주식의 취득 | (407,419,000) | (4,576,907,300) | ||
5. 배당금의 지급 | (1,991,034,556) | (1,570,982,029) | ||
Ⅳ. 환율변동효과 반영전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순증가(감소)(Ⅰ+Ⅱ+Ⅲ) | (1,878,816,899) | 1,134,952,671 | ||
Ⅴ. 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 | 5,374,184,408 | 4,289,789,265 | ||
Ⅵ.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 (10,489,265) | (50,557,528) | ||
Ⅶ. 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Ⅳ+Ⅴ+Ⅵ) | 3,484,878,244 | 5,374,184,408 |
3)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당기의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는 2024년 3월 21일(전기 처분확정일: 2023년 3월 23일)에 주주총회에서 승인될 예정입니다.
(단위:원) |
과 목 | 당 기 | 전 기 | ||
---|---|---|---|---|
I. 미처분 이익잉여금 | (940,236,583) | 28,539,874,776 | ||
1.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26,464,742,181 | 18,696,060,466 | ||
2.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687,164,624) | (118,706,180) | ||
3. 당기순이익 | (26,717,814,140) | 9,962,520,490 | ||
II. 이익잉여금 처분액 | - | 2,075,132,595 | ||
1. 이익준비금 | - | 183,997,097 | ||
2. 배당금(현금배당) 주당배당금(률) 당기 : -원(-%) 전기(*) : 98원(20%) | - | 1,891,135,498 | ||
III. 차기이월 미처분이익잉여금 | (940,236,583) | 26,464,742,181 |
(*) 전기 주당 배당금은 무상증자를 통해 유통되는 주식수를 소급 반영하여 재계산 하였습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구분 | 제21기 | 제20기 |
주당배당금(원) | - | 196원 |
배당총액(원) | - | 1,991,135,384원 |
시가배당율(%) | - | 1.3% |
주1) 시가배당율은 주주명부폐쇄일 2거래일 전부터 과거 1주일간의 코스닥시장에서 형성된 최종가격의 산술평균가격에 대한 주당 배당금의 비율을 백분율로 산정하였습니다.
주2) 제20기의 주당배당금은 2023년 10월 실시한 무상증자(100%)를 반영할시 주당 98원입니다.
□ 기타 주주총회의 목적사항
가. 의안 제목
제21기 자본잉여금의 이익잉여금 전입 건
나. 의안의 요지
당사는 2022년 11월 30일 상환전환우선주 1,542,494주(무상증자후)를 발행하였습니다. 이후 주가 상승 효과로 해당 주식으로 인한 파생상품평가손실 38,551,319,405원이 발생하여 2023년 손익에 반영되었으며, 2023년말 이익잉여금이 -257,502,248원(별도재무상태표 기준)이 되었습니다. 이에 차기 배당가능 재원을 확보하기 위해
37,350,000,000원의 자본잉여금을 이익잉여금으로 전입하고자 합니다.
※ 현금 배당 재원은 '미처분이익잉여금'임.
※ 관련 조항
상법 제461조의2(준비금의 감소) 회사는 적립된 자본준비금 및 이익준비금의 총액이 자본금의 1.5배를 초과하는 경우에 주주총회의 결의에 따라 그 초과한 금액 범위에서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을 감액할 수 있다.
※ 상기 상환전환우선주는 전량 보통주로 전환되었습니다.
<변경 내역>
자본잉여금의 이익잉여금 전입 금액: 37,350,000,000원
(단위: 원)
구분 | 전입 전(2023.12.31) | 전입 후(예정) |
자본잉여금 | 60,385,347,027 | 23,035,347,027 |
이익잉여금 | (257,502,248) | 37,092,497,752 |
주) 제21기 별도 재무상태표 기준.
.
<별도 재무상태표 및 주석>
재 무 상 태 표 | |
제 21 기 : 2023년 12월 31일 현재 | |
제 20 기 : 2022년 12월 31일 현재 | |
주식회사 칩스앤미디어 | (단위: 원) |
과 목 | 제 21 기 | 제 20 기 | ||
---|---|---|---|---|
자 산 | ||||
Ⅰ. 유 동 자 산 | 53,584,936,447 | 41,435,708,651 | ||
1. 현금및현금성자산 | 3,484,878,244 | 5,374,184,408 | ||
2. 금융기관예치금 | 34,000,000,000 | 22,000,000,000 | ||
3.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10,041,367,205 | 9,629,152,907 | ||
4. 매출채권, 계약자산 및 기타수취채권 | 5,758,624,399 | 4,149,197,648 | ||
5. 기타유동자산 | 300,066,599 | 283,173,688 | ||
Ⅱ. 비 유 동 자 산 | 24,611,483,581 | 21,872,400,819 | ||
1.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10,224,072,459 | 9,502,265,195 | ||
2.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1,084,468,643 | 796,913,333 | ||
3. 매출채권, 계약자산 및기타수취채권 | 2,996,760,262 | 2,039,107,129 | ||
4. 유형자산 | 2,938,856,816 | 3,193,075,764 | ||
5. 무형자산 | 829,908,272 | 676,322,073 | ||
6. 종속기업투자주식 | 286,796,000 | 286,796,000 | ||
7. 이연법인세자산 | 6,250,621,129 | 5,321,295,418 | ||
8. 기타비유동자산 | - | 56,625,907 | ||
자 산 총 계 | 78,196,420,028 | 63,308,109,470 | ||
부 채 | ||||
Ⅰ. 유 동 부 채 | 5,310,255,775 | 18,876,470,625 | ||
1. 기타지급채무 | 2,572,622,771 | 2,911,880,661 | ||
2. 리스부채 | 1,041,126,063 | 966,369,433 | ||
3. 파생상품부채 | - | 8,235,702,802 | ||
4. 상환전환우선주부채 | - | 322,125,109 | ||
5. 기타유동부채 | 1,600,790,671 | 6,285,954,730 | ||
6. 당기법인세부채 | 95,716,270 | 154,437,890 | ||
Ⅱ. 비 유 동 부 채 | 2,205,601,970 | 2,224,272,341 | ||
1. 기타장기지급채무 | 216,046,549 | 172,984,976 | ||
2. 장기리스부채 | 514,762,966 | 1,475,238,970 | ||
3. 기타비유동부채 | 317,833,033 | - | ||
3. 순확정급여부채 | 1,156,959,422 | 576,048,395 | ||
부 채 총 계 | 7,515,857,745 | 21,100,742,966 | ||
자 본 | ||||
Ⅰ. 자본금 | 10,555,062,000 | 4,963,657,500 | ||
Ⅱ. 자본잉여금 | 60,385,347,027 | 14,464,996,909 | ||
Ⅲ. 기타자본구성요소 | (69,159,193) | (6,099,461,452) | ||
Ⅳ.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66,814,697 | (160,438,467) | ||
Ⅴ. 이익잉여금 | (257,502,248) | 29,038,612,014 | ||
자 본 총 계 | 70,680,562,283 | 42,207,366,504 | ||
부 채 와 자 본 총 계 | 78,196,420,028 | 63,308,109,470 |
<금융비용>
(단위:천원) |
구 분 | 당 기 | 전 기 |
---|---|---|
리스부채에 대한 이자비용 | 123,166 | 94,156 |
상환전환우선주부채에 대한 이자비용 | 287,350 | 22,162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실 | - | 1,624,823 |
파생상품평가손실 | 38,551,319 | - |
합 계 | 38,961,835 | 1,741,141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당기의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는 2024년 3월 21일(전기 처분확정일: 2023년 3월 23일)에 주주총회에서 승인될 예정입니다.
(단위:원) |
과 목 | 당 기 | 전 기 | ||
---|---|---|---|---|
I. 미처분 이익잉여금 | (940,236,583) | 28,539,874,776 | ||
1.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26,464,742,181 | 18,696,060,466 | ||
2.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687,164,624) | (118,706,180) | ||
3. 당기순이익 | (26,717,814,140) | 9,962,520,490 | ||
II. 이익잉여금 처분액 | - | 2,075,132,595 | ||
1. 이익준비금 | - | 183,997,097 | ||
2. 배당금(현금배당) 주당배당금(률) 당기 : -원(-%) 전기(*) : 98원(20%) | - | 1,891,135,498 | ||
III. 차기이월 미처분이익잉여금 | (940,236,583) | 26,464,742,181 |
(*) 전기 주당 배당금은 무상증자를 통해 유통되는 주식수를 소급 반영하여 재계산 하였습니다.
※ 재무제표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2024년 3월 13일 공시 예정인 사업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 또는 당사 홈페이지(http://www.chipsnmedia.com) 공시 메뉴에 게재될 예정임. (Investors - Public info Disclosure - 공시)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김상현 | 1967.07.24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관계회사의 임원 | 이사회 |
이호 | 1969.01.16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관계회사의 임원 | 이사회 |
총 ( 2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김상현 | (주)칩스앤미디어 대표이사 | 2005~현재 | (주)칩스앤미디어 대표이사 | 해당사항 없음 |
이호 | (주)칩스앤미디어 부사장 | 2004~현재 | (주)칩스앤미디어 부사장 | 해당사항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김상현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이호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후보자 1. 김상현 당사의 대표이사로서 경영업무 총괄 및 대외적 업무를 안정적으로 수행하고 회사의 지속성장을 달성하는데 있어 큰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함. 후보자 2. 이 호 당사의 부사장으로서 경영업무 전반에 대한 폭넓은 경험을 바탕으로 이사회 운영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것으로 판단함. |
확인서
확인서(김상현 대표이사) |
확인서(이호 사내이사)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5명 (0)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20억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5명 (0)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301,344천원 |
최고한도액 | 20억원 |
※ 기타 참고사항
본 보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이사는 사내이사 2인, 기타비상무이사 3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타비상무이사는 보수에 대한 주주총회 승인금액이 없습니다.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명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억원 |
(전 기)
감사의 수 | 1명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200천원 |
최고한도액 | 1억원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2024년 03월 13일 |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1) 주주총회 이후 사업보고서의 변경된 사항 및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전자공시시스템 DART에 업데이트 될 예정임.
2)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1주전까지 홈페이지(http://www.chipsnmedia.com) 공시 메뉴에 게재될 예정임. (Investors - Public info Disclosure - 공시)
□ 최종 재무제표는 당사가 2024년 3월 13일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주총 집중일 주총 개최 사유 당사는 주주들의 원활한 참석을 위해 주주총회 분산 자율준수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주주총회를 2024년 3월 21일 개최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따라서, 주총 집중일 개최 사유 신고 의무가 없습니다.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06000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