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발행실적보고서 2023-06-29 17:53: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629000678
금융감독원장 귀하 | 2023년 06월 29일 |
회 사 명 : | 주식회사 케이이씨 |
공 동 대 표 이 사 : | 이종홍, 이태선, 강래훈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특별시 서초구 마방로 10길 5 |
(전 화) 02)2025-5000 | |
(홈페이지) http://www.keccorp.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대표이사 (성 명) 이종홍 |
(전 화) 02)2025-5000 | |
1. 기업개요
상장구분 | 기업규모 | 업종구분 |
---|---|---|
유가증권 | 대기업 | 기타 제품 제조업 |
2. 발행 개요
(단위 : 원) |
구분 | 발행총액 | 비고 |
---|---|---|
기타 | 96,264,000,000 |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 |
1. 청약 및 납입일정
구분 | 청약개시일 | 청약종료일 | 납입기일 |
---|---|---|---|
구주주 청약 (초과청약 포함) | 2023년 06월 21일 | 2023년 06월 22일 | 2023년 06월 29일 |
2. 인수기관별 인수금액
(단위 : 원) |
인수기관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비 율(%) | 비 고 |
---|---|---|---|---|
KB증권 | 14,876 | 25,571,844 | 0.02 | 대표주관회사 |
계 | 14,876 | 25,571,844 | 0.02 | - |
주1)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2항 5호에 따라 구주주 초과청약 배정 후 발생한 단수주를 대표주관회사인 KB증권(주)이 인수하였습니다.
주2) 비율은 총 유상증자 신주 수인 56,000,000주를 기준으로 합니다.
3. 청약 및 배정현황
(단위 : 원, 주, %) |
구 분 | 최초 배정 | 청약 현황 | 최종 배정 현황 | |||||||
---|---|---|---|---|---|---|---|---|---|---|
수량 | 비율 | 건수 | 수량 | 금액 | 비율 | 건수 | 수량 | 금액 | 비율 | |
구주주 | 55,964,468 | 99.9 | 29,990 | 49,843,463 | 85,680,912,897 | 88.8 | 29,990 | 49,843,463 | 85,680,912,897 | 89.0 |
초과청약 | - | - | 25,031 | 6,301,641 | 10,832,520,879 | 11.2 | 23,963 | 6,141,661 | 10,557,515,259 | 11.0 |
단수주 | 35,532 | 0.0 | - | - | - | - | 1 | 14,876 | 25,571,844 | 0.0 |
계 | 56,000,000 | 100 | 55,021 | 56,145,104 | 96,513,433,776 | 100 | 53,954 | 56,000,000 | 96,264,000,000 | 100 |
4. 일반투자자 배정방식별 배정현황
구분 | 배정수량(주) | 비중(%) | 균등방식 유형 |
---|---|---|---|
균등방식 | - | - | - |
비례방식 | - | - | - |
계 | - | - | - |
5. 기관투자자 의무보유확약기간별 배정현황
(단위 : 주, %) |
확약기간 | 국내 기관투자자 | 외국 기관투자자 | 합계 | |||||||||||
---|---|---|---|---|---|---|---|---|---|---|---|---|---|---|
운용사 (집합) | 투자매매ㆍ 중개업자 | 연기금,운용사(고유)은행,보험 | 기타 | 거래 실적 유 | 거래 실적 무 | |||||||||
수량 | 비중 | 수량 | 비중 | 수량 | 비중 | 수량 | 비중 | 수량 | 비중 | 수량 | 비중 | 수량 | 비중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미확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단위: 주, %) |
주주 | 관계 | 증자 전 | 증자 후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주)한국전자홀딩스 | 최대주주본인 | 47,540,350 | 32.8% | 59,406,058 | 29.60% |
곽정소 | 주요주주 | 96,151 | 0.1% | 140,611 | 0.10% |
히가시다유미 | 주요주주 | 157,338 | 0.1% | 157,338 | 0.10% |
곽상욱 | 주요주주 | 129,298 | 0.1% | 179,315 | 0.10% |
곽서준 | 주요주주 | 684,454 | 0.5% | 949,223 | 0.50% |
곽서연 | 주요주주 | 129,345 | 0.1% | 189,156 | 0.10% |
이종홍 | 대표이사 | 30,000 | 0.0% | 44,367 | 0.00% |
황창섭 | 계열회사 임원 | 30,339 | 0.0% | 43,872 | 0.00% |
(주)광양 | 기타 | 1,203,716 | 0.8% | 1,760,343 | 0.90% |
합 계 | 50,000,991 | 34.5% | 62,870,283 | 31.40% |
-지분율은 기명식 보통주 기준으로 산정되었음
주1) 증자 전 발행주식총수: 144,763,141주
주2) 증자 후 발행주식총수: 200,763,141주
- 주권상장 및 유통 예정일 : 2023년 07월 14일(금)
1. 공고의 일자 및 방법
구 분 | 일 자 | 공고방법 |
---|---|---|
신주발행(신주배정기준일) 및 | 2023년 04월 11일 | 당사 인터넷 홈페이지 |
모집 또는 매출가액 확정의 공고 | 2023년 06월 19일 | 당사 인터넷 홈페이지 |
2. 증권신고서
가. 전자문서 : 금융위(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 → http://dart.fss.or.kr
나. 증권신고서 제출일 :
[증권신고서 제출 및 정정 연혁] |
제출일자 | 문서명 | 비고 |
---|---|---|
2023년 04월 11일 | 증권신고서(지분증권) | 최초 제출 |
2023년 04월 24일 | [기재정정]증권신고서(지분증권) | 기재 정정(파란색) |
2023년 05월 11일 | [기재정정]증권신고서(지분증권) | 1차 발행가액 확정(붉은색) |
2023년 05월 16일 | [기재정정]증권신고서(지분증권) | 1분기 보고서 제출에 따른 기재정정(녹색) |
2023년 06월 19일 | [기재정정]증권신고서(지분증권) | 최종 발행가액 확정에 따른 정정(보라색) |
3. 투자설명서
가. 전자문서 : 금융위(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 → http://dart.fss.or.kr
나. 서면문서 :
(주)케이이씨 → 서울특별시 서초구 마방로 10길 5
KB증권(주)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50
다. 투자설명서 제출일 :
[투자설명서 제출 및 정정 연혁] |
제출일자 | 문서명 | 비고 |
---|---|---|
2023년 05월 11일 | 투자설명서 | 최초 제출 |
2023년 06월 01일 | [기재정정]투자설명서 | 1분기보고서 제출에 따른 정정 |
2023년 06월 19일 | [기재정정]투자설명서 | 발행가액 확정에 따른 정정 |
1. 자금조달 내용
(단위 : 원, 주) |
구분 | 주식 구분 | 신고서상 발행예정총액 | 실제 조달금액 | 비고 | ||
---|---|---|---|---|---|---|
발행가액 | 수 량 | 발행총액 | ||||
모집 | 보통주 | 96,264,000,000 | 1,719 | 56,000,000 | 96,264,000,000 | - |
계 | 96,264,000,000 | 1,719 | 56,000,000 | 96,264,000,000 | - | |
매출 | - | - | - | - | - | - |
계 | - | - | - | - | - | |
총 계 | 96,264,000,000 | 1,719 | 56,000,000 | 96,264,000,000 | - |
2. 자금의 사용목적
(단위 : 원) |
시설자금 | 영업양수 자금 | 운영자금 | 채무상환 자금 |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 기타 | 계 |
---|---|---|---|---|---|---|
90,000,000,000 | - | 6,264,000,000 | - | - | - | 96,264,000,000 |
금번 유상증자를 통한 공모자금의 세부 사용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만약 금번 유상증자의 공모금액이 당초 계획한 금액에 미달할 경우 아래에 표기한 우선순위에 따라 자금을 차례대로 집행할 계획이며, 부족분은 당사의 자체자금으로 충당할 계획입니다. 금번 유상증자를 통한 공모자금의 세부 사용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 유상증자 자금사용목적] |
(단위 : 백만원) |
구분 | 목적 | 자금 사용시기 | 사용내역 | 금 액 | 우선순위 |
---|---|---|---|---|---|
시설자금 | 전력반도체 생산 설비 투자 | 2023년 10월 ~ 2025년 12월 | 생산설비 등 | 65,000 | 1순위 |
생산능력 확대를 위한 설비 투자 | 2023년 10월 ~ 2025년 12월 | 생산설비 등 | 25,000 | 2순위 | |
운영자금 | 신제품 개발 및 상용화를 | 2023년 10월 ~ 2025년 12월 | R&D 비용 | 6,264 | 3순위 |
합계 | 96,264 | - |
1) 시설자금
① 전력반도체 생산 설비 신규 투자
■ 투자 배경
전력반도체는 IT용 반도체 대비, 내구성 및 품질에 있어 높은 신뢰성을 요구 받고 있으며, 고온, 고전압을 견딜 수 있는 특성이 IT용 반도체에 비해 월등히 뛰어난 효과로 최근 신 성장 산업으로 분류되는 전기자동차 및 ESS분야에서 그 수요가 확대되고 있으며, 지속적인 성장이 전망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으로부터 "전기자동차 및 신재생 에너지용 1200V급 Trench형 SiC MOSFET 개발 과제에 대해 상용화 가능 이라는 성공적인 결과를 포함하여 컨슈머에서 전장 ·산업용에 필요한 전력반도체 생산을 위한 투자를 계획하고 있으며, 향후 고객사의 수요 대응을 위한 CAPA시설 자금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 세부 사용 계획
당사는 전력반도체 상용화 및 양산화를 목표로 진행하는 연구 개발과 더불어 공모자금 납입 이후 양산을 목표로 설비 투자를 진행하고자 하며, 기존 컨슈머 시장 중심의 사업 영역을 전력 반도체 시장으로의 사업영역 확대를 통해 전장 및 산업용 시장에 본격적인 진출을 목표하고 있습니다.
이에 당사는 2023년과 2024년, 2025년 각각 6,000백만원, 35,000백만원, 24,000백만원 총 65,000백만원을 설비투자 자금으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단위:백만원) |
구분 | 용도 | 주요 투자사항 | 2023년 | 2024년 | 2025년 | 총금액 |
---|---|---|---|---|---|---|
시설투자 | 전력반도체 생산을 위한 신규 설비 투자 | - 고온이온 주입기 | 6,000 | 35,000 | 24,000 | 65,000 |
* 주요투자사항의 설비명칭은 진행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해당 자금 중 일부 자금은 조달시기와 사용시기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미사용 금액에 대해서는 자금의 집행시점과 금리시점에 따라 은행등의 수시입출금예금, 정기예금 등 금융상품을 이용해 예치할 예정입니다.
② 생산능력 확대를 위한 설비 투자
■ 투자 배경
당사의 주력 전방 산업인 가전 및 IT 기기 수요가 2022년 하반기를 기점으로 글로벌 소비 둔화 요인에 의해 침체 국면이나, 2023년 하반기 부터는 소비 회복세가 전망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1년 반도체 공급대란 상황에서도 단기수익에 집착하지 않고삼성, LG 및 일본계 중심으로 거래선을 재편중에 있으며, 국내외 주요 거래선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함으로써, 23년 1분기 이후, 타 경쟁사에 비해 빠른 속도로 매출이 회복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향후 수요 증가에 대비한 생산 CAPA 증설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COVID-19 확산으로 2020년 하반기부터 비대면 가전 수요 증가가 발생했으며 고객사의 공급 요청 대비 당사 생산 능력(CAPA) 부족으로 당사의 공급이 지연되어 그 수요 중 일부가 경쟁사로 이탈 되는 현상이 발생되었습니다. 2022년 하반기부터 발생된 수요 둔화 영향에 따라 현재 당사의 CAPA 부족에 따른 공급 지연은 발생하지 않고 있으나 LG전자, 삼성전자 등 주요 거래선과의 전략적 파트너쉽 체결 영향으로, 당사의 대 고객내 지위는 과거 대비 상승 중에 있습니다. 2023년 현재 주요 거래선의 부품 재고규모 축소가 관찰되고 있으며, 전문기관 및 거래선이 예상하는 전자기기의 수요 전망은 금년 하반기로 갈수록 확대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향후 전자기기 수요 확대시 과거 CAPA 부족에 따른 납기 지연 및 점유율 하락을 피하기 위해, 선제적 생산 능력 확대를 추진하고자 합니다.
■ 세부 사용계획
당사는 본 유상증자 대금을 활용하여 2023년 10월부터 2025년 12월까지 생산능력 확대를 위한 설비투자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단위:백만원) |
구분 | 용도 | 주요 투자사항 | 2023년 | 2024년 | 2025년 | 총금액 |
---|---|---|---|---|---|---|
시설투자 | 생산능력 확대를 위한 설비 투자 | - Grinder | 5,000 | 10,000 | 10,000 | 25,000 |
* 주요투자사항의 설비명칭은 진행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해당 자금 중 일부 자금은 조달시기와 사용시기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미사용 금액에 대해서는 자금의 집행시점과 금리시점에 따라 은행등의 수시입출금예금, 정기예금 등 금융상품을 이용해 예치할 예정입니다.
2) 운영자금
① 연구개발비
■ 투자 배경
반도체 산업은 고도의 기술력을 요하는 분야로, 지속적인 연구 개발 투자를 통한 기술력 확보가 필요합니다. 당사는 연구개발 활동비용에 금번 공모자금 중 약 63억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당사의 연구개발비용은 2019년 5,723백만원, 2020년 5,618백만원, 2021년 5,885백만원 및 2022년 5,630백만원으로 매년 5,500백만원 내외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의 비중 또한 2019년 2.8%에서 2022년 2.2%로 매출규모에 따라 2% 내외의 수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연구개발비 비율]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2년 | 2021년 | 2020년 | 2019년 |
---|---|---|---|---|
연구개발비(A) | 5,630 | 5,885 | 5,618 | 5,723 |
매출액(B) | 256,171 | 267,473 | 201,046 | 201,729 |
비율(A/B) | 2.2% | 2.2% | 2.8% | 2.8% |
■ 세부 사용계획
당사는 1200V급 80mohm SiC Planar MOSFET과 60mohm SiC Trench MOSFET을 Automotive Grade인 AEC-Q100 보증하는 시제품을 2023년 하반기에 개발완료 목표로 연구개발 중에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공정 및 설계 기술 개선을 통한 차세대(New Generation) 성능향상 제품에 대해서 온-저항 20mohm에서 400mohm가지 라인업을 2025년까지 진행할 예정입니다.
[연구개발비 지출 예정 상세 내역] |
(단위: 백만원) |
구분 | 상세 구분 | 금액 | |
---|---|---|---|
개발비 | 자체 개발 | SiC Auto/Industral용 Planar MOS 개발 | 6,264 |
SiC Consumer용 Trench Mos 개발 | |||
IGBT Auto/Industral용 600V/1,250V 개발 | |||
IGBT MOTOR향/IH향 Reverse Conducting개발 | |||
HV SJ MOS(650V) Auto/Industral용 Ultra Rsp개발 | |||
합 계 | 6,264 |
다. 자금의 운용계획
당사가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한 자금 중 일부 자금은 조달시기와 사용시기가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에 조달로부터 사용시까지 미사용 자금에 대해서는 자금 사용시점 및 금리에 따라 적격금융기관의 수시입출금 예금, 정기예금 등 금융상품 또는 AA등급대(A1등급대)이상의 단기금융상품으로 운용할 예정입니다.
신주인수권증서 발행내역
(단위 : 주) |
청구일 | 발행시기 | 청구자 | 발행회사와의 관계 | 주식수 |
---|---|---|---|---|
- | 2023년 05월 25일 | 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 | 명의개서대행기관 | 55,964,468 |
계 | 55,964,468 |
신주인수권증서에 의한 청약내역
(단위 : 주) |
청약일 | 청약자 | 발행회사와의 관계 | 주식수 |
---|---|---|---|
2023년 06월 21일 | 한국예탁결제원 | - | 49,842,078 |
2023년 06월 21일 | 한국예탁결제원 | - | 6,301,570 |
계 | 56,143,648 |
주) 상기 청약일은 구주주 청약일의 시작일임(구주주청약일: 2023년 06월 21일 ~ 06월 22일)
1. 신주인수권증서 청약 실권주 및 단수주
(단위 : 주) |
신주인수권증서 청약 실권주 | 구주주 배정단수주 | 실권주 및 단수주 총계 |
---|---|---|
6,156,537 | 35,532 | 6,192,069 |
2. 신주인수권증서 청약 실권주 및 단수주 처리 내역 : 초과청약 배정
(단위 : 주) |
신주인수권증서 청약 | 초과청약 | 초과청약배정비율 | 비고 |
---|---|---|---|
6,192,069 | 6,301,641 | 0.9769736168 | 초과청약 단수주 14,876주 발행 |
주) 초과청약으로 발생한 단수주(14,876주)는 대표주관회사 KB증권(주)(14,876주)이 인수함.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6290006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