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3-07 17:36: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07000678
2023년 3월 7일 | ||
회 사 명 : | HSD엔진주식회사 | |
대 표 이 사 : | 고 영 열 | |
본 점 소 재 지 :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공단로 67(신촌동) | |
(전 화) 055-260-6000 | ||
(홈페이지)http://www.hsdengine.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관리부문장 | (성 명) 김 관 식 |
(전 화) 055-260-6097 | ||
(제24기 정기주주총회) |
당사는 상법 제365조 및 회사 정관 제16조에 의거하여 제24기(2022.1.1 ~ 2022.12.31) 정기주주총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다 음 -
1. 일 시: 2023년 3월 23일(목) 오전 10시
2. 장 소: 경남 창원시 성산구 공단로 67, HSD엔진㈜ 기술센터 세미나실
3. 회의의 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 영업보고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나. 부의안건
- 제1호 의안 : 제24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제2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 제3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 제3-1호 : 사외이사 홍성표 선임의 건
- 제3-2호 : 사외이사 김동회 선임의 건
- 제4호 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 제5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 권유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60조 제5호에 따른 전자위임장권유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정하였고, 이 두 제도의 관리업무를 삼성증권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 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시거나 전자위임장을 수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 전자위임장 권유시스템 인터넷 및 모바일 주소:
:「https://vote.samsungpop.com」
전자투표/전자위임장 QR코드 |
나.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 행사기간: 2023년 3월 10일 ~ 2023년 3월 22일
- 기간 중 24시간 의결권 행사 가능
(단, 시작일은 9시부터, 마감일은 17시까지만 가능)
다. 주주 본인 인증 확인 후 의안별 의결권 행사 또는 전자위임장 수여
- 본인 인증 방법: 공동인증, 카카오페이, 휴대전화(PASS) 인증
라. 수정동의안 처리: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
(삼성증권 전자투표서비스 이용약관 제13조 제2항)
5.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주주총회 소집통지 또는 공고를 당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명의개서대행회사(하나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 또는 공시하오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신분증
- 대리행사: 위임장 원본(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 날인), 대리인 신분증
7.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에 관한 안내
질병관리청은 환기가 어려운 3밀(밀폐ㆍ밀집ㆍ밀접) 환경에 처한 경우 및 다수가 모인 밀접한 상황에서 함성ㆍ합창ㆍ대화 등 비말형성 기회가 많은 경우 마스크 착용을 강력히 권고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주주총회장에 직접 참석하실 경우 마스크 착용을 권고드립니다.
COVID-19의 감염 및 전파를 예방하기 위하여 직접 참석 없이 의결권 행사가 가능한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 제도를 적극 권장해 드리며, 별도의 의결권 대리행사를 원하시는 경우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 또는 당사 홈페이지(http://www.hsdengine.com)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 차 | 개최일자 | 의안 내용 | 가결 여부 | 사내이사 성명 | 사외이사 성명 | |||||
이인 (출석률: 75%) | 고영열 100%) | 김관식 88%) | 최종태 100%) | 홍성표 (출석률: 100%) | 강재현 (출석률: 88%) | 김동회 (출석률: 100%) | ||||
찬반여부 | ||||||||||
2022-1차 | 2022.01.11 | 1. 이사회 의장 및 소집권자 선임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2. 집행임원 선임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3. 이사회 내 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022-2차 | 2022.02.08 | 1. '21년 경영실적 보고 2. '21년 준법지원활동 현황 보고 3.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4. '22년 경영계획 및 중장기 사업계획(안) 보고 | 보고 | 참석 | 참석 | 참석 | 참석 | 참석 | 참석 | 참석 |
1. 제23기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 안전보건관리 계획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3. 인화정공㈜과의 거래 승인의 건 | 가결 | 참석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022-3차 | 2022.03.08 | 1. 제23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및 제출의안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2. 전자투표제 도입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1. 내부회계관리제도 평가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제출 | 보고 | 참석 | 참석 | 참석 | 참석 | 참석 | 참석 | 참석 | ||
2022-4차 | 2022.04.21 | 1. 한국산업은행 산업운영자금 만기연장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1. '22년 1분기 경영실적 보고 | 보고 | 참석 | 참석 | 불참 | 참석 | 참석 | 불참 | 참석 | ||
2022-5차 | 2022.05.23 | 1. 유상증자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2. 무상증자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022-6차 | 2022.07.21 | 1. '22년 상반기 경영실적 보고 | 보고 | 불참 | 참석 | 참석 | 참석 | 참석 | 참석 | 참석 |
2022-7차 | 2022.11.01 | 1. 한국산업은행 산업운영자금 만기연장 승인의 건 | 가결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1. '22년 3분기 경영실적 보고 | 보고 | 불참 | 참석 | 참석 | 참석 | 참석 | 참석 | 참석 | ||
2022-8차 | 2022.11.15 | 1. 신규사업 투자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2. 자회사 HSDMI 지분매각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주1) 인화정공㈜과의 거래 승인의 건에 대하여 인화정공㈜ 대표이사인 이인 이사는 해당 안건에 대해 의결권을 행사하지 않았습니다.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감사위원회 | 홍성표, 강재현,김동회 | 2022.02.08 | 1. 외부감사인의 결산감사 보고 2. '21년 내부감사 현황 보고 3.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 보고 |
2022.03.08 | 1. 내부회계관리제도 평가보고서 작성의 건 2. 내부감시장치에 대한 감사의 의견서 작성의 건 3. 감사의 감사보고서 작성의 건 | 가결 | ||
2022.07.21 | 1. '22년 반기 결산 검토결과 보고 | 보고 | ||
2022.11.01 | 1. '22년 3분기 결산 검토결과 보고 | 보고 | ||
홍성표, 김동회 | 2022.04.21 | 1. '22년 1분기 결산 검토결과 보고 2. 내부회계관리제도 평가계획 보고 3. 외부감사인의 비감사용역 계약 협의의 건 | 보고 | |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 홍성표, 강재현,김동회 | 2022.03.08 | 1.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장 선임의 건 | 가결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3 | 3,000 | 106 | 35 |
※ 주총승인금액은 사외이사 3명을 포함한 등기이사 총 7명의 보수한도 총액임.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 해당사항 없음.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인화정공 (최대주주) | 상품 및 용역 매출/매입 등 | 2022.01 ~ 2022.12 | 320 | 5.35% |
※ 상기 비율은 2021년 K-IFRS 별도기준 매출총액 대비 비율임.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선박엔진사업은 조선산업의 시장환경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세계 경기변동, 원자재 가격, 환율 변동 및 국제적인 환경 등 거시경제적 변수에 따라 시황이 변동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디젤발전사업은 세계 각국의 중장기 전력개발 계획에 따라 추진되며, 지역별 산업의 성장과 글로벌 에너지 수요에 따라 변동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즉, 세계 경기 호황에 따른 교역량의 증가는 선박 수요를 증가시키고, 이에따라 선박엔진 수요도 증가되며, 글로벌 경제 성장에 따른 분야별 산업의 활성화는 궁극적으로 에너지 수요를 증대시켜 발전소 건설을 유발하게 됩니다.
1) 선박엔진 및 SCR사업
선박의 심장이라 불리는 선박엔진은 2000년대에 들어 조선산업의 호황과 더불어 급성장한 산업으로서, 일반적으로 선박가액의 약 10%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핵심 품목입니다. 선박용 저속엔진시장은 원천 기술을 보유한 기술사(Licensor)로 MAN-ES(덴마크), WinGD(스위스), Mitsubishi중공업(일본)이 있으나, 세계 시장은 MAN-ES와 WinGD엔진이 시장을 양분하고 있으며, Mitsubishi중공업 독자모델인 UE Type은 일본 내 선박에 일부 적용되고 있어 세계시장 점유율은 미미한 수준입니다. 원천 기술사들은 시장의 요구사항(고효율, 고출력, 저연비 및 친환경 등)을 충족시키기 위해 설계 개선 및 신형 엔진 개발에 지속적인 투자를 하고 있으며, Licensee들은 저속엔진을 제작하여 전 세계 조선소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선박에 있어서 저속엔진은 주 추진기관이며 핵심기자재입니다. 따라서 엔진산업은 해운 및 조선산업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해운 및 조선산업이 발달한 국가들은 경쟁력을 갖춘 엔진 Maker들을 많이 보유하고 있습니다. 국내시장은 HSD엔진, 현대중공업, STX중공업이 MAN-ES 또는 WinGD사와 기술제휴 계약을 체결하고 선박용 대형 저속 디젤엔진을 생산하고 있으며, 전 세계 생산량의 약 50%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경우 Mitsui, Hitachi, Japan Engine 등이 자국 내수시장 물량을 기반으로 안정적 사업활동을 영위 중이며, 중국의 경우 2000년 이후 조선산업의 빠른 성장으로 다수의 엔진업체들이 설립되었습니다. 중국내 주요 엔진 Maker로서 CSSC 산하의 CMD(CSSC-MES Diesel), HHM(Hudong Heavy Machinery), CMP(CSSC Marine Power), CSIC 산하의 CSE(CSIC Diesel Engine), YCMP(YuChai Marine Power)가 중국내 물량을 공급하고 있으며, 2020년 CSSC와 CSIC간 합병을 통한 CSG(China Shipping Group)출범으로 중국내 주요 엔진 Maker들은 현재 CSG 산하 계열회사로 편입되어 있습니다. 유럽은 일본과 한국 업체에 밀려 1980년대 후반부터 하락하다가 2020년대에 들어서 대부분 생산을 중단한 상태입니다.
선박용 중속엔진은 선박의 보기용 엔진 및 중ㆍ소형 선박의 추진용(군함, 해저 시추선, 크루즈선, Ferry선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대형 저속엔진 1대 당 선박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통상 보기용 중속 엔진 3~5대가 세트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선박용 중속엔진시장은 MAN-ES, Wartsila뿐만 아니라 일본의 Yanmar, Daihatsu, Kawasaki, 미국의 Caterpillar 및 한국의 현대중공업 등 다수의 Licensor가 있으며, Licensor들도 직접 엔진을 생산/판매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선박용 중속엔진시장에서는 Licensor들의 시장 지배력이 상대적으로 강하다고 할 수 있으며, 저속엔진 대비 해외시장진입에 제약이 있습니다. 또한, SCR사업은 2016년 1월 1일부터 발효된 국제해사기구(IMO)의 질소산화물 배출규제기준(IMO Tier III)을 충족시키고 점차 강화되는 국제 환경규제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세계 최초로 독자적인 선박용 저온탈질시스템(LPSCR : DelNOx)을 개발하였습니다. 2014년 10월에 저온탈질설비(LP SCR)를 장착한선박용 저속엔진을 최초로 수주하였고, 2018년 고온탈질시스템(HP SCR : DelNOx)을 개발하여 수주 및 납품하고 있습니다. SCR은 선박엔진과 패키지로 수주하는 방식과 개별 수주하는 방식으로 구분되며, 선박엔진의 질소산화물 저감을 위한 종합 Solution Provider로서의 입지를 더욱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2) 부품판매사업
부품판매사업은 선박엔진 및 발전엔진에 대한 부품이나 서비스를 공급하는 사업이며해운산업이 발달한 국가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부품 시장은 원천기술을 보유한 기술사(MAN-ES, WinGD, Wartsila 등)와 당사를 비롯한 엔진 Maker가 경쟁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엔진 Maker로서 기존에 공급했던 선박용 및 발전용 엔진에 대한 A/S 관련 부품 판매 및 기술서비스 제공이 주된 매출을 이루고 있으며, 최근 환경 규제 강화로 인한 관련 부품 수요 증가 등으로 매출이 확대되는 추세입니다.
3) 디젤발전사업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가입되지 않은 신흥국가를 중심으로 전력 수요의 지속적인 성장에 따라, 전력시설이 부족하고 단기간에 전력이 필요한 개발도상국, 기존 발전시설 노후 국가 및 재정 부족에 따른 민자발전(IPP)이 허용된 국가를 중심으로 디젤발전사업의 증대가 예상됩니다. 디젤발전사업은 단위용량 30,000 ~ 50,000kW급 엔진을 사용한 발전시설로서 기저부하용, Peak Load, Emergency용으로 폭넓게 설치/활용되고 있고, 회전 속도에 따라 저속, 중속 및 고속 엔진으로 구분하고 있으며당사는 저속 및 중속 엔진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저속 디젤발전은 국가별 중장기 전력 수급 계획에 따라 국제 공개 입찰 형태로 중속 디젤발전에 비해 낮은 유지/보수비용과 높은 효율을 장점으로 도서지방의 기저부하용으로 주로 사용됩니다. 중속 디젤발전은 사용 목적에 따라 기존 전력망에 접근하기 힘든 도서지방의 소규모 기저부하용, 전력소요 급증 지역의 Captive용, 대규모 플랜트 또는 건물의 Emergency용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원전 비상발전기는 원전의 안전성 및 신뢰성 확보에 필요한핵심 주요기기로서 발전소 외부전원 상실사고(Loss of Off Site Power : LOOP) 시 또는 원자로 냉각제 상실사고(Loss-of-Coolant Accident : LOCA)와 외부전원 상실사고가 동시에 발생하더라도 원자로를 안전하게 정지시키는 데 필요한 비상 전력을 공급하는 기기입니다.
(2) 산업의 성장성
1) 선박엔진 및 SCR사업
선박엔진사업은 해운 및 조선산업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며, 국내 조선산업은 영업력, 연구개발, 생산능력 면에서 세계 조선산업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선박의 대량 발주가 이어지는 등 최대의 호황을 누렸으나, 2008년 9월 미국발 금융 위기, 2011년 그리스발 재정 위기, 2016년 국제해사기구(IMO)의 질소산화물 배출규제 기준(IMO Tier Ⅲ) 발효에 따른 선박 조기 발주(2014~2015년) 및 2020년 COVID-19 등으로 글로벌 경기 침체와 조선/해운산업 발주 감소가 있었으나, 각 Event 발생 1~2년 뒤에는 발주가 급격하게 회복하는 사이클을 반복해오고 있으며, 신조발주와 연동되어 세계 엔진업체들 또한 생산능력대비 실제 가동률의 증감이 발생되어 왔습니다. 세계 경제성장에 따른 물동량 증가와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 강화 및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친환경연료추진 선박 발주 및 노후선 교체 수요 증가로 신조발주는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며, 한국이 세계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점하고 있는 LNG운반선, 대형 컨테이너선 발주가 상대적으로 견조할 것으로예상됩니다. 또한, 당사의 경쟁우위가 더 높은 저속 이중연료엔진의 적용 범위가 LNG운반선 뿐만 아니라 일반 상선(컨테이너선 등)에도 확대 적용되고 있는 바, 중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생산물량의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2) 부품판매사업
저속엔진 부품판매시장은 원천 기술을 보유한 기술사(Licensor)인 MAN-ES(덴마크), WinGD(스위스)가 전세계 Network를 통하여 시장을 확장하고 있으며, 2008년 이후해운경기 침체로 인해 부품 공급시장의 경쟁이 치열하여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당사는 부품 사업 활성화 전략을 수립하여 고객 대상 직접 영업 확대, 대리점 파트너십 강화 및 Stock 보유를 통한 부품 납기단축 등으로 2016년 이후 부품판매 사업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 더욱 성장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3) 디젤발전사업
저속 디젤발전시장은 연평균 100MW 규모로 전력청 주관의 국제공개 입찰을 통해 그리스 및 중남미 지역 등 기존 발전소의 Extension 프로젝트 중심으로 프로젝트 발주가 되었으나, 최근 발주 빈도가 다소 줄어들고 있습니다. 중속 디젤발전시장은 아프리카, 아시아 개발도상국 중심으로 시장 개방 및 산업 가속화에 따른 단 납기 디젤 발전소 건설 수요가 발생되고 있습니다. 향후 연간 시장규모는 약 5~6GW로 예상되며, 친환경 연료(Gas, Dual Fuel 등)를 사용하는 발전시장이 더욱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1) 선박엔진 및 SCR사업
당사의 주력사업인 선박엔진사업은 전방산업인 조선산업의 경기변동과 밀접한 연관관계가 있으며, 조선산업은 해운산업에 영향을 받는 특성이 있습니다. 조선시장은 세계 경제성장률, 선박해체 사이클 및 국제적 환경규제 등에 따라 주기적으로 시장의 확대와 축소가 반복되는 경향이 있으며, 선박엔진의 매출은 선박 건조 일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습니다. 통상 선박의 수명과 엔진의 수명은 25년 내외로 동일하다고 인식되고 있으므로, 주기적인 선박 대체 수요와 연동하여 선박엔진 수요도 발생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러나, 환경 규제(IMO의 NOx, SOx, CO2 배출 규제 강화) 및 안전 규제 강화(해상운항 규정 강화) 등으로 선박의 폐선 연령이 과거 대비 단축되고 있는 바, 동 주기가 일치하지 않는 경향도 있습니다. 당사의 선박엔진사업은 수출(Local 수출 및 직수출)이 전체 매출 비중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환율 및 금리 등 국내외 경제상황과도 많은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2) 부품판매사업
선박엔진에 부품을 공급ㆍ판매하는 선박엔진 부품판매 사업은 해운산업의 경기변동과 밀접한 연관관계가 있습니다. 해운산업의 경기의 변동에 따라 운항하는 선박의 수량이 변동되며, 선박의 운항시간이 변동됨에 따라 소요되는 부품의 판매가 변동되는 특성이 있습니다. 발전엔진은 육상에 설치되어 운전되는 엔진으로 각국의 환경규제 및 엄격한 품질관리로 인하여 엔진을 직접 제작ㆍ공급한 엔진 Maker나 원천기술을 보유한 기술사(Licensor)가 해당 엔진에 부품을 공급ㆍ판매하고 있어, 디젤발전엔진의 수요에 따라 발전엔진부품 수요가 많은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3) 디젤발전사업
주요 국가에서는 전력 수급을 효과적으로 계획, 통제하기 위해 전력개발계획을 수립하여 중장기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므로 디젤발전사업은 여타 산업에 비해 경기변동의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은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경기변동에 따른 국제원유가격의 상승과 하락이 디젤발전사업의 신규 투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경제활동의 원동력인 중간 생산재(에너지)를 생산하는 기간산업이자 설비산업으로서 투자규모가 비교적 크고 자본의 회수기간이 길어 전반적인 경기상황, 정부의 사회간접자본 투자정책, 기업의 설비투자 동향 등에 따라 수요와 공급이 결정되고 있습니다.
(4) 경쟁요소
저속엔진은 License 산업으로 원천기술을 보유한 기술사(Licensor)는 직접 생산에 참여하지 않고 Licensee인 엔진 Maker들과 기술제휴계약 체결을 통해 경쟁 체제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중속엔진의 경우에는 기술사(Licensor)도 직접 생산 및 경쟁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국내 선박엔진시장은 HSD엔진, 현대중공업, STX엔진, STX중공업이 시장진입의 제한성(Captive Market / In-House 물량), 생산설비 상의 차별화 등으로 국내시장의 판도는 큰 변화 없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해외시장에서는 중국 엔진 Maker, 일본 엔진 Maker 등과 가격, 품질, 생산경쟁력에서의 우위를 바탕으로 수주 경쟁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원가경쟁력은 산업 내 생존 및 성장에 필수 요소로 간주되는바, 당사는 전사적 원가절감 활동 및 생산성 향상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있으며, 시장점유율 확대와 수익률 증대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디젤발전사업의 경쟁력은 엔지니어링, 원자재 구매, 기자재 설계/생산, 시공 전 과정의 유기적인 결합을 통해 발전소 효율, 설비 경제성, 납기 등 고객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가에 좌우됩니다. 세계적 디젤발전 공급업체들은 현지의 경쟁력 있는 파트너사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확보한 기술과 생산능력을 바탕으로 시장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으며, 설계, 엔지니어링 등 고부가가치 부문의 사업분야는 자체 수행하고, 단순설비의 생산과 설치 등은 후발업체와의 협력계약 등 수직적 재편을 통해 수익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5) 자금조달의 특성
선박엔진사업은 조선소와 엔진 요구사양을 확정한 후, 견적 제출 및 가격 협상하여 계약을 체결합니다. 통상 수금조건은 선수금, 중도금, 잔금으로 구분되며 그 비율은 시장 상황 및 PJT 별 특성에 따라 결정됩니다. 영업활동 및 국내 금융기관차입을 통해 조달한 자금은 운영자금 및 설비투자등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6) 관련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
국제해사기구(IMO)의 온실가스 배출규제가 심화됨에 따라 친환경ㆍ고효율엔진 생산, 탈질시스템(SCR) 및 첨단 ICT 기술을 활용한 선박용 친환경 기자재와 육상용 친환경기술 등을 연구 개발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1) 영업개황
2022년 신조발주는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에 따른 에너지 가격 폭등, 글로벌 인플레이션 우려에 따른 금리인상 및 미국과 중국간 갈등 심화 등에 따른 세계 경제성장률 둔화 우려로 2021년 대비 약 20% 감소한 약 42mCGT가 발주되었으며, LNG선과컨테이너선이 시장 발주를 주도하였습니다. 특히, LNG선은 카타르 LNG선 1단계 총66척 발주 등 사상 최대 발주(170여척)를 기록하였습니다. 그러나, 글로벌 경기 둔화,미국의 긴축정책 강화에 따른 세계 경제성장률 하향 전망 등으로 주요 원자재가 하락및 컨테이너선 운임(SCFI) 급락 및 벌크선 운임(BDI)은 약 1,500p까지 하락하였으며, 2023년에도 해상운임은 물동량 감소 및 선복량 과잉으로 상승보다는 하락 내지 유지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조선가는 여전히 수개월 동안 162p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영국 해운분석 전문기관인 클락슨은 2022년 9월 신조발주 전망에서 2023년 신조발주는 38.2mCGT로 올해 대비 약 10% 감소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영국 해운분석 전문기관 MSI (Maritime Strategies International)는 컨테이너/탱커/벌커 시장에 대해 클락슨 전망 대비 각각 약 80%, 23%, 40% 발주 감소를 전망하는 등 전문기관들 조차 현재 글로벌 경제 상황에 대해 다른 시각을 보이고 있습니다. LNG선은 카타르 2단계 발주, 모잠비크 프로젝트 발주 및 유럽 에너지 수입원 다변화에 따른 수요 증가로 견조한 발주가 예상되며, 역사적으로 수주 잔고가 낮은 탱커선은 발주가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2021년 사상 최대 발주를 보였던 컨테이너선의 경우에는 발주 조정, 벌커선의 경우에는 2023년 하반기에 수요가 완만하게 회복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LNG선 시장은 지금까지 한국이 주도하였으나, 한국 조선소들의 건조 Slot 부족 (Backlog 증가)으로 인해 중국 Hudong조선소 외 Jiangnan, DSIC, CMHI 및 Yangzijiang이 LNG선 건조 시장에 진입하였으나, 기술력에서 한국 조선소 대비 열위인 바, 한국 조선소의 경쟁력 우위는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우크라이나-러시아간 전쟁 장기화, 글로벌 인플레이션 리스크 등 세계 경기 둔화 및 침체 시그널이 많아 신조 발주에 대한 불확실성은 높아 보입니다. 주요 조선소와 동일하게 엔진업체들도 2년 이상의 물량을 거의 확보한 상황인 바, 과거와 같이 치열한 수주 경쟁보다는 수익성을 고려한 선별 엔진수주로 경쟁 강도는 다소 완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제 사회의 환경규제 강화 및 Eco-ship 니즈 증가에 따라 이중연료(Dual-Fuel) 추진엔진 및 탈질설비(SCR, EGR) 등 친환경ㆍ고효율 기자재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친환경 Gas엔진(LNG, LPG, 메탄올, 에탄올 등) 적용 비중은 모든 선종으로 지속 확대 예상됩니다.
2)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선박엔진 위주의 엔진 전문메이커로서 선박엔진 및 이에 부수되는 부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디젤발전사업의 사업비중은 선박엔진사업 대비 미미한 수준입니다. 또한 디젤발전의 주기기는 선박용 엔진과 동일한 디젤엔진으로 구성되므로 선박엔진과 디젤발전사업을 분리할 경우 정보오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사업부문을 구분하지 않고 사업분류를 내연기관제조업(표준산업분류 : 29111)으로 단일화 하였습니다.
(2) 시장점유율
1) 선박엔진사업
당사는 세계 2위의 저속엔진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한국 3개 엔진업체가 전세계 엔진의 평균 50% 이상을 생산하여 선박에 탑재하고 있습니다.
2) 부품판매사업
부품판매시장은 원천기술사와 경쟁 및 유사품 시장의 존재로 선박엔진 점유율보다는낮지만 수주 활성화 영업전략 추진을 통해 매출 증가 및 점유율 개선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3) 디젤발전사업
저속 디젤발전시장은 기술사(Licensor)가 시장에 참여하지 않으므로 엔진업체가 직접 시장 참여가 가능하여 당사를 비롯한 현대중공업, STX중공업, STX엔진, Burmeister & Wain Scandinavian Contractor A/S 등의 업체가 시장에 참여하고 있고, 중속디젤발전시장은 Licensor가 직접 시장에 참여하고 있어 전략시장의 경우 Licensee의시장 참여를 제한하고 있으나 가격 및 납기의 우수성으로 주요 기자재(엔진 및 발전기)에 대해 기술사(Licensor)의 Sub-contractor로서 시장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선박엔진사업은 조선산업의 시장 환경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세계 경기변동, 원자재 가격 변동, 환율 변동 및 국제적인 정황 등 거시경제적 변수에 따라 시황이 변동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디젤발전사업은 세계 각국의 장기 전력개발 계획에 따라 추진되며, 지역별 산업의 번영과 글로벌 에너지 수요에 따라 변동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에 관한 사항
당사는 국내외 시장 환경 및 정책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선박엔진 및 엔진 부품과 관련된 친환경, 고효율화 위주의 엔진 개발화에 발맞춰 사업포트폴리오 확대를 추진하고 있으며, 탈탄소화와 선박 디지털화를 위한 친환경 선박시대에 맞추어 선박엔진 관련 신규사업 기회 발굴을 위한 다양한 사업화를 검토 중에 있습니다.
(5) 조직도
조직도(23.01.01) |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경영참고사항의 1. 사업의 개요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아래의 재무제표는 감사전 연결ㆍ별도 재무제표입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향후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연결ㆍ별도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연결재무제표
연 결 재 무 상 태 표 | |
제 24 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 |
제 23 기 2021년 12월 31일 현재 | |
HSD엔진주식회사와 그 종속기업 | (단위 : 원) |
과 목 | 제 24 기 당기말 | 제 23 기 전기말 | ||
---|---|---|---|---|
자산 | ||||
Ⅰ. 유동자산 | 471,073,549,323 | 344,869,456,683 | ||
1. 현금및현금성자산 | 54,559,248,122 | 54,072,266,173 | ||
2. 단기금융상품 | 15,156,821,146 | 12,702,287,146 | ||
3. 단기대여금 | 100,500,000 | 122,950,000 | ||
4.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71,262,893,167 | 59,573,794,114 | ||
5. 계약자산 | - | 12,664,661,392 | ||
6. 당기법인세자산 | 211,852,028 | 146,292,017 | ||
7. 파생상품평가자산 | 26,864,011,792 | 169,315,587 | ||
8. 확정계약평가자산 | 29,050,983,688 | 16,938,663,740 | ||
9. 재고자산 | 252,292,722,915 | 179,427,930,207 | ||
10. 기타유동자산 | 14,647,137,265 | 9,051,296,307 | ||
11. 매각예정자산 | 6,927,379,200 | - | ||
Ⅱ. 비유동자산 | 485,156,745,315 | 450,755,269,606 | ||
1. 장기금융상품 | 7,895,662,158 | 406,000,000 | ||
2. 장기투자증권 | 112,769,500 | 112,769,500 | ||
3. 관계기업투자 | 36,484,567,469 | 2,839,406,602 | ||
4. 장기대여금 | 266,742,409 | 309,892,187 | ||
5. 장기기타채권 | 591,966,475 | 579,582,073 | ||
6. 유형자산 | 354,241,662,501 | 361,262,629,490 | ||
7. 사용권자산 | 10,742,300,647 | 11,937,804,054 | ||
8. 투자부동산 | 47,192,314,400 | 47,673,850,000 | ||
9. 무형자산 | 3,448,288,018 | 3,755,141,712 | ||
10. 파생상품평가자산 | 265,621,040 | 13,220,328 | ||
11. 확정계약평가자산 | 9,766,573,566 | 6,117,986,107 | ||
12. 이연법인세자산 | 13,110,980,327 | 13,995,032,599 | ||
13. 기타비유동자산 | 1,037,296,805 | 1,751,954,954 | ||
자산총계 | 956,230,294,638 | 795,624,726,289 | ||
부채 | ||||
Ⅰ. 유동부채 | 498,756,380,835 | 431,103,692,458 | ||
1.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133,169,767,748 | 124,028,520,106 | ||
2. 계약부채 | 125,312,311,812 | 131,316,832,658 | ||
3. 단기차입금 | 125,000,000,000 | 127,850,090,917 | ||
4. 유동성장기차입금 | 57,055,748,000 | 8,412,000,002 | ||
5. 파생상품평가부채 | 31,228,786,756 | 17,871,973,906 | ||
6. 확정계약평가부채 | 730,968,119 | 65,193,039 | ||
7. 유동성충당부채 | 9,805,646,816 | 7,490,204,640 | ||
8. 기타유동부채 | 16,453,151,584 | 14,068,877,190 | ||
Ⅱ. 비유동부채 | 235,848,085,863 | 155,419,715,744 | ||
1. 장기차입금 | 19,695,118,000 | 75,707,999,998 | ||
2. 장기기타채무 | 8,747,386,104 | 9,704,520,123 | ||
3. 계약부채 | 150,627,169,494 | 44,322,814,092 | ||
4. 순확정급여부채 | 4,818,175,225 | 9,270,244,809 | ||
5. 파생상품평가부채 | 6,869,163,042 | 7,165,834,388 | ||
6. 확정계약평가부채 | 26,237,490,489 | 76,411,852 | ||
7. 충당부채 | 15,612,386,425 | 5,706,538,486 | ||
8. 기타비유동부채 | 3,241,197,084 | 3,465,351,996 | ||
부채총계 | 734,604,466,698 | 586,523,408,202 | ||
자본 | ||||
I. 지배회사 소유주지분 | 221,625,827,940 | 209,101,318,087 | ||
1. 자본금 | 71,543,994,000 | 46,721,246,000 | ||
2. 자본잉여금 | 273,460,959,097 | 208,952,943,609 | ||
3. 기타자본항목 | (54,909,839,886) | (54,788,960,036) | ||
4.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79,075,993,165 | 79,022,727,838 | ||
5. 결손금 | (147,545,278,436) | (70,806,639,324) | ||
Ⅱ. 비지배지분 | - | - | ||
자본총계 | 221,625,827,940 | 209,101,318,087 | ||
부채와 자본총계 | 956,230,294,638 | 795,624,726,289 |
연 결 손 익 계 산 서 | |
제 24 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제 23 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
HSD엔진주식회사와 그 종속기업 | (단위 : 원) |
과목 | 제 24 기 당기 | 제 23 기 전기 | ||
---|---|---|---|---|
Ⅰ. 매출액 | 764,242,847,008 | 598,999,092,899 | ||
Ⅱ. 매출원가 | 761,981,340,050 | 609,139,323,535 | ||
Ⅲ. 판매비와관리비 | 31,795,724,321 | 29,637,924,010 | ||
Ⅳ. 영업손실 | (29,534,217,363) | (39,778,154,646) | ||
금융수익 | 137,101,783,385 | 56,097,128,213 | ||
금융비용 | 147,236,708,129 | 62,409,685,117 | ||
기타영업외수익 | 3,878,009,938 | 6,829,912,830 | ||
기타영업외비용 | 1,528,521,634 | 11,163,803,492 | ||
지분법적용투자손익 | (1,348,972,554) | 10,277,665 | ||
Ⅴ.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 (38,668,626,357) | (50,414,324,547) | ||
법인세비용(수익) | 1,603,765,898 | (10,676,101,346) | ||
Ⅵ. 연결당기순손실 | (40,272,392,255) | (39,738,223,201) | ||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 (40,272,392,255) | (39,738,223,201) | ||
비지배지분 | - | - | ||
Ⅶ. 지배기업 소유주지분에 대한 주당손익 | ||||
기본주당순손실 | (647) | (778) | ||
희석주당순손실 | (647) | (778) |
연 결 포 괄 손 익 계 산 서 | |
제 24 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제 23 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
HSD엔진주식회사와 그 종속기업 | (단위 : 원) |
과목 | 제 24 기 당기 | 제 23 기 전기 | ||
---|---|---|---|---|
Ⅰ. 연결당기순손실 | (40,272,392,255) | (39,738,223,201) | ||
Ⅱ. 연결기타포괄손익 | 3,281,495,297 | 6,612,911,839 |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 ||||
1.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3,093,092,055 | (1,477,158,056) | ||
2. 토지재평가잉여금 | 1,022,541,458 | 7,794,064,891 |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 | ||||
1. 해외사업환산손익 | (328,271,637) | (4,961,469) | ||
2. 지분법자본변동 | (505,866,579) | 300,966,473 | ||
Ⅲ. 연결당기총포괄손실 | (36,990,896,958) | (33,125,311,362) | ||
Ⅳ. 연결당기총포괄손익의 귀속 | ||||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 (36,990,896,958) | (33,125,311,362) | ||
비지배지분 | - | - |
(2) 별도재무제표
재 무 상 태 표 | |
제 24 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 |
제 23 기 2021년 12월 31일 현재 | |
HSD엔진주식회사 | (단위 : 원) |
과목 | 제 24 기 당기말 | 제 23 기 전기말 | ||
---|---|---|---|---|
자산 | ||||
Ⅰ. 유동자산 | 471,073,549,323 | 346,614,993,763 | ||
1. 현금및현금성자산 | 54,559,248,122 | 53,585,633,679 | ||
2. 단기금융상품 | 15,156,821,146 | 12,702,287,146 | ||
3. 단기대여금 | 100,500,000 | 1,357,493,832 | ||
4.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71,262,893,167 | 61,460,626,918 | ||
5. 계약자산 | - | 12,664,661,392 | ||
6. 당기법인세자산 | 211,852,028 | 146,292,017 | ||
7. 파생상품평가자산 | 26,864,011,792 | 169,315,587 | ||
8. 확정계약평가자산 | 29,050,983,688 | 16,938,663,740 | ||
9. 재고자산 | 252,292,722,915 | 179,045,977,387 | ||
10. 기타유동자산 | 14,647,137,265 | 8,544,042,065 | ||
11. 매각예정자산 | 6,927,379,200 | - | ||
Ⅱ. 비유동자산 | 485,156,745,315 | 445,773,774,182 | ||
1. 장기금융상품 | 7,895,662,158 | 406,000,000 | ||
2. 장기투자증권 | 112,769,500 | 112,769,500 | ||
3. 종속기업및관계기업투자 | 36,484,567,469 | 2,839,406,602 | ||
4. 장기대여금 | 266,742,409 | 309,892,187 | ||
5. 장기기타채권 | 591,966,475 | 579,582,073 | ||
6. 유형자산 | 354,241,662,501 | 358,378,915,468 | ||
7. 사용권자산 | 10,742,300,647 | 11,937,804,054 | ||
8. 투자부동산 | 47,192,314,400 | 47,673,850,000 | ||
9. 무형자산 | 3,448,288,018 | 3,755,141,712 | ||
10. 파생상품평가자산 | 265,621,040 | 13,220,328 | ||
11. 확정계약평가자산 | 9,766,573,566 | 6,117,986,107 | ||
12. 이연법인세자산 | 13,110,980,327 | 13,165,330,313 | ||
13. 기타비유동자산 | 1,037,296,805 | 483,875,838 | ||
자산총계 | 956,230,294,638 | 792,388,767,945 | ||
부채 | ||||
Ⅰ. 유동부채 | 498,797,878,814 | 428,139,573,891 | ||
1.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133,211,265,727 | 123,914,492,456 | ||
2. 계약부채 | 125,312,311,812 | 131,316,832,658 | ||
3. 단기차입금 | 125,000,000,000 | 125,000,000,000 | ||
4. 유동성장기차입금 | 57,055,748,000 | 8,412,000,002 | ||
5. 파생상품평가부채 | 31,228,786,756 | 17,871,973,906 | ||
6. 확정계약평가부채 | 730,968,119 | 65,193,039 | ||
7. 유동성충당부채 | 9,805,646,816 | 7,490,204,640 | ||
8. 기타유동부채 | 16,453,151,584 | 14,068,877,190 | ||
Ⅱ. 비유동부채 | 235,848,085,863 | 155,419,715,744 | ||
1. 장기차입금 | 19,695,118,000 | 75,707,999,998 | ||
2. 장기기타채무 | 8,747,386,104 | 9,704,520,123 | ||
3. 계약부채 | 150,627,169,494 | 44,322,814,092 | ||
4. 순확정급여부채 | 4,818,175,225 | 9,270,244,809 | ||
5. 파생상품평가부채 | 6,869,163,042 | 7,165,834,388 | ||
6. 확정계약평가부채 | 26,237,490,489 | 76,411,852 | ||
7. 충당부채 | 15,612,386,425 | 5,706,538,486 | ||
8. 기타비유동부채 | 3,241,197,084 | 3,465,351,996 | ||
부채총계 | 734,645,964,677 | 583,559,289,635 | ||
자본 | ||||
Ⅰ. 자본금 | 71,543,994,000 | 46,721,246,000 | ||
Ⅱ. 자본잉여금 | 273,460,959,097 | 208,952,943,609 | ||
Ⅲ. 기타자본항목 | (54,909,839,886) | (54,788,960,036) | ||
Ⅳ.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78,531,183,944 | 77,643,780,401 | ||
Ⅴ. 결손금 | (147,041,967,194) | (69,699,531,664) | ||
자본총계 | 221,584,329,961 | 208,829,478,310 | ||
부채와 자본총계 | 956,230,294,638 | 792,388,767,945 |
손 익 계 산 서 | |
제 24 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제 23 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
HSD엔진주식회사 | (단위 : 원) |
과목 | 제 24 기 당기 | 제 23 기 전기 | ||
---|---|---|---|---|
Ⅰ. 매출액 | 763,631,485,070 | 598,748,462,772 | ||
Ⅱ. 매출원가 | 761,320,053,403 | 608,243,727,520 | ||
Ⅲ. 판매비와관리비 | 30,308,523,049 | 28,613,434,024 | ||
Ⅳ. 영업손실 | (27,997,091,382) | (38,108,698,772) | ||
금융수익 | 137,072,332,738 | 56,333,345,412 | ||
금융비용 | 146,581,085,191 | 62,074,392,454 | ||
기타영업외수익 | 7,713,396,287 | 6,824,466,426 | ||
기타영업외비용 | 10,309,677,513 | 9,889,185,555 | ||
Ⅴ.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 (40,102,125,061) | (46,914,464,943) | ||
법인세비용(수익) | 774,063,612 | (9,899,789,483) | ||
Ⅵ. 당기순손실 | (40,876,188,673) | (37,014,675,460) | ||
Ⅶ. 주당손익 | ||||
기본주당순손실 | (657) | (725) | ||
희석주당순손실 | (657) | (725) |
포 괄 손 익 계 산 서 | |
제 24 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제 23 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
HSD엔진주식회사 | (단위 : 원) |
과목 | 제 24 기 당기 | 제 23 기 전기 | ||
---|---|---|---|---|
Ⅰ. 당기순손실 | (40,876,188,673) | (37,014,675,460) | ||
Ⅱ. 기타포괄손익 | 4,115,633,513 | 6,316,906,835 |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 ||||
1.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3,093,092,055 | (1,477,158,056) | ||
2. 토지재평가잉여금 | 1,022,541,458 | 7,794,064,891 | ||
Ⅲ. 당기총포괄손실 | (36,760,555,160) | (30,697,768,625) |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제24기 | 2022년 1월 1일 부터 | 제23기 | 2021년 1월 1일 부터 | ||
2022년 12월 31일 까지 | 2021년 12월 31일 까지 | ||||
처리예정일 | 2023년 3월 23일 | 처리확정일 | 2022년 3월 24일 |
HSD엔진주식회사 | (단위 : 원) |
과목 | 제 24 기 | 제 23 기 | ||
---|---|---|---|---|
I. 미처리결손금 | (150,941,967,194) | (73,599,531,664) | ||
1. 전기이월미처리결손금 | (73,599,531,664) | (35,107,698,148) | ||
2. 회계정책변경효과 | (39,694,476,827) | - | ||
3. 당기순손실 | (40,876,188,673) | (37,014,675,460) | ||
4. 토지 재평가잉여금의 이익잉여금 대체 | 135,137,915 | - | ||
5.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3,093,092,055 | (1,477,158,056) | ||
II. 임의적립금 등의 이입액 | - | - | ||
III. 결손금 처리액 | - | - | ||
IV. 차기이월미처리결손금 | (150,941,967,194) | (73,599,531,664)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 | 해당사항 없음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5조(발행예정주식의 총수) ① 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는 1억 2천만주로 한다(이하"수권주식“) | 제5조(발행예정주식의 총수) ① 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는 1억 7천만주로 한다(이하"수권주식“) | 유무상증자로 인한 발행가능 주식수 감소에 따른 수권주식수 증가 |
<신설> | 제12조의2(주주명부 작성ㆍ비치) ① 이 회사는 전자등록기관으로부터 소유자명세를 통지받은 경우 통지받은 사항과 통지 연월일을 기재하여 주주명부를 작성ㆍ비치하여 한다. ② 이 회사는 5% 이상 지분을 보유한 주주(특수관계인 등을 포함한다)의 현황에 변경이 있는 등 필요한 경우에 전자등록기관에 소유자명세의 작성을 요청할 수 있다. ③ 이 회사는 전자문서로 주주명부를 작성한다. | 전자증권 제도 도입에 따른 규정 신설 |
※ 기타 참고사항
- 변경 정관(안)은 제24기 정기주주총회 특별결의로 최종 확정 예정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홍성표 | 1953.03.03 | 사외이사 | - | 해당사항 없음 |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
김동회 | 1969.10.09 | 사외이사 | - | 해당사항 없음 |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
총 ( 2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홍성표 | HSD엔진㈜ 사외이사 | 2001 ~ 2008 2008 ~ 2011 2017 ~ 2022 2018 ~ 현재 | 前) SGI신용정보㈜ 대표이사 등 前) 신용회복위원회 위원장 前) 엠벤처투자㈜ 사외이사 現) HSD엔진㈜ 사외이사 | 없음 |
김동회 | 서우회계법인 전무이사 | 1993 ~ 2017 2017 ~ 2019 2019 ~ 현재 2018 ~ 현재 | 前) 안진회계법인 전무이사 등 前) 호연회계법인 전무이사 現) 서우회계법인 전무이사 現) HSD엔진㈜ 사외이사 |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홍성표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김동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홍성표 이사> 본인은 국세청, 재무부 세제국, SGI 대표이사 및 신용회복위원회 위원장 등으로 활동한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HSD엔진 사외이사로서 사업에 대해 조언, 회사의 업무와 재산상태를 충실히 감사함과 동시에 사회적인 책임을 다하고 주주의 가치를 높이는데 있어 소임을 다하겠으며 독립적이고 책임있는 의결결정을 통해 이사회의 투명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겠습니다. 또한 현안과 관련된 자료를 면밀히 검토하고 이사회 활동에 충분한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는 등 이사로서의 책임과 의무를 충실히 수행하여 이사회 중심경영을 실천하는데 일조하겠습니다. <김동회 이사> 본인은 안진회계법인 전무이사 등을 역임하고 다수의 M&A 및 구조조정 자문을 수행하였던 경험 및 공인회계사로서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HSD엔진 사외이사로서 사업에 대해 조언, 회사의 업무와 재산상태를 충실히 감사함과 동시에 사회적인 책임을 다하고 주주의 가치를 높이는데 있어 소임을 다하겠으며 독립적이고 책임있는 의결결정을 통해 이사회의 투명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겠습니다. 또한 현안과 관련된 자료를 면밀히 검토하고 이사회 활동에 충분한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는 등 이사로서의 책임과 의무를 충실히 수행하여 이사회 중심경영을 실천하는데 일조하겠습니다.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홍성표 이사> 민간 및 관공기관 경력을 보유한 금융분야 전문가로, 특히 투명성이 요구되는 공직인 신용회복위원회 위원장(차관급) 역임 경력과 타사 사외이사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경영진과 최대주주로부터 독립되어 회사의 경영투명성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김동회 이사> 안진회계법인 전무이사(파트너)를 역임하고 다수의 M&A 및 구조조정 자문을 수행하였으며, 관련 법규상 감사위원회에 1인 이상 요구되는 회계/재무 전문가로서의 역할 수행 및 회사의 회계투명성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경영진과 최대주주로부터 독립되어 회사 기업가치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됨. |
확인서
01_홍성표이사 확인서 |
02_김동회이사 확인서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감사위원회 위원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홍성표 | 1953.03.03 | 사외이사 | - | 해당사항 없음 | 이사회 |
김동회 | 1969.10.09 | 사외이사 | - | 해당사항 없음 | 이사회 |
총 ( 2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홍성표 | HSD엔진㈜ 사외이사 | 2001 ~ 2008 2008 ~ 2011 2017 ~ 2022 2018 ~ 현재 | 前) SGI신용정보㈜ 대표이사 등 前) 신용회복위원회 위원장 前) 엠벤처투자㈜ 사외이사 現) HSD엔진㈜ 사외이사 | 없음 |
김동회 | 서우회계법인 전무이사 | 1993 ~ 2017 2017 ~ 2019 2019 ~ 현재 2018 ~ 현재 | 前) 안진회계법인 전무이사 등 前) 호연회계법인 전무이사 現) 서우회계법인 전무이사 現) HSD엔진㈜ 사외이사 |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홍성표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김동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홍성표 이사> 민간 및 관공기관 경력을 보유한 금융분야 전문가로, 특히 투명성이 요구되는 공직인 신용회복위원회 위원장(차관급) 역임 경력과 타사 사외이사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경영진과 최대주주로부터 독립되어 회사의 경영투명성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김동회 이사> 안진회계법인 전무이사(파트너)를 역임하고 다수의 M&A 및 구조조정 자문을 수행하였으며, 관련 법규상 감사위원회에 1인 이상 요구되는 회계/재무 전문가로서의 역할 수행 및 회사의 회계투명성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경영진과 최대주주로부터 독립되어 회사 기업가치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됨. |
확인서
01_홍성표이사 확인서 |
02_김동회이사 확인서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제25기, 2023년)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7 ( 3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30억원 |
전 기 (제24기, 2022년)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7 ( 3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9.4억원 |
최고한도액 | 30억원 |
※ 기타 참고사항
주1) 당기 : 금번 주주총회에서 승인할 제25기 이사보수 한도액
전기 : 직전 주주총회에서 승인한 제24기 이사보수 한도액
주2) 이사 보수한도액은 이사 및 감사위원의 보수를 포함한 금액임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2023년 03월 15일 |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당사는 2023년 3월 15일까지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할 예정이며, 당사 홈페이지에도 게재할 예정입니다.
ㆍ 당사 홈페이지 경로(http://www.hsdengine.com)
- 사업보고서: 투자정보 > 전자공고
- 감사보고서: 투자정보 > 재무정보 > 감사보고서
한편 이 사업보고서는 향후 주주총회 이후 변경되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당사는 이번 정기주주총회에서도 주주님께서 주주총회에 직접 참석하지 않고도
가. 전자투표 인터넷 및 모바일 주소 「https://vote.samsungpop.com」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2023년 3월 10일 9시 ~ 2023년 3월 22일 17시 - 기간 중 24시간 의결권 행사 가능(단, 마감일은 17시까지 가능.)
다. 주주 본인 인증 확인 후 의안별 의결권 행사 또는 전자위임장 수여 - 본인 인증 방법: 공동인증, 카카오페이, 휴대전화(PASS) 인증
라. 수정동의안 처리: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됩니다. (삼성증권 전자투표서비스 이용 약관 제13조 제2항)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070006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