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조건확정]증권신고서(지분증권) 2023-09-18 17:39: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918000326
금융위원회 귀중 | 2023 년 09 월 18 일 |
회 사 명 : | 메디포스트 주식회사 |
대 표 이 사 : | 오 원 일 |
본 점 소 재 지 :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왕판교로 644번길 21 |
(전 화) 02-3465-6677 | |
(홈페이지) http://www.medi-post.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신고업무 담당임원 (성 명) 윤 석 모 |
(전 화) 02-3465-6677 |
1. 정정대상 신고서의 최초제출일 : 2023년 07월 25일
2. 모집 또는 매출 증권의 종류 : 기명식 보통주 13,215,859주
3. 모집 또는 매출금액 :
4. 정정사유 : 1차 발행가액 확정에 따른 정정
5. 정정사항
[증권신고서 제출 및 정정 연혁]
제출일자 | 문서명 | 비고 |
---|---|---|
2023년 07월 25일 | 증권신고서(지분증권) | 최초제출 |
2023년 08월 08일 | [기재정정]증권신고서(지분증권) | 정정제출 요구에 따른 기재정정 (굵은 파란색) |
2023년 08월 17일 | [기재정정]증권신고서(지분증권) | 2023년 반기보고서 반영에 따른 기재정정 (굵은 빨간색) |
2023년 08월 31일 | [기재정정]증권신고서(지분증권) | 자진정정 및 일정 변경에 따른 기재정정 (굵은 녹색) |
2023년 09월 08일 | [기재정정]증권신고서(지분증권) | 자진정정에 따른 기재정정 (굵은 보라색) |
2023년 09월 18일 | [발행조건확정]증권신고서(지분증권) | 1차 발행가액 확정에 따른 기재정정 (굵은 하늘색) |
[정정사항]
항 목 | 정 정 전 | 정 정 후 |
---|---|---|
- 단순 오타, 표현 수정, 기준일 수정 등은 별도의 색깔표시 없이 정정하였습니다. - 정정사항 확인의 편의를 위해 정정사항은 '굵은 하늘색 글씨체'를 사용하여 기재하였습니다. | ||
공통 정정사항 | ||
주당 모집가액 또는 매출가액 및 모집총액 또는 매출총액 | 주당 모집가액 또는 매출가액: 9,080원 모집총액 또는 매출총액: 119,999,999,720원 | 주당 모집가액 또는 매출가액: 5,890원 모집총액 또는 매출총액: 77,841,409,510원 |
요약정보 | ||
2.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주1) 정정 전 | (주1) 정정 후 |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
I.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
1. 공모개요 | (주2) 정정 전 | (주2) 정정 후 |
4. 모집 또는 매출 절차 등에 관한 사항 | (주3) 정정 전 | (주3) 정정 후 |
III. 투자위험요소 | ||
2. 회사위험 - 마.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지분 변동 위험 | (주4) 정정 전 | (주4) 정정 후 |
3. 기타위험 - 다. 증자방식, 청약절차에 대한 주의 및 주가하락 위험 | (주5) 정정 전 | (주5) 정정 후 |
V. 자금의 사용 목적 | ||
2. 자금의 사용목적 | (주6) 정정 전 | (주6) 정정 후 |
(주1) 정정 전
2.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단위 : 원, 주) |
증권의 종류 | 증권수량 | 액면가액 | 모집(매출) 가액 | 모집(매출) 총액 | 모집(매출) 방법 |
---|---|---|---|---|---|
보통주 | 13,215,859 | 500 | 9,080 | 119,999,999,720 |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
인수(주선) 여부 | 지분증권 등 상장을 위한 공모여부 | ||
---|---|---|---|
인수 | 아니오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인수(주선)인 | 증권의 종류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
---|---|---|---|---|---|---|
대표 | NH투자증권 | 보통주 | 13,215,859 | 119,999,999,720 | 인수수수료 : 모집총액의 1.0% 실권수수료 : 잔액인수금액의 10.0% | 잔액인수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
2023년 10월 31일 ~ 2023년 11월 01일 | 2023년 11월 08일 | 2023년 10월 30일 | 2023년 11월 08일 | 2023년 09월 20일 |
청약이 금지되는 공매도 거래 기간 | |
---|---|
시작일 | 종료일 |
2023년 07월 26일 | 2023년 10월 26일 |
자금의 사용목적 | |
---|---|
구 분 | 금 액 |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 119,999,999,720 |
발행제비용 | 1,365,574,668 |
(주1) 정정 후
2.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단위 : 원, 주) |
증권의 종류 | 증권수량 | 액면가액 | 모집(매출) 가액 | 모집(매출) 총액 | 모집(매출) 방법 |
---|---|---|---|---|---|
보통주 | 13,215,859 | 500 | 5,890 | 77,841,409,510 |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
인수(주선) 여부 | 지분증권 등 상장을 위한 공모여부 | ||
---|---|---|---|
인수 | 아니오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인수(주선)인 | 증권의 종류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
---|---|---|---|---|---|---|
대표 | NH투자증권 | 보통주 | 13,215,859 | 77,841,409,510 | 인수수수료 : 모집총액의 1.0% 실권수수료 : 잔액인수금액의 10.0% | 잔액인수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
2023년 10월 31일 ~ 2023년 11월 01일 | 2023년 11월 08일 | 2023년 10월 30일 | 2023년 11월 08일 | 2023년 09월 20일 |
청약이 금지되는 공매도 거래 기간 | |
---|---|
시작일 | 종료일 |
2023년 07월 26일 | 2023년 10월 26일 |
자금의 사용목적 | |
---|---|
구 분 | 금 액 |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 77,841,409,510 |
발행제비용 | 908,134,361 |
(주2) 정정 전
1. 공모개요
당사는 최초 이사회 결의를 통하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6 2항1호에 의거 NH투자증권(주)(이하 "대표주관회사"라 합니다.)와 주주배정 후 실권주를 인수하는 잔액인수 계약을 체결하고 사전에 그 실권주를 일반에 공모하기로 하여 기명식 보통주 13,214,859주를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으로 발행하기로 결정하였으며, 동 증권의 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원, 주) |
증권의 종류 | 증권수량 | 액면가액 | 모집(매출)가액 | 모집(매출)총액 | 모집(매출) 방법 |
---|---|---|---|---|---|
기명식보통주 | 13,215,859 | 500 | 9,080 | 119,999,999,720 |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
주1) 최초 이사회 결의일 : 2023년 07월 25일, 정정 이사회 결의일 : 2023년 08월 16일, 2023년 08월 30일 주2) 상기 모집가액 및 모집총액은 예정 발행가액 기준으로 한 예정금액이며, 확정되지 않은 금액입니다. 주3) 상기 모집가액(예정 발행가액)은 최초 이사회 결의일 직전 거래일(2023년 07월 24일)을 기산일로 하여 산정하였습니다. |
발행가액은 '증권의발행및공시등에관한규정' 제5-18조 (유상증자의 발행가액 결정)에 의거, 주주배정증자시 할인율 등이 자율화 되어 자유롭게 산정할 수 있으나, 시장혼란 우려 및 기존 관행 등으로 '(구)유가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57조를 일부 준용하여 산정할 예정입니다.
■ 모집예정가액의 산출근거
최초 이사회결의일 직전 거래일(2023년 07월 24일)을 기산일로 하여 코스닥시장에서 성립된 거래대금을 거래량으로 가중산술평균한 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기산일 종가를 산술평균하여 산정한 가액과 기산일 종가 중 낮은 금액을 기준주가로 하여 할인율 25%를 적용, 아래의 산식에 의하여 산정된 발행가액으로 하며 호가단위미만은 절상합니다.
※ 예정발행가액 = [기준주가 * (1- 할인율) ] / [ 1 + ( 증자비율 * 할인율 ) ]
상기 방법에 따라 산정된 예정발행가액은 참고용이며, 청약일전 3거래일에 확정발행가액을 공시할 예정입니다.
[예정 발행가액 산정표] |
기산일 : 2023년 07월 24일 | (단위: 원, 주) |
일수 | 일 자 | 종 가 | 거 래 량 | 거래금액 |
---|---|---|---|---|
1 | 2023-07-24 | 13,720 | 92,668 | 1,264,659,060 |
2 | 2023-07-21 | 14,060 | 62,511 | 874,926,170 |
3 | 2023-07-20 | 14,110 | 36,669 | 515,365,050 |
4 | 2023-07-19 | 14,180 | 73,568 | 1,038,182,880 |
5 | 2023-07-18 | 14,520 | 50,118 | 731,799,890 |
6 | 2023-07-17 | 14,800 | 48,771 | 726,509,720 |
7 | 2023-07-14 | 15,090 | 52,596 | 792,897,700 |
8 | 2023-07-13 | 15,040 | 76,765 | 1,173,788,720 |
9 | 2023-07-12 | 15,500 | 274,198 | 4,176,280,210 |
10 | 2023-07-11 | 14,150 | 49,288 | 699,077,940 |
11 | 2023-07-10 | 14,020 | 81,485 | 1,133,917,660 |
12 | 2023-07-07 | 13,960 | 44,479 | 615,466,990 |
13 | 2023-07-06 | 13,980 | 49,098 | 682,025,140 |
14 | 2023-07-05 | 14,080 | 63,358 | 887,608,250 |
15 | 2023-07-04 | 14,160 | 46,175 | 653,515,870 |
16 | 2023-07-03 | 14,310 | 34,389 | 491,461,120 |
17 | 2023-06-30 | 14,350 | 37,141 | 529,716,150 |
18 | 2023-06-29 | 14,440 | 27,314 | 391,771,360 |
19 | 2023-06-28 | 14,490 | 35,742 | 516,244,760 |
20 | 2023-06-27 | 14,640 | 58,181 | 849,899,460 |
21 | 2023-06-26 | 14,310 | 19,774 | 282,684,480 |
1개월 가중산술평균(A) | 14,477 | |||
1주일 가중산술평균(B) | 14,023 | |||
기산일 종가(C) | 13,720 | |||
A,B,C의 산술평균(D) | 14,073 | [(A)+(B)+(C)]/3 | ||
기준주가[Min(C,D)] | 13,720 | (C)와 (D)중 낮은 가액 | ||
할인율 | 25.00% | |||
증자비율 | 53.41% | |||
예정발행가액 (호가단위 미만은 호가단위로 절상, 액면가액 이하일 경우 액면가액을 발행가액으로 함) | 9,080 | 기준주가 × (1-할인율) / (1+유상증자비율 × 할인율 ) |
(주2) 정정 후
1. 공모개요
당사는 최초 이사회 결의를 통하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6 2항1호에 의거 NH투자증권(주)(이하 "대표주관회사"라 합니다.)와 주주배정 후 실권주를 인수하는 잔액인수 계약을 체결하고 사전에 그 실권주를 일반에 공모하기로 하여 기명식 보통주 13,214,859주를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으로 발행하기로 결정하였으며, 동 증권의 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원, 주) |
증권의 종류 | 증권수량 | 액면가액 | 모집(매출)가액 | 모집(매출)총액 | 모집(매출) 방법 |
---|---|---|---|---|---|
기명식보통주 | 13,215,859 | 500 | 5,890 | 77,841,409,510 |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
주1) 최초 이사회 결의일 : 2023년 07월 25일, 정정 이사회 결의일 : 2023년 08월 16일, 2023년 08월 30일 주2) 상기 모집가액 및 모집총액은 예정 발행가액 기준으로 한 예정금액이며, 확정되지 않은 금액입니다. 주3) 상기 모집가액(예정 발행가액)은 최초 이사회 결의일 직전 거래일(2023년 07월 24일)을 기산일로 하여 산정하였습니다. |
발행가액은 '증권의발행및공시등에관한규정' 제5-18조 (유상증자의 발행가액 결정)에 의거, 주주배정증자시 할인율 등이 자율화 되어 자유롭게 산정할 수 있으나, 시장혼란 우려 및 기존 관행 등으로 '(구)유가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57조를 일부 준용하여 산정할 예정입니다.
■ 1차 발행가액의 산출근거
신주배정기준일(2023년 09월 20일) 전 3거래일(2023년 09월 15일)을 기산일로 하여 코스닥시장에서 성립된 거래대금을 거래량으로 가중산술평균한 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기산일 종가를 산술평균하여 산정한 가액과 기산일 종가 중 낮은 금액을 기준주가로 하여 할인율 25%를 적용, 아래의 산식에 의하여 산정된 발행가액으로 하며 호가단위미만은 절상합니다.
※ 1차 발행가액 = [기준주가 * (1- 할인율) ] / [ 1 + ( 증자비율 * 할인율 ) ]
상기 방법에 따라 산정된 1차 발행가액은 참고용이며, 청약일전 3거래일에 확정발행가액을 공시할 예정입니다.
[1차 발행가액 산정표] |
기산일 : 2023년 09월 15일 | (단위: 원, 주) |
일수 | 일 자 | 종 가 | 거 래 량 | 거래금액 |
---|---|---|---|---|
1 | 2023-09-15 | 8,890 | 218,440 | 1,961,607,240 |
2 | 2023-09-14 | 9,200 | 97,645 | 885,028,960 |
3 | 2023-09-13 | 9,070 | 126,428 | 1,134,477,880 |
4 | 2023-09-12 | 9,190 | 206,327 | 1,917,982,520 |
5 | 2023-09-11 | 9,200 | 148,104 | 1,370,384,120 |
6 | 2023-09-08 | 9,120 | 133,618 | 1,202,985,220 |
7 | 2023-09-07 | 8,790 | 117,702 | 1,030,775,160 |
8 | 2023-09-06 | 8,930 | 72,746 | 650,769,570 |
9 | 2023-09-05 | 8,820 | 71,807 | 632,924,660 |
10 | 2023-09-04 | 8,860 | 133,174 | 1,189,296,680 |
11 | 2023-09-01 | 9,070 | 74,760 | 681,286,890 |
12 | 2023-08-31 | 9,120 | 91,910 | 835,588,700 |
13 | 2023-08-30 | 9,050 | 115,894 | 1,057,957,130 |
14 | 2023-08-29 | 9,230 | 192,694 | 1,760,702,610 |
15 | 2023-08-28 | 9,060 | 103,599 | 930,961,610 |
16 | 2023-08-25 | 9,060 | 99,975 | 906,838,700 |
17 | 2023-08-24 | 9,040 | 109,511 | 997,984,760 |
18 | 2023-08-23 | 9,300 | 39,561 | 368,621,570 |
19 | 2023-08-22 | 9,400 | 109,819 | 1,038,869,860 |
20 | 2023-08-21 | 9,680 | 154,350 | 1,473,379,090 |
21 | 2023-08-18 | 9,090 | 45,617 | 414,408,200 |
22 | 2023-08-17 | 9,100 | 56,190 | 510,093,490 |
23 | 2023-08-16 | 9,150 | 72,765 | 669,043,800 |
1개월 가중산술평균(A) | 9,111 | |||
1주일 가중산술평균(B) | 9,121 | |||
기산일 종가(C) | 8,890 | |||
A,B,C의 산술평균(D) | 9,040 | [(A)+(B)+(C)]/3 | ||
기준주가[Min(C,D)] | 8,890 | (C)와 (D)중 낮은 가액 | ||
할인율 | 25.00% | |||
증자비율 | 53.41% | |||
1차 발행가액 (호가단위 미만은 호가단위로 절상, 액면가액 이하일 경우 액면가액을 발행가액으로 함) | 5,890 | 기준주가 × (1-할인율) / (1+유상증자비율 × 할인율 ) |
(주3) 정정 전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가. 모집 또는 매출조건
(단위 : 주, 원) |
항 목 | 내 용 | ||||||||||||||||||||||||||||||||
---|---|---|---|---|---|---|---|---|---|---|---|---|---|---|---|---|---|---|---|---|---|---|---|---|---|---|---|---|---|---|---|---|---|
모집 또는 매출주식의 수 | 13,215,859 | ||||||||||||||||||||||||||||||||
주당 모집가액 | 예정가액 | 9,080 | |||||||||||||||||||||||||||||||
확정가액 | - | ||||||||||||||||||||||||||||||||
모집총액 | 예정가액 | 119,999,999,720 | |||||||||||||||||||||||||||||||
확정가액 | - | ||||||||||||||||||||||||||||||||
청 약 단 위 | (1) "구주주"의 청약단위는 1주로 하며, 개인별 청약한도는 신주배정기준일 현재 주주명부에 기재된 소유주식수에 신주배정비율("주주 배정분"에 해당하는 주식수를 자기주식을 제외한 발행주식 총수로 나눈 비율을 말하며, 자기주식과 발행주식총수는 신주배정기준일 현재의 주식수를 말한다)을 곱하여 산정된 배정주식수로 합니다. 다만, 신주배정기준일 현재 신주배정율은 주식관련사채의 행사, 자기주식수의 변동 등으로 인하여 변경될 수 있습니다(단, 1주 미만은 절사한다). (2) 일반청약자의 최소 청약단위는 10주이며, 100주까지는 10주 단위로 청약이 가능합니다. 청약주식수가 100주를 초과할 경우 아래 표에 따르며 일반청약자의 청약한도는 "일반공모 배정분"의 100% 범위 내로 합니다. 청약한도를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청약이 없는 것으로 봅니다.
| ||||||||||||||||||||||||||||||||
청약기일 | 구주주 | 개시일 | 2023년 10월 31일 | ||||||||||||||||||||||||||||||
종료일 | 2023년 11월 01일 | ||||||||||||||||||||||||||||||||
실권주 일반공모 | 개시일 | 2023년 11월 03일 | |||||||||||||||||||||||||||||||
종료일 | 2023년 11월 06일 | ||||||||||||||||||||||||||||||||
청약 증거금 | 구주주 | 청약금액의 100% | |||||||||||||||||||||||||||||||
초 과 청 약 | 청약금액의 100% | ||||||||||||||||||||||||||||||||
일반모집 또는 매출 | 청약금액의 100% | ||||||||||||||||||||||||||||||||
납 입 기 일 | 2023년 11월 08일 | ||||||||||||||||||||||||||||||||
배당기산일(결산일) | 2023년 01월 01일 |
주1) 본 증권신고서는 금융감독원에서 심사하는 과정에서 정정요구 등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정정 요구 등에 따라 동 신고서에 기재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본 증권신고서의 효력 발생은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정부가 이 유가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본 유가증권에 대한 투자는 전적으로 주주 및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주2) 상기 일정은 유관기관과의 협의 과정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3) 정정 후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가. 모집 또는 매출조건
(단위 : 주, 원) |
항 목 | 내 용 | ||||||||||||||||||||||||||||||||
---|---|---|---|---|---|---|---|---|---|---|---|---|---|---|---|---|---|---|---|---|---|---|---|---|---|---|---|---|---|---|---|---|---|
모집 또는 매출주식의 수 | 13,215,859 | ||||||||||||||||||||||||||||||||
주당 모집가액 | 예정가액 | 5,890 | |||||||||||||||||||||||||||||||
확정가액 | - | ||||||||||||||||||||||||||||||||
모집총액 | 예정가액 | 77,841,409,510 | |||||||||||||||||||||||||||||||
확정가액 | - | ||||||||||||||||||||||||||||||||
청 약 단 위 | (1) "구주주"의 청약단위는 1주로 하며, 개인별 청약한도는 신주배정기준일 현재 주주명부에 기재된 소유주식수에 신주배정비율("주주 배정분"에 해당하는 주식수를 자기주식을 제외한 발행주식 총수로 나눈 비율을 말하며, 자기주식과 발행주식총수는 신주배정기준일 현재의 주식수를 말한다)을 곱하여 산정된 배정주식수로 합니다. 다만, 신주배정기준일 현재 신주배정율은 주식관련사채의 행사, 자기주식수의 변동 등으로 인하여 변경될 수 있습니다(단, 1주 미만은 절사한다). (2) 일반청약자의 최소 청약단위는 10주이며, 100주까지는 10주 단위로 청약이 가능합니다. 청약주식수가 100주를 초과할 경우 아래 표에 따르며 일반청약자의 청약한도는 "일반공모 배정분"의 100% 범위 내로 합니다. 청약한도를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청약이 없는 것으로 봅니다.
| ||||||||||||||||||||||||||||||||
청약기일 | 구주주 | 개시일 | 2023년 10월 31일 | ||||||||||||||||||||||||||||||
종료일 | 2023년 11월 01일 | ||||||||||||||||||||||||||||||||
실권주 일반공모 | 개시일 | 2023년 11월 03일 | |||||||||||||||||||||||||||||||
종료일 | 2023년 11월 06일 | ||||||||||||||||||||||||||||||||
청약 증거금 | 구주주 | 청약금액의 100% | |||||||||||||||||||||||||||||||
초 과 청 약 | 청약금액의 100% | ||||||||||||||||||||||||||||||||
일반모집 또는 매출 | 청약금액의 100% | ||||||||||||||||||||||||||||||||
납 입 기 일 | 2023년 11월 08일 | ||||||||||||||||||||||||||||||||
배당기산일(결산일) | 2023년 01월 01일 |
주1) 본 증권신고서는 금융감독원에서 심사하는 과정에서 정정요구 등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정정 요구 등에 따라 동 신고서에 기재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본 증권신고서의 효력 발생은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정부가 이 유가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본 유가증권에 대한 투자는 전적으로 주주 및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주2) 상기 일정은 유관기관과의 협의 과정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4) 정정 전
(중략)
본 전환우선주의 경우 최근 (2023년 6월 26일) 시가변동에 따른 조정으로 인해 보통주 전환가액이 조정되었습니다. 전환우선주의 보통주 전환가액은 기존 주당 14,290원에서 14,440원으로 상향 조정되었으며, 이로 인해 보통주 전환가능 주식수는 기존 4,898,528주에서 4,847,642주로 약 50,886주 감소하였습니다. 또한, 2022년 6월 22일 공시된 전환우선주 관련 공시 자료 내 20. 기타 투자판단에 참고할 사항 - 다. 전환에 관한 사항 - (라)항에 따라 시가 하락 조정에 따른 전환우선주의 전환가액은 최초 전환가액의 75% (14,036.25원)미만이 될 수 없는 점 투자자께서는 참고 부탁드립니다. 현재 본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의 예정 발행가액은 주당 9,080원이며, 해당 가액이 전환우선주 보통주 전환가액에 비해 낮은 바, 하기 산식에 따라 전환가액이 하향 조정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환우선주 1주당 보통주 전환가능 주식수는 다소 늘어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상기 기명식 의결권부 전환우선주 세부 발행 조건의 20. 기타 투자판단에 참고할 사항 중 다. 전환에 관한 사항 - (나) 항목 참고 부탁드립니다.
[유상증자 이후 전환우선주의 전환가액 산정 산식] |
조정 후 전환가액 = 조정 전 전환가액 기발행주식수 + (신발행주식수 × 1주당 발행가액 / 시가) ×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기발행주식수+ 신발행주식수) |
[유상증자 이후 예상 전환우선주의 보통주 전환가능주식수] |
(단위 : 원, 주) |
구분 | 보통주 전환가액(원) | 보통주 전환가능주식수 | ||
---|---|---|---|---|
본 공시서류 제출일 전일 현재 | 유상증자 이후 (주1) | 본 공시서류 제출일 전일 현재 | 유상증자 이후 | |
1전환우선주 | 14,440 | 13,190 | 4,847,642 | 5,307,049 |
주1) 예정 발행가액 기준. 최종적으로 실제 조정 전환가액은 확정발행가액으로 결정될 예정 |
자료 : 당사 제시 |
금번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시 최대주주가 배정물량의 120%를 청약 및 배정받고 유상증자에 따라 전환가액이 조정된 이후, 전환우선주가 내가격(ITM,In The Money) 상태가 되어 전환가능주식수 전량이 전환 청구될 경우 당사 최대주주의 지분율은 39.93%로 예상되어, 본 공시서류 제출일 전일 현재 최대주주 지분율 대비 4.05% 상승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될 경우 정관 개정, 배당정책의 변경 등 주주로서의 회사 주요 의사결정에서 유의미한 의결권 행사가 가능하게 될 예정인 점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전환우선주 관련 최대주주 지분율 변동 예상 시뮬레이션] | |
(기준일 : 2023년 09월 07일) | (단위: 주, %) |
성 명 | 주식의 종류 | 증자 전 | 유상증자 후 (120% 청약 배정시) | 전환우선주 전환 후 (조정 전환가액으로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스카이메디(유) | 의결권 있는 주식 | 4,439,023 | 17.94 | 5,427,896 | 18.76 | 8,081,420 | 19.97 |
마블2022홀딩스(유) | 의결권 있는 주식 | 4,027,560 | 16.28 | 4,924,785 | 17.02 | 7,332,328 | 18.11 |
크레센도제3의디호 PEF | 의결권 있는 주식 | 411,463 | 1.66 | 503,108 | 1.74 | 749,088 | 1.85 |
계 | 8,878,046 | 35.88 | 10,855,789 | 37.52 | 16,162,836 | 39.93 |
주1) 예정 발행가액 기준. 최종적으로 실제 조정 전환가액은 확정발행가액으로 결정될 예정 |
출처: 당사 정기보고서 |
상기 최대주주의 지분율 변화 시뮬레이션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예정 발행가액 9,080원을 기준으로 산출하였으며, 향후 최종 발행가액이 확정됨에 따라서 최대주주 지분율 희석 정도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최종발행가액이 하락할 경우, 최대주주의 지분율 희석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되나, 최종발행가액이 상승할 경우, 최대주주의 청약 및 납입 부담이 증가하여 참여 수량이 축소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 경우 지분율 희석 효과는 커질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처럼, 향후 발행가액 최종 결정에 따라 최대주주의 지분율 희석 정도가 변동 가능한점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제출일 현재 당사는 주식매수선택권(Stock option)을 총 152,000주 부여하였으며,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일 이후 유상증자, 무상증자(자본전입), 주식배당, 주식의 분할 또는 병합, 합병 및 회사 분할, 이익소각, 자본감소 등의 사유 발생 시에는 주식매수선택권부여 계약 또는 이사회결의에 따라 행사 가격 및 수량 등의 조정이 있을 수 있습니다. 향후 발행가액 최종 결정에 따라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 가격 및 수량 조정 시 투자자의 지분율 희석이 가능한 점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주4) 정정 후
(중략)
본 전환우선주의 경우 최근 (2023년 6월 26일) 시가변동에 따른 조정으로 인해 보통주 전환가액이 조정되었습니다. 전환우선주의 보통주 전환가액은 기존 주당 14,290원에서 14,440원으로 상향 조정되었으며, 이로 인해 보통주 전환가능 주식수는 기존 4,898,528주에서 4,847,642주로 약 50,886주 감소하였습니다. 또한, 2022년 6월 22일 공시된 전환우선주 관련 공시 자료 내 20. 기타 투자판단에 참고할 사항 - 다. 전환에 관한 사항 - (라)항에 따라 시가 하락 조정에 따른 전환우선주의 전환가액은 최초 전환가액의 75% (14,036.25원)미만이 될 수 없는 점 투자자께서는 참고 부탁드립니다. 현재 본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의 1차 발행가액은 주당 5,890원이며, 해당 가액이 전환우선주 보통주 전환가액에 비해 낮은 바, 하기 산식에 따라 전환가액이 하향 조정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환우선주 1주당 보통주 전환가능 주식수는 다소 늘어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상기 기명식 의결권부 전환우선주 세부 발행 조건의 20. 기타 투자판단에 참고할 사항 중 다. 전환에 관한 사항 - (나) 항목 참고 부탁드립니다.
[유상증자 이후 전환우선주의 전환가액 산정 산식] |
조정 후 전환가액 = 조정 전 전환가액 기발행주식수 + (신발행주식수 × 1주당 발행가액 / 시가) ×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기발행주식수+ 신발행주식수) |
[유상증자 이후 예상 전환우선주의 보통주 전환가능주식수] |
(단위 : 원, 주) |
구분 | 보통주 전환가액(원) | 보통주 전환가능주식수 | ||
---|---|---|---|---|
본 공시서류 제출일 전일 현재 | 유상증자 이후 (주1) | 본 공시서류 제출일 전일 현재 | 유상증자 이후 | |
1전환우선주 | 14,440 | 14,440 | 4,847,642 | 4,847,642 |
주1) 1차 발행가액 기준. 최종적으로 실제 조정 전환가액은 확정발행가액으로 결정될 예정 |
자료 : 당사 제시 |
금번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시 최대주주가 배정물량의 120%를 청약 및 배정받고 유상증자에 따라 전환가액이 조정된 이후, 전환우선주가 내가격(ITM,In The Money) 상태가 되어 전환가능주식수 전량이 전환 청구될 경우 당사 최대주주의 지분율은 40.20%로 예상되어, 본 공시서류 제출일 전일 현재 최대주주 지분율 대비 4.32% 상승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될 경우 정관 개정, 배당정책의 변경 등 주주로서의 회사 주요 의사결정에서 유의미한 의결권 행사가 가능하게 될 예정인 점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전환우선주 관련 최대주주 지분율 변동 예상 시뮬레이션] | |
(기준일 : 2023년 09월 17일) | (단위: 주, %) |
성 명 | 주식의 종류 | 증자 전 | 유상증자 후 (120% 청약 배정시) | 전환우선주 전환 후 (조정 전환가액으로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스카이메디(유) | 의결권 있는 주식 | 4,439,023 | 17.94 | 5,427,896 | 19.23 | 7,851,717 | 20.10 |
마블2022홀딩스(유) | 의결권 있는 주식 | 4,027,560 | 16.28 | 4,924,785 | 17.44 | 7,123,919 | 18.24 |
크레센도제3의디호 PEF | 의결권 있는 주식 | 411,463 | 1.66 | 503,108 | 1.78 | 727,795 | 1.86 |
계 | 8,878,046 | 35.88 | 10,855,789 | 38.45 | 15,703,431 | 40.20 |
주1) 1차 발행가액 기준. 최종적으로 실제 조정 전환가액은 확정발행가액으로 결정될 예정 |
출처: 당사 정기보고서 |
상기 최대주주의 지분율 변화 시뮬레이션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1차 발행가액 5,890원을 기준으로 산출하였으며, 향후 최종 발행가액이 확정됨에 따라서 최대주주 지분율 희석 정도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최종발행가액이 하락할 경우, 최대주주의 지분율 희석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되나, 최종발행가액이 상승할 경우, 최대주주의 청약 및 납입 부담이 증가하여 참여 수량이 축소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 경우 지분율 희석 효과는 커질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처럼, 향후 발행가액 최종 결정에 따라 최대주주의 지분율 희석 정도가 변동 가능한점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제출일 현재 당사는 주식매수선택권(Stock option)을 총 152,000주 부여하였으며,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일 이후 유상증자, 무상증자(자본전입), 주식배당, 주식의 분할 또는 병합, 합병 및 회사 분할, 이익소각, 자본감소 등의 사유 발생 시에는 주식매수선택권부여 계약 또는 이사회결의에 따라 행사 가격 및 수량 등의 조정이 있을 수 있습니다. 향후 발행가액 최종 결정에 따라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 가격 및 수량 조정 시 투자자의 지분율 희석이 가능한 점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주5) 정정 전
당사의 금번 유상증자로 인하여 기발행주식 총수 24,742,240주의 53,41%에 해당하는 13,215,859주가 추가로 발행될 예정입니다.
[당사 주가 및 유상증자에 따른 발행주식수 및 가격] |
모집예정 주식 종류 | 보통주 | 비 고 |
---|---|---|
모집예정주식수 | 13,215,859주 | - |
현재 발행주식총수 | 24,742,240주 | - |
예정 발행가액 | 9,080원 | 증자비율 및 할인율 고려 |
기산일 종가 | - | 2023.08.30 종가 |
금번 유상증자에 따른 모집가액은 (舊)「유가증권의 발행 및 공시등에 대한 규정」 제57조를 일부 준용하여 산출됩니다. 그러나 주식시장의 특성상 향후 주가에 대한 변동성이 있는 관계로 증자에 따른 모집가격 산정시 결정된 1주당 모집가액보다 향후 추가 상장 후 거래 시점의 주가가 낮아져 투자자에게 금전적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후략)
(주5) 정정 후
당사의 금번 유상증자로 인하여 기발행주식 총수 24,742,240주의 53,41%에 해당하는 13,215,859주가 추가로 발행될 예정입니다.
[당사 주가 및 유상증자에 따른 발행주식수 및 가격] |
모집예정 주식 종류 | 보통주 | 비 고 |
---|---|---|
모집예정주식수 | 13,215,859주 | - |
현재 발행주식총수 | 24,742,240주 | - |
1차 발행가액 | 5,890원 | 증자비율 및 할인율 고려 |
기산일 종가 | 8,890원 | 2023.09.15 종가 |
금번 유상증자에 따른 모집가액은 (舊)「유가증권의 발행 및 공시등에 대한 규정」 제57조를 일부 준용하여 산출됩니다. 그러나 주식시장의 특성상 향후 주가에 대한 변동성이 있는 관계로 증자에 따른 모집가격 산정시 결정된 1주당 모집가액보다 향후 추가 상장 후 거래 시점의 주가가 낮아져 투자자에게 금전적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후략)
(주6) 정정 전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가. 자금조달금액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
모집 또는 매출총액(1) | 119,999,999,720 |
발행제비용(2) | 1,365,574,668 |
순 수 입 금 [ (1)-(2) ] | 118,634,425,052 |
주1) 상기 금액은 예정 발행가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으로 모집가액 확정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2) 상기 모집총액은 우선적으로 하단에 기재된 자금의 사용 목적에 따라 사용할 예정입니다. |
주3) 발행제비용은 공모금액 및 실권규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기재 금액은 청약 초과로 인하여 실권이 발생하지 않은 상황을 가정하여 산정되었습니다. 또한 상장수수료는 상장신청일 직전일 주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나. 발행제비용의 내역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계산근거 |
---|---|---|
발행분담금 | 21,599,990 | 발행가액총액 x 0.018% (10원 미만 절사) |
인수수수료 | 1,199,999,997 | 인수수수료 : 모집총액의 1.0% |
추가상장수수료 | 13,200,000 | 1,000억원 초과 2,000억원 이하 910만원 + 1,000억원 초과금액의 10억원당 5만원(상한 5천만원) |
등록면허세 | 26,431,718 | 증자 자본금의 x 0.40% (지방세법 제28조, 10원미만 절사) |
지방교육세 | 5,286,344 | 등록면허세 x 20% ((지방세법 제151조, 10원미만 절사)) |
주식발행등록수수료 | 1,000,000 | 1,000주당 300원 (하한 건당 4천원, 상한 50만원) 주식 및 신주인수권증서 각각 별도 징수 |
신주인수권증사 표준코드발급수수료 | 10,000 | 한국거래소 신주인수권증서 표준코드발급비용 |
기타비용 | 98,046,619 | 투자설명서, 신주배정통지서 인쇄 및 발송 비용 포함 |
합 계 | 1,365,574,668 | - |
주1) 상기 금액은 예정 발행가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입니다. |
주2) 발행제비용은 공모금액 및 상장신청일 직전일 한국거래소에서 거래되는 당사의 보통주식 종가, 유관기관 정책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3) 기타비용은 예상금액으로 변동될 수 있습니다. |
2. 자금의 사용목적
가. 공모자금 자금 조달의 개요
당사가 금번 보통주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 예정인 자금 1,200억원은 아래와 같이 타법인증권취득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당사는 매 분기별 공시하는 당사의 정기보고서에 공모자금의 실제 사용내역 및 변동상황에 관하여 공시할 예정입니다.
(기준일 : | 2023년 07월 24일 | ) | (단위 : 백만원) |
시설자금 | 영업양수 자금 | 운영자금 | 채무상환 자금 |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 기타 | 계 |
---|---|---|---|---|---|---|
- | - | - | - | 120,000 | - | 120,000 |
주1) 상기 금액은 예정 모집가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입니다.
주2) 발행제비용은 당사 자체자금으로 조달할 예정입니다.
카티스템의 미국 임상 3상 추진은 단기간에 결정된 사항이 아닌 오랜 검토 끝에 결정된 사항으로 미국 임상3상 추진 및 이에 따른 유상증자 결정 배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사는 카티스템의 국내 품목허가 시기부터 미국시장 진출을 계획하고 있었습니다. 이 계획에 따라 2011년 미국 1/2a상 IND 승인을 시작으로 2018년 3월에는 카티스템 미국 1/2a상 임상을 성공적으로 종료한 바 있습니다. 뒤이어 2018년 12월에는 FDA와 임상 종료 후 End of Phase 대면 상담을 통해 향후 미국 임상 개발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임상 2b상 없이 임상3상으로 곧바로 진입하는 것으로 협의하였습니다. 그러나 미국 임상3상 진행에 필요한 대규모 비용으로 인해 2019년도에 당사가 곧바로 임상3상을 단독 추진하는 것은 불가능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2020년 1월 당사의 당시 경영전략은 직접 임상 진행을 하는 것이 아닌 라이선스 아웃을 통해 미국 제약사와 손을 잡거나 기술수출의 형태를 우선적으로 모색하였습니다. 이후 2020년부터의 코로나 창궐로 인해 라이선스 아웃에는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당사의 경영전략을 전면 재검토하게 되는 계기가 생깁니다. 미국기업 베리셀(Vericel, 나스닥 상장기업)과 베리셀(Vericel)에서 FDA로부터 승인받은 자가연골세포 치료제 MACI입니다. 베리셀(Vericel)은 현재 미국 나스닥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으로급성연골결손 자가연골세포 치료제 'MACI'의 2019년 품목허가 이후 1,500억원대의 매출을 기록하였으며, 2021년도에는 시가총액이 4조원에 달할 정도로 높은 기업가치를 인정받고 있었습니다.
한편 전세계적으로 고령화에 따라 무릎골관절염 환자는 지속적으로 증가세에 있으며 그중에서도 미국은 3,000만명이 넘는 골관절염 환자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미국시장은 전세계 의약품 시장의 약 20%를 차지하는 글로벌 최대 의약품 시장이기도 합니다. 이에 관련하여 최근 미국 바이든 정부는 최근 보건첨단연구계획국의 첫 프로젝트로 골관절염을 선정하기도 하였습니다. |
나. 세부사용 계획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를 통하여 조달 예정인 자금 1,200억원을 아래와 같이 종속회사 MEDIPOST America INC.의 증권취득자금으로 사용할 예정이며, MEDIPOST America INC.는 미국 카티스템 임상 3상 진행을 위한 용도로 자금을 집행할 계획입니다. 다만, 아래 계획은 향후 경영환경 등을 고려하여 투자금액/시점 등이 변경될 가능성이 있음을 투자자께서는 인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단위 : 백만원) |
우선순위 | 구분 | 자금용도 | 2024년 1분기 | 2024년 3분기 | 2025년 1분기 | 2025년 3분기 | 합계 |
---|---|---|---|---|---|---|---|
1 |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 MEDIPOST America INC. 출자 | 33,250 | 33,250 | 26,750 | 26,750 | 120,000 |
합계 | 33,250 | 33,250 | 26,750 | 26,750 | 120,000 |
자료 : 당사 제시 자료
주1) 이번 타법인증권 취득자금의 구체적인 자금용도는 하기 다.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사용 계획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주2) 타법인증권 취득자금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일 기준으로 예상되는 내역을 토대로 산정한 금액이며, 실제 투자 시 추가적인 자금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주3) 타법인증권 취득자금에 대한 사용 시기는 상기의 내역과 같이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향후 실제자금 집행 과정에서 금액 또는 사용시기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또한, 경영 환경 변화 등의 사유로 인해 현재 계획 중인 각 항목이 변경되거나, 신규 항목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
[MEDIPOST America INC] 개요
회사명 | MEDIPOST America INC | ||
대표이사 | 이승진 (Antonio Lee), Edward Ahn (공동대표) | ||
주소 | 9711 Washington Blvd, Suite 550, Gaithersburg, Maryland | ||
설립일 | 2011년 11월 29일 | ||
사업내용 | 카티스템/뉴모스템 북미지역 임상 진행 및 세포치료제 글로벌 라이센싱 | ||
종업원수 | 9명 (2023년 반기 기준) | ||
연혁 | 2011.11 | MEDIPOST America 설립 | |
2013.12 | '뉴모스템' 미국 FDA 희귀의약품(Orphan Drug) 지정 | ||
2014.09 | '뉴모스템' 미국 FDA 임상시험 1/2상 승인 | ||
2018.03 | '카티스템' 미국 FDA 임상 1/2a상 종료 | ||
2019.08 | '뉴모스템' 미국 FDA로부터 Fast Track 지정 | ||
2022.07 | 공동대표이사 Edward Ahn 박사 영입 | ||
구분 (단위 : USD) | 2023년 반기 | 2022년 | 2021년 |
자산총계 | 33,790,036 | 3,541,617 | 139,462 |
부채총계 | 11,402,093 | 9,319,507 | 9,582,714 |
자본총계 | 22,387,943 | -5,777,889 | -9,443,252 |
매출액 | 0 | - | - |
영업이익(손실) | -6,702,390 | -955,868 | -138,770 |
당기순이익 (손실) | -6,834,167 | -1,334,637 | -515,348 |
당사는 2011년 11월 카티스템 / 뉴모스템 북미지역 임상시험 진행 및 세포치료제 글로벌 라이센싱의 목적으로 미국 메릴랜드주에 MEDIPOST America Inc을 설립하였습니다.
현재 임상 진행 중으로 매출액은 발생하지 않고 있으며, 경상개발비, 판관비 등으로 인해 지속적인 영업손실 및 당기순손실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최초 투자금액은 2,283백만원이며, EVASTEM CORPORATION의 손익 또한 당사의 지분율 (100%)에 한하여 재무손익으로 반영되고 있습니다. 2023년 반기 말 현재 EVASTEM CORPORATION의 당사 장부금액은 11,205백만원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다.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사용 계획
당사의 종속회사인 MEDIPOST America INC.는 출자받은 1,200억원을 아래와 같이 미국 카티스템 임상 3상 진행에 따른 연구개발비 및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예정이며, 하기 우선순위에 따라 자금을 집행할 계획입니다. 다만, 아래 계획은 향후 경영환경 등을 고려하여 투자금액/시점 등이 변경될 가능성이 있음을 투자자께서는 인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유상증자 자금사용의 우선순위]
(단위 : 백만원) |
우선순위 | 자금용도 | 세부내용 | 자금의 사용시기 | 합계 |
---|---|---|---|---|
1 | 연구개발비 | 미국 카티스템 임상 3상 진행 | 2024년 ~ 2025년 | 98,771 |
2 | 연구개발비 | 한국 RWE(실사용 근거) 확보 | 2024년 ~ 2025년 | 14,502 |
3 | 운영 자금 | 법인 운영비 | 2024년 ~ 2025년 | 6,727 |
합계 | 120,000 |
주) RWE(Real World Evidence, 실사용 근거) 확보는 실제임상을 근거로 하여 제품의 등재 이후 임상적 유용성과 비용 효과성 등 경제성을 재평가하는 것을 말하며, 전향 (현재시전 이후 카티스템 수술을 받은 환자들의 추적관찰 연구)와 후향 (과거 카티스템 수술을 받은 환자들의 수술 이후의 데이터를 수집한 연구)으로 나누어 진행 할 계획입니다.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를 통하여 모집되는 자금을 1. 미국 카티스템 임상 3상 진행에 총 98,771백만원, 2. 한국 RWE(실사용 근거) 확보에 총 14,502백만원 3. 법인운영비에 총 6,727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당초 계획한 금액에 미달할 경우 당사는 아래에 표기한 자금사용계획 우선순위에 따라 집행 시기를 고려하여 세부적으로 조정할 예정입니다. 개발에 사용되는 자금은 회계상 연구개발비로 처리될 예정입니다.
[유상증자 자금사용의 우선순위(분기별)]
(단위 : 백만원) |
우선순위 | 구분 | 자금용도 | 24년1분기 | 24년2분기 | 24년3분기 | 24년4분기 | 25년1분기 | 25년2분기 | 25년3분기 | 25년4분기 | 합계 |
---|---|---|---|---|---|---|---|---|---|---|---|
1 | 연구개발비 | 카티스템 임상3상 연구개발비 | 12,600 | 8,257 | 13,251 | 13,440 | 16,194 | 13,149 | 13,180 | 8,700 | 98,771 |
2 | 연구개발비 | 한국 RWE(실사용 근거) 확보 | 1,922 | 2,620 | 2,377 | 1,766 | 1,738 | 1,162 | 1,164 | 1,753 | 14,502 |
3 | 운영자금 | 법인 운영비 | 826 | 548 | 548 | 848 | 1,239 | 779 | 779 | 1,160 | 6,727 |
합계 | 15,348 | 11,425 | 16,176 | 16,054 | 19,171 | 15,090 | 15,123 | 11,613 | 120,000 |
[유상증자 자금용도별 세부지출 계획]
(단위 : 백만원) |
우선순위 | 구분 | 자금용도 | 세부내용 | 24년1분기 | 24년2분기 | 24년3분기 | 24년4분기 | 25년1분기 | 25년2분기 | 25년3분기 | 25년4분기 | 합계 |
---|---|---|---|---|---|---|---|---|---|---|---|---|
1 | 연구개발비 | 카티스템 임상3상 연구개발비 | CRO(임상시험수탁기관), SITE 및 Regulatory 및 생산관련 비용 | 7,179 | 5,503 | 10,459 | 9,578 | 11,519 | 11,262 | 11,309 | 6,705 | 73,514 |
연구개발인건비, 컨설팅 비용 등 | 5,421 | 2,754 | 2,792 | 3,862 | 4,675 | 1,887 | 1,871 | 1,995 | 25,257 | |||
2 | 연구개발비 | 한국 RWE(실사용 근거) 확보 | 한국 실사용증거 전향적/후향적 연구비 | 1,923 | 2,620 | 2,377 | 1,766 | 1,739 | 1,161 | 1,163 | 1,753 | 14,502 |
3 | 운영자금 | 법인 운영비 | 법인운영인건비, 관리비용 등 | 827 | 549 | 549 | 849 | 1,235 | 779 | 779 | 1,160 | 6,727 |
합계 | 15,350 | 11,426 | 16,177 | 16,055 | 19,168 | 15,089 | 15,122 | 11,613 | 120,000 |
1. 연구개발비
1) 카티스템 임상3상 연구개발비
금번 조달 예정인 자금은 우선적으로 카티스템의 미국 임상 비용으로 사용될 예정입니다. 카티스템®은 퇴행성 또는 반복적 외상으로 인한 골관절염 환자의 무릎 연골결손 치료제로 2012년 국내 품목허가 이후, 2022년말 기준 연평균 38.9% 성장한 한국형 블록버스터급 의약품입니다. 국내 임상 3상에서 투여 환자의 98% 연골이 재생됨을 확인하였으며, 6㎠ 이상 넓은 연결결손 부위 및 60대 이상 고연령군에서도 연골이 재생되어 결손부위의 크기 및 연령 제한없이 적용이 가능합니다. 국내 시판 후 600례 이상의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5년간 장기 추적 결과, 카티스템® 시술군에서 대조시술방법인 미세천공술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됨을 확인한 장기 유효성이 입증된 제품입니다.
당사는 카티스템의 한국내 성공적인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미국 임상을 통한 시장 확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세계 최초 동종 줄기세포치료제인 카티스템®의 미국 진출은 2010년도부터 계획되었으며, 2011년 미국 임상1/2a상 승인을 받아 성공적으로 완료하였습니다. 현재 2024년 4분기 미국 FDA 임상 3상 IND (임상시험계획)를 신청하여, 2025년 1분기 본격 임상개시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예상 유입자금은 향후 약 2년간 예상 자금수요를 충당하기 위하여 사용할 계획입니다. 구체적인 자금사용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카티스템 임상3상 연구개발비 세부지출 계획]
(단위 : 백만원) |
구분 | 세부내역 | 기간 | 24년1분기 | 24년2분기 | 24년3분기 | 24년4분기 | 25년1분기 | 25년2분기 | 25년3분기 | 25년4분기 | 합계 |
---|---|---|---|---|---|---|---|---|---|---|---|
카티스템 미국 3상 연구개발비 | ⓐ 미국 임상 CRO(임상시험수탁기관) 비용 | 2024년 1분기 ~ 2025년 4분기 | 1,427 | 2,548 | 7,304 | 4,819 | 5,482 | 4,437 | 5,122 | 2,014 | 33,153 |
ⓑ 미국 임상 SITE 운영 및 regulatory 관련 비용 | 2024년 1분기 ~ 2025년 4분기 | 589 | 1,104 | 1,496 | 2,255 | 2,475 | 2,699 | 2,695 | 2,149 | 15,462 | |
ⓒ 임상시료 생산 관련 비용 | 2024년 1분기 ~ 2025년 4분기 | 5,163 | 1,851 | 1,659 | 2,504 | 3,562 | 4,126 | 3,492 | 2,542 | 24,899 | |
ⓓ 연구개발인건비, 컨설팅 비용 등 | 2024년 1분기 ~ 2025년 4분기 | 5,421 | 2,754 | 2,792 | 3,862 | 4,675 | 1,887 | 1,871 | 1,995 | 25,257 | |
합계 | 12,600 | 8,257 | 13,251 | 13,440 | 16,194 | 13,149 | 13,180 | 8,700 | 98,771 |
ⓐ 미국 임상 CRO(임상시험수탁기관) 비용
CRO(임상시험수탁기관, Clinical Research Organization)이란 회사가 신약, 치료제등 개발에 드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임상시험 연구를 아웃소싱 하는 전문 기관을 말합니다.
당사는 카티스템의 미국 임상 3상을 준비중에 있으며, 2024년말 임상 3상 IND 제출을 목표로 자회사인 MEDIPOST America, Inc. 에서 담당하고 있습니다. 무릎 골관절염에 대한 글로벌 임상개발 역량을 갖춘 CRO(임상시험수탁기관)를 선별하여 임상시험을 진행할 계획이며, 임상시험관리, 임상 데이터 관리, 유효성 평가를 위한 MRI 이미징 및 분석 등 33,153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 미국 임상 SITE 및 Regulatory 관련 비용
Site 및 Regulatory 관련 비용 약 15,462백만원은 임상을 진행하는 의료기관에 사용될 예정으로, 수술비용, MRI 이미징 비용, 주기적인 환자의 상태 검사비용 (follow up)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당사는 미국내 50개 site에서 총 300명의 환자를 모집하여 임상시험을 진행할 계획이며, 성공적인 임상시험을 통한 미국 시장 출시를 목표로 자회사 MEDIPOST America, Inc.를 통하여 미국 현지 전문가들을 임상 프로토콜 수립, 허가, 상업화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 임상시료 생산 관련 비용
당사는 미국 임상 3상을 추진하고자 2022년 3월 캐나다 소재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 기업 OmniaBio를 인수하였으며, 2024년 3분기까지 임상시료 GMP 생산 준비를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현재 메디포스트의 카티스템 생산 기술 이전을 진행중입니다. OmniaBio에 위탁하여 생산하는 임상시료 관련 비용으로 약 24,899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 연구개발인건비, 컨설팅 비용 등
당사는 미국 임상 3상 추진을 위해 연구개발인건비, 컨설팅 비용, 운영비로 약 25,257 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2) 한국 RWE(실사용 근거) 확보
한국 RWE (Real World Evidence) 는 카티스템® 보험급여 및 US FDA 품목허가(BLA) 제출을 위한 근거 연구 자료로 한국식약처의 승인을 받아 시판되고 있는 카티스템을 과거에 수술 받은 환자들을 대상 (Retrospective (후향적)) 또는 앞으로 카티스템 수술을 받을 환자들을 대상 (Prospective (전향적)) 으로 환자들의 차트 검토 및 장기 추적 관찰을 통해 카티스템의 장기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와 TKA (인공관절) 전환률을 통한 경제성 평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인 자금사용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향적 연구(Prospective study)란 현시점으로부터 연구 대상자를 추적 관찰하는 것을 말합니다. 앞으로 일어날 건강 상태나 역학요인의 빈도를 계획적으로 조사하기 때문에 객관성이 뛰어나고 신뢰성이 있는 자료를 얻는다는 이점이 있는 반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예) 환자를 시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실시하는 임상시험 후향적 연구(Retrospective study)란 현시점에서 과거의 기록을 대상으로 조사하는 것을 말합니다. 연구 대상에 독립변수가 이미 발생한 후에 나타난 종속변수를 대상으로 한 연구 방법입니다. 이미 이미 독립변수가 발생했기 때문에 연구자가 독립변수를 조작할 수 없거나 연구 대상을 실험 조건에 따라 배치하기 어려운 경우에 사용됩니다. 예) 과거의 진료기록을 분석하는 연구 |
[한국 RWE(실사용 근거) 확보 세부지출 계획]
(단위 : 백만원) |
구분 | 세부내역 | 기간 | 24년1분기 | 24년2분기 | 24년3분기 | 24년4분기 | 25년1분기 | 25년2분기 | 25년3분기 | 25년4분기 | 합계 |
---|---|---|---|---|---|---|---|---|---|---|---|
한국 RWE 준비 | ⓔ 한국 RWE(실사용 근거) 연구 CRO 비용 | 2024년 1분기 ~ 2025년 4분기 | 1,227 | 2,009 | 1,936 | 1,255 | 1,009 | 1,030 | 1,016 | 1,009 | 10,491 |
ⓕ 한국 RWE(실사용 근거) 연구 SITE 및 SMO 비용 | 2024년 1분기 ~ 2025년 4분기 | 673 | 605 | 435 | 391 | 704 | 125 | 141 | 738 | 3,812 | |
ⓖ 한국 RWE(실사용 근거) 연구 기타 비용 | 2024년 1분기 ~ 2025년 4분기 | 23 | 6 | 6 | 120 | 26 | 6 | 6 | 6 | 199 | |
합계 | 1,923 | 2,620 | 2,377 | 1,766 | 1,739 | 1,161 | 1,163 | 1,753 | 14,502 |
ⓔ 한국 RWE(실사용 근거) 연구 CRO 비용
RWE(실사용 근거) 후향적 및 전향적 연구 모두 무릎 골관절염에 대한 경험을 갖춘 CRO를 선별하여 진행할 계획이며, CRO 주요 비용은 임상시험관리 (Project management), 임상 데이터 관리 (Data management), 유효성 평가를 위한 MRI 이미징 및 분석, 기타비용으로 약 10,491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 한국 RWE 연구 SITE 및 SMO 비용
Site 비용 약 3,812백만원은 연구를 진행하는 의료기관에 사용될 예정으로, MRI 이미징 비용, 주기적인 환자의 상태 검사비용 (follow up)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당사는 SMO(임상시험실시 지원기관,Site Management Organizaion)와 국내 11개 site에서 약 1,000명의 환자를 모집하여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며, 성공적인 임상시험을 통한 미국 시장 출시를 목표로 자회사 MEDIPOST America, Inc.를 통하여 한국의 실사용 근거자료 (RWE) 가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미국 현지 전문가들을 연구 프로토콜 수립 및 결과 보고서 작성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 한국 RWE(실사용 근거) 연구 기타 비용
당사는 기타 한국 RWE 연구에 필요한 기타비용으로 약 199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2. 운영자금
3) 법인운영비
당사는 이번 미국 임상3상 진행하는 종속회사 Medipost America Inc. 의 법인운영비로 총 6,727백만원(법인운영인건비에 약 2,961백만원, 관리비용 약 3,766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구체적인 자금사용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법인운영비 세부지출 계획]
(단위 : 백만원) |
구분 | 세부내역 | 기간 | 24년1분기 | 24년2분기 | 24년3분기 | 24년4분기 | 24년1분기 | 24년2분기 | 24년3분기 | 24년4분기 | 합계 |
---|---|---|---|---|---|---|---|---|---|---|---|
법인운영비 | ⓗ 법인운영인건비 | 2024년 1분기 ~ 2025년 4분기 | 247 | 247 | 247 | 547 | 323 | 323 | 323 | 704 | 2,961 |
ⓘ 관리비용 | 2024년 1분기 ~ 2025년 4분기 | 580 | 302 | 302 | 302 | 912 | 456 | 456 | 456 | 3,766 | |
합계 | 827 | 549 | 549 | 849 | 1,235 | 779 | 779 | 1,160 | 6,727 |
ⓗ 법인운영인건비
Medipost America Inc. 운영을 위한 인건비로 약 2,961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 관리비용
법률, IP(지적재산권), 세무, 회계등의 자문, 기타 사무실 임대료 등으로 약 3,766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주1) 당사가 계획중인 무릎 골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미국 임상3상 진행 계획 및 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카티스템 미국 임상3상 향후 진행 계획 및 일정]
분류 | 세부 | 2023년 | 2024년 | 2025년 | 2026년 | 2027년 | 2028년 | |||||
2H | 1H | 2H | 1H | 2H | 1H | 2H | 1H | 2H | 1H | 2H | ||
임상 3상 | FDA 미팅 등 임상준비 | ● | ● | ● |
|
|
|
|
|
| ||
IND (임상시험계획) 신청 | ● |
|
|
|
|
|
| |||||
환자등록 및 투여 |
| ● | ● | ● | ● | |||||||
투여 완료 후 추적관찰(2년) | ● | ● | ● | ● | ● | ● | ● | ● |
주) 상기 일정은 임상개발 전략의 변경, 규제기관의 정책변화, 시장 환경 변화에 따라 일부 또는 전체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출처: 당사 제공 |
주2) 카티스템 미국 임상3상 진행 총 예상 필요자금 규모
2023년~2028년까지 예상되는 카티스템 임상3상 연구개발 비용 규모(법인운영비, 한국 RWE(실사용 근거) 제외)는 127.3백만달러(한화 약 1,654억원)이며 법인운영비와 한국 RWE 포함 시는 186백만달러(한화 약 2,409억원)로 예상됩니다.
당사는 이번 유상증자를 통해 1,200억원을 조달할 계획(전체 연구개발 비용 중 50%)이며 추가로 필요한 자금은 해외 법인에서 우선 조달하고 필요 시 본사 를 통한 자금 조달도 고려할 예정입니다.
주3) 사모자금의 사용내역
(기준일 : | 2023년 0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회차 | 납입일 | 주요사항보고서의 자금사용 계획 | 실제 자금사용 내역 | 차이발생 사유 등 | ||
---|---|---|---|---|---|---|---|
사용용도 | 조달금액 | 내용 | 금액 | ||||
전환사채 | 8 | 2022년 03월 28일 | 투자자금 | 7,500 | 투자자금 - 타법인 투자금액 | 7,500 | (주1) |
전환사채 | 8 | 2022년 03월 28일 | 운영자금 | 27,500 | 운영자금 - R&D 투자금액 | 27,500 | (주1) |
전환사채 | 9 | 2022년 04월 08일 | 투자자금 | 7,500 | 투자자금 - 타법인 투자금액 | 7,500 | (주2) |
전환사채 | 9 | 2022년 04월 08일 | 운영자금 | 27,500 | 운영자금 - R&D 투자금액 | 25,570 | (주2) |
전환우선주 | 4 | 2022년 06월 24일 | 투자자금 | 70,000 | 투자자금 - 타법인 투자금액 | 30,400 | (주3) |
(주1) 보고서 기준일 현재, 전환사채 발행 금액 350억원 중 자금사용 목적에 따라 운영자금 약 275억원(줄기세포치료제 미국임상)을 사용하였으며, 2022년 7월 1일 투자자금 약 75억원(세포유전자치료제 위탁생산개발 CDMO 사업추진을 위해 종속회사 메디포스트 씨디엠오(주)를 통해 북미소재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회사에 투자)을 사용하였습니다.
(주2) 보고서 기준일 현재, 전환사채 발행 금액 350억원 중 자금사용 목적에 따라 운영자금 약 256억원(줄기세포치료제 미국임상)을 사용하였으며, 2022년 7월 1일 투자자금 약 75억원(세포유전자치료제 위탁생산개발 CDMO 사업추진을 위해 종속회사 메디포스트 씨디엠오(주)를 통해 북미소재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회사에 투자)을 사용하였습니다.
(주3) 보고서 기준일 현재, 전환우선주 발행 금액 700억원 중 자금사용 목적에 따라 2022년 7월 1일 투자자금 약 304억원(세포유전자치료제 위탁생산개발 CDMO 사업추진을 위해 종속회사 메디포스트 씨디엠오(주)를 통해 북미소재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회사에 투자)을 사용하였습니다.
미사용자금의 운용내역
(기준일 : | 2023년 0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종류 | 금융상품명 | 운용금액 | 계약기간 | 실투자기간 |
---|---|---|---|---|
예ㆍ적금 | 정기예금 | 20,000 | - | 13개월 |
채권 | 단기사채 | 21,530 | - | 13개월 |
계 | 41,530 | - |
(주4) 작년 자금조달 후 올해 추가로 유상증자를 진행 한 배경
당사는 약 700억원 규모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전환우선주) 및 총 700억원 규모의 제8회차/제9회차 전환사채 발행 시 제출한 공시서류(주요사항보고서) 를 통해 【제3자배정 증자의 목적】및 【조달자금의 구체적 사용 목적】을 안내 드린 바 있습니다.
제3자 배정 유상증자(전환우선주) 700억원【제3자배정 증자의 목적】 |
세포유전자치료제 위탁생산개발(CDMO) 사업추진을 위해 종속회사 메디포스트 씨디엠오(주)를 통해 북미소재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회사 투자예정비용 총 850억원중 본건 700억원 소요예정 |
출처 : 당사 2022.06.22 [정정]주요사항보고서(유상증자 결정) 공시
제8회차 전환사채 350억원【조달자금의 구체적 사용 목적】 |
1. 세포유전자치료제 위탁생산개발(CDMO) 사업추진을 위해 종속회사 메디포스트 씨디엠오(주)를 통해 |
출처 : 당사 2022.05.24 [정정]주요사항보고서(전환사채권발행결정) 공시
제9회차 전환사채 350억원【조달자금의 구체적 사용 목적】 |
1. 세포유전자치료제 위탁생산개발(CDMO) 사업추진을 위해 종속회사 메디포스트 씨디엠오(주)를 통해 |
출처 : 당사 2022.05.24 [정정]주요사항보고서(전환사채권발행결정) 공시
이에 따라 작년에 사모펀드를 통해 조달한 1,400억원은 2022년 자금 조달 시사용 목적에 따라 캐나다 소재 OmniaBio 주식 취득 및 전환사채 인수를 위해 850억원, 미국법인 임상 3상을 위한 초기 자금으로 550억원이 사용됩니다. 해당 550억원의 세부 사용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5) 미국법인 임상 3상을 위한 초기 자금의 사용 내역
(단위 : 백만원) |
구분 | 세부내역 | 2022년 | 2023년 | 2024년(E) | 합계 |
---|---|---|---|---|---|
카티스템 미국 3상 연구개발비 | ⓐ 미국 임상 CRO(임상시험수탁기관) 비용 | 65 | 13,450 | 3,975 | 17,490 |
ⓑ 미국 임상 SITE 운영 및 regulatory 관련 비용 | 11 | 2,200 | 1,693 | 3,904 | |
ⓒ 임상시료 생산 관련 비용 | - | - | 7,014 | 7,014 | |
ⓓ 연구개발인건비, 컨설팅 비용 등 | 517 | 8,633 | 5,491 | 14,641 | |
소계 | 593 | 24,283 | 18,173 | 43,049 | |
한국 RWE 준비 | ⓔ 한국 RWE(실사용 근거) 연구 CRO 비용 | - | - | 3,236 | 3,236 |
ⓕ 한국 RWE(실사용 근거) 연구 SITE 및 SMO 비용 | - | - | 1,278 | 1,278 | |
ⓖ 한국 RWE(실사용 근거) 연구 기타 비용 | - | - | 29 | 29 | |
소계 | - | - | 4,543 | 4,543 | |
법인운영비 | ⓗ 법인운영인건비 | 262 | 2,332 | 494 | 3,088 |
ⓘ 관리비용 | 415 | 3,023 | 882 | 4,320 | |
소계 | 677 | 5,355 | 1,376 | 7,408 | |
합계 | 1,270 | 29,638 | 24,092 | 55,000 |
[2022년 전환사채, 전환우선주 조달 자금의 세부사용 내역]
(단위 : 백만원) |
구분 | 2022년 | 2023년 | 2024년(E) | |
---|---|---|---|---|
기초 잔액 | - | 87,421 | 25,829 | |
현금 유입 (Cash In) | 전환사채(제8회차/제9회차) 발행에 따른 유입 | 70,000 | - | - |
전환우선주 발행에 따른 유입 | 70,000 | - | - | |
계 | 140,000 | - | - | |
현금 지출 (Cash Out) | 메디포스트 씨디엠오 출자 (OmniaBio 지분 및 전환사채 취득 목적) | 46,100 | 15,000 | 30,000 |
미국 법인 MEDIPOST America, Inc. 출자 (카티스템 미국 임상 3상 준비 비용) | 6,479 | 46,592 | - | |
계 | 52,579 | 61,592 | 30,000 | |
기말 잔액 | 87,421 | 25,829 | -4,171 |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당사는 미국법인 임상 3상을 위한 초기 자금으로 미국 법인 MEDIPOST America, Inc.에 531억원을 출자하였으며, 출자 금액은 상기 (주5)의 사용 내용과 같이 카티스템 임상3상 연구개발비 및 법인 운영비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2023년말 잔액은 약 222억원으로 예상되며, 금번 유상증자를 통한 자본조달이 없을 시에는 아래 #Case 2. 임상 진행 시 유상증자가 없는 경우의 표와 같이 2024년 이후 자금 부족(Shortage)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임상3상 진행에 따른 Medipost America Inc. 자금 유입/지출 예상표]
# Case 1. 임상 진행 시 유상증자를 통한 자본조달이 있는 경우
(단위 : 백만원) |
구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
---|---|---|---|---|---|
기초 잔액 | 0 | 5,209 | 22,163 | 29,660 | |
현금 유입 (Cash In) | 모회사로부터의 출자 | 6,479 | 46,592 | 66,500 | 53,500 |
계 | 6,479 | 46,592 | 66,500 | 53,500 | |
현금 지출 (Cash Out) | 카티스템 임상3상 연구개발비 | 593 | 24,283 | 47,548 | 51,223 |
한국 RWE(실사용 근거) 확보 | - | - | 8,685 | 5,817 | |
법인 운영비 | 677 | 5,355 | 2,770 | 3,957 | |
계 | 1,270 | 29,638 | 59,003 | 60,997 | |
기말 잔액 | 5,209 | 22,163 | 29,660 | 22,163 |
# Case 2. 임상 진행 시 유상증자를 통한 자본조달이 없는 경우
(단위 : 백만원) |
구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
---|---|---|---|---|---|
기초 잔액 | 0 | 5,209 | 22,163 | -36,840 | |
현금 유입 (Cash In) | 모회사로부터의 출자 | 6,479 | 46,592 | - | - |
계 | 6,479 | 46,592 | - | - | |
현금 지출 (Cash Out) | 카티스템 임상3상 연구개발비 | 593 | 24,283 | 47,548 | 51,223 |
한국 RWE(실사용 근거) 확보 | - | - | 8,685 | 5,817 | |
법인 운영비 | 677 | 5,355 | 2,770 | 3,957 | |
계 | 1,270 | 29,638 | 59,003 | 60,997 | |
기말 잔액 | 5,209 | 22,163 | -36,840 | -97,837 |
결론적으로 당사가 이번 미국임상 3상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작년 1,400억원 조달 외에 추가적인 자본 조달이 필요하여 이번 유상증자를 추진하게 되었습니다.
(주5) 당사는 MEDSIPOST America에 2022년 6월 USD 5M, 2023년 6월 USD 35M 두 차례에 걸쳐 총 USD 40M(한화 약 535억원)을 출자하였습니다. 당사가 지분 99.9%을 보유하고 있으며, 인수한 증권의 주당 액면금액은 USD 0.001, 발행금액은 USD 1입니다.
당사는 이번 유상증자로 조달한 자금을 MEDIPOST America에 출자할 예정이며, 기존과 동일하게 인수할 증권의 주당 액면금액은 USD 0.001, 발행금액은 USD 1입니다.
라. 자금의 운용계획
당사가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한 자금 중 일부 자금은 조달시기와 사용시기가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자금사용시기가 도래하지 않은 금액에 대해서는 국내 제1금융권, 증권사 등의 안정성이 높은 상품에 예치할 계획이며, 자금의 사용시기가 도래하여 단기간 내에 자금의 사용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제1금융권 등의 단기금융상품으로 운용할 계획입니다.
(주6) 정정 후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가. 자금조달금액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
모집 또는 매출총액(1) | 77,841,409,510 |
발행제비용(2) | 908,134,361 |
순 수 입 금 [ (1)-(2) ] | 76,933,275,149 |
주1) 상기 금액은 예정 발행가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으로 모집가액 확정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2) 상기 모집총액은 우선적으로 하단에 기재된 자금의 사용 목적에 따라 사용할 예정입니다. |
주3) 발행제비용은 공모금액 및 실권규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기재 금액은 청약 초과로 인하여 실권이 발생하지 않은 상황을 가정하여 산정되었습니다. 또한 상장수수료는 상장신청일 직전일 주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나. 발행제비용의 내역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계산근거 |
---|---|---|
발행분담금 | 14,011,450 | 발행가액총액 x 0.018% (10원 미만 절사) |
인수수수료 | 778,414,095 | 인수수수료 : 모집총액의 1.0% |
추가상장수수료 | 10,000,000 | 1,000억원 초과 2,000억원 이하 910만원 + 1,000억원 초과금액의 10억원당 5만원(상한 5천만원) |
등록면허세 | 26,431,718 | 증자 자본금의 x 0.40% (지방세법 제28조, 10원미만 절사) |
지방교육세 | 5,286,344 | 등록면허세 x 20% ((지방세법 제151조, 10원미만 절사)) |
주식발행등록수수료 | 1,000,000 | 1,000주당 300원 (하한 건당 4천원, 상한 50만원) 주식 및 신주인수권증서 각각 별도 징수 |
신주인수권증서 표준코드발급수수료 | 10,000 | 한국거래소 신주인수권증서 표준코드발급비용 |
기타비용 | 72,980,754 | 투자설명서, 신주배정통지서 인쇄 및 발송 비용 포함 |
합 계 | 908,134,361 | - |
주1) 상기 금액은 1차 발행가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입니다. |
주2) 발행제비용은 공모금액 및 상장신청일 직전일 한국거래소에서 거래되는 당사의 보통주식 종가, 유관기관 정책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3) 기타비용은 예상금액으로 변동될 수 있습니다. |
2. 자금의 사용목적
가. 공모자금 자금 조달의 개요
당사가 금번 보통주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 예정인 자금 778억원은 아래와 같이 타법인증권취득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당사는 매 분기별 공시하는 당사의 정기보고서에 공모자금의 실제 사용내역 및 변동상황에 관하여 공시할 예정입니다.
(기준일 : | 2023년 09월 17일 | ) | (단위 : 백만원) |
시설자금 | 영업양수 자금 | 운영자금 | 채무상환 자금 |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 기타 | 계 |
---|---|---|---|---|---|---|
- | - | - | - | 77,841 | - | 77,841 |
주1) 상기 금액은 1차 발행가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으로 발행가액 확정 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주2) 발행제비용은 당사 자체자금으로 조달할 예정입니다.
카티스템의 미국 임상 3상 추진은 단기간에 결정된 사항이 아닌 오랜 검토 끝에 결정된 사항으로 미국 임상3상 추진 및 이에 따른 유상증자 결정 배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사는 카티스템의 국내 품목허가 시기부터 미국시장 진출을 계획하고 있었습니다. 이 계획에 따라 2011년 미국 1/2a상 IND 승인을 시작으로 2018년 3월에는 카티스템 미국 1/2a상 임상을 성공적으로 종료한 바 있습니다. 뒤이어 2018년 12월에는 FDA와 임상 종료 후 End of Phase 대면 상담을 통해 향후 미국 임상 개발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임상 2b상 없이 임상3상으로 곧바로 진입하는 것으로 협의하였습니다. 그러나 미국 임상3상 진행에 필요한 대규모 비용으로 인해 2019년도에 당사가 곧바로 임상3상을 단독 추진하는 것은 불가능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2020년 1월 당사의 당시 경영전략은 직접 임상 진행을 하는 것이 아닌 라이선스 아웃을 통해 미국 제약사와 손을 잡거나 기술수출의 형태를 우선적으로 모색하였습니다. 이후 2020년부터의 코로나 창궐로 인해 라이선스 아웃에는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당사의 경영전략을 전면 재검토하게 되는 계기가 생깁니다. 미국기업 베리셀(Vericel, 나스닥 상장기업)과 베리셀(Vericel)에서 FDA로부터 승인받은 자가연골세포 치료제 MACI입니다. 베리셀(Vericel)은 현재 미국 나스닥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으로급성연골결손 자가연골세포 치료제 'MACI'의 2019년 품목허가 이후 1,500억원대의 매출을 기록하였으며, 2021년도에는 시가총액이 4조원에 달할 정도로 높은 기업가치를 인정받고 있었습니다.
한편 전세계적으로 고령화에 따라 무릎골관절염 환자는 지속적으로 증가세에 있으며 그중에서도 미국은 3,000만명이 넘는 골관절염 환자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미국시장은 전세계 의약품 시장의 약 20%를 차지하는 글로벌 최대 의약품 시장이기도 합니다. 이에 관련하여 최근 미국 바이든 정부는 최근 보건첨단연구계획국의 첫 프로젝트로 골관절염을 선정하기도 하였습니다. |
나. 세부사용 계획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를 통하여 조달 예정인 자금 778억원을 아래와 같이 종속회사 MEDIPOST America INC.의 증권취득자금으로 사용할 예정이며, MEDIPOST America INC.는 미국 카티스템 임상 3상 진행을 위한 용도로 자금을 집행할 계획입니다. 다만, 아래 계획은 향후 경영환경 등을 고려하여 투자금액/시점 등이 변경될 가능성이 있음을 투자자께서는 인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단위 : 백만원) |
우선순위 | 구분 | 자금용도 | 2024년 1분기 | 2024년 3분기 | 2025년 1분기 | 합계 |
---|---|---|---|---|---|---|
1 |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 MEDIPOST America INC. 출자 | 33,250 | 33,250 | 11,341 | 77,841 |
합계 | 33,250 | 33,250 | 11,341 | 77,841 |
자료 : 당사 제시 자료
주1) 이번 타법인증권 취득자금의 구체적인 자금용도는 하기 다.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사용 계획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주2) 타법인증권 취득자금은 1차 발행가액 기준으로 예상되는 내역을 토대로 산정한 금액이며, 실제 투자 시 추가적인 자금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주3) 타법인증권 취득자금에 대한 사용 시기는 상기의 내역과 같이 1차 발행가액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향후 실제자금 집행 과정에서 금액 또는 사용시기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또한, 경영 환경 변화 등의 사유로 인해 현재 계획 중인 각 항목이 변경되거나, 신규 항목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
[MEDIPOST America INC] 개요
회사명 | MEDIPOST America INC | ||
대표이사 | 이승진 (Antonio Lee), Edward Ahn (공동대표) | ||
주소 | 9711 Washington Blvd, Suite 550, Gaithersburg, Maryland | ||
설립일 | 2011년 11월 29일 | ||
사업내용 | 카티스템/뉴모스템 북미지역 임상 진행 및 세포치료제 글로벌 라이센싱 | ||
종업원수 | 9명 (2023년 반기 기준) | ||
연혁 | 2011.11 | MEDIPOST America 설립 | |
2013.12 | '뉴모스템' 미국 FDA 희귀의약품(Orphan Drug) 지정 | ||
2014.09 | '뉴모스템' 미국 FDA 임상시험 1/2상 승인 | ||
2018.03 | '카티스템' 미국 FDA 임상 1/2a상 종료 | ||
2019.08 | '뉴모스템' 미국 FDA로부터 Fast Track 지정 | ||
2022.07 | 공동대표이사 Edward Ahn 박사 영입 | ||
구분 (단위 : USD) | 2023년 반기 | 2022년 | 2021년 |
자산총계 | 33,790,036 | 3,541,617 | 139,462 |
부채총계 | 11,402,093 | 9,319,507 | 9,582,714 |
자본총계 | 22,387,943 | -5,777,889 | -9,443,252 |
매출액 | 0 | - | - |
영업이익(손실) | -6,702,390 | -955,868 | -138,770 |
당기순이익 (손실) | -6,834,167 | -1,334,637 | -515,348 |
당사는 2011년 11월 카티스템 / 뉴모스템 북미지역 임상시험 진행 및 세포치료제 글로벌 라이센싱의 목적으로 미국 메릴랜드주에 MEDIPOST America Inc을 설립하였습니다.
현재 임상 진행 중으로 매출액은 발생하지 않고 있으며, 경상개발비, 판관비 등으로 인해 지속적인 영업손실 및 당기순손실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최초 투자금액은 2,283백만원이며, EVASTEM CORPORATION의 손익 또한 당사의 지분율 (100%)에 한하여 재무손익으로 반영되고 있습니다. 2023년 반기 말 현재 EVASTEM CORPORATION의 당사 장부금액은 11,205백만원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다.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사용 계획
당사의 종속회사인 MEDIPOST America INC.는 출자받은 778억원을 아래와 같이 미국 카티스템 임상 3상 진행에 따른 연구개발비 및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예정이며, 하기 우선순위에 따라 자금을 집행할 계획입니다. 다만, 아래 계획은 향후 경영환경 등을 고려하여 투자금액/시점 등이 변경될 가능성이 있음을 투자자께서는 인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유상증자 자금사용의 우선순위]
(단위 : 백만원) |
우선순위 | 자금용도 | 세부내용 | 자금의 사용시기 | 합계 |
---|---|---|---|---|
1 | 연구개발비 | 미국 카티스템 임상 3상 진행 | 2024년 ~ 2025년 | 63,742 |
2 | 연구개발비 | 한국 RWE(실사용 근거) 확보 | 2024년 ~ 2025년 | 10,425 |
3 | 운영 자금 | 법인 운영비 | 2024년 ~ 2025년 | 3,674 |
합계 | 77,841 |
주) RWE(Real World Evidence, 실사용 근거) 확보는 실제임상을 근거로 하여 제품의 등재 이후 임상적 유용성과 비용 효과성 등 경제성을 재평가하는 것을 말하며, 전향 (현재시전 이후 카티스템 수술을 받은 환자들의 추적관찰 연구)와 후향 (과거 카티스템 수술을 받은 환자들의 수술 이후의 데이터를 수집한 연구)으로 나누어 진행 할 계획입니다.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를 통하여 모집되는 자금을 1. 미국 카티스템 임상 3상 진행에 총 63,742백만원, 2. 한국 RWE(실사용 근거) 확보에 총 10,425백만원 3. 법인운영비에 총 3,674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당초 계획한 금액에 미달할 경우 당사는 아래에 표기한 자금사용계획 우선순위에 따라 집행 시기를 고려하여 세부적으로 조정할 예정입니다. 개발에 사용되는 자금은 회계상 연구개발비로 처리될 예정입니다.
[유상증자 자금사용의 우선순위(분기별)]
(단위 : 백만원) |
우선순위 | 구분 | 자금용도 | 24년1분기 | 24년2분기 | 24년3분기 | 24년4분기 | 25년1분기 | 합계 |
---|---|---|---|---|---|---|---|---|
1 | 연구개발비 | 카티스템 임상3상 연구개발비 | 12,600 | 8,257 | 13,251 | 13,440 | 16,194 | 63,742 |
2 | 연구개발비 | 한국 RWE(실사용 근거) 확보 | 1,923 | 2,620 | 2,377 | 1,766 | 1,739 | 10,425 |
3 | 운영자금 | 법인 운영비 | 827 | 549 | 549 | 849 | 900 | 3,674 |
합계 | 15,350 | 11,426 | 16,177 | 16,055 | 18,833 | 77,841 |
[유상증자 자금용도별 세부지출 계획]
(단위 : 백만원) |
우선순위 | 구분 | 자금용도 | 세부내용 | 24년1분기 | 24년2분기 | 24년3분기 | 24년4분기 | 25년1분기 | 합계 |
---|---|---|---|---|---|---|---|---|---|
1 | 연구개발비 | 카티스템 임상3상 연구개발비 | CRO(임상시험수탁기관), SITE 및 Regulatory 및 생산관련 비용 | 7,179 | 5,503 | 10,459 | 9,578 | 11,519 | 44,238 |
연구개발인건비, 컨설팅 비용 등 | 5,421 | 2,754 | 2,792 | 3,862 | 4,675 | 19,504 | |||
2 | 연구개발비 | 한국 RWE(실사용 근거) 확보 | 한국 실사용증거 전향적/후향적 연구비 | 1,923 | 2,620 | 2,377 | 1,766 | 1,739 | 10,425 |
3 | 운영자금 | 법인 운영비 | 법인운영인건비, 관리비용 등 | 827 | 549 | 549 | 849 | 900 | 3,674 |
합계 | 15,350 | 11,426 | 16,177 | 16,055 | 18,833 | 77,841 |
1. 연구개발비
1) 카티스템 임상3상 연구개발비
금번 조달 예정인 자금은 우선적으로 카티스템의 미국 임상 비용으로 사용될 예정입니다. 카티스템®은 퇴행성 또는 반복적 외상으로 인한 골관절염 환자의 무릎 연골결손 치료제로 2012년 국내 품목허가 이후, 2022년말 기준 연평균 38.9% 성장한 한국형 블록버스터급 의약품입니다. 국내 임상 3상에서 투여 환자의 98% 연골이 재생됨을 확인하였으며, 6㎠ 이상 넓은 연결결손 부위 및 60대 이상 고연령군에서도 연골이 재생되어 결손부위의 크기 및 연령 제한없이 적용이 가능합니다. 국내 시판 후 600례 이상의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5년간 장기 추적 결과, 카티스템® 시술군에서 대조시술방법인 미세천공술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됨을 확인한 장기 유효성이 입증된 제품입니다.
당사는 카티스템의 한국내 성공적인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미국 임상을 통한 시장 확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세계 최초 동종 줄기세포치료제인 카티스템®의 미국 진출은 2010년도부터 계획되었으며, 2011년 미국 임상1/2a상 승인을 받아 성공적으로 완료하였습니다. 현재 2024년 4분기 미국 FDA 임상 3상 IND (임상시험계획)를 신청하여, 2025년 1분기 본격 임상개시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예상 유입자금은 향후 약 2년간 예상 자금수요를 충당하기 위하여 사용할 계획입니다. 구체적인 자금사용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카티스템 임상3상 연구개발비 세부지출 계획]
(단위 : 백만원) |
구분 | 세부내역 | 기간 | 24년1분기 | 24년2분기 | 24년3분기 | 24년4분기 | 25년1분기 | 합계 |
---|---|---|---|---|---|---|---|---|
카티스템 미국 3상 연구개발비 | ⓐ 미국 임상 CRO(임상시험수탁기관) 비용 | 2024년 1분기 ~ 2025년 1분기 | 1,427 | 2,548 | 7,304 | 4,819 | 5,482 | 21,580 |
ⓑ 미국 임상 SITE 운영 및 regulatory 관련 비용 | 2024년 1분기 ~ 2025년 1분기 | 589 | 1,104 | 1,496 | 2,255 | 2,475 | 7,919 | |
ⓒ 임상시료 생산 관련 비용 | 2024년 1분기 ~ 2025년 1분기 | 5,163 | 1,851 | 1,659 | 2,504 | 3,562 | 14,739 | |
ⓓ 연구개발인건비, 컨설팅 비용 등 | 2024년 1분기 ~ 2025년 1분기 | 5,421 | 2,754 | 2,792 | 3,862 | 4,675 | 19,504 | |
합계 | 12,600 | 8,257 | 13,251 | 13,440 | 16,194 | 63,742 |
ⓐ 미국 임상 CRO(임상시험수탁기관) 비용
CRO(임상시험수탁기관, Clinical Research Organization)이란 회사가 신약, 치료제등 개발에 드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임상시험 연구를 아웃소싱 하는 전문 기관을 말합니다.
당사는 카티스템의 미국 임상 3상을 준비중에 있으며, 2024년말 임상 3상 IND 제출을 목표로 자회사인 MEDIPOST America, Inc. 에서 담당하고 있습니다. 무릎 골관절염에 대한 글로벌 임상개발 역량을 갖춘 CRO(임상시험수탁기관)를 선별하여 임상시험을 진행할 계획이며, 임상시험관리, 임상 데이터 관리, 유효성 평가를 위한 MRI 이미징 및 분석 등 21,580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 미국 임상 SITE 및 Regulatory 관련 비용
Site 및 Regulatory 관련 비용 약 7,919백만원은 임상을 진행하는 의료기관에 사용될 예정으로, 수술비용, MRI 이미징 비용, 주기적인 환자의 상태 검사비용 (follow up)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당사는 미국내 50개 site에서 총 300명의 환자를 모집하여 임상시험을 진행할 계획이며, 성공적인 임상시험을 통한 미국 시장 출시를 목표로 자회사 MEDIPOST America, Inc.를 통하여 미국 현지 전문가들을 임상 프로토콜 수립, 허가, 상업화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 임상시료 생산 관련 비용
당사는 미국 임상 3상을 추진하고자 2022년 3월 캐나다 소재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 기업 OmniaBio를 인수하였으며, 2024년 3분기까지 임상시료 GMP 생산 준비를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현재 메디포스트의 카티스템 생산 기술 이전을 진행중입니다. OmniaBio에 위탁하여 생산하는 임상시료 관련 비용으로 약 14,739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 연구개발인건비, 컨설팅 비용 등
당사는 미국 임상 3상 추진을 위해 연구개발인건비, 컨설팅 비용, 운영비로 약 19,504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2) 한국 RWE(실사용 근거) 확보
한국 RWE (Real World Evidence) 는 카티스템® 보험급여 및 US FDA 품목허가(BLA) 제출을 위한 근거 연구 자료로 한국식약처의 승인을 받아 시판되고 있는 카티스템을 과거에 수술 받은 환자들을 대상 (Retrospective (후향적)) 또는 앞으로 카티스템 수술을 받을 환자들을 대상 (Prospective (전향적)) 으로 환자들의 차트 검토 및 장기 추적 관찰을 통해 카티스템의 장기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와 TKA (인공관절) 전환률을 통한 경제성 평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인 자금사용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향적 연구(Prospective study)란 현시점으로부터 연구 대상자를 추적 관찰하는 것을 말합니다. 앞으로 일어날 건강 상태나 역학요인의 빈도를 계획적으로 조사하기 때문에 객관성이 뛰어나고 신뢰성이 있는 자료를 얻는다는 이점이 있는 반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예) 환자를 시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실시하는 임상시험 후향적 연구(Retrospective study)란 현시점에서 과거의 기록을 대상으로 조사하는 것을 말합니다. 연구 대상에 독립변수가 이미 발생한 후에 나타난 종속변수를 대상으로 한 연구 방법입니다. 이미 이미 독립변수가 발생했기 때문에 연구자가 독립변수를 조작할 수 없거나 연구 대상을 실험 조건에 따라 배치하기 어려운 경우에 사용됩니다. 예) 과거의 진료기록을 분석하는 연구 |
[한국 RWE(실사용 근거) 확보 세부지출 계획]
(단위 : 백만원) |
구분 | 세부내역 | 기간 | 24년1분기 | 24년2분기 | 24년3분기 | 24년4분기 | 25년1분기 | 합계 |
---|---|---|---|---|---|---|---|---|
한국 RWE 준비 | ⓔ 한국 RWE(실사용 근거) 연구 CRO 비용 | 2024년 1분기 ~ 2025년 1분기 | 1,227 | 2,009 | 1,936 | 1,255 | 1,009 | 7,436 |
ⓕ 한국 RWE(실사용 근거) 연구 SITE 및 SMO 비용 | 2024년 1분기 ~ 2025년 1분기 | 673 | 605 | 435 | 391 | 704 | 2,808 | |
ⓖ 한국 RWE(실사용 근거) 연구 기타 비용 | 2024년 1분기 ~ 2025년 1분기 | 23 | 6 | 6 | 120 | 26 | 181 | |
합계 | 1,923 | 2,620 | 2,377 | 1,766 | 1,739 | 10,425 |
ⓔ 한국 RWE(실사용 근거) 연구 CRO 비용
RWE(실사용 근거) 후향적 및 전향적 연구 모두 무릎 골관절염에 대한 경험을 갖춘 CRO를 선별하여 진행할 계획이며, CRO 주요 비용은 임상시험관리 (Project management), 임상 데이터 관리 (Data management), 유효성 평가를 위한 MRI 이미징 및 분석, 기타비용으로 약 7,436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 한국 RWE 연구 SITE 및 SMO 비용
Site 비용 약 2,808백만원은 연구를 진행하는 의료기관에 사용될 예정으로, MRI 이미징 비용, 주기적인 환자의 상태 검사비용 (follow up)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당사는 SMO(임상시험실시 지원기관,Site Management Organizaion)와 국내 11개 site에서 약 1,000명의 환자를 모집하여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며, 성공적인 임상시험을 통한 미국 시장 출시를 목표로 자회사 MEDIPOST America, Inc.를 통하여 한국의 실사용 근거자료 (RWE) 가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미국 현지 전문가들을 연구 프로토콜 수립 및 결과 보고서 작성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 한국 RWE(실사용 근거) 연구 기타 비용
당사는 기타 한국 RWE 연구에 필요한 기타비용으로 약 181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2. 운영자금
3) 법인운영비
당사는 이번 미국 임상3상 진행하는 종속회사 Medipost America Inc. 의 법인운영비로 총 3,674백만원(법인운영인건비에 약 1,611백만원, 관리비용 약 2,063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구체적인 자금사용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법인운영비 세부지출 계획]
(단위 : 백만원) |
구분 | 세부내역 | 기간 | 24년1분기 | 24년2분기 | 24년3분기 | 24년4분기 | 25년1분기 | 합계 |
---|---|---|---|---|---|---|---|---|
법인운영비 | ⓗ 법인운영인건비 | 2024년 1분기 ~ 2025년 1분기 | 247 | 247 | 247 | 547 | 323 | 1,611 |
ⓘ 관리비용 | 2024년 1분기 ~ 2025년 1분기 | 580 | 302 | 302 | 302 | 577 | 2,063 | |
합계 | 827 | 549 | 549 | 849 | 900 | 3,674 |
ⓗ 법인운영인건비
Medipost America Inc. 운영을 위한 인건비로 약 1,611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 관리비용
법률, IP(지적재산권), 세무, 회계등의 자문, 기타 사무실 임대료 등으로 약 2,063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주1) 당사가 계획중인 무릎 골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미국 임상3상 진행 계획 및 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카티스템 미국 임상3상 향후 진행 계획 및 일정]
분류 | 세부 | 2023년 | 2024년 | 2025년 | 2026년 | 2027년 | 2028년 | |||||
2H | 1H | 2H | 1H | 2H | 1H | 2H | 1H | 2H | 1H | 2H | ||
임상 3상 | FDA 미팅 등 임상준비 | ● | ● | ● |
|
|
|
|
|
| ||
IND (임상시험계획) 신청 | ● |
|
|
|
|
|
| |||||
환자등록 및 투여 |
| ● | ● | ● | ● | |||||||
투여 완료 후 추적관찰(2년) | ● | ● | ● | ● | ● | ● | ● | ● |
주) 상기 일정은 임상개발 전략의 변경, 규제기관의 정책변화, 시장 환경 변화에 따라 일부 또는 전체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출처: 당사 제공 |
주2) 카티스템 미국 임상3상 진행 총 예상 필요자금 규모
2023년~2028년까지 예상되는 카티스템 임상3상 연구개발 비용 규모(법인운영비, 한국 RWE(실사용 근거) 제외)는 127.3백만달러(한화 약 1,654억원)이며 법인운영비와 한국 RWE 포함 시는 186백만달러(한화 약 2,409억원)로 예상됩니다.
당사는 이번 유상증자를 통해 약 778억원을 조달할 계획(전체 연구개발 비용 중 약 32%)이며 추가로 필요한 자금은 해외 법인에서 우선 조달하고 필요 시 본사 를 통한 자금 조달도 고려할 예정입니다.
주3) 사모자금의 사용내역
(기준일 : | 2023년 0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회차 | 납입일 | 주요사항보고서의 자금사용 계획 | 실제 자금사용 내역 | 차이발생 사유 등 | ||
---|---|---|---|---|---|---|---|
사용용도 | 조달금액 | 내용 | 금액 | ||||
전환사채 | 8 | 2022년 03월 28일 | 투자자금 | 7,500 | 투자자금 - 타법인 투자금액 | 7,500 | (주1) |
전환사채 | 8 | 2022년 03월 28일 | 운영자금 | 27,500 | 운영자금 - R&D 투자금액 | 27,500 | (주1) |
전환사채 | 9 | 2022년 04월 08일 | 투자자금 | 7,500 | 투자자금 - 타법인 투자금액 | 7,500 | (주2) |
전환사채 | 9 | 2022년 04월 08일 | 운영자금 | 27,500 | 운영자금 - R&D 투자금액 | 25,570 | (주2) |
전환우선주 | 4 | 2022년 06월 24일 | 투자자금 | 70,000 | 투자자금 - 타법인 투자금액 | 30,400 | (주3) |
(주1) 보고서 기준일 현재, 전환사채 발행 금액 350억원 중 자금사용 목적에 따라 운영자금 약 275억원(줄기세포치료제 미국임상)을 사용하였으며, 2022년 7월 1일 투자자금 약 75억원(세포유전자치료제 위탁생산개발 CDMO 사업추진을 위해 종속회사 메디포스트 씨디엠오(주)를 통해 북미소재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회사에 투자)을 사용하였습니다.
(주2) 보고서 기준일 현재, 전환사채 발행 금액 350억원 중 자금사용 목적에 따라 운영자금 약 256억원(줄기세포치료제 미국임상)을 사용하였으며, 2022년 7월 1일 투자자금 약 75억원(세포유전자치료제 위탁생산개발 CDMO 사업추진을 위해 종속회사 메디포스트 씨디엠오(주)를 통해 북미소재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회사에 투자)을 사용하였습니다.
(주3) 보고서 기준일 현재, 전환우선주 발행 금액 700억원 중 자금사용 목적에 따라 2022년 7월 1일 투자자금 약 304억원(세포유전자치료제 위탁생산개발 CDMO 사업추진을 위해 종속회사 메디포스트 씨디엠오(주)를 통해 북미소재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회사에 투자)을 사용하였습니다.
미사용자금의 운용내역
(기준일 : | 2023년 0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종류 | 금융상품명 | 운용금액 | 계약기간 | 실투자기간 |
---|---|---|---|---|
예ㆍ적금 | 정기예금 | 20,000 | - | 13개월 |
채권 | 단기사채 | 21,530 | - | 13개월 |
계 | 41,530 | - |
(주4) 작년 자금조달 후 올해 추가로 유상증자를 진행 한 배경
당사는 약 700억원 규모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전환우선주) 및 총 700억원 규모의 제8회차/제9회차 전환사채 발행 시 제출한 공시서류(주요사항보고서) 를 통해 【제3자배정 증자의 목적】및 【조달자금의 구체적 사용 목적】을 안내 드린 바 있습니다.
제3자 배정 유상증자(전환우선주) 700억원【제3자배정 증자의 목적】 |
세포유전자치료제 위탁생산개발(CDMO) 사업추진을 위해 종속회사 메디포스트 씨디엠오(주)를 통해 북미소재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회사 투자예정비용 총 850억원중 본건 700억원 소요예정 |
출처 : 당사 2022.06.22 [정정]주요사항보고서(유상증자 결정) 공시
제8회차 전환사채 350억원【조달자금의 구체적 사용 목적】 |
1. 세포유전자치료제 위탁생산개발(CDMO) 사업추진을 위해 종속회사 메디포스트 씨디엠오(주)를 통해 |
출처 : 당사 2022.05.24 [정정]주요사항보고서(전환사채권발행결정) 공시
제9회차 전환사채 350억원【조달자금의 구체적 사용 목적】 |
1. 세포유전자치료제 위탁생산개발(CDMO) 사업추진을 위해 종속회사 메디포스트 씨디엠오(주)를 통해 |
출처 : 당사 2022.05.24 [정정]주요사항보고서(전환사채권발행결정) 공시
이에 따라 작년에 사모펀드를 통해 조달한 1,400억원은 2022년 자금 조달 시사용 목적에 따라 캐나다 소재 OmniaBio 주식 취득 및 전환사채 인수를 위해 850억원, 미국법인 임상 3상을 위한 초기 자금으로 550억원이 사용됩니다. 해당 550억원의 세부 사용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5) 미국법인 임상 3상을 위한 초기 자금의 사용 내역
(단위 : 백만원) |
구분 | 세부내역 | 2022년 | 2023년 | 2024년(E) | 합계 |
---|---|---|---|---|---|
카티스템 미국 3상 연구개발비 | ⓐ 미국 임상 CRO(임상시험수탁기관) 비용 | 65 | 13,450 | 3,975 | 17,490 |
ⓑ 미국 임상 SITE 운영 및 regulatory 관련 비용 | 11 | 2,200 | 1,693 | 3,904 | |
ⓒ 임상시료 생산 관련 비용 | - | - | 7,014 | 7,014 | |
ⓓ 연구개발인건비, 컨설팅 비용 등 | 517 | 8,633 | 5,491 | 14,641 | |
소계 | 593 | 24,283 | 18,173 | 43,049 | |
한국 RWE 준비 | ⓔ 한국 RWE(실사용 근거) 연구 CRO 비용 | - | - | 3,236 | 3,236 |
ⓕ 한국 RWE(실사용 근거) 연구 SITE 및 SMO 비용 | - | - | 1,278 | 1,278 | |
ⓖ 한국 RWE(실사용 근거) 연구 기타 비용 | - | - | 29 | 29 | |
소계 | - | - | 4,543 | 4,543 | |
법인운영비 | ⓗ 법인운영인건비 | 262 | 2,332 | 494 | 3,088 |
ⓘ 관리비용 | 415 | 3,023 | 882 | 4,320 | |
소계 | 677 | 5,355 | 1,376 | 7,408 | |
합계 | 1,270 | 29,638 | 24,092 | 55,000 |
[2022년 전환사채, 전환우선주 조달 자금의 세부사용 내역]
(단위 : 백만원) |
구분 | 2022년 | 2023년 | 2024년(E) | |
---|---|---|---|---|
기초 잔액 | - | 87,421 | 25,829 | |
현금 유입 (Cash In) | 전환사채(제8회차/제9회차) 발행에 따른 유입 | 70,000 | - | - |
전환우선주 발행에 따른 유입 | 70,000 | - | - | |
계 | 140,000 | - | - | |
현금 지출 (Cash Out) | 메디포스트 씨디엠오 출자 (OmniaBio 지분 및 전환사채 취득 목적) | 46,100 | 15,000 | 30,000 |
미국 법인 MEDIPOST America, Inc. 출자 (카티스템 미국 임상 3상 준비 비용) | 6,479 | 46,592 | - | |
계 | 52,579 | 61,592 | 30,000 | |
기말 잔액 | 87,421 | 25,829 | -4,171 |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당사는 미국법인 임상 3상을 위한 초기 자금으로 미국 법인 MEDIPOST America, Inc.에 531억원을 출자하였으며, 출자 금액은 상기 (주5)의 사용 내용과 같이 카티스템 임상3상 연구개발비 및 법인 운영비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2023년말 잔액은 약 222억원으로 예상되며, 금번 유상증자를 통한 자본조달이 없을 시에는 아래 #Case 2. 임상 진행 시 유상증자가 없는 경우의 표와 같이 2024년 이후 자금 부족(Shortage)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임상3상 진행에 따른 Medipost America Inc. 자금 유입/지출 예상표]
# Case 1. 임상 진행 시 유상증자를 통한 자본조달이 있는 경우
(단위 : 백만원) |
구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1분기 | |
---|---|---|---|---|---|
기초 잔액 | 0 | 5,209 | 22,163 | 29,655 | |
현금 유입 (Cash In) | 모회사로부터의 출자 | 6,479 | 46,592 | 66,500 | 11,341 |
계 | 6,479 | 46,592 | 66,500 | 11,341 | |
현금 지출 (Cash Out) | 카티스템 임상3상 연구개발비 | 593 | 24,283 | 47,548 | 16,194 |
한국 RWE(실사용 근거) 확보 | - | - | 8,686 | 1,739 | |
법인 운영비 | 677 | 5,355 | 2,774 | 900 | |
계 | 1,270 | 29,638 | 59,008 | 18,833 | |
기말 잔액 | 5,209 | 22,163 | 29,655 | 22,163 |
# Case 2. 임상 진행 시 유상증자를 통한 자본조달이 없는 경우
(단위 : 백만원) |
구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1분기 | |
---|---|---|---|---|---|
기초 잔액 | 0 | 5,209 | 22,163 | -36,845 | |
현금 유입 (Cash In) | 모회사로부터의 출자 | 6,479 | 46,592 | - | - |
계 | 6,479 | 46,592 | - | - | |
현금 지출 (Cash Out) | 카티스템 임상3상 연구개발비 | 593 | 24,283 | 47,548 | 16,194 |
한국 RWE(실사용 근거) 확보 | - | - | 8,686 | 1,739 | |
법인 운영비 | 677 | 5,355 | 2,774 | 900 | |
계 | 1,270 | 29,638 | 59,008 | 18,833 | |
기말 잔액 | 5,209 | 22,163 | -36,845 | -55,678 |
결론적으로 당사가 이번 미국임상 3상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작년 1,400억원 조달 외에 추가적인 자본 조달이 필요하여 이번 유상증자를 추진하게 되었습니다.
(주5) 당사는 MEDIPOST America에 2022년 6월 USD 5M, 2023년 6월 USD 35M 두 차례에 걸쳐 총 USD 40M(한화 약 535억원)을 출자하였습니다. 당사가 지분 99.9%을 보유하고 있으며, 인수한 증권의 주당 액면금액은 USD 0.001, 발행금액은 USD 1입니다.
당사는 이번 유상증자로 조달한 자금을 MEDIPOST America에 출자할 예정이며, 기존과 동일하게 인수할 증권의 주당 액면금액은 USD 0.001, 발행금액은 USD 1입니다.
라. 자금의 운용계획
당사가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한 자금 중 일부 자금은 조달시기와 사용시기가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자금사용시기가 도래하지 않은 금액에 대해서는 국내 제1금융권, 증권사 등의 안정성이 높은 상품에 예치할 계획이며, 자금의 사용시기가 도래하여 단기간 내에 자금의 사용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제1금융권 등의 단기금융상품으로 운용할 계획입니다.
위 정정사항외에 모든 사항은 2023년 09월 08일자로 당사가 제출한 신고서와 동일하오니 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91800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