듀오백 (07319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4-03-12 14:23: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12000341



주주총회소집공고


  2024년     3월     12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듀오백
대 표 이 사 : 정관영
본 점 소 재 지 : 인천광역시 서구 가재울로 32번길 27 (가좌동)

(전   화) 032-816-4814

(홈페이지)http://www.duoback.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상무이사 (성 명) 김 종 현

(전  화)02-6204-2515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37기 정기)


주주님의 깊은 관심과 성원에 감사드립니다.
회사 정관 제22조에 의하여 제37기 정기주주총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주주에 대해서는
상법 제542조의4, 정관 제22조의2에 의하여 본 공고로 소집통지를 갈음합니다.


(주)듀오백 제37기 주주총회소집통지서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이민정
(출석률: 100%)
이주영
(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23-1 23.01.02 운영자금 대출 실행의 건 찬성 찬성
23-2 23.01.20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의 건 찬성 찬성
23-3 23.02.07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평가 보고의 건 찬성 찬성
23-4 23.02.21 제36기 재무제표(별도,연결) 승인의 건 찬성 찬성
23-5 23.02.21 제36기 정기주주총회 개최 승인의 건 찬성 찬성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이민정
(출석률: 87.5%)
안진술
(출석률: 87.5%)
찬 반 여 부
23-6 23.03.22 대표이사 및 감사위원 선임의 건 찬성 찬성
23-7 23.04.30 리얼컴포트 스타필드 명지점 외 폐점의 건 찬성 찬성
23-8 23.05.01 영업권 및 자산양수의 건 찬성 찬성
23-9 23.05.11 자회사 청산보고의 건 찬성 찬성
23-10 23.05.30 리얼컴포트 NC백화점 강서점 폐점의 건 찬성 찬성
23-11 23.09.30 리얼컴포트 건대스타시티점 외 4곳 폐점의 건 찬성 찬성
23-12 23.12.14 주주명부폐쇄기간 설정 불참 불참
23-13 23.12.31 리얼컴포트 안정 점 폐점의 건 찬성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2 1,300 36 18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가구산업의 의자부문은 사용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주변 학습, 업무환경 산업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습니다. 1970년 국책사업인 주택개량 사업의 시작으로 인한 좌식문화에서 입식문화 전환으로 의자산업부문이 본격적으로 형성되었으며, 1993년 이후 생산성 향상과 건강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많은 시간을 의자에서 보내야 하는 학습자 및 사무직 종사자들에 의해 의자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기능성 및 인체공학 욕구가 더욱 발달 하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시장의 세분화가 이루어졌으며, 점점 의자제조가 까다로운 기술집약형 품목이 되었습니다.

의자산업부문은 업체는 대형가구업계의 OEM방식 및 저가시장에서 영세성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단독브랜드 형성 및 차별화된 제품 진입은 다소 높은 초기투자비가 투입됩니다. 근래 들어 건강 및 사무환경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능성 및 인체공학적 의자 수요가 계속 증가되고 있고, 무엇보다 많은 시간을 의자를 사용해야 하는 사용자에게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이러한 기능성, 인체공학적 의자 제품의 시장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가구산업중 의자는 건강 및 편안함을 추구하는 고객욕구가 확산되므로 이러한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기능성과 고객에 맞는 맞춤형 의자가 증가하고, 또한 업무 및 사무환경에서 건강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의자의 중요도가 다른 분야보다 부각되어 관련 기술의 발달 및 수요가 증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가구산업과 마찬가지로 의자부문은 국민소득 수준에 따른 소비성향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경기 변동에 따라 전체적인 시장의 규모가 결정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계절적으로는 가정용시장의 경우 신학기 등의 연초에 최대 성수기를 이루고 있으며, 비수기에는 일정적으로 매출이 일어나며 이 시기에는 고객관리 및 마케팅력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사무용시장의 경우는 연중 고정적인 매출이 발생하는 특성이 있으나, 경기변동에 따른 일반 기업체 등의 투자 성향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4) 경쟁요소
가구산업 중 의자산업의 경쟁요소는 품질과 가격 및 A/S입니다. 당사는 의자 전문제조업체로서 주요 고객층은 일반가정, 기업체, 관공서 등이며, 각각에 맞는 영업전략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기업체, 관공서 등의 경쟁업체는 퍼시스, 보루네오, 리바트, 코아스 등으로서, 의자부문에 국한된 경쟁을 유발하고 있고 가격 측면에서 판매비 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영세 소기업들이 있지만, 당사 제품의 경우 디자인 및 제품의 특성이 차별화되어 품질 및 가격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또한 건강 및 편안함을 추구하는 고객욕구가 확산됨에 따라 이러한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두개의 등받이인 듀오백 및 유동성 작동고무는 특허등록을 통해 그 기능적 측면에 있어  경쟁적 우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선진적 A/S 시스템을 도입, 운용함으로서 고객만족 뿐 아니라 A/S관련 자료를 근거로 지속적으로 품질을 개선하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5) 관련 법령 및 규제
법적 규제로 인한 산업 진입 및 영위에는 어려움이 없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1987년 설립 이후 하이팩, 교구생산을 중심으로 의자 생산의 전문성을 확보하였고, 독일 물리학자가 개발하고, 독일 그랄사가 전 세계 전용실시권을 보유한 DUOBACK 특허권에 대해 1995년 그랄사로부터 한국내 독점생산 및 판매권에 대해 국내 전용실시권을 취득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는 기술이전형태의 특허권 취득이 아니라 단지 DUOBACK이론을 의자에 적용한다는 것이었으며, 이에 당사는 DUOBACK이론을 도입, 자체적으로 한국인의 신체와 체형 맞게 설계, 생산하여 기술혁신을 이루었고, 1996년부터 본격적인 생산 및 차별화된 영업망을 형성하여 판매를 시작하였습니다.

전국 다수의 취급점과 대형할인점, 홈쇼핑, 온라인 쇼핑몰 등의 다양한 유통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품질의 우수성, 차별화, 전국 사후 서비스망 관리를 통해 국내최고의 의자부문 브랜드 인지도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또한 2014년 8월부터는 'Realcomfort' 오프라인 직영점을 운영하면서 인체공학 의자를 비롯한 건강 관련 상품들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당사 제품은 기능성을 중심으로 보다 편안함을 추구하여 그 수요에 대응하였으며, 이러한 추세는 일회성 유행이 아닌, 지속적인 수요증대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많은 의자업체들이 시장에 나타나고 있으며, 다양한 환경에 맞는 제품들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책상에 달린 부속물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의자 단일 품목특성으로 인지되고 있으며, 가정, 사무용 가구산업 중 의자부문에서는 자녀의 학습환경 개선의지, 업무효율 중시 등으로 건강과 기능성을 갖춘 다양한 제품들이 시장에 많이 공급되고 있습니다. 이것은 건강을 생각하는 시장수요에 맞추기 위함입니다.

대다수의 의자업체들은 자본력 약화로 판매 지향적이며, 또한 제품 차별화에 의한 생산공급이 아닌 유행성 제품 생산 및 판매 위주의 정책으로 경쟁력 약화와 수익 악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또한 제품 디자인 등 지적재산권 보호가 타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 독창적인 제품개발을 회피하는 편입니다.
그러나 당사는 강력한 브랜드와 차별화된 기능성제품을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의자시장에 점유율을 더욱 높일 것입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듀오백 의자의 제조/판매를 하는 회사로 사업별 부문의 구분을 하지 않습니다.

(2) 시장점유율

의자 시장은 크게 가정용 및 사무용 의자를 중심으로 구분되어 있으나, 영세한 업체가 너무 많아 전체 시장 규모를 추산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가구회사중 상장회사는 사업보고서에 의자 매출을 별도로 기재하지 않아 비교할 수 없습니다.

(3) 시장의 특성

의자시장은 크게 가정용과 사무용시장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사무용시장의 경우 그 특성상 책상, 파티션, 의자를 패키지화하여 공급하고 있으며, 이는 대형가구업체들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되어 왔습니다. 업무 및 사무환경에서 건강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의자의 중요도를 인식하여 의자만 구매하는 형태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가정용 시장의 경우도 책상과 의자를 같이 구매하는 패턴에서 의자만 구매하는 형태로 변화를 하고 있으며, 이 시장의 경우 일반 영세기업(私製업체)들과 대형업체들이 양립하고 있습니다. 당사를 포함한 대형가구업체의 경우 전국적인 영업망을 가지고 수도권 및 대도시를 중심으로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나, 일반 영세기업의 경우 지방 중소도시 중심으로  영업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여집니다.

가구산업과 마찬가지로 의자산업은 국민소득 수준에 따른 소비성향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경기 변동에 따라 전체적인 수요가 영향을 받습니다. 그러나 기존의 책상에 달린 부속물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난 의자 단일 품목특성에 대한 많은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가정, 사무용 가구산업 중 의자부문에서는 자녀의 학습환경 개선의지, 업무효율 중시 등으로 건강과 기능성을 부가한 제품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이러한 수요에 맞춘 다양한 제품들이 시장에 많이 공급되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주)듀오백은 인간공학 전문기업으로서 현재 인간공학의자(듀오백 의자 등)를 생산, 판매하고 있으며, 2015년 제28기 정기주주총회에는 '헬스기기 수출입 및 제조,판매업'을 비롯한 11개 사업 목적을 추가하였으며, 2018년 제31기 정기주주총회에서 IOT기반 의자개발에 따른 사업영역확대를 위하여 '생체신호 측정장치 개발 및 데이터베이스 처리,온라인 정보 제공업'을 사업 목적으로 추가했습니다.

또한 오프라인 유통망을 강화하고자 'real comfort shop'을 직영체제로 만들고 있으며, 듀오백 의자를 포함하여 책상, 마사지기기 등의 인체공학 상품류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5) 조직도


12.31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전체적인 가구 시장 침체등의 원인으로 매출이 감소하여 2023년 매출액(별도기준)이전년과 대비하락하였습니다. 유통망의 효율화 및 생산개선으로 영업개선을 하고자 합니다. 매출액 감소와 원가상승으로 영업이익 적자를 기록 하였습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제37기 연결 및 별도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따라 작성된 재무제표이며, 비교표시된 제36기 연결 및 별도재무제표도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따라 작성된 재무제표입니다.
제37기 연결 및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보고서 수령 이전에 작성된 자료로써 감사 결과에 따라 일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연결 및 재무제표는 2024년 3월 19일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



- 연결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연 결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37 기 2023. 12. 31 현재
제 36 기 2022. 12. 31 현재
(단위 : 원 )


과목 제 37(당) 기 제 36(전) 기
자산



Ⅰ. 유동자산   7,825,135,379   9,963,862,747
현금및현금성자산 1,120,844,151   1,636,223,010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652,169,934   860,296,410  
매출채권및기타채권 2,511,582,822   2,683,921,409  
재고자산 3,449,223,004   4,290,456,424  
당기법인세자산 9,777,330   3,461,860  
기타유동자산 81,538,138   489,503,634  
II. 비유동자산   16,575,950,115   17,172,101,221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189,835,995   531,618,643  
매출채권및기타채권 1,322,885,573   957,316,068  
유형자산 14,581,081,763   14,653,126,764  
투자부동산 -   450,033,648  
무형자산 482,146,784 
580,006,098  
자산총계   24,401,085,494   27,135,963,968
부채  
   
I. 유동부채   6,816,024,232   5,595,531,619
매입채무및기타채무 2,244,749,912   2,802,714,996  
단기차입금 4,000,000,000   2,160,000,000  
보증충당부채 115,483,196   101,076,532  
리스부채(유동) 196,853,113   253,986,383  
기타유동부채 258,938,011   277,753,708  
II. 비유동부채   989,591,202   969,270,187
장기차입금 630,000,000   630,000,000  
임대보증금 100,000,000   135,000,000  
리스부채(비유동) 259,591,202   204,270,187  
부채총계   7,805,615,434   6,564,801,806
자본  
   
I. 자본금   5,984,020,000   5,984,020,000
II. 연결자본잉여금   9,326,141,058   9,326,141,058
III. 연결자본조정   (3,810,895,863)   (3,810,895,863)
IV. 연결기타포괄손익누계액   (499,854,711)   (43,004,399)
V. 연결이익잉여금   5,596,059,576   9,182,395,985
VI. 비지배지분   -   (67,494,619)
자본총계   16,595,470,060   20,571,162,162
부채와자본총계
24,401,085,494   27,135,963,968

[감사전 연결재무제표입니다.]

 - 연결손익계산서(연결포괄손익계산서)

                             <연 결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36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31 까지)
제 35 기 (2021. 01. 01 부터 2021. 12. 31 까지)
(단위 : 원)
과목 제 37(당) 기 제 36(전) 기
I. 매출액   24,265,811,800   31,570,718,625
제품매출 18,556,278,008   23,979,131,973  
상품매출 5,479,338,408   7,281,119,670  
용역매출 212,095,384   285,701,382  
기타매출 18,100,000   24,765,600  
II.  매출원가   19,050,925,479   24,807,448,240
제품매출원가 15,316,403,297   20,066,238,183  
상품매출원가 3,734,522,182   4,741,210,057  
III. 매출총이익   5,214,886,321   6,763,270,385
IV. 판매비와관리비   8,921,718,816   10,986,097,968
판매와관리비 8,781,547,498   11,079,252,062  
대손상각비 140,171,318   (93,154,094)  
V. 영업손실   (3,706,832,495)   (4,222,827,583)
VI. 영업외수익   957,545,551   863,237,126
금융수익 833,814,553   585,556,352  
기타영업외수익 123,730,998   277,680,774  
VII. 영업외비용   769,554,846   306,111,293
금융원가 234,364,240   91,432,876  
기타영업외비용 535,190,606   214,678,417  
VIII.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3,518,841,790)   (3,665,701,750)
IX. 법인세비용   -   -
X. 연결당기순손실   (3,518,841,790)   (3,665,701,750)
IX. 기타포괄이익(손실)   (456,850,312)   77,032,197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456,850,312)   77,032,197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평가이익(손실) (456,850,312)   77,032,197  
XII. 총포괄손실   (3,975,692,102)   (3,588,669,553)
당기순손실의 귀속   (3,518,841,790)   (3,665,701,750)
지배기업주주지분 (3,578,849,332)   (3,698,312,341)  
비지배주주지분 60,007,542   32,610,591  
총포괄손실의 귀속   (3,975,692,102)   (3,588,669,553)
지배기업주주지분 (4,035,699,644)   (3,621,280,144)  
비지배주주지분 60,007,542   32,610,591  
XIII. 주당순손실        
기본주당순손실   (323)   (334)
희석주당순손실   (323)   (334)

[감사전 연결재무제표입니다.]

※ 주석사항은 3月 19日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37 기 2023. 12. 31 현재
제 36 기 2022. 12. 31 현재
(단위 : 원)


과                        목 제 37(당) 기 제 36(전) 기
자산



Ⅰ. 유동자산
7,825,135,379
9,698,915,046
현금및현금성자산 1,120,844,151   1,336,667,400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652,169,934   860,296,410  
매출채권및기타채권 2,511,582,822   2,719,399,931  
재고자산 3,449,223,004   4,290,456,424  
당기법인세자산 9,777,330   3,461,860  
기타유동자산 81,538,138   488,633,021  
II. 비유동자산   16,575,951,115   17,172,103,221
장기금융상품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189,835,995   531,618,643  
종속기업 및 관계기업 투자 1,000   2,000  
매출채권및기타채권 1,322,885,573   957,316,068  
유형자산 14,581,081,763   14,653,126,764  
투자부동산 -   450,033,648  
무형자산 482,146,784   580,006,098  
자산총계   24,401,086,494   26,871,018,267
부채        
I. 유동부채   6,816,024,232   5,420,565,065
매입채무및기타채무 2,244,749,912   2,788,636,982  
단기차입금 4,000,000,000   2,000,000,000  
리스부채 196,853,113   253,986,383  
보증충당부채 115,483,196   101,076,532  
기타유동부채 258,938,011   276,865,168  
II. 비유동부채   989,591,202   969,270,187
장기차입금 630,000,000   630,000,000  
리스부채 259,591,202   204,270,187  
임대보증금 100,000,000   135,000,000  
부채총계   7,805,615,434   6,389,835,252
자본        
I. 자본금   5,984,020,000   5,984,020,000
II. 자본잉여금   9,387,320,000   9,387,320,000
III. 자본조정   (3,810,895,863)   (3,810,895,863)
IV. 기타포괄손익누계액   (499,854,711)   (43,004,399)
V. 이익잉여금   5,534,881,634   8,963,743,277
자본총계   16,595,471,060   20,481,183,015
부채와자본총계   24,401,086,494   26,871,018,267

[감사전 재무제표입니다.]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37(당)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12월 31일까지
제 36(전) 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37(당) 기 제 36(전) 기
I. 매출액   24,198,445,959   31,222,834,300
  제품매출액 18,617,124,608   24,325,364,548  
  상품매출액 5,347,328,877   6,576,949,390  
  용역매출액 212,888,474   285,701,382  
  기타매출액 21,104,000   34,818,980  
II.  매출원가   19,050,675,289   24,807,448,240
  제품매출원가 15,316,403,297   20,066,238,183  
  상품매출원가 3,734,271,992   4,741,210,057  
III. 매출총이익   5,147,770,670   6,415,386,060
IV. 판매비와관리비   8,789,572,928   10,736,483,536
  대손상각비 140,171,318   (93,154,094)  
  판매비와관리비 8,649,401,610   10,829,637,630  
V. 영업이익(손실)   (3,641,802,258)   (4,321,097,476)
VI. 영업외수익   1,197,036,669   861,303,674
  금융수익 833,812,075   585,277,435  
  기타영업외수익 363,224,594   276,026,239  
VII. 영업외비용   984,096,054   306,152,119
  금융비용 234,364,240   91,432,876  
  기타영업외비용 749,731,814   214,719,243  
VIII.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3,428,861,643)   (3,765,945,921)
IX. 법인세비용(수익) -   -  
X. 당기순이익(손실)   (3,428,861,643)   (3,765,945,921)
XI. 기타포괄손익   (456,850,312)   77,032,197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평가이익(손실) (456,850,312)   77,032,197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처분이익(손실)  -   -  
XII. 총포괄이익(손실)   (3,885,711,955)   (3,688,913,724)
XIII. 주당손익        
기본주당순이익(손실)   (310)   (340)
희석주당순이익(손실)   (310)   (340)

[감사전 재무제표입니다.]

※ 주석사항은 3月 19日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37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제 36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31 까지)
(단위 :원 )


과목 제 37(당) 기 제 36(전) 기
Ⅰ. 미처분이익잉여금 3,769,892,982 7,198,754,625
1.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7,198,754,625 10,964,700,546
2. 당기순이익(손실) (3,428,861,643) (3,765,945,921)
3.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처분 - -
II. 임의적립금등의 이입액    
III. 이익잉여금 처분액    
IV. 차기이월 이익잉여금 3,769,892,982 7,198,754,625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5(2)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300백만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5(2)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447백만원
최고한도액 1,300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4년 03월 19일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사업보고서는 2024년 3월 19일 주주총회 1주전에 공시될 예정입니다.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1) 당사는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주주총회 1주전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당사 홈페이지 http://www.duoback.co.kr 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2) 향후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 및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DART에 업데이트 될 예정이므로 이를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  주총 집중일 주총 개최 사유
당사는 금번 정기주주총회를 주주총회 집중일을 피하여 개최하고자 하였으나 별도/연결 재무제표에 대한 내부결산 및 외부감사인의 감사일정, 사업보고서 제출일정, 원활한 주주총회 운영 등을 고려하여 부득이하게 집중일에 개최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향후 주주총회에서는 주주총회 분산 자율준수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집중일을 피하여 개최가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12000341

듀오백 (07319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