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에스피 (07301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3-09 11:24: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09000161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 년   3 월   9 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케이에스피
대 표 이 사 : 이 범 호
본 점 소 재 지 :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산단381로 86번길 43(송정동)

(전   화) 051-979-5732

(홈페이지) http://www.kspvalve.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전무이사 (성  명) 강 조 원

(전  화) 051-979-5732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23기 정기주주총회 소집공고)


당사의 정관 제23조에 의하여 제23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또한 소액주주에 대한 소집통지는 상법 제542조의4 및 정관 제23조에 의거하여 발행주식총수의 1%이하 소유주주에 대하여는 이 공고로 소집통지에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3년 3월 24일 (금요일) 오전 11시 30분

2. 장 소 :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산업북로 147 (송정동 1540-4번지)
             제1공장 4층 대강당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1) 감사보고  2) 영업보고  3)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4) 외부감사인 선임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 23기 (2022.01.01~2022.12.31)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안) 포함)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비치 : 상법 제542조의 4에 의거하여 경영참고사항 등을 당사,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에 주주총회일로부터 2주간 전에 비치하오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5. 전자증권제도 시행에 따른 실물증권 보유자의 권리 보호에 관한 사항
2019년 9월 16일부터 전자증권제도가 시행되어 실물증권은 효력이 상실되었으며, 한국예탁결제원의 특별계좌(명부)주주로 전자등록되어 권리행사 등이 제한됩니다. 따라서 보유 중인 실물증권을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방문하여 전자등록으로 전환하시기 바랍니다.



6.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 관리시스템

     - 인터텟 주소 : http://evote.ksd.or.kr

     - 모바일 주소 : http://evote.ksd.or.kr/m

  나. 전자투표 행사 기간 : 2023년 3월 14일 ~ 2023년 3월 23일

     - 기간 중 24시간 이용가능(단, 마지막 날은 오후 5시까지 가능)

  다.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투표ㆍ전자위임장 권유관리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K-VOTE에서 사용가능한 인증서 한정)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


7.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주총참석장, 신분증
- 대리행사 : 주총참석장, 위임장(주주와 대리인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대리인 신분증

* 당사는 주주총회에서 답례품을 지급하지 않습니다.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남순찬
(출석률: 100%)
박중균
(출석률: 100%)
이기창
(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1 2022.01.24 (제1호의안)
제22기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제2호의안)
제22기 내부결산 승인의 건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2 2022.03.10  제22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결의의 건 찬성 찬성 찬성
3 2022.03.25  대표이사 재선임의 건 찬성 찬성 찬성
4 2022.04.20  제23기 1분기 재무제표 보고 - - -
5 2022.05.12  신한은행 At Sight Master L/C 개설의 건 찬성 찬성 찬성
6 2022.06.15 (제1호 의안)
포괄적 주식교환계약  체결의 건
(제2호 의안)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제3호 의안)
주주확정기준일 설정의 건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7 2022.07.20  제23기 반기 재무제표 보고 - - -
8 2022.08.29 (제1호 의안)
회사채 상환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운영자금 차입의 건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9 2022.09.19 (제1호 의안)
포괄적 주식교환 결정 철회의 건
(제2호 의안)
임시주주총회 소집 철회의 건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10 2022.10.19  제23기 3분기 재무제표 보고 - - -
11 2022.10.31  대표이사 겸직 승인의 건 찬성 찬성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천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3 1,000,000 84,000 28,000 급여

※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이사 보수 전체 승인금액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백만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백만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금강공업(주)
(모회사)
상품매입 '22.01.01.~'22.12.31. 6,700 10.5%
기타매입 33 0.1%
합      계 6,733 10.6%

※ 비율은 2022년 매출액 63,668백만원을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엔진부품사업부

(산업의 성장성 및 경기 민감도)선박엔진산업은 조선업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며, 2000년대 초반부터 이어진 조선업 호황에 따라 양적 성장을 이루었으나, 2009년 이후 세계적인 금융위기로 인해 선박 발주량이 급격히 감소함에 따라 선박제조업 실적이 악화되었습니다. 이러한 전방산업의 악화는 선박엔진 생산량 감소로 이어져 선박엔진산업 또한 어려운 환경에 직면하였습니다.

그러나 조선업의 불황에도 불구하고 최근 국제해사기구(IMO)가 배출가스통제구역(Emission Control Area)을 설정하고 선박에서 발생하는 질소산화물(NOx)과 황산화물(SOx) 등의 배출 규제를 단계적으로 시행함에 따라 연비 절감과 더불어 친환경 선박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키고 노후선박의 교체시기도 앞당겨 선주들의 신조선 발주를 부추기고 있습니다. 배출가스통제구역으로 지정된 구역이 미국과 유럽을 드나드는 선박이 반드시 지나가야 하는 구역이고 규제 강도가 상당히 강력하므로 LNG 등으로의 연료 변화 및 중고선의 교체 등 가시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배출가스통제구역(Emission Control Area)]


[환경규제 타임라인]


  이러한  환경규제 변화 등이 반영됨으로 인해 2018년부터 신조선 시장은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었으나, 코로나19 및 유가 급락의 영향에 따라 불확실성이 확대되어 글로벌 조선시장이 침체되면서 신조선 투자심리도 다소 위축되었습니다. 다만, 2020년말부터 선주들이 그동안 미뤄두었던 신조선 발주를 본격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선박엔진 기자재 사업을 영위하는 당사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선종별 신규발주 추이


  또한, 엔진부품사업부의 주력 제품인 배기밸브스핀들 및 밸브시트링은 소모성 부품으로써 사용주기를 다하면 반드시 교체해야 하는 부품이므로, 경기 하락에도 지속적인 제품 수요는 창출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전세계 A/S시장 공급망을 가지고 있는 현대글로벌서비스㈜, MAN Energy Solutions 등을 주요 거래처로 두고 안정적인 상호협력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경기 변동에 따른 리스크를 대체로 완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경쟁 요소) 선박엔진용 배기밸브는 선박엔진의 핵심 부품이며 제작과정에서 고도의 기술이 요구되는 제품입니다. 저속엔진 배기밸브와 관련하여 국내에서 MAN Energy Solutions  및 Winterthur Gas & Diesel 의 제조 승인을 받은 업체는 당사, 금용기계, 친구 3개 업체이나, 전 공정을 자체적으로 진행하고 높은 품질력의 제품을 지속적으로 생산하고 있는 업체는 당사가 유일하며, 이러한 기술력으로 시장에서 품질을 인정받아 현대중공업을 비롯한 국내외 유수의 엔진제조사와 안정적인 거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시장점유율) 당사에서 생산 중인 중형(중속)엔진밸브류 및 대형(저속)엔진밸브류 시장에 대한 정확하고 객관적인 시장의 규모와 점유율 자료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또한 객관적인 시장규모를 공표하는 연구기관 또는 관계기관에서 통계자료를 작성하고 있지 않으므로 당사의 객관적인 시장점유율은 산출할 수 없습니다.
 다만, 중속엔진밸브류의 경우 국내시장에서 당사와 경쟁하고 있는 업체는 ㈜에스앤더블류, KNTEC, IME 등이 있으며, 당사의 시장 점유율은 약 60~70% 정도입니다.
 중속엔진 밸브류의 해외 경쟁업체로는 일본의 NZK, Nittan Valve, 독일의 MWH 등이 있으나, 유럽의 경우 신조선부문의 수요가 미미하고, 일본의 경우 중속엔진 밸브류의 경쟁력은 계속 저하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2) 형단조사업부
(산업의 성장성) 산업전반에서 과거에 주조하여 생산되던 제품을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킨 단조품으로 전환을 하고 있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또한 풍력발전 산업이 재생에너지의 대안으로 등장함에 따라 단조제품의 신규시장으로 부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중동지역 플랜트 수주가 확대되고 있는 등 전방산업의 호황과 성장으로 단조산업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룰 것으로 예상합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단조산업은 조선, 풍력, 발전설비, 플랜트산업 및 산업기계 등 수요산업의 경기에 많은 영향을 받으나 다양한 산업에서의 수요는 단조산업의 시장 선택폭을 보다 넓게 하여 특정 수요산업의 경기위축에 대한  위험요인을 감소시키는 측면도 있습니다. 당사에서 형단조로 생산하는 주요 ITEM으로는 조선, 석유화학플랜트 및 도시가스 공사시 PIPE LINE을 연결하는데 필요한 FLANGE류와 건설장비에 소요되는 GEAR류 등입니다. 이들 ITEM은 일반적으로 조선경기, 자동차 및 건설경기에 영향을 받지만 당사에서 생산하는 제품들은 주로 국산화 개발을 통해 생산된 제품들이고 각각의 산업이 상호 독립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경향이 높기 때문에 경기 변동에 따른 위험은 분산 가능하다고 판단됩니다.
(경쟁요소) 당사 단조 LINE은 HAMMER LINE으로서 국내에서 가장 큰 설비의 하나로 일부 ITEM(200Kg~1,000Kg 형단조품)에 있어서의 경쟁상황은 독점형태이나, 단위 중량이 100Kg 이하에 있어서는 국내 동종업체와 함께 경쟁을 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그러나 당사 단조설비 LINE은 최소의 투자비로 설치 가동되고 있으며 자체 금형구조 개선으로 타사보다 개발비가 저렴하여 타경쟁업체에 비해 고정비 부분에서 충분히 경쟁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와 경쟁업체인 몇몇 업체는 모두 대기업 형태로 생산원가(노무비 및 일반관리비) 부분에서 당사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시장점유율) 전체적인 단조품시장의 현황은 객관적인 자료나 통계를 집계하기 어려운 상태로서 타사의 정확한 매출액과 시장점유율을 산출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또한 객관적인 시장규모를 공표하는 연구기관 또는 관계기관에서 통계자료를 작성하고 있지 않음으로 당사의 객관적인 시장점유율은 산출할 수 없습니다.

3) 기타사업부
(경기 변동의 특성)마찰압접의 경우 산업전반에 걸쳐 원가절감의 필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원자재비 및 가공비에서 상당한 절감이 가능하여 향후 해당 사업에 대한 수요가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경쟁요소)당사는 여러 종류의 마찰압접장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작은 드릴류부터 선박엔진용 ROTORSHAFT 등의 대형물까지 다양한 제품의 생산이 가능합니다. 다년간의 경험치로 복잡한 형상을 가진 제품의 마찰압접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도 보유하고 있으므로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경쟁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대형 장비의 경우 모든 생산실적 및 입력값 등을 데이터로 저장하여 관리함으로서 안정된 품질의 제품생산이 가능합니다.
(시장점유율)마찰압접 임가공의 경우 매출규모에 대한 시장자료들의 통계치가 매우 빈약한 상태이며, 최근 3년간 당사와 거래하고 있는 업체의 국내시장 점유율 외에는 어떠한 통계 자료도 작성되지 않고 있습니다. 따라서 당사의 객관적인 시장점유율은 산출할 수 없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선박용엔진부품인 엔진밸브류등의 내연기관제조(D29111)로서 공시대상의 요건을 갖춘 사업부문은 엔진부품사업부문, 형단조사업부문, 기타사업부문(구 F/W사업부문)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각 사업부문에 속한 주요제품의 명칭 등에 관하여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사 업 부 문 업 종 분 류 주 요 제 품
엔진부품사업부 엔진밸브류등의
내연기관제조
저속엔진밸브 및 BOTTOM PIECE,
중속엔진밸브 및 시트
형단조사업부 대형 형단조품 프랜지, 링기어, 스프라켓,
콘로드, 로타샤프트 등
기타사업부 특수용접ㆍ마찰압접 임가공, 상품 산업용밸브(DISC) 육성용접 및 선박용 ROTOR SHAFT 등 마찰압접, 코일, 선재 등 상품


2) 시장점유율
가)  엔진부품사업부

  당사에서 생산 중인 중형(중속)엔진밸브류 및 대형(저속)엔진밸브류 시장에 대한 정확하고 객관적인 시장의 규모와 점유율 자료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또한 객관적인 시장규모를 공표하는 연구기관 또는 관계기관에서 통계자료를 작성하고 있지 않으므로 당사의 객관적인 시장점유율은 산출할 수 없습니다.
 다만, 중속엔진밸브류의 경우 국내시장에서 당사와 경쟁하고 있는 업체는 ㈜에스앤더블류, KNTEC, IME 등이 있으며, 당사의 시장 점유율은 약 60~70% 정도입니다.
 중속엔진 밸브류의 해외 경쟁업체로는 일본의 NZK, Nittan Valve, 독일의 MWH 등이 있으나, 유럽의 경우 신조선부문의 수요가 미미하고, 일본의 경우 중속엔진 밸브류의 경쟁력은 계속 저하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나) 형단조사업부
 전체적인 단조품시장의 현황은 객관적인 자료나 통계를 집계하기 어려운 상태로서 타사의 정확한 매출액과 시장점유율을 산출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또한 객관적인 시장규모를 공표하는 연구기관 또는 관계기관에서 통계자료를 작성하고 있지 않음으로 당사의 객관적인 시장점유율은 산출할 수 없습니다.
다) 기타사업부(구 F/W사업부)
 마찰압접 임가공의 경우 매출규모에 대한 시장자료들의 통계치가 매우 빈약한 상태이며, 최근 3년간 당사와 거래하고 있는 업체의 국내시장 점유율 외에는 어떠한 통계 자료도 작성되지 않고 있습니다. 따라서 당사의 객관적인 시장점유율은 산출할 수 없습니다.

3) 시장의 특성
가) 엔진부품사업부
 선박용 엔진산업은 특성상 조선산업의 경기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산업으로, 선종과 무관하게 모든 선박에 필수적으로 소요되는 핵심부품입니다.  과거 저임금 노동력을 바탕으로한 가격 경쟁력을 기반으로 성장해온 국내 엔진 관련 업체들은 MAN Energy Solutions, Rolls Roice, Winterthur Gas & Diesel 등의 해외 엔진 라이센서 업체들과 공동으로 기술개발에 나서며 기술력 우위를 통한 경쟁력 확보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선박용 엔진은 저속엔진과 중속(고속)엔진으로 분류되며, 주 추진기관인 저속엔진과 선박용 발전과 보조 추진기관으로 사용되는 중속엔진 다수가 선박에 장착되어 운용됩니다. 저속엔진 시장은 설계 담당 기업과 생산 담당 기업 2가지로 구분되어 소수의 라이센서 보유 기업과 소수 엔진 메이커들이 독과점 시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독일(덴마크)의 MAN Energy Solutions, 스위스의 Winterthur Gas & Diesel, 일본의 Mitsubishi사가 핵심 설계 라이센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 주요 엔진 생산기업인 현대중공업㈜, HSD엔진㈜ 등이 세계 저속엔진시장의 절반 가량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중속엔진의 경우 저속엔진 시장과 달리 다수의 중속 엔진 설계 라이센스 회사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현대중공업㈜가 힘센엔진(HiMSEN)을 자체 개발하여 높은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을 확보함으로써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나) 형단조사업부
 단조산업은 주조산업과 함께 국가산업의 근간이 되는 대표적인 산업이며, 가장 오래된 금속가공 방법의 하나입니다. 초기 단조 산업은 제품기술을 위주로 한 노동 집약적 투자, 개발이 주였지만 1980년대 이후부터는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대량생산과 고급기술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단조된 소재는 금속 내부조직이 치밀화되고 열처리를 거치는 동안 인장강도, 충격치, 경도 등의 기계적 성질이 개선되기 때문에 풍력, 자동차 산업, 선박제조산업, 건설장비, 석유화학플랜트 뿐만 아니라 우주항공기 및 원자력 부품 등 전 산업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기간산업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다) 기타사업부(구 F/W사업부)
 마찰압접기술은 아직 국내 산업 전반에 저변 확대가 미흡한 편이지만 상기 공법의 우수성 및 경제성을 인정받아 점차적으로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당사는 국내 최대규모의 마찰압접 장비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타사 대비 다양한 제품군을 생산할 수 있으며, 중량물에 대해서는 탁월한 기술 및 가격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가) 엔진부품사업부
 IMO2020 규제의 시행을 전후하여 이중연료 추진엔진 및 EGR, SCR, WHR을 탑재한 엔진 수요가 증대되고 있습니다. 보다 강화된 엔진사양에 발맞추어 MAN Energy Solutions사에서는 일본 DAIDO STEEL에서 개발한 신소재인 DSA760(NiCr38Al4) 소재를 활용한 배기밸브 DSA760 스핀들을 개발하였으며, 당사는 2020년 2월 MAN Energy Solutions로부터 동 제품에 대한 제조, 공급 승인을 획득하였습니다. 향후 동제품이 적용된 엔진수요가 급속히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는바, 향후 당사에 긍정적인 영향이 기대됩니다.
 또한 IMO2020 TierⅢ의 적용에 따라 중속(중형)엔진에서도 기존 제품보다 내구성이강화된 밸브스핀들과 밸브시트링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당사에서는 2020년 8월 MAN Energy Solutions에서 설계한 T400 용접재를 활용한 표면육성경화(Hard facing) 밸브스핀들 및 밸브시트링 개발을 성공리에 완료하였습니다. 해당 제품은 지속적인 A/S 수요가 창출될 예상되는바, 향후 안정적인 매출구조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당사는 표면육성경화(Hard facing) 기술 전문성을 활용하여 저속밸브수리품 개발도 진행 중에 있습니다. 해당 개발이 완료될 시 신제품부터 재생제품까지 고객들의 다양한 니즈(needs)에 부응할 수 있게 되어 저속엔진밸브스핀들 매출 활성화에도 기여하리라고 판단됩니다.
나) 형단조사업부
 당사는 현재 형단조 관련 신규 매출 확대를 위하여 현대로템에서 완전 생산하고 있는 차륜형장갑차용 알루미늄 단조품인 림, 디스크를 생산하여, 공급하고 있으며 해당 프로젝트가 완료되는 시점까지 지속적으로 매출이 발생될 예정입니다.
 또한 기존 주물품으로 주로 사용하였던 BALL VALVE를 소재 결함 발생 위험도가 낮은 형단조품으로 개발하여 향후 핵심 역량 사업으로 추진 중에 있습니다.
 당사는 터보챠져의 핵심 부품인 터보차져로터샤프트를 국내 최초로 국산화 개발에 성공하여 국내외 업체에 공급 진행 중에 있으며, 기존의 MET 타입외 ABB타입 전기종에 대한 초도품 생산 개발중에 있습니다. 또한 9대 선급사 공장 승인을 완료하여 고품질의 국산화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제반여건을 마련하여, 향후 관련 사업 확대와 매출 신장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5) 조직도


제23기_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 경영참고사항의 사업의 개요 참조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 해당 사업연도의 당사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으로 작성되었으며, 감사전 개별 재무제표입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co.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 개별 재무제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당해 법인의 주주총회 승인 절차를 거쳐 확정된 재무제표가 아니므로 동 승인 과정에서 변동될 수 있습니다.

1)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제 23 (당)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제 22 (전)기  2021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케이에스피 (단위 : 원)
과          목 제 23 (당) 기말 제 22 (전) 기말
자                     산



I. 유동자산
31,844,687,243
25,613,446,016
  현금및현금성자산 3,809,115,932
8,673,997,049
  매출채권 9,520,640,296
6,586,482,565
  기타유동금융자산 1,102,999,507
475,248,292
  재고자산 16,690,158,905
9,630,131,044
  기타유동자산 721,772,603
247,587,066
II. 비유동자산
28,553,191,696
23,844,347,450
  장기금융상품 6,000,000
6,000,000
  기타비유동금융자산 51,090,000
57,678,000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20,500,000
20,500,000
  유형자산 28,380,570,229
23,747,671,281
  무형자산 7,316,800
12,498,169
  순확정급여자산 87,714,667
-
자     산     총     계
60,397,878,939
49,457,793,466
부                     채



I. 유동부채
23,310,521,115
19,012,434,140
  매입채무 3,426,258,146
1,673,741,659
  단기차입금 18,000,000,000
15,500,000,000
  기타유동금융부채 1,771,511,804
1,794,244,034
  기타유동부채 112,751,165
44,448,447
II. 비유동부채
3,056,023,919
4,246,291,465
  사채 -
1,500,000,000
  순확정급여부채 -
58,814,211
  기타비유동금융부채 545,033,427
316,331,610
  기타비유동부채 72,275,142
57,141,653
  이연법인세부채 2,438,715,350
2,314,003,991
부     채     총     계
26,366,545,034
23,258,725,605
자                     본



I. 자본금
18,096,128,500
18,096,128,500
II. 자본잉여금
2,414,018,365
2,414,018,365
III. 자본조정
(566,773,044)
(566,773,044)
IV. 기타포괄손익누계액
6,607,678,342
2,726,921,964
V. 이익잉여금
7,480,281,742
3,528,772,076
자     본     총     계
34,031,333,905
26,199,067,861
부 채 와 자 본 총 계
60,397,878,939
49,457,793,466


2)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제 23 (당)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 22 (전)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케이에스피 (단위 : 원)
과          목 제 23 (당) 기 제 22 (전) 기
I. 매출액 63,668,531,914 43,826,656,221
II. 매출원가 57,411,528,339 39,637,086,955
III. 매출총이익 6,257,003,575 4,189,569,266
IV. 판매비와관리비 2,775,691,864 2,168,220,095
V. 영업이익 3,481,311,711 2,021,349,171
  1. 금융수익 30,421,194 7,091,496
  2. 금융원가 565,593,759 466,079,639
  3. 기타수익 547,331,041 758,976,692
  4. 기타비용 390,087,602 54,340,147
VI.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3,103,382,585 2,266,997,573
VII. 법인세비용(수익) (860,590,117) 8,477,706
VIII. 당기순이익 3,963,972,702 2,258,519,867
IX. 기타포괄손익 3,868,293,342 (30,057,321)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3,868,293,342 (30,057,321)
  자산재평가손익(세후기타포괄손익) 3,880,756,378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세후기타포괄손익) (12,463,036) (30,057,321)
X. 총포괄손익 7,832,266,044 2,228,462,546
XI. 주당이익

  기본주당이익 110 63
  희석주당이익 110 63


3)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제 23 (당)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 22 (전)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케이에스피 (단위 : 원)
과          목 제 23 (당) 기 제 22 (전) 기
 I. 미처분이익잉여금
7,480,281,742
3,528,772,076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3,528,772,076
1,300,309,530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12,463,036)
(30,057,321)
  당기순이익 3,963,972,702
2,258,519,867
 II. 이익잉여금 처분액
-
-
 III.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7,480,281,742
3,528,772,076


4) 자본변동표

제 23 (당)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 22 (전)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케이에스피 (단위 : 원)
과          목 자본금 자본잉여금 자본조정 기타포괄
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 자본합계
2021.01.01 (전기초) 18,096,128,500 2,414,018,365 (566,773,044) 2,726,921,964 1,300,309,530 23,970,605,315
  전기순이익 - - - - 2,258,519,867 2,258,519,867
  순확정급여부채 재측정요소 - - - - (30,057,321) (30,057,321)
2021.12.31 (전기말) 18,096,128,500 2,414,018,365 (566,773,044) 2,726,921,964 3,528,772,076 26,199,067,861
2022.01.01 (당기초) 18,096,128,500 2,414,018,365 (566,773,044) 2,726,921,964 3,528,772,076 26,199,067,861
  당기순이익 - - - - 3,963,972,702 3,963,972,702
  순확정급여부채 재측정요소 - - - - (12,463,036) (12,463,036)
  자산재평가 - - - 3,880,756,378 - 3,880,756,378
2022.12.31 (당기말) 18,096,128,500 2,414,018,365 (566,773,044) 6,607,678,342 7,480,281,742 34,031,333,905


5) 현금흐름표

제 23 (당)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 22 (전)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케이에스피 (단위 : 원)
과          목 제 23 (당) 기 제 22 (전) 기
I. 영업활동 현금흐름
(5,413,126,447)
1,210,596,000
 1.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흐름 (4,922,465,955)
1,629,238,223
 2. 이자의 수취 24,691,896
4,494,271
 3. 이자의 지급 (512,343,348)
(424,041,424)
 4. 법인세의 환급(납부) (3,009,040)
904,930
II. 투자활동 현금흐름
(372,838,507)
(800,038,962)
 단기대여금의 증가 -
(35,000,000)
 유형자산의 처분 141,600,000
-
 유형자산의 취득 (521,026,507)
(632,374,962)
 무형자산의 취득 -
(2,664,000)
 보증금의 증가 6,588,000
(130,000,000)
III. 재무활동 현금흐름
921,259,196
(76,765,372)
   단기차입금의 차입 2,500,000,000
-
   사채의 상환 (1,500,000,000)
-
 리스부채의 상환 (78,740,804)
(76,765,372)
IV. 현금의 증가(감소) (Ⅰ+Ⅱ+Ⅲ)
(4,864,705,758)
333,791,666
V.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8,673,997,049
8,332,752,476
VI. 외화표시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175,359)
7,452,907
VII. 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Ⅳ+Ⅴ+Ⅵ)
3,809,115,932
8,673,997,049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참조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6 (3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500백만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6 (3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587백만원
최고한도액 1,000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 상기 사항은 주주총회 결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3년 03월 16일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1) 향후 사업보고서는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DART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에 업데이트 될 예정이므로 반드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에 관하여는 「DART-정기공시」에 제출된 사업보고서를 활용하여야 합니다.

3)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1주전 DART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 또는 당사 홈페이지( http://www.kspvalve.com) 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참고사항

▶ 주주총회 집중일 개최 사유
- 당사는 제23기 정기 주주총회 개최시 코스닥협회의 주주총회 분산 개최 권고에 따라 주주총회 집중일을 피해 주주총회 개최를 하려고 노력하였으나, 당사의 주요 경영활동 관련 일정 및 결산일정 등 원활한 주주총회 운영 준비를 위해 불가피하게 주주총회 집중일에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 이에 당사는 주주총회 참석이 어려운 주주들의 의결권 보장을 위해 전자투표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코스닥협회가 발표한 당해년도 주주총회 집중(예상)일: 3월 24일(금), 3월 30일(목), 3월 31일(금)

▶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권유에 관한 안내
- 당사는 「상법」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 관리시스템

      - 인터텟 주소 : http://evote.ksd.or.kr

      - 모바일 주소 : http://evote.ksd.or.kr/m

   나. 전자투표 행사 기간 : 2023년 3월 14일 ~ 2023년 3월 23일

      - 기간 중 24시간 이용가능(단, 마지막 날은 오후 5시까지 가능)

   다.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투표ㆍ전자위임장 권유관리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K-VOTE에서 사용가능한 인증서 한정)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09000161

케이에스피 (07301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