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결권대리행사권유참고서류 2023-03-16 15:59: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6000880
금융위원회 / 한국거래소 귀중 | |
2023년 3월 16일 | |
권 유 자: | 성 명: (주)삼성출판사 주 소: 서울시 서초구 명달로94(서초동) 전화번호: 02-3470-6800 |
작 성 자: | 성 명: 전종한 부서 및 직위: 경리팀 팀장 전화번호: 02-3470-6867 |
1.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에 관한 사항 | |||
가. 권유자 | (주)삼성출판사 | 나. 회사와의 관계 | 본인 |
다. 주총 소집공고일 | 2023.03.16 | 라. 주주총회일 | 2023.03.31 |
마. 권유 시작일 | 2023.03.21 | 바. 권유업무 위탁 여부 | 미위탁 |
2.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의 취지 | |||
가. 권유취지 | 주주총회의 원활한 진행 및 의사정족수 확보 | ||
나. 전자위임장 여부 | 전자위임장 가능 | (관리기관) | 삼성증권(주) |
(인터넷 주소) | https://vote.samsungpop.com | ||
다. 전자/서면투표 여부 | 둘다 가능 | (전자투표 관리기관) | 삼성증권(주) |
(전자투표 인터넷 주소) | https://vote.samsungpop.com | ||
3. 주주총회 목적사항 | |||
□ 재무제표의승인 | |||
□ 이사의선임 | |||
□ 이사의보수한도승인 |
성명 (회사명)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 소유비율 | 회사와의 관계 | 비고 |
---|---|---|---|---|---|
(주)삼성출판사 | 보통주 | 0 | 0 | 본인 | - |
- 권유자의 특별관계자에 관한 사항
성명 (회사명) | 권유자와의 관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 소유 비율 | 회사와의 관계 | 비고 |
---|---|---|---|---|---|---|
김진용 | 최대주주 | 보통주 | 4,243,790 | 42.44 | 최대주주 | - |
김미재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370,810 | 3.71 | 특수관계인 | - |
김민석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616,100 | 6.16 | 특수관계인 | - |
김우석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519,140 | 5.19 | 특수관계인 | - |
김종규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328,080 | 3.28 | 특수관계인 | - |
김진욱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97,770 | 0.98 | 특수관계인 | - |
계 | - | 6,175,690 | 61.76 | - | - |
※ 상기 주식 소유 비율은 2022년 12월 31일 기준 입니다.
가. 주주총회 의결권행사 대리인 (의결권 수임인)
성명 (회사명) | 주식의 종류 | 소유 주식수 | 회사와의 관계 | 권유자와의 관계 | 비고 |
---|---|---|---|---|---|
전종한 | 해당없음 | 0 | 직원 | - | - |
송기환 | 해당없음 | 1 | 직원 | - | - |
나.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업무 대리인
성명 (회사명) | 구분 | 주식의 종류 | 주식 소유수 | 회사와의 관계 | 권유자와의 관계 | 비고 |
---|---|---|---|---|---|---|
- | 해당사항없음 | - | - | - | - | - |
가. 권유기간
주주총회 소집공고일 | 권유 시작일 | 권유 종료일 | 주주총회일 |
---|---|---|---|
2023.03.16 | 2023.03.21 | 2023.03.30 | 2023.03.31 |
나. 피권유자의 범위
2022년 12월 31일 기준일 현재 의결권 있는 주식(보통주)을 소유한 주주전체 |
주주총회의 원활한 진행 및 의사정족수 확보 |
가. 전자적 방법으로 의결권을 위임하는 방법 (전자위임장)
전자위임장 수여 가능 여부 | 전자위임장 가능 |
전자위임장 수여기간 | 2023.03.21~2023.03.30 |
전자위임장 관리기관 | 삼성증권(주) |
전자위임장 수여 인터넷 홈페이지 주소 | https://vote.samsungpop.com |
기타 추가 안내사항 등 | 주주총회 소집통지 및 공고시에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에 관한 사항"을 안내하였음 |
나. 서면 위임장으로 의결권을 위임하는 방법
□ 권유자 등이 위임장 용지를 교부하는 방법
피권유자에게 직접 교부 | O |
우편 또는 모사전송(FAX) | X |
인터넷 홈페이지 등에 위임장 용지를 게시 | X |
전자우편으로 위임장 용지 송부 | O |
주주총회 소집 통지와 함께 송부 (발행인에 한함) | O |
- 전자우편 전송에 대한 피권유자의 의사표시 확보 여부 및 확보 계획
의결권 피권유자가 전자우편으로 위임장 용지를 수령한다는 의사표시를 이메일 또는 전화 등의 적절한 방법으로 한 경우, 전자우편으로 위임장 용지 송부할 계획입니다. |
□ 피권유자가 위임장을 수여하는 방법
- 위임장 접수처 ·주 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명달로 94 6층 경리팀(우편번호 06668) ·전화번호 : 02-3470-6866 - 우편 접수 여부 : 가능 - 접수 기간 : 2023년 3월 21일 ~ 3월 30일 |
다. 기타 의결권 위임의 방법
해당사항 없음 |
가. 주주총회 일시 및 장소
일 시 | 2023년 3월 31일 오전 9시 30분 |
장 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명달로 94 삼성출판사 사옥 지하1층 대회의실 |
나. 전자/서면투표 여부
□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전자투표 가능 여부 | 전자투표 가능 |
전자투표 기간 | 2023년 3월 21일 오전 9시 ~ 2023년 3월 30일 오후 5시 |
전자투표 관리기관 | 삼성증권(주) |
인터넷 홈페이지 주소 | https://vote.samsungpop.com |
기타 추가 안내사항 등 | - 시스템에 공인인증을 통해 주주본인을 확인 후 의안별 의결권 행사 또는 전자위임장 수여(주주확인용 공인인증서의 종류 : 증권거래전용 공인인증서 또는 은행,증권 범용 공인인증서) -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 |
□ 서면투표에 관한 사항
서면투표 가능 여부 | 서면투표 가능 |
서면투표 기간 | 2023.03.21~2023.03.30 |
서면투표 방법 | 의결권 행사서를 인편이나 우편으로 본사에 송부 |
기타 추가 안내사항 등 | 1) 당사는 상법 368조의 3 및 정관 26조의 2에 의거 총회에 직접 출석하지 아니하고 서면에 의하여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동봉한 의안 설명서를 참고하시어 ‘서면투표에 의한 의결권 행사서’에 의결권을 행사하시고, 총회 전일(2023년 3월 30일)까지 당사에 도착할 수 있도록 송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 의안별로 찬성 또는 반대의 표시란에 “○”표를 하여 주시기 바라며, 그 외의 방법으로 기표하거나 표시하지 아니한 의안은 기권처리 되오니 정확한 기표를부탁드립니다. 3) 서면에 의해 의결권을 행사하실 경우 제출된 의안에 대해 수정동의시 원안찬성은 수정동의에 반대하고, 원안반대는 수정동의에 기권하는 것으로 취급하오니 가급적 주주총회에 참석하시어 의결권을 행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다. 기타 주주총회에서의 의결권 행사와 관련한 사항
※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해 주주 여러분께 온라인을 통한 전자투표 및 ※ 주주총회 집중일 개최 사유 |
가. 당해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출판부문]
삼성출판사의 영업은 출판문화사업분야에서 크게 유아동 학습부문과 유아동 교양부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주로 온오프서점과 소셜쇼핑 등의 도서코너를 통해 판매되는 상품군으로 삼성출판사는 현재 유/아동 단행본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습니다. 영역별 나이별로 체계화 된 인지발달 교육 프로그램(잉글리시 타이거, 핑크퐁 시리즈, 타이거스쿨 시리즈, 지능업시리즈, 12주시리즈, 토이북 시리즈, 블루버드 세계명작 전래동화시리즈, 붙여도붙여도 스티커왕시리즈, 내가만들자 시리즈 등) 취학 전 아이들의 두뇌계발, 인지능력 향상 및 외국어 능력 향상 등 거의 모든 영역의 학습능력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취학 후 아이들을 위해서는 명작다이어리, 삼성세계명작시리즈, 재미있는100 시리즈 등 교양과 재미와 학습을 두루 체험하면서 배울 수 있는 도서들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특히 10여년간 임산부들의 바이블 임신출산육아대백과는 자녀의 출산부터 육아 그리고 교육까지 시스템의 시작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삼성출판사의 경쟁력은 참신하고 앞서가는 기획/개발력뿐만 아니라 타사와는 다른, 서점과의 직거래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통상 출판 대리점들은 총판의 형태로 여러 출판사들의 도서를 서점에 공급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습니다. 여타의 총판체제와 위탁 유통구조는 소비자들의 실제 구매 자료를 출판사 차원에서는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를 갖고 있습니다. 정확한 판매 현황과 고객 데이터를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는 향후 예상도 어렵게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삼성출판사의 서점 직거래 시스템은 개별 소매점을 밀착관리 함으로써, 실제의 고객구매 과정에서의 다양한 고객 니즈를 빠르게 얻을 수 있고, 이를 기초로 보다 정밀한 기획과 개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삼성출판사는 2016년 09월 출판사중 최초로 '마이리틀타이거'라는 브랜드로 직영점을 오픈하였고 2022년 12월 말 현재 49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마이리틀타이거'는 출판업계 세계 최초의 SPA (제조사 유통) 교육전문 매장으로서 자사 개발 도서 및 교구, 문구, 용품과 국내외 유아동 저명 브랜드 제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존의 서점, 완구점, 용품점 카테고리로 구별되어 있는 각 매장을 대상연령을 중심으로 한 토털 전문점으로 구성했다는데 특징이 있습니다.
아이의 교육을 위해서는 투자를 아끼지 않는 우리나라 부모님들을 성향을 고려할 때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사업으로 유통과 상품 공급자, 소비자들을 모두 만족시키고 있습니다. 특히 제조자가 소비자와 직접 만날 수 있는 유통 채널을 확보함으로써 소비자의 욕구와 변화를 보다 빠르게 상품 개발 및 판매전략에 도입 할 수 있고,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 이 사업의 최대 장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최근 트렌드인 복합 쇼핑몰 구성에 있어서 마이리틀타이거의 독특한 매력으로 유통채널의 눈길과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유통마다 소비의 중심이 되는 30~40대 젊은 부모들의 방문을 유도하기 위해 자녀를 위한 시설 및 매장을 필수적으로 꾸미고 있는 추세에서 마이리틀타이거의 등장은 유통채널의 고민을 해결해주고 있습니다.
삼성출판사의 영어 교육사업은 유아교육기관 대상의 유치원영어 사업과 초중등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영어전문학원 프랜차이즈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유치원영어는 <삼성영어 킨더가든>과 <핑크퐁 잉글리쉬> 2개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두 프로그램 모두 파견 교사를 통한 교재 및 멀티미디어 기반의 쌍방향 영어 교육이라는 점에서는 동일하나, <삼성영어 킨더가든>은 학습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핑크퐁 잉글리쉬>는 노래로 배우는 영어라는 모토로 놀이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초중등 영어전문학원 프랜차이즈는 <삼성영어셀레나>라는 브랜드로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삼성영어셀레나의 커리큘럼은 '300만 문장 만들기 과정'과 고학년 고레벨 학생을 위한 'PREP31 DK 원서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특허받은 최첨단 어학기 T-Box와 청크 학습법을 바탕으로 흥미와 학습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영어 학습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했습니다. 삼성영어셀레나는 영어전문학원 최초로 AI 원어민 셀레나 선생님을 도입하여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초중등 영어교육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삼성영어셀레나의 학습법은 입시 영어에서 탈피하여 실용영어를 강조하는 최근의 교육 정책 흐름과 완전히 맞아떨어지며 사교육 억제 정책에도 불구하고 삼성영어셀레나는 탄탄하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문성 제고와 영업력 강화를 위하여 현재 서울4곳, 부산1곳, 광주 1곳에 직영학원을 운영하고 있으며, 부산과 울산, 창원지역 가맹학원의 슈퍼바이저 역할을 하는 영남본부와 광주를 비롯해 순천, 광양, 여수지역 가맹학원의 슈퍼바이저 역할을 하는 광주본부를 각각 부산과 광주에 직영으로 두고 있습니다.
[휴게소부문]
고속도로 휴게소는1995년 한국도로공사로부터 운영권을 획득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매5년마다 한국도로공사의 평가를 통해 재계약을 하고 있습니다. 고속도로 노선 증가 및 차선 증가 등으로 교통체증이 완화된 고속도로 이용객의 선택권이 넓어진 만큼 타휴게소와 차별화된 시설 및 서비스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다양한 편의 시설과 영업시설의 도입으로 고객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가.출판부문 : 유아동서적출판, 유치원,초등 영어교재출판, 여성취미실용서적출판등
나.휴게소 부문 : 중부고속도로 이천(상) 휴게소
다.임대부문 : 본사사옥의 사무실 임대와 안양 물류창고 임대 사업
(2) 시장점유율
구체적인 산정 근거가 존재하지 않아 기재하지 않습니다.
(3) 시장의 특성
1) 사업부문별 현황
당사는 출판업을 주업으로 하고 고속도로휴게소업, 임대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2) 산업의 특성
한국의 출판 산업은 국민의 문화적 욕구충족에서 출발하는 문화사업과 전통적이고 열광적인 교육열에 부응하는 교육 산업의 특징이 혼재되어 있습니다. 다양한 문화적 정신적 수요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단행본 등의 형태로 서점을 통해 독자들에게 공급하고 있는 동시에 주로 교육적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단행본 보다는 폭 넓고 다양하고 체계적인 기획물을 종합적인 형태, 소위 전집류의 형태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서점을 통한 단행본 시장은 다시 문화적 단행본 시장과 학습 참고서 시장으로 대별하기도 합니다. 전집류 시장은 전통적인 방문판매 전집시장과 TV 홈쇼핑 전집 시장 그리고 방문학습지 시장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출판 시장은 국민소득증가와 학생들의 학력신장 열기 등으로 꾸준한 외형적 성장을 기록하여 왔고 정보화 산업과 결부하여 새로운 산업영역으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기도 합니다. 최근 세계화 바람으로 영어 교육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새로운 형태의 교육 서비스 사업 시장도 크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조기 외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성인교육과는 다른 차원의 유,아동 전문 영어교육 시장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또한 IPTV, 모바일 등의 신규 미디어의 등장으로 새로운 형태의 컨텐츠를 다양한 방식으로 유통, 소모할 수 있는 시장이 창출되고 있습니다. 특히, 빠른 성장을 하고 있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PC의 컨텐츠 시장은 지속적인 개발과 신규기기 보급으로 새로운 형태로 조합된 컨텐츠들이 요구될 것이라고 예상됩니다.
고속도로 휴게소는 고속도로에서 유일하게 고객들이 쉴 수 있는 독점적 지위를 가진공간입니다. 그러나 이런 독점적 지위로 인해 국민적 관심이 높아, 보다 수준높은 서비스 및 위생관리가 요구되어지기도 합니다.
3) 산업의 성장성
한국의 교육 출판산업은 최근 5년간 문화산업적 측면에서는 정체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교육산업적 측면에서는 여전히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입시제도가 수시로 변하며 다소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한국 사회 특유의 입시 경쟁이 여전히 강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교육 수요는 변함없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외국어 교육에 대한 유아, 초등 부모들의 관심과 열기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조기교육과 적기교육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솔루션을 개발한 업체들이 시장에 등장함으로써 과거와는 다른 형태의 유, 아동 영어 교육시장이 펼쳐지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외국의 교육자료를 그대로 현지의 방법으로 학습하는 방법(몰입교육법)에서부터 한국의 아이들의 인지 발달단계와 외국어 습득방법을 고려하여 독자적으로 개발한 도구와 방법 등을 사용한 교육법까지 다양하고 효율성을 추구하는 여러 방법들 현재 시도 되고 있습니다.
또한,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스마트폰 및 태블릿PC의 보급으로 각종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유아교육 및 도서분야에 대한 컨텐츠 수요 증가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계속되는 고속도로의 증가는 휴게소 전체 매출액의 증가로 이어지나 개별 휴게소 입장에서는 신설도로 확장,노선 다양화에 의해 개별 휴게소별로 매출액의 변화가 다를 수 있습니다.
4) 경기 변동의 특성
문화 교육 산업이 경기 변동과의 관련성은 특별히 알려진 것은 없습니다. 다만 경기 하강국면에서 학원 등을 다니던 학생들이 가계소득 감소에 따라 학원 등록을 하지 않는 대신, 집에서 자학자습을 하기 위해 참고서 등은 계속 구매하는 경향이 일부 알려져 있습니다. 불경기라도 학습을 포기 할 수 없는 현실을 반영하는 현상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산업의 계절적 특성은 교육 서비스 산업적 특성에서, 신학년, 신학기가 판매활성화 기간이 되며 동기간이 다른 서적들의 판매 활성화기간과도 겹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교육 산업적 특성에서 교육과정 개편에 따라 교과서와 참고서류가 개편되고 있으며 이 주기에 맞추어 각종 참고 자료들이 개편되고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폰 및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새롭게 떠오른 전자책 또는 기존 종이책을 근간으로 제작된 어플리케이션(앱)의 경우, 각종 플랫폼 상황에 따라 소액결제로 구매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어플리케이션 구매라는 생소한 개념을 소비자들이 적응해 나가고 있는 시장 상황 속에서 게임,육아 그리고 교육이라는 고관여 제품군에서 초기집중도가 우선시 나타나고 있습니다.
고속도로 휴게소는 고객들의 이동이 많은휴가철(여름휴가,단풍놀이,봄나들이 등)이 상대적으로 타 기간에 비해 매출액이 높은 편입니다.
5) 경쟁요소
일반적으로 출판 산업은 신규 시장 진입의 장벽이 거의 없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서점 단행본 시장은 완전 경쟁에 가까운 형태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홈쇼핑 등을 위한 전집류의 경우에는, 방대한 초기기획 비용과 수요 예측능력, 판매사인 홈쇼핑사와의 업무조율 능력 등을 감안할 때 중소 출판사들이 쉽게 참여할 수 없는 요소도 상당하다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교육 서비스 사업 분야는, 최근에 투자의 규모와 질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단순한 서적 출판만으로는 치열한 경쟁상황에서 생존할 수 없기 때문에 차별적인 교육 솔루션을 개발해야 하고 또 그것을 유지하기 위해서는종전과는 다른 투자가 필수적으로 되고 있습니다.
고속도로 휴게소는 해당 고속도로 구간에서는 거의 독점적인 지위를 누리지만 도로의 다양화 등으로 인한 인접지역에서의 우회도로 신설 등은 근본적인 위협요소입니다.
6) 관련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
국민 문화 창달을 위해 정부의 출판 문화 진흥 정책은 꾸준히 시행되고 있습니다. 특히, 출판 및 인쇄진흥법 저작권법등과 도서정가제의 시행으로 문화사업으로서의 출판산업을 보호 육성하고 있습니다.
고속도로 휴게소는 한국도로공사에 임차하여 운영하고 있는 특성상 한국도로공사의정책변화가 운영방법이나 수익 등에 많은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해당사항 없음
(5) 조직도
주식회사 | 출판부문 | 제품개발본부 | 개발부 | 개발팀 | |
디자인팀 | |||||
제작부 | 제작1팀 | ||||
제작2팀 | |||||
제품디자인팀 | |||||
경영관리본부 | 경리팀 | ||||
총무팀 | |||||
전산팀 | |||||
영업마케팅 | 영업관리부 | 영업1팀 | |||
영업2팀 | |||||
관리팀 | |||||
물류관리부 | 물류운영팀 | ||||
기획운영부 | 온라인팀 | ||||
마케팅커뮤니케이션팀 | |||||
오프라인팀 | |||||
웹디자인팀 | |||||
고객지원팀 | |||||
MD팀 | |||||
시설관리부 | 인테리어관리팀 | ||||
교육본부 | 컨텐츠개발팀 | ||||
교육팀 | |||||
교육마케팅부 | 교육마케팅팀 | ||||
기획부 | 기획팀 | ||||
홍보팀 | |||||
온라인팀 | |||||
휴게소부문 | 휴게소 | 이천휴게소 |
나. 당해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대차대조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결손금처리계산서)
※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 및 정기주주총회 승인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향후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개별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재 무 상 태 표 |
제 21(당) 기말 2022년 12월 31일 현재 | |
제 20(전) 기말 2021년 12월 31일 현재 | |
주식회사 삼성출판사 | (단위 : 원) |
과 목 | 주석 | 제 21(당) 기말 | 제 20(전) 기말 | ||
---|---|---|---|---|---|
자 산 | |||||
Ⅰ.유동자산 | 42,688,650,350 | 108,574,220,097 | |||
현금및현금성자산 | 4,5,33 | 11,233,697,641 | 7,902,241,356 | ||
단기금융상품 | 4,5 | 10,000,000,000 | 10,500,000,000 | ||
유동성장기금융상품 | 4,5 | - | 214,757,250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4,5,7 | - | 9,846,007,688 | ||
매출채권 | 4,5,6,32 | 5,288,378,891 | 12,314,643,369 | ||
기타유동채권 | 4 | 443,375,491 | 15,316,736,716 | ||
기타유동자산 | 9,32 | 1,001,883,124 | 3,197,695,388 | ||
재고자산 | 8 | 14,398,866,400 | 48,699,107,204 | ||
반품자산 | 19 | 322,448,803 | 583,031,126 | ||
Ⅱ.비유동자산 | 168,937,082,856 | 230,148,192,737 | |||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4 | - | 98,040,000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4,7 | 110,800,516,939 | 125,184,019,101 | ||
관계기업투자자산 | 10 | 32,247,657,299 | |||
투자부동산 | 13 | 19,436,259,515 | 14,189,307,976 | ||
유형자산 | 11 | 4,401,224,803 | 24,847,003,911 | ||
사용권자산 | 11,18 | 212,170,961 | 35,770,078,206 | ||
무형자산 | 12 | 320,124,333 | 1,409,830,552 | ||
기타비유동채권 | 4,6,32 | 1,519,129,006 | 27,365,324,764 | ||
이연법인세자산 | 29 | - | 1,284,588,227 | ||
자 산 총 계 | 211,625,733,206 | 338,722,412,834 | |||
부 채 | |||||
Ⅰ.유동부채 | 6,848,507,622 | 62,500,663,079 | |||
매입채무 | 4,14,32 | 1,179,403,950 | 7,441,843,242 | ||
기타유동채무 | 4,14,32 | 1,612,705,567 | 6,817,677,434 | ||
단기차입금 | 4,5,16 | - | 15,000,000,000 | ||
기타유동부채 | 4,5,15 | 1,292,756,480 | 5,009,841,813 | ||
반품충당부채 | 19 | 575,652,475 | 1,176,488,968 | ||
유동성리스부채 | 4,5,18 | 123,407,024 | 15,010,305,562 | ||
유동성복구충당부채 | 20 | - | 324,141,358 | ||
당기법인세부채 | 30 | 2,064,582,126 | 4,720,364,702 | ||
유동성장기부채 | 4,5,16 | - | 7,000,000,000 | ||
Ⅱ.비유동부채 | 29,076,572,681 | 52,819,271,762 | |||
기타비유동채무 | 4,5,15 | 2,935,879,059 | 1,825,019,692 | ||
리스부채 | 4,5,18 | 32,610,425 | 19,478,872,388 | ||
복구충당부채 | 20 | 247,521,457 | 833,136,589 | ||
이연법인세부채 | 30 | 25,860,561,740 | 30,682,243,093 | ||
부 채 총 계 | 35,925,080,303 | 115,319,934,841 | |||
자 본 | |||||
Ⅰ. 지배회사지분 | 175,700,652,903 | 189,820,845,665 | |||
자본금 | 22 | 5,000,000,000 | 5,000,000,000 | ||
자본잉여금 | 22 | 26,299,721,397 | 27,222,628,775 |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4,7,22 | 18,280,748,305 | 40,537,562,271 | ||
이익잉여금 | 22 | 126,120,183,201 | 117,060,654,619 | ||
Ⅱ. 비지배지분 | - | 33,581,632,328 | |||
자 본 총 계 | 175,700,652,903 | 223,402,477,993 | |||
부 채 및 자 본 총 계 | 211,625,733,206 | 338,722,412,834 |
"별첨 주석은 본 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
포 괄 손 익 계 산 서 |
제 21(당) 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제 20(전) 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삼성출판사 | (단위 : 원) |
과 목 | 주석 | 제 21 (당) 기 | 제 20 (전) 기 |
---|---|---|---|
Ⅰ.매출액 | 24,32 | 51,665,697,418 | 56,221,694,171 |
Ⅱ.매출원가 | 25,32 | 26,451,850,239 | 28,009,328,496 |
Ⅲ.매출총이익 | 25,213,847,179 | 28,212,365,675 | |
판매비와관리비 | 26,32 | 26,114,781,442 | 27,069,322,993 |
Ⅳ.영업이익(손실) | (900,934,263) | 1,143,042,682 | |
기타수익 | 28,32 | 643,041,364 | 523,620,924 |
기타비용 | 28,32 | 158,944,279 | 355,901,141 |
금융수익 | 27 | 1,263,139,399 | 347,694,497 |
금융비용 | 27 | 73,305,403 | 232,947,471 |
지분법이익 | 3,947,157,299 | - | |
Ⅴ.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4,720,154,117 | 1,425,509,491 | |
법인세비용 | 30 | 1,118,926,825 | 666,915,447 |
Ⅵ.계속영업당기순이익 | 3,601,227,292 | 758,594,044 | |
Ⅶ.중단영업당기순이익 | 34 | 12,949,999,975 | 5,176,382,608 |
Ⅷ.당기순이익 | 16,551,227,267 | 5,934,976,652 | |
Ⅸ.기타포괄이익(손실) |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포괄손익 :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평가이익(손실) | 4,7 | (21,886,974,425) | 45,809,453,391 |
Ⅹ.당기총포괄이익(손실) | (5,335,747,158) | 51,744,430,043 | |
ⅩⅠ.계속영업당기순손익의 귀속 | |||
지배기업소유주지분 | 3,601,227,292 | 754,981,699 | |
비지배지분 | - | 3,612,345 | |
ⅩⅡ.중단영업당기순손익의 귀속 | |||
지배기업소유주지분 | 8,299,114,283 | 2,404,370,902 | |
비지배지분 | 4,650,885,692 | 2,772,011,706 | |
ⅩⅢ. 총포괄손익의 귀속 | |||
지배기업소유주지분 | (9,986,632,850) | 48,968,805,992 | |
비지배지분 | 4,650,885,692 | 2,775,624,051 | |
ⅩⅢ.지배기업의 주당손익 | |||
계속영업 기본 및 희석주당이익(손실) | 31 | 360 | 76 |
중단영업 기본 및 희석주당이익(손실) | 31 | 830 | 240 |
"별첨 주석은 본 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
자 본 변 동 표 |
제 21(당) 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제 20(전) 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삼성출판사 | (단위 : 원) |
과 목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기타포괄손익 누계액 | 이익잉여금 |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계 | 비지배지분 | 총 계 |
---|---|---|---|---|---|---|---|
2021.1.1.(보고금액) | 5,000,000,000 | 27,222,628,775 | (103,200,035) | 110,732,610,933 | 142,852,039,673 | 30,807,051,628 | 173,659,091,301 |
자본에 직접 인식된 주주와의 거래 : | |||||||
배당금의 지급 | - | - | - | (2,000,000,000) | (2,000,000,000) | - | (2,000,000,000) |
종속기업의 청산 | - | - | - | - | - | (1,043,351) | (1,043,351)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의 잉여금대체 | - | - | (5,168,691,085) | 5,168,691,085 | - | - | - |
당기총포괄이익 : | - | - | -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 - | - | 45,809,453,391 | - | 45,809,453,391 | - | 45,809,453,391 |
당기순이익 | - | - | - | 3,159,352,601 | 3,159,352,601 | 2,775,624,051 | 5,934,976,652 |
2021.12.31.(전기말) | 5,000,000,000 | 27,222,628,775 | 40,537,562,271 | 117,060,654,619 | 189,820,845,665 | 33,581,632,328 | 223,402,477,993 |
2022.1.1.(보고금액) | 5,000,000,000 | 27,222,628,775 | 40,537,562,271 | 117,060,654,619 | 189,820,845,665 | 33,581,632,328 | 223,402,477,993 |
자본에 직접 인식된 주주와의 거래 : | |||||||
배당금의 지급 | - | - | - | (2,000,000,000) | (2,000,000,000) | (527,800,000) | (2,527,800,000) |
종속기업의 제외 | - | (922,907,378) | - | (1,185,881,209) | (2,108,788,587) | (37,729,489,345) | (39,838,277,932)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의 잉여금대체 | - | - | (345,068,216) | 345,068,216 | - | - | - |
당기총포괄이익 :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 - | - | (21,911,745,750) | - | (21,911,745,750) | 24,771,325 | (21,886,974,425) |
당기순이익 | - | - | - | 11,900,341,575 | 11,900,341,575 | 4,650,885,692 | 16,551,227,267 |
2022.12.31.(당기말) | 5,000,000,000 | 26,299,721,397 | 18,280,748,305 | 126,120,183,201 | 175,700,652,903 | - | 175,700,652,903 |
현 금 흐 름 표 |
제 21(당) 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제 20(전) 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삼성출판사 | (단위 : 원) |
과 목 | 주석 | 제 21(당) 기 | 제 20(전) 기 | ||
---|---|---|---|---|---|
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20,434,077,557 | 44,630,629,478 | |||
1. 영업에서 창출사용된 현금흐름 | 33 | 25,378,443,967 | 45,841,145,818 | ||
당기순이익 | 16,551,227,267 | 5,934,976,652 | |||
조정 | 14,027,180,942 | 33,765,866,410 | |||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부채의 변동 | (5,199,964,242) | 6,140,302,756 | |||
2. 이자의 수취 | 704,751,240 | 90,991,919 | |||
3. 이자의 지급 | (350,353,723) | (745,781,809) | |||
4. 배당금수입 | 4,102,600 | 3,300,000 | |||
5. 법인세 부담액 | (5,302,866,527) | (559,026,450) | |||
Ⅱ.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782,835,423) | (11,655,283,262)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의 처분 | 30,038,648,516 | 50,267,360,905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의 취득 | (20,000,000,000) | (55,110,402,674) | |||
장당기금융상품의 처분 | (33,034,581,750) | (10,559,283,000) | |||
장당기금융상품의 취득 | 33,500,000,000 | 720,000,000 | |||
단기대여금의 감소 | 40,000,000 | -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의 처분 | 2,273,804,097 | 13,141,888,031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의 취득 | (16,279,900,000) | (4,210,560,000) | |||
종속기업투자자산의 처분 | 9,198,000,000 | - | |||
투자부동산의 처분 | 191,207,000 | - | |||
유형자산의 처분 | 1,480,568 | 48,746,455 | |||
유형자산의 취득 | (4,919,032,854) | (3,656,009,979) | |||
무형자산의 취득 | 49,950,000 | 1,000 | |||
무형자산의 처분 | (38,593,000) | (630,304,000) | |||
보증금의 처분 | 3,429,782,000 | 2,632,680,000 | |||
보증금의 취득 | (5,233,600,000) | (4,299,400,000) | |||
Ⅲ.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15,705,169,511) | (35,185,593,464) | |||
배당금의 지급 | (2,527,800,000) | (2,000,000,000) | |||
리스부채의 상환 | (11,759,262,535) | (22,088,193,633) | |||
단기차입금의 차입 | 14,581,893,024 | 27,000,000,000 | |||
단기차입금의 상환 | (16,000,000,000) | (36,097,399,831) | |||
유동성장기부채의 상환 | - | (2,000,000,000) | |||
Ⅳ.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Ⅰ+Ⅱ+Ⅲ) | 3,946,072,623 | (2,210,247,248) | |||
Ⅴ. 연결범위변동 | (615,284,601) | (1,043,351) | |||
Ⅵ. 환율변동에 의한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감 | 668,263 | - | |||
Ⅶ.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7,902,241,356 | 10,113,531,955 | |||
Ⅷ. 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11,233,697,641 | 7,902,241,356 |
"별첨 주석은 본 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제 21 기 2022.01.01 부터 2022.12.31 까지 |
제 20 기 2021.01.01 부터 2021.12.31 까지 |
(단위 : 원)
구 분 | 제21기 (처분예정일 2023년 3월 31일) | 제20기 (처분확정일 2022년 3월 31일) | ||
---|---|---|---|---|
Ⅰ. 미처분이익잉여금 | 29,620,183,201 | 6,826,508,160 | ||
1.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826,508,160 | 584,745,939 | ||
2.보험수리적손익 | - | - | ||
3.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평가손익 이익잉여금대체 | 323,582,213 | 5,168,691,085 | ||
3.당기순이익 | 28,470,092,828 | 1,073,071,136 | ||
Ⅱ. 임의적립금등의 이입액 | - | - | ||
Ⅲ. 합계 | 29,620,183,201 | 6,826,508,160 | ||
Ⅳ. 이익잉여금처분액 | 29,000,000,000 | 6,000,000,000 | ||
1.임의적립금 | 27,000,000,000 | 4,000,000,000 | ||
2.배당금 (주당배당금(율) : 보통주: 제21기 200원(40%) 제20기 200원(40%) | 2,000,000,000 | 2,000,000,000 | ||
Ⅴ. 차기이월 미처분이익잉여금 | 620,183,201 | 826,508,160 |
"별첨 주석은 본 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
주석
제 21(당) 기말 2022년 12월 31일 현재 |
제 20(전) 기말 2021년 12월 31일 현재 |
주식회사 삼성출판사 |
1. 당사의 개요
주식회사 삼성출판사(이하 "당사"라 함)는 2002년 7월 1일을 기준일로 하여 주식회사에프앤에프의 출판사업부문과 고속도로 휴게소사업부문이 분할되어 설립되었습니다. 당사는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본사를 두고, 출판사업, 휴게소사업 및 임대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2002년 8월 5일에 당사의 주식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하였습니다.
당사는 2008년 5월 21일을 기준일로 하여 유통주식수의 확대를 통한 거래 활성화를 목적으로 10:1의 비율로 보통주주식을 액면분할하여 2008년 6월 5일자로 변경상장하였으며,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당사의 납입자본금은 50억원입니다. 당사의 주요 주주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주명 | 주식수 (단위 : 주) | 지분율 |
---|---|---|
김진용 | 4,243,790 | 42.44% |
김민석 | 616,100 | 6.16% |
김우석 | 519,140 | 5.19% |
김미재 | 370,810 | 3.71% |
김종규 | 328,080 | 3.28% |
김진욱 | 97,770 | 0.98% |
기 타 | 3,824,310 | 38.24% |
합 계 | 10,000,000 | 100.00% |
2. 재무제표 작성기준
(1) 회계기준의 적용
당사의 재무제표는 국제회계기준을 채택하여 제정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당사는 당기 중 (주)아트박스에 대한 지배력을 상실하여, 해당 기업 및 동기업의 종속회사를 연결대상 종속기업에서 제외하고, 동 주식의 공정가치 금액을 관계기업투자주식으로 분류하였습니다.
당기말 현재 당사는 종속기업투자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이러한 변화로 당사는 당기부터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당기의 재무제표는 개별재무제표이며, 비교 표시목적으로 첨부한 전기의 재무제표는 연결재무제표입니다.
(2) 당사가 채택한 제ㆍ개정 회계기준
당사는 2022년 1월 1일로 개시하는 회계기간부터 다음의 제 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를 신규로 적용하였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116호 '리스' 개정
코로나19의 직접적인 결과로 발생한 임차료 할인 등이 리스변경에 해당하는지 평가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실무적 간편법의 적용대상이 2022년 6월 30일 이전에 지급하여야 할 리스료에 영향을 미치는 리스료 감면으로 확대되었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으로 인하여 재무제표에 미치는 유의적인 영향은 없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3호 '사업결합' 개정
사업결합 시 인식할 자산과 부채의 정의를 개정된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를 참조하도록 개정되었으나, 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 '충당부채, 우발부채 및 우발자산' 및 해석서 제2121호 '부담금'의 적용범위에 포함되는 부채 및 우발부채에 대해서는 해당 기준서를 적용하도록 예외를 추가하고, 우발자산이 취득일에 인식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으로 인하여 재무제표에 미치는 유의적인 영향은 없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016호 '유형자산' 개정
기업이 자산을 의도한 방식으로 사용하기 전에 생산된 품목의 판매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생산원가와 함께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도록 요구하며, 유형자산의 취득원가에서차감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으로 인하여 재무제표에 미치는 유의적인 영향은 없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 '충당부채, 우발부채 및 우발자산' 개정
손실부담계약을 식별할 때 계약이행원가의 범위를 계약 이행을 위한 증분원가와 계약 이행에 직접 관련되는 다른 원가의 배분이라는 점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으로 인하여 재무제표에 미치는 유의적인 영향은 없습니다.
나. 회사가 적용하지 않은 제ㆍ개정 기준서
제정 또는 공표됐으나 2022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에 시행일이 도래하지않았고, 회사가 조기 적용하지 않은 주요 제ㆍ개정 기준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보고기간말 현재 존재하는 실질적인 권리에 따라 유동 또는 비유동으로 분류되며, 부채의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권리의 행사가능성이나 경영진의 기대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또한, 부채의 결제에 자기지분상품의 이전도 포함되나, 복합금융상품에서 자기지분상품으로 결제하는 옵션이 지분상품의 정의를 충족하여 부채와 분리하여 인식된경우는 제외됩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중요한 회계정책을 정의하고 공시하도록 하며, 중요성 개념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기 위하여 국제회계기준 실무서 2 '회계정책 공시'를 개정하였습니다.
동 개정 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008호 '회계정책, 회계추정의 변경 및 오류' 개정
회계추정을 정의하고, 회계정책의 변경과 구별하는 방법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동 개정 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허용됩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012호 '법인세' 개정
자산 또는 부채가 최초로 인식되는 거래의 최초 인식 예외 요건에 거래당시 동일한 가산할 일시적차이와 차감할 일시적차이를 발생시키지 않는 거래라는 요건을 추가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3) 재무제표의 측정기준
당사의 재무제표는 특정 금융자산을 제외하고는 역사적 원가주의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역사적 원가는 일반적으로 자산을 교환하고 수취한 대가의 공정가치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4) 기능통화와 표시통화
당사는 재무제표에 포함되는 항목들에 대해 각 회사의 영업활동이 이루어지는 주된 경제환경에서의 통화("기능통화")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있으며, 당사의 기능통화와 표시통화는 원화 (KRW)입니다.
(5) 추정과 판단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재무제표를 작성하기 위해서 당사의 경영진은 회계정책의 적용, 자산 및 부채의 장부금액 및 손익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에 대해서 많은 판단을 내리고 추정 및 가정을 사용합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이 실제 환경과 다를 경우 실제 결과는 이러한 추정치와 다를 수 있습니다.
추정치와 추정에 대한 기본 가정은 지속적으로 검토되고 있으며, 회계추정의 변경은 추정이 변경된 기간과 미래 영향을 받을 기간 동안 인식되고 있습니다.
한편, COVID-19의 확산은 국내외 경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는 생산성 저하와 매출의 감소나 지연, 기존 채권의 회수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회사의 재무상태와 재무성과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재무제표 작성시 사용된 중요한 회계추정 및 가정은 COVID-19에 따른 불확실성의 변동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COVID-19로 인하여 회사의 사업, 재무상태 및 경영성과 등에 미칠 궁극적인 영향은 현재 예측할 수 없습니다.
다음 회계연도의 자산 및 부채 장부금액에 조정을 미칠 수 있는 유의적 위험에 대한 추정 및 가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법인세비용
당기법인세 및 이연법인세 자산과 부채는 보고기간말까지 제정되었거나 실질적으로 제정된 세율에 근거하여 당해 자산이 실현되거나 부채가 결제될 보고기간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되는 세율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 미래 최종 법인세부담은 보고기간말 현재 인식한 관련 자산ㆍ부채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최종 법인세효과가 확정된 시점의 당기법인세및 이연법인세자산ㆍ부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활성시장에서 거래되지 않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는 평가기법을 사용하여 결정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주요한 시장상황에 기초하여 다양한 평가기법의 선택 및 가정에 대한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
3) 금융자산의 손상
기준서 제1109호의 금융자산의 손실충당금은 채무불이행위험과 기대신용률에 대한 가정에 근거하였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가정을 세우고 손상 계산을 위한 투입요소를 선택할 때 보고기간말의 미래 전망에 대한 추정 및 과거 경험, 현재 시장 상황에근거하여 판단합니다.
4) 충당부채
당사는 반품예상액 등과 관련한 충당부채를 계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충당부채는 과거 경험에 기초한 추정에 근거하여 결정됩니다.
3. 유의적인 회계정책
재무제표의 작성에 적용된 중요한 회계정책은 아래에 제시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은 별도의 언급이 없다면, 표시된 회계기간에 계속적으로 적용되었습니다.
(1) 유동성/비유동성 분류
당사는 자산과 부채를 유동/비유동으로 재무상태표에 구분하여 표시하고 있습니다.
자산은 다음의 경우에 유동자산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 정상영업주기 내에 실현될 것으로 예상되거나, 정상영업주기 내에 판매하거나 소
비할 의도가 있다.
- 주로 단기매매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다.
-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내에 실현될 것으로 예상한다.
- 현금이나 현금성자산으로서, 교환이나 부채 상환 목적으로의 사용에 대한 제한 기
간이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상이 아니다.
그 밖의 모든 자산은 비유동자산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부채는 다음의 경우에 유동부채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 정상영업주기 내에 결제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주로 단기매매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다.
-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내에 결제하기로 되어 있다.
-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상 부채의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무조건의 권리를 가지고
있지 않다.
그 밖의 모든 부채는 비유동부채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2) 현금및현금성자산
보유현금과 요구불예금, 유동성이 매우 높고 확정된 금액의 현금으로 전환이 용이하며 가치변동의 위험이 중요하지 아니한 단기투자자산(취득일로부터 만기일이 3개월 이내인 경우)은 현금및현금성자산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지분상품은 현금성자산에서 제외하고 있으며, 당좌차월은 재무상태표상 '단기차입금' 계정에 포함됩니다.
(3) 금융자산
금융자산은 당사가 계약의 당사자가 되는 때에 인식하고 있습니다. 금융자산은 최초 인식시 공정가치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금융자산의 취득과 직접 관련되는 거래원가는 최초 인식시 금융자산의 공정가치에 차감하거나 부가하고 있습니다. 다만,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의 취득과 직접 관련되는 거래원가는 발생 즉시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금융자산의 정형화된 매입 또는 매도는 모두 매매일에 인식하거나 제거하고 있습니다. 금융자산의 정형화된 매입 또는 매도는 관련 시장의 규정이나 관행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설정된 기간 내에 금융상품을 인도하는 계약조건에 따라 금융자산을 매입하거나 매도하는 계약입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의 적용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금융자산은 금융자산의 관리를 위한 사업모형과 계약상 현금흐름 특성에 근거하여 최초 인식시점에 상각후원가,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당기손익-공정가치로 측정되도록 분류하고 있습니다.
금융자산 손상과 관련하여 당사는 미래전망정보에 근거하여 상각후원가로 측정하거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채무상품'에 대한 기대신용손실을 평가합니다. 손상 방식은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 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 특히 최초 인식 후 금융상품의 신용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경우 또는 금융자산의 취득시 신용이 손상되어 있는 경우에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손실충당금을 측정합니다. 한편, 최초 인식 이후 금융상품의 신용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지 아니한경우(취득시 신용이 손상되어 있는 금융자산은 제외) 당사는 12개월 기대신용손실에해당하는 금액으로 금융상품의 손실충당금을 측정합니다. 단, 매출채권, 계약자산과 리스채권에 대해 당사는 채권의 최초 인식시점부터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을 인식하는 간편법을 적용합니다.
금융자산의 현금흐름에 대한 계약상 권리가 소멸하거나, 금융자산을 양도하고 금융자산의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다른 기업에게 이전할 때 금융자산을 제거하고 있습니다. 만약 금융자산의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이전하지도 않고 보유하지도 않으며, 양도한 금융자산을 계속하여 통제하고 있다면, 당사는 당해금융자산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관여하는 정도까지 계속하여 인식하고 있습니다. 만약 양도한 금융자산의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보유하고 있다면, 당사는당해 금융자산을 계속 인식하고 수취한 대가는 담보 차입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금융자산 전체를 제거하는 경우, 수취한 대가와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한 누적손익의 합계액과 당해 자산의 장부금액과의 차이는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금융자산의 전체가 제거되는 경우가 아닌 경우에는(예를 들어 당사가 양도자산의 일부를 재매입할 수 있는 옵션을 보유하거나, 잔여지분을 보유하고 있고 이러한 잔여지분의 보유가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을 대부분 보유한 것으로 볼 수 없고 당해 자산을 통제하고 있는 경우), 당사는 당해 금융자산의 기존 장부금액을 양도일 현재 각 부분의 상대적 공정가치를 기준으로 지속적 관여에 따라 계속 인식되는 부분과 더 이상인식되지 않는 부분으로 배분하고 있습니다.
(4) 매출채권
매출채권은 정상적인 영업과정에서 판매된 상품 및 제공된 용역과 관련하여 고객으로부터 수취할 금액입니다. 매출채권의 회수가 1년 이내인 경우 유동자산으로 분류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비유동자산으로 분류합니다. 비유동자산으로 분류된 장기성매출채권은 유효이자율을 사용하여 현재가치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매출채권은 공정가치로 인식하며 손실충당금을 차감한 금액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한편, 당사는 매출채권에 대한 통제 또는 계속적인 관여를 할 수 없게 되는 시점에서 매출채권을 매각한 것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5) 재고자산
재고자산은 취득원가와 순실현가능가치 중 낮은 금액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재고자산의 취득원가는 매입원가, 전환원가 및 재고자산을 현재의 장소에 현재의 상태로 이르게 하는 데 발생한 기타 원가 모두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순실현가능가치는 정상적인 영업과정의 예상 판매가격에서 예상되는 추가 완성원가와 판매비용을 차감한 금액입니다. 당사는 총평균법을 적용하여 재고자산의 단위원가를 결정하고 있습니다. 재고자산의 판매시, 관련된 수익을 인식하는 기간에 재고자산의 장부금액을 매출원가로 인식하며, 재고자산을 순실현가능가치로 감액한 평가손실과 모든 감모손실은 감액이나 감모가 발생한 기간에 비용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또한, 재고자산의 순실현가능가치의 상승으로 인한 재고자산평가손실의 환입은 환입이발생한 기간의 비용으로 인식된 재고자산의 매출원가에서 차감하고 있습니다.
(6) 관계기업 투자
당사는 관계기업에 대한 투자자산에 대해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제1027호에 따른지분법을 선택하여 회계처리하였습니다. 또한, 공동기업 및 관계기업으로부터 수취하는 배당금은 배당에 대한 권리가 확정되는 시점에 지분법장부금액에서 차감하여 회계처리합니다.
(7) 유형자산
유형자산은 원가로 측정하며 최초 인식 후에 취득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을 장부금액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유형자산의 원가는 당해 자산의 매입 또는 건설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발생한 지출로서 경영진이 의도하는 방식으로 자산을 가동하는데 필요한 장소와 상태에 이르게 하는데 직접 관련되는 원가와 자산을 해체, 제거하거나 부지를 복구하는데 소요될 것으로 최초에 추정되는 원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후속원가는 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미래경제적효익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으며, 그 원가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경우에 한하여 자산의 장부금액에 포함하거나 적절한 경우 별도의 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대체된 부분의 장부금액은 제거하고 있습니다. 한편, 일상적인 수선ㆍ유지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원가는 발생시점에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유형자산 중 토지는 감가상각을 하지 않으며, 그 외의 유형자산은 취득원가에서 잔존가치를 제외한 금액에 대하여 개별 자산별로 다음의 내용연수 동안 정액법으로 감가상각하고 있으며, 감가상각액은 다른 자산의 장부금액에 포함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구 분 | 내용연수 | 구 분 | 내용연수 |
---|---|---|---|
건 물 | 20 ~ 40년 | 기타유형자산 | 5년 |
유형자산을 구성하는 일부의 원가가 당해 유형자산의 전체 원가와 비교하여 유의적이라면 해당 유형자산을 감가상각할 때 그 부분은 별도로 구분하여 감가상각하고 있습니다.
유형자산의 감가상각방법, 잔존가치 및 내용연수는 매 회계연도말에 재검토하고 있으며 이를 변경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회계추정의 변경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자산의 장부금액이 추정 회수가능액을 초과하는 경우 자산의 장부금액을 회수가능액으로 즉시 감소시키고 있습니다.
유형자산의 장부금액은 당해 자산을 처분하는 때 또는 사용이나 처분을 통하여 미래경제적효익이 기대되지 않을 때에 제거하며,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손익은 순매각금액과 장부금액의 차이로 결정하며,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8) 무형자산
1) 기타의 무형자산
기타의무형자산은 무형자산의 정의를 충족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이 가능한 시점부터 추정내용연수 동안 정액법에 따라 상각하고 있습니다. 다만, 회원권의 경우 순현금유입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는 기간이 예측가능하지 아니하므로내용연수가 비한정인 것으로 보아 상각하지 않고, 매년 손상검사를 하고 원가에서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가액으로 표시하고 있으며, 회원권에 대한 손상차손은 환입하지 아니합니다.
구분 | 상각방법 | 추정내용연수 | 내부창출 또는 취득 |
---|---|---|---|
사용수익기부자산 | 미래경제적효익 예상기간동안 정액법으로 상각 | 유한(5년) | 취득 |
회원권 | 상각대상 아님 | 비한정 | 취득 |
기타의 무형자산 | 미래경제적효익 예상기간동안 정액법으로 상각 | 유한(5년) | 취득 |
(9) 투자부동산
임대수익이나 투자차익을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은 투자부동산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투자부동산은 취득시 발생한 거래원가를 포함하여 최초 인식시점에 원가로 측정하며, 최초 인식 후에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을 장부금액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후속원가는 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미래경제적효익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으며, 그 원가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경우에 한하여 자산의 장부금액에 포함하거나 적절한 경우 별도의 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후속지출에 의해 대체된 부분의 장부금액은 제거하고 있습니다. 한편, 일상적인 수선ㆍ유지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원가는 발생시점에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투자부동산 중 토지에 대해서는 감가상각을 하지 않으며, 토지를 제외한 투자부동산은 경제적 내용연수에 따라 정액법으로 상각하고 있습니다.
투자부동산의 감가상각방법, 잔존가치 및 내용연수는 매 보고기간말에 재검토하고 이를 변경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회계추정의 변경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10) 비금융자산의 손상
영업권 및 시설물이용권과 같은 비한정내용연수를 가진 무형자산과 아직 사용할 수 없는 무형자산은 상각하지 않고 매년 손상검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상각하는 자산의 경우는 장부금액이 회수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나타내는 환경의 변화나 사건이 있을 때마다 손상검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손상차손은 회수가능액을 초과하는 장부금액만큼 인식하고 있습니다. 손상차손을 인식한 경우, 영업권 이외의 비금융자산은 매 보고기간말에 손상차손의 환입가능성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회수가능액은 개별 자산별로 추정하나 만약 개별 자산별로 추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당해 자산이 속한 현금창출단위별로 추정하며, 회수가능액은 자산 또는 현금창출단위의 순공정가치와 사용가치 중 큰 금액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자산(또는 현금창출단위)의 회수가능액이 장부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자산(또는 현금창출단위)의 장부금액을 회수가능액으로 감소시키고 감소된 금액(손상차손)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다만, 관련 자산이 재평가금액을 장부가액으로 하는 경우에는 재평가된 자산의 손상차손은 재평가액의 감소로 회계처리합니다.
과거기간에 인식한 손상차손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거나 감소되어 손상차손이 환입되는 경우 자산(또는 현금창출단위)의 장부금액을 회수가능액으로 증가시킵니다. 다만, 자산의 손상차손환입으로 증가된 장부금액은 손상차손을 인식하기 전 장부금액의 감가상각 또는 상각 후 잔액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손상차손의 환입은 즉시 당기손익으로 인식하지만, 관련 자산이 재평가금액을 장부가액으로 하는 경우에는 재평가된 자산의 손상차손환입은 재평가액의 증가로 회계처리합니다.
(10) 차입금
차입금은 최초에 거래비용을 차감한 순공정가액으로 인식하며, 후속적으로 상각후원가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거래비용 차감 후 수취한 금액과 상환금액의 차이는 유효이자율법으로 상각하여 차입기간 동안 손익계산서에 인식하고 있습니다. 차입금은 당사가 보고기간말 이후 12개월 이상 결제를 이연할 수 있는 무조건적인 권리를 가지고 있지 않는 한 유동부채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11) 금융부채
1) 분류
금융부채는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와 기타금융부채로 분류하며, 금융자산의 성격과 보유목적에 따라 최초 인식시점에 결정하고 있습니다.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단기매매금융부채(단기간 내에 재매입할 목적으로 부담한 금융부채와 위험회피수단으로 지정되지 않거나 위험회피에 효과적이지 않은 파생상품)와 최초 인식시점에 공정가치 측정으로 지정한 금융부채를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금융부채로 분류하며, 유동부채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 기타금융부채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로 분류되지 않은 비파생금융부채는 기타금융부채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종료일 기준으로 12개월 이내에 경영진이 상환할 의도가 있는경우에는 유동부채로 분류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비유동부채로 분류합니다. 또한, 보고기간 종료일 이후 12개월 이상 결제를 이연할 수 있는 무조건적인 권리가 있는 경우 비유동부채로 분류하며, 그렇지 않는 경우 유동부채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2) 인식과 측정
금융부채는 계약의 당사자가 되는 때(정형화된 매매는 매매일)에 인식하고 있습니다.
기타금융부채는 최초 인식시점의 공정가치에서 거래원가를 차감하여 측정하며,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는 최초 인식시점의 공정가치로 측정하고 거래원가는 당기손익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기타금융부채는 유효이자율법을사용하여 상각후원가로 측정하고 있으며, 상각과정에서 발생한 비용은 이자비용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3) 금융부채의 제거
금융부채는 소멸(계약상 의무가 이행되거나 취소 또는 만료된 경우)한 경우에만 제거하며, 소멸하거나 제3자에게 양도한 금융부채의 장부금액과 지급한 대가의 차액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4) 금융보증계약
당사가 제공한 금융보증계약은 최초 인식시 공정가치로 측정되며, 후속적으로는 다음 중 큰 금액으로 측정하여 '기타금융부채'로 인식됩니다.
① 금융상품의 손상규정에 따라 산정한 손실충당금
② 최초 인식금액에서 기업회계기준서 제1115호에 따라 인식한 이익누계액을 차감한 금액
(12) 퇴직급여채무
당사는 확정기여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확정기여제도와 관련하여 일정기간 종업원이 근무용역을 제공하였을 때에는 그 근무용역과 교환하여 확정기여제도에 납부해야 할 기여금에 대하여 자산의 원가에 포함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납부해야 할 기여금은 이미 납부한 기여금을 차감한 후 부채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미 납부한 기여금이 보고기간말 이전에 제공된 근무용역에대해 납부하여야 하는 기여금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초과 기여금 때문에 미래 지급액이 감소하거나 현금이 환급되는 만큼을 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13) 충당부채와 우발부채
충당부채는 과거사건의 결과로 존재하는 현재의 법적의무 또는 의제의무 이행을 위하여 경제적효익을 갖는 자원이 유출될 가능성이 높으며 그 의무의 이행에 소요되는 금액의 신뢰성 있는 추정이 가능한 경우 충당부채를 인식하고 있습니다. 충당부채로 인식하는 금액은 관련된 사건과 상황에 대한 불가피한 위험과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현재의무를 보고기간말에 이행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지출에 대한 최선의 추정치입니다. 화폐의 시간가치 효과가 중요한 경우 충당부채는 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예상되는 지출액의 현재가치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과거사건은 발생하였으나 불확실한 미래사건의 발생여부에 의해서 존재여부가확인되는 잠재적인 의무가 있는 경우 또는 과거사건이나 거래의 결과 현재 의무가 존재하나 자원이 유출될 가능성이 높지 않거나 당해 의무를 이행하여야 할 금액을 신뢰성 있게 추정할 수 없는 경우 우발부채로 주석기재하고 있습니다.
(14) 외화환산
당사의 재무제표는 영업활동이 이루어지는 주된 경제환경의 통화(이하 "기능통화") 및 표시통화인 한국의 원화로 작성하여 보고하고 있습니다.
기능통화로 외화거래를 최초로 인식하는 경우에 거래일의 외화와 기능통화 사이의 현물환율을 외화금액에 적용하여 기록하고 있습니다. 매 보고기간말 현재 보유 중인화폐성 외화항목은 보고기간말 현재의 마감환율을 적용하여 환산하고, 역사적원가로측정하는 비화폐성 외화항목은 거래일의 환율로 환산하며,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비화폐성 외화항목은 공정가치가 결정된 날의 환율로 환산하고 있습니다.
외화거래의 결제나 화폐성 외화자산ㆍ부채의 기말 환산에서 발생하는 외화환산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한편, 비화폐성항목에서 생긴 손익을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경우에 그 손익에 포함된 환율변동효과도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며, 비화폐성항목에서 생긴 손익을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는 경우에는 그 손익에 포함된 환율변동효과도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15) 리스
리스는 리스제공자가 대가와 교환하여 식별되는 자산의 사용 통제권을 일정기간 동안 리스이용자에게 이전하는 계약입니다.
당사는 계약의 약정시점에, 계약 자체가 리스인지, 계약이 리스를 포함하는지를 판단합니다. 다만, 당사는 최초 적용일 이전 계약에 대해서는 실무적 간편법을 적용하여 모든 계약에 대해 다시 판단하지 않았습니다.
리스이용자 및 리스제공자는 리스계약이나 리스를 포함하는 계약에서 계약의 각 리스요소를 리스가 아닌 요소(이하 '비리스요소'라고 함)와 분리하여 리스로 회계처리합니다. 다만, 당사는 리스이용자로서의 회계처리에서 실무적 간편법을 적용하여 비리스요소를 리스요소와 분리하지 않고 각 리스요소와 관련 비리스요소를 하나의 리스요소로 회계처리합니다.
1) 리스이용자로서의 회계처리
당사는 리스개시일에 기초자산을 사용할 권리를 나타내는 사용권자산(리스자산)과 리스료를 지급할 의무를 나타내는 리스부채를 인식합니다.
사용권자산은 최초 인식 시 원가로 측정하고, 후속적으로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하고, 리스부채의 재측정에 따른 조정을 반영하여 측정합니다. 또한, 사용권자산은 리스개시일부터 사용권자산의 내용연수 종료일과 리스기간 종료일 중 이른 날까지의 기간동안 감가상각합니다.
리스부채는 리스개시일에 그날 현재 지급되지 않은 리스료의 현재가치로 측정합니다. 현재가치 측정시 리스의 내재이자율로 리스료를 할인하되, 내재이자율을 쉽게 산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당사의 증분차입이자율로 리스료를 할인하고 있습니다. 리스부채는 후속적으로 리스부채에 대하여 인식한 이자비용만큼 증가하고, 리스료의 지급을 반영하여 감소합니다. 지수나 요율(이율)의 변동, 잔존가치보증에 따라 지급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의 변동, 매수선택권이나 연장선택권을 행사할 것이 상당히 확실한지나 종료선택권을 행사하지 않을 것이 상당히 확실한지에 대한 평가의 변동에 따라 미래 리스료가 변경되는 경우에 리스부채를 재측정합니다.
단기리스(리스개시일에 리스기간이 12개월 이하인 리스)와 소액자산 리스의 경우 예외규정을 선택하여 리스료를 리스기간에 걸쳐 정액기준으로 비용을 인식합니다.
2) 리스제공자로서의 회계처리
리스제공자의 회계처리는 2019년 12월 31일로 종료하는 회계연도에 대한 연차재무제표 작성시 적용된 회계정책과 유의적으로 변동되지 않았습니다.
당사는 리스약정일에 리스자산의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이전하는 리스는 금융리스로 분류하고, 금융리스 이외의 모든 리스는 운용리스로 분류합니다. 운용리스로부터 발생하는 리스료 수익은 리스기간에 걸쳐 정액기준으로 인식하고, 운용리스의 협상 및 계약단계에서 발생한 리스개설 직접원가는 리스자산의 장부금액에
가산한 후 리스료 수익에 대응하여 리스기간 동안 비용으로 인식합니다.
(16) 배당금
보고기간 후에 지분상품 보유자에 대해 배당을 선언한 경우, 그 배당금을 보고기간말의 부채로 인식하지 않고 당사의 주주에 의해 승인된 시점에 부채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17) 보통주자본금
당사의 자본금은 전액 보통주 발행으로 인한 자본금이며,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발행된 우선주는 없습니다. 당사가 자기주식을 취득하는 경우, 자기주식은 자본에서 차감하여 표시하며, 자기주식을 매입 또는 매도하거나 발행 또는 소각하는 경우의 손익은당기손익으로 인식하지 아니하고 자본에서 직접 인식하고 있습니다.
(18) 수익인식
당사는 회수시기와 관계없이 경제적효익의 유입가능성이 높고 신뢰성 있게 측정될 수 있는 경우에 수익을 인식하고 있으며, 받았거나 받을 대가의 공정가치에서 계약상지급조건을 고려하고 세금과 관세등을 차감하여 수익을 측정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모든 수익 약정에서 주된 책임을 지며 가격결정권을 갖고 있으며 재고 및 신용위험에노출되어 있으므로 모든 매출계약에 대하여 당사가 본인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다음의 인식기준을 충족하는 경우에만 수익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1) 재화의 판매
재화의 판매로 인한 수익은 재화의 소유에 따른 유의적인 위험과 보상이 구매자에게 이전되는 시점 즉, 일반적으로 재화의 인도시점에 인식하고 있습니다.
출판부문에서 당사는 마일리지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동 제도하에서 고객들은 당사의 제품을 구매할 때마다 마일리지를 쌓게 되며, 이 마일리지가 적립되면 동 마일리지를 제품 구매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판매대가는 판매된 출판제품과 부여된 마일리지에 배부됩니다. 마일리지에 배부된 대가는 통계적 분석을 통해 결정된 마일리지의 공정가치 만큼 배부하고 있으며, 동 대가는 마일리지가 사용될 때까지 이연하여 수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일정한 기간 이내에 재화를 반품할 권리를 고객에게 제공합니다. 고객이 제품을 반품하는 경우 고객에게 환불할 것으로 예상되는 총액을 반품충당부채(계약부채)로 인식하고, 동시에 고객이 반품 권리를 행사할 때 제품을 회수할 권리를 반품자산(계약자산)으로 인식합니다.
2) 이자수익
상각후원가로 측정되는 모든 금융상품 및 기타금융자산에서 발생하는 이자의 경우 유효이자율법에 의하여 이자수익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유효이자율은 금융상품의기대존속기간이나 적절하다면 더 짧은 기간에 예상되는 미래 현금유출과 유입의 현재가치를 금융자산의 순장부금액과 정확히 일치시키는 이자율입니다. 이자수익은 포괄손익계산서상 금융수익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3) 배당금수익
당사가 배당금을 지급받을 권리가 확정되는 시점에 수익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4) 임대수익
투자부동산의 운용리스로 인하여 발생하는 임대수익은 리스기간에 걸쳐 정액기준으로 수익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20) 법인세비용
법인세비용은 당기법인세비용과 이연법인세비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타포괄손익이나 자본에 직접 인식되는 거래나 사건으로부터 발생하는 세액을 제외하고는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당기 법인세비용은 회계기간의 과세소득(세무상결손금)에 대하여 납부할(환급받을) 법인세액으로서 당기 및 과거기간의 당기법인세부채(자산)는 보고기간말까지 제정되었거나 실질적으로 제정된 세율을 사용하여, 과세당국에 납부하거나 과세당국으로부터 환급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이연법인세 자산과 부채는 재무상태표상 자산 또는 부채의 장부금액과 세무기준액과의 차이인 일시적차이와 미사용 세무상결손금 및 세액공제에 대하여 보고기간말까지제정되었거나 실질적으로 제정된 세율에 근거하여 당해 자산이 실현되거나 부채가 결제될 회계기간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되는 세율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있습니다.
종속기업,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에 대한 투자자산과 관련된 모든 가산할 일시적차이에 대하여 일시적차이의소멸시점을 통제할 수 있고, 예측가능한 미래에 일시적차이가 소멸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연법인세부채를 인식하고 있습니다. 또한, 종속기업,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에 대한에 대한 투자자산과 관련된 차감할 일시적차이에 대하여 일시적차이가 예측가능한 미래에 소멸할 가능성이 높고, 일시적차이가 사용될 수 있는 과세소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만 이연법인세자산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연법인세자산의 장부금액은 매 보고기간말에 검토하고, 이연법인세자산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혜택이 사용되기에 충분한 과세소득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이상 높지않다면 이연법인세자산의 장부금액을 감액시키고 있습니다. 감액된 금액은 사용되기에 충분한 과세소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면 그 범위 내에서 환입하고 있습니다.
이연법인세자산과 부채는 당기법인세자산과 당기법인세부채를 상계할 수 있는 법적으로 집행가능한 권리를 가지고 있고, 이연법인세자산과 부채가 동일한 과세당국에 의해서 부과되는 법인세와 관련이 있는 경우에만 상계합니다.
(21) 주당이익
당사는 기본주당이익과 희석주당이익을 포괄손익계산서에 표시하고 있습니다.
기본주당이익은 주주에게 귀속되는 손익계산서상 당기순이익을 보고기간 동안의 당사의 가중평균 유통보통주식수로 나누어 산정한 것입니다.
희석주당이익은 주주에게 귀속되는 손익계산서상 당기순이익에 희석효과가 있는 잠재적 희석증권과 관련된 손익(법인세효과 차감)을 가감한 금액에 보고기간 동안의 당사의 가중평균 잠재적 희석증권주식수로 나누어 산정한 것입니다. 잠재적 희석증권은 희석효과가 발생하는 경우에만 희석주당이익의 계산에반영됩니다.
(22) 영업부문
당사는 부문에 배분될 자원에 대한 의사결정을 하고 부문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최고 영업의사결정자가 주기적으로 검토하는 내부보고 자료에 기초하여 부문을 구분하고 있습니다.
※ 상세한 주석사항은 향후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구분 | 제 21 기 | 제 20 기 |
1주당보통주배당금(원) | 200 | 200 |
시가배당률(%) | 0.8% | 0.6% |
배당금총액(원) | 2,000,000,000 | 2,000,000,000 |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 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의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김진용 | 1956.02.15 | - | - | 본인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당해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당해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김진용 | (주)삼성출판사 대표이사 | 1979~현재 | (주)삼성출판사 대표이사 | - |
- | - | - | - | - |
다.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해당사항없음. |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1. 김진용 : 현재 (주)삼성출판사 대표이사로, 다년간의 당사 근무 경험 및 경영 노하우를바탕으로 회사가 성장하는데 기여한 주요 경영진입니다. 본사의 경영환경에 대한 이해도가높아 이사로서 적임자로 평가됩니다. |
확인서
확인서 |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7명(3명)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8억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7명(3명)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5억원 |
최고한도액 | 18억원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60008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