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3-09 13:22: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09000204
2023년 3월 9일 | ||
회 사 명 : | (주) 씨 에 스 | |
대 표 이 사 : | 최 규 훈 | |
본 점 소 재 지 :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 228번길15, 윈스동 10층 | |
(전 화) 031-622-3200 | ||
(홈페이지)http://www.cs-holdings.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CSO | (성 명) 박 용 희 |
(전 화) 031-622-3200 | ||
(제24기 정기주주총회) |
주주각위
제 24 기 정 기 주 주 총 회 소 집 통 지 서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와 정관 제24조에 의거 제24기 정기주주총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주주에 대해서는 상법 제 542조의4에 의거 본 공고로 소집통지에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 다 음 -
1. 일 시 : 2023년 3월 24일(금) 오전9시
2. 장 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228번길15, 윈스동 1층 대회의실
3. 회의 목적 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24기(2022.01.01 ~ 2022.12.31) 연결 및 별도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제 2-1호 의안 : 사내이사 권영 선임의 건(재선임)
제3호 의안 : 이사 보수 한도액 승인의 건
제4호 의안 : 감사 보수 한도액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 등을 우리회사의본점과 명의개서 대행회사(국민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였으며, 금융위원회 및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한국예탁결제원의 의결권 행사(섀도우보팅) 제도가 2018년 1월 1일부터 폐지됨에 따라 폐지된 이후 주주총회부터는 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들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행사 하실 수 있습니다.
6.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상법 시행령 제31조 제4항 제4호에 의거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일 1주전(2023년 3월 16일)까지 회사 홈페이지(www.cs-holdings.co.kr)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7.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개인)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 대리행사 : (개인)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인감증명서,
대리인의 신분증
(법인) 위임장(인감날인), 법인인감증명서 원본, 사업자등록증 사본,
대리인의 신분증
8. 기타사항
가. 코로나19(Covid-19)에 관한 사항
- 주주총회 참석 시 반드시 마스크 착용을 부탁 드립니다.
- 발열 및 호흡기 질환자 등의 감염 의심자는 총회장 출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코로나바이러스 확산 대응을 위해 장소 변경이 필요할 수 있고, 장소 변경이 있는 경우 지체없이 공시할 예정입니다.
2023년 3월 9일
주식회사 씨 에 스
대표이사 최 규 훈 (직인생략)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A (출석률: %) | B (출석률: %) | C (출석률: %) | D (출석률: %) | |||
찬 반 여 부 | ||||||
- | - | - | - | - | - | - |
* 당사는 자산총액 천 억원 미만 코스닥벤처기업으로 제외 적용되고 있습니다.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천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 | - | - | - | - | - |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 해당사항없음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 해당사항없음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전세계적으로 정보통신 산업은 새로운 시장의 개척, 신규 고용의 창출, 여타 산업들의 부수적인 발전을 가져오는 등 국가의 기간산업으로써 자리 잡았습니다. 최근의 통신산업은 방송 및 컴퓨터 기술과 융합되면서 통신사업 뿐만 아니라 방송 등 인접영역까지 포함한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CDMA서비스 초기에 단순 문자 전송이나 음성서비스 위주의 영역에서 무선 인터넷, VOD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로 확대되었고 WCDMA망 구축으로 화상통화 서비스의 기반이 마련되었으며 영상정보등이 전달가능한 MMS서비스도 점차 확대되었습니다. 이후에는 다양한 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의 등장 직후 5G 서비스로 진화하여 초고속의 무선데이터서비스가 폭증하며 이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산업이 함께 발전해 왔습니다. 2019년 4월 3일 세계최초로 상용화한 국내 5G 이동통신기술은 인공지능, 로봇, 사물인터넷, 자율주행차, 가상증강현실,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기본이 되는 네트워크 인프라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 역할을 할 것 입니다.
이동통신중계기 산업의 역할은 무선통신산업의 발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통화품질의 제고를위한 기반시설인 기지국을 대체 및 보완하는 기능입니다. 기지국은 투자비용이 막대하여 국가 경제적으로 저비용 대체재인 중계기의 실익이 인정 되고 있습니다.
국내 통신 장비 시장은 기존 통신망의 유지관리와 새로운 통신 서비스에 따른 신규 장비 투자, 경쟁 통신 사업자와의 망품질 차별화를 위한 투자에 따라 통신사업자의 투자규모로 결정 되고 있으며, 통신 사업자는 매년 일정 규모의 효율적인 투자를 통해 중계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해외 통신 장비 시장 또한 기존망에 대한 효율적인 운영과 스마트폰 사용증가에 따른 Data 사용량이 폭발적으로 증가 됨에 따라, 5G 서비스의 본격적 투자로 중계기의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 하고 있습니다.
CDMA 및 WCDMA, WiBro시스템, LTE, 5G의 기술진화 선두국가로서 앞선 기술력과 원가 경쟁력으로 해외 진출 진행 및 추진되고 있어 향후 국가적인 수출 산업 성장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 됩니다.
(2) 산업의 성장성
중계기산업은 초기 무선호출과 아날로그 이동통신 서비스를 시작으로 그 동안 CDMA, WCDMA, WiBro, LTE 등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성장해 왔습니다. 2011년 7월 1일자로 SKT는 4G(LTE)서비스를 개시하여 현재까지 수요가 지속되고 있으며, 또한, 2019년 4월 5G 상용서비스를 시작하였습니다. 이에 맞추어 설비 투자를 개시함으로써 5G 중계기등 신규 수요가 창출되고, 세계시장에서 5G의 선도 국가가 되기 위한 투자가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중계기 업체들이 지속적으로 해외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무선통신 부품산업은 사회 간접자본인 통신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핵심 영역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 제조업체에 비해 외적 환경 변화에 따른 민감성은 높지 않은 편이고, 정부시책 및 신제품 개발주기 등에 따라 영향을 받습니다.
국내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통상 연초에 당해연도의 사업계획을 확정합니다. 따라서 연초에는 투자규모가 확정되지 않아 투자금액이 적은 반면 2/4분기 이후 본격적인 투자가 진행되며 투자계획이 종료되는 연말에 매출이 집중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각 이동통신 사업자는 서비스의 진화에 따라 해당서비스 초기, 중기의 대규모투자, 후기의 소규모 대체, 보완투자로 서비스의 수명주기내에서 매출의 변동성을 가집니다.
(4) 경쟁요소
과거 2세대(CDMA) 중계기의 기술 범용화로 인하여 단순 조립업체 또는 이통사업자에 영업력만 보유한 업체가 난립하여 한때 중계기 업계는 약 100여 개 업체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2.5세대, 3세대, 4세대를 거치면서 중계기를 생산할 수 있는 독자 개발능력 및 응용기술을 보유한 기업은 10개 이내로 정리되었고 2019년 4월 5세대 상용화에 따라 추가적인 정리 축소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주요 개발능력은 중계기 내부의 각종모듈의 기능을 최적화하면서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어야 하는 것으로서 이의 핵심은 회로 설계기술인 바, 현재 당사를 포함한 소수의 업체만이 동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한, 중계기 시장은 진화하는 이동통신사의 서비스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력 및 경험 등이 종합적으로 필요한 부문으로 신규 진입이 용이하지 않습니다. 대기업의 경우에도 자본의 강점 이외에는 엷은 인적자원과 다품종 소량생산 및 특정 부문에 대해 급변하는 통신사업자의 Needs를 빠르게 대처해야 한다는 약점 때문에 참여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국내 SKT, KT, LG U+ 등 이동통신사업자들은 자사통신망의 전파음영지역 해소 및 통화품질 개선 및 새로운 서비스를 위한 중계기 수요가 발생하면 제한경쟁방식에 의한 인증시험으로 품질과 성능이 우수한 업체를 협력업체로 선정한 후, 협력업체의 평가와 경쟁입찰방식으로 최종장비 공급업체를 선정하게 됩니다. 당사는 국내 최고 기업인 SKT의 파트너 기업으로서 2G(CDMA)부터 5G에 이르기까지 오랜기간 동안 중계기 공급업체에 선정되며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5) 자원조달의 특성
이동통신 중계기 부문은 국가간의 표준이 상이하며 우리나라에서 CDMA 및 WCDMA, LTE, 5G를 주도적으로 활용해 왔기 때문에 국산이 외산의 구매비중보다 높고 가격 및 품질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이동통신 사업자가 요청하는 제품을 후행적으로 개발함으로써 재고 리스크도 타 산업과 비교하여 적은 편입니다. 한편 인력측면에서는 기술개발 속도가 빠르며 제품의 수명주기가 짧은 속성 때문에 우수 기술력을 보유한 인적자원의 확보가 사업 성패의 주요 요인이므로 인력양성뿐만 아니라 양성된 인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율적인 인사정책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6) 관련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
우리나라는 전기통신기본법 제33조와 전파법 제46조 및 제57조에 의거, 정보통신기기인증규칙 제3조에서 정하고 있는 정보통신기기를 제조, 수입 또는 판매하기 위 해서는 형식승인, 형식검정 또는 등록을 받도록 강제 규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세계 각국은 안전, 보건, 환경, 소비자보호 등 공공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강제적인 기술규제를 정의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요구하고 있는데, WTO 회원국간에 상호인정(MRA:Mutual Recognition Arrangement)약정서를 체결하여 상대국 적합성평가기관이 발행한 시험성적서 또는 인증서, 마크 등을 상호인정하는 제도가 시행되고 있습니다.해외에는 자국의 규정에 맞는 각각의 인증을 받도록 되어 있으며, ROHS, WEEE 등과 같은 환경관련 규제가 필수로 되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의 주력사업은 정보통신산업의 무선통신기기 분야에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이 언제 어디서나 통화가 가능하도록, 전파음영지역에서 미세한 기지국 신호를 증폭하여 재 방사하는 이동통신중계기 분야입니다.
1999년 CDMA 초소형 RF중계기를 국내 최초로 개발하여 SKT에 독점 공급한 이래로 각종 이동통신서비스용 중계기를 국내외 이동통신서비스 사업자의 기술진보와 Needs에 맞게 개발하여 공급하고 있습니다. 국내사업은 SKT를 주거래선으로 하며 해외는 NTT DoCoMo등 일본 주요 이동통신사업자를 통해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이외 신규 해외 거래선 추가확보를위하여 영업활동을 활발히 전개 하고 있습니다.
2022년도에 대한 시장별 영업상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국내시장
국내 시장의 5G 이동통신은 초지연성과 초연결성 등의 강점을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이자 경제 발전을 견인할 핵심 동력으로 평가되며, 세계 첫 5G 상용화기술력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이어가는 동시에 5G 선도국이 되기 위한시장 생태계 조성에 노력을 경주할 것으로 예상 됩니다
당사는 사업자와 긴민할 협력 및 선행 기술 개발과 내부 역량 강화로 2019년 10월 5G광 중계기 공급 업체 선정된 이 후 현재까지 꾸준한 수주 계약 및 납품을 진행 하였습니다 또한, 2021년 5월에는 5G RF 중계기의 공급업체로 선정되었고 개발 완료 하였으며 2022년 납품이 진행되었습니다. 이는 향후 사업자의 5G 투자확대와 연동한 지속적인 수혜가 예상됩니다.
2) 해외시장
해외 부분의 일본 시장은 NTT Docomo 등 기존 거래선들로부터 지속적인 공급 증가 및 5G 신규 제품군의 공급을 위한 협의 및 제안을 병행하여 진행하고 있습니다. 미국시장은 미국 현지 법인 설립을 통하여 마케팅 역량을 강화하고 5G 신규 기술을 활용하여 주요 시장의 진입을 목표로 하고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한국표준산업분류표상의 구분 |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코드번호 | 세분류 | 세세분류 |
C (제조업) | 26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 04 (통신 및 방송장비 제조업) | 26429 | 방송 및 무선통신장비 제조업 | 기타 무선통신장비 제조업 |
(2) 시장점유율
당사의 무선이동통신중계기는 국내시장은 대부분 SKT에 공급되고, 해외시장은 일본에 공급하고 있으나 전체시장에서의 점유율은 시장규모와 동종기업간의 거래내역에 대한 정확한 자료가 존재치 않아 객관적인 수치의 산정이 어렵습니다.다만, 당사가 공급하고 있는 이동통신중계기 부문은 업종내 선두업체로서의 지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국내 중계기의 수요자는 현재 SKT, KT, LG U+등 3개 이동통신사업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중계기시장은 대부분 중소기업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발능력 및 양산능력상의 한계로 특정업체가 2개 이상의 이동통신사업자와의 공급계약 체결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입니다. 그러므로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사업계획에 따라 단기간에 집중되는 중계기부문의 투자 속성때문에 안정적인 생산기반을 갖춘 중계기 업체와의 협력관계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판단됩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향후 예상되는 중계기 분야의 신규 투자는 기존의 우량업체에 편중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이에 따른업체간의 시장점유율 차이는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현재 추진되거나 구체화된 신규사업은 없습니다.
(5) 조직도
조직도_221231 |
1. 일시 : 2023년 3월 24일(금) 오전 9시
2. 장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228번길15, 윈스동 1층 대회의실
3. 회의의 목적사항
1) 보고사항 : 가. 감사보고 나. 영업보고 다.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용실태 보고
2) 부의안건 :
제1호 의안 : 제24기(2022.01.01 ~ 2022.12.31) 연결 및 별도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제2-1호 의안 : 사내이사 권영 선임의 건(재선임)
제3호 의안 : 이사 보수 한도액 승인의 건
제4호 의안 : 감사 보수 한도액 승인의 건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상기 '1. 사업의 개요, 나. 회사의 현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당사의 제24기, 제23기 재무제표(연결/별도)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으로 작성되었으며, 외부감사인의 감사를 받은 재무제표 입니다. ※ 상세한 재무제표(연결/별도) 및 주석사항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 또는 한국거래소 전자공시 시스템 (http://kind.krx.co.kr)에 2023년 3월 3일 공시된 연결/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당해 법인 주주총회 승인 절차를 거쳐 확정된 재무제표가 아니므로 동 승인 과정에서 변동될 수 있습니다. |
1) 연결 재무제표
<연 결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24(당)기말 : 2022년 12월 31일 현재 |
제 23(전)기말 : 2021년 12월 31일 현재 |
주식회사 씨에스와 그 종속회사 (단위 :원 ) |
과 목 | 제 24 (당)기말 | 제 23 (전)기말 |
---|---|---|
자 산 | ||
Ⅰ. 유동자산 | 29,005,084,679 | 29,574,491,886 |
Ⅱ. 비유동자산 | 5,112,235,435 | 4,873,912,064 |
자 산 총 계 | 34,117,320,114 | 34,448,403,950 |
부 채 | ||
Ⅰ. 유동부채 | 15,782,915,318 | 12,591,616,149 |
Ⅱ. 비유동부채 | 169,692,212 | 523,323,819 |
부 채 총 계 | 15,952,607,530 | 13,114,939,968 |
자 본 | ||
I. 지배기업 소유주에 귀속되는 지분 | 18,164,712,584 | 21,333,463,982 |
자본금 | 9,705,565,000 | 9,705,565,000 |
자본잉여금 | 32,579,546,640 | 32,579,546,640 |
자본조정 | (2,083,920,690) | (2,237,120,723)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2,526,001) | (22,098,990) |
결손금 | (22,033,952,365) | (18,692,427,945) |
Ⅱ.비지배지분 | - | - |
자 본 총 계 | 18,164,712,584 | 21,333,463,982 |
부 채 와 자 본 총 계 | 34,117,320,114 | 34,448,403,950 |
<연 결 손 익 계 산 서>
제 24(당) 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제 23(전) 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주식회사 씨에스와 그 종속회사 (단위 : 원) |
과 목 | 제 24(당)기 | 제 23(전)기 |
---|---|---|
Ⅰ. 매출액 | 35,182,635,211 | 41,091,897,059 |
Ⅱ. 매출원가 | 33,083,143,131 | 36,021,445,455 |
Ⅲ. 매출총이익 | 2,099,492,080 | 5,070,451,604 |
Ⅳ. 판매비와관리비 | 6,233,053,043 | 4,842,375,016 |
Ⅴ. 영업이익(손실) | (4,133,560,963) | 228,076,588 |
Ⅵ. 기타영업외수익 | 81,197,956 | 65,589,735 |
Ⅶ. 금융수익 | 1,448,450,495 | 435,801,625 |
Ⅷ. 기타영업외비용 | (105,496,996) | (1,472,742,224) |
IX. 금융비용 | (808,234,108) | (1,245,995,539) |
X. 계속영업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 (3,517,643,616) | (1,989,269,815) |
XI. 계속영업법인세비용(수익) | (37,353,883) | 394,607,061 |
XII. 계속영업당기순이익(손실) | (3,480,289,733) | (2,383,876,876) |
지배기업소유주지분 | (3,480,289,733) | (2,383,876,876) |
비지배지분 | - | - |
XIII. 중단영업당기순이익(손실) | ||
지배기업소유주지분 | - | - |
비지배지분 | - | - |
XIV. 당기연결순이익(손실) | (3,480,289,733) | (2,383,876,876) |
XV. 당기연결순이익(손실)의 귀속 | ||
지배기업소유주지분 | (3,480,289,733) | (2,383,876,876) |
비지배지분 | - | - |
XVI. 당기연결기타포괄손익 | 158,338,302 | 832,544,572 |
XVII. 당기연결총포괄손익 | (3,321,951,431) | (1,551,332,304) |
XVIII. 당기연결총포괄손익의 귀속 | ||
지배기업소유주지분 | (3,321,951,431) | (1,551,332,304) |
비지배지분 | - | - |
XIX. 계속영업주당이익(손실) | ||
기본 및 희석주당이익(손실) | (179) | (123) |
계속영업 기본 및 희석주당이익(손실) | (179) | (123) |
<연 결 자 본 변 동 표>
제 24(당) 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제 23(전) 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주식회사 씨에스와 그 종속기업 | (단위 : 원) |
과 목 |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 비지배지분 | 자본총계 | |||||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자본조정 | 기타포괄 손익 누계액 | 이익잉여금 (결손금) | 합 계 | |||
2021.1.1(전기초) | 9,417,575,000 | 31,031,451,441 | (2,004,576,731) | (830,417,469) | (15,568,746,162) | 22,045,286,079 | - | 22,045,286,079 |
연결총포괄손익 | ||||||||
당기연결순이익(손실) | - | - | - | - | (2,383,876,876) | (2,383,876,876) | - | (2,383,876,876) |
연결기타포괄손익 |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 | - | - | - | 24,226,093 | 24,226,093 | - | 24,226,093 |
매도가능금융자산의 평가손익 | - | - | - | 780,305,105 | (764,031,000) | 16,274,105 | - | 16,274,105 |
자산재평가잉여금 | - | - | - | - | - | - | - | - |
해외사업환산손익 | - | - | - | 28,013,374 | - | 28,013,374 | - | 28,013,374 |
자본에 직접 인식된 주주와의거래 | ||||||||
유상증자 | - | - | - | - | - | - | - | - |
주식선택권 | - | 351,593,194 | (232,543,992) | - | - | 119,049,202 | - | 119,049,202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 287,990,000 | 1,196,502,005 | - | - | - | 1,484,492,005 | - | 1,484,492,005 |
2021.12.31(전기말) | 9,705,565,000 | 32,579,546,640 | (2,237,120,723) | (22,098,990) | (18,692,427,945) | 21,333,463,982 | - | 21,333,463,982 |
2022.1.1(당기초) | 9,705,565,000 | 32,579,546,640 | (2,237,120,723) | (22,098,990) | (18,692,427,945) | 21,333,463,982 | - | 21,333,463,982 |
연결총포괄손익 | ||||||||
당기연결순이익(손실) | - | - | - | - | (3,480,289,733) | (3,480,289,733) | - | (3,480,289,733) |
연결기타포괄손익 |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 | - | - | - | 138,765,313 | 138,765,313 | - | 138,765,313 |
매도가능금융자산의 평가손익 | - | - | - | (52,470) | - | (52,470) | - | (52,470) |
자산재평가잉여금 | - | - | - | - | - | - | - | - |
해외사업환산손익 | - | - | - | 19,625,459 | - | 19,625,459 | - | 19,625,459 |
자본에 직접 인식된 주주와의거래 | ||||||||
주식선택권 | - | 153,200,033 | - | - | 153,200,033 | - | 153,200,033 |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 - | - | - | - | - | - | - | - |
2022.12.31(당기말) | 9,705,565,000 | 32,579,546,640 | (2,083,920,690) | (2,526,001) | (22,033,952,365) | 18,164,712,584 | - | 18,164,712,584 |
<연 결 현 금 흐 름 표>
제 24(당) 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제 23(전) 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주식회사 씨에스와 그 종속기업 | (단위 : 원) |
과 목 | 제 24(당) 기 | 제 23(전) 기 | ||
---|---|---|---|---|
Ⅰ.영업활동 현금흐름 | (5,644,333,437) | 3,507,027,340 | ||
1.영업에서 창출된 현금흐름 | (5,955,118,474) | 3,407,990,770 | ||
당기연결순이익(손실) | (3,480,289,733) | (2,383,876,876) | ||
수익ㆍ비용의 조정(주27) | 1,227,713,072 | 4,211,177,035 | ||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부채의 변동(주27) | (3,702,541,813) | 1,580,690,611 | ||
2. 이자의 수취 | 353,546,622 | 92,031,859 | ||
3. 이자의 지급 | - | - | ||
4. 배당금 수입 | - | - | ||
5. 법인세의 환급(납부) | (42,761,585) | 7,004,711 | ||
Ⅱ.투자활동 현금흐름 | 4,059,077,254 | (11,171,782,151) | ||
1.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 유입액 | 139,109,079,734 | 57,574,970,184 | ||
단기금융상품의 처분 | 138,956,390,827 | 57,542,911,184 | ||
매도가능금융자산의 처분 | - | 15,969,000 | ||
유형자산의 처분 | 1,382,200 | 3,170,000 | ||
무형자산의 처분 | 108,420,000 | - | ||
임차보증금의 감소 | 42,886,707 | 12,920,000 | ||
2.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 유출액 | (135,050,002,480) | (68,746,752,335) | ||
단기금융상품의 취득 | 134,683,669,359 | 66,886,899,306 | ||
유형자산의 취득 | 273,244,785 | 515,899,167 | ||
무형자산의 취득 | 12,088,336 | 1,341,466,292 | ||
임차보증금의 증가 | 81,000,000 | 2,487,570 | ||
Ⅲ.재무활동 현금흐름 | (613,952,201) | 7,912,527,616 | ||
1.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 유입액 | - | 8,484,492,005 | ||
전환사채의 발행 | - | 7,000,000,000 |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 - | 1,484,492,005 | ||
2.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 유출액 | (613,952,201) | (571,964,389) | ||
리스부채의 상환 | 613,952,201 | 571,964,389 | ||
Ⅳ.외화환산으로 인한 현금및현금성자산의 변동 | 22,675,468 | 16,738,555 | ||
Ⅴ.현금및현금성자산의 순증감(Ⅰ+Ⅱ+Ⅲ+Ⅳ) | (2,176,532,916) | 264,511,360 | ||
Ⅵ.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3,881,813,850 | 3,617,302,490 | ||
Ⅶ.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1,705,280,934 | 3,881,813,850 |
2) 별도 재무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24(당)기말 : 2022년 12월 31일 현재 |
제 23(전)기말 : 2021년 12월 31일 현재 |
주식회사 씨에스 (단위 : 원) |
과 목 | 제 24(당)기말 | 제 23(전)기말 |
자 산 | ||
Ⅰ. 유동자산 | 28,603,699,625 | 29,177,275,865 |
Ⅱ. 비유동자산 | 5,612,633,262 | 5,407,702,946 |
자 산 총 계 | 34,216,332,887 | 34,584,978,811 |
부 채 | ||
Ⅰ. 유동부채 | 15,719,787,813 | 12,565,237,456 |
Ⅱ. 비유동부채 | 147,554,244 | 500,362,515 |
부 채 총 계 | 15,867,342,057 | 13,065,599,971 |
자 본 | ||
Ⅰ. 자본금 | 9,705,565,000 | 9,705,565,000 |
Ⅱ. 자본잉여금 | 32,565,295,937 | 32,565,295,937 |
Ⅲ. 자본조정 | (2,083,920,690) | (2,237,120,723) |
Ⅳ.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3,954,952) | (3,902,482) |
Ⅴ. 결손금 | (21,833,994,465) | (18,510,458,892) |
자 본 총 계 | 18,348,990,830 | 21,519,378,840 |
부 채 와 자 본 총 계 | 34,216,332,887 | 34,584,978,811 |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4(당)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제 23(전)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주식회사 씨에스 (단위 : 원) |
과 목 | 제 24(당)기 | 제 23(전)기 |
---|---|---|
Ⅰ. 매출액 | 35,182,635,211 | 41,091,897,059 |
Ⅱ. 매출원가 | 33,083,143,131 | 36,021,445,455 |
Ⅲ. 매출총이익 | 2,099,492,080 | 5,070,451,604 |
Ⅳ. 판매비와관리비 | 6,221,774,001 | 4,839,702,062 |
Ⅴ. 영업이익(손실) | (4,122,281,921) | 230,749,542 |
Ⅵ. 기타영업외수익 | 79,242,297 | 60,440,285 |
Ⅶ. 금융수익 | 1,448,450,102 | 435,801,292 |
Ⅷ. 기타영업외비용 | (100,477,849) | (1,471,826,688) |
IX. 금융비용 | (806,357,649) | (1,244,817,006) |
X.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 (3,501,425,020) | (1,989,652,575) |
XI. 법인세비용(수익) | (39,124,134) | 390,358,945 |
XII. 당기순이익(손실) | (3,462,300,886) | (2,380,011,520) |
XIII. 기타포괄손익 | 138,712,843 | 804,531,198 |
XIV. 총포괄이익(손실) | (3,323,588,043) | (1,575,480,322) |
XV. 주당손익 | ||
기본 및 희석주당이익(손실) | (178) | (123) |
< 자 본 변 동 표 >
제 24(당)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제 23(전)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주식회사 씨에스 | (단위 : 원) |
과 목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자본조정 | 기타포괄 손익 누계액 | 이익잉여금 (결손금) | 자본 합계 |
---|---|---|---|---|---|---|
2021.1.1(전기초) | 9,417,575,000 | 31,017,200,738 | (2,004,576,731) | (784,207,587) | (15,390,642,465) | 22,255,348,955 |
총포괄손익 | ||||||
당기순이익(손실) | - | - | - | - | (2,380,011,520) | (2,380,011,520) |
기타포괄손익 |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 | - | - | - | 24,226,093 | 24,226,093 |
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손익 | - | - | - | 780,305,105 | (764,031,000) | 16,274,105 |
자본에 직접 반영된 주주와의 거래 | ||||||
주식선택권 | - | 351,593,194 | (232,543,992) | - | - | 119,049,202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증자) | 287,990,000 | 1,196,502,005 | - | - | - | 1,484,492,005 |
2021.12.31(전기말) | 9,705,565,000 | 32,565,295,937 | (2,237,120,723) | (3,902,482) | (18,510,458,892) | 21,519,378,840 |
2022.1.1(당기초) | 9,705,565,000 | 32,565,295,937 | (2,237,120,723) | (3,902,482) | (18,510,458,892) | 21,519,378,840 |
총포괄손익 | ||||||
당기순이익(손실) | - | - | - | - | (3,462,300,886) | (3,462,300,886) |
기타포괄손익 |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 | - | - | - | 138,765,313 | 138,765,313 |
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손익 | - | - | - | (52,470) | - | (52,470) |
자본에 직접 반영된 주주와의 거래 | ||||||
주식선택권 | - | - | 153,200,033 | - | - | 153,200,033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증자) | - | - | - | - | - | - |
2022.12.31(당기말) | 9,705,565,000 | 32,565,295,937 | (2,083,920,690) | (3,954,952) | (21,833,994,465) | 18,348,990,830 |
< 현 금 흐 름 표 >
제 24(당)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제 23(전)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주식회사 씨에스 | (단위 : 원) |
과 목 | 제 24(당)기 | 제 23(전)기 | ||
---|---|---|---|---|
Ⅰ.영업활동 현금흐름 | (5,669,695,130) | 3,448,692,454 | ||
1.영업에서 창출된 현금흐름 | (5,982,966,792) | 3,351,960,565 | ||
당기순이익(손실) | (3,462,300,886) | (2,380,011,520) | ||
수익ㆍ비용의 조정(주28) | 1,175,029,254 | 4,145,070,332 | ||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부채의 변동(주28) | (3,695,695,160) | 1,586,901,753 | ||
2.이자의 수취 | 353,546,622 | 92,031,859 | ||
3.이자의 지급 | - | - | ||
4.배당금의 수취 | - | - | ||
5.법인세의 환급(납부) | (40,274,960) | 4,700,030 | ||
Ⅱ.투자활동 현금흐름 | 4,058,745,547 | (11,171,694,581) | ||
1.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 유입액 | 139,108,748,027 | 57,574,970,184 | ||
단기금융상품의 처분 | 138,956,390,827 | 57,542,911,184 | ||
매도가능금융자산의 처분 | - | 15,969,000 | ||
유형자산의 처분 | 1,382,200 | 3,170,000 | ||
무형자산의 처분 | 108,420,000 | - | ||
임차보증금의 감소 | 42,555,000 | 12,920,000 | ||
2.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 유출액 | (135,050,002,480) | (68,746,664,765) | ||
단기금융상품의 취득 | 134,683,669,359 | 66,886,899,306 | ||
임차보증금의 증가 | 81,000,000 | 2,400,000 | ||
유형자산의 취득 | 273,244,785 | 515,899,167 | ||
무형자산의 취득 | 12,088,336 | 1,341,466,292 | ||
Ⅲ.재무활동 현금흐름 | (569,473,229) | 7,961,452,127 | ||
1.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 유입액 | - | 8,484,492,005 | ||
전환사채의 발행 | - | 7,000,000,000 |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 - | 1,484,492,005 | ||
2.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 유출액 | (569,473,229) | (523,039,878) | ||
리스부채의 상환 | 569,473,229 | 523,039,878 | ||
Ⅳ.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Ⅰ+Ⅱ+Ⅲ) | (2,180,422,812) | 238,450,000 | ||
Ⅴ.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3,499,834,779 | 3,272,794,654 | ||
Ⅵ.외화환산으로 인한 현금및현금성자산의 변동 | (93,053) | (11,409,875) | ||
Ⅶ.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1,319,318,914 | 3,499,834,779 |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제 24(당)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제 23(전)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원) | ||||
---|---|---|---|---|
과 목 | 당 기 (처리예정일:2023년 3월 24일) | 전 기 (처리확정일:2022년 3월 25일) | ||
Ⅰ.미처리결손금 | (23,065,006,431) | (19,741,470,858) | ||
1. 전기 미처리결손금 | (19,741,470,858) | (16,621,654,431) | ||
2.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138,765,313 | 24,226,093 | ||
3. 당기순이익(손실) | (3,462,300,886) | (2,380,011,520) | ||
4. 매도가능증권평가손실 | - | (764,031,000) | ||
Ⅱ.결손금처리액(*) | - | - | ||
Ⅲ.차기이월미처리결손금 | (23,065,006,431) | (19,741,470,858)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권 영 | 1961.05.20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특수관계인(임원)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권 영 | 광신판지 대표이사 (주)씨에스 사내이사 | 1998.06~현재 2020.01~현재 | 광신판지 대표이사 (주)씨에스 사내이사 | 해당사항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권 영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해당사항 없음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1. 권 영 사내이사 후보자 권 영은 지난 임기 동안 회사의 경영업무 노하우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의사결정과 비젼을 제시한 주요 경영진으로 향후에도 회사의 지속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이사로서의 역할을 적절히 수행할수 있는 적임자로 판단됨에 따라 사내이사로 재추천 합니다. |
확인서
확인서(권영 사내이사 후보자) |
※ 기타 참고사항
- 상기 사항은 정기주주총회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3( 0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3,000백만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3( 0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521백만원 |
최고한도액 | 3,000백만원 |
※ 기타 참고사항
- 상기 사항은 정기주주총회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20백만원 |
(전 기)
감사의 수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2백만원 |
최고한도액 | 20백만원 |
※ 기타 참고사항
- 상기 사항은 정기주주총회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2023년 03월 16일 |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1) 상법시행령 제31조(주주총회의 소집공고) 제4항 제4호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 및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개최 1주 전(2023.3.16)까지 회사 홈페이지→투자정보→공시정보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 홈페이지 주소 : www.cs-holdings.co.kr
2) 향후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의 승인과정 또는 오기 등을 사유로 정정될 수 있으며,정정하는 경우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에 업데이트 될 예정이므로 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주총 집중일 주총 개최 사유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0900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