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퍼코퍼레이션 (06565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3-14 17:07: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4001058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년   3월  14일


회   사   명 : (주)메디프론디비티
대 표 이 사 : 김상우
본 점 소 재 지 :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86 제에이동 제5층 제517호
(가산동, 제이플라츠)

(전   화)02-6388-0703

(홈페이지)http://www.medifron.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이사 (성  명)이명우

(전  화)02-6388-0703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26기 정기)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와 정관 제 19조에 의거하여 제 26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또한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 총수의 100분의 1 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주주에 대한 소집통지는 상법 542조의 4 및 당사 정관 제 19조에 의거하여 이 공고로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3년 3월 29일 (수요일) 오전 09시 00분

2. 장 소 : 서울시 금천구 두산로70 현대지식산업센터 A동 지하2층 세미나실

3. 회의 목적 사항

1) 보고사항  :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2) 의결사항
제 1호 의안 : 제 26기(22.01.01~22.12.31)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결손금처리)
                   계산서  포함) 승인의 건
제 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제2-1호 의안 : 사내이사 오태석 선임의 건

 제 3호 의안 : 이사의 보수한도액 승인의 건
제 4호 의안 : 감사의 보수한도액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상법 제542조의 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과 명의개서대행회사(국
민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였으며, 금융위원회 및 한국거래소에 전자 공시하여 조
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당사의 이번주주총회에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행사 할 수 있습니다.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사항
 - 직접행사 : 주총참석장,  본인 신분증(법인은 사업자등록증)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인감증명서 필요)
                  참석 대리인 신분증

                                               2023. 3. 14

                                  주 식 회 사    메디프론디비티
                                  대 표 이 사    김      상      우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박세훈
(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22-1 2022.02.28  제25기 정기주주총회 개최의 건 찬성
22-2 2022.03.04  제25기 주주총회 보고사항 추가의 건 찬성
22-3 2022.03.08  제25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찬성
22-4 2022.03.08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의 건 찬성
22-5 2021.03.21  벤처투자조합 출자의 건 찬성
22-6 2022.06.22  제11회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발행의 건
제1회 기명식 사모 전환우선주 발행의 건
찬성
22-7 2022.06.22  제3자배정 유상증자의 건 찬성
22-8 2022.08.01  지점 이전의 건 찬성
22-9 2022.08.22  제12회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발행의 건 찬성
22-10 2022.09.22  크러스트마스터 KC인증 양도양수의 건 찬성
22-11 2022.09.29  제3자배정 유상증자 변경 사항 심의 건 찬성
22-12 2022.11.29  제3자배정 유상증자 변경 사항 심의 건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2,000 - -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① 바이오신약 사업부문
2019년 말에 시작된 코비드-19팬데믹으로 급격히 위축되어진 다른 산업과 달리, 바이오 /제약 업계는 팬데믹 극복이라는 과제속에서 많은 이익을 창출 하거나 투자를 받을 수 있었다. 2022년 팬데믹이 진정되며 이익의 규모는 급감하게 되고, 미국에서 시작된 금리인상으로 바이오/제약 업계에 대한 투자들은 위축되기 시작되었다. 자금조달의 어려움으로 바이오/제약 업계에서 진행되던 다수의 임상시험이 중단되고, 해당분야 기업의 주가 하락을 유발하였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팬데믹 특수를 통해 풍부한 현금을 확보한 글로벌 대형 제약업체들은 미래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중소벤처 기업들을 인수하거나 이들이 보유한 특허를 매수하려는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② IT유통 사업부문
대기업의 가격인하가 중소기업제품의 시장입지를 더욱 좁히고 있어 시장내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당사는 쿠팡과 같은 소셜커머스 판매채널 확대, 제품 다변화와 대기업 제품이 커버하지 못하는 니치마켓 공략등을 통해 매출성장을 이루고  있습니다
③ HMR 사업부문

 국내 HMR 시장 규모는 2019년 기준 3조 4,600억원으로 지난 10년간 연평균 15.8% 성장하였고 실제 소매점에서 HMR의 판매 금액은 2020년을 기준으로 

5조 5,710억 원으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떡볶이는 간식에서 식사 대용식으로 카테고리가 확장되면서 떡볶이와 떡류의 국내 시장은 2019년 기준 1,274억 이상의 시장 규모로 계속 확대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수출 시장도 해외 시장에서 온라인 영상 콘텐츠를 통해 한국 음식문화가 더 많이 노출되고 '먹방' 영상이 인기를 끌면서 현지 수요의 증가로 이어져 2013년 1190만달러에서 2020년 5,376만달러로 350%로 급성장 중입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① 바이오신약 사업부문
메디프론디비티의 신약개발 파이프라인은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제, 비마약성 진통제, 치매 조기 진단키트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제>

알츠하이머성 치매 원인 물질의 하나로 잘 알려져 있는 베타아밀로이드의 생성, 응집 및 독성을 억제하는 신약 개발을 통하여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치료하고자 지속적으로 노력하여 왔습니다.

당사의 신약 후보물질 MDR-1339는 베타아밀로이드의 응집을 억제하고, 섬유화된 응집을 풀어줌으로써 독성 방출을 차단하여 뇌세포 사멸을 방지하는 작용기전으로 개발되었습니다. MDR-1339는 대웅제약과 공동연구개발을 실시하였습니다.

또 다른 후보물질인 MDR-066은 Reception for Advance Glycation Endproduct (RAGE) 수용체가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을 뇌속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차단하는 기전으로 개발되었으며, 로슈(Roche)와 총 2억8천만 달러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한 바 있습니다.

MDR-1703은 글루타미닐 사이클레이즈 효소에 의해 변형된 베타아밀로이드(pyroGlu-Aβ)의 생성을 저해함으로써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주요 원인인 베타아밀로이드 플라크의 발생과 신경독성을 차단하는 기전(QC-inhibitor)의 신약후보 물질로서 2021년 3월에 국내 특허를 취득하였습니다.

전남대학교와 3년간에 걸친 공동연구를 통해 O-GlcNAcase(OGA) 활성 및 타우 단백질의 과인산화를 억제함으로써, 타우 단백질의 변성과 응집을 막는 기전의 선도물질(MDR-0214) 발굴에 성공하였으며, 2020년 11월 국내 특허를 출원하였습니다.

최근 알츠하이머성 치매 신약 개발의 타겟이 아밀로이드베타, 타우에서 뇌의 염증반응 조절 신약 개발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뇌의 염증조절 복합체(inflammasome)의 핵심 물질인 NLRP3 저해제를 타깃으로 하는 알츠하이머병 치매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으며,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해 전남대와 공동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비마약성 진통제>
신경병증 통증에 사용되는 마약성 진통제는 심각한 중독성과 인지기능 손상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기에, 이러한 부작용이 없는 비마약성 신경병증 진통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바이오의약 전문 리서치기관인 Global Data사의 보고에 의하면 신경병 통증의 하나인 당뇨병성 신경병 통증(Diabetic Neuropathic Pain) 치료제의 시장규모는 2016년 기준으로 G7시장이 78억 달러, 2026년에는 107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00년 초부터 많은 글로벌 제약사들은 이러한 신경통증에 효과적이며, 부작용이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진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 1(TRPV1) 효현 또는 길항작용을 하는 경구용 약물을 개발해 왔으나, 체내 이상 발열 작용을 조절하지 못함으로써 대부분 개발이 중단되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약물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환부에 바르는 경피형 통증치료제를 개발하였습니다(MDR-652). MDR-652는 TRPV1 효현성을 작용기전으로 하는 겔 타입의 국소용 비마약성 진통제입니다. 일반적인 소염진통제로는 진통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대상포진 후 통증, △당뇨로 인한 신경통증, △섬유근육통증, △수술 후 통증 등 신경손상에서 유래된 통증을 억제하는데 효과를 보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2020년 6월 식약처로부터 임상1상 IND 승인을 받고, 2022년 5월~9월에 임상 1상 시험을 한림대학교성심병원(이동환 교수)에서 수행하였습니다. 2023년 3월 현재 최종 임상1시험 보고서가 완료되었습니다.

MDR-6013은 2005년 독일의 그루넨탈 제약과 4천만 유로 규모의 공동연구 및 라이센싱 아웃 계약을 체결한 물질로서, TRPV1 길항작용을 이용합니다. 이상 발열 문제가 없는 것으로 연구되었고, 현재 최적화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당사가 개발중인 비마약성 진통제가 상용화 된다면 신경병증성 통증과 같은 만성 통증, 수술 후 통증 등 소염진통제,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제로 효과를 볼 수 없는 극심한통증을 억제하기 위한 약물인 마약성 진통제(오피오이드)시장을 상당부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마약성 진통제 시장 규모는 암, 당뇨 다음으로 규모가 크며 2017년 99억 달러(약 12 조원)에서 2022년 226억 달러(약 27 조원)로 연평균 18% 성장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치매 조기 진단키트>
알츠하이머성 치매는 근본적인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에, 조기발견이 매우 중요합니다. 조기 진단을 통해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진행 속도를 낮출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진단은 '아밀로이드 PET’이라는 고가의 영상장비를 사용하거나 뇌척수액 검사를 이용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고비용, 접근성 제한 및 시술 부작용 등의 단점이 있었습니다. 

당사와 퀀타매트릭스가 공동 개발하고 있는 치매 조기 진단키트는 혈액 내에 존재하는 치매관련 바이오마커들을 측정하여, 알츠하이머성 치매 진단의 지표가 되는 베타 아밀로이드의 뇌내 축적 여부를 확인하는 진단기기입니다. 혈액 검사를 통해 짧은 시간내에 치매 조기 진단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기존 방법이 갖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더하여 기존 제품들이 중증 치매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것과 달리,  증상이 없는 고위험군(고령층)에게 적용할 수 있어 기존 기술과 차별화 됩니다. 

당사는 퀀타매트릭스와 함께 2020년 7월 식약처로부터 품목허가를 승인받았고, 2021년 12월 진단키트의 건강보험급여 등재를 위한 신의료기술평가 신청하였습니다. 2022년 10월에 수정/보완(추가 논문 발표)이 요구되어, 현재 논문 발표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② IT유통 사업부문
PC주변기기에서 당사의 주 핵심 사업군으로 로지텍 , 트러스트마스터, 스마트뷰, 라익미, 와사미망고 브랜드 제품을 취급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브랜드를 취급하는 만큼 PC에 필요한 마우스, 키보드, 헤드셋, 웹캠, 모니터, 사운드바 등 다양한 제품 등을 판매 중에 있습니다. 이러한 PC 핵심 부품의 안정적 공급을 통해 고객 가치 확대를 위해 힘쓰고 있으며, 현재 판매시장은 네이버스토어, 오픈마켓, 소셜(쿠팡/ 위메프), 카카오쇼핑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커머스 시장의 성장을 위해 쿠팡 로켓 배송 확장을 계속해서 확대 중에 있습니다. 또한 생활가전기기에서 당사는 에코백스 사업을 바탕으로 매출의 다변화와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트렌드 제품으로 주목 받고 있는 ‘로봇청소기’를 취급하여 매출 확대를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1인 가구 증가와 비대면 활동 증가로 해당 제품군의 선호도가 계속해서 커지고 있습니다. 또한 디자인 및 기능성 측면이 강조 됨에 따라 화이트 색상과 사물 인식 기능 추가로 더 높은 제품 선호도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③ HMR 사업부문
우리회사는 냉동 밀키트 떡볶이 위주에서 상온 떡볶이와 라볶이로 카테고리를 확장하고 제품 라인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면서 온라인의 매출 편중을 탈피하고자 오프라인 채널로 시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의 사업부문은 신약사업부문, IT유통사업부문,  HMR사업부문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구분

내용

신약사업부문

비마약성 진통제, 알츠하이머성 치매치료제 연구개발등

IT유통사업부문

전자기기 도소매, 온라인 컨텐츠 제공

HMR사업부문

간편식(HMR)의 제조 공급


(2) 시장점유율
① 바이오신약 사업부문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2020년 국내 바이오의약품 시장규모는 3조 3,029억원으로, 2019년(2조 6,002억원) 대비 28% 증가하였고, 바이오의약품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유전자재조합의약품은 시장규모가 처음으로 1조 3,596억원으로 2019년 대비 20.1% 증가했하였습니다. 당사의 바이오신약부문은 임상, 전임상등의 연구단계에 있음으로 현재는 매출이 발생하지 않아 시장점유율을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② IT유통 사업부문
PC주변기기업체인 로지텍은 국내 키보드/마우스 시장에서 상당한 영향력과 인지도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게이밍이 아닌 오피스 용도 기준으로 봤을때 키보드 기준으로 약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022년 기준 키보드 점유율을 살펴보면 로지텍이 44%로 1위를 차지했으며, 마우스 같은 경우도 78% 점유율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 하고 있습니다.또한 생활가전기기에서는 시장조사업체 Gfk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로봇청소기 시장 규모는 2000억원 수준이었다. GfK는 올해 국내 시장 규모가 약 50% 늘어나 30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 로봇 청소기 시장 점유율 같은 경우 에코백스의 경우 14%를 기록하고 있으며, 부진 모델 판매 촉진 확대를 통해 더 높은 점유율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③ HMR 사업부문
떡볶이는 대기업 출시 제품이 증가하면서 대형 유통 매장에서는 POG의 변화를 가져와 냉장 떡볶이를 중심으로 카테고리가 확장 중입니다. 특히 간식에서 식사 대용식으로 카테고리가 확장되고 있으며 떡류와 떡볶이는 2013년 대비 2.3배 성장한 1,274억 이상 규모로 시장이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우리회사는 온라인 구매보다는 오프라인 구매를 선호하고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연령층을 신규 고객으로 확보하고 기존의 온라인 유통 편중을 탈피하고자 이마트, 롯데마트, GS 슈퍼마켓으로 오프라인 채널 다변화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편의점 및 창고형 유통매장, 홈쇼핑 채널 등으로 유통을 다각화하면서 브랜드 인지도 제고 및 의미 있는 매출 성장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① 바이오신약 사업부문
제약 산업은 다른 산업과는 차별화되는 뚜렷한 특징들을 가지고 있는 산업입니다. 첫째는 연구 집약적 산업으로, 선진기업들의 매출액 대비 연구비 비중이 타 산업에 비해 매우 높습니다. 둘째, 신약 후보물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임상, 임상 시험으로 인해 정부의 규제가 심한 산업입니다. 셋째, 지적재산권의 확보가 사업의 핵심요소입니다. 넷째, 고위험, 고부가가치의 산업입니다.
제약산업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욕구인 건강에 직결되는 산업이므로, 수요기반이 안정적이며, 경기 변동에 대한 민감도가 타 산업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고령화 및 평균수명 연장에 따른 의약품 소비 증가 현상은 제약산업의 성장을 견인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 바 있습니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국내 인구구조는 양적인 팽창속도가 둔화된 가운데 질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65세 이상 인구 비중에 따라7% 이상은 고령화 사회, 14% 이상은 고령사회, 20% 이상은 초고령사회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65세 이상 인구비중인 고령화율을 살펴보면2000년에7%를 넘어 이미 고령화사회로 진입했고, 2018년에는65세 이상 노인인구비율이14%로 고령사회에 집입하였습니다. 향후2026년경에는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고령화 추세는 지속적으로 진행되어2060년경에는65세 이상의 인구가40.1%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② IT유통 사업부문
IT유통 산업은 코로나 19 엔더믹으로 국내 E커머스 성장세가 다소 주춤했지만 네이버와 쿠팡의 양강 체계는 더욱 굳건해지고 있습니다. 작년 국내 온라인 쇼핑의 연간 거래액은 2021년 대비 13% 증가한 약 211조 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작년 3분기 기준 네이버 커머스의 전체 거래액은 2021년 동기 대비 19.1% 증가한 10조 5000억 원에 이르며, 매출 규모도 4395억 원을 기록하며 2021년 동기 대비 19.6% 늘었습니다. 쿠팡은 로켓배송 도입 후 처음으로 작년 3분기 1000억 원의 흑자를 냈고, 분기 매출은 2021년 동기 대비 27% 증가한 6조 8383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앱 통계 분석 플랫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쿠팡의 올해 11월 활성이용자 수(MAU)는 약 2725만 명으로 2021년 동기 대비 100만 명 이상 많아졌습니다. (출처: 서울경제) 트렌드 맞춰 네이버 같은 경우 로지텍 브랜드스토어를 중심으로, 쿠팡 같은 경우 로켓배송을 확대 예정을 통해 온라인 플랫폼 산업의 성장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게이밍 부분에서는 경쟁사 ‘앱코’와의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라이브 방송 확대, 3PL사업 확대를 통해 고객가치와 브랜드 가치를 증대하기 위해 지속적인 비용 투자를 진행 중에 있습니다.
  ③ HMR 사업부문
전세계적으로 내식 수요가 증가하면서 간편성을 제공하는 HMR 시장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넷플릭스에서 방영중인 K-드라마가 상위권에 랭크 되면서K-FOOD의 시장이 확대 중입니다. 특히 구매력이 커지고 있는 동남아 시장을 중심으로 현지 무슬림 시장을 공략하고자 할랄 인증을 획득하여 상온 떡볶이를 간편 조리 형태인 컵과 파우치 제품 6 SKU를 출시하여 현지 유통업체2,200 입점을 시작으로 현지 메인 스트림으로 시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회사는 냉동 밀키트 떡볶이 품목에서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추억의 국민학교 떡볶이로 냉동 밀키트 떡볶이 카테고리의 선두주자가 되었고, 2021년 프리미엄 라인인 뉴트로 제품을 출시하여 입지를 굳혀감과 동시에 시장을 확대 중입니다. 2022년에는 HMR 시장에 본격적인 진입을 위하여 HMR 상온 컵 떡볶이, 파우치 떡볶이, 할랄 떡볶이, 라볶이 라인업으로 확대하면서 계속 신제품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해당사항 없습니다.

(5) 조직도

조직도_221231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당사는 2022년 사업연도에 경기침체로 인한 수요부진으로 매출액은 전년대비 8.0% 감소한 45,290백만원에 그쳤고, 원재료가격 상승으로 인한 손실확대로 -4,058백만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습니다. 또한 영업권 손상차손 및 보유 금융자산의 평가손실 등 영업외비용의 증가로 당기순이익(-12,025백만원)도 전기대비 손실이 확대 되었습니다.

기타사항은 위 「Ⅲ. 경영참고사항 - 1. 사업의 개요 나. 회사의 현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아래의 재무제표는 감사보고서를 수령하기 전 자료이므로 외부감사 결과 및 주주총회 승인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본 재무제표에 대한 감사의견 및 상세한 주석사항은 향후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주주총회 1주간 전)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26 기 2022. 12. 31 현재
제 25 기 2021. 12. 31 현재
(단위 : 원)
과        목 제26(당)기 제25(전)기
자산

Ⅰ.유동자산 36,494,234,098 19,348,114,548
   현금및현금성자산 8,176,015,198 9,618,978,893
   단기금융자산 18,239,072,850 2,692,590
   매출채권및기타채권 3,596,211,746 3,412,384,424
   기타유동자산 63,590,159 112,362,027
   당기법인세자산 1,732,310 7,088,230
   재고자산 6,417,611,835 6,194,608,384
Ⅱ.비유동자산 19,258,440,097 29,749,161,259
   장기금융자산 500,000,000 500,000,000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10,825,700,001 9,386,069,772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3,162,426,657
   유형자산 6,322,643,809 6,338,656,747
   무형자산 289,725,619 9,398,320,445
   장기매출채권및기타채권 - -
   장기기타채권 687,409,198 921,761,277
   파생상품자산 575,951,480 -
   기타비유동자산 57,009,990 41,926,361
자산총계 55,752,674,195 49,097,275,807
부채

Ⅰ.유동부채 2,358,325,591 6,244,821,374
   매입채무및기타채무 1,749,582,937 1,589,199,368
   유동성리스부채 283,007,222 248,895,868
   기타유동부채 325,735,432 229,985,747
   유동성복구충당부채 - 11,715,036
   유동성전환사채 - 2,864,719,392
   유동성파생상품부채 - 1,300,305,963
Ⅱ.비유동부채 22,303,332,852 562,081,503
   리스부채 291,872,732 530,371,252
   복구충당부채 34,931,806 30,710,251
   전환사채 4,050,685,976 -
   파생상품부채 5,075,199,404 -
   전환우선주부채 12,850,642,934 -
   기타비유동부채 - 1,000,000
부채총계 24,661,658,443 6,806,902,877
자본

   자본금 23,521,779,500 21,807,979,500
   자본잉여금 72,879,094,266 70,605,005,066
   기타자본 (1,634,911,274) (1,634,911,274)
   기타포괄손익누계액 (3,286,449,064) (124,022,407)
   결손금 (60,388,497,676) (48,363,677,955)
자본총계 31,091,015,752 42,290,372,930
부채및자본총계 55,752,674,195 49,097,275,807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6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31 까지)
제 25 기 (2021. 01. 01 부터 2021. 12. 31 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26(당)기 제25(전)기
Ⅰ. 매출액 45,289,903,870 49,250,938,078
Ⅱ. 매출원가 38,508,905,302 40,664,309,100
Ⅲ. 매출총이익 6,780,998,568 8,586,628,978
   판매비와관리비 10,741,083,909 7,696,449,509
   대손상각비 98,206,953 29,103,011
Ⅳ. 영업이익(손실) (4,058,292,294) 861,076,458
   기타수익 35,597,624 274,014,875
   기타비용 (8,935,785,210) (7,648,432,280)
   금융수익 5,993,538,560 165,480,162
   금융비용 (5,058,505,011) (1,159,617,336)
   관계기업투자손익 - 398,595,864
Ⅴ.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실 (12,023,446,331) (7,108,882,257)
   법인세비용(수익) 1,373,390 (276,156,397)
Ⅵ. 계속영업손실 (12,024,819,721) (6,832,725,860)
Ⅶ. 중단영업이익 - 73,803,596
Ⅷ. 당기순손실 (12,024,819,721) (6,758,922,264)
Ⅸ. 기타포괄손익 (3,162,426,657) (123,598,951)
  1.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수 있는 항목 - -
  2.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3,162,426,657) (123,598,951)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평가손익 (3,162,426,657) (222,403,256)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98,804,305
Ⅹ. 총포괄손실 (15,187,246,378) (6,882,521,215)
XI. 주당손익

  기본주당손익

   기본주당순손실 (275) (159)
   계속사업 기본주당순손실 (275) (161)
  희석주당손익

   희석주당순손실 (275) (159)
   계속사업 희석주당순손실 (275) (161)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26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31 까지)
제 25 기 (2021. 01. 01 부터 2021. 12. 31 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26(당) 기 제 25(전) 기
미처리결손금
(60,388,497,676)
(48,363,677,955)
  전기이월미처리결손금 (48,363,677,955)
(41,703,559,996)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98,804,305
  당기순손실 (12,024,819,721)
(6,758,922,264)
결손금처리액
-
-
차기이월미처리결손금
(60,388,497,676)
(48,363,677,955)


- 자본변동표

                                                  <자  본  변  동  표>

제 26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31 까지)
제 25 기 (2021. 01. 01 부터 2021. 12. 31 까지)
(단위 : 원)
과     목 자본금 자본잉여금 자본조정 기타포괄손익
누계액
이익잉여금 합계
2021.01.01(전기초) 18,599,935,000 52,404,214,526 (1,542,527,559) 98,380,849 (41,703,559,996) 27,856,442,820
  당기순손실 - - - - (6,758,922,264) (6,758,922,264)
  기타포괄손익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 - - 98,804,305 98,804,305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평가손익 - - - (222,403,256) - (222,403,256)
  소유주와의 거래등





    유상증자 2,256,317,500 12,723,888,720 - - - 14,980,206,220
    전환사채전환 951,727,000 5,476,901,820


6,428,628,820
    주식매수선택권 -
(92,383,715) - - (92,383,715)
2021.12.31(전기말) 21,807,979,500 70,605,005,066 (1,634,911,274) (124,022,407) (48,363,677,955) 42,290,372,930
2022.01.01(당기초) 21,807,979,500 70,605,005,066 (1,634,911,274) (124,022,407) (48,363,677,955) 42,290,372,930
  당기순손실 - - - - (12,024,819,721) (12,024,819,721)
  기타포괄손익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평가손익 - - - (3,162,426,657) - (3,162,426,657)
  소유주와의 거래등





    유상증자 1,713,800,000 2,274,089,200 - - - 3,987,889,200
2022.12.31(당기말) 23,521,779,500 72,879,094,266 (1,634,911,274) (3,286,449,064) (60,388,497,676) 31,091,015,752


- 현금흐름표

                                        <현  금   흐  름  표>

제 26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31 까지)
제 25 기 (2021. 01. 01 부터 2021. 12. 31 까지)
(단위 : 원)
구분 제26(당)기 제25(전)기
Ⅰ.영업활동으로 인한 금흐름 (2,913,957,632) (1,502,584,217)
1.영업으로 창출된 현금흐름 (2,908,386,596) (1,160,696,187)
2.이자의 수취 11,351,257 45,794,443
3.이자의 지급 (22,278,213) (29,195,597)
5.법인세의 환급(납부) 5,355,920 (453,941,700)
6.중단사업현금흐름 - 95,454,824
Ⅱ.투자활동으로 인 한현금흐름 (19,034,455,353) (12,879,361,993)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 561,615,000
기계장치의 처분 6,000,000 -
차량운반구의 처분 23,363,636 31,818,182
비품의 처분 - 3,788,895
건설중인자산의 처분 555,498,500 -
회원권의 처분 - 727,272,728
보증금의 감소 665,428,000 103,558,000
기타비유동자산의 감소 13,458,092 12,357,831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18,000,000,000) -
장기금융상품의 증가 - (500,000,000)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취득 (500,000,000) (10,000,000,000)
차량운반구의 취득 (19,298,156) (13,000,000)
기계장치의 취득 (95,088,000) (220,000,000)
비품의 취득 (99,838,270) (54,377,438)
시설장치의 취득 (368,965,770) (215,266,000)
연구용기기의 취득 (37,500,000) (10,000,000)
건설중인자산의 취득 (699,255,600) (2,611,350,670)
특허권의 증가 (14,517,564) (42,338,521)
기타의무형자산의 증가 (2,000,000) (3,440,000)
보증금의 증가 (447,370,000) (660,000,000)
기타비유동자산의 증가 (14,370,221) -
중단사업현금흐름 - 10,000,000
Ⅲ.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20,533,286,342 10,597,672,491
유상증자 3,987,889,200 14,980,206,220
전환우선주부채의 발행 12,943,067,740 -
전환사채의 발행 7,985,105,760 3,956,393,410
전환사채의 상환 (4,099,831,500) -
리스부채의 상환 (266,855,591) (309,259,176)
복구충당부채의 지급 (15,089,267) -
임대보증금의 감소 (1,000,000) -
신주발행비용 - -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상환 - (8,029,667,963)
Ⅳ.현금및현금성자산의 순감소 (1,415,126,643) (3,784,273,719)
Ⅴ.환율변동효과 (27,837,052) 4,348,926
Ⅵ.기초현금및현금성자산 9,618,978,893 13,398,903,686
Ⅶ.기말현금및현금성자산 8,176,015,198 9,618,978,893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오태석 1970.06.01 사내이사 - -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오태석 (주)이엔코퍼레이션 대표이사 2021.02~현재
2019.10~2021.02
(주)이엔코퍼레이션 대표이사
(주)아이즈비전 상무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오태석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해당사항 없음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본 후보자는 경영 전반을 총괄하며 회사를 운영해 나가는 데 필요한 능력과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경영환경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 이사로서 적임자로 평가되어 후보자로 추천하였습니다.


확인서

확인서_오태석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명 ( 1명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2,000백만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명 ( 1명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353백만원
최고한도액 2,000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명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200백만원


(전 기)

감사의 수 1명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최고한도액 200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3년 03월 21일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주주총회일 1주전 까지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과 당사 홈페이지(http://www.medifron.com) 뉴스 -> 공지사항 에 게재할 예정이오니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제출(예정)일 게재될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이전 보고서이므로, 주주총회에서 부결/수정이 발생할 경우 정정보고서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입니다. 주주총회 이후 정정공시 여부를 확인 부탁 드립니다.

※ 참고사항

1. 당사는 2023년 3월 29일 (수) 오전 9시에 정기주주총회 개최를 결정함에 따라  「주주총회 집중일 개최 사유 신고」관련은 해당사항 없습니다.

2.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COVID-19) 안내
주주총회 당일 발열, 기침 증세가 있거나 마스크 미착용 주주님께서는 주주총회장에 출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3. 주주총회 개최 전,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불가피한 장소 변경이나 일자 변경 등이 발생하는 경우, 지체없이 재공시하여 안내드릴 예정입니다.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4001058

하이퍼코퍼레이션 (06565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