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3-10 15:59: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0000753
2023년 03월 10일 | ||
회 사 명 : | 국일신동(주) | |
대 표 이 사 : | 김 연 경,손 장 원 | |
본 점 소 재 지 :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번영2로 58 | |
(전 화) 031-499-9192 | ||
(홈페이지) http://kukilmetal.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이사 | (성 명) 김맹년 |
(전 화) 031-499-9192 | ||
(제30기 정기)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우리 회사는 정관 제21조에 의하여 제30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3년 03월 28일 (화) 오전 10시
2. 장 소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번영2로 58 당사 사무동 신관 2층 강당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안건 :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30기(2022년1월1일~2022년12월31일) 재무제표 승인
및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승인의 건
(이익배당 예정내용 : 1주당 현금배당금 50원)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사외이사3명)
제2-1호 의안 : 후보1 사외이사 원철수 선임의 건
제2-2호 의안 : 후보2 사외이사 정철환 선임의 건
제2-3호 의안 : 후보3 사외이사 김남형 선임의 건
제3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과 명의개서대행회사(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였으며, 금융위원회 및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우리 회사의 이번 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행사할 수 있습니다.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 날인)
위임인 인감증명서, 대리인의 신분증
7. 주주총회소집의 통지
상법 제542조의4 및 정관23조에 의거하여 발행주식총수의 1% 이하 소유주주에 대하여는 이 공고로 소집통지에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8. 기타사항
- 제30기 배당은 1주당 50원을 예정하고 있으며, 주주총회에서 확정시 별도로 통지 하겠습니다.
- 주주총회 기념품은 회사경비 절감을 위하여 지급하지 않습니다.
- 2022년도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일 1주전까지 회사 홈페이지(www .kukilmetal.com)에 게재될 예정입니다.
2023년 03월 10일
국일신동주식회사
대표이사 김 연 경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 여부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원철수 (출석률: 100%) | 정철환 (출석률: 100%) | 김남형 (출석률: 100%) | ||||
찬 반 여 부 | 찬 반 여 부 | 찬 반 여 부 | ||||
22-1 | 2022.02.11 | 제29기 재무재표 승인에 관한건 현금배당 결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22-2 | 2022.02.11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및 평가보고에 관한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22-3 | 2022.02.28 | 제29기 정기주주총회 개최의 건 제29기 정기주주총회 부의안건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22-4 | 2022.03.11 | 외부감사인 감사 결과보고 제29기 재무재표 승인에 관한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22-6 | 2022.03.29 | 제29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사외이사 선임의 건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22-7 | 2022.03.29 | 대표이사 변경의 건(중임)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 이사회내 위원회는 구성되어 있지 않습니다.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3 | 1,500 | - | - | - |
-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사외이사를 포함한 모든 이사에 대한 주총승인 금액임.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천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이구산업(주) (관계회사) | 매출 등 | 2022. 01. 01~2022. 12. 31 | 5,200,407 | 19.3 |
매입 등 | 2,665,381 | 9.9 | ||
이구무역(주) (관계회사) | 매입 등 | 2022. 01. 01~2022. 12. 31 | 48,868 | 0.2 |
덕흥제선(주) (관계회사) | 매입 등 | 2022. 01. 01~2022. 12. 31 | 2,000 | 0.1 |
(주)이구에코텍 (관계회사) | 매출 등 | 2022. 01. 01~2022. 12. 31 | 598,397 | 2.2 |
매입 등 | 757,779 | 2.8 | ||
(주)이구엔지니어링 (관계회사) | 매입 등 | 2022. 01. 01~2022. 12. 31 | 71,400 | 0.3 |
-상기 비율은 제30기(2022년) 별도 재무제표 기준 매출액(26,883,136천원)으로 산정하였습니다.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비철금속은 철을 제외한 금속을 총칭하며 금속의 비중이나 성질에 따라 동·아연·주석·니켈 등의 중금속, 알루미늄, 마그네슘, 티타늄 등의 경금속, 금, 은, 백금 등의귀금속 및 기타 방사성금속, 희유금속, 신금속 등으로 구분되며 그 종류는 100여종에달합니다.
이중에서도 특히 산업의 소재로서 중요하게 사용되는 동, 아연, 알루미늄, 연을 4대 비철금속(니켈, 주석을 포함하여 6대 비철금속)이라 합니다. 이들 비철금속은 각기 특유의 성질을 가지고 있지만 대체로 열 및 전기전도율이 양호하고 용융점이 낮으며,각 금속이 갖는 특유한 성질에 따라 단일금속 또는 합금형태로 전기·전자, 반도체, 통신, 자동차, 기계, 금속, 조선, 화학, 건축, 방위산업 등 중화학공업을 비롯하여 전 산업분야에 기초소재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어 전후방산업에 대한 연관 효과가큰 기간산업입니다.
비철금속 산업의 Value chain은 광산 → 제련업체 → 가공업체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제련회사의 원재료가 되는 정광은 국내 부존자원의 부족으로 대부분 수입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비철금속 산업에서 사실상 존재하는 밸류체인은 정광을 제련하여 순도가 높은 괴를 생산하는 제련업체와 정련 금속을 압연 및 압출하여 가공품으로 생산하는 가공업체로 국한됩니다. 이중 가공부문에 대하여 업계에서는 통상 신동산업이라고 칭합니다.
일반적으로 제련업은 제련공장 및 주조라인의 건설에 대규모 자본이 소요되는 장치산업으로 초기 투자부담이 커 신규 업체의 진입장벽이 높은 편입니다. 또한 제련 회수율을 높이거나 안정된 품질의 제품 생산을 위해서 상당 기간의 기술 축적 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신규 업체가 기존업체의 벽을 넘기 쉽지 않습니다. 이러한 산업 특성으로 인해 제련업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과점적 시장구조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한편 가공업은 제련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설투자부담이 적고 자본회수기간이 길지않습니다. 이에 따라 가공업은 소수의 대기업을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된 제련업보다군소업체간의 경쟁이 치열한 편이고 제품별로 대형회사 중심으로 과점구조를 형성하고 있거나 일부 제품의 경우에는 높은 경쟁 구도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신동산업은 정련된 동이나 동에 아연, 알루미늄, 연등을 혼합한 동합금을 가공하여 판, 대를 생산하는 압연부문과 봉, 선, 관, 샷시등을 생산하는 압출부문 및 주물부문으로 구분되고 있습니다. 동은 인간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 금속으로 인류역사가 발전함에 따라 없어서는 안 될 금속으로서 전기,전자,반도체,통신,핸드폰,자동차,플랜트,건축,가스기기,의료기기,방위산업,악세사리 등 생활용품에서 첨단산업소재에 이르기까지 각 분야에 걸쳐 꼭 필요한 기초소재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신동산업은 전반적인 산업에 걸쳐 기초소재로 활용됨에 따라 신동제품 및 관련 후 가공 산업은 전방산업 다양화에 따른 일정수준의 수요량 확보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 전방산업의 경우 건설업은 최근 들어 주택 재건축시장을 중심으로 활기를 찾고 있는 상황이며, 전기, 전자, 반도체, 통신, 조선, 자동차 산업은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1) 일반 경기변동
신동산업은 건설, 전기·전자, 자동차, 조선, 반도체, 핸드폰, 생활용품 등 전 업종에 기초소재로 사용됨으로써 경기변동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습니다. 동 가격을 비롯한 비철가격은 국제시세(LME시장)에 따라 매일 고시하고 있으며, 대부분 동 제품 생산업체는 1개월 단위 전기동가격의 등락에 따라 제품가격을 인상, 인하(연동제) 적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수요와 가격측면에서는 세계적인 경기에 따른 수요증감과 동 광산의 생산량, 전기동 재고량의 변동, Hedge Fund등의 자금이동에 따라 가격등락이 수시로 변동하고 있습니다. 한 예로, 동 광산의 붕괴나 노사분규 및 수지에 따른 생산량 조절의 발생과더욱이 상품투기세력이 전기동 매집시에는 가격이 급등한 예도 있습니다.
2) 계절적 경기변동
신동제품은 각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업종의 특성상 부분적으로 계절적 영항을 미치는 경우도 있으며, 겨울철 및 우기철(장마)을 제외하고 나머지 시즌 전부를 성수기라 할 수 있습니다. 세부적으로 업종의 예를 살펴보면 에어컨. 가전제품 등은 11월~2월이 비수기로 보고 있으며, 통신부문은 정부정책에 따라 생산의 굴곡이 심한편입니다. 자동차는 수출호조로 계절적 요인이 없이 꾸준한 반면 전기·전자는 계절적이기 보다는 글로벌 경기변동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4. 경쟁요소
신동산업분야는 대부분 업종이 국내수요대비 공급량이 많습니다. 특히 황동봉 부분은 타업종에 비해 공급과잉이 심한 실정입니다. 이런 시장을 대창, 풍산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국일신동을 비롯한 기타업체에서 일정한 양을 생산 하고 있습니다. 수요시장의 한계로 공급이 과잉상태이므로 잉여공급분은 국일신동,대창,풍산 등은 해외 수출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장 상황으로 인해 업체 간의 경쟁이 심화되는 관계로 해외거래선 개발 및 생산,품질,서비스면에서 경쟁사와 차별화를 꾀하기 위해 노력을 경주하고 있습니다.
5. 자원조달의 특성
제품의 원재료는 전기동과 황동Scrap으로서 전기동은 LS니꼬와 조달청으로 부터 조달되고 있으며 동 및 황동Scrap은 국내 및 해외에서 구입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부재료의 주성분인 Zn,Pb,Ni,Mn,Al 등은 국내에서 조달하고 있습니다.
6. 관련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
동제품에 대해서는 해외에서 동제품의 환경규제가 점차적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특히 유럽을 중심으로 그러한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유해물질 제한지침(ROHS:Restriction of Hazardous Substances Directive)은 유럽연합(EU)에서 시행하고 있는 규제 정책으로, 전기전자제품 폐기물의 처분과 재활용과정에서 재활용성을 저해하거나 환경오염문제를 야기 할 수 있는 유해물질의 전기전자제품의 사용을 제한하고, 이러한 물질들을 덜 유해한 물질로 대체하도록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2006. 7. 1일부터 납, 카드뮴, 수은, 6가크롬, PBB 및 PBD등 6종이 포함된 새로운 전기전자 제품은 시장에서 판매 할 수 없도록 하고 있는데, 특히 황동봉은 중금속인 납이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직접적인 규제 대상에 해당됩니다. 적용품목은 대소형 가전기기, 정보통신장비, 가전, 조명기기, 전기전자공구, 완구, 레저, 스포츠용품, 자동판매기 등이 적용 대상이 됩니다. 이러한 제품의 폐기물 90%정도가 전처리 없이매립 또는 소각처리로 인해 인체 및 환경 친화에 문제가 있어 규제를 하고 있습니다.
국내의 경우 동제품 관련 특별한 규제사항은 존재하지 않으나 우리나라는 전자산업이 수출에 차지하는 비율이 높기 때문에 유해물질제한지침을 준수해야 수출의 신장이 기대될 수 있을 것입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현재 당사에서 생산되고 있는 제품은 황동봉,동SLAB,철동합금코일 및 석도금제품, 동볼을 생산하여 수요업체에 공급을 하고 있습니다. 국내 최고의 기술력과 첨단 생산설비를 통하여 최상의 품질을 적기에 공급하는 작지만 강한기업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노력에 힘입어 1995년 8월 유망선진기술기업지정, 2003년 8월 ISO9001 및 ISO14001 인증, 2011년 7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Inno-Biz 선정, 2014년 11월 뿌리기술전문기업 지정, 2014년 12월 코스닥 증권시장 상장, 2015년 11월 병력특례 지정업체선정, 2021년 7월 IOS4001 인증하였으며, 작지만 강한기업으로 세계 속에 국일신동을 만들기 위해 전임직원이 노력을 경주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동압연 및 압출제품 제조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제품으로는 크게 황동봉, 철동합금코일, 기타 동제품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국내 황동봉시장은 경제규모가 크지 않아 수요대비 과잉공급으로 인해 생산업체간에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런 생산업체로 대창 및 풍산이 시장주도(점유율 70%이상 추정)를 하고 있으며, 국일신동을 비롯한 기타 업체에서 일부 량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국내 시장규모가 협소한 관계로 잉여 생산 분의 대부분을 수출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당사에서도 내수와 수출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대량생산보다 다양한 품목을 고품질로 틈새시장을 중심으로 맞춤영업을 하는 차별화 전략을 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당사 시장 점유율은 8% 전후로 추정하고 있으며, 양보다 질 위주로 판매정책을 유지하며 품질, 서비스, 수익을 높이는데 중점을 두고 추진하고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비철금속산업은 기초산업에서부터 첨단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산업용 기초 소재 산업으로 경제가 성장할수록 비철금속의 수요도 역시 증가하게 됩니다. 이와같이 비철금속 산업의 신동제품 매출은 IT, 반도체, 자동차, 건설 등 연계산업의 경기변동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습니다. 이는 자동차, 건설 산업 등의 중요한 기초 소재산업으로 기본적인 수요가 일정부분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일반 소비재 산업에 비해 경기변동에 직접적인 영향은 크지 않으나 궁극적으로 경기변동에 영향을 받습니다. 또한, 신동제품 가격은 글로벌 시장 상황과 연동되기 때문에 투기적 수요 등 금속 수급 상황 이외의 세계 금융 시장 환경 변화에도 제한적으로 영향을 받습니다. 특히 신동제품 가격은 원자재인 전기동 가격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국제구리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4) 신규 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에서는 기존 동합금제품과 관련한 품목다양화를 위해 동볼, 무연 및 고력황동, Ni Strike Plating 및 Sn Plating 개발 등의 고부가 제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무연 및 고력황동을 개발하여 일부 판매하고 있으며 무연황동은 친환경소재로 인체에 유해한 납을 제거한 제품으로 쾌삭성 및 단조성이 좋고 가격이 고가가 아닌 제품생산을 위해 당사 기업부설연구소에서 외부기관의 도움을 받아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015년 11월 한국생산기술연구원과 "고강도 내마모성 특수 동 합금 제조기술" 개발 및 기술 이전 계약을 체결 하였으며 2016년 6월 기술이전을 완료하였습니다.
또한, 2016년 11월 "고내마모성 동합금 소재 및 그 제조기술"개발 및 기술 이전계약을 체결 하였으며 "고강도 내마모성 다용도 동(Cu) 합금의 이형중공봉 개발"을 완료하였습니다.
(5) 조직도
조직도 |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당사는 당기 총 269억원의 매출을 하였으며, 이는 전년동기 281억원의 매출액 대비 4.4%의 매출액이 감소하였습니다. 영업이익은 385백만원 이며, 이는 전년 동기 951백만원 대비 59.4% 감소하였습니다. 당기순이익은 1,006백만원 이며, 전년 동기 868백만원 대비 15.9% 증가하였으며, 이는 국내 경기불황 및 원부자재 가격 상승으로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감소하였으나 파생상품 및 금융투자자산의 이익으로 당기순이익이 증가하였습니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Ⅲ.경영참고사항의 1. 사업의 개요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아래의 개별재무제표 및 주석사항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으로 작성되었으며,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 및 주주총회 승인 과정에서 변동될 수 있습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주주총회 1주전까지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co.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개별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현금흐름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30 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
제 29 기 2021년 12월 31일 현재 |
(단위 : 원 ) |
과 목 | 제30(당)기 기말 | 제29(전)기 기말 |
---|---|---|
자 산 | ||
Ⅰ. 유동자산 | 19,944,687,744 | 23,139,116,318 |
현금및현금성자산 | 3,169,757,816 | 3,464,277,792 |
단기금융상품 | 2,000,000,000 | -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5,594,927,031 | 6,676,333,370 |
재고자산 | 5,092,785,931 | 8,740,030,603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 1,090,014,392 | 4,245,381,252 |
파생상품자산 | 4,134,566 | - |
기타금융자산 | 2,988,406,312 | - |
기타유동자산 | 4,661,696 | 13,093,301 |
Ⅱ.비유동자산 | 32,259,701,951 | 29,883,724,727 |
장기금융상품 | 5,000,000 | 5,000,000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 905,060,000 | 969,310,000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 13,100,000 | 13,100,000 |
기타금융자산 | 2,497,826,254 | 40,000,000 |
유형자산 | 28,838,715,697 | 28,856,314,727 |
자산총계 | 52,204,389,695 | 53,022,841,045 |
부 채 | ||
Ⅰ.유동부채 | 1,322,347,880 | 2,465,944,753 |
매입채무 | - | 342,134,943 |
미지급금 | 411,744,921 | 596,546,675 |
미지급비용 | - | 844,694 |
파생상품부채 | 45,955,466 | - |
유동성장기부채 | - | 640,000,000 |
기타유동부채 | 760,241,506 | 604,728,989 |
미지급법인세 | 104,405,987 | 281,689,452 |
Ⅱ.비유동부채 | 2,933,645,312 | 3,035,007,969 |
순확정급여부채 | 1,206,909,025 | 1,183,970,597 |
기타비유동금융부채 | 100,000,000 | 100,000,000 |
이연법인세부채 | 1,626,736,287 | 1,751,037,372 |
부채총계 | 4,255,993,192 | 5,500,952,722 |
자 본 | ||
Ⅰ.자본금 | 5,545,000,000 | 5,545,000,000 |
Ⅱ.기타불입자본 | 6,611,919,195 | 6,611,919,195 |
Ⅲ.이익잉여금 | 35,791,477,308 | 35,364,969,128 |
자본총계 | 47,948,396,503 | 47,521,888,323 |
부채와자본총계 | 52,204,389,695 | 53,022,841,045 |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30 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제 29 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 원 ) |
과 목 | 제 30(당) 기 | 제 29(전) 기 |
---|---|---|
매출액 | 26,883,136,547 | 28,137,778,587 |
제품매출액 | 20,047,963,446 | 21,357,080,343 |
임가공수입액 | 6,835,173,101 | 6,780,698,244 |
매출원가 | (25,208,558,798) | (25,195,181,831) |
제품매출원가 | (19,369,148,184) | (19,508,578,260) |
임가공매출원가 | (5,839,410,614) | (5,686,603,571) |
매출총이익 | 1,674,577,749 | 2,942,596,756 |
판매비와관리비 | (1,289,184,799) | (1,992,009,934) |
영업이익 | 385,392,950 | 950,586,822 |
금융이익 | 1,586,592,939 | 209,179,914 |
금융원가 | (1,248,672,230) | (171,640,034) |
기타영업외이익 | 452,241,942 | 99,072,402 |
기타영업외비용 | (20,066,617) | (29,296,319)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1,155,488,984 | 1,057,902,785 |
법인세비용 | (149,143,211) | (189,912,613) |
당기순이익 | 1,006,345,773 | 867,990,172 |
기타포괄손익 | (25,337,593) | (83,616,814)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25,337,593) | (83,616,814)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32,072,902) | (107,201,044) |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의 법인세 | 6,735,309 | 23,584,230 |
당기총포괄이익 | 981,008,180 | 784,373,358 |
주당이익 | ||
기본및희석주당이익 | 91 | 78 |
- 현금흐름표
제 30 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제 29 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 원 ) |
과 목 | 제 30(당) 기 | 제 29(전) 기 |
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5,188,276,812 | 1,921,797,427 |
1.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흐름 | 5,326,153,930 | 1,769,933,919 |
가. 당기순이익 | 1,006,345,773 | 867,990,172 |
나. 조정 | 610,116,541 | 1,419,768,497 |
재고자산평가손실(환입) | 217,160,871 | - |
감가상각비 | 647,854,279 | 625,105,592 |
퇴직급여 | 243,888,216 | 221,879,472 |
이자비용 | 10,257,004 | 14,679,284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처분손실 | 8,989,277 | -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손실 | 202,876,860 | 156,921,036 |
파생상품거래손실 | 979,767,897 | - |
파생상품평가손실 | 45,955,466 | - |
파생상품거래이익 | (1,306,864,528) | - |
파생상품평가이익 | (4,134,566) | - |
대손상각비 | (246,833,622) | 465,126,722 |
이자수익 | (271,936,228) | (135,947,686) |
외화환산이익 | - | (998,635)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처분이익 | (1,484,000) | (2,951,765)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이익 | - | (69,001,356) |
배당금수익 | (56,798,322) | (44,956,780) |
유형자산처분이익 | (7,725,274) | - |
법인세비용 | 149,143,211 | 189,912,613 |
다. 운전자본 변동 | 3,709,691,616 | (517,824,750) |
매출채권의 감소(증가) | 1,644,394,301 | 1,687,727,123 |
미수금의 감소(증가) | (299,427,349) | (15,122,613) |
기타유동자산의 감소(증가) | 8,431,605 | 1,190,020 |
재고자산의 감소(증가) | 3,430,083,801 | (1,956,983,405) |
보증금의 감소(증가) | (449,343,872) | 60,000,000 |
매입채무의 증가(감소) | (342,134,943) | (87,261,657) |
미지급금의 증가(감소) | (184,801,754) | 100,890,894 |
기타유동부채의 증가(감소) | 155,512,517 | (42,861,112) |
퇴직금의 지급 | (241,723,890) | (252,055,400) |
사외적립자산의 감소(증가) | (11,298,800) | (13,348,600) |
2.이자수취 | 260,418,710 | 135,907,612 |
3.이자지급 | (11,101,698) | (14,679,284) |
4.배당수취 | 56,798,322 | 44,956,780 |
5.법인세납부 | (443,992,452) | (14,321,600) |
Ⅱ.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4,288,296,788) | (4,742,045) |
기계장치의 취득 | (110,000,000) | (117,000,000) |
차량운반구의 취득 | (51,686,049) | - |
공구와기구의 취득 | - | (58,311,500) |
비품의 취득 | - | (6,014,546) |
건설중인자산의 취득 | (468,571,200) | (69,000,000) |
차량운반구의 처분 | 7,727,274 | - |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 (2,000,000,000) | - |
장기금융상품의 감소 | - | 500,000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의 증가 | (21,200,000) | (4,307,130,932)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의 감소 | 3,030,434,723 | 552,214,933 |
기타금융자산의 증가 | (5,002,098,167) | - |
기타금융자산의 감소 | - | 4,000,000,000 |
선물계약에 따른 현금유입 | 1,306,864,528 | - |
선물계약에 따른 현금유출 | (979,767,897) | - |
Ⅲ.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1,194,500,000) | (332,700,000) |
유동성장기부채의 상환 | (640,000,000) | - |
배당금의 지급 | (554,500,000) | (332,700,000) |
Ⅳ. 외화환산으로 인한 현금의 변동 | - | 998,635 |
Ⅴ. 현금의 증감 | (294,519,976) | 1,585,354,017 |
Ⅵ.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3,464,277,792 | 1,878,923,775 |
Ⅶ. 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3,169,757,816 | 3,464,277,792 |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30(당) 기 2022년 1월 1일 부터 2022년 12월 31일 까지 |
처분예정일 : 2023년 03월 28일 |
제 29(전) 기 2021년 1월 1일 부터 2021년 12월 31일 까지 |
처분확정일 : 2022년 03월 29일 |
(단위 : 원) |
과 목 | 제 30 (당) 기 | 제 29 (전) 기 |
---|---|---|
Ⅰ.미처분이익잉여금 | 31,005,897,527 | 30,634,839,347 |
1.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30,024,889,347 | 29,850,465,989 |
2. 당기순이익 | 1,006,345,773 | 867,990,172 |
3.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25,337,593) | (83,616,814) |
Ⅱ.이익잉여금처분액 | (609,950,000) | (609,950,000) |
1. 이익준비금 | (55,450,000) | (55,450,000) |
2. 배당금 | (554,500,000) | (554,500,000) |
주당배당금(률) : 당기 : 50원( 10%) 전기 : 50원( 10%) | (554,500,000) | (554,500,000) |
III.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30,395,947,527 | 30,024,889,347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단위 : 원/주) |
구 분 | 주식의 종류 | 당기 | 전기 |
---|---|---|---|
제30기 | 제29기 | ||
배당주식수(주) | 11,090,000 주 | 11,090,000 주 | |
주당액면가액(원) | 500 원 | 500 원 | |
현금 배당금 총액(천원) | 554,500 천원 | 554,500 천원 | |
시가배당률(%) | 보통주 | 1.9 | 1.3 |
우선주 | - | - | |
주식배당률(%) | 보통주 | - | - |
우선주 | - | - | |
주당 현금배당금(원) | 보통주 | 50 원 | 50 원 |
우선주 | - | - | |
주당 주식배당(주) | 보통주 | - | - |
우선주 | - | - |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원철수 | 1948.11.03 | 사외이사(재선임) | - | 해당사항없음 | 이사회 |
정철환 | 1979.06.17 | 사외이사(재선임) | - | 해당사항없음 | 이사회 |
김남형 | 1981.08.12 | 사외이사(재선임) | - | 해당사항없음 | 이사회 |
총 ( 3 ) 명 사외이사 3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원철수 | (주)두올금속 대표이사 | 1987-현재 2019-현재 | (주)두올금속 대표이사 국일신동(주) 사외이사 | 해당사항없음 |
정철환 | 김앤장 법률사무소 변리사 | 2005-현재 2019-현재 | 김앤장 법률사무소 변리사 국일신동(주) 사외이사 | 해당사항없음 |
김남형 | 영진화학(주) 상무이사 | 2012-현재 2021-현재 | 영진화학(주) 상무이사 국일신동(주) 사외이사 | 해당사항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원철수 | 없음 | 없음 | 없음 |
정철환 | 없음 | 없음 | 없음 |
김남형 | 없음 | 없음 | 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1. 전문성 본 후보자는 경영에 필요한 관련 분야의 충분한 경험과 지식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이사회에 참여함으로써 주주권익을 보호하고 회사의 지속성장과 발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2. 독립성 본 후보자는 사외이사로서 상법 제382조 제3항 및 제542조의8 제2항을 기초로 독립적인위치에 있어야 함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으며, 업무집행에 있어 경영진과 대주주로부터독립적인 의사결정을 하고 이사회를 통하여 경영진의 직무집행을 감독할 것입니다. 3. 직무수행 및 의사결정 기준 본 후보자는 이사회 구성원으로서, 사외이사로서 경영진의 직무 수행을 감독하고, 고객 및 주주, 이해관계자 모두를 위한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4. 책임과 의무에 대한 인식 및 준수 본 후보자는 선관주의와 충실 의무, 보고 의무, 감시 의무, 상호 업무집행 감시 업무, 경업금지 의무, 자기거래 금지 의무, 기업비밀 준수 의무 등 상법상 사외이사의 의무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엄수할 것입니다.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1987년 부터 재무적 상황을 정확하고 깊이 있게 이해하고 있는 원철수 사외이사를 사외이사로 재선임함으로써 이사회가 중요한 재무적 의사결정시 회사의 상황에 대해 보다 정확하고 깊이 있는 재무정보를 바탕으로 주주와 회사 모두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의사결정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2012년부터 법률사무소에서의 근무한 정철환 사외이사를 재선임 함으로써 당사 경영에 많은 도움이 될것으로 판단됩니다. 2012년 부터 영진화학(주) 상무이사로 재임중인 김낭영 사외이사를 재선임 함으로써 기술 전문성과 넓은 식견으로, 당사 경영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
확인서
확인서-김남형 |
확인서-원철수 |
확인서-정철환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없습니다.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6( 3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500백만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6( 3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291백만원 |
최고한도액 | 1,500백만원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없음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2023년 03월 20일 |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 감사보고서는 2023년 3월 20일에 전자시스템 공시(http://dart.fss.or.kr/) 및 회사 홈페이지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당사는 2023년 3월 20일에 감사보고서를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당사 홈페이지(https://www.kukilmetal.com ▷ 고객센터 ▷ 공지사항)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또한, 당사는 2023년 3월 20일에 사업보고서를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당사 홈페이지(https://www.kukilmetal.com ▷ 고객센터 ▷ 공지사항)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게재된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이후 변경 사항, 오기 등의 사유로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정정공시할 예정이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주총 집중일 주총 개최 사유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00007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