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사항보고서(전환사채권발행결정) 2024-03-07 17:11: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07000750
금융위원회 / 한국거래소 귀중 | 2024년 03월 07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 |
대 표 이 사 : | 오 석 송 | |
본 점 소 재 지 :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오송생명1로 270 | |
(전 화) 043-218-1981 | ||
(홈페이지) http://www.meta-biomed.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이사 | (성 명) 윤 종 필 |
(전 화) 043-230-8881 | ||
1. 사채의 종류 | 회차 | 8 | 종류 | 무기명식 무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 ||||
2. 사채의 권면(전자등록)총액 (원) | 24,000,000,000 | |||||||
2-1. 정관상 잔여 발행한도 (원) | 24,300,000,000 | |||||||
2-2. (해외발행) | 권면(전자등록)총액(통화단위) | - | - | |||||
기준환율등 | - | |||||||
발행지역 | - | |||||||
해외상장시 시장의 명칭 | - | |||||||
3. 자금조달의 목적 | 시설자금 (원) | 24,000,000,000 | ||||||
영업양수자금 (원) | - | |||||||
운영자금 (원) | - | |||||||
채무상환자금 (원) | - | |||||||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원) | - | |||||||
기타자금 (원) | - | |||||||
4. 사채의 이율 | 표면이자율 (%) | 0.0 | ||||||
만기이자율 (%) | 0.0 | |||||||
5. 사채만기일 | 2029년 03월 11일 | |||||||
6. 이자지급방법 | 본 사채의 표면이자는 0.0%이며, 별도의 이자지급기일은 없는 것으로한다. | |||||||
7. 원금상환방법 | 만기일까지 보유하고 있는 본 사채의 전자등록금액에 대하여는 만기일인 2029년 03월 11일에 전자등록금액의 100.0000%에 해당하는 금액을 일시에 상환한다. 단, 만기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영업일에 상환하고 만기일 이후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 |||||||
8. 사채발행방법 | 사모 | |||||||
9. 전환에 관한 사항 | 전환비율 (%) | 100 | ||||||
전환가액 (원/주) | 4,795 | |||||||
전환가액 결정방법 | 본 사채 발행을 위한 이사회 결의일 전일로부터 소급한 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및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를 산술평균한 가액과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및 청약일 3거래일 전 가중산술평균주가 중 높은 가액을 기준주가로 하여 기준주가의 100%를 최초전환가액으로 하되, 원단위 미만은 절상하며 전환가액이 액면가액보다 낮은 경우에는 액면가액으로 한다. | |||||||
전환에 따라 발행할 주식 | 종류 |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기명식 보통주 | ||||||
주식수 | 5,005,213 | |||||||
주식총수 대비 비율(%) | 17.34 | |||||||
전환청구기간 | 시작일 | 2025년 03월 11일 | ||||||
종료일 | 2029년 02월 11일 | |||||||
전환가액 조정에 관한 사항 | 가. 본 사채를 소유한 자가 전환청구를 하기 전에 발행회사가 시가를 하회하는 발행가액으로 유상증자, 주식배당 및 준비금의 자본전입 등을 함으로써 주식을 발행하거나 또는 시가를 하회하는 전환가액 또는 행사가액으로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전환가액을 조정한다. 본 목에 따른 전환가액의 조정일은 유상증자, 주식배당, 준비금의 자본전입 등으로 인한 신주발행일 또는 전환사채 및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일로 한다. A: 기발행주식수 B: 신발행주식수 C: 1주당 발행가격 D: 시가 | |||||||
시가하락에 따른 전환가액 조정 | 최저 조정가액 (원) | 4,076 | ||||||
최저 조정가액 근거 | 「증권의 발행 및 공시에 관한 규정」 제5-23조(전환가액의 하향조정) 2. 시가하락에 따른 전환가액의 조정시 조정 후 전환가액은 다음 각 목의 가액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가. 발행당시의 전환가액(조정일 전에 신주의 할인발행 등 또는 감자 등의 사유로 전환가액을 이미 하향 또는 상향 조정한 경우에는 이를 감안하여 산정한 가액)의 100분의 70에 해당하는 가액 「인수계약서」 제3조 제26항 제5호 라목 (전략) 단, 새로운 전환가액은 발행 당시 전환가액(조정일 전에 신주의 할인발행 등의 사유로 전환가액을 이미 조정한 경우에는 이를 감안하여 산정한 가격)의 85% 이상이어야 된다. | |||||||
발행당시 전환가액의 70% 미만으로 조정가능한 잔여 발행한도 (원) | - | |||||||
9-1. 옵션에 관한 사항 | [조기상환청구권(Put Option)에 관한 사항] 세부내용은 "22. 기타 투자판단에 참고할 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10. 합병 관련 사항 | - | |||||||
11. 청약일 | 2024년 03월 11일 | |||||||
12. 납입일 | 2024년 03월 11일 | |||||||
13. 납입방법 | 현금 | |||||||
14. 대표주관회사 | - | |||||||
15. 보증기관 | - | |||||||
16. 담보제공에 관한 사항 | - | |||||||
17. 이사회결의일(결정일) | 2024년 03월 07일 | |||||||
- 사외이사 참석여부 | 참석 (명) | 1 | ||||||
불참 (명) | - | |||||||
- 감사(감사위원) 참석여부 | 참석 | |||||||
18. 증권신고서 제출대상 여부 | 아니오 | |||||||
19. 제출을 면제받은 경우 그 사유 | 면제(사모발행에 의한 1년간 거래단위 분할 및 전환금지) | |||||||
20. 당해 사채의 해외발행과 연계된 대차거래 내역 - 목적, 주식수, 대여자 및 차입자 인적사항, 예정처분시기, 대차조건(기간, 상환조건, 이율),상환방식, 당해 전환사채 발행과의 연계성, 수수료 등 | - | |||||||
21. 공정거래위원회 신고대상 여부 | 미해당 |
22. 기타 투자판단에 참고할 사항
가. 조기상환청구권(Put Option)에 관한 사항
(1) 본 사채의 인수인은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24개월이 되는 2026년 03월 11일 및 이후 매 3개월에 해당되는 날(이하 조기상환지급일)에 조기상환을 청구한 전자등록금액에 조기상환율을 곱한 금액의 전부에 대하여 사채의 만기 전 조기상환을 청구할 수 있다. 단, 조기상환지급일이 은행 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에 상환하고 조기상환지급일부터 다음 영업일까지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1) 조기상환 청구장소: 발행회사의 본점
2) 조기상환 지급장소: 국민은행 오창종합금융센터
3) 조기상환 청구기간: 각 인수인은 조기상환지급일로부터 60일전부터 30일전까지 발행회사에게 서면통지로 조기상환 청구를 하여야 한다. 단, 조기상환청구기간의 종료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까지로 한다.
구분 | 조기상환 청구기간 | 조기상환지급일 | 조기상환율 | |
FROM | TO | |||
1차 | 2026-01-10 | 2026-02-09 | 2026-03-11 | 100.0000% |
2차 | 2026-04-12 | 2026-05-12 | 2026-06-11 | 100.0000% |
3차 | 2026-07-13 | 2026-08-12 | 2026-09-11 | 100.0000% |
4차 | 2026-10-12 | 2026-11-11 | 2026-12-11 | 100.0000% |
5차 | 2027-01-10 | 2027-02-10 | 2027-03-11 | 100.0000% |
6차 | 2027-04-12 | 2027-05-12 | 2027-06-11 | 100.0000% |
7차 | 2027-07-13 | 2027-08-12 | 2027-09-11 | 100.0000% |
8차 | 2027-10-12 | 2027-11-11 | 2027-12-11 | 100.0000% |
9차 | 2028-01-11 | 2028-02-10 | 2028-03-11 | 100.0000% |
10차 | 2028-04-12 | 2028-05-12 | 2028-06-11 | 100.0000% |
11차 | 2028-07-13 | 2028-08-14 | 2028-09-11 | 100.0000% |
12차 | 2028-10-12 | 2028-11-13 | 2028-12-11 | 100.0000% |
4) 조기상환 청구절차: 사채권자가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이하 “전자증권법”) 제22조 제2항에 따라 작성되는 고객계좌부에 전자등록된 경우에는 거래하는 계좌관리기관을 통하여 한국예탁결제원에 조기상환을 청구하고 전자증권법 제23조 제2항에 따라 작성되는 자기계좌부에 전자등록된 경우에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조기상환을 청구하면 한국예탁결제원이 이를 취합하여 청구장소에 조기상환 청구한다.
나. 매도청구권(Call Option)에 관한 사항
(1) 발행회사 및 발행회사가 지정하는 자(이하 “매도청구권자” 또는 “매수인”이라 한다)는 본 사채의 발행일 이후 12개월이 경과한 날(2025년 03월 11일) 및 발행일 이후 36개월이 경과한 날(2027년 03월 11일)까지의 기간 중 매 3개월에 해당되는 날(이하 “매매일” 또는 “매매대금 지급기일”)에 사채권자가 보유하고 있는 본 사채의 일부를 매수인에게 매도하여 줄 것을 청구할 수 있으며, 사채권자는 매도청구권자의 청구에 따라 보유하고 있는 본 사채를 매수인에게 매도하여야 한다. 단, 매도청구권자는 각 사채권자에 대하여 각 사채권자가 본 사채 인수계약 제3조에 따라 인수한 사채 발행가액의 30%를 초과하여 매도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다. 단, 최대주주 및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이하 “최대주주 등”)이 매수인이 되는 경우, 각 최대주주 등이 매수할 수 있는 본 사채의 수량은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5-21조 제3항에서 정하는 한도로 제한된다.
(2) 매도청구권 행사기간 및 행사방법 : 매도청구권을 행사하려는 매수인은 각 매매대금 지급기일로부터 20일 전부터 10일 전까지 사채권자에게 매수대상 사채(이하 “매수대상 사채”)의 수량, 매매대금의 지급기일 및 매매대금을 서면으로 통지하는 방식으로 매도청구권 행사를 하며, 본 매도청구권 행사에 따른 매매계약은 매수인의 매도청구가 사채권자에게 도달한 시점에 체결된 것으로 본다. 단, 매도청구권(Call Option) 청구기간의 종료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익영업일까지로 한다.
(3) 매매금액: 매도청구권을 행사한 사채 전자등록금액에 대하여 발행일로부터 “매매대금지급기일” 전일까지 분기단위 연복리 1.0%로 계산하여 산출된 금액을 매매금액으로 하며, 매도청구권의 행사에 따른 사채의 매매와 관련된 비용(제세공과금 포함하되 매도차익에 대한 세금은 포함하지 않음)은 매수인이 부담한다. 단, 매매대금지급기일이 은행 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에 상환하고 매매대금지급기일 이후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구분 | 매도청구권 행사기간 | 매매대금 지급기일 | 매매이율 | |
FROM | TO | |||
1차 | 2025-02-19 | 2025-03-01 | 2025-03-11 | 101.0037% |
2차 | 2025-05-22 | 2025-06-01 | 2025-06-11 | 101.2562% |
3차 | 2025-08-22 | 2025-09-01 | 2025-09-11 | 101.5094% |
4차 | 2025-11-21 | 2025-12-01 | 2025-12-11 | 101.7631% |
5차 | 2026-02-19 | 2026-03-01 | 2026-03-11 | 102.0175% |
6차 | 2026-05-22 | 2026-06-01 | 2026-06-11 | 102.2726% |
7차 | 2026-08-22 | 2026-09-01 | 2026-09-11 | 102.5283% |
8차 | 2026-11-21 | 2026-12-01 | 2026-12-11 | 102.7846% |
9차 | 2027-02-19 | 2027-03-01 | 2027-03-11 | 103.0415% |
(4) 대금지급 및 사채의 인도 : 제1호부터 제3호에 따라 발행회사가 사채권자에게 매도청구를 하는 경우, 매수인은 매매대금지급기일 내에 각 사채권자가 지정하는 방식에 따라 제3호의 매매금액 및 관련 비용을 지급함과 동시에 사채권자는 지체없이 매수인에게 매도청구 받은 사채를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따라 매수인 명의의 계좌로 등록사채를 이체하는 방식 또는 당사자들이 합의하는 방식으로 인도한다. 매수인이 매매대금지급기일 내에 사채권자에게 매매금액을 지급하지 아니하는 경우 매수인은 매매대금지급기일 다음날로부터 실제 지급하는 날까지 미지급 매매금액 부분에 대하여, 매도인이 매매대금을 지급받고도 매도청구 대상 사채를 발행회사의 매도청구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인도하지 아니하는 경우 이를 인도할 때까지 미인도 사채에 해당하는 매매대금에 대해, 각 연 10%의 이율을 적용하여 산출한 지연배상금을 각 상대방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5) 매도청구권(Call Option) 행사일에 매도청구권(Call Option)과 본 사채 인수계약 제3조 제13항의 조기상환청구권(Put Option) 또는 제26항의 전환권이 동시에 행사되는 경우 사채권자의 조기상환청구권 또는 전환권이 매수인의 매도청구권에 우선한다. 사채권자가 매수인의 매도청구권 행사보다 앞서 본 계약 제3조 제13항의 조기상환청구권 또는 제26항의 전환권을 행사할 경우, 매수인은 이에 반드시 응해야 하며, 이를 위해 발행회사 또한 적극적으로 협조하여야 한다
(6) 매수인의 매도청구권 행사를 위하여 본 사채의 사채권자는 사채를 제3자에게 양도할 경우 발행회사에 사채의 양도와 관한 사항에 대하여 양도 후 5영업일 이내에 서면으로 통지하고 매도청구권 행사가 보장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한다. 단, 사채권자 또는 양수인이 매수인의 매도청구권 행사보다 앞서 본 계약 제3조 제13항의 조기상환청구권 또는 제25항의 전환권을 행사할 경우, 사채권자의 의무(매수인의 매도청구권 행사를 보장하고 이에 응하여야 하는 의무 포함)는 소멸한 것으로 본다. 사채권자는 이러한 방식으로 제3자에게 본 사채를 양도한 경우, 양도한 범위에서 사채권자의 의무(매수인의 매도청구권 행사를 보장하고 이에 응하여야 하는 의무 포함)는 소멸한 것으로 본다. 단, 본 사채의 인수계약 제3조 제24항에 따라 발행회사의 기한의 이익이 상실되는 경우에는 인수인은 매수인의 매도청구권 행사를 보장하지 않으며, 본 협약은 효력을 상실한다.
【특정인에 대한 대상자별 사채발행내역】 |
발행 대상자명 | 회사 또는 최대주주와의 관계 | 선정경위 | 발행결정 전후 6월이내 거래내역 및 계획 | 발행권면(전자등록) 총액(원) | 비고 |
---|---|---|---|---|---|
케이비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1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 |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 조달을 위해 투자자의 납입능력 등을 고려하여 선정함 | - | 1,250,000,000 | - |
케이비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2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 |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 조달을 위해 투자자의 납입능력 등을 고려하여 선정함 | - | 1,250,000,000 | - |
NH투자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3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 |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 조달을 위해 투자자의 납입능력 등을 고려하여 선정함 | - | 1,000,000,000 | - |
NH투자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4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 |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 조달을 위해 투자자의 납입능력 등을 고려하여 선정함 | - | 800,000,000 | - |
삼성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5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 |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 조달을 위해 투자자의 납입능력 등을 고려하여 선정함 | - | 200,000,000 | - |
NH투자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6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 |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 조달을 위해 투자자의 납입능력 등을 고려하여 선정함 | - | 500,000,000 | - |
NH투자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7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 |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 조달을 위해 투자자의 납입능력 등을 고려하여 선정함 | - | 1,500,000,000 | - |
케이비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8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 |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 조달을 위해 투자자의 납입능력 등을 고려하여 선정함 | - | 2,000,000,000 | - |
케이비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9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 |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 조달을 위해 투자자의 납입능력 등을 고려하여 선정함 | - | 1,500,000,000 | - |
삼성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10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 |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 조달을 위해 투자자의 납입능력 등을 고려하여 선정함 | - | 500,000,000 | - |
케이비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11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 |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 조달을 위해 투자자의 납입능력 등을 고려하여 선정함 | - | 2,000,000,000 | - |
케이비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12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 |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 조달을 위해 투자자의 납입능력 등을 고려하여 선정함 | - | 700,000,000 | - |
NH투자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13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 |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 조달을 위해 투자자의 납입능력 등을 고려하여 선정함 | - | 500,000,000 | - |
NH투자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14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 |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 조달을 위해 투자자의 납입능력 등을 고려하여 선정함 | - | 800,000,000 | - |
케이비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15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 |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 조달을 위해 투자자의 납입능력 등을 고려하여 선정함 | - | 800,000,000 | - |
케이비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16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 |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 조달을 위해 투자자의 납입능력 등을 고려하여 선정함 | - | 500,000,000 | - |
케이비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17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 |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 조달을 위해 투자자의 납입능력 등을 고려하여 선정함 | - | 700,000,000 | - |
미래에셋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18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 |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 조달을 위해 투자자의 납입능력 등을 고려하여 선정함 | - | 500,000,000 | - |
케이비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19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 |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 조달을 위해 투자자의 납입능력 등을 고려하여 선정함 | - | 100,000,000 | - |
케이비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20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 |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 조달을 위해 투자자의 납입능력 등을 고려하여 선정함 | - | 400,000,000 | - |
케이비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21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 |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 조달을 위해 투자자의 납입능력 등을 고려하여 선정함 | - | 500,000,000 | - |
케이비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22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 |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 조달을 위해 투자자의 납입능력 등을 고려하여 선정함 | - | 800,000,000 | - |
케이비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23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 |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 조달을 위해 투자자의 납입능력 등을 고려하여 선정함 | - | 200,000,000 | - |
삼성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24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 |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 조달을 위해 투자자의 납입능력 등을 고려하여 선정함 | - | 500,000,000 | - |
신한투자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25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 |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 조달을 위해 투자자의 납입능력 등을 고려하여 선정함 | - | 500,000,000 | - |
케이비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26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 |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 조달을 위해 투자자의 납입능력 등을 고려하여 선정함 | - | 500,000,000 | - |
제이비-라이노스 메자닌 신기술사업투자조합 | - |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 조달을 위해 투자자의 납입능력 등을 고려하여 선정함 | - | 2,000,000,000 | - |
케이비-수성 제1호 신기술사업투자조합 | - |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 조달을 위해 투자자의 납입능력 등을 고려하여 선정함 | - | 1,500,000,000 | - |
구분 | 집합투자기구 | 집합투자업자 | 신탁업자 |
---|---|---|---|
본건 펀드1 | 지브이에이 M2-2 일반 사모투자신탁 제1호 | GVA자산운용 | KB증권 |
본건 펀드2 | GVA M2-6 일반 사모투자신탁 제1호 | ||
본건 펀드3 | 씨스퀘어 메자닌플러스 일반 사모투자신탁 22호 | 씨스퀘어자산운용 | NH투자증권 |
본건 펀드4 | 씨스퀘어 벤처투자 일반 사모투자신탁 12호 | ||
본건 펀드5 | 씨스퀘어 메자닌플러스 일반 사모증권투자신탁 23호 | 삼성증권 | |
본건 펀드6 | 파로스 코스닥벤처 일반 사모투자신탁 4호 | 파로스자산운용 | NH투자증권 |
본건 펀드7 | 파로스 코스닥벤처 일반 사모투자신탁 5호 | ||
본건 펀드8 | SP 코스닥벤처 일반 사모투자신탁 4호 | 에스피자산운용 | KB증권 |
본건 펀드9 | 안다H 메자닌 일반사모투자신탁 제13호(전문) | 안다H자산운용 | KB증권 |
본건 펀드10 | 안다H KBIZ 알파 일반사모투자신탁 2023-나 | 삼성증권 | |
본건 펀드11 | 아트만 코스닥벤처 일반사모투자신탁 제5호 | 아트만자산운용 | KB증권 |
본건 펀드12 | 오라이언 명품 코스닥벤처 일반 사모투자신탁 제80호 | 오라이언자산운용 | KB증권 |
본건 펀드13 | 오라이언 명품 코스닥벤처 일반 사모투자신탁 제83호 | NH투자증권 | |
본건 펀드14 | 오라이언 명품 메자닌 일반 사모투자신탁 제85호 | ||
본건 펀드15 | 나이스코스닥벤처일반사모투자신탁제1호 | 나이스자산운용 | KB증권 |
본건 펀드16 | 나이스코스닥벤처일반사모투자신탁2호 | ||
본건 펀드17 | 나이스코스닥벤처일반사모투자신탁3호 | ||
본건 펀드18 | 포커스 The banks1 일반(전문투자자) 사모증권투자신탁 제1호 | 포커스자산운용 | 미래에셋증권 |
본건 펀드19 | 포커스 얼라이언스 일반 사모투자신탁 제1호 | KB증권 | |
본건 펀드20 | 포커스 메자닌 K-STAR 일반 사모증권투자신탁 제1호 | ||
본건 펀드21 | 포커스 ROYAL CROWN 일반 사모투자신탁 제1호 | ||
본건 펀드22 | 라이노스 메자닌 일반 사모증권투자신탁 제17호 | 라이노스자산운용 | KB증권 |
본건 펀드23 | 라이노스 메자닌 일반 사모증권투자신탁 제19호 | ||
본건 펀드24 | 라이프 IPO코스닥벤처일반사모투자신탁제6호 | 라이프자산운용 | 삼성증권 |
본건 펀드25 | 라이프 IPO코스닥벤처일반사모투자신탁제7호 | 신한투자증권 | |
본건 펀드26 | 아이트러스트M코스닥벤처일반사모투자신탁4호(전문투자자) | 아이트러스트자산운용 | KB증권 |
【사채발행 대상 법인 또는 단체가 권리 행사로 주주가 되는 경우】 |
(1) 법인 또는 단체에 관한 기본정보 |
명 칭 | 출자자수 (명) | 대표이사 (대표조합원) | 업무집행자 (업무집행조합원) | 최대주주 (최대출자자) | |||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
제이비-라이노스 메자닌 | 3 | 제이비우리캐피탈㈜ | 27.52 | 제이비우리캐피탈㈜ | 27.52 | 한국투자증권㈜ (특정금전신탁의신탁업자로서) | 72.02 |
- | - | ㈜라이노스자산운용 | 0.46 | - | - |
(2) 법인 또는 단체의 최근 결산기 주요 재무사항 | (단위 : 백만원) |
회계연도 | 2023 | 결산기 | 12월 |
자산총계 | 21,808 | 매출액 | - |
부채총계 | 3 | 당기순손익 | -38 |
자본총계 | 21,805 | 외부감사인 | - |
자본금 | 21,800 | 감사의견 | - |
【사채발행 대상 법인 또는 단체가 권리 행사로 주주가 되는 경우】 |
(1) 법인 또는 단체에 관한 기본정보 |
명 칭 | 출자자수 (명) | 대표이사 (대표조합원) | 업무집행자 (업무집행조합원) | 최대주주 (최대출자자) | |||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
케이비-수성 제1호 신기술사업투자조합 | 4 | - | - | 케이비증권㈜ | 10.0 | 한국투자증권㈜ | 82.5 |
- | - | 수성자산운용㈜ | 2.5 | - | - |
(2) 법인 또는 단체의 최근 결산기 주요 재무사항 | (단위 : 백만원) |
회계연도 | 2023 | 결산기 | 12월 |
자산총계 | 20,190 | 매출액 | - |
부채총계 | - | 당기순손익 | 190 |
자본총계 | 20,190 | 외부감사인 | 현대회계법인 |
자본금 | 20,000 | 감사의견 | 적정 |
【조달자금의 구체적 사용 목적】 |
【시설자금의 경우】 |
(단위 : 백만원) |
세부내역* | 투자기간 | 투자금액 |
---|---|---|
생산 Capa확대를 위한 신규공장 투자 | 2024년~2029년 | 12,000 |
신제품 개발을 위한 연구시설 및 장비 확보 | 2024년~2029년 | 6,000 |
신제품 개발을 위한 R&D 투자 | 2024년~2029년 | 6,000 |
【미상환 주권 관련 사채권에 관한 사항】 |
전환 (행사) 가능 주식 | 기발행 미상환 사채권 | 종류 | 잔액(원) | 전환(행사) 가액(원) | 전환(행사) 가능주식수(주) | 전환(행사) 가능기간 | 비 고 | |
- | - | - | - | - | - | |||
소계 | - | - | (A) | - | - | - | ||
신규 발행 사채권 | 24,000,000,000 | 4,795 | (B) | 5,005,213 | 2025년 03월 11일 ~ 2029년 02월 11일 | - | ||
합계 | 24,000,000,000 | - | 5,005,213 | - | - | |||
기발행주식 총수(주) (C) | 23,862,351 | |||||||
기발행주식총수 대비 비율(%) (D=(A+B)/C) | 20.98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070007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