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노공업 (05847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4-03-11 13:30: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11000216



주주총회소집공고


2024  년   3  월   11  일


회   사   명 :  리노공업주식회사
대 표 이 사 :  이채윤
본 점 소 재 지 :  부산광역시 강서구 미음산단로105번길 10

(전   화) 051-831-3232

(홈페이지) https://leeno.com/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상무 (성  명) 최용기

(전  화) 051-831-3232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28기 정기)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 및 정관 제17조에 의하여 제28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고자 통지하오니 바쁘시더라도 부디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시 : 2024년 3월 26일(화요일) 오전 10시
2. 장소 : 부산광역시 강서구 미음산단로105번길 10,
              리노공업주식회사 본사 대회의실
             (홈페이지 : https://leeno.com/kr, 전화번호 : 051-831-3232)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28기(2023.01.01.~2023.12.31.) 재무제표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안) 포함)승인의 건  
                     ※ 현금배당 : 1주당 3,000원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사내이사 1명)

           제2-1호 의안 : 사내이사 이채윤 재선임의 건

  제3호 의안 : 이사보수 한도액 승인의 건

  제4호 의안 : 감사보수 한도액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당사의 본사와 명의개서대행회사(국민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였으며, 금융위원회 및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60조 제5호에 따른 전자위임장권유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두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시거나, 전자위임장을 수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 전자위임장 권유관리시스템  

- 인터넷 주소 : https://evote.ksd.or.kr
- 모바일 주소 : https://evote.ksd.or.kr/m

나. 전자투표 행사, 전자위임장 수여기간

- 2024년 3월 16일 9시 ~ 2024년 3월 25일 17시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다. 인증서를 이용하여 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K-VOTE에서 사용 가능한 인증서 한정)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 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6.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 직접행사 : 주주총회 참석장, 신분증

- 대리행사 : 주주총회 참석장,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7.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상법 시행령 제31조 제4항의 규정에 따라 주총 1주전 당사의 홈페이지에 공고함으로써 갈음합니다. (게재위치: https://leeno.com/kr, INVESTORS→재무현황 및 공시 정보→주요 공시정보)

8. 기타사항

주주총회 기념품은 지급하지 아니하오니 이점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리노공업주식회사
이채윤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김정수
(출석률: 100%)
노의철
(출석률: -)
찬 반 여 부
149 2023.02.13. 2022년도(제27기) 내부 재무제표 승인의 건
2022년도(제27기) 내부회계관리제도 보고의 건
찬성
-
-
150 2023.02.13. 2022년도 안전ㆍ보건계획서 승인 건 찬성 -
151 2023.02.28. 제27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일시 및 장소 결정
제27기 정기주주총회 회의 목적사항
전자투표제도 및 전자위임장 제도 도입의 건
찬성
찬성
찬성
-

- 2023년 3월 29일 정기주주총회에서 노의철 사외이사가 신규선임 되었습니다.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해당사항 없습니다.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2 6,000,000,000 56,000,000 28,500,000 -


※ 기타 참고사항
- 주총 승인금액은 사내(등기)이사, 사외이사 보수한도 합계 금액입니다.
- 상기 '인원수',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항목에는 사내(등기)이사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 상기 인원은 현재 재임중인 인원이며, 2023년 3월 29일 선임된 노의철 사외이사의 보수는 2023년 4월부터 지급되었습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해당사항 없습니다.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해당사항 없습니다.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당사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검사용 PROBE(SPRING CONTACT PROBE:LEENO PIN)와 반도체 검사용 소켓(IC TEST SOCKET)을 자체브랜드로 개발하여 제조 및 판매하는 사업과 초음파 진단기 등에 적용되는 의료기기 부품을 제조 및 판매하는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1) 산업의 특성
(가) LEENO PIN & IC TEST SOCKET 부문
하나의 반도체 칩을 생산하기 위한 과정으로 칩디자인, 웨이퍼가공, 패키징, 테스트를 거치게 됩니다. 이러한 공정들을 일괄 처리하는 업체를 IDM(종합반도체 업체 : Integrated Device Manufacturer)이라고 하며, IDM은 반도체 기술이 점차 고도화 되고 변화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개발과 투자에 대한 부담이 증가함에 따라 각 공정별 특화된 기업에 아웃소싱 하고 있습니다. 이 중 반도체 조립 및 최종 테스트 공정을 아웃소싱하는 업체를 OSAT(Outsourced Semiconductor Assembly&Test)라고 하며 해당 업체들은 반도체 칩의 제조기준에 준한 최악의 조건을 조성하였을 때 반도체 칩이 설계된 목적에 맞게 모든 기능을 구현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필수검사를 수행합니다.
LEENO PIN과 IC TEST SOCKET은 상기 필수검사 등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테스트장비가 다양한 반도체 칩과 호환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는 소모성부품으로써 다품종, 주문생산하는 제품입니다. LEENO PIN과 IC TEST SOCKET 제조산업은 기술집약적이며, 기술축적에 장기간 소요되고 제품의 신뢰성이 바탕이 되는 산업임에 따라 진입장벽 역시 높습니다.

(나) 의료기기 부문
'의료기기'란 사람 또는 동물에게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되는 기구, 기계, 장치, 재료 또는 이와 유사한 제품을 말합니다. 의료기기는 주사기 등 단순한 형태의 제품에서부터 MRI, CT, 의료용 로봇 등 최첨단 의료기기까지 다양한 제품군으로 구성되며, 기술이 발전할수록 더욱 복잡해지고 다양화되는 추세를 보입니다. 그리고 의료기기 산업은 국민의 건강증진 및 건강권 확보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부의 의료정책 및 관리제도와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으며, 마케팅 장벽 및 거래지속성이 높아 경기 민감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당사는 LEENO PIN과 IC TEST SOCKET 등의 미세제조공정에서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의료기기 산업에 진출하여 관련부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가) LEENO PIN & IC TEST SOCKET 부문
표1. 반도체 APPLICATION별 시장규모(2020, 2022, 2025, 2030)

출처: Statista(2023년 2월)

 Statista는 2030년까지 반도체 Application별 시장 규모를 상기와 같이 전망하고 있습니다. 2030년에는 스마트폰 2,130억불, 서버/데이터센터/스토리지 2,490억불, 개인용 컴퓨터 1,310억불, 자동차 1,490억불, 산업용 전자제품 1,600억불, 가전제품  1,140억불, 유무선기반시설 820억불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며 전반적인 반도체 Application별 시장의 꾸준한 성장을 전망하였습니다.

표2. 전체 반도체 시장 전망(지역별, 분야별)

  (단위 : 미화 백만 불, %)
구분 매출액 성장률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미국 141,136 132,536 162,154 16.2 -6.1 22.3
유럽 53,853 57,048 59,480 12.8 5.9 4.3
일본 48,158 47,209 49,275 10.2 -2.0 4.4
아시아태평양 330,937 283,333 317,455 -3.5 -14.4 12.0
전세계 매출 총계 574,084 520,126 588,364 3.3 -9.4 13.1
디스크리트 반도체 33,993 35,951 37,459 12.0 5.8 4.2
광전자 43,908 42,583 43,324 1.2 -3.0 1.7
센서 21,782 19,417 20,127 13.7 -10.9 3.7
직접회로 474,401 422,175 487,454 2.5 -11.0 15.5
 - 아날로그 88,983 81,051 84,056 20.1 -8.9 3.7
 - 마이크로 79,073 76,579 81,937 -1.4 -3.2 7.0
 - 로직 176,578 174,944 191,693 14.0 -0.9 9.6
 - 메모리 129,767 89,601 129,768 -15.6 -31.0 44.8
총 제품 총계 574,084 520,126 588,364 3.3 -9.4 13.1
출처: WSTS (2023년 11월 28일)

 WSTS(세계반도체시장통계기구)는 2023년 반도체 시장 규모를 2022년 대비 9.4% 감소한 5,201억불, 2024년 시장 규모는 2023년 대비 13.1% 증가한 5,884억불로 전망하였습니다. 또한, 2023년에는 전력반도체가 견인한 디스크리트 반도체 부문이 2022년 대비 5.8% 성장하고, 아날로그, 마이크로, 로직, 메모리를 포함한 직접회로 부문은 2022년 대비 11% 감소할 것으로 예측하였습니다. 지역별로는 유럽 지역이 2022년 대비 5.9% 성장, 그 외 지역은 감소할 것으로 예측하였습니다.
2024년에는 메모리 부문이 2023년 대비 44.8% 증가한 1,298억불로 성장하며 2024년 반도체 시장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하였고, 디스크리트 반도체, 센서, 아날로그, 로직, 마이크로 등 거의 모든 부문이 한 자리 수 성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또한, 미국 및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2023년 대비 각각 22.3% 및 12.0%의 견실한 두 자리 수 성장을 보이는 등 모든 지역에서 반도체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나) 의료기기 부문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와 만성질환 환자, 1인 가구가 급증함에 따라 의료서비스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과거의 치료 및 진단 중심에서 정밀의료, 예측의료, 예방의료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의료기기 산업은 3D 프린팅, 로봇기술, 스마트 헬스케어,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과 융합하여 다양한 신기술이 출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COVID-19 여파로 웨어러블과 같은 의료기술이 보편화 되고 있으며 COVID-19의 확산을 억제하기 위해 사람과 접촉하지 않고 환자를 진단, 치료 및 모니터링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져 의료 전문가가 환자를 원격으로 진료할 수 있는 의료기술의 적용이 증가하였습니다. 웨어러블 및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혁신적인 이미징 장비를 개발하는 하이브리드 이미징 기술,이온화 방사선이 적은 장치,기술적으로 진보된 의료기기 개발등으로 고객과 소비자의 수요를 실현하며 의료기기 시장은 진보하고 있습니다. 특히 초음파 진단기 산업은 단순한 진단의 영역에서 벗어나 스크리닝, 예방, 진단, 치료, 관리로 이뤄지는 의료서비스 전체 영역으로 사용 범위가 확대되어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표3. 북미지역 의료기기 시장규모 전망(2019~2030)

출처: Fortune Business Insights, North America Medical Device Market Size

 Fortune Business Insights는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에서 북미지역이 상기 표3과 같이 향후 수년간 지배력을 유지하며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Fortune Business Insights는 2022년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 규모가 5,122.9억 달러였지만 2023년에는 5,361.2억 달러로 증가하고 2030년에는 7,996.7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만성질환 유병률이 증가하고, 조기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의료 기관의 강조가 증가함에 따라 진단 및 수술 절차를 밟는 환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입원 환자 수의 증가와 수술 및 진단 절차의 증가는 선진국과 신흥국에서 의료장비 및 소모품을 포함한 의료 기기 수요를 촉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R&D 투자 증가와 규제 당국이 제공하는 우호적인 시나리오를 통해 의료 기기 산업이 활성화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1) 시장여건
[LEENO PIN & IC TEST SOCKET 부문]
IoT, AI, 5G, VR, AR, 빅데이터, 메타버스, 자율주행 및 전기자동차 등 4차 산업 부각으로 IT관련 디바이스에 대한 신규 수요가 증가하며 전 세계 반도체 및 관련 시장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반도체 테스트 공정에 사용되는 LEENO PIN과 IC TEST SOCKET 등의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신규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는 개발용 LEENO PIN과 IC TEST SOCKET의 수요 또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현재 LEENO PIN & IC TEST SOCKET 부문의 수출과 내수의 비중은 8:2 규모이며 시장수요변동의 특별한 요인은 없으나,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세계적인 경기침체 상황이 지속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국내외 경기 둔화로 인한 소비 감소가 지속하여 이어질 경우 당사의 매출과 수익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수 있습니다.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부각되고 있는 비대면 산업, 5G, 클라우드, AI, 빅데이터, 메타버스 등 미래지향형 분야는 우호적인 영업환경을 보일 것입니다.

[의료기기 부문]
의료기기 산업은 제품에 대한 인지도와 브랜드 파워가 매우 중요한 산업이며, 유명 글로벌 업체들이 대부분의 시장을 점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현재 지멘스社와 2010년부터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초음파 프로브용 부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의료기기산업은 다른 분야의 기술과 융합이 가능하고, 타산업의 기술발전에 따라 신제품과 신시장이 열릴 가능성이 큰 차세대 고부가가치 산업 분야입니다. ICT와 융합한 의료기기는 기존 의료기기와는 달리 복잡하고 다양화된 특성을 갖고 있으며, 의학, 전기전자, 광학 등의 기술과 융합할 수 있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의료기기 부품 시장은 더욱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당사의 의료기기부품에 대한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최근에는 글로벌 선도기업 중심으로 소형화 및 다양한 기술 수준(프로브 및 소프트웨어)의 향상을 통한 혁신적인 제품 출시등으로 성숙화된 시장에서 매출액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2) 회사의 경쟁우위요소

[LEENO PIN & IC TEST SOCKET 부문]
당사는 지난 40년 이상의 업력과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다품종 및 단납기에 대응할 수 있는 생산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가 국내 최초로 개발한 LEENO PIN을 이용한 IC TEST SOCKET은 전기전자 부품과 반도체 칩을 안정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는 강점이 있습니다. 당사는 제품생산을 위한 전공정 시스템을 구축하여 안정적인 품질유지, 원가절감,  리드타임에 경쟁우위를 유지하고자하며 고객사가 요구하는 제품을 당사의 기술과 노하우로 생산하여 시장 변화에 선도적인 제품을 공급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의료기기 부문]
당사는 다품종 및 단납기에 대응할 수 있는 생산시스템을 보유하고 있고, LEENO PIN과 IC TEST SOCKET 등의 제조 공정에서 축적된 미세제조공정 노하우는 초음파진단기 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우위요소를 갖고 있습니다. 또한, 철저한 생산 및 품질관리 능력으로 향후 의료기기 분야의 큰 경쟁력을 가질 것입니다. 아울러 고객에게 양질의 부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초음파 장비, 시스템에서 우수한 영상 성능과 고객의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고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기여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제품 및 제조공정, 시장의 특징 등을 고려하여 사업부문을 LEENO PIN & IC TEST SOCKET 부문과 의료기기 부문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LEENO PIN & IC TEST SOCKET 부문의 주요 제품은 LEENO PIN과 IC TEST SOCKET이며, LEENO PIN은 반도체나 인쇄회로기판의 전기적 불량여부를 체크하는 소모성 부품이고 IC TEST SOCKET은 반도체(메모리 및 비메모리) 테스트 PACKAGE용 장비의 소모성 부품입니다. 의료기기 부문의 주요 제품은 의료기기 부품류이며 초음파 장비 등 의료기기에 적용되는 부품입니다.

(2) 시장점유율

 내수시장규모의 정확한 추산이 어렵고 기업공개가 이루어진 회사가 일부에 불과하여 정확한 매출자료를 조회할 수 없는 등 시장점유율을 추정하기 어려운 관계로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3) 시장의 특성
[LEENO PIN & IC TEST SOCKET 부문]
  - 소모성 및 부자재 성격의 고부가가치의 사업
 - 기존 TEST 설비 Upgrade에 따른 신규 수요확대
 - 차세대 반도체 제품개발 양산에 따른 수요확대
 - 신규 PACKAGE 형태에 따른 수요확대
 - 반도체, 통신, 전자제품 생산량 증가에 따른 수요확대
 - 소량 다품종 주문형 생산


[의료기기 부문]
 - 상대적으로 경기민감도가 낮은 안정적인 사업
 - 마케팅 장벽 및 거래지속성 높음
 - 기술발전에 따른 제품군 다양화로 신규 수요확대
 - 초음파 진단기 사용 범위 확대에 따른 수요확대
 - 수술 및 진단 절차 증가에 따른 수요확대
 - 만성질환 유병률 및 조기 진단 필요성 증가에 따른 수요확대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본 보고서 제출일 현재 추진중인 신규사업은 없습니다.


(5) 조직도

조직도(제28기)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제1호 의안 : 제28기(2023.01.01.~2023.12.31.) 재무제표(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안) 포함)승인의 건 (※현금배당금 1주당 3,000원)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 경영참고사항'의 '1. 사업의 개요'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28 기 2023. 12. 31 현재
제 27 기 2022. 12. 31 현재
(단위 : 원)
과 목 제 28 (당) 기 제 27 (전) 기

자                     산





Ⅰ.유동자산


372,372,898,847
377,024,805,599

 현금및현금성자산

34,165,877,177
30,366,977,656

 매출채권

29,831,505,651
39,326,047,673

 기타채권

3,344,483,021
6,824,703,807

 기타금융자산

289,172,000,000
286,767,000,000

 재고자산

14,252,453,441
13,111,076,097

 기타자산

1,606,579,557
629,000,366

Ⅱ.비유동자산


210,496,566,447
154,463,323,833

 기타채권

65,625,830
78,349,830

 기타금융자산

23,478,459,181
21,153,039,181

 유형자산

183,060,515,910
128,454,852,779

 무형자산

1,985,707,925
1,821,280,539
순확정급여자산 963,350,037
1,615,926,874

 이연법인세자산

 942,907,564
1,339,874,630

자   산   총   계

582,869,465,294

531,488,129,432

부               채





Ⅰ.유동부채


23,110,842,940
36,383,168,010

 매입채무

2,590,942,692
4,668,842,895

 기타채무

6,481,125,252
6,226,684,918

 당기법인세부채

13,212,556,823
24,669,351,193

 기타부채

737,939,722
716,179,640

 리스부채

88,278,451
102,109,364

Ⅱ.비유동부채


2,684,424,288
1,921,378,596

 순확정급여부채

-
-

 기타장기종업원급여부채

2,590,500,748
1,781,341,349

 리스부채

93,923,540
140,037,247

부   채   총   계


25,795,267,228
38,304,546,606

자               본





Ⅰ.자본금


7,621,185,000
7,621,185,000

Ⅱ.자본잉여금


5,601,810,444
5,601,810,444

Ⅲ.자본조정


(2,353,516,350)
(2,353,516,350)

Ⅳ.이익잉여금


546,204,718,972
482,314,103,732

자   본   총   계


557,074,198,066
493,183,582,826

부 채 와 자 본 총 계


582,869,465,294
531,488,129,432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8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제 27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31 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28 (당) 기 제 27 (전) 기

Ⅰ.매출액


255,573,034,656
322,422,803,089

Ⅱ.매출원가


127,238,409,519
167,794,521,227

Ⅲ.매출총이익


128,334,625,137
154,628,281,862

Ⅳ.판매비와관리비


13,956,224,846
17,993,551,880

Ⅴ.영업이익


114,378,400,291
136,634,729,982

Ⅵ.영업외손익


27,865,067,804
17,440,784,590

   기타수익

20,526,173,615
18,764,320,073

   기타비용

(3,821,207,007)
(7,019,781,090)

   금융수익

11,169,532,521
5,704,898,521

   금융비용

(9,431,325)
(8,652,914)

Ⅶ.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142,243,468,095
154,075,514,572

Ⅷ.법인세비용


31,320,452,655
39,711,723,245

Ⅸ.당기순이익


110,923,015,440
114,363,791,327

Ⅹ.기타포괄손익


(1,495,040,200)
(935,595,604)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포괄손익

(1,495,040,200)
(935,595,604)

   종업원급여재측정요소

(1,495,040,200)
(935,595,604)

XI.포괄손익


109,427,975,240
113,428,195,723

XⅡ.주당이익





   기본주당이익


7,308
7,534
   희석주당이익
7,308
7,534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28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처분예정일 : 2024년 3월 26일)
제 27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31 까지(처분확정일 : 2023년 3월 29일)
(단위 : 천원)
구분 제 28 (당) 기 제 27 (전) 기
I. 미처분이익잉여금 548,403,136 483,017,481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437,480,121 368,653,690
   당기순이익 110,923,015 114,363,791
II. 이익잉여금처분액 45,537,360 45,537,360
   현금배당 45,537,360 45,537,360
  [주당배당금(률):

  당기 : 3,000원(600%)

  전기 : 3,000원(600%)

III.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502,865,776 437,480,121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구  분

제28 (당) 기 제27 (전) 기
배당구분 현금배당 현금배당
주당액면가액(원) 500 500
주당배당금(원) 3,000 3,000
배당총액(원) 45,537,360,000 45,537,360,000
시가배당율(%) 1.5 1.8

  당기말 현재까지 당사가 발행한 주식의 총수는 15,242,370주이며, 그 중 자기주식   63,250주에 대한 배당금은 배당총액에서 제외하였습니다.

□ 이사의 선임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사내이사 1명)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이채윤 1950.08.06. 사내이사 - 본인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이채윤 리노공업(주) 대표이사 96년 ~ 현재 리노공업(주) 대표이사 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이채윤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이채윤 후보자]
후보자는 리노공업의 창업주이며 탁월한 의사결정과 폭넓은 식견을 통해 당사가 지속 성장하는데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창업이후 현재까지 리노공업의 발전과 함께하며 혁신적인 비즈니스 방향과 전략을 제시하며 경쟁력을 제고하였습니다. 치열한 경쟁과 어려운 영업환경이 지속되는 상황에서도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창출해 내는 역량과 신기술에 대한 통찰력을 보유하고 있어 당사의 리더십을 공고히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후보자의 전략적 안목과 경영노하우는 당사의 비즈니스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되므로 사내이사 후보로 추천합니다.


확인서

확인서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제3호 의안 : 이사보수 한도액 승인의 건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6(2)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6,000,000,000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6(2)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3,580,838,370원
최고한도액 6,000,000,000원


※ 기타 참고사항

- 상기 인원은 현재 재임중인 인원이며, 2023.3.29. 선임된 노의철 사외이사의 보수는 4월부터 지급되었습니다.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제4호 의안 : 감사보수 한도액 승인의 건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000,000원


(전 기)

감사의 수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64,000,000원
최고한도액 100,000,000원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4년 03월 18일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당사는 2024년 3월 18일(주주총회 1주전)까지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공시하고, 당사 홈페이지(https://leeno.com/kr, Investors→재무현황 및 공시 정보→주요 공시정보)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이후 변경되거나 정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권유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60조 제5호에 따른 전자위임장권유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두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시거나, 전자위임장을 수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 전자위임장 권유관리시스템  

- 인터넷 주소 : https://evote.ksd.or.kr
- 모바일 주소 : https://evote.ksd.or.kr/m

나. 전자투표 행사, 전자위임장 수여기간

- 2024년 3월 16일 9시 ~ 2024년 3월 25일 17시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다. 인증서를 이용하여 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K-VOTE에서 사용 가능한 인증서 한정)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 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주주총회 집중일 개최사유]
- 해당사항 없습니다.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11000216

리노공업 (05847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