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정정]주주총회소집공고 2024-03-22 07:30: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21002045
2024년 03월 21일 |
1. 정정대상 공시서류 : 주주총회소집공고
2. 정정대상 공시서류의 최초제출일 : 2024년03월14일
3. 정정사항
항 목 | 정정사유 | 정 정 전 | 정 정 후 |
---|---|---|---|
III. 경영참고사항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재무제표의 승인 | 외부감사인의 감사 결과에 따른 재무제표 정정 | 아래[주1]참조 | 아래[주2]참조 |
[주1] 수정전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나.회사의 현황 참고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ㆍ현금흐름표
※ 재무제표는 제출일 현재 감사인의 검토받지 아니하였으며,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 및 정기주주총회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주주총회 1주일전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co.kr)에 공시예정인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별도재무제표
<재 무 상 태 표>
제 29(당) 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
제 28(전) 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
(단위 : 원 ) |
과 목 | 제 29(당) 기 | 제 28(전) 기 |
---|---|---|
자 산 |
|
|
I. 유동자산 | 19,728,936,590 | 21,854,998,736 |
현금및현금성자산 | 716,756,262 | 2,782,154,439 |
매출채권 | 6,416,253,129 | 7,827,483,370 |
단기기타채권 | 10,331,226,431 | 9,234,573,162 |
파생상품자산 | - | 52,502,898 |
재고자산 | 2,210,003,950 | 1,907,614,848 |
기타유동자산 | 54,696,818 | 50,670,019 |
II. 비유동자산 | 72,140,773,735 | 60,577,576,154 |
장기금융자산 | 2,000,000 | 2,000,000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51,565,370 | 51,347,326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12,320 | |
관계기업투자 | 58,164,489,508 | 48,769,821,148 |
장기대여금 | 2,578,800,000 | - |
투자부동산 | 315,834,360 | 315,834,360 |
유형자산 | 11,016,520,177 | 11,430,795,820 |
무형자산 | 5,282,000 | 1,507,500 |
기타비유동자산 | 6,270,000 | 6,270,000 |
자 산 총 계 | 91,869,710,325 | 82,432,574,890 |
부 채 | ||
I. 유 동 부 채 | 38,002,767,699 | 35,657,256,331 |
단기금융부채 | 28,600,000,000 | 22,535,438,880 |
전환사채 | 3,000,000,000 | 4,621,585,138 |
신주인수권부사채 | 3,000,000,000 | 4,621,585,138 |
매입채무 | 1,863,386,124 | 1,941,712,318 |
단기기타채무 | 584,710,291 | 666,066,753 |
당기법인세부채 | 41,263,294 | 295,947,264 |
기타유동부채 | 913,407,990 | 974,920,840 |
II. 비 유 동 부 채 | 6,789,623,319 | 6,772,337,504 |
장기금융부채 | - | - |
장기기타채무 | - | - |
확정급여부채 | 535,688,944 | 518,403,129 |
이연법인세부채 | 6,253,934,375 | 6,253,934,375 |
부 채 총 계 | 44,792,391,018 | 42,429,593,835 |
자 본 | ||
I. 자본금 | 2,863,222,000 | 2,530,000,000 |
II. 자본잉여금 | 10,725,022,190 | 7,065,947,034 |
III.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1,038,905,100 | 1,175,349,935 |
IV. 이익잉여금 | 32,450,170,018 | 29,231,684,086 |
자 본 총 계 | 47,077,319,307 | 40,002,981,055 |
부채및자본총계 | 91,869,710,325 | 82,432,574,890 |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29(당)기말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제28(전)기말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 원 ) |
과 목 | 제 29(당) 기 | 제 28(전) 기 |
---|---|---|
I. 매출액 | 34,871,199,766 | 36,870,058,888 |
II. 매출원가 | 30,986,675,792 | 32,754,042,320 |
III. 매출총이익 | 3,884,523,974 | 4,116,016,568 |
IV. 판매비와관리비 | 3,037,786,220 | 2,728,337,478 |
V. 영업이익 | 846,737,754 | 1,387,679,090 |
VI.영업외손익 | 2,813,107,601 | 832,012,080 |
관계기업투자손익 | 3,550,672,328 | 2,673,583,846 |
기타수익 | 724,087,628 | 24,827,042 |
기타비용 | (365,588,244) | (77,620,091) |
금융수익 | 993,320,761 | 1,087,021,844 |
금융비용 | (2,089,384,872) | (2,875,800,561) |
VII.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3,659,845,355 | 2,219,691,170 |
VIII. 법인세비용 | 223,773,080 | 199,813,722 |
IX. 당기순이익 | 3,436,072,275 | 2,019,877,448 |
X. 기타포괄손익 | (218,755,718) | (602,065,623) |
1.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 될 수 있는 항목: | - | - |
지분법자본변동 | (136,444,835) | (249,777,547) |
2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 되지 않는 항목: | - | -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 | 134,216,580 |
지분법이익잉여금변동 | (82,310,883) | (486,504,656) |
XI. 총포괄손익 | 3,217,316,556 | 1,417,811,825 |
XII. 주당이익 | - | - |
기본주당순이익 | 600 | 399 |
희석주당순이익 | 600 | 399 |
<자 본 변 동 표>
제29(당)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제28(전)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 원 ) |
과 목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이익잉여금 | 합계 |
2022.01.01(당기초) | 2,530,000,000 | 6,320,073,880 | 1,425,127,482 | 27,564,094,714 | 37,839,296,076 |
총포괄손익 | - | ||||
당기순이익 | - | - | - | 2,019,877,448 | 2,019,877,448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 - | 134,216,580 | 134,216,580 |
지분법자본변동 | - | - | (249,777,547) | - | (249,777,547) |
지분법이익잉여금변동 | - | - | - | (486,504,656) | (486,504,656) |
전환권대가 | - | 372,936,577 | - | - | 372,936,577 |
신주인수권대가 | - | 372,936,577 | - | - | 372,936,577 |
2022.12.31(당기말) | 2,530,000,000 | 7,065,947,034 | 1,175,349,935 | 29,231,684,086 | 40,002,981,055 |
2023.01.01(당기초) | 2,530,000,000 | 7,065,947,034 | 1,175,349,935 | 29,231,684,086 | 40,002,981,055 |
총포괄손익 | - | - | |||
당기순이익 | - | - | - | 3,436,072,275 | 3,436,072,275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 - | (135,275,460) | (135,275,460) |
지분법자본변동 | - | - | (136,444,835) | - | (136,444,835) |
지분법이익잉여금변동 | - | - | - | (82,310,883) | (82,310,883) |
소유주와의 거래 | - | - | - | - | - |
연차배당 | - | - | - | - | - |
전환사채의 전환 | 166,611,000 | 1,829,537,578 | - | - | 1,996,148,578 |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전환 | 166,611,000 | 1,829,537,578 | - | - | 1,996,148,578 |
2023.12.31(당기말) | 2,863,222,000 | 10,725,022,190 | 1,038,905,100 | 32,450,170,018 | 47,077,319,307 |
< 현 금 흐 름 표>
제29(당)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제28(반)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 원 ) |
과 목 | 제 29(당) 기 | 제 28(전) 기 | ||
---|---|---|---|---|
Ⅰ. 영업활동 현금흐름 | 1,327,682,106 | 25,067,857 | ||
1. 영업활동에서 창출된 현금흐름 | 2,505,948,401 | 539,978,303 | ||
가. 당기순이익 | 3,436,072,275 | 2,019,877,448 | ||
나. 비현금항목의 조정 | (1,632,189,957) | 894,569,840 | ||
다.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부채의 변동 | 702,066,083 | (2,374,468,985) | ||
2. 이자의 수령 | 575,286,816 | 390,837,265 | ||
3. 배당금의 수령 | - | - | ||
4. 법인세환급(납부) | (478,457,050) | (241,345,340) | ||
5. 이자의 지급 | (1,275,096,061) | (664,402,371) | ||
Ⅱ. 투자활동 현금흐름 | (9,545,211,403) | (4,126,833,408) | ||
1.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638,880,664 | 3,568,272,727 | ||
단기기타채권의 감소 | 622,244,300 | 3,556,500,000 | ||
관계기업투자주식의 처분 | - | - | ||
투자부동산의 처분 | - | - | ||
유형자산의 처분 | 16,636,364 | 11,772,727 | ||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10,184,092,067) | (7,695,106,135) | ||
단기기타채권의 증가 | 4,267,300,000 | 6,000,000,000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증가 | - | - | ||
관계기업투자주식의 취득 | 5,367,896,325 | - | ||
유형자산의 취득 | 542,735,742 | 1,695,106,135 | ||
무형자산의 취득 | 6,160,000 | - | ||
Ⅲ. 재무활동 현금흐름 | 6,152,131,120 | 6,598,000,002 | ||
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13,087,570,000 | 16,923,000,000 | ||
정부보조금의 수령 | - | 209,620,000 | ||
단기금융부채의 차입 | 13,000,000,000 | 16,700,000,000 | ||
사채 발행 | - | - | ||
국고보조금의 증가 | 87,570,000 | 13,380,000 | ||
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6,935,438,880) | (10,324,999,998) | ||
단기금융부채의 상환 | 6,900,000,000 | 10,324,999,998 | ||
장기미지급금의 상환 | 35,438,880 | - | ||
Ⅳ.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 - | (7,382,679) | ||
Ⅴ.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 | (2,065,398,177) | 2,488,851,772 | ||
Ⅵ.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2,782,154,439 | 293,302,667 | ||
Ⅶ. 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716,756,262 | 2,782,154,439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없음
[주2] 수정후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나.회사의 현황 참고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ㆍ현금흐름표
※ 재무제표는 제출일 현재 감사인의 검토받지 아니하였으며,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 및 정기주주총회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주주총회 1주일전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co.kr)에 공시예정인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별도재무제표
<재 무 상 태 표>
제 29(당) 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
제 28(전) 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
(단위 : 원 ) |
과 목 | 제 29(당) 기 | 제 28(전) 기 |
---|---|---|
자 산 |
|
|
I. 유동자산 | 19,728,936,590 | 21,854,998,736 |
현금및현금성자산 | 716,756,262 | 2,782,154,439 |
매출채권 | 6,416,253,129 | 7,827,483,370 |
단기기타채권 | 10,331,226,431 | 9,234,573,162 |
파생상품자산 | - | 52,502,898 |
재고자산 | 2,210,003,950 | 1,907,614,848 |
기타유동자산 | 54,696,818 | 50,670,019 |
당기법인세자산 | 116,129,886 | - |
II. 비유동자산 | 72,492,507,645 | 60,577,576,154 |
장기금융자산 | 2,000,000 | 2,000,000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51,565,370 | 51,347,326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12,320 | - |
관계기업투자 | 58,516,223,418 | 48,769,821,148 |
장기대여금 | 2,578,800,000 | - |
투자부동산 | 315,834,360 | 315,834,360 |
유형자산 | 11,016,520,177 | 11,430,795,820 |
무형자산 | 5,282,000 | 1,507,500 |
장기기타채권 | 6,270,000 | 6,270,000 |
자 산 총 계 | 92,337,574,121 | 82,432,574,890 |
부 채 | ||
I. 유 동 부 채 | 37,961,504,405 | 35,657,256,331 |
단기금융부채 | 28,600,000,000 | 22,535,438,880 |
전환사채 | 3,000,000,000 | 4,621,585,138 |
신주인수권부사채 | 3,000,000,000 | 4,621,585,138 |
매입채무 | 1,863,386,124 | 1,941,712,318 |
단기기타채무 | 584,710,291 | 666,066,753 |
당기법인세부채 | - | 295,947,264 |
기타유동부채 | 913,407,990 | 974,920,840 |
II. 비 유 동 부 채 | 7,080,163,219 | 6,772,337,504 |
장기금융부채 | - | - |
장기기타채무 | - | - |
확정급여부채 | 535,688,944 | 518,403,129 |
이연법인세부채 | 6,544,474,275 | 6,253,934,375 |
부 채 총 계 | 45,041,667,624 | 42,429,593,835 |
자 본 | ||
I. 자본금 | 2,863,222,000 | 2,530,000,000 |
II. 자본잉여금 | 10,725,022,190 | 7,065,947,034 |
III.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1,486,641,067 | 1,175,349,935 |
IV. 이익잉여금 | 32,221,021,240 | 29,231,684,086 |
자 본 총 계 | 47,295,906,497 | 40,002,981,055 |
부채및자본총계 | 92,337,574,121 | 82,432,574,890 |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29(당)기말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제28(전)기말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 원 ) |
과 목 | 제 29(당) 기 | 제 28(전) 기 |
---|---|---|
I. 매출액 | 34,871,199,766 | 36,870,058,888 |
II. 매출원가 | 30,986,675,792 | 32,754,042,320 |
III. 매출총이익 | 3,884,523,974 | 4,116,016,568 |
IV. 판매비와관리비 | 3,037,786,220 | 2,728,337,478 |
V. 영업이익 | 846,737,754 | 1,387,679,090 |
VI.영업외손익 | 2,263,007,376 | 832,012,080 |
관계기업투자주식관련손익 | 3,695,427,529 | 2,673,583,846 |
기타수익 | 29,232,202 | 24,827,042 |
기타비용 | (19,703,808) | (77,620,091) |
금융수익 | 1,008,893,188 | 1,087,021,844 |
금융비용 | (2,450,841,735) | (2,875,800,561) |
VII.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3,109,745,130 | 2,219,691,170 |
VIII. 법인세비용 | 249,936,696 | 199,813,722 |
IX. 당기순이익 | 2,859,808,434 | 2,019,877,448 |
X. 기타포괄손익 | 440,819,852 | (602,065,623) |
1.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 될 수 있는 항목: | - | - |
지분법자본변동 | 311,291,132 | (249,777,547) |
2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 되지 않는 항목: | - | -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108,856,858) | 134,216,580 |
지분법이익잉여금변동 | 238,385,578 | (486,504,656) |
XI. 총포괄손익 | 3,300,628,286 | 1,417,811,825 |
XII. 주당이익 | - | - |
기본주당순이익 | 544 | 399 |
희석주당순이익 | 493 | 399 |
<자 본 변 동 표>
제29(당)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제28(전)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 원 ) |
과 목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이익잉여금 | 합계 |
2022.01.01(당기초) | 2,530,000,000 | 6,320,073,880 | 1,425,127,482 | 27,564,094,714 | 37,839,296,076 |
총포괄손익 | - | ||||
당기순이익 | - | - | - | 2,019,877,448 | 2,019,877,448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 - | 134,216,580 | 134,216,580 |
지분법자본변동 | - | - | (249,777,547) | - | (249,777,547) |
지분법이익잉여금변동 | - | - | - | (486,504,656) | (486,504,656) |
전환권대가 | - | 372,936,577 | - | - | 372,936,577 |
신주인수권대가 | - | 372,936,577 | - | - | 372,936,577 |
2022.12.31(당기말) | 2,530,000,000 | 7,065,947,034 | 1,175,349,935 | 29,231,684,086 | 40,002,981,055 |
2023.01.01(당기초) | 2,530,000,000 | 7,065,947,034 | 1,175,349,935 | 29,231,684,086 | 40,002,981,055 |
총포괄손익 | - | - | |||
당기순이익 | - | - | - | 2,859,808,434 | 2,859,808,434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 - | (108,856,858) | (108,856,858) |
지분법자본변동 | - | - | 311,291,132 | - | 311,291,132 |
지분법이익잉여금변동 | - | - | - | 238,385,578 | 238,385,578 |
소유주와의 거래 | - | - | - | - | - |
연차배당 | - | - | - | - | - |
전환사채의 전환 | 166,611,000 | 1,829,537,578 | - | - | 1,996,148,578 |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전환 | 166,611,000 | 1,829,537,578 | - | - | 1,996,148,578 |
2023.12.31(당기말) | 2,863,222,000 | 10,725,022,190 | 1,486,641,067 | 32,221,021,240 | 47,295,906,497 |
< 현 금 흐 름 표>
제29(당)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제28(반)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 원 ) |
과 목 | 제 29(당) 기 | 제 28(전) 기 | ||
---|---|---|---|---|
Ⅰ. 영업활동 현금흐름 | 1,327,682,106 | 25,067,857 | ||
1. 영업활동에서 창출된 현금흐름 | 2,505,948,401 | 539,978,303 | ||
가. 당기순이익 | 2,859,808,434 | 2,019,877,448 | ||
나. 비현금항목의 조정 | (1,350,444,637) | 894,569,840 | ||
다.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부채의 변동 | 996,584,604 | (2,374,468,985) | ||
2. 이자의 수령 | 575,286,816 | 390,837,265 | ||
3. 배당금의 수령 | - | - | ||
4. 법인세환급(납부) | (478,457,050) | (241,345,340) | ||
5. 이자의 지급 | (1,275,096,061) | (664,402,371) | ||
Ⅱ. 투자활동 현금흐름 | (9,545,211,403) | (4,126,833,408) | ||
1.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638,880,664 | 3,568,272,727 | ||
단기기타채권의 감소 | 622,244,300 | 3,556,500,000 | ||
관계기업투자주식의 처분 | - | - | ||
투자부동산의 처분 | - | - | ||
유형자산의 처분 | 16,636,364 | 11,772,727 | ||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10,184,092,067) | (7,695,106,135) | ||
단기기타채권의 증가 | 4,267,300,000 | 6,000,000,000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증가 | - | - | ||
관계기업투자주식의 취득 | 5,367,896,325 | - | ||
유형자산의 취득 | 542,735,742 | 1,695,106,135 | ||
무형자산의 취득 | 6,160,000 | - | ||
Ⅲ. 재무활동 현금흐름 | 6,152,131,120 | 6,598,000,002 | ||
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13,087,570,000 | 16,923,000,000 | ||
정부보조금의 수령 | - | 209,620,000 | ||
단기금융부채의 차입 | 13,000,000,000 | 16,700,000,000 | ||
사채 발행 | - | - | ||
국고보조금의 증가 | 87,570,000 | 13,380,000 | ||
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6,935,438,880) | (10,324,999,998) | ||
단기금융부채의 상환 | 6,900,000,000 | 10,324,999,998 | ||
장기미지급금의 상환 | 35,438,880 | - | ||
Ⅳ.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 - | (7,382,679) | ||
Ⅴ.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 | (2,065,398,177) | 2,488,851,772 | ||
Ⅵ.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2,782,154,439 | 293,302,667 | ||
Ⅶ. 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716,756,262 | 2,782,154,439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없음
2024년 03월 14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케이피티유 | |
대 표 이 사 : | 박 준영 | |
본 점 소 재 지 : | 경기도 화성시 정남면 괘랑2길 1 | |
(전 화) 031-831-3000 | ||
(홈페이지)http://www.kpt4u.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상무이사 | (성 명) 이 원구 |
(전 화)031-831-3000 | ||
(제29기 정기주주총회)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우리 회사는 정관 제17조 및 제19조에 의하여 제29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법 제542조의4 및 정관 19조에 의거하여 발행주식 총수의 1% 이하 소유 주주에 대하여는 이 공고로 소집통지에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4년 03월 29일 (금) 오전 09시 00분
2. 장 소 : 경기도 화성시 정남면 괘랑2길 1 (주)케이피티유 2층 대회의실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29기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승인 의 건
제2호 의안 : 사내이사 선임의 건
2-1호 사내이사 박준영 재선임의 건
제3호 의안 : 감사 선임의 건
3-1호 감사 우정석 재선임의 건
제4호 의안 : 이사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5호 의안 : 감사보수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회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전자증권제도 시행에 따른 실물증권 보유자의 권리 보호에 관한 사항
2019년 9월 16일부터 전자증권제도가 시행되어 실물증권은 효력이 상실되었으며, 한국예탁결제원의 특별계좌(명부)주주로 전자등록되어 권리행사 등이 제한됩니다. 따라서 보유 중인 실물증권을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방문하여 전자등록으로 전환하시기 바랍니다.
6.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삼성증권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관리 시스템
인터넷 및 모바일 주소 : 「http://vote.samsungpop.com」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4년 3월 19일 오전 9시 ~ 2024년 3월 28일 오후 5시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단 시작일은 오전 9시부터 마감일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
다. 본인 인증방법은 증권용·범용 공동인증서 인증, 카카오페이 인증, PASS앱 인증을 통해 주주본인을 확인 후 의안별로 의결권 행사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 우 기권으로 처리
7.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주총참석장, 신분증
- 대리행사 : 주총참석장,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주식회사 케이피티유
대표이사 박 준영(직인생략)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A (출석률: %) | B (출석률: %) | C (출석률: %) | D (출석률: %) | |||
찬 반 여 부 | ||||||
- | - | - | - | - | - | -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 | - | - | - | - | - |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단기대여금 | (주)알루텍 (지배기업) | 2022.07.28~2024.08.31 | 60 | 17.2 |
단기대여금 | (주)알루텍 (지배기업) | 2023.10.30~2024.10.29 | 30 | 8.6 |
장기대여금 | ALK VINA (기타 특수관계자) | 2021.09.13~2025.09.13 | 25 | 7.4 |
단기대여금 | HYUNDAI VINA (기타 특수관계자) | 2022.12.30~2023.11.30 | 13 | 3.7 |
※ 상기 비율은 최근 사업연도말(2023년도말) 매출총액(349억)에 대한 비율이며, 월간 누적금액 1%이상에 대하여 기재하였음.
※ 상기 내용은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 및 정기주주총회의 승인과정에서 변동될 수 있습니다.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주)알루텍(지배기업) | 매입 등 | 2023.01.01~2023.12.31 | 26 | 7.6 |
(주)알루코(관계기업) | 매출 등 | 2023.01.01~2023.12.31 | 21 | 6.1 |
(주)알루코(관계기업) | 매입 등 | 2023.01.01~2023.12.31 | 21 | 6.1 |
HYUNDAI VINA (기타 특수관계자) | 매출 등 | 2023.01.01~2023.12.31 | 30 | 8.5 |
※ 상기 비율은 최근 사업연도말(2023년도말) 매출총액(349억)에 대한 비율이며, 월간 누적금액 1%이상에 대하여 기재하였음.
※ 상기 내용은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 및 정기주주총회의 승인과정에서 변동될 수 있습니다.
가. 업계의 현황
당사는 금속의 표면처리(Plasma PVD Coating, Metal Ceramic Coating)전문 기업으로 청정, 무공해의 환경친화적 공정으로 전기를 이용하여, 금속과 같은 재료분야에 내마모성, 내식성, 고온강도, 내피로성, 내부식성 등을 형성시키는 표면 코팅처리를 통하여 기계적,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유통구조상 최 후방산업으로 완제품의 수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제조산업의 기초분야입니다.
선진국의 경우 표면처리 산업은 관련 첨단산업인 진공산업 및 플라즈마 기술기반이 확고히 구축되어 있고, 일본, 유럽 및 아메리카의 각 국가별로 기술 국산화가 되어 있는 동시에 대규모 연구개발투자 및 관련 전문인력 양성으로 기술개발 속도가 급격히 진전되고 있어, 각 국가별로 새로운 기능의 표면처리 기술이 개발되어 기계공업, 자동차공업, 전기·전자공업, 우주·항공에 이르는 각종 분야의 기능성 표면처리를 광범위하게 적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산업고도화에 따른 고부가가치 고기능 제품개발에, 거의 모든 산업분야에서 활발히 연구개발이 진행됨에 따라 표면처리에 대한 각 산업계의 관심이 상당히 증대되어 기술개발속도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수요와 더불어 최근에는 환경관련 각종규제 대비를 위한 정책 연구개발의 일환으로, 습식도금의 공해문제를 이온질화 및 PVD코팅 등 플라즈마를 이용한 건식 표면처리 공정으로 대체하기 위하여 대형 In-Line 표면처리장치 개발 과 다양한 재료에 대한 최적 코팅을 개발하기 위한 고기능 코팅공정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현재 당사는 자동차부품의 표면처리 산질화 공정개발로 매출이 증대되고 있으며, 코팅공정 으로 금형 및 기계부품 등을 임가공 형태로 꾸준히 납품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존의 알루미늄압출금형 등의 매출형태에서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비압출 및 첨단부품 쪽으로 연구개발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2013년도부터는 산업전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알루미늄 소재 판매로 2014년부터는 본격적인 매출성장 및 수익증대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산업의 특성
부품 소재의 개발은 전체 완성품의 특성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선진 공업국의 경우에도 부품·소재의 특성개발 부분에 대하여는 기술력 및 특허등으로 그 기술을 보호하고 있으며, 부품·소재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하여 부분품이 아닌 조립품(unit)의 형태로 수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산업기반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전문성을 지닌 부품·소재업체가 필요하며, 이러한 업체는 새로운 신소재를 기초로 하는 고기능 및 다기능성 부품·소재의 개발 및 특성 향상이 반드시 필요하다.
고기능 및 다기능성 부품·소재의 개발은 기계적, 물리적 특성 및 윤활, 내마모, 내부식 등의 표면특성 개발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고기능성 부품·소재의 개발은 동업계의 공정을 통하여 가능하다. 그러나 부품·소재 산업체가 영세하고 대부분의 동종업체들이 직렬적 산업구조 하에서 부품·소재 산업체의 협력업체로단순 열처리공정을 탈피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현 상태에서의 기능성 부품·소재의 개발을 통한 무역수지의 역조현상 개선은 불가능한 상태라 할 수 있다. 즉, 본 사업분야의 발전을 위하여는 새로운 고기능성의 공정개발이 필요하며, 선진공업국 형태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해서는 대체에너지 및 친환경적 공정기술이 필요하다.
- 산업의 성장성
동업계의 공정은 최근 부각되고 있는 IT사업의 Hardware 부분 및 자동차, 중공업 등의 기존 정통사업분야, 반도체, 항공기, 원자력, 금속신소재 분야에서도 필수적으로 응용되고 있는 업종으로써 철계 및 비철계 금속산업 전반에 반드시 적용되어야 하는 분야이다. 이는 협력업체의 생산성 향상, 원가절감에 절대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99년 문교부의 신교육 프로그램 및 '00년 산업자원부의 무역역조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일환으로 국내의 제조산업 전반을 대표하는 부품·소재산업분야의 집중 육성정책에 산업기반기술 업종으로 선정된 분야이다.
선진공업국의 경우 동업종의 사업분야는 전기 및 혼합가스가 주원재료(현금지출원가)임을 인식하고, 원재료 수급불균형 문제해결, 원가 중의 원재료비율 등을 고려할 때 매출이익율을 50%까지 창출할 수 있다는 점을 파악하여 정부차원에서 전문 대형업체를 중점 육성하고 있으며, 환경친화적 대체에너지인 플라즈마, 진공 등을 이용 공정개발로써 고기능을 통한 고부가가치 창출에 성공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반도체, 자동차, 기계, 항공기, 선박 등 그 부품의 특성을 좌우하는 기술이 경제적 파급에 매우 높은 우수한 산업분야라 할 수 있다.
- 경기변동의 특성
동업계는 철계 및 비철계를 포함하는 모든 금속을 취급하는 업종이 연계되어 있음으
로 일부 업종의 경기침체현상에 따라 당사의 매출변동이 심각하게 나타나는 타업계
와는 달리 꾸준한 매출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본업계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즉, 업
계 특성상 경기에 따라 매출의 폭이 크게 변화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 경쟁형태
경쟁형태는 완전경쟁의 형태로써 당사업종의 처리품은 가공품 또는 여타의 개발제품과 같이 그 특성이 시각적으로 나타나지 않는 것이 특징이 있다. 즉, 처리품의 사용에따라 그 특성이 점진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가장 단순한 공정인 Vacuum Technology를 통한 부품의 생산인 경우에도 그 특성은 사용의 조건에 따라 크게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거래업체인 경우 당사사업의 영위 및 존속에 따라 장기간의 거래를 통한 납품업체의 특성에 맞추어진 제품을 공급함으로써 지속적으로 매출처가 유지되고있다. 이는 담당자 또는 대표이사의 선호도에 따라 쉽게 변동되는 것이 아니라 제품의 품질 특성에 크게 좌우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당사의 경우에는 별도의 부설 연구소를 운영함으로써 매출처의 특성을 별도로 유지 관리하고, 신규매출 예상업체의 문제점을 동시에 고려, 해결함으로써 기존업체의 유지관리를 영업력, 생산력에만 의존하는 기존의 동종업체 특성을 탈피하여 부품의 특성을 동시에 유지관리함으로써 기존 매출처의 변동사항이 매우 적으며, 신규거래 업체가 오히려 점진적으로 증가되어 나타나고 있다.
- 경쟁업체와의 기술, 제조비용 등의 비교
당사는 수년전부터 선진공업국의 환경친화적 공정기술을 도입 고부가가치의 창출을 위하여 동업계 국내 최초의 기업부설연구소를 설립하여 개발한 결과 국내에 전무한 Metal Ceramic Coating 및 Plasma PVD Coating 표면처리 기술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초정밀, 고기능성의 부품·소재의 특성향상을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것으로써 이를 통하여 세계적 부품·소재의 공급 및 국내 기지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당사와 같이 연구개발의 인원, 연구개발의 능력, 개발의지 등이 축척된 전문업체는 국내에 유일하게 당사가 존립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당사의 경우 선진공업국의 제도를 근간으로 하는 업체의 자본력 향상을 통한 실제 제품의 특성 향상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프레스 금형 및 LCD PANEL 생산에 대한 KNOW-HOW의 다년간의 축적으로 고품질, 고기술화하여 제조비용이 감소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금속의 표면처리(Plasma PVD Coating, Metal Ceramic Coating)전문 기업으로 청정, 무공해의 환경친화적 공정으로 전기를 이용하여, 금속과 같은 재료분야에 내마모성, 내식성, 고온강도, 내피로성, 내부식성 등을 형성시키는 표면 코팅처리를 통하여 기계적,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유통구조상 최 후방산업으로 완제품의 수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제조산업의 기초분야입니다.
선진국의 경우 표면처리 산업은 관련 첨단산업인 진공산업 및 플라즈마 기술기반이 확고히 구축되어 있고, 일본, 유럽 및 아메리카의 각 국가별로 기술 국산화가 되어 있는 동시에 대규모 연구개발투자 및 관련 전문인력 양성으로 기술개발 속도가 급격히 진전되고 있어, 각 국가별로 새로운 기능의 표면처리 기술이 개발되어 기계공업, 자동차공업, 전기·전자공업, 우주·항공에 이르는 각종 분야의 기능성 표면처리를 광범위하게 적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산업고도화에 따른 고부가가치 고기능 제품개발에, 거의 모든 산업분야에서 활발히 연구개발이 진행됨에 따라 표면처리에 대한 각 산업계의 관심이 상당히 증대되어 기술개발속도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수요와 더불어 최근에는 환경관련 각종규제 대비를 위한 정책 연구개발의 일환으로, 습식도금의 공해문제를 이온질화 및 PVD코팅 등 플라즈마를 이용한 건식 표면처리 공정으로 대체하기 위하여 대형 In-Line 표면처리장치 개발 과 다양한 재료에 대한 최적 코팅을 개발하기 위한 고기능 코팅공정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현재 당사는 자동차부품의 표면처리 산질화 공정개발로 매출이 증대되고 있으며, 코팅공정 으로 금형 및 기계부품 등을 임가공 형태로 꾸준히 납품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존의 알루미늄압출금형 등의 매출형태에서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비압출 및 첨단부품 쪽으로 연구개발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2013년도부터는 산업전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알루미늄 소재 판매로 2014년부터는 본격적인 매출성장 및 수익증대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단위 : 백만원
매출 유형 | 품 목 | 제29기 | 제28기 | 제27기 | |
제 품 | 열처리 | 내 수 | 8,354 | 7,294 | 6,253 |
수 출 | - | 2 | - | ||
압출금형가공 | 내 수 | 2,111 | 1,997 | 2,706 | |
수 출 | - | - | |||
LCD금형 및 제품 | 내 수 | 7,447 | 2,994 | 7,281 | |
수 출 | - | 91 | - | ||
기타 | 내 수 | - | - | - | |
계 | 17,912 | 12,378 | 16,240 | ||
상 품 | AL형재, 공구강 | 내 수 | 13,862 | 19,839 | 11,059 |
수 출 | 3,077 | 4,632 | 4,170 | ||
건축자재 | 수 출 | - | - | - | |
열처리 | 내 수 | 8 | 9 | 8 | |
계 | 16,947 | 24,480 | 15,237 | ||
임 대 | 내 수 | 12 | 12 | 10 | |
합 계 | 내 수 | 31,794 | 32,145 | 27,317 | |
수 출 | 3,077 | 4,725 | 4,170 | ||
합 계 | 34,871 | 36,870 | 31,487 |
(2) 시장점유율
공식협회 또는 단체등을 통한 시장점유율은 파악 할 수 있는 자료가 없기에 기재를 생략 합니다.
(3) 시장의 특성
세계 열처리 시장규모는 2020년 예상 약 256조원 이며, 연평균 성장률은 3% 수준
캡처_1 |
(자료: "뿌리산업 비전 2020 기획자료"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자료: "제조업의 원천 뿌리산업의 현황과 발전전략"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국내뿌리산업 생산규모
국내 열처리 시장의 경우 글로벌 시장보다 빠른 연평균 3~5%로 성장하여 2016년현재 2.1조 규모이며, 2020년 약 3.7조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국내 열처리 시장은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 산업의 견고한 성장에 따라 동반 성장할 것이 전망됨
업체수는 1990년대말 IMF시 구조 조정으로 증가세 보였으며, 2000년대 들어 완만한 증가세 보이다가 2007년 이후 글로벌 경제 위기 이후 5인 이하의 열처리 업체의 증가로 급격한 증가세 보이고 있음.
열처리 기술의 중요 적용 분야는 산업별로 자동차 67%, 기계부품 및 금형 22%, 중장비 부품 6%, 전자부품 5%에 이용되고 있음.
국내 열처리 산업의 주력분야인 자동차 분야의 성장세는 매년 10~15%를 보임 -> 글로벌 불황의 시기에도 열처리 업체는 강한 성장세를 유지함
자료참조 : "뿌리산업미래유망기술 열처리산업분야"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제조업의 원천 뿌리산업의 현황과 발전전략"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
(5) 조직도
조직도 |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나.회사의 현황 참고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ㆍ현금흐름표
※ 재무제표는 제출일 현재 감사인의 검토받지 아니하였으며,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 및 정기주주총회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주주총회 1주일전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co.kr)에 공시예정인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별도재무제표
<재 무 상 태 표>
제 29(당) 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
제 28(전) 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
(단위 : 원 ) |
과 목 | 제 29(당) 기 | 제 28(전) 기 |
---|---|---|
자 산 |
|
|
I. 유동자산 | 19,728,936,590 | 21,854,998,736 |
현금및현금성자산 | 716,756,262 | 2,782,154,439 |
매출채권 | 6,416,253,129 | 7,827,483,370 |
단기기타채권 | 10,331,226,431 | 9,234,573,162 |
파생상품자산 | - | 52,502,898 |
재고자산 | 2,210,003,950 | 1,907,614,848 |
기타유동자산 | 54,696,818 | 50,670,019 |
당기법인세자산 | 116,129,886 | - |
II. 비유동자산 | 72,492,507,645 | 60,577,576,154 |
장기금융자산 | 2,000,000 | 2,000,000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51,565,370 | 51,347,326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12,320 | - |
관계기업투자 | 58,516,223,418 | 48,769,821,148 |
장기대여금 | 2,578,800,000 | - |
투자부동산 | 315,834,360 | 315,834,360 |
유형자산 | 11,016,520,177 | 11,430,795,820 |
무형자산 | 5,282,000 | 1,507,500 |
장기기타채권 | 6,270,000 | 6,270,000 |
자 산 총 계 | 92,337,574,121 | 82,432,574,890 |
부 채 | ||
I. 유 동 부 채 | 37,961,504,405 | 35,657,256,331 |
단기금융부채 | 28,600,000,000 | 22,535,438,880 |
전환사채 | 3,000,000,000 | 4,621,585,138 |
신주인수권부사채 | 3,000,000,000 | 4,621,585,138 |
매입채무 | 1,863,386,124 | 1,941,712,318 |
단기기타채무 | 584,710,291 | 666,066,753 |
당기법인세부채 | - | 295,947,264 |
기타유동부채 | 913,407,990 | 974,920,840 |
II. 비 유 동 부 채 | 7,080,163,219 | 6,772,337,504 |
장기금융부채 | - | - |
장기기타채무 | - | - |
확정급여부채 | 535,688,944 | 518,403,129 |
이연법인세부채 | 6,544,474,275 | 6,253,934,375 |
부 채 총 계 | 45,041,667,624 | 42,429,593,835 |
자 본 | ||
I. 자본금 | 2,863,222,000 | 2,530,000,000 |
II. 자본잉여금 | 10,725,022,190 | 7,065,947,034 |
III.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1,486,641,067 | 1,175,349,935 |
IV. 이익잉여금 | 32,221,021,240 | 29,231,684,086 |
자 본 총 계 | 47,295,906,497 | 40,002,981,055 |
부채및자본총계 | 92,337,574,121 | 82,432,574,890 |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29(당)기말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제28(전)기말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 원 ) |
과 목 | 제 29(당) 기 | 제 28(전) 기 |
---|---|---|
I. 매출액 | 34,871,199,766 | 36,870,058,888 |
II. 매출원가 | 30,986,675,792 | 32,754,042,320 |
III. 매출총이익 | 3,884,523,974 | 4,116,016,568 |
IV. 판매비와관리비 | 3,037,786,220 | 2,728,337,478 |
V. 영업이익 | 846,737,754 | 1,387,679,090 |
VI.영업외손익 | 2,263,007,376 | 832,012,080 |
관계기업투자주식관련손익 | 3,695,427,529 | 2,673,583,846 |
기타수익 | 29,232,202 | 24,827,042 |
기타비용 | (19,703,808) | (77,620,091) |
금융수익 | 1,008,893,188 | 1,087,021,844 |
금융비용 | (2,450,841,735) | (2,875,800,561) |
VII.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3,109,745,130 | 2,219,691,170 |
VIII. 법인세비용 | 249,936,696 | 199,813,722 |
IX. 당기순이익 | 2,859,808,434 | 2,019,877,448 |
X. 기타포괄손익 | 440,819,852 | (602,065,623) |
1.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 될 수 있는 항목: | - | - |
지분법자본변동 | 311,291,132 | (249,777,547) |
2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 되지 않는 항목: | - | -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108,856,858) | 134,216,580 |
지분법이익잉여금변동 | 238,385,578 | (486,504,656) |
XI. 총포괄손익 | 3,300,628,286 | 1,417,811,825 |
XII. 주당이익 | - | - |
기본주당순이익 | 544 | 399 |
희석주당순이익 | 493 | 399 |
<자 본 변 동 표>
제29(당)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제28(전)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 원 ) |
과 목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이익잉여금 | 합계 |
2022.01.01(당기초) | 2,530,000,000 | 6,320,073,880 | 1,425,127,482 | 27,564,094,714 | 37,839,296,076 |
총포괄손익 | - | ||||
당기순이익 | - | - | - | 2,019,877,448 | 2,019,877,448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 - | 134,216,580 | 134,216,580 |
지분법자본변동 | - | - | (249,777,547) | - | (249,777,547) |
지분법이익잉여금변동 | - | - | - | (486,504,656) | (486,504,656) |
전환권대가 | - | 372,936,577 | - | - | 372,936,577 |
신주인수권대가 | - | 372,936,577 | - | - | 372,936,577 |
2022.12.31(당기말) | 2,530,000,000 | 7,065,947,034 | 1,175,349,935 | 29,231,684,086 | 40,002,981,055 |
2023.01.01(당기초) | 2,530,000,000 | 7,065,947,034 | 1,175,349,935 | 29,231,684,086 | 40,002,981,055 |
총포괄손익 | - | - | |||
당기순이익 | - | - | - | 2,859,808,434 | 2,859,808,434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 - | (108,856,858) | (108,856,858) |
지분법자본변동 | - | - | 311,291,132 | - | 311,291,132 |
지분법이익잉여금변동 | - | - | - | 238,385,578 | 238,385,578 |
소유주와의 거래 | - | - | - | - | - |
연차배당 | - | - | - | - | - |
전환사채의 전환 | 166,611,000 | 1,829,537,578 | - | - | 1,996,148,578 |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전환 | 166,611,000 | 1,829,537,578 | - | - | 1,996,148,578 |
2023.12.31(당기말) | 2,863,222,000 | 10,725,022,190 | 1,486,641,067 | 32,221,021,240 | 47,295,906,497 |
< 현 금 흐 름 표>
제29(당)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제28(반)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 원 ) |
과 목 | 제 29(당) 기 | 제 28(전) 기 | ||
---|---|---|---|---|
Ⅰ. 영업활동 현금흐름 | 1,327,682,106 | 25,067,857 | ||
1. 영업활동에서 창출된 현금흐름 | 2,505,948,401 | 539,978,303 | ||
가. 당기순이익 | 2,859,808,434 | 2,019,877,448 | ||
나. 비현금항목의 조정 | (1,350,444,637) | 894,569,840 | ||
다.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부채의 변동 | 996,584,604 | (2,374,468,985) | ||
2. 이자의 수령 | 575,286,816 | 390,837,265 | ||
3. 배당금의 수령 | - | - | ||
4. 법인세환급(납부) | (478,457,050) | (241,345,340) | ||
5. 이자의 지급 | (1,275,096,061) | (664,402,371) | ||
Ⅱ. 투자활동 현금흐름 | (9,545,211,403) | (4,126,833,408) | ||
1.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638,880,664 | 3,568,272,727 | ||
단기기타채권의 감소 | 622,244,300 | 3,556,500,000 | ||
관계기업투자주식의 처분 | - | - | ||
투자부동산의 처분 | - | - | ||
유형자산의 처분 | 16,636,364 | 11,772,727 | ||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10,184,092,067) | (7,695,106,135) | ||
단기기타채권의 증가 | 4,267,300,000 | 6,000,000,000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증가 | - | - | ||
관계기업투자주식의 취득 | 5,367,896,325 | - | ||
유형자산의 취득 | 542,735,742 | 1,695,106,135 | ||
무형자산의 취득 | 6,160,000 | - | ||
Ⅲ. 재무활동 현금흐름 | 6,152,131,120 | 6,598,000,002 | ||
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13,087,570,000 | 16,923,000,000 | ||
정부보조금의 수령 | - | 209,620,000 | ||
단기금융부채의 차입 | 13,000,000,000 | 16,700,000,000 | ||
사채 발행 | - | - | ||
국고보조금의 증가 | 87,570,000 | 13,380,000 | ||
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6,935,438,880) | (10,324,999,998) | ||
단기금융부채의 상환 | 6,900,000,000 | 10,324,999,998 | ||
장기미지급금의 상환 | 35,438,880 | - | ||
Ⅳ.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 - | (7,382,679) | ||
Ⅴ.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 | (2,065,398,177) | 2,488,851,772 | ||
Ⅵ.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2,782,154,439 | 293,302,667 | ||
Ⅶ. 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716,756,262 | 2,782,154,439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없음
□ 이사의 선임
제2호 의안 : 사내이사 선임의 건
2-1호 사내이사 박준영 재선임의 건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박준영 | 1968.07 | 미해당 | 미해당 | 관계사 임원 | 이사회 |
총 (1)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박준영 | (주)현대알루미늄 대표이사 (주)케이피티유 대표이사 | 2007~2009 2020~2022 2016~현재 2018~현재 | - 울산대학교 재료공학과 졸업 -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졸업 - (주)현대알루미늄 대표이사 - (주)케이피티유 대표이사 | 해당사항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박준영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해당사항없음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해당 후보자는 오랜 근무경험과 관련 지식 등에 전문성을 바탕으로 성실히 직무를 수행하였으며 회사성장에 기여하여 추천함. |
확인서
확인서-박준영 |
※ 기타 참고사항
-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제4호 의안 : 이사보수한도 승인의 건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3명( 0명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800,000,000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3명( 0명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499,865,329 |
최고한도액 | 800,000,000 |
※ 기타 참고사항
-
□ 감사의 선임
제3호 의안 : 감사 선임의 건
3-1호 감사 우정석 재선임의 건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우정석 | 1966.07 | 관계사 임원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우정석 | -현대알루미늄(주) C/WALL 사업실 부사장 | 1985~1991 2004~현재 | -아주대학교 졸업 -현대알루미늄(주) C/WALL 사업실 부사장 | 해당사항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우정석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해당 후보자는 오랜 근무경험과 관련 지식 등에 전문성을 바탕으로 성실히 직무를 수행하였으며 회사성장에 기여하여 추천함. |
확인서
확인서-우정석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제5호 의안 : 감사보수한도 승인의 건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200,000,000 |
(전 기)
감사의 수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0 |
최고한도액 | 200,000,000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없음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2024년 03월 21일 |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 향후 사업보고서는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DART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업데이트 될 예정이니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당사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상기 제출(예정)일까지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과 홈페이지(http://kpt4u.com/) 게재할 예정입니다.
- 제출(예정)일 게재될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이전 보고서 입니다.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 및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DART에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에 관하여는 정정공시 여부를 확인 부탁 드립니다.
□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삼성증권에 위탁하였습니다.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4년 3월 19일 오전 9시 ~ 2024년 3월 28일 오후 5시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단 시작일은 오전 9시부터 마감일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 다. 본인 인증방법은 증권용·범용 공동인증서 인증, 카카오페이 인증, PASS앱 인증을 통해 주주본인을 확인 후 의안별로 의결권 행사 □ 주주총회 집중일 개최 사유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21002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