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4-02-21 15:00: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221001186
2024 년 2 월 21 일 | ||
회 사 명 : | 진양화학주식회사 | |
대 표 이 사 : | 조 영 태 | |
본 점 소 재 지 : | 울산광역시 남구 장생포로 93 (여천동) | |
(전 화) 052-278-0701 | ||
(홈페이지)http://www.chinyang.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이 사 | (성 명) 김 성 웅 |
(전 화) 052-278-0701 | ||
(제23기 정기)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상법 제365조 및 당사 정관 제21조에 의거하여 제23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4년 3월 13일 (수) 오전 08시 30분
2. 장 소 : 울산광역시 남구 장생포로 93 본사 3층 강당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외부감사인 선임 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23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3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 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하나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주주님께서는 주주총회에 참석하시어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 행사할 수 있습니다.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직접행사> 신분증
<대리행사>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 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2024년 2월 일
울산광역시 남구 장생포로 93
진 양 화 학 주 식 회 사
대 표 이 사 조 영 태(직인생략)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권용구 (출석률 : 100%) |
---|---|---|---|
1 | 2023.01.20 | 제22기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 찬성 |
2 | 2023.02.21 | 제22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찬성 |
3 | 2023.04.18 | 레자공장 및 사무동 공사 관련 시설투자 차입의 건 | 찬성 |
4 | 2023.04.25 | 공장건물 증축 및 설비투자의 건 | 찬성 |
5 | 2023.06.29 | 공장건물 증축 및 설비투자 (공사기간 종료일 변경)의 건 | 찬성 |
6 | 2023.10.31 | 대표이사 선임의 건 | 찬성 |
7 | 2023.11.20 | 임원의 직위 및 보수결정의 건 | 찬성 |
8 | 2023.12.20 | 임원의 직위 및 보수결정의 건 | 찬성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1 | 1,000,000,000 | 12,000,000 | 12,000,000 | 2023 연간 |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가. 업계의 현황
구 분 | 비 고 | |
1. 산업의 특성 | PVC 인조피혁 : 천연가죽을 대체하기 위한 인조피혁은 크게 PU인조피혁 및 PVC 인조피혁으로 나누어집니다. 국내 PVC 인조피혁은 FABRIC과 PVC 수지를 주원료로 사용하며, 안료, 안정제, 가소제등의 첨가제를
PVC 바닥재 : PVC 바닥재 산업은 PVC 및 PASTE RESIN 등을 주원료로 사용하며, 안료, 안정제, 가소제등의 | - |
2. 산업의 성장성 | PVC 인조피혁 : 기존의 쇼파용 및 오피스용 PVC 인조피혁은 중국 및 베트남의 저가제품으로 시장이 많이 축소되었으며, 자동차의 SEAT 및 인테리어소재로서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최근 동물보호단체 등에서 동물가죽에 대한 사용 거부감 등으로 자동차 소재부분에서도 비건인조피혁의 아울러 바이오소재를 적용한 제품개발로 차별화된 PVC 인조피혁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환경친화적인
PVC 바닥재 : 내수시장의 경우 공급과잉이 지속되고 있어 이로 인한 경쟁심화로 수익성은 다소 떨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글로벌시장은 중국산 제조사들의 성장으로 국내 업체와의 경쟁이 더욱 심화 될 것으로 예상되며 국내업체들은중국업체와의 차별화 된 제품 개발과 마케팅으로 신규시장 개척을 하고 있습니다. | - |
3. 경기변동의 특성 | PVC 인조피혁 : 자동차용 인조피혁은 자동차시장의 변화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편이지만, 비건가죽의 PVC 바닥재 : 계절적 변동으로 인한 주택경기의 변화로 수요증감의 영향을 받는 편이지만, 기술적인 요인 | - |
4. 국내외 시장여건 | PVC 인조피혁 : 매출은 국내 자동차 메이커에 95% 기타 자동차메이커에 5%정도의 비중이며, 제품은 자동차 밴더업체를 통하여 고객에게 공급하고 있습니다. 천연가죽의 사용거부 움직임 및 FABRIC의 사용감소는 비건인조피혁의 시장이 점진적으로 확대 될 것으로
PVC 바닥재 : 매출은 수출 11%, 내수 89% 정도의 비중이며 제품은 대리점을 통해 고객에게 공급하고 | - |
5. 회사의 경쟁우위 요소 | PVC 인조피혁 : 당사의 주요 생산품목인 PVC 인조피혁 시장은 LX하우시스, 코오롱글로텍이 자동차분야에서 양분하고 있으며, 유성화학 및 일정실업이 새롭게 시장에 뛰어들었으나, 당사의 높은 기술력은 새로운
PVC 바닥재 : 당사의 주요 생산품목인 바닥장식재 시장은 LX하우시스, 현대L&C, KCC글라스에 의해 분할된 | - |
6. 자원조달상의 특성 | 제품의 주요 원재료는 레진 및 가소제로 대체로 국내 로칼 및 수입으로 조달하고 있으며, 원자재의 가격은 | - |
나. 회사의 현황
구 분 | 비 고 | |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 (가) 영업개황 2023년은 레자류 자동차 내장재 관련 신규시설투자에 따른 감가상각비 및 부대비용 증가로 인하여 전기대비 적자폭이 증가하였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원료상태의 플라스틱재료를 가공 처리하여 각종형태 및 용도의 제품을 제조하는 부문으로 PVC 합성피혁과 바닥재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 - |
2. 시장점유율 | PVC 인조피혁 : 당사는 PVC 인조피혁 매출액을 기준으로 보면 약 8%내외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영역의 확대를 꾀하고 있으며 자동차용 인조피혁용으로 새로운 제품개발을 통한 기술력확보 및 가성비가 우수한 PVC 제품개발을 통해 보다 적극적인 영업활동을 통해 어려운 시장경제 상황속에서 한발 더 도약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지속적인 광고선전비 투자와 신제품의 개발, 새로운 국.내외 영업망구축과 마케팅강화로 경영환경을 개선하여 어려운 시장경제 상황속에서 한발 더 도약하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 - |
3. 시장의 특성 | PVC 인조피혁 : 한정적인 자동차시장에서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업체간 경쟁이 치열하며 한번 수주된 차량에
PVC 바닥재 : 건축경기의 흐름과 계절적인 환경 변화요인에 의하여 수요가 변동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 - |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 결정된 신규사업은 없습니다. | - |
5. 조직도
진양화학 조직도 |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 경영참고사항의 1. 사업의 개요 참조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 당해연도 실적은 2023년 당사 재무제표에 대한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와 주주총회 승인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2024년 3월 5일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재 무 상 태 표 | |
제23(당)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 |
제22(전)기말 2022년 12월 31일 현재 | |
진양화학 주식회사 | (단위 : 원) |
과 목 | 제23(당)기말 | 제22(전)기말 |
---|---|---|
자 산 | ||
Ⅰ.유 동 자 산 | 5,860,676,981 | 11,971,607,685 |
현금및현금성자산 | 1,069,820,787 | 2,018,241,909 |
단기기타금융상품 | - | 4,000,000,000 |
매출채권 | 2,709,285,817 | 3,621,409,282 |
단기기타채권 | 63,272,471 | 471,808,574 |
재고자산 | 1,931,878,714 | 1,800,725,918 |
기타유동자산 | 71,410,802 | 50,191,502 |
당기법인세자산 | 15,008,390 | 9,230,500 |
Ⅱ .비 유 동 자 산 | 44,047,543,810 | 32,597,679,611 |
유형자산 | 37,448,342,887 | 26,505,309,038 |
사용권자산 | 100,310,089 | 85,210,235 |
무형자산 | 672,532,936 | 57,256,006 |
투자자산 | 5,715,323,853 | 5,869,510,725 |
장기기타채권 | 30,725,000 | 38,811,000 |
순확정급여자산 | 80,309,045 | 41,582,607 |
자 산 총 계 | 49,908,220,791 | 44,569,287,296 |
부 채 | ||
Ⅰ.유 동 부 채 | 6,627,097,689 | 6,509,318,619 |
매입채무 | 4,622,233,394 | 4,723,748,844 |
단기차입금 | 730,088,539 | 392,863 |
리스부채 | 37,026,002 | 39,232,326 |
단기기타채무 | 1,006,672,937 | 1,571,909,519 |
기타유동부채 | 169,633,893 | 174,035,067 |
판매보증충당부채 | 61,442,924 | - |
Ⅱ .비 유 동 부 채 | 10,712,747,646 | 3,318,776,989 |
장기차입금 | 7,400,000,000 | - |
리스부채 | 63,605,706 | 47,990,315 |
장기기타채무 | 391,000,000 | 391,000,000 |
이연법인세부채 | 2,858,141,940 | 2,879,786,674 |
부 채 총 계 | 17,339,845,335 | 9,828,095,608 |
자 본 | ||
Ⅰ.자본금 | 7,900,000,000 | 7,900,000,000 |
Ⅱ.자본잉여금 | 13,574,516,678 | 13,574,516,678 |
Ⅲ.이익잉여금 | 11,093,858,778 | 13,266,675,010 |
자 본 총 계 | 32,568,375,456 | 34,741,191,688 |
자본과부채총계 | 49,908,220,791 | 44,569,287,296 |
포 괄 손 익 계 산 서 | |
제23(당)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제22(전)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진양화학 주식회사 | (단위 : 원) |
과 목 | 제23(당)기 | 제22(전)기 |
---|---|---|
Ⅰ. 매출액 | 28,281,407,525 | 29,090,013,873 |
Ⅱ. 매출원가 | 25,584,867,513 | 26,423,690,482 |
Ⅲ. 매출총이익 | 2,696,540,012 | 2,666,323,391 |
판매비와관리비 | 4,873,814,562 | 3,685,476,654 |
대손상각비(환입) | (30,058,928) | 36,475,743 |
Ⅳ. 영업손실 | 2,147,215,622 | 1,055,629,006 |
기타수익 | 145,777,379 | 399,191,778 |
기타비용 | 97,442,434 | 631,253,651 |
금융수익 | 111,378,652 | 170,363,965 |
금융비용 | 204,277,596 | 121,708,524 |
Ⅴ.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실 | 2,191,779,621 | 1,239,035,438 |
Ⅵ. 법인세수익 | 21,084,333 | 126,227,702 |
Ⅶ. 당기순손실 | 2,170,695,288 | 1,112,807,736 |
Ⅷ.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포괄손익 | (2,120,944) | (9,615,757) |
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2,120,944) | (9,615,757) |
Ⅸ.당기총포괄손실 | 2,172,816,232 | 1,122,423,493 |
Ⅹ.주당이익 | ||
기본및희석주당순손실 | 137 | 83 |
자 본 변 동 표 | |
제23(당)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제22(전)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진양화학 주식회사 | (단위 : 원) |
과 목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이익잉여금 | 총 계 |
---|---|---|---|---|
2022.1.1(전기초) | 6,000,000,000 | 5,002,699,964 | 14,389,098,503 | 25,391,798,467 |
유상증자 | 1,900,000,000 | 8,571,816,714 | - | 10,471,816,714 |
당기순손실 | - | - | (1,112,807,736) | (1,112,807,736) |
기타포괄손익 | - | - | (9,615,757) | (9,615,757)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 | - | (9,615,757) | (9,615,757) |
2022.12.31(전기말) | 7,900,000,000 | 13,574,516,678 | 13,266,675,010 | 34,741,191,688 |
2023.1.1(당기초) | 7,900,000,000 | 13,574,516,678 | 13,266,675,010 | 34,741,191,688 |
당기순손실 | - | - | (2,170,695,288) | (2,170,695,288) |
기타포괄손익 | - | - | (2,120,944) | (2,120,944)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 | - | (2,120,944) | (2,120,944) |
2023.12.31(당기말) | 7,900,000,000 | 13,574,516,678 | 11,093,858,778 | 32,568,375,456 |
현 금 흐 름 표 | |
제23(당)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제22(전)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진양화학 주식회사 | (단위 : 원) |
과 목 | 제23(당)기 | 제22(전)기 |
---|---|---|
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680,240,924) | (1,044,460,006) |
1.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 | (675,441,814) | (1,104,540,870) |
당기순손실 | (2,170,695,288) | (1,112,807,736) |
조정항목 | 1,183,102,489 | 416,225,967 |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부채의 변동 | 312,150,985 | (407,959,101) |
2. 이자수취 | 97,586,150 | 60,062,036 |
3. 이자지급 | (96,607,370) | (10,002,192) |
4. 법인세 지급(환급) | (5,777,890) | 10,021,020 |
Ⅱ.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8,353,937,553) | (11,786,094,710) |
1.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4,019,872,400 | 357,454,000 |
단기금융상품의처분 | 4,000,000,000 | - |
주주임원종업원단기채권의 감소 | - | 800,000 |
매각예정비유동자산의처분 | - | 275,000,000 |
임차보증금의 감소 | 8,086,000 | 62,743,000 |
구축물의 처분 | - | 9,967,500 |
기계장치의 처분 | 8,399,400 | 7,693,840 |
차량운반구의 처분 | - | 900,000 |
비품의 처분 | 2,709,600 | 349,660 |
공구및기구의처분 | 677,400 | - |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12,373,809,953) | (12,143,548,710) |
단기금융상품의 취득 | - | 4,000,000,000 |
투자부동산(건물)의 취득 | - | 2,270,246,640 |
투자부동산(기계장치)의 취득 | - | 80,000,000 |
건물의 취득 | 5,098,335,120 | 103,879,070 |
구축물의 취득 | 218,400,000 | 501,100,000 |
기계장치의 취득 | 6,121,800,000 | - |
비품의취득 | 155,780,000 | - |
공구와기구의취득 | 113,430,000 | - |
건물 취득관련 차입원가 | 49,764,833 | - |
유형자산(건설중인자산)의 취득 | - | 5,188,323,000 |
무형자산(건설중인자산)의 취득 | 616,300,000 | - |
Ⅲ.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8,089,746,752 | 10,704,046,124 |
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8,879,061,485 | 12,505,288,023 |
단기차입금의 차입 | 1,479,061,485 | 1,693,471,309 |
임대보증금의증가 | - | 340,000,000 |
장기차입금의 차입 | 7,400,000,000 | - |
유상증자 | - | 10,471,816,714 |
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789,314,733) | (1,801,241,899) |
단기차입금의 상환 | 749,365,809 | 1,757,000,000 |
리스부채의 감소 | 39,948,924 | 44,241,899 |
Ⅳ.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 (3,989,397) | (1,011,858) |
Ⅴ.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 (Ⅰ+Ⅱ+Ⅲ+ Ⅳ) | (948,421,122) | (2,127,520,450) |
Ⅵ.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2,018,241,909 | 4,145,762,359 |
Ⅶ. 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1,069,820,787 | 2,018,241,909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 재무제표 주석
제23(당)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
제22(전)기말 2022년 12월 31일 현재 |
진양화학 주식회사 |
1. 회사의 개요
진양화학 주식회사(이하 "당사")는 2001년 1월에 설립되어 합성수지 제품의 제조 및 판매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본사는 울산광역시 남구 장생포로 93 (여천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울산광역시 남구 장생포로 93(여천동)에 제조시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01년 1월 유가증권시장에 주식을 상장하였으며 당기말과 전기말 현재 주요 주주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주) | ||||
---|---|---|---|---|
주주명 | 당기말 | 전기말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진양홀딩스 | 9,658,355 | 61.13% | 9,658,355 | 61.13% |
기타 | 6,141,645 | 38.87% | 6,141,645 | 38.87% |
합계 | 15,800,000 | 100% | 15,800,000 | 100% |
2. 재무제표 작성기준
당사는 주식회사등의외부감사에관한법률 제5조 1항 1호에서 규정하고 있는 국제회계기준위원회의 국제회계기준을 채택하여 정한 회계처리기준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재무제표를 작성하였습니다.
당사의 재무제표는 2024년 1월 19일자 이사회에서 승인되었으며, 2024년 3월 13일자 주주총회에서 최종 승인될 예정입니다.
(1) 측정기준
재무제표는 아래에서 열거하고 있는 재무상태표의 주요 항목을 제외하고는 역사적원가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ㆍ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에서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를 차감한 사외적립자산
(2) 기능통화와 표시통화
당사의 재무제표는 영업활동이 이루어지는 주된 경제환경의 기능통화이면서 표시통화인 원화로 작성하여 보고하고 있습니다.
(3) 추정과 판단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는 재무제표를 작성함에 있어서 회계정책의 적용이나, 보고기간말 현재 자산, 부채 및 수익, 비용의 보고금액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에 대하여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의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이 실제 환경과 다를 경우 이러한 추정치와 실제 결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추정치와 추정에 대한 기본 가정은 지속적으로 검토되고 있으며, 회계추정의 변경은 추정이 변경된 기간과 미래 영향을 받을 기간 동안 인식되고 있습니다.
① 경영진의 판단
재무제표에 인식된 금액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회계정책의 적용과 관련된 주요한 경영진의 판단에 대한 정보는 다음의 주석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ㆍ주석 10: 리스기간 - 연장선택권의 행사가능성이 상당히 확실한지 여부
② 가정과 추정의 불확실성
다음 보고기간 이내에 중요한 조정이 발생할 수 있는 유의한 위험이 있는 가정과 추정의 불확실성에 대한 정보는 다음의 주석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ㆍ주석 18: 확정급여채무의 측정 - 주요 보험수리적 가정
③ 공정가치 측정
당사의 회계정책과 공시사항은 다수의 금융 및 비금융자산과 부채에 대해 공정가치 측정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공정가치평가 정책과 절차를 수립하고 있습니다. 동 정책과 절차에는 공정가치 서열체계에서 수준 3으로 분류되는 공정가치를 포함한모든 유의적인 공정가치 측정의 검토를 책임지는 평가부서의 운영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결과는 재무담당임원에게 직접 보고되고 있습니다.
평가부서는 정기적으로 관측가능하지 않은 유의적인 투입변수와 평가 조정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공정가치측정에서 중개인 가격이나 평가기관과 같은 제3자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평가부서에서 제3자로부터 입수한 정보에 근거한 평가가 공정가치 서열체계 내 수준별 분류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기준서의 요구사항을 충족한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유의적인 평가 문제를 감사에게 보고하고 있습니다.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를 측정하는 경우, 당사는 최대한 시장에서 관측가능한 투입변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이 가치평가기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기초하여 공정가치 서열체계 내에서 분류됩니다.
ㆍ 수준 1: 측정일에 동일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접근 가능한 활성시장의 조정되지 않은 공시가격
ㆍ 수준 2: 수준 1의 공시가격 이외에 자산이나 부채에 대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 으로 관측가능한 투입변수
ㆍ 수준 3: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관측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여러 투입변수가 공정가치 서열체계 내에서 다른 수준으로 분류되는 경우, 당사는 측정치 전체에 유의적인 공정가치 서열체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의 투입변수와 동일한 수준으로 공정가치 측정치 전체를 분류하고 있으며, 변동이 발생한 보고기간 말에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수준간 이동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공정가치 측정 시 사용된 가정의 자세한 정보는 아래 주석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ㆍ 주석 4: 금융상품
(4) 회계정책의 변경
① 단일거래에서 생기는 자산과 부채 관련 이연법인세
당사는 2023년 1월 1일부터 단일거래에서 생기는 자산과 부채 관련 이연법인세 개정사항(기업회계기준서 제 1012호 '법인세')을 적용하였습니다. 이 개정사항은 거래일에 동일한 금액의 가산할 일시적차이와 차감할 일시적차이가 발생하는 거래(예: 리스, 사후처리 및 복구 관련 충당부채)를 이연법인세 최초 인식 예외규정 대상에서 제외하였습니다. 당사는 비교 표시되는 가장 이른 기간의 시작일에 이미 존재하는 리스와사후처리 및 복구 관련 충당부채와 관련된 모든 차감할 일시적차이와 가산할 일시적차이에 대한 이연법인세자산ㆍ부채를 인식하며, 최초 적용에 따른 누적 효과를 그날의이익잉여금 또는 자본의 다른 구성요소에 조정하여 인식하였습니다. 비교 표시되는 가장 이른 기간의 시작일이나 그 이후에 발생하는 그 밖의 모든 거래에 대해 이 개정사항을 적용하였습니다.
당사는 이 개정사항에 따라 리스부채와 관련된 이연법인세자산과 사용권자산과 관련된 이연법인세부채를 각각 인식하였습니다. 그러나 기업회계기준서 제1012호 '법인세' 문단 74의 이연법인세자산ㆍ부채 상계조건을 충족하기 때문에 당사의 재무상태표에 미치는 영향은 없으며, 2022년 1월 1일의 기초 이익잉여금 잔액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② 중요한 회계정책 정보
당사는 2023년 1월 1일부터 회계정책 공시 개정사항(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을 적용하였습니다. 이 개정사항은 회계정책 그 자체가 변경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 재무제표에 공시되는 회계정책 정보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 개정사항은 '유의적인(significant)' 회계정책이 아니라 '중요한(material)' 회계정책을 공시할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회계정책의 공시에 중요성을 적용하는 지침을 제공함으로써 재무제표 이용자가 이해해야 하는 기업 특유의 회계정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합니다.
당사의 경영진은 회계정책을 검토하였고, 이 개정사항에 따라 주석 3에 공시된 중요한회계정책(2022: 유의적인 회계정책)정보를 업데이트 하였습니다.
3. 중요한 회계정책
당사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른 재무제표 작성에 적용한 중요한 회계정책은 아래 기술되어 있으며, 주석 2에서 설명하고 있는 회계정책의 변경을 제외하고 당기 및비교표시된 전기의 재무제표는 동일한 회계정책을 적용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당사는 2023년 1월 1일부터 회계정책 공시 개정사항(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을 적용하였습니다. 이 개정사항은 '유의적인' 회계정책이 아닌 '중요한' 회계정책을 공시하도록 요구합니다. 이러한 개정으로 인해 회계정책의 변경은 발생하지 않지만 공시되는 회계정책 정보에 영향을 미칩니다.
(1) 현금 및 현금성자산
당사는 취득일로부터 만기일이 3개월 이내인 투자자산을 현금 및 현금성자산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2) 재고자산
재고자산의 단위원가는 총평균법(미착품:개별법)으로 결정하고 있으며, 취득원가는 매입원가, 전환원가 및 재고자산을 이용가능한 상태로 준비하는데 필요한 기타 원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제품이나 재공품의 원가에 포함되는 고정제조간접원가는 생산설비의 실제조업도에 기초하여 배부하고 있습니다.
(3) 비파생금융자산
① 인식 및 최초 측정
매출채권과 발행 채무증권은 발행되는 시점에 최초로 인식됩니다. 다른 금융상품과 금융부채는 당사가 금융상품의 계약당사자가 되는 때에만 인식됩니다.
② 분류 및 후속측정
금융자산: 사업모형평가
당사는 사업이 관리되는 방식과 경영진에게 정보가 제공되는 방식을 가장 잘 반영하기 때문에 금융자산의 포트폴리오 수준에서 보유되는 사업모형의 목적을 평가합니다. 그러한 정보는 다음을 고려합니다.
ㆍ포트폴리오에 대해 명시된 회계정책과 목적 및 실제 이러한 정책의 운영. 여기에는계약상 이자수익의 획득, 특정 이자수익률 수준의 유지, 금융자산을 조달하는 부채의듀레이션과 해당 금융자산의 듀레이션의 일치 및 자산의 매도를 통한 기대현금흐름의 유출 또는 실현하는 것에 중점을 둔 경영진의 전략을 포함함
ㆍ 사업모형에서 보유하는 금융자산의 성과를 평가하고, 그 평가내용을 주요 경영진에게 보고하는 방식
ㆍ 사업모형(그리고 사업모형에서 보유하는 금융자산)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과 그 위험을 관리하는 방식
ㆍ 경영진에 대한 보상방식(예: 관리하는 자산의 공정가치에 기초하여 보상하는지 아니면 수취하는 계약상 현금흐름에 기초하여 보상하는지)
ㆍ 과거기간 금융자산의 매도의 빈도, 금액, 시기, 이유, 미래의 매도활동에 대한 예상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거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거래에서 제3자에게 금융자산을 이전하는 거래는 매도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단기매매의 정의를 충족하거나 포트폴리오의 성과가 공정가치 기준으로 평가되는 금융자산 포트폴리오는 당기손익-공정가치로 측정됩니다.
금융자산: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금과 이자로만 이루어져 있는지에 대한 평가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금과 이자에 대한 지급만으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평가할 때, 당사는 해당 상품의 계약조건을 고려합니다. 금융자산이 계약상 현금흐름의 시기나 금액을 변경시키는 계약조건을 포함하고 있다면, 그 계약조건 때문에 해당 금융상품의 존속기간에 걸쳐 생길 수 있는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리금 지급만으로 구성되는지를 판단해야 합니다.
이를 평가할 때 당사는 다음을 고려합니다.
ㆍ 현금흐름의 금액이나 시기를 변경시키는 조건부 상황
ㆍ 변동 이자율 특성을 포함하여 계약상 액면 이자율을 조정하는 조항
ㆍ 중도상환특성과 만기연장특성
ㆍ 특정 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현금흐름에 대한 당사의 청구권을 제한하는 계약조건(예: 비소구특징)
③ 상계
당사는 당사가 인식한 자산과 부채에 대해 법적으로 집행가능한 상계권리를 현재 갖고 있고, 차액으로 결제하거나, 자산을 실현하는 동시에 부채를 결제할 의도가 있는 경우에만 금융자산과 금융부채를 상계하고 재무상태표에 순액으로 표시합니다.
(4) 금융자산의 손상
① 금융상품과 계약자산
당사는 다음 자산의 기대신용손실에 대해 손실충당금을 인식합니다.
ㆍ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ㆍ 기업회계기준서 제1115호에서 정의된 계약자산
당사는 12개월 기대신용손실로 측정되는 다음의 금융자산을 제외하고는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손실충당금을 측정합니다.
ㆍ 보고기간말에 신용이 위험이 낮다고 결정된 채무증권
ㆍ 최초 인식 이후 신용위험(즉, 금융자산의 기대존속기간동안에 걸쳐 발생할 채무불이행 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지 않은 기타 채무증권과 은행예금
매출채권(리스채권 포함)과 계약자산에 대한 손실충당금은 항상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측정됩니다.
당사는 금융자산의 신용위험은 연체일수가 30일을 초과하는 경우에 유의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합니다.
당사는 다음과 같은 경우 금융자산에 채무불이행이 발생했다고 고려합니다.
ㆍ 채무자가 당사가 소구활동을 하지 않으면, 당사에게 신용의무를 완전하게 이행하지 않을 것 같은 경우
ㆍ 금융자산의 연체일수가 90일을 초과한 경우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은 금융상품의 기대존속기간에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채무불이행 사건에 따른 기대신용손실입니다.
12개월 기대신용손실은 보고기간 말 이후 12개월 이내(또는 금융상품의 기대존속기간이 12개월 보다 적은 경우 더 짧은 기간)에 발생 가능한 금융상품의 채무불이행 사건으로 인한 기대신용손실을 나타내는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의 일부입니다.
기대신용손실을 측정할 때 고려하는 가장 긴 기간은 당사가 신용위험에 노출되는 최장 계약기간입니다.
② 신용이 손상된 금융자산
매 보고기간말에, 당사는 상각후원가로 측정되는 금융자산과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되는 채무증권의 신용이 손상되었는지 평가합니다. 금융자산의 추정미래현금흐름에 악영향을 미치는 하나 이상의 사건이 발생한 경우에 해당 금융자산은 신용이 손상된 것입니다.
금융자산의 신용이 손상된 증거는 다음과 같은 관측 가능한 정보를 포함합니다.
ㆍ 발행자나 차입자의 유의적인 재무적 어려움
ㆍ 채무불이행이나 90일 이상 연체와 같은 계약 위반
ㆍ 차입자의 재무적 어려움에 관련된 경제적이나 계약상 이유로 당초 차입조건의 불가피한 완화
ㆍ 차입자의 파산가능성이 높아지거나 그 밖의 재무구조조정 가능성이 높아짐
ㆍ 재무적 어려움으로 인해 해당 금융자산에 대한 활성시장 소멸
③ 재무상태표 상 신용손실충당금의 표시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에 대한 손실충당금은 해당 자산의 장부금액에서 차감합니다.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채무상품에 대해서는 손실충당금은 당기손익에 포함하고 기타포괄손익에 인식합니다.
④ 제각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 전체 또는 일부의 회수에 대한 합리적인 기대가 없는 경우 해당 자산을 제거합니다. 당사는 회수에 대한 합리적인 기대가 있는지를 평가하여제각의 시기와 금액을 개별적으로 평가합니다. 당사는 제각한 금액이 유의적으로 회수할 것이라는 기대를 갖고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제각된 금융자산은 당사의 만기가된 금액의 회수 절차에 따라 회수활동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5) 유형자산
유형자산 중 토지는 감가상각을 하지 않으며, 그 외 유형자산은 자산의 취득원가에서잔존가치를 차감한 금액에 대하여 아래에 제시된 내용연수에 걸쳐 해당 자산에 내재되어 있는 미래 경제적 효익의 예상 소비 형태를 가장 잘 반영한 정액법으로 상각하고 있습니다.
당기 및 전기의 추정 내용연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추정내용연수 |
---|---|
건 물 | 15 ~ 40년 |
구 축 물 | 15 ~ 30년 |
기 계 장 치 | 8년 |
차량운반구 | 4년 |
공구와기구 | 4년 |
비 품 | 4년 |
후속지출은 해당 지출과 관련된 미래 경제적 효익이 당사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만 자본화하고 있습니다.
(6) 무형자산
무형자산은 최초 인식할 때 원가로 측정하며, 최초 인식 후에 원가에서 상각누계액과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을 장부금액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무형자산은 사용 가능한 시점부터 잔존가치를 영("0")으로 하여 아래의 내용연수 동안 정액법으로 상각하고 있습니다. 다만, 일부 무형자산에 대해서는 이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기간이 예측가능하지 않아 당해 무형자산의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것으로 평가하고 상각하지 아니하고 있습니다.
구분 | 추정내용연수 |
---|---|
산업재산권 | 5 ~ 10년 |
회 원 권 | 비한정 |
① 연구 및 개발
연구 또는 내부프로젝트의 연구단계에 대한 지출은 발생시점에 비용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개발단계의 지출은 자산을 완성할 수 있는 기술적 실현가능성, 자산을 완성하여 사용하거나 판매하려는 기업의 의도와 능력 및 필요한 자원의 입수가능성, 무형자산의 미래 경제적 효익을 모두 제시할 수 있고, 관련 지출을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경우에 무형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기타 개발관련 지출은 발생시점에 비용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② 후속지출
후속지출은 관련되는 특정자산에 속하는 미래의 경제적효익이 증가하는 경우에 한하여 자본화하며, 내부적으로 창출한 영업권 등을 포함한 다른 지출은 발생 즉시 비용화하고 있습니다.
(7) 정부보조금
정부보조금은 당사가 정부보조금에 부수되는 조건을 준수하고 그 보조금을 수취하는것에 대해 합리적인 확신이 있을 경우에만 인식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비유동자산을 취득 또는 건설하는데 사용해야 한다는 기본조건이 부과된 정부보조금을 수령하고 있으며, 보조금을 이연수익으로 인식하여 자산의 내용연수에 걸쳐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정부보조금을 정부보조금으로 보전하려 하는 관련원가가 비용으로 인식되는 기간에 걸쳐 포괄손익계산서에서 정부보조금수익으로 표시하여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미 발생한 비용이나 손실에 대해 보전하는 정부보조금은 정부보조금을 수취할 권리가 발생하는 기간에 기타수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 경우에 정부보조금은 수취채권이 되었을 때 인식됩니다.
(8) 투자부동산
투자부동산은 취득시 발생한 거래원가를 포함하여 최초 인식시점에 원가로 측정하며,최초 인식 후에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을 장부금액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투자부동산 중 토지에 대해서는 감가상각을 하지 않으며, 토지를 제외한 투자부동산은 아래 내용연수에 따라 정액법으로 상각하고 있습니다.
당기의 추정 내용연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추정내용연수 |
---|---|
건 물 | 30년 |
기 계 장 치 | 8년 |
투자부동산의 감가상각방법, 잔존가치 및 내용연수는 매 보고기간말에 재검토하고 이를 변경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회계추정의 변경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9) 리스
계약에서 대가와 교환하여, 식별되는 자산의 사용 통제권을 일정기간 이전하게 한다면 그 계약은 리스이거나 리스를 포함합니다.
① 리스이용자
리스요소를 포함하는 계약의 개시일이나 변경유효일에 당사는 계약대가를 상대적 개별 가격에 기초하여 각 리스요소에 배분합니다. 다만, 당사는 부동산 리스에 대하여 비리스요소를 분리하지 않는 실무적 간편법을 적용하여 리스요소와 관련된 비리스요소를 하나의 리스요소로 회계처리합니다.
리스부채는 리스개시일 현재 지급되지 않은 리스료의 현재가치로 최초 측정합니다. 리스료는 리스의 내재이자율로 할인하되, 내재이자율을 쉽게 산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당사의 증분차입이자율로 할인합니다. 일반적으로 당사는 증분차입이자율을 할인율로 사용합니다.
당사는 다양한 외부 재무 정보에서 얻은 이자율에서 리스의 조건과 리스 자산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조정을 하고 증분차입이자율을 산정합니다.
당사는 재무상태표에서 투자부동산의 정의를 충족하지 않는 사용권자산을 '사용권자산'으로 표시하고 리스부채는 '리스부채'로 표시하였습니다.
단기리스와 소액 기초자산 리스
당사는 리스기간이 12개월 이내인 단기리스와 소액 기초자산 리스에 대하여 사용권자산과 리스부채를 인식하지 않는 실무적 간편법을 선택하였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리스에 관련된 리스료를 리스기간에 걸쳐 정액법에 따라 비용으로 인식합니다.
② 리스제공자
리스제공자로서 당사는 리스약정일에 리스가 금융리스인지 운용리스인지 판단합니다.
각 리스를 분류하기 위하여 당사는 리스가 기초자산의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이전하는지를 전반적으로 판단합니다. 기초자산의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리스이용자에게 이전하는 경우에는 리스를 금융리스로 분류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리스를 운용리스로 분류합니다. 이 평가 지표의 하나로 리스료의 현재가치가 적어도 기초자산 공정가치의 대부분에 해당하는지 고려합니다.
당사는 운용리스로 받는 리스료를 '임대매출'의 일부로써 리스기간에 걸쳐 정액 기준에 따라 수익으로 인식합니다.
(10) 비파생금융부채
당사는 계약상 내용의 실질과 금융부채의 정의에 따라 금융부채를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와 기타금융부채로 분류하고 계약의 당사자가 되는 때에 재무상태표에 인식하고있습니다.
(11) 충당부채
충당부채는 과거사건의 결과로 존재하는 현재의무(법적의무 또는 의제의무)로서, 당해 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경제적효익을 갖는 자원이 유출될 가능성이 높으며 그 의무의 이행에 소요되는 금액을 신뢰성 있게 추정할 수 있는 경우에 인식하고 있습니다.
충당부채로 인식하는 금액은 관련된 사건과 상황에 대한 불가피한 위험과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현재의무를 보고기간말에 이행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지출에 대한 최선의 추정치입니다. 화폐의 시간가치 효과가 중요한 경우 충당부채는 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예상되는 지출액의 현재가치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충당부채를 결제하기 위해 필요한 지출액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3자가 변제할 것이 예상되는 경우 이행한다면 변제를 받을 것이 거의 확실하게 되는 때에 한하여 변제금액을 인식하고 별도의 자산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매 보고기간말마다 충당부채의 잔액을 검토하고, 보고기간말 현재 최선의 추정치를 반영하여 조정하고 있습니다. 의무이행을 위하여 경제적효익이 내재된 자원이 유출될 가능성이 더 이상 높지 아니한 경우에는 관련 충당부채를 환입하고 있습니다.
충당부채는 최초 인식과 관련 있는 지출에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12)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과 관련된 당사의 회계정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재화나 용역의 특성, 수행의무 이행시기, 유의적인 지급조건 | 수익인식 정책 |
---|---|---|
제품, 상품 매출 | 제품, 상품이 고객에게 인도되고 고객이 인수한 시점에 통제가 이전되며, 이 시점에 청구서를 발행하고 수익이 인식됩니다.청구서는 보통 30일 이내 발행합니다. | 제품, 상품이 고객에게 이전되어 고객이 인수한 때 수익을 인식합니다. |
(13) 금융수익과 비용
당사의 금융수익과 금융비용은 다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ㆍ이자수익
ㆍ이자비용
ㆍ금융자산과 금융부채에 대한 외환손익
ㆍ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채무상품에 대한 투자자산에서 발생하는 손상차손
(혹은 손상차손환입)
이자수익 혹은 이자비용은 유효이자율법을 사용하여 인식하였습니다.
(14) 미적용 제ㆍ개정 기준서
제정ㆍ공표되었으나 2023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에 시행일이 도래하지 아니한 주요 제.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당사는 재무제표 작성시 다음의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를 조기적용하지 아니하였습니다.
①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 부채의 유동/비유동 분류와 비유동부채의 차입 약정사항
2020년도와 2022년도에 공표된 이 개정사항은 부채의 유동성 분류에 대한 요구사항을 명확히하고, 준수해야하는 미래의 차입약정사항이 있는 비유동부채에 대한 정보의 공시를 요구합니다. 이 개정사항은 2024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개시되는 회계연도부터 시행될 예정입니다. 당사는 이 개정사항으로 인한 잠재적인 영향을 평가하는 과정에 있습니다.
② 기업회계기준서 제1007호 '현금흐름표'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7호 '금융상품:공시: 공급자 금융 약정'
이 개정사항은 공급자 금융 약정(Supplier finance arrangements)이 기업의 부채와 현금흐름 및 유동성 위험에 노출되는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재무제표이용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약정에 대한 주석 공시를 요구합니다.
당사는 공급자 금융 약정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약정에 대한 주석 공시를 위해 개정사항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과정에 있습니다. 개정사항은 2024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개시되는 회계연도부터 시행될 예정입니다.
③ 다음의 제ㆍ개정 기준서는 당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 판매후리스 거래에서 발생하는 리스부채(기업회계기준서 제1116호 '리스')
- 교환가능성 결여(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
※ 상세한 주석 사항은 향후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3 ( 1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0억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3 ( 1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2.2억원 |
최고한도액 | 10억원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2억원 |
(전 기)
감사의 수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0.8억원 |
최고한도액 | 2억원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없음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2024년 03월 05일 |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2024년 3월 5일 회사 홈페이지 및 전자공시시스템(DART)을 통해 공시할 예정입니다.
- 상법시행령 제31조(주주총회의 소집공고) 제4항 제4호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개최 1주 전까지 당사 홈페이지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 당사 홈페이지: https://www.chinyang.co.kr
- 향후 사업보고서는 오기 및 정기주주총회 결과에 따라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DART에 업데이트 될 예정으로 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사항 없음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221001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