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4-04-04 15:53: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404002307
2024년 4월 4일 | ||
회 사 명 : | 한전KPS주식회사 | |
대 표 이 사 : | 김 홍 연 | |
본 점 소 재 지 : | 전라남도 나주시 문화로 211 | |
(전 화) 061-345-0114 | ||
(홈페이지) https://www.kps.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경영관리본부장 | (성 명) 조 영 래 |
(전 화) 061-345-2277 | ||
(제'24-1차 임시주주총회) |
주주님의 깊은 관심과 성원에 감사드립니다.
상법 제365조와 당사 정관 제16조에 의하여 제'24-1차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라오며, 상법 제542조의4 제1항 및 당사 정관 제18조에 의거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 1 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주주님에 대한 소집통지는 본 공고로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일 시 : 2024년 4월 22일 (월) 오전 10시 00분
2. 장 소 : 전라남도 나주시 문화로 211 한전KPS(주) 본사
5층 창조홀(대회의실)
3. 회의 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의 감사보고
나. 의결사항
○ 제1호 : 상임이사 선임(1명)
- 후보에 관한 사항
의안 | 성명 | 임기 | 약 력 | 생년월일 | 추천인 |
---|---|---|---|---|---|
제1호 | 김도윤 | 2년 | - 경희대 원자력공학 | 1965.02.16. | 사 장 |
○ 제2호 : 비상임이사 선임(1명)
- 후보에 관한 사항
의안 | 성명 | 임기 | 약 력 | 생년월일 | 추천인 |
---|---|---|---|---|---|
제2호 | 신민순 | 2년 | - 서천고 | 1966.09.14. | 임원추천 위원회 |
주) 「공공기관 운영에 관한 법률」 제25조 제3항 제2호에 의한 비상임이사 후보임. |
4.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우리회사는「상법」제368조의4에 의거 전자투표제도를 제33기 정기주주총회부터
도입하기로 결의하였고, 전자투표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
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 인터넷 주소 : 「https://evote.ksd.or.kr」
- 전자투표 모바일 주소 : 「https://evote.ksd.or.kr/m」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4년 4월 12일 09시~ 2024년 4월 21일 17시
-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단, 마지막 날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
다.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투표 관리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K-VOTE에서 사용
가능한 인증서 한정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
5. 기 타
가.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 주주님께서는 주주총회에 참석하시어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전자투표
로 의결권을 직접 행사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 행사할 수 있습니다.
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 등을 당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
거래소,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비치 및 정보통신망에 게재하오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다. 주주총회에 참석하시는 주주님께서는 주주확인을 위하여 주민등록증(외국인의
경우 투자등록증, 법인은 사업자등록증)을 필히 지참하시기 바랍니다.
2024년 4월 4일
한전KPS 주식회사 대표이사 김 홍 연
명의개서대리인 한국예탁결제원 사장 이 순 호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기준일 : 2023.12.31.) |
개최일자 | 의안 내용 | 가결 여부 | 이사별 참석현황 | |||||||||
---|---|---|---|---|---|---|---|---|---|---|---|---|
김홍연 (출석률: 100%) | 이진호 (출석률: 100%) | 조영래 (출석률: 100%) | 허상국 (출석률:100%) | 황인옥 (출석률: 100%) | 전호광 (출석률: 90.0%) | 김우겸 (출석률: 90.9%) | 박정일 (출석률:100%) | 최용선 (출석률: 100%) | 이봉윤 (출석률: 100%) | |||
찬 반 여 부 | ||||||||||||
'23.02.10. | 제39기('22회계연도) 연결재무제표 및 재무제표 (이익잉여금처분 계산서 포함(안) | 원안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 |
제39기('22회계연도) 영업보고서(안) | 원안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 | |
제39기('22회계연도) 정기주주총회 소집(안) | 원안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 | |
제'23-1차 임시주주총회 소집(안) | 원안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 | |
남아공 법인 설립 출자(안) | 원안 가결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 | |
2022년도 연간 감사결과 | 원안 접수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 | |
부패방지경영시스템 연간 운영 주요사항 | 원안 접수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 | |
'23.03.10. | 제39기('22회계연도) 연결재무제표 및 재무제표 (이익잉여금처분 계산서 포함) 변경(안) | 원안 가결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2023년도 이사 보수한도 승인(안) | 원안 가결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
2023년도 감사 보수한도 승인(안) | 원안 가결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
2022년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 원안 접수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
2022년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 | 원안 접수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
'23.04.26. | (주)켑코우데 법인해산 추진(안) | 원안 가결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 |
임원연봉규정 개정(안) | 원안 가결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 | |
'23.05.31. | 상임이사 후보자 추천을 위한 임원추천위원회 구성(안) | 위원 선임ㆍ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23.07.31. | 임시주주총회 소집을 위한 주주명부 폐쇄(안) | 원안 가결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상생협력기금 출연(안) | 원안 가결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
2022년도 경영실적평가 결과 보고 | 원안 접수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
2023년도 산업통상자원부 감사결과 지적사항 | 원안 접수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
'23.09.05. | 제'23-3차 임시주주총회 권리주주 확정을 위한 주주명부의 폐쇄 및 기준일 설정(안) | 원안 가결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 |
제'23-3차 임시주주총회 권리주주 확정을 위한 주주명부의 폐쇄 및 기준일 설정(안) | 원안 가결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 | |
제40기(2023회계연도) 상반기 결산보고 | 원안 접수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 | |
'23.09.21. | 비상임이사 후보자 추천을 위한 임원추천위원회 구성(안) | 위원 선임ㆍ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23.10.23. | 중장기(2024년~2028년) 경영목표(안) | 원안 가결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2023년도 사내근로복지기금 출연(안) | 원안 가결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
'23.11.14. | 임시주주총회 기준일 설정사유 변경(안) | 원안 가결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제'23-2차 임시주주총회 소집(안) | 원안 가결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
스마트파워(주) 지분매각 결과 보고 | 원안 접수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
'23.12.06. | 2023년도 예산변경(안) | 원안 가결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2023년도 자금조달 계획(안) | 원안 가결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
제'23-3차 임시주주총회 소집(안) | 원안 가결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
'23.12.26. | 2024년도 예산(안) | 원안 가결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분담금(4차) 출연(안) | 원안 가결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취업규칙 개정(안) | 원안 가결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직원연봉규정 개정(안) | 수정 가결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복리후생규정 개정(안) | 원안 가결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024년도 안전경앵책임계획(안) | 원안 가결 | 찬성 | -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주) 1. 이진호 상임이사 퇴임(임기만료, 2023.02.28.) 2. 황인옥 상임이사 퇴임(임기만료, 2023.02.28.) 3. 조영래 상임이사 신규선임(2023.02.28.) 4. 전호광 상임이사 신규선임(2023.02.28.) 5. 이봉윤 사외이사 신규선임(2023.12.07.) 6. 박흥석 사외이사 신규선임(2023.12.28.)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1) 구성현황
위원회명 | 구성 | 소속 이사명 | 설치목적 및 권한사항 | 비고 |
재무관리 위원회 | 사외이사 2명, 상임이사 1명 | 공 석(위원장) 최용선 조영래 | - 당해연도 예산 및 운영계획(안)에 관한 심의ㆍ자문 - 중장기 재무계획 수립 및 Rolling에 관한 심의ㆍ자문 - 신규사업 투자에 관한 심의ㆍ자문 - 재무위험관리 방안에 관한 심의ㆍ자문 등 | - |
ESG 위원회 | 사외이사 전원 | 김우겸(위원장) 박정일 최용선 | - ESG경영 방향성 점검, 추진계획 수립, 성과관리 등 심의ㆍ자문 - 회사 업역 확장을 위한 친환경 사업 및 환경경영 정책 심의ㆍ자문 - 분야별 사회적 가치* 창출 및 사회적 책임 이행 관련 정책 심의ㆍ자문 *일자리 창출, 동반성장, 지역협력, 사회공헌 등 - 반부패경영, 윤리경영, 조직문화 개선 등 투명경영 관련 심의ㆍ자문 | - |
안전경영 위원회 | 사외이사 2명, 상임이사 2명 | 박정일(위원장) 김우겸 허상국 전호광 | -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따른 재해예방 및 안전강화 정책 심의ㆍ자문 - 안전경영책임계획 방향 설정 및 로드맵 자문 - 회사 중요 안전관리 정책 및 제도개선 자문 | - |
주) 1. 이진호 상임이사 퇴임(임기만료, 2023.02.28.) 2. 황인옥 상임이사 퇴임(임기만료, 2023.02.28.) 3. 조영래 상임이사 신규선임(2023.02.28.) 4. 전호광 상임이사 신규선임(2023.02.28.) 5. 이봉윤 사외이사 신규선임(2023.12.07.) 6. 박흥석 사외이사 신규선임(2023.12.28.) 7. 재무관리위원회 위원장(비상임이사) 의원면직에 따른 공석으로 후임 위원장 선임중 |
2) 활동내역
(기준일 : 2023.12.31.) |
○ 재무관리위원회
위원회명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이사별 참석현황 | ||
공 석 (위원장) | 최용선 (출석률: 100%) | 조영래 (출석률: 100%) | ||||
재무관리 위원회 | 2023.10.17. | 중장기(2024년~2028년) 경영목표(안) | 적정 | - | 찬성 | 찬성 |
2203.12.22. | 2024년도 예산안 | 적정 | - | 찬성 | 찬성 |
○ ESG 위원회
위원회명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이사별 참석현황 | ||
김우겸 (출석률: 100%) | 박정일 (출석률: 100%) | 최용선 (출석률: 100%) | ||||
ESG 위원회 | 2023.04.26. | ESG경영 '22년도 추진성과 및 '23년도 추진계획 보고 | 적정 | 찬성 | 찬성 | 찬성 |
2023.10.23. | '23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및 이중중대성 평가 결과 보고 | 적정 | 찬성 | 찬성 | 찬성 | |
중장기(2024년~2028년) 경영목표(안) | 적정 | 찬성 | 찬성 | 찬성 | ||
2023.11.30. | ESG경영 추진계획 Rolling(안) | 적정 | 찬성 | 찬성 | 찬성 | |
환경경영 기본계획 Rolling(안) | 적정 | 찬성 | 찬성 | 찬성 |
○ 안전경영 위원회
위원회명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이사별 참석현황 | |||
박정일 (출석률: 100%) | 김우겸 (출석률: 100%) | 허상국 (출석률: 100%) | 전호광 (출석률: 100%) | ||||
안전경영 위원회 | 2023.10.17. | 중장기(2024년~2028년) 경영목표(안) | 적정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2023.12.22. | 2024년도 안전경영책임계획 | 적정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단위 : 천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5 | 150,000 | 90,600 | 29,416 | ○ 급여지급인원 총 3.08명 - 활동비 월 2,000천원/인 - 참석수당 월 500천원/회 |
주) 1. 작성기준 - 인원수 : 2023.12.31. 현원 기준 - 지급총액 : 퇴직자 급여 및 퇴직소득 포함 작성 - 1인당 평균 지급액 : 지급총액 ÷ 급여지급인원으로 작성 2. 사외이사 : 활동비를 지급하는 사외이사 대상으로 작성. 3. 주주총회 승인금액은 사외이사 5명 기준임. |
- 해당사항 없음.
주) 1. 특정인과 거래총액이 최근 사업연도말(2023년도)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따른 매출총액(15,230억원) 대비 1%이상 인 거래임.(별도재무제표 기준) 2. 거래금액은 특정인과 체결한 전체 계약의 거래기간 동안 발생한 매출액의 합계임.(부가세별도) 3. 5% 이상인 거래는 다음 항목에 기재하였음.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매출발생기간) | 거래금액 (매출금액) | 비율 |
---|---|---|---|---|
한국전력공사(주) (최대주주) | 정비공사 (매출액) | 2023.01.01~2023.12.31. | 1,004 | 6.6% |
한국수력원자력㈜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 | 정비공사 (매출액) | 2023.01.01~2023.12.31. | 6,159 | 40.4% |
한국남동발전(주)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 | 정비공사 (매출액) | 2023.01.01~2023.12.31. | 1,303 | 8.6% |
한국동서발전(주)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 | 정비공사 (매출액) | 2023.01.01~2023.12.31. | 841 | 5.5% |
한국중부발전(주)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 | 정비공사 (매출액) | 2023.01.01~2023.12.31. | 1,380 | 9.1% |
한국서부발전(주)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 | 정비공사 (매출액) | 2023.01.01~2023.12.31. | 961 | 6.3% |
한국남부발전(주)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 | 정비공사 (매출액) | 2023.01.01~2023.12.31. | 951 | 6.2% |
주) 1. 특정인과 거래총액이 최근 사업연도말(2023년도)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따른 매출총액(15,230억원) 대비 5%이상 인 거래임.(별도재무제표 기준). 2. 거래금액은 특정인과 체결한 전체 계약의 거래기간 동안 발생한 매출액의 합계임.(부가세별도) 3. 비율은 최근 사업연도말 매출총액에 대한 비율임. |
가. 업계의 현황
1) 발전정비산업의 특성
정비는 설비투자의 계획과정을 비롯한 전과정에 관여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활동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전력산업에 있어서 발전설비의 운전과 유지는 본질적으로 등가(等價)의 업무를 양적으로 분담하고 있습니다. 정비업무는 발전설비의 경제적인 가치의 유지, 기기의 수명연장, 설비가동률 제고에 따른 생산성의 증대, 종업원의 안전사고율 저하, 고장원인 분석에 따른 재발방지 등 효과적인 업무수행을 지원함으로서 국민경제 발전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2) 발전정비산업의 성장성
전력수급계획에 제시된 원전적극활용, 신재생에너지 합리적 보급, 석탄발전 감축유도 등의 방향으로 원자력발전정비 물량 지속유지, 가스터빈 발전설비 물량 및 신재생에너지 발전정비 물량의 증가가 예상됩니다. 그리고 산업구조 고도화와 국민 생활수준 향상에 따른 선진국형 전력 소비추세 가속화로 전력수요의 증가세가 지속될 것이며, 전력 사용 기반의 국민생활패턴으로 전환되어 고급 청정에너지인 전력 소비는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당사는 수주 및 매출의 계절적 변동요인이 존재합니다. 이는 안정적 전력수급을 위해 하절기와 동절기 등 전력수요 피크기를 피하여 주요공사(계획예방정비 및 개보수)일정이 수립되고 또한 모든 발전설비는 공사규모(급수)를 달리하여 정기점검을 실시하므로 일반적으로 분기별, 계절별로 수주 및 매출의 차이가 발생합니다.
4) 경쟁요소
당사는 국내 발전설비정비 선도기업으로서 국내 화력 발전설비, 원자력/양수 발전설비 및 송변전설비 정비시장의 시장 우위적 위치에 있습니다. 당사의 경쟁력은 다기종으로 구성된 발전설비에 대해 오랫동안 축적된 정비 Data와 경험을 바탕으로 현장정비(경상 및 계획예방정비)는 물론 정비기술 연구개발 등 엔지니어링 기술까지 겸비한 고도의 Total 정비수행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점입니다. 또한 돌발복구 발생시 사업소간 원활한 인력 지원체계와 정비조직을 상호 연계한 운영이 가능한 것이 큰 장점입니다.
5) 자금조달의 특성
당사는 2000년 이후 무차입경영을 실현하고 있으며 사업의 특성상 매출의 대부분이 한전과 발전회사 등 공공기관에서 발생하는 관계로, 대부분의 수금이 현금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국내사업 매출의 경우 3개월 이내 수금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해외공사의 경우는 USD와 AUD, EUR, INR 등 외화로 수금되고 있습니다.
6) 관계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
영업에 영향을 미치는 법률 또는 제 규정으로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전기사업법, 전기공사업법, 중대재해처벌법, 건설산업기본법, 엔지니어링산업진흥법, 원자력안전법, 원전비리 방지를 위한 원자력발전사업자 등의 관리ㆍ감독에 관한 법률 등이 있습니다.
7) 기타 정비 산업 환경
가) 발전설비 이용률 향상 및 계속운전 관심 증대
현재 발전소 신규건설과 관련한 부지난, 대규모 자본투자와 투자자본 회수 기간이 장기간 소요됨에 따라 기존 설비에 대한 이용률 향상과 계속운전에 관심이 집중되는 추세입니다. 점차 노후화되는 발전설비에 대해 고장정지 및 계속운전의 선행 요건으로 발전설비에 대한 완벽한 정비가 중요한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나) 주요 발전정비 산업정책
○ 발전정비산업 경쟁도입 추진현황
발전5사 주관 '경쟁도입 정책결정' 용역('11년 9월) 결과를 바탕으로 발전정비산업 경쟁이 도입되었습니다. 1단계 경쟁은 '13년부터 '17년까지 5년간 최신기종, 대용량 신규발전소 핵심설비(터빈, 발전기 등)는 한전KPS가 담당하고, 신규발전소 비핵심설비 및 한전KPS 핵심설비 상응물량은 입찰하는 것이 골자이며, 2단계 경쟁은 '발전5사 주관, 발전정비산업 경쟁도입 2단계 정책결정 용역안에 대한 정책결정이 유보된 상황입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49년간 국내외의 다양한 발전설비를 책임 정비해 온 당사는 우수한 전문기술인력과 첨단 장비를 바탕으로 국내외 산업설비의 가동률과 효율성 향상을 위한 고품질의 정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한국전력공사가 전액 출자한 발전설비정비 전문회사로 설립되어 전력의 안정적 공급이라는 공익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발전설비의 성능 향상과 설비가동율 제고를 위한 기술력을 축적하여 최고의 전력설비정비전문회사로 성장하면서 해외에서도 기술력을 인정받아 인도, 파키스탄, UAE 등지에서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해 나가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지배회사 및 종속회사의 사업부문별 현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한전KPS(주)
사업구분 | 사업내용 | 주요고객 |
---|---|---|
화력 | ○ 국내 화력설비의 경상정비공사, 계획예방정비공사, 개보수공사, 시운전정비공사 ○ Gas Turbine 고온부품재생 등 | 한국전력공사, 한국수력원자력, 국내발전사 등 |
원자력/ 양수 | ○ 국내 원자력/양수설비의 경상정비공사, 계획예방정비 공사, 개보수공사, 시운전정비공사 ○ 선진 원전정비 실용기술의 도입ㆍ자체 기술 개발 및 사업화 등 | |
송변전 | ○ 송전선로 유지 및 활선정비, HVDC 설비점검 및 정비, 전기공사 종합 책임감리 등 | |
대외 | ○ 한전 및 한전계열 발전사 외의 국내 발전산업 설비정비 ○ 신재생에너지사업 등 ○ 연구기술용역 등 | 한국지역난방공사, 민자발전사 등 |
해외 | 해외 발전설비 운전/정비 | 국내ㆍ외 발전사 |
○ 종속회사
회사명 | 사업구분 | 사업내용 | 주요고객 |
---|---|---|---|
KEPCO KPS PHILIPPINES CORP | 해외 | 해외 발전설비 운전/정비 | 국내ㆍ외 발전사 |
KPS파트너스(주) | 기타 | 건물(시설)관리용역업 외 | 한전KPS(주) 등 |
KEPCO KPS SOUTH AFRICA PTY LTD | 해외 | 해외 발전설비 운전/정비 | 국내ㆍ외 발전사 |
(1) 화력사업
전국에 산재해있는 화력사업장에서 국내발전설비를 대상으로 건설과정에서의 시운전정비, 운전과정에서의 경상정비, 계획예방정비, 개보수공사 등을 충실히 수행하여 발전소 불시고장 방지 및 설비의 가동률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노후화된 설비에 대한 수명평가 및 진단을 통해 설비의 성능개선과 관리 방안을 도출하고 보일러, 터빈 등 핵심 설비를 개선해 발전 효율을 높이고 수명을 연장하는 성능개선공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2) 원자력/양수사업
화력 사업분야와 동일하게 설비에 대한 경상정비, 계획예방정비, 개보수공사 등을 전담 수행하고 있으며, 건설중인 발전소에서는 시운전정비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원전 정비기술의 자립 및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원자력정비기술센터와 연료장전 등 핵심설비 정비분야의 해외 및 국내 원전 정비기술 지원을 위한 원전기술지원실과 원전 정비기술의 전문교육을 위한 원자력연수원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3) 송변전사업
전국에 산재해있는 전력지사에서 가공송전설비를 대상으로 유지정비를 담당하며 전력의 안정적 공급에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가공송전설비를 유지정비 함에 있어 고가의 특수장비를 사용한 장기간 설비의 특성분석과 정보를 관리하여, 설비 최적관리는 물론 재해ㆍ재난 등 대규모 고장발생시 즉시 출동할 수 있는 체계를 확보하고 있으며, HVDC변환설비 정비 및 전력시설물 설계, 송전 및 전차선로의 건설ㆍ감리 등 Total 정비체계를 구축하였고, 또한 산업설비 유지보수와 설계, 시공에도 참여하고 있습니다.
(4) 대외사업
당사는 국내 발전회사(민간 포함), 한국지역난방 열원공급설비, 산업단지 열병합설비 및 자가발전설비 등 국내외 플랜트 설비의 유지관리사업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노후설비에 대한 성능진단, 수명평가 및 설비개선공사 등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전문정비기술을 활용하여 고객설비가 최고의 효율로 안정되게 운영될 수 있도록 고품질의 진단, 정비 및 성능향상 역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태양광, 풍력 등의 신재생에너지 사업 EPC, O&M에 참여하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사업 활성화로 2030 NDC 목표달성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가) GT(Gas Turbine) 고온부품 재생정비 사업
당사는 GE의 가스터빈 고온부품 재생정비 뿐만 아니라 이 기술을 바탕으로 지멘스, 웨스팅하우스, ABB 등 Non-GE의 다양한 기종의 가스터빈 및 스팀터빈 부품 재생정비서비스를 수행하고 있으며, 발전설비 정비 노하우를 바탕으로 한 독자적인 기술개발 능력으로 가스터빈 부품 국산화, 가스터빈 및 스팀터빈 로터의 건전성 진단 및 성능 향상을 위한 발전기 회전자와 고정자 절연진단 및 수리 서비스를 포함, 일반 산업설비까지 토탈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국내 가스터빈 정비업체 중 독보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나) 신재생에너지사업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에 부응하여 친환경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신규사업 진출을 통해 회사의 미래 성장동력을 확충하고자, 당사는 신재생발전설비 건설공사와 O&M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나아가 신재생에너지 전문인력 양성 등 내부역량 강화로 신재생에너지 사업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사업영역으로는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ESS사업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EPC 사업 및 O&M 등이 있습니다.
(5) 해외사업
당사는 미래 성장동력인 해외사업을 통하여 발전설비 운전 및 정비기술을 해외에 수출하고 있습니다. 현재 인도, 마다가스카르, 방글라데시 등 해외에서 발전설비 운전 및 정비(Operation & Maintenance) 등 장기 해외사업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모로코, 나이지리아, 필리핀, 인도네시아, 호주, 남아공, 사우디아라비아, 우루과이 등 다변화된 해외시장 영업 활동을 통해 계획예방정비공사, 복구공사, 기술용역, 시운전공사 등을 활발히 수행하는 등 세계적인 종합플랜트서비스회사로 지속성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원자력분야에서는 2009년도 한전 주도의 UAE BNPP 원전 수주 이후 2011년 UAE 정비원 양성 용역을 수주하여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며 BNPP 시운전정비사업과 가동전검사용역을 각각 2013년과 2016년에 체결하여 현재 사업을 안정적으로 수행 중입니다. 2019년 6월 Team Korea(한국수력원자력-한전KPS)의 구성으로 UAE원전 장기정비사업(계약명 : LTMSA; Long Term Maintenance Service Agreement)을 수주하였고, 9월 한전KPS-한수원간 UAE원전 장기정비공사(LTMSC; Long Term Maintenance Service Contract) 계약을 체결하여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당사는 국내 5개 발전회사 및 한수원과 경상정비계약을 체결하고 발전소마다 상주사업소를 두어 발전소 경상정비를 비롯해 발전소에서 발주되는 공사를 수주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2006년 이후 정부는 당사에 대한 독점적 국내 정비의존도 분산차원에서 민간정비업체를 육성하고자 화력부문에서 발전회사 주관으로 민간정비업체를 육성하기 시작하였고. 이들 민간업체는 태안, 하동, 당진, 영흥화력 발전소 등에서 발전사와의 수의계약 또는 경쟁입찰형태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원자력부문은 2023년도 12월말 현재 상업운전중인 25기의 원자력발전호기 중 14기 및 한울5,6호기, 신고리1,2호기 1차측 설비는 당사에서 단독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7기는 공동수급방식으로 정비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국내 정비시장은 크게 한전, 한수원 및 5개 발전회사와 국내 민간발전설비로나눌 수 있습니다. 아래 점유율은 한전, 한수원 및 5개 발전회사에서 당사가 수행하는 부분에 대해서 단순비율로서 점유율을 산출하였으며 시장점유율은 다양한 기준과
방식에 따라 그 산출에 차이가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가) 화력부문 정비점유율
(단위 : MW) |
구 분 | 2023년 | 2022년 | 2021년 |
---|---|---|---|
화력 발전5社 발전용량(A) 주)1 | 51,716 | 51,365 | 53,065 |
당사 수행분(B) 주)2 | 24,258 | 23,745 | 25,400 |
점유율(B/A×100) 주)3 | 46.9% | 46.2% | 47.9% |
주) 1. 화력 발전5社 정비대상 설비 중 당사가 수행하는 설비점유율(경상정비 기준)적용 2. 공동수급 정비지분율 및 경쟁발주 설비 중 당사 수행분을 반영하여 산출 - 당사 정비수행 발전용량은 (발전용량×정비수행률)로 산출 3. 점유율은 산정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음 |
나) 원자력부문 정비점유율
(단위 : MW) |
구 분 | 2023년 | 2022년 | 2021년 |
---|---|---|---|
한수원(원자력) 발전용량(A) 주)1 | 24,650 | 24,650 | 23,250 |
당사 수행분(B) 주)2 | 17,414 | 17,377 | 16,624 |
점유율(B/A×100) 주)3 | 70.6% | 70.5% | 71.5% |
주) 1. 한수원 원자력발전소 정비대상 설비 중 당사가 수행하는 설비점유율(경상정비 기준)적용 2. 공동수급 정비지분율 및 경쟁발주 설비 중 당사 수행분을 반영하여 산출 3. 점유율은 산정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음 |
다) 양수부문 정비점유율
(단위 : MW) |
구 분 | 2023년 | 2022년 | 2021년 |
---|---|---|---|
한수원(양수) 발전용량(A) 주)1 | 4,700 | 4,700 | 4,700 |
당사 수행분(B) 주)2 | 3,150 | 3,150 | 3,150 |
점유율(B/A×100) 주)3 | 67.0% | 67.0% | 67.0% |
주) 1. 한수원 양수발전소 정비대상 설비 중 당사가 수행하는 설비점유율(경상정비 기준)적용 2. 공동수급 정비지분율 및 경쟁발주 설비 중 당사 수행분을 반영하여 산출 |
라) 송변전 부문 정비점유율
(단위 : C-km) |
구 분 | 2023년 | 2022년 | 2021년 |
---|---|---|---|
가공송전선로 긍장(A) | 30,440 | 30,463 | 30,305 |
당사 경상정비설비(B) | 30,440 | 30,463 | 30,305 |
점유율(B/A×100) | 100% | 100% | 100% |
주) 지중선, HVDC수중선 및 가공선을 제외한 설비현황으로서 한국전력공사에서 직영 운영하던 가공송전 설비 순시점검업무를 1992년부터 동사에서 시행하면서 점유율을 점차 확대하여 2009년부터 100% 수탁시행 하고 있음. |
3) 시장의 특성
국제 에너지 부존자원의 한계 및 지역편재에 따른 공급불안으로 에너지 문제가 상존하고 경쟁을 통한 전력산업 효율과 서비스개선 촉진을 가속화하고 있는 가운데 전력산업의 탈국경화 추세가 확산되어 선진국 전력회사의 해외 직접투자 증가와 민영화 시장 참여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전력산업 구조개편에 따라 분할된 발전회사별로 효율성 증진을 위한 발전원가 절감이 모색되고 있고, 이에 따라 계획정비
공사 주기 조정 및 경정비 자체 시도와 발전회사별 경쟁입찰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국내 전력분야는 민간발전사업자의 진입확대 등 시장여건 변화에 따라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에너지원의 해외 의존도 등으로 인해 수요관리의 강화,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등의 노력이 요구되고 있으며, 대외적으로는 세계경제환경이 급변하여 국가간 교류가 활성화됨에 따라 발전정비 시장도 시장개방요구가 거세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에 국내외 발전정비시장은 기존시장 유지와 신설발전소 정비공사 수주에 주력하면서 기술개발을 통한 국제경쟁력 강화가 당면과제가 되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가) 국내 발전정비사업
회사의 신규사업 추진은 정부의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기초하여 전망되고 있으며, 이에 따르면 지속적 전력수급 증가에 비례하여 총 발전설비용량도 증가할 예정입니다. 실현가능하고 균형잡힌 전원믹스와 원전의 활용, 적정수준의 재생에너지 유지를 위해서 원자력과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을 늘리며 "2030 NDC 수정안" 및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등 탄소중립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2036년까지 석탄발전 28기의 점진적 폐지를 계획하여 석탄에너지 비중은 줄여나가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안정적인 전력수급을 최우선 과제로 하면서 경제성, 환경성, 안전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전원믹스를 구성하고 전력망 보강, 전력시장 개편 등이 예상됨에 따라 회사의 신규사업 추진에 변동성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나) 대외사업
현재까지 전력그룹사 발전설비 중심의 제한적 사업 범위에서 탈피하여 산업플랜트, 민자발전 사업자가 보유한 열병합 발전설비 및 자가발전소, 연계 에너지사업 등의 적극적인 참여로 사업영역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특히 국내ㆍ외 신재생에너지 시장은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미래 핵심에너지인 신재생에너지분야의 선도기업을 목표로 체계적인 사업수행을 위해 신사업분야에 사업체계를 재구축하여 신재생사업의 전문기업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 해외사업
○ 해외사업 집중 공략시장과 전략
해외시장 | 전 략 |
---|---|
인 도 | 1998년 GMR 내연 발전소 수주를 시작으로, 현재 찬드리아(약 18년간 수행 중), 바브나가르, TSPL(대용량 초임계압 발전소) 3개 사업장에서 O&M 사업 수행 중. 기존 사업의 안정화로 시장인지도 상승과 더불어 고객가치 창출로 시장 내 브랜드가치 부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 중. 또한 가격 경쟁력 향상을 위해 운영방법 개선과 신규 물량(IPP, CPP) 발굴 등 시장내 점유율 확대 전략 추진 중. |
필리핀 | 1996년 KEPHILCO 말라야 화력 #1 계획예방정비공사 수주를 필두로 일리한 복합 경상정비공사 및 다수의 정비공사 수행. 2013년 필리핀 현지법인 설립 이후 O&M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여 푸팅바토 화력 O&M, 계획예방정비공사, 복구공사 및 기술용역 등의 공사를 수행. 2021년 필리핀 내 지속성장 기반구축을 위해 현지 영업력을 보유한 파트너사와 필리핀 법인 JV를 설립하여 53억 원의 매출 실적 달성으로 현지화 전략의 일환인 거점시장 확대가 성공적으로 추진 중. |
요르단 | 2013년 IPP3 600MW 디젤발전소 O&M 수주를 시작으로 한국전력공사 등 전력그룹사와의 전략적 협력관계를 활용, 알카트라나 복합화력 발전소 계획예방정비공사 등 각종 변동공사 수주. 또한 검증된 O&M 역량과 신뢰를 바탕으로 요르단 전력청이 발주하는 각종 공사에 참여 방안 협의 중이며, 요르단을 전략적 거점 지역으로, MENA(중동 및 북부 아프리카) 시장으로의 사업 확대 전략 추진 중. |
인도네시아 | 2002년 인도네시아 전력공사(MSBU) 정비전문회사 설립 기술자문용역을 시작으로 SAI 디젤 발전소 성능개선공사, Tarjun 화력 계획예방정비공사, Cirebon 화력 ENGINEER 수탁교육, 탄중자티 터빈 계획예방정비공사, 메락 화력 성능진단공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회사의 브랜드 가치 상승. 2018년 Indonesia Power와의 사업협력 MOU를 체결, Pangkalan Susu 화력 O&M TA 용역을 수행하여 회사 이미지 제고 일조. 이를 기반으로 2021년 인도네시아 지사를 개소, 포스코에너지 100MW 터빈·발전기 Major 계획예방정비공사를 완벽하게 수행, 인도네시아 시장 내 전략적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IPP 발전소, 인도네시아 전력청 산하 발전소 O&M, 각종 변동공사 수주 추진 중. |
남아공 | 2008년부터 Grootvlei, Matla, Majuba 화력 발전소 등 남아공 전력청 산하 13개 발전소에 계획예방정비공사 기술용역을 수행, 2013년 남아공지사 설립 이후, 남아공 ESKOM 소유 터빈, 발전기 계획예방정비공사 등 수행. 2023년 ESKOM 발전소 정비 추가 수주. 남아프리카공화국 내 현지법인을 설립하여 아프리카 시장점유율 확대 노력중. |
미 국 | '93년 웨스팅하우스社의 원전연료재장전 분야 기술인력지원 사업을 시작으로 Anatec(증기발생기 세관검사 신호평가[QDA]), 롤스로이스(증기발생기 검사 및 정비) 등 현지 정비社를 대상으로 기술인력지원 사업을 수행하였음. 또한, 증기발생기 2차측 육안검사 및 이물질 제거기술(KTIS) 등 한전KPS 기술력에 대한 홍보활동을 통해 미국 내 원전정비 신규사업 발굴을 추진하고 있음. |
UAE | UAE Barakah 지역에 APR1400(1400MW) 4기가 '11년 착공하였으며, 1호기는 '21년 상반기부터, 2호기는 '22년 상반기부터, 3호기는 '23년 상반기부터 상업운전을 시행중임. KPS 주요 사업분야는 시운전정비, 경상정비, 계획예방정비 등이며 한수원(주)과 '11년 8월 ENEC 정비인력 양성 용역, '13년 8월 UAE원전 4개 호기 시운전 정비 공사, '16년 1월 UAE원전 4개 호기 가동전 검사 용역, '17년 6월 UAE원전 설비정비용역 계약을 체결하여 현재 수행중에 있음. Team Korea(한국수력원자력-한전KPS) 구성을 통하여 '19년 6월 LTMSA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9월 한수원과 LTMSC 계약을 체결하여 사업을 수행중임. UAE원전정비공사 및 BNPP시운전공사 추가역무 개발을 통한 사업영역 확대를 추진 중. |
5) 조직도
(기준일 : 2023.12.31.) |
조직도 |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구분 |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제1호 | 김도윤 | 1965.02.16. | 사내이사 | 해당사항 없음 | 계열사 직원 | 사 장 |
제2호 | 신민순 | 1966.09.14. | 사외이사 | 해당사항 없음 | 계열사 직원 | 임원추천위원회 |
총 ( 2 ) 명 |
주) 1. 제1호는 상임이사 선임(1명) 건임. 2. 제2호는 비상임이사 선임(1명) 건임. 3. 제2호 신민순 후보는 「공공기관 운영에 관한 법률」 제25조 제3항 제2호에 의한 비상임이사 후보임.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구 분 |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제1호 | 김도윤 | 前) 한전KPS(주) 해외발전사업처장 | '22.12.~현재 | 한전KPS(주) 서울경기전력지사 기술역 | 해당사항 없음 |
'21.12.~'22.12. | 한전KPS(주) 원자력정비기술센터장 | ||||
'16.12.~'18.06. | 한전KPS(주) 해외발전사업처장 | ||||
제2호 | 신민순 | 前) 한전KPS(주) 노동조합본부 기획국장 | '24.01.~현재 | 한전KPS(주) 인재개발원 근무 | 해당사항 없음 |
'20.12.~'22.10. | 한전KPS(주) 노동조합본부 기획국장 | ||||
'17.08.~'20.11. | 한전KPS(중) 노동조합본부 정책국장 |
주) 1. 제1호는 상임이사 선임(1명) 건임. 2. 제2호는 비상임이사 선임(1명) 건임. 3. 제2호 신민순 후보는 「공공기관 운영에 관한 법률」 제25조 제3항 제2호에 의한 비상임이사 후보임.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구 분 |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제1호 | 김도윤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제2호 | 신민순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주) 1. 제1호는 상임이사 선임(1명) 건임. 2. 제2호는 비상임이사 선임(1명) 건임. 3. 제2호 신민순 후보는 「공공기관 운영에 관한 법률」 제25조 제3항 제2호에 의한 비상임이사 후보임.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제2호 : 후보 신민순
1. 미래를 선도하는 지속가능한 기업 과거 공공기관의 선진화방안 등 여러 개혁적인 정책변화가 있었지만 공공기관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고 새로운 방식의 정책이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민주적 정책결정 과정과 절차가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바로 정책결정 과정에서 이해관계 당자사(예 : 노동자와 시민단체 등)의 참여를 뒷받침 할 수 있도록 구체화된 세부 추진방안 수립이 필요함 2. 안전 최우선 가치를 추구하는 기업 중대재해처벌법 발효로 하루 24시간 연속 운전되는 발전현장에서는 언제든지 발생될 수 있는 재해, 재난에 대비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를 위해서는 효율과 경쟁으로 인한 공공기관의 시장화 실패가 가져온 사회적 참사의 결과를 타산지석으로 삼고 공공적 가치 실현에 역점을 둔 정책변화가 필요함 3. 함께 동반성장하는 기업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변화된 경영환경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공공기관에 대한 관리통제보다 공공기관의 자율성과 책임경영, 민주적 거버넌스 구축 강화를 위한 노동참여 및 제도화에 초점을 둔 정책적 변화가 필요한 시기라고 생각함.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제1호 : 후보 김도윤
- 한전KPS 본사 및 국내외 화력, 원자력발전소 근무경험을 기반으로 사업관리, 기술개발 및 이해관계 조정 등을 통한 회사 중장기 경영목표 달성 역량 보유 - 해외사업(화력ㆍ원전)의 개발, 수주, 인력양성 및 효율적 사업관리를 통하여 해외사업 수행기반 구축 및 성장 기여 |
○ 제2호 : 후보 신민순
- 발전소 현장 및 노동조합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회사 경영 및 현장 정비공사 전반에 대한 이해도가 뛰어남. - 노동조합 조합원들의 목소리를 대변한 경험 및 원만한 소통능력을 바탕으로 회사 정책 및 제도개선을 위한 실질적인 경영제언이 가능. |
확인서
○ 제1호 : 후보 김도윤
확인서_제1호 김도윤 |
○ 제2호 : 후보 신민순
확인서_제2호 신민순 |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 - |
- 임시주주총회 개최로 해당사항 없음.
- 임시주주총회 개최로 해당사항 없음.
□ 주주총회 집중일 개최 해당사항 없음. □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가. 전자투표 인터넷 주소 : 「https://evote.ksd.or.kr」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404002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