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씨디렉트 (05138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3-09 15:49: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09000488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 년 03 월 09 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피씨디렉트 
대 표 이 사 : 서 대 식 
본 점 소 재 지 : 서울시 용산구 원효로 138, 8층 (원효로3가, 청진빌딩) 

(전   화) 02-785-3001

(홈페이지) http://www.pcdirect.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부사장 (성  명) 이 성 수

(전  화) 02-785-3001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25기 정기)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하심을 기원합니다. 상법 제365조 및 당사 정관 제17조에 의거하여 제25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소액주주에 대한 소집통지는 상법 제542조의4 및 당사 정관 제19조에 의거하여 이 공고로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3년 3월 24일 (금) 오전 9시

2. 장 소 : 서울시 용산구 원효로 138, 8층(원효로3가, 청진빌딩) 본사 대회의실
          ※ 연락처 : (02) 785 - 3001(내선 216)

3. 회의목적사항
<보고 사항>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에 관한 실태보고, 외부감사인 선임 보고

<부의 안건>
제1호 의안 : 제25기(2022.01.01~2022.12.31)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정관 변경의 건
제3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사내이사 1인, 사외이사 1인)
제4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5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및 지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예탁결제원 의결권 행사(섀도우보팅)제도 폐지에 따른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예탁결제원의 의결권 행사(섀도우보팅)제도가 2018년 1월 1일부터 폐지됨에 따라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행사 할 수 있습니다.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주주인감증명서 또는 신분증 사본], 대리인의 신분증

7. 기타사항
- 주주총회 기념품은 회사경비 절감을 위하여 지급하지 않습니다.
-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에 관한 안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의 감염 및 전파를 예방하기 위하여 주주총회 개최시 총회에 참석하시는 주주님들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으며, 발열 등 증상이 의심되는 경우 주주총회장 출입이 제한될 수 있으니 주주분들께서는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주주총회에 참석하시는 분들께서는 질병 예방을 위하여 반드시 마스크 착용을 부탁드리며, 마스크 미착용 시 주주총회장 출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주주총회에 참석하시는 주주분들께서는 감염병 예방을 위하여 진행요원의 안내에 적극 협조를 부탁 드립니다.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손근선
(출석률:57.14%)
찬 반 여 부
1 2022.01.24 의안1.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 실태 보고 및 승인의 건
의안2.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 담당자 변경 승인의 건
의안1. 찬성
의안2. 찬성
2 2022.01.24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평가보고의 건 참석
3 2022.02.01 지점 이전의 건 불참
4 2022.02.10 임직원 성과 보상의 건 불참
5 2022.03.10 제24기(2021.1.1~2021.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찬성
6 2022.03.10 제24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찬성
7 2022.05.30 의안 1. 우리은행 수입신용장(기한부) 한도 증액의 건
의안 2. 우리은행 원화자금 차입의 건
불참
8 2022.06.13 하나은행 원화자금 차입의 건 찬성
9 2022.06.13 하나은행 외화자금 차입의 건  찬성
10 2022.07.01 정책평가연구원 자본금 출자의 건  불참
11 2022.07.25 신한은행 외화대출 한도 증액의 건 불참
12 2022.08.19 산업은행 원화대출 약정 연장의 건 찬성
13 2022.09.15 우리은행 수입신용장 과목 변경의 건 불참
14 2022.11.16 산업은행 수입신용장(기한부) 한도 기한연장의 건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5,000 18 18 -

-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 보수 포함 금액임.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해당사항 없음.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 해당사항 없음.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프로세서, 스토리지 등 IT 하드웨어 시장은 PC가 개인용 IT기기의 주력이던 시절과 달리 고도 정보화 산업 사회로의 발달과 국민경제 성장으로 인해 시장의 성숙 및 경쟁 구도의 변화, 제품의 표준화 등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2000년 중반까지만 해도 IT를 대표하는 기기는 단연 데스크탑 PC였고, 특히 문서작업, 게임, 음악과 영화 감상, 그래픽 디자인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PC의 특성상, 고성능 메인 PC 외에 흔히 말하는 세컨드 PC에 대한 관심도 높은 편이었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세컨드 PC의 개념이 희미해지고 있으며 세컨드 디바이스가 오히려 보다 합리적 개념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습니다. 스마트폰과 태블릿은 기능상 세컨드 PC의 주요 기능을 대신할 정도로 발전했고, 그런 만큼 소비자들 또한 세컨드 PC에 연연하지 않고 자신에게 필요한 디바이스를 구매하는 소비패턴을 보이고 있습니다. 데스크톱, 노트북 뿐만 아니라 태블릿, 스마트폰, AR/VR 기기, 스마트스피커 등 다양한 기기가 업무 현장에서 사용되고 AI의 활용이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세컨드 디바이스와의 공존을 위하여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움직임은 앞으로도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프로세서 시장은 크게 데스크탑 프로세서와 서버용 프로세서, 모바일 프로세서 등으로 구분되며, 각 시장의 요구사항에 맞추어 급속도로 발전해 가고 있습니다. 데스크탑 프로세서의 경우 21년에 14nm 생산공정 기반의 11세대인 로켓레이크 프로세서를 출시하였으며, 22년에는 인텔7 공정이 적용된12세대 엘더레이크를 그리고 최근 13세대인 랩터레이크를 출시하였습니다. 서버 프로세서는 인텔의 제온(Xeon) 프로세서가 대표적이며, 오랜 노하우를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도 인정받아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모바일 프로세서는 휴대폰, PDA, 노트북 등과 같은 휴대용 디바이스를 위해 설계된 제품으로 데스크탑이나 서버에 이용되는 제품들에 비해 전력을 절약하여야 하고, 보다 작은 크기에서 다양한 동작처리 기능을 담당해야하기에 고도의 기술력을 필요로 합니다. 


스토리지 시장은 크게 HDD(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SSD(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로 나눌 수 있습니다. HDD는 종전에는 전통적인 PC 저장장치로 사용되었으나 대용량 정보의 유지 및 관리가 필요한 분야를 비롯하여 디지털 가전제품 등의 非PC 시장까지 비중이 확대되고 있으며, SSD는 고도의 안정성과 높은 데이터 처리 속도가 필요한 분야에서 수요가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스토리지 시장에서는 세계 시장에서 Seagate가 꾸준히 성장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Seagate는 삼성전자와 포괄적 사업 협력에 관한 계약을 체결하여 삼성전자의 HDD 부문을 인수함으로써 증가하고 있는 스토리지 수요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최근에는 가정용 게임기에서 활용이 가능한 고성능 SSD 제품군을 선보이며 기존 HDD  제품군에 다양한 SSD 제품군을 추가함으로써 업계에서 가장 광범위한 스토리지 포트폴리오를 모든 고객 및 파트너들에게 원스톱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Seagate 뿐만 아니라 SSD 부분에서는 Intel을 비롯하여 도시바, 샌디스크, 삼성전자 등의 국내외 유명 회사들이 소비자들의 수요에 맞추어 다양한 제품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마더보드 시장은 프로세서 시장의 변화와 함께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프로세서 출시에 따라 새로운 칩셋의 마더보드가 필요하기에 마더보드 시장은 프로세서 시장의 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변화하는 시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마더보드 시장은 가장 크게는 칩셋 제조사에 따라 분류할 수 있으며, 확장성과 안전성 등에 따라 고급형, 보급형 등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GIGABYTE를 비롯하여 ASRock, MSI, ASUS, ECS 등 여러 제조사들이 경쟁구도를 이루고 있으며, 프로세서가 시장의 요구에 맞춰 급속도로 발전하는 만큼 마더보드 또한 꾸준히 신제품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GIGABYTE는 게이밍 브랜드인 AORUS 제품군을 출시하여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으며, 고객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하는 제품을 지속적으로 선보이고 있습니다.

 

그래픽카드 시장은 언택트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증강 현실(AR), 고사양 게임 및 크리에이터의 영상 편집 등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점차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하이엔드 제품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2022년 10월 시장에 선보인 GIGABYTE 지포스 RTX 40 Series는 NVIDIA Ada Lovelace 아키텍처 기반으로, 성능과AI 기반 그래픽 모두에서 비약적인 향상을 보여줍니다. 특히, 4세대 Tensor 코어와 3세대 RT코어를 탑재하여 게이머와 크리에이터 모두가 만족할 만한 성능을 보여줍니다.

(2) 산업의 성장성

 시장조사기관인 가트너(Gartner, Inc.)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2022년 3분기 전 세계 PC 출하량은 총 6,800만대로 2021년 3분기보다 19.5%가 감소했습니다. 

이는 가트너가 PC 시장을 조사하기 시작한 이후 가장 가파른 하락세이며, 4분기 연속 하락세입니다.

미국 PC 시장의 경우 전년 대비 17.3% 감소한 1,748만대를 출하하였고, EMEA (유럽,중동,아프리카) PC 시장은 전년 동기 대비 26.4% 감소한 1,700만대를 출하하였습니다.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태평양 시장은 중국 봉쇄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16.6% 감소하였습니다. 가트너의 연구 책임자인 키타나와 미카코는 PC 출하량 감소에 대해 소비자 및 비즈니스 시장에서의 PC 수요 감소를 가장 큰 원인으로 지적했습니다. 

많은 PC 공급업체들이 올해 1,2분기 러시아에서의 영업을 중단하였는데 이 또한 전체 PC출하량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습니다

공급망 문제는 다소 완화되었지만, 기업과 소비자의 PC 수요 감소 및 높은 재고 수준이 주요 이슈가 되었습니다.

[Preliminary Worldwide PC Vendor Unit Shipment Estimates for 3Q22 (Thousands of Units)]

Company

3Q22 Shipments

3Q22 Market Share (%)

3Q21 Shipments

3Q21 Market Share (%)

3Q22 -3Q21 

Growth (%) 

Lenovo

17,114

25.2

20,215

23.9

-15.3

HP Inc.

12,706

18.7

17,622

20.9

-27.9

Dell

12,021

17.7

15,233

18.0

-21.1

Apple

5,795

8.5

6,866

8.1

-15.6

ASUS

5,559

8.2

6,007

7.1

-7.5

Acer

4,494

6.6

6,036

7.1

-25.6

Others

10,306

15.2

12,468

14.8

-17.3

Total

67,996

100.0

84,446

100.0

-19.5

Notes: Data includes desktop and laptop PCs that are equipped with Windows, macOS and Chrome OS. All data is estimated based on a preliminary study. Final estimates will be subject to change. The statistics are based on shipments selling into channels. Numbers may not add up to totals shown due to rounding.
Source: Gartner (October 2022)

 또 다른 시장조사업체인 IDC에 따르면 2022년 3분기 전 세계 PC 출하량은 전년 대비 15.0% 감소한 7,430만대로 집계되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재택근무, 온라인 교육 등이 증가하면서 큰 폭으로 성장했던 PC시장이 물가상승, 경기침체 등의 영향으로 수요가 줄어들면서 PC 출하량 하락세가 커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IDC는 현재 PC 출하량은 팬데믹 이전보다 훨씬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절망적인 상황은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하락세는 당분간 지속되겠지만 윈도우 10 지원종료에 따른 기업의 PC 교체수요, 경기회복에 따라 2024년부터는 출하량이 반등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Top 5 Companies, Worldwide Traditional PC Shipments, Market Share, and Year-Over-Year Growth, Q3 2022 (Preliminary results, shipments are in thousands of units) ] 

Company

3Q22 Shipments

3Q22 Market Share (%)

3Q21 Shipments

3Q21 Market Share (%)

3Q22 -3Q21 

Growth (%) 

1.Lenovo

16,880

22.7

20,129

23.1

-16.1

2. HP Inc.

12,706

17.1

17,603

20.2

-27.8

  3. Dell Technologies

11,963

16.1

15,184

17.4

-21.2

4. Apple

10,060

13.5

7,174

8.2

-40.2

5. ASUS

5,540

7.5

6,011

6.9

-7.8

Others

17,103

23.0

21,218

              24.3

-19.4

Total

74,252

100.0

87,319

100.0

-15.0

Source: IDC Quarterly Personal Computing Device Tracker, October 10, 2022


(3) 경기변동의 특성

PC 및 모바일ㆍ디지털가전제품 시장은 국내 경제성장, 민간소비 증가, 금리, 물가, 실업률 등 주요 거시경제에 영향을 받습니다. 부품유통 시장의 경우는 경제가 침체된 경우에는 고비용의 전반적인 System의 변경 대신 저비용의 필요 부품의 Upgrade 수요가 증가하는 특성 때문에 경기 변동에 따른 민감도가 크지는 않으나 전반적인 매출액은 줄어드는 경향이 있습니다. 더불어 신기술의 개발과 이에 따른 소비자의 수요 변화에도 민감한 영향을 나타냅니다. 즉 Microsoft 社의 Operating System(O/S : Windows) 체제의 변화, Game, Multimedia 등의 새로운 Application의 등장, 프로세서 및 메모리 등의 H/W 성능 개선이 수요 증대에 많은 영향을 줍니다.

(4) 경쟁요소

국내 시장에서 Intel 社의 프로세서는 AMD 社의 프로세서와 신제품의 성능 및 가격에서 경쟁 관계에 있으나, 주로 중, 저가 제품에서 경쟁이 이루어지고 있고, 쿼드코어, 6코어 및 서버용 프로세서 같은 고성능, 고가 제품군에서는 압도적인 우위를 보이고 있습니다. 세계적인 스토리지 생산업체인 Seagate 社의 스토리지는 Western Digital과 국내 및 세계 시장에서 경쟁 관계에 있습니다. 최근에는 Digital Convergence, Wireless Networking, Mobile이 주요 이슈이며 이에 대한 PC 진영과 가전업체간에 표준화 경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PC 업체는 PC의 홈서버 화를 통해 TV시청 및 영상, 음향의 재생 및 관리, 디지털 사진관리 등 다양한 Multimedia 기능을 통합하는 PC를 출시하고 있습니다. 한편 지금까지 PC나 인터넷 보급에 의해 성장해 온 IT 시장은 오늘날 성숙기를 맞아 새롭게 스마트폰과 태블릿PC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PC 출하량 감소에 영향을 주고 있어 또다른 경쟁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5) 시장 점유율 등

당사는 해외에서 IT 부품을 수입하여 국내에 판매하는 유통업체입니다. OEM 방식의 판매형태로 국내 컴퓨터 제조업체 및 정보통신업체에 부품의 형태로 직접공급 하고 각 제조업체는 완성제품을 자체브랜드로 제조, 판매하는 구조와 Dealer(도매상)이 당사의 제품을 대량 구매하고, 이를 소규모 제조업체 및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구조로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상 당사에서 판매하는 제품의 시장 점유율을 파악하기 어렵고, 또한 국내외 구체적인 통계자료가 없는 관계로 당사의 판매제품에 대한 시장 점유율을 추정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98년 11월 Storage 시장의 선두 업체인 Seagate 社의 국내총판권(Authorized Distributor)을 시작으로 Intel 社의 CPU, Mobile CPU 제품, Server 제품, SSD 제품의 국내총판권 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13년에는 메인보드 시장에서 급성장을 하고 있는 GIGABYTE 社와의 제휴를 통해 고성능 메인보드를, '20년 9월에는 그래픽카드를 공급받아 유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업체들과의 제휴를 통해 기존 IT 하드웨어의 핵심인 프로세서, 스토리지, 메인보드뿐만 아니라 베어본 노트북 제품, 서버 제품, 기타 IT 하드웨어 등을 모두 공급함으로써 개인용, 기업용 컴퓨터의 핵심부품 공급능력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당사의 주요 거래처는 DVR, PVR, Storage, Settop-Box, MP3, 네비게이션 제작업체와 PC 제조업체 등이며 동사는 해외 부품업체와 국내 완성품 제조업체간의 중간유통업체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국내 IT 제조업체들에 대한 직판체제와 4개의 직영점 및 대리점, 인터넷 쇼핑몰 제휴 등을 통해 Off-Line 및 On-Line의 마케팅 채널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또한 '03년 12월부터는 A/S 직영센터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22년 2월 A/S 직영센터를 확장 이전하여 고객만족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신규사업을 통한 사업 다각화를 통하여 새로운 시장에 진출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기존에 유통하고 있던 제품을 포함하여, 고급형 및 보급형 메인보드, SSD 제품군, 서버제품 등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갖추어 기존에 가지고 있던 영업망과 오래도록 IT 유통시장에서 쌓아온 노하우를 통하여 관련 업계의 선두주자가 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국내 IT 제조업체들을 통하여 중소기업적합업종에 해당되는 분야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고 있으며, 기존의 다양한 유통망을 통하여 보다 고급 제품들을 시장에 빠르게 유통할 수 있는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주요 도시에 있는 지사를 통해 전국적인 유통망을 구축할 수 있으며, 당사의 거래처인 Intel, Seagate, Gigabyte 등과의 탄탄한 유대관계를 통하여 새로운 제품을 빠르게 유통할 수 있는 기반을 가지고 있습니다.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사업들은 급속도로 변화하는 시장 환경과 고객의 니즈에 맞도록 유동적이고 빠른 대처가 가능한 사업들이며, 당사는 창업 이래 지금까지 쌓아온 노하우를 통하여 탄탄한 유통망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기존의 사업 뿐만 아니라 당사가 다각화를 통하여 진출하고자 하는 사업영역은 앞으로도 꾸준히 발전하고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는 영역이며 최근 업계에서도 주목받고 있는 사업들입니다. 공급처와의 관계를 통한 제품의 신속한 조달과 당사가 쌓아온 노하우, 그리고 전국적인 유통망을 통하여 신사업에서도 고객들의 니즈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다는 점은 빠르게 변화하는 IT 산업에서도 당사가 가진 가장 큰 강점이라 하겠습니다.

회사의 주요사업에 대한 세부 영업 개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프로세서

세계 최대 반도체 회사인 Intel 社의 국내 대리점으로서 프로세서 등의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Intel 社의 제품군은 프로세서 제품과 서버 제품, 미니PC제품(NUC) 그리고 네트워크카드 제품이 있습니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프로세서 제품군은 서버용 제품, 데스크탑용 제품 그리고 모바일용 제품으로 나누어지며, 모바일 제품군은 노트북 제품군 및 저전력을 사용하여야 하는 제품에 채택되는 부품입니다. 가장 규모가 큰 시장인 Intel 데스크탑 프로세서 제품은 '04년 6월부터 본격적으로 공급을 하고 있으며, 국내 데스크탑 프로세서 시장을 선도하는 위치를 선점하고 있습니다.

인텔은 인텔7공정 기반으로 제조된 12세대 제품군인 엘더레이크를 출시했는데, 고성능을 중시한 코어와 상대적으로 성능은 낮지만 높은 전력 효율을 강조한 코어를 함께 조합한 하이브리드 구조를 도입한 것이 특징입니다. 올해 하반기에는 13세대의 제품군인 랩터레이크 제품을 출시 하였습니다. 기존 공정과 비교해 성능은 15%, 전력 효율성은 30% 개선된 제품으로 슈퍼핀보다 성능을 강화한 핀펫 공정을 이용해 안정적 생산성을 확보했으며, 이를 통해 점유율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장기적으로 인텔4 공정을 적용하는 제품에 대해서도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중앙처리장치(CPU)의 역할을 주로 수행하지만, CPU라고 불리지 않고 프로세서라고 부르는 이유는 CPU 외에도 다양한 동작처리 기능을 담당하기 때문입니다. 기존에는 분리된 형태로 탑재되던 그래픽 코어가 완전히 통합되었으며, 더 개선된 터보 부스트 기술과 전력 관리 기술을 통해 전력 효율을 최대한 끌어올려 스마트한 성능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데스크탑용 라인업 대부분에서 내장 그래픽코어가 탑재되며, 이 그래픽 코어는 예전에 비해 상당히 강화된 성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프로세서는 기존의 프로세서와 그래픽 프로세서의 통합으로 게임 성능 이외에도 멀티미디어 지원이 강화되어 있어 다양한 형태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인텔에서는 이러한 제품군을 통하여 CPU와 그래픽 프로세서가 통합하는 방향으로 흐르는 PC 프로세서 시장의 트랜드를 이끌어가고 있습니다

인텔은 서버와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 부문에서 90% 이상의 점유율을 보이며 경쟁사를 압도하고 있습니다. 서버와 워크스테이션에서는 PC에 비해 월등히 높은 성능을 필요로 하는 만큼 탑재되는 프로세서 역시 PC와는 차별화되어 있으며, 인텔의 제온(Xeon) 시리즈가 대표적입니다. 가장 최근 출시된 3세대 인텔 제온 스케일러블 프로세서는 내장 가속화와 고급 보안 기능을 갖춘 균형 잡힌 아키텍처를 제공하며, 네트워크에서 엣지까지  다양한 워크로드 유형과 성능 수준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향상된 플랫폼 기능인 인텔 SGX(Software Guard Extensions) 를 탑재하여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코드와 데이터를 메모리 내에 격리하며, 특히 코드와 데이터를 분리해 시스템 내의 데이터를 보호합니다. 소프트웨어와 네트워크, 스토리지 간 암호화를 통해 데이터를 보호하는 크립토 가속 기능도 탑재하여 사용자 응답 시간이나 전체 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고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AI 가속기를 탑재해 AI 기능을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기존에 비해 74% 더 빠른 AI 성능을 제공합니다.

인텔은 이러한 보안과 전력 효율이 강화된 제품을 통하여 차세대 데이터 센터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여 고객들이 원하는 형태의 서버 구축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다양한 지원과 A/S 등을 통해 서버와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 시장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텔은 차세대 제온(Xeon) 스케일러블 사파이어 래피즈를 출시할 예정입니다. 서버용 CPU 가운데 고부가가치 D램인 DDR5를 지원하는 프로세서로, 인텔의 점유율이 90%에 이르는 만큼 사파이어 래피즈의 교체 수요도 클 것으로 기대가 됩니다.  현재 PC, 노트북 등 수요가 위축되고 있지만 폭증하는 데이터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데이터센터 투자는 커지고 있으며 서버 시장은 더욱 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2010년부터 국내 Intel 공인 대리점의 정품 CPU 사용 캠페인을 실시하고 있으며, 무상 3년 A/S 를 지원해 CPU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신속하게 조치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정품CPU를 믿고 구매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 및 회사에 대한 신뢰도를 한층 높였습니다. 이를 통하여 정품CPU 시장에서 보다 확고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② 스토리지

개인용 디지털 장비(디지털 카메라,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보급과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한 교류(블로그, 대용량 mail 서비스 등) 및 자료 공유서비스(웹하드, P2P서비스)의 확산에 따라 스토리지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습니다. 개인 자료 저장, 공유를 위한 개인용 저장 매체의 소비자 수요와 온라인, 네트워크 및 시스템 기반을 위한 기업용 저장 매체의 수요가 꾸준하게 늘어나고 있으며, 이외에도 IPTV, PVR 그리고 DVR과 같은 가전형 제품의 수요, 그리고 산업용 장비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의 수요가 꾸준히 창출되는 등 스토리지는 저장매체로서 여러 다양한 형태로 활용이 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Seagate 社의 국내 대리점으로 Seagate 社에서 출시한 제품군에 대해서 국내 공급을 하고 있으며, 기존의 PC OEM, 가전(DVR/PVR) 제조업체 및 유통업체와의 지속적인 파트너쉽을 통한 안정적인 매출기반을 바탕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은 NAS 서버, 가전 및 모바일 제품군의 영업을 강화함으로써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Seagate 社는 2013년 HDD 누적판매량 20억개를 기록한 바 있으며, 이러한 성장은 2008년 10억대 돌파 이후 불과 4년여 만에 이루어진 일입니다. 누적 판매량 10억대 돌파까지 29년이 걸린 것과 비교하면 경이적인 속도로 달성한 것으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및 클라우드 서비스, 소셜 미디어,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은 물론 다양한 소비자 시장에서 비약적인 수요 증가가 주된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소셜 미디어 및 모바일 디바이스 등 디지털 컨텐츠 수요의 근원지들이 지속적으로 생겨나면서 스토리지 수요 역시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성장세는 앞으로도 이어질 전망입니다. 


Seagate 社는 시장환경에 맞춘 최고의 기술로 최근 업계 최고용량 HDD(20TB) 출시했으며, 우발적 데이터 손실 시 저 Seagate연구소를 통해 저비용으로 안전하게 Data복구할수 있는 Rescue데이터 복구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업무용 응용 프로그램에 대해 반응 속도가 빨라야 하는 상업용 PC를 비롯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응용 프로그램 실행을 필요로 하는 PC, 최근의 고사양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게임 등에서 작업 환경에 따라 성능을 자체적으로 맞춤화하여 엑세스 속도를 월등하게 향상시킨 지능적인 제품입니다. Seagate 社는 혁신을 주도하는 시장 선도업체로서 이러한 혁신적인 제품을 통하여 앞으로의 시장에서 매출 및 영향력 확대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SSD 및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대변되는 새로운 저장방식이 대두되고 있는 지금에도 HDD는 개인 사용자 및 기업 고객에게 있어 저장매체로서는 최고의 선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개인이 만들어내는 정보의 수량도 많아지고 대용량화됨에 따라 이를 저장하는 스토리지의 용량 또한 대용량화 되어가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내 기업용 하드웨어 시장의 경우 스토리지의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특히 서버시장에서 기업들은 고성능, 고용량, 낮은 소비전력을 가진 장비를 원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기존의 스토리지인 HDD 사업 뿐만아니라 사업 다각화를 통해 시장환경에 만준 SSD 제품을 신규품목으로 도입하여 Client 뿐만 아니라 기업용SSD 시장에도 진출하고 있습니다. 개인용 시장과 비교해 가격 변화에 덜 민감한 기업 시장이 안정적인 가격으로 제품을 확대하는 데 유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미 중소기업 적합업종에 해당되는 기업들과도 오랜 거래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은 당사에게 큰 장점이자 시장에서 유리한 입지를 확보할 수 있는 바탕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아울러 당사의 향후 주력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클라우드 서버와 관련해서도 기업용 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며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Seagate 社는 2021년 가장 빠른 20TB HDD를 출시하였습니다. 이 제품은 확장형 데이터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하여 높은 수준의 신뢰성과 초대용량을 필요로 하는 기업 및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데이터 센터를 위한 고성능, 효율성, 높은 스토리지 밀도를 제공하는 새로운 SSD 드라이브는 에너지를 적게 소모하면서도 더 뛰어난 컴퓨팅 성능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어 가성비가 뛰어난 솔루션을 통해 병목 현상을 제거함과 동시에, 서비스 품질(QoS)을 개선하고, 비즈니스에서 사용 시 높은 수준의 데이터 무결성과 보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현재 스토리지 업계는 SSD 제품의 단가 하락 및 성능 개선 등으로 점차 HDD에서 SSD 제품군으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또한 PC 시장의 전반적인 수요 감소와 SSD 제품의 확대, 하드웨어 부문의 수익성 저하 등으로 당사의 HDD 부문의 수익성은 다소 하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스토리지의 성장세가 지속되기는 하였으나, HDD 시장의 수익성은 점차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므로 당사는 스토리지 사업 부문의 영업력 확대를 통하여 스토리지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고자 노력할 것입니다.


③ 메인보드

당사는 2013년 07월부터 메인보드 시장에서 급성장 하고 있는 브랜드인 GIGABYTE 社와 총판계약을 통하여 기가바이트의 메인보드를 유통하고 있습니다. 기가바이트는 세계시장에서 인정받는 브랜드로 고급 브랜드 이미지와 리테일 시장에 맞는 맞춤형 메인보드, 효율적인 가격 정책으로 앞으로 국내에서 보다 크게 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메인보드는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의 성향에 따라 고급형, 보급형 등의 시장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기가바이트는 고급형 브랜드인 ‘AORUS’를 런칭하여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으며, 보급형의 브랜드인 ‘GIGABYTE’로 양질의 제품을 합리적 가격에 공급하면서 고객의 니즈에 맞는 다양한 제품을 꾸준히 시장에 선보이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GIGABYTE 社의 제품 공급을 확보함으로써 시장에서 우월한 공급자의 위치를 더욱 공고히 할 수 있습니다. CPU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핵심 부품이라고 할 수 있는 메인보드의 중요성 또한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나 새로운 아키텍처를 통해 만들어진 CPU의 출시에 맞추어 새로운 칩셋을 장착한 메인보드 또한 출시 예정에 있으며, 2022년에는 인텔에서i13 제품군을 출시함에 따라 기가바이트의 신기술이 적용된 다양한 신제품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④ 그래픽카드

 

당사는 2020년 9월부터 GIGABYTE 社의 그래픽카드 제품군을 국내에 유통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당사 기존 유통 제품과 결합한 다양한 영업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여 매출 및 영업이익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기가바이트는 고성능 GPU에서도 그래픽카드의 내구성 및 성능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는 타 브랜드와 차별화된 효율적인 WINDFORCE 3X 쿨링 시스템 및 워터블록이 장착된 다양한 제품군을 선보임으로써 향후 시장에서 매출 및 영향력 확대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⑤ 기타 IT 부품(SSD)

당사가 2012년 2분기부터 국내에 유통하던 세계 최대 반도체 회사인 Intel 社의 SSD 낸드플래시 사업부가 SK하이닉스 社에 인수됨에 따라 당사는 2021년 4분기부터 Solidigm 社의 SSD 제품군을 유통하게 되었습니다. 독보적인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스토리지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고 있는 Solidigm 社의 SSD 제품은 세계 톱5 반도체 업체인 Intel 社 와 SK하이닉스 社의 기술력을 기반으로 메모리 분야의 혁신을 이끌 것으로 기대됩니다. 전 세계적으로SSD 시장은 고성장을 거듭하고 있으며 기존 표준 저장 기술이었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누르고 시장을 지배하고 있습니다. 증강현실,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자율주행 등 미래 기술 영역에서의 수요 또한 지속적으로 확대됨에 따라 향후 시장 전망성 또한 밝을 것으로 보입니다. 당사는 Solidigm 社의 다양한 SSD 제품군을 국내에 유통함으로써 HDD뿐만 아니라 SSD 시장에서도 국내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⑥ IoT 사업 제품

당사는 2018년 10월부터 중국의 DJI 社(DJI Technology Co., Ltd)와 농업용 드론에 대한 총판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타 업체 농업용 드론에 비해서 저렴한 가격과 높은 완성도로 국내 농업용 드론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드론 시장 외 짐벌 카메라 시장에도 적극 진출하고 있는 DJI는 전문 촬영을 위한 핸드헬드 짐벌, 아마추어 용도의 핸드헬드 짐벌캠 외 최근 액션캠 출시를 예정하고 있어, 카메라와 액션캠 시장까지 빠르게 진출하고 있습니다.

2017년 04월부터는 Shenzhen Arashi Vision 社의 스마트폰과 연결하여 사용하는 360도 카메라인 Insta360 제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인스타360 제품은 일상생활, 스포츠, 콘서트, 여행뿐만이 아니라 부동산, 건설 등 입체적으로 촬영이 필요한 곳에서 간편하고 쉬운 사용법으로 누구든지 어디서든 사용이 가능하며, 다양한 플랫폼에서 업로드가 가능합니다. 2022년 9월에 출시한 액션캠 X3 제품은 360도 카메라 시장의 1위를 기록하며 최근 크리에이터 등 1인 미디어 영상 제작자들에게도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전문 영상 제작자를 위해 설계된 3D VR카메라인 인스타360 Titan은 8개의 200도 렌즈로 둘러싸여 있으며, 11K의 해상도, 실시간 스트리밍, 안정적인 기술과 합리적인 가격으로 VR 및360카메라 시장에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⑦ 서버

 

당사는 2019년 11월부터 글로벌 서버 시스템 전문 기업인 미국 캘리포니아 산호세에본사를 둔 Super Micro Computer, Inc. 社와 총판계약을 통해 서버 및 스토리지 시스템, 임베디드 제품 등을 기업, 금융, 게임, 정부, 산업용 시장에 공급하고 있습니다.슈퍼마이크로는 세계 3위 서버기업으로 1993년 설립 이후 25년간 지속적으로 매출성장과 이익창출을 이뤄 2016년 포춘 선정 100대 초고속성장 기업 18위에 랭크되었습니다. 전체 인력 50%가 연구개발(R&D)에 종사하여 서버 설계 및 생산부터 매니지먼트 소프트웨어(SW) 개발 및 설치, 고객지원서비스까지 토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최근 5세대(5G) 이동통신, 인공지능(AI) 생태시스템을 구축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 주역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⑧ 기타

당사는 2020년 5월부터 기계식 키보드 및 키보드 스위치 제조회사인 CHERRY 社와 공식 유통계약을 채결하여 CHERRY의 기계식 키보드 및 게이밍기어를 유통하고 있습니다. 1970년대부터 시작된 기계식 키보드와 스위치 제작을 통한 노하우와 2010년대 이후 게임시장과 E-SPORTS 시장의 성장으로 기계식 키보드를 포함한 게이밍기어의 관심과 수요증가로 지속적인 성장하고 있습니다. 

 

CHERRY 社의 기계식 키보드의 주요부품인 MX 스위치는 CHERRY社의 기계식 키보드뿐 아니라 다양한 브랜드의 기계식 키보드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기계식 키보드 대표 제품으로는 MX 3.0S 와 G80-3000 제품이 있으며, 특징으로는 MX 스위치와 무보강 구조, 전용 소프트웨어를 통한 다양한 커스터마이징이 있으며, 최근에는 무선 블루투스 모델과 텐키리스 모델, Low Profile 스위치 사용 키보드 등 지속적으로 신제품을 출시하여 고객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2021년부터는 비지니스 커뮤니케이션 솔루션 글로벌 기업인 어바이어(AVAYA) 社와의 총판계약을 통해 통합 커뮤니케이션 및 협업 (Unified Communications & Collaboration)과 컨택 센터 (Contact Center) 솔루션 및 제품을 기업, 정부, 교육기관 등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회사는 한국표준산업분류표의 소분류 기준에 의거 '컴퓨터 및 주변장치, 소프트웨어 도매업'(분류번호 : 46510)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판매조직은 크게 사업본부와 경영지원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사업본부는 마케팅실, 유통사업부, 직판영업팀, ICT사업부, CS(커뮤니케이션 솔루션)사업부로 구성되고, 경영지원실은 재경팀과 물류관리팀, 기술지원팀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사업본부의 직판영업팀은 기업을 주요 고객으로 하여 컴퓨터 부품 및 주변기기를 판매하고 있으며, CS사업부는 Avaya 제품군의 관련 업무, ICT사업부는 서버 및 IoT 제품군의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유통사업부 및 부산,광주,대구 지사는 수도권 및 지방 채널 영업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마케팅실은 주요부품의 가격동향 분석 및 해외 주요거래선과의 유기적인 협력관계를 유지하며, 물류관리팀은 업체 납품 및 공급사로부터 매입된 상품의 관리 등의 업무를 하고 있으며, 기술지원팀은 연구기술, 유지보수를 영업에 지원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당사는 해외에서 IT 부품을 수입하여 국내에 판매하는 유통업체입니다. OEM 방식의 판매형태로 국내 컴퓨터 제조업체 및 정보통신업체에 부품의 형태로 직접공급 하고 각 제조업체는 완성제품을 자체브랜드로 제조, 판매하는 구조와 Dealer(도매상)이 당사의 제품을 대량 구매하고, 이를 소규모 제조업체 및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구조로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상 당사에서 판매하는 제품의 시장 점유율을 파악하기 어렵고, 또한 국내외 구체적인 통계자료가 없는 관계로 당사의 판매제품에 대한 시장 점유율을 추정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3) 시장의 특성

당사의 핵심사업 부문인 프로세서, 스토리지, 메인보드는 컴퓨터를 구성하고 있는 주요 부품이며 Server 제품은 클라우드 컴퓨팅의 발달과 함께 시장의 성장이 가속화되고 있는 부문입니다. IT 경기가 불황일 때에는 기업의 투자 대상이 신규 시스템 구입보다 부품의 교체 및 추가 증설 등에 집중됨에 따라 틈새 수요가 발생하고 있으며, IT 경기가 호황인 경우에는 추가로 고사양의 Option 품목 제품군의 판매가 늘어나게 됩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의 영향으로 포스트 PC에 적용되는 제품들에 대한 수요는 감소하고 있으나, 국내 클라우드 환경에 도입되는 스토리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모두 포함하는 솔루션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스토리지 시장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보안 장비, 모바일 디바이스, 데스크탑 및 노트북 교체주기와 맞물리게 되면 그 수요가 보다 증가하게 됩니다. 최근에는 포스트 PC 뿐만 아니라 태블릿 PC, 스마트폰을 합친 스마트 커넥티드 디바이스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며, PC는 주로 다양한 정보를 생산하는 용도로 활용되고 모바일 디바이스는 생산된 정보를 소비하는 형태로 그 활용 범위가 구분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디바이스의 출현으로 과거 PC 위주의 클라이언트 환경은 변화를 맞이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시장도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후 시장은 단일 디바이스가 주도하기보다는 개개인이 상황에 맞춰 다양한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멀티 디바이스 환경이 일반화되는 방향으로 변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IT 시장은 신제품 개발에 따라 관련 제품의 개발유도 및 신규 수요가 창출되는 특성이 있고, 시장에서는 지속적으로 속도, 신뢰성, 전력소비, 무게 등이 개선된 차세대 PC부품이 출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대표적으로 고용량 낸드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 HDD로서 기존 SSD의 빠른 속도와 하드 드라이브에 준하는 용량 옵션을 탑재한 '솔리드 스테이트 하이브리드 드라이브'를 비롯하여 기존 프로세서와 그래픽 프로세서가 통합된 아이비브릿지(IvyBridge), 2013년 출시된 하스웰(Haswell), 2014년 출시된 하스웰 리프레시(Haswell Refresh), 2015년 출시된 브로드웰(Broadwell), 스카이레이크(Skylake), '17년에는 카비레이크(Kaby-lake)라는 7세대 프로세서 제품 및 8세대 커피레이크(Coffee-lake) 제품을 출시하였으며, '18년에는 14nm++공정의 9세대 커피레이크-R(Coffee-lake Refresh) 제품군이 출시되었습니다. '19년 말에는 10nm 생산공정 기반의 코드명 아이스레이크(Ice-lake)프로세서를 출시할 예정입니다. 또한 서버와 스토리지 부문에서도 차세대 서버용 프로세서인 제온(Xeon) 프로세서와 고성능 서버 및 개인용 PC를 위한 SSD 제품군 등이 시장의 수요에 맞추어 꾸준히 새로운 제품을 출시하여 신규 수요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신규
사업분야
신규사업 세부내용 전   망
신제품 Storage 분야
(Seagate)

20TB HDD : 저장 용량 20TB 지원 대용량 HDD
SSD : 기업형 Highend 제품 및 가정용 게임기 활용 가능 제품 출시
Surveillance HDD : NVR, DVR, 보안감시시스템 지원 저장매체
NAS(Network Attached Storage) : 

네트워크 지원 저장매체 

- 정보가전분야에서도 HDD 수요 증가
- 디지털 contents 수요의 급증으로 인한 백업 수요 급증  
- 기업형 고객이 요청하는(혹은 서버/스토리지의 빠른 발전에 따라 요구되는)    빠른 속도의 제품 수요에 따라 수요 증가 기대
- 개인용 Cloud 시장 성장에 따른 수요 기대
- Mobile 및 네트워크 기반의 제품 급증으로 인한 Hub 및
저장용으로의 Storage 수요 증가 
IT Product
(Intel)

14nm 공정 커피레이크 리프레시(Coffee Lake-S Refresh)

Xeon 프로세서 기반의 Server 제품군

Xeon Scalable 프로세서

Optane기술 적용 Memory/SSD

660P/665P(Client) 제품군

S4510/S4610(Server) 제품군

- 멀티미디어 발달을 통한 대용량 저장매체의 저변 확대
- 기존 프로세서와  그래픽 프로세서가 결합된 CPU의 확대
- 고성능 게임 및 멀티미디어 구동을 위한 고사양의 시스템 수요 증가
- 모바일 환경의 확산으로 휴대성 향상에 유리한 저장장치인 SSD 수요 증가
- 차세대 데이터 센터 구축환경의 필요성 증가
- 빠른 성능과 높은 신뢰성을 비롯하여 고성능 시스템을 원하는
 사용자들의 수요가 증대됨에 따라 SSD의 수요 확대

MainBoard

&

VGA
(GIGABYTE)

M/B(Intel) : LGA 1700 소켓
Z790, B660, H610 칩셋 제품
M/B(AMD) : 5세대Ryzen용X670, B650 칩셋 제품
VGA(NVIDIA) : RTX 40 Series
VGA(AMD) : Radeon RX 6000 Series

- 메인보드는 PC 시장의 성장과Upgrade에서CPU와 동일하게 필요함
- M/B(Intel) : 2022년 하반기13세대 랩터레이크 CPU 라인업 출시
- M/B(AMD) : 5세대Ryzen용 X670 및B650 칩셋 제품 출시 

- 그래픽카드는 증강 현실(AR), 고사양 게임 및 크리에이터의 영상 편집 등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점차 중요성이 부각됨

IoT Product
(DJI/insta360)

DJI Mavic2, Mini, Phantom4, Inspire2 Series
DJI Osmo, Ronin, Agras Series

Insta360 X3, One RS 1-inch 360 Edition, One RS Twin Edition, GO2

- 개인 취미용 드론시장의 확대로 인한 레저용 드론 제품의 수요 증가 기대
- 민간용 드론에 대한 관심 증대로 시장 확대 기대
- 여가활동에 대한 의식 확대와 마니아층을 겨냥한 프리미엄 제품의 수요 기대
- 사물인터넷(IoT) 시장의 확대로 관련 제품들의 수요 증가 기대
- 1인 미디어 시장의 확대로 360도 카메라 등 제품들의 수요 증가 기대
KEYBOARD
(Cherry GmbH)
기계식 키보드: MX 3.0S
게이밍 마우스: MC 3.1
- 단순한 입력장치를 넘어, 유저취향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키보드 필요성 대두
- PC게임 및 E-SPROTS 시장의 성장과 게이밍 기어 수요 확대

서버

(Super Micro Computer, Inc.)

랙마운트, 트윈, 블레이드, 스토리지 서버, IoT, 임베디드 시스템, 네트워킹, 솔루션 -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클라우드 컴퓨팅, 5G, 가상현실(VR), 증강현    실(AR), 블록체인 등의 발달로 인해,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빅데이터를 처리    할 수 있는 강한 컴퓨팅 수요 확대



(5) 조직도

조직도(2022.12.31)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경영참고사항의 1. 사업의 개요 - 나. 회사의 현황 -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을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참고사항
하기 재무제표는 감사 전 재무제표입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제25기 정기주주총회 1주일전까지(2023년3월16일)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재무상태표
 

재 무 상 태 표

제 25(당)기말  2022년 12월 31일 현재

제 24(전)기말  2021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피씨디렉트   (단위 : 원)

                

과        목 제 25(당)기말 제 24(전)기말
자                        산



유동자산
82,396,585,816
90,342,663,932
  현금및현금성자산 9,008,980,680
9,758,285,039
  단기금융상품 1,310,000,000
1,310,000,000
  매출채권및기타채권  32,490,863,464
 39,232,260,032
  재고자산  37,212,421,624
 34,173,756,048
  기타유동자산  2,360,618,648
 3,655,615,298
  당기법인세자산 13,701,400
-
  기타금융자산 -
 2,212,747,515
비유동자산
8,227,373,269
4,710,431,293
  장기금융상품 629,512,797
 291,651,304
  장기매출채권및기타채권 1,265,459,600
 1,240,204,453
  기타금융자산  2,000,000,000
-
  유형자산 1,768,160,337
 1,314,672,089
  투자부동산 20,794,695
 20,794,695
  무형자산 344,609,126
 341,927,494
  순확정급여자산 67,689,646
-
  이연법인세자산 2,067,072,068
 1,437,106,258
  기타비유동자산 64,075,000
 64,075,000
자      산      총      계
90,623,959,085
95,053,095,225
부                        채



유동부채
45,025,255,348
41,184,077,796
  매입채무및기타채무 20,674,024,045
15,447,045,414
  차입금 22,157,585,982
19,441,276,276
  당기법인세부채 -
4,337,044,595
  기타금융부채 1,309,664,472
466,483,023
  기타유동부채 314,243,899
444,690,495
  충당부채 569,736,950
1,047,537,993
비유동부채
767,415,645
656,347,001
  기타금융부채 767,415,645
 646,574,316
  순확정급여부채 -
 9,772,685
부     채     총     계
45,792,670,993
41,840,424,797
자                     본



  자본금
3,835,018,000
3,835,018,000
  기타불입자본
12,447,237,160
12,447,237,160
  기타자본구성요소
13,423,500
13,423,500
  이익잉여금
28,535,609,432
36,916,991,768
자     본     총     계
44,831,288,092
53,212,670,428
부 채 및 자 본 총 계
90,623,959,085
95,053,095,225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5(당)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 24(전)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피씨디렉트 (단위 : 원)
과        목 제 25(당)기 제 24(전)기
매출액
312,262,587,729
364,850,958,687
매출원가
298,110,799,355
331,277,923,073
매출총이익
14,151,788,374
33,573,035,614
   판매비와관리비 13,345,906,501
14,772,888,646
영업이익(손실)
805,881,873
18,800,146,968
   금융수익 5,193,832,047
1,696,993,809
   금융비용 10,594,722,903
3,201,816,780
   기타수익 314,416,894
124,552,113
   기타비용 477,018,317
27,086,792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4,757,610,406)
17,392,789,318
법인세수익(비용)
(613,115,601)
4,391,158,995
당기순이익
(4,144,494,805)
13,001,630,323
기타포괄손익
365,134,069
(61,793,871)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365,134,069
(61,793,871)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365,134,069
(61,793,871)
총포괄이익
(3,779,360,736)
12,939,836,452
주당손익



   기본 및 희석주당이익(손실)
(540)
1,695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25(당)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 24(전)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피씨디렉트 (단위 : 원)


과                        목

제25(당)기

제24(전)기

처분예정일 2023.03.24 처분확정일 2022.03.25
I. 미처분이익잉여금
27,634,024,440
36,475,608,936
1.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31,413,385,176
23,535,772,484
2. 당기순이익 (4,144,494,805)
13,001,630,323
3. 기타포괄손익 365,134,069
(61,793,871)
II. 임의적립금등의 이입액


-
III. 이익잉여금처분액
2,531,111,880
5,062,223,760
1. 이익준비금  230,101,080 
460,202,160
2. 배당금  2,301,010,800 
4,602,021,600
   주당배당금(율)



   당기 : 300원(60%)



   전기 : 600원(120%)



IV.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25,102,912,560
31,413,385,176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 해당사항 없음.
- 상기 기재된 주당배당금 300원은 이사회 결의에 의해 처분예정된 금액입니다.  위 금액은 주주총회 승인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자본변동표

자  본  변  동  표
제 25(당)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 24(전)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피씨디렉트 (단위 : 원)
과        목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자본구성요소 이익잉여금 합계
2021.1.1(전기초)

3,834,268,000

12,440,920,660 15,634,500 25,127,435,716 41,418,258,876
  당기순이익 - - - 13,001,630,323 13,001,630,323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 - (61,793,871) (61,793,871)
  주식선택권의 행사 750,000 6,316,500 (2,211,000) - 4,855,500
  배당금의 지급 - - - (1,150,280,400) (1,150,280,400)
2021.12.31(전기말) 3,835,018,000 12,447,237,160 13,423,500 36,916,991,768 53,212,670,428
2022.1.1(당기초) 3,835,018,000 12,447,237,160 13,423,500 36,916,991,768 53,212,670,428
  당기순이익 - - - (4,144,494,805) (4,144,494,805)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 - 365,134,069 365,134,069
  배당금의 지급 - - - (4,602,021,600) (4,602,021,600)
2022.12.31(당기말) 3,835,018,000 12,447,237,160 13,423,500 28,535,609,432 44,831,288,092



                      

- 현금흐름표

현  금  흐  름  표
제 25(당)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 24(전)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피씨디렉트 (단위 : 원)
과                        목

제 25(당)기

제 24(전)기

 I. 영업활동현금흐름
1,719,274,409
(2,882,544,864)
   당기순이익 (4,144,494,805)
13,001,630,323
   당기순이익조정을 위한 가감 1,957,801,378
8,104,451,013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ㆍ부채의 변동 8,810,994,649
(21,664,165,545)
   이자수취 114,226,708
73,935,454
   이자지급 (548,670,785)
(252,822,674)
   법인세납부 (4,470,582,736)
(2,145,573,435)
 II. 투자활동현금흐름
(525,765,426)
(2,374,752,077)
  1.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308,523,498
1,369,411,474
   단기금융상품의 처분 -
700,000,000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처분 212,358,498
-
   장기대여금의 회수   50,000,000
150,000,000
   임차보증금의 감소 46,165,000
105,000,000
   기타비유동금융자산의 처분 -
414,411,474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834,288,924)
(3,744,163,551)
   단기금융상품의 취득 -
(500,000,000)
   장기대여금의 대여 -
(430,000,000)
   임차보증금의 증가 (113,160,000)
(205,000,000)
   유형자산의 취득 (386,221,289)
(106,610,122)
   무형자산의 취득 (3,907,635)
(3,150,000)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의 취득 -
(2,208,677,125)
   투자자산의 취득 -
(64,075,000)
   장기금융상품의 취득 (331,000,000)
(226,651,304)
 III. 재무활동현금흐름
(1,937,672,140)
1,682,806,836
  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3,500,000,000
57,709,745,400
   주식선택권의 행사 -
4,855,500
   단기차입금의 차입 3,500,000,000
57,704,889,900
  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5,437,672,140)
(56,026,938,564)
   단기차입금의 상환 (180,000,000)
(54,424,808,563)
   리스부채의 지급 (655,650,540)
(451,849,601)
   배당금지급 (4,602,021,600)
(1,150,280,400)
 IV. 현금및현금성자산에 대한 환율변동효과
(5,141,202)
(175,413)
 V. 현금및현금성자산의순증가
(749,304,359)
(3,574,665,518)
 VI. 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
9,758,285,039
13,332,950,557
 VII. 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9,008,980,680
9,758,285,039

                           
-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

제 25(당)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제 24(전)기    2021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피씨디렉트



1. 일반적 사항

주식회사 피씨디렉트(이하 "당사")는 컴퓨터 주변기기 도ㆍ소매ㆍ유통업을 주요 사업목적으로 하여 1998년 9월 1일에 설립되었습니다. 당사는 2002년 2월 15일자로 한국거래소의 코스닥(KOSDAQ)시장에 주식을 상장하였으며, 본사는 대한민국의 서울특별시 용산구 원효로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서울특별시를 비롯하여 부산, 광주, 대구 등에 지점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설립 후 수 차례의 증자와 분할을 거쳐 당기말 현재 납입자본금은 3,835백만원이며, 현재 주주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주명  주식수(주) 지분율  비고 
서대식 외 1인 801,643 10.45% 대표이사 및 대표이사의 특수관계인
기타주주  6,868,393 89.55% -
합계  7,670,036 100.00%



2. 중요한 회계정책

재무제표의 작성에 적용된 주요한 회계정책은 아래에 제시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은 별도의 언급이 없다면 표시된 회계기간에 계속적으로 적용됩니다.

2-1. 재무제표 작성기준

당사는 국제회계기준을 채택하여 제정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을 적용하고 있으며,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가 발표한 기준서, 개정서, 해석서 중 대한민국이 채택한 내용을 의미합니다. 


재무제표는 주석에서 별도로 언급하고 있는 사항을 제외하고는 역사적 원가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재무제표 작성시 중요한 회계추정의 사용을 허용하고 있으며, 회계정책을 적용함에 있어 경영진의 판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재무제표 작성시보다 복잡하고 높은 수준의 판단이 요구되는 부분이나 중요한 가정 및 추정이 요구되는 부분은 주석 3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당기부터 새로 도입된 기준서 및 해석서와 그로 인한 회계정책 변경의 내용은 다음과같습니다.

가. 기업회계기준서 제 1116호 '리스' 개정 - 2021년 6월 30일 후에도 제공되는 코로나19 관련 임차료 할인 등

코로나19의 직접적인 결과로 발생한 임차료 할인 등이 리스변경에 해당하는지 평가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실무적 간편법의 적용대상이 2022년 6월 30일 이전에 지급하여야 할 리스료에 영향을 미치는 리스료 감면으로 확대되었습니다. 리스이용자는 비슷한 상황에서 특성이 비슷한 계약에 실무적 간편법을 일관되게 적용해야 합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나. 기업회계기준서 제1103호 '사업결합' 개정 - 개념체계의 인용

사업결합 시 인식할 자산과 부채의 정의를 개정된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를 참조하도록 개정되었으나, 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 ‘충당부채, 우발부채 및 우발자  산’및 해석서 제2121호 ‘부담금’의 적용범위에 포함되는 부채 및 우발부채에 대해서는 해당 기준서를 적용하도록 예외를 추가하고, 우발자산이 취득일에 인식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016호 '유형자산' 개정 - 의도한 사용 전의 매각금액

기업이 자산을 의도한 방식으로 사용하기 전에 생산된 품목의 판매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생산원가와 함께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도록 요구하며, 유형자산의 취득원가에서차감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라. 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 '충당부채, 우발부채 및 우발자산' 개정 - 손실부담계약: 계약이행원가

손실부담계약을 식별할 때 계약이행원가의 범위를 계약 이행을 위한 증분원가와 계약 이행에 직접 관련되는 다른 원가의 배분이라는 점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마.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 2018-2020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 2018-2020은 2022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 채택’: 최초채택기업인 종속기업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금융부채 제거 목적의 10% 테스트 관련 수수료

·기업회계기준서 제1041호 '농림어업’: 공정가치 측정


당사의 재무제표 발행승인일 현재 제정 또는 공표되었으나 아직 시행되지 않아 당사가 채택하지 않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제ㆍ개정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 부채의 유동/비유동 분류

 

보고기간말 현재 존재하는 실질적인 권리에 따라 유동 또는 비유동으로 분류되며, 부채의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권리의 행사가능성이나 경영진의 기대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또한, 부채의 결제에 자기지분상품의 이전도 포함되나, 복합금융상품에서 자기지분상품으로 결제하는 옵션이 지분상품의 정의를 충족하여 부채와 분리하여 인식된경우는 제외됩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해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은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나.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 '회계정책'의 공시
 

중요한 회계정책을 정의하고 공시하도록 하며, 중요성 개념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기 위하여 국제회계기준 실무서 2 '회계정책 공시'를 개정하였습니다.

동 개정 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당사는 동 개정으로 인해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예상하고 있습니다.

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008호 '회계정책, 회계추정의 변경 및 오류' - '회계추정'의 정의
 

회계추정을 정의하고, 회계정책의 변경과 구별하는 방법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동 개정 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해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라. 기업회계기준서 제1012호 '법인세' -  단일거래에서 생기는 자산과 부채에 대한 이연법인세

자산 또는 부채가 최초로 인식되는 거래의 최초 인식 예외 요건에 거래시점 동일한 가산할 일시적차이와 차감할 일시적차이를 발생시키지 않는 거래라는 요건을 추가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해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마. 기업회계기준서 제1117호 '보험계약' 제정 

 

기업회계기준서 제1117호 '보험계약'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4호 '보험계약’을 대체합니다. 보험계약에 따른 모든 현금흐름을 추정하고 보고시점의 가정과 위험을 반영한 할인율을 사용하여 보험부채를 측정하고, 매 회계연도별로 계약자에게 제공한 서비스(보험보장)를 반영하여 수익을 발생주의로 인식하도록 합니다. 또한, 보험사건과 관계없이 보험계약자에게 지급하는 투자요소(해약/만기환급금)는 보험수익에서 제외하며, 보험손익과 투자손익을 구분 표시하여 정보이용자가 손익의 원천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동 기준서는 2023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을 적용한 기업은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해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2-2. 외화환산손익

가. 기능통화와 표시통화

당사의 재무제표는 당사의 영업활동이 이루어지는 주된 경제환경의 통화(이하 "기능통화") 및 표시통화인 원화로 작성하여 보고하고 있으며, 기능통화 외의 통화(이하 "외화")로 이루어진 거래는 거래일의 환율을 적용하여 기록하고 있습니다.

나. 외화거래와 기말잔액의 환산

매 보고기간말에 화폐성외화항목은 보고기간말의 마감환율로 환산하고 있으며, 외화거래의 결제나 화폐성 외화 자산ㆍ부채의 환산에서 발생하는 외환차이는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다만, 요건을 충족하는 현금흐름위험회피에 대한 위험회피금액은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역사적원가로 측정하는 비화폐성 외화항목은 거래일의 환율로 환산하고, 공정가치로측정하는 비화폐성 외화항목은 공정가치가 결정된 날의 환율로 환산하고 있으며 그 금액을 재무상태표가액으로 하고 있습니다. 비화폐성 금융자산ㆍ부채의 외환차이는 공정가치 변동손익의 일부로 보고하고 있습니다. 


2-3. 현금흐름표

당사는 현금흐름표를 간접법으로 작성하고 있으며, 외화로 표시된 현금흐름은 현금흐름 발생일의 기능통화와 외화 사이의 환율을 외화 금액에 적용하여 환산한 기능통화 금액으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2-4. 현금및현금성자산

당사의 현금및현금성자산은 보유중인 현금, 은행예금, 확정된 금액의 현금으로 전환이 용이하고 취득 당시 만기일이 3개월 이내에 도래하는 매우 유동적인 단기투자자산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지분상품은 현금성자산에서 제외되며, 다만 상환일이 정해져 있고 취득일로부터 상환일까지의 기간이 단기인 우선주와 같이 실질적인 현금성자산인 경우에는 예외로 합니다. 또한 당좌차월이 있을 경우 재무상태표상 "단기차입금" 계정에 포함됩니다.

2-5. 금융상품

가. 금융자산
당사는 금융자산의 관리를 위한 사업모형과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 특성에 근거하여 현금및현금성자산을 제외한 금융자산을 상각후원가측정 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1) 상각후원가측정 금융자산
금융자산은 계약상 현금흐름을 수취하기 위해 보유하는 것이 목적인 사업모형 하에서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계약 조건에 따라 특정일에 이자와 원금 잔액에 대한 이자 지급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현금흐름이 발생하며,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항목으로 지정되지 않은 경우 상각후원가로 측정됩니다. 당사는 현재 대여금 및 수취채권을 상각후원가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2)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채무상품은 계약상 현금흐름의 수취와 금융자산의 매도 둘 다를 통해 목적을 이루는 사업모형 하에서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계약 조건에 따라 특정일에 원금과 원금 잔액에 대한 이자 지급만으로 구성되어있는 현금흐름이 발생하며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항목으로 지정되지 않은 경우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 단기매매항목이 아닌 지분상품의 최초 인식일에 연결실체는 그 투자지분의 후속적인공정가치 변동을 기타포괄손익으로 표시할 수 있는 취소 불가능한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재무제표 기준일 현재 해당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에 해당하는 채무상품 및 지분상품이 없습니다.

(3)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상기에서 설명한 상각후원가,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지 않는 모든 금융상품은 모든 파생 금융자산을 포함하여 당기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 연결실체는상각후원가 또는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금융자산을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항목으로 지정한다면 회계불일치를 제거하거나 유의적으로 줄이는 경우에는 최초 인식시점에 해당 금융자산을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항목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지정은 취소할 수 없습니다.  당사는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으로 분류된 채무상품과 지분상품을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나. 인식과 측정
새로운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에 따르면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항목으로 지정한 금융부채의 공정가치 변동 중 해당 금융부채의 신용위험 변동으로 인한 부분은 당기손익이 아닌 기타포괄손익으로 표시하고, 동 기타포괄손익은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순환하지 않습니다. 다만, 금융부채의 신용위험 변동에 따른 공정가치 변동을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면 회계불일치가 발생하거나 확대될 경우에는 해당 공정가치 변동을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다음 회계정책은 금융자산의 후속측정에  적용합니다.

금융자산 후속측정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이러한 자산은 후속적으로 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 이자와 배당수익을 포함한 순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이러한 자산은 후속적으로 유효이자율법을 사용하여 상각후원가로 측정합니다. 상각후원가는 손상손실에 의해 감소됩니다. 이자수익, 외화환산손익 및 손상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제거에 따르는 손익도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기타포괄손익-공정

가치 측정 채무상품

이러한 자산은 후속적으로 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 유효이자율법을 사용하여 계산된 이자수익, 외화환산손익과 손상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다른 순손익은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제거시에 기타포괄손익에 누적된 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합니다.

기타포괄손익-공정

가치 측정 지분상품

이러한 자산은 후속적으로 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 배당은 배당금이 명확하게 투자원가의 회수를 나타내지 않는다면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다른  순손익은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고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습니다.


다. 금융상품의 상계

금융자산과 부채는 당사가 자산과 부채를 상계할 수 있는 법적인 권리가 있고, 순액으로 결제하거나 자산을 실현하는 동시에 부채를 결제할 의도가 있는 경우에만 상계하고 있으며, 재무상태표에 순액으로 표시됩니다.

라. 금융자산의 손상

① 금융자산 손상의 인식
당사는 다음 자산의 기대신용손실에 대해 손실충당금을 인식합니다.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 기업회계기준서 제1115호에서 정의된 계약자산

당사는 12개월 기대신용손실로 측정되는 다음의 금융자산을 제외하고는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손실충당금을 측정합니다.
- 보고기간말에 신용위험이 낮다고 결정된 채무증권
- 최초 인식 이후 신용위험(즉, 금융자산의 기대존속기간동안에 걸쳐 발생할 채무불    이행 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지 않은 기타채무증권과 은행예금

매출채권과 계약자산에 대한 손실충당금은 항상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에 해당하는금액으로 측정됩니다.

금융자산의 신용위험이 최초 인식 이후 유의적으로 증가했는지를 판단할 때와 기대신용손실을 추정할 때, 당사는 과도한 원가나 노력 없이 이용할 수 있고 합리적이고  뒷받침될 수 있는 정보를 고려합니다. 여기에는 미래지향적인 정보를 포함하여 당사의 과거 경험과 알려진 신용평가에 근거한 질적, 양적인 정보 및 분석이 포함됩니다.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은 금융상품의 기대존속기간에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채무불이행 사건에 따른 기대신용손실입니다.

12개월 기대신용손실은 보고기간 말 이후 12개월 이내(또는 금융상품의 기대 존속기간이 12개월 보다 적은 경우 더 짧은 기간)에 발생 가능한 금융상품의 채무불이행사건으로 인한 기대신용손실을 나타내는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의 일부입니다.

기대신용손실을 측정할 때 고려하는 가장 긴 기간은 당사가 신용위험에 노출되는 최장 계약기간입니다.

② 기대신용손실의 측정
기대신용손실은 신용손실의 확률가중추정치입니다. 신용손실은 모든 현금부족액(즉,계약에 따라 지급받기로 한 모든 계약상 현금흐름과 수취할 것으로 예상하는 모든 계약상 현금흐름의 차이)의 현재가치로 측정됩니다. 기대신용 손실은 해당 금융자산의 유효이자율로 할인됩니다.

③ 신용이 손상된 금융자산
매 보고기간말에, 당사는 상각후원가로 측정되는 금융자산과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되는 채무증권의 신용이 손상되었는지 평가합니다. 금융자산의 추정미래 현금흐름에 악영향을 미치는 하나 이상의 사건이 발생한 경우에 해당 금융자산은 신용이 손상된 것입니다.

금융자산의 신용이 손상된 증거는 다음과 같은 관측 가능한 정보를 포함합니다.
- 발행자나 차입자의 유의적인 재무적 어려움
- 채무불이행과 같은 계약 위반
- 차입자의 재무적 어려움에 관련된 경제적이나 계약상 이유로 당초 차입 조건의 불    가피한 완화
- 차입자의 파산가능성이 높아지거나 그 밖의 재무구조조정 가능성이 높아짐
- 재무적 어려움으로 인해 해당 금융자산에 대한 활성시장 소멸

④ 재무상태표 상 신용손실충당금의 표시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에 대한 손실충당금은 해당 자산의 장부금액에서 차감합니다.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채무상품에 대해서는 손실충당금은 당기손익에포함하고 기타포괄손익에 인식합니다.

마. 금융자산의 제거
금융자산의 현금흐름에 대한 계약상 권리가 소멸하거나, 금융자산의 현금흐름에 대한 권리를 양도하고 금융자산의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이전할 때 금융자산을 제거하고 있습니다. 만약, 금융자산의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보유하지도 않고 이전하지도 아니한 경우, 당사가 금융자산을 통제하고 있지도 않다면 금융자산을 제거하고, 금융자산을 계속 통제하고 있다면 그 양도자산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관여하는 정도까지 계속하여 인식하고, 관련 부채를 함께 인식하고 있습니다.

만약, 금융자산의 현금흐름에 대한 권리를 양도하였으나 금융자산의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당해 금융자산을 계속 인식하고, 수취한 매각 금액은 부채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바. 금융부채

당사는 계약상 내용의 실질과 금융부채의 정의에 따라 금융부채를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와 기타금융부채로 분류하고 계약의 당사자가 되는 때에 재무상태표에 인식하고있습니다.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는 단기매매금융부채나 최초 인식시점에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로 지정한 금융부채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는 최초인식 후 공정가치로 측정하며, 공정가치의 변동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한편, 최초 인식시점에 취득과 관련하여 발생한 거래비용은 발생 즉시 당기 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로 분류되지 않은 비파생금융부채는 기타금융부채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기타금융부채는 최초 인식시 발행과 직접 관련되는 거래원가를 차감한 공정가치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후속적으로 기타금융부채는유효이자율법을 사용하여 상각후원가로 측정되며, 이자비용은 유효이자율법을 사용하여 인식합니다.


금융부채는 소멸한 경우 즉, 계약상 의무가 이행, 취소 또는 만료된 경우에만 재무상태표에서 제거하고 있습니다.


<금융부채의 분류 및 측정>
새로운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에 따르면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항목으로 지정한 금융부채의 공정가치 변동 중 해당 금융부채의 신용위험 변동으로 인한 부분은 당기손익이 아닌 기타포괄손익으로 표시하고, 동 기타포괄손익은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순환하지 않습니다. 다만, 금융부채의 신용위험 변동에 따른 공정가치 변동을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면 회계불일치가 발생하거나 확대될 경우에는 해당 공정가치 변동을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에서는 금융자산 최초 인식 후 신용위험의 증가 정도에 따라 아래 표와 같이 3단계로 구분하여 12개월 기대신용손실이나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손실충당금을 측정하도록 하고 있어 기업회계기준서 제1039호의 발생손실모형에 비하여 신용손실을 조기에 인식할 수 있습니다. 

구분(*1) 손실충당금
Stage1 최초 인식 후 신용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지 않은 경우(*2)
12개월 기대신용손실: 보고기간 말 이후 12개월 내에 발생 가능한 금융상품의 채무불이행 사건으로 인한 기대신용손실
Stage2 최초 인식 후 신용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경우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기대존속기간에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채무불이행 사건으로 인한 기대신용손실
Stage3 신용이 손상된 경우

(*1) 기업회계기준서 제1115호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의 적용범위에 포함되는 거래에서 생기는 매출채권이나 계약자산의 경우 유의적인 금융요소가 없다면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손실충당금을 측정해야 하고, 유의적인 금융요소가 있다면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손실충당금을 측정하는 것을 회계정책으로 선택할 수 있음. 리스채권도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손실충당금을 측정하는 것을 회계정책으로 선택할 수 있음
(*2) 보고기간 말 신용위험이 낮은 경우에는 신용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음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에서는 최초 인식 시점에 신용이 손상된 금융자산은 최초 인식 후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의 누적변동분만을 손실충당금으로 계상합니다.


<위험회피회계>
새로운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에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39호에서 정한 위험회피회계의 체계(mechanics of hedge accounting: 공정가치위험회피, 현금흐름위험회피, 해외사업장순투자위험회피)를 유지하지만, 복잡하고 규정중심적인 기업회계기준서 제1039호의 위험회피회계 요구사항을 기업의 위험관리활동에 중점을 둔 원칙중심적인 방식으로 변경했습니다. 위험회피대상항목과 위험회피수단을 확대하였고, 높은 위험회피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평가 및 계량적인 판단기준(80~125%)을 없애는 등 위험회피회계 적용요건을 완화하였습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의 위험회피회계를 적용할 경우, 기업회계기준서 제1039호의 위험회피회계 적용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일부 거래에 대해서도 위험회피회계를 적용할 수 있게 되어 당기손익의 변동성이 축소될 수 있습니다.


위험회피회계에 대한 경과규정에 따르면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를 최초 적용할 때 기업회계기준서 제1039호의 위험회피회계 관련 규정을 계속해서 적용할 것을 회계정책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2-6. 매출채권

매출채권은 정상적인 영업과정에서 판매된 상품 및 제공된 용역과 관련하여 고객으로부터 수취할 금액입니다. 매출채권의 회수가 1년 이내인 경우 유동자산으로 분류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비유동자산으로 분류합니다. 비유동자산으로 분류된 장기성매출채권은 유효이자율을 사용하여 현재가치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매출채권은 공정가치로 인식하며 대손충당금을 차감한 금액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한편, 당사는 매출채권에 대한 통제 또는 계속적인 관여를 할 수 없게 되는 시점에서 매출채권을 매각한 것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2-7. 재고자산

당사의 재고자산은 계속기록법과 매기말 실지재고조사에 의하여 그 수량이 파악되며, 주기적으로 재고자산평가충당금의 중요한 변동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는 미래의 제품수요 등을 검토하여 과잉, 진부화 및 시장가치의 하락 등이 발생한 경우 재고자산평가충당금을 계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재고자산은 취득원가와 순실현가능가치 중 작은 금액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취득원가는 미착품을 제외하고는 이동평균법에 따라 결정하고 있으며, 순실현가능가치는 정상적인 영업과정에서의 추정 판매가격에서 적용 가능한 변동 판매비용을 차감한 금액입니다. 


2-8. 유형자산

유형자산은 역사적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을 차감하여 표시하고 있습니다. 역사적원가는 자산의 취득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지출로서 경영진이 의도하는 방식으로 자산을 가동하는 데 필요한 장소와 상태에 이르게 하는 데 직접 관련되어 자산의 취득시점이나 건설시점에서 지급한 현금 또는 현금성자산이나 제공한 기타 대가의 공정가치, 자산을 해체, 제거하거나 부지를 복구하는 데 소요될 것으로 최초에 추정되는 원가 등을 포함합니다.


후속원가는 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미래 경제적 효익이 당사에 유입될 가능성이 높으며 그 원가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경우에 한하여 자산의 장부금액에 포함하거나 적절한 경우 별도의 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대체된 부분의 장부금액은 제거하고 있습니다. 그 외의 모든 수선 및 유지비는 발생한 기간의 비용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토지는 감가상각을 하고 있지 아니하며, 그 외 자산의 감가상각액은 자산의 취득원가에서 잔존가치를 제외한 금액에 대하여 다음의 추정 경제적 내용연수에 걸쳐 정액법에 따라 산정하고 있습니다.

자산  추정내용연수 
차량운반구  5년 
비품  4년 

 

당사는 매 보고기간말에 자산의 잔존가치와 경제적 내용연수를 검토하고 필요한 경우 조정을 하고 있습니다. 자산의 장부금액이 추정 회수가능액을 초과하는 경우 자산의 장부금액을 회수가능액으로 즉시 감소시키고 있습니다. 자산의 처분손익은 처분대가와 자산의 장부금액의 차이로 결정되며, 손익계산서의 '기타수익(비용)'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2-9. 무형자산
가. 회원권

회원권은 이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기간에 대하여 예측가능한 제한이 없으므로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것으로 보아 상각하지 않습니다. 대신, 매 회계기간마다손상검사를 수행하며, 그 자산의 내용연수가 비한정이라는 평가를 계속하여 정당화하는지를 매 회계기간에 재검토합니다. 재검토 결과, 이를 변경하는 것이 적절하다고판단되는 경우 회계추정의 변경으로 처리하고 있으며, 회원권에 대한 손상차손은 환입하지 아니합니다.

나. 기타의 무형자산

기타의 무형자산은 무형자산의 정의를 충족하는 내부사용목적의 소프트웨어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취득원가로 계상되어 사용이 가능한 시점부터 5년 내지 10년의 추정내용연수 동안 정액법으로 상각하고 있습니다. 손상의 징후가 있는 경우 기타의 무형자산의 장부금액을 평가하여 동 금액이 회수가능가액을 초과하는 경우 자산의 장부금액을 회수가능액으로 감소시키고 있습니다.


2-10. 투자부동산

임대수익이나 투자차익을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은 투자부동산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투자부동산은 취득시 발생한 거래원가를 포함하여 최초 인식시점에 공정가치로 평가하여 간주원가로 적용하고, 투자부동산으로 분류된 토지와 건물에 대해서는 공정가치모형을 적용하며 감가상각을 하지 않습니다. 


후속원가는 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미래경제적효익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으며, 그 원가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경우에 한하여 자산의 장부금액에 포함하거나 적절한 경우 별도의 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후속지출에 의해 대체된 부분의 장부금액은 제거하고 있습니다. 한편, 일상적인 수선ㆍ유지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원가는 발생시점에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2-11. 비금융자산의 손상

당사는 매 보고기간종료일에 손상징후의 존재 여부를 검토하고 있으며 손상징후가 파악되면 자산의 회수가능성을 추정하여 손상 여부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다만, 매년손상검사가 요구되는 일부 자산에 대해서는 매년 손상검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자산의 회수가능액은 순공정가치와 사용가치 중 큰 금액이며 개별 자산별로 측정하나, 개별 자산의 현금유입이 다른 자산이나 자산집단의 현금유입과 거의 독립적으로 창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현금창출단위별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자산의 장부금액이 회수가능액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장부금액을 회수가능액으로 감소시키고 이를 손상차손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한편, 자산의 사용가치는 해당 자산의 기대미래현금흐름의 추정치를 화폐의 시간가치와 해당 자산의 위험에 대한 시장의 평가를 반영한 세전할인율로 할인하여 산정하고 있으며, 자산의 순공정가치는 가치 승수, 공개시장에서 거래되는 대용기업 주식의 가격 또는 다른 이용가능한 공정가치에 대한 지수 등을 사용한 적절한 평가기법을 적용하여 산정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손상차손을 손상된 자산의 기능과 일관된 비용항목으로 하여 당기손익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자산에 대하여 매 보고기간종료일마다 과거에 인식한 손상차손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거나 감소된 것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는지를 검토하고 그러한 징후가 있는 경우 당해 자산의 회수가능액을 추정하고 있습니다. 한편, 과거에 인식한 손상차손은해당자산의 회수가능액을 결정하는데 사용된 추정치에 변화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손상차손을 인식하기 전 장부금액의 상각후잔액을 한도로 장부금액을 회수가능액으로 증가시키고 이를 손상차손환입으로하여 당기손익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2-12. 차입금

차입금은 최초에 거래비용을 차감한 순공정가액으로 인식하며, 후속적으로 상각후원가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거래비용 차감 후 수취한 금액과 상환금액의 차이는 유효이자율법으로 상각하여 차입기간 동안 포괄손익계산서에 인식하고 있습니다. 또한, 보고기간종료일 이후 12개월 이상 결제를 이연 할 수 있는 무조건적인 권리가 있는 경우 비유동부채로 분류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유동부채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2-13. 퇴직급여채무

당사는 확정급여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확정급여제도는 당사가 고정된 금액의 기여금을 별도 기금에 지급하는 퇴직연금제도인 확정기여제도를 제외한 모든 퇴직연금제도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확정급여제도는 나이, 근속연수나 급여수준 등의 요소에 의해 종업원이 퇴직할 때 지급받을 퇴직연금급여의 금액을 확정하고 있습니다. 


확정급여제도와 관련하여 재무상태표에 계상된 부채는 보고기간말 현재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에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를 차감하고 미인식보험수리적손익 및 과거근무원가를 조정한 금액입니다. 확정급여채무는 매년 독립된 보험계리인에 의해 예측단위적립방식에 따라 산정됩니다.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는 급여가 지급될 통화로 표시하고 관련 퇴직급여채무의 지급시점과 만기가 유사한 우량회사채의 이자율로 기대미래현금유입액을 할인하여 산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보험수리적 가정의 변경 및 보험수리적 가정과 실제로 발생한 결과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보험수리적손익은 발생한 기간의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2-14. 주식기준보상
당사는 임직원의 근로용역에 대해 주식기준에 따른 보상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임직원에게 부여한 주식결제형 주식기준보상은 부여일에 지분상품의 공정가치로 측정되며, 가득기간에 걸쳐 비용으로 인식됩니다. 가득될 것으로 예상되는 지분상품의 수량은 매 보고기간말에 비시장성과조건을 고려햐여 재측정되며, 당초 추정치로부터의 변동액은 당기손익과 자본으로 인식됩니다.


발행된 옵션의 희석효과는 희석주당이익을 계산할 때 희석주식으로 반영하고 있습니다.

 
2-15. 충당부채 및 우발부채

과거사건의 결과로 존재하는 현재의 법적의무 또는 의제의무 이행을 위하여 경제적효익을 갖는 자원이 유출될 가능성이 높으며 그 의무의 이행에 소요되는 금액의 신뢰성 있는 추정이 가능한 경우 충당부채를 인식하고 있습니다.


다수의 유사한 의무가 있는 경우, 그 의무의 이행에 필요한 자원의 유출 가능성을 그 유사한 의무 전체에 대하여 판단하고 있으며, 개별항목은 의무 이행에 필요한 자원의유출 가능성이 낮더라도 유사한 의무 전체를 이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원의 유출 가능성이 높은 경우 충당부채를 인식하고 있습니다.


충당부채로 인식하는 금액은 관련된 사건과 상황에 대한 불가피한 위험과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현재의무를 보고기간말에 이행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지출에 대한 최선의 추정치입니다. 화폐의 시간가치 효과가 중요한 경우 충당부채는 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예상되는 지출액의 현재가치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현재가치 평가에 사용하는 할인율은 그 부채의 고유한 위험과 화폐의 시간가치에 대한 현행 시장의 평가를 반영한 세전 이자율입니다. 시간의 경과로 인한 충당부채의 증가는 이자비용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또한 과거사건은 발생하였으나 불확실한 미래사건의 발생여부에 의해서 존재여부가 확인되는 잠재적인 의무가 있는 경우 또는 과거사건이나 거래의 결과 현재 의무가 존재하나 자원이 유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지 않거나 당해 의무를 이행하여야 할 금액을신뢰성 있게 추정할 수 없는 경우 우발부채로 주석기재하고 있습니다.


2-16. 파생상품

당사는 파생상품의 계약에 따라 발생된 권리와 의무를 파생상품계약 체결시점에 공정가액으로 평가하여 자산과 부채로 계상하고, 동 계약으로부터 발생한 손익은 발생시점에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2-17. 자본금

보통주는 자본으로 분류되며, 당사는 신주발행에 직접 귀속되는 증분원가를 주식발행가액에서 조정하여 주식발행초과금(증자의 경우에 신주발행수수료 등 신주발행을 위하여 직접 발생한 세금 및 기타 비용을 차감한 후의 가액)에서 차감하는 방식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당사의 보통주(자기주식)를 취득하는 경우, 직접거래원가(법인세 비용을 차감한 순액)를 포함하는 지급 대가는 그 보통주가 소각되거나 재발행 될 때까지 당사의 자본에서 차감하여 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자기주식이 재발행되는 경우, 수취한 대가(직접거래원가 및 관련 법인세효과를 차감한 순액)는 당사의 주주에게 귀속되는 자본에 포함하고 있습니다.

 
2-18. 배당금

당사의 배당금은 당사의 주주총회에서 승인된 기간에 부채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2-19. 수익인식

수익은 당사의 통상적인 활동에서 발생하는 재화의 판매에 대하여 받았거나 받을 대가의 공정가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수익은 부가가치세, 반품, 리베이트 및 할인액을 차감한 순액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수익금액을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고, 미래의 경제적 효익이 기업에 유입될 가능성이 높을 경우에 수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수익금액은 판매와 관련한 우발상황이 해소되어야만 신뢰성 있게 측정이 가능합니다. 당사의 추정은 고객의 유형,거래의 유형 및 개별 거래조건 등의 과거 자료를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가. 재화의 판매

당사는 상품에 대하여 재화의 소유에 따른 중요한 위험과 보상이 이전된 시점에 수익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인도기준을 적용하여 인식하고 있습니다. 재화의 인도는 재화가 특정 장소로 이전되고, 재화의 진부화와 손실에 대한 위험이 구매자에게 이전되며, 구매자가 판매 계약에 따라 재화의 수령을 승인하거나 그 승인기간이 만료되거나 또는 당사가 재화의 수령 승인요건이 충족되었다는 객관적인 증거를 가지는 시점이 되어야 발생합니다.


나. 이자수익

이자수익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유효이자율법에 의하여 인식하고 있습니다. 채권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당사는 채권금액의 장부금액을 회수가능액(미래 예상현금흐름을금융자산의 최초 유효이자율로 할인한 금액)까지 감액하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는 부분은 이자수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손상채권에 대한 이자수익은 최초 유효이자율에 의하여 인식하고 있습니다.

 
2-20. 리스
당사는 다양한 사무실, 창고, 자동차를 리스하고 있습니다. 리스계약은 일반적으로 1~5년의 고정기간으로 체결되지만 아래에서 설명하는 연장선택권이 있을 수 있습니다. 리스조건은 개별적으로 협상되며 다양한 계약조건을 포함합니다. 리스계약에 따라 부과되는 다른 제약은 없지만 리스자산을 차입금의 담보로 제공할 수는 없습니다.

2018년 회계연도까지는 유형자산의 리스를 운용리스로 분류하였습니다. 운용리스에따른 리스료(리스제공자로부터받은 인센티브를 제외한 순액)는 리스기간에 걸쳐 정액으로 당기손익으로 인식하였습니다.

2019년 1월 1일부터 당사는 리스된 자산을 사용할 수 있는 리스개시일에 사용권자산및 기타비유동채권(보증금)과 이에 대응하는 부채를 인식합니다. 각 리스료는 리스부채의 상환과 금융원가로 배분합니다. 금융수익 및 원가는 각 기간의 리스부채 잔액에대하여 일정한 기간 이자율이 산출되도록 계산된 금액을 리스기간에 걸쳐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사용권자산은 리스개시일부터 사용권자산의 내용연수 종료일을 합리적으로 추정하여 이에 상당한 기간동안 감가상각합니다.

리스에서 생기는 자산과 부채는 최초에 현재가치기준으로 측정합니다. 리스부채는 다음 받을 리스 인센티브를 차감한 고정리스료(실질적인 고정리스료 포함)의 순현재가치를 포함합니다.

리스의 내재이자율을 쉽게 산정할 수 있는 경우 그 이자율로 리스료를 할인합니다. 내재이자율을 쉽게 산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리스이용자가 비슷한 경제적 환경에서 비슷한 기간에 걸쳐 비슷한 담보로 사용권자산과 가치가 비슷한 자산을 획득하는 데 필요한 자금을 차입한다면 지급해야 할 이자율인 리스이용자의 증분차입이자율을 사용합니다.

사용권자산은 리스부채의 최초 측정금액과 받은 리스 인센티브를 차감한 리스개시일이나 그 전에 지급한 리스료로 구성된 원가로 측정합니다.

가. 변동리스료

- 보고서 작성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나. 연장선택권 및 종료선택권

당사 전체에 걸쳐 다수의 부동산 및 시설장치 리스계약에 연장선택권 및 종료선택권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조건들은 계약 관리 측면에서 운영상의 유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보유하고 있는 대부분의 연장선택권 및 종료선택권은 해당 임대인이 아니라 당사가 행사할 수 있습니다. 


2-21. 법인세비용 및 이연법인세

당해 과세기간의 과세소득과 관련된 법인세비용은 당기법인세부담액과 이연법인세로 구성됩니다. 당기법인세부담액은 당해 사업연도의 과세표준에 보고기준일 현재 제정되었거나 실질적으로 제정된 법인세율을 적용하여 계산됩니다. 당사는 자산과 부채의 장부금액과 세무기준액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일시적 차이에 대해 자산부채법을 적용하여 이연법인세를 인식하고 있습니다. 다만, 사업결합 이외의 거래에서 자산, 부채를 최초로 인식할 때 발생하는 이연법인세자산과 부채는 그 거래가 회계이익이나 과세소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인식하지 아니하고 있습니다. 


이연법인세는 관련 이연법인세자산이 실현되고 이연법인세부채가 결제될 때 적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보고기간말에 제정되었거나 실질적으로 제정될 세율과 세법을 적용하여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연법인세자산은 차감할 일시적 차이가 사용될 수 있는 미래 과세소득의 발생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연법인세자산과 부채는 당기 법인세자산과 당기 법인세부채를 상계할 수 있는 법적으로 집행 가능한 권리를 가지고 있고, 이연법인세자산과 부채가 동일한 과세대상기업에 동일한 과세당국에 의해서 부과되는 법인세와 관련이 있거나 과세대상기업은다르지만, 당기 법인세 부채와 자산을 순액으로 결제할 의도가 있거나, 유의적인 금액의 이연법인세 부채가 결제되거나 이연법인세 자산이 회수될 미래의 각 회계기간마다 자산을 실현하는 동시에 부채를 결제할 의도가 있는 경우에 상계합니다.

2-22. 주당손익

기본주당이익은 주주에게 귀속되는 손익계산서상 당기순이익을 보고기간 동안의 당사의 가중평균 유통보통주식수로 나누어 산정한 것입니다.


희석주당이익은 주주에게 귀속되는 손익계산서상 당기순이익을 보고기간 동안의 당사의 가중평균 유통보통주식수와 가중평균 잠재적 희석증권주식수로 나누어 산정한 것입니다. 잠재적 희석증권은 희석효과가 발생하는 경우에만 희석주당이익의 계산에반영됩니다.

 
2-23. 부문별 보고

당사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제1108호(영업부문)에 따른 보고부문이 단일부문이므로 부문별 정보를 따로 공시하지 않습니다. 이는 당사의 경영진에게 보고되는 자료와동일한 방식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당사의 경영진은 영업부문에 배부될 자원과 영업부문의 성과를 평가하는데 책임이 있습니다.



3. 중요한 회계적 추정과 가정
당사는 재무제표를 작성하기 위하여 회계정책의 적용, 자산 및 부채의 장부금액 및 손익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에 대해서 추정 및 가정을 사용합니다. 중요한 회계적 추정과 가정은 역사적 경험과 합리적으로 발생가능하다고 판단되는 미래의 사건에 대한 기대를 포함하는 여러 요인들에 근거하여 계속적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정의를 근거로 산출된 회계적 추정치는 실제 나타나는 결과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현재 계상된 자산과 부채의 장부가액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의적 위험에 대한 추정 및 가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3-1. 법인세
당사는 당기법인세 및 이연법인세에 대하여 보고기간말까지 제정되었거나 실질적으로 제정된 세법을 사용하여 당해 자산이 실현되거나 부채가 결제될 회계기간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되는 세율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 미래 최종 법인세부담액은 보고기간말 현재 인식한 관련 자산 또는 부채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최종 법인세효과가 확정된 시점의 당기법인세 및 이연법인세 자산ㆍ부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3-2. 파생상품 및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활성시장에서 거래되지 않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는 평가기법을 사용하여 결정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보고기간말 현재 주요한 시장상황에 기초하여 다양한 평가기법의 선택 및 가정에 대한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

3-3. 확정급여채무
퇴직급여채무를 포함한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는 많은 가정을  사용하는 보험수리적 방식에 의하여 평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요소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보험수리적 가정에는 할인율을 비롯하여 사외적립자산의 기대수익률, 임금상승률 등의 추정 및 가정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가정의 변동은 확정급여채무의 금액에 영향을 줄 것입니다. 당사는 매보고기간 말 우량 회사채 이자율을 고려하여 적절한 할인율을 결정하고 있습니다.

※ 상세한 주석사항은 2023년 3월 16일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제9조의2 (주식 등의 전자등록) 회사는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에 따른 주식 등을 발행하는 경우에는 전자등록기관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주식 등을 전자등록하여야 한다.  제9조의2 (주식 등의 전자등록) 회사는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에 따른 주식 등을 발행하는 경우에는 전자등록기관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주식 등을 전자등록하여야 한다. 다만, 회사가 법령에 따른 등록의무를 부담하지 않는 주식 등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할 수 있다.
비상장 사채 등 의무등록 대상이 아닌 주식등에 대해서는 전자등록을 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함

제10조 (신주인수권) ① 이 회사의 주주는 신주발행에 있어서 그가 소유한 주식수에 비례하여 신주의 배정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
② 제1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다음 각호의 경우에는 주주외의 자에게 이사회결의로 신주를 배정할 수 있다. 

1. ~ 7. 생략

8. 발행주식총수의100분의5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자본제휴를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제10조 (신주인수권) ① 이 회사의 주주는 신주발행에 있어서 그가 소유한 주식수에 비례하여 신주의 배정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
② 제1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다음 각호의 경우에는 제1항 이외의 방법으로 특정한 자(이 회사의 주주를 포함한다)에게 이사회결의로 신주를 배정할 수 있다. 

1. ~ 7. 생략

8. 발행주식총수의100분의5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자본제휴, 재무구조개선 등 회사의 경영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그 상대방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제3자 배정방식의 유상증자의 대상 범위와 사유를 명확히 하고자 개정함

제14조 (전환사채의 발행) ① 이 회사는 사채의 액면총액이 15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신기술의 도입, 재무구조의 개선 등 회사의 경영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음 각호의 경우 이사회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1. ~ 3. 생략

4. 긴급한 자금의 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및 법인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5. 생략

② ~ ④ 생략

⑤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하는 주식에 대한 이익의 배당과 전환사채에 대한 이자의 지급에 관하여는 제10조의3의 규정을 준용한다.(개정 2009.03.20)

⑥ 생략

제14조 (전환사채의 발행) ① 이 회사는 사채의 액면총액이 15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신기술의 도입, 재무구조의 개선 등 회사의 경영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0조 제1항 이외의 방법으로 다음 각호의 경우 특정한 자(이 회사의 주주를 포함한다)에게 이사회 결의로 전환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1. ~ 3. 생략

4. 경영상 필요한 자금의 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및 법인, 기타 개인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5. 생략

② ~ ④ 생략

⑤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하는 주식에 대한 이익의 배당에 관하여는 제10조의3의 규정을 준용한다.

⑥ 생략

전환사채 인수인의 범위를 명확히 하고 전환사채 인수인의 범위를 넓힘으로써 자금조달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며, 전환사채를 주식으로 전환하는 경우 이자의 지급에 관한 내용을 삭제함

제15조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① 이 회사는 사채의 액면총액이 15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신기술의 도입, 재무구조의 개선 등 회사의 경영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음 각호의 경우 이사회 결의로 주주외의 자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1. ~ 3. 생략

4.긴급한 자금의 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및 법인에게 신주인수권부 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제15조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① 이 회사는 사채의 액면총액이 15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신기술의 도입, 재무구조의 개선 등 회사의 경영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0조 제1항 이외의 방법으로 다음 각호의 경우 특정한 자(이 회사의 주주를 포함한다)에게 이사회 결의로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1. ~ 3. 생략

4. 경영상 필요한 자금의 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및 법인, 기타 개인에게 신주인수권부 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신주인수권부사채 인수인의 범위를 넓힘으로써 자금조달을 용이하게 하고자함 
제29조 (이사 및 감사의 수) 이 회사의 이사는 3명 이상 4명 이내로 하고 사외이사는 이사총수의 4분의 1 이상으로 한다. 감사는 1명 이상 2명 이내로 한다.
제29조(이사 및 감사의 수)이 회사의 이사는3명 이상4명 이내로 하고 사외이사는 이사총수의4분의1 이상으로 한다. 감사는1명으로 한다.
상근감사1인을 제외한 비상근감사 인원을 축소함으로써 감사 직무 수행의 효율성과 통일성을 제고하고자 함

제30조 (이사 및 감사의 선임) 

① ~ ③ 생략

<신설>

제30조 (이사 및 감사의 선임) 

① ~ ③ 생략

④ 동일한 사업년도에 정당한 사유 없이 해임될 수 있는 이사의 수는 직전 사업연도말 재직이사의 수의4분의1을 초과할 수 없다.

“정당한 사유 없이 해임” 되고자 하는 이사의 수를 제한함으로써 이사회 운영에 관한 예상치 못한 공백을 방지하고 경영진의 급격한 변동을 방지함으로써 경영 방침의 지속성과 안정성을 달성하고자 함

제31조 (이사 및 감사의 임기) ① 이사의 임기는 2년으로 한다. 그러나 그 임기가 최종의 결산기 종료 후 당해결산기에 관한 정기주주총회전에 만료될 경우에는 그 총회의 종결시까지 그 임기를 연장한다. (개정 2010.03.19.)

② 생략

제31조 (이사 및 감사의 임기) ① 이사의 임기는 3년으로 한다. 그러나 그 임기가 최종의 결산기 종료 후 당해결산기에 관한 정기주주총회전에 만료될 경우에는 그 총회의 종결시까지 그 임기를 연장한다. 

② 생략

이사 임기를 상법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연장함으로써 이사의 직무전념성과 경영 안정성 및 통일성을 제고하기 위함

제40조 (이사 및 감사의 보수와 퇴직금) ① 이사와 감사의 보수는 주주총회의 결의로 이를 정한다. 이사와 감사의 보수결정을 위한 의안은 구분하여 의결하여야 한다.
② 이사와 감사의 퇴직금의 지급은 주주총회 결의를 거친 임원퇴직금지급규정에 의한다.

<신설>

제40조 (이사 및 감사의 보수와 퇴직금) ① 이사와 감사의 보수는 주주총회의 결의로 그 상한을 정하되, 위 상한의 범위 내에서 구체적인 지급 방법과 액수는 이사회에 위임하기로 한다. 이사와 감사의 보수결정을 위한 의안은 구분하여 의결하여야 한다.
 ② 이사와 감사의 퇴직금의 지급은 임원퇴직금지급규정에 의하여 지급하는 것으로 하며, 임원퇴직금지급규정의 제, 개정은 이사회에 위임하기로 한다.

③ 이사가 임기 중 적대적 기업인수 및 합병 등으로 인하여 주주총회에서 해임될 경우에는 임원퇴직금지급규정에 의한 퇴직금 이외에 퇴직 보상액으로 대표이사에게 근속기간에 따른 제2항의 퇴직금 누계액의 이십(20)배를, 이사에게는 일십(10)배를 해임된 날로부터 7일 이내에 지급한다. 

④ 제3항의 조항을 개정 또는 변경할 경우, 부칙 조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그 효력은 개정 또는 변경을 결의한 주주총회가 속하는 사업연도 종료 후 발생한다.

이사 보수 지급에 관한 근거를 구체적으로 마련하고, 적대적 기업인수 및 합병에 따른 해임의 경우 퇴직 위로금을 규정함으로써 경영 안정성을 달성하고자 함
<신설>

제45조의2(분기배당) ①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로 사업연도 개시일부터 3월, 6월 및 9월의 말일(이하 “분기배당 기준일”이라 한다)의 주주에게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 165조의12에 따라 분기배당을 할 수 있다.

② 제1항의 이사회 결의는 분기배당 기준일 이후 45일 내에 하여야 한다.

③ 분기배당은 직전결산기의 재무상태표 상의 순자산액에서 다음 각 호의 금액을 공제한액을 한도로 한다.

1. 직전 결산기의 자본금의 액

2. 직전 결산기까지 적립된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의 합계액

3. 직전 결산기의 정기주주총회에서 이익배당을 하기로 정한 금액

4. 직전 결산기까지 정관의 규정 또는 주주총회의 결의에 의하여 특정목적을 위해 적립한 임의준비금

5. 상법 시행령 제 19조에서 정한 미실현이익

6. 분기배당에 따라 당해 결산기에 적립하여야 할 이익준비금의 합계액

④ 제1항의 분기배당은 분기배당 기준일 전에 발행한 주식에 대하여 동등배당 한다.

분기배당제도의 도입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서대식 1959.08 사내이사 - 최대주주 이사회
최창복 1959.05 사외이사 - 없음 이사회
총 (  2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서대식 (주) 피씨디렉트 대표이사 1985.05 ~ 1998.08  삼보컴퓨터 이사 해당사항 없음.
최창복 (주) 시큐센 사외이사  1985.03 ~ 2019.06  한국은행 국장  해당사항 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서대식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최창복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사외이사 후보자 최창복
1. 전문성
본 후보자는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연구위원 및 한국금융연수원 파견교수 등을 역임하는 등 전문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밖에도 강원대학교 경영회계학부 강의, 전문서적 집필 등 경영전문가로서의 여러 활동을 통해 경영 관련 역량 또한 갖추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이사회에 참여함으로써 (주)피씨디렉트의 주요 경영현안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직무를 수행하고자 합니다.

2. 독립성
본 후보자는 사외이사로서 최대주주로부터 독립적인 위치에 있어야 함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으며, 투명하고 독립적인 의사결정 및 직무수행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주)피씨디렉트의 사외이사로서 윤리의식과 책임의식을 갖고 독립적인 지위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조화를 모색하는 한편, 회사의 경영목표를 실현하는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3. 직무수행 및 의사결정 기준
첫째, (주)피씨디렉트의 영속성을 위한 기업 가치 제고
둘째, (주)피씨디렉트의 성장을 통한 주주 가치 제고
셋째, 동반 성장을 위한 이해관계자 가치 제고
넷째, 기업의 역할 확장을 통한 사회 가치 제고

4. 책임과 의무에 대한 인식 및 준수
본 후보자는 선관주의와 충실 의무, 보고 의무, 감시 의무, 상호 업무집행 감시 의무, 경업금지 의무, 자기거래 금지 의무, 기업비밀 준수의무 등 상법상 사외이사의 의무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엄수할 것입니다.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사내이사 후보자 서대식
후보자 서대식은 주식회사 피씨디렉트의 창업자이자 대표이사로서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안정적으로 회사를 경영하여 꾸준한 성장을 이루었고, 회사가 영위하고 있는 사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으며, 회사의 주요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회사 및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기에 후보자로 추천함.

□ 사외이사 후보자 최창복
후보자 최창복은 금융 및 경제 분야에서의 다양한 경험과 폭넓은 식견을 바탕으로 기업경영 및 성장에 적절한 조언 및 감독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추천함.


확인서

확인서(서대식)

확인서(최창복)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5,000 백만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1,151 백만원
최고한도액 5,000 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2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500 백만원


(전 기)

감사의 수 2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76 백만원
최고한도액 500 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3년 03월 16일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1) 상법시행령 제31조(주주총회의 소집공고) 제4항 제4호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개최 1주 전까지 회사 홈페이지에 공고할 예정입니다.
※ 홈페이지 주소 : www.pcdirect.co.kr

(2) 향후 사업보고서는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업데이트 될 예정이므로, 이를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3)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에 관하여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제출된 사업보고서를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1. 주총 집중일 주주총회 개최 사유

당사는 금번 정기주주총회를 주주총회 집중일을 피해 개최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그러나 내부결산 일정과 회계법인의 감사일정, 3월 이내에 주주총회를 개최하기 위한 제반 실무 지연 등을 종합적으로 조율하는 과정에서 원활한 주주총회 운영을 위하여 부득이하게 주주총회 집중(예상)일에 주주총회를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이 점에 대해 주주님들의 많은 양해 부탁드립니다.

향후 당사는 주주총회 분산 자율준수프로그램에 적극 참여하고 주주총회 집중(예상)일을 피해서 주주총회를 개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2.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에 관한 안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의 감염 및 전파를 예방하기 위하여 주주총회 개최시 총회에 참석하시는 주주님들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으며, 발열 등 증상이 의심되는 경우 주주총회장 출입이 제한될 수 있으니 주주분들께서는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주주총회에 참석하시는 분들께서는 질병 예방을 위하여 반드시 마스크 착용을 부탁드리며, 마스크 미착용 시 주주총회장 출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주주총회에 참석하시는 주주분들께서는 감염병 예방을 위하여 진행요원의 안내에 적극 협조를 부탁 드립니다.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09000488

피씨디렉트 (05138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