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아텍 (05086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9-08 11:17: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908000116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 년   09 월  08 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아세아텍
대 표 이 사 : 김신길
본 점 소 재 지 : 대구시 달성군 유가면 비슬로96길 11

(전   화) 053-580-7777

(홈페이지)http://www.asiakor.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이 사 (성  명) 송 태 규

(전  화) 053-580-7719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45기 정기)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상법 제363조 및 우리회사 정관 제23조 의거하여 제45기 정기주주총회를 다음과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상법 제542조의4 및 정관25조에 의거하여 발행주식총수의 1% 이하 소유주주에 대하여는 금감원 또는 한국거래소가 운용하는 전자공시시스템에 공고함으로 소집통지에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다   음  -


1. 일   시 : 2023년 9월 25일(월) 오전 8시 30분


2. 장  소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비슬로96길11 (본점사무소 회의실)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 및 영업보고,외부감사인 선임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45기 (2022년 7월1일 ~ 2023년 6월30일) 재무제표 승인의 건
                 -현금배당 1주당 50원


제2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제3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제3-1호 의안 : 사내이사  김신길(재선임)
                                         
제4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실질주주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금번 우리 회사의 주주총회에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14조 제5항단서규정에 의거하여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5.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본인참석 : 신분증

- 대리참석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 사항 기재, 날인)본인 및 대리인 신분증

 

6. 기타사항

-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주주총회 기념품은 회사경비 절감을 위하여 지급하지 않습니다.

 

주식회사 아세아텍

대표이사 김 신 길(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 차 개최일자 의 안 내 용 가결여부 사내이사 사외이사
김신길 김은수 송태규 최연석 김기효 전태식
(출석률:
100.0%)
(출석률:
100.0%)
(출석률:
100.0%)
(출석률:
100.0%)
(출석률:
100.0%)
(출석률:
100.0%)
1 2021-07-22 제44기 이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2 2021-07-23 공로 임원 특별상여금 지급에 관한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3 2021-08-30 제44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4 2021-08-30 제44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에 관한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5 2021-09-08 중부영업소 사업장 이전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6 2021-09-13 농기계 생산지원자금 차입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7 2021-12-14 일반자금대출 한도약정 해지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8 2021-12-27 ㈜호산나와의 소규모합병 결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9 2021-12-23 흡수합병 승인 결의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10 2022-01-17 합병경과보고 및 공고의 건(합병종료보고)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11 2022-04-25 농기계 생산지원자금 상환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주1) 상기 이사회의 중요의결사항 등은 사업보고서 공시서류 작성기준일 2023년 06월 30일까지 작성하였습니다.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감사위원회 최연석
김기효
전태식
2023-08-29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평가 가결
감사위원회 최연석
김기효
전태식
2023-08-29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정기주주총회 부의안건 검토
가결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3 5,000,000,000 76,249,920 25,416,640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 포함 금액임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영업개황


1) 산업의 정의


농업용 기계 산업은 농림축산물의 생산 및 출하 준비과정에 사용되는 기계장치를 제조하는 산업활동으로, 농업용 기계는 자연에서 천연자원을 직접 채취하거나, 자연 또는 인공적으로 개간한 토지(경작지)를 이용하여 농산물을 생산하는 산업, 즉 1차 산업(Primary Industry)에 사용되는 기계로서, 사람 및 동물이 섭취할 수 있는 식량 자원의 파종, 재배, 수확, 가공, 선별, 수송/하역, 저장, 포장 산업 등에 이용되는 기계입니다.

 농업용 기계 산업은 농업 생산을 위한 기간 자본재 산업이고, 자동차 산업과 유사한 기술집약적 종합 장치산업이나, 계절성을 가지는 다(多)기종 소량생산 산업의 특징을가지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농업용 기계 구입 자금을 정부가 융자로 지원해주는 정책을 유지하고 있어, 농업용 기계 산업은 정부 정책에 민감한 산업입니다. 

 농업용 기계 산업의 수요업종(전방산업)으로는 농림축산물 생산/가공, 원예작물 생산/가공, 목재 생산/가공, 농축산 가공품 생산 산업 등이, 후방산업에는 농업용 기계를 제조할 때 필요한 철강/비철 소재 산업, 금형 산업, 주조/절삭/소성/프레스 가공 산업, 용접 산업, 표면처리 산업, 전기전자 부품 산업 등이 해당되며, 대부분의 산업과 연관되어 파급효과가 큰 산업이다.


2) 산업의 성장과정


국내 농기계산업의 시장규모는 본격적인 기계농업이 도입되던 1985년 이후 급격히 확대되어 왔으며, 1991년도 농기계시장 규모는 1985년도의 3.7배나 되는 9,639억원으로 성장하였습니다. 동기간 연평균24.2%의 증가율로 97% 이상 내수시장에 의해 증대되어 왔으며, 내수시장의 규모 또한 1980년 1,456억원에서 1991년에는 9,412억원으로 연평균 18.5%의 증가율을 기록하였는데, 이와 같은 1980년대 중반 이후 국내 농기계 수요의 증대는 1988년 농기계 가격자율화 이후 점진적인 농기계가격 인상, 1989~1990년을 통한 농업기계화 지원자금 규모확대 (88년대비 89년 80.4% 증액) 및 기계화 영농단과 위탁영농회사, 기계화 전업농 등의 확대조성, 소형농기계 반값보조(93년)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농기계시장 규모는 2000년 이후로 시장 침체가 지속된 가운데 2003년에는 농기계 공급 실적이 52,202대로 최저점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농산물시장 개방 확대에 따른 농업인의 구매심리 위축과 농기계 융자지원율이 90%에서 70%로 하향 조정돼 농가 자부담이 늘어난 것에 기인합니다. 그러나 2005년을 전후해서 대형기종의 교체수요가 발생함에 따라 농기계 시장의 규모는 점진적으로 회복되는 추세에 있습니다.


최근 농업용 기계 분야도 ICT 및 IoT 분야와의 융합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됨에 따라, 단순한 산업용 기계 제조업이 아닌 첨단, 복합 산업장비로 한 단계 나아가고 있다.

농작물의 안정적인 재배와 공급을 위하여 시설농업 면적이 증가하고, 단순 반복 및 고역 농 작업이 요구되는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농업용 기계의 무인화, 자동화 등 첨단기술을 접목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3) 산업의 특성


ㄱ. 종합조립산업

농기계산업은 농작물 및 토양의 특성 등 농약분야의 지식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산업과 같이 기계, 전자 등 공학분야의 기술도 핵심요소가 되고 있으며 다수의 부품이 하청 및 계열 기업을 통해 조달되는 종합조립 산업의 특징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신규진입시 많은 부품하청기업을 기확보해야하는 애로요인이 있습니다.


ㄴ. 자본 기술집약적 산업

농기계산업은 기계의 개발과 부품공급의 계열화 등에 기술과 자본이 필수적인 자본 및 기술집약적 산업으로 볼 수 있습니다.


ㄷ. 과점적 시장구조

국내 농기계 생산기업이 150~200여개로 추산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중소기업들은 탈곡기, 분무기, 건조기 등 소농기계 및 부품시장에서 경쟁관계에 있고 트랙터, 바인더, 콤바인, 이앙기, 관리기, 농업용엔진 등 주요 기종은 대동공업, 국제종합기계, 동양물산, LS전선, 아세아텍 등 5개 대형기업에 의한 과점적 시장구조를 형성하고 있어 실질적으로 이들 5개 대형기업이 농기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ㄹ. 소량다품종 생산체제

농기계산업은 농업생산의 계절성으로 인하여 타 기계에 비하여 생산상의 편중성이 크고 농작업이나 작물내용에 따라 다양한 기종이 투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다품종 소량생산 체계의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ㅁ. 내수중심의 산업

농기계산업은 그동안 농촌인력을 대체하는 수단으로서 정부의 정책적 지원하에 국내수요가 어느 정도 형성되어 왔기 때문에 영업이 내수에 치중되었고 수출은 활성화 되지 못하였습니다.


ㅂ. 경기변동의 특성

농기계산업은 일반적인 경기변동의 영향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으나 기후조건의 급격한 변화는 직접적으로 농기계 수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일반적으로 경기변동과는 다른 특징을 보입니다. 그리고 봄, 가을철 농번기(3월-9월)에 수요가 집중되고 실제 농기계 사용기간도 1년 중 단기간에 불과하는 등 수요가 계절적인 특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농기계 수요층의 경우 상대적으로 소득수준이 낮은 농민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구매력이 취약함에 따라 국내 농기계산업은 시장원리 보다는 정부의 농기계 구입자금지원, 기계화 영농단지 조성 등 정부정책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ㅅ. 유통구조

농기계 유통구조는 크게 농협과 대리점으로 구분되는데 일반적으로 정부지원 기종인경우에는 농민들이 농협 등 금융기관을 통해 융자 자금지원을 받아 구입할 수 있으나, 비지원기종인 경우에는 농민들이 직접 대리점을 통해 현금으로 구입하게 됩니다.


4) 국가경제에서의 중요성


농업기계화는 농업노동력의 절대적 부족과 농민들의 농작업 쾌적성 추구, 농산물 수입개방 등으로 농업생산이 크게 위축될 위기에 몰린 한국 농업을 농업생산액이 지속적인 증가세를 유지 발전할 수 있도록 한 원동력의 하나가 되었습니다. 농업기계화가제대로 진행되지 못했더라면 농업생산성을 유지 향상시키는데 하나의 애로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란 점을 감안할 때, 농업기계화는 급격한 영농인력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적기 영농을 가능케 하고, 노동 생산성 및 토지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원동력 역할을 수행하였습니다.


또한, 우리나라 농업구조는 아직도 영세소농구조를 탈피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최근에 크게 변모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영농형태가 다양화되고 규모화가 진전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농업구조개선의 성과를 모두 농업 기계화의 성과로 돌릴 수는 없지만 농업 기계화가 제대로 뒷받침하지 못했다면 이나마도 결코 이루어 낼수 없었을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농업기계화는 농업생산에 소요되는 농업노동력을 계속 줄여 주었으며 이 과정에서 생산비가 절약될 수 있었습니다. 벼농사에 집중되어 있던 노동력을 농기계가 대체함에 따라 고소득 작목인 축산, 원예 등에 노동력을 집중시킬 수도 있고, 아니면 농외부문에 취업하여 농외소득을 올리든가 아니면 아예 농촌을 떠나 타부문에 종사할 수도 있었습니다. 물론 이러한 현상이 농업기계화로 대체된 노동력의 여유 때문에 발생하였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으나 큰 역할을 했음에는 틀림없으며 국가경제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 한 것은 당연한 사실입니다. 한편 농업기계화의 확대로 농사일에서 풀려난 노동력이 농외부문에 취업함으로써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한 것도농업기계화의 농업 노동력 대체효과로 볼 수 있습니다.


(2) 업계 현황


1) 수급현황


ㄱ. 산업전체의 생산(능력,실적,가동률)추이, 국내외 시장규모 추이, 성장전망

2006년의 농기계의 공급은 전년대비 1.4% 증가함에 따라 전체 농기계 시장의 규모는 소폭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지방단치단체의 보조물량에 의해 수요가 크게 증가한 경운기가 전년대비 19.0% 증가하여 전체 농기계 공급의 증가세를 이끈 것에 기인합니다. 또한 노동력 절감효과가 큰 승용형 이앙기가 전년대비 2.9% 증가하였고, 쌀농사의 규모화에 따른 트렉터의 대형화 추세로 교체수요가 발생함에 따라 전년대비 2.3% 증가한 공급량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곡물건조기는 농촌노동력의 노령화, 천일건조를 위한 벼가마 이동의 어려움 등으로 2003년 이후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에 따르면 2007년에는 트렉터, 콤바인, 승용이앙기, SS기(스피드 스프레이어) 등 승용, 대형기종을 중심으로 농기계의 수요가 증가하였고 유가급등에 따라 전기를 이용한 전기 농산물건조기의 수요가 급증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반면 보행, 소행기종은 작업성능 및 취급조작성 등이 우수한 승용형 선호 현상의 영향으로 전년 보다 다소 감소하였습니다.


한편 해외시장인 중국시장의 경우 중국정부가 농기계 구입에 대한 보조금 지급을 확대하고 농업세를 점진적으로 축소하여 5년내에 취소한다는 계획하에 농촌경제부양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어 우리의 對中농기계 수출확대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농기계시장은 FTA등 농산물 시장개방 압력, 경지면적의 감소 및 인구감소 등으로 성장에 한계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2007년 이후 농기계 융자지원 및 농기계 임대화 사업이 점차 확대 시행되어서 향후 수요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ㄴ. 경기변동과의 관계등


농기계산업은 일반적인 경기변동의 영향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으나 기후 조건의 급격한 변화는 직접적으로 농기계 수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일반적인 경기변동과는 다른 특징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리고 농기계산업은 봄, 가을철 농번기(3~9월)에 수요가 집중되고 실제 농기계 사용기간도 1년 중 단기간에 불과하는 등 수요가 계절적 특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농기계 수요층의 경우 상대적으로 소득수준이 낮은 농민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구매력이 취약함에 따라 국내 농기계산업은 시장원리보다는 정부의 농기계 구입자금지원, 기계화 영농단지 조성 등 정부정책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ㄷ. 대체 시장의 현황


당사의 주력 제품인 관리기등의 대체는 인력으로만  가능하므로 대체 할 만한 다른 제품은 없다고 판단됩니다.  당사의 대체 제품은 없으나, 동일한 품목의 생산 업체로 태광공업등이 있으나 규모 및 기술적으로 당사에 비해 열위하며  당사는 시장의 주도적 위치에 있습니다.


2) 자원조달상황


농기계산업의 주요 원재료는 엔진이 대부분으로 대부분이 국내에서 조달이 가능하며수급상의 문제는 없습니다. 또한 원재료 조달에 따른 가격 변동위험을 완화시킬 수 있는 특별한 수단을 갖고 있지는 못하지만 장기간의 계약관계 및 기간별 단가계약 등을 형성하여 가격변동위험에 대처해 나가고 있습니다. 따라서 동 자재들은 현물시장을 통하여 안정적인 수급관계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격의 변동폭도 적은 편입니다.


3) 경쟁상황


국내 농기계 생산기업은 영세 중소기업이 대부분으로 대동공업, 국제종합기계, 동양물산기업, 엘에스엠트론, 아세아텍 등에 의해 주도되고 있으며 일부 기종은 독과점 형태의 시장구조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4) 규제 및 지원

정부는 개방화확대, 맞춤형 농정등 금후 여건변화에 대응하고 농업, 농촌발전에 기여할 수있는 농업기계사업의 추진 필요성에 따라 2007년~2011년 농업기계화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분야별로 추진전략을 수립하였습니다.

농업기계화사업 관련 현행 정부지원제도로는 농업기계화 촉진법에 의한 수요자 자금지원(장기저리자금 지원), 농업기계에 대한 부가세 영세율, 농기계등 유류에 대한 부가세 감면 및 특소세의 면세혜택 등을 들 수 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1978년 9월 설립, 2010년 1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농업기계 전문기업으로 식량자급 및 농업현대화를 위해 우수한 품질의 농업기계를 생산하며 성장해온 종합형 농업기계 전문기업으로 농업기계 최초로 KS마크를 획득하였으며, 꾸준한 연구개발 및 기술축적으로 한국의 21세기 과학영농을 주도하고 있으며, 세계 속의 선진농업실현을 위해농업기계만을 생산하여 온 견실한 기업입니다. 당사는 1986년 국내 최초로 관리기를 개발하여 공급한 기업으로, 관리기 분야의 독보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다목적 관리기, 소형 관리기, 승용 관리기 등의 제품을 개발하였으며, 이 외에도 스피드 스프레이어(SS기), 축산작업기, 트랙터, 이앙기, 콤바인,방제기 등에 대한 핵심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협폭형 조향클러치시스템, 퀵힛치 시스템, 지지대자동 안착시스템, 역부하방지, 쟁기형 미경지 제거 시스템 등 4개의 특허기술이 적용된 사용자 중심의 다목적 소형 관리기가 2019년 4월 농촌진흥청의 신기술농업기계로 지정받았으며, 앞으로 내수시장의 답보, 포화 상태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적 우위를 앞세운 수출 시장으로의 경쟁력 확보도 예상됩니다. 한편, 농기계산업은 그동안 농촌인력을 대체하는 수단으로 정부의 정책적 지원 하에 국내수요가 어느정도 형성되어 왔기 때문에 영업이 내수에 치중되었고 수출은 활성화되지 못하였습니다. 당사의 경우도 이러한 환경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매출이 국내에 한정되어 왔으나 점진적으로 수출 비중을 확대 시킨 결과  2008년도 천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였으며, 세계시장으로 수출증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한국표준산업분류표의 소분류상 특수 목적용 기계 제조업에 해당되는 사업부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농업기계을 전문적으로 생산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단위: 백만원)
회사명  2023년도   2022년도   2021년도  
금액  점유율  금액  점유율  금액  점유율 
(주)아세아텍  123,631 4.35% 137,719 5.26% 106,541 5.43%
(주)티와이엠  715,328 25.15% 405,650 15.48% 325,470 16.60%
대동공업(주)  1,020,419 35.89% 886,115 33.82% 637,485 32.50%
엘에스엠트론(주) 984,031 34.61% 800,417 30.55% 604,967 30.84%
국제종합기계(주) - - 390,209 14.89% 286,930 14.63%
합계  2,843,409 100.00% 2,620,110 100.00% 1,961,393 100.00%
주1) 점유율 산출기준은 당사와 제품을 매출하는 농기계 5대 업체의 매출액을 기준으로 당사의 매출액에 대비하여 작성하되 당사는 6월결산 법인이므로 당사의 2023년도 실적과 비교된 타사의 실적은 2022년도  실적이며, 2022년도 및 2021년도 비교도 동일한 기준으로 비교 표시하였습니다.
주2) 엘에스엠트론 및 동양물산기업의 매출액은 농기계사업부문의 매출액을 적용하였습니다.
주3) 국제종합기계는 (주)티와이엠에 222년 7월1일 흡수합병되어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3) 시장의 특성

농기계시장은 매출액이 성수기, 비수기가 엄격히 구분되는 계절적 변동추이를 나타냄에 따라 봄철 수요에 대비하여 농한기인 10월~11월경부터 농기계 생산을 하여 농번기인 이듬해 3~5월에 매출하는 형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리고 정부의 농업기계정책에 따른 융자금의 규모에 따라 시장규모가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또한 농기계 수요패턴은 지역별 환경과 특성(평야지, 중산간지, 경지면적규모, 주요 경작품목, 영농주의 연령등)에 따라 기종별, 품목별로 결정되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국내시장의 수요감소 및 농촌경제의 여건악화로 수출다변화를 통한 수출시장확대에 주력한 결과 점차 그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 중국, 유럽 등 수출시장을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현재 추진 중인 신규사업은 없습니다


(5) 조직도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단위:원)

과         목 제45기 제44기 증감액 증감율(%)
매출액 123,630,723,741 137,718,679,157 (14,087,955,416) -10.23
영업이익 11,873,245,292 13,864,660,992 (1,991,415,700) -14.36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12,214,459,218 15,139,636,653 (2,925,177,435) -19.32
당기순이익 9,589,973,230 11,763,794,858 (2,173,821,628) -18.48


기타 내용은 상기 Ⅲ. 경영참고사항 1.사업의 개요 나.회사의 현황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아래 제45기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 및 주주총회 승인과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45 기 2023. 06. 30 현재
제 44 기 2022. 06. 30 현재
주식회사 아세아텍                                                                              단위 : 원 )
계정과목 

제 45(당) 기말

제 44(전) 기말

자산





  유동자산

  114,986,815,860
87,669,584,025
     현금및현금성자산 6,795,734,003   11,696,458,267
     단기금융상품 399,999,985   3,240,120,000
     매출채권및기타채권 46,346,281,516   41,674,393,205
     기타유동금융자산 12,505,000   110,000
     재고자산 59,508,676,713   29,808,239,467
     당기법인세자산 5,298,590  

     기타유동자산 1,918,320,053   1,250,263,086
  비유동자산   59,480,447,412
60,233,182,245
    장기금융상품 26,848,360   416,739,329
    장기매출채권및기타채권 1,012,563,632   965,323,632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299,425,000   299,425,000
    기타비유동금융자산 7,980,000   20,485,000
    유형자산 57,527,445,143   57,274,267,141
    사용권자산 221,167,600   243,640,353
    무형자산 73,586,444   91,655,272
    기타비유동자산 311,431,233   921,646,518
  자산총계   174,467,263,272
147,902,766,270
부채    

  유동부채   39,280,518,481
21,179,702,445
    매입채무및기타채무 21,841,847,768   13,997,232,745
    단기차입금 159,500,000  

    당기법인세부채 2,279,492,237   2,740,294,219
    유동리스부채 127,040,565   92,601,780
    기타유동부채 14,872,637,911   4,349,573,701
  비유동부채   4,636,670,643
4,940,319,845
    퇴직급여채무 -   -
    기타충당부채 276,237,986   234,714,811
    비유동리스부채 102,023,108   157,550,191
    이연법인세부채 4,258,409,549   4,543,054,843
    임대보증금 -   5,000,000
  부채총계   43,917,189,124
26,120,022,290

자본

   

  자본금

11,250,000,000   11,250,000,000

  기타불입자본

15,393,276,733   15,393,276,733

  기타자본구성요소

18,052,025,440   17,740,046,612

  이익잉여금

85,854,771,975   77,399,420,635

  자본총계

  130,550,074,148
121,782,743,980
부채및자본총계   174,467,263,272
147,902,766,270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45 기 (2022. 07. 01 부터 2023. 06. 30 까지)
제 44 기 (2021. 07. 01 부터 2022. 06. 30 까지)
주식회사 아세아텍                                                                             (단위 : 원 )
계정과목 

제 45(당) 기말

제 44(전) 기말
매출   123,630,723,741
137,718,679,157
매출원가   91,709,509,354
104,320,871,695
매출총이익   31,921,214,387
33,397,807,462
  일반관리비 13,653,978,977   12,528,961,095
  판매비 6,393,990,118   7,004,185,375
영업이익   11,873,245,292
13,864,660,992
  금융수익 535,845,928   147,776,439
  금융비용 329,571,722   132,754,718
  기타수익 770,289,946   1,610,991,487
  기타비용 635,350,226   351,037,547
법인세차감전순이익   12,214,459,218
15,139,636,653
법인세비용   2,624,485,988
3,375,841,795
당기순이익   9,589,973,230
11,763,794,858
기타포괄손익   (70,495,590)
8,451,533,853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순확정급여자산 재측정요소 (70,495,590)   719,480,261
    유형자산재평가이익 -   9,912,889,220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과 관련된 법인세 -   (2,180,835,628)
당기총포괄손익   9,519,477,640
20,215,328,711
주당이익  


 기본주당순이익
451
553


- 자본변동표

                                                <자본변동표>

제 45 기 (2022. 07. 01 부터 2023. 06. 30 까지)
제 44 기 (2021. 07. 01 부터 2022. 06. 30 까지)
주식회사 아세아텍                                                                             (단위 : 원 )
과     목 자 본 금 기타불입자본 기타
자본구성요소
이익잉여금 총   계
2021.07.01(전기초) 11,250,000,000 15,393,276,733 10,007,993,020 65,980,271,816 102,631,541,569
순확정급여자산 재측정요소


719,480,261 719,480,261
토지재평가이익

7,732,053,592
7,732,053,592
당기순이익


11,763,794,858 11,763,794,858
배당금의 지급


(1,064,126,300) (1,064,126,300)
2022.06.30(전기말) 11,250,000,000 15,393,276,733 17,740,046,612 77,399,420,635 121,782,743,980
2022.07.01(당기초) 11,250,000,000 15,393,276,733 17,740,046,612 77,399,420,635 121,782,743,980
순확정급여자산 재측정요소


(70,495,590) (70,495,590)
토지재평가이익

311,978,828
311,978,828
당기순이익


9,589,973,230 9,589,973,230
배당금의 지급


(1,064,126,300) (1,064,126,300)
2023.06.30(당기말) 11,250,000,000 15,393,276,733 18,052,025,440 85,854,771,975 130,550,074,148


- 현금흐름표

                                                <현금흐름표>

제 45 기 (2022. 07. 01 부터 2023. 06. 30 까지)
제 44 기 (2021. 07. 01 부터 2022. 06. 30 까지)
주식회사 아세아텍                                                                             (단위 : 원 )
계정과목 

제 45(당) 기말

제 44(전) 기말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5,182,072,824)
9,885,402,037
 당기순이익(손실) 9,589,973,230   11,763,794,858
 현금의 유출이 없는 비용등의 가산 6,006,033,543   6,589,896,584
    외화환산손실 36,054,784   45,354,407
    감가상각비 1,761,008,124   1,665,727,669
    무형자산상각비 22,834,703   24,792,240
    퇴직급여 1,096,771,680   1,271,839,776
    대손상각비 (49,058,363)   52,837,184
    유형자산처분손실 34,864,905   20,748,795
    기타의 대손상각비 149,500,000   -
    법인세비용 2,624,485,988   3,375,841,795
    이자비용 329,571,722   132,754,718
 현금의 유입이 없는 수익등의 차감 (580,457,834)   (804,393,036)
    외화환산이익 (21,745,369)   (92,386,397)
    유형자산처분이익 (1,817,181)   (2,499,000)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처분이익 -   (344,588,200)
    기타대손충당금환입 (21,049,356)   (217,143,000)
    이자수익 (535,845,928)   (147,776,439)
 운전자본 변동 (17,340,409,810)   (6,112,776,580)
    매출채권의 감소(증가) (5,022,878,493)   (1,578,880,790)
    미수금의  감소(증가) 414,722,379   (252,281,546)
    장기미수금의 감소(증가) 21,049,356   9,800,000
    재고자산의  감소(증가) (29,700,437,246)   (3,361,148,631)
    선급금의  감소(증가) 586,554,520   666,012,876
    선급비용의 감소(증가) (12,087,465)   (46,463,617)
    매입부가가치세의  감소(증가) (1,242,524,022)   (115,015,420)
    매입채무의  증가(감소) 8,240,406,793   3,735,895,721
    미지급금의  증가(감소) 287,058,020   193,909,938
    미지급비용의  증가(감소) (815,861,037)   581,459,118
    예수보증금의  증가(감소) 139,000,000   -
    선수금의  증가(감소) 10,466,184,123   (4,444,774,027)
    예수금의  증가(감소) 56,880,087   28,672,627
    매출부가가치세의  증가(감소) -   (9,955,220)
    퇴직금의  지급 (807,453,909)   (947,688,485)
    사외적립자산의  감소(증가) 7,453,909   (637,735,132)
    판매보증충당부채의  증가(감소) 41,523,175   65,416,008
 이자의 수취 535,612,795   147,534,919
 이자의 지급 (329,571,722)   (132,754,718)
 법인세의 환급(납부) (3,063,253,026)   (1,565,899,990)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378,563,189
(9,316,303,388)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21,258,873,681   32,837,040,829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20,429,144,000   -
    단기대여금의 감소 490,229,849   406,974,699
    기계장치의 처분 -   5,500,000
    차량운반구의 처분 138,181,817   86,136,363
    국고보조금의 증가 70,000,000   51,341,567
    보증금의 감소 118,260,000   31,544,308,000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처분 -   737,780,200
    기타금융자산의 처분 110,000   -
    임대보증금의 증가 -   5,000,000
     기타투자자산의 처분 12,948,015   -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19,880,310,492)   (42,153,344,217)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17,189,024,000)   (3,240,120,000)
    장기금융상품의 증가 (10,109,016)   (6,739,344)
    단기대여금의 증가 (494,219,279)   (404,408,527)
    토지의 취득 133,184,160   (4,912,041,790)
    구축물의 취득 -   (1,059,000)
    기계장치의 취득 (480,338,049)   (109,060,000)
    차량운반구의 취득 (916,099,801)   (189,946,262)
    기타유형자산의 취득 (777,138,632)   (1,322,194,704)
    건설중인자산의 증가 (51,800,000)   (134,750,000)
    산업재산권의 취득 (4,765,875)   (10,524,590)
    보증금의 증가 (90,000,000)   (31,822,500,000)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066,465,190)
(1,272,238,766)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29,814,500,000   30,000,000,000
    단기차입금의 차입 29,814,500,000   30,000,000,000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30,880,965,190)   (31,272,238,766)
    단기차입금의 상환 (29,655,000,000)   (30,000,000,000)
    리스부채의 상환 (161,838,890)   (208,112,466)
    배당금의 지급 (1,064,126,300)   (1,064,126,300)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    (4,869,974,825)
(703,140,117)
기초현금및현금성자산   11,696,458,267
12,375,818,651
현금및현금성자산에 대한 환율변동효과   (30,749,439)
23,779,733
기말현금및현금성자산   6,795,734,003
11,696,458,267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45 기 (2022. 07. 01 부터 2023. 06. 30 까지)
제 44 기 (2021. 07. 01 부터 2022. 06. 30 까지)
주식회사 아세아텍                                                                             (단위 : 원 )
과   목 제 45(당) 기 제 44(전) 기
I. 미처분이익잉여금
84,379,108,909
76,030,170,200
1.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74,859,631,269   63,546,895,081
2. 당기순이익 9,589,973,230   11,763,794,858
   3. 순확정급여자산 재측정요소 (70,495,590)   719,480,261
II. 이익잉여금처분액   1,170,538,931
1,170,538,931
1. 이익준비금 106,412,631   106,412,631
2. 현금배당
  (주당보통주현금배당금(율))
       당기 : 50원(10%)
       전기 : 50원(10%) 
1,064,126,300   1,064,126,300
III.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83,208,569,978
74,859,631,269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상기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제2조(목적)

회사는 다음의 사업을 영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1.~17. (생략)

18. 위 부대사업 일체

 

 

 

 

 

제4조 (공고방법) 

이 회사의 공고는 인터넷홈페이지(www.asia.com)에 게재하는 방법으로 한다, 다만,전산장애 또는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로 회사의 인터넷홈페이지에 공고를 할 수 없을 때에는 서울특별시에서 발행되는 경향신문에 게재한다.

 

 
 

(추가)

제2조(목적)

회사는 다음의 사업을 영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1.~17. (현행과 같음)

18. 경량항공기 또는 초경량비행장치 정비 수리 또는 개조서비스

19. 태양광 발전 사업

20. 위 부대사업 일체

 

 제4조 (공고방법) 

이 회사의 공고는 인터넷홈페이지(www.asiakor.com)에게재하는 방법으로 한다, 다만, 전산장애 또는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로 회사의 인터넷홈페이지에 공고를 할 수 없을 때에는 서울특별시에서 발행되는 경향신문에 게재한다.

 

 

부 칙

(시행일) 

이 정관은 2023년 9월 25일부터 시행한다

사업다각화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김신길 1948.10.24 - - 본인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김신길 아세아텍
대표이사
06~현재
15.07~현재
16.03~현재
11.02~15.02
아세아텍 대표이사 회장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 이사장
중소기업중앙회 부회장
대구경북기계공업협동조합 이사장
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김신길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김신길 사내이사
 해당 후보자는 당사의 대표이사로서 경영 전반을 총괄, 회사운영에 필요한 능력을 갖추었으며 회사가 성장하는데 기여한 주요 경영진으로 회사 및 경영환경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 이사로서 적임자로 평가되어 재선임하고자 후보자로 추천하였습니다


확인서

확인서_김신길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5명( 3명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50억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6명( 3명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22억
최고한도액 50억원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3년 09월 25일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상법 시행령 제31조 제4항 제4호(주주총회의 소집공고)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1주전까지 회사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전자공시시스템(DART)를 통하여 공시 예정입니다.
※ 홈페이지 주소: http://www.asiakor.com

- 향후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 및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사항을 반영하여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908000116

아세아텍 (05086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