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아이 (04336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4-03-05 09:35: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05000032



주주총회소집공고


  2024년  03월  05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디지아이
대 표 이 사 : 최 동 호
본 점 소 재 지 : 경기도 양주시 청담로 52 (고읍동)

(전   화) 031-820-8900

(홈페이지)http://www.dgi-net.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이사 (성  명) 이 유 성

(전  화) 031-820-8909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33기 정기)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 정관 제21조에 의거 제33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4년  3월 28일(목) 오전 9시

2. 장 소 : 경기도 양주시 청담로 52 (고읍동) 주식회사 디지아이 3층 강당
              (T. 031-820-8900 / 031-820-8913)


3. 회의목적사항
1) 보고사항
  ① 감사의 감사보고
  ② 영업보고
  ③ 외부감사인 선임보고
  ④ 내부회계관리제도에 관한 실태보고
2) 부의안건
  제 1호 의안 : 제33기(2023년  1월  1일∼2023년 12월 31일)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포함) 승인의 건
  제 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별첨1)
         제 2-1호 의안 : 사내이사 최관수 선임의 건(재선임)
         제 2-2호 의안 : 사내이사 최동호 선임의 건(재선임)
         제 2-3호 의안 : 사내이사 이유성 선임의 건(재선임)
  제 3호 의안 : 감사 선임의 건(재선임)
                      (임기 만료로 인한 감사 1인 재선임)
  제 4호 의안 :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제 5호 의안 : 감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 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당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비치하고 있으며,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사이트(dart   .fss.or.kr)에서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의 소집통지 첨부에 따른 안내
  주주총회 1주전까지 사업보고서와 감사보고서를 홈페이지에 공고할 예정입니다.

6. 예탁결제원 의결권 행사(섀도우보팅)제도 폐지에 따른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예탁결제원의 의결권 행사(섀도우보팅)제도가 2018년  1월  1일부터 폐지됨에 따라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 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    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     을 직접행사할 수 있습니다.

7.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 권유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 제368조의 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60조 제5호에 따른 전자위임장권유제도를 이번 주주총회      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두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     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     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시거나 전자위임장을 수여하실 수 있습니    다.
  가. 전자투표, 전자위임장권유 관리시스템
       인터넷주소 : 「https://evote.ksd.kr」
       모바일주소 : 「https://evote.ksd.kr/m」
  나. 전자투표 행사, 전자위임장 수여기간
        : 2024년 03월 18일 오전 9시 ∼ 2024년 03월 27일 오후 5시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다. 시스템에 공인인증을 통해 주주본인을 확인 후 의안별 의결권 행사 또는 전자           위임장 수여
         - 주주확인용 인증서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K-VOTE에서 사용
                                                 가능한 인증서 한정)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

8. 전자증권제도 시행에 따른 실물증권 보유자의 권리 보호에 관한 사항
  2019년  9월 16일부터 전자증권제도가 시행되어 실물증권은 효력이 상실되었으며,   한국예탁결제원의 특별(명부)계좌주주로 전자등록되어 권리행사 등이 제한됩니다   . 따라서 보유중인 실물증권을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방문하여 전자등록으   로 전환하시기 바랍니다.

9. 기타사항
  - 직접행사 : 주총참석장, 신분증
  - 대리행사 : 조총참석장,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대리인 신분증
  - 주주총회 기념품은 회사 경비 절감을 위하여 지급하지 않습니다.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A
(출석률: %)
B
(출석률: %)
C
(출석률: %)
D
(출석률: %)
찬 반 여 부







: 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해당사항 없습니다.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 해당사항 없습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2023사업연도 매출액 167억원 대비 5% 이상 단일 거래가 없으므로 해당사항이 없   습니다.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2023사업연도 매출액 167억원 대비 5% 이상 단일 거래가 없으므로 해당사항이 없   습니다.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정보통신의 발달과 디지털기술의 발전은 많은 산업의 구조를 첨단화시켰으며, 특히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이 광고산업에 적용되면서 광고의 자동제작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광고산업이 본격적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1990년대 후반에 응용 개발된 커팅 플로터는 광고 산업의 발달로 시장규모가 크게확대되면서 광고제작의 자동화에 크게 기여했으며 사람이 직접 칼이나 붓을 이용해 광고물을 제작하던 노동집약적 산업에서 지식정보 집약적 첨단산업으로 전환시키는 계기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이를 이용한 디지털 프린팅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실제모습을 있는 그대로 출력할 수 있는 사인 광고용 잉크젯 프린터가 등장하여 문자를 위주로 한 기존의 단순한 광고에서 사실적이고 아름다운 이미지의 광고 중심으로 전환하게 하였고, 디지털 프린팅 기술이 소재산업과 함께 발전하여 광고에 다양한 방식의 적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시장의 범위가 관련산업으로 확대 성장하고 있다.

  특히, 1990년대 말 미국을 중심으로 피에조(Piezo) 방식이 개발되면서 디지털 프린팅 기술이 광고 분야에 급격히 적용되기 시작하였는데, 기존의 잉크젯 방식은 버블젯이나 서멀 방식으로 수성잉크(Water-based Ink)만 사용이 가능해 출력물이 쉽게 변형되는 특성으로 장기간 색상 등의 변형이 없어야 되는 옥외 광고에 사용할 수 없었으나, 이의 대체품으로 옥외에서도 변형이 매우 적은 솔벤트 계열 잉크를 사용할 수 있는 피에조(Piezo) 방식의 프린터가 개발되어, 출력소재의 선택의 폭이 향상됨으로써 매우 다양한 광고제작 방식이 가능하게되었다.

  더불어, 잉크젯 프린팅 기술은 범위를 확대하여 텍스타일 프린팅 산업에서 다품종 소량생산이 가능한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기존 아날로그 날염공정에서 디자인부터 날염까지 전 공정을 컴퓨터로 처리하여 기존의 복잡한 날염공정을 획기적으로 단축시켰으며, 다양한 색상의 샘플링과 독자적인 디자인으로 디지털 날염이 가능하게 하였다.

  최근 산업용 인쇄는 패키지 제품, 장식용 표면 및 전자산업용 기능형 재료와 같은 표면에 장식하는 미적인 부분을 강조하는 기술과 전자산업에 적용되어 성장하고 있으며, 산업용 인쇄 기술은 다양한 잉크 개발과 함께 섬유, 세라믹, 바닥재, 유리, 나무, 인쇄전자, 3D 프린팅 등으로 크게 확장하고 있다.

(1) 텍스타일 프린터 분야
  잉크젯 프린터의 응용분야로 당사의 Digital Printing 원천기술과 잉크젯 프린터를 개발하면서 쌓아온 다양한 염료 및 안료, 솔벤트계의 화학물질에 대한 자료를 활용하여 텍스타일 프린터를 개발, 소비자의 니즈를 반영함으로써 시장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날염공정과 잉크젯 프린터를 결합한 Digital Textile Printer의 개발은 기존 섬유 산업의 특성인 노동집약적 특성에서 벗어나 산업의 자동화를 통하여 다품종 소량 생산방식인 맞춤식 고급 의류의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기존에 문제가 되어왔던 섬유산업을 보다 친환경적으로 생산 가능하게 한다.

  현재 전 세계 날염업계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하는 추세로 디지털 텍스타일 시장은 섬유패션 선진국인 이탈리아, 일본뿐만 아니라 후발국인 중국, 인도, 브라질까지 급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무늬와 색상을 자유롭고 정밀하게 표현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수량만 생산하여 재고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기존 아날로그 생산방식과 비교해 폐기물을 획기적으로 줄여 환경오염을 최소화하여 친환경 산업을 가능하게 하였다.

  더욱이, 폴리에스테르, 면, 실크 등의 일상에서 사용하는소재를 인쇄 가능하게 함으로써 스포츠웨어 의류에서부터 패션, 스카프, 인테리어용 커텐, 카펫트, 쇼파 등의 제작에 이르기까지 관련 산업이 확대 성장하고 있으며, 소량다품종 고품질 생산체제에 적합한 산업의 특성으로 인해 향후 엄청난 시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2) 사인 광고용 프린터 분야
  소비자들의 요구가 매우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의 특성과 디지털 프린팅과 관련된 기술의 발달 즉, 컴퓨터의 발달로 인한 컴퓨팅 기능 및 스캐너, 기타 그래픽 제작도구의 발전으로 그래픽을 이용한 다양한 새로운 광고방식이 등장함에 따라 그 시장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디지털 프린팅 방식은 주로 대형 Digital Format 컬러 광고, 대형차량을 이용한 사실적 광고, 생활간판, 포스터 제작, 대형 조감도 출력 등에 주로 사용되는 광고 방식으로, 각 기업 및 제품의 브랜드 가치 상승이 기업의 발전을 의미할 만큼 광고가 기업가치를 상승시키는 중요한 방법으로 정착함에 따라 그 사용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디지털 프린팅 기술의 발전과 관련 분야인 소재산업 및 잉크산업의 기술발전으로 인하여, 프린팅 범위가 기존의 천류 및 비닐 시트지, 후렉스지 등의 연질의 소재에서,의류 및 스포츠 디자인에 적용되는 텍스타일 타입에도 그 적용이 가능해짐에 따라 응용분야인 관련 산업과 함께 성장하고 있으며, 친환경 문제로 인해 실사출력이 기존 솔벤트 출력에서 UV 프린팅 시장과 라텍스 출력 시장으로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3) 식품용 프린터 분야
  잉크젯 프린팅 기술 기반으로 실용색소를 활용한 프린터로 Sweet Box 라는 브랜드로 하여 생산 및 판매중에 있으며, 아직까지 경쟁업체가 많지 않은 시장으로 국내에서는 당사가 독보적인 위치에 있다. 현재 많은 식품 제조업체에서 푸드 프린팅을 이용하여 차별화된 제품을 생산하고 홍보에 활용하는 것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마카롱, 케익, 떡, 과자 등 디저트, 간식류를 제조하는 업체에서 적극적이고 다양한 문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아직은 많은 사람들이 프린팅된 식품을 섭취하는 것에대한 거부감이 있으나, 푸드프린팅이 익숙해지고 대중화 될 수록 관련 시장은 더욱 확대 성장할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당사는 외국의 선진국으로부터 전량 수입에 의존해 오던 커팅플로터와 잉크젯 프린터를 자체기술로 개발하여 상품화에 성공한 이후 국내시장 뿐만 아니라 세계 50여개국에 자체브랜드의 제품을 직접 수출하는 기업이다.

  커팅플로터를 통해 세계 광고시장에서 당사의 기술력과 영업력을 인정받은 이후 당사는 세계광고시장이 텍스트 위주에서 이미지 위주로 변화하는 추세를 파악하고, 이미지 프린팅 기계인 잉크젯 프린터 개발에 착수하여 2000년에 국내 최초로 잉크젯프린터 개발에 성공, 상용화함으로써 본격적인 성장 궤도에 진입하였으며, 2010년 8월에는 섬유소재에 프린팅이 가능한 Textile Printer을 출시하여 최근 그 시장이 확대성장하고 있는 Digital Textile Printer 시장으로 진입하였다.

  최근 디지털 프린팅 시장의 급속한 성장과 고해상도를 요구하는 소비자의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당사는 고성능의 고품질 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으며, 신제품에 대한 지속적인 품질 향상을 통해 고객 만족을 실현하기 위해 고객지원 서비스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또한 매년 귝내외 전문 전시회에 참가하여 글로벌 기업으로서의 위상을 높여왔으며, 세계 각국의 전문 엔지니어를 초빙하여 신제품에 대한 홍보 및 전문 기술 교육을 진행하여, 해외 시장의 판매망을 더욱 견고히 할 뿐 아니라, 글로벌 고객의 기술지원을 가능하게 하였다.

  당사는 그 동안 잉크젯 프린터를 개발하면서 축척해온 잉크젯 기술을 다른 첨단산업분야에 응용함으로써 새로운 산업분야의 개척을 통해 당사의 신규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Digital Printing 원천기술을 날염공정에 응용한 결과 전사용 Textile Printer FT 시리즈와 직접 섬유소재에 출력이 가능한 다이렉트용 Textile Printer FD 시리즈를 출시하여 기존의 노동집약적 섬유산업을 친환경 녹색산업으로 변모시키고 있다. 또한 잉크젯 프린팅 기술 기반으로 식용색소를 활용한 푸드프린터의 경우 국내경쟁업체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적극적인 홍보. 마케팅을 통하여 차별화된 제품생산이 가능함을 홍보하여 점점 그 시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2023년 12월 31일 현재 매출은 16,680백만원이며, 2,671백만원의 영업손실과 2,153백만원의 당기순손실이 발생하였습니다.
                                                                                                  (단위 : 원)

과    목 제33기 당기
매     출     액   16,680,293,089
매 출 총 이 익     6,216,218,666
영  업   이  익  △2,670,806,473
당 기 순 이 익  △2,152,865,565

                                                                                    [Δ는 부(-)의 수치임]

※ 제33기 당기의 해당 정보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따른 별도재무제표    기준으로 당사에서 작성하였으며, 해당 정보는 외부감사인의 감사를 받은 재무제     표 입니다.

(2) 시장점유율

   잉크젯 및 사인 광고용 프린터와 텍스타일 프린터 시장에 대한 시장점유율 자료가 없어 별도 표기를 하지 않았습니다.

(3) 시장의 특성

(가) 텍스타일 프린터
  개인화, 디지털화, 친환경화를 통한 섬유산업의 발전을 가능케 하는 Digital TextilePrinter(DTP) 개발과 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및 관련 제품 개발은 경쟁력 확보를
위한 시장 선점의 필수 사항이 되어가고 있다.

  소비자 가치의 변화와 함께, 세계 패션을 주도하는 트렌드의 회전속도가 빨라지고 트렌드의 지속기간이 짧아지고 있다. 결국, 소비자의 개성은 더욱 강해지고 개인주의에 의해 주위의 소비패턴과는 무관한 독립적인 패턴시대로 다품종 소량생산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차별화, 개성화, 고급화된 소비자의 성향에 맞추어 시장은 더욱 다양하고 특이한 디자인을 요구하고 있으며, 개별수요자의 취향에 맞는 생산을 요구하는 시대가 되었고, 심지어 개인의 맞춤 상품식의 요구로 디자인당 주문량은 감소하고 섬유시장은 소비자가 주도하는 시장으로 변하고 있다.

  최근 염색공정기술은 환경 친화적 및 경제적인 특성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용수 및 원료절감과 공정의 단순화가 가능한 Digital Textile Printer(DTP)의 경우 그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다품종 소량생산을 특징으로 시장의 패션변화에도 민첩하게 대응하면서 폭 넓은 연령층의 다양한 고객요구도 만족시킬 수 있는 유망 기술로서 Digital Textile Printing이 매우 중요시 되고 있다.

  Digital Textile Printer(DTP)는 오염물질이 많이 배출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날염공정에 디지털 정보기술을 접목한 혁신적인 공정으로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이 가능하다. 기존의 생산방법을 친환경적인 생산공정으로 개선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친환경, 녹색생산기술로 당사의 Digital Printing 원천기술을 활용 가능하게 하여 다품종 소량 생산방식에 적합한 맞춤식 고급의류 등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Digital Textile Printer(DTP)의 발전과 함께 새로운 염료 및 안료 잉크를 적용한 디지털 장비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자연섬유나 합성섬유에 인쇄할 수 있게 됨으로써, 세계 패션 브랜드의 패스트 패션 트렌드에 가장 적합한 기술로 평가되며, 디자인의 차별화, 개인화, 고급화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이다. 더불어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터는 의류용 원단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침장류, 신발 등의 관련 산업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나) 사인 광고용 프린터
  그래픽 표현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증대로 인한 디지털 잉크젯 프린팅 기술의 발전 및 관련 시스템의 발달로 최근 잉크젯 프린터 시장은 급속한 발전을 이루어왔으며, 최근엔 잉크젯 프린터 시장의 적용범위가 섬유산업 등 관련 산업으로 확대 성장하고 있다. 잉크젯 프린터 시장은 소비자의 표현욕구의 다양한 변화 및 제반 기술력의 급속한 발달로 후발업체의 시장진입에 상당한 장벽이 존재하여 기존의 선발업체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으나, 최근 시장이 본격적인 성장단계로 돌입하여서 중국을 비롯한 후발업체가 등장함에 따라 경쟁이 매우 치열해지고 있다.

  광고용 잉크젯 프린터 시장 중 대형 잉크젯 프린팅 시장에서는 HP(미국), Agfa(유럽), EFI(미국) 등이 시장을 이끌어 나가고 있으며, 중소형 잉크젯 프린팅 시장에서는일본업체인 Mutoh, ROLAND, MIMAKI 등이 경쟁하고 있다.

  최근에는 사인 광고용 산업용 프린터의 기술의 발전으로 친환경적인 UV 프린터와라텍스 프린터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으며, 시장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다) 식품용 프린터
  푸드 프린터 시장은 실제 식품을 제작하는 3D 프린터와 달리 아직 경쟁업체가 많지 않은 시장으로 국내에는 당사가 독보적으로 생산, 판매를 계획하고 있으며, 주요 생산 국가는 일본 MASTER MIND, NEW MIND에서 소형에서 대형 컨베이어 타입까지 다양한 종류의 잉크젯 기반 푸드 프린터를 생산 판매하고 있다. 추가적으로 이탈리아 식품산업장비업체인 GORRERI는 대량생산용 컨베이어 타입의 푸드 프린터 1종만 생산하고 있다. 많은 식품제조 업체에서 푸드 프린팅을 이용하여 차별화된 제품을 생산하고 홍보에 활용하는 것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마카롱, 케잌, 떡, 과자 등 디저트, 간식류를 제조하는 업체에서 적극적이고 다양한 문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아직은 많은 사람들이 프린팅된 식품을 섭취하는것에 대한 거부감이있으나, 푸드 프린팅이 익숙해지고 대중화 될수록 관련 시장은 더욱 확대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가) 디지털 프레스 사업
  소비자 트렌드 변화 빈도와 속도의 증가, 특정 고객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마이크로 브랜딩과 타켓팅, 친환경 등이 업계의 화두로 떠오르며, 소비자들의 개인화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마케팅 기법들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그러한 마케팅 방식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캠페인과 팩키지의 빠른 변화와 다양화가 필수적인 요소이고,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이 디지털 프레스 입니다. 다품종 소량 생산, 재고 물량 간소화, 간단한 작업 프로세스 등의 장점을 바탕으로 디지털 프레스 장비에 대한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시장은 예측하고 있습니다.

   해당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2023년 당사는 디지털 프레스를 개발 완료하였으며, 2024녀부터는 본격적으로 시장에 진입하려 합니다. 향후 수요 증대가 예상되는 만큼 국내외 전시회에 참가함은 물론, 초기 집중적인 홍보와 공격적인 영업으로 시장 점유률 상승 및 매출 확대에 힘을 기울일 것입니다.

(나) DTG(Direct To Garment) 사업
  잉크젯 프린터 분야에서 축적된 기술과 업력을 바탕으로 장비 유통사업을 진행하고자 하며, 그 첫 번째 제품으로 DTG 장비를 선정하였습니다. DTG 사업은 기존 당사의 주력사업인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터의 포트폴리오 확충을 넘어, 새로운 수익 창출의 모델을 수립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DTG(Direct To Garment) 프린터는 피그먼트 잉크를 T셔츠 등의 소재에 직접(Direct) 분사하여 원하는 이미지를 프린터 하는 방식의 장비를 말합니다. 디지털 프레스 시장에서도 언급된 개인화라는 소비 트렌드에 옷도 예외가 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T셔츠 및 바지 등에 소비자가 요청하는 이미지를 프린터해서 공급하는 POD(Print On Demand) 사업이 지속적으로 성장 추세에 있으며, 그에 따라 DTG 장비의 보급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시장에 적합한 제품에 당사의 브랜드 파워를 더하여 시장에 집입함으로써, 성장기의 시장에서 빠른 시장 점유확대와 이익 창출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2024년 전시회 및 온/오프 라인 딜러망을 통해 해외로 판매를 확대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5) 조직도

<조직도(2023.12.31.현재)>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 상기 1. 사업의 개요상의 가. 업계의 현황 및 나. 회사의 현황 참조


나. 해당 사업연도의 재무상태표ㆍ포괄손익계산서ㆍ자본변동표ㆍ현금흐름표 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ㆍ주석


※ 1. 당사의 제33기 당기 및 제32기 전기의 해당정보는 별도재무제표 기준으로 작성하였         습니다.
   2. 해당 재무정보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따라 당사에서 작성하였습니다.
   3. 해당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 및 주주총회의 승인과정 등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4.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3월 20일까지 제출 예정인 당사의        별도 감사보고서와 사업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재무상태표

                                       <재 무 상 태 표>

제 33 기 2023.12.31.현재
제 32 기 2022.12.31.현재
(단위 : 원)
과 목 제 33 기 제 32 기
자산

I. 유동자산 22,656,911,941  22,102,447,126 
   현금및현금성자산 7,695,227,166  13,600,494,640 
   단기금융상품 14,840,000 
   기타포괄손익금융자산 1,480,428,969  1,004,051,693 
   매출채권및기타채권 4,852,676,681  3,811,821,259 
   재고자산 7,463,427,199  3,066,872,013 
   당기법인세자산 75,815,740  59,669,700 
   반품제품회수권 253,495,502  290,872,831 
   사용권자산 41,893,136 
   기타유동자산 821,000,684  226,771,854 
II. 비유동자산 24,641,393,013  25,502,532,715 
   장기금융자산 16,255,000  20,065,000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2,900,297,233  4,385,308,587 
   장기매출채권및기타채권 340,862,840  136,290,683 
   유형자산 11,916,522,985  11,827,196,608 
   투자부동산 8,309,091,376  8,442,699,532 
   사용권자산 321,581,487 
   무형자산 836,832,092  690,972,305 
   이연법인세자산
자산총계 47,298,304,954  47,604,979,841 
부채

I. 유동부채 3,446,867,430  2,916,980,994 
   차입금               143,123,400  8,750,000 
   매입채무및기타채무 1,957,101,455  1,904,239,239 
   당기법인세부채
   판매보증충당부채 629,897,580  187,695,000 
   환불부채 343,815,953  374,691,267 
   리스부채
   이연수익 36,774,223  14,453,237 
   기타유동부채 336,154,819  427,152,251 
II. 비유동부채 1,128,838,618 
   장기매입채무 및 기타채무 860,569,942 
   기타비유동부채 268,268,676 
부채총계 4,575,706,048  2,916,980,994 
자본

   자본금 4,500,000,000  4,500,000,000 
   기타불입자본 9,321,237,175  9,321,237,175 
   기타포괄손익누계액-공정가치금융                       자산평가이익(손실) (1,720,996,972) (1,712,362,289)
   이익잉여금(결손금) 30,622,358,703  32,579,123,961 
자본총계 42,722,598,906  44,687,998,847 
부채와자본총계 47,298,304,954  47,604,979,841 



- 포괄손익계산서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33 기 (2023.01.01.부터 2023.12.31.까지)
제 32 기 (2022.01.01.부터 2022.12.31.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33 기 제 32 기
매출액 16,680,293,089  16,077,851,490 
매출원가 10,464,074,423  9,757,524,226 
매출총이익 6,216,218,666  6,320,327,264 
판매비 3,766,693,879  2,361,005,097 
관리비 3,634,173,827  2,651,914,746 
경상개발비 1,486,157,433  1,085,790,056 
영업이익(손실) (2,670,806,473) 221,617,365 
금융수익 489,045,512  403,473,230 
금융원가 36,791,068  35,484,448 
기타영업외수익 322,711,124  486,958,089 
기타영업외비용 257,024,660  388,940,583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2,152,865,565) 687,623,653 
법인세비용(환입)
당기순이익(손실) (2,152,865,565) 687,623,653 
기타포괄손익 187,465,624  (1,479,868,625)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
되지 않는 포괄손익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
 상품 관련 손익
127,796,020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
되는 포괄손익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채무
 상품 관련 손익
59,669,604 
총포괄손익 (1,965,399,941) (792,244,972)
주당이익(손실)

   기본주당이익(손실) (241) 77 
   희석주당이익(손실) (241) 77 



- 자본변동표

                                          <자본변동표>

제 33 기 (2023.01.01.부터 2023.12.31.까지)
제 32 기 (2022.01.01.부터 2022.12.31.까지)
(단위 : 원)
과 목 자본금 기타불입자본 기타포괄손익
누계액
이익잉여금 자본총계
주식발행초과금 자기주식처분이익 자기주식
2022.01.01(전기초) 4,500,000,000  8,851,901,874  978,329,631  (537,704,330) (232,493,664) 31,891,500,308  45,451,533,819 
   배당금의 지급






   자기주식처분

(24,390,000) 53,100,000 

28,710,000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시장성없는 지분
       상품 손익




(1,264,353,401)
(1,264,353,401)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채무상품 손익




(215,515,224)
(215,515,224)
   전기순이익(손실)




687,623,653  687,623,653 
2022.12.31.(전기말) 4,500,000,000  8,851,901,874  953,939,631  (484,604,330) (1,712,362,289) 32,579,123,961  44,687,998,847 
2023.01.01.(당기초) 4,500,000,000  8,851,901,874  953,939,631  (484,604,330) (1,712,362,289) 32,579,123,961  44,687,998,847 
   배당금의 지급





   자기주식처분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시장성없는 지분

       상품 손익





127,796,020 
127,796,020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채무상품 손익




59,669,604 
59,669,604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시장성없는 지분
       상품 처분 손익 이익
       잉여금 대체




(196,100,307)  196,100,307 
   당기순이익(손실)




(2,152,865,565) (2,152,865,565)
2023.12.31.(당기말) 4,500,000,000  8,851,901,874  953,939,631  (484,604,330) (1,720,996,972) 30,622,358,703  42,722,598,906 



- 현금흐름표

                                         <현금흐름표>

제 33 기 (2023.01.01.부터 2023.12.31.까지)
제 32 기 (2022.01.01.부터 2022.12.31.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33 기 제 32 기
I.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3,624,516,328) 2,509,501,763 
   1.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 (4,087,271,901) 2,157,037,334 
   2. 이자의 수취 487,862,901  389,813,598 
   3. 이자의 지급 (8,968,466) (14,268,219)
   4. 법인세의 납부(환급) (16,138,120) (23,080,950)
II.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2,681,323,356) (768,853,214)
   1.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19,720,000,000  23,000,000,000 
   2.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19,700,000,000) (23,000,000,000)
   3. 장기대여금의 감소 5,000,000  -
   4. 장기대여금의 증가 (120,000,000)
   5. 만기보유금융자산의 처분
   6. 만기보유금융자산의 취득 (11,030,000) (3,785,000)
   7.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의 처분 1,204,932,917  500,118,811 
   8.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의 취득 (999,999,262)
   9. 유형자산의 처분 17,818,182  3,636,364 
  10. 유형자산의 취득 (448,661,429) (148,824,127)
  11. 무형자산의 처분
  12. 무형자산의 취득  (10,209,300)
  13. 사업결합으로 인한 변동 (3,459,173,726)
III.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400,979,319  (682,775,836)
   1. 단기차입금의 증가 358,692,426  872,309,647 
   2. 단기차입금의 상환 (218,169,626) (1,522,756,907)
   3. 리스부채의 증가 303,912,228 
   4. 리스부채의 상환 (43,455,709) (32,328,576)
   5. 배당금의 지급
IV.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I+II+III) (5,904,860,365) 1,057,872,713 
V. 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 13,600,494,640  12,545,603,140 
VI. 외화표시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407,109) (2,981,213)
VII. 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7,695,227,166  13,600,494,640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제 33 기 (2023.01.01부터 2023.12.31.까지)
제 32 기 (2022.01.01부터 2022.12.31.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33 기 제 32 기
I. 미처분이익잉여금 26,946,265,483  28,903,030,741 
   전기이월이익잉여금 28,903,030,741  28,215,407,088 
   회계정책변경의 누적효과
   당기순이익(손실) (2,152,865,565) 687,623,653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시장성
         없는 지분상품 처분 손익 이익
         잉여금 대체
196,100,307 
II. 임의적립금등의 이입액
   연구및인력개발준비금
III. 이익잉여금처분액
   이익준비금
   배당금
  가.현금배당
       (주당배당금(율) :
       당기 : 0원
       전기 : 0원
  나. 주식배당
       당기배당율 :
       전기배당율 :
IV.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26,946,265,483  28,903,030,741 

※ 제33기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는 2024년 3월 28일 개최될 제33기 정기주주총회       에서 처분이 확정될 예정이며, 제32기는 2023년 3월 22일에 처분확정된 이익          잉여금처분계산서 입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단위 : 원)
구분 제 33 기 (예정) 제 32 기
주당액면가액 500원  500원 
발행주식총수 9,000,000  9,000,000 
주당 현금배당금
배당금 총액
(자기주식 82,031주 제외)
시가배당율

※ 제33기(2023년도)에는 현금배당을 실시하지 않을 예정 입니다.


-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 사항

제 33 기  당기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제 32 기  전기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디지아이



1. 회사의 개요

주식회사 디지아이(이하 "당사")의 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내용
본사 주소 경기도 양주시 청담로 52
회사설립일 1991년 11월 28일
주요임원 및 대주주 대표이사 최동호, 대주주 최관수
사업자등록번호 127-81-18162
주요사업 텍스타일 및 사인광고용 프린터, 식품용 프린터의 제조 및 판매
한국거래소가 개설한
코스닥시장 상장일
2001년 7월 20일


당사의 당기말 현재 자본금은 4,500,000천원이며 주요 주주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주명 소유주식수(주) 지분율(%)
최관수 2,397,785  26.64 
최동호 1,250,513  13.89 
최근수 30,000  0.33 
윤연수 14,578  0.16 
합계 3,692,876  41.02 



2. 중요한 회계정책

2.1 당사의 당기 재무제표는 2024년 3월 28일자 정기주주총회에서 최종 승인될 예정입니다.

2.2 재무제표 작성기준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었으며 재무제표를 작성하기 위하여 채택한 중요한 회계정책은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전기 재무제표 작성시 채택한 회계정책과 동일하게 적용되었습니다.  

재무제표 작성을 위하여 채택한 중요한 회계정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회계정책의 변경과 공시

1) 회사가 채택한 제ㆍ개정 기준서

회사는 2024년 1월 1일로 개시하는 회계기간부터 다음의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를 신규로 적용하였습니다.
 


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3호 '사업결합' 개정 - 개념체계의 인용

사업결합 시 인식할 자산과 부채의 정의를 개정된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를 참조하도록 개정되었으나, 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 ‘충당부채, 우발부채 및 우발자산’ 및 해석서 제2121호 ‘부담금’의 적용범위에 포함되는 부채 및 우발부채에 대해서는 해당 기준서를 적용하도록 예외를 추가하고, 우발자산이 취득일에 인식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나. 기업회계기준서 제1016호 '유형자산' 개정 - 의도한 사용 전의 매각금액

기업이 자산을 의도한 방식으로 사용하기 전에 생산된 품목의 판매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생산원가와 함께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도록 요구하며, 유형자산의 취득원가에서 차감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 '충당부채, 우발부채 및 우발자산' 개정 - 손실부담계약: 계약이행원가

손실부담계약을 식별할 때 계약이행원가의 범위를 계약 이행을 위한 증분원가와 계약 이행에 직접 관련되는 다른 원가의 배분이라는 점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라.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 2018-2020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 2018-2020은 2022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 채택’: 최초채택기업인 종속기업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금융부채 제거 목적의 10% 테스트 관련 수수료

·기업회계기준서 제1041호 '농림어업’: 공정가치 측정

2) 공표되었으나 아직 시행되지 않은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보고기간말 현재 제정ㆍ공표되었으나 2023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기간에 시행일이 도래하지 아니하였고, 회사가 조기 적용하지 아니한 제ㆍ개정 기업회계기준서 및 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가.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 부채의 유동/비유동 분류

 

보고기간말 현재 존재하는 실질적인 권리에 따라 유동 또는 비유동으로 분류되며, 부채의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권리의 행사가능성이나 경영진의 기대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또한, 부채의 결제에 자기지분상품의 이전도 포함되나, 복합금융상품에서 자기지분상품으로 결제하는 옵션이 지분상품의 정의를 충족하여 부채와 분리하여 인식된경우는 제외됩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4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될 예정이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한 재무제표의 영향을검토 중에 있습니다.

나.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 '회계정책'의 공시

 

중요한 회계정책 정보를 정의하고 이를 공시하도록 하였습니다. 동 개정 사항은 2024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한 재무제표의 영향을 검토 중에 있습니다.


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008호 '회계정책, 회계추정의 변경 및 오류' - '회계추정'의 정의 

 

회계추정을 정의하고, 회계정책의 변경과 구별하는 방법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동 개정 사항은 2024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해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라. 기업회계기준서 제1012호 '법인세' -  단일거래에서 생기는 자산과 부채에 대한 이연법인세

자산 또는 부채가 최초로 인식되는 거래의 최초 인식 예외 요건에 거래시점 동일한 가산할 일시적차이와 차감할 일시적차이를 발생시키지 않는 거래라는 요건을 추가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4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해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마. 기업회계기준서 제1117호 '보험계약' 제정 

 

기업회계기준서 제1117호 '보험계약'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4호 '보험계약’을 대체합니다. 보험계약에 따른 모든 현금흐름을 추정하고 보고시점의 가정과 위험을 반영한 할인율을 사용하여 보험부채를 측정하고, 매 회계연도별로 계약자에게 제공한 서비스(보험보장)를 반영하여 수익을 발생주의로 인식하도록 합니다. 또한, 보험사건과 관계없이 보험계약자에게 지급하는 투자요소(해약/만기환급금)는 보험수익에서 제외하며, 보험손익과 투자손익을 구분 표시하여 정보이용자가 손익의 원천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동 기준서는 2024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을 적용한 기업은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해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기준서의 개정으로 기업회계기준서 제1117호를 최초로 적용하는 기업은 비교기간에대해 선택적 분류 조정('overlay')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류 조정은 기업회계기준서 제1117호의 적용범위에 포함되는 계약과 연관성이 없는 금융자산을 포함한 모든 금융자산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금융자산에 분류 조정을 적용하는 기업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의 분류와 측정 요구사항을 해당 금융자산에 적용해왔던 것처럼 비교정보를 표시하며며, 이러한 분류 조정은 상품별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바.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 재무제표 표시 ' - 행사가격 조정 조건이 있는 금융부채 평가손익 공시

발행자의 주가 변동에 따라 행사가격이 조정되는 조건이 있는 금융상품의 전부나 일부가 금융부채로 분류되는 경우 그 금융부채의 장부금액과 관련 손익을 공시하도록 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4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해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2.3 금융자산

(1) 분류

당사는 다음의 측정 범주로 금융자산을 분류합니다.

-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 또는 당기손익에 공정가치 변동 인식)
-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금융자산은 금융자산의 관리를 위한 사업모형과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 특성에근거하여 분류합니다.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손익은 당기손익 또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채무상품에 대한 투자는 해당 자산을 보유하는 사업모형에 따라 당기손익 또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당사는 금융자산을 관리하는 사업모형을 변경하는 경우에만 채무상품을 재분류합니다.

단기매매항목이 아닌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는 최초 인식시점에 후속적인 공정가치 변동을 기타포괄손익으로 표시할 것을 지정하는 취소불가능한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지정되지 않은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의 공정가치 변동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2) 측정

당사는 최초 인식시점에 금융자산을 공정가치로 측정하며,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이 아닌 경우에 해당 금융자산의 취득이나 해당 금융부채의 발행과 직접 관련되는 거래원가는 공정가치에 가산합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거래원가는 당기손익으로 비용처리합니다.

1) 채무상품

금융자산의 후속적인 측정은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 특성과 그 금융자산을 관리하는 사업모형에 근거합니다. 당사는 채무상품을 다음의 세 범주로 분류합니다.

가.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계약상 현금흐름을 수취하기 위해 보유하는 것이 목적인 사업모형 하에서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리금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자산은 상각후원가로 측정합니다.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으로서 위험회피관계의 적용 대상이 아닌 금융자산의 손익은 해당 금융자산을 제거하거나 손상할 때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유효이자율법에 따라 인식하는 금융자산의 이자수익은 '금융수익'에 포함됩니다.

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계약상 현금흐름의 수취와 금융자산의 매도 둘 다를 통해 목적을 이루는 사업모형 하에서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리금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금융자산은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 손상차손(환입)과 이자수익 및 외환손익을 제외하고는,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손익은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금융자산을 제거할 때에는 인식한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을 자본에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합니다. 유효이자율법에 따라 인식하는 금융자산의 이자수익은 '금융수익'에 포함됩니다. 외환손익은 '기타영업외수익' 또는 '기타영업외비용'으로 표시하고 손상차손은 '기타영업외비용'으로 표시합니다.


다.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상각후원가 측정이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이 아닌 채무상품은 당기손익-공정가치로 측정됩니다. 위험회피관계가 적용되지 않는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채무상품의 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발생한 기간에 손익계산서에 '기타영업외수익' 또는 '기타영업외비용'으로 표시합니다.

2) 지분상품

당사는 모든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를 후속적으로 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 공정가치 변동을 기타포괄손익으로 표시할 것을 선택한 지분상품에 대해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한 금액은 해당 지분상품을 제거할 때에도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지분상품에 대한 배당수익은 당사가 배당을 받을 권리가 확정된 때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발생한 기간에 손익계산서에 '기타영업외수익'으로 표시합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공정가치 변동은 손익계산서에 '기타영업외수익 또는 기타영업외비용'으로 표시합니다.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지분상품에 대한 손상차손(환입)은 별도로 구분하여 인식하지 않습니다.

(3) 손상

당사는 미래전망정보에 근거하여 상각후원가로 측정하거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채무상품에 대한 기대신용손실을 평가합니다. 손상 방식은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 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 단, 당사는 매출채권, 계약자산과 리스채권에 대해서 최초 인식시점부터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을 인식하는 간편법을 적용합니다.

2.4 수익인식

(1) 수행의무의 식별 및 수인인식 시점

당사는 잉크젯 및 텍스타일 프린터, 식품용프린터, 포장용프린터 의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재화의 판매에 따른 수익은 재화가 구매자에게 인도되는 시점에서 인식하고 있습니다.

(2) 변동대가

받을 권리를 갖게 될 대가를 더 잘 예측할 것으로 예상하는 기댓값 방법을 사용하여 변동대가를 추정하고, 반품기한이 경과할 때 이미 인식한 누적 수익금액 중 유의적인부분을 되돌리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 금액까지만 변동대가를 거래가격에 포함하여 수익을 인식합니다.

(3) 반품

고객에게 환불할 것으로 예상되는 총액을 계약부채(환불부채)로 인식하고 수익을 조정하며, 고객이 반품 권리를 행사할 때 고객으로부터 제품을 회수할 권리를 계약자산으로 인식하고 해당 금액만큼 매출원가를 조정합니다. 제품을 회수할 권리는 제품의 과거 장부금액에서 제품을 회수하는데 드는 원가를 차감하여 측정합니다.

2.5 외화환산


(1) 기능통화와 표시통화


당사는 영업활동이 이뤄지는 주된 경제 환경에서의 통화("기능통화")를 적용하여 측정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기능통화는 대한민국 원화이며, 재무제표는 대한민국 원화로 표시돼 있습니다.


(2) 외화거래와 보고기간말의 환산


외화거래는 거래일의 환율 또는 재측정되는 항목인 경우 평가일의 환율을 적용한 기능통화로 인식됩니다.  외화거래의 결제나 화폐성 외화 자산ㆍ부채의 환산에서 발생하는 외환차이는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비화폐성 금융자산ㆍ부채로부터 발생하는 외환차이는 공정가치 변동손익의 일부로 보아 당기손익인식지분상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외환차이는 당기손익으로, 매도가능지분상품의 외환차이는 기타포괄손익에 포함하여 인식됩니다.


2.6 매출채권

 

매출채권은 유의적인 금융요소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무조건적인 대가의 금액으로, 유의적인 금융요소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공정가치로 최초 인식합니다. 매출채권은 후속적으로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한 상각후원가에 손실충당금을 차감하여 측정됩니다. (매출채권 회계처리에 대한 추가적인 사항은 주석 8 참조)

2.7 재고자산

재고자산은 원가와 순실현가능가치 중 작은 금액으로 표시되고, 재고자산의 원가는 미착품을 제외하고는 총평균법에 따라 결정됩니다.

2.8 유형자산

유형자산은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하여 표시됩니다. 역사적 원가는 자산의 취득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지출을 포함합니다.


토지를 제외한 자산은 취득원가에서 잔존가치를 제외하고, 다음의 추정 경제적 내용연수에 걸쳐 정액법으로 상각됩니다.

구           분 내  용  연  수
건물 40년
건물부속설비 10년
구축물 10년
기계장치 8년
차량운반구 5년
비품 5년
금형 8년
공구와기구 5년
계측기 5년


유형자산의 감가상각방법과 잔존가치 및 경제적 내용연수는 매 회계연도 말에 재검토되고 필요한 경우 추정의 변경으로 조정됩니다.


2.9 차입원가

적격자산을 취득 또는 건설하는데 발생한 차입원가는 해당 자산을 의도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기간 동안 자본화되고, 적격자산을 취득하기 위한 특정목적차입금의 일시적 운용에서 발생한 투자수익은 당 회계기간 동안 자본화 가능한 차입원가에서 차감됩니다. 기타 차입원가는 발생기간에 비용으로 인식됩니다.

2.10 정부보조금

정부보조금은 보조금의 수취와 정부보조금에 부가된 조건의 준수에 대한 합리적인 확신이 있을 때 공정가치로 인식됩니다. 자산관련보조금은 자산의 장부금액을 계산할 때 차감하여 표시되며, 수익관련보조금은 이연하여 정부보조금의 교부 목적과 관련된 비용에서 차감하여 표시됩니다.

2.11 무형자산

무형자산은 원가에서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으로 표시되고 있습니다.

영업권을 제외한 무형자산은 역사적 원가로 최초 인식되고, 원가에서 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으로 표시됩니다.

구      분 추정내용연수
산업재산권 5년
기타의무형자산 5년
회원권 비한정


2.12 투자부동산

임대수익이나 투자차익을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은 투자부동산으로 분류됩니다. 투자부동산은 최초 인식시점에 원가로 측정되며, 최초 인식 후에는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으로 표시됩니다. 투자부동산 중 토지를 제외한 투자부동산은 추정 경제적 내용연수 40년동안 정액법으로 상각됩니다.

2.13 비금융자산의 손상

영업권이나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무형자산에 대하여는 매년, 상각대상 자산에 대하여는 자산손상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을 때 손상검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손상차손은 회수가능액(사용가치 또는 처분부대원가를 차감한 공정가치 중 높은 금액)을 초과하는 장부금액만큼 인식되고 영업권 이외의 비금융자산에 대한 손상차손은 매 보고기간말에 환입가능성이 검토됩니다.

2.14 금융부채

(1) 분류 및 측정

주로 단기간 내에 재매입할 목적으로 부담하는 금융부채는 단기매매금융부채로 분류됩니다. 또한, 위험회피회계의 수단으로 지정되지 않은 파생상품이나 금융상품으로부터 분리된 내재파생상품도 단기매매금융부채로 분류됩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부채, 금융보증계약, 금융자산의 양도가 제거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금융부채를 제외한 모든 비파생금융부채는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로 분류되고 있으며, 재무상태표 상 "매입채무", "차입금" 및 "기타금융부채" 등으로 표시됩니다.

(2) 제거

금융부채는 계약상 의무가 이행, 취소 또는 만료되어 소멸되거나 기존 금융부채의 조건이 실질적으로 변경된 경우에 재무상태표에서 제거됩니다.


2.15 금융보증계약

당사가 제공한 금융보증계약은 최초 인식시 공정가치로 측정되며, 후속적으로는 다음 중 큰 금액으로 측정하여 “기타금융부채”로 인식됩니다.

(1) 금융상품의 손상규정에 따라 산정한 손실충당금
(2) 최초 인식금액에서 기업회계기준서 제1115호에 따라 인식한 이익누계액을 차감한 금액 


2.16 복합금융상품

복합금융상품의 부채요소는 최초에 동일한 조건의 전환권이 없는 금융부채의 공정가치로 인식되며, 자본요소는 복합금융상품 전체의 공정가치와 부채요소의 공정가치의차이로 최초 인식됩니다. 복합금융상품의 발행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거래원가는 부채요소와 자본요소의 최초 인식 금액에 비례하여 배분됩니다.


2.17 충당부채

충당부채는 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예상되는 지출액의 현재가치로 측정되며, 시간경과로 인한 충당부채의 증가는 이자비용으로 인식됩니다.

2.18 당기법인세 및 이연법인세

법인세비용은 당기법인세와 이연법인세로 구성됩니다. 법인세는 기타포괄손익이나 자본에 직접 인식된 항목과 관련된 금액은 해당 항목에서 직접 인식하며, 이를 제외하고는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법인세비용은 보고기간말 현재 제정됐거나 실질적으로 제정된 세법을 기준으로 측정됩니다.

경영진은 적용 가능한 세법 규정이 해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상황에 대하여 당사가 세무신고 시 적용한 세무정책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세무당국에 납부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에 기초하여 당기법인세비용을 인식합니다.

이연법인세는 자산과 부채의 장부금액과 세무기준액의 차이로 발생하는 일시적 차이에 대하여 장부금액을 회수하거나 결제할 때의 예상 법인세효과로 인식됩니다. 다만,사업결합 이외의 거래에서 자산·부채를 최초로 인식할 때 발생하는 이연법인세자산과 부채는 그 거래가 회계이익이나 과세소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인식되지 않습니다. 이연법인세자산은 차감할 일시적 차이가 사용될 수 있는 미래 과세소득의 발생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인식됩니다.

종속기업,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지분과 관련된 가산할 일시적 차이에 대해 소멸시점을 통제할 수 있는 경우, 그리고 예측가능한 미래에 일시적 차이가 소멸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경우를 제외하고 이연법인세부채를 인식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차감할 일시적 차이에 대하여 일시적 차이가 예측가능한 미래에 소멸할 가능성이 높고 일시적 차이가 사용될 수 있는 과세소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만 이연법인세자산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연법인세자산과 부채는 법적으로 당기법인세자산과 당기법인세부채를 상계할 수 있는 권리를 당사가 보유하고 있으며, 동시에 이연법인세자산과 부채가 동일한 과세당국에 의해서 부과되는 법인세와 관련이 있으면서 순액으로 결제할 의도가 있는 경우에 상계됩니다.


2.19 종업원급여

(1) 퇴직급여

당사는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동 연금제도에 따라 당해 회계기간중에 당사가 납부하여야 할 부담금을 퇴직급여 항목으로 당기비용으로 인식하고있습니다. 따라서 채무나 비용을 측정하기 위한 보험수리적 가정이 사용되지 않습니다.

(2) 주식기준보상

종업원에게 부여한 주식결제형 주식기준보상은 부여일에 지분상품의 공정가치로 측정되며, 가득기간에 걸쳐 종업원 급여비용으로 인식됩니다. 가득될 것으로 예상되는 지분상품의 수량은 매 보고기간말에 비시장성과조건을 고려하여 재측정되며, 당초 추정치로부터의 변동액은 당기손익과 자본으로 인식됩니다.


주식선택권의 행사시점에 신주를 발행할 때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거래비용을 제외한순유입액은 자본금(명목가액)과 주식발행초과금으로 인식됩니다.

2.20 리스

당사는 계약 약정일에 계약이 리스인지 또는 계약에 리스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평가합니다. 당사는 리스이용자인 경우에 단기리스(리스기간이 12개월 이하)와 소액 기초자산 리스를 제외한 모든 리스 약정과 관련하여 사용권자산과 그에 대응되는 리스부채를 인식합니다. 당사는 다른 체계적인 기준이 리스이용자의 효익의 형태를 더 잘나타내는 경우가 아니라면 단기리스와 소액 기초자산 리스에 관련되는 리스료를 리스기간에 걸쳐 정액 기준으로 비용으로 인식합니다.

 

리스부채는 리스개시일에 그날 현재 지급되지 않은 리스료를 리스의 내재이자율로 할인한 현재가치로 최초 측정합니다. 만약 리스의 내재이자율을 쉽게 산정할 수 없는경우에는 리스이용자의 증분차입이자율을 사용합니다.

 

리스부채의 측정에 포함되는 리스료는 다음 금액으로 구성됩니다.

 

·고정리스료 (실질적인 고정리스료를 포함하고 받을 리스 인센티브는 차감)

·지수나 요율(이율)에 따라 달라지는 변동리스료. 처음에는 리스개시일의 지수나 요율(이율)을 사용하여 측정함

·잔존가치보증에 따라 리스이용자가 지급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

·리스이용자가 매수선택권을 행사할 것이 상당히 확실한 경우에 그 매수선택권의 행사가격

·리스기간이 리스이용자의 종료선택권 행사를 반영하는 경우에 그 리스를 종료하기 위하여 부담하는 금액

 

당사는 리스부채를 연결재무상태표에서 다른 부채와 구분하여 표시합니다.

 

리스부채는 후속적으로 리스부채에 대한 이자를 반영하여 장부금액을 증액(유효이자율법을 사용)하고, 지급한 리스료를 반영하여 장부금액을 감액하여 측정합니다.

 

당사는 다음의 경우에 리스부채를 재측정하고 관련된 사용권자산에 대해 상응하는 조정을 합니다.

 

·리스기간이 변경되거나, 매수선택권 행사에 대한 평가의 변경을 발생시키는 상황의 변경이나 유의적인 사건이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경우 리스부채는 수정된 리스료를 수정된 할인율로 할인하여 다시 측정합니다.

·지수나 요율(이율)의 변경이나 잔존가치보증에 따라 지급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이 변동되어 리스료가 변경되는 경우. 이러한 경우 리스부채는 수정된 리스료를 변경되지 않은 할인율로 할인하여 다시 측정합니다. 다만 변동이자율의 변동으로 리스료에 변동이 생긴 경우에는 그 이자율 변동을 반영하는 수정 할인율을 사용합니다.

·리스계약이 변경되고 별도 리스로 회계처리하지 않는 경우. 이러한 경우 리스부채는 변경된 리스의 리스기간에 기초하여, 수정된 리스료를 리스변경 유효일 현재의 수정된 할인율로 할인하여 다시 측정합니다.

 

사용권자산은 리스부채의 최초 측정금액과 리스개시일이나 그 전에 지급한 리스료(받은 리스 인센티브는 차감) 및 리스이용자가 부담하는 리스개설직접원가를 차감한 금액으로 구성됩니다. 사용권자산은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하여 후속 측정합니다.

 

당사가 리스 조건에서 요구하는 대로 기초자산을 해체하고 제거하거나, 기초자산이 위치한 부지를 복구하거나, 기초자산 자체를 복구할 때 부담하는 원가의 추정치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에 따라 인식하고 측정합니다. 그러한 원가가 재고자산을 생산하기 위하여 발생한 것이 아니라면, 원가가 사용권자산과 관련이 있는 경우 사용권자산 원가의 일부로 그 원가를 인식합니다.

 

리스기간 종료시점 이전에 리스이용자에게 기초자산의 소유권을 이전하는 경우나 사용권자산의 원가에 리스이용자가 매수선택권을 행사할 것임이 반영되는 경우에, 리스이용자는 리스개시일부터 사용권자산의 내용연수 종료시점까지 사용권자산을 감가상각하고 있습니다. 그 밖의 경우에는 리스이용자는 리스개시일부터 사용권자산의내용연수 종료일과 리스기간 종료일 중 이른 날까지 사용권자산을 감가상각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사용권자산을 재무상태표에서 다른 자산과 구분하여 표시합니다.

 

당사는 사용권자산이 손상되었는지 결정하기 위하여 기업회계기준서 제1036호를 적용하며, 식별된 손상차손에 대한 회계처리는 ‘유형자산’의 회계정책(주석 2.8 참고)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당사는 변동리스료(다만 지수나 요율(이율)에 따라 달라지는 변동리스료는 제외)는 사용권자산과 리스부채의 측정에 포함하지 않으며, 그러한 리스료는 변동리스료를 유발하는 사건 또는 조건이 생기는 기간에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실무적 간편법으로 리스이용자는 비리스요소를 리스요소와 분리하지 않고, 각 리스요소와 이에 관련되는 비리스요소를 하나의 리스요소로 회계처리하는 방법을 기초자산의 유형별로 선택할 수 있으며, 연결실체는 이러한 실무적 간편법을 사용하지 않고있습니다. 하나의 리스요소와 하나 이상의 추가 리스요소나 비리스요소를 포함하는 계약에서 리스이용자는 리스요소의 상대적 개별가격과 비리스요소의 총 개별가격에 기초하여 계약 대가를 각 리스요소에 배분합니다.


2.21 영업부문

당사는 텍스타일 및 잉크젯 프린터, 식품용 프린터 영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업부문은 최고영업의사결정자에게 보고되는 내부 보고자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최고 영업의사결정자는 영업부문에 배부될 자원과 영업부문의 성과를 평가하는데 책임이 있으며, 전략적 의사결정을 수행하는 이사회를 최고의사결정자로 보고 있습니다. 



3. 중요한 회계추정 및 가정


당사는 미래에 대하여 추정 및 가정을 하고 있습니다. 추정 및 가정은 지속적으로 평가되며, 과거 경험과 현재의 상황에서 합리적으로 예측가능한 미래의 사건과 같은 다른 요소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회계추정은 실제 결과와 다를 수도 있습니다.

요약재무제표 작성시 사용된 중요한 회계추정 및 가정은 법인세비용을 결정하는데 사용된 추정의 방법을 제외하고는 전기 재무제표의 작성시 적용된 회계추정 및 가정과 동일합니다. 



4. 부문정보

(1) 당사는 영업수익을 창출하는 재화나 용역의 성격 및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자산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당사 전체를 단일 보고부문으로 결정하였습니다. 따라서, 보고부문별 영업수익 및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재고자산 보유현황, 자산ㆍ부채총액에 대한 주석기재는 생략하였습니다.

(2) 당기 및 전기 중 당사의 주요 재화 및 용역매출로부터 발생한 영업수익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보고부문 주요 재화 및 용역 당기 전기
디지아이 텍스타일 및 잉크젯 프린터 6,920,207  8,564,029 
잉크(상품) 6,076,575  4,296,874 
기타 2,890,944  2,486,991 
부동산임대 792,567  729,957 
합  계 16,680,293  16,077,851 


(3) 지역별 정보

당사의 주요 유ㆍ무형자산은 국내에 소재하고 있으며 지역별로 세분화된 당사의 외부고객으로부터의 계속영업수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  분 당기 전기
국내 3,607,302  3,808,174 
아시아 3,861,414  5,278,738 
아메리카 3,250,104  1,566,277 
유럽 5,579,890  5,025,567 
기타 381,583  399,095 
합  계 16,680,293  16,077,851 


(4) 주요고객에 대한 정보

당기와 전기 중 당사 수익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고객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  분 당기 전기
AGFA NV 3,000,019 
AL LEDDAN GENERAL TRADING  2,063,948 
합  계 5,063,967 



5. 사업결합


당사는 광고용 프린터 시장 지배력 확대를 통한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2023년 4월13일에 (주)디젠의 지분을 100% 인수하였으며, 2023년 6월 23일 기준으로 (주)디젠을 흡수합병하였습니다. 합병회계처리는 (주)디젠의 사업결합 시점 재무제표 상 자산과 부채의 장부금액으로 측정하였습니다.

사업결합의 세부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사업결합의 개요

구분 합병법인 피합병법인
회사명 (주)디지아이 (주)디젠
상장구분 코스닥 상장 비상장
소재지 경기도 양주시 청담로 52 경기도 양주시 청담로 52

당사는 소멸회사인 (주)디젠의 주식을 100% 소유하고 있으며, 합병비율은 1 : 0 으로흡수합병하여 신주를 발행하지 않았습니다.

(2) 사업결합에 대한 회계처리
사업결합으로 취득한 (주)디젠의 자산과 부채는 사업결합 시점의 장부금액으로 인식하였으며 순자산 장부금액과의 차이는 영업권으로 인식하였습니다. 해당내용은 매수가격배분(PPA)이 완료 되었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금  액
 I. 이전대가 3,650,000 
 II. 취득한 자산과 인수한 부채 계상액
   자산 계 5,000,473 
     현금및현금성자산 190,826 
     단기금융상품 20,000 
     매출채권및기타채권 675,090 
     재고자산 3,811,125 
     기타자산 270,059 
     유형자산 24,725 
     무형자산 8,648 
   부채 계 1,490,310 
     매입채무 및 기타채무 1,130,867 
     충당부채 359,443 
 III. 투자차액(영업권) 139,837 

※ 사업결합 직접원가(지급수수료)는 59백만원으로 당기 손익계산서 상 관리비로          계상하였습니다.


※ 상기 별도재무제표에 대한 상세 주석 사항은 2024년 3월 20일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와 사업보고서를 참조하      시기 바랍니다.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최 관 수 1947.10.15. 사내이사 해당없음 본인 이사회
최 동 호 1978.06.16. 사내이사 해당없음 이사회
이 유 성 1969.04.08. 사내이사 해당없음 없음 이사회
총 ( 3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
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최 관 수 (주)디지아이 회장  1990.08.
1985.01.∼2014.03.
2014.04.∼현재
-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마케팅) 수료
- 전 (주)디지아이 대표이사
- 현 (주)디지아이 사내이사
없음
최 동 호 (주)디지아이
대표이사
 1997.03.∼2004.02.
2004.01.∼2008.01.
2010.03.∼2012.02.

2014.04.∼현재
- 고려대학교 언어학과 학사
- 전 (주)효성 근무
-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 Executive
  MBA 석사
- 현 (주)디지아이 대표이사
없음
이 유 성 (주)디지아이 경영지원본부 본부장  1989.03.∼1995.02.
1995.07.∼1999.07.
1999.07.∼2006.08.
2008.10.∼현재.
- 동국대학교 회계학과 졸업
- 전 SK임업(주) [SK그룹 계열사] 근무
- 전 (주)이론테크놀로지 재무팀 근무
- 경영지원본부 본부장
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최 관 수 해당없음 해당없음 해당없음
최 동 호 해당없음 해당없음 해당없음
이 유 성 해당없음 해당없음 해당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해당사항 없음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사내이사 후보자 최관수

 (주)디지아이 창업자이자 최대주주로서 뛰어난 경영능력과 리더쉽을 겸비하여 회사      가 성장하는데 큰 기여를 하였으며, 회사 경영환경에 대한 이해도와 그 동안의 풍부한    경험과 탁월한 능력으로 당사의 발전과 기업가치 제고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적임자     로 판단되어 추천함.


- 사내이사 후보자 최동호

 (주)디지아이 현 대표이사이자 최고경영자로서 회사 발전을 위한 글로벌 시각을 기반    으로 비전 제시 및 지속적인 혁신경영을 강화해 나감으로써 고객에게 신뢰받는 기업      으로 성장할 수 있게 책임과 의무를 다하며, 회사의 미래 경쟁력 강화를 추진할 수 있     는 자질과 역량을 갖춘 적임자로 판단되어 추천함.


- 사내이사 후보자 이유성

 1995년에 SK그룹계열사에 입사하여 재정, 회계, 세무 부분에서 근무하였고 이후 중견    및 중소기업 등의 재정, 회계, 세무, IR 분야를 두루 경험하였습니다. 2008년 10월부터는 당사의 재무팀장을 시작으로 현재는 경영지원본부장으로서 재경, 회계, 인사, IR 등의    업무를 주도하며, 그 동안의 풍부한 경험과 능력을 바탕으로 기업가치 제고 및 당사 발   전에 충분히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어 추천함.


확인서

<확인서_사내이사 최관수(2024.03.05.)>

<확인서_사내이사 최동호(2024.03.05.)>

<확인서_사내이사 이유성(2024.03.05.)>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습니다.


□ 감사의 선임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신 현 장 1960.08.13. 없음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
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신 현 장 공인회계사  1988.04.∼1999.03.
1999.04.∼2000.07.
2000.08.∼2009.09.
2009.09.∼현재
2011.03.∼현재
- 청운회계법인 근무
- 영화회계법인 근무
- (주)둘하나벤처컨설팅 대표컨설턴트
- 예교지성회계법인 부대표
- (주)디지아이 감사
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신 현 장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후보자는 당사와의 거래, 겸직 등에 따른 특정한 이해관계가 없음.
- 후보자는 약12년간 당사의 감사직을 수행하고 있으며, 회사의 회계와 업무를 감사함에   있어 보다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그 직무를 수행하였을 뿐만 아니라 공인회계사로서       분석적이고, 합리적인 관점에서 당사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의사결정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됨.


확인서

<확인서_감사 신현장(2024.03.05.)>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지 아니한 경우>

선임 예정 감사의 수 (명)

    : 해당사항 없습니다.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습니다.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5명(0명)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200,000,000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5명(0명)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813,854,783원 
최고한도액  1,200,000,000원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습니다.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명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000,000원 


(전 기)

감사의 수 1명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20,500,110원 
최고한도액 100,000,000원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습니다.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4년 03월 20일 1주전 전자문서 발송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상법시행령 제31조 4항 4호에 따른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제33기 정기주주총회 1주전까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할 예정이며,이와함께 사업보고서의 경우 회사의 홈페이지에도 게재하도록 하겠습니다. 사업보고서는 향후 주주총회 이후 변경되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1.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권유에 관한 사항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시거나, 전자위임장을 수여하실 수 있습니다.

1) 전자투표/전자위임장 권유 관리 시스템
 가. 인터넷 주소 : 「https://evote.ksd.or.kr」
 나. 모바일 주소 : 「https://evote.ksd.or.kr/m」
2) 전자투표 행사/전자위임장 수여기간
    - 2024년 3월 4일 오전 9시 ~ 2024년 3월 20일 오후 5시
    - 기간 중 24시간 시스템 접속 가능(단, 마지막날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
3)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투표/전자위임장권유관리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 (K-VOTE에서 사용            가능한 인증서 한정)
4)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 처리

2. 주총 집중일 주총 개최 사유
1) 해당 사항 없음
2) 코스닥협회의 주총분산 자율준수프로그램 참여

3. 기타사항
 당사는 주주참석기념품을 따로 제공하지 않습니다.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05000032

디지아이 (04336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