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로젠 (03829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3-16 16:23: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6001006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년  3월  16일


회   사   명 : (주)마크로젠
대 표 이 사 : 김창훈
본 점 소 재 지 :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254, 10층
(가산동, 월드메르디앙벤처센터)

(전   화) 02-2180-7000

(홈페이지)https://www.macrogen.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전략기획부문 부문장 (성  명) 박용재

(전  화) 02-2180-7000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27기 정기주주총회)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와 정관 제17조에 의거 제27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 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시: 2023년 3월 31일 (금요일) 오전 09시 00분

 

2. 장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238 마크로젠빌딩 2층

 

3. 회의 목적 사항

가. 보고사항

   ① 감사보고

   ② 영업보고

   ③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제27기 재무제표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이사 선임의 건

      제2-1호 의안: 기타비상무이사 서정선 선임의 건(재선임)

      제2-2호 의안: 사내이사 이응룡 선임의 건(신규선임)

      제2-3호 의안: 사외이사 김종일 선임의 건(재선임)

      제2-4호 의안: 사외이사 박현석 선임의 건(신규선임)

      제2-5호 의안: 사외이사 유명희 선임의 건(신규선임)

   제3호 의안: 감사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이도호 선임의 건(재선임)
  제4호 의안: 감사위원 선임의 건
     제4-1호 의안: 사외이사인 감사위원 김종일 선임의 건(재선임)

      제4-2호 의안: 사외이사인 감사위원 유명희 선임의 건(신규선임)

   제5호 의안: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제1호 의안은 상법 제449조 2(재무제표등의 승인에 대한 특칙) 및 당사 정관 제42조에 따라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이 적정이고 감사위원 전원의 동의가 있는 경우 이사회에서 재무제표를 승인하고 주주총회에서 보고 예정입니다.

 

4. 배당 예정 내역: 1주당 예정배당금 보통주 300원

     

5.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당사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본점과 명의개서대행 회사(국민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였으며, 금융위원회 및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6.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우리회사는「상법」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관리시스템   인터넷 주소: 「https://evote.ksd.or.kr」

                                       모바일 주소: 「https://evote.ksd.or.kr/m」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2023년 3월 21일 9시 ~ 2023년 3월 30일 17시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다.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투표관리시스템에서 주주본인 확인 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K-VOTE에서 사용 가능한 인증서 한정)

라. 수정동의안 처리: 주주총회에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7.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가. 직접행사: ① 주주총회 참석장, ② 신분증(외국인의 경우 투자등록증) 지참

나. 대리행사: ① 위임장(주주 및 대리인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원본,

                    ② 주주총회 참석장 또는 주주의 신분증 사본, ③ 대리인 신분증 지참

 

8. 감사보고서 및 사업보고서는 정기주주총회 개최 1주일 전까지 회사 홈페이지(www.macrogen.com)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9. 기타 주주총회에서의 의결권 행사와 관련한 사항

- 당일 발열, 기침 증세가 있으신 주주님께서는 현장 참석을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질병관리청 가이드에 따르면 환기가 어려운 3밀(밀폐, 밀집, 밀접) 실내 환경 및 다수가 밀집한 상황에서 함성, 합창, 대화 등 비말 생성 행위가 많은 경우에는 마스크 착용을 '적극 권고' 하고 있습니다.

이에 주주총회 당일에도 마스크를 착용해주시기를 '적극 권고' 드립니다. 

 

- 주주총회장 참석이 어려우신 주주님께서는 전자투표와 의결권 대리행사 제도를 적극 활용해 주실 것을 당부 드립니다.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이도호
(출석률 : 100%)
박진우
(출석률 : 100%)
김종일
(출석률 : 90%)
유영숙
(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1 2022.01.26 자기주식 처분에 관한 건 찬성 찬성 찬성 찬성
2 2022.02.16 제26기 결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6기 현금배당의 건
각자 대표이사 선임의 건
제26기 영업보고서(안) 승인의 건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3 2022.02.28 [보고안건]
제26기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의 건
제26기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 보고의 건
 
[부의안건]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전자투표 도입에 관한 건
송도 공모부지 매입 계약 체결의 건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회사의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계획 승인의 건
 
-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4 2022.03.11 자기주식 처분에 관한 건
타법인 주식 취득의 건
찬성
찬성
찬성
찬성
불출석
불출석
찬성
찬성
5 2022.03.25 제26기 결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찬성 찬성 찬성 찬성
6 2022.03.31 대표이사 선임의 건 찬성 찬성 찬성 찬성
7 2022.06.27 시설자금 대환에 관한 건
자기주식 처분에 관한 건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8 2022.08.01 감사위원회 규정 제정에 관한 건 찬성 찬성 찬성 찬성
9 2022.09.21 임시주주총회 소집에 관한 건
전자투표 도입에 관한 건
지점설치에 관한 건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10 2022.10.21 자기주식취득 신탁계약 체결의 건 찬성 찬성 찬성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감사위원회 이도호(사외이사)
박진우(사외이사)
김종일(사외이사)
2022.02.28 감사위원회의 감사보고서 보고
2022.02.28 제26기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 보고의 건 보고
2022.03.25 26기 결산 재무제표 승인에 관한 건 가결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4 3,000 80 20

주) 상기 지급총액은 2021년 1월부터 12월까지의 지급금액이며, 주총승인금액은 사외이사를 포함한 등기이사 전체에 대한 금액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매입 의료법인 마크로젠의료재단 진헬스의원
(특수관계인/기타)
2022.01.01~2022.12.31 30 3.00%

주) 상기 비율은 최근 2021년도 별도 재무제표상의 매출액 대비 해당 거래금액의 비율입니다.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Macrogen Japan Corp.
(특수관계인/계열회사)
매출 2022.01.01~2022.12.31 57 5.70%

주) 상기 비율은 최근 2021년도 별도 재무제표상의 매출액 대비 해당 거래금액의 비율입니다.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20세기 말 미국 NIH(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주도 하에 Human Genome Project가 시작되었을 당시만 하더라도 한 사람의 유전체 분석이 완료되면 인간의 질병과 유전자의 관계에 대한 의문이 모두 해소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였습니다.

하지만 Human Genome Project가 완료된 이후 오히려 더 많은 의문과 추가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현재까지도 유전자와 질병, 생물학적 특성 사이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한 수많은 연구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다만, 2000년대 후반까지 유전자의 기능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진 끝에 얻어진 많은 연구 성과들이 최근 임상분야에 점차 적용되고 있으며, 유전체 분석을 통한 임상 및 응용 관련 서비스가 출시되면서 새로운 시장이 형성 및 확대되고 있습니다.

(2) 성장성
단순히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읽어내고 그 구조를 밝히는 것에 의미를 두었던 과거 유전학 연구는 그간 유전자 분석 기술의 눈부신 발달로 인해 분석 비용과 시간이 급격하게 낮아짐에 따라 각 유전자의 염기서열과 여기에서 만들어지는 단백질들이 어떠한 생체 기능을 하고 있는지를 연구하는 것으로 영역이 점차 확장되고 있으며, 최근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실제 임상 분야에 점차 적용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헬스케어의 패러다임은 기존 Conventional Medicine에서 정밀의학(Precision Medicine)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정밀의학이란 유전체분석을 통해 개인별 특성에 맞는 맞춤의료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치료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것을 뜻하는데, 최근에는 기존 의료방식의 한계와 고령화에 따른 의료비 지출 증가로 인한 국가의 건강보험 재정의 악화 가능성에 대한 문제 등이 제기되면서 '정밀의학'이 새로운 의료 패러다임으로 주목 받기 시작했습니다.

정밀의료 분야에서 유전자 분석은 가장 필수적이고 중요한 기술 요소이며, 따라서 향후 의료 패러다임의변화에 따라 유전체 산업 역시 시장 규모가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세계 시퀀싱 시장규모_제품별>
                                                                                          (단위 : $ millions)

Product Type

2019 2020 2025 CAGR

Consumables

4,399 5,273 15,039 22.7%

Services

1,288 1,533 4,225 21.9%

Platforms

1,128 1,328 3,453 20.5%

Total

6,815 8,134 22,717 22.2%


<세계 시퀀싱 시장규모_지역별>
                                                                                         (단위 : $ millions)

Region

2019 2020 2025 CAGR

NORTH AMERICA

2,811 3,345 9,200 21.8%

EUROPE

1,951 2,334 6,590 22.5%

ASIA PACIFIC

1,449 1,739 5,000 22.9%

MIDDLE EAST & AFRICAMIDDLE EAST & AFRICA 

281 333 886 21.1%

SOUTH AND CENTRAL AMERICA

323 384 1,040 21.5%

Total

6,815 8,134 22,717 22.2%


<세계 시퀀싱 시장규모_최종 사용자별>
                                                                                         (단위 : $ millions)

End-User Market

2019 2020 2025 CAGR

Diagnostics

2,341 2,808 8,042 22.8%

Drug discovery

1,825 2,169 5,929 21.7%

Precision medicine

1,510 1,808 5,134 22.6%

Others

1,140 1,349 3,612 21.2%

Total

6,815 8,134 22,717 22.2%


<세계 시퀀싱 서비스 시장규모_지역별>
                                                                                         (단위 : $ millions)

Service

2019 2020 2025 CAGR

NORTH AMERICA

531 631 1,711 21.5%

EUROPE

369 440 1,226 22.2%

ASIA PACIFIC

274 328 930 22.6%

MIDDLE EAST & AFRICAMIDDLE EAST & AFRICA 

53 63 165 20.8%

SOUTH AND CENTRAL AMERICA

61 72 194 21.2%

Total

1,288 1,533 4,225 21.9%

출처: The Insight Partners, DNA Next Generation Sequencing Market to 2025, January 2019

(3) 경기변동의 특성

헬스케어의 패러다임이 정밀의학으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정밀의학의 가장 기본 요소라 할 수 있는 유전체 분석 시장 또한 향후 지속적인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또한 대부분이 연구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던 기존 유전체 분석 시장과는 달리 점차 임상 적용이 확대됨에 따라 시장 범위는 더욱 넓어지고 있으며, 상품의 종류 또한 치료 뿐만 아니라 예방 및 관리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해 지고 있어 타 산업분야에 비해 비교적 안정적인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4) 시장의 안정성
고객의 대부분이 연구자 고객들이고 이들은 정부예산 및 기관의 지원금 등으로 지출이 이루어 지기 때문에 비교적 안정적이고 꾸준하게 일정한 매출 수준을 유지해 나갈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향후 임상 시장으로 진출할 경우 대부분 치료 및 예방 등을 목적으로 하는 제품인 관계로 경기 변동 등에 비교적 영향을 적게 받고 있습니다.

또한 제품의 형태에 따라서 저가형부터 고가형 상품까지 다양화할 수 있고 적용 분야또한 단순 치료 및 예방 분야 이외에도 건강관리, 반려동물 등 다양한 서비스로 보다 폭넓은 고객층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5) 경쟁상황

해외의 경우 유전체 산업과 관련한 규제가 일찍부터 확립된 미국, 유럽 등 선진 국가들을 중심으로 빠르게 시장에 진입해 관련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기업들이 생겨나고 있지만 아직 그 규모가 크지는 않은 상황입니다.

참고로, 이들 기업들 대부분은 시장 선점과 더불어 유전체 데이터 확보를 위한 대규모 연구개발 투자 및 공격적인 마케팅 정책을 펼치고 있어 아직까지는 매출액 대비 큰 손실을 기록하는 경우가 많은 상황입니다.

국내에도 유전체 분석, 올리고 합성 등 유사한 사업을 하고 있는 소규모 기업들이 다수 존재하고 있으며, 점차 유전체 산업이 발전하면서 관련산업에 진입하는 업체 수가 증가하고 경쟁이 과열되고는 있지만, 당사와는 달리 대부분 국내 수요에만 의존하고 있어 매출 규모가 크지는 않은 상황입니다. 더불어 국내 규제 여건상 현재까지도 유전체 관련 산업이 활성화되기 어려운 환경이므로 사업 활동에 일부 제약이 따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와 해외 모두 정부 차원에서 인식이 변화하고 정밀의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그 결과 산업과 연구를 지원하는 정책들이 시행되면서 경쟁이 치열해지는 만큼 산업 또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6) 관련법령 및 정부의 규제

최근 정밀의료에 대한 필요성 인식과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국내 정부 또한 해당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정책 및 규제 수립을 위한 사전 작업을 개시했습니다. 2016년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이 개정됨에 따라 보건복지부 장관이 고시하는 일부 항목에 대해서는 일반인이 병원을 통하지 않고 직접 기업에 유전자 분석을 의뢰할 수 있게 되었으며, 식약처의 NGS(Next Generation Sequencing) 임상검사실 인증제도 등도 시행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또한 2015년 포스트게놈 다부처 유전체사업 발표에 이어 2016년에는 정부가 지정한 9대 국가전략 프로젝트의 하나로 '정밀의료'가 선정되는 등 국가차원의 지원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가장 빠르게 유전체 산업 관련 규제를 만들어가기 시작한 미국의 경우 FDA를 중심으로 관련 법령 및 인증 제도를 마련하고 산업을 엄격히 규제하고 있으며, 동시에 한편으로는 이러한 엄격한 규정들을 바탕으로 하여 유전자 검사들을 보험 급여 항목으로 지정하고 국민들의 의료 서비스에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선진국들의 움직임에 따라 중국 등 아시아 국가들에서도 자국의 유전자원을 보호하고 유전체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① 유전체 분석 서비스(Genome Sequencing) 

사람부터 동물, 식물, 바이러스, 박테리아까지 다양한 생물 종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해 그 결과를 발송해주는 유전체 분석 서비스가 현재 전체 매출의 90% 가까이를 차지하는 주요 수익 사업군입니다. 유전체 분석 서비스는 사람의 전장유전체를 분석하여 유전적인 배경을 알아내거나 국가 내 인구집단(Population)에서 일어난 사회적 현상에 대한 유전적 결과를 파악할 수 있으며, 당사는 유전학적 지표를 나타낼 경우 질병의 위험요인을 규명하는 등의 다양한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사업분야는 1세대 유전자분석 기술을 이용하는 CES(Capillary Electrophoresis Sequencing)와 한 개체의 염기서열 전체를 해독하여 대용량 분석이 가능한 차세대 유전체분석 기술인 NGS(Next Generation Sequencing) 두 분야로 나누어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해당 기술은 생물학 및 의학연구에 활발히 활용되고 있습니다.

 

현대의학은 유전체 정보 기반의 맞춤 의료 서비스를 지향합니다. 이는 질병진단, 치료, 예방을 포함한 모든 의료과정에서 환자 개인의 고유한 유전정보, 환경요인, 생활습관에 입각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하며, 맞춤의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기존의 주요 매출 사업군이었던 연구용 유전체 분석 서비스와 함께 임상진단 관련 서비스의 매출 역시 상승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또한 다양한 신규 서비스 개발을 통해 분자진단, 신약후보물질 개발, 정밀의료, 암질환검사, 농식품 및 가축연구, 약물유전체학, 유전공학, 분자생물학 기초연구, 육종연구, 유전질환연구, 친자확인, 법의학연구 등 서비스 활용 분야가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유전체 데이터의 활용에 있어 보안이 중요해짐에 따라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하여 데이터 보안을 강화하고, 인공지능기술과 융합한 인공지능 기반의 분석데이터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구축함으로써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시장을 확장 중입니다.

당사는 전세계 5위 수준의 유전자 정보분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유전자분석 장비(NovaSeq 6000, HiSeq 2500 / 4000 / X Ten, AB3730XL, Miseq, Ion PGM/PGM Dx, Ion Proton, PacBio RS II, NextSeq500, Sequel, Sequel II, Saphyr, MinION, DNBSEQ-T7 등), 바이오인포매틱스 기술, 그리고 다년간 축적된 분석경험을 바탕으로 정부 주도의 유전체 사업 등에 참여하고 있으며, 빅데이터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국내외 생명공학연구자들에게 전장유전체와 관련한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현재 전 세계 153여 개국 18,000여 고객(세계 유수 대학 및 연구소, 개인 연구자 등)이 마크로젠의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이용 중입니다.

최근 당사는 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가 한국형 정밀의료 기반 마련을 위해 2년간 총 2만 5천명 규모의 전장 유전체 데이터를 구축하는 범부처 사업인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1차 시범사업(59억규모)과 2차 시범사업(57억규모)을 성공적으로 완료하였습니다. 2024년 본사업 추진을 목표로 예비타당성조사 평가가 진행 중인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사업은 난치성질환자, 암환자, 건강인 등 100만명 규모의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인프라를 구축해 한국인을 위한 개인 맞춤형 치료, 정밀의료 등에 활용하는 것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② 올리고 합성(Oligo)
 Oligonucleotide(Oligo)는 2개 이상의 뉴클레오티드로 구성된 짧은 DNA조각으로 상보적인 유전자 서열이 합성될 때 필수적으로 필요한 요소입니다. 마크로젠 Oligo는 PCR이나 DNA Sequencing 등의 기본적인 연구뿐 아니라 SNP연구, Cloning, Gene synthesis, siRNA 발현 등 다양한 연구분야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Oligo 합성 서비스는 온라인 사이트를 통해 고객이 제작하고자 하는 Oligo 염기서열을 입력하여 주문이 이루어지며, 정제와 Q/C가 완료된 Oligo들은 영업사원, 퀵, 택배 등을 통해 발송되고 TAT는 Standard Oligo 기준으로 주문 후 12~24시간 내에 배송이 이루어집니다.

자체적으로 개발한 MOPC(Macrogen Oligonucleotide Purification Cartridge) 정제법은 PAGE나 HPLC 정제법과 거의 동등한 효율을 보이며, 모든 Oligo 합성 서비스에 기본 사양으로 무상 제공되고 있습니다. 또한 고품질의 Oligo DNA를 제공하기 위해 MALDI-TOF 분자량 측정을 통한 엄격한 품질관리를 거치고 있으며, 빠른 시간에 저렴한 비용으로 최상의 quality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인 근거를 마련하여 Standard Oligo외에도 약 87종의 다양한 Modification Oligo와 Premade Oligo, RAPD kit도 생산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자동 정량 분주 시스템을 통해 정확한 농도를 기반으로 Normalization service와 Annealing service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③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
 Microarray는 작은 크기의 슬라이드 위에 수천에서 수백만 개에 이르는 Probe를 고정시킨 제품으로 DNA나 RNA와 같은 유전정보를 가진 물질을 분석하는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는 Microarray 상에 존재하는 각 Probe들을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가진 유전물질과 결합시킨 후 형광물질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유전자의 발현 패턴을 비교하거나 변이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기술과 많은 경험을 필요로 합니다.

당사는 현재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Microarray 분야의 주요 업체인 Illumina, Affymetrix, Agilent 등의 장비를 모두 보유하고 있어 고객들이 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들을 폭넓게 제공할 수 있으며, 더불어 사업 초기부터 획득해온 다수의 실험 수행 경험을 기반으로 하여 높은 품질의 데이터들을 생산해내고 있습니다. 또한 각 제조사가 공식 운영하고 있는 CSP(Certified Service Provider) 및 ISO9001(품질경영시스템규격)등 다양한 품질 인증 절차를 통해 공인된 높은 수준의 서비스 품질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연구자 대상의 유전체 분석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어, Microarray 분석을 통한 국내외 연구자들의 연구성과를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Custom Microarray에 대한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어 연구분야 뿐만 아니라 의료분야에도 해당 기술을 적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다양한 질병의 진단에 활용할 수 있는 Custom Microarray 기술을 다수 개발하고, 특허등록을 통해 이를 자산화함으로써 향후 진단산업 분야의 사업적인 기반을 마련해가고 있습니다.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Affymetrix GeneTitan MC System을 도입하였으며, 이를 통해 식물 및 가축의 육종기술 개발 등 실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산업분야까지 활용 범위를 점차 넓혀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뿐만 아니라 식품의약품안전처 개정 고시에 따라 세포주를 이용한 치료제의 임상허가를 위하여 세포주의 유전적 계통 분석이 필수관문이 되면서 당사는 Microarray 기반의 Karyotyping(핵형분석)을 통해 세포주의 유전적 안정성 검증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병원에서 환자들에게 처방되는 각 약물의 대사속도의 차이가 개인 유전적 특성의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활용하여, 약물 유전체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최적의 분석기술로써 Microarray가 활용되고 있습니다. 각 환자의 DNA 패턴분석을 통해 Phenotype 을 구분하게 되며, 이 정보는 약물유전체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하여 부작용을 줄이면서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최적의 약물을 선택하는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점차 정확한 질병 진단과 맞춤형 치료제 개발을 위한 기술로 유전체, 전사체와 함께 단백체를 통합 분석하는 멀티오믹스 기술이 각광받고 있습니다. 이에 당사는 스웨덴에 있는 글로벌 임상 프로테오믹스 전문기업 ‘오링크 프로테오믹스’사의 단백체 분석 설비 오링크(Olink) 를 지난 2022년 도입해 단백체 분석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이에 당사는 제약사와의 협력을 통하여 멀티오믹스 분석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며 신약개발 과정에서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④ 유전자 편집 마우스(Genetically Engineered Mouse)
유전자 이식 및 적중이란 특정 유전자를 수정란의 핵 속에 삽입(transgenic)하거나 제거(knock-out)하여 새로운 형질을 나타내는 생명체를 얻는 기술로 유전자의 생체 내 기능을 알아내어 진단제, 치료제 등의 개발에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는데 고도의 기술력 및 숙련된 인력, 시설 인프라를 필요로 하는 분야입니다.

최근 대량의 유전자 정보가 발굴되면서 새롭게 알려진 유전자의 기능을 미리 예측하고, 최종적으로 기능을 확정하기 위해서 유전자 편집 마우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현재 국내에서 유일하게 상업적으로 유전자 편집 마우스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20년 이상의 경험을 바탕으로 생산 및 생명공학분야에서 다양한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신 SPF 마우스 사육 설비와 숙련된 연구원을 보유하고 국내외에 유전자 적중 마우스를 생산, 공급함으로써 많은 연구자들로부터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또한 기존에 전통적으로 사용되던 ES cell based technique 이외에도 최근 새롭게 개발되어 각광받고 있는 Enzyme based technique(CRISPR-Cas9) 등을 이용한 마우스 생산으로도 확대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전자 편집(CRISPR-Cas9) 기술과 관련하여 2018년 1월에는 서울대학교병원으로부터 '약물유도 유전자 가위 재조합 백터'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2018년 3월에는 미국 브로드 연구소(Broad Institute)로부터 3세대 CRISPR-Cas9을 비롯해 총 50여 건의 크리스퍼 관련 기술을 추가로 확보하여 다양한 연구 및 사업분야에 유전자 편집 기술을 확대 적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⑤ 임상진단서비스(Clinical Sequencing)
 유전체 분석기술이 발달하고 분석비용이 낮아짐에 따라 관련시장이 기존 연구중심의영역에서 환자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진단 영역으로 점차 확장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암 유전체 관련 서비스인 '유전성 유방암 돌연변이 검사(Axen BRCA Panel Test)',  '유전성 암 유전자 돌연변이 검사(Axen Hereditary Cancer Panel Test)', '비유전성 체세포변이 검사(Axen Cancer Panel Test)', '희귀 유전질환 스크리닝 검사(Rare Genetic Disease Screening)'를 개발하여 상용화 하였습니다. 최근 혈액 진단을 기반으로 한 '액체생검진단 패널 (liquid biopsy test panel) 및 혈액질환 조기 검사용 패널'을 개발하여 임상 유용성 평가를 준비 중입니다.

 

아울러 2019년 2월에는 체외진단시약의 자체 생산 및 판매를 위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체외진단 의료기기용 시약류 3등급 품목에 대한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 의료기기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적합인정을 획득하였고, 2019년 5월에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임상시험검체분석기관 지정을 획득하여 국내외 임상시험의 유전체 분석 파트너로 임상진단 분야의 전문성을 구축해 나가고 있습니다.

⑥ 개인유전체 분석 서비스(Personal Genome Analysis Services)
 개인유전체 분석 서비스(Personal Genome Analysis Services)는 개인의 타고난 유전적 특성을 분석하여 질병 위험도 및 개인의 다양한 특성을 예측하고, 이에 따른 생활 가이드를 제시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건강관리 및 질병을 예방하도록 돕는 개인 유전자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입니다. 이는 유전인자와 환경인자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 복합질환(각종 암, 뇌졸중, 제2형 당뇨병, 알츠하이머병 등)은 물론 생활 속 건강관리를 위한 개인 특성(비만, 영양소, 탈모 등)을 함께 예방함으로써 향후 발병에 따른 위험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당사는 2017년 '마이지놈스토리' 브랜드를 첫 론칭한 후 현재까지 의료기관용 서비스와 소비자가 직접 유전자검사를 의뢰할 수 있는(이하 DTC 유전자검사) 서비스로 구분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첫째, 의료기관용 서비스는 암 질환, 심뇌혈관질환, 퇴행성질환 등 총 38개 질병을 예측하는 '블루'와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비만 및 영양소 관리를 돕는 '그린'이 있습니다. 2020년에는 고객건강설문, 병원 EMR 데이터, 유전자 검사를 통해 검사 결과를 확인하고, 각종 건강 관련 정보를 주기적으로 받아볼 수 있는 모바일 앱 '젠톡'을 출시하였습니다. 해당 서비스는 대표질환 별 병원성 변이와 연관성 변이를 모두 확인할 수 있으며, '남녀 주요 암',  '암 및 주요 질환', '심뇌혈관질환'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둘째, 의료기관을 방문하지 않고 소비자가 직접 유전자검사를 의뢰할 수 있는 DTC 유전자검사인 '마이지놈스토리 더플러스'는 영양소, 피부/탈모, 운동 및 건강관리 등 개인 특성 및 웰니스 관련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마크로젠은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간 DTC 인증제 시범사업 연구에 참여하여 검사항목 확대 및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검사 역량 연구를 완료한 후, 2022년 국내 첫 도입되는 DTC 인증제를 획득하였습니다. DTC 인증제를 통해 유전자검사기관의 검사 정확도, 광고 및 검사결과 전달, 개인정보 보호 등을 평가 받아 DTC 유전자검사에 있어 소비자에게 더 안전한 서비스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은 물론 신규 검사 항목 신청 및 소비자 친화적 콘텐츠 개발을 통해 차별화된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DTC인증제 외에도 규제샌드박스에 선정되어 국내 최초로 질병 항목에 대한 DTC 서비스를 승인 받고, 2021년 하반기부터 2023년 상반기까지 인천 송도에서 해당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국내 최다 분석항목, 대규모 서비스 경험,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2021년에는 뱅크샐러드와 국내 최대 규모의 공급계약을 체결하여 20만 명의 샘플을 안정적으로 운영 함으로써, 대규모 처리 역량을 강화하였습니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2022년 12월에는 ㈜플랜젠과 향후 5년간 의료기관을 통한 유전자검사 상품을 연간 15만 건(총 75만 건 이상)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해 대규모 수주를 확보하였습니다.  

 

이외에도 향후 개인의 유전정보와 표현형을 종합하여 솔루션을 직접 제공하기 위해 고객의 수요를 반영한 고부가가치 상품을 개발함으로써, 기존의 유전자 분석회사에서 헬스 매니지먼트 기업으로의 영역을 확대할 수 있는 제품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당사는 본 기술력을 토대로 다양한 서비스 라인 개발을 통해 고객 접점을 더욱 다변화하여 건강인뿐 아니라 환자 또는 가족력이 높은 관리 대상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고객층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⑦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서비스(Microbiome Analysis Services)
 개인의 생활습관과 식이에 따라 변화하는 장내 미생물(Gut microbiome) 정보로 개인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장내 미생물 검사시장이 점차 대두되고 있습니다. 장내 미생물은 소화기 건강뿐만 아니라 면역 균형을 좌우하고 비만, 정신건강, 신경질환, 대사질환 등 우리 몸의 건강과 질병에 유기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당사는 현재 '더바이옴(the biome)'이라는 브랜드를 런칭하여 장내 미생물 환경에 대한 분석정보와 그에 따른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프리미엄 검사 서비스 ‘더바이옴프로’는 장내 미생물의 다양성, 대사 질환, 장내 미생물로 보는 영양소 대사, 유산균으로써 기능이 인정된 식약처19종의 프로바이오틱스 분포결과 등 장 건강(변비, 복부 팽만감 등) 및 웰니스(면역, 비만, 수면 등)와 관련 있는 미생물 건강지수와 장 건강 생활 가이드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2021년 10월에 출시된 ‘더바이옴’ 맞춤형 유산균은 qPCR을 이용한 마이크로바이옴 검사를 선행하여 장내 환경 및 유익균 비중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장 유형을 4가지 타입으로 나누어 각 유형별 부족한 프로바이오틱스와 부원료를 채워주는 균주 배합으로 최적의 맞춤형 유산균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당사는 본 기술력을 토대로 성인의 장내 미생물 뿐만 아니라 영유아 전용 Gut microbiome,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Vaginal microbiome, 피부상태 점검이 가능한 Skin microbiome 등 다양한 Human microbiome 분석 노하우와 데이터베이스를 접목해 급성장하고 있는 Microbiome 시장 내 경쟁력 있는 상품 출시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유전자 분석 서비스의 경우 국내에서는 디엔에이링크, 테라젠이텍스 등이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으며, 당사 자체 분석 결과 당사가 국내시장의 5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유전체 분석 시장은 2005년 NGS 기술 도입 후 분석시간 단축 및 분석비용 하락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사람을 포함한 다양한 종들의 대량분석 프로젝트가 범국가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이를 통해 확보된 데이터를 활용한 임상진단 및 의료시장이 더욱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현재 영위중인 유전체 분석 서비스, 올리고 합성, 마이크로어레이 분석, 유전자 편집 마우스, 임상진단서비스 이외에도 DTC 유전자 검사(Direct To Consumer: 소비자 직접 의뢰) 서비스및 특허기술을 활용한 유전자가위(CRISPR-Cas9) 서비스 제공, 임상진단시약 등 다양한 신규사업 및 새로운 서비스를 출시하였거나 준비 중에 있습니다.

(5) 조직도


(주)마크로젠_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 제27기(2022.1.1~2022.12.31) 재무제표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은 외부감사인의 적정의견 및 감사위원 전원의 동의 요건충족시, 상법 제449조의 2(재무제표 등의 승인에 대한 특칙) 및 당사 정관 제42조에 따라 이사회의 결의로 승인하고 주주총회에서는 보고사항으로 대체

※ 외부감사 후 확정 재무제표 승인 이사회 결의(예정)일: 2023년 3월 27일

제1호 의안 : 제27기 재무제표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1. 당해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1.사업의 개요, 나. 회사의 현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당해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대차대조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결손금처리계산서)


※ 아래의 재무제표는 감사전 연결ㆍ별도 재무제표입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3월 23일 전자공시시스템 (https://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연결ㆍ별도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가. 연결재무제표

연 결 재 무 상 태 표
당기말 2022년 12월 31일 현재
전기말 2021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마크로젠과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과목 당기말 전기말
자산    
   유동자산 91,214,933,617 100,215,597,721
      현금및현금성자산 37,845,783,802 38,738,979,758
      단기금융상품 10,100,000,000 22,100,000,000
      매출채권 22,026,052,276 20,061,157,738
      기타유동금융자산 1,895,154,946 3,398,898,524
      기타유동자산 4,356,521,658 2,160,912,581
      재고자산 14,281,834,675 13,707,521,712
      당기법인세자산 458,781,810 48,127,408
      매각예정비유동자산 250,804,450 -
   비유동자산 191,563,298,695 200,960,879,943
      장기매출채권 - 401,077,174
      관계기업에 대한 투자자산 58,206,775,234 65,815,142,140
      유형자산 64,343,163,971 51,554,713,280
      영업권 이외의 무형자산 2,180,875,345 1,266,833,520
      투자부동산 35,896,790,285 36,145,388,008
      기타비유동금융자산 4,873,544,585 5,803,452,943
      비유동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20,182,476,668 39,520,210,659
      비유동기타포괄손익인식금융자산 4,908,790,950 -
      기타비유동자산 17,209,751 28,350,969
      이연법인세자산 953,671,906 425,711,250
   자산총계 282,778,232,312 301,176,477,664
부채

   유동부채 57,563,342,111 76,546,414,105
      매입채무 6,882,369,435 4,996,528,402
      기타유동금융부채 11,869,075,730 12,411,104,220
      기타유동부채 28,856,485,552 27,162,626,906
      당기법인세부채 2,231,394 1,976,154,577
      단기차입금 9,000,000,000 9,000,000,000
      유동성장기차입금 953,180,000 21,000,000,000
   비유동부채 42,012,721,201 22,478,780,471
      장기차입금 25,800,000,000 1,030,240,000
      순확정급여부채 385,092,772 1,693,209,718
      기타비유동금융부채 5,592,376,346 3,879,465,344
      이연법인세부채 10,235,252,083 15,875,865,409
   부채총계 99,576,063,312 99,025,194,576
자본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자본 181,552,825,933 200,642,719,270
      자본금 5,420,700,000 5,420,700,000
      주식발행초과금 94,179,142,144 94,179,142,144
      기타포괄손익누계액 584,328,239 1,278,648,490
      기타자본구성요소 (18,675,256,523) (23,152,225,596)
      이익잉여금(결손금) 100,043,912,073 122,916,454,232
   비지배지분 1,649,343,067 1,508,563,818
   자본총계 183,202,169,000 202,151,283,088
자본과 부채총계 282,778,232,312 301,176,477,664


연 결 포 괄 손 익 계 산 서
당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전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마크로젠과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구분 당기 전기
수익(매출액) 138,617,489,348 129,174,635,687
매출원가 85,081,577,754 77,016,211,353
매출총이익 53,535,911,594 52,158,424,334
판매비와관리비 48,043,086,583 40,815,586,581
대손상각비 199,703,828 (450,144,643)
영업이익(손실) 5,293,121,183 11,792,982,396
금융수익 845,866,766 2,691,592,581
금융원가 904,469,665 870,403,413
지분법손익 (1,057,043,469) (3,753,369,936)
기타이익 4,009,751,801 30,495,161,651
기타손실 34,132,037,951 25,452,146,335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25,944,811,335) 14,903,816,944
법인세비용(수익) (6,192,822,012) 12,591,725,914
당기순이익(손실) (19,751,989,323) 2,312,091,030
기타포괄손익 (707,467,038) 1,180,703,749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항목 (세후기타포괄손익) (688,757,542) 488,122,972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손익 (세후기타포괄손익) 107,742,344 488,122,972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손익 (796,499,886)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수 있는 항목(세후기타포괄손익) (18,709,496) 692,580,777
      해외사업장환산외환차이(세후기타포괄손익) (391,552,591) (320,828,829)
      지분법 적용대상 관계기업과 공동기업의 기타포괄손익에
     대한 지분 (세후기타포괄손익)
372,843,095 1,013,409,606
총포괄손익 (20,459,456,362) 3,492,794,779
당기순이익(손실)의 귀속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당기순이익(손실) (20,013,657,703) 1,111,858,468
   비지배지분에 귀속되는 당기순이익(손실) 261,668,380 1,200,232,562
총 포괄손익의 귀속    
   총 포괄손익,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지분 (20,600,235,611) 2,363,707,471
   총 포괄손익, 비지배지분 140,779,249 1,129,087,308
주당이익    
   기본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1,990) 114
   희석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1,990) 114


나. 별도재무제표

재 무 상 태 표
당기말 2022년 12월 31일 현재
전기말 2021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마크로젠 (단위 : 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자산    
   유동자산 76,255,357,627 83,085,910,596
      현금및현금성자산 30,840,423,760 30,007,420,504
      단기금융상품 10,100,000,000 22,100,000,000
      매출채권 18,583,468,978 16,074,977,541
      기타유동금융자산 870,464,942 2,283,077,745
      재고자산 10,774,567,199 9,752,622,552
      매각예정비유동자산 250,804,450 -
      단기금융리스채권 1,685,820,351 1,844,434,861
      당기법인세자산 323,828,008 48,127,408
      기타유동자산 2,825,979,939 975,249,985
   비유동자산 137,251,422,109 141,929,899,449
      장기매출채권 - 401,077,174
      장기금융리스채권 3,515,260,194 5,174,342,084
      비유동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20,182,476,668 39,520,210,659
      비유동기타포괄손익인식금융자산 4,908,790,950 -
      종속기업, 조인트벤처와 관계기업에 대한 투자자산 15,288,277,589 15,260,557,589
      유형자산 52,360,280,145 41,927,432,637
      영업권 이외의 무형자산 2,040,933,322 1,255,497,529
      투자부동산 35,896,790,285 36,145,388,008
      기타비유동금융자산 2,522,138,186 2,245,393,769
      순확정급여자산 44,657,696 -
      이연법인세자산 491,817,074 -
   자산총계 213,506,779,736 225,015,810,045
부채    
   유동부채 46,311,428,022 65,487,861,403
      매입채무 5,998,933,685 3,916,396,056
      단기차입금 9,000,000,000 9,000,000,000
      유동성장기차입금 - 21,000,000,000
      기타유동금융부채 10,468,198,670 10,827,179,532
      당기법인세부채  - 817,410,464
      기타유동부채 20,844,295,667 19,926,875,351
   비유동부채 27,474,913,245 7,048,357,283
      장기차입금 25,800,000,000 -
      순확정급여부채  - 1,413,324,417
      기타비유동금융부채 1,674,913,245 1,812,685,470
      이연법인세부채 - 3,822,347,396
   부채총계 73,786,341,267 72,536,218,686
자본    
   자본금 5,420,700,000 5,420,700,000
   주식발행초과금 94,179,142,144 94,179,142,144
   기타자본구성요소 (17,832,292,009) (22,309,261,082)
   이익잉여금(결손금) 57,952,888,334 75,189,010,297
자본총계
139,720,438,469 152,479,591,359
자본과 부채총계 213,506,779,736 225,015,810,045


포 괄 손 익 계 산 서
당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전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마크로젠 (단위 : 원)
구분 당기 전기
수익(매출액) 107,283,583,814 100,085,516,637
매출원가 64,859,484,146 60,568,738,168
매출총이익 42,424,099,668 39,516,778,469
판매비와관리비 37,646,173,706 32,601,166,029
대손상각비 94,241,514 (268,870,961)
영업이익(손실) 4,683,684,448 7,184,483,401
금융수익 971,800,594 2,856,115,999
금융원가 830,443,496 828,769,843
기타이익 2,729,288,305 30,708,545,816
기타손실 25,650,220,543 16,530,820,777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18,095,890,692) 23,389,554,596
법인세비용 (4,515,153,071) 7,066,708,798
당기순이익(손실) (13,580,737,621) 16,322,845,798
기타포괄손익 (688,757,542) 488,122,972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항목 (세후기타포괄손익) (688,757,542) 488,122,972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손익(세후기타포괄손익) 107,742,344 488,122,972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손익 (796,499,886)  
총포괄손익 (14,269,495,163) 16,810,968,770
주당이익    
   기본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1,350) 1,673
   희석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1,350) 1,672


이 익 잉 여 금 처 분 계 산 서 (안)
당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처분예정일 : 2023년 3월 31일)
전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처분확정일 : 2022년 3월 31일)
주식회사 마크로젠 (단위 : 원)
과목 당기 전기
미처분이익잉여금   56,781,641,039   73,517,925,796
   전기이월이익잉여금 70,254,636,316   56,706,957,026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107,742,344   488,122,972  
   당기순이익 (13,580,737,621)   16,322,845,798  
이익잉여금 처분액   3,313,218,810   3,263,289,480
   이익준비금 301,201,710   296,662,680  
   배당금
   (현금배당주당배당금(률):
    보통주 : 당기/전기 300원 (60%))
3,012,017,100   2,966,626,800  
차기이월 미처분이익잉여금   53,468,422,229   70,254,636,316


□ 이사의 선임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제2-1호 의안 : 기타비상무이사 서정선 선임의 건(재선임)
 제2-2호 의안 : 사내이사 이응룡 선임의 건(신규선임)
 제2-3호 의안 : 사외이사 김종일 선임의 건(재선임)
 제2-4호 의안 : 사외이사 박현석 선임의 건(신규선임)
 제2-5호 의안 : 사외이사 유명희 선임의 건(신규선임)
제3호 의안 : 감사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이도호 선임의 건(재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서정선 1952.06.11 기타비상무이사 미해당 본인 이사회
이응룡 1973.03.14 사내이사 미해당 해당사항 없음 이사회
김종일 1966.09.23 사외이사 미해당 해당사항 없음 이사회
박현석 1963.09.16 사외이사 미해당 해당사항 없음 이사회
유명희 1954.09.05 사외이사 미해당 해당사항 없음 이사회
이도호 1949.01.27 사외이사 분리선출 해당사항 없음 이사회
총 ( 6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당해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당해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서정선 (주)마크로젠 회장 1997~현재 (주)마크로젠 회장 해당사항 없음
2017~현재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석좌교수
2009~2013,
2015~2021
한국바이오협회 회장
1983~2017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이응룡 (주)마크로젠 부사장 2023~현재 (주)마크로젠 부사장 해당사항 없음
2021~2022 한국유전학회 산학협력위원장
2018~2022 (주)마크로젠 지놈사업본부 본부장
2008~2010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과 연구교수
김종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2020~현재 (주)마크로젠 사외이사 해당사항 없음
2017~현재 서울대학교 유전체의학연구소 소장
2014~현재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의약학부 정회원
2011~현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박현석 이화여자대학교 AI대학 학장 2023~현재 이화여자대학교 AI대학 학장 해당사항 없음
2020~현재 이화여자대학교 바이오정보학협동과정/빅데이터분석학
협동과정/인공지능전공/에코과학부[대학원] 겸임교수
2020~2023 이화여자대학교 소프트웨어연계전공/전공특화소프트웨어
융합전공 전공주임교수
2003~2006 (주)마크로젠 대표이사
유명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명예연구원 2020~현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명예연구원 해당사항 없음
2021~현재 Bertis R&D Consultant
2010~2013 청와대 미래전략기획관
2000~20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이도호 (주)마크로젠 사외이사 2020~현재 (주)마크로젠 사외이사 해당사항 없음
2007~2017 삼일회계법인, 삼일세무법인 고문
1996~2006 기획재정부 국세심판원 조사관, 심판관
1993~1996 한국국제협력단


다.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김종일 사외이사 후보자>

1) 전문성
- 본 후보자는 현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및 유전체의학연구소 소장으로서 의학적 전문성과 국내외 다양한 임상활동 경험을 보유하고 있음. 이를 바탕으로 이사회에 참여함으로써 연구자 대상 유전체 분석 및 개인 유전체 분석(DTC) 분야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방법을 제시하여 기업가치 향상에 기여하겠음.

2) 독립성
- 본 후보자는 사외이사로서의 직무에 대한 책임을 성실히 수행할 것이고, 대주주 및 다른 이사로부터 독립적인 위치에서 투명한 의사결정이 이뤄지도록 하겠음.

3) 직무수행 및 의사결정 기준
- 본 후보자는 (주)마크로젠의 비전 "글로벌 정밀의학 선도기업" 을 달성할 수 있도록 의사 개진하고 표결하겠음.

4) 책임과 의무에 대한 인식 준수
- 본 후보자는 선관주의와 충실 의무, 보고의무, 감시의무, 상호 업무집행 감시 의무, 경업금지 의무, 자기거래 금지의무, 기업비밀 준수 의무 등 상법상 사외이사의 의무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엄수하겠음.


<박현석 사외이사 후보자>

1) 전문성
- 본 후보자는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AI대학 학장으로서 AI 및 빅데이터 분야에 대한 전문성과, (주)마크로젠의 초창기 대표이사직을 역임하는 등 회사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보유함. (주)마크로젠의 신성장 사업인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구축에 대한 전문가적 자문 및 의견을 개진하여 기업가치 향상에 기여하겠음.

2) 독립성
- 본 후보자는 사외이사로서의 직무에 대한 책임을 성실히 수행할 것이고, 대주주 및 다른 이사로부터 독립적인 위치에서 투명한 의사결정이 이뤄지도록 하겠음.

3) 직무수행 및 의사결정 기준
- 본 후보자는 (주)마크로젠의 비전 "글로벌 정밀의학 선도기업" 을 달성할 수 있도록 의사 개진하고 표결하겠음.

4) 책임과 의무에 대한 인식 준수
- 본 후보자는 선관주의와 충실 의무, 보고의무, 감시의무, 상호 업무집행 감시 의무, 경업금지 의무, 자기거래 금지의무, 기업비밀 준수 의무 등 상법상 사외이사의 의무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엄수하겠음.


<유명희 사외이사 후보자>

1) 전문성
- 본 후보자는 30년 이상 유전체 분석 분야에서 활동하였으며, 특히 프로테오믹스 기술의 발전과 및 상용화에 매진하였음. 이를 바탕으로, 이사회에 참여함으로써 최신 유전체 과학 기술을 (주)마크로젠에 접목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여 기업가치 향상에 기여하겠음.

2) 독립성
- 본 후보자는 사외이사로서의 직무에 대한 책임을 성실히 수행할 것이고, 대주주 및 다른 이사로부터 독립적인 위치에서 투명한 의사결정이 이뤄지도록 하겠음.

3) 직무수행 및 의사결정 기준
- 본 후보자는 (주)마크로젠의 비전 "글로벌 정밀의학 선도기업" 을 달성할 수 있도록 의사 개진하고 표결하겠음.

4) 책임과 의무에 대한 인식 준수
- 본 후보자는 선관주의와 충실 의무, 보고의무, 감시의무, 상호 업무집행 감시 의무, 경업금지 의무, 자기거래 금지의무, 기업비밀 준수 의무 등 상법상 사외이사의 의무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엄수하겠음.


<이도호 감사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후보자>

1) 전문성
- 본 후보자는 옛 경제기획원 및 국세심판원(현 조세심판원) 등에서 약 26년 간의 공직생활과 10년이 넘는 심판원 경력을 보유함. 또한, 삼일회계법인과 삼일세무법인에서 고문을 역임한 경력을 갖고 있음. 세무 및 회계와 감사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이사회 및 감사위원회에 참여함으로써 회사의 투명성을 강화하고 재무제표의 완전성을 높혀 기업가치 제고에 기여하겠음.

2) 독립성
- 본 후보자는 사외이사로서의 직무에 대한 책임을 성실히 수행할 것이고, 대주주 및 다른 이사로부터 독립적인 위치에서 투명한 의사결정이 이뤄지도록 하겠음.

3) 직무수행 및 의사결정 기준
- 본 후보자는 (주)마크로젠의 비전 "글로벌 정밀의학 선도기업" 을 달성할 수 있도록 의사 개진하고 표결하겠음.

4) 책임과 의무에 대한 인식 준수
- 본 후보자는 선관주의와 충실 의무, 보고의무, 감시의무, 상호 업무집행 감시 의무, 경업금지 의무, 자기거래 금지의무, 기업비밀 준수 의무 등 상법상 사외이사의 의무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엄수하겠음.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서정선 기타비상무이사 후보자>

- 유전체 분야의 최고 권위자, 당사의 Vision을 이끌어갈 적임자

 후보자는 현재 당사의 이사회 의장 및 기타비상무이사로서, 당사 설립 이래 비약적인 발전을 주도하였으며 유전체 분야의 최고 권위자임. 혁신적인 경영마인드를 바탕으로 당사의 기업가치를 증가시켜 회사 경영 및 이사회 운영에 크게 기여한 점을 고려한 바, 당사의 이사회 의장 및 기타비상무이사에 적임자로 판단됨.

<이응룡 사내이사 후보자>

 - 당사 주요사업부인 지놈사업본부의 본부장이자 유전체분야의 권위자, 당사의 매출 성장을 이끌 적임자.

 후보자는 유전체분야의 권위자로서, 당사에 2010년 입사 이후 현재까지 지놈사업부를 이끌며 괄목할만한 성과를 이뤄냄. 후보자의 업무 역량과 리더십을 바탕으로 당사의 매출 성장을 이끌어 회사 경영과 이사회 운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바, 당사의 사내이사로서 적임자로 판단됨.


<김종일 사외이사 후보자>

 - 분자의학분야의 권위자, 당사의 주요 사업인 유전체 분석 서비스의 완성도를 높일 적임자

 후보자는 현재 당사의 사외이사인 감사위원회 위원으로서, 지난 3년 간 분자의학분야의 전문성을 활용하여 당사의 주요 사업인 유전체 분석 서비스의 완성도를 향상시켜 회사 경영 및 이사회 운영에 크게 기여한 점을 고려한 바, 당사의 사외이사로서 적임자로 판단됨.


<박현석 사외이사 후보자>

- AI분야 권위자, 신성장 비즈니스인 디지털 헬스케어로의 전환을 이끌 적임자 

 후보자는 AI분야에 대한 전문성과 당사의 사업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보유함. 당사의 신성장 비즈니스인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으로 전환하는데 뛰어난 능력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되는 바, 당사의 기타비상무이사로서 적임자로 판단됨.


<유명희 사외이사 후보자>

 - 프로테오믹스 기술의 선구자이며, 최신 유전체분석기술을 디지털 헬스케어에 적용 할 적임자

 후보자는 프로테오믹스 기술을 개발한 선구자이며, 과학기술 연구원으로서 유전체와 과학기술의 융합을 이끌고 있음. 당사 사업 분야의 높은 이해도와 최신 유전체분석기술에 대한 식견을 바탕으로 디지털 헬스케어로의 전환에 대한 심도 깊은 조언으로 회사 경영과 이사회 운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바, 당사의 사외이사로서 적임자로 판단됨.

<이도호 감사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후보자>

- 세무, 회계 및 감사 분야의 전문가, 감사위원회의 독립성 강화 적임자

 후보자는 현재 당사의 감사위원회 위원장으로, 기획재정부 및 삼일회계법인에서 쌓은 세무와 회계 및 감사 분야에 대한 높은 이해도와 전문성을 바탕으로 감사위원회를 효과적이며 독립적으로 운영하여 회사 경영 및 이사회 운영에 크게 기여한 점을 고려한 바, 당사의 감사위원이 되는 사외이사로서 적임자로 판단됨.


확인서

서정선 기타비상무이사 후보자

이용룡 사내이사 후보자

김종일 사외이사 후보자

박현석 사외이사 후보자

유명희 사외이사 후보자

이도호 사외이사 후보자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감사위원회 위원의 선임


제3호 의안 : 감사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이도호 선임의 건(재선임)
제4호 의안 : 감사위원 선임의 건
  제4-1호 의안 : 사외이사인 감사위원 김종일 선임의 건(재선임)
 제4-2호 의안 : 사외이사인 감사위원 유명희 선임의 건(신규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
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이도호 1949.01.27 사외이사 분리선출 해당사항 없음 이사회
김종일 1966.09.23 사외이사 미해당 해당사항 없음 이사회
유명희 1954.09.05 사외이사 미해당 해당사항 없음 이사회
총 ( 3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당해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당해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이도호 (주)마크로젠 사외이사 2020~현재 (주)마크로젠 사외이사 해당사항 없음
2007~2017 삼일회계법인, 삼일세무법인 고문
1996~2006 기획재정부 국세심판원 조사관, 심판관
1993~1996 한국국제협력단
김종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2020~현재 (주)마크로젠 사외이사 해당사항 없음
2017~현재 서울대학교 유전체의학연구소 소장
2014~현재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의약학부 정회원
2011~현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유명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명예연구원 2020~현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명예연구원 해당사항 없음
2021~현재 Bertis R&D Consultant
2010~2013 청와대 미래전략기획관
2000~20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다.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이도호 감사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후보자>

- 세무, 회계 및 감사 분야의 전문가, 감사위원회의 독립성 강화 적임자

 후보자는 현재 당사의 사외이사인 감사위원회 위원장으로, 기획재정부 및 삼일회계법인에서 쌓은 세무와 회계 및 감사 분야에 대한 높은 이해도와 전문성을 바탕으로 감사위원회를 효과적이며 독립적으로 운영하여 회사 경영 및 이사회 운영에 크게 기여한 점을 고려한 바, 당사의 감사위원이 되는 사외이사로서 적임자로 판단됨.


<김종일 감사위원회 위원 후보자>

 - 분자의학분야의 권위자, 당사의 주요 사업인 유전체 분석 서비스의 완성도를 높일 적임자

 후보자는 현재 당사의 사외이사인 감사위원회 위원으로서, 지난 3년 간 분자의학분야의 전문성을 활용하여 당사의 주요 사업인 유전체 분석 서비스의 완성도를 향상시켜 회사 경영 및 이사회 운영에 크게 기여한 점을 고려한 바, 당사의 감사위원회 위원으로서 적임자로 판단됨.


<유명희 감사위원회 위원 후보자>

 - 프로테오믹스 기술의 선구자이며, 최신 유전체분석기술을 디지털 헬스케어에 적용 할 적임자

 후보자는 프로테오믹스 기술을 개발한 선구자이며, 과학기술 연구원으로서 유전체와 과학기술의 융합을 이끌고 있음. 당사 사업 분야의 높은 이해도와 최신 유전체분석기술에 대한 식견을 바탕으로 디지털 헬스케어로의 전환에  대한 심도 깊은 조언으로 회사 경영과 이사회 운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바, 당사의 감사위원회 위원으로서 적임자로 판단됨.


확인서

이도호 감사위원 후보자

김종일 감사위원 후보자

유명희 감사위원 후보자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제5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10(5)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3,000백만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10(4)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2,080백만
최고한도액 3,000백만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3년 03월 23일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당사는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상기 제출(예정)일까지 전자공시시스템과 회사 홈페이지에 공시 및 게재할 예정입니다.
  - 전자공시시스템 : https://dart.fss.or.kr
  - 회사 홈페이지 : https://www.macrogen.com
                           (게재위치: IR → 공시정보 → 공고)

※ 해당 사업보고서는 향후 정기주주총회 이후 변경되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우리회사는「상법」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관리시스템   인터넷 주소: 「https://evote.ksd.or.kr」

                                       모바일 주소: 「https://evote.ksd.or.kr/m」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2023년 3월 21일 9시 ~ 2023년 3월 30일 17시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다.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투표관리시스템에서 주주본인 확인 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K-VOTE에서 사용 가능한 인증서 한정)

라. 수정동의안 처리: 주주총회에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 주주총회 집중일 개최 사유

당사는 제27기 정기주주총회와 관련하여 주주총회 집중일을 피하여 개최하고자 하였으나 별도/연결 재무제표에 대한 외부감사인의 감사일정, 주총 개최 1주전 사업보고서 제출의무, 원활한 정기주주총회 운영 등을 고려하여 부득이하게 집중일에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향후에는 주주총회 분산 자율준수 프로그램에 적극 참여하여집중일을 피해 주주총회를 개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6001006

마크로젠 (03829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