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세코 (03707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4-03-14 16:17: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14001081



주주총회소집공고


2024 년 3  월 14 일


회   사   명 : (주)파세코
대 표 이 사 : 유 일 한
본 점 소 재 지 : 경기 안산시 단원구 원시로 248

(전   화) 031-492-8341

(홈페이지)http://www.paseco.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상 무 (성  명)김 기 준

(전  화)031-492-8341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38기 정기)


               제 38 기 정기주주총회 소집통지서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와 정관 제 19 조에 의거 제 38 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 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4년 03월 29일(금요일) 오전 09시 00분

  

2. 장 소 : 본사 강당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로 248)

  

3. 회의 목적 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영업보고 및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나. 부의안건
 제 1 호 의안 : 제38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 2 호 의안 : 사내이사 재선임의건
 제 3 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배당내역
- 1주당 예정배당금 :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4인 보통주 주당 100원
                                                            외 주주 보통주 주당 150원


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금번 당사 주주총회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14조 제5항에 의거,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의 의결권을 대리행사 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 주주총회에 참석하시어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거나 대리인에 위임하여 의결권을 간접적으로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주총참석장, 신분증

 - 대리행사 : 주총참석장,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위임인 개인 또는 법인 인감증명서, 대리인 신분증

  

                                                2024년 3월    일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로 248 (☏031-492-8341) 

                                            주 식 회 사 파 세 코

                                     대표이사 유 일 한(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이창우)
박문순
(출석률: 100%)
김태한
(출석률: 25%)
표진호
(출석률: 25%)
찬 반 여 부
1 2023-02-15 37기 현금배당에 관한 건
1주당 200원, 배당금총액 3,994,437,000원 의결 
참석 불참 불참
2 2023-02-15 제 37기 재무제표에 대한 내부결산확정의 건
1.매출액 : 200,475,253천원
2.법인세차감전순이익 : 12,357,635천원
3.당기순이익 : 9,955,980천원
4.배당금(예정) : 3,994,437,000(보통주 1주당 200원)
5.자산총계 : 149,622,116천원
6.부채총계 :   42,238,805천원
7.자본총계 : 107,383,310천원
참석 불참 불참
3 2023-02-15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의 건 참석 참석 참석
4 2023-02-15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보고의 건 참석 참석 참석
5 2023-02-20 제품 인허가 양도양수 진행의 건
소집일시 : 2023년 02월 20일 09:00
소집장소 : 본사 회의실
부의안건 : 바디프랜드 거래종료에 따른 바디프랜드 정수기 관련 인허가 양도양수
참석 불참 불참
6 2023-03-08 1. 정기주주총회 소집에 관한 건
(1) 보고사항: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외부감사인선임보고
(2) 부의 안건
        가. 37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현금배당의 건(1주당 200원)
        나. 정관 일부 변경의건
        다. 이사 선임의 건(박문순)
        라.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박문순)
        마.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이사 선임의 건(박문순)
        바. 이사보수한도 승인의 건
참석 불참 불참
7 2023-03-14 1. 정기주주총회 소집에 관한 재결의 (정관 변경 사항 추가로 인한 재결의)
(1) 보고사항: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외부감사인선임보고
(2) 부의 안건
        가. 37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현금배당의 건(1주당 200원)
        나. 정관 일부 변경의건
        다. 이사 선임의 건(박문순)
        라.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박문순)
        마.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이사 선임의 건(박문순)
        바. 이사보수한도 승인의 건
참석 불참 불참
8 2023-03-14 기채에 관한 건(현지법인 사업자금대출)
1. 차    주 : QINGDAO H&W ELECTRONICS Co., Ltd.
2. 차입은행 : 한국수출입은행
3. 차입종별 : 현지법인사업자금대출
4. 차입한도 : 금 미화 이백육십만불 정(US$2,600,000)
5. 대출기간 : 최초 대출취급일로 부터 12개월
5. 담    보 : 신용 100%-(㈜파세코의 법인자격 연대보증)
6. 이    자 : 최초대출 취급일로 부터 3개월마다 후지급
7. 원금상환 : 만기 일시 상환
참석 불참 불참
9 2023-03-20 기채에 관한 건(수출성장자금대출)
1. 차입은행 : 한국수출입은행
2. 차입종별 : 현지법인사업자금대출
3. 차입한도 : 금 미화 팔백만불 정(US$8,000,000)
5. 대출기간 : 최초 대출취급일로 부터 12개월
5. 담    보 : 신용 100%
              - 대표이사 유일한 개인자격 연대보증(한정근)
              - 재고자산 양도담보(한정근)
6. 이    자 : 최초대출 취급일로 부터 1개월마다 후지급
7. 원금상환 : 만기 일시 상환
참석 불참 불참
10 2023-03-30 주주총회
1. 37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2. 정관 일부 변경의건
3. 이사 선임의 건
4.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건
5.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사외)이사 선임의 건(분리선출)
6.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참석 불참 불참
11 2023-03-30 임원보수 결정의 건 참석 참석 참석
12 2023-12-11 주주명부 폐쇄 기준일 공고
권리주주 기준일 : 2023년 12월 31일
명의개서 정지기간 : 2024년 1월1일부터 2024년 1월 31일까지
참석 불참 불참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3 3,000,000,000 37,500,000 12,500,000 -

  - 상기 주총 승인 금액은 이사 보수 한도 총액임.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사업부문별 현황

1) 계절가전 사업

(산업의 특성)  계절가전 사업은 당사의 전통적인 사업군인 난방기기 사업과 여름용 가전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난방기기 산업은 선진국에 비해 그 발전 역사는 길지 않지만 70년대 이후 업계는 국내시장에서 난방 및 취사용으로 공급하여 90년대 초까지 대중적으로 사용하였습니다.
그러나 대체 난방 제품의 출현 및 난방 패턴의 변화에 따라 수요의 감소 추세에 있으며 선진국 및 후진국에서 난방 문화의 일부를 차지하고 있으며, 지역적인 난방 패턴에 따라 사용용도 (취사 및  난방용. 건축용) 에 따라 다양한 틈새 산업입니다. 여름용 계절가전 사업은 당사의 기존 사업군인 난방기기의 계절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진출한 사업으로 창문형에어컨, 써큘레이터 등의 사업군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산업의 성장성)  심지식 난방기구로서 전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방식으로서 전원공급이 어려운 지역에 매수우위에 있으며,  지엽적인 이상기후 다발로 인한 폭설과
한파로 전력공급이 중단된 사태가 발생함에 따라 예비난방용 기구의 인식이 확산되었고, 중동지역의 난방기구 및 러시아 미주 등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산업용 열풍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국내에서는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활동에 따른 캠핑 용 난로 매출이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여름 계절 가전사업은 창문형 에어컨 및 써큘레이터 등 기존 시장의 틈새를 공략한 제품을 출시하여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나가고 있습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제품의 특성상 동절기 기온의 변동에 따라 수요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고유가 시 부분 난방으로 인한 특수 효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현재시점에는 코로나 영향 등으로 가족단위 캠핑인구의 증가에 따라 난방기기의 매출이 급 성장하고 있습니다.

(시장 여건)  지속적인 신규 모델 개발과 주요 수출 지역인 미국 및 유럽 외 신규 기술 개발로 중동 지역의 신규 시장 진출로 세계 시장 점유율 확대 및 수출 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연소기기 사업은 대부분 수출에 의존하고 있으며 세계시장환경과 기후의 변동에 따라 증감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고, 국내 경쟁사보다는 중국과 일본시장의 경쟁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급변하는 환율의 영향으로 점유율이 시시각각으로 변동하여 점유율 계산이 어렵습니다. 내수 시장의 경우는 캠핑 인구의 증가, 전기요금 급등으로 인한 대체 난방 효과 등으로 인해 꾸준한 성장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및 해외에서도 점유율을 추출할만한 자료를 발췌하지 못하여 객관적인 자료는 없으나, 국제 바이어들을 통한 추측으로 심지식 으로는 점유율 약  35%를 차지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창문형 에어컨의 경우는 국내 최초 개발 제품으로 시장의 우월적 지위를 갖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시장 규모는 계속 확대추세에 있다
할 수 있습니다. 대기업 및 신규업체의 진출로 경쟁은 심화되고 있으나 신기술 도입 및 품질 우위를 바탕으로 지속 성장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회사의 경쟁우위요소)   핵심 경쟁 요소는 제품의 품질, 고급화, 성능의 차별화, 가격, 제품을 적시에 공급할 수 있는 탄력적인 시스템의 구축, 신제품 개발력, 수출국의규격 획득 ( 미국 UL.캐나다CSA.프랑스NF 등),소비자 패턴 변화에 대한 탄력적 대응 정도가 주요 경쟁 요소이며 성장여부를 가늠하는 요인들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브랜드인 Kerona는 심지식 난로의 세계적 브랜드로 중국 및 일본 제품에 비해 우월적 지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캠핑시장에서는 독보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난방기기 이외에도 창문형 에어컨, 서큘레이터, 쿨러 등 다양한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2) 생활가전 사업

(산업의 특성)   주방 가전기기 산업은 소득 수준 향상 및 삶의 질 향상(Well Being) 욕구, 식생활 문화의 변화, 여성 인력의 사회 진출 가속화 등에 힘입어 지속적인 성장산업으로서 부엌 가구와 결합하여 주방 문화를 창조하는 종합 인테리어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첨단 디자인과 기능성, 환경과 위생, 공간학적 요소를 가미한 인테리어 등을 고려한 소비자 중심의 설계로 주방 문화를 재창조하고 있는 산업입니다.
환경 위생기기 사업은 소득 수준의 향상에 따라 생활 수준의 질적 향상으로 의식주에대한 욕구에서 건강에 대한 욕구로 변화되면서 고 성장되는 산업으로 선진국의 사례를 보면 국민소득 1만불 이상이 되면 급격히 성장하는 고부가가치 산업이라는 특성이 있습니다.

(산업의 성장성)   1991년 빌트인형 식기 건조기를 개발하여 건설시장에 독자적인 시장을 형성한 후 식기 세척기, 김치 냉장고, 가스쿡탑, 후드등의 제품 출시로 명실상부한 종합 빌트인 가전제품 제조 메이커로의 지속적인 사업 영역 확대를 꾀하고 있읍니다.  당사는 의류관리기, 비데, 가습기 등의 다양한 생활가전을 생산, 판매 하고 있으며, 업소용 취반기, 가스튀김기 등 대형 가전 생산을 통해 다양한 시장을 개척하고 성장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경기 변동의 특성)  주방 가전기기 산업은 간접적으로는 주택 건설 경기와 연관은 있으나, 국민 소득 수준과 더욱더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경기 변동 곡선에 따라 전체적인 시장규모가 탄력적으로 결정되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시장 여건)  부엌가구업체를 중심으로 기타업체가 시장을 이루고 있으며, 아파트 분양가 자율화 이후  홈오토메이션 개념이 정착되어 주방용 부엌가구외에 식기세척기.식기건조기.가스쿡탑. 후드 등의 주방 가전제품을 혼합 설치하는 토탈 주방가구를추구하고 있습니다. 상업용 기기는 조달청을 통한 공공기관 입찰 및 프랜차이즈 점을 대상으로시장이 형성되어 있으며, 소물 가전의 경우에는 홈쇼핑 및 할인 양판점 등을 통한 판매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경쟁우위요소)   부엌 가구의 고급화, 다양화, 개성화에 따라 가스기기, 식기 건조기, 식기 세척기, 후드 등의 제품 개개별 경쟁력보다는 주방 가전기기의 복합화로 종합적인 가격과 디자인, 사용의 편리성이 주요한 경쟁력이 될 것이며, 식생활 문화의 변화 및 부엌 가구의 인테리어화로 시장이 더욱더 확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이에 따라 파세코는 주방 가전기기 전 제품을 라인업하였으며, 향후에도 여성의 사회진출로 인한 주부의 가사 노동을 덜어주는 Well Being 신규 제품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보급할 것입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1980년대는 난방기기 제조로 업계 상위 지위를, 1990년대는 심지식 석유난로 산업에서 전 세계 시장에서 독보적 지위를 지금까지 지켜오고 있습니다.
석유스토브 사업의 해외 시장은 국제 시장의 변화로 수출이 감소하였으나, 지속적인 신규 모델 개발과 주요 수출 지역인 미국 및 유럽 중동 외 신규 기술 개발로 러시아, 남미 등 신규 시장 진출로 세계 시장 점유율 확대 및 수출 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현재는 석유난로외에 계절가전 사업의 영역에 에어컨, 써큘레이터, 전기 히터 등 영역을 다양화하고 있으며, 계절적 편중을 해소하기 위해 내수매출로도 사업 영역을 확대하였고, 코로나 등의 영향으로 캠핑인구 증가에 힘입어 캠핑용 난로의 판매가 크게증가하였습니다.
가전기기 사업에서는 국내 시장은 종전 B2B방식에 의한 제품 공급에서 2015년부터 B2C부문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여, 홈쇼핑 및 할인 양판점 등을 통한 소비자 상대 직접 판매로 영역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특히, 2019년 판매시작한 창문형 에어컨은 매년 급성장하고 있으며, 해외에서도 지속적인 관심을 표명하여 향후 수출 증가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1974년 설립이후 연소기기 제조 전문업체로서 기술력을 발전 시켜왔으며, 삼성전자, 한샘, 코웨이 등 국내 대기업의 OEM/ODM 사업, 홈쇼핑, 할인양판점, 재래 유통 등 자체브랜드를 통한 B2C 사업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1) 계절가전사업부문

연소기기 사업은 대부분 수출에 의존하고 있으며 세계시장환경과 기후의 변동에 따라 증감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고, 국내 경쟁사보다는 중국과 일본시장의 경쟁이 주를이루고 있으며 급변하는 환율의 영향으로 점유율이 시시각각으로 변동하여 점유율 계산이 어렵습니다.
또한 국내 및 해외에서도 점유율을 추출할만한 자료를 발췌하지 못하여 객관적인 자료는 없으나, 국제 바이어들을 통한 추측으로 심지식 으로는 점유율 약 35%를 차지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창문형에어컨의 시장 점유율은 경쟁사에 비해 압도적 지위에 있다 예측할 수 있으나 이는 당사의 추정이며, 객관적인 자료는 없습니다.

2) 생활가전 사업부문
당사 주방 가전기기 사업 부문은 유통력과 디자인 능력등 상품 개발 능력을 가진 부엌 가구 전문업체 및 대기업이 시장 지배적 위치에 있으며, 당사는 OEM 방식으로 제품을 다수 공급.유통하고 있으며 당사의 자사브랜드로서 매출은 아직  비교 의미가 없습니다. 다만 제조 측면에서는 가스쿡탑, 식기세척기, 김치냉장고 부문을 동시 생산 가능한 제조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난로의 경우 미주,중동 및 유럽, 남미, 러시아 등 40여개국에 수출하고 있으며 지역적인 특성으로는 일교차가 큰 지역 또는 온도가 낮은 지역등 기후 특성이 있는 곳입니다.  따라서 수요 변동의 요인은 수출지역의 기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이에 따른 시장 동향을 파악 하여야 하고, 현재 일본의 토요토미 및 코로나, 센고구, 피나클, 기타업체, 그리고 ㈜파세코가 시장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국내 시장의 경우에는 보조 난방의 수요가 있으며, 캠핑을 위한 수요는 최근 급증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국내 부엌가구 시장은 신규 아파트 입주철 및 이사철인 봄.가을이 성수기이며 수도권및 5대 광역시 위주의 대도시 중산층이상의 30대초 ~ 40대 중반의 젊은 주부를수요자로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제품을 선호하는 계층의 소비자입니다.
현재 부엌가구업체를 중심으로 기타업체가 시장을 이루고 있으며, 건설 경기 침체로 인해 시장은 정체 또는 감소 추세에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자가 Brand 영업 확대를 추진하고 있으며 영업 조직의 개편을 통해 건설사 영업의 강화 / 지역별 총판점 운영등으로 기초적인 영업 기반를 정착시키고, 지역별 총판점 지원 확대 및 경쟁사와 차별화된 제품의 조기 도입 등을 통하여 건설 수주 및 매출증대에 기여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기본적인 판매 전략은 온-오프라인으로 분리되어 운영되는 사업 모습이 아니라, 오프라인과 온라인이 융합되어 있는 사업 모델링을 기본으로 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하여 지속적인 홈페이지를 개편으로 상세한 제품 정보와 구매 정보 등의 고객이 원하는 각종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고객 맞춤 기능을 대폭 강화해 나가겠습니다. 또한 독자적인 라이브쇼핑 등을 통해 유통을 창출하고 자사 브랜드 영업을 강화해 나갈 예정입니다.
또한 지속적인 신제품 투자 및 적극적 유통확대를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강화하고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을 적극 추진할 예정입니다.


(5) 조직도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2023년 영업 상황으로는 수출 매출은 전년 대비 열기 제품 등의 매출감소 및 환율 변동 등으로 매출 및 이익이 감소하였으며, 내수 매출은 창문형 에어컨 등의 매출 감소 및 선물환,환차손,등으로 인해 매출 및 이익이 감소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회사는 신규 고객사 확보 및 유통 채널 등을 다양화하고 자사 브랜드의 B2C 매출을 늘리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기울이고 있습니다.
향후에는 이러한 노력들이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할 것입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주) 하기 재무제표는 당사가 자체결산한 감사 전 재무제표로,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 및 주석은 향후 전자공시 시스템(http://dart.fss.or.kr)에서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라며, 제 38기 주주총회 승인 절차를 거쳐 확정된 재무제표가 아니므로 동 승인 과정에게 변동 될 수 있습니다.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38 기 2023. 12. 31 현재
제 37 기 2022. 12. 31 현재
(단위 : 원)
과 목 제 38 기 제 37 기
자                                 산    
Ⅰ. 유동자산 78,513,835,038 86,972,271,342
1. 현금및현금성자산 17,455,914,423 19,282,472,463
2. 기타유동금융자산 3,053,103,504 -
3. 만기보유금융자산 - -
4. 단기금융상품 - -
5. 단기대여금 - -
6. 매출채권및기타채권 10,499,054,493 10,813,401,756
7. 파생상품자산 - 536,266,640
8. 당기법인세자산 - -
9. 재고자산 45,630,908,224 53,792,757,122
10. 기타유동자산 1,874,854,394 2,547,373,361
Ⅱ. 비유동자산 55,846,834,403 62,649,844,680
1. 장기금융상품 4,000,000 4,000,000
2. 매도가능금융자산 51,779,602 51,798,940
3. 장기투자금융자산 2,302,740,000 5,717,791,121
4. 장기투자유가증권 - -
5. 장기대여금 - -
6. 파생상품자산 - -
7. 보증금 420,510,000 420,510,000
8. 유형자산 52,060,558,391 55,243,127,989
9. 무형자산 923,246,410 1,099,610,342
10. 투자부동산 84,000,000 113,006,288
11. 기타투자자산 - -
자         산         총         계 134,360,669,441 149,622,116,022
부                                 채    
Ⅰ. 유동부채 28,133,359,666 40,062,742,646
1. 매입채무및기타채무 15,231,163,282 14,927,041,309
2. 단기차입금 9,868,200,000 16,638,400,000
3. 리스부채 - -
3. 유동리스부채 46,498,550 45,117,064
4. 유동성장기부채 - 300,000,000
5. 기타유동금융부채 3,453,235 -
6. 당기법인세부채 128,200,868 3,306,972,948
7. 기타유동부채 1,202,413,873 2,630,727,437
8. 기타충당부채 1,653,429,858 2,214,483,888
Ⅱ. 비유동부채 2,799,288,769 2,940,547,588
1. 장기차입금 - -
2. 리스부채 34,350,907 80,849,457
3. 교환사채 - -
4. 임대보증금 80,000,000 80,000,000
5. 통화선도 - -
6. 이연법인세부채 2,133,540,075 1,949,978,987
7. 기타비유동부채 242,200,000 262,776,000
8. 기타충당부채 309,197,787 566,943,144
부         채         총         계 30,932,648,435 43,003,290,234
자                                 본    
Ⅰ. 자본금 10,000,000,000 10,000,000,000
Ⅱ. 기타불입자본 919,042,484 919,042,484
Ⅲ. 기타자본구성요소 (43,462,380) 374,840,896
Ⅳ. 이익잉여금 92,552,440,902 95,324,942,408
자         본         총         계 103,428,021,006 106,618,825,788
부   채   와   자   본   총   계 134,360,669,441 149,622,116,022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38 기 (2023. 1. 1 부터 2023. 12. 31 까지)
제 37 기 (2022. 1. 1 부터 2022. 12. 31 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38 기 제 37 기
Ⅰ. 매출액 147,540,869,348  200,475,253,164 
Ⅱ. 매출원가 122,588,863,334  151,221,514,060 
Ⅲ. 매출총이익 24,952,006,014  49,253,739,104 
    판매비 11,754,973,892  17,390,178,448 
    관리비 14,434,835,707  16,071,637,537 
Ⅳ. 영업이익(손실) (1,237,803,585) 15,791,923,119 
    금융수익 998,446,257  705,125,456 
    금융비용 1,332,807,714  4,624,283,276 
    기타영업외수익 6,080,402,136  4,459,745,432 
    기타영업외비용 3,346,574,660  3,974,875,919 
Ⅴ. 법인세차감전순이익(손실) 1,161,662,434  12,357,634,812 
    법인세비용(손실) 383,375,181  3,166,138,732 
Ⅵ. 당기순이익 778,287,253  9,191,496,080 
Ⅶ. 기타포괄손익 (418,303,276) 433,046,937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포괄손익
1. 현금흐름위험회피 파생상품평가손익 (418,287,979) 433,195,753 
①. 현금흐름위험회피 파생상품평가손익(세전) (536,266,640) 555,379,169 
②. 기타포괄손익관련 법인세효과 117,978,661  (122,183,416)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포괄손익
1.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손익 (15,297) (148,816)
①.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손익(세전) (19,338) (190,790)
②. 기타포괄손익관련 법인세효과 4,041  41,974 
Ⅷ. 총포괄이익 359,983,977  9,624,543,017 
Ⅸ. 주당이익
1. 기본주당이익 39  460 
2. 희석주당이익 39  460 



                                                         <자본변동표>

제38기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제37기 2022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단위 : 원)


과  목 자 본 금 기타불입자본 기타자본구성요소 이익잉여금 총계
주식발행초과금 교환권대가 자기주식 자기주식처분손익
2022년01월 01일 7,000,000,000  3,927,827,545  22,272,466  (65,389,073) 215,164,048  (58,206,041) 90,327,628,128  101,369,297,073 
 당기순이익             9,191,496,080  9,191,496,080 
기타포괄-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            (148,816)   (148,816)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상품 처분에 따른 이익잉여금대체







현금흐름위험회피평가           433,195,753    433,195,753 
 자기주식 취득       (147,360,652)                      -      (147,360,652)
 무상증자 3,000,000,000  (3,033,471,850)                          -      (3,471,850 )
 배당금 지급          
(4,194,181,800) (4,194,181,800)
2022년 12월 31일 10,000,000,000  894,355,695  22,272,466  (212,749,725) 215,164,048  374,840,896  95,324,942,408  106,618,825,788 
2023년01월 01일 10,000,000,000  894,355,695  22,272,466  (212,749,725) 215,164,048  374,840,896  95,324,942,408  106,618,825,788 
 당기순이익             1,221,935,494  1,221,935,494 
기타포괄-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            (15,297)   (15,297)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상품 처분에 따른 이익잉여금대체







현금흐름위험회피평가           (418,287,979)   (418,287,979)
 자기주식 취득







 무상증자







 배당금 지급          
(3,994,437,000) (3,994,437,000)
2023년 12월 31일 10,000,000,000  894,355,695  22,272,466  (212,749,725) 215,164,048  (43,462,380) 92,552,440,902  103,428,021,006 


                                                <현금흐름표>

제38기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제37기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38 기 제 37 기
I.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9,514,766,629  2,649,489,787 
1.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 13,536,170,414  7,017,303,569 
2. 이자수취 107,251,289  74,470,625 
3. 이자지급 (750,829,754) (558,829,067)
4. 법인세환입액(납부액) (3,377,825,320) (3,883,455,340)
Ⅱ.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84,528,339) (1,563,544,932)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 -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 -
 기타유동금융자산의 증가  - -
 기타유동금융자산의 감소   1,004,030,000  -
 단기대여금의 증가  - -
 단기대여금의 감소  - -
 장기대여금의 감소  - -
 기타비유동금융자산의 증가  - (2,100,000,000)
 기타비유동금융자산의 감소  - 4,908,845,735 
 매도가능금융자산의 감소  - -
 매도가능금융자산의 증가  - -
 만기보유금융자산의 감소  - -
 만기보유금융자산의 증가  - -
 보증금의 증가  - (5,300,000)
 유형자산의 취득  (1,248,633,425) (4,845,064,910)
 유형자산의 처분  208,389,003  251,039,454 
 무형자산의 취득  (148,313,917) (35,201,575)
 무형자산의 처분  - 262,136,364 
 임대보증금의 증가  -
Ⅲ.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1,175,575,664) 2,302,557 
 단기차입금의 증가  3,000,000,000  24,248,800,000 
 단기차입금의 상환  (9,836,500,000) (18,248,800,000)
 장기차입금의 증가  - -
 장기차입금의 상환  (300,000,000) (1,600,000,000)
 리스부채의 증가  - -
 리스부채의 상환  (45,117,064) (23,185,341)
 자기주식의 취득  - (147,360,652)
 신주발행비  - (33,471,850)
 배당금의 지급  (3,993,958,600) (4,193,679,600)
Ⅳ.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순증가(Ⅰ+Ⅱ+Ⅲ) (1,845,337,374) 1,088,247,412 
Ⅴ. 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 19,282,472,463  18,366,496,418 
Ⅵ. 외화표시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18,779,334  (172,271,367)
Ⅶ. 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17,455,914,423  19,282,472,463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38 기 (2023. 1. 1 부터 2023. 12. 31 까지)
제 37 기 (2022. 1. 1 부터 2022. 12. 31 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38 기 제 37 기
I. 미처분이익잉여금 86,668,285,318 89,818,409,362
  1.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85,424,528,662 80,626,913,282
  2.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상품의 처분이익 재분류

                     - 
  3.당기순이익 778,287,253 9,191,496,080
II.이익잉여금처분액 2,556,175,050 4,393,880,700
 1.이익준비금(주1) 232,379,550 399,443,700
 2.배당금 2,323,795,500 3,994,437,000
    가.현금배당 2,323,795,500 3,994,437,000
        주당배당금(율)

        당기:150원(30%)

        전기:300원(60%)

III.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83,646,640,865 85,424,528,662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배당내역 제38기 제37기
주당배당금(원) 보통주 150 200
우선주 - -
시가배당율(%) 보통주 1.49 1.47
우선주 - -
배당금총액(원) 2,323,795,500 3,994,437,000
당기순이익(원) 1,221,935,494 9,191,496,080

*주) 상기 보통주 주당배당금은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4인 외 주주의 대한 주당 배당금을 기재하였음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유일한 71.04.20 본인 없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유일한 현 파세코 대표이사

-.연세대 노문학과 졸업

-.Duke University MBA 석사

-.CJ Entertainment 한국영화

투자파트장 및 제작팀장 역임

-.현 파세코 대표이사

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유일한 없음 없음 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해당사항 없음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해당사항 없음





확인서

 

38기 후보확인서

□ 감사위원회 위원의 선임

 -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6(  3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3,000,000,000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6(  3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1,544,633,000
최고한도액 3,000,000,000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4년 03월 21일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당사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상기 제출(예정)일까지 금융감독원 공시홈페이지(http://dart.fss.or.kr)와 당사 홈페이지(www.paseco.co.kr)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 참고사항

* 주주총회 집중일 개최 사유*

※ 당사는 금번 정기주주총회를 코스닥협회에서 발표한 주주총회 집중(예상)일을 피하여 개최하려 하였으나, 결산일정 및 원활한 주주총회 운영 준비를 위해 불가피하게 주주총회 집중(예상)일에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향후 주주총회에는 주주총회 분산 자율준수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집중일을 피하여 개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14001081

파세코 (03707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