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조건확정]증권신고서(채무증권) 2024-02-08 15:38: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208001026
금융위원회 귀중 | 2024년 02월 08일 |
회 사 명 : | 주식회사 콘텐트리중앙 |
대 표 이 사 : | 남 주 현, 홍 정 인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 156 |
(전 화) 02-751-9814 | |
(홈페이지)www.contentreej.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재무팀장 |
(성 명) 이희억 | |
(전 화) 02-751-9814 | |
1. 정정대상 신고서의 최초제출일 : 2024년 02월 02일
[증권신고서 제출 및 정정 연혁] |
제출일자 | 문서명 | 비고 |
---|---|---|
2024년 02월 02일 | 증권신고서(채무증권) | 최초 제출 |
2024년 02월 08일 | [기재정정]증권신고서(채무증권) | 수요예측 결과 반영 및 자진 기재정정 |
2024년 02월 08일 | [발행조건확정]증권신고서(채무증권) | 수요예측 결과 반영에 따른 발행조건 확정 |
2. 모집 또는 매출 증권의 종류 :
- (주)콘텐트리중앙 제22-1회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사채
- (주)콘텐트리중앙 제22-2회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사채
3. 모집 또는 매출금액 :
- 제22-1회 무보증사채 금 일백칠십억원(\17,000,000,000)
- 제22-2회 무보증사채 금 오백이십억원(\52,000,000,000)
4. 정정사유 : 수요예측 결과에 따른 발행조건 확정
5. 정정사항
항 목 | 정 정 전 | 정 정 후 |
---|---|---|
※ 본 '[발행조건확정]증권신고서'는 수요예측 결과에 따른 발행조건 확정에 의한 것으로, 정정 및 추가 기재된 사항은 굵은 파란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핵심투자위험에 대한 추가 기재 사항은 별도의 정정표의 기재 없이 본문에 반영하였습니다. | ||
표지 | 모집 또는 매출총액 : 40,000,000,000원 | 모집 또는 매출총액 : 69,000,000,000원 |
요약정보 | ||
1. 핵심투자위험 | - | 각 위험 요소의 제목 기재 |
2.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주1) 정정 전 | (주1) 정정 후 |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1. 공모개요 | (주2) 정정 전 | (주2) 정정 후 |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3. 공모가격 결정방법 | - | (주3) 추가 기재 |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 | (주4) 정정 전 | (주4) 정정 후 |
Ⅱ. 증권의 주요 권리내용 1. 사채의 명칭, 주요 권리내용, 발행과 관련한 약정 및 조건 등 | (주5) 정정 전 | (주5) 정정 후 |
Ⅱ. 증권의 주요 권리내용 2. 사채관리계약에 관한 사항 | (주6) 정정 전 | (주6) 정정 후 |
Ⅲ. 투자위험요소 1. 사업위험 라. 드라마 제작 관련 위험 | (주7) 정정 전 | (주7) 정정 후 |
Ⅲ. 투자위험요소 2. 회사위험 가. 영업수익 및 수익성 변동 위험 | (주8) 정정 전 | (주8) 정정 후 |
Ⅲ. 투자위험요소 2. 회사위험 나. 재무안정성 관련 위험 | (주9) 정정 전 | (주9) 정정 후 |
Ⅲ. 투자위험요소 2. 회사위험 다. 현금흐름 관련 위험 | (주10) 정정 전 | (주10) 정정 후 |
Ⅲ. 투자위험요소 2. 회사위험 바. 당사 2023년 결산 실적 공시 관련 위험 | - | (주11) 추가 기재 |
Ⅴ. 자금의 사용목적 | (주12) 정정 전 | (주12) 정정 후 |
(주1) 정정 전
회차 : | 22-1 | (단위 : 원, 주) |
채무증권 명칭 | 무보증사채 | 모집(매출)방법 | 공모 |
권면(전자등록) 총액 | 10,000,000,000 | 모집(매출)총액 | 10,000,000,000 |
발행가액 | 10,000,000,000 | 이자율 | - |
발행수익률 | - | 상환기일 | 2025년 02월 16일 |
원리금 지급대행기관 | (주)하나은행 상암DMC지점 JTBC출장소 | (사채)관리회사 | 흥국증권(주) |
비고 | - |
평가일 | 신용평가기관 | 등 급 |
---|---|---|
2024년 01월 31일 | 한국신용평가 | 회사채 (BBB0) |
2024년 01월 31일 | 한국기업평가 | 회사채 (BBB0) |
인수(주선) 여부 | 채무증권 상장을 위한 공모여부 |
---|---|
인수 | 예 |
인수(주선)인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
---|---|---|---|---|---|
대표 | 신한투자증권 | 500,000 | 5,000,000,000 | 인수수수료 0.20% | 총액인수 |
인수 | 삼성증권 | 500,000 | 5,000,000,000 | 인수수수료 0.20% | 총액인수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
2024년 02월 16일 | 2024년 02월 16일 | - | - | - |
자금의 사용목적 | |
---|---|
구 분 | 금 액 |
채무상환자금 | 10,000,000,000 |
발행제비용 | 45,720,000 |
【국내발행 외화채권】
표시통화 | 표시통화기준 발행규모 | 사용 지역 | 사용 국가 | 원화 교환 예정 여부 | 인수기관명 |
---|---|---|---|---|---|
- | - | - | - | - | - |
보증을 받은 경우 | 보증기관 | - | 지분증권과 연계된 경우 | 행사대상증권 | - |
보증금액 | - | 권리행사비율 | - | ||
담보 제공의 경우 | 담보의 종류 | - | 권리행사가격 | - | |
담보금액 | - | 권리행사기간 | - |
매출인에 관한 사항 | ||||
---|---|---|---|---|
보유자 | 회사와의 관계 | 매출전 보유증권수 | 매출증권수 | 매출후 보유증권수 |
- | - | - | - | - |
【주요사항보고서】 | - | ||
【파생결합사채 해당여부】 | 기초자산 | 옵션종류 | 만기일 |
N | - | - | - |
【기 타】 | ▶ 본 사채의 발행과 관련하여 2024년 01월 19일 신한투자증권(주)와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사채를 한국예탁결제원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전자등록하므로, 실물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하며, 등록필증의 교부 등이 존재하지 않음. ▶ 본 사채는 사채권을 발행하지 않으므로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39조에 의거 전자등록주식 등의 소유자가 권리행사를 위하여 계좌관리기관을 통해 신청하는 경우 전자등록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소유자증명서"를 발행하여야 함.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전자등록되므로, 등록 말소 시 사채권발행을 청구할 수 없음 ▶ 본 사채는 실물발행이 아닌 전자등록에 의한 발행이므로 인수수량의 기재가 불가능하나, 이해상의 편의를 위해 10,000원을 수량의 1단위로 기재함. ▶ 본 사채의 상장신청예정일은 2024년 02월 13일이며, 상장예정일은 2024년 02월 16일임. |
주1) 본 사채는 2024년 02월 05일 09시부터 16시 30분까지 실시하는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전자등록총액, 모집(매출)총액, 발행가액, 이자율, 발행수익률 등이 결정될 예정입니다. 주2) 상기 기재된 가액은 예정금액이며,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제22-1회 및 제22-2회 무보증사채의 회차별 전자등록총액과 무관하게 "인수단"과의 협의 하에 전자등록총액 합계 금 팔백억(\80,000,000,000)원 이하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결정될 수 있습니다. 주3) 수요예측시 공모희망금리는 6.20%~7.20%로 합니다. 주4) 수요예측 결과에 의해 확정된 총액(전자등록총액, 모집총액, 발행가액) 및 금리, 확정된 인수인의 인수수량 및 인수금액은 2024년 02월 08일 정정신고서를 통해 공시할 예정입니다. |
회차 : | 22-2 | (단위 : 원, 주) |
채무증권 명칭 | 무보증사채 | 모집(매출)방법 | 공모 |
권면(전자등록) 총액 | 30,000,000,000 | 모집(매출)총액 | 30,000,000,000 |
발행가액 | 30,000,000,000 | 이자율 | - |
발행수익률 | - | 상환기일 | 2026년 02월 16일 |
원리금 지급대행기관 | (주)하나은행 상암DMC지점 JTBC출장소 | (사채)관리회사 | 흥국증권(주) |
비고 | - |
평가일 | 신용평가기관 | 등 급 |
---|---|---|
2024년 01월 31일 | 한국신용평가 | 회사채 (BBB0) |
2024년 01월 31일 | 한국기업평가 | 회사채 (BBB0) |
인수(주선) 여부 | 채무증권 상장을 위한 공모여부 |
---|---|
인수 | 예 |
인수(주선)인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
---|---|---|---|---|---|
대표 | 신한투자증권 | 1,500,000 | 15,000,000,000 | 인수수수료 0.20% | 총액인수 |
인수 | 삼성증권 | 1,500,000 | 15,000,000,000 | 인수수수료 0.20% | 총액인수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
2024년 02월 16일 | 2024년 02월 16일 | - | - | - |
자금의 사용목적 | |
---|---|
구 분 | 금 액 |
채무상환자금 | 30,000,000,000 |
발행제비용 | 121,320,000 |
【국내발행 외화채권】
표시통화 | 표시통화기준 발행규모 | 사용 지역 | 사용 국가 | 원화 교환 예정 여부 | 인수기관명 |
---|---|---|---|---|---|
- | - | - | - | - | - |
보증을 받은 경우 | 보증기관 | - | 지분증권과 연계된 경우 | 행사대상증권 | - |
보증금액 | - | 권리행사비율 | - | ||
담보 제공의 경우 | 담보의 종류 | - | 권리행사가격 | - | |
담보금액 | - | 권리행사기간 | - |
매출인에 관한 사항 | ||||
---|---|---|---|---|
보유자 | 회사와의 관계 | 매출전 보유증권수 | 매출증권수 | 매출후 보유증권수 |
- | - | - | - | - |
【주요사항보고서】 | - | ||
【파생결합사채 해당여부】 | 기초자산 | 옵션종류 | 만기일 |
N | - | - | - |
【기 타】 | ▶ 본 사채의 발행과 관련하여 2024년 01월 19일 신한투자증권(주)와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사채를 한국예탁결제원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전자등록하므로, 실물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하며, 등록필증의 교부 등이 존재하지 않음. ▶ 본 사채는 사채권을 발행하지 않으므로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39조에 의거 전자등록주식 등의 소유자가 권리행사를 위하여 계좌관리기관을 통해 신청하는 경우 전자등록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소유자증명서"를 발행하여야 함.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전자등록되므로, 등록 말소 시 사채권발행을 청구할 수 없음 ▶ 본 사채는 실물발행이 아닌 전자등록에 의한 발행이므로 인수수량의 기재가 불가능하나, 이해상의 편의를 위해 10,000원을 수량의 1단위로 기재함. ▶ 본 사채의 상장신청예정일은 2024년 02월 13일이며, 상장예정일은 2024년 02월 16일임. |
주1) 본 사채는 2024년 02월 05일 09시부터 16시 30분까지 실시하는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전자등록총액, 모집(매출)총액, 발행가액, 이자율, 발행수익률 등이 결정될 예정입니다. 주2) 상기 기재된 가액은 예정금액이며,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제22-1회 및 제22-2회 무보증사채의 회차별 전자등록총액과 무관하게 "인수단"과의 협의 하에 전자등록총액 합계 금 팔백억(\80,000,000,000)원 이하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결정될 수 있습니다. 주3) 수요예측시 공모희망금리는 6.90%~7.90%로 합니다. 주4) 수요예측 결과에 의해 확정된 총액(전자등록총액, 모집총액, 발행가액) 및 금리, 확정된 인수인의 인수수량 및 인수금액은 2024년 02월 08일 정정신고서를 통해 공시할 예정입니다. |
(주1) 정정 후
회차 : | 22-1 | (단위 : 원, 주) |
채무증권 명칭 | 무보증사채 | 모집(매출)방법 | 공모 |
권면(전자등록) 총액 | 17,000,000,000 | 모집(매출)총액 | 17,000,000,000 |
발행가액 | 17,000,000,000 | 이자율 | 7.00 |
발행수익률 | 7.00 | 상환기일 | 2025년 02월 16일 |
원리금 지급대행기관 | (주)하나은행 상암DMC지점 JTBC출장소 | (사채)관리회사 | 흥국증권(주) |
비고 | - |
평가일 | 신용평가기관 | 등 급 |
---|---|---|
2024년 01월 31일 | 한국신용평가 | 회사채 (BBB0) |
2024년 01월 31일 | 한국기업평가 | 회사채 (BBB0) |
인수(주선) 여부 | 채무증권 상장을 위한 공모여부 |
---|---|
인수 | 예 |
인수(주선)인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
---|---|---|---|---|---|
대표 | 신한투자증권 | 1,200,000 | 12,000,000,000 | 인수수수료 0.20% | 총액인수 |
인수 | 삼성증권 | 500,000 | 5,000,000,000 | 인수수수료 0.20% | 총액인수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
2024년 02월 16일 | 2024년 02월 16일 | - | - | - |
자금의 사용목적 | |
---|---|
구 분 | 금 액 |
채무상환자금 | 17,000,000,000 |
발행제비용 | 70,490,000 |
【국내발행 외화채권】
표시통화 | 표시통화기준 발행규모 | 사용 지역 | 사용 국가 | 원화 교환 예정 여부 | 인수기관명 |
---|---|---|---|---|---|
- | - | - | - | - | - |
보증을 받은 경우 | 보증기관 | - | 지분증권과 연계된 경우 | 행사대상증권 | - |
보증금액 | - | 권리행사비율 | - | ||
담보 제공의 경우 | 담보의 종류 | - | 권리행사가격 | - | |
담보금액 | - | 권리행사기간 | - |
매출인에 관한 사항 | ||||
---|---|---|---|---|
보유자 | 회사와의 관계 | 매출전 보유증권수 | 매출증권수 | 매출후 보유증권수 |
- | - | - | - | - |
【주요사항보고서】 | - | ||
【파생결합사채 해당여부】 | 기초자산 | 옵션종류 | 만기일 |
N | - | - | - |
【기 타】 | ▶ 본 사채의 발행과 관련하여 2024년 01월 19일 신한투자증권(주)와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사채를 한국예탁결제원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전자등록하므로, 실물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하며, 등록필증의 교부 등이 존재하지 않음. ▶ 본 사채는 사채권을 발행하지 않으므로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39조에 의거 전자등록주식 등의 소유자가 권리행사를 위하여 계좌관리기관을 통해 신청하는 경우 전자등록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소유자증명서"를 발행하여야 함.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전자등록되므로, 등록 말소 시 사채권발행을 청구할 수 없음 ▶ 본 사채는 실물발행이 아닌 전자등록에 의한 발행이므로 인수수량의 기재가 불가능하나, 이해상의 편의를 위해 10,000원을 수량의 1단위로 기재함. ▶ 본 사채의 상장신청예정일은 2024년 02월 13일이며, 상장예정일은 2024년 02월 16일임. |
(삭제) |
회차 : | 22-2 | (단위 : 원, 주) |
채무증권 명칭 | 무보증사채 | 모집(매출)방법 | 공모 |
권면(전자등록) 총액 | 52,000,000,000 | 모집(매출)총액 | 52,000,000,000 |
발행가액 | 52,000,000,000 | 이자율 | 7.40 |
발행수익률 | 7.40 | 상환기일 | 2026년 02월 16일 |
원리금 지급대행기관 | (주)하나은행 상암DMC지점 JTBC출장소 | (사채)관리회사 | 흥국증권(주) |
비고 | - |
평가일 | 신용평가기관 | 등 급 |
---|---|---|
2024년 01월 31일 | 한국신용평가 | 회사채 (BBB0) |
2024년 01월 31일 | 한국기업평가 | 회사채 (BBB0) |
인수(주선) 여부 | 채무증권 상장을 위한 공모여부 |
---|---|
인수 | 예 |
인수(주선)인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
---|---|---|---|---|---|
대표 | 신한투자증권 | 3,700,000 | 37,000,000,000 | 인수수수료 0.20% | 총액인수 |
인수 | 삼성증권 | 1,500,000 | 15,000,000,000 | 인수수수료 0.20% | 총액인수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
2024년 02월 16일 | 2024년 02월 16일 | - | - | - |
자금의 사용목적 | |
---|---|
구 분 | 금 액 |
채무상환자금 | 52,000,000,000 |
발행제비용 | 200,820,000 |
【국내발행 외화채권】
표시통화 | 표시통화기준 발행규모 | 사용 지역 | 사용 국가 | 원화 교환 예정 여부 | 인수기관명 |
---|---|---|---|---|---|
- | - | - | - | - | - |
보증을 받은 경우 | 보증기관 | - | 지분증권과 연계된 경우 | 행사대상증권 | - |
보증금액 | - | 권리행사비율 | - | ||
담보 제공의 경우 | 담보의 종류 | - | 권리행사가격 | - | |
담보금액 | - | 권리행사기간 | - |
매출인에 관한 사항 | ||||
---|---|---|---|---|
보유자 | 회사와의 관계 | 매출전 보유증권수 | 매출증권수 | 매출후 보유증권수 |
- | - | - | - | - |
【주요사항보고서】 | - | ||
【파생결합사채 해당여부】 | 기초자산 | 옵션종류 | 만기일 |
N | - | - | - |
【기 타】 | ▶ 본 사채의 발행과 관련하여 2024년 01월 19일 신한투자증권(주)와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사채를 한국예탁결제원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전자등록하므로, 실물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하며, 등록필증의 교부 등이 존재하지 않음. ▶ 본 사채는 사채권을 발행하지 않으므로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39조에 의거 전자등록주식 등의 소유자가 권리행사를 위하여 계좌관리기관을 통해 신청하는 경우 전자등록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소유자증명서"를 발행하여야 함.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전자등록되므로, 등록 말소 시 사채권발행을 청구할 수 없음 ▶ 본 사채는 실물발행이 아닌 전자등록에 의한 발행이므로 인수수량의 기재가 불가능하나, 이해상의 편의를 위해 10,000원을 수량의 1단위로 기재함. ▶ 본 사채의 상장신청예정일은 2024년 02월 13일이며, 상장예정일은 2024년 02월 16일임. |
(삭제) |
(주2) 정정 전
회 차 : | 22-1 | (단위 : 원) |
항 목 | 내 용 | |
---|---|---|
사 채 종 목 | 무보증사채 | |
구 분 |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사채 | |
전 자 등 록 총 액 | 10,000,000,000 | |
할 인 율(%) | - | |
발행수익률(%) | - | |
모집 또는 매출가액 | 사채 전자등록총액의 100%로 한다. | |
모집 또는 매출총액 | 10,000,000,000 | |
각 사채의 금액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사채를 전자등록으로 발행하므로 사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함. | |
이자율 | 연리이자율(%) | - |
변동금리부사채이자율 | - | |
이자지급 방법 및 기한 | 이자지급 방법 | 이자는 "본 사채" 발행일로부터 원금상환기일 전일까지 계산하고, 매 1개월마다 "본 사채"의 이율을 적용한 연간 이자의 1/12씩 분할 후급하여 아래의 이자지급기일에 지급한다. 이자지급기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그 다음 영업일에 이자를 지급하되, 이자지급기일 이후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
이자지급 기한 | 2024년 03월 16일, 2024년 04월 16일, 2024년 05월 16일, 2024년 06월 16일, 2024년 07월 16일, 2024년 08월 16일, 2024년 09월 16일, 2024년 10월 16일, 2024년 11월 16일, 2024년 12월 16일, 2025년 01월 16일, 2025년 02월 16일. | |
신용평가 등급 | 평가회사명 | 한국신용평가(주) / 한국기업평가(주) |
평가일자 | 2024년 01월 31일 / 2024년 01월 31일 | |
평가결과등급 | BBB0 / BBB0 | |
주관회사의 분석 | 주관회사명 | 신한투자증권(주) |
분석일자 | 2024년 02월 02일 | |
상환방법 및 기한 | 상 환 방 법 | "본 사채"의 원금은 2025년 02월 16일에 일시 상환한다. 단, 원금상환기일이 은행의 휴업일에 해당할 경우 그 다음 영업일을 상환기일로 하고, 원금상환기일 이후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원금상환의무와 이자지급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한 때에는 동 원리금에 대하여 연체이자를 지급한다. 이 경우 연체이자는 지급일 익일부터 실제 지급일까지의 경과기간에 대하여 서울특별시에 본점을 두고 있는 시중은행의 연체대출이율 중 최고이율을 적용하되, 동 연체 대출 최고 이율이 사채이자율을 하회하는 경우에는 사채 이자율을 적용한다.) |
상 환 기 한 | 2025년 02월 16일 | |
납 입 기 일 | 2024년 02월 16일 | |
등 록 기 관 | 한국예탁결제원 | |
원리금 지급대행기관 | 회 사 명 | (주)하나은행 상암DMC지점 JTBC 출장소 |
회사고유번호 | 00130897 | |
기 타 사 항 | ▶ 본 사채의 발행과 관련하여 2024년 01월 19일 신한투자증권(주)와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사채를 한국예탁결제원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전자등록하므로, 실물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하며, 등록필증의 교부 등이 존재하지 않음. ▶ 본 사채는 사채권을 발행하지 않으므로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39조에 의거 전자등록주식 등의 소유자가 권리행사를 위하여 계좌관리기관을 통해 신청하는 경우 전자등록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소유자증명서"를 발행하여야 함.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전자등록되므로, 등록 말소 시 사채권발행을 청구할 수 없음 ▶ 본 사채는 실물발행이 아닌 전자등록에 의한 발행이므로 인수수량의 기재가 불가능하나, 이해상의 편의를 위해 10,000원을 수량의 1단위로 기재함. ▶ 본 사채의 상장신청예정일은 2024년 02월 13일이며, 상장예정일은 2024년 02월 16일임. |
주1) 본 사채는 2024년 02월 05일 09시부터 16시 30분까지 실시하는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전자등록총액, 모집(매출)총액, 발행가액, 이자율, 발행수익률 등이 결정될 예정입니다. 주2) 상기 기재된 가액은 예정금액이며,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제22-1회 및 제22-2회 무보증사채의 회차별 전자등록총액과 무관하게 "인수단"과의 협의 하에 전자등록총액 합계 금 팔백억(\80,000,000,000)원 이하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결정될 수 있습니다. 주3) 수요예측시 공모희망금리는 6.20%~7.20%로 합니다. 주4) 수요예측 결과에 의해 확정된 총액(전자등록총액, 모집총액, 발행가액) 및 금리, 확정된 인수인의 인수수량 및 인수금액은 2024년 02월 08일 정정신고서를 통해 공시할 예정입니다. |
회 차 : | 22-2 | (단위 : 원) |
항 목 | 내 용 | |
---|---|---|
사 채 종 목 | 무보증사채 | |
구 분 |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사채 | |
전 자 등 록 총 액 | 30,000,000,000 | |
할 인 율(%) | - | |
발행수익률(%) | - | |
모집 또는 매출가액 | 사채 전자등록총액의 100%로 한다. | |
모집 또는 매출총액 | 30,000,000,000 | |
각 사채의 금액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사채를 전자등록으로 발행하므로 사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함. | |
이자율 | 연리이자율(%) | - |
변동금리부사채이자율 | - | |
이자지급 방법 및 기한 | 이자지급 방법 | 이자는 "본 사채" 발행일로부터 원금상환기일 전일까지 계산하고, 매 1개월마다 "본 사채"의 이율을 적용한 연간 이자의 1/12씩 분할 후급하여 아래의 이자지급기일에 지급한다. 이자지급기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그 다음 영업일에 이자를 지급하되, 이자지급기일 이후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
이자지급 기한 | 2024년 03월 16일, 2024년 04월 16일, 2024년 05월 16일, 2024년 06월 16일, 2024년 07월 16일, 2024년 08월 16일, 2024년 09월 16일, 2024년 10월 16일, 2024년 11월 16일, 2024년 12월 16일, 2025년 01월 16일, 2025년 02월 16일, 2025년 03월 16일, 2025년 04월 16일, 2025년 05월 16일, 2025년 06월 16일, 2025년 07월 16일, 2025년 08월 16일, 2025년 09월 16일, 2025년 10월 16일, 2025년 11월 16일, 2025년 12월 16일, 2026년 01월 16일, 2026년 02월 16일. | |
신용평가 등급 | 평가회사명 | 한국신용평가(주) / 한국기업평가(주) |
평가일자 | 2024년 01월 31일 / 2024년 01월 31일 | |
평가결과등급 | BBB0 / BBB0 | |
주관회사의 분석 | 주관회사명 | 신한투자증권(주) |
분석일자 | 2024년 02월 02일 | |
상환방법 및 기한 | 상 환 방 법 | "본 사채"의 원금은 2026년 02월 16일에 일시 상환한다. 단, 원금상환기일이 은행의 휴업일에 해당할 경우 그 다음 영업일을 상환기일로 하고, 원금상환기일 이후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원금상환의무와 이자지급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한 때에는 동 원리금에 대하여 연체이자를 지급한다. 이 경우 연체이자는 지급일 익일부터 실제 지급일까지의 경과기간에 대하여 서울특별시에 본점을 두고 있는 시중은행의 연체대출이율 중 최고이율을 적용하되, 동 연체 대출 최고 이율이 사채이자율을 하회하는 경우에는 사채 이자율을 적용한다.) |
상 환 기 한 | 2026년 02월 16일 | |
납 입 기 일 | 2024년 02월 16일 | |
등 록 기 관 | 한국예탁결제원 | |
원리금 지급대행기관 | 회 사 명 | (주)하나은행 상암DMC지점 JTBC 출장소 |
회사고유번호 | 00130897 | |
기 타 사 항 | ▶ 본 사채의 발행과 관련하여 2024년 01월 19일 신한투자증권(주)와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사채를 한국예탁결제원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전자등록하므로, 실물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하며, 등록필증의 교부 등이 존재하지 않음. ▶ 본 사채는 사채권을 발행하지 않으므로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39조에 의거 전자등록주식 등의 소유자가 권리행사를 위하여 계좌관리기관을 통해 신청하는 경우 전자등록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소유자증명서"를 발행하여야 함.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전자등록되므로, 등록 말소 시 사채권발행을 청구할 수 없음 ▶ 본 사채는 실물발행이 아닌 전자등록에 의한 발행이므로 인수수량의 기재가 불가능하나, 이해상의 편의를 위해 10,000원을 수량의 1단위로 기재함. ▶ 본 사채의 상장신청예정일은 2024년 02월 13일이며, 상장예정일은 2024년 02월 16일임. |
주1) 본 사채는 2024년 02월 05일 09시부터 16시 30분까지 실시하는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전자등록총액, 모집(매출)총액, 발행가액, 이자율, 발행수익률 등이 결정될 예정입니다. 주2) 상기 기재된 가액은 예정금액이며,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제22-1회 및 제22-2회 무보증사채의 회차별 전자등록총액과 무관하게 "인수단"과의 협의 하에 전자등록총액 합계 금 팔백억(\80,000,000,000)원 이하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결정될 수 있습니다. 주3) 수요예측시 공모희망금리는 6.90%~7.90%로 합니다. 주4) 수요예측 결과에 의해 확정된 총액(전자등록총액, 모집총액, 발행가액) 및 금리, 확정된 인수인의 인수수량 및 인수금액은 2024년 02월 08일 정정신고서를 통해 공시할 예정입니다. |
(주2) 정정 후
회 차 : | 22-1 | (단위 : 원) |
항 목 | 내 용 | |
---|---|---|
사 채 종 목 | 무보증사채 | |
구 분 |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사채 | |
전 자 등 록 총 액 | 17,000,000,000 | |
할 인 율(%) | - | |
발행수익률(%) | 7.00 | |
모집 또는 매출가액 | 사채 전자등록총액의 100%로 한다. | |
모집 또는 매출총액 | 17,000,000,000 | |
각 사채의 금액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사채를 전자등록으로 발행하므로 사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함. | |
이자율 | 연리이자율(%) | 7.00 |
변동금리부사채이자율 | - | |
이자지급 방법 및 기한 | 이자지급 방법 | 이자는 "본 사채" 발행일로부터 원금상환기일 전일까지 계산하고, 매 1개월마다 "본 사채"의 이율을 적용한 연간 이자의 1/12씩 분할 후급하여 아래의 이자지급기일에 지급한다. 이자지급기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그 다음 영업일에 이자를 지급하되, 이자지급기일 이후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
이자지급 기한 | 2024년 03월 16일, 2024년 04월 16일, 2024년 05월 16일, 2024년 06월 16일, 2024년 07월 16일, 2024년 08월 16일, 2024년 09월 16일, 2024년 10월 16일, 2024년 11월 16일, 2024년 12월 16일, 2025년 01월 16일, 2025년 02월 16일. | |
신용평가 등급 | 평가회사명 | 한국신용평가(주) / 한국기업평가(주) |
평가일자 | 2024년 01월 31일 / 2024년 01월 31일 | |
평가결과등급 | BBB0 / BBB0 | |
주관회사의 분석 | 주관회사명 | 신한투자증권(주) |
분석일자 | 2024년 02월 02일 | |
상환방법 및 기한 | 상 환 방 법 | "본 사채"의 원금은 2025년 02월 16일에 일시 상환한다. 단, 원금상환기일이 은행의 휴업일에 해당할 경우 그 다음 영업일을 상환기일로 하고, 원금상환기일 이후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원금상환의무와 이자지급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한 때에는 동 원리금에 대하여 연체이자를 지급한다. 이 경우 연체이자는 지급일 익일부터 실제 지급일까지의 경과기간에 대하여 서울특별시에 본점을 두고 있는 시중은행의 연체대출이율 중 최고이율을 적용하되, 동 연체 대출 최고 이율이 사채이자율을 하회하는 경우에는 사채 이자율을 적용한다.) |
상 환 기 한 | 2025년 02월 16일 | |
납 입 기 일 | 2024년 02월 16일 | |
등 록 기 관 | 한국예탁결제원 | |
원리금 지급대행기관 | 회 사 명 | (주)하나은행 상암DMC지점 JTBC 출장소 |
회사고유번호 | 00130897 | |
기 타 사 항 | ▶ 본 사채의 발행과 관련하여 2024년 01월 19일 신한투자증권(주)와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사채를 한국예탁결제원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전자등록하므로, 실물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하며, 등록필증의 교부 등이 존재하지 않음. ▶ 본 사채는 사채권을 발행하지 않으므로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39조에 의거 전자등록주식 등의 소유자가 권리행사를 위하여 계좌관리기관을 통해 신청하는 경우 전자등록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소유자증명서"를 발행하여야 함.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전자등록되므로, 등록 말소 시 사채권발행을 청구할 수 없음 ▶ 본 사채는 실물발행이 아닌 전자등록에 의한 발행이므로 인수수량의 기재가 불가능하나, 이해상의 편의를 위해 10,000원을 수량의 1단위로 기재함. ▶ 본 사채의 상장신청예정일은 2024년 02월 13일이며, 상장예정일은 2024년 02월 16일임. |
(삭제) |
회 차 : | 22-2 | (단위 : 원) |
항 목 | 내 용 | |
---|---|---|
사 채 종 목 | 무보증사채 | |
구 분 |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사채 | |
전 자 등 록 총 액 | 52,000,000,000 | |
할 인 율(%) | - | |
발행수익률(%) | 7.40 | |
모집 또는 매출가액 | 사채 전자등록총액의 100%로 한다. | |
모집 또는 매출총액 | 52,000,000,000 | |
각 사채의 금액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사채를 전자등록으로 발행하므로 사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함. | |
이자율 | 연리이자율(%) | 7.40 |
변동금리부사채이자율 | - | |
이자지급 방법 및 기한 | 이자지급 방법 | 이자는 "본 사채" 발행일로부터 원금상환기일 전일까지 계산하고, 매 1개월마다 "본 사채"의 이율을 적용한 연간 이자의 1/12씩 분할 후급하여 아래의 이자지급기일에 지급한다. 이자지급기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그 다음 영업일에 이자를 지급하되, 이자지급기일 이후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
이자지급 기한 | 2024년 03월 16일, 2024년 04월 16일, 2024년 05월 16일, 2024년 06월 16일, 2024년 07월 16일, 2024년 08월 16일, 2024년 09월 16일, 2024년 10월 16일, 2024년 11월 16일, 2024년 12월 16일, 2025년 01월 16일, 2025년 02월 16일, 2025년 03월 16일, 2025년 04월 16일, 2025년 05월 16일, 2025년 06월 16일, 2025년 07월 16일, 2025년 08월 16일, 2025년 09월 16일, 2025년 10월 16일, 2025년 11월 16일, 2025년 12월 16일, 2026년 01월 16일, 2026년 02월 16일. | |
신용평가 등급 | 평가회사명 | 한국신용평가(주) / 한국기업평가(주) |
평가일자 | 2024년 01월 31일 / 2024년 01월 31일 | |
평가결과등급 | BBB0 / BBB0 | |
주관회사의 분석 | 주관회사명 | 신한투자증권(주) |
분석일자 | 2024년 02월 02일 | |
상환방법 및 기한 | 상 환 방 법 | "본 사채"의 원금은 2026년 02월 16일에 일시 상환한다. 단, 원금상환기일이 은행의 휴업일에 해당할 경우 그 다음 영업일을 상환기일로 하고, 원금상환기일 이후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원금상환의무와 이자지급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한 때에는 동 원리금에 대하여 연체이자를 지급한다. 이 경우 연체이자는 지급일 익일부터 실제 지급일까지의 경과기간에 대하여 서울특별시에 본점을 두고 있는 시중은행의 연체대출이율 중 최고이율을 적용하되, 동 연체 대출 최고 이율이 사채이자율을 하회하는 경우에는 사채 이자율을 적용한다.) |
상 환 기 한 | 2026년 02월 16일 | |
납 입 기 일 | 2024년 02월 16일 | |
등 록 기 관 | 한국예탁결제원 | |
원리금 지급대행기관 | 회 사 명 | (주)하나은행 상암DMC지점 JTBC 출장소 |
회사고유번호 | 00130897 | |
기 타 사 항 | ▶ 본 사채의 발행과 관련하여 2024년 01월 19일 신한투자증권(주)와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사채를 한국예탁결제원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전자등록하므로, 실물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하며, 등록필증의 교부 등이 존재하지 않음. ▶ 본 사채는 사채권을 발행하지 않으므로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39조에 의거 전자등록주식 등의 소유자가 권리행사를 위하여 계좌관리기관을 통해 신청하는 경우 전자등록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소유자증명서"를 발행하여야 함.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전자등록되므로, 등록 말소 시 사채권발행을 청구할 수 없음 ▶ 본 사채는 실물발행이 아닌 전자등록에 의한 발행이므로 인수수량의 기재가 불가능하나, 이해상의 편의를 위해 10,000원을 수량의 1단위로 기재함. ▶ 본 사채의 상장신청예정일은 2024년 02월 13일이며, 상장예정일은 2024년 02월 16일임. |
(삭제) |
(주3) 추가 기재
라. 수요예측결과
① 수요예측 참여 내역
[회 차 : 제22-1회] | (단위 : 건, 억원) |
구분 | 국내 기관투자자 | 외국 기관투자자 | 합계 | ||||
---|---|---|---|---|---|---|---|
운용사(집합) | 투자매매 중개업자 | 연기금, 운용사(고유), 은행, 보험 | 기타 | 거래실적 유* | 거래실적 무 | ||
건수 | - | 10 | - | - | - | - | 10 |
수량 | - | 230 | - | - | - | - | 230 |
경쟁률 | - | 2.30 : 1 | - | - | - | - | 2.30 : 1 |
주1) 단순경쟁률은 최초 발행예정금액 대비 산출한 수치임 |
주2) 운용사(집합)은 투자일임재산 계정 및 집합투자재산 계정의 참여내역을 의미함 |
*) 인수인(해외현지법인 및 해외지점을 포함한다)과 거래관계가 있거나 인수인이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기관투자자 |
[회 차 : 제22-2회] | (단위 : 건, 억원) |
구분 | 국내 기관투자자 | 외국 기관투자자 | 합계 | ||||
---|---|---|---|---|---|---|---|
운용사(집합) | 투자매매 중개업자 | 연기금, 운용사(고유), 은행, 보험 | 기타 | 거래실적 유* | 거래실적 무 | ||
건수 | 5 | 18 | - | - | - | - | 23 |
수량 | 160 | 540 | - | - | - | - | 700 |
경쟁률 | 0.53 : 1 | 1.80 : 1 | - | - | - | - | 2.33 : 1 |
주1) 단순경쟁률은 최초 발행예정금액 대비 산출한 수치임 |
주2) 운용사(집합)은 투자일임재산 계정 및 집합투자재산 계정의 참여내역을 의미함 |
*) 인수인(해외현지법인 및 해외지점을 포함한다)과 거래관계가 있거나 인수인이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기관투자자 |
② 수요예측 신청가격 분포
[회 차 : 제22-1회] | (단위 : 건, 억원) |
구분 | 국내 기관투자자 | 외국 기관투자자 | 합계 | 누적합계 | 유효수요 | |||||||||||||
---|---|---|---|---|---|---|---|---|---|---|---|---|---|---|---|---|---|---|
운용사(집합) | 투자매매 중개업자 | 연기금, 운용사(고유), 은행, 보험 | 기타 | 거래실적 유* | 거래실적 무 |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비율 | 누적수량 | 누적비율 | ||
6.80% | - | - | 2 | 40 | - | - | - | - | - | - | - | - | 2 | 40 | 17.39% | 40 | 17.39% | 포함 |
6.90% | - | - | 1 | 10 | - | - | - | - | - | - | - | - | 1 | 10 | 4.35% | 50 | 21.74% | 포함 |
6.99% | - | - | 1 | 70 | - | - | - | - | - | - | - | - | 1 | 70 | 30.43% | 120 | 52.17% | 포함 |
7.00% | - | - | 2 | 50 | - | - | - | - | - | - | - | - | 2 | 50 | 21.74% | 170 | 73.91% | 포함 |
7.10% | - | - | 1 | 10 | - | - | - | - | - | - | - | - | 1 | 10 | 4.35% | 180 | 78.26% | 포함 |
7.17% | - | - | 1 | 10 | - | - | - | - | - | - | - | - | 1 | 10 | 4.35% | 190 | 82.61% | 포함 |
7.18% | - | - | 1 | 20 | - | - | - | - | - | - | - | - | 1 | 20 | 8.70% | 210 | 91.30% | 포함 |
7.20% | - | - | 1 | 20 | - | - | - | - | - | - | - | - | 1 | 20 | 8.70% | 230 | 100.00% | 포함 |
합계 | - | - | 10 | 230 | - | - | - | - | - | - | - | - | 10 | 230 | 100.00% | - | - | - |
주) 운용사(집합)은 투자일임재산 계정 및 집합투자재산 계정의 참여내역을 의미함 |
*) 인수인(해외현지법인 및 해외지점을 포함한다)과 거래관계가 있거나 인수인이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기관투자자 |
[회 차 : 제22-2회] | (단위 : 건, 억원) |
구분 | 국내 기관투자자 | 외국 기관투자자 | 합계 | 누적합계 | 유효수요 | |||||||||||||
---|---|---|---|---|---|---|---|---|---|---|---|---|---|---|---|---|---|---|
운용사(집합) | 투자매매 중개업자 | 연기금, 운용사(고유), 은행, 보험 | 기타 | 거래실적 유* | 거래실적 무 |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비율 | 누적수량 | 누적비율 | ||
6.90% | - | - | 1 | 30 | - | - | - | - | - | - | - | - | 1 | 30 | 4.29% | 30 | 4.29% | 포함 |
7.00% | 1 | 50 | 1 | 20 | - | - | - | - | - | - | - | - | 2 | 70 | 10.00% | 100 | 14.29% | 포함 |
7.05% | - | - | 1 | 10 | - | - | - | - | - | - | - | - | 1 | 10 | 1.43% | 110 | 15.71% | 포함 |
7.10% | - | - | 1 | 30 | - | - | - | - | - | - | - | - | 1 | 30 | 4.29% | 140 | 20.00% | 포함 |
7.19% | - | - | 1 | 10 | - | - | - | - | - | - | - | - | 1 | 10 | 1.43% | 150 | 21.43% | 포함 |
7.20% | - | - | 2 | 120 | - | - | - | - | - | - | - | - | 2 | 120 | 17.14% | 270 | 38.57% | 포함 |
7.29% | - | - | 1 | 10 | - | - | - | - | - | - | - | - | 1 | 10 | 1.43% | 280 | 40.00% | 포함 |
7.30% | - | - | 1 | 90 | - | - | - | - | - | - | - | - | 1 | 90 | 12.86% | 370 | 52.86% | 포함 |
7.39% | - | - | 2 | 20 | - | - | - | - | - | - | - | - | 2 | 20 | 2.86% | 390 | 55.71% | 포함 |
7.40% | 2 | 90 | 1 | 40 | - | - | - | - | - | - | - | - | 3 | 130 | 18.57% | 520 | 74.29% | 포함 |
7.49% | 1 | 40 | - | - | - | - | - | - | - | - | 1 | 40 | 5.71% | 560 | 80.00% | 포함 | ||
7.50% | 1 | 10 | 2 | 60 | - | - | - | - | - | - | - | - | 3 | 70 | 10.00% | 630 | 90.00% | 포함 |
7.58% | 1 | 20 | - | - | - | - | - | - | - | - | 1 | 20 | 2.86% | 650 | 92.86% | 포함 | ||
7.80% | 1 | 10 | 1 | 10 | - | - | - | - | - | - | - | - | 2 | 20 | 2.86% | 670 | 95.71% | 포함 |
7.87% | 1 | 30 | - | - | - | - | - | - | - | - | 1 | 30 | 4.29% | 700 | 100.00% | 포함 | ||
합계 | 5 | 160 | 18 | 540 | - | - | - | - | - | - | - | - | 23 | 700 | 100.00% | - | - | - |
주) 운용사(집합)은 투자일임재산 계정 및 집합투자재산 계정의 참여내역을 의미함 |
*) 인수인(해외현지법인 및 해외지점을 포함한다)과 거래관계가 있거나 인수인이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기관투자자 |
③ 수요예측 상세 분포현황
[회 차 : 제22-1회] | (단위: 억원) |
수요예측 참여자 | ㈜콘텐트리중앙 제22-1회 무보증사채 수요예측 참여금리 | 합계 | |||||||
---|---|---|---|---|---|---|---|---|---|
6.80% | 6.90% | 6.99% | 7.00% | 7.10% | 7.17% | 7.18% | 7.20% | ||
기관투자자1 | 20 | - | - | - | - | - | - | - | 20 |
기관투자자2 | 20 | - | - | - | - | - | - | - | 20 |
기관투자자3 | - | 10 | - | - | - | - | - | - | 10 |
기관투자자4 | - | - | 70 | - | - | - | - | - | 70 |
기관투자자5 | - | - | - | 40 | - | - | - | - | 40 |
기관투자자6 | - | - | - | 10 | - | - | - | - | 10 |
기관투자자7 | - | - | - | - | 10 | - | - | - | 10 |
기관투자자8 | - | - | - | - | - | 10 | - | - | 10 |
기관투자자9 | - | - | - | - | - | - | 20 | - | 20 |
기관투자자10 | - | - | - | - | - | - | - | 20 | 20 |
합계 | 40 | 10 | 70 | 50 | 10 | 10 | 20 | 20 | 230 |
[회 차 : 제22-2회] | (단위: 억원) |
수요예측 참여자 | ㈜콘텐트리중앙 제22-2회 무보증사채 수요예측 참여금리 | 합계 | ||||||||||||||
---|---|---|---|---|---|---|---|---|---|---|---|---|---|---|---|---|
6.90% | 7.00% | 7.05% | 7.10% | 7.19% | 7.20% | 7.29% | 7.30% | 7.39% | 7.40% | 7.49% | 7.50% | 7.58% | 7.80% | 7.87% | ||
기관투자자1 | 3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
기관투자자2 | - | 50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 |
기관투자자3 | - | 20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
기관투자자4 | - | - | 10 | - | - | - | - | - | - | - | - | - | - | - | - | 10 |
기관투자자5 | - | - | - | 30 | - | - | - | - | - | - | - | - | - | - | - | 30 |
기관투자자6 | - | - | - | - | 10 | - | - | - | - | - | - | - | - | - | - | 10 |
기관투자자7 | - | - | - | - | - | 70 | - | - | - | - | - | - | - | - | - | 70 |
기관투자자8 | - | - | - | - | - | 50 | - | - | - | - | - | - | - | - | - | 50 |
기관투자자9 | - | - | - | - | - | - | 10 | - | - | - | - | - | - | - | - | 10 |
기관투자자10 | - | - | - | - | - | - | - | 90 | - | - | - | - | - | - | - | 90 |
기관투자자11 | - | - | - | - | - | - | - | - | 10 | - | - | - | - | - | - | 10 |
기관투자자12 | - | - | - | - | - | - | - | - | 10 | - | - | - | - | - | - | 10 |
기관투자자13 | - | - | - | - | - | - | - | - | - | 60 | - | - | - | - | - | 60 |
기관투자자14 | - | - | - | - | - | - | - | - | - | 40 | - | - | - | - | - | 40 |
기관투자자15 | - | - | - | - | - | - | - | - | - | 30 | - | - | - | - | - | 30 |
기관투자자16 | - | - | - | - | - | - | - | - | - | - | 40 | - | - | - | - | 40 |
기관투자자17 | - | - | - | - | - | - | - | - | - | - | - | 50 | - | - | - | 50 |
기관투자자18 | - | - | - | - | - | - | - | - | - | - | - | 10 | - | - | - | 10 |
기관투자자19 | - | - | - | - | - | - | - | - | - | - | - | - | 20 | - | - | 20 |
기관투자자20 | - | - | - | - | - | - | - | - | - | - | - | - | 10 | - | - | 10 |
기관투자자21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 - | 10 |
기관투자자2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 30 |
기관투자자2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 10 |
합계 | 30 | 70 | 10 | 30 | 10 | 120 | 10 | 90 | 20 | 130 | 40 | 60 | 30 | 10 | 40 | 700 |
④ 유효수요의 범위, 판단기준, 판단근거 및 최종 발행 금리에서의 반영
구 분 | 내 용 |
---|---|
유효수요의 정의 | "유효수요"란, 공모금리 결정 시, 과도하게 높거나 낮은 금리로 참여한 물량을 제외한 물량 |
유효수요의 범위 | 공모희망금리 상단 이자율 이내로 수요예측에 참여한 모든 물량 |
유효수요 산정 근거 | [수요예측 신청현황] ① 제22-1회 무보증사채 - 총 참여신청금액: 230억원 - 총 참여신청범위: 6.80%~7.20% - 총 참여신청건수: 10건 - 공모희망금리 내 참여신청건수: 10건 - 공모희망금리 내 참여신청금액: 230억원 ② 제22-2회 무보증사채 - 총 참여신청금액: 700억원 - 총 참여신청범위: 6.90%~7.87% - 총 참여신청건수: 23건 - 공모희망금리 내 참여신청건수: 23건 - 공모희망금리 내 참여신청금액: 700억원 2024년 02월 05일 실시된 수요예측에서 제22-1회 무보증사채 공모희망금액 총액인 100억원의 230%에 해당하는 230억원이 모두 공모희망금리 상단 이자율 이내로 수요예측에 참여하였으며, 제22-2회 무보증사채 공모희망금액 총액인 300억원의 233%에 해당하는 700억원이 모두 공모희망금리 상단 이자율 이내로 수요예측에 참여하였습니다. 각각의 수요예측 참여자가 제시한 금리에는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고려한 위험(발행회사의 산업 및 재무상황, 금리 및 스프레드 전망 등)이 반영되어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였고, 수요예측 참여물량 및 참여금리 수준 등을 고려하여 수요예측에 참여한 물량 중 공모희망금리 상단 이자율 이내로 수요예측에 참여한 모든 물량을 유효수요로 정의하였습니다. 발행회사와 공동대표주관회사의 합의를 통하여 발행조건을 결정하였습니다. |
최종 발행수익률 확정을 위한 수요예측 결과 반영 | 본 사채의 최종 발행금리는 앞서 산정한 유효수요의 범위 내에서 낮은 금리부터 "누적도수"로 계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발행금액과 발행금리는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최종 협의하여 결정되었습니다. - 제22-1회 무보증사채: 본 사채의 이율은 사채발행일로부터 원금상환 전일까지 사채의 전자등록금액에 대하여 연 7.00%로 합니다. - 제22-2회 무보증사채: 본 사채의 이율은 사채발행일로부터 원금상환 전일까지 사채의 전자등록금액에 대하여 연 7.40%로 합니다. |
(주4) 정정 전
가. 사채의 인수
[회 차 : 22-1] | (단위 : 원) |
인수인 | 주 소 | 인수금액 및 수수료율 | 인수조건 | |||
---|---|---|---|---|---|---|
구 분 | 명칭 | 고유번호 | 인수금액 | 수수료율 | ||
대표 | 신한투자증권 | 00138321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70 | 5,000,000,000 | 0.20% | 총액인수 |
인수 | 삼성증권 | 00104856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74길 11 | 5,000,000,000 | 0.20% | 총액인수 |
주) 본 사채의 발행가액은 수요예측 후 확정될 예정으로,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인수단"과의 협의에 의해 상기 인수인의 인수금액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
[회 차 : 22-2] | (단위 : 원) |
인수인 | 주 소 | 인수금액 및 수수료율 | 인수조건 | |||
---|---|---|---|---|---|---|
구 분 | 명칭 | 고유번호 | 인수금액 | 수수료율 | ||
대표 | 신한투자증권 | 00138321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70 | 15,000,000,000 | 0.20% | 총액인수 |
인수 | 삼성증권 | 00104856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74길 11 | 15,000,000,000 | 0.20% | 총액인수 |
주) 본 사채의 발행가액은 수요예측 후 확정될 예정으로,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인수단"과의 협의에 의해 상기 인수인의 인수금액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
나. 사채의 관리
[회 차 : 22-1] | (단위 : 원) |
사채관리회사 | 주 소 | 위탁금액 및 수수료율 | 위탁조건 | ||
---|---|---|---|---|---|
명칭 | 고유번호 | 위탁금액 | 수수료(정액) | ||
흥국증권(주) | 00380836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68 | 10,000,000,000 | 4,500,000 | - |
주) 본 사채의 발행가액은 수요예측 후 확정될 예정으로,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위탁금액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
[회 차 : 22-2] | (단위 : 원) |
사채관리회사 | 주 소 | 위탁금액 및 수수료율 | 위탁조건 | ||
---|---|---|---|---|---|
명칭 | 고유번호 | 위탁금액 | 수수료(정액) | ||
흥국증권(주) | 00380836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68 | 30,000,000,000 | 4,500,000 | - |
주) 본 사채의 발행가액은 수요예측 후 확정될 예정으로,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위탁금액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
(주4) 정정 후
가. 사채의 인수
[회 차 : 22-1] | (단위 : 원) |
인수인 | 주 소 | 인수금액 및 수수료율 | 인수조건 | |||
---|---|---|---|---|---|---|
구 분 | 명칭 | 고유번호 | 인수금액 | 수수료율 | ||
대표 | 신한투자증권 | 00138321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70 | 12,000,000,000 | 0.20% | 총액인수 |
인수 | 삼성증권 | 00104856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74길 11 | 5,000,000,000 | 0.20% | 총액인수 |
(삭제) |
[회 차 : 22-2] | (단위 : 원) |
인수인 | 주 소 | 인수금액 및 수수료율 | 인수조건 | |||
---|---|---|---|---|---|---|
구 분 | 명칭 | 고유번호 | 인수금액 | 수수료율 | ||
대표 | 신한투자증권 | 00138321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70 | 37,000,000,000 | 0.20% | 총액인수 |
인수 | 삼성증권 | 00104856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74길 11 | 15,000,000,000 | 0.20% | 총액인수 |
(삭제) |
나. 사채의 관리
[회 차 : 22-1] | (단위 : 원) |
사채관리회사 | 주 소 | 위탁금액 및 수수료율 | 위탁조건 | ||
---|---|---|---|---|---|
명칭 | 고유번호 | 위탁금액 | 수수료(정액) | ||
흥국증권(주) | 00380836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68 | 17,000,000,000 | 4,500,000 | - |
(삭제) |
[회 차 : 22-2] | (단위 : 원) |
사채관리회사 | 주 소 | 위탁금액 및 수수료율 | 위탁조건 | ||
---|---|---|---|---|---|
명칭 | 고유번호 | 위탁금액 | 수수료(정액) | ||
흥국증권(주) | 00380836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68 | 52,000,000,000 | 4,500,000 | - |
(삭제) |
(주5) 정정 전
가. 일반적인 사항
(단위 : 억원, %) |
사채의 명칭 | 사채의 종류 | 발행가액 | 이자율 | 만기일 | 비고 |
---|---|---|---|---|---|
콘텐트리중앙22-1 | 무보증사채 | 100 | 주3) | 2025-02-16 | - |
콘텐트리중앙22-2 | 무보증사채 | 300 | 주4) | 2026-02-16 | - |
합 계 | - | 400 | - | - | - |
주1) 본 사채는 2024년 02월 05일 09시부터 16시 30분까지 실시하는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전자등록총액, 모집(매출)총액, 발행가액, 이자율, 발행수익률 등이 결정될 예정입니다. 주2) 상기 기재된 가액은 예정금액이며,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제22-1회 및 제22-2회 무보증사채의 회차별 전자등록총액과 무관하게 "인수단"과의 협의 하에 전자등록총액 합계 금 팔백억(\80,000,000,000)원 이하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결정될 수 있습니다. 주3) 수요예측시 공모희망금리는 6.20%~7.20%로 합니다. 주4) 수요예측시 공모희망금리는 6.90%~7.90%로 합니다. 주5) 수요예측 결과에 의해 확정된 총액(전자등록총액, 모집총액, 발행가액) 및 금리, 확정된 인수인의 인수수량 및 인수금액은 2024년 02월 08일 정정신고서를 통해 공시할 예정입니다. |
(중략)
마. 발행회사의 의무 및 책임
구분 | 원리금 지급 | 재무비율 유지 | 담보권 설정제한 | 자산매각 한도 |
---|---|---|---|---|
내용 | 제22-1회 : 100억원 제22-2회 : 300억원 | 부채비율 800% 이하 | 자기자본의 600% 이하 | 하나의 회계연도 자산총계의 70% 이하 |
주1) 본 사채의 발행가액은 수요예측 후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원리금 지급금액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주2) 상기 재무비율 유지, 담보권 설정제한 및 자산매각 한도의 조항은 별도재무제표 기준으로 적용합니다. |
(주5) 정정 후
가. 일반적인 사항
(단위 : 억원, %) |
사채의 명칭 | 사채의 종류 | 발행가액 | 이자율 | 만기일 | 비고 |
---|---|---|---|---|---|
콘텐트리중앙22-1 | 무보증사채 | 170 | 7.00 | 2025-02-16 | - |
콘텐트리중앙22-2 | 무보증사채 | 520 | 7.40 | 2026-02-16 | - |
합 계 | - | 690 | - | - | - |
(삭제) |
(중략)
마. 발행회사의 의무 및 책임
구분 | 원리금 지급 | 재무비율 유지 | 담보권 설정제한 | 자산매각 한도 |
---|---|---|---|---|
내용 | 제22-1회 : 170억원 제22-2회 : 520억원 | 부채비율 800% 이하 | 자기자본의 600% 이하 | 하나의 회계연도 자산총계의 70% 이하 |
(삭제) 주) 상기 재무비율 유지, 담보권 설정제한 및 자산매각 한도의 조항은 별도재무제표 기준으로 적용합니다. |
(주6) 정정 전
가. 사채관리회사의 사채관리 위탁조건
[회 차 : 22-1] | (단위 : 원) |
사채관리회사 | 주 소 | 위탁금액 및 수수료율 | 위탁조건 | ||
---|---|---|---|---|---|
명칭 | 고유번호 | 위탁금액 | 수수료(정액) | ||
흥국증권(주) | 00380836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68 | 10,000,000,000 | 4,500,000 | - |
주) 본 사채의 발행가액은 수요예측 후 확정될 예정으로,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위탁금액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
[회 차 : 22-2] | (단위 : 원) |
사채관리회사 | 주 소 | 위탁금액 및 수수료율 | 위탁조건 | ||
---|---|---|---|---|---|
명칭 | 고유번호 | 위탁금액 | 수수료(정액) | ||
흥국증권(주) | 00380836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68 | 30,000,000,000 | 4,500,000 | - |
주) 본 사채의 발행가액은 수요예측 후 확정될 예정으로,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위탁금액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
(주6) 정정 후
가. 사채관리회사의 사채관리 위탁조건
[회 차 : 22-1] | (단위 : 원) |
사채관리회사 | 주 소 | 위탁금액 및 수수료율 | 위탁조건 | ||
---|---|---|---|---|---|
명칭 | 고유번호 | 위탁금액 | 수수료(정액) | ||
흥국증권(주) | 00380836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68 | 17,000,000,000 | 4,500,000 | - |
(삭제) |
[회 차 : 22-2] | (단위 : 원) |
사채관리회사 | 주 소 | 위탁금액 및 수수료율 | 위탁조건 | ||
---|---|---|---|---|---|
명칭 | 고유번호 | 위탁금액 | 수수료(정액) | ||
흥국증권(주) | 00380836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68 | 52,000,000,000 | 4,500,000 | - |
(삭제) |
(주7) 정정 전
[드라마 제작 관련 위험]
라. 국내 드라마의 제작비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이에 따른 자본 부담이 증가하고 있으며, 수익성은 드라마의 흥행 여부에 일정 부분 영향을 받기 때문에 흥행 리스크가 존재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중앙미디어 계열의 콘텐트 제작 및 국내외 유통사업을 담당하고 있어 동종업계 경쟁사 대비 안정적인 수익성을 시현하고 있으나, 당사가 제작하는 드라마가 지속적인 흥행 실패를 기록한다면 당사의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투자자분들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드라마 제작사의 경우 국내 드라마의 제작비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이에 따른 자본 부담이 증가하고 있으며, 수익성은 드라마의 흥행에 일정 부분 영향을 받기 때문에 흥행 리스크가 존재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후략)
(주7) 정정 후
[드라마 제작 관련 위험]
라.미디어 산업 전반적으로, 글로벌 OTT의 한국 시장 진출과 더불어 주연 배우들을 중심으로 최근 출연료가 상승하며, 국내 드라마의 제작비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드라마 제작사의 자본 부담이 증가하고 있으며, 수익성은 드라마의 흥행 여부에 일정 부분 영향을 받기 때문에 흥행 리스크가 존재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중앙미디어 계열의 콘텐트 제작 및 국내외 유통사업을 담당하고 있어 동종업계 경쟁사 대비 안정적인 수익성을 시현하고 있으나, 당사가 제작하는 드라마가 지속적인 흥행 실패를 기록한다면 당사의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투자자분들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미디어 산업 전반적으로, 글로벌 OTT의 한국 시장 진출과 더불어 주연 배우들을 중심으로 최근 출연료가 상승하며, 국내 드라마의 제작비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른 자본 부담이 증가하고 있으며, 수익성은 드라마의 흥행에 일정 부분 영향을 받기 때문에 흥행 리스크가 존재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후략)
(주8) 정정 전
[영업수익 및 수익성 변동 위험]
가. 당사의 매출은 콘텐트 사업 매출(드라마제작, 콘텐트유통, 영화제작/투자/배급 등), 공간 사업 매출(영화상영, 키즈놀이터 운영 등), 기타사업 매출(임대사업, IT용역 등)으로 나뉘어집니다. 경기민감도가 높은 방송사업 및 영화사업 매출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당사의 매출은 국내 경기변동 및 경제 상황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습니다. 콘텐트 매출은 2020년부터 케이블TV의 자체프로그램 제작 및 글로벌 OTT시장의 급격한 성장에 따라 증가 추세에 있으며, 2022년 매출은 약 6,040억원, 2023년 3분기 4,687억원을 달성하였습니다. 공간사업 매출의 경우 2022년 11월 인수한 키즈 실내놀이터 사업을 영위하는 플레이타임이 여름방학 성수기와 신규 출점한 베트남 챔피언 1250의 폭발적인 인기로 코로나19 이후 최대 이익을 기록하며 당사의 공간사업 부문의 매출은 2021년 기준 1,000억원에서 2022년 기준 2,159억원으로 증가하고, 2023년 3분기 2,270억까지 증가하며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2023년 3분기 영화관 관람객 감소 및 흥행작 부재 영향으로 매출이 감소했으며 비거점 지점 exit, 신규지점 오픈 등으로 인한 일시적 비용 및 투자/배급 작품의 손실이 반영되며 2023년 3분기 당기순이익은 -144억으로 전년 동기 -137억 대비 적자 폭을 확대하였습니다. 이처럼 당사의 수익성은 미디어 산업의 불확실성 및 경기 탄력성으로 인한 불확실성을 내재하고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투자시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중략)
2022년, 연결기준 당사는 콘텐트 및 공간 사업 부문에서 2021년 대비 큰 폭의 매출상승을 이루어냈으나 영업이익 적자폭은 확대되었습니다. 당사의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8,521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6,771억원 대비 25.8% 증가한 반면, 영업이익은 -716억으로 전년 -574억원 대비 적자폭이 확대되었습니다. 이후 Captive 작품의 OTT Pre-buy 확대를 통한 유통 수익과 Non Captive 시즌제 작품의 흥행으로 2023년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1.4% 증가하였으며, 2023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7,356억원, 영업손실 -159억원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적자폭을 축소시켰습니다.
플레이타임의 여름방학 성수기 효과 및 신규 출점한 베트남 챔피언1250의 폭발적인 인기로 인해 코로나 19 이후 최대 이익을 기록하며 2023년 3분기 영업이익은 64억원으로 전년 동기 -140억 대비 흑자전환에 성공했지만, 메가박스는 2023년 3분기 영화관 관람객 감소 및 흥행작 부재 영향으로 매출이 감소했으며 비거점 지점 exit, 신규지점 오픈 등으로 인한 일시적 비용 및 투자/배급 작품의 손실이 반영되며 2023년 3분기 당기순이익은 -144억으로 전년 동기 -137억 대비 적자 폭을 확대하였습니다.
2023년 4분기 및 2024년에는 모든 Captive 방영작 WWOTT 동시방영 확정 및 다수의 Non-Cap 플랫폼 지속적 다변화, Wiip 작품의 안정적 release로 인해 당사의 수익성이 회복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콘텐트 사업부문은 2023년 3분기 <힙하게> <D.P.2>, <콘트리트 유토피아> 등의 흥행작을 제작하였으며, 향후 콘텐츠 제작 역량 제고와 더불어 국내 및 글로벌 OTT로의 적극적인 유통을 통해 수익 중심의 비즈니스를 구축할 전망입니다. 특히 당사는 과거 드라마를 제작해 방송국에 우선 판매하고 흥행작만 OTT에 판매하는 기존의 유통구조에서 벗어나, 캡티브 방영작들을 글로벌 OTT 플랫폼으로 선판매를 한 후에 편성을 하는 선판매 후편성의 유통 구조로의 개편을 통해 콘텐츠 제작 수익 외에 유통대행 수수료까지 인식하는 방식으로 수익성 개선이 기대됩니다.
2023년은 연간 극장 관객 수 1.2~ 1.25억명으로 코로나19 이전인 '19 년 대비 약 54~56% 수준이 예상되나, 여전한 킬러콘텐트의 관객 동원력을 확인하는 한 해였습니다. 공간 사업부문 중 메가박스의 경우 현 수준의 시장상황이 단기적으로 유지될 것이라는 보수적인 전망 하에 비(非)거점 지점을 축소하고, 거점 위주의 직영점 확장으로 시장 변동성에 따른 회복탄력성을 극대화 시킬 것으로 전망됩니다.
더불어 2022년 11월에 인수한 국내 1위 키즈 실내놀이터 사업자인 플레이타임은 국내 6개 지점 폐점 및 1개 지점 리뉴얼로 국내 입장객수 및 매출 전년 동기대비 감소했으나, 2023년 3분기 매출액 180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0.7% 감소했으나, 신규 오픈한 베트남과 몽골의 '챔피언1250' 브랜드의 폭발적인 인기로 해외 매출이 성장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2023년 3분기 영업이익률 17%를 기록하였습니다. 플레이타임은 고수익 브랜드 중심으로의 선별적 출점 및 저수익 하위 브랜드의 효율화 전략을 지속하며 수익성을 제고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방송, 극장 등 미디어 산업의 불확실성 및 경기 탄력성으로 인하여 당사의 수익성은 불확실성을 내재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사업부문과 유사한 사업을 영위하는 경쟁업체의 출현은 판매 매출 단가 감소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당사가 현재와 같은 우수한 콘텐트 공급 및 영화 배급 실적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매출액이 감소하여 당사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하오니 투자자분들께서는 이 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주8) 정정 후
[영업수익 및 수익성 변동 위험]
가.당사의 매출은 콘텐트 사업 매출(드라마제작, 콘텐트유통, 영화제작/투자/배급 등), 공간 사업 매출(영화상영, 키즈놀이터 운영 등), 기타사업 매출(임대사업, IT용역 등)으로 나뉘어집니다. 경기민감도가 높은 방송사업 및 영화사업 매출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당사의 매출은 국내 경기변동 및 경제 상황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습니다. 콘텐트 매출은 2020년부터 케이블TV의 자체프로그램 제작 및 글로벌 OTT시장의 급격한 성장에 따라 증가 추세에 있으며, 2022년 매출은 약 6,040억원, 2023년 3분기 4,687억원을 달성하였습니다. 공간사업 매출의 경우 공간사업 매출의 경우, 역시 2021년 기준 1,000억원에서 2022년 기준 2,159억원으로 증가하고, 2023년 3분기 2,270억까지 증가하며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코로나19 기간동안 영화관 임차료 등 할인 혜택을 받았던 비용의 정상화와 비거점 지점 exit 관련 일시적 비용 등으로 판관비가 증가한데 반해, 흥행작 부재 속 더딘 영화관 관람객 회복 영향으로 영화관의 수익개선은 지연되고 있습니다. 다만, 2022년 11월 인수한 키즈 실내놀이터 사업을 영위하는 플레이타임이 여름방학 성수기와 신규 출점한 베트남 챔피언 1250의 폭발적인 인기로 코로나19 이후 최대 이익을 기록하면서 당사의 수익개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한편, 2023년 3분기 기준 영업이익은 -159억원인데 반해 당사의 당기순이익은 -786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티빙 등 당사의 지분법 인식 대상 기업의 지분법손실 약 184억원과 코로나 기간 사업특성상 영업적자를 기록할 수 밖에 없었던 자회사 메가박스중앙의 늘어난 차입금에 대한 이자비용이 증가한데 기인하였습니다. 이처럼 당사의 수익성은 미디어 산업의 불확실성 및 경기 탄력성으로 인한 불확실성을 내재하고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투자시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중략)
2022년, 연결기준 당사는 콘텐트 및 공간 사업 부문에서 2021년 대비 큰 폭의 매출상승을 이루어냈으나 영업이익 적자폭은 확대되었습니다. 당사의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8,521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6,771억원 대비 25.8% 증가한 반면, 영업이익은 -716억으로 전년 -574억원 대비 적자폭이 확대되었습니다. 이후 Captive 작품의 OTT Pre-buy 확대를 통한 유통 수익과 Non Captive 시즌제 작품의 흥행으로 2023년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1.4% 증가하였으며, 2023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7,356억원, 영업손실 -159억원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적자폭을 축소시켰습니다.
그러나, 코로나19 기간동안 영화관 임차료 등 할인 혜택을 받았던 비용의 정상화와 비거점 지점 exit 관련 일시적 비용 등으로 판관비가 증가한데 반해, 흥행작 부재 속 더딘 영화관 관람객 회복 영향으로 영화관의 수익개선은 지연되고 있습니다. 다만, 2022년 11월 인수한 키즈 실내놀이터 사업을 영위하는 플레이타임이 여름방학 성수기와 신규 출점한 베트남 챔피언 1250의 폭발적인 인기로 코로나19 이후 최대 이익을 기록하면서 당사의 수익개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2023년 4분기 및 2024년에는 모든 Captive 방영작 WWOTT 동시방영 확정 및 다수의 Non-Cap 플랫폼 지속적 다변화, Wiip 작품의 안정적 release로 인해 당사의 수익성이 회복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콘텐트 사업부문은 2023년 3분기 <힙하게> <D.P.2>, <콘트리트 유토피아> 등의 흥행작을 제작하였으며, 향후 콘텐츠 제작 역량 제고와 더불어 국내 및 글로벌 OTT로의 적극적인 유통을 통해 수익 중심의 비즈니스를 구축할 전망입니다. 특히 당사는 과거 드라마를 제작해 방송국에 우선 판매하고 흥행작만 OTT에 판매하는 기존의 유통구조에서 벗어나, 캡티브 방영작들을 글로벌 OTT 플랫폼으로 선판매를 한 후에 편성을 하는 선판매 후편성의 유통 구조로의 개편을 통해 콘텐츠 제작 수익 외에 유통대행 수수료까지 인식하는 방식으로 수익성 개선이 기대됩니다.
2023년은 연간 극장 관객 수 1.2~ 1.25억명으로 코로나19 이전인 '19 년 대비 약 54~56% 수준이 예상되나, 여전한 킬러콘텐트의 관객 동원력을 확인하는 한 해였습니다. 공간 사업부문 중 메가박스의 경우 현 수준의 시장상황이 단기적으로 유지될 것이라는 보수적인 전망 하에 비(非)거점 지점을 축소하고, 거점 위주의 직영점 확장으로 시장 변동성에 따른 회복탄력성을 극대화 시킬 것으로 전망됩니다.
더불어 2022년 11월에 인수한 국내 1위 키즈 실내놀이터 사업자인 플레이타임은 국내 6개 지점 폐점 및 1개 지점 리뉴얼로 국내 입장객수 및 매출 전년 동기대비 감소했으나, 2023년 3분기 매출액 180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0.7% 감소했으나, 신규 오픈한 베트남과 몽골의 '챔피언1250' 브랜드의 폭발적인 인기로 해외 매출이 성장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2023년 3분기 영업이익률 17%를 기록하였습니다. 플레이타임은 고수익 브랜드 중심으로의 선별적 출점 및 저수익 하위 브랜드의 효율화 전략을 지속하며 수익성을 제고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편, 2023년 3분기 기준 영업이익은 -159억원인데 반해 당사의 당기순이익은 -786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티빙 등 당사의 지분법 인식 대상 기업의 지분법손실 약 184억원과 코로나 기간 사업특성상 영업적자를 기록할 수 밖에 없었던 자회사 메가박스중앙의 늘어난 차입금에 대한 이자비용이 증가한데 기인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방송, 극장 등 미디어 산업의 불확실성 및 경기 탄력성으로 인하여 당사의 수익성은 불확실성을 내재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사업부문과 유사한 사업을 영위하는 경쟁업체의 출현은 판매 매출 단가 감소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당사가 현재와 같은 우수한 콘텐트 공급 및 영화 배급 실적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매출액이 감소하여 당사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하오니 투자자분들께서는 이 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주9) 정정 전
[재무안정성 관련 위험]
나. 당사의 2023년 3분기 기준 부채비율 및 차입금의존도는 333.58% 및 44.92%로 2022년 부채비율 274.17%, 차입금의존도 35.89% 대비 다소 상승하였습니다. 연결기준 2023년 3분기 총차입금은 1조 1,799억원으로 2022년 9,288억원 대비 27.03% 증가하였으며 그 중 1년 내 만기가 도래하는 유동성차입금의 규모는 9,024억입니다. 당사는 2023년 3분기 말 연결기준 현금및현금성자산 및 유동성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3,502억원을 보유한 가운데 유동성 차입금의 상환 부담이 존재하는 상황입니다. 한편, 2022년 당사의 자회사인 에스엘엘중앙(주)가 방송프로그램 제작 및 연예매니지먼트를 영위하는 하이지음스튜디오(주)의 주식 346억원을, 당사는 실내놀이터사업을 영위하는 플레이타임중앙(주)의 주식 1,250억원을 취득한 바 있습니다. 향후 당사의 사업 역량 강화와 신규 사업 진출을 위해 해당 건과 유사한 투자가 결정된다면 차입금이 단기간에 급증하여 당사의 재무안정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존재하오니 투자자분들께서는 이 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자회사인 메가박스의 코로나19로 인한 수익성 저하 및 에스엘엘중앙의 다수의 제작사 등에 대한 지분 투자 및 인수로 2020년말 부채비율이 459.11%까지 상승하는 등 재무안정성이 저하되었습니다. 하지만 에스엘엘중앙의 2020년 12월 Pre IPO 성격의 전환우선주 유상증자가 단행되어 2021년 3월 4,000억원 규모의 자금이 납입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연결실체인 당사의 2021년말 연결기준 부채비율 및 차입금의존도는 221.82% 및 34.51%로 2020년말 459.11%, 42.56% 대비 재무안정성이 큰 폭으로 개선되었습니다. 현재 2023년 3분기 말 연결기준 부채비율 및 차입금의존도는 333.58% 및 44.92%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2023년 3분기 말 연결기준 총 차입금은 1조 1,799억원으로 2022년 3분기 8,861억원 대비 33.15% 증가하였으며, 2022년 말 연결기준 총 차입금 9,288억원 대비 27.03% 증가한 수치 입니다. 당사의 부채비율 및 차입금의존도 등의 재무안정성 지표들의 추이는 아래와 같습니다.
(주9) 정정 후
[재무안정성 관련 위험]
나. 당사의 2023년 3분기 기준 부채비율 및 차입금의존도는 333.58% 및 44.92%로 2022년 부채비율 274.17%, 차입금의존도 35.89% 대비 다소 상승하였습니다. 연결기준 2023년 3분기 총차입금은 1조 1,799억원으로 2022년 9,288억원 대비 27.03% 증가하였으며 그 중 1년 내 만기가 도래하는 유동성차입금의 규모는 9,024억입니다. 당사는 2023년 3분기 말 연결기준 현금및현금성자산 및 유동성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3,502억원을 보유한 가운데 유동성 차입금의 상환 부담이 존재하는 상황입니다. 최근 당사의 부채비율 및 차입금의존도 상승 이유는 코로나19의 영향을 크게 받아 2020년~2022년까지 3년 연속 영업적자를 기록한 자회사 메가박스중앙의 영향이 큽니다. 지속되는 영업적자로 운영자금에 필요한 차입금 증가가 이어졌으나, 관람료 인상, 고정비 절감등을 통해 체질개선을 지속하고 있으며, <범죄도시2,3>, <서울의 봄> 등 투자/배급한 영화들이 흥행하면서 수익성 개선을 지속적으로 실현해나가고 있습니다. 이에, 22년부터 흑자전환에 성공한 플레이타임중앙 인수를 통해 극장업 외에도 공간사업의 포트폴리오를 확장하며 영업이익 달성과 재무구조 개선 시점을 앞당기고 있습니다. 한편, 2022년 당사의 자회사인 에스엘엘중앙(주)가 방송프로그램 제작 및 연예매니지먼트를 영위하는 하이지음스튜디오(주)의 주식 346억원을, 당사는 실내놀이터사업을 영위하는 플레이타임중앙(주)의 주식 1,250억원을 취득한 바 있습니다. 향후 당사의 사업 역량 강화와 신규 사업 진출을 위해 해당 건과 유사한 투자가 결정된다면 차입금이 단기간에 급증하여 당사의 재무안정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존재하오니 투자자분들께서는 이 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자회사인 메가박스의 코로나19로 인한 수익성 저하 및 에스엘엘중앙의 다수의 제작사 등에 대한 지분 투자 및 인수로 2020년말 부채비율이 459.11%까지 상승하는 등 재무안정성이 저하되었습니다. 하지만 에스엘엘중앙의 2020년 12월 Pre IPO 성격의 전환우선주 유상증자가 단행되어 2021년 3월 4,000억원 규모의 자금이 납입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연결실체인 당사의 2021년말 연결기준 부채비율 및 차입금의존도는 221.82% 및 34.51%로 2020년말 459.11%, 42.56% 대비 재무안정성이 큰 폭으로 개선되었습니다. 현재 2023년 3분기 말 연결기준 부채비율 및 차입금의존도는 333.58% 및 44.92%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2023년 3분기 말 연결기준 총 차입금은 1조 1,799억원으로 2022년 3분기 8,861억원 대비 33.15% 증가하였으며, 2022년 말 연결기준 총 차입금 9,288억원 대비 27.03% 증가한 수치 입니다. 최근 당사의 부채비율 및 차입금의존도 상승 이유는 코로나19의 영향을 크게 받아 2020년~2022년까지 3년 연속 영업적자를 기록한 자회사 메가박스중앙의 영향이 큽니다. 지속되는 영업적자로 운영자금에 필요한 차입금 증가가 이어졌으나, 관람료 인상, 고정비 절감등을 통해 체질개선을 지속하고 있으며, <범죄도시2,3>, <서울의 봄> 등 투자/배급한 영화들이 흥행하면서 수익성 개선을 지속적으로 실현해나가고 있습니다. 이에, 22년부터 흑자전환에 성공한 플레이타임중앙 인수를 통해 극장업 외에도 공간사업의 포트폴리오를 확장하며 영업이익 달성과 재무구조 개선 시점을 앞당기고 있습니다. 당사의 부채비율 및 차입금의존도 등의 재무안정성 지표들의 추이는 아래와 같습니다.
(후략)
(주10) 정정 전
[현금흐름 관련 위험]
다. 당사가 영위하는 산업의 특성상 영업상의 재고자산, 매입채무는 매우 미미하고 자회사인 에스엘엘중앙과 메가박스의 매출채권과 외주제작과 관련된 미지급금이 운전자본의 핵심입니다. 당사는 2023년 3분기말 연결기준 영업활동현금흐름 -797억원, 투자활동현금흐름 -68억원, 재무활동현금흐름 +2,018억원으로 총 1,166억원의 현금이 증가하여 당분기 말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3,23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당사는 중간지주회사로서 현금흐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자회사의 현금흐름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자회사의 업황 변동에 따른 영업현금흐름 변화 및 지속적인 투자지출로 운전자금 부담이 확대되거나, 자회사의 매출채권에 대한 결제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당사의 유동성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분들께서는 이 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중략)
또한, 당사의 2023년 3분기말 연결기준 차입금 1조 1,799억원 중 1년 이내 만기가 도래하는 유동성차입금의 규모는 9,024억원 수준입니다. 한편 동시점 당사가 보유한 유동자산 6,685억원 중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3,239억원 수준으로, 해당 차입금의 이자비용에 대한 유동성 대응은 가능할 전망입니다.
당사는 중간지주회사로서 현금흐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자회사의 현금흐름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자회사의 업황 변동에 따른 영업현금흐름 변화 및 지속적인 투자지출로 운전자금 부담이 확대되거나, 자회사의 매출채권에 대한 결제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당사의 유동성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분들께서는 이 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주10) 정정 후
[현금흐름 관련 위험]
다. 당사가 영위하는 산업의 특성상 영업상의 재고자산, 매입채무는 매우 미미하고 자회사인 에스엘엘중앙과 메가박스의 매출채권과 외주제작과 관련된 미지급금이 운전자본의 핵심입니다. 당사는 2023년 3분기말 연결기준 영업활동현금흐름 -797억원, 투자활동현금흐름 -68억원, 재무활동현금흐름 +2,018억원으로 총 1,166억원의 현금이 증가하여 당분기 말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3,23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또한, 당사의 2023년 3분기말 연결기준 차입금 1조 1,799억원 중 1년 이내 만기가 도래하는 유동성차입금의 규모는 9,024억원 수준이며 동시점 당사 보유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3,239억원으로 자체 채무상환 재원은 유동성차입금을 다소 하회합니다. 그러나 당사의 유동성차입금은 회사채 상당부분의 만기 도래에 기인한 것이며, 자회사의 안정적인 사업구조 등을 감안한다면 차환 등의 대응에 무리가 없을 전망입니다. 또한 단기차입금의 경우 당사와 오랜기간 동안 거래를 맺어온 주거래은행으로부터의 일반자금 대출로, 만기연장에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추가로, 당사가 보유한 에스엘엘중앙 지분과 투자부동산의 가치는 장부금액(2023년 3분기말 기준 각 2,226억원, 585억원)을 크게 상회함에 따라 보유 자산가치에 기반한 재무적 융통성이 인정되며, 이외 담보로 제공되지 않은 자산 등의 자금 및 코스피 상장사로서의 자본시장 접근성 등을 감안시 유동성 대응능력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러나 당사는 중간지주회사로서 현금흐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자회사의 현금흐름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자회사의 업황 변동에 따른 영업현금흐름 변화 및 지속적인 투자지출로 운전자금 부담이 확대되거나, 자회사의 매출채권에 대한 결제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당사의 유동성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분들께서는 이 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중략)
또한, 당사의 2023년 3분기말 연결기준 차입금 1조 1,799억원 중 1년 이내 만기가 도래하는 유동성차입금의 규모는 9,024억원 수준입니다. 한편 동시점 당사 보유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3,239억원으로 자체 채무상환 재원은 유동성차입금을 다소 하회합니다. 그러나 당사의 유동성차입금은 회사채 상당부분의 만기 도래에 기인한 것이며, 자회사의 안정적인 사업구조 등을 감안한다면 차환 등의 대응에 무리가 없을 전망입니다. 또한 단기차입금의 경우 당사와 오랜기간 동안 거래를 맺어온 주거래은행으로부터의 일반자금 대출로, 만기연장에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추가로, 당사가 보유한 에스엘엘중앙 지분과 투자부동산의 가치는 장부금액(2023년 3분기말 기준 각 2,226억원, 585억원)을 크게 상회함에 따라 보유 자산가치에 기반한 재무적 융통성이 인정되며, 이외 담보로 제공되지 않은 자산 등의 자금 및 코스피 상장사로서의 자본시장 접근성 등을 감안시 유동성 대응능력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와 더불어 당사는 자회사 메가박스중앙의 지점운영 효율화 및 직영점 중심의 거점 전략과 에스엘엘중앙의 글로벌 OTT와의 권역별 판매 전략 등을 틍해 수익률을 극대화 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당사는 중간지주회사로서 현금흐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자회사의 현금흐름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자회사의 업황 변동에 따른 영업현금흐름 변화 및 지속적인 투자지출로 운전자금 부담이 확대되거나, 자회사의 매출채권에 대한 결제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당사의 유동성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분들께서는 이 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주11) 추가 기재
2. 회사위험
[당사 2023년 결산 실적 공시 관련 위험]
바. 당사는 2024년 02월 0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공시를 통해 2023년 4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하였습니다. 당사가 공시한 2023년 연결기준 잠정 누계 매출액은 9,925억원, 잠정 누계 영업이익은 -655억원, 잠정 누계 당기순이익은 -1,371원입니다. 당사의 2023년 연결기준 잠정 누계 매출액은 2022년 대비 16.5% 증가하였고, 2023년 연결기준 잠정 누계 영업이익은 2022년 대비 8.5% 증가하였으나, 2023년 잠정 누계 당기순이익은 2022년 대비 -72.1% 감소하였습니다. 당사는 2024년 02월 07일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 30%(대규모법인 15%)이상 변경' 보고서를 함께 공시하였습니다. 이러한 실적 감소는 차입금 증가에 따른 이자비용 증가 및 영업권 손상차손 등으로 인해 당기순이익 적자폭을 확대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당사가 공시한 2023년 결산 잠정실적은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K-IFRS)을 준수하여 작성되었으며, 외부감사인의 회계검토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로 검토 후 확정 실적과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당사는 본 증권신고서를 작성함에 있어서 외부감사인의 검토를 받은 2023년 3분기 분기보고서를 주요 기반으로 작성하였으니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당사의 2023년 실적과 관련한 확정 수치 및 자세한 내용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 사업보고서(2023.12)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2024년 02월 0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공시를 통해 2023년 4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하였습니다.
[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
※ 동 정보는 잠정치로서 향후 확정치와는 다를 수 있음. | ||||||
1. 연결실적내용 | 단위 : 백만원, % | |||||
구분 | 당기실적 | 전기실적 | 전기대비증감율(%) | 전년동기실적 | 전년동기대비증감율(%) | |
('23.4Q) | ('23.3Q) | ('22.4Q) | ||||
매출액 | 당해실적 | 256,935 | 269,038 | -4.5% | 246,031 | 4.4% |
누계실적 | 992,486 | 735,551 | - | 852,051 | 16.5% | |
영업이익 | 당해실적 | -49,624 | 6,502 | 적자전환 | -24,474 | -102.8% |
누계실적 | -65,524 | -15,900 | - | -71,591 | 8.5% | |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이익 | 당해실적 | -41,718 | -14,063 | -196.6% | -62,021 | 32.7% |
누계실적 | -115,448 | -73,732 | - | -85,224 | -35.5% | |
당기순이익 | 당해실적 | -58,464 | -14,398 | -306.1% | -47,456 | -23.2% |
누계실적 | -137,066 | -78,602 | - | -79,653 | -72.1% | |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순이익 | 당해실적 | -33,354 | -12,888 | -158.8% | -17,541 | -90.2% |
누계실적 | -92,379 | -59,025 | - | -42,992 | -114.9% | |
- | - | - | - | - | - | |
2. 정보제공내역 | 정보제공자 | ㈜콘텐트리중앙 IR팀 | ||||
정보제공대상자 | 애널리스트 및 기관투자자 등 | |||||
정보제공(예정)일시 | 2024년 2월 7일(수) 오후 16시 | |||||
행사명(장소) | 2023년 4분기 경영실적 발표 (컨퍼런스콜) | |||||
3. 연락처(관련부서/전화번호) | IR팀/02-751-9814 | |||||
4. 기타 투자판단과 관련한 중요사항 | ||||||
1) 본 실적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2) 상기 실적과 관련된 IR자료는 당사 홈페이지 (www.contentreej.com)의 - IR - IR자료실의 2023년 4분기 실적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 상기 실적은 외부감사인의 검토가 완료되지 않은 잠정치로서 향후 검토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
※ 관련공시 | - |
당사가 공시한 2023년 연결기준 잠정 누계 매출액은 9,925억원, 잠정 누계 영업이익은 -655억원, 잠정 누계 당기순이익은 -1,371원입니다. 당사의 2023년 연결기준 잠정 누계 매출액은 2022년 대비 16.5% 증가하였고, 2023년 연결기준 잠정 누계 영업이익은 2022년 대비 8.5% 증가하였으나, 2023년 잠정 누계 당기순이익은 2022년 대비 -72.1% 감소하였습니다.
당사는 2024년 02월 07일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 30%(대규모법인 15%)이상 변경' 보고서를 함께 공시하였습니다. 영화산업 업황 회복에 따라 당사의 자회사인 메가박스의 2023년 연간 매출이 전년 대비 13.6% 성장하고, 플레이타임 국내 법인의 안정적인 성장 및 해외 법인의 고성장으로 인한 공간 사업부문의 매출이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차입금 증가에 따른 이자비용 증가 및 영업권 손상차손 등으로 인해 당기순이익 적자폭을 확대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당사가 공시한 2023년 결산 잠정실적은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K-IFRS)을 준수하여 작성되었으며, 외부감사인의 회계검토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로 검토 후 확정 실적과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당사는 본 증권신고서를 작성함에 있어서 외부감사인의 검토를 받은 2023년 3분기 분기보고서를 주요 기반으로 작성하였으니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당사의 2023년 실적과 관련한 확정 수치 및 자세한 내용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 사업보고서(2023.12)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주12) 정정 전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가. 자금조달금액
[회차 : 22-1] |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
모집 또는 매출총액(1) | 10,000,000,000 |
발행제비용(2) | 45,720,000 |
순수입금[(1)-(2)] | 9,954,280,000 |
주) 발행제비용은 당사 보유 자체자금으로 조달할 예정이며, 상기 모집총액 및 발행제비용은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변경될 수 있습니다. |
[회차 : 22-2] |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
모집 또는 매출총액(1) | 30,000,000,000 |
발행제비용(2) | 121,320,000 |
순수입금[(1)-(2)] | 29,878,680,000 |
주) 발행제비용은 당사 보유 자체자금으로 조달할 예정이며, 상기 모집총액 및 발행제비용은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나. 발행제비용의 내역
[회차 : 22-1] |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계산근거 |
---|---|---|
인수수수료 | 20,000,000 | 인수총액 × 0.20% |
대표주관수수료 | 10,000,000 | 인수총액 × 0.10% |
사채관리수수료 | 4,500,000 | 정액 |
발행분담금 | 5,000,000 | 발행가액 × 0.05% |
표준코드부여수수료 | 20,000 | 건당 2만원 |
상장수수료 | 1,000,000 | 발행가액 100억원 이상 150억원 미만 |
상장연부과금 | 100,000 | 1년당 10만원 (최대 50만원) |
채권등록수수료 | 100,000 | 100억원당 10만원(한도 50만원) |
신용평가수수료 | 5,000,000 | 한국신용평가(주), 한국기업평가(주) (VAT 별도) |
합 계 | 45,720,000 | - |
주1) 발행제비용은 당사 보유 자체자금으로 조달할 예정이며 상기 모집총액 및 발행제비용은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변경될 수 있습니다. |
[회차 : 22-2] |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계산근거 |
---|---|---|
인수수수료 | 60,000,000 | 인수총액 × 0.20% |
대표주관수수료 | 30,000,000 | 인수총액 × 0.10% |
사채관리수수료 | 4,500,000 | 정액 |
발행분담금 | 18,000,000 | 발행가액 × 0.06% |
표준코드부여수수료 | 20,000 | 건당 2만원 |
상장수수료 | 1,300,000 | 발행가액 250억원 이상 500억원 미만 |
상장연부과금 | 200,000 | 1년당 10만원 (최대 50만원) |
채권등록수수료 | 300,000 | 100억원당 10만원(한도 50만원) |
신용평가수수료 | 7,000,000 | 한국신용평가(주), 한국기업평가(주) (VAT 별도) |
합 계 | 121,320,000 | - |
주1) 발행제비용은 당사 보유 자체자금으로 조달할 예정이며 상기 모집총액 및 발행제비용은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변경될 수 있습니다. |
2. 자금의 사용목적
가. 자금의 사용목적
회차 : | 22-1 | (기준일 : | 2024년 02월 01일 | ) | (단위 : 원) |
시설자금 | 영업양수 자금 | 운영자금 | 채무상환 자금 |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 기타 | 계 | 비고 |
---|---|---|---|---|---|---|---|
- | - | - | 10,000,000,000 | - | - | 10,000,000,000 | - |
회차 : | 22-2 | (기준일 : | 2024년 02월 01일 | ) | (단위 : 원) |
시설자금 | 영업양수 자금 | 운영자금 | 채무상환 자금 |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 기타 | 계 | 비고 |
---|---|---|---|---|---|---|---|
- | - | - | 30,000,000,000 | - | - | 30,000,000,000 | - |
나. 자금의 세부 사용내역
금번 당사가 발행하는 제22-1회 및 제22-2회 무보증사채 발행자금 400억원은 채무상환자금으로 사용될 예정입니다.
[채무상환자금 세부사용 내역] |
(기준일: 2024년 02월 01일) | (단위 : 원) |
종류 | 발행일자 | 만기일 | 발행금액 | 표면금리 | 비고 |
---|---|---|---|---|---|
기업어음증권 | 2023년 02월 22일 | 2024년 02월 21일 | 10,000,000,000 | 8.50% | - |
사모회사채 | 2023년 02월 22일 | 2024년 02월 22일 | 2,500,000,000 | 7.50% | - |
전자단기사채 | 2023년 09월 26일 | 2024년 03월 26일 | 5,000,000,000 | 6.40% | - |
공모회사채 | 2023년 04월 11일 | 2024년 04월 11일 | 21,000,000,000 | 7.30% | - |
담보대출 | 2021년 05월 06일 | 2024년 05월 07일 | 30,000,000,000 | 5.05% | - |
계 | 68,500,000,000 | - | - |
주1) 부족 자금 및 발행제비용은 당사 보유 자체 자금으로 조달할 예정입니다. 주2) 금번 사채발행으로 조달하는 자금은 실제 자금사용일까지 MMW, RP 등 안정성이 높은 금융상품을 통해 운영할 예정입니다. 주3) 한편, 당사는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제22-1회 및 제22-2회 전자등록금액 합계 최대 800억원까지 증액 발행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
(주12) 정정 후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가. 자금조달금액
[회차 : 22-1] |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
모집 또는 매출총액(1) | 17,000,000,000 |
발행제비용(2) | 70,490,000 |
순수입금[(1)-(2)] | 16,929,510,000 |
(삭제) |
[회차 : 22-2] |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
모집 또는 매출총액(1) | 52,000,000,000 |
발행제비용(2) | 200,820,000 |
순수입금[(1)-(2)] | 51,799,180,000 |
(삭제) |
나. 발행제비용의 내역
[회차 : 22-1] |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계산근거 |
---|---|---|
인수수수료 | 34,000,000 | 인수총액 × 0.20% |
대표주관수수료 | 17,000,000 | 인수총액 × 0.10% |
사채관리수수료 | 4,500,000 | 정액 |
발행분담금 | 8,500,000 | 발행가액 × 0.05% |
표준코드부여수수료 | 20,000 | 건당 2만원 |
상장수수료 | 1,200,000 | 발행가액 150억원 이상 250억원 미만 |
상장연부과금 | 100,000 | 1년당 10만원 (최대 50만원) |
채권등록수수료 | 170,000 | 100억원당 10만원(한도 50만원) |
신용평가수수료 | 5,000,000 | 한국신용평가(주), 한국기업평가(주) (VAT 별도) |
합 계 | 70,490,000 | - |
(삭제) |
[회차 : 22-2] |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계산근거 |
---|---|---|
인수수수료 | 104,000,000 | 인수총액 × 0.20% |
대표주관수수료 | 52,000,000 | 인수총액 × 0.10% |
사채관리수수료 | 4,500,000 | 정액 |
발행분담금 | 31,200,000 | 발행가액 × 0.06% |
표준코드부여수수료 | 20,000 | 건당 2만원 |
상장수수료 | 1,400,000 | 발행가액 500억원 이상 1,000억원 미만 |
상장연부과금 | 200,000 | 1년당 10만원 (최대 50만원) |
채권등록수수료 | 500,000 | 100억원당 10만원(한도 50만원) |
신용평가수수료 | 7,000,000 | 한국신용평가(주), 한국기업평가(주) (VAT 별도) |
합 계 | 200,820,000 | - |
(삭제) |
2. 자금의 사용목적
가. 자금의 사용목적
회차 : | 22-1 | (기준일 : | 2024년 02월 07일 | ) | (단위 : 원) |
시설자금 | 영업양수 자금 | 운영자금 | 채무상환 자금 |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 기타 | 계 | 비고 |
---|---|---|---|---|---|---|---|
- | - | - | 17,000,000,000 | - | - | 17,000,000,000 | - |
회차 : | 22-2 | (기준일 : | 2024년 02월 07일 | ) | (단위 : 원) |
시설자금 | 영업양수 자금 | 운영자금 | 채무상환 자금 |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 기타 | 계 | 비고 |
---|---|---|---|---|---|---|---|
- | - | - | 52,000,000,000 | - | - | 52,000,000,000 | - |
나. 자금의 세부 사용내역
금번 당사가 발행하는 제22-1회 및 제22-2회 무보증사채 발행자금 690억원은 채무상환자금으로 사용될 예정입니다.
[채무상환자금 세부사용 내역] |
(기준일: 2024년 02월 07일) | (단위 : 원) |
종류 | 발행일자 | 만기일 | 발행금액 | 표면금리 | 비고 |
---|---|---|---|---|---|
기업어음증권 | 2023년 02월 22일 | 2024년 02월 21일 | 10,000,000,000 | 8.50% | - |
사모회사채 | 2023년 02월 22일 | 2024년 02월 22일 | 2,500,000,000 | 7.50% | - |
전자단기사채 | 2023년 09월 26일 | 2024년 03월 26일 | 5,000,000,000 | 6.40% | - |
공모회사채 | 2023년 04월 11일 | 2024년 04월 11일 | 21,000,000,000 | 7.30% | - |
담보대출 | 2021년 05월 06일 | 2024년 05월 07일 | 45,000,000,000 | 5.05% | - |
계 | 83,500,000,000 | - | - |
주1) 부족 자금 및 발행제비용은 당사 보유 자체 자금으로 조달할 예정입니다. 주2) 금번 사채발행으로 조달하는 자금은 실제 자금사용일까지 MMW, RP 등 안정성이 높은 금융상품을 통해 운영할 예정입니다. (삭제) |
위 정정사항외에 모든 사항은 2024년 02월 02일자로 당사가 제출한 신고서와 동일하오니 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20800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