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조건확정]증권신고서(채무증권) 2023-03-30 16:16: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30001274
금융위원회 귀중 | 2023년 03월 30일 |
회 사 명 : | 신세계건설 주식회사 |
대 표 이 사 : | 정 두 영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특별시 중구 소월로 10, 21층(남대문로5가, 단암빌딩) 신세계건설 |
(전 화) 02-3406-6620 | |
(홈페이지) http://www.shinsegae-enc.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지원담당 (성 명) 김 정 선 |
(전 화) 02-3406-6662 | |
1. 정정대상 신고서의 최초제출일 : 2023년 03월 24일
[증권신고서 제출 및 정정 연혁] |
제출일자 | 문서명 | 비고 |
---|---|---|
2023년 03월 24일 | 증권신고서(채무증권) | 최초 제출 |
2023년 03월 30일 | [기재정정] 증권신고서(채무증권) | 수요예측 결과 반영 및 기재정정 |
2023년 03월 30일 | [발행조건확정] 증권신고서(채무증권) | 수요예측 결과에 따른 발행조건 확정 |
2. 모집 또는 매출 증권의 종류 :
신세계건설(주) 제14회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사채
3. 모집 또는 매출금액 :
신세계건설(주) 제14회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사채
금 팔백억원(\80,000,000,000)
4. 정정사유 : 수요예측 결과에 따른 발행조건 확정 및 자진 기재정정
5. 정정사항
항 목 | 정정요구ㆍ명령 관련 여부 | 정정사유 | 정 정 전 | 정 정 후 |
---|---|---|---|---|
※ 본 '[기재정정]증권신고서'는 수요예측 결과에 따른 발행조건 확정 및 자진 기재정정에 의한 것으로, 해당 사항은 파란색으로 굵게 표시하였습니다. ※ [요약정보 - 1. 핵심투자위험]은 본문의 정정사항을 반영하였으며, 별도로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 ||||
요약정보 2.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아니오 | 수요예측 결과에 따른 발행조건 확정 | (주1) 정정 전 | (주1) 정정 후 |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
I.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
1. 공모개요 | 아니오 | 수요예측 결과에 따른 발행조건 확정 | (주2) 정정 전 | (주2) 정정 후 |
3. 공모가격 결정방법 | 아니오 | 수요예측 결과에 따른 발행조건 확정 | - | (주3) 추가 기재 |
II. 증권의 주요 권리내용 | ||||
1. 사채의 명칭, 주요 권리 내용, 발행과 관련한 약정 및 조건 가. 일반적인 사항 | 아니오 | 수요예측 결과에 따른 발행조건 확정 | (주4) 정정 전 | (주4) 정정 후 |
2. 사채관리계약에 관한 사항 가. 사채관리회사의 사채관리 위탁조건 | 아니오 | 수요예측 결과에 따른 발행조건 확정 | (주5) 정정 전 | (주5) 정정 후 |
III. 투자위험요소 | ||||
가. 사업포트폴리오 관련 위험 | 아니오 | 자진 기재정정 | (주6) 정정 전 | (주6) 정정 후 |
나. 수익성 관련 위험 | 아니오 | 자진 기재정정 | (주7) 정정 전 | (주7) 정정 후 |
다. 재무안정성 관련 위험 | 아니오 | 자진 기재정정 | (주8) 정정 전 | (주8) 정정 후 |
자. 현금흐름 관련 위험 | 아니오 | 자진 기재정정 | 안정적인 계열 매출을 바탕으로 유동성을 관리하고 있으나, 향후 건설 경기 하강 및 수주 실적 부진 등으로 인해 영업활동현금흐름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운전자본 부담이 증가할 경우, 추가적인 차입규모 확대로 당사의 재무 안정성이 다소 저하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안정적인 계열 매출을 바탕으로 유동성을 관리하고 있으나, 향후 건설 경기 하강 및 수주 실적 부진 등으로 인해 영업활동현금흐름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운전자본 부담이 증가할 경우, (문구삭제) 당사의 재무 안정성이 다소 저하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주1) 정정 전
2.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회차 : | 14 | (단위 : 원, 주) |
채무증권 명칭 | 무보증사채 | 모집(매출)방법 | 공모 |
권면(전자등록) 총액 | 80,000,000,000 | 모집(매출)총액 | 80,000,000,000 |
발행가액 | 80,000,000,000 | 이자율 | - |
발행수익률 | - | 상환기일 | 2025년 04월 04일 |
원리금 지급대행기관 | (주)하나은행 명동금융센터지점 | (사채)관리회사 | DB금융투자(주) |
비고 | - |
평가일 | 신용평가기관 | 등 급 |
---|---|---|
2023년 03월 23일 | 한국기업평가 | 회사채 (A0) |
2023년 03월 23일 | 한국신용평가 | 회사채 (A0) |
인수(주선) 여부 | 채무증권 상장을 위한 공모여부 |
---|---|
인수 | 예 |
인수(주선)인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
---|---|---|---|---|---|
대표 | NH투자증권 | 3,000,000 | 30,000,000,000 | 인수금액의 0.30% | 총액인수 |
인수 | 한국산업은행 | 5,000,000 | 50,000,000,000 | 인수금액의 0.30% | 총액인수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
2023년 04월 05일 | 2023년 04월 05일 | - | - | - |
자금의 사용목적 | |
---|---|
구 분 | 금 액 |
운영자금 | 80,000,000,000 |
발행제비용 | 339,290,000 |
【국내발행 외화채권】
표시통화 | 표시통화기준 발행규모 | 사용 지역 | 사용 국가 | 원화 교환 예정 여부 | 인수기관명 |
---|---|---|---|---|---|
- | - | - | - | - | - |
보증을 받은 경우 | 보증기관 | - | 지분증권과 연계된 경우 | 행사대상증권 | - |
보증금액 | - | 권리행사비율 | - | ||
담보 제공의 경우 | 담보의 종류 | - | 권리행사가격 | - | |
담보금액 | - | 권리행사기간 | - |
매출인에 관한 사항 | ||||
---|---|---|---|---|
보유자 | 회사와의 관계 | 매출전 보유증권수 | 매출증권수 | 매출후 보유증권수 |
- | - | - | - | - |
【주요사항보고서】 | - | ||
【파생결합사채 해당여부】 | 기초자산 | 옵션종류 | 만기일 |
N | - | - | - |
【기 타】 | ▶ 본 사채의 발행과 관련하여 2023년 03월 10일 NH투자증권(주)과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사채를 한국예탁결제원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전자등록하므로, 실물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하며, 등록필증의 교부 등이 존재하지 않음. ▶ 본 사채는 사채권을 발행하지 않으므로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 39조에 의거 전자등록주식 등의 소유자가 권리행사를 위하여 계좌관리기관을 통해 신청하는 경우 전자등록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소유자증명서"를 발행하여야 함.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전자등록되므로, 등록 말소 시 사채권발행을 청구할 수 없음. ▶ 본 사채는 실물발행이 아닌 전자등록에 의한 발행이므로 인수수량의 기재가 불가능하나, 이해상의 편의를 위해 10,000원을 수량의 1단위로 기재함. ▶ 본 사채의 상장신청예정일은 2023년 03월 31일이며, 상장예정일은 2023년 04월 05일임. |
주1) 본 사채는 2023년 03월 28일 09시에서 16시까지 금융투자협회 K-bond 시스템을 통해 실시하는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권면(전자등록)총액, 모집(매출)총액, 발행가액, 이자율, 발행수익률이 결정될 예정입니다. 주2) 수요예측 시 공모희망금리는 연 6.10%~7.10%로 합니다. 주3) 이자율 및 발행수익률은 수요예측결과에 따라 확정될 예정이며, 2023년 03월 30일 정정신고서를 통해 공시할 예정입니다. 상기 일정은 금리 협의 등의 상황에 따라 일부 변동이 가능합니다. |
(주1) 정정 후
2.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회차 : | 14 | (단위 : 원, 주) |
채무증권 명칭 | 무보증사채 | 모집(매출)방법 | 공모 |
권면(전자등록) 총액 | 80,000,000,000 | 모집(매출)총액 | 80,000,000,000 |
발행가액 | 80,000,000,000 | 이자율 | 7.10% |
발행수익률 | 7.10% | 상환기일 | 2025년 04월 04일 |
원리금 지급대행기관 | (주)하나은행 명동금융센터지점 | (사채)관리회사 | DB금융투자(주) |
비고 | - |
평가일 | 신용평가기관 | 등 급 |
---|---|---|
2023년 03월 23일 | 한국기업평가 | 회사채 (A0) |
2023년 03월 23일 | 한국신용평가 | 회사채 (A0) |
인수(주선) 여부 | 채무증권 상장을 위한 공모여부 |
---|---|
인수 | 예 |
인수(주선)인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
---|---|---|---|---|---|
대표 | NH투자증권 | 3,000,000 | 30,000,000,000 | 인수금액의 0.30% | 총액인수 |
인수 | 한국산업은행 | 5,000,000 | 50,000,000,000 | 인수금액의 0.30% | 총액인수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
2023년 04월 05일 | 2023년 04월 05일 | - | - | - |
자금의 사용목적 | |
---|---|
구 분 | 금 액 |
운영자금 | 80,000,000,000 |
발행제비용 | 339,290,000 |
【국내발행 외화채권】
표시통화 | 표시통화기준 발행규모 | 사용 지역 | 사용 국가 | 원화 교환 예정 여부 | 인수기관명 |
---|---|---|---|---|---|
- | - | - | - | - | - |
보증을 받은 경우 | 보증기관 | - | 지분증권과 연계된 경우 | 행사대상증권 | - |
보증금액 | - | 권리행사비율 | - | ||
담보 제공의 경우 | 담보의 종류 | - | 권리행사가격 | - | |
담보금액 | - | 권리행사기간 | - |
매출인에 관한 사항 | ||||
---|---|---|---|---|
보유자 | 회사와의 관계 | 매출전 보유증권수 | 매출증권수 | 매출후 보유증권수 |
- | - | - | - | - |
【주요사항보고서】 | - | ||
【파생결합사채 해당여부】 | 기초자산 | 옵션종류 | 만기일 |
N | - | - | - |
【기 타】 | ▶ 본 사채의 발행과 관련하여 2023년 03월 10일 NH투자증권(주)과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사채를 한국예탁결제원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전자등록하므로, 실물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하며, 등록필증의 교부 등이 존재하지 않음. ▶ 본 사채는 사채권을 발행하지 않으므로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 39조에 의거 전자등록주식 등의 소유자가 권리행사를 위하여 계좌관리기관을 통해 신청하는 경우 전자등록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소유자증명서"를 발행하여야 함.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전자등록되므로, 등록 말소 시 사채권발행을 청구할 수 없음. ▶ 본 사채는 실물발행이 아닌 전자등록에 의한 발행이므로 인수수량의 기재가 불가능하나, 이해상의 편의를 위해 10,000원을 수량의 1단위로 기재함. ▶ 본 사채의 상장신청예정일은 2023년 03월 31일이며, 상장예정일은 2023년 04월 05일임. |
(삭제)
(주2) 정정 전
I.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1. 공모개요
[회 차 : | 14 | ] | (단위 : 원) |
항 목 | 내 용 | |
---|---|---|
사 채 종 목 | 무보증사채 | |
구 분 |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사채 | |
전자등록총액 | 80,000,000,000 | |
할 인 율(%) | - | |
발행수익률(%) | - | |
모집 또는 매출가액 | 각 사채 전자등록총액의 100%로 한다. | |
모집 또는 매출총액 | 80,000,000,000 | |
각 사채의 금액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사채를 전자등록으로 발행하므로 사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함. | |
이자율 | 연리이자율(%) | - |
변동금리부 사채이자율 | - | |
이자지급 방법 및 기한 | 이자지급 방법 | 본 사채의 이자는 "본 사채" 발행일로부터 원금상환 기일 전까지 계산하여 매3개월마다 연 사채이율을 적용한 연간 이자의1/4씩 분할하여 후지급한다. 다만, 이자지급기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에 이자를 지급하되, 이자지급기일부터 그 다음 영업일까지의 이자 및 연체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단, 마지막 이자지급의 계산은 발행가액에 사채의 이율을 곱한 액수에 직전 이자지급기일부터 최종 이자지급기일 전일까지 실제일수를 곱한 후, 이를 365로 나눈 금액으로 하되 소수 첫째 자리 이하의 금액은 절사한다. 본 사채의 이자지급 기일에 이자지급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해당 이자분에 대한 지급기일의 익일부터 실제 지급일까지의 경과기간에 대하여 서울특별시에 본점을 두고 있는 시중은행이 정한 연체대출이율 중 최고 이율을 적용한 연체이자를 지급한다. 단, 연체 대출 최고 이율이 본 사채의 이율을 하회하는 경우에는 본 사채의 이율을 적용한다. |
이자지급 기한 | 2023년 07월 05일, 2023년 10월 05일, 2024년 01월 05일, 2024년 04월 05일, 2024년 07월 05일, 2024년 10월 05일, 2025년 01월 05일, 2025년 04월 04일. | |
신용평가 등급 | 평가회사명 | 한국기업평가(주) / 한국신용평가(주) |
평가일자 | 2023년 03월 23일 / 2023년 03월 23일 | |
평가결과등급 | A0(안정적) / A0(안정적) | |
주관회사의 분석 | 주관회사명 | NH투자증권(주) |
분석일자 | 2023년 03월 24일 | |
상환방법 및 기한 | 상 환 방 법 | 본 사채의 원금은 만기에 일시 상환한다. 다만, 원금상환기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그 다음 영업일에 상환하고, 원금상환기일부터 그 다음 영업일까지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본 사채의 원금상환 기일에 원금상환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해당 원금에 대한 지급기일의 익일부터 실제 지급일까지의 경과기간에 대하여 서울특별시에 본점을 두고 있는 시중은행이 정한 연체대출이율 중 최고 이율을 적용한 연체이자를 지급한다. 단, 연체 대출 최고 이율이 본 사채의 이율을 하회하는 경우에는 본 사채의 이율을 적용한다. |
상 환 기 한 | 2025년 04월 04일 | |
납 입 기 일 | 2023년 04월 05일 | |
전자등록기관 | 한국예탁결제원 | |
원리금 지급대행기관 | 회 사 명 | (주)하나은행 명동금융센터지점 |
회사고유번호 | 00158909 | |
ESG채권 종류 | 해당사항 없음 | |
기 타 사 항 | ▶ 본 사채의 발행과 관련하여 2023년 03월 10일 NH투자증권(주)과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사채를 한국예탁결제원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전자등록하므로, 실물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하며, 등록필증의 교부 등이 존재하지 않음. ▶ 본 사채는 사채권을 발행하지 않으므로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 39조에 의거 전자등록주식 등의 소유자가 권리행사를 위하여 계좌관리기관을 통해 신청하는 경우 전자등록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소유자증명서"를 발행하여야 함.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전자등록되므로, 등록 말소 시 사채권발행을 청구할 수 없음. ▶ 본 사채는 실물발행이 아닌 전자등록에 의한 발행이므로 인수수량의 기재가 불가능하나, 이해상의 편의를 위해 10,000원을 수량의 1단위로 기재함. ▶ 본 사채의 상장신청예정일은 2023년 03월 31일이며, 상장예정일은 2023년 04월 05일임. |
주1) 본 사채는 2023년 03월 28일 09시에서 16시까지 금융투자협회 K-bond 시스템을 통해 실시하는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권면(전자등록)총액, 모집(매출)총액, 발행가액, 이자율, 발행수익률이 결정될 예정입니다. 주2) 수요예측 시 공모희망금리는 연 6.10%~7.10%로 합니다. 주3) 이자율 및 발행수익률은 수요예측결과에 따라 확정될 예정이며, 2023년 03월 30일 정정신고서를 통해 공시할 예정입니다. 상기 일정은 금리 협의 등의 상황에 따라 일부 변동이 가능합니다. |
(주2) 정정 후
I.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1. 공모개요
[회 차 : | 14 | ] | (단위 : 원) |
항 목 | 내 용 | |
---|---|---|
사 채 종 목 | 무보증사채 | |
구 분 |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사채 | |
전자등록총액 | 80,000,000,000 | |
할 인 율(%) | - | |
발행수익률(%) | 7.10 | |
모집 또는 매출가액 | 각 사채 전자등록총액의 100%로 한다. | |
모집 또는 매출총액 | 80,000,000,000 | |
각 사채의 금액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사채를 전자등록으로 발행하므로 사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함. | |
이자율 | 연리이자율(%) | 7.10 |
변동금리부 사채이자율 | - | |
이자지급 방법 및 기한 | 이자지급 방법 | 본 사채의 이자는 "본 사채" 발행일로부터 원금상환 기일 전까지 계산하여 매3개월마다 연 사채이율을 적용한 연간 이자의1/4씩 분할하여 후지급한다. 다만, 이자지급기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에 이자를 지급하되, 이자지급기일부터 그 다음 영업일까지의 이자 및 연체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단, 마지막 이자지급의 계산은 발행가액에 사채의 이율을 곱한 액수에 직전 이자지급기일부터 최종 이자지급기일 전일까지 실제일수를 곱한 후, 이를 365로 나눈 금액으로 하되 소수 첫째 자리 이하의 금액은 절사한다. 본 사채의 이자지급 기일에 이자지급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해당 이자분에 대한 지급기일의 익일부터 실제 지급일까지의 경과기간에 대하여 서울특별시에 본점을 두고 있는 시중은행이 정한 연체대출이율 중 최고 이율을 적용한 연체이자를 지급한다. 단, 연체 대출 최고 이율이 본 사채의 이율을 하회하는 경우에는 본 사채의 이율을 적용한다. |
이자지급 기한 | 2023년 07월 05일, 2023년 10월 05일, 2024년 01월 05일, 2024년 04월 05일, 2024년 07월 05일, 2024년 10월 05일, 2025년 01월 05일, 2025년 04월 04일. | |
신용평가 등급 | 평가회사명 | 한국기업평가(주) / 한국신용평가(주) |
평가일자 | 2023년 03월 23일 / 2023년 03월 23일 | |
평가결과등급 | A0(안정적) / A0(안정적) | |
주관회사의 분석 | 주관회사명 | NH투자증권(주) |
분석일자 | 2023년 03월 24일 | |
상환방법 및 기한 | 상 환 방 법 | 본 사채의 원금은 만기에 일시 상환한다. 다만, 원금상환기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그 다음 영업일에 상환하고, 원금상환기일부터 그 다음 영업일까지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본 사채의 원금상환 기일에 원금상환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해당 원금에 대한 지급기일의 익일부터 실제 지급일까지의 경과기간에 대하여 서울특별시에 본점을 두고 있는 시중은행이 정한 연체대출이율 중 최고 이율을 적용한 연체이자를 지급한다. 단, 연체 대출 최고 이율이 본 사채의 이율을 하회하는 경우에는 본 사채의 이율을 적용한다. |
상 환 기 한 | 2025년 04월 04일 | |
납 입 기 일 | 2023년 04월 05일 | |
전자등록기관 | 한국예탁결제원 | |
원리금 지급대행기관 | 회 사 명 | (주)하나은행 명동금융센터지점 |
회사고유번호 | 00158909 | |
ESG채권 종류 | 해당사항 없음 | |
기 타 사 항 | ▶ 본 사채의 발행과 관련하여 2023년 03월 10일 NH투자증권(주)과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사채를 한국예탁결제원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전자등록하므로, 실물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하며, 등록필증의 교부 등이 존재하지 않음. ▶ 본 사채는 사채권을 발행하지 않으므로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 39조에 의거 전자등록주식 등의 소유자가 권리행사를 위하여 계좌관리기관을 통해 신청하는 경우 전자등록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소유자증명서"를 발행하여야 함.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전자등록되므로, 등록 말소 시 사채권발행을 청구할 수 없음. ▶ 본 사채는 실물발행이 아닌 전자등록에 의한 발행이므로 인수수량의 기재가 불가능하나, 이해상의 편의를 위해 10,000원을 수량의 1단위로 기재함. ▶ 본 사채의 상장신청예정일은 2023년 03월 31일이며, 상장예정일은 2023년 04월 05일임. |
(삭제)
(주3) 추가 기재
다. 수요예측 결과
(1) 수요예측 참여 내역
[회 차 : 제14회] |
(단위: 건, 억원) |
구분 | 국내 기관투자자 | 외국 기관투자자 | 합계 | ||||
---|---|---|---|---|---|---|---|
운용사 (집합) | 투자매매 중개업자 | 연기금, 운용사(고유), 은행, 보험 | 기타 | 거래실적 유* | 거래실적 무 | ||
건수 | 1 | 5 | - | - | - | - | 6 |
수량 | 10 | 90 | - | - | - | - | 100 |
경쟁율 | 0.01 : 1 | 0.11: 1 | - | - | - | - | 0.13 : 1 |
주1) 경쟁률은 단순경쟁률로 최초 발행예정금액 대비 산출한 수치임. |
주2) 운용사(집합)은 투자일임재산 계정 및 집합투자재산 계정의 참여내역을 의미함 |
*) 인수인(해외현지법인 및 해외지점을 포함한다)과 거래관계가 있거나 인수인이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기관투자자 |
(2) 수요예측 신청가격 분포
[회 차 : 제14회] |
(단위 : 건, 억원) |
구분 | 국내 기관투자자 | 외국 기관투자자 | 합계 | 누적합계 | 유효수요 | |||||||||||||
---|---|---|---|---|---|---|---|---|---|---|---|---|---|---|---|---|---|---|
운용사(집합) | 투자매매 중개업자 | 연기금, 운용사(고유), 은행, 보험 | 기타 | 거래실적 유* | 거래실적 무 |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비율 | 누적수량 | 누적비율 | ||
6.50% | - | - | 2 | 20 | - | - | - | - | - | - | - | - | 2 | 20 | 20.0% | 20 | 20.0% | 포함 |
6.70% | - | - | 1 | 10 | - | - | - | - | - | - | - | - | 1 | 10 | 10.0% | 30 | 30.0% | 포함 |
7.00% | - | - | 1 | 10 | - | - | - | - | - | - | - | - | 1 | 10 | 10.0% | 40 | 40.0% | 포함 |
7.10% | 1 | 10 | 1 | 50 | - | - | - | - | - | - | - | - | 2 | 60 | 60.0% | 100 | 100.0% | 포함 |
합계 | 1 | 10 | 5 | 90 | - | - | - | - | - | - | - | - | 6 | 100 | 100.0% | - | - | - |
주) 운용사(집합)은 투자일임재산 계정 및 집합투자재산 계정의 참여내역을 의미함 |
*) 인수인(해외현지법인 및 해외지점을 포함한다)과 거래관계가 있거나 인수인이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인 기관투자자 |
(3) 수요예측 상세 분포 현황
[회 차 : 제14회] |
(단위 : 억원) |
수요예측 참여자 | 신세계건설(주) 제14회 무보증사채 수요예측 참여금리 | ||||
---|---|---|---|---|---|
6.50% | 6.70% | 7.00% | 7.10% | 합계 | |
기관투자자1 | 10 | 10 | |||
기관투자자2 | 10 | 10 | |||
기관투자자3 | 10 | 10 | |||
기관투자자4 | 10 | 10 | |||
기관투자자5 | 50 | 50 | |||
기관투자자6 | 10 | 10 | |||
합계 | 20 | 10 | 10 | 60 | 100 |
누적합계 | 20 | 30 | 40 | 100 |
라. 유효수요의 범위, 산정근거
구 분 | 내 용 |
---|---|
공모희망금리 | [제 14회] 수요예측 시 공모희망금리는 연 6.10%~7.10%로 합니다. |
유효수요의 정의 | "유효수요"란, 공모금리 결정 시, 과도하게 높거나 낮은 금리로 참여한 물량을 제외한 물량 |
유효수요의 범위 | 공모희망금리 상단 이자율 이내로 수요예측에 참여한 모든 물량 |
유효수요 산정 근거 | 대표주관회사는 유효수요의 범위를 산정함에 있어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본 사채의 공모희망금리 밴드를 제시하였으며, 본 사채의 수요예측 결과 기관투자자의 수요예측 신청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본 채권'의 유효수요는 금융투자협회「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및 "대표주관회사"의 내부 지침에 근거하여 "발행회사" 및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함 |
최종 발행수익률 확정을 위한 수요예측 결과 반영 | 본 사채의 최종 발행금리는 앞서 산정한 유효수요의 범위 내에서 낮은 금리부터 "누적도수"로 계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최종 협의하여 결정되었습니다. - 본사채의 발행금리 [제 14회 무보증사채] 본 사채의 이율은 사채발행일로부터 원금상환기일 전일까지 사채의 전자등록금액에 대하여 연 7.10%로 합니다. |
(주4) 정정 전
가. 일반적인 사항
(단위 : 원) |
회차 | 발행금액 | 연리이자율 | 만기일 | 옵션관련사항 |
---|---|---|---|---|
제14회 무보증사채 | 80,000,000,000 | 주1) | 2025년 04월 04일 | - |
주1) 본 사채는 2023년 03월 28일 09시에서 16시까지 금융투자협회 K-bond 시스템을 통해 실시하는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전자등록총액, 모집(매출)총액, 발행가액, 이자율, 발행수익률이 결정될 예정입니다. 주2) 수요예측 시 공모희망금리는 연 6.10% ~ 7.10%로 합니다. 주3) 확정 연리이자율은 2023년 03월 30일 정정신고서를 통해 공시할 예정입니다. |
(주4) 정정 후
가. 일반적인 사항
(단위 : 원) |
회차 | 발행금액 | 연리이자율 | 만기일 | 옵션관련사항 |
---|---|---|---|---|
제14회 무보증사채 | 80,000,000,000 | 7.10% | 2025년 04월 04일 | - |
(삭제)
(주5) 정정 전
가. 사채관리회사의 사채관리 위탁조건
(단위 : 원) |
사채관리회사 | 주 소 | 위탁금액 및 수수료율 | 위탁조건 | |||
---|---|---|---|---|---|---|
명칭 | 고유번호 | 회차 | 위탁금액 | 수수료(정액) | ||
DB금융투자(주) | 00115694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8길 32 | 14 | 80,000,000,000 | 7,000,000 | - |
주) 상기 기재된 위탁금액은 예정 금액이며,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위탁금액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
(주5) 정정 후
가. 사채관리회사의 사채관리 위탁조건
(단위 : 원) |
사채관리회사 | 주 소 | 위탁금액 및 수수료율 | 위탁조건 | |||
---|---|---|---|---|---|---|
명칭 | 고유번호 | 회차 | 위탁금액 | 수수료(정액) | ||
DB금융투자(주) | 00115694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8길 32 | 14 | 80,000,000,000 | 7,000,000 | - |
(삭제)
(주6) 정정 전
[사업포트폴리오 관련 위험]
가. 당사의 사업부문은 유통상업시설과 주택 시공, 토목 공사 그리고 설계 및 관리 용역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건설부문과 골프장, 아쿠아필드 운영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레저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당사는 대한건설협회가 2022년 발표한 건설업계 시공능력 순위에서 34위를 차지하고 있는 종합건설회사로서 건설부문 실적의존도가 높습니다. 사업 변동성 완화를 위해, 당사는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지속 추진하고 있으나, 주요 사업부문이 경기변동에 민감해 국내외 경기회복 둔화에 따른 전반적인 업황 악화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습니다. 일례로, 계열공사 이연이 지속되고 주택 건설 경기 부진 기조가 확대된다면 수주잔고 감소 및 건설부문 수익성이 급격하게 악화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신세계그룹 계열공사를 전담하고 있어, 계열공사/건축 부문 사업 포트폴리오 비중이 높습니다. 2022년 말 기준 매출액은 1조 4,324억원이며, 세부 사업별로는 국내 주거시설 건축공사 부문 5,064억원(35.3%), 국내 상업시설 건축공사 부문 8,274억원(57.8%), 국내 토목공사 부문 268억원(1.9%) 및 기타부문 718억원(5.0%)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국내 건축공사부문 내 계열공사 비중이 높으며, 계열공사 내 상업시설 공사 비중이 높습니다. 건설 부문은 신세계 백화점 / 이마트 / 스타필드 등 대형판매시설과 당사 주거브랜드 VILLIV "빌리브" 등 주거시설, 물류시설 등의 건설 매출을 주요 원천으로 삼고 있습니다.
2022년 말 기준 사업장별 도급 계약 금액이 직전 회계연도 매출액의 5% 이상인 건설계약 수주총액 대비 계열공사 수주총액 비중은 약 17.6%입니다. 당사는 사업 변동성 완화를 위해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지속 추진하고 있으나, 주요 사업부문이 경기변동에 민감해 국내외 경기회복 둔화에 따른 전반적인 업황 악화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습니다. 일례로, 계열공사 이연이 지속되고 주택 건설 경기 부진 기조가 확대된다면 수주잔고 감소 및 건설부문 수익성이 급격하게 악화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주6) 정정 후
[사업포트폴리오 관련 위험]
가. 당사의 사업부문은 유통상업시설과 주택 시공, 토목 공사 그리고 설계 및 관리 용역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건설부문과 골프장, 아쿠아필드 운영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레저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당사는 대한건설협회가 2022년 발표한 건설업계 시공능력 순위에서 34위를 차지하고 있는 종합건설회사로서 건설부문 실적의존도가 높습니다. 당사는 국내 건축공사부문 내 계열공사 비중이 2016년도 82.9%로 높았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22년 말 기준 22.2%를 기록하였습니다. 사업 변동성 완화를 위해, 당사는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지속 추진하고 있으나, 2022년 말 기준 주요 사업부문인 건설부문의 전체매출 대비 비중은 95.6%를 차지하고 있어 여전히 경기변동에 민감해 국내외 경기회복 둔화에 따른 전반적인 업황 악화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습니다. 일례로, 계열공사 이연이 지속되고 주택 건설 경기 부진 기조가 확대된다면 수주잔고 감소 및 건설부문 수익성이 급격하게 악화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신세계그룹 계열공사의 대부분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건설부문 매출 내 계열 공사 비중은 계열 이외 신규 수주 확대의 영향으로 2016년 82.9%에서 2020년 53.5%까지 꾸준히 축소되었습니다. 2018년 신세계 주거 브랜드 VILLIV 론칭 이후 민간 주택공사물량이 증가했으며, 2020년에는 물류센터, 레저타운 등 계열 이외의 신규 수주가 크게 확대되었습니다. 2021년 매출은 2020년 대비 약 31.4% 성장하였으나 건설부문 내 계열매출 비중은 2020년 53.5%에서 2021년 33.6%로 19.9%p. 감소하였습니다. 2022년에 건설부문 내 계열매출 비중은 22.2%를 기록하였습니다.
[매출상황] |
(단위 : 백만원) |
구분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건설부문 | 14,162 | 10,298 | 10,439 | 9,650 | 9,200 | 12,186 | 13,699 |
건설부문 내 계열매출 | 11,740 | 6,457 | 6,775 | 5,665 | 4,922 | 4,094 | 3,041 |
레저부문 | 220 | 347 | 404 | 512 | 368 | 382 | 625 |
매출 | 14,382 | 10,645 | 10,843 | 10,162 | 9,568 | 12,568 | 14,324 |
계열 비중 | 82.9% | 62.7% | 64.9% | 58.7% | 53.5% | 33.6% | 22.2% |
자료: 당사 제시 주) 계열 비중은 건설부문 매출 기준으로 산출 |
2022년 말 기준 매출액은 1조 4,324억원이며, 세부 사업별로는 국내 주거시설 건축공사 부문 5,064억원(35.3%), 국내 상업시설 건축공사 부문 8,274억원(57.8%), 국내 토목공사 부문 268억원(1.9%) 및 기타부문 718억원(5.0%)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국내 건축공사부문 내 계열공사 비중이 2016년도 82.9%로 높았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22년 말 기준 22.2%를 기록하고 있으며, 계열공사 내 상업시설 공사 비중이 높습니다. 건설 부문은 신세계 백화점 / 이마트 / 스타필드 등 대형판매시설과 당사 주거브랜드 VILLIV "빌리브" 등 주거시설, 물류시설 등의 건설 매출을 주요 원천으로 삼고 있습니다.
2022년 말 기준 사업장별 도급 계약 금액이 직전 회계연도 매출액의 5% 이상인 건설계약 수주총액 대비 계열공사 수주총액 비중은 약 17.6%입니다. 당사는 사업 변동성 완화를 위해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지속 추진하고 있으나, 2022년 말 기준 주요 사업부문인 건설부문의 전체매출대비 비중은 95.6%를 차지하고 있어 여전히 경기변동에 민감해 국내외 경기회복 둔화에 따른 전반적인 업황 악화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습니다. 일례로, 계열공사 이연이 지속되고 주택 건설 경기 부진 기조가 확대된다면 수주잔고 감소 및 건설부문 수익성이 급격하게 악화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주7) 정정 전
[수익성 관련 위험]
나. 당사의 2022년 매출액은 1조 4,324억원으로 전년 동기 1조 2,568억원 대비 14.0% 증가하였습니다. 과거 추이를 살펴보면 2021년 매출액은 1조 2,568억원으로 직전연도 대비 31.4% 증가하였습니다. 당사의 영업이익률은 2020년 2.2%, 2021년 3.1%를 기록하였으나 2022년 말 기준 적자전환하는 등 수익성 변동 위험성이 항상 상존하고 있습니다. 이는 2021년에는 민간사업 확대로 건설부문 원가율이 개선되고 매출 증가에 따른 고정비 부담이 완화되었으나, 2022년에는 원자재 가격 급등 등에 따른 시장상황에 따라 원가율에 대한 변동성이 커졌기 때문입니다. 또한 당사가 영위하는 건설사업의 특성상 매출이 사업장별로 장기간에 걸쳐 발생하기 때문에 최초 예상했던 도급금액 및 매출액이 실행변경(도급금액 또는 예상원가 변경)으로 인해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사업장별 도급금액 및 예상원가 변경, 국내와 해외 사업장 상황에 따른 원가 변동 등으로 최초 산정한 원가율을 상회하여 매출원가가 발생할 수 있으며 향후 매출원가의 상승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수익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의 2019년부터 2022년까지의 연결기준 요약 손익계산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요약 손익계산서] | |
(단위 : 억원, %) |
2022년 | 2021년 | 2020년 | |
---|---|---|---|
매출액 | 14,324 | 12,568 | 9,568 |
매출원가 | 13,609 | 11,415 | 8,691 |
매출총이익 | 714 | 1,153 | 877 |
매출총이익률 | 5.0% | 9.2% | 9.2% |
판매비와관리비 | 835 | 768 | 670 |
영업이익(손실) | -120 | 384 | 206 |
당기순이익(손실) | -142 | 262 | 122 |
영업이익률 | -0.8% | 3.1% | 2.2% |
당기순이익률 | -1.0% | 2.1% | 1.3% |
자료: 당사 연도별 사업보고서 |
당사의 매출액은 2020년 9,568억원을 기록한 이후 민간사업 확대 및 원가율 하락 등의 영향으로 2021년 1조 2,568억원을 기록하며 증가 추세를 보였습니다. 2022년 매출액 또한 1조 4,324억원으로 전년 동기 1조 2,568억원 대비 증가한 모습입니다. 매출액과 마찬가지로 영업이익도 2020년 206억원을 기록한 이후 2021년 384억원까지 증가 추세를 보인 바 있으나, 2022년 원자재 가격 급등 등에 따른 시장상황에 따라 원가율에 대한 변동성이 커지며 영업이익은 120억원 적자를 기록하였습니다. 영업이익률은 2020년 2.2%를 기록한 데 이어 2021년에는 민간사업 확대로 건설부문 원가율이 개선되고 매출 증가에 따른 고정비 부담 완화로 영업이익률이 3.1%로 상승하였으나 2022년의 경우 적자전환에 따른 영향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습니다.
(주7) 정정 후
[수익성 관련 위험]
나. 당사의 2022년 매출액은 1조 4,324억원으로 전년 동기 1조 2,568억원 대비 14.0% 증가하였습니다. 과거 추이를 살펴보면 2021년 매출액은 1조 2,568억원으로 직전연도 대비 31.4% 증가하였습니다. 당사의 영업이익률은 2020년 2.2%, 2021년 3.1%를 기록하였으나 2022년 말 기준 적자전환하는 등 수익성 변동 위험성이 항상 상존하고 있습니다. 이는 2021년에는 민간사업 확대로 건설부문 원가율이 개선되고 매출 증가에 따른 고정비 부담이 완화되었으나, 2022년에는 원자재 가격 급등 등에 따른 시장상황에 따라 원가율에 대한 변동성이 커졌기 때문입니다. 2022년 매출원가율의 경우 95.0%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4.2%p. 증가하였습니다. 한편, 당사 레저부문의 경우 코로나19로 인한 실적악화로 2020년과 2021년에 각각 129억원, 112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였으며, 영업손실률의 경우 각각 -35.1%, -29.3%를 기록하였습니다. 2022년의 경우 영업손실은 52억원에 그치며 전년 대비 적자폭을 줄이는데 성공하였습니다. 이는 2022년 4월 사회적 거리두기 전면 해제 등으로 인한 레저수요 증가로 레저부문 아쿠아 사업 등에 대한 효율성, 수익성 제고 노력의 영향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당사가 영위하는 건설사업의 특성상 매출이 사업장별로 장기간에 걸쳐 발생하기 때문에 최초 예상했던 도급금액 및 매출액이 실행변경(도급금액 또는 예상원가 변경)으로 인해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사업장별 도급금액 및 예상원가 변경, 국내와 해외 사업장 상황에 따른 원가 변동 등으로 최초 산정한 원가율을 상회하여 매출원가가 발생할 수 있으며 향후 매출원가의 상승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수익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의 2019년부터 2022년까지의 연결기준 요약 손익계산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요약 손익계산서] | |
(단위 : 억원, %) |
2022년 | 2021년 | 2020년 | |
---|---|---|---|
매출액 | 14,324 | 12,568 | 9,568 |
매출원가 | 13,609 | 11,415 | 8,691 |
매출원가율 | 95.0% | 90.8% | 90.8% |
매출총이익 | 714 | 1,153 | 877 |
매출총이익률 | 5.0% | 9.2% | 9.2% |
판매비와관리비 | 835 | 768 | 670 |
영업이익(손실) | -120 | 384 | 206 |
당기순이익(손실) | -142 | 262 | 122 |
영업이익률 | -0.8% | 3.1% | 2.2% |
당기순이익률 | -1.0% | 2.1% | 1.3% |
자료: 당사 연도별 사업보고서 |
당사의 매출액은 2020년 9,568억원을 기록한 이후 민간사업 확대 및 원가율 하락 등의 영향으로 2021년 1조 2,568억원을 기록하며 증가 추세를 보였습니다. 2022년 매출액 또한 1조 4,324억원으로 전년 동기 1조 2,568억원 대비 증가한 모습입니다. 매출액과 마찬가지로 영업이익도 2020년 206억원을 기록한 이후 2021년 384억원까지 증가 추세를 보인 바 있으나, 2022년 원자재 가격 급등 등에 따른 시장상황에 따라 원가율에 대한 변동성이 커지며 영업이익은 120억원 적자를 기록하였습니다. 2022년 매출원가율의 경우 95.0%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4.2%p. 증가하였습니다. 영업이익률은 2020년 2.2%를 기록한 데 이어 2021년에는 민간사업 확대로 건설부문 원가율이 개선되고 매출 증가에 따른 고정비 부담 완화로 영업이익률이 3.1%로 상승하였으나 2022년의 경우 적자전환에 따른 영향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습니다. 당사 레저부문의 경우 코로나19로 인한 실적악화로 2020년과 2021년에 각각 129억원, 112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였으며, 영업손실률의 경우 각각 -35.1%, -29.3%를 기록하였습니다. 2022년의 경우 영업손실은 52억원에 그치며 전년 대비 적자폭을 줄이는데 성공하였습니다. 이는 2022년 4월 사회적 거리두기 전면 해제 등으로 인한 레저수요 증가로 레저부문 아쿠아 사업 등에 대한 효율성, 수익성 제고 노력의 영향으로 판단됩니다.
(주8) 정정 전
[재무안정성 관련 위험]
다. 차입금 및 미상환사채, 리스부채를 포함한 당사의 총차입금은 2020년 498억원에서 2021년 461억원으로 37억원 감소하였으나, 2022년말 기준 약 1,125억원을 기록하며 2021년 461억원 대비 664억원 증가하였습니다. 다만 이러한 차입금 증가폭에도 불구하고 회사의 자기자본은 2022년 말 2,837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2,261억원 대비 576억원 증가하였습니다. 회사의 부채비율은 2021년말 대비 1.6%p 감소하여 265.0%를 기록하였며 지난 3개년간 큰 폭의 변화없이 안정적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당사의 경우, 2020년 이자보상배율은 11.5배 수준이며, 2021년은 27.9배를 기록하며 높은 수준의 재무건전성을 보였습니다. 이는 회사가 이자비용을 부담하고도 수익이 나고 있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다만, 2022년에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시황 변동성의 영향으로 원가율에 대한 부담이 증가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영업이익이 적자전환하면서 이자보상배율이 마이너스를 기록하였습니다. 2022년 말 기준 1년내 만기가 도래하는 유동성차입금은 단기차입금 515억원, 회사채 10억원으로 당사의 2022년 말 현금 및 현금성자산 542억원 및 영업현금흐름 유출을 고려할때 유동성차입금은 현금 및 현금성자산과 영업현금흐름을 상회하는 규모입니다. 당사의 유동성 차입금은 대응 가능한 규모인 것으로 판단되나, 자금 조달금리가 상승하는 등 불리한 시장환경이 조성될 경우 당사의 재무안정성에 저하될 위험이 존재합니다. 향후 부동산 경기 침체의 지속, 금융시장의 변동 등에 따른 부정적 영향이 있을 경우 당사의 재무안정성이 악화될 수 있다는 점을 충분히 고려하여 투자자들께서는 투자 의사결정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의 최근 3개년 간 재무안정성 추이는 아래와 같습니다.
[재무안정성 추이] |
(단위 : 억원, %, 배) |
구분 | 2022년 | 2021년 | 2020년 |
자산총계 | 10,356 | 8,290 | 7,656 |
유동자산 | 4,826 | 3,845 | 3,438 |
비유동자산 | 5,530 | 4,445 | 4,218 |
부채총계 | 7,519 | 6,029 | 5,632 |
유동부채 | 6,806 | 5,430 | 5,000 |
비유동부채 | 713 | 598 | 632 |
자본총계 | 2,837 | 2,261 | 2,024 |
총차입금 | 1,125 | 461 | 498 |
현금성자산 | 643 | 794 | 449 |
순차입금 | 482 | (333) | 49 |
EBITDA | 38 | 543 | 369 |
부채비율 | 265.0% | 266.6% | 278.3% |
총차입금의존도 | 10.9% | 5.6% | 6.5% |
자기자본비율 | 27.4% | 27.28% | 26.44% |
자료: 당사 연도별 사업보고서 주1) 총차입금은 단기차입금 + 회사채 + 리스부채(유동) + 장기차입금 + 리스부채(비유동) 주2) 현금성자산은 현금및현금성자산 + 단기금융상품 주3) EBITDA는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금융원가 - 금융수익 + 감가상각비 주4) 총차입금의존도는 총차입금/자산총계 |
차입금 및 미상환사채, 리스부채를 포함한 당사의 총차입금은 2020년 498억원에서 2021년 461억원으로 37억원 감소하였으나, 2022년말 기준 약 1,125억원을 기록하며 2021년 461억원 대비 664억원 증가하였습니다. 다만 이러한 차입금 증가폭에도 불구하고 회사의 자기자본은 2022년 말 2,837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2,261억원 대비 576억원 증가하였습니다. 회사의 부채비율은 2021년말 대비 1.6%p 감소하여 265.0%를 기록하였며 지난 3개년간 큰 폭의 변화없이 안정적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당사의 2022년 말 기준 단ㆍ장기차입금 및 사채의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차입금 내역]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차입처 | 발행일 | 만기일 | 이자율(연) | 2022년 | 2021년 |
단기차입금 : | ||||||
제10회 무보증사채 | NH투자증권 | 2021-02-26 | 2022-02-26 | 2.45% | - | 1,000 |
제11회 무보증사채 | NH투자증권 | 2022-02-25 | 2023-02-24 | 2.66% | 1,000 | - |
원화단기차입금 (주1) | ㈜아트바인오시리아 | 2020-02-05 | - | - | 1,500 | 1,500 |
원화단기차입금 (주2) | SC제일은행 | 2022-12-22 | 2023-12-22 | 6.73% | 50,000 | - |
장기차입금 : | ||||||
원화장기차입금 (주3) | 건설공제조합 | 2022-11-01 | 2025-10-31 | 1.10% | 4,200 | - |
자료: 당사 2022년 사업보고서 주1) 해당 차입금과 관련하여 ㈜아트하랑의 주식을 담보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해당 차입금은 회사와 차입처간의 업무협약을 목적으로 금전소비대차계약을 체결하였으며, 해당 차입금은 무이자 및 만기가 별도로 정해지지 않았으나 차입처는 요구에 의해 언제든지 관련 금융상품의 양도 및 해당 차입금의 변제가 발생할 수 있어 단기차입금으로 분류하였습니다. 주2) 해당 차입금과 관련하여 당사의 부동산이 담보로 제공되어 있습니다. 주3) 해당 차입금과 관련하여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건설공제조합 출자금을 담보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
(주8) 정정 후
[재무안정성 관련 위험]
다. 차입금 및 미상환사채, 리스부채를 포함한 당사의 총차입금은 2020년 498억원에서 2021년 461억원으로 37억원 감소하였으나, 2022년말 기준 약 1,125억원을 기록하며 2021년 461억원 대비 664억원 증가하였습니다. 차입금의 주된 증가 사유는 2022년 12월 SC은행으로부터 신규 차입한 담보대출(500억원) 때문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동 차입금은 작년 말 레고랜드 사태 등으로 조달 여건이 열악해진 상황에서 선제적으로 유동성 확보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입니다.다만 이러한 차입금 증가폭에도 불구하고 회사의 자기자본은 2022년 말 2,837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2,261억원 대비 576억원 증가하였습니다. 자본금의 주된 증가 사유는 2022년 유형자산 재평가로 기인한 것입니다. 토지의 공정가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공인된 독립평가기관을 활용하여 활성시장에서 관측가능한 가격이나 독립적인 제3자와의 최근시장거래가격에 직접 기초하여 공정가치를 결정하였습니다. 재평가는 보고기간말에 자산의 장부금액이 공정가치와 중요하게 차이가 나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회사의 부채비율은 2021년말 대비 1.6%p 감소하여 265.0%를 기록하였며 지난 3개년간 큰 폭의 변화없이 안정적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당사의 경우, 2020년 이자보상배율은 11.5배 수준이며, 2021년은 27.9배를 기록하며 높은 수준의 재무건전성을 보였습니다. 이는 회사가 이자비용을 부담하고도 수익이 나고 있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다만, 2022년에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시황 변동성의 영향으로 원가율에 대한 부담이 증가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영업이익이 적자전환하면서 이자보상배율이 마이너스를 기록하였습니다. 2022년 말 기준 1년내 만기가 도래하는 유동성차입금은 단기차입금 515억원, 회사채 10억원으로 당사의 2022년 말 현금 및 현금성자산 542억원 및 영업현금흐름 유출을 고려할때 유동성차입금은 현금 및 현금성자산과 영업현금흐름을 상회하는 규모입니다. 당사의 유동성 차입금은 대응 가능한 규모인 것으로 판단되나, 자금 조달금리가 상승하는 등 불리한 시장환경이 조성될 경우 당사의 재무안정성에 저하될 위험이 존재합니다. 당사는 자금수지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영업활동, 투자활동, 재무활동에서의 자금수지를 미리 예측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필요 유동성 규모를 사전에 확보하고 유지하여 향후에 발생할 수 있는 유동성 리스크를 사전에 관리하고 있습니다. 다만, 향후 부동산 경기 침체의 지속, 금융시장의 변동 등에 따른 부정적 영향이 있을 경우 당사의 재무안정성이 악화될 수 있다는 점을 충분히 고려하여 투자자들께서는 투자 의사결정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의 최근 3개년 간 재무안정성 추이는 아래와 같습니다.
[재무안정성 추이] |
(단위 : 억원, %, 배) |
구분 | 2022년 | 2021년 | 2020년 |
자산총계 | 10,356 | 8,290 | 7,656 |
유동자산 | 4,826 | 3,845 | 3,438 |
비유동자산 | 5,530 | 4,445 | 4,218 |
부채총계 | 7,519 | 6,029 | 5,632 |
유동부채 | 6,806 | 5,430 | 5,000 |
비유동부채 | 713 | 598 | 632 |
자본총계 | 2,837 | 2,261 | 2,024 |
총차입금 | 1,125 | 461 | 498 |
현금성자산 | 643 | 794 | 449 |
순차입금 | 482 | (333) | 49 |
EBITDA | 38 | 543 | 369 |
부채비율 | 265.0% | 266.6% | 278.3% |
총차입금의존도 | 10.9% | 5.6% | 6.5% |
자기자본비율 | 27.4% | 27.28% | 26.44% |
자료: 당사 연도별 사업보고서 주1) 총차입금은 단기차입금 + 회사채 + 리스부채(유동) + 장기차입금 + 리스부채(비유동) 주2) 현금성자산은 현금및현금성자산 + 단기금융상품 주3) EBITDA는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금융원가 - 금융수익 + 감가상각비 주4) 총차입금의존도는 총차입금/자산총계 |
차입금 및 미상환사채, 리스부채를 포함한 당사의 총차입금은 2020년 498억원에서 2021년 461억원으로 37억원 감소하였으나, 2022년말 기준 약 1,125억원을 기록하며 2021년 461억원 대비 664억원 증가하였습니다. 차입금의 주된 증가 사유는 2022년 12월 SC은행으로부터 신규 차입한 담보대출(500억원) 때문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동 차입금은 작년 말 레고랜드 사태 등으로 조달 여건이 열악해진 상황에서 선제적으로 유동성 확보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입니다. 다만 이러한 차입금 증가폭에도 불구하고 회사의 자기자본은 2022년 말 2,837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2,261억원 대비 576억원 증가하였습니다. 자본금의 주된 증가 사유는 2022년 유형자산 재평가로 기인한 것입니다. 토지의 공정가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공인된 독립평가기관을 활용하여 활성시장에서 관측가능한 가격이나 독립적인 제3자와의 최근시장거래가격에 직접 기초하여 공정가치를 결정하였습니다. 재평가는 보고기간말에 자산의 장부금액이 공정가치와 중요하게 차이가 나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유형자산의 재평가] |
(단위 : 천원) |
구분 | 재평가기준일 | 원가모형 장부금액 | 재평가금액 | 장부금액 |
---|---|---|---|---|
토지 | 2022.12.31 | 113,193,064 | 106,709,476 | 219,902,540 |
자료: 당사 제시 |
[유형자산의 재평가 관련 기타포괄손익의 변동내용] |
(단위 : 천원) |
구분 | 기초 | 증가 | 감소 | 법인세효과 | 기말 |
---|---|---|---|---|---|
토지 | - | 106,709,476 | - | (22,408,990) | 84,300,486 |
자료: 당사 제시 |
당사의 2022년 말 기준 단ㆍ장기차입금 및 사채의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차입금 내역]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차입처 | 발행일 | 만기일 | 이자율(연) | 2022년 | 2021년 | 자금사용목적 |
단기차입금 : | |||||||
제10회 무보증사채 | NH투자증권 | 2021-02-26 | 2022-02-26 | 2.45% | - | 1,000 | 운영자금(주4) |
제11회 무보증사채 | NH투자증권 | 2022-02-25 | 2023-02-24 | 2.66% | 1,000 | - | 운영자금(주5) |
원화단기차입금 (주1) | ㈜아트바인오시리아 | 2020-02-05 | - | - | 1,500 | 1,500 | 지분출자 |
원화단기차입금 (주2) | SC제일은행 | 2022-12-22 | 2023-12-22 | 6.73% | 50,000 | - | 운영자금 |
장기차입금 : | |||||||
원화장기차입금 (주3) | 건설공제조합 | 2022-11-01 | 2025-10-31 | 1.10% | 4,200 | - | 운영자금 |
자료: 당사 2022년 사업보고서 주1) 해당 차입금은 (주)아트하랑 지분출자에 사용되었으며 해당 차입금과 관련하여 ㈜아트하랑의 주식을 담보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해당 차입금은 회사와 차입처간의 업무협약을 목적으로 금전소비대차계약을 체결하였으며, 해당 차입금은 무이자 및 만기가 별도로 정해지지 않았으나 차입처는 요구에 의해 언제든지 관련 금융상품의 양도 및 해당 차입금의 변제가 발생할 수 있어 단기차입금으로 분류하였습니다. 주2) 해당 차입금과 관련하여 당사의 부동산이 담보로 제공되어 있습니다. 2023년 1월 하도급대금 현금지급액 903억원 중 해당 차입 자금 활용하여 지급하였습니다. 주3) 해당 차입금과 관련하여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건설공제조합 출자금을 담보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2년 11월 하도급대금 현금지급액 948억원 중 해당 차입 자금 활용하여 지급하였습니다. 주4) 2021년 3월 하도급대금 현금지급액 425억원 중 해당 사채 자금 활용하여 지급하였습니다. 주5) 2022년 3월 하도급대금 현금지급액 647억원 중 해당 사채 자금 활용하여 지급하였습니다. |
당사는 자금수지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영업활동, 투자활동, 재무활동에서의 자금수지를 미리 예측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필요 유동성 규모를 사전에 확보하고 유지하여 향후에 발생할 수 있는 유동성 리스크를 사전에 관리하고 있습니다.
위 정정사항외에 모든 사항은 2023년 03월 30일자로 당사가 제출한 신고서와 동일하오니 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300012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