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발행실적보고서 2022-12-09 15:19: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21209000451
금융감독원장 귀하 | 2022년 12월 09일 |
회 사 명 : | 에이치엘비 주식회사 |
대 표 이 사 : | 진 양 곤, 김 동 건 |
본 점 소 재 지 : |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산읍 당월로 216-53 |
(전 화) 02-3453-4414 | |
(홈페이지) http://www.hlbkorea.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경영전략팀장 (성 명) 한 영 인 |
(전 화) 02-3453-4414 | |
1. 기업개요
상장구분 | 기업규모 | 업종구분 |
---|---|---|
코스닥 | 중소기업 |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
2. 발행 개요
(단위 : 원) |
구분 | 발행총액 | 비고 |
---|---|---|
기타 | 240,972,681,600 |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 |
1. 청약 및 납입일정
구분 | 청약개시일 | 청약종료일 | 납입기일 |
---|---|---|---|
주주배정 | 2022년 12월 01일 | 2022년 12월 02일 | 2022년 12월 09일 |
2. 인수기관별 인수금액
(단위 : 원) |
인수기관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비 율(%) | 비 고 |
---|---|---|---|---|
한국투자증권(주) | 11,026 | 277,855,200 | 0.12 | - |
케이비증권(주) | 11,026 | 277,855,200 | 0.12 | - |
계 | 22,052 | 555,710,400 | 0.23 | - |
주1)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2항 5호에 따라 구주주 초과청약 배정 후 발생한 단수주를 공동대표주관회사인 한국투자증권(주)와 케이비증권(주)가 인수하였습니다.
주2) 비율은 총 발행주식수인 9,562,408주를 기준으로 합니다.
3. 청약 및 배정현황
(단위 : 원, 주, %) |
구 분 | 최초 배정 | 청약 현황 | 최종 배정 현황 | |||||||
---|---|---|---|---|---|---|---|---|---|---|
수량 | 비율 | 건수 | 수량 | 금액 | 비율 | 건수 | 수량 | 금액 | 비율 | |
신주인수권증서청약 | 9,562,408 | 100 | 60,983 | 8,860,632 | 223,287,926,400 | 87.40 | 60,983 | 8,860,632 | 223,287,926,400 | 92.66 |
초과청약주식수 | - | - | 45,129 | 1,276,820 | 32,175,864,000 | 12.60 | 37,126 | 679,724 | 17,129,044,800 | 7.11 |
초과청약 배정 후 단수주 | - | - | - | - | - | - | 1 | 22,052 | 555,710,400 | 0.23 |
실권주 일반공모 | - | - | - | - | - | - | - | - | - | - |
계 | 9,562,408 | 100 | 106,112 | 10,137,452 | 255,463,790,400 | 100 | 98,110 | 9,562,408 | 240,972,681,600 | 100 |
4. 일반투자자 배정방식별 배정현황
구분 | 배정수량(주) | 비중(%) | 균등방식 유형 |
---|---|---|---|
균등방식 | - | - | - |
비례방식 | - | - | - |
계 | - | - | - |
5. 기관투자자 의무보유확약기간별 배정현황
(단위 : 주, %) |
확약기간 | 국내 기관투자자 | 외국 기관투자자 | 합계 | |||||||||||
---|---|---|---|---|---|---|---|---|---|---|---|---|---|---|
운용사 (집합) | 투자매매ㆍ 중개업자 | 연기금,운용사(고유)은행,보험 | 기타 | 거래 실적 유 | 거래 실적 무 | |||||||||
수량 | 비중 | 수량 | 비중 | 수량 | 비중 | 수량 | 비중 | 수량 | 비중 | 수량 | 비중 | 수량 | 비중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미확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단위 : 주, %) |
성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증자 전 | 증자 후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진양곤 | 최대주주 | 보통주 | 8,610,902 | 8.06 | 8,672,902 | 7.45 |
이현아 | 친인척 | 보통주 | 230,772 | 0.22 | 230,772 | 0.20 |
이현수 | 임원 | 보통주 | 89,756 | 0.08 | 89,756 | 0.08 |
김용웅 | 임원 | 보통주 | 4,864 | 0.00 | 5,346 | 0.00 |
도순기 | 임원 | 보통주 | 4,864 | 0.00 | 5,346 | 0.00 |
에이치엘비생명과학(주) | 계열회사 | 보통주 | 1,399,230 | 1.31 | 1,538,312 | 1.32 |
에이치엘비셀(주) | 계열회사 | 보통주 | 828,214 | 0.77 | 910,537 | 0.78 |
진유림 | 친인척 | 보통주 | 8,230 | 0.01 | 8,230 | 0.01 |
진인혜 | 친인척 | 보통주 | 8,180 | 0.01 | 8,180 | 0.01 |
소 계 | 보통주 | 11,185,012 | 10.46 | 11,469,381 | 9.85 | |
우선주 | - | - | - | - |
주1) 증자 전 발행주식총수 : 106,903,481주
주2) 증자 후 발행주식총수 : 116,465,889주
- 증자 등기 예정일: 2022년 12월 12일 (등기 완료 예정일: 2022년 12월 14일)
- 신주유통예정일 : 2022년 12월 23일
- 상장 예정일: 2022년 12월 23일
1. 공고의 일자 및 방법
구 분 | 공고일자 | 공고방법 |
---|---|---|
신주 발행 및 배정기준일(주주확정일) 공고 | 2022년 08월 12일 | 당사 인터넷 홈페이지 (http://www.hlbkorea.com) |
모집가액 확정의 공고 | 2022년 11월 29일 |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 당사 인터넷 홈페이지 (http://www.hlbkorea.com) |
2. 증권신고서 : 전자문서 : 금융위(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 → http://dart.fss.or.kr
3. 투자설명서 :
- 전자문서 : 금융위(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 → http://dart.fss.or.kr
- 서면문서 : 에이치엘비㈜ →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산읍 당월로 216-53
케이비증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50
한국투자증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88
유진투자증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24
1. 자금조달 내용
(단위 : 원, 주) |
구분 | 주식 구분 | 신고서상 발행예정총액 | 실제 조달금액 | 비고 | ||
---|---|---|---|---|---|---|
발행가액 | 수 량 | 발행총액 | ||||
모집 | 보통주 | 240,972,681,600 | 25,200 | 9,562,408 | 240,972,681,600 | - |
계 | 240,972,681,600 | - | 9,562,408 | 240,972,681,600 | - | |
매출 | - | - | - | - | - | - |
계 | - | - | - | - | - | |
총 계 | 240,972,681,600 | 25,200 | 9,562,408 | 240,972,681,600 | - |
2. 자금의 사용목적
(단위 : 원) |
시설자금 | 영업양수 자금 | 운영자금 | 채무상환 자금 |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 기타 | 계 |
---|---|---|---|---|---|---|
20,700,000,000 | - | 8,055,769,960 | - | 212,216,911,640 | - | 240,972,681,600 |
가. 공모자금 세부 사용목적
당사가 금번 유상증자를 통하여 조달할 예정인 자금은 약 2,410억원 규모이며, 자금의 분류별 세부 사용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외화단위: USD / 원화단위: 백만원) |
구분 | 지급처 | 금액(외화) | 금액(원화) | 사용 시기 | 내용 |
---|---|---|---|---|---|
타법인증권취득자금 | Elevar Therapeutics, Inc. | 127,989,834 | 169,817 | 2022년~2025년 | 자회사의 유상증자를 통한 기존 pipeline 임상비용 및 상업화 관련 비용 지원 |
Immunomic Therapeutics, Inc. | 31,956,587 | 42,400 | 2023년 ~2025년 | 종속회사의 유상증자를 통한 기존 pipeline 임상비용 지원 | |
시설자금 | - | 20,700 | 2023년 ~2024년 | 헬스케어사업부 둔곡 제2공장 건립 건축비 등 | |
운영자금 | - | 8,056 | 2023년 | 복합소재 사업부문 원재료 매입 대금 등 | |
합계 | - | 240,973 | - | - |
주1) 자금의 사용목적 중 외화로 필요한 금액에 대하여는 2022년 11월28일 서울외국환중개 매매기준율(1,326.80원/달러)을 사용하여 산출하였으며, 상세 액수는 향후 당사의 주가 및 환율의 변동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주2) 상기 일정은 내부 임상개발전략, 규제기관의 정책변화, 시장 변동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1) 타법인증권취득자금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로 조달하는 금액 약 2,410억원 중 약 2,122억원을 타법인증권취득자금으로 사용할 예정이며, 그 세부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외화단위: USD / 원화단위: 백만원) |
지급처 | 금액(외화) | 금액(원화) | 사용시기 | 세부목적 |
---|---|---|---|---|
Elevar Therapeutics Inc. | 127,989,834 | 169,817 | 2022년 4분기부터 지속적 지원 | 자회사의 유상증자를 통한 기존 pipeline 임상비용 및 상업화 관련 비용 지원 |
Immunomic Therapeutics Inc. | 31,956,587 | 42,400 | 2023년 1분기부터 지속적 지원 | 종속회사의 유상증자를 통한 기존 pipeline 임상비용 지원 |
주1) 자금의 사용목적 중 외화로 필요한 금액에 대하여는 2022년 11월28일 서울외국환중개 매매기준율(1,326.80원/달러)을 사용하여 산출하였으며, 상세 액수는 향후 당사의 주가 및 환율의 변동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Elevar Therapeutics, Inc. 向 출자 계획] |
예정 시기 | 출자예정 대상회사 | 출자방법 | 출자예정금액 | 취득예정 주식수 | 출자 이후 | ||
---|---|---|---|---|---|---|---|
외화(달러) | 원화 | 보유주식수(예정) | 지분율 | ||||
2022년 4분기 | Elevar Therapeutics, Inc. | 보통주 취득 | 14,485,981 | 19,220,000,000 | 2,733,204 | 70,312,647 | 100.00% |
2023년 2분기 | Elevar Therapeutics, Inc. | 보통주 취득 | 17,794,694 | 23,610,000,000 | 3,357,489 | 73,670,136 | 100.00% |
2023년 4분기 | Elevar Therapeutics, Inc. | 보통주 취득 | 32,936,388 | 43,700,000,000 | 6,214,412 | 79,884,548 | 100.00% |
2024년 2분기 | Elevar Therapeutics, Inc. | 보통주 취득 | 27,492,614 | 36,477,200,000 | 5,187,285 | 85,071,833 | 100.00% |
2024년 4분기 | Elevar Therapeutics, Inc. | 보통주 취득 | 29,388,604 | 38,992,800,000 | 5,545,019 | 90,616,852 | 100.00% |
2025년 2분기 | Elevar Therapeutics, Inc. | 보통주 취득 | 4,168,273 | 5,530,464,985 | 786,466 | 91,403,318 | 100.00% |
2025년 4분기 | Elevar Therapeutics, Inc. | 보통주 취득 | 5,891,552 | 7,816,911,640 | 1,111,613 | 92,514,931 | 100.00% |
주1) 상기 일정은 당사에서 계획중인 일정으로 규제기관의 정책변화, 시장 환경 변화, 내부 임상 개발 전략변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Immunomic Therapeutics, Inc. 向 출자 계획] |
예정 시기 | 출자예정 대상회사 | 출자방법 | 출자예정금액 | 취득예정 주식수 | 출자 이후 | ||
---|---|---|---|---|---|---|---|
외화(달러) | 원화 | 보유주식수(예정) | 지분율 | ||||
2023년 1분기 | Immunomic Therapeutics, Inc. | 보통주 취득 | 19,972,867 | 26,500,000,000 | 3,994,573 | 15,280,219 | 57.76% |
2024년 1분기 | Immunomic Therapeutics, Inc. | 보통주 취득 | 11,983,720 | 15,900,000,000 | 2,396,744 | 17,676,963 | 66.01% |
주1) 상기 일정은 당사에서 계획중인 일정으로 규제기관의 정책변화, 시장 환경 변화, 내부 임상 개발 전략변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당사는 당사의 자회사인 Elevar Therapeutics Inc.를 통하여 의약품개발(항암제 등)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일 현재 Elevar Therapeutics Inc. 는 신약후보물질 'Rivoceranib' 성분에 대해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시장에서의 독점 실시권을 보유하고 있는 바, 연구개발 및 임상실험을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신약 판매허가를 득하게 될 경우 그 제품에 대한 판권을 보유하게 됩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일 현재 Elevar Therapeutics Inc. 는 다양한 적응증에 대하여 Rivoceranib 성분 단독 신약 및 타 성분과의 병용요법을 연구ㆍ개발 중에 있으며, 임상 진행 등에 있어서 지속적으로 자금 소요가 발생합니다. 이에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한 자금 중 약 1,698억원을 Elevar Therapeutics Inc.의 유상증자 참여에 사용할 예정이며, 그 중 1,494억원은 임상개발지원비용에, 204억원은 상업화를위한 마케팅 비용에 사용할 예정입니다. 유상증자 참여를 통해 당사가 Elevar Therapeutics Inc.에 지원하는 자금의 예상 사용처는 아래와 같습니다.
① Elevar 임상 비용
(외화단위: USD / 원화단위: 백만원) |
내역 | 필요금액(외화) | 필요금액(원화) | 연도별 사용 예정금액(원화) | |||
---|---|---|---|---|---|---|
2022 | 2023 | 2024 | 2025 | |||
선낭양성암 1차 치료제 글로벌 단독임상 3상 비용 | 17,636,418 | 23,400 | 7,020 | 9,360 | 7,020 | - |
간암 1차 치료제 글로벌 임상 4상(PMS) 비용 [Camrelizumab - Rivoceranib 병용] | 19,458,028 | 25,817 | - | 6,000 | 12,000 | 7,817 |
대장암 3차 치료제 글로벌 임상 2상 비용 | 10,174,857 | 13,500 | 5,400 | 8,100 | - | - |
대장암 3차 치료제 글로벌 임상 3상 비용 [론서프(타이호제약) - Rivoceranib 병용] | 33,916,189 | 45,000 | - | 15,000 | 30,000 | - |
난소암(PR) 2차 치료제 글로벌 임상 1상 비용 (아필리아 - Rivoceranib 병용) | 9,044,317 | 12,000 | 4,800 | 7,200 | - | - |
난소암(PR) 2차 치료제 글로벌 임상 3상 비용 (아필리아 - Rivoceranib 병용) | 22,384,685 | 29,700 | - | 9,900 | 19,800 | - |
합계 | 112,614,495 | 149,417 | 17,220 | 55,560 | 68,820 | 7,817 |
주1) 자금의 사용목적 중 외화로 필요한 금액에 대하여는 2022년 11월28일 서울외국환중개 매매기준율(1,326.80원/달러)을 사용하여 산출하였으며, 상세 액수는 향후 당사의 주가 및 환율의 변동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② Elevar 상업화 비용
(외화단위: USD / 원화단위: 백만원) |
항목 | 내역 | 필요금액(외화) | 필요금액(원화) | 연도별 사용 예정금액(원화) | ||
---|---|---|---|---|---|---|
2022 | 2023 | 2024 | ||||
NDA 준비 | NDA 위한 전문 컨설팅 | 3,014,772 | 4,000 | 2,000 | 2,000 | - |
생산 | 리보세라닙 시판용 제품 생산 | 5,275,852 | 7,000 | - | 4,000 | 3,000 |
온라인 마케팅 | 온라인 홍보 (병원, 제약사 등) | 2,562,557 | 3,400 | - | 2,350 | 1,050 |
오프라인 마케팅 | 오프라인 홍보 (학회, 제약사 등) | 3,316,250 | 4,400 | - | 2,800 | 1,600 |
조직 관리 | 협력업체 관리 및 운용 | 1,205,909 | 1,600 | - | 600 | 1,000 |
합계 | 15,375,339 | 20,400 | 2,000 | 11,750 | 6,650 |
주1) 자금의 사용목적 중 외화로 필요한 금액에 대하여는 2022년 11월 28일 서울외국환중개 매매기준율(1,326.80원/달러)을 사용하여 산출하였으며, 상세 액수는 향후 당사의 주가 및 환율의 변동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또한,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Immunomic Therapeutics Inc. 는 다양한 적응증에 대하여 UNITE (Universal Intracellular Targeted Expression)라는 면역 플랫폼 기술을활용하여 면역세포치료제, 치료백신 등의 면역치료제를 연구ㆍ개발 중에 있으며, 임상 진행 등에 있어서 지속적으로 자금 소요가 발생합니다. 이에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한 자금 중 약424억원을 Immunomic Therapeutics Inc.의 유상증자 참여에 사용할 예정입니다.
③ Immunomic Therapeutics 임상개발
(외화단위: USD / 원화단위: 백만원) |
내역 | 필요금액(외화) | 필요금액(원화) | 연도별 사용 예정금액(원화) | ||
---|---|---|---|---|---|
2022 | 2023 | 2024 | |||
교모세포종 1차 치료제 | 31,956,587 | 42,400 | - | 26,500 | 15,900 |
주1) 자금의 사용목적 중 외화로 필요한 금액에 대하여는 2022년 11월28일 서울외국환중개 매매기준율(1,326.80원/달러)을 사용하여 산출하였으며, 상세 액수는 향후 당사의 주가 및 환율의 변동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주2) 전체 임상개발 필요비용 중 금번 유상증자 자금 424억원을 사용할 예정이며, 잔여 비용은 현지자금을 활용할 계획입니다. 주3) 상기 일정은 내부 임상개발전략, 규제기관의 정책변화, 시장 변동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당사가 계획중인 파이프라인 일정, 각 임상계획별 임상시험비용 세부내역 및 임상시험 개요는 아래와 같습니다
|
주1) 상기 일정은 회사에서 추정한 일정으로 규제기관의 정책변화, 시장 환경 변화, 내부 임상 개발 전략변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1) 선양낭성암 1차 치료제
(단위: 백만원) |
파이프라인 | 구분 | 구성 | 2022년 | 2023년 | 2024년 | 총금액 | ||||||
---|---|---|---|---|---|---|---|---|---|---|---|---|
4Q | 1Q | 2Q | 3Q | 4Q | 1Q | 2Q | 3Q | 4Q | ||||
선양낭성암(ACC) 1차 치료제 3상 임상 | 임상비용 | CRO Opration | 1,404 | 468 | 468 | 468 | 468 | 281 | 281 | 281 | 562 | 4,680 |
임상비용 | 임상 사이트 관리(환자 검사비 등) | 1,755 | 585 | 585 | 585 | 585 | 439 | 439 | 439 | 439 | 5,850 | |
데이터분석 | 통계 분석 비용 | 351 | 117 | 117 | 117 | 117 | 35 | 35 | 35 | 246 | 1,170 | |
임상약 생산/유통 | 제조/유통 | 1,404 | 468 | 468 | 468 | 468 | 351 | 351 | 351 | 351 | 4,680 | |
임상, NDA 컨설팅 등 | 컨설팅 | 1,053 | 983 | 281 | 70 | 70 | 53 | 53 | 316 | 632 | 3,510 | |
기타 판관비 | 내부 운영비(출장, KOL 섭외, 인력보강 등) | 1,053 | 421 | 421 | 421 | 140 | 105 | 105 | 421 | 421 | 3,510 | |
합계 | 7,020 | 3,042 | 2,340 | 2,129 | 1,849 | 1,264 | 1,264 | 1,843 | 2,650 | 23,400 |
[선양낭성암 1차 치료제 글로벌 임상 3상 개요] |
구분 | 내용 |
---|---|
임상시험 대상국가 | 미국, 유럽, 아시아 |
임상시험의 목적 | 임상시험의 주요 목표는 재발 또는 전이성 선양낭성암(Adnoid Cystic Carcinoma, ACC) 피험자를 대상으로 대조군과 비교하여 리보세라닙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함 |
임상시험 시행 방법 | 시험 대상자 수: 재발 또는 전이성 선양낭성암 환자 약 156명 + 10% 환자 무작위(randomized), 이중눈가림(double-blind), 위약 대조로 진행되며, 리보세라닙 700mg과 위약을 투여하여 무진행생존기간(PFS)를 평가함 임상연구기간 : 전체 약 3년 (환자의 등록 상황 또는 투여기간 등에 따라 변동 가능) |
기대효과 | 선양낭성암의 진행은 혈관 형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신생혈관은 VEGF와 VEGFR2에 의해 진행됨 리보세라닙은 신생혈관을 억제하는 표적항암제로 신생혈관의 주요한 표적인 VEGFR2를 타겟으로 하기 때문에 선양낭성암의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됨. 선양낭성암은 희귀질환으로 현재 표준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리보세라닙의 신약 승인되면 최초의 신약이 될 것으로 기대됨 |
임상비용 산정근거 | American Medical Association의 조사에 따르면, 항암제 임상3상에 소요 되는 비용은 최소 31백만USD~59백만USD로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 당사 과거 임상(GC3, ACC)에 투입된 비용을 분석한 결과, 환자 1인당 약 115천USD(한화 약150백만원)가 소요 되었습니다. 이를 근거로 향후 진행될 임상 비용을 산정하였으나 거시경제상황변화(물가상승, 환율), 임상프로토콜 수정 등에 의해 변동 가능성 또한 존재합니다. |
임상 시험 기관 | 미국: UCLA(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UCSF(San Francisco, Califonia), Dana-Farber Cancer Institute 등 유럽: 협의중 아시아: 서울대병원, 삼성서울병원 등 (임상시험기관들과 논의후 추가 및 변경 가능) |
2) 간암 (HCC) 1차 치료제 4상(PMS) 임상
(단위: 백만원) |
파이프라인 | 구분 | 구성 | 2023년 | 2024년 | 2025년 | 총금액 | |||||||||
---|---|---|---|---|---|---|---|---|---|---|---|---|---|---|---|
1Q | 2Q | 3Q | 4Q | 1Q | 2Q | 3Q | 4Q | 1Q | 2Q | 3Q | 4Q | ||||
간암 (HCC) 1차 치료제 4상 임상 | 임상비용 | CRO Opration | - | 720 | 360 | 120 | 600 | 600 | 600 | 600 | 313 | 625 | 625 | - | 5,163 |
임상비용 | 임상 사이트 관리(환자 검사비 등) | - | 450 | 450 | 600 | 750 | 750 | 750 | 750 | 684 | 353 | 586 | - | 6,454 | |
데이터분석 | 통계 분석 비용 | 210 | 30 | 30 | 30 | 150 | 150 | 150 | 150 | 137 | 254 | - | - | 1,291 | |
임상약 생산/유통 | 제조/유통 | 480 | 240 | 240 | 240 | 600 | 600 | 600 | 600 | 469 | 547 | 547 | - | 5,163 | |
임상, NDA 컨설팅 등 | 컨설팅 | 360 | 180 | 180 | 180 | 450 | 450 | 450 | 450 | 645 | 235 | 293 | - | 3,873 | |
기타 판관비 | 내부 운영비(출장, KOL 섭외, 인력보강 | 225 | 225 | 225 | 225 | 450 | 450 | 450 | 450 | 704 | 235 | 235 | - | 3,873 | |
합계 | 1,275 | 1,845 | 1,485 | 1,395 | 3,000 | 3,000 | 3,000 | 3,000 | 2,951 | 2,580 | 2,286 | - | 25,817 |
[간암 1차 치료제 글로벌 임상 4상(PMS) 개요] |
구분 | 내용 |
---|---|
임상시험 대상국가 | 미국, 유럽, 아시아 |
임상시험의 목적 | 임상시험의 주요 목표는 절재 불가능한 간세포암(hepatocellular carcinoma, HCC) 피험자를 대상으로 리보세라닙과 캄렐리주맙 투여시 안전성과 내약성을 확인하기 위함 |
임상시험 시행 방법 | 시험 대상자 수: 절재 불가능한 간세포암 환자 약 1,000명 리보세라닙과 캄렐리주맙을 투여받은 환자을 관찰하며 안전성과 내약성을 평가함 임상연구기간 : 전체 약 3년 (환자의 모집 상황 또는 투여기간 등에 따라 변동 가능) |
기대효과 | - 간암의 진행은 혈관 형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신생혈관은 VEGF와 VEGFR2에 의해 진행됨. 또한 종양미세환경내에서 면역억제로 인해 간암의 진행을 촉진하고 있음. - 리보세라닙은 신생혈관을 억제하는 표적항암제로 신생혈관의 주요한 표적인 VEGFR2를 타겟으로 하기 때문에 간암의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되고, 캄렐리주맙은 종양미세환경의 면역억제기전을 정상화시켜 면역활성화를 통해 간암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되고 있기 때문에 두 제품의 병용은 간암 치료에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됨 - 간암은 1차 치료제는 넥사바, 렌비마와 같은 저분자 신생혈관억제제 단독치료제와 아바스틴(항체치료제)과 티센트릭(항체치료제) 병용으로 허가되어 있으며, 캄렐리주맙과 리보세라닙이 신약 승인되면 최초의 면역항암제+저분자신생혈관억제 병용 신약이 될 것으로 기대됨 |
임상비용 산정근거 | 글로벌 조사 기관인 ERG (Eastern Research Group Inc.)에 따르면, 항암제 임상4상에 소요 되는 비용은 최소 38백만USD로 알려져 있습니다. |
임상 시험 기관 | 미국: MD Anderson, UCSC(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등 유럽: 협의중 아시아: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등 (임상시험기관들과 논의후 추가 및 변경 가능) |
3) 대장암 (CRC) 3차 치료제 2상 임상
(단위: 백만원) |
파이프라인 | 구분 | 구성 | 2022년 | 2023년 | 총금액 | |||
---|---|---|---|---|---|---|---|---|
4Q | 1Q | 2Q | 3Q | 4Q | ||||
대장암 (CRC) 3차 치료제 2상 임상 | 임상비용 | CRO Opration | 1,080 | 162 | 162 | 324 | 972 | 2,700 |
임상비용 | 임상 사이트 관리(환자 검사비 등) | 1,350 | 506 | 506 | 506 | 506 | 3,375 | |
데이터분석 | 통계 분석 비용 | 270 | 41 | 41 | 81 | 243 | 675 | |
임상약 생산/유통 | 제조/유통 | 1,080 | 405 | 405 | 405 | 405 | 2,700 | |
임상, NDA 컨설팅 등 | 컨설팅 | 810 | 851 | 243 | 61 | 61 | 2,025 | |
기타 판관비 | 내부 운영비(출장, KOL 섭외, 인력보강 등) | 810 | 365 | 365 | 365 | 122 | 2,025 | |
합계 | 5,400 | 2,329 | 1,721 | 1,742 | 2,309 | 13,500 |
[대장암 3차 치료제 글로벌 임상 2상 개요] |
구분 | 내용 |
---|---|
임상시험 대상국가 | 미국, 유럽, 아시아 |
임상시험의 목적 | 임상시험의 주요 목표는 전이성 대장암(Colorectal cancer, CRC) 피험자를 대상으로 리보세라닙과 트리플루리딘/티피라실(론서프) 투여시 안전성과 유효성을확인하기 위함 |
임상시험 시행 방법 | 시험 대상자 수: 전이성 대장암 환자 약 100명 리보세라닙과 트리플루리딘/티피라실(론서프)을 투여받은 환자을 관찰하며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함 임상연구기간 : 전체 약 2년 (환자의 모집 상황 또는 투여기간 등에 따라 변동 가능) |
기대효과 | - 대장암의 진행은 혈관 형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신생혈관은 VEGF와 VEGFR2에 의해 진행됨. - 리보세라닙은 신생혈관을 억제하는 표적항암제로 신생혈관의 주요한 표적인 VEGFR2를 타겟으로 하기 때문에 간암의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되고, 트리플루리딘/티피라실(론서프)은 새로운 세포독성항암제로 대장암 3차 치료제 단독요법으로 허가받아 효과적임을 증명되었음. 이러한 두 제품이 병용요법은 대장암 치료에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됨. |
임상비용 산정근거 | American Medical Association의 조사에 따르면, 항암제 임상3상에 소요 되는 비용은 최소 31백만USD~59백만USD로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 당사 과거 임상(GC3, ACC)에 투입된 비용을 분석한 결과, 환자 1인당 약 115천USD(한화 약150백만원)가 소요 되었습니다. 이를 근거로 향후 진행될 임상 비용을 산정하였으나 거시경제상황변화(물가상승, 환율), 임상프로토콜 수정 등에 의해 변동 가능성 또한 존재합니다. |
임상 시험 기관 | 미국: Vanderbilt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Washingt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등 유럽: 협의중 아시아: 협의중 (임상시험기관들과 논의후 추가 및 변경 가능) |
4) 대장암 (CRC) 3차 치료제 3상 임상
(단위: 백만원) |
파이프라인 | 구분 | 구성 | 2023년 | 2024년 | 총금액 | ||||
---|---|---|---|---|---|---|---|---|---|
3Q | 4Q | 1Q | 2Q | 3Q | 4Q | ||||
대장암 (CRC) 3차 치료제 3상 임상 | 임상비용 | CRO Opration | 900 | 2,100 | 1,500 | 1,500 | 1,500 | 1,500 | 9,000 |
임상비용 | 임상 사이트 관리(환자 검사비 등) | 1,125 | 2,625 | 1,875 | 1,875 | 1,875 | 1,875 | 11,250 | |
데이터분석 | 통계 분석 비용 | 525 | 225 | 375 | 375 | 375 | 375 | 2,250 | |
임상약 생산/유통 | 제조/유통 | 1,500 | 1,500 | 1,500 | 1,500 | 1,500 | 1,500 | 9,000 | |
임상, NDA 컨설팅 등 | 컨설팅 | 1,800 | 450 | 1,125 | 1,125 | 1,125 | 1,125 | 6,750 | |
기타 판관비 | 내부 운영비(출장, KOL 섭외, 인력보강 등) | 1,125 | 1,125 | 1,125 | 1,125 | 1,125 | 1,125 | 6,750 | |
합계 | 6,975 | 8,025 | 7,500 | 7,500 | 7,500 | 7,500 | 45,000 |
[대장암 3차 치료제 글로벌 임상 3상 개요] |
구분 | 내용 |
---|---|
임상시험 대상국가 | 미국, 유럽, 아시아 |
임상시험의 목적 | 임상시험의 주요 목표는 전이성 대장암(Colorectal cancer, CRC) 피험자를 대상으로 리보세라닙과 트리플루리딘/티피라실(론서프) 투여시 안전성과 유효성을확인하기 위함 |
임상시험 시행 방법 | 시험 대상자 수: 전이성 대장암 환자 약 500명 리보세라닙과 트리플루리딘/티피라실(론서프)을 투여받은 환자을 관찰하며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함 임상연구기간 : 전체 약 3년 (환자의 모집 상황 또는 투여기간 등에 따라 변동 가능) |
기대효과 | - 대장암의 진행은 혈관 형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신생혈관은 VEGF와 VEGFR2에 의해 진행됨. - 리보세라닙은 신생혈관을 억제하는 표적항암제로 신생혈관의 주요한 표적인 VEGFR2를 타겟으로 하기 때문에 간암의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되고, 트리플루리딘/티피라실(론서프)은 새로운 세포독성항암제로 대장암 3차 치료제 단독요법으로 허가받아 효과적임을 증명되었음. 이러한 두 제품의 병용요법은 대장암 치료에 더욱 효과적일것으로 기대됨. |
임상비용 산정근거 | American Medical Association의 조사에 따르면, 항암제 임상3상에 소요 되는 비용은 최소 31백만USD~59백만USD로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 당사 과거 임상(GC3, ACC)에 투입된 비용을 분석한 결과, 환자 1인당 약 115천USD(한화 약150백만원)가 소요 되었습니다. 이를 근거로 향후 진행될 임상 비용을 산정하였으나 거시경제상황변화(물가상승, 환율), 임상프로토콜 수정 등에 의해 변동 가능성 또한 존재합니다. |
임상 시험 기관 | 미국: Vanderbilt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Washingt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등 유럽: 협의중 아시아: 협의중 (임상시험기관들과 논의후 추가 및 변경 가능) |
5) 난소암 OC (PR) 2차 치료제 1상 임상
(단위: 백만원) |
파이프라인 | 구분 | 구성 | 2022년 | 2023년 | 총금액 | ||
---|---|---|---|---|---|---|---|
4Q | 1Q | 2Q | 3Q | ||||
난소암 OC (PR) 2차 치료제 1상 임상 | 임상비용 | CRO Opration | 960 | 576 | 720 | 144 | 2,400 |
임상비용 | 임상 사이트 관리(환자 검사비 등) | 1,200 | 720 | 900 | 180 | 3,000 | |
데이터분석 | 통계 분석 비용 | 240 | 72 | 72 | 216 | 600 | |
임상약 생산/유통 | 제조/유통 | 960 | 576 | 432 | 432 | 2,400 | |
임상, NDA 컨설팅 등 | 컨설팅 | 720 | 216 | 216 | 648 | 1,800 | |
기타 판관비 | 내부 운영비(출장, KOL 섭외, 인력보강 등) | 720 | 324 | 324 | 432 | 1,800 | |
합계 | 4,800 | 2,484 | 2,664 | 2,052 | 12,000 |
[난소암(PR) 2차 치료제 글로벌 임상 1상 개요] |
구분 | 내용 |
---|---|
임상시험 대상국가 | 미국 |
임상시험의 목적 | 임상시험의 주요 목표는 백금계항암제 저항성(Platinum-resistant)이 있는 난소암(Platinum-resistant epithelial Ovarian Cancer) 피험자를 대상으로 리보세라닙과 아필리아 투여시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함 |
임상시험 시행 방법 | 시험 대상자 수: 백금계항암제 저항성이 있는 난소암 환자 약 66 ~ 81명 아필리아와 리보세라닙의 투여시, 리보세라닙의 용량을 증가시키며 내약성과 안전성을 평가하여 용량을 결정 임상연구기간 : 전체 약 2년 (환자의 모집 상황 또는 투여기간 등에 따라 변동 가능) |
기대효과 | - 난소암의 진행은 혈관 형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신생혈관은 VEGF와 VEGFR2에 의해 진행됨. - 리보세라닙은 신생혈관을 억제하는 표적항암제로 신생혈관의 주요한 표적인 VEGFR2를 타겟으로 하기 때문에 난소암의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되고, 아필리아는 파클리탁셀(paclitaxel) 성분의 세포독성항암제로 난소암에 대해서 효과적임을 증명되었음. 이러한 두 제품의 병용요법은 난소암 치료에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됨. |
임상비용 산정근거 | American Medical Association의 조사에 따르면, 항암제 임상3상에 소요 되는 비용은 최소 31백만USD~59백만USD로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 당사 과거 임상(GC3, ACC)에 투입된 비용을 분석한 결과, 환자 1인당 약 115천USD(한화 약150백만원)가 소요 되었습니다. 이를 근거로 향후 진행될 임상 비용을 산정하였으나 거시경제상황변화(물가상승, 환율), 임상프로토콜 수정 등에 의해 변동 가능성 또한 존재합니다. |
임상 시험 기관 | 미국: GOG(gynecologic oncology group)과 협력하여 선정 예정 (임상시험기관들과 논의후 추가 및 변경 가능) |
6) 난소암 OC (PR) 2차 치료제 3상 임상
(단위: 백만원) |
파이프라인 | 구분 | 구성 | 2023년 | 2024년 | 총금액 | ||||
---|---|---|---|---|---|---|---|---|---|
3Q | 4Q | 1Q | 2Q | 3Q | 4Q | ||||
난소암 OC (PR) 2차 치료제 3상 임상 | 임상비용 | CRO Opration | 1,188 | 792 | 990 | 990 | 990 | 990 | 5,940 |
임상비용 | 임상 사이트 관리(환자 검사비 등) | 1,485 | 990 | 1,238 | 1,238 | 1,238 | 1,238 | 7,425 | |
데이터분석 | 통계 분석 비용 | 297 | 198 | 248 | 248 | 248 | 248 | 1,485 | |
임상약 생산/유통 | 제조/유통 | 990 | 990 | 990 | 990 | 990 | 990 | 5,940 | |
임상, NDA 컨설팅 등 | 컨설팅 | 1,040 | 446 | 743 | 743 | 743 | 743 | 4,455 | |
기타 판관비 | 내부 운영비(출장, KOL 섭외, 인력보강 등) | 743 | 743 | 743 | 743 | 743 | 743 | 4,455 | |
합계 | 5,742 | 4,158 | 4,950 | 4,950 | 4,950 | 4,950 | 29,700 |
[난소암(PR) 2차 치료제 글로벌 임상 3상 개요] |
구분 | 내용 |
---|---|
임상시험 대상국가 | 미국 |
임상시험의 목적 | 임상시험의 주요 목표는 백금계항암제 저항성(Platinum-resistant)이 있는 난소암(Platinum-resistant epithelial Ovarian Cancer) 피험자를 대상으로 리보세라닙과 아필리아 투여시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함 |
임상시험 시행 방법 | 시험 대상자 수: 백금계항암제 저항성이 있는 난소암 환자 약 330명 아필리아와 리보세라닙를 투여받은 환자를 관찰하며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함 임상연구기간 : 전체 약 3년 (환자의 모집 상황 또는 투여기간 등에 따라 변동 가능) |
기대효과 | - 난소암의 진행은 혈관 형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신생혈관은 VEGF와 VEGFR2에 의해 진행됨. - 리보세라닙은 신생혈관을 억제하는 표적항암제로 신생혈관의 주요한 표적인 VEGFR2를 타겟으로 하기 때문에 난소암의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되고, 아필리아는 파클리탁셀(paclitaxel) 성분의 세포독성항암제로 난소암에 대해서 효과적임을 증명되었음. 이러한 두 제품의 병용요법은 난소암 치료에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됨. |
임상비용 산정근거 | American Medical Association의 조사에 따르면, 항암제 임상3상에 소요 되는 비용은 최소 31백만USD~59백만USD로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 당사 과거 임상(GC3, ACC)에 투입된 비용을 분석한 결과, 환자 1인당 약 115천USD(한화 약150백만원)가 소요 되었습니다. 이를 근거로 향후 진행될 임상 비용을 산정하였으나 거시경제상황변화(물가상승, 환율), 임상프로토콜 수정 등에 의해 변동 가능성 또한 존재합니다. |
임상 시험 기관 | 미국: GOG(gynecologic oncology group)과 협력하여 선정 예정 (임상시험기관들과 논의후 추가 및 변경 가능) |
7) 교모세포종 1차 치료제 GBM(ITI-1000) 3상 임상
(단위: 백만원) |
파이프라인 | 구분 | 구성 | 2023년 | 2024년 | 총금액 | ||||||
---|---|---|---|---|---|---|---|---|---|---|---|
1Q | 2Q | 3Q | 4Q | 1Q | 2Q | 3Q | 4Q | ||||
교모세포종 1차 치료제 GBM(ITI-1000) | 임상비용 | CRO Opration | 2,650 | 2,650 | - | - | 1,590 | - | 1,590 | - | 8,480 |
임상비용 | 임상 사이트 관리(환자 검사비 등) | - | 3,313 | - | 3,313 | - | 1,988 | - | 1,988 | 10,600 | |
데이터분석 | 통계 분석 비용 | 1,325 | - | - | - | - | - | 398 | 398 | 2,120 | |
임상약 생산/유통 | 제조/유통 | 2,385 | 2,385 | 1,590 | 1,590 | 1,193 | 1,193 | 1,193 | 1,193 | 12,720 | |
임상, NDA 컨설팅 등 | 컨설팅 | 663 | 663 | - | - | - | - | 636 | 159 | 2,120 | |
기타 판관비 | 내부 운영비(출장, KOL 섭외, 인력보강 등) | 994 | 994 | 994 | 994 | 596 | 596 | 596 | 596 | 6,360 | |
합계 | 8,016 | 10,004 | 2,584 | 5,896 | 3,379 | 3,776 | 4,412 | 4,333 | 42,400 |
[교모세포종 1차 치료제 글로벌 임상 3상 개요] |
구분 | 내용 |
---|---|
임상시험 대상국가 | 미국 |
임상시험의 목적 | 임상시험의 주요 목표는 교모세포종(Glioblastoma, GBM) 피험자를 대상으로 대조군과 비교하여 ITI-1000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함 |
임상시험 시행 방법 | 시험 대상자 수: 교모세포종 환자 약 270명 ~ 600명 무작위(randomized), 위약 대조로 진행되며, ITI-1000과 위약을 투여하여 전체생존기간(OS)를 평가함 임상연구기간 : 전체 약 4.5년 (환자의 등록 상황 또는 투여기간 등에 따라 변동 가능) |
기대효과 | 교모세포종은 많은 환자에서 거대세포바이러스(Cytomegalovirus, CMV)가 발견되고 있기 때문에 좋은 타겟이 될 수 있음. ITI-1000은 CMV의 항원을 UNITE 플랫폼인 리소좀관련막단백질(LAMP)에 발현시켜 환자의 면역세포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기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교모세포종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됨. 교모세포종은 현재 세포독성항암제인 테모달 외에는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ITI-1000이 신약 승인되면 최초의 바이오신약이 될 것으로 기대됨 |
임상비용 산정근거 | American Medical Association의 조사에 따르면, 항암제 임상3상에 소요 되는 비용은 최소 31백만USD~59백만USD로 알려져 있습니다. 환자 맞춤형 치료제의 특성상 환자별로 제조를 실시하여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항암제에 비해 제조비용이 증가됩니다. 이를 근거로 향후 진행될 임상 비용을 산정하였으나 거시경제상황변화(물가상승, 환율), 임상프로토콜 수정 등에 의해 변동 가능성 또한 존재합니다. |
임상 시험 기관 | 미국: University of Florida, Duke University Medical Center 등 (임상시험기관들과 논의후 추가 및 변경 가능) |
상기 임상/NDA 진행 계획 및 자금 소요 예상 시기 등은 확정된 바가 아닌 당사의 목표이며, 당사의 의도와 관계 없이 예상치 못한 변수에 의해 변경되거나 취소될 가능성이 상존합니다. 상기 예정 사항이 불가피하게 변경 또는 취소되는 상황이 발생하는경우, 당사는 즉시 해당 내용에 대하여 공시를 통해 소명할 예정입니다.
당사는 현재까지 미화 약 4억 2,577만 달러를 Elevar에, 미화 약 5,643만 달러를 Immunomic에 출자했습니다. 당사는 종속기업 지분 취득과 관련한 영업권 손상검토를 위해 매년 3분기말 외부회계법인을 통해 영업권 손상검토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에따라 출자시 주식가치산정은 납입 이전 가장 최근 영업권손상검토보고서에 기재된수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당사의 지속적인 출자에도 불구하고 Elevar와 Immunomic는 바이오연구개발기업의 특성상 유의미한 매출이 발생하고 있지 않으며, 연구개발비 및 판관비로 인한 자금지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Elevar는 2021년 말 재무제표를 기준으로 전액자본잠식 상태이며 업종의 특수성을 고려하였을 때, 유의미한 연구개발결과가 나와 신약개발 매출로 이어지지 않는다면추가적인 재무구조 악화 및 자본잠식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됩니다.
당사가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하는 자금 중 Elevar 증권취득 목적으로 약 1,698억원(미화 약 1억 2,799만달러), Immunomic 증권취득 목적으로 약424억원(미화 약 3,196만달러)를 출자할 계획이며, 해당 출자에 따라 종속회사의 재무현황 개선이 기대됩니다. 다만, 해당 출자는 종속회사의 임상시험 일정에 따라 증자 납입 직후부터 2025년까지 상대적으로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해당 출자에도 불구하고 연구개발비 증가 및 수익 발생 지연이 지속되는 경우 추가적인 재무구조 악화의 우려가 있습니다. 투자자분들께서는 당사의 종속기업인Elevar와 Immunomic의 이익 미실현 및 악화된 재무구조에 대해 인식하시고, 양 사의 연구개발 활동 지속을 위해서는 당사의 지속적인 출자가 필요하다는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Elevar 및 Immunomic의 요약재무상태표는 아래와 같습니다.
[Elevar 요약재무상태표] | |
(US GAAP) | (단위: 천USD, %) |
결산연월 또는 결산기간 | 2021년 | 2020년 |
---|---|---|
1. 자산총계 | 42,559 | 41,216 |
- 유동자산 | 21,767 | 20,383 |
2. 부채총계 | 55,254 | 39,265 |
- 유동부채 | 36,860 | 20,968 |
3. 자본총계 | (12,695) | 1,951 |
4. 부채비율 (%) | -435.2% | 2,012.6% |
5. 유동비율 (%) | 59.1% | 97.2% |
6. 영업손익 | (56,011) | (31,317) |
기타 손익 | 825 | 536 |
7. 당기순이익 | (55,186) | (30,781) |
8. 자본금 | 272,039 | 235,498 |
9. 영업활동 현금흐름 | (32,926) | (35,882) |
10. 투자활동 현금흐름 | 652 | (20,202) |
11. 재무활동 현금흐름 | 4,267 | (6,084) |
12. 현금 및 현금성자산 기말 잔고 | 19,644 | 15,377 |
자료 : | Elevar Therapeutics, Inc 감사보고서(KPMG LA) |
주1) Elevar는 외부감사 의무대상이 아니며, 회사 자체적으로 회계법인에 의뢰해 2020년 및 2021년 외부감사를 받았습니다. |
[Immunomic 요약재무상태표] | |
(K-IFRS) | (단위: 천USD, %) |
결산연월 또는 결산기간 | 2021년 | 2020년 | 2019년 |
---|---|---|---|
1. 자산총계 | 47,519 | 67,220 | 21,005 |
- 유동자산 | 31,331 | 47,546 | 12,825 |
2. 부채총계 | 13,080 | 11,933 | 15,515 |
- 유동부채 | 5,065 | 3,773 | 3,556 |
3. 자본총계 | 34,439 | 55,287 | 5,490 |
4. 부채비율 (%) | 38.0% | 21.6% | 282.6% |
5. 유동비율 (%) | 618.5% | 1,260.2% | 360.6% |
6. 영업손익 | 2,028 | 27 | 12,006 |
기타 손익 | (300) | (78) | 223 |
금융 손익 | (499) | (395) | (620) |
7. 당기순이익 | (23,210) | (10,699) | (5,107) |
8. 자본금 | 3 | 3 | 1 |
9. 영업활동 현금흐름 | (18,644) | (15,754) | (6,308) |
10. 투자활동 현금흐름 | (4,459) | (2,854) | (413) |
11. 재무활동 현금흐름 | (10) | 53,002 | (363) |
12. 현금 및 현금성자산 기말 잔고 | 23,484 | 46,597 | 12,204 |
자료 : | Immunomic Therapeutics, Inc 감사보고서(삼일회계법인) |
주1) Immunomic은 외부감사 의무대상이 아니며, 회사 자체적으로 회계법인에 의뢰해 2021년 기준 최근 3개년 외부감사를 받았습니다. |
당사가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하는 타법인(Elevar, Immunomic) 증권취득 목적 자금 약 2,122억원(미화 약 1억 5,994만 달러)의 사용 예정 시기는 증자 납입 직후부터 2025년까지 상대적으로 길게 분포되어 있습니다. (Elevar에 대한 당사의 세부 출자 계획은 본 증권신고서 "제1부 - III. 투자위험요소 - 2. 회사위험 - 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는 상기에 기재하였듯이 당사와 Elevar, Immunomic이 영위하는 사업의 특성상 자금 소요 시기를 확정적으로 예상하는 데 무리가 있기 때문입니다. 임상, NDA 및 상업화의 경우 연구 및 협상의 진행상황에 따라 당사가 본 증권신고서에기재한 일정보다 이르거나 늦게 진행될 가능성이 상존합니다.
(2) 시설자금 - 헬스케어 사업부 둔곡 제2공장 설립
㈜에프에이는 2008년 5월에 설립되어 알코올 스왑 등 손소독제, 소독티슈 등을 생산하던 회사였으나 코로나의 등장과 확산으로 인하여 진단키트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매출이 증가한 회사입니다. 당사는 인수 및 합병 이후 동사(現 헬스케어사업부)를 체외진단분야의 전문 기업으로 육성하여 해외의 신규시장으로의 진입을 시도할 것이며, 코로나 외 다른 분야로 사업을 확장시킬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당사는 기존 ㈜에프에이가 2020년 10월 매매계약을 체결했던 유성구 구룡동 대덕R&D특구에 위치한 연구시설용지에 둔곡 제2공장을 설립하여 기존 생산설비 이전, 기업부설 연구소 이전 및 확장으로 품질관리와 함께 연구,개발(R&D)의 체계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둔곡 제2공장 부지] |
|
[자금의 세부 사용 계획] |
(단위 : 백만원) |
구분 | 내용 | 세부내역 | 금액 | |
---|---|---|---|---|
신규시설투자 | 건설공사 | 건축, 토목, 기계설비, 전기설비, 통신설비, 소방설비 | 둔곡 제2공장 설립 | 20,700 |
합계 | 20,700 |
헬스케어사업부(舊 ㈜에프에이)는 2020년 10월 13일 한국토지주택공사와 대전광역시 유성구 구룡동 대덕R&D특구에 위치한 연구시설용지 총 12,196㎡ 를 56.65억원에 분양계약을 체결하여, 2021년 10월 29일 중도금 및 잔금 납부를 완료하였습니다.이후 연구소 이전 및 제품 라인업 강화의 전략적 검토 등으로 신규공장 건립이 지연됐으나, 2공장(둔곡) 신축을 위해 '22. 7월부터 공장 신축을 위한 기초 정보 수집(설비 및 시설 정보) 및 설계, 컨설팅 등 단계별 진행중에 있으며, 2023년 1월 설계 계약을 시작으로 2023년 6월 착공을 진행하여 최종 2024년 6월 공장 준공 및 설비 가동 셋팅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3) 운영자금
[운영자금 상세 사용 목적] |
(단위: 백만원) |
사업명 | 사용시기 | 합계 | |
---|---|---|---|
2023년 | 2024년 | ||
판매비와관리비 | 6,871 | 1,185 | 8,056 |
금번 유상증자를 통한 공모 자금 중 약 8,056백만원은 당사 ENG 사업부의 운영자금으로 활용할 예정입니다. 당사의 별도기준 판매비와 관리비는 2019년 8,010백만원, 2020년 19,462백만원, 2021년 23,623백만원 등으로 매출액의 48.5%~79.3%를 차지하며, 2023년 판매비와관리비에 금번 유상증자 대금 중 일부를 활용할 계획입니다. 또한, 사용일까지는 특정금전신탁, MMDA 등 금융기관의 단기금융상품으로 운용할 예정입니다.
[영업비용 세부 내역] | |
(별도기준)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2년 3분기 | 2021년 | 2020년 | 2019년 |
---|---|---|---|---|
급 여 | 3,613 | 4,410 | 3,967 | 2,801 |
퇴직급여 | 283 | 534 | 325 | 137 |
복리후생비 | 584 | 585 | 620 | 452 |
여비교통비 | 213 | 167 | 173 | 368 |
접대비 | 295 | 291 | 270 | 169 |
통신비 | 23 | 30 | 34 | 32 |
전력비 | 35 | 64 | 139 | 122 |
세금과공과금 | 241 | 203 | 180 | 151 |
감가상각비 | 865 | 1,097 | 989 | 598 |
지급임차료 | 390 | 437 | 159 | 99 |
보험료 | 159 | 294 | 177 | 62 |
차량유지비 | 86 | 103 | 74 | 32 |
경상연구개발비 | 408 | 244 | 285 | 233 |
소모품비 | 16 | 32 | 50 | 50 |
지급수수료 | 188 | 123 | 186 | 85 |
광고선전비 | 3,084 | 6,639 | 3,969 | 1,831 |
건물관리비 | 4 | 150 | 265 | 273 |
대손상각비 | (81) | 0 | 36 | 9 |
무형자산상각비 | 8,724 | 723 | 0 | 3 |
주식보상비 | - | 7,273 | 7,263 | 17 |
판매보증비(환입) | (18) | 78 | (66) | 37 |
기타 | 866 | 146 | 368 | 448 |
합 계 | 20,059 | 23,623 | 19,462 | 8,010 |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를 통하여 조달하는 자금을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한 사용목적대로 사용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으며, 매 분기별 공시하는 당사의 정기보고서에 공모자금의 실제 사용내역 및 변동상황에 관하여 성실하게 공시할 예정입니다. 또한 자금의 조달 이후 실제 사용 시기까지 동 자금은 신용등급이 우량한 국내 적격금융기관의 수시입출금 예금, 정기예금, MMF 및 MMDA 등 안정성과 환금성을확보할 수 있는 금융상품에 예치할 계획입니다.
신주인수권증서 발행내역
(단위 : 주) |
청구일 | 발행시기 | 청구자 | 발행회사와의 관계 | 주식수 |
---|---|---|---|---|
- | 2022년 10월 25일 | 한국예탁결제원 | - | 9,499,322 |
계 | 9,499,322 |
신주인수권증서에 의한 청약내역
(단위 : 주) |
청약일 | 청약자 | 발행회사와의 관계 | 주식수 |
---|---|---|---|
2022년 12월 02일 | 한국예탁결제원 (신주인수권증서 청약) | - | 8,860,632 |
계 | 8,860,632 |
1. 신주인수권증서 청약 실권주 및 단수주
(단위 : 주) |
신주인수권증서 청약 실권주 | 구주주 배정 단수주 | 실권주 및 단수주 총계 |
---|---|---|
638,690 | 63,086 | 701,776 |
주) 구주주 배정 단수주: 구주주 최초배정주식수 9,562,408주에서 구주주들에게 실제로 배정되어 발행된 신주인수권증서의 합인 9,499,322주를 차감한 단수주
2. 신주인수권증서 청약 실권주 및 단수주 처리내역 : 초과청약 배정
(단위 : 주) |
신주인수권증서 청약 실권주 및 구주주 배정 단수주 | 초과청약 주식수 | 초과청약배정비율 | 비 고 |
---|---|---|---|
701,776 | 1,276,820 | 0.5496279820 | 초과청약 배정 단수주 22,052주 공동대표주관회사 인수 |
주) 구주주 청약 후 단수주 및 실권주는 초과청약되었으며, 초과청약 배정 이후 22,052주의 단수주는 공동대표주관회사인 한국투자증권(주), 케이비증권(주)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하였습니다.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21209000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