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진실업 (02691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4-03-08 13:05: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08000216



주주총회소집공고


  2024년     3월     8일


회   사   명 : 광진실업(주)
대 표 이 사 : 허유석, 허정도
본 점 소 재 지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오리산단로 106

(전   화)051-220-9130

(홈페이지)http://www.kjsteel.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이사 (성  명)정훈국

(전  화)051-220-9110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47기 정기)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우리회사 정관 제14조에 의하여 제 47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4년 3월 25일 (월) 오전 10시

  

2. 장 소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오리산단로 106

(문의전화 : 051)220-9130)

  

3. 회의목적사항

《보고 안건》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외부감사인 선임보고

《부의 안건》

제1호 의안 : 제 47기(2023년1월1일 ~ 2023년12월31일) 재무제표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 포함)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전자증권제도 시행에 따른 실물증권 보유자의 권리 보호에 관한 사항

2019년 9월 16일부터 전자증권제도가 시행되어 실물증권은 효력이 상실되었으며, 한국예탁결제원의 특별(명부)계좌주주로 전자등록되어 권리행사 등이 제한됩니다. 따라서 보유중인 실물증권을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방문하여 전자등록주식으로 전환하시기 바랍니다.

6.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우리 회사의 이번 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 참석장에 의거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 행사 하실수 있습니다.

7.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직접 행사: 주주총회 참석장, 신분증
  -대리 행사: 주주총회 참석장,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인감증명서(개인/법인)

                                                    2024년  3월   8일

  

                                               광 진 실 업 주 식 회 사

                                                  대 표 이 사 허 유 석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차재주
(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1차 2023.02.13 23년 경영계획 및 유형자산 취득,
결산이사회, 주총개최,
자회사 유상증자 참여,
찬성
2차 2023.03.27 대표이사 선임, 이사보수 승인 찬성
3차 2023.05.08 금융기관 차입 찬성
4차 2023.08.14 금융기관 차입 찬성
5차 2023.09.25 본점 이전, 부동산 매각 변경계약 체결 찬성
6차 2023.11.13 금융기관 차입 찬성

※상기 출석률의 경우 2023.01.01~2023.12.31 기준으로 작성하였음.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 1 0 0 0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재화의 종류별로 영업부문을 구분하고 있으며, 각 세부 부문별로 수익을 창출하는 재화와 주요고객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회사명 설립일 본점소재지 전화번호 주요사업
철강 광진실업(주) 1976.12 부산시 기장군 장안읍 오리산단로 106 051-220-9130 스테인레스,탄소강 제조외
모터스 오토바이 유통 외
광진모터스(주) 2022.04 부산시 동래구 반송로 321(명장동) 051-522-0979 오토바이 유통 외


가. 업계의 현황


A. 봉강부문

(1) 산업의 특성
 철강업은 용선의 제조, 압연 및 주조 등 가공을 통해 각종 철강재를 생산하는 산업이며 특히 자동차, 조선, 건설, 가전, 기계 산업 등에 기초소재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철광석 등을 주원료로 하고 있으며 중간제품인 슬라브, 빌렛, 선재 등을 열간압연, 인발 가공하여 흑환봉, 마환봉 형태의 제품을 생산합니다.
 철강산업은 경기 변화에 대하여 생산은 비탄력적이나 소비는 탄력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경기하향기에는 내수수요 감소로 수입은 줄고 주변국으로의 수출은 늘지만, 반대로 경기상승기에는 늘어나는 내수수요 대응을 위해 수출을 줄이고 수입이 늘어나는 현상을 보입니다.

(2) 산업의 성장성
 철강산업은 자동차, 조선, 건설, 가전, 기계 등  주요 산업의 성장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 세계 경제는 글로벌 성장 둔화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고 있으나, 철강수요는 견조한 신흥국 수요를 통해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더불어 수요산업 고도화에 발맞추어 고부가가치, 고기능성 금속 소재의 수요는 더욱 빠른 속도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생산, 압연 및 인발 기술의 향상으로 국내의 고급강 생산 및 공급능력이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철강산업은 국가경제의 기초 산업으로 자동차, 조선, 건설, 가전, 기계 등 주요 산업의 부침에 따라 수요량이 변하고 있으며, 소비패턴이 고급화, 다양화 추세를 보임으로서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에 의하면 2024년 국내 경제는 통화긴축 기조 장기화와 더딘 소비 회복세로 인해  약 2.1% 수준의 성장율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또한 세계철강협회에 따르면, 포항 침수 피해의 기저효과에도 불구하고 자동차를 제외한 제조업 수요 부진으로  철강 수요는 2023년 3.3% 증가 대비 2024년 1.1% 증가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4) 경쟁요소
 철강산업은 자본 및 기술집약적 산업으로 주된 경쟁요소는 가격이며, 이는 주원료이자 원가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철광석, 석탄 및 철스크랩의 가격과 시장 수급상황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개별 업체들은 저가 원재료 구매를 통한 생산원가 절감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근래에 소비패턴의 고급화, 다양화 추세로, 가격보다는 수요가의 요구에 맞춘 제품을 적시에 공급할 수 있는 생산 및 제품 개발 능력이 중요한 경쟁요소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5) 관련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바젤협약, UN기후협약조약, 도쿄의정서, 탄소세도입 등 환경 관련 규제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B. 모터스부문

(1) 산업의 특성
2023년 국내 이륜차 신규 등록대수는 총 106,800대로, 전년 동기 133,036대 대비 시장 규모는 20% 감소하였습니다. 이는 2022년 포스트 코로나 이후 소형 배달 상용 부문의 시장 축소에 기인하고, 500cc 이상 대형 이륜차 시장은 전년 대비 금리 인상, 대출규제와 환율에 따른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해 2% 감소했습니다.
국내 대형이륜차 시장은 업계 통상적으로 500cc 이상의 '레저용' 이륜차 시장으로 특정할 수 있는데, 2023년 기준 국토교통부에 등록된 총 이륜차는 약 221만대이며, 이 중 500cc이상의 대형이륜차는 약 21만대로 전체 이륜차 시장의 약 9.4%에 해당합니다. 아울러, 국내 유일의 이륜차 제조업체인 DnA모터스(舊.대림자동차)와 KR모터스가 대형 이륜차를 생산하지 않으므로, 국내에 유통되는 대형이륜차는 할리데이비슨(미국), BMW(독일), 야마하, 스즈키, 혼다(이상 일본), 트라이엄프(영국), 두카티(이탈리아) 등 대부분 수입 브랜드가 경쟁중인 시장입니다.

(2) 산업의 성장성
 대형이륜차의 국내 신규 등록대수는 2022년 12,244대 대비 2023년 11,956대가 등록되어 성장율이 2% 감소하였으며, 이는 글로벌 경기 위기에 따른 금리인상, DSR 대출규제 그리고 미국 환율로 인한 소비자 가격 상승이 성장율의 감소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하지만, 대형이륜차 시장의 잠재고객인 250cc~500cc 세그먼트는 전년 대비 8% 성장하였고, 대형 바이크 입문 세그먼트인 500cc~800cc 는 전년 대비 27% 성장하여, 지속적인 신규고객의 유입과 시장의 성장성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대형 이륜차 산업은 레저 산업의 성장 및 가계 소득 증가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국내의 경우 상대적으로 대형이륜차의 역사가 짧은 관계로 아직까지 성장 가능성이 대단히 높은 상황입니다. 각 브랜드에서는 지속적인 네트워크 증설(BMW 원주, 창원 등)을 계획 중이며, 레저시장의 성장과 함께 이륜차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어 앞으로도 지속적이고 꾸준한 시장 성장성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고객 연령층의 확대 및 다양화로, 금융 프로그램이 구매에 큰 영향을 주며 금리 및 대출 규제 완화는 시장의 성장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예정입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대형이륜차의 고객은 40대 이상 고소득 전문직에서 다양한 연령대와 직업군으로 분화, 확대되는 과정이며, 구매시 다양한 금융프로그램의 사용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다만, 코로나 이후 경기 위기감, 높은 금리와 대출 규제로 인해 22년과 다른 패턴의 감소를 가져왔습니다. 하지만, 국내 소비패턴의 고급화, 수요층의 확장과 다양화에 따라 금리 및 대출 규제가 완화되면 시장의 성장성을 예상합니다.

(4) 경쟁요소
 국내 대형이륜차 시장의 주요 경쟁요소는 브랜드, 가격 및 판매망입니다. 대형이륜차의 경우 기술 격차는 크지 않으며, 레저업의 특성 상 브랜드 파워, 마케팅, 가격 그리고 신뢰할 수 있는 판매망이 구매에 큰 영향을 주나 여타 산업과 비교하여 가격에 대한 민감성은 덜한 상황입니다.

(5) 관련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대형이륜차의 경우 자동차관리법, 대기환경보전법 및 소음 및 진동 관리법을 관련 법령으로 볼 수 있으며, 2023년부터 운행차 배기소음 변경, 2024년 부터 EU5+ 환경인증이 적용되어, 환경 관련 규제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아울러 2022년 이후 전 배기량의 이륜차에 대한 정기검사가 도입되는 등 그간 소홀했던 이륜차 부문에 대한 정부의 관리가 강화되고 있으나, 이는 정식 인증 이륜차 보다는 무분별하게 진행되는 튜닝 규제등의 강화에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A. 봉강부문

(1) 영업개황

   2023년은 코로나 위기 극복 과정에서 무역수지 적자와 고금리, 고물가, 국내 부동산 침체와 더불어 소비,생산,투자, 고용까지 모두 줄어들기 시작해 국내외 경제환경은 그 어느 때 보다도 기업경영에 어려움을 겪었던 한 해 였습니다.
그로인해 철강산업은 경기침체로 인한 철강재 수요감소로, 영업활동에서 매우 고전하였습니다.

(2) 시장의 특성
- 시장의 특성

   인발 제품은 기계장치 및 정밀 기계 산업과 자동차, 조선산업에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수요산업의 경기와 수출산업의 경기에 따라서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수요산업의 경기에 연동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당사의 경쟁력

  당사는 일반봉강 생산 체제에서 특수형상 봉강 생산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수형강의 주요산업군인 정밀기계 산업이 회복될 것으로 보이며, 당사는 정밀 기계산업 부품에 대한 꾸준한 설비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한 고부가가치제품인 특수형상 봉강 비중확대와 경쟁력 우위를 유지해 나갈것입니다.


(3)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해당사항 없음.

(4) 조직도


광진실업_철강부문조직도



B. 모터스부문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대형이륜차의 업계 선두 브랜드인 할리데이비슨의 공식 대리점을 2곳 운영중에 있으며, 부울경 지역에서 할리데이비슨 이륜차를 유일하게 공식 취급하고 있습니다. 2011년 부산 대리점을 오픈하였고, 2020년 창원 대리점을 오픈하여 지속적으로 시장 확대 중입니다.
또한, 2022년 영국계 프리미엄 모터사이클의 부울경 지역 딜러사로 선정되어 신규 전시장을 오픈하여, 기존 할리데이비슨 고객 이외 전 연령층의 두터운 추가 고객층을 확보해가고 있습니다.
대형이륜차 부분은 국내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활발한 신차 출시, 판매 네트워크 증설 및 다양한 프로모션 활동을 통하여 지속적인 실적 성장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2) 시장의 특성
- 시장의 특성

 국내 대형이륜차 시장은 지속 성장중으로 당분간 매출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며, 특히 할리데이비슨은 단순히 모터사이클의 유통에 그치지 않고, 관련 부품, 의류 및 정비서비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매출의 확보가 가능한 독특하고 유망한 사업 브랜드입니다.

 더불어, 트라이엄프는 할리데이비슨에서 상대적으로 부족한 젊은 고객층과 어드벤처, 투어링 고객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는 브랜드 입니다.


- 당사의 경쟁력

  부울경 지역에는 할리데이비슨, 트라이엄프 및 두카티를 공식 취급하는 곳은 당사 뿐이며, 공식 수입사인 기흥모터스, 트라이엄프코리아 등과 원활한 관계유지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어낼 것입니다.
더불어, 당사의 경우 3가지 브랜드의 상호 시너지 및 부울경 지역에서 스쿠터를 제외한 프리미엄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3)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할리데이비슨 창사 120주년 스페셜 모델 출시 및 신규 CVO 투어링 모델 출시를 통한 공격적인 마케팅 및 태국 공장 생산으로 공급의 안정화가 예상됩니다. 더불어, 두카티 사업을 통해 스쿠터를 제외한 전 라인업의 강화와 브랜드내 교차 판매를 통한 고객층 확보가 가능할 것입니다.

(4) 조직도

광진실업_모터스부문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당해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2023년 당사 실적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매출액 537억원, 영업이익 -70억원, 당기순이익 -51억원 입니다.


나. 당해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결손금처리계산서)


아래의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 및 주주총회 결의내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2024년 3월 15일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과 당사 홈페이지(https://www.kjsteel.co.kr, 홈페이지→사이버홍보실→광진소식)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다. 연결 재무제표

- 연결대차대조표(연결재무상태표)

                                    <연 결 대 차 대 조 표(연 결 재 무 상 태 표)>

제 47 기 2023. 12. 31 현재
제 46 기 2022. 12. 31 현재
(단위 : 원)
과                        목 제 47(당) 기 제 46(전) 기
자                        산

I. 유동자산 32,330,231,052 31,249,457,505
    현금및현금성자산 2,294,054,333 9,893,833,311
    매출채권 및 기타수취채권

5,291,221,465

7,070,700,980
    재고자산

16,378,872,687

14,265,825,314
    당기법인세자산

29,136,554

19,097,900
    매각예정비유동자산 8,336,946,013 -
II. 비유동자산

62,328,310,105

45,031,471,317
    유형자산

56,151,990,762

41,146,443,639
    무형자산

333,217,055

333,217,055
    기타금융자산

2,300,000

2,300,000
    기타수취채권 2,534,100,970 1,900,871,945
    순확정급여자산

338,785,965

645,514,851
    이연법인세자산

2,967,915,353

1,003,123,827
자      산      총      계 94,658,541,157 76,280,928,822
부                        채

I. 유동부채

37,331,513,855

35,142,215,508
    매입채무 및 기타지급채무

21,034,363,076

23,792,612,579
    단기차입금

14,847,150,779

8,349,602,929
    유동성장기부채

1,450,000,000

3,000,000,000
II. 비유동부채

35,376,652,773

13,676,865,725
    장기차입금

34,991,000,000

13,441,000,000
    기타지급채무 338,845,359 213,021,706
    퇴직급여부채

16,870,760

0
    기타비유동부채

29,936,654

22,844,019
부      채      총      계 72,708,166,628 48,819,081,233
자                        본

I. 자본금

3,202,702,500

3,202,702,500
II. 자본잉여금

1,567,646,008

1,567,646,008
III. 이익잉여금

17,180,026,021

22,691,499,081
자      본      총      계

21,950,374,529

27,461,847,589
부  채  및  자  본  총  계

94,658,541,157

76,280,928,822



 - 연결포괄손익계산서
                            <연 결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47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제 46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31 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47(당) 기 제 46(전) 기
I. 매출액

53,679,071,672

59,139,993,833
II. 매출원가

49,393,153,809

(52,242,461,365)
III. 매출총이익 

4,285,917,863

6,897,532,468
     판매비 (5,026,998,500) (4,199,861,263)
     관리비 (6,302,760,928) (2,112,449,298)
IV. 영업이익

(7,043,841,565)

585,221,907
     기타수익

1,722,957,051

330,220,778
     기타비용

(245,669,557)

(544,522,683)
     금융수익

273,404,175

320,575,725
     금융비용 

(1,722,817,332)

(647,699,193)
V.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7,015,967,228)

43,796,534
VI. 법인세비용

1,876,242,728

1,102,124,854
VII. 당기순이익

(5,139,724,500)

1,145,921,388
VIII. 기타포괄손익

(371,748,560)

351,003,641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371,748,560) 351,003,641
IX. 총포괄이익 (5,511,473,060) 1,496,925,029
X. 주당이익

     기본주당이익 (802) 179


라. 별도 재무제표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47 기 2023. 12. 31 현재
제 46 기 2022. 12. 31 현재
(단위 : 원)
과                        목 제 47(당) 기 제 46(전) 기
자                        산

I. 유동자산

29,327,017,484

29,827,573,450
    현금및현금성자산

722,209,323

9,379,290,213
    매출채권 및 기타수취채권

5,196,708,795

7,008,485,003
    재고자산

15,045,915,613

13,421,281,594
    당기법인세자산

25,237,740

18,516,640
    매각예정비유동자산

8,336,946,013

-
II. 비유동자산

64,561,914,196

46,180,916,169
    유형자산

55,114,540,751

40,613,693,413
    무형자산

333,217,055

333,217,055
    지분법적용투자주식

4,502,929,429

2,370,471,199
    기타금융자산

2,300,000

2,300,000
    기타수취채권 1,302,225,643 1,228,510,323
    순확정급여자산

338,785,965

629,600,352
    이연법인세자산

2,967,915,353

1,003,123,827
자      산      총      계 93,888,931,680 76,008,489,619
부                        채

I. 유동부채

36,896,969,030

34,966,657,119
    매입채무 및 기타지급채무

20,599,818,251

23,617,054,190
    단기차입금

14,847,150,779

8,349,602,929
    유동성장기부채

1,450,000,000

3,000,000,000
II. 비유동부채

35,041,588,121

13,579,984,911
    장기차입금

34,991,000,000

13,441,000,000
    기타지급채무 20,993,663 116,170,147
    퇴직급여부채 0 0
    기타비유동부채 29,594,458 22,814,764
부      채      총      계 71,938,557,151 48,546,642,030
자                        본

I. 자본금

3,202,702,500

3,202,702,500
II. 자본잉여금

1,567,646,008

1,567,646,008
III. 이익잉여금

17,180,026,021

22,691,499,081
자      본      총      계

21,950,374,529

27,461,847,589
부  채  및  자  본  총  계

93,888,931,680

76,008,489,619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47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제 46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31 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47(당) 기 제 46(전) 기
I. 매출액

50,298,521,338

58,059,454,800
II. 매출원가

46,779,808,455

(51,357,580,169)
III. 매출총이익 

3,518,712,883

6,701,874,631
     판매비 (4,213,118,232) (3,991,179,763)
     관리비 (6,013,467,387) (1,995,434,841)
IV. 영업이익

(6,707,872,736)

715,260,027
     기타수익

1,717,783,690

320,306,771
     기타비용

245,484,557

(534,926,974)
     금융수익

247,094,512

316,795,531
     금융비용 

1,696,565,264

(644,110,020)
     종속기업평가손실

(330,922,873)

(129,528,801)
V.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7,015,967,228)

43,796,534
VI. 법인세비용

1,876,242,728

1,102,124,854
VII. 당기순이익

(5,139,724,500)

1,145,921,388
VIII. 기타포괄손익

(371,748,560)

351,003,641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371,748,560) 351,003,641
IX. 총포괄이익 (5,511,473,060) 1,496,925,029
X. 주당이익

     기본주당이익 (802) 179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리계산서(결손금처리계산서)>

제 47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제 46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31 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47(당) 기 제 46(전) 기
Ⅰ. 미처분이익잉여금 (512,367,933) 4,999,105,127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4,999,105,127 3,502,180,098 
당기순이익(손실) (5,139,724,500) 1,145,921,388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335,129,663) 351,003,641 
지분법자본변동 (36,618,897)
Ⅱ. 임의적립금등이입액 5,000,000,000
결손금전입 5,000,000,000
Ⅲ. 이익잉여금처분액
이익준비금
배당금
Ⅲ.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4,487,632,067 4,999,105,127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단위: 명, 백만원)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0 


(전 기)                                                                                     (단위: 명, 백만원)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356 
최고한도액 1,000 


※ 기타 참고사항

없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4년 03월 15일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당사는 2024년 3월 15일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당사 홈페이지(http://www.kjsteel.co.rk, 홈페이지→사이버홍보실→광진소식)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사업보고서는 향후 주주총회 이후 변경되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 주총 집중일 주총 개최 사유
 -해당사항 없음
-코스닥협회 주총분산 자율준수프로그램 참여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08000216

광진실업 (02691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