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3-10 13:06: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0000283
2023년 3월 10일 | ||
회 사 명 : | 광진실업(주) | |
대 표 이 사 : | 허유석, 허정도 | |
본 점 소 재 지 :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신중앙로 160(신평동) | |
(전 화)051-220-9136 | ||
(홈페이지)http://www.kjsteel.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이사 | (성 명)정훈국 |
(전 화)051-220-9132 | ||
(제46기 정기)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우리회사 정관 제14조에 의하여 제 46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3년 3월 27일 (월) 오전 10시
2. 장 소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신중앙로 160번지(신평동)
(문의전화 : 051)220-9136)
3. 회의목적사항
《보고 안건》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부의 안건》
제1호 의안 : 제 46기(2022년1월1일 ~ 2022년12월31일) 재무제표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 포함)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임원퇴직금지급규정 개정의 건
제3호 의안: 이사 선임의 건
3-1. 사내이사 허정도 재선임의 건
제4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전자증권제도 시행에 따른 실물증권 보유자의 권리 보호에 관한 사항
2019년 9월 16일부터 전자증권제도가 시행되어 실물증권은 효력이 상실되었으며, 한국예탁결제원의 특별(명부)계좌주주로 전자등록되어 권리행사 등이 제한됩니다. 따라서 보유중인 실물증권을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방문하여 전자등록주식으로 전환하시기 바랍니다.
6.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우리 회사의 이번 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 참석장에 의거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 행사 하실수 있습니다.
7.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직접 행사: 주주총회 참석장, 신분증
-대리 행사: 주주총회 참석장,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인감증명서(개인/법인)
2023년 3월 10일
광 진 실 업 주 식 회 사
대 표 이 사 허 유 석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차재주 (출석률: 100%) | |||
찬 반 여 부 | |||
1차 | 2022.02.14 | 22년 경영계획, 결산이사회, 주총개최 | 찬성 |
2차 | 2022.03.08 | 은행 차입 | 찬성 |
3차 | 2022.03.21 | 대표이사 선임, 이사보수 승인 | 찬성 |
4차 | 2022.04.25 | 신규법인 설립, 손익보고 | 찬성 |
5차 | 2022.05.16 | 본사 부동산 매각 | 반대 |
6차 | 2022.06.29 | 본사 부동산 매각, 금융기관 차입 | 찬성 |
7차 | 2022.08.04 | 본사 신축 및 시공사 계약, 손익보고 | 찬성 |
8차 | 2022.11.14 | 손익보고 | - |
※상기 출석률의 경우 2022.01.01~2022.12.31 기준으로 작성하였음.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 | 1 | 0 | 0 | 0 | - |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재화의 종류별로 영업부문을 구분하고 있으며, 각 세부 부문별로 수익을 창출하는 재화와 주요고객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품목 | 주요고객 |
봉강부문 | 스테인레스,탄소강 제조 외 | 세진테크(주) 외 |
모터스부문 | 오토바이 유통 외 | 엠캐피탈(주) 외 |
가. 업계의 현황
A. 봉강부문
(1) 산업의 특성
철강업은 용선의 제조, 압연 및 주조 등 가공을 통해 각종 철강재를 생산하는 산업이며 특히 자동차, 조선, 건설, 가전, 기계 산업 등에 기초소재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철광석 등을 주원료로 하고 있으며 중간제품인 슬라브, 빌렛, 선재 등을 열간압연, 인발 가공하여 흑환봉, 마환봉 형태의 제품을 생산합니다.
철강산업은 경기 변화에 대하여 생산은 비탄력적이나 소비는 탄력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경기하향기에는 내수수요 감소로 수입은 줄고 주변국으로의 수출은 늘지만, 반대로 경기상승기에는 늘어나는 내수수요 대응을 위해 수출을 줄이고 수입이 늘어나는 현상을 보입니다.
(2) 산업의 성장성
철강산업은 자동차, 조선, 건설, 가전, 기계 등 주요 산업의 성장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 세계 경제는 글로벌 성장 둔화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고 있으나, 철강수요는 견조한 신흥국 수요를 통해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더불어 수요산업 고도화에 발맞추어 고부가가치, 고기능성 금속 소재의 수요는 더욱 빠른 속도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생산, 압연 및 인발 기술의 향상으로 국내의 고급강 생산 및 공급능력이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철강산업은 국가경제의 기초 산업으로 자동차, 조선, 건설, 가전, 기계 등 주요 산업의 부침에 따라 수요량이 변하고 있으며, 소비패턴이 고급화, 다양화 추세를 보임으로서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에 의하면 2023년 국내 경제는 높은 인플레이션의 고착화 가능성, 주요국 중앙은행들의 과도한 통화긴축가능성과 실업률의 급격한 상승 등으로 글로벌 성장세가 둔화된 약 1.7% 수준의 성장율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또한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원자재가격 변동 및 탄소중립 가속화로 철강업계의 불확실성은 더 커질 것으로 예상하며 철강 수요는 2022년 2.3% 감소 대비 2023년 1% 증가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4) 경쟁요소
철강산업은 자본 및 기술집약적 산업으로 주된 경쟁요소는 가격이며, 이는 주원료이자 원가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철광석, 석탄 및 철스크랩의 가격과 시장 수급상황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개별 업체들은 저가 원재료 구매를 통한 생산원가 절감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근래에 소비패턴의 고급화, 다양화 추세로, 가격보다는 수요가의 요구에 맞춘 제품을 적시에 공급할 수 있는 생산 및 제품 개발 능력이 중요한 경쟁요소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5) 관련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바젤협약, UN기후협약조약, 도쿄의정서, 탄소세도입 등 환경 관련 규제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B. 모터스부문
(1) 산업의 특성
2022년 기준 국내 이륜차 신규 등록대수는 총 133,036대로, 전년 동기 152,711대 대비 시장 규모는 13% 감소하였습니다. 이는 포스트 코로나 이후 배달 상용 부분의 시장 축소에 기인하며, 500cc 이상 대형 이륜차 시장은 전년 대비 공급의 이슈 등으로 인해 2% 감소하였습니다.
국내 대형이륜차 시장은 업계 통상적으로 500cc 이상의 '레저용' 이륜차 시장으로 특정할 수 있는데, 2022년 기준 국토교통부에 등록된 총 이륜차는 약 217만대이며, 이 중 500cc이상의 대형이륜차는 17만대로 전체 이륜차 시장의 7.8%에 해당합니다. 아울러, 국내 유일의 이륜차 제조업체인 DnA모터스(舊.대림자동차)와 KR모터스가 대형 이륜차를 생산하지 않으므로, 국내에 유통되는 대형이륜차는 할리데이비슨(미국), BMW(독일), 야마하, 스즈키, 혼다(이상 일본), 트라이엄프(영국), 두카티(이탈리아) 등 대부분 수입 브랜드가 경쟁중인 시장입니다.
(2) 산업의 성장성
대형이륜차의 국내 신규 등록대수는 2021년 12,413대 대비 2022년 12,158대가 등록되어 성장율이 2% 감소하였으며, 이는 코로나19, 반도체 부족현상 및 공급망 이슈로 인한 각 제조사의 공급부족이 주 이유입니다. 더불어 당해에도 글로벌 경기 위기에 따른 공포감, 금리인상 등 수요의 감소가 예상되는 측면도 있으나, 브랜드별 프로모션 활동강화와 신차 공급으로 시장에서의 대기 수요 또한 굳건하다고 판단합니다. 대형 이륜차 산업은 레저 산업의 성장 및 가계 소득 증가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국내의 경우 상대적으로 대형이륜차의 역사가 짧은 관계로 아직까지 성장 가능성이 대단히 높은 상황입니다. 레저시장의 강세와 함께 이륜차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어 앞으로도 두자릿수 이상의 시장 성장성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대형이륜차의 고객은 고소득 전문직이 대부분으로, 경기 변화에 민감하지 않으며, 국내 소비패턴의 고급화, 양극화 추세에 발 맞추어 안정적으로 시장 성장 중입니다. 대형이륜차는 야외에서 이루어지는 레저활동으로, 코로나 이슈에도 국내판매량에 크게 영향받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만, 전년도 하반기 글로벌 경기 위기에 따른 금리 인상 영향을 받았으나, 당년도는 금리 인상 기조가 더디어 질 것이라는 분위기와 각 브랜드별 신모델 공급등에 힘입어 수요가 회복될 것으로 보입니다.
(4) 경쟁요소
국내 대형이륜차 시장의 주요 경쟁요소는 브랜드와 가격입니다. 대형이륜차의 경우 기술 격차는 크지 않으며, 레저업의 특성 상 브랜드 파워가 구매에 큰 영향을 주며, 다음으로 가격이 경쟁요소이나 여타 산업과 비교하여 가격에 대한 민감성은 덜한 상황입니다.
(5) 관련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대형이륜차의 경우 자동차관리법과 대기환경보전법을 관련 법령으로 볼 수 있으며, 2021년부터 EURO5 환경 인증 기준이 적용되는 등 환경 관련 규제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아울러 2022년 이후 전 배기량의 이륜차에 대한 정기검사가 도입되는 등 그간 소홀했던 이륜차 부문에 대한 정부의 관리가 강화되는 추세이며, 2023년에 소음관련 규제 및 튜닝 규제가 강화되고 있으나 이는 정식 인증 이륜차 보다는 무분별하게 진행되는 튜닝 규제의 강화에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A. 봉강부문
(1) 영업개황
2022년은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 세계적인 인플레이션 발생과 금리 인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교란등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둔화된 성장세를 보여주었습니다. 한국경제 또한 수요 회복세의 감소와 건설경기 불황, 자연재해 피해로 인한 원재료 수급 문제 및 물류 차질 등의 어려움이 존재했던 한 해 였습니다.
그로인해, 철강산업은 높아진 원재료 가격의 영향을 제품 판매가격에 일부만 반영함으로써 다소 아쉬운 경영실적을 거두었습니다.
(2) 시장의 특성
- 시장의 특성
인발 제품은 기계장치 및 정밀 기계 산업과 자동차, 조선산업에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수요산업의 경기와 수출산업의 경기에 따라서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수요산업의 경기에 연동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당사의 경쟁력
당사는 일반봉강 생산 체제에서 특수형상 봉강 생산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수형강의 주요산업군인 정밀기계 산업이 회복될 것으로 보이며, 당사는 정밀 기계산업 부품에 대한 꾸준한 설비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한 고부가가치제품인 특수형상 봉강 비중확대와 경쟁력 우위를 유지해 나갈것입니다.
(3)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해당사항 없음.
(4) 조직도
조직도 |
B. 모터스부문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대형이륜차의 업계 선두 브랜드인 할리데이비슨의 공식 대리점을 2곳 운영중에 있으며, 부울경 지역에서 할리데이비슨 이륜차를 유일하게 공식 취급하고 있습니다. 2011년 부산 대리점을 오픈하였고, 2020년 창원 대리점을 오픈하여 지속적으로 시장 확대 중입니다.
또한, 2022년 영국계 프리미엄 모터사이클의 부울경 지역 딜러사로 선정되어 신규 전시장을 오픈하여, 기존 할리데이비슨 고객 이외 전 연령층의 두터운 추가 고객층을 확보해가고 있습니다.
대형이륜차 부분은 국내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활발한 신차 출시, 판매 네트워크 증설 및 다양한 프로모션 활동을 통하여 지속적인 실적 성장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2) 시장의 특성
- 시장의 특성
국내 대형이륜차 시장은 지속 성장중으로 당분간 매출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며, 특히 할리데이비슨은 단순히 모터사이클의 유통에 그치지 않고, 관련 부품, 의류 및 정비서비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매출의 확보가 가능한 독특하고 유망한 사업 브랜드입니다.
더불어, 트라이엄프는 할리데이비슨에서 상대적으로 부족한 젊은 고객층과 어드벤처, 투어링 고객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는 브랜드 입니다.
- 당사의 경쟁력
부울경 지역에는 할리데이비슨과 트라이엄프를 공식 취급하는 곳은 당사 뿐이며, 공식 수입사인 기흥모터스, 트라이엄프코리아 등과 원활한 관계유지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어낼 것입니다.
더불어, 당사의 경우 각각의 브랜드 상호 시너지 및 부울경 지역에서 스쿠터를 제외한 프리미엄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3)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할리데이비슨 창사 120주년 스페셜 모델 출시 및 신규 CVO 투어링 모델 출시를 통한 공격적인 마케팅 및 태국 공장 생산으로 공급의 안정화가 예상됩니다.
(4) 조직도
봉강부문 조직도 참조
(4) 조직도
봉강부문 조직도 참조
□ 재무제표의 승인
가. 당해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2022년 당사 실적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매출액 591억원, 영업이익 6억원, 당기순이익 11억원 입니다.
나. 당해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결손금처리계산서)
아래의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 및 주주총회 결의내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23년 3월 17일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과 당사 홈페이지(https://www.kjsteel.co.kr, 홈페이지→사이버홍보실→광진소식)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다. 연결 재무제표
- 연결대차대조표(연결재무상태표)
<연 결 대 차 대 조 표(연 결 재 무 상 태 표)>
제 46 기 2022. 12. 31 현재 |
제 45 기 2021. 12. 31 현재 |
(단위 : 원) |
과 목 | 제 46(당) 기 | 제 45(전) 기 |
---|---|---|
자 산 | ||
I. 유동자산 | 31,249,457,505 | 21,133,892,227 |
현금및현금성자산 | 9,893,833,311 | 1,853,803,888 |
매출채권 및 기타수취채권 | 7,070,700,980 | 4,330,951,156 |
재고자산 | 14,265,825,314 | 14,948,432,773 |
당기법인세자산 | 19,097,900 | 704,410 |
II. 비유동자산 | 45,031,471,317 | 21,281,780,071 |
유형자산 | 41,146,443,639 | 19,719,295,278 |
무형자산 | 333,217,055 | 333,217,055 |
기타금융자산 | 2,300,000 | 3,200,000 |
기타수취채권 | 1,900,871,945 | 1,226,067,738 |
순확정급여자산 | 645,514,851 | 0 |
이연법인세자산 | 1,003,123,827 | 0 |
자 산 총 계 | 76,280,928,822 | 42,415,672,298 |
부 채 | ||
I. 유동부채 | 35,142,215,508 | 11,771,521,975 |
매입채무 및 기타지급채무 | 23,792,612,579 | 4,693,273,956 |
단기차입금 | 8,349,602,929 | 7,078,248,019 |
유동성장기부채 | 3,000,000,000 | 0 |
II. 비유동부채 | 13,676,865,725 | 4,679,227,763 |
장기차입금 | 13,441,000,000 | 4,450,000,000 |
기타지급채무 | 213,021,706 | 34,662,004 |
퇴직급여부채 | 0 | 171,092,699 |
기타비유동부채 | 22,844,019 | 23,473,060 |
부 채 총 계 | 48,819,081,233 | 16,450,749,738 |
자 본 | ||
I. 자본금 | 3,202,702,500 | 3,202,702,500 |
II. 자본잉여금 | 1,567,646,008 | 1,567,646,008 |
III. 이익잉여금 | 22,691,499,081 | 21,194,574,052 |
자 본 총 계 | 27,461,847,589 | 25,964,922,560 |
부 채 및 자 본 총 계 | 76,280,928,822 | 42,415,672,298 |
- 연결포괄손익계산서
<연 결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46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31 까지) |
제 45 기 (2021. 01. 01 부터 2021. 12. 31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46(당) 기 | 제 45(전) 기 |
---|---|---|
I. 매출액 | 59,139,993,833 | 54,585,774,335 |
II. 매출원가 | (52,242,461,365) | (47,825,209,211) |
III. 매출총이익 | 6,897,532,468 | 6,760,565,124 |
판매비 | (4,199,861,263) | (3,838,537,028) |
관리비 | (2,112,449,298) | (1,805,759,470) |
IV. 영업이익 | 585,221,907 | 1,116,268,626 |
기타수익 | 330,220,778 | 334,894,043 |
기타비용 | (544,522,683) | (147,550,917) |
금융수익 | 320,575,725 | 4,767,519 |
금융비용 | (647,699,193) | (151,983,946) |
V.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43,796,534 | 1,156,395,325 |
VI. 법인세비용 | 1,102,124,854 | - |
VII. 당기순이익 | 1,145,921,388 | 1,156,395,325 |
VIII. 기타포괄손익 | 351,003,641 | (53,760,202)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351,003,641 | (53,760,202) |
IX. 총포괄이익 | 1,496,925,029 | 1,102,635,123 |
X. 주당이익 | ||
기본주당이익 | 179 | 181 |
라. 별도 재무제표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46 기 2022. 12. 31 현재 |
제 45 기 2021. 12. 31 현재 |
(단위 : 원) |
과 목 | 제 46(당) 기 | 제 45(전) 기 |
---|---|---|
자 산 | ||
I. 유동자산 | 29,827,573,450 | 21,133,892,227 |
현금및현금성자산 | 9,379,290,213 | 1,853,803,888 |
매출채권 및 기타수취채권 | 7,008,485,003 | 4,330,951,156 |
재고자산 | 13,421,281,594 | 14,948,432,773 |
당기법인세자산 | 18,516,640 | 704,410 |
II. 비유동자산 | 46,180,916,169 | 21,281,780,071 |
유형자산 | 40,613,693,413 | 19,719,295,278 |
무형자산 | 333,217,055 | 333,217,055 |
지분법적용투자주식 | 2,370,471,199 | 0 |
기타금융자산 | 2,300,000 | 3,200,000 |
기타수취채권 | 1,228,510,323 | 1,226,067,738 |
순확정급여자산 | 629,600,352 | |
이연법인세자산 | 1,003,123,827 | 0 |
자 산 총 계 | 76,008,489,619 | 42,415,672,298 |
부 채 | ||
I. 유동부채 | 34,966,657,119 | 11,771,521,975 |
매입채무 및 기타지급채무 | 23,617,054,190 | 4,693,273,956 |
단기차입금 | 8,349,602,929 | 7,078,248,019 |
유동성장기부채 | 3,000,000,000 | 0 |
II. 비유동부채 | 13,579,984,911 | 4,679,227,763 |
장기차입금 | 13,441,000,000 | 4,450,000,000 |
기타지급채무 | 116,170,147 | 34,662,004 |
퇴직급여부채 | 0 | 171,092,699 |
기타비유동부채 | 22,814,764 | 23,473,060 |
부 채 총 계 | 48,546,642,030 | 16,450,749,738 |
자 본 | ||
I. 자본금 | 3,202,702,500 | 3,202,702,500 |
II. 자본잉여금 | 1,567,646,008 | 1,567,646,008 |
III. 이익잉여금 | 22,691,499,081 | 21,194,574,052 |
자 본 총 계 | 27,461,847,589 | 25,964,922,560 |
부 채 및 자 본 총 계 | 76,008,489,619 | 42,415,672,298 |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46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31 까지) |
제 45 기 (2021. 01. 01 부터 2021. 12. 31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46(당) 기 | 제 45(전) 기 |
---|---|---|
I. 매출액 | 58,059,454,800 | 54,585,774,335 |
II. 매출원가 | (51,357,580,169) | (47,825,209,211) |
III. 매출총이익 | 6,701,874,631 | 6,760,565,124 |
판매비 | (3,991,179,763) | (3,838,537,028) |
관리비 | (1,995,434,841) | (1,805,759,470) |
IV. 영업이익 | 715,260,027 | 1,116,268,626 |
기타수익 | 320,306,771 | 334,894,043 |
기타비용 | (534,926,974) | (147,550,917) |
금융수익 | 316,795,531 | 4,767,519 |
금융비용 | (644,110,020) | (151,983,946) |
종속기업평가손실 | (129,528,801) | - |
V.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43,796,534 | 1,156,395,325 |
VI. 법인세비용 | 1,102,124,854 | - |
VII. 당기순이익 | 1,145,921,388 | 1,156,395,325 |
VIII. 기타포괄손익 | 351,003,641 | (53,760,202)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351,003,641 | (53,760,202) |
IX. 총포괄이익 | 1,496,925,029 | 1,102,635,123 |
X. 주당이익 | ||
기본주당이익 | 179 | 181 |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리계산서(결손금처리계산서)>
제 46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31 까지) |
제 45 기 (2021. 01. 01 부터 2021. 12. 31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46(당) 기 | 제 45(전) 기 |
---|---|---|
Ⅰ. 미처분이익잉여금 | 4,999,105,127 | 3,502,180,098 |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3,502,180,098 | 2,399,544,975 |
당기순이익(손실) | 1,145,921,388 | 1,156,395,325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351,003,641 | (53,760,202) |
Ⅱ. 임의적립금등이입액 | - | - |
결손금전입 | - | - |
Ⅲ. 이익잉여금처분액 | - | - |
이익준비금 | - | - |
배당금 | - | - |
Ⅲ.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4,999,105,127 | 3,502,180,098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 기타 주주총회의 목적사항
가. 의안 제목
임원 퇴직금 규정 개정의 건
나. 의안의 요지
현행 | 변경(안) | 비고 |
제4조(퇴직금 지급대상자) ② 합병 등으로 인하여 퇴임과 동시에 합병법인의 임원으로 취임되었을 경우에는 계속 근무한 것으로 본다. ③ <신 설>
부칙 이 규정은 2022년 03월21일부터 제정 시행한다. | 제4조(퇴직금 지급대상자) ② 합병 등으로 인하여 퇴임과 동시에 합병법인의 임원으로 취임되었을 경우에는 계속 근무한 것으로 본다. ③ 임원급여 연봉제 전환시 향후 퇴직금을 지급하지 않는 조건으로 퇴직금을 정산 받은 임원중, 연봉제 이전의 방식으로 다시 전환하면서 그 전환일부터 기산해 퇴직금을 지급키로 한 임원으로 한다. 부칙 이 규정은 2023년 03월27일부터 개정 시행한다. |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허정도 | 1953.11.18 | 사내이사 | 부 | 본인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허정도 | 광진실업(주) 대표이사 | 1999년~2011년 | 광진실업(주)기획이사 | - |
2011년~현재 | 광진실업(주)대표이사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허정도 | - | - | -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해당사항 없음.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후보자는 풍부한 경험과 전문 지식을 갖추고 있어 당사가 성장하고 중장기적인 기업가치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어 추천함. |
확인서
후보자확인서_허정도 |
※ 기타 참고사항
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단위: 명, 백만원)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 1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000 |
(전 기) (단위: 명, 백만원)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 1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372 |
최고한도액 | 1,000 |
※ 기타 참고사항
없음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2023년 03월 17일 |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당사는 2023년 3월 17일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당사 홈페이지(http://www.kjsteel.co.rk, 홈페이지→사이버홍보실→광진소식)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사업보고서는 향후 주주총회 이후 변경되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의 감염 및 전파를 예방하기 위하여 총회장 입구에서 주주님들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으며, 발열이 의심되는 경우 출입을 제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또한 질병 예방을 위해 주주총회에 참석시 반드시 마스크 착용을 부탁드립니다. 만약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로 인하여 회의에 참석하시는 주주님의 안전을 위해 상기 개최장소의 변경이 불가피한 경우 변경된 회의장을 충분히 안내하고 이동을 돕는 등 참석 주주님들의 주주권이 침해되지 않도록 필요한 조치를 다하겠습니다.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0000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