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3-08 14:18: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08000279
2023 년 3 월 8 일 | ||
회 사 명 : | (주)한국종합기술 | |
대 표 이 사 : | 김치헌 | |
본 점 소 재 지 : | 경기도 하남시 덕풍동로 111-21(덕풍동) | |
(전 화) 031-794-4551 | ||
(홈페이지) https://www.kecc.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경영지원실장 | (성 명) 김영일 |
(전 화) 02-2049-2517 | ||
(제60기 정기) |
삼가 주주 여러분의 건승과 일익 번창하심을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상법 제365조와 당사 정관 제20조의 규정에 의거하여 다음과 같이 제60기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다 음 -
1. 일 시 : 2023년 3월 24일(금) 오전 9시
2. 장 소 : 서울시 강동구 상일로6길 21 한국종합기술 1층 교육장
3. 회의의 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1. 감사위원회 감사보고
2. 영업보고
3.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60기(2022.1.1~2022.12.31)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포함)
승인의 건
※ 외부감사인의 적정의견 및 감사위원 전원의 동의 요건충족시, 상법 제449조의 2
(재무제표 등의 승인에 대한 특칙) 및 정관 제43조에 따라 이사회결의로 승인하고
주주총회 보고사항으로 대체할 예정임
제2호 의안 : 정관일부 변경의 건
제3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이익배당 예정내용 : 현금 20% (1주당 100원)
5. 경영 참고 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당사 본ㆍ지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비치하고, 사업보고서 및 외부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일 1주전까지 회사 홈페이지(www.kecc.co.kr)에 게재할 예정이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6.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우리회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 관리시스템
- 인터넷 주소 : 「https://evote.ksd.or.kr」
- 모바일 주소 : 「https://evote.ksd.or.kr/m」
나. 전자투표 행사 기간 : 2023년 3월 14일 오전 9시 ~ 2023년 3월 23일 17시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다. 시스템에 공인인증을 통해 주주본인을 확인 후 의안별 의결권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
(K-VOTE에서 사용 가능한 인증서 한함)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7.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주주총회 참석장, 신분증
- 대리행사 : 주주총회 참석장,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8. 기타사항
- 금번 당사의 주주총회에는 참석주주님을 위한 주총기념품을 지급하지 아니하오니
이 점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9. 코로나19 관련 안내사항
- 코로나19 감염증 확산 방지를 위해 주주님께서는 가급적 전자투표를 통한 비대면적
의결권 행사를 고려 부탁드립니다.
- 질병관리청 가이드에 따르면 환기가 어려운 3밀(밀폐ㆍ밀집ㆍ밀접) 실내 환경 및
다수가 밀집한 상황에서 함성ㆍ합창ㆍ대화 등 비말 생성 행위가 많은 경우에는 마스크
착용을 '적극 권고'하고 있습니다. 이에 주주총회 당일에도 마스크를 착용해주시길
'적극 권고' 드립니다.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노금선 (출석률: 90.9%) | 송호연 (출석률: 100%) | 김형남 (출석률: 100%) | |||
찬 반 여 부 | |||||
1 | 2022.01.18 | 1. 2022년 안전보건계획 승인의 건 |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
2 | 2022.02.07 | 1. 제59기(2021 회계연도) 재무제표 승인의 건 2. 제59기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 찬성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
3 | 2022.02.25 | 1. 자기주식취득 신탁계약 연장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4 | 2022.03.03 | 1. 현금배당 결정의 건 2. 정관일부 변경의 건 3. 제59기(2021 회계연도) 정기주주총회 소집 및 회의 목적사항 결의의 건 4. 2022년도 사업계획(안) 승인의 건 5. 이사후보 추천의 건 <보고사항>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 보고 - 주요경영현황 보고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5 | 2022.03.22 | 1. 제59기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포함)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6 | 2022.03.25 | 1. 대표이사 선임의 건 2. 이사회내 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3. 이사보수 책정의 건 | 불참 | 찬성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
7 | 2022.04.22 | 1. 운영자금 차입 결의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8 | 2022.05.09 | 1. 민간투자사업 관련 진행사항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9 | 2022.05.20 | 1. 특수관계인과의 거래 승인의 건 2. 본점 소재지 이전의 건 3. 사규 제·개정 승인의 건 | 찬성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
10 | 2022.10.05 | 1. 민간투자사업 투자 승인의 건 | 찬성 | 반대 (주1) | 찬성 |
11 | 2022.12.16 | 1. 엔지니어링공제조합과의 한도거래약정 연대보증 입보 갱신의 건 2. 사규 개정 승인의 건 3. 민간투자사업 투자 승인의 건 4. 특수관계인과의 거래 승인의 건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주1) 반대사유 : 투자 장기화에 따른 시장환경 변화 불확실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감사 위원회 | 노금선 (위원장) 송호연 김형남 | 2022.03.03 | 2021사업연도 회계 및 업무에 관한 감사결과 심의의 건 | 가결 |
2021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 - | |||
2022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계획(안) | 가결 | |||
2022.03.22 | 제59기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포함)에 대한 이사회 승인 동의 | 가결 | ||
2022.04.29 | 2022년 1분기 감사결과보고 | - | ||
2022.07.29 | 2022년 하반기 감사계획(안) | 가결 | ||
2022년 상반기 감사결과보고 | - | |||
2022.10.31 | 감사위원회 운영 규정 개정(안) | 가결 | ||
2022년 3분기 감사결과보고 | - | |||
경영 위원회 | 김치헌 (위원장) 김장한 김현곤 노금선 김형남 | 2022.03.25 | 경영위원회 위원장 선정의 건 | 가결 |
(단위 : 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3 | 1,000,000,000 | 108,500,000 | 36,166,667 | - |
-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를 포함한 총 보수한도 승인금액임.
- 상기 인원수는 2022.12.31 기준으로 재직중인 사외이사의 수임
- 1인당 평균지급액은 지급총액을 기말 인원으로 단순평균하여 계산함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 해당사항 없음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 해당사항 없음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건설엔지니어링 산업의 업무분야는 크게 설계, 감리, 건설관리(CM) 세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상위 건설엔지니어링 업체들은 세 가지 업무를 모두 수행하고 있습니다. 건설엔지니어링 시장은 업무 특성상 건설시장에 선행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당사의 주된 사업인 토목엔지니어링 분야의 경우는 발주처가 정부기관(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정부투자기관 등) 위주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토목엔지니어링 시장은 사회간접자본 투자규모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 정부의 사회간접자본 확충 정책에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의 SOC 및 재정집행 계획을 통해 엔지니어링 사업의 시장 규모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건설엔지니어링 시장은 정부기관(중앙행정부, 지방자치단체, 정부투자기관 등)이 발주하는 비중이 높기 때문에, 사회간접자본(SOC) 투자규모와 업계의 실적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의 사회간접자본 확충 정책에 따라 산업의 성장성 및 시장규모가 일정부분 결정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정부의 SOC 투자 및 예산계획 등을 통해 향후 건설엔지니어링 산업의 성장성을 일부 예측할 수 있습니다. 정부에서 발간한 2022년도 나라살림 예산개요를 통해 건설엔지니어링 업계 및 당사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SOC, 환경분야의 향후 전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a) SOC 분야
2022년도 정부 예산안 중 사회간접자본(SOC) 분야 예산안은 2021년도 26.5조원보다 5.5% 증가한 28조원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 지원, 대도시권 교통혼잡 완화 및 주요 간선망 구축과 노후 SOC 유지보수, 생활안전 인프라 고도화 및 스마트도시 등 미래 신산업 관련 투자 확대에 중점을 두어 경제를 활성화 시키려는 정부의 계획이 반영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됩니다.
(b) 환경분야
2022년 환경분야 재정투자 규모는 11.3조원으로 2021년 대비 6.4% 증가하였습니다.
기후위기 시대에 대응하는 선도형 경제로의 대전환을 위한 2050 탄소중립 이행기반 마련과 국민 생활안전·삶의 질 제고 등 생활환경개선에 중점을 두고 투자를 확대할 예정입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a) 일반적 경기변동과의 관계
건설엔지니어링 회사들의 수주는 관급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 정부의 SOC 사업예산 변동에 일부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경기호황기일 경우에는 정부의 적극적인 SOC투자가 이루어질 뿐 아니라 경기침체기일 때도 정부는 경기부양책으로 공공부문 SOC투자를 통해 경기활성화를 적극적으로 도모하기 때문에 건설산업과 경기변동의 상관관계는 예상보다 크지 않지만, 정부의 SOC 사업관련 예산은 정부정책에 따라서 큰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b) 계절적인 요인
엔지니어링 산업의 경우 대부분 수주에 기초하여 수익을 인식하며 매출의 대부분이 건설이 아닌 용역서비스에 해당하는 업종 특성상 계절적인 요인은 큰 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다만 감리사업의 경우는 감리업의 특성상 공사를 수행할 수 없는 겨울철에일부 기간(1개월정도) 중지되는 경우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도 최소한의 인력은 현장에 상주하며 이에 대한 대가는 발주처가 인정하여 매출이 발생합니다. 또한 해당기간에는 회사에서는 이 기간을 이용하여 감리원에 대하여 법정교육이나 휴가소진 등으로 활용하는 방법으로 대기기간 중 매출 감소에 대한 위험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4) 경쟁요소
(a) 경쟁의 특성
건설엔지니어링은 일반적으로 엔지니어링업체의 설립은 허가제가 아닌 신고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형식적 진입장벽은 높지 않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엔지니어링 산업에 있어 수주결정은 입찰가격보다는 기술력 및 회사의 능력, 즉 회사임직원의 전문기술지식 보유 및 자격,경력여부 그리고 회사의 축적된 용역사업참여실적, 기술개발 및 투자실적, 회사 재정상태의 건실도 등이 좌우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업계 진입장벽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결국 이러한 요건 때문에 엔지니어링 업계의 형식적인 진입장벽은 낮지만 실질적인 진입장벽은 굉장히 높은 편이며 이러한 구조에서 신규업체가 기존의 상위 업체가 경쟁하고 있는 시장에 진입해 쉽게 성공을 거두기는 쉽지 않다고 볼 수 있습니다.
(b) 경쟁요인
도로, 철도, 교량, 항만 등 사회간접자본 중심의 토목 관련 발주 비중이 큰 공공부문의 경우 정부, 지자체, 공기업들이 객관화된 심사항목을 중심으로 관계법령에 의거한입찰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수행실적이 많거나 전문 인력을 다수 확보하고 있는 엔지니어링업체를 중심으로 수주경쟁이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실질적인 경쟁자 수가 제한되어 있어 전반적인 경쟁구도는 낮은 수준입니다.
(c) 자원조달의 특성
건설엔지니어링업은 인적 전문기술능력으로서 기계나 설비를 활용하지 않고 고도의 전문기술능력을 바탕으로 설계업무와 감리업무를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절대적인 주요한 자원은 전문기술인력입니다. 또한 엔지니어링 용역 업무는 프로젝트 또는 공종별로 개별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어서 자동화가 어려운 분야인 만큼 숙련 인력의 수급은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당사는 기존인력의 숙련도를 높이기 위하여 기술 교육을 강화하고, 인당 생산성에 근거한 인력 수급계획을 수립하는 등 기술력과 원가우위 확보의 두 가지 측면을모두 고려한 인력수급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5) 관련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건설엔지니어링 산업과 관련하여 적용하는 법령으로는 엔지니어링산업진흥법, 건설기술진흥법 및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등이 있습니다. 현재 엔지니어링사업자 설립에 관한 엔지니어링산업진흥법은 산업통상자원부 소관이나, 당사가 실제 수행하는 건설엔지니어링 사업은 국토교통부 소관의 건설기술진흥법에 의하여 사업을 수행하는 관계로 일부 법 적용에 혼선도 존재하는 상황입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a) 영업개황
당사는 상하수도, 수자원개발, 도시계획, 환경, 도로, 교통, 교량, 터널, 항만, 철도 등엔지니어링 전 분야에서 기획 ·타당성조사 ·설계 ·분석평가 ·감리업무 등을 수행하는 종합건설엔지니어링 회사입니다. 당사의 매출 대부분은 국내공공부문에서 발주하는엔지니어링 용역 수주를 통해서 발생하고 있으며, 해외사업과 관급토목공사 수주로 관련 매출도 일부 발생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설계 및 감리, EPC 부분 등에서 활발한 성과를 보이며 2022년도에 3,621억원의 수주실적을 달성하였습니다.
(b)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단위: 백만원)
구분 | 2022년 (제60기) | |
---|---|---|
매출액 | 비율 | |
설계부분 | 167,733 | 59.1% |
감리부분 | 65,025 | 22.9% |
시공부분 | 44,457 | 15.7% |
기타부분 | 6,488 | 2.3% |
매출총계 | 283,703 | 100.0% |
2) 시장점유율
(a) 국내 시장 점유율
당사를 포함한 토목엔지니어링 업계의 시장 점유율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공개되어 있지 않습니다. 공시된 감사보고서를 토대로 유추해본 업계 매출 상위 10개 회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건설엔지니어링업 시장점유율>
(단위 : 백만원, %)
구분 | 2021년 | 2020년 | 2019년 | |||
---|---|---|---|---|---|---|
매출액 | 점유율 | 매출액 | 점유율 | 매출액 | 점유율 | |
도화엔지니어링 | 584,799 | 26.2 | 609,393 | 29.1 | 514,884 | 29.6 |
한국종합기술 | 268,252 | 12.0 | 288,230 | 13.8 | 218,943 | 12.6 |
유신 | 262,236 | 11.8 | 212,259 | 10.1 | 166,611 | 9.6 |
건화 | 226,003 | 10.1 | 199,227 | 9.5 | 185,527 | 10.7 |
동명 | 207,699 | 9.3 | 198,096 | 9.5 | 152,773 | 8.8 |
삼안 | 183,374 | 8.2 | 155,762 | 7.4 | 121,227 | 7.0 |
이산 | 180,922 | 8.1 | 152,811 | 7.3 | 129,353 | 7.4 |
수성 | 124,679 | 5.6 | 111,285 | 5.3 | 97,710 | 5.6 |
케이지 | 113,980 | 5.1 | 92,124 | 4.4 | 77,765 | 4.5 |
서영 | 79,030 | 3.6 | 72,709 | 3.6 | 73,357 | 4.2 |
주요업체합계 | 2,230,974 | 100.00 | 2,091,896 | 100.00 | 1,738,150 | 100.00 |
자료 : 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감사보고서)
(b) 해외 시장 점유율
건설엔지니어링 업계의 해외 시장 점유율은 세계적인 건설관련 주간지인 ENR(Engineering News-Record)에서 발표한 2022 ENR Top 225 International Design Firms List 등 에서 당사의 위치를 가늠해 볼 수 있습니다.
2022 enr top 225 international design firms list (192위) |
2022 enr top 150 global design firms list (140위) |
출처 : 2022 ENR The Top Global & International Design Firms List
3) 시장의 특성
건설엔지니어링 시장의 특성은 대부분의 발주처가 관급이기 때문에 수주관련 사항들이 ‘건설기술진흥법’등 관계법령에 의해 정해져 있고 정부의 정책이나 시책에 따라 시장규모가 결정이 된다는 것이 하나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정한 기계나 설비 또는 장비 없이 오로지 전문기술사라는 인적자원에 의해 설계 및 감리용역의 품질이 결정되는 만큼 전문인적자원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의 전문적인 기술습득, 자격 요건 및 관련 경험이 필수적인 분야로 다른 분야에서의 전입은 매우 힘든 상황이기도 합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환경.에너지 플랜트 EPCM(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 Management) 사업을 신사업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지난 2012년 6월 11일 30억 규모의 천안 2차 연료전지 연구동(Colibri project) EPC 공사를 시작으로 2014년 2월 대척태양광 발전소 구축공사(EPC)사업, 분당연료전지 발전설비 EPC사업 및 침출수 매립시설 환원정화설비 설치공사를 수주하여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습니다. 공사의 설계, 기자재공급, 건설공사등 건설에 필요한 모든 업무를 책임지는 EPC 형태의 사업을 수행함에 따라 기존 사업분야인 설계, 감리 용역의 단순 용역사업형태에서 벗어나 새로운 사업영역을 구축하였으며, 금번 사업을 계기로 환경.물.에너지.플랜트 EPC 및 EPCM 사업 시장 진출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5) 조직도
조직도(221231) |
□ 재무제표의 승인
※ 제60기(2022.1.1~2022.12.31)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포함) 승인의 건은 외부감사인의 적정의견 및 감사위원 전원의 동의 요건충족시, 상법 제449조의 2(재무제표 등의 승인에 대한 특칙) 및 당사 정관 제43조에 따라 이사회 결의로 승인하고 주주총회에서는 보고사항으로 대체예정입니다.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III. 경영참고사항의 1.사업의 개요의 나.회사의 현황 참조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아래의 재무제표는 감사전 재무제표입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정기총회일 1주일전까지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60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
제59기 2021년 12월 31일 현재 |
(단위 : 원) |
과 목 | 제 60(당)기 | 제 59(전)기 |
---|---|---|
자 산 | ||
Ⅰ. 유동자산 | 123,548,693,270 | 131,275,489,149 |
1. 현금및현금성자산 | 37,140,977,121 | 54,879,677,211 |
2. 단기금융상품 | 10,026,608,535 | 3,026,079,172 |
3. 유동성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 - | 153,782,290 |
4. 유동성상각후원가금융자산 | 1,001,560,000 | 1,056,725,000 |
5. 매출채권 | 17,295,385,654 | 17,560,333,714 |
6. 계약자산 | 35,501,425,193 | 33,444,420,345 |
7. 미수금 | 2,021,295,043 | 1,450,643,888 |
8. 미수수익 | 327,638,874 | 186,018,280 |
9. 기타유동자산 | 20,233,802,850 | 19,517,809,249 |
Ⅱ. 비유동자산 | 209,146,666,458 | 208,143,850,182 |
1. 장기금융상품 | 2,500,000 | 2,500,000 |
2.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 20,055,502,936 | 19,220,251,495 |
3. 상각후원가금융자산 | 6,562,830,000 | 5,610,140,000 |
4. 투자부동산 | 92,471,123,119 | 91,946,694,215 |
5. 유형자산 | 82,836,368,390 | 84,249,161,445 |
6. 무형자산 | 2,631,207,605 | 2,539,808,954 |
7. 사용권자산 | 1,799,367,626 | 1,348,398,672 |
8. 지분법적용투자지분 | - | 760,025,801 |
9. 보증금 | 2,787,766,782 | 2,466,869,600 |
자 산 총 계 | 332,695,359,728 | 339,419,339,331 |
부 채 | ||
Ⅰ. 유동부채 | 157,452,646,955 | 163,689,178,900 |
1. 단기차입금 | 24,000,000,000 | 24,000,000,000 |
2. 유동성장기부채 | 3,300,000,000 | 4,400,000,000 |
3. 매입채무 | 15,929,979,297 | 16,617,108,899 |
4. 계약부채 | 86,125,136,983 | 92,249,536,301 |
5. 미지급금 | 14,086,424,404 | 12,715,452,284 |
6. 미지급비용 | 555,878,173 | 33,358,164 |
7. 예수금 | 6,655,517,311 | 7,125,080,811 |
8. 미지급법인세 | 950,048,975 | 416,775,681 |
9. 선수수익 | 1,247,844,505 | 1,072,359,598 |
10. 공사손실충당부채 | 1,166,704,282 | 979,393,482 |
11. 소송충당부채 | 971,409,627 | 1,294,967,570 |
12. 유동성리스부채 | 864,418,341 | 644,414,050 |
13. 하자보수충당부채 | 1,374,541,057 | 1,138,717,060 |
14. 유동성 임대보증금 | 224,744,000 | 1,002,015,000 |
Ⅱ. 비유동부채 | 26,447,400,694 | 33,430,080,946 |
1. 장기차입금 | - | 3,300,000,000 |
2. 임대보증금 | 1,567,115,000 | 793,702,000 |
3. 순확정급여부채 | 8,656,552,451 | 13,979,138,139 |
4. 장기선수수익 | 716,349,547 | 1,676,307,619 |
5. 이연법인세부채 | 14,526,888,952 | 12,919,603,725 |
6. 리스부채 | 980,494,744 | 761,329,463 |
부 채 총 계 | 183,900,047,649 | 197,119,259,846 |
자 본 | ||
Ⅰ. 자본금 | 5,475,000,000 | 5,475,000,000 |
Ⅱ. 주식발행초과금 | 6,717,349,930 | 6,717,349,930 |
Ⅲ. 기타자본 | 17,735,905,634 | 17,486,377,628 |
IV. 이익잉여금 | 118,867,056,515 | 112,621,351,927 |
자 본 총 계 | 148,795,312,079 | 142,300,079,485 |
부채와자본총계 | 332,695,359,728 | 339,419,339,331 |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60기 :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제59기 : 2021년 01월 0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60(당)기 | 제 59(전)기 |
---|---|---|
Ⅰ. 매출액 | 283,702,516,162 | 268,251,760,974 |
Ⅱ. 매출원가 | 247,920,333,947 | 236,345,864,585 |
Ⅲ. 매출총이익 | 35,782,182,215 | 31,905,896,389 |
판매비와관리비 | 30,356,465,326 | 24,749,756,412 |
Ⅳ. 영업이익(손실) | 5,425,716,889 | 7,156,139,977 |
기타수익 | 1,638,814,773 | 9,725,254,248 |
기타비용 | 1,633,974,293 | 3,167,974,260 |
금융수익 | 2,564,777,858 | 1,954,943,338 |
금융비용 | 1,284,690,315 | 1,067,346,703 |
Ⅴ.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 | 6,710,644,912 | 14,601,016,600 |
Ⅵ. 법인세비용(수익) | 2,911,353,227 | 3,562,803,729 |
Ⅶ. 당기순이익 | 3,799,291,685 | 11,038,212,871 |
Ⅷ. 주당손익 | ||
1. 기본주당 당기순이익 | 365 | 1,061 |
2. 희석주당 당기순이익 | 365 | 1,061 |
포 괄 손 익 계 산 서 | |
제60기 :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제59기 : 2021년 01월 0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
(단위 : 원) |
과 목 | 제 60(당)기 | 제 59(전)기 |
---|---|---|
Ⅰ. 당기순이익 | 3,799,291,685 | 11,038,212,871 |
Ⅱ. 세후기타포괄손익 | 3,736,332,409 | (5,210,646,773) |
1.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
(1)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3,251,638,067 | (5,210,646,773) |
(2) 기타 | 484,694,342 | - |
Ⅲ. 총포괄손익 | 7,535,624,094 | 5,827,566,098 |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제60기 :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제59기 : 2021년 01월 0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60(당)기 | 제 59(전)기 | ||
Ⅰ. 미처분 이익잉여금 | 41,901,987,673 | 40,406,755,079 | ||
전기이월이익잉여금 | 34,366,363,579 | 34,579,188,981 | ||
당기순이익 | 3,799,291,685 | 11,038,212,871 |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3,251,638,067 | (5,210,646,773) | ||
재평가잉여금 등 | 484,694,342 | - | ||
Ⅱ. 임의적립금 등의 이입액 | - | - | ||
임의적립금 | - | - | ||
합 계 | 41,901,987,673 | 40,406,755,079 | ||
Ⅲ. 이익잉여금 처분액 | 6,040,391,500 | 6,040,391,500 | ||
임의적립금 | 5,000,000,000 | 5,000,000,000 | ||
배당금 | 1,040,391,500 | 1,040,391,500 | ||
가. 현금배당 (주당배당금(률) 보통주 - 당기 : 100원(20%) 보통주 - 전기 : 100원(20%)) | ||||
Ⅳ. 차기이월 미처분이익잉여금 | 35,861,596,173 | 34,366,363,579 |
- 자 본 변 동 표
자 본 변 동 표 | |
제60기 :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제59기 : 2021년 01월 0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
(단위 : 원) |
과 목 | 자본금 | 주식발행초과금 | 이익잉여금 | 기타자본항목 | 총 계 |
---|---|---|---|---|---|
2021.01.01 | 5,475,000,000 | 6,717,349,930 | 107,834,177,329 | 17,486,377,628 | 137,512,904,887 |
Ⅰ. 총포괄손익 | |||||
1. 당기순이익 | - | - | 11,038,212,871 | - | 11,038,212,871 |
2.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 (5,210,646,773) | - | (5,210,646,773) |
Ⅱ. 자본에 직접 인식된 주주와의 거래 | |||||
1. 연차배당 | - | - | (1,040,391,500) | - | (1,040,391,500) |
2021.12.31 | 5,475,000,000 | 6,717,349,930 | 112,621,351,927 | 17,486,377,628 | 142,300,079,485 |
2022.01.01 | 5,475,000,000 | 6,717,349,930 | 112,621,351,927 | 17,486,377,628 | 142,300,079,485 |
Ⅰ. 총포괄손익 | |||||
1. 당기순이익 | - | - | 3,799,291,685 | - | 3,799,291,685 |
2.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 3,251,638,067 | - | 3,251,638,067 |
3. 기타 | - | - | 235,166,336 | 249,528,006 | 484,694,342 |
Ⅱ. 자본에 직접 인식된 주주와의 거래 | |||||
1. 연차배당 | - | - | (1,040,391,500) | - | (1,040,391,500) |
2022.12.31 | 5,475,000,000 | 6,717,349,930 | 118,867,056,515 | 17,735,905,634 | 148,795,312,079 |
- 현 금 흐 름 표
현 금 흐 름 표 | |
제60기 :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제59기 : 2021년 01월 0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
(단위 : 원) |
과 목 | 60(당)기 | 59(전)기 |
---|---|---|
Ⅰ. 영업활동 현금흐름 | (3,718,013,912) | 14,839,627,942 |
1.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 | (2,265,864,930) | 15,632,981,252 |
2. 이자의 수취 | 591,610,219 | 294,269,593 |
3. 이자의 지급 | (890,790,107) | (773,078,723) |
4. 배당금 수입 | 50,259,956 | 41,720,000 |
5. 법인세 납부 | (1,203,229,050) | (356,264,180) |
Ⅱ. 투자활동 현금흐름 | (7,686,338,162) | (3,137,069,289) |
1. 단기금융상품의 처분 | 3,000,000,000 | - |
2. 단기금융상품의 취득 | (10,000,000,000) | - |
3. 상각후원가금융자산의 처분 | 1,056,725,000 | 1,060,910,000 |
4. 상각후원가금융자산의 취득 | (1,954,250,000) | (1,788,260,000) |
5.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처분 | 931,418,101 | 403,730,800 |
6.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취득 | (611,010,281) | (2,340,254,400) |
7. 유형자산의 처분 | - | 4,994,000 |
8. 유형자산의 취득 | (159,273,800) | (578,759,989) |
9. 무형자산의 처분 | - | 1,783,210,000 |
10. 무형자산의 취득 | (229,050,000) | (1,219,527,700) |
11. 지분법적용투자지분 처분 | 600,000,000 | - |
12. 보증금의 감소 | 1,275,073,400 | 516,600,000 |
13. 보증금의 증가 | (1,595,970,582) | (979,712,000) |
Ⅲ. 재무활동 현금흐름 | (6,321,197,719) | (11,213,017,505) |
1. 단기차입금의 증가 | - | 15,000,000,000 |
2. 단기차입금의 상환 | - | (17,000,000,000) |
3. 장기차입금의 상환 | - | (2,993,000,000) |
4. 유동성장기부채의 상환 | (4,400,000,000) | (4,400,000,000) |
5. 리스부채의 상환 | (880,806,219) | (779,626,005) |
6. 배당금 지급 | (1,040,391,500) | (1,040,391,500) |
Ⅳ.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 효과 | (13,150,297) | 24,744,590 |
Ⅴ.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 | (17,738,700,090) | 514,285,738 |
Ⅵ.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54,879,677,211 | 54,365,391,473 |
Ⅶ. 당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37,140,977,121 | 54,879,677,211 |
※ 상기 재무제표 및 주석사항은 외부감사인의 감사를 받지 않은 자료로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 변경될 수 있으며, 재무제표에 대한 상세한 주석사항은 정기총회일 1주일전까지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 | 해당사항 없음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2조(목적) 본 회사는 아래의 사업을 경영함을 목적으로 한다. 1. ~ 57. (생략) 58. 전문광해 방지사업(토양개량·복원 및 정화사업) 59. ~ 75. (생략) (신설) (신설) (신설) (신설) 76. 각호에 관련된 부대사업 및 투자 | 제2조(목적) (현행과 동일) 1. ~ 57. (현행과 동일) 58. 전문광해 방지사업(토양개량·복원 및 정화사업, 지반침하방지 및 복원사업) 59. ~ 75. (현행과 동일) 76. 폐기물 처리 및 재생용 재료의 수집, 제조 및 판매 사업 등의 폐기물 종합 재활용업 77. 운송장비용 가스충전업 78. 기업적 농수산업 경영을 통한 농수산물의 생산, 가공, 유통사업 및 관광휴양사업 79. 수소산업 설계 및 건설업 80. 각호에 관련된 부대사업 및 투자 |
사업다각화를 위한 사업목적 추가
항번호 변경 |
제3조(소재지) ① 이회사의 본점은 경기도 내에둔다. ② (생략) | 제3조(소재지) ① 이회사의 본점은 경기도 하남시 내에 둔다. ② (현행과 동일) | 본점소재지 구체화 |
(신설) | 부 칙 1. 이 정관은 2023년 3월 24일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7명 (3명)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0억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7명 (3명)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579백만원 |
최고한도액 | 10억원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2023.03.16 |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1주전까지 당사 홈페이지에 게재될 예정입니다.
※ 홈페이지 주소 : https://www.kecc.co.kr (상세 위치 : PR ROOM - 전자공고)
향후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이후 변경되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금번 정기 주주총회를 가능한 한 주주총회 집중일을 피해 개최하고자 □ 당사는 한국상장회사협의회의 주총분산 자율준수프로그램에 참여하지
가. 전자투표 관리시스템 - 인터넷 주소 : 「https://evote.ksd.or.kr」 - 모바일 주소 : 「https://evote.ksd.or.kr/m」 나. 전자투표 행사 기간 : 다. 시스템에 공인인증을 통해 주주본인을 확인 후 의안별 의결권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08000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