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DX (02210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12-12 10:29: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1212000045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년   12월  12일

회   사   명 : (주)포스코디엑스
대 표 이 사 : 정덕균
본 점 소 재 지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호동로 68

(전   화)054-280-1114

(홈페이지)http://www.poscodx.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경영기획실장 (성  명)허종열

(전  화)031-723-4798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35기 제2회 임시)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우리 회사는 정관 제21조에 의하여 

제35기 제2회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발행주식총수의 1% 이하 소유주주에 대한 소집통지는 상법 제542조의4 및 정관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이 공고로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3년 12월 27일(수) 오전 9시

 

2. 장  소 : 경북 포항시 남구 호동로 68

               ㈜포스코디엑스 본사 대회의실

 

3. 회의목적사항

 

제1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한국예탁결제원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전자투표 권유에 관한 사항

우리회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시스템

- 인터넷주소 :「https://evote.ksd.or.kr」 / 모바일주소 :「https://evote.ksd.or.kr/m」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3년 12월 17일 9시 ~ 2023년 12월 26일 17시(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다.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투표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K-VOTE에서 사용가능한 인증서 한정)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처리

 

6. 안내사항

 

가.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 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2023년 12월 12일

                                          주식회사 포스코디엑스

                                      대표이사 정 덕 균 (직인생략)

 

 

※ 위치는 당사 홈페이지(www.poscodx.com)의 '고객지원>사업장 소개>본사'를 클릭하시어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T.031-723-2222)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김호원
(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1회 '23.2.1 ① 비등기임원 주요 직책 부여의 건
② 제34기 영업보고서 및 재무제표 승인의 건
③ 2023년도 단기차입 한도 승인의 건
④ 공정거래자율준수관리자 해임 및 선임의 건
⑤ 준법지원인 해임 및 선임의 건
※ 보고사항
 - 2022년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2회 '23.2.17 ① 회사 정관 일부 변경의 건
② 제34기 정기 주주총회 소집, 부의의안 및 보고사항 승인의 건
③ 2023년 안전보건에 관한 계획 수립의 건
※ 보고사항
 - 2022년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
찬성
찬성
찬성


3회 '23.3.20  ① 대표이사 선임의 건
② 대표이사 및 이사회 의장 유고시 직무대행자 결정의 건
③ 이사 및 비등기 임원 보수기준 조정의 건
④ 2022년도 임원 주식보상을 위한 자사주 처분의 건
찬성
찬성
찬성
찬성
4회 '23.6.23 ① 사회공헌 기부 출연의 건
② 사내근로복지기금 출연의 건
③ 캐나다 지점 설립의 건
④ 용인 역북2차 레지던스 구축 사업 채권정산 및 제각처리 추진의 건
※ 보고사항
  - 2023년 상반기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 운영현황  
찬성
찬성
찬성
찬성


5회 '23.8.23 ① 코스닥시장 조건부 상장폐지 및 유가증권시장 이전 상장 승인의 건
② 임시주주총회 소집 및 임시주주총회 부의의안 승인의 건
③ 브라질 법인 지분 매각의 건
④ 사회공헌 기부 출연의 건
※ 보고사항
  - 의성태양광발전사업 Exit 추진방안
찬성
찬성
찬성
찬성


6회 '23.10.25 ① 임시주주총회 소집 및 임시주주총회 부의의안 승인의 건
② 이사회 운영 규정 개정의 건 
찬성
찬성
7회 '23.11.21 ①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 해당사항 없습니다.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2,000 48 48 -

※ 인원수 : 2023년 9월 30일 현재 재직중인 사외이사 수 

※ 주총승인금액 : 사내(상임)이사의 보수를 포함한 한도 총액 

※ 지급총액 : 2023년 1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재직한 사외이사에게 지급한 보수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2023년 9월 30일 현재 재직중인 사외이사에게 지급한 보수 평균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한진메가허브터미널 (주)한진 '23.1월~'23.9월 666 6.0
광) 전기강판 ACL APL ZRM EIC 설비 (주)포스코 '23.1월~'23.9월 275 2.5
포)2열연피해복구공사 (주)포스코 '23.1월~'23.9월 247 2.2
양극재포항 1단계_EIC (주)포스코퓨처엠 '23.1월~'23.9월 237 2.1
포) 2열연 긴급복구 및 정상화 EIC 2차 (주)포스코 '23.1월~'23.9월 236 2.1
수해복구_포) STS소둔 냉천범람 복구(설비) (주)포스코 '23.1월~'23.9월 218 2.0
광석리튬2공장E.I.C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주) '23.1월~'23.9월 180 1.6
Smart통합물류플랫폼 구축 포스코플로우(주) '23.1월~'23.9월 154 1.4
4단계 BHS 구축 인천국제공항공사 '23.1월~'23.9월 138 1.2
광석리튬 상용화 공장 5차 전기공사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주) '23.8월~'23.9월 138 1.2
광석리튬 상용화 1공장 창고자동화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주) '23.1월~'23.9월 125 1.1
포천화도고속도로 ITS 포천화도고속도로(주) '23.1월~'23.9월 121 1.1
하북강철 2CGL 신설 HBIS_POSCO '23.1월~'23.9월 117 1.1
23포스넷기간망&송도 (주)포스코 '23.1월~'23.9월 114 1.0
2,3송풍설비합리화 (주)포스코 '23.1월~'23.9월 112 1.0

※ 상기 비율은 2022년도 별도기준 매출총액 대비 비율입니다.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주)포스코 엔지니어링 서비스업 및 시스템·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공급업 '23.1월~'23.9월 6,306 56.9
(주)포스코이앤씨 엔지니어링 서비스업 및 시스템·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공급업 '23.1월~'23.9월 601 5.4
(주)포스코퓨처엠 엔지니어링 서비스업 및 시스템·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공급업 '23.1월~'23.9월 704 6.4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주) 엔지니어링 서비스업 및 시스템·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공급업 '23.1월~'23.9월 916 8.3

※ 상기 비율은 2022년도 별도기준 매출총액 대비 비율입니다.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IT서비스 산업은 최적의 IT기술을 활용하여 고객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산업 분야의 업무 및 사업의 부가가치를 제고하며, 기존 산업과 융합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시키는 산업입니다. 산업 성장기에는 IT 인프라를 통해 양적인 팽창이 이루어졌으며, 최근에는 IT 기술이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요소로 인식이 전환됨에 따라전통적인 IT서비스 업무 외 AI, Big Data, Cloud, Mobility와 같은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전환(DX, Digital Transformation)과 관련된 첨단 분야에 대한 사업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기존 산업을 견인하는 중심으로 IT서비스 산업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EIC엔지니어링은 전기(Electricity), 계장(Intstrumentation), 제어(Control Computer) 등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산업 공장의 프로세스 자동화를 위한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분야로 산업 자동화 분야 중 하나입니다. 자동화시장은 산업의 발달과 함께 성장해 왔으며, 최근 제조업의 스마트팩토리화로 인해 IoT 환경 기반의 AI, Big Data로 제어하는 지능형 설비 자동화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물류자동화산업은 물류 운영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컨설팅과 엔지니어링에서부터 설비 구축, 운영에 이르는 토털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야입니다. 물류산업 성장에 따른 시설 대형화, 물류인력부족, 고객 세분화 등에 대응하기 위해 물류자동화가 점차 더 크게 요구되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2023년 국내 ICT시장규모는 39조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KRG)
코로나 팬데믹으로 위축되었던 IT 투자가 회복되는 양상을 보이며 IT 환경을 효율화하고 업그레이드하는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IT서비스 사업자들은 시장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서비스 포트폴리오의 강화, 애플리케이션 업그레이드를 위한 기술 파트너십 체결 등 사업 전략을 재편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국내 주요 IT 서비스업체들은 그룹사 클라우드 사업을 비롯해 모바일 뱅킹 고도화, 제조 공정 AI 도입 등 금융과 제조 산업을 중심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글로벌 경기침체 도래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은 경기침체 이후 차별화를 위한 지속적인 핵심 기술 투자를 진행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러한 이유로 디지털 전환(DX)의 중요성과 디지털 전환(DX)을 위한 투자는 더욱 가속화 될 전망입니다. 또한 디지털 전환(DX)을 위한 기반 인프라로 Cloud확산, Metavers 기술 활용, 융합비즈니스의 확대, AI고도화, 물류/의료서비스 분야 등 산업용 로봇 및 서비스 로봇의 급성장으로 인공지능 기반의 로봇2.0 단계 진입 등 신기술 경쟁은 더욱 가속화 될 전망입니다. 


국내 자동화시장은 중장기적으로 연간 7% 내외로 성장하여, 오는 2030년에는 약 11조원 규모가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Indnstrial Control And Factory Automation Market). 특히 앞으로는 로봇, 머신비전 등 신기술을 접목한 융합 자동화 사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해 나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물류자동화 분야의 경우, 기업간 거래(B2B) 중심이었던 물류산업이 온라인 기반의 기업-소비자간 거래(B2C)로 급격히 변화하면서 다양한 고객의 요구를 빠르게 충족시키기 위한 물류자동화 도입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글로벌 물류자동화시장은 연평균 10.6% 성장해 2026년에는 약 889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3) 경기변동의 특성
IT서비스 산업은 기업의 설비투자와 밀접하게 연동됨에 따라 타 산업 대비 경기에 대한 민감도가 비교적 높은 편입니다. 그러나 최근 IT투자에 대한 기업들의 중요도 인식이 높아지고 기업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디지털 전환(DX)에 투자하는 기업들이 늘어남으로써 IT서비스 산업의 경기변동에 대한 민감성이 점차 감소 추세에 있습니다. 특히 대기업 소속 대형 IT서비스 기업들은 그룹 내 유일한 IT서비스 담당자로서 영업 관련 보안 유지의 필요성과 신속하고 효율적인 업무 대응, 주요 그룹들의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IT 투자 등의 수요로 타 업종 대비 상대적으로 변동성은 크지 않는 편입니다.

또한, IT 서비스 산업의 경우 계절적 영향이 크지 않은 편이지만, 고객사의 예산 집행및 투자가 하반기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자동화산업은 기존 산업분야의 성장에 영향을 받습니다. 일례로 철강분야 자동화 산업은 실물 경기 동향과도 관련이 있으며, 주요 수요처인 조선, 자동차, 가전, 건설 등 전방 산업의 업황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최근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이차전지소재분야의 경우 글로벌 전기차 시장 및 IT기기 시장의 성장확대와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선진 국가들은 탄소저감을 위하여, 전기차 구매에 대한 보조금 등의 각종 인센티브를 지급하고 있는데 향후 국가별 정책변화에 따라 이차전지소재분야 자동화산업의 성장속도도 영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물류산업의 경우 국내외 물동량의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는데 내수와 수출입이 함께 부진한 경우가 많지 않아 경기변동의 영향을 적게 받는 편입니다. 최근 온라인 중심 물류 시장 확대로 소수의 고객이 다양한 제품을 원하게 되면서, 자동화 설비 기반의 프로세스 최적화가 함께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물류자동화 분야가 물류산업 경쟁력 향상의 핵심 요소로 부각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처럼 물류자동화 분야는 산업 동향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2023년 회사는 포스코 그룹의 지주사 전환 및 포스코 그룹 친환경 미래소재 기업으로의 성장 주도 전략 하에 '디지털 전환(DX)기술에 기반한 포스코 그룹의 경쟁력 제고'를 지원해 가고 있습니다.

2023년 3분기 연결 경영실적은 포스코 그룹 신성장 사업분야 투자 확대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실적이 큰 폭으로 증가하여, 매출은 2022년 3분기 대비 4,198억원이 증가한 1조1,302억원, 영업이익은 2022년 3분기 대비 470억원이 증가한 964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3분기 주요 경영 성과에 대하여 말씀 드리겠습니다.

첫째, EIC사업부문은 이차전지소재 등 그룹 신성장 부문 사업 실행 확대로 전년동기 대비 매출이 110%, 영업이익은 153% 상승하였습니다. 4분기에는 포항 양극재 2단계 및 퀘백 양극재공장 등 이차전지소재사업의 실행 본격화 외에도 광양 제철소 전기로사업, 포항 제철소 크레인무인화 등의 수주 확대가 예상되며, 고위험 현장 및 신증설 공장에 로봇 적용/실증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둘째, IT사업부문에서는 그룹 내 대형 IT시스템 리프레시 및 신설법인 IT 확산으로 전년동기 대비 매출이 50%, 영업이익이 31% 상승하였습니다. 4분기에는 포스코 IT 서비스 운영(SLA) 및 신설법인 IT 시스템 구축 등의 그룹사 IT사업 수주 확대를 추진하고, 디지털 트윈 기반의 제철소 스마트팩토리 고도화와 대외 스마트팩토리 확대도 지속 추진해 나갈 계획입니다.

셋째, 물류자동화사업부문의 경우 한진택배메가허브 준공 도래에 따른 실행 규모 축소로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감소하였으나, 공사손실충당금 환입으로 인해 이익률은 증가하였습니다. 4분기에는 한진택배메가허브 구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추가 사업화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사업부문 사 업 내 용
EIC 자동제어기기 등의 설계, 제조, 설치 및 정비 보수
제조 물류시스템 무인화/지능화, 산업용 로봇 자동화
IT

IT시스템 구축, 운영 및 개발, Smart Factory 플랫폼
그룹사 및 대외 IT시스템 운영 및 개발
스마트 홈, 교통 인프라 구축 등

물류자동화

물류센터, 공항 BHS 등 분류물류시스템 구축
통합물류플랫폼 구축, 창고자동화 사업 등 


(2) 시장점유율

2023년 국내 ICT 시장규모를 39조원으로 추정할 경우 포스코디엑스의 시장 점유율은 3.0%입니다.
※ 국내 기업용 ICT시장만을 의미, 개인용 ICT시장, 반도체 및 통신장비 시장은 제외

(3) 시장의 특성

일반적으로 IT서비스 시장은 참여자 수가 상당히 많아 사실상 완전경쟁에 가까운 경쟁구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의 IT서비스 구축경험 및 역량, 높은 기술력이 시장 지배력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판단되고 있습니다.

회사는 포스코 그룹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프로젝트 구축 경험 및 기술력을 가진 다수의 전문 인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특히 Smart Factory 등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전환(DX) 관련사업분야에 있어서 포스코 및 그룹사 대상으로 국내 최초 연속공정 Smart Factory 플랫폼의 개발 및 구축, 운영에 대한 자물쇠(Lock-in) 효과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타경쟁사의 진입장벽은 상대적으로 높은 편입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회사는 포스코 그룹의 디지털 전환(DX) 리딩과 물류자동화 및 산업용 로봇 시스템 엔지니어링 사업 분야에서의 역량을 지속적으로 확보하여 불확실한 사업환경에서도 지속 성장을 위해 도전적인 목표를 수립하고, 새로운 성공 스토리를 만들어 가겠습니다.


주요 사업추진 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포스코 그룹 One IT 전략 및 디지털 전환(DX) 체계적 추진으로 포스코 그룹에 Real Value를 제공해 가겠습니다.


Cloud 기반 그룹사 IT Infra 고도화 및 IT 수준을 상향평준화 하고, 제철소내 Digital Twin을 확산해가며, 물류/산업용 로봇 기술 연계로 Smart Factory 사업경쟁력을 한층 강화하여 대외 시장을 확대해 가겠습니다.


둘째, 자동화 역량 기반 포스코 그룹 사업을 확대하고 산업용 로봇 시스템 사업에 있어 가시적인 성과를 이루어내겠습니다.

그룹의 이차전지소재사업 신·증설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참여 범위와 수준을 확대하고, 제철소 등 고위험 현장에 우선적으로 적용중인 산업용 로봇 또한 핵심역량을 조기 확보하여 그룹사로 확산해 가겠습니다.

셋째, 실행중인 대형 물류사업의 성공적 준공으로 물류 자동화 사업 시장을 확대해 가겠습니다.

물류 자동화 사업의 핵심인 분류물류 기술 기반으로 유통분야는 택배/이커머스에서 중.소형 시장으로 다변화 하고, 공항사업은 국토부와 추진하는 BHS(수하물처리시스템) 핵심기술 자력화로 신공항 사업에 적극 참여토록 하겠습니다. 또한 통합물류플랫폼, 물류창고자동화 등으로 그룹의 물류 선진화에 기여하겠습니다.

넷째, 사업 강건화 및 미래 성장을 위한 역할 확대를 위해 사업리스크 및 포트폴리오 관리를 강화하고, 신사업 발굴 등 미래 성장을 위한 역할을 강화하겠습니다. 


新경영인프라시스템을 통해 수익성 중심의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경영체계를 이루어 내며, 우수 기술인재를 적극 영입하고 인력을 육성하여 기술전문기업으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포스코 그룹 기업시민 경영이념을 근간으로 환경, 안전,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충실히 이행하는 ESG 기업으로 발전해 가겠습니다.


(5) 조직도

조직도_231212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 - 해당사항 없음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신 설]

제11조 2(주식매수선택권) ① 회사는 임·직원(상법 시행령 제30조에서 정하는 관계회사의 임·직원을 포함한다. 이하 이조에서 같다)에게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5의 범위 내에서 주식매수선택권을 주주총회의 특별결의에 의하여 부여할 수 있다. 다만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3의 범위 내에서는 이사회의 결의로 회사의 이사를 제외한 자에 대하여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할 수 있다. 이사회의 결의로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한 경우 회사는 부여 후 처음으로 소집되는 주주총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주주총회 또는 이사회 결의에 의해 부여하는 주식매수선택권은 경영성과목표 또는 시장지수 등에 연동하는 성과연동형으로 할 수 있다. 

②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을 자는 회사의 설립, 경영, 해외영업 또는 기술혁신 등에 기여하거나 기여할 수 있는 자로 한다. 

③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교부할 주식(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가격과 실질가액과의 차액을 현금 또는 자기주식으로 교부하는 경우에는 그 차액의 산정기준이 되는 주식을 말한다)은 제8조의 주식 중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는 주주총회 또는 이사회 결의로 정한다

④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대상이 되는 임·직원의 수는 재직하는 임·직원의100분의90을 초과할 수 없고, 임원 또는 직원1인에 대하여 부여하는 주식매수선택권은 발행주식총수의100분의10을 초과할 수 없다.
⑤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할 주식의 1주당 행사가격은 다음 각호의 가액 이상이어야 한다.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한 후 그 행사가격을 조정하는 경우에도 또한 같다.

1. 새로이 주식을 발행하여 교부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목의 가격 중 높은 금액 

가.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일을 기준으로 한 주식의 실질가액 

나. 당해 주식의 권면액 

2. 자기주식을 양도하는 경우에는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일을 기준으로 한 주식의 실질가액 

⑥ 주식매수선택권은 제1항의 결의일부터 2년이 경과한 날로부터 5년 내에 행사할 수 있다. 

⑦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자는 제1항의 결의일부터 2년 이상 재임 또는 재직하여야 행사할 수 있다. 다만,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자가 제1항의 결의일부터 2년내에 사망하거나 기타 본인의 귀책사유가 아닌 사유로 퇴임 또는 퇴직한 경우에는 그 행사기간 동안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할 수 있다.

⑧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사회의 결의로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를 취소할 수 있다. 

1.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임·직원이 본인의 의사에 따라 퇴임하거나 퇴직한 경우 

2.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임·직원이 고의 또는 과실로 회사에 중대한 손해를 입힌 경우 

3. 회사의 파산 또는 해산 등으로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에 응할 수 없는 경우 

4. 기타 주식매수선택권 부여계약에서 정한 취소사유가 발생한 경우

임·직원 근로의욕
고취 및 우수인재
확보

제15조(명의개서 등) 회사는 주주명부 또는 그 복본을 명의개서대리인의 사무취급장소에 비치하고, 주식의 전자등록, 주주명부의 관리, 기타 주식에 관한 사무는 명의개서대리인으로 하여금 취급하게 한다. 그에 관한 구체적 절차는 관계법령 및 명의개서 대리인이 정하는 업무규정에 의한다.

제15조(명의개서대리인) ① 회사는 주식의 명의개서대리인을 둔다.

② 명의개서대리인 및 그 사무취급장소와 대행업무의 범위는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③ 회사의 주주명부 또는 그 복본을 명의개서대리인의 사무취급장소에 비치하고 주식의 전자등록, 주주명부의 관리, 기타 주식에 관한 사무는 명의개서대리인으로 하여금 취급케 한다. 

④ 제3항의 사무취급에 관한 절차는 명의개서대리인이 정한 관련 업무규정에 따른다.

내용 구체화

[신 설]

제43조 2(위원회) ① 회사는 이사회 내에 다음 각 호의 위원회를 설치할 수 있다.

1. ESG위원회

2. 기타 이사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위원회

② 각 위원회의 구성, 권한, 운영 등에 관한 세부사항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③ 위원회에 대해서는 제40조, 제41조 및 제43조의 규정을 준용한다.

ESG책임경영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3년 03월 10일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1)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23.3월 당사 홈페이지에 게시하였으며,「DART-정기공시」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당사 홈페이지 주소

 http://www.poscodx.com (상세위치 : 투자정보→공시)

※ 참고사항

※ 당사는 주총 집중일 개최와 관련하여 해당사실이 없습니다.

※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권유에 관한 사항

우리회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시스템

- 인터넷주소 :「https://evote.ksd.or.kr」 / 모바일주소 :「https://evote.ksd.or.kr/m」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3년 12월 17일 9시 ~ 2023년 12월 26일 17시(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다.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투표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K-VOTE에서 사용가능한 인증서 한정)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처리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1212000045

포스코DX (02210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