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제약 (01868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3-15 15:57: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5000804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년     03월     15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서울제약
대 표 이 사 : 윤 동 현 / 신 봉 환 
본 점 소 재 지 : 충북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오송생명6로 124-31

(전   화) 02)3470-2300

(홈페이지)http://www.seoulpharma.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CFO (성  명) 이 세 용

(전  화) 02-3470-2300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37기 정기)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정관 제21조에 의거하여 제37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시 : 2023년 3월 30일(목) 오전 10시    


2.  장소 : 서울 서초구 반포대로 21, 서울제약 빌딩 지하1층 강당


3.  회의 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보고
                     외부감사인 지정 보고 

나. 부의안건
  - 제1호 의안 : 제37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제2-1호 의안  : 사내이사(윤동현) 재선임의 건
       제2-2호 의안  : 기타비상무이사(황희연) 재선임의 건
       제2-3호 의안  : 사외이사(박규식) 재선임의 건
       제2-4호 의안  : 사외이사(한명수) 신규선임의 건
  - 제3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20억원)
  - 제4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1억원)


4.  실질주주의 의결권행사에 관한 사항

 금번 당사의 주주총회에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대리행사 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적으로 행사하시거나, 대리인에 위임하여 의결권을 간접적으로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5. 주주총회 참석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사진 및 인적사항 확인가능)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빠짐없이 기재,
                     주주의  인감날인), 주주의 인감증명서, 대리인의 신분증

6. 기타

   - 금번 주주총회에서는 기념품을 지급하지 않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COVID-19 감염 및 전파를 예방하기 위하여, 총회장 입장전 발열 검사 예정이며, 검사 결과  발열이 의심되는 경우 입장이 제한될 수 있으며, 입장시 반드시 마스크  를 착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3년 03월 15일

 

                                  주  식  회  사    서   울   제   약

                                  대  표  이  사    윤동현 / 신봉환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박규식
(출석률: 100%)
김한수
(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22-01 22.03.04 ① 제36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② 제36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일자 및 의안 확정의 건
③ 자율준수관리자 보선의 건
④ 내부회계관리자 보선의 건
⑤ 제36기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평가 보고의 건
⑥ 전자투표제도 시행 승인의 건
⑦ 신한은행 일반대 차입 및 담보제공의 건
찬성 찬성
22-02 22.03.22 ① 제36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② 제36기 영업보고 승인의 건
③ 경영성과 공유제도 승인의 건
찬성 찬성
23-01 23.03.14 ① 제37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② 제37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일자 및 의안 확정의 건
③ 부패방지방침(ISO37001) 승인의 건
④ 제37기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⑤ 제37기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평가 보고의 건
찬성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천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2 2,000,000 48,000 24,000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가) 성장과 발전 및 향후 전망

  2000년 7월 시행된 의약분업은 처방약시장 확대와 일반약 성장세 둔화를 가져와 의약품사용량 변화 등 제약산업계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같은 의약품시장의 판도변화는 신제품의 연구개발, 생산관리, 마케팅 전략 혁신 등을 촉발하였습니다.


2007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타결과 이후 한·EU, 한·중 FTA 등 국제무역의 패러다임과 변화와 맞물려 국내 제약산업계도 글로벌 시장 진출을 모색하게 되었고 내수시장을 넘어 신약개발 등을 통한 해외시장 진출이 필요하다는 인식의 확산은 R&D 투자 증대로 이어졌습니다. 그 결과 매출액 대비 연구 개발비 비중이 과거 3%대에서 6~7%대로 급증하였습니다.

2000년대 중반이후 우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인 GMP 선진화 프로젝트에 따라 미국 등 선진국이 적용하는 cGMP 기준에 부합하는 생산기반을 구축하였으며, R&D 역량강화와 더불어 선진국 수준의 생산 및 품질관리 경쟁력을 확보하였습니다. (자료원 : 한국제약바이오협회)

2015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 제약시장의 성장률은 7.5%인 반면, 2019년부터 2024년 성장률은 5.7%로 제약 시장 성장세가 둔화되는 양상을 보일 것으로 예측됩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2020년 국내제약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4.4% 성장한 19조 4,060억원으로 예측됩니다. 향후 5년간 약 2조원 시장 규모의 특허만료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자료원 : 아이큐비아)


(나) 특성 등
제약산업은 국가경제에 대한 양적인 기여도 외에 질병퇴치 및 나아가 국민건강 및 복지 증진 등 질적인 국가 사회의 발전을 위해 필수적인 산업분야이며, 국가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21세기 고부가가치 산업의 대표인 생명공학의 근간이 되어 정부가 현재 중점적으로 육성하고자 하는 유망 산업 분야입니다. 제약산업 관련 업체는 완제의약품을 생산하는 제약회사 외에 원료의약품, 소분의약품, 의약외품, 위생용품을 생산하거나 유통하는 업체들로 구성되며 제품의 생산 및 유통 전반에 걸쳐 약사법등 관계법령 및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등 해당 정부 기관의 규제를 받습니다. 제품의 특성으로 말미암은 이러한 정부 주도의 제품 및 업체 관리는 업체에게 일면 규제가 될 수도 있으나, 제약산업 진출을 위해서는 초기에 규모 있는 설비투자가 필요하다는점과 함께 제약산업 신규 진출에 대한 진입장벽의 역할을 하므로 기존 업체들의 상대적 경쟁력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다) 수급 상황


1) 시장 규모 2019년 국내 의약품 시장규모는 24.31조원으로 18년(23.12조원) 대비 6.03% 증가하였습니다. 2019년 의약품 국내 생산실적은 22.31조원으로 완제의약품이 19.84조원, 원료의약품은 2.47조원이 생산되었습니다.수출액은 6.06조원으로 2018년(5.14조원)에 비해 17.79% 으로 증가하였으며, 수입액 또한 12.57% 증가하여(2018년 7.16조원) 8.05조원으로 증가하였습니다. (자료원: 식품의약품안전처 통계정보)

2) 제품과 경기변동, 라이프사이클 등 

의약품 등 제약업체의 생산 제품은 타 공산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기변동과 상관 관계가 적습니다. 오히려 사회가 점점 고령화되고 치료효과가 뛰어난 신약의 개발에 의한 기대수명연장에 따라 의약품 시장은 성장률이 높은 산업분야 입니다.

(라) 자원 조달 상황
1) 원재료의 조달 

현재 국내 제약업체들은 주원료의 90% 이상을 해외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이는 국내원료 생산이 품질면에서는 유럽이나 일본, 미국산에 비해, 가격면에서는 인도나 중국산에 비해 경쟁력이 취약한 것에 기인하며 의약품 원료의 주요 생산국은 스위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들이며 특히 중국 및 인도 등이 가격경쟁력을 앞세워 현재 세계 원료의약품 시장의 점유율을 빠른 속도로 높이고 있습니다. 국내 의약품은 반드시 각국 식약청으로부터 BGMP 승인을 받은 원료만을 사용하여야하며 특히 2005년부터는 단계적으로 DMF 등록이 의무화 되고 있고, 2010년부터는 완제의약품 뿐만 아니라 주원료에 대한 GMP강화를 위해 원료의약품신고제가 의무화 되었으므로, 품질이 보증된 원료만을 사용하여야 합니다. 전체적인 원료의 품질기준 상향화는 원재료비 상승을 야기하고 이는 완제의약품의 원가 상승 부담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2) 노동력의 수급

의약품 제조는 약사법상 약학을 전공한, 해당분야에서 일정기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약사가 제조관리 및 품질관리 책임약사로서 식약처에 등록을 하고 제품의 생산 및 품질에 대한 책임을 지게 되어 있으며 연구개발이나 학술 등의 업무분야 에서도 의사나약사 등의 전문인력을 필요로 합니다. 제약산업은 산업의 특성상 전문적 지식 및 기술을 요하는 분야이므로 해당분야 전공 및 경력자를 최대한 확보하여 활용하는 것이 품질이 보증된 의약품의 생산 및 영업활동에 있어서 중요합니다. 또한 발전된 기술의습득 및 정부의 정책 변화 등에 대응하기 위하여 직원들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며 이는 업계에서 회사의 경쟁력이 됩니다.

(마) 경쟁 상황
 2019년 의약품 개발을 위한 임상실험계획 승인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체 승인건수가 714건으로 2018년(679건) 대비 약 5.2%가 증가하였으며, 이는 활발한 신약 개발 추세와 더불어 국내 임상시험 역량이 꾸준이 향상된 결과인 것으로 풀이됩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도 임상실험 건수가 전년 대비 2.3%(8,196건) 감소하였지만 국내외 신약 개발 움직임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자료원: 2020.09.03. 식품의약품안전처 보도자료)

(바) 규제 및 지원
 상기와 같이 언급한대로 제약산업은 원료의 수급부터 생산 공정 전반 및 그 제품의 품질과 판매 유통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관계 법령과 정부기관의 규제를 받습니다. 이는 국내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인명과 직결된 제품의 특성상 전 세계적으로 공통된 사항이며, 제품의 해외 수출을 위해서는 해당 수입국 보건당국의 허가를 사전 득해야하며, 수입국내 허가등록을 위해서는 국가별로 최소 6개월 내지 많게는 2년 가까운 시일이 소요되며 관련 비용도 상당금액이 요구됩니다. 제약업체 경쟁력의 핵심은 유효성과 안전성을 모두 갖춘 제품의 우수한 품질이며 고품질의 신제품 및 신약개발을 위해서는 끊임없는 업체의 인력적, 비용적, 시간적인 투자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그 투자의 규모가 다른 공산품의 개발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큰 반면 성공시의 기대 효과도 그 투자에 비해 크게는 수백배의 부가가치 창출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방법의 정부지원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더구나 차세대 성장동력 10대 산업으로서 바이오신약이 선정되어 신약개발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과거에 비해 크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또한 의약품의 해외시장 개척과 확대를 위한 정부의 지원도 KHIDI, KOTRA,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 등 관련기관을 통하여 해외 투자유치, 해외박람회 참가 지원, 현지 시장 조사, 인허가취득지원, 수출업무 컨설팅 등 다각적으로 크게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현재 동남아시아, 중동과 아프리카에 주로 수출하고 있으나, 2011년 3월 보건복지부의 북미시장 진출을 위한 콜럼버스 프로젝트 참여기업으로 선정된 이래 KHIDI, KOTRA,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정부기관으로부터 선진국 진출을 위한 여러 가지 제도적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사) 향후 전망

  제약업계의 향후 전망을 위해서는 먼저 관련 법규 및 정부 정책 등 제약업계의 환경변화 및 제약시장의 변화를 기술하고 이에 대한 제약업체의 전략 등을 전망 하겠습니다.

1) 정부 규제 등 환경 변화와 제약시장 전망

정부는 국내 의약품의 국제적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품질관리 up-grade 측면에서의 cGMP와 국제적 허가기준인 CTD 등을 도입하였습니다. cGMP 및 CTD 도입은 생산 및 품질관리와 관련된 Hardware로 부터 제품의 품질보증을 위한 Software에 이르기까지 현 제약산업의 생산 및 품질관리시스템의 전체적인 up-grade를 요구하고 있으며 전문인력의 확보가 필수적이므로 정부의 이러한 제도변화에 맞추려면 각 업체는 시설 및 전문인력 확보를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의 집중적인 막대한 규모의 투자를 요구받을 것입니다. 현재는 업체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이러한 변화가 향후 국내 의약품의 선진시장 진출에는 필요조건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또한 품질 경쟁력 향상으로 해외시장 진출은 매우 활발해 질 것입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2020 국내 보건산업 수출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에는 의약품 수출액이 59억 달러, 2020년에는 71억 달러로 수출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① 연구개발(R&D) 집중투자 

정부에서는 글로벌 신약 창출시기를 앞당기기 위하여 신제품 지향형 비임상 지원체 계 구축, 초기 임상 활성화 지원, 임상시험 분야 국제협력, BINT 융복합 의료제품 허가심사 체계 구축, 줄기세포 치료제 및 천연물 의약품 등 바이오제품 허가 등 지원 강화, 라이브 허가 시스템 도입을 통한 신속한 허가심사 및 제품화 지원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 나갈 계획입니다.

② 정부의 지속적 약가인하 정책에 따른 업계의 대응

2006년 12월 약가제도의 포지티브시스템(선별등재제도) 도입 이후 정부는 증가하는 의료비 재정을 보존하기 위하여, 8.12 약가제도 개편 및 제약산업 선진화 방안을 비롯한 기등재목록정비, 사용량-약가연동제, 시장형실거래가제, 저가구매인센티브제, 쌍벌제 등 끊임없는 약가인하 정책을 시행해 오고 있습니다.

2) 제약업체의 경쟁력 확보

기존의 사전규제를 자율화하고 사후관리를 강화하여 건전한 시장을 육성하겠다는 정부의 방침으로 업체는 필연적으로 환경변화에 따른 경쟁력 강화방안을 강구하여 추진하고 있습니다. 회사마다 다소 차이가 있겠지만 제약업체의 경쟁력 강화 방안은 크게 3가지로 압축할 수 있습니다.

① 신약 및 신제품 연구개발

제약업체 경쟁력의 원천은 제품력입니다. 경제성 있고 차별화 된 제품으로서 신약 및 개량신약 연구개발 등을 적극 진행하고 있습니다.

②  해외시장 개척

국내 시장의 치열한 경쟁으로 인해 국내 제약업체들은 90년대 이후 해외시장 개척에크게 힘쓰고 있으며 경쟁으로 다져진 품질과 영업력으로 동남아 국가 시장을 필두로 중남미, 중국 등에 성공적으로 진출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구강붕해필름(ODF)기술이적용된 의약품을 동남아에 수출하고 있습니다.

③ 선택과 집중

각 업체의 개별 경쟁력을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장기적으로는 연구개발 중심 기업, 생산 중심 기업, 영업마케팅 중심 기업 등 핵심역량 및 전문성 강화를 통한 기업 발전의 방향을 모색하고 있으며, 당사 역시 연구 및 생산의 경우 적응증별 또는 제형별 핵심 분야를 선정하여 해당분야 제품을 집중적으로 연구, 개발하며 영업마케팅의 경우 제품력을 바탕으로 경쟁력 있는 유통경로를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방안을 강구 중 입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의 2022년 매출액은 50,057백만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4% 증가하였으며, 영업이익은 1,739백만원으로 흑자 전환,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실은 (-)1,120백만원으로  적자지속입니다.

당사는 정부의 제약산업 전반에 대한 정책 변화에 맞추어 적극적인 자사전환, 개량신약 및 1st 제네릭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특수제형과 같은 혁신적이고 탁월한 약물전달기술 개발에 주력하여 왔으며, 최근 구강붕해필름(Orally Disintegrating Film: ODF)을 생산하기 위한 신규 Platform technology (SmartFilm® Technology)를 확보하여 마침내 2012년부터 국내 시장을 필두로 상업화를 실현하였으며 이후 다수의 대규모 수출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최근에는 구강붕해필름(ODF)기술이 적용된 의약품을 동남아에 수출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SmartFilm® 프로젝트를 위시하여 각종 R&D 프로젝트를 통해 선진국 시장에 진입하고 연구개발중심기업 및 기술수출 회사로서 세계 제약산업에서 강소기업이 되고자 합니다. 아울러 미국 등 선진시장 진출을 목표로 오송에 새로운 cGMP 수준의 공장을 건설하여 준공을 완료하였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의약용 약제품 제조판매"의 단일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단위 : 백만원)

구 분

2022년도

2021년도

2020년도

서울제약

50,057

40,463

52,232

일성신약

61,247

42,089

40,601

영일제약

43,394

48,176

49,431

*자료원: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 영일제약은 2022.09월까지의 매출액입니다.

(다) 시장의 특성
타 업종과 비교하여 다품종 소량 생산하여 다수의 유통경로를 통하여 판매가 이루어지며, 또한 연구개발 부문이 업체의 경쟁력에 절대적으로 중요하다는 제약업체의 특성을 감안하여 당사의 주요 시장에 대한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주요 목표 시장 및 그에 따른 제품 현황, 생산을 위한 자원 조달, 생산을 위한 설비, 판매 경로 및 연구 개발 활동을 간략하게 기술하겠습니다.

1) 주요 시장 

① 제조구분별

제약산업에서 당사의 제조구분별 주요시장은 완제의약품 시장이며, 일반의약품(Non-prescription medicine)시장과 전문의약품(Prescription medicine)시장 모두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의약분업 이후 의약품의 수요 선택권이 의료인들에게 부여됨에 따라 전문의약품 시장이 급속하게 증가했던 반면 일반의약품 시장은 위축되었던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의약 분업이 안정화되어 비처방 의약품에 대한 잠재수요가 점차 증가되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제약회사들이 현재 일반의약품에 대한 의약품의 균형적인 매출비율을 유지하기 위하여 양대 시장에 대한 제품개발 및 영업전략 확보에 힘쓰고 있습니다.

② 생산형태별

당사는 현재 내용고형제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기타 다른 제형의 제품은 외주 생산에 의해 시장에 출시하고 있습니다. 의약품은 제조시 반드시 GMP(우수 의약품 제조 및 품질 관리기준) 기준에 따라 제조하여야 하며 식약처는 이에 대한 준수 여부를 사후감시로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날로 그 기준이 향상 되고 있는 GMP 수준에 적합한 고품질의 의약품 제조 및 미국 등 선진시장 진출을 목표로 더욱 우수한 품질의 의약품 생산이 가능한 cGMP 수준의 공장을 오송에 건설함에 따라 양질의 의약품을 국내외에 동일하게 공급할 계획입니다.

③ 영업지역별

당사는 국내시장 및 해외시장에 자사 브랜드의 완제의약품을 생산 공급하고 있습니다. 서울 등 수도권을 비롯하여 전국 각지에 지방영업사무소를 두고 전국적인 영업을 하고 있습니다. 각 지역의 영업사원의 수와 거래처 수에 따라 다소 지역간 매출량의 차이가 있으나 의약품의 특성상 지역적인 시장 특성은 크게 없습니다. 해외시장과 관련하여 당사는 1995년 베트남지역에 대한 수출을 시작한 이래 2010년 해외 8개국 이외에 중앙아시아와 중남미 지역의 4개국 이상의 신시장 개척을 진행한 결과 2011년도 9개국으로 확대되었으며 계속하여 진출국가를 확대하고 거래선 다변화 등을 통하여 기존 진출 시장 내 자체브랜드 제품의 대형 품목화에 주력할 방침입니다.

④ 성별, 연령별, 소득수준별
상기 기준에 따른 시장 구분을 어렵지만 생활수준이 높아 지고 평균수명이 늘어감에 따라 증가하는 의약품 시장의 추세에 따라 당사도 항혈소판제, 고지혈증치료제, 고혈압치료제 등의 만성질환 치료제와 Quality of life (QOL) 제품인 비만치료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2) 주요 제품

당사의 제품구조를 보면 의약분업이후 전문약의 브랜드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함에 따라 당사도 2001년 11월 광범위 항생제인 오클라틴 정제를 2002년 1월 건조시럽을 4월에는 듀오건조시럽을 발매하여 기여도가 큰 품목으로 성장시켰습니다. 또한 당사가 2003년 9월 발매한 국내 최초 아세틸시스테인 성분의 거담시럽제인 세브론 및 세브론에이 시럽은 소아과 및 이비인후과 영역에서 높은 관심 속에 폭발적인 성장을 이룩하였습니다. 또한 한국인을 대상으로 최초로 임상시험을 실시하는 등 약 3년여 연구 기간을 거쳐 당사가 2006년 8월에 발매한 신개념 고지혈증 치료제 엑스립 서방정은 원 개발사 Original 제품에 비하여 부작용 발현도를 현저하게 낮추어 대형 제약사인 (주)SK케미칼에 국내 판매를 위탁하였으며, 2012년도에 들어서는 세계 최초로 140.45mg 의 고용량의 주성분을 함유한 구강붕해필름인 불티스를 개발하였으며, 특히 주성분 자체에서 발생하는 쓴맛을 완벽히 차폐하여 기술적으로 완벽한 제품을 개발하였으며, 한국화이자제약, 대웅제약 등에 제품을 생산 공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만성질환 시장의 급성장에 대응하여 2008년 10월 발매한 고지혈증 치료제 아토르정, 2012년 8월 발매한 항혈소판제 플라벨정 등 순환기제품을 중심으로 만성질환 내과 시장 점유율도 점차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정부정책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은 다수의 위탁생산 제품을 생동성시험을 통해 자사전환을 진행하고 있으며 당뇨병치료제 시장의 특허만료 후 제네릭 시장 활성화를 대비하여 개량신약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3) 자원 조달

당사는 회사의 창업자를 비롯하여 연구/개발/생산 각 부서에 제약업계 경력의 약사 인력을 다수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는 당사의 경영방침과 관리가 우수의약품의 개발 및 생산을 통한 질병퇴치 및 국민건강 증진이라는 창업이념에 바탕을 두고 추진되고 있다는 회사의 질적 차별성을 입증합니다. 일반공산품과 차별화되어 개발, 생산 되는 당사의 제품은 제품력의 근간인 글로벌 수준의 고품질 의약품원료 구매 및 품질관리에서부터 제품의 적시 출하 등 차별화된 대거래처 서비스로 거래처 의사, 약사들의 꾸준한 신뢰를 받는 바탕이 되어 왔습니다.

4) 생산 설비

당사는 cGMP 수준에 적합한 제품생산 및 매출액 증가에 따라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생산 capacity를 대비하고자 오송에 신공장을 건설하는 등 향후 보다 우수한 품질의 의약품 공급을 위한 끊임없는 시설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5) 연구 개발 등

당사는 단기적인 성과를 위해 개량신약 연구를 중점적으로 진행하였으며 특히 특수제형과 같은 혁신적이고 탁월한 약물전달기술 개발에 주력해 온 결과, 최근 구강붕해필름(Orally Disintegrating Film: ODF)을 생산하기 위한 신규 Platform technology (SmartFilm®Technology)를 확보하여 마침내 2012년부터 국내 시장을 필두로 상업화를 실현하였고 최근에는 대규모 수출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특히, 입안에서 녹여서 복용하는 구강붕해필름의 특성상 복용감 (쓴맛, 마비감, 이물감, 용해도 등)이 탁월해야 하며, 이미 많은 제품에 SmartFilm®Technology를 적용하여 실현하였으며, 특허를 통해 지식재산권을 확보해 둔 상태입니다. 


(4) 조직도

서울제약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 경영참고사항 - 1. 사업의 개요 - 나. 회사의 현황 참조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37 기          2022.12.31 현재

제 36 기          2021.12.31 현재

(단위 : 원)
과목 제 37(당)기말 제 36(전)기말
자                  산



Ⅰ.유동자산
26,011,922,518   24,813,908,337
  현금및현금성자산

11,728,409,082


13,820,214,548  
  단기금융상품

0


-
  매출채권

4,924,704,120


4,437,221,114
  미수금

65,457,380


33,233,092
  미수수익

0


-
  선급금

372,140


657,140
  선급비용

28,888,989


26,417,335
  임차보증금(유동) 6,000,000
-  
  재고자산 9,198,086,098
6,466,422,479
  반품재고회수권(유동)

  8,786,084


9,669,882
  기타유동자산

1,166,525


1,299,287  
  당기법인세자산 50,052,100
18,773,460
Ⅱ.비유동자산
36,416,147,184   37,436,116,763
  장기금융상품

3,000,000


3,000,000  
  유형자산

29,774,623,758


32,770,257,650
  무형자산

881,347,832


865,109,138
  사용권자산

901,398,825


1,284,478,091
  보증금

466,191,200


439,191,200
  반품재고회수권(비유동)

3,885,343


4,148,852
  이연법인세자산

4,385,700,226


2,069,931,832
자    산    총    계

   

62,428,069,702   62,250,025,100
부                  채

  




Ⅰ.유동부채
13,890,764,087   28,804,687,711
  매입채무

2,994,862,962


1,975,355,558  
  단기차입금

4,000,000,000


4,000,000,000  
  미지급금 304,187,061
24,376,956  
  당기법인세부채 0
-
  미지급비용 3,933,000,926

0

3,547,442,921
  예수금

23,644,703


122,248,383
  선수금

751,686,862


440,627,607  
  예수보증금 50,000,000
50,000,000  
  환불부채(유동) 466,234,934
485,669,899
  리스부채(유동)

466,105,381


463,094,648
  기타유동부채 901,041,258
897,683,469  
  기타충당부채 0
2,748,900,000  
  유동성장기부채 0
-
  유동성전환사채 0
14,049,288,270  
Ⅱ.비유동부채

   

13,115,626,867   14,487,683,309
  전환사채  0
-  
  장기차입금 10,000,000,000
10,000,000,000  
  순확정급여부채

 2,417,441,820

0

3,396,115,940
  환불부채(비유동) 206,176,370
208,376,201
  리스부채(비유동) 481,281,365
871,106,809
  기타비유동부채 10,727,312
12,084,359  
부    채    총    계

  

27,006,390,954   43,292,371,020
자                  본



Ⅰ. 자본금

5,829,659,500


4,262,261,500  
Ⅱ. 주식발행초과금

44,770,443,593


29,519,351,332  
Ⅲ. 기타자본

4,235,817,035


5,915,001,035  
Ⅳ. 결손금

(19,414,241,380)


(20,738,959,787)  
자     본     총     계

35,421,678,748

  18,957,654,080
부 채 와 자 본 총 계

62,428,069,702

  62,250,025,100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37 기 2022.01.01 부터 2022.12.31 까지

제 36 기 2021.01.01 부터 2021.12.31 까지

(단위 : 원)
과목 제 37(당) 기 제 36(전) 기
Ⅰ.매출액

50,056,724,915


40,462,650,387 
Ⅱ.매출원가

17,910,473,785


14,979,535,765 
Ⅲ.매출총이익 

32,146,251,130


25,483,114,622 
   판매비와관리비 30,407,525,839
31,196,606,833 
Ⅳ.영업이익(손실)

1,738,725,291


(5,713,492,211)
   기타이익

45,660,742


6,113,802 
   기타비용

2,177,296,088


2,963,371,889 
   금융수익

612,110,753


218,233,017 
   금융원가

1,338,717,847


1,139,919,966 
Ⅴ.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실

(1,119,517,149)


(9,592,437,247)
Ⅵ.법인세비용 (1,974,610,690)
96,144,340 
Ⅶ.당기순손실

855,093,541


(9,688,581,587)
Ⅷ.기타포괄손익

469,624,866


(206,233,273)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469,624,866


(206,233,273)
Ⅸ.총포괄손실
1,324,718,407
(9,894,814,860)
Ⅹ.주당손익



 기본주당손실


95


(1,137)

 희석주당손실


95


(1,137)


-  결손금처리계산서(안)

                           <결손금처리계산서>

제37(당)기 2022년 01월 01일 부터 제36(전)기 2021년 01월 01일 부터
2022년 12월 31일 까지 2021년 12월 31일 까지
처리예정일 2023년 03월 30일
처리확정일 2022년 03월 22일
주식회사 서울제약 (단위 : 원)
과   목 제 37(당) 기 제 36(전) 기
Ⅰ.미처리결손금
(29,762,996,905)   (31,087,715,312)
  1.전기이월미처리결손금 (31,087,715,312)
(21,192,900,452)  
  2.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469,624,866
(206,233,273)  
  3.당기순이익(손실) 855,093,541
(9,688,581,587)  
Ⅱ.결손금처리액
29,762,996,905
-
Ⅲ.차기이월미처리결손금
-   (31,087,715,312)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_ 해당사항 없음. 


※ 기타 참고사항
 - 상기 내용은 '22년도 결산실적에 대한 외부감사인의 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자           료이므로 향후 변동될 수 있습니다.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추후 전      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      기 바랍니다.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윤동현 1975.03.08 사내이사 - 해당사항 없음 이사회
황희연 1972.08.01 기타비상무이사 - 해당사항 없음 이사회
박규식 1964.07.21 사외이사 - 해당사항 없음 이사회
한명수 1979.12.30 사외이사 - 해당사항 없음 이사회
총 (  4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윤동현 현) 큐캐피탈파트너스 전무 2009.09 ~ 현재
2020.03 ~ 현재
- 큐캐피탈파트너스 전무
- 서울제약 대표이사
해당사항 없음
황희연 현) 큐캐피탈파트너스 대표이사 2009.07 ~ 현재
2020.03 ~ 현재
- 큐캐피탈파트너스 대표이사
- 서울제약 기타비상무이사
해당사항 없음
박규식 현) 드림시큐리티 상근 감사 2020.03 ~ 현재
2020.03 ~ 현재
- 서울제약 사외이사
- 드림시큐리티 상근 감사
해당사항 없음
한명수 현) 전북과학대학교 학사운영처 실장 2011.09 ~ 2018.04
2022.10 ~ 현재
- 학교법인 홍일학원
- 전북과학대학교 학사운영처 실장
해당사항 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윤동현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황희연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박규식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한명수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1. 경영진 의사 결정 참여
- 이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이사회의 의사결정이 회사의 이익을 위해 최선의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역량을 발휘하고 이사에 개별적으로 주어진 직무를 성실하게 수행하고자 함.

2. 회사와 주주의 이익 보호
- 기업 및 주주, 이해관계자 모두의 가치 제고를 위한 의사결정 기준과 투명한 의사개진을 통해 직무를 수행할 계획  

3. 기업 경영의 건전성 확보
- 경영진으로부터 독립적인 지위에서 회사의 경영이 적법, 건전하게 이루어지도록 노력할 것임.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사내이사 재선임 후보자들은 과거 다수의 회사 경영관리 및 컨설팅을 진행한 회계 전문가로서 회사의 운영 및 의사결정과정에 많은 도움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적임자로 판단되어 사내이사로 추천함.

사외이사 후보자들은 교육분야 및 재무관리의 전문가로서 당사에 대한 이해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되며, 수년간 교육기관관리 및 재무관리 경력을 바탕으로 당사의 투명경영 및 질적 성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추천함.


확인서

윤동현 확인서

황희연 확인서


박규식 확인서

한명수 확인서


※ 기타 참고사항

_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6명  (  2명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20억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6명  (  2명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247백만
최고한도액 20억원


※ 기타 참고사항

_ 해당사항 없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명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억원


(전 기)

감사의 수 1명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18백만
최고한도액 1억원


※ 기타 참고사항

_ 해당사항 없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3년 03월 22일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감사보고서는 2023년 03월 22일까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 예정입니다.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홈페이지 주소  
① 감사보고서 : http://www.seoulpharma.com/
                       (서울제약 홈페이지_팝업창)
② 사업보고서 : http://www.seoulpharma.com/
                       (서울제약 홈페이지_팝업창)

주주총회 1주전 당사 홈페이지에 게시된 사업보고서는 향후 주총 승인과정에서
수정ㆍ변경될 수 있습니다. 주주총회에서 수정ㆍ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정정보고서를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공시할 예정이오니 주주총회 이후 정정공시
여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 참고사항

□ 주주총회 집중일 개최 사유

당사는 금번 정기주주총회 집중일을 피해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하고자 하였으나, 당사의 사전 계획된 사내이사 후보 및 사외 이사 후보의 주요 대내외 일정과 결산 및 외부감사인의 감사 소요기간, 감사보고서 수령 등 원활한 주주총회 운영준비를 위하여 불가피하게 주주총회 집중일에 주주총회를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향후 주주총회에서는 많은 주주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주주총회 집중일을 고려한 정기주주총회 개최를 검토하도록 하겠습니다.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COVID-19") 관련 안내

- COVID-19 감염 및 전파를 예방하기 위하여, 총회장 입장전 발열 검사 예정이며, 검사 결과  발열이 의심되는 경우 입장이 제한될 수 있으며, 입장시 반드시 마스크  를 착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COVID-19 방역관리 지침에 따라 주주총회 개최 장소가 변경될 경우
 정정공시 등을 통해 안내드릴 예정입니다. 또한, 확진자 발생 등에 따른 불가피한
 장소 변경이 있는 경우에는 직원의 안내에 따라 변경된 장소로 이동하여 참석하
 시기 바랍니다

- 아울러, 최근 해외 및 국내 감염지역을 방문하셨거나 발열 및 기침 등의 증상을
 가진 주주님 또는 상기 내용에 해당하는 자와 접촉한 주주님께서는 주주총회
 참석을 지양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5000804

서울제약 (01868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