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정정]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8-03 16:20: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803000409
2023년 08월 03일 |
1. 정정대상 공시서류 : 주주총회 소집공고
2. 정정대상 공시서류의 최초제출일 : 2023년 08월 03일
3. 정정사항
항 목 | 정정사유 | 정 정 전 | 정 정 후 |
---|---|---|---|
※ 참고사항 | 기재정정 | 전자위임장권유제도 | 삭제 |
2023 년 08월 03일 | ||
회 사 명 : | (주)한국카본 | |
대 표 이 사 : | 조 문 수, 이 명 화 (공동 대표이사) | |
본 점 소 재 지 : | 경남 밀양시 부북면 춘화로 85 | |
(전 화) 055-350-8888 | ||
(홈페이지)http://http://www.hcarbon.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부사장 | (성 명) 박 기 성 |
(전 화) 02-3276-7583 | ||
(제 40기 임시) |
1. 일 시: 2023년 8월 18일(금) 오전 9시
2. 장 소: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춘화로 85 (주)한국카본 대강당
3. 회의목적사항
<결의사항>
제1호 의안 : 합병계약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정관변경의 건
4. 전자투표 권유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삼성증권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① 전자투표 시스템 (위탁기관 : 삼성증권)
- 인터넷 주소 : https://vote.samsungpop.com
② 전자투표 행사 기간
- 2023년 08월 08일 오전 9시 ~ 2023년 08월 17일 오후 5시
(기간 중 24시간 시스템 접속 가능하나, 마지막 날은 오후 5시까지 이용가능)
③ 전자투표 행사 방법
- 시스템에서 인증을 통해 주주본인 확인 후 의안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 카카오페이, 휴대폰인증 등
④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됨
5.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가. 직접행사 : 신분증
나.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인감증명서,
대리인의 신분증
6. 기타사항
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에 관한 안내
당일 발열, 기침 증세가 있으신 주주님께서는 현장 참석을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질병관리청 가이드에 따르면 환기가 어려운 3밀(밀폐ㆍ 밀집ㆍ밀접) 실내 환경 및
다수가 밀집한 상황에서 함성ㆍ합창ㆍ대화 등 비말 생성 행위가 많은 경우에는
마스크 착용을 '적극 권고'하고 있습니다.
이에 주주총회 당일에도 마스크를 착용해주시길 '적극 권고' 드립니다.
※ COVID-19에 따른 정부 방침이 변할 수 있어 입장 방식도 추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입장 관련 안내는 회사 인터넷 홈페이지
(http://www.hcarbon.com/investment/notice.asp) 에 업데이트할 예정이오니
주주총회에 참석하시는 주주님들은 확인 부탁드립니다.
2023년 08월 03일
주식회사 한국카본
공동 대표이사 조 문 수, 이 명 화 (직인생략)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조문수 (출석률: 100%) | 이명화 (출석률: 100%) | 박기성 (출석률: 100%) | 한민구 (출석률: 100%) | |||
찬 반 여 부 | ||||||
1 | 2023.03.13 | ① 39기 재무제표, 연결재무제표 및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승인의건 ②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 도입의 건 ③ 이사회 규정 개정 ④ 39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에 관한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2 | 2023.03.29 | ① 대표이사 선임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3 | 2023.03.29 | ① 39기 연결재무제표, 재무제표 및 이익잉여금처분게산서 승인의 건 ② 사내이사 선임의 건(조문수, 박기성) ③ 감사 선임의 건(문병현) ④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⑤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4 | 2023.05.30 | ① HCM VINA CO.,Ltd 자본전입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5 | 2023.07.12 | ① 합병계약서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6 | 2023.07.25 | ① 임시주주총회 회의의 목적사항 추가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1 | 5,000 | 10 | 10 | - |
주1) 인원수 : 2022년 12월 31일 현재 재직중인 사외이사의 수 입니다.
주2) 주총승인금액 : 사내이사, 사외이사 4명의 이사보수한도 총액입니다.
주3) 지급총액 : 공시대상기간(2022.1.1 ~ 2022.12.31) 중 재직한 사외이사에게 지급한 보수총액 입니다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 해당사항 없음.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 해당사항 없음.
가. 업계의 현황
유럽의 에너지 안보 우려로 유럽의 천연가스 수요처가 러시아에서 미국 등으로 옮겨감에 따라 천연가스 운송에 필요한 LNG운반선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미 유럽은 러시아의 천연가스 수입 비중을 꾸준히 축소해가고 있었습니다. 또한 2022년 7월 6일 유럽연합(EU) 의회가 천연가스를 친환경 투자 기준인 녹색분류체계(Taxonomy)에 포함하기로 최종 결정하면서 유럽 내 러시아 PNG를 대체할 LNG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유럽 각국은LNG터미널을 추가로 증설하겠다고 발표한 상태이며, 기존 시설이 없었던 독일도 LNG터미널 증설을 발표했습니다. EU가 운영중인 터미널은 27개이며, 신규 발표한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저장설비(FSRU)가 18개입니다. 독일 등 유럽내 LNG터미널이 없는 국가들은 비교적 건조가 빠른 FSRU 도입으로 육상 LNG터미널을 대체하고자 합니다. 천연가스는 화석연료 중에서 가장 깨끗하고 탄소 배출이 적어 향후 친환경 에너지로 나아가는 교두보가 될 수 있습니다.
글라스페이퍼는 내열성, 치수안정성, 전기절연성 등의 우수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온돌 문화를 근간으로 하는 국내를 비롯하여, 중국 및 터키로 장판권 문화 확산의 수요증가가 진행 중이고, 고급타일바닥재의 소재로 적용되어 미국, 유럽 시장으로 판매 증대가 기대됩니다.
탄소섬유/유리섬유 복합소재는 전 세계적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항공, 우주산업분야 및 모빌리티 산업 등에서 경량화 및 고강도 소재로 각광받아 폭발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LNG사업의 경우 세계 에너지 시장의 흐름에 따른 조선소의 수주 물량의 증감에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또한 각국 정부의 정책적 방향에 따라 에너지 수요의 변동이 생길 수 있습니다.
글라스페이퍼사업은 건축경기에 영향을 다소 받고 있습니다.
탄소섬유/유리섬유 복합소재 사업은 전반적인 산업경기에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카타르에너지공사의 초대형 규모 LNG운반선 확보 사업을 중심으로 역대 최대 기록의 LNG운반선 발주가 진행되고 있으며, 선박연료 환경 규제 강화로 인한 친환경 에너지인 LNG연료 적용 선박의 발주량 또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을 반영하여 최근 LNG선박 신조선가 역시 큰폭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유럽의 러시아산 가스를 대체할 LNG 공급망을 모색하고 있음에 따라 새로운 물량이 추가될 전망입니다
탄소섬유/유리섬유 사업부문은 지속적으로 항공, 자동차, 풍력, 건축 주요 시장 분야에서 꾸준한 신규 적용 개발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을 뿐만이 아니라, 해외 시장 개척에도 지속적으로 활발하게 수주 활동을 진행을 하고 있습니다. 최근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개인 활동이 많은 조구시장 및 골프 시장으로 인하여 매출 증대와 항공 및 자동차 용도 개발로 꾸준한 성장이 예상 되었으나, 최근 원자재 상승으로 인하여 어려운 환경속에서도 강한 실행력으로 매년 목표 달성을 하기 위하여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LNG Membrane 화물창의 단열패널 제작 공급업체는 당사와 동성화인텍, 강림인슈가 있으며, 당사와 동성화인텍만이 현재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 현대삼호중공업, 대우조선해양에서 건조하는 Membrane형 LNG 운반선 화물창에 사용되는 Insulation Panel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Membrane LNG 운반선 화물창 (MarkⅢ)의Secondary Barrier인 Rigid Secondary Barrier 와 Flexible Secondary Barrier를 국산화하여 MarkⅢType용 Secondary Barrier를 일괄 공급할 수 있는 유일한 기업이며, LNG 운반선 운영 시 비용절감에 기여하는 자연기화율의 저감을 위해, 지속적인 연구, 개발로 시장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탄소섬유/유리섬유 복합소재사업 분야에서는 당사와 도레이첨단소재 등이 있으며, 글라스페이퍼 시장에서는 PVC 바닥재 시장을 확보함으로써 안정적인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LNG운반선용 단열판넬사업은 조선해양부문의 산업특성을 공유하고 있으며, 조선소가 선주로부터 수주받은 선박에 INSULATION PANEL을 미리 주문받아 생산하는 수주산업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당사는 현재 국내*외 조선소 등에 LNG Membrane Type의 INSULATION PANEL을 공급하고 있으며, 이러한 조선 시장은 세계경제 및 선박 물동량, 환경규제, 유가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수주 환경이 조성되고 있습니다.
글라스페이퍼는 바닥장식재에 들어가는 필수재료로 건설경기에 따라 그 영향을 받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온돌문화권으로 안정적인 수요가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탄소섬유/유리섬유는 강도와 탄성에서 매우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어 사용 범위가 다양하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초기에는 낚시대, 골프채, 스키 등 스포츠 및 레져 산업 분야에 적용 되었으나, 향후에는 항공 및 우주산업, 전자, 철도, 풍력, 방위 산업 등 다양한 운송 시스템에서 사용 되었던 금속 소재에서 가볍고 강도가 높은 복합재료의 사용량이 증대되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전 세계적으로 이산화탄소 배출규제에 대한 대책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됨에 따라
운송기관의 산업분야에서의 항공 및 자동차를 중심으로 경량화의 필요성이 더욱
증가 되고 있으며, 경량화로 에너지 절감을 목적으로 감안하면, 탄소섬유 등의 복합소재를 이용한 경량화 소재시장의 성장이 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당사는 소재사업의 R&D개발 역량을 중심으로, 경량화 부품 적용 소재를 풍력, 항공 및 자동차 시장에 집중하고, 우수한 글로벌 기업들과 함께 기술력을 확보해 나갈 뿐만 아니라 글로벌 복합소재회사로 도약하기 위한 준비로 현지화 전략 및 지속적인 기초 핵심 부품 개발 국책과제에서도 선두 기업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5) 조직도
한국카본 조직도 |
□ 회사의 합병
가. 합병의 목적 및 경위
합병 당사회사들은 경영자원 통합으로 시너지효과 창출, 사업 경쟁력 강화, 경영효율성 제고를 통한 기업가치 극대화 목적으로 합병을 추진하고자 합니다. 이로써 합병법인의 지속적인 성장기반을 마련하고 기업가치 향상을 통한 주주가치 극대화를 달성하고자 합니다.
나. 합병계약서의 주요내용의 요지
합병법인 (주)한국카본이 피합병법인 주식회사 한국신소재를 합병함에 있어서 합병비율의 기준이 되는 합병당사회사의 주당평가액은 (주)한국카본과 주식회사 한국신소재가 각각 12,060원(액면가액 500원)과 479,246원(액면가액 5,000원)으로 산정되었으며, 이에 따라 합병비율은 (주)한국카본 : 주식회사 한국신소재 = 1 : 39.7384743으로 결정되었습니다.
다. 합병당사회사(합병회사 및 피합병회사)의 최근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및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합병회사) 【한국카본】
1) 요약재무정보 (연결기준)
(단위: 원) |
구 분 | 제 37 기 (2022년 12월말) | 제 36 기 (2021년 12월말) |
---|---|---|
[유동자산] | 52,321,914,423 | 35,039,801,182 |
ㆍ현금및현금성자산 | 14,599,844,997 | 5,038,805,370 |
ㆍ매출채권 | 10,840,360,776 | 9,358,218,515 |
ㆍ기타금융자산 | 2,534,600,000 | 948,400,000 |
ㆍ재고자산 | 23,195,122,061 | 18,184,219,144 |
ㆍ기타 | 1,151,986,589 | 1,510,158,153 |
[비유동자산] | 54,364,564,030 | 48,704,686,938 |
ㆍ장기매출채권 | - | - |
ㆍ기타장기금융자산 | 7,961,890,469 | 6,911,724,366 |
ㆍ관계기업투자 | 4,261,094,339 | 3,670,465,160 |
ㆍ유형자산 | 41,928,861,052 | 38,017,507,759 |
ㆍ무형자산 | 39,291,170 | 30,489,653 |
ㆍ기타 | 173,427,000 | 74,500,000 |
자산총계 | 106,686,478,453 | 83,744,488,120 |
[유동부채] | 32,269,683,585 | 30,433,100,129 |
[비유동부채] | 25,575,788,764 | 13,320,389,476 |
부채총계 | 57,845,472,349 | 43,753,489,605 |
[지배기업소유주지분] | 48,841,006,104 | 39,990,998,515 |
ㆍ자본금 | 1,000,000,000 | 1,000,000,000 |
ㆍ신종자본증권 | - | - |
ㆍ자본잉여금 | 5,637,761,525 | 5,637,761,525 |
ㆍ자본조정 | - | - |
ㆍ기타자본구성요소 | 2,278,009,915 | 2,060,482,112 |
ㆍ이익잉여금 | 39,925,234,664 | 31,292,754,878 |
[비지배지분] | - | - |
자본총계 | 48,841,006,104 | 39,990,998,515 |
구분 | ('22.01~'22.12) | ('21.01~'21.12) |
매출액 | 76,040,392,958 | 67,148,501,406 |
영업이익 | 10,862,477,056 | 12,453,511,613 |
연결총당기순이익 | 8,632,479,786 | 10,401,599,323 |
ㆍ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 8,632,479,786 | 10,401,599,323 |
ㆍ비지배지분 | - | - |
주당이익(원) | 43,162 | 52,008 |
연결에 포함된 회사수 | 2 | 2 |
2) 요약재무정보 (별도기준)
(단위: 원) |
구 분 | 제 37 기 (2022년 12월말) | 제 36 기 (2021년 12월말) | 제 35기 (2020년 12월말) |
---|---|---|---|
[유동자산] | 49,954,236,484 | 29,886,222,193 | 27,556,955,010 |
ㆍ당좌자산 | 31,441,334,451 | 16,400,662,493 | 16,754,331,848 |
ㆍ재고자산 | 18,512,902,033 | 13,485,559,700 | 10,802,623,162 |
[비유동자산] | 48,044,494,005 | 45,863,202,896 | 27,463,590,344 |
ㆍ투자자산 | 13,760,241,653 | 16,121,301,565 | 17,389,753,354 |
ㆍ유형자산 | 34,101,899,340 | 29,660,495,964 | 9,992,385,316 |
ㆍ무형자산 | 18,926,012 | 16,905,367 | 16,951,674 |
ㆍ기타비유동자산 | 163,427,000 | 64,500,000 | 64,500,000 |
자산총계 | 97,998,730,489 | 75,749,425,089 | 55,020,545,354 |
[유동부채] | 29,424,460,804 | 27,713,762,281 | 18,028,290,534 |
[비유동부채] | 24,506,388,764 | 12,817,789,476 | 5,302,732,300 |
부채총계 | 53,930,849,568 | 40,531,551,757 | 23,331,022,834 |
[지배기업소유주지분] | |||
ㆍ자본금 | 1,000,000,000 | 1,000,000,000 | 1,000,000,000 |
ㆍ신종자본증권 | - | - | - |
ㆍ자본잉여금 | 5,637,761,525 | 5,637,761,525 | 5,637,761,525 |
ㆍ자본조정 | - | - | - |
ㆍ기타자본구성요소 | 2,278,009,915 | 2,060,482,112 | 3,160,605,440 |
ㆍ이익잉여금 | 35,152,109,481 | 26,519,629,695 | 21,891,155,555 |
자본총계 | 44,067,880,921 | 35,217,873,332 | 31,689,522,520 |
종속·관계·공동기업 투자주식의 평가방법 | 원가법 | 원가법 | 원가법 |
구분 | ('22.01~'22.12) | ('21.01~'21.12) | ('20.01~'20.12) |
매출액 | 69,690,609,748 | 63,798,414,561 | 65,246,984,129 |
영업이익 | 11,413,161,952 | 13,711,854,639 | 13,963,827,553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11,899,938,453 | 8,486,294,667 | 11,517,103,003 |
당기순이익 | 8,632,479,786 | 5,628,474,140 | 8,985,098,958 |
주당이익(원) | 43,162 | 28,142 | 44,925 |
(피합병회사) 【한국신소재】
가. 재무상태표 (연결기준)
(단위: 원) |
구 분 | 제 37기 (2022년 12월말) | 제 36기 (2021년 12월말) |
---|---|---|
I. 유동자산 | 52,321,914,423 | 35,039,801,182 |
1. 당좌자산 | 29,126,792,362 | 16,855,582,038 |
현금및현금성자산 | 14,599,844,997 | 5,038,805,370 |
단기대여금 | 2,534,600,000 | 948,400,000 |
매출채권 | 10,840,360,776 | 9,358,218,515 |
기타당좌자산 | 1,151,986,589 | 1,510,158,153 |
2. 재고자산 | 23,195,122,061 | 18,184,219,144 |
II. 비유동자산 | 54,364,564,030 | 48,704,686,938 |
1. 투자자산 | 12,222,984,808 | 10,582,189,526 |
장기대여금 | 2,914,790,000 | 1,778,250,000 |
장기미수수익 | 150,323,309 | 459,479,506 |
매도가능증권 | 4,841,257,160 | 4,618,474,860 |
만기보유증권 | 55,520,000 | 55,520,000 |
지분법적용투자주식 | 4,261,094,339 | 3,670,465,160 |
2. 유형자산 | 41,928,861,052 | 38,017,507,759 |
3. 무형자산 | 39,291,170 | 30,489,653 |
4. 기타비유동자산 | 173,427,000 | 74,500,000 |
자 산 총 계 | 106,686,478,453 | 83,744,488,120 |
l. 유동부채 | 32,269,683,585 | 30,433,100,129 |
1. 매입채무 | 7,736,674,113 | 7,894,803,020 |
2. 단기차입금 | 14,270,000,000 | 10,800,000,000 |
3. 기타유동부채 | 10,263,009,472 | 11,738,297,109 |
ll. 비유동부채 | 25,575,788,764 | 13,320,389,476 |
1. 장기차입금 | 14,572,300,000 | 12,576,600,000 |
2. 사채 | 10,000,000,000 | - |
3. 임대보증금 | 1,000,000,000 | 740,175,000 |
4. 기타비유동부채 | 3,488,764 | 3,614,476 |
부 채 총 계 | 57,845,472,349 | 43,753,489,605 |
l. 지배기업지분 | 48,841,006,104 | 39,990,998,515 |
1. 자본금 | 1,000,000,000 | 1,000,000,000 |
2. 연결자본잉여금 | 5,637,761,525 | 5,637,761,525 |
3. 연결기타포괄손익누계액 | 2,278,009,915 | 2,060,482,112 |
매도가능증권평가손익 | 2,048,896,273 | 1,936,737,223 |
지분법자본변동 | 229,113,642 | 123,744,889 |
4. 연결이익잉여금 | 39,925,234,664 | 31,292,754,878 |
법정적립금 | 550,000,000 | 550,000,000 |
임의적립금 | 534,540,274 | 534,540,274 |
미처분이익잉여금 | 38,840,694,390 | 30,208,214,604 |
ll. 비지배주주지분 | - | - |
자 본 총 계 | 48,841,006,104 | 39,990,998,515 |
부 채 및 자 본 총 계 | 106,686,478,453 | 83,744,488,120 |
나. 손익계산서 (연결기준)
(단위: 원) |
구 분 | 제 37기 (2022년 12월말) | 제 36기 (2021년 12월말) |
---|---|---|
Ⅰ. 매출액 | 76,040,392,958 | 67,148,501,406 |
Ⅱ. 매출원가 | 61,214,287,228 | 51,818,568,396 |
Ⅲ. 매출총이익 | 14,826,105,730 | 15,329,933,010 |
Ⅳ. 판매비와관리비 | 3,963,628,674 | 2,876,421,397 |
Ⅴ. 영업이익(손실) | 10,862,477,056 | 12,453,511,613 |
Ⅵ. 영업외손익 | 1,037,461,397 | 805,908,237 |
Ⅶ. 법인세비용차감전이익(손실) | 11,899,938,453 | 13,259,419,850 |
Ⅷ. 법인세비용 | 3,267,458,667 | 2,857,820,527 |
Ⅸ. 당기순이익(손실) | 8,632,479,786 | 10,401,599,323 |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순이익 | 8,632,479,786 | 10,401,599,323 |
비지배지분순이익 | - | - |
다. 재무상태표 (별도기준)
(단위: 원) |
구 분 | 제 37기 (2022년 12월말) | 제 36기 (2021년 12월말) | 제 35기 (2020년 12월말) |
---|---|---|---|
I. 유동자산 | 49,954,236,484 | 29,886,222,193 | 27,556,955,010 |
1. 당좌자산 | 31,441,334,451 | 16,400,662,493 | 16,754,331,848 |
현금및현금성자산 | 14,312,045,838 | 4,872,820,706 | 7,417,905,678 |
단기대여금 | 5,943,600,000 | 948,400,000 | 1,632,000,000 |
매출채권 | 9,993,313,898 | 9,079,827,552 | 7,196,028,854 |
기타당좌자산 | 1,192,374,715 | 1,499,614,235 | 508,397,316 |
2. 재고자산 | 18,512,902,033 | 13,485,559,700 | 10,802,623,162 |
II. 비유동자산 | 48,044,494,005 | 45,863,202,896 | 27,463,590,344 |
1. 투자자산 | 13,760,241,653 | 16,121,301,565 | 17,389,753,354 |
장기대여금 | 3,864,790,000 | 5,969,250,000 | 3,989,040,702 |
장기미수수익 | 168,283,594 | 494,702,405 | 196,749,970 |
매도가능증권 | 4,795,146,300 | 4,572,364,000 | 5,670,765,200 |
만기보유증권 | 55,520,000 | 55,520,000 | 39,940,000 |
지분법적용투자주식 | 4,876,501,759 | 5,029,465,160 | 7,493,257,482 |
2. 유형자산 | 34,101,899,340 | 29,660,495,964 | 9,992,385,316 |
3. 무형자산 | 18,926,012 | 16,905,367 | 16,951,674 |
4. 기타비유동자산 | 163,427,000 | 64,500,000 | 64,500,000 |
자 산 총 계 | 97,998,730,489 | 75,749,425,089 | 55,020,545,354 |
l. 유동부채 | 29,424,460,804 | 27,713,762,281 | 18,028,290,534 |
1. 매입채무 | 7,483,375,478 | 7,822,856,054 | 4,488,361,935 |
2. 단기차입금 | 13,000,000,000 | 9,000,000,000 | - |
3. 기타유동부채 | 8,941,085,326 | 10,890,906,227 | 13,539,928,599 |
ll. 비유동부채 | 24,506,388,764 | 12,817,789,476 | 5,302,732,300 |
1. 장기차입금 | 13,502,900,000 | 12,074,000,000 | 5,318,000,000 |
2. 사채 | 10,000,000,000 | - | - |
3. 임대보증금 | 1,000,000,000 | 740,175,000 | 875,000 |
4. 기타비유동부채 | 3,488,764 | 3,614,476 | (16,142,700) |
부 채 총 계 | 53,930,849,568 | 40,531,551,757 | 23,331,022,834 |
1. 자본금 | 1,000,000,000 | 1,000,000,000 | 1,000,000,000 |
2. 자본잉여금 | 5,637,761,525 | 5,637,761,525 | 5,637,761,525 |
3.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2,278,009,915 | 2,060,482,112 | 3,160,605,440 |
매도가능증권평가손익 | 2,048,896,273 | 1,936,737,223 | 3,067,834,673 |
지분법자본변동 | 229,113,642 | 123,744,889 | 92,770,767 |
4. 이익잉여금 | 35,152,109,481 | 26,519,629,695 | 21,891,155,555 |
법정적립금 | 550,000,000 | 550,000,000 | 450,000,000 |
임의적립금 | 534,540,274 | 534,540,274 | 534,540,274 |
미처분이익잉여금 | 34,067,569,207 | 25,435,089,421 | 20,906,615,281 |
자 본 총 계 | 44,067,880,921 | 35,217,873,332 | 31,689,522,520 |
부 채 및 자 본 총 계 | 97,998,730,489 | 75,749,425,089 | 55,020,545,354 |
라. 손익계산서 (별도기준)
(단위: 원) |
구 분 | 제 37기 (2022년 12월말) | 제 36기 (2021년 12월말) | 제 35기 (2020년 12월말) |
---|---|---|---|
Ⅰ. 매출액 | 69,690,609,748 | 63,798,414,561 | 65,246,984,129 |
Ⅱ. 매출원가 | 55,339,378,424 | 48,000,381,121 | 49,389,153,293 |
Ⅲ. 매출총이익 | 14,351,231,324 | 15,798,033,440 | 15,857,830,836 |
Ⅳ. 판매비와관리비 | 2,938,069,372 | 2,086,178,801 | 1,894,003,283 |
Ⅴ. 영업이익 | 11,413,161,952 | 13,711,854,639 | 13,963,827,553 |
Ⅵ. 영업외손익 | 486,776,501 | (5,225,559,972) | (2,446,724,550) |
Ⅶ. 법인세비용차감전이익 | 11,899,938,453 | 8,486,294,667 | 11,517,103,003 |
Ⅷ. 법인세비용 | 3,267,458,667 | 2,857,820,527 | 2,532,004,045 |
Ⅸ. 당기순이익 | 8,632,479,786 | 5,628,474,140 | 8,985,098,958 |
Ⅹ. 기본주당손익 | 43,162 | 28,142 | 44,925 |
※ 기타 참고사항
증권신고서 제출 여부
증권신고서 제출대상 여부 | 미해당 |
---|---|
제출을 면제받은 경우 그 사유 | 본 합병과 관련하여 신주 발행 대상이 50인 미만이며 합병신주발행 후 지체없이 한국예탁결제원에 1년간 보호예수 예탁하여해당증권을 인출하거나 매각하지 않기로 하는 내용의 예탁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므로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2조 제2항 제1호에 의거하여 증권신고서 제출 면제 |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2조(목적) 이 회사는 다음의 사업을 경영함을 목적으로 한다. 1. 탄소섬유 및 합성수지 제조업 1. 레져용품, 스포츠용품 제조 및 판매업 1. 전자회로기판 제조업 1. 부동산 임대업 1. 수출입업 1. 절연적층판 제조업 1. 하수처리설비 제조업 1. 복합판넬 제조업 1. 토목공사업 1. 글라스페이퍼 제조업 1. 전기업 1. 자동차부품 제조 및 판매업 1. 지붕판금 및 건축물 조립.판매업 1. 선박용 기자재 설계, 제조, 판매업 1. 태양력 발전업 1. 각호에 부대되는 일체의 사업 | 제2조(목적) 이 회사는 다음의 사업을 경영함을 목적으로 한다. 1. 탄소섬유 및 합성수지 제조업 1. 레져용품, 스포츠용품 제조 및 판매업 1. 전자회로기판 제조업 1. 부동산 임대업 1. 수출입업 1. 절연적층판 제조업 1. 하수처리설비 제조업 1. 복합판넬 제조업 1. 토목공사업 1. 글라스페이퍼 제조업 1. 전기업 1. 자동차부품 제조 및 판매업 1. 지붕판금 및 건축물 조립.판매업 1. 선박용 기자재 설계, 제조, 판매업 1. 태양력 발전업 1. 각호에 부대되는 일체의 사업 1. 유리섬유 및 유리 섬유제품의 생산판매업 1. 건축공사업 1. 음식료품 및 담배소매업 1. 탄소섬유 제조 및 판매업 1. 합성수지 제조 및 판매업 1. 유리섬유수지 제조 및 가공판매업 1. 탄소 섬유 제조 및 가공판매업 1. 조선용 기자재 제조업 1. 항공기 및 항공기용 기기류를 생산하는 사업 1. 종합건설사업 1. 대체에너지사업 1. 환경사업 1. 도시가스사업 1. 열병합사업 1. 씨앤지충전사업 1. 철도차량 제조 및 동 부품 관련 장치물의 설계, 제조, 개조, 판매업 1. 자동차 제조 및 동 부품의 설계, 제조, 개조, 판매업 1. 가스시설시공업 1. 기계설비공사업 | 사업목적 추가 |
부 칙
이 정관은 2023년 7월 12일자 합병계약서에 따른 합병의 효력이 발생하는 날부터 시행한다. 이 합병으로 인해 발생하는 합병신주에 대한 이익배당에 관하여는 그 합병신주를 발행한 때가 속하는 영업년도의 직전영업년도말에 발행된 것으로 본다. | 기재추가 |
※ 기타 참고사항
본 정관 변경의 효력은 합병 승인후 발생되게 됩니다.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 - |
※ 임시주주총회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임시주주총회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당사는 이번 주주총회에서 주주님께서 주주총회에 직접 참석하지 않고도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도록 전자투표제도를 도입하였습니다. 일정상 주주총회에 참석이 어려우신 주주님께서는 주주총회일 전에 전자투표를 통해 귀중한의결권을 행사해주시기 부탁드립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의 방법에 따라 전자투표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① 전자투표 시스템 (위탁기관 : 삼성증권) ② 전자투표 행사 기간 - 시스템에서 인증을 통해 주주본인 확인 후 의안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 카카오페이, 휴대폰인증 등 ④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됨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80300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