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 (01233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12-04 13:31: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1204000104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  년    12  월    4 일


회   사   명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대 표 이 사 : 배 형 근
본 점 소 재 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203 (역삼동)

(전   화) 02-2018-5114

(홈페이지)http://www.mobis.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재경부문장 (성  명) 배 형 근

(전  화) 02-2018-5207



주주총회 소집공고

(2023년 임시주주총회)


1. 일시 : 2023년 12월 27일(수) 오전 9시

2. 장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 508 GS타워 1층 아모리스홀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사내이사 선임의 건(이규석)


4.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당사는 제43기 주주총회부터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도입하고 있으며,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 전자투표 시스템
        - 인터넷 주소 : https://evote.ksd.or.kr
        - 모바일 주소 : https://evote.ksd.or.kr/m

     ▶ 전자투표 행사 기간
       - 2023년 12월 17일 오전 9시 ~ 2023년 12월 26일 오후 5시
           (2023년 12월 17일 오전 9시부터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단, 마지막
           날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
   ▶ 전자투표 행사 방법

         - 인증서를 이용하여 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안별 전자투표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K-VOTE에서 사용가능한 인증서 한정)
    ▶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됨

5.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
    ▶ 대리행사
         - 위임장(인감 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 위임장 게시 : 당사 홈페이지(www.mobis.co.kr) ▷ 투자정보 ▷  전자공고&공시 ▷ 전자공고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사내이사 사외이사
정의선
(90%)
조성환
(*1)
(90%)
배형근
(100%)
고영석
(100%)
장영우
(100%)
김대수
(100%)
강진아
(100%)
김화진
(100%)
James
Kim
(100%)
Karl-Thomas Neumann
(100%)

제 1차 정기 2023.01.26 심의

1. 2022년 결산실적 및 2023년 주요경영계획 승인의 건

2. 제46기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3. 안전보건활동 2022년 실적 및 2023년 계획(안) 승인의 건

4. 특수관계인과의 자산양수도거래 승인의 건

5. 특수관계인과의 현금출자 승인의 건

6. 준법지원인 및 자율준수관리자 선임의 건

가결
가결
가결
가결
가결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해당
사항
없음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보고

1. 2022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2. 준법지원활동 결과 보고

3. 임직원 윤리규범 이행결과 보고

4. 공정거래자율준수프로그램 이행결과 보고

보고 - - - - - - - - -
제 2차 정기 2023.02.14 심의 1. 제46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보고 및 부의안건 등 승인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보고 1. 2022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감사위원회 독립적 평가 보고 보고 - - - - - - - - -
제 1차 임시 2023.03.22 심의

1. 이사회내 위원회 위원 구성의 건

2. 대표이사 선임의 건

3. 이사 경업 승인의 건 - 정의선 이사, 현대자동차ㆍ기아 겸직

가결
가결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해당
사항
없음
제 2차 임시 2023.04.07 심의 1. 대규모투자 승인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제 3차 정기 2023.04.25 심의 1. 해외계열회사 출자 승인의 건
2. 해외계열회사 출자 승인의 건 
가결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보고 1. 2023년 1분기 결산실적 보고 보고 - - - - - - - - -
제 3차 임시 2023.05.24 심의 1. 해외계열회사 출자 승인의 건
2. 국내외 전동화 신거점 구축 승인의 건
가결
가결
불참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제 4차 정기 2023.07.26 심의 1. 해외계열회사 채무보증 승인의 건
2. 자기주식 매입 및 소각 승인의 건
3. 제47기 분기배당 승인의 건
가결
가결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보고 1. 2023년 상반기 결산실적 보고 보고 - - - - - - - - -
제 4차 임시 2023.08.28 심의 1. 해외계열회사 출자 승인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제 5차 정기 2023.10.26 심의 1. 자기주식 처분 승인의 건 - 경영성과급 지급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보고 1. 2023년 3분기 결산실적 보고
2. 거버넌스 NDR 결과보고
보고 - - - - - - - - -
제 5차 임시 2023.11.17 심의 1. 임시주주총회 소집 및 부의안건 승인의 건
2. 대표이사 선임의 건
3. 이사회 내 위원회 위원 구성(안) 승인의 건
가결
가결
가결
찬성
찬성
찬성
불참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1) 조성환 사내이사는 2023년 11월 20일부로 사임하였음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사외이사후보
추천위원회
강진아(*1), 김대수,
Brian D. Jones,
Karl-Thomas Neumann,
정의선, 조성환(*2),
배형근
2023.01.26 보고 1. 사외이사 선임 계획(안) 보고 -
2023.02.14 심의 1. 사외이사 후보 추천의 건 가결
감사위원회 장영우(*1), 김대수,
강진아, 김화진,
Karl-Thomas Neumann
2023.01.25 심의 1. 2022년 결산실적 보고 및 2023년 주요경영계획 승인의 건 가결
보고

1. 2022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2. 제46기 영업보고서 보고

-
2023.02.14 심의 1. 제46기 정기주주총회 보고 및 부의안건 등 승인의 건 가결
장영우(*1), 김대수,
강진아, 김화진,
James Kim
2023.03.22 심의 1. 감사위원장 선임의 건 가결
2023.04.24 심의 1. 2023년 연간 외부감사계획 승인의 건 가결
보고 1. 2023년 1분기 결산실적 보고
2. 2023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계획(안) 보고
-
2023.07.25 보고 1. 2023년 상반기 결산실적 보고
2. 2022년 외부감사인 선임 준수사항 확인 결과 보고
3. 2023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평가 결과 보고
-
2023.10.25 보고 1. 2023년 3분기 결산실적 보고
2. 2023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주요 현황 보고
-
지속가능
경영위원회
김대수(*1), 장영우,
강진아, 김화진,
Karl-Thomas Neumann, 조성환(*2)
2023.01.25 심의

 1. 특수관계인과의 자산양수도거래 승인의 건
2. 특수관계인과의 현금출자 승인의 건

3. 특수관계인과의 내부거래 승인의 건

4. 2023년 2분기 계열금융회사와 약관에 의한 금융거래 승인의 건

5. 준법지원인 및 자율준수관리자 선임의 건

6. 2022년 최대주주 등과의 거래한도 추가 승인의 건

7. 2022년 이사 등과 회사간의 거래한도 추가 승인의 건

8. 사회공헌활동 2022년 실적 보고 및 2023년 계획 승인의 건

가결
보고

1. 2022년 ESG평가 결과 보고

2. 준법지원활동 결과 보고

3. 임직원 윤리규범 이행결과 보고

4. 공정거래자율준수프로그램 이행결과 보고

5. 안전보건활동 2022년 실적 및 2023년 계획(안) 보고

6. 주요 경영현안 보고

7. 주요 경영현안 보고

8. 2022년 내부거래 실적 보고

-
2023.02.14 심의 1. 주주가치 제고 정책 승인의 건 가결
김대수(*1), 장영우,
강진아, 김화진,
James Kim, 조성환(*2)
2023.04.07 보고 1. 대규모투자(안) 보고
2. 주요 경영현안 보고 
-
2023.04.24 심의 1. 2023년 3분기 계열금융회사와 약관에 의한 금융거래 승인의 건 가결
보고 1. 2023년 1분기 사회공헌활동 실적보고
2. 2023년 지속가능성 보고서 발간 계획 보고
3. 탄소중립 세부 달성 방안
4. 해외계열회사 출자(안) 보고
5. 해외계열회사 출자(안) 보고
6. 2023년 1분기 내부거래 실적보고
-
2023.05.16 보고 1. 해외계열회사 출자(안) 보고
2. 국내외 전동화 신거점 구축 계획(안) 보고
-
2023.07.25 심의 1. 2023년 4분기 계열금융회사와 약관에 의한 금융거래 승인의 건
2. 계열회사와의 대규모내부거래 승인의 건
가결
보고 1. 2023년 상반기 안전보건활동 실적보고
2. 2023년 상반기 임직원 윤리규범 이행결과 보고
3. 2023년 상반기 공정거래자율준수 프로그램 이행결과 보고
4. 2023년 2분기 사회공헌활동 실적보고
5. 해외계열회사 채무보증(안) 보고
6. 2023년 상반기 내부거래 실적보고
7. 자기주식 매입 및 소각(안) 보고
8. 제47기 분기배당(안) 보고
-
2023.08.28 보고 1. 주요 경영현안 보고 -
2023.10.25 심의 1. 계열회사와의 대규모내부거래 승인의 건 - 설비 및 보전자재 유니투스 양도
2. 2023년 최대주주 등과의 거래한도 추가 승인의 건
3. 2023년 이사 등과 회사간의 거래한도 추가 승인의 건
4. 2024년 1분기 계열금융회사와 약관에 의한 금융거래 승인의 건 - 기타 금융상품
5. 2024년 연간 계열금융회사와 약관에 의한 금융거래 승인의 건 - 수익증권
6. 2023, 2024년 계열회사와의 거래 승인의 건 - 브랜드 사용료
가결
보고 1. 주요 경영현안 보고
2. 2023년 3분기 사회공헌활동 실적보고
3. 거버넌스 NDR 결과보고
4. 2023년 3분기 내부거래 실적보고
5. 자기주식 처분(안) 보고의 건 - 경영성과급 지급
-
보수위원회 김화진(*1),
김대수, 배형근,
Karl-Thomas Neumann 
2023.02.14 심의 1. 2023년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가결
보고 1. 2022년 이사 보수 지급 결과 보고 -
김화진(*1),
김대수, 배형근,
James Kim
2023.10.25 심의 1. 2023년 이사회 운영평가 계획(안) 승인의 건 가결

(*1) 각 위원회 위원장
(*2) 조성환 사내이사는 2023년 11월 20일부로 사임하였음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5 10,000 392 78 -

※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 4명을 포함한 총 9명의 보수한도 승인금액이며, 지급총액은 2023년중 실제 사외이사들에게 지급된 금액 기준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현대자동차
(계열회사)
매출 및 매입 외 2023.1.1
~2023.9.30
114,752 33.7
기아
(최대주주 본인)
매출 및 매입 외 83,613 24.6

※ 상기 비율은 2022년 별도기준 매출총액 (34조 521억원) 대비 비율임.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모듈 및 부품제조사업

(산업의 특성)
독일, 미국 등 자동차 강대국 보다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글로벌 자동차 생산 대국으로 성장하였고, 기술 수준 또한 주목받는 수준에 이르게 되었으며, 이제는 국가의 기간산업을 넘어 국가 경제의 기틀로서 자리매김하게 되었습니다.

자동차 산업은 '국가 경제 대리전'이라고 할 만큼 각국이 사활을 걸고 경쟁을 벌이고 있는데, 그 가장 큰 이유는 한 나라의 기간산업으로서, 전방산업인 완성차 제조업은 물론 자동차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부품산업과 그 후방산업인 소재, 전기, 전자 산업 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산업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수출, 경상수지, 고용 등에 이르기까지 국가 경제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어 연관 산업으로의 파급효과가 대단히 크고 산업의 총제적 수준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에 각국 정부는 자동차산업 부양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최근 세계 자동차산업은 완성차 제조/판매 중심에서 첨단 기술 기반의 제품과 서비스가 결합된 종합 모빌리티 산업으로 생태계가 진화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 기술 개발 경쟁 본격화, 새로운 운송수단의 등장 및 사물ㆍ차량ㆍ사람 간 연결성 확대에 따른 인포테인먼트/커넥티비티 수요 확산, 친환경 동력원에 대한 관심도 증가 등으로 전통적인 기계부품의 부가가치는 감소하고 전기/전자부품 및 소프트웨어, 전동화 관련 기술의 중요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회사는 자율주행/커넥티비티/전동화와 같은 고부가가치 미래 기술 개발 및 관련 핵심 역량 확보를 통해, 예상되는 사업환경 변화에 대비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산업의 성장성)

팬데믹 이후 선진시장을 중심으로 공급 차질이 정상화되고 대기수요가 실현되면서, 2023년 1~3분기 국내 자동차 생산량은 전년 동기 대비 17.4% 증가한 316만대를 기록하였으며(한국자동차산업협회), 2023년 연간 세계 자동차 판매량은 전년 대비 6.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2023년 하반기부터 경기침체가 본격화되면서 신규 수요 유입이 감소하여 판매세 회복이 제약되고 있으며, 소비심리 확산에 따른 판매량 회복은 2025년경에나 가능하나 코로나19 이전 수준에는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입니다.


연결회사의 주요 고객인 현대자동차ㆍ기아의 2023년 1~3분기 국내외 판매실적은 548만대(내수 99만대, 해외 449만대)로, 전년 동기 507만대(내수 89만대, 해외 418만대) 대비 8.0%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반도체 및 부품 수급 개선과 동시에 미국, 유럽 등 해외 시장에서의 신차 및 친환경차 판매 호조에 따른 것입니다. (현대자동차ㆍ기아 영업(잠정)실적)

현재 세계 자동차 산업은 글로벌 경기침체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등으로 수요·공급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전기차 시장 성장세 둔화 및 가격경쟁 심화로 인해 완성차 업체의 수익성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불안정성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이에 연결회사는 주요 고객인 현대자동차ㆍ기아에 대한 공급관계를 강화함과 동시에 글로벌 완성차 업체 수주 확대를 통해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또한 전동화, 자율주행, 커넥티비티 등 혁신적인 모빌리티 기술 구현 및 산업 패러다임 전환에 부합하는 신성장 동력 발굴을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는 데 주력해 나갈 것입니다.


(국내외 시장여건)
글로벌 경제는 유동성 확대 등의 코로나19 대응 정책 효과의 감소로 고물가, 고금리 기조가 완화되면서 성장세가 약화되는 추세이나, 국제유가 급등으로 물가 상승 우려가 재확산되면서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영환경의 영향으로 자동차 산업 수요는 코로나19 기간동안 이연된 수요의 소진과 경기위축 등으로 인해 회복세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미국, 유럽 등 선진시장은 고금리 기조 하 차량 가격 상승으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 및 이연된 대기수요 감소로 판매세가 약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국시장 및 인도, 브라질 등 기타 신흥시장의 경우에도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 상태가 지속되면서 판매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국내 자동차 시장 또한 이연된 대기수요 실현의 기저효과로 신차 출시에도 불구하고 판매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회사의 경쟁우위 요소)
2006년에 연결회사는 사상 처음으로 '세계100대 자동차 부품업체'에 선정되었습니다. 미국의 자동차 전문지인 'Automotive News'가 '세계 100대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자동차 부품업체' 경영정보를 정리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연결회사는 완성차업체에 자동차 부품을 공급하는 OEM 매출액을 기준으로 2010년 글로벌 10위권에 진입한 이래로 13년 연속 10위권 내의 순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2023년 6월 발표 자료 기준 6위, 배터리 업체 제외 시 5위에 올랐습니다.


또한 연결회사는 기본적인 품질경쟁력을 확고히 하는 한편, 치밀하게 수립된 기술개발전략에 따라 글로벌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미래의 첨단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한다는 전략 아래, 현재 강점을 가지고 있는 모듈 및 부품제조사업의 끊임없는 품질 혁신과 기술개발을 통해 후발 주자와의 격차를 더욱 벌리고자 합니다. 연결회사의 모듈 및 부품제조사업은 3대 핵심모듈의 조립과 이에 공급되는 핵심부품을 중심으로 소비자의 요구에 부합하며 자동차의 안전성, 편의성 및 승차감 등을 고려한 제품의 공급을 최우선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현대자동차ㆍ기아 및 글로벌 완성차업체의 생산ㆍ판매목표를 차질 없이 근접 지원하기 위해 글로벌 생산거점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한국을 제외한 전세계 9개국에 이르는 글로벌 생산거점을 확보하여 제품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연결회사는 자동차 산업 미래 3대 신기술인 자율주행, 커넥티비티, 전동화의 흐름에 맞추어 연구개발 및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용인 마북연구소, 의왕연구소 및 서산주행시험장 등 국내거점과 함께 북미, 유럽, 중국 및 인도 등 글로벌 주요지역의 연구소를 운영하면서 글로벌 연구개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에서는 전사 연구개발을 총괄하고 있는 마북연구소를 중심으로 생산기술, 품질연구 및 시작제품 생산을 담당하는 의왕연구소와 실차 및 시스템 단위의 제품 검증을 수행하는 서산주행시험장을 운영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연구개발 역량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자율주행 센서와 제어시스템, IVI 통합 제어 등 차세대 사업 역량을 더욱 고도화하기 위해, 2020년말 현대오트론의 반도체 사업 부문을 인수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차량용 반도체 분야의 전문적인 설계, 개발, 검증 역량을 키워 미래차 전장 분야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입니다.

연결회사의 탄탄한 개발 인프라는 이러한 미래혁신을 준비하는 든든한 버팀목입니다. 충남 서산에 위치한 34만평(112만㎡) 규모의 서산주행시험장은 자율주행 핵심 기술을 테스트할 수 있는 다수의 주행로와 시험동을 갖추고 있으며 글로벌 자동차 부품업체 중 최고 수준의 규모와 시설을 자랑합니다.

서산주행시험장은 가동 대수를 꾸준히 늘리며 핵심부품의 성능과 내구성 검증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독자 센서의 성능을 고도화하고 이를 적용한 자율주행 기술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첨단시험로와 레이다시험로에서 반복적인 시험 평가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결회사는 2018년 자체 개발한 자율주행 시험차 '엠빌리(M.Billy)'를 미국과 독일 등에서 본격 운영하며 미래기술을 확보하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이 차에는 연결회사가 독자 개발한 센서와 각종 제어장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세계 각지의 실도로 주행 데이터베이스를 동시 다발적으로 축적할 계획입니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앞다투어 전기차를 개발/생산하는 가운데 연결회사는 HEV/PHEV/EV의 핵심부품인 구동모터, 시동발전기, 배터리 시스템, 전동화 제어기, 탑재형 충전기 등을 생산하고 있습니다.또한 연결회사는 고객사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차량 양산 계획에 발맞추어 관련 전동화 부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신규 거점을2019년부터 울산에 구축하여 운영 중이며, 2022년 미국 조지아, 알라바마에 생산거점 구축 투자를 결정하며 빠르게 성장 중인 전동화 사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속적인 투자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고객과의 파트너십은 미래성장을 좌우하는 열쇠입니다. 해외 완성차 메이커를 대상으로 한 글로벌 사업 확대는 당사가 명실상부한 글로벌 Top 부품회사로 질적인 성장을 하기 위해 성취해야 할 중점 추진 과제 중 하나이며, 이를 통하여 현대, 기아자동차 중심의 매출 구조에서 탈피하여 안정된 고객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균형 잡힌 매출구조로 전환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 당사는 북미, 유럽, 중국 등 주요 완성차 시장에 글로벌 연구소를 구축하여 R&D 활동을 통한 설계 비용 절감과 시장 맞춤형 제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현지 생산 거점 구축 및 부품의 현지 구매 비중 증가를 통해 원가절감과 함께 지역경제에 대한 기여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아울러 주요 완성차 업체를 대상으로 기술전시회를 개최하여, 핵심 부품에 대한 기술소개 및 신기술 중심의 세미나를 통해 기술홍보 및 향후 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제의 등 다양한 교류 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적극적인 선행기술 제안 및 프로젝트 초기 단계부터의 고객 협업과 파트너쉽 강화를 도모하여 글로벌 부품업체로서의 역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거점별 핵심고객 전담 조직인 KAM(Key Account Management)이 각 지에서 VOC를 직접 수집하고 빠르게 반영하여 고객만족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고객중심 전략으로 주요 고객들과 신뢰관계가 강화되어 수주 선순환이 지속되고 있으며 포트폴리오 다변화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지역별 글로벌 고객사 진출 현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1) 북미시장

스텔란티스에 샤시모듈을 수주하여, 미국 오하이오주와 미시간주에 모듈 공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오하이오 공장에서는 지프 글래디에이터차종 컴플리트 샤시모듈을, 미시간 공장에서는 닷지 듀랑고 및 그랜드체로키차종 프론트/리어 샤시모듈을 공급하고 있으며, 양 공장 누적 생산량은 ’22년 기준 약 638만대를 넘어서고 있습니다. 또한 ’22년 하반기부터 메르세데스-벤츠의 샤시모듈을 미국 앨라바마주에서 생산을 시작하였습니다. 전기차 전용 플랫폼 SUV 차종에 공급하고 있으며 이는 당사의 모듈 기술력과 품질력을 프리미엄 브랜드에서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집니다. 나아가 향후 타 고객사 및 부품수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핵심부품의 경우 스텔란티스의 주요 차종에 헤드/리어램프 및 디스플레이모듈 (Center Stack Display)을, GM에는 오디오와 공조장치를 제어하는 중앙 컨트롤 장치인 ICS (Integrated Center Stack)와 주차브레이크를 수주하여 공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GM과 스텔란티스로부터 우수협력사로 선정되는 등 자동차 본 고장인 북미시장에서 우수한 품질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북미 BIG 3 및 전기차OE를 대상으로 핵심부품 수주 확대를 위해 마케팅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CES와 디트로이트 오토쇼참가를 통해 북미 고객사들을 대상으로 당사 기술 선도 제품들을 소개하였습니다.

2) 유럽시장

기술진입장벽이 높은 유럽시장에도 당사는 다양한 업체에 핵심부품을 수주하여 공급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유럽내 두 번째로 높은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는 스텔란티스에 ICS (Integrated Center Stack)와 헤드램프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유럽 사업 확대를 위해 프로모션 등 마케팅 활동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습니다, 하반기에는 독일에서 IAA 모빌리티쇼에 참여하여 유럽 고객사들을 대상으로 당사의 기술 선도 제품에 대한 높은 관심을 확인했습니다.
 

3) 일본시장 

당사는 가격경쟁력과 품질 확보를 통해 진입이 까다로운 일본시장에도 주요 고객들을 확보하고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현재 미쯔비시에 첨단 LED 헤드램프 및 리어램프를, 스바루와 마쯔다에는 리어램프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4) 중국시장

세계 1위의 자동차 시장 규모를 갖고 있는 중국 시장의 강화를 위해 J/V (Joint Venture) 및 로컬OE에 대한 수주를 지속 추진하고 있습니다.

현재 J/V OE 중 상해GM과 동펑푸조시트로엥에 ICS를, 광치미쓰비시에는 헤드램프 등의 수주계약을 체결하고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로컬OE의 경우 일기교차에 에어 서스펜션과 전자식주차브레이크를, 길리기차에 Sound System(Amp, Speaker)을, BYD와 북경기차에 MDPS (Motor Driven Power Steering) 등을 공급 중이며, 상하이 모터쇼 참가를 통해 고객과 소통하며 당사의 선도적인 제품들을 선보였습니다.


(2) A/S용 부품사업
국내외에서 운행중인 모든 현대자동차ㆍ기아에 소요되는 보수용 A/S부품을 공급하는 A/S용 부품사업은 부품의 책임공급을 위한 물류센터 등의 대단위 인프라 구축과 201개 차종, 264만 품목을 관리함으로써 보수용 A/S부품에 대한 수요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한 부품공급을 통해 현대자동차ㆍ기아 보유고객에 대한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산업의 특성)
자동차 부품산업은 전방산업인 완성차 제조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산업으로, 완성차 제조업과 더불어 후방산업인 소재, 전기, 전자, 비철금속, 철강산업 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산업입니다. 자동차 부품 수출액은 완성차 수출액과 별도로 산정하더라도 국내 전체 수출에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023년 3분기 총 A/S부품 수출금액은 5.3억 달러로 총 수출액 1,572억 달러의 0.3%, 자동차부품 수출액 50.0억 달러의 10.6%(한국무역협회 HS-Code 8708 기준)를 차지해 꾸준히 매출액 상위를 유지하며 완성차 제조업과 함께 우리 경제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부품산업은 크게 신차 제조용 OEM 부품부문과 A/S용 부품부문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연결회사가 영위하고 있는 A/S용 부품사업은 현대자동차ㆍ기아 등 완성차 업체의 자동차 판매에 따른 사후관리로 운영되는 고객서비스 산업으로써 현대자동차ㆍ기아 등 완성차 부품의 책임공급 및 기타 보수용 A/S부품 공급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산업의 성장성)
A/S용 부품매출은 자동차 A/S 수요 운행대수, 평균 차량연령, 부품 내구성, 교통사고 건수 등의 요인에 의해 발생됩니다. 이 중 자동차 A/S 수요 운행대수는 매출증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입니다.

국내 자동차 보유대수 및 증가율은 2013년 1,940만대, 2014년 2,012만대, 2015년 2,099만대, 2016년 2,180만대, 2017년 2,253만대, 2018년 2,320만대, 2019년 2,368만대, 2020년 2,437만대, 2021년 2,491만대, 2022년 2,550만대(한국자동차산업협회)로 집계되었습니다. 2023년 3분기말 전체 보유대수는 2,585만대이며, 이 가운데 현대자동차ㆍ기아 보유대수는 1,810만대(한국자동차산업협회)로 70.0%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023년 해외의 A/S 수요 운행대수는 2022년말 대비 2.1% 감소한 4,003만대 입니다.

2020년~2022년 코로나 글로벌 팬데믹으로 인한 자동차 판매 감소로 A/S 수요 운행대수는 감소했지만, 점진적 시장 안정화 및 소비심리 회복 등에 따라 매출규모는 지속적으로 회복될 것으로 예상 됩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일반적으로 자동차 산업은 경기변동에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으나, 이미 보유한 차량의 유지보수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A/S용 부품의 경우 상대적으로 경기변동의 영향이 적은 편입니다.


(국내외 시장여건) 

현대자동차그룹 글로벌경영연구소에 따르면, 2022년 글로벌 자동차 판매는 팬데믹 시기 대기수요 누적에도 불구, 반도체 공급난 해소 지연 및 러-우 전쟁, 중국 락다운 등에 의한 부품 공급망 타격으로 대규모 생산 차질이 지속되어 전년비 0.9% 감소한 7,590만대를 기록하였습니다. 2023년은 반도체 수급 문제 완화로 공급은 점차 증가하겠지만, 글로벌 경기둔화 영향으로 수요가 위축되어 전년비 6.3% 증가한 8,072만 대의 판매가 전망됩니다. 선진국은 미국의 통화긴축 및 유럽 에너지 물가 불안 등에 따라 고물가 속 경기침체 가능성이 높으며, 신흥국도 불확실한 대내외 환경 및 선진시장 대비 생산 차질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었던 영향으로 회복 둔화가 예상됩니다. 경기 부진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과 구매력 저하가 대기수요 실현과 신규수요 유입을 제한하며, 글로벌 자동차 판매는 팬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됩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미국은 반도체 부족 해소 지연에 따른 생산 차질 지속으로 2022년 1,431만대로 전년비 5.1% 판매가 감소하였습니다. 2023년도에는 반도체 공급난의 점진적 해소에도 불구하고 고물가와 고금리 등의 여파로 경기 둔화 및 소비심리가 위축되어 전년비 9.1%(1,560만대)의 판매 성장이 예상됩니다. 전기차 판매는 2022년 BEV 신모델 출시 및 친환경차 선호 증가로 전체 산업수요 감소에도 판매(91만대, 전년비 +36.0%)가 증가되었으며, 2023년 IRA EV 보조금 개편으로 상당수 모델의 보조금 미혜택에도 불구, 가격 민감도가 낮은 고소득층 중심으로 수요 강세가 예상되어 증가세가 확대(150만대, 전년비 +65.1%)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캐나다는 반도체 공급 부족으로 그동안 적체된 대기수요가 점차 해소, 점진적 회복이 예상되어 2023년 168만대(전년비 +8.1%)의 판매가 전망됩니다. 브라질은 반도체 공급 부족 지속에 따른 생산 차질 및 고물가 영향으로 올해 판매는 다소 감소(185만대, 전년비 -6.6%) 하였으나, 신임 정부 집권 초기 예상되는 소비 진작과 공급 정상화 등으로 2023년 196만대(전년비 +6.2%)의 증가세 전환이 전망됩니다. 멕시코 역시 소형차 중심 시장으로 선진시장 대비 반도체 부족 영향은 적었지만, 고물가 및 자동차 금융 금리 상승 부담으로 2023년 110만대(전년비 +4.9%)의 판매가 전망됩니다

 

유럽은 공급망 병목 및 고물가 속 하반기 금리인상 본격화로 다소 둔화된 2.5%의 경제 성장을 기록하였으며, 반도체 부족에 따른 공급 차질 지속으로 2022년 전년비 5.5% 감소한 1,300만대 판매를 기록하였습니다. 2023년은 공급 부족 문제는 점진적으로 개선되지만 러-우 전쟁, 에너지 대란 등 대내외 불확실성 지속에 따른 경기 불안으로 소비 심리가 위축되어 2023년 1,390만대(전년비 +6.9%)의 판매가 전망됩니다. 친환경차 시장의 경우 반도체 공급난의 점진적 해소 속에 대기수요 및 신차 출시가 많은 BEV 중심으로 성장이 확대되어 2023년 365만대(전년비 +30.4%)의 판매를 예상합니다.

 

러시아는 러-우 전쟁에 따른 생산 중단, 신차 공급 제한 및 소비 심리 악화로 판매가 급감(62만대, 전년비 -62.7%) 하였습니다. 2023년에도 대(對)러 제재 장기화로 글로벌업체의 생산/판매 제약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나, 로컬업체의 공장가동 정상화 및 생산 확대, 중국/이란 등 우호국 업체들의 진출 확대로 전년비 32.7% 증가한 83만대의 판매가 예상됩니다.

 

중국은 2022년 하반기 NEV(New Energy Vehicle, 비전통연료를 사용하는 4륜 자동차) 판매 급증과 ICE 중심 구매세 인하로 회복세가 확대(2,130만대, 전년비 +7.1%) 되었습니다. 하지만 구매세 인하로 대거 발생한 선수요의 기저 효과 및 경제 중성장 기조 등으로 2023년 판매는 전년비 2.8% 신장에 그친 2,190만대로 전망됩니다.

 

인도는 2022년 5월 이후 공급 차질 완화에 따른 대기수요 실현과 기조효과로 큰 폭으로 판매가 증가(368만대, 전년비 +18.6%) 하였습니다. 2023년 공급 정상화에도 불구, 금리 인상/ 고물가에 따른 소비심리 둔화 및 높은 원자재가 지속에 따른 차량 가격의 상승 압박으로 전년비 판매 성장세가 둔화(385만대, 전년비 +4.5%)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끝으로 2022년 내수 시장은 반도체 부족 장기화로 인한 공급 제약으로 감소세가 지속(160만대, 전년비 -5.5%) 되었습니다. 2023년에는 금리인상에도 불구, 반도체 공급이 개선되는 가운데 지난 2년간 공급 제약으로 이연된 수요가 판매 확대를 견인하여 169만대(전년비 +6.2%)의 판매 성장이 전망됩니다. 

 

※ 2023년 3분기 그룹내 완성차업체 CKD 포함 글로벌 도매판매 : 현대자동차 1,046천대, 기아 778천대 (현대자동차ㆍ기아 IR자료)

 

한국은행자료에 따르면 2023년 3분기 국내총생산(GDP)은 전기대비 0.6% 성장(전년동기대비 1.4% 증가) 하였습니다. 2023년 3분기 기계류 설비투자가 감소하였지만 서비스(음식숙박 등) 소비, 건설투자가 증가하였으며 반도체, 자동차, 기계/장비 중심으로 수출 늘고 석유제품 중심 수입이 증가하여 국내총생산이 소폭 신장되었습니다. 국내경제는 소비가 지난해 부진에서 다소 회복되는 모습을 나타냈지만, 주요국 통화 정책 방향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여전히 큰 상황입니다.

(회사의 경쟁우위 요소)
A/S용 부품시장에서의 경쟁력은 완성차 판매지역 확대에 따른 부품 공급망 보유 여부와 안정적인 품질유지 및 적정한 가격 책정 등으로 결정됩니다.

 연결회사는 최적의 부품 공급률을 유지하기 위해 국내 3개 권역, 22개 사업소, 4개의 물류센터, 40개의 정비파트, 1,098개의 대리점 등을 갖추어 업계 최고의 유통 네트워크를 구축했으며, 전세계 212개 국가에 걸쳐 13개의 현지법인, 1개 지역사무소, 475개의 대리점과 11,572여 개의 딜러를 운영하는 등 해외 물류거점에 의한 현지 밀착형 부품공급 체계를 구축하여 경쟁사 대비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또한 부품의 철저한 품질관리 및 보증제도 시행을 통해 고객의 절대적인 신뢰를 확보하고 경쟁사 대비 최상의 고객 서비스 제공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연결회사는 자동차 모듈 및 부품제조사업과 A/S용 부품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3대 핵심모듈인 샤시모듈, 칵핏모듈, 프론트엔드모듈(이하 "FEM")을 조립ㆍ생산하여 현대자동차와 기아 등에 직서열(JIS, Just In Sequence) 공급하고 있으며, 제동ㆍ조향ㆍ에어백ㆍ램프 및 전장ㆍ전동화 부품 등 다양한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여 현대자동차와 기아 및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공급하고 있습니다.(모듈 및 부품제조사업) 또한 국내외에서 운행 중인 모든 현대자동차ㆍ기아에 소요되는 보수용 부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A/S용 부품사업)

(모듈 및 부품제조사업)
연결회사는 자동차 3대 핵심모듈인 샤시모듈, 칵핏모듈 및 FEM을 생산하여 현대자동차ㆍ기아 등 글로벌 완성차업체에 직서열(JIS, Just In Sequence: 필요한 부품을 필요한 형태와 순서로 필요한 시간에 완성차업체에 조달) 방식으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개발 초기 단계부터 공동참여를 통해 핵심 모듈 및 부품별 특성을 고려한 설계, 시험, 해석, 평가 등 연구개발(R&D) 중이며, 3대 핵심모듈의 첨단화 및 시스템 통합화를 통하여 생산공정 간소화, 조립의 편의성 증대 및 조립시간 단축, 중량 및 부품수 감소, 비용 절감, 품질 및 재고 관리의 효율의 증대 등 모듈화 효과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연결회사는 글로벌 종합 자동차부품업체로서 편리성과 주행성능은 물론, 도로 안전과 환경을 고려한 자동차 핵심부품을 개발 및 생산하고 있습니다. CBS(Conventional brake system), ABS(Anti-lock Brake System),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 및 MDPS(Motor Driven Power Steering) 등 차량을 제어하는 기본 기능인 제동 및 조향 시스템, 차량충돌 시 승객을 보호하는 대표적 승객보호장치인 에어백, 변화하는 도로에 대해 최적의 시야를 제공하는 램프 등이 이러한 핵심부품입니다.

또한 자동차가 단순 기계구동부품에서 전자화, 전동화 되어가는 추세에 적극 발맞추어 각종 전장 부품과 전동화 부품을 개발/생산하고 있습니다. 우선 전장부품으로는 자동차의 두뇌로서 에어백, MDPS, ABS 등 각종 부품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 디스플레이장치인 클러스터와, 인포테인먼트를 담당하는 오디오, AVN(Audio, Video, Navigation) 등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운전자 보조시스템 및 자율주행용 센서인 SVM(Surround View Monitoring, 서라운드 뷰 모니터링), AEB(Autonomous Emergency Braking, 긴급 제동 시스템), RSPA(Remote Smart Parking Assist,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시스템), 전방 카메라, 레이더 등을 개발하여 공급하고 있습니다.

전동화 부품으로는 구동모터, 인버터, 감속기를 일체화한 전기차 구동장치인 PE(Power Electric)시스템, OBC와 DC-DC 컨버터를 통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인 ICCU(Integrated Charging Control Unit), 구동 에너지를 공급/저장하는 배터리 시스템, 배터리 상태를 측정 및 관리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등을 생산하여  HEV/PHEV/EV용 차량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A/S용 부품사업)
국내외에서 운행중인 모든 현대자동차ㆍ기아에 소요되는 보수용 A/S부품을 공급하는 A/S용 부품사업은 부품의 책임공급을 위한 물류센터 등의 대단위 인프라 구축과 201개 차종, 264만 품목을 관리함으로써 보수용 A/S부품에 대한 수요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한 부품공급을 통해 현대자동차ㆍ기아 보유고객에 대한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모듈 및 부품제조사업)
연결회사의 모듈 및 부품제조사업은 각 부품회사별로 모듈의 품목과 개념이 서로 달라 객관적인 시장 규모의 산출이 어려우며, 완성차의 생산계획에 따라변동이 크기 때문에 객관적인 시장점유율의 산출 또한 어려운 상황입니다

(A/S용 부품사업)
연결회사의 A/S용 부품사업은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 판매에 따른 사후관리로 운영되는 고객서비스산업으로 A/S용 부품판매사업의 시장점유율은 양산차종 및 단종차종의 차량마다 사고율, 소모율 등 많은 변수로 인하여 연결회사가 취급하는 264만 품목에 대한 시장수요 예측 및 시장소비에 대한 산정기관이 없는 관계로 객관적인 통계자료의 산출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3) 시장의 특성


(모듈 및 부품제조사업)
자동차 산업은 '국가 경제 대리전'이라고 할 만큼 각국이 사활을 걸고 경쟁을 벌이고 있는데, 그 가장 큰 이유는 한 나라의 기간산업으로서, 전방산업인 완성차 제조업은 물론 자동차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부품산업과 그 후방산업인 소재, 전기, 전자 산업 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산업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수출, 경상수지, 고용 등에 이르기까지 국가 경제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어 연관 산업으로의 파급효과가 대단히 크고 산업의 총제적 수준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에 각국 정부는 자동차산업 부양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최근 세계 자동차산업은 완성차 제조/판매 중심에서 첨단 기술 기반의 제품과 서비스가 결합된 종합 모빌리티 산업으로 생태계가 진화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 기술 개발 경쟁 본격화, 새로운 운송수단의 등장 및 사물ㆍ차량ㆍ사람 간 연결성 확대에 따른 인포테인먼트/커넥티비티 수요 확산, 친환경 동력원에 대한 관심도 증가 등으로 전통적인 기계부품의 부가가치는 감소하고 전기/전자부품 및 소프트웨어, 전동화 관련 기술의 중요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회사는 자율주행/커넥티비티/전동화와 같은 고부가가치 미래 기술 개발 및 관련 핵심 역량 확보를 통해, 예상되는 사업환경 변화에 대비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A/S용 부품사업)
A/S용 부품매출은 자동차 A/S 수요 운행대수, 평균 차량연령, 부품 내구성, 교통사고 건수 등의 요인에 의해 발생됩니다. 이 중 자동차 A/S 수요 운행대수는 매출증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입니다.

국내 자동차 보유대수 및 증가율은 2013년 1,940만대, 2014년 2,012만대, 2015년 2,099만대, 2016년 2,180만대, 2017년 2,253만대, 2018년 2,320만대, 2019년 2,368만대, 2020년 2,437만대, 2021년 2,491만대, 2022년 2,550만대(한국자동차산업협회)로 집계되었습니다. 2023년 3분기말 전체 보유대수는 2,585만대이며, 이 가운데 현대자동차ㆍ기아 보유대수는 1,810만대(한국자동차산업협회)로 70.0%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023년 해외의 A/S 수요 운행대수는 2022년말 대비 2.1% 감소한 4,003만대 입니다.

2020년~2022년 코로나 글로벌 팬데믹으로 인한 자동차 판매 감소로 A/S 수요 운행대수는 감소했지만, 점진적 시장 안정화 및 소비심리 회복 등에 따라 매출규모는 지속적으로 회복될 것으로 예상 됩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산업은 경기변동에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으나, 이미 보유한 차량의 유지보수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A/S용 부품의 경우 상대적으로 경기변동의 영향이 적은 편입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연결회사와 현대자동차, 기아(이하 '현대자동차그룹')는 자율주행 기술 조기 확보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2019년 9월 23일 자율주행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기술을 보유한 미국의 앱티브(Aptiv)와 미국 현지 합작법인(Joint Venture, JV) 설립 계약을 공동으로 체결하였습니다. 합작법인은 레벨 4~5 수준의 자율주행 솔루션 개발 및 판매를 주된 사업 목적으로 합니다. 현대자동차그룹과 앱티브가 각각 50%의 지분을 보유하게 되며, 그 중 연결회사의 출자 규모는 4억 달러로 합작회사에 대한 지분10%-1주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해당 합작법인, 'Motional AD LLC'는 관계당국의 승인을 거쳐 2020년 3월 공식 설립되었습니다.

연결회사를 포함한 현대자동차그룹은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주도할 AAM(Advanced Air Mobility) 비즈니스의 신규 진출 위하여 미국 현지 법인(Supernal, LLC)을 설립하는 계약을 체결하고, 이후 Supernal 합작법인은 관계당국의 승인을 거쳐 2021년 2월 공식 출범 되었습니다. (기존 Genesis Air Mobility에서 Supernal로 사명 변경, '21.11월) Supernal 합작법인은 현대자동차, 기아, 모비스 각 3사의 출자를 통해 설립 되었으며, 당사는 33.3%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후 2022년 5월 연결회사를 포함한 현대자동차그룹은 Supernal 합작법인의 시제품 개발 및 중기 투자를 목적으로 추가 출자를 진행하였습니다. Supernal 합작법인은 AAM 기체개발 및 연관 사업을 주도적으로 수행할 예정입니다.

연결회사를 포함한 현대자동차그룹은 배터리셀의 안정적인 확보를 통한 글로벌 전기차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2021년 6월, 글로벌 톱티어 배터리셀 기술을 보유한 LG에너지솔루션과 인도네시아 현지 합작법인(Joint Venture, JV) 설립 계약을 공동으로 체결하였습니다. 합작법인은 전기차용 배터리셀 생산 및 판매를 주된 사업 목적으로, 연간 10GWh 규모의 배터리셀을 생산하여 2024년부터 전용 전기차 등에 적용 예정입니다. 현대자동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이 각각 50%의 지분을 보유한 합작법인은 2021년 3분기 공식 설립되었으며, 총 11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2021년 5월 28일 이사회 결의에 의하여 배터리시스템 개발 및 생산 기술확보 등의 운영 효율화를 위하여 에이치그린파워(주)에 대한 (주)LG에너지솔루션의 지분 49%를 인수 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취득금액은 30,000백만원이며, 2021년 7월 중 지분인수를 완료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연결회사의 에이치그린파워(주) 보유지분은 100%입니다. 또한 연결회사는 에이치그린파워(주)의 생산 물량 확대 및 재무 건전성 확보를 목적으로, 2022년 4월 21일 이사회에서 50,000백만원을 추가로 출자할 것을 의결한 후, 5월 10일 기준으로 이행하였습니다.

연결회사와 현대자동차, 현대글로비스, 현대자동차그룹 정의선 회장이 로보틱스 역량 확대, 연관 산업 신규 진출 및 신사업과의 시너지 제고를 위한 지분 투자를 목적으로 Boston Dynamics, Inc. 지분을 출자하는 계약을 공동으로 체결하였습니다. 본 거래는 발행회사 지분의 총 80%를 취득하는 거래이며 2021년 6월 21일에 종결되었습니다. 해당 주주간 계약에는 타 투자자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회사를 포함한 매수인들에게 처분할 수 있는 풋옵션 행사 조항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후 연결회사는 (1) 보유중이던 Boston Dynamics, Inc. 주식 전량을 현물출자하고 (2) HMG Global, LLC이 발행하는 신주를 인수하여 발행회사의 지분 20%를 취득 하는 거래를 체결하였습니다. 해당 거래는 연결회사와 현대자동차, 기아 3개사가 미래 신사업 중심 거점 운영을 통한 미국 Top-tier 신기술 개발 및 혁신기업 발굴 등의 글로벌 기업으로서 성장기반 강화, 투자 프로세스 일원화를 목적으로 미국 투자 및 신사업 지주사 설립(HMG Global, LLC)을 위한 지분 출자 계약입니다.  발행회사는 2022년 6월 29일 당사 이사회 승인 후 2022년 7월 1일 자본금 $1로 설립되었으며, 미국 기업결합 승인 등 필요한 관계기관 협의 및 승인이 완료된 후 2022년 8월 연결회사 등 각 출자자가 본 건 출자를 이행하였습니다. 해당 계약 체결 시, 연결회사가 보유하고 있던 풋옵션 행사 조항 또한 HMG Global, LCC가 승계하여 보고서작성기준일 현재 연결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Boston Dynamics, Inc 주식 및 풋옵션은 없습니다.

연결회사와 현대자동차는 2022년 9월 7일 이사회 결의에 의하여 사업 제휴 강화를 목적으로 ㈜케이티와 자기주식을 교환하는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2022년 9월 8일 연결회사가 매입한 (주)케이티의 주식 수는 8,094,466주이며, 이에 상응하는 당사의 자기주식 1,383,893주를 ㈜케이티에 매도하였습니다. 향후, 연결회사와 현대자동차 및 (주)케이티는 사업협력위원회를 구성하여 1) 각 사의 핵심 역량을 활용한 기존 사업의 협력, 2) 신규 가치창출을 위한 소프트웨어, 플랫폼 및 솔루션 등을 기반으로 한 신규사업, 3) 중장기 미래사업 대응을 위한 선행 공동연구 및 사업 개발, 4) ESG분야 공동 대응을 위한 협업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연결회사는 2022년 10월 5일 이사회 결의를 통해 생산전문 통합계열사인 유니투스(부품), 모트라스(모듈)를 설립을 결정하였습니다. 양사 모두 연결회사가 100%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2022년 10월 출자 및 설립을 완료 하였습니다. 연결회사는 모듈 및 부품의 생산을 전문으로 수행하는 2개의 통합계열사를 통해 제품 개발 및 양산화에 주력할 것이며, 신사업/신기술에 집중함으로써 미래 모빌리티 패러다임에 대한 대응력을 확보해 나갈 것입니다.

연결회사와 현대자동차, 기아 3개사는 EV 배터리셀의 안정적인 공급을 바탕으로 북미 현지 전기차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2023년 5월 LG에너지솔루션, 6월 SK온과 함께 북미 현지 합작법인(Joint Venture, JV) 설립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합작법인은 북미 전기차용 배터리셀 생산 및 판매를 주된 사업 목적으로 하며, 인플레이션 감축법(Inflation Reduction Act, IRA)을 대응하기 위하여 배터리 부품 및 광물 조건을 충족할 예정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과 설립하는 JV의 현대자동차그룹과의 지분율은 각각 50%이며, 본 JV의 생산 공장은 2023년 11월 미국 조지아주 서배나 HMGMA 부지에 설립되었습니다. 한편, SK온과 설립하는 JV의 지분율은 SK온, 현대자동차그룹이 동일하게 50%이며, 본 JV의 생산 공장은 2023년 10월 조지아주 바토우 지역에 설립되었습니다. 상기 JV는 향후 북미권역에서 생산되는 전기차에 배터리 셀을 공급할 예정입니다.

(5) 조직도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이사의 선임


제1호 의안 : 사내이사 선임의 건(이규석)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이규석 1965.08.12 - 해당사항 없음 계열회사 임원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이규석 현대모비스 사장 2023.11 ~ 현재 현대모비스 사장 -
2020.12 ~ 2023.11 현대자동차 구매본부장(부사장) 계열사와의 부품거래 등
2019.01 ~ 2020.12 현대자동차 구매1사업부장(전무) 계열사와의 부품거래 등
2017.02 ~ 2018.12 현대자동차 차체샤시부품구매실장(상무) 계열사와의 부품거래 등
2015.01 ~ 2017.02 현대자동차 의장전장부품개발실장(이사) 계열사와의 부품거래 등
2012.01 ~ 2015.01 현대자동차 구매전략실장(이사) 계열사와의 부품거래 등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이규석 해당없음 해당없음 해당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사내이사로 해당사항 없음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이규석 사내이사 후보자는 공급망 관리(SCM) 분야의 탁월한 전문성과 글로벌 역량을
 갖춘 전문가로서, 팬데믹 및 국제정세 불안 등 어려운 경영환경에서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다각적 솔루션을 성공적으로 시행하는 등 사업 성과와 역량이 검증된 리더입니다.

 

- 특히 차량용 반도체 등 주요 부품 수급이 어려운 공급망 위기 상황에서 중요 전략 자재
 를 적시에 확보함으로써, 탁월한 업무 추진 능력과 리스크 관리 역량을 입증하였습니
 다.

 

- 또한 이규석 후보자는 현대차·기아 구매본부장을 역임하면서 현대모비스를 비롯한
 다양한 글로벌 부품사의 강점 및 약점을 누구보다 잘 파악하고 있어, 변화와 혁신을 통
 해 소프트웨어 중심 모빌리티 기업으로서의 전략적 전환 등 '뉴 모비스' 비전으로 대표
 되는 현대모비스의 신사업 전략 수립 및 실행을 가속화해 나갈 적임자로 판단됩니다.



확인서

확인서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3년 03월 14일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상기 사항은 임시주주총회일을 기준으로 가장 최근에 공시한 사업보고서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음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당사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2023년 3월 14일 금융감독원 공시홈페이지(http://dart.fss.or.kr)와 당사 홈페이지(www.mobis.co.kr ▷ 투자정보 ▷ 전자공고&공시 ▷ 전자공고)에 게재하였으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당사는 제43기 주주총회부터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도입하고 있으며,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 전자투표 시스템
   - 인터넷 주소 : https://evote.ksd.or.kr
   - 모바일 주소 : https://evote.ksd.or.kr/m

○ 전자투표 행사 기간 : 2023년 12월 17일 오전 9시 ~ 2023년 12월 26일 오후 5시
          (2023년 12월 17일 오전 9시부터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단, 마지막
          날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
○ 인증서를 이용하여 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안별 전자투표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K-VOTE에서 사용가능한 인증서 한정)
○ 수정동의안 처리: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됨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1204000104

현대모비스 (01233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