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정정]주주총회소집공고 2022-12-07 16:02: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21207000274
2022년 12월 07일 |
1. 정정대상 공시서류 : 주주총회소집공고
2. 정정대상 공시서류의 최초제출일 : 2022.11.23
3. 정정사항
항 목 | 정정사유 | 정 정 전 | 정 정 후 |
---|---|---|---|
주주총회 소집공고 | 기재정정 | 1. 일 시 : 2022년 12월 08일 (목요일) 오전 9시 정각 | 1. 일 시 : 2022년 12월 29일 (목요일) 오전 9시 정각 |
5.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2)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2년 11월 28일 9시 ~ 2022년 12월 7일 17시 - 기간 중 24시간 이용가능 (단, 마지막 날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 | 5.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2)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2년12월19일 09시 ~ 2022년12월28일 17시 - 기간 중 24시간 이용가능 (단, 마지막 날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 |
2022년 11월 23일 | ||
회 사 명 : | 웰바이오텍 주식회사 | |
대 표 이 사 : | 구 세 현 |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 강남구 영동대로106길 17, 5층 | |
(전 화)02-6902-1300 | ||
(홈페이지)http://www.wellbiotec.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대표이사 | (성 명)구 세 현 |
(전 화)02-6902-1300 | ||
(제48기 임시)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 정관 제17조에 의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일 시 : 2022년 12월 29일 (목요일) 오전 9시 정각
2. 장 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영동대로 106길 17, 1층
3. 회의 목적 사항
보고사항 : 감사보고
부의안건 : 제 1 호 의안 : 정관일부 변경의 건(사업목적 추가 등)
제 2 호 의안 : 이사선임의 건(사외이사 포함)
2-1호 의안 : 김태원 사내이사 선임의 건
2-2호 의안 : 김한국 사내이사 선임의 건
2-3호 의안 : 소순호 사내이사 선임의 건
2-4호 의안 : 김남영 사내이사 선임의 건
2-5호 의안 : 김헌주 사내이사 선임의 건
2-6호 의안 : 김정은 사외이사 선임의 건
2-7호 의안 : 김청만 사외이사 선임의 건
제 3 호 의안 : 김세현 감사선임의 건(비상근)
4. 주주총회 소집통지 및 공고사항
상법 제542조의 4에 의한 공고사항은 당사의 본사와 국민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였고,
금융감독원 또는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 제 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활용하기로 결의하고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 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1) 전자투표 관리시스템 : 한국예탁결제원 전자투표 시스템
- 인터넷주소 : 「https://evote.ksd.or.kr」
- 모바일주소 : 「https://evote.ksd.or.kr/m」
2)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2년 12월 19일 9시 ~ 2022년 12월 28일 17시
- 기간 중 24시간 이용가능 (단, 마지막 날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
3) 인증서를 통해 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안별 전자투표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
(K-VOTE에서 사용 가능한 인증서 한정)
4)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6.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신분증을 지참하시지 않을 경우, 주총장소에 입장하실 수 없습니다)
- 대리행사 : 위임장(위임자의 인감도장 날인), 대리인신분증, 위임자 인감증명서
- 법인 : 사업자등록증, 위임장(법인인감 날인), 법인인감증명서, 대리인 신분증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박태규 (출석률:72%) | 임혜자 (출석률:28%) | |||
찬 반 여 부 | ||||
1 | 2022.01.04 | 종속회사 자금대여의 건 | 참석(찬성) | 불참 |
2 | 2022.01.17 | 전자투표제도 시행의 건 | 불참 | 참석(찬성) |
3 | 2022.01.28 | 전환사채 발행 일정변경(29회차) | 참석(찬성) | 불참 |
4 | 2022.02.14 | 재무제표 확정의 건 | 참석(찬성) | 불참 |
5 | 2022.02.18 | 유상증자(3자배정) 신주발행 일정변경의 건 | 참석(찬성) | 불참 |
6 | 2022.02.18 | 전환사채 발행 일정변경(30회차) | 참석(찬성) | 불참 |
7 | 2022.02.23 | 제27회 전환사채 중도상환 및 담보교체의 건 | 참석(찬성) | 불참 |
8 | 2022.02.28 | 연결재무제표 확정의 건 | 참석(찬성) | 불참 |
9 | 2022.03.03 | 종속회사 자금대여의 건 | 참석(찬성) | 불참 |
10 | 2022.03.04 | 내부회계관리제도(2021년) 운영평가보고의 건 | 참석(찬성) | 불참 |
11 | 2022.03.07 |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참석(찬성) | 불참 |
12 | 2022.03.15 | 종속회사 자금대여의 건 | 참석(찬성) | 불참 |
13 | 2022.03.30 | 종속회사 채무보증(연대보증)의 건 | 불참 | 참석(찬성) |
14 | 2022.04.22 | 29회차 사모 전환사채 발행일정 변경 | 참석(찬성) | 불참 |
15 | 2022.05.09 | 종속회사 자금대여의 건 | 참석(찬성) | 불참 |
16 | 2022.05.11 | 종속회사 설립의 건 | 불참 | 참석(찬성) |
17 | 2022.05.20 | 타법인 주식(신주)취득의 건 | 참석(찬성) | 불참 |
18 | 2022.05.23 | 지점폐지의 건 | 불참 | 참석(찬성) |
19 | 2022.05.27 | 30회차 사모 전환사채 발행일정 변경 | 참석(찬성) | 불참 |
20 | 2022.06.07 | 조합출자의 건 | 참석(찬성) | 불참 |
21 | 2022.06.08 | 조합출자의 건 | 참석(찬성) | 불참 |
22 | 2022.06.09 | 조합출자의 건 | 참석(찬성) | 불참 |
23 | 2022.06.21 | 제31회차 전환사채 발행의 건 | 불참 | 불참 |
24 | 2022.06.30 | 타법인 주식(구주)처분의 건 | 참석(찬성) | 불참 |
25 | 2022.07.05 | 종속회사 자금대여의 건 | 참석(찬성) | 불참 |
26 | 2022.07.06 | 조합출자의 건 | 불참 | 참석(찬성) |
27 | 2022.07.13 | 종속회사 채무보증(연대보증)의 건 | 불참 | 참석(찬성) |
28 | 2022.07.22 | 종속회사 자금대여의 건 | 참석(찬성) | 불참 |
29 | 2022.07.27 | 타법인 주식(지분)처분의 건 | 불참 | 참석(찬성) |
30 | 2022.07.29 | 유상증자(3자배정) 신주발행 일정변경의 건 | 참석(찬성) | 불참 |
31 | 2022.08.17 | 종속회사 설립의 건 | 불참 | 참석(찬성) |
32 | 2022.08.26 | 유상증자(3자배정) 신주발행 일정변경의 건 | 참석(찬성) | 불참 |
33 | 2022.08.26 | 29회차 사모 전환사채 발행일정 변경 | 참석(찬성) | 불참 |
34 | 2022.09.22 |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 참석(찬성) | 불참 |
35 | 2022.09.22 | 전자투표제도 시행의 건 | 불참 | 참석(찬성) |
36 | 2022.09.23 | 30회차 사모 전환사채 발행일정 변경 | 참석(찬성) | 불참 |
37 | 2022.10.06 | 프로젝트 투자 진행의 건 | 불참 | 참석(찬성) |
38 | 2022.10.14 | 임시주총 소집 일정 변경의 건 | 참석(찬성) | 불참 |
39 | 2022.10.21 | 29회차 사모 전환사채 발행일정 변경 | 참석(찬성) | 불참 |
40 | 2022.10.24 | 종속회사 자금대여의 건 | 참석(찬성) | 불참 |
주1) 이사회에 참석한 사외이사 중 의안에 반대한 이사는 없습니다.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2 | 1,500,000,000 | 41,000,000 | 20,000,000 | - |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 리테일(Retail)사업 부문 (식음료 및 HMR관련 산업)
식음료 산업은 식품가공산업으로 원재료를 소재식품으로 만드는 1차가공산업과 이를 재가공하여 일반 소비자들이 접하는 가공식품을 생산하는 2차가공산업으로 구성됩니다. 현재 국내에서는 2차가공산업을 기반으로 B2B, B2C, 온라인 등 판매채널을 이용하여, 일반 소비자들에게 어떻게, 어디서, 언제 다양한 식음료들이 전달되는 가에 대한 문제가 더 중요한 시대가 되었습니다.
특히, 식음료상품은 생활필수품으로, 경기방어적인 산업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인구구조 및 소비패턴의 변화에 따라 세부 품목간 변동성은 존재하고 있습니다. 최근 들어 1~2인 가구 증가와 COVID-19 의 영향으로 소재식품군의 소비는 감소하고 있으나, HMR(Home Meal Replacement, 가정간편식) 소비는 증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국내 시장의 트렌드와 결합될 수 있도록 소비자들의 요구를 파악하고, 다양한 루트를 통해서 소비자들이 제품을 신선하고 안전하게 접하고, 행복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리테일사업 부문의 가장 중요한 미션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육가공사업의 경우, 국내 식육산업 유통구조의 특징은 생축 및 지육에서 부분육으로의 유통구조의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브랜드육의 유통과 인지도가 증가하고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세계 여러나라와의 FTA체결로 인해 육류수입이 가속화 되어 국내식육산업이 크게 위축될 것으로 예상되어 졌으나 그 효과는 아직까지 크게 두드러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 패션브랜드 사업 부문
패션산업은 다른 사업과 비교할 때 수요측면에서 경기변동에 민감하고, 소비자의 요구에 따른 패션 시장의 변화가 많으며 각 제품의 Life Cycle이 짧은 반면, 시장진입장벽은 비교적 자유로워 업체간 경쟁이 치열한 산업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과거의 섬유산업이 단순한 노동집약의 산업이었으나 현대의 패션산업은 풍부한 자본력, 숙련된 고급인력, 생산성 높은 시설과 설비, 조직화 된 합리적인 경영전략 등을 필요로 하는 지식집약산업입니다. 이에 따라 생산, 판매, 유통의 분업을 통한 수익 최적화 추구 차원에서 기획, 디자인 부문에 핵심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신발시장은 중국과 동남아에서 수입한 저가의 신발을 취급하는 재래시장과 고가의 유명브랜드 제품을 앞세운 대형유통점으로 양분되고 있으며, 최근에 급격하게 성장한 홈쇼핑 또는 인터넷 등을 이용한 온라인 판매 시장에는 저가 제품과 유명 브랜드 제품들로 복합 판매되고 있습니다. 저가시장에서는 소규모 업체에서 중국이나 동남아 국가에서 생산되는 신발을 수입 판매하는 신발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떨어져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브랜드 인지도가 낮아 고가 유명브랜드 제품과는 경쟁력이 없기 때문에 판매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동남아시아를 필두로 세계 개도국의 많은 나라들이 경제적 향상을 꾀함에 따라, 개발도상국 시장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어서 이들 해외 시장으로의 진출이 필수적인 상황입니다. 반면에 국내에서는 런닝화, 등산화, 스키화 등 전문화 시장은 지속적으로 꾸준하게 성장하고 있어서 스포츠, 레져 관련 분야에 적합한 전문 제품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습니다. 더불어 건강 및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감에 따라 신체 안전을 고려해 특수소재를 사용한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용 등의 특수 기능성 제품수요도 확대 추세에 있습니다. 따라서 최근에는 과거의 구매 요인이었던 패션과 디자인 및 착화감에 더하여 기능성이 핵심 경쟁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볼 수 있습니다.
◆ 복합운송사업부문
화물운송주선업은 1960년부터 본격적으로 대두된 컨테이너에 의한 복합운송의 보편화에 따라 그 업무영역이 확대되었습니다. 최근 들어 수출입하주의 대리인 또는 부대 업무의 수행자 역할에서 독자적으로 복합운송증권을 발행하여 일관운송 주체자로 변모하게 되었습니다. 복합운송주선업의 유형은 선박, 대륙 운송수단 및 관련 부대 사업의 소유 및 참여 형태에 따라 대별하여 세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포워더형(Forwarder) 복합운송주선업
선박, 트럭, 항공기 등의 운송 수단을 직접 보유하지 않고, 자신은 다만 계약 운송인으로서 책임을 지는 형태입니다. 이러한 유형의 복합운송인으로는 해상운송주선업자(Ocean Freight Forwarder),항공운송주선업자(Air Freight Forwarder), 통관업자, 컨테이너 임대업자 등이 있는데 대표적인 형태는 해상운송주선업자입니다.
2) 캐리어(Carrier)형 복합운송인
자신이 직접 운송수단을 보유하면서 복합운송인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즉, 실제 운송인형 복합운송인을 말합니다. 캐리어형 복합운송인으로는 선박회사, 철도회사, 트럭회사, 항공회사를 들 수 있는데 복합운송 기간 중 해상구간이 차지하는 비중에 비추어 볼 때 선박회사가 가장 대표적인 캐리어형 복합운송주선업자라 할 수 있습니다.
3) 무선박 운송인 (NVOCC : Non Vessel Operating Common Carrier)
포워더형 복합운송주선업자를 법적으로 실제화시킨 개념으로 NVOCC가 최초로 법제화된 것은 1963년 미국의 FMC GENERAL ORDER 4<510. 21(b)>입니다.
동 규정에 의하면NVOCC란" ① 광고, 권유, 기타의 방법에 의해 운화율을 설정 및 고시하고 해운법에 규정된 주간 또는 외국 항로 사이에서 해상 운송을 이용하여 화물운송 업무를 제공할 것을 표명한자. ② 화물의 안전 운송에 대한 의무를 다하고 법률에 따라 책임을 지는 자. ③ 이용 선박의 소유 또는 지배 여부를 불문하고 하수운송인인 해상운송인과 자신명의로 당해 화물의 운송 계약을 체결하는 자" 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 제약, 바이오사업부문
의약품 산업은 각종 질병의 진단, 치료, 경감, 처치, 예방 등을 목적으로 연구하고 제조 및 판매하는 산업입니다. 인간의 생명에 밀접하게 관련된 제품을 생산하는 의약품 산업은 정밀화학산업으로 국민 건강증진 및 건강권 확보와 직결된 산업입니다. 따라서, 의약품 허가, 제조, 유통 등의 안정성 및 유효성 확보, 약사 규제, 지적재산권 보장 등 타 산업에 비해 정부의 엄격한 규제를 받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 리테일(Retail)사업 부문
HMR(Home Meal Replacement, 가정 간편식)시장은 1~2인 가구 증가와 COVID-19 의 영향으로 최근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2021년 기준으로 국내 HMR 시장 규모는 약 4조5천억원이었으며 2022년은 약5조4천억원 정도로 추산되고 있습니다.(출처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식품음료신문) 2010년부터 연평균 23%씩 성장을 하였으나, 여전히 성장 초입국면이며, 2025년에는 약 7조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가정간편식(HMR)제품 국내 시장규모 및 전망]
(단위 : 억원, %) |
구분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CAGR |
국내시장 | 42,000 | 45,864 | 50,083 | 54,691 | 59,723 | 65,217 | 71,217 | 9.2 |
(출처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식품음료신문)
현재 1인가구의 증가라는 사회구조적인 변화와 편의성 및 가사노동의 효율을 추구하는 세대가 늘어나면서 식생활의 외부화가 진행 중입니다. 이러한 사회 구조적인 변화로 직접 요리하는 것에 대한 기회비용을 고려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기존 내식(신선재료/장류/소재군/전통가공품) 및 외식(음식점업) 시장수요까지 흡수하며, 지속적인 성장이 전망됩니다.
과거 인스턴트 식품의 개념을 넘어 식품산업의 대세로 진화하고 있고, 이로 인해 공급이 수요를 창출하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또한 농림축산식품부의 통계에 따르면 최근 30년간 1인당 육류소비량이 약 3.8배 성장하였습니다. 식습관의 서구화, 높아진 소득수준, 외식 산업의 발전 등이 그 원인으로 분석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육류 소비의 증가 추세는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 패션브랜드 사업 부문
한국섬유산업연합회에 따르면 2021년 한국 패션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7.5% 증가한 약 43조로 발표하였습니다.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소비심리위축으로 경기불안과 고용지표의 악화로 성장세가 둔화되었으며, 백화점 위조로 고가 명품 온라인 및 저가 실용 제품 군으로 나눠져 매출성장을 견인해 나가고 있습니다.
[국내 패션시장 규모]
패션시장규모 |
(출처 : 한국섬유산업연합회)
국내 패션산업은 내수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경제성장률과 실질 소득수준, 그리고 연령별, 성별 의류 소비심리와 패턴의 변화에 큰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주5일 근무제 등 생활패턴에 의해 변화되는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패션수요가 다양해지고 증가하는 산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주5일 근무제로 레저 문화가 확산되고 건강과 휘트니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스포츠티즘이 강세를 보여 스포츠웨어는 크게 신장을 하였으며 올해에도 계속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 복합운송사업부문
세계 경제의 성장세 속에 생산기지 이동과 교역확대 등으로 세계중심이 미국과 유럽에서 아시아로 이동 중이고, 그 중심지역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동북아를 중심으로 물류거점이 형성되고 있습니다. 동북아 물류거점 국가들은 물류산업 활성화를 통해 자국 이익 극대화와 선진국 도약의 기반으로 활용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우리 정부도 물류산업을 국가의 핵심사업으로 육성하여 국가경제 성장기반을 강화하기 위하여 동북아에 물류 거점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은 경제의 고성장과 함께 물류시장이 급성장하여 우리나라 경제의 최대 수출시장으로 부상하였고, 그 밖에 베트남을 비롯한 동남아시아도 물류시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복합운송은 상품의 포장에서 출발, 운송, 관리, 보관, 전달의 일련의 과정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전세계적인 인프라망이 얼만큼 잘 구성되어져 있는가에 따라 향후 시장지위의 초점을 둘 수 있습니다. 또한 최근 대두되고 있는 안정성 문제에도 차별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소비자 확보의 관건이라 할 수 있습니다. 세계경제발전 및 온라인 구매시장의 확장과 더불어 물류 이동양은 계속적으로 증가할 추세이며 이에 따른 성장효과는 무궁무진 할 것이라 예상됩니다.
2021년 전세계를 강타한 물류대란에도 불구하고 전세계 상위30대 컨테이너항만의 물동량은 2020년 대비 6.8%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하여 물류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세계경제성방 및 컨테이너 물동량 성장률]
세계 경제성장 및 컨테이너 물동량 성장률 |
[상하이 기준 운임(SCFI)추이]
상하이 기준움임추이 |
◆ 제약, 바이오사업부문
의학기술의 발달에 따른 평균수명의 증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고령화 및 헬스케어 산업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 증가로 인하여 의약품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규모]
건강기능식품시장규모 |
(3) 경기변동의 특성 및 자원조달의 특성
◆ 리테일(Retail)사업 부문
경기방어적인 산업특성상 타 산업 대비 대외환경 변화에 의한 영향은 적은 편입니다.
전반적인 저성장 기조, 인구증가율 둔화 및 산업의 성숙기 진입으로 실질적인 성장은 정체되고 있으며, 식품산업의 경제성장률은 국내총생산대비 저조한 편입니다. 그러나 내외식 대체재로서 간편식(HMR) 소비는 지속적인 증가가 예상되며, 특히, 주요 식품 유통업계의 시장확대 및 경쟁가속화로 소비자 기호에 맞춘 신제품 투자(R&D, 설비, 마케팅)확대가 전망됩니다.
아울러, 온라인 시장 등 유통채널 다변화(대형업체 ->모바일, 소셜커머스, O2O 플랫폼 등)로 중소가공식품 업체의 판로확보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또한, 내수산업으로 간주되었던 식음료산업은 한류, 글로벌 개방성 증대 및 식품 보관, 물류기술의 발전으로 신시장 창출 및 성장동력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육류소비는 경기에 대한 민감도가 높지 않다고 할 수 있습니다. 경기의 변동보다는
가축의 질병으로 인하여 변동성이 크게 발생하게 됩니다. 축산물은 질병에 예민하고, 전파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입니다
◆ 패션브랜드 사업 부문
패션 브랜드 사업의 경우 국내 경기변동에 민감도가 높은 편입니다. 사회, 경제적 요인에 따른 경기변동은 소비자의 소비성향과 소비심리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으나 소비자의 개인별 소비성향에 따라 민감도의 차이가 있습니다. 최근 브랜드 상품의 가격은 저가나 고가로 양극화 되고 있는 경향을 보이기도 하는데, 저가 브랜드의 경우 상대적으로 민감도가 높고, 고가 브랜드의 경우 민감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입니다.
일반적으로 패션/신발산업의 계절성은 통상적으로 1분기와 3분기가 비수기, 2분기와4분기가 성수기로 N자형 패턴을 보입니다.
◆ 복합운송사업부문
포워딩사업부문은 화주와 운송인을 중개하는 업으로 별도의 자산이나 인프라 없이 사업에 진출할 수 있는 시장장벽이 낮은 산업구조로 그에 따른 업체간 경쟁이 치열하고 과열경쟁으로 인한 수익률이 낮은 사업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선임 및 항공 운임 변화, 유가인상 및 환율변화 등 외부적 요인에 취약하고 타 산업 군에 비해 높은 원가 비중을 가지는 사업구조이며, 기업들이 물류비 절감을 통해 원가를 줄이려는 경향이 많아 외형 성장세에 비해 수익성이 크게 향상되고 있지 않은 실정입니다.
국내외 경영환경 및 물동량 추이에 따른 변동성이 있고, 글로벌 물류기업들은 시장지배력 강화를 위해 지속적인 인수 합병 등을 추진하고 있어 세계물류시장의 경쟁은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으며, 운송수단의 대형화 및IT도입으로 전문기업의 효율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습니다.
◆ 제약, 바이오사업부문
제약유통산업은 타업종에 비해 경기 변동에 비교적 비탄력적인 성향을 보이나 일반의약품유통은 경기변동과 계절적인 영향에 다소 민감한 반응을 보입니다. 다만, 전문의약품유통과 일부 치료제품은 경기 변동에 비탄력적인 안정적 수요성장을 가지고 있는 있습니다.
[1인당 평균 건강기능식품 구매액과 경험률 추이]
1인당평균건강기능식품 구매액과 경험률 추이 |
[건강기능식품 원료별 판매액]
건강기능식품 원료별 판매액 |
(4) 경쟁요소
◆ 리테일(Retail)사업 부문
HMR(가정간편식) 제품군은 현재 출시 초기이기 때문에 프로모션 비용, 광고비용 등 판관비가 크게 집행되고 있는 상황이고, 아직은 규모의 경제가 시현되고 있지 않아 수익성이 낮은 편입니다. 하지만 이 제품군은 프리미엄 제품군이기 때문에 매출총이익률은 기존 제품 대비 양호하며, 향후 시장규모가 커지기 된 후, 시장에서 지배력을 획득하게 되면, 판관비 효율화가 진행될 것입니다.
간편식은 시간절약, 맛, 비교적 저렴함을 무기로 소비트렌드를 주도하고 있으며, 주요 타켓은 제품 타켓팅에 따라 다양하게 맞벌이 10대에서 20대 젊은층, 부부, 싱글족, 실버세대 등으로 전개가 가능합니다. 기본적으로는 식품 가공산업의 특성을 따르나, 산업성장 가속화 및 내수경쟁 심화로 트렌드 변화가 빠른 시장입니다.
기존식품산업특성 | HMR시장의 특성 |
---|---|
식품은 생필품이자 최종소비재로서 경기변동에 둔감한 편 | 소비자 기호변화에 민감 품목별 경쟁 심화로 신제품 개발 역량이 중요 |
브랜드 인지도 및 유통망 구축등이 핵심 경쟁력으로 대기업 주도의 시장 | 온라인 시장의 성장 등 유통채널 변화로 중소기업의 시장참여기회 확대 |
국가별 식문화차이 및 육류등 통관규제로 전형적인 내수산업의 특성 | 식문화의 글로벌화, 식품보관 및 물류기술 발달로 해외시장 확대 전망 |
정책방향으로는 식품, 외식산업의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고, 고용을 확대하기 위한 제3차 식품산업 진흥기본계획을 수립하였으며, 간편식(HMR)등 미래 유망산업 분야를 선제적으로 육성할 계획에 있습니다.
유통채널별 즉석섭취식품은 대부분 편의점을 통해 유통(B2C)이 되고 있으며, 즉석조리식품 및 신선편의식품은 B2C 유통비중이 80% 전후로 추정되며, 온라인 판매시장의 성장과 편의점 판매비중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소포장 간편식, 혼술 안주류, PB상품 등 다각화로 오프라인에서의 판매비중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육가공사업은 중,소규모 회사들이 난립하여 경쟁을 하고 있는데, 국제경쟁력 향상에 초점을 두고 시설의 현대화/규모화 및 양돈의 수직계열화가 시장점유율의 우위를 선점할 수 있다 판단되고 있습니다.
◆ 패션브랜드 사업 부문
국내 패션브랜드사업의 경우 브랜드 증가 등으로 패션시장의 경쟁이 치열해 지고 있는 상황이며, 소비자의 상품 정보력을 통해 브랜드에 대한 신뢰요구가 높은 상황입니다. 다변화된 고객 니즈, Liife style 변화, 경험/체험 소비 중시 등의 요인으로 고객과의 접점인 매장에서 고객 가치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차별적이며 일괄된 구매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패션업체는 핵심 가두점 확보와 브랜드 파워 제고를 위한 마케팅 강화, 고객 관점의 리테일 운영 역량 제고 등을 통해 소비자와 친밀한 전략에 주력하고 있으며 단순하며 안정적인 의류사업에서부터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소비패턴 변화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브랜드 사업으로 급속도로 확산되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패션산업의 유통구조에서 온라인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며, 최근 국내 패션산업은 기존 유통채널(백화점, 아울렛 등)에 대한 의존에서 벗어나 디지털 소비 행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오프라인과 온라인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O2O(Online to Offline) 모델로의 유통채널 전환 검토가 시급해 지고 있는 현실입니다. 이는 소비자의 요구에 맞는 제품을 적시에 제공하는 형태로 발전될 것이며, 결국 속도 전략이 요구될 것입니다. 앞으로 국내 패션브랜드사업은 기획, 디자인, 생산, 유통구조를 최대한 단축하는 것이 주요 경쟁요소로 보입니다.
이에 당사 브랜드 사업부문의 기본적인 수익창출 구조는 트랜드 분석에 입각한 상품기획을 통해 OEM방식으로 고유의 상품을 제조하고, 국내 홈쇼핑, 오프라인을 비롯한 다양한 유통채널을 활용하여 판매하는 것입니다.
◆ 복합운송사업부문
세계적으로 복합운송사업은 운반대상물과 운송방법, 관리등에 따라 대기업 뿐만 아니라 중소기업도 매우 다양하고 전문화되어 있는 실정입니다. 또한 진입장벽이 낮고, 물류량은 매년 증가추세에 있기에 향후 운송시장은 특수화 및 세분화가 될 경향이 크고 그 경쟁 또한 매우 다각화 될 것으로 파악됩니다.
◆ 제약, 바이오사업부문
의약품산업유통사업에서의 경쟁력 좌우요인은 품질과 영업력입니다. 당사는 품질 확보를 위해 꾸준히 R&D 비용을 지출하고 있으며, 영업력 향상을 위해 품목 확대 및 영업 지역 다변화를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주력사업 중 하나인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수입 브랜드의 국내시장 유입으로 인하여 경쟁은 더욱 심화되는 추세이나, 갈수록 소득수준향상에 따라 웰빙트랜드 인기증가 및 건강예방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잠재시장을 인식한 대기업들도 시장에 진입을 하고 있는 추세 입니다. 품목 확대를 위해 지속적인 자금 투자가 필요하며, 운전자금 관리가 중요한 경쟁력 요인입니다. 당사 역시 유통확대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최소화 하기 위해 최대한의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1) 영업개황
◆ 리테일(Retail)사업 부문(대상회사 : 웰바이오텍(주))
리테일 사업부의 유통채널은 현재 GS리테일, 코리아세븐 등의 CVS 판매채널을 메인으로 하고 있으며, 학교급식, 휴게소, 음식료품점 등에 식음료 및 HMR상품을 개발 유통하고 있습니다. 또한, GS리테일과 코리아세븐 등의 1차벤더사로써 PB브랜드 상품을 공동개발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칠삼브라더스의 “임창정의 소주한잔”, “임창정의 모서리족발” 브랜드와 카카오아이엑스의 “카카오프렌즈” 캐릭터 상품을 이용한 식품, 음료, 디저트, 냉장/냉동 등의 HMR 상품을 개발 유통하고 있으며, 일동제약과 람노서스 IDCC3201 유산균 (면역세포 조절을 통해 면역세포 개선 및 아토피 등의 알러지 증상을 예방하고 완화시켜주는 효능을 갖은 특허 받은 유산균) 을 이용하여 다양한 음료를 개발하여 내수시장과 해외시장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COVID-19의 영향으로 사회생활의 변화(포스트 코로나)에 대응하여 현재 운영하는 제품 군들을 오프라인 시장에서 온라인 시장으로의 사업을 공격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국 프랜차이즈 PC방 및 물류망을 통해 제품을 납품하는 신사업을 전개하는 등 꾸준하게 사업을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한편 당기중 회사는 자가검사테스터 제조사인 에스디바이오센서(주)와 물품공급계약을 체결하고 상품(자가진단 테스터 상품명 : Q COVID-19 AG HOME TEST)을 공급받아 (주)비지에프리테일, (주)지에스리테일, (주)이마트24를 포함한 전국편의점에 지속적으로 납품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기부터 육가공사업을 적극적으로 확대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원재료를 파우니식품(주)로 부터 구입하여 상품단위로 가공하여 매출처에 납품하는 구조입니다.
◆ 패션브랜드 사업 부문(대상회사 : 웰바이오텍(주))
고객이 원하는 상품의 디자인과 기획 생산은 물론, 다양한 영업전략을 통해 브랜드력을 높이고 고효율의 수익창출을 일궈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2018년11월 GS홈쇼핑과 방송판매계약을 맺고 'RYN'퍼펙트 방한화에 대한 판매를 시작하였으며, 2019년02월 기능성 신발 브랜드 'RYN'에 대한 특허, 디자인권 및 상표권 등을 취득하고, 패션 브랜드 사업을 본격화 하였습니다. 이와 더불어 '테뉴엣(tenuette)'이라는 자체 프리미엄 브랜드를 기획하여 본격적인 시장에 진입하였습니다.
패션브랜드 사업부문의 유통채널은 홈쇼핑, 백화점, 로드샵, 온라인샵 등 다양한 거래처와 전략적 협업관계를 맺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유통채널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대표적인 거래선은 홈쇼핑 채널의 경우 NS홈쇼핑, 신세계홈쇼핑과 롯데홈쇼핑이 있으며, 현재 'RYN'브랜드를 필두로 안정적인 매출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테뉴엣(tenuette)은 전국 골프CC를 대상으로(약 600여개 매장)영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2020년부터 본격적인 영업활동으로 매출이 발생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패션브랜드사업의 혁신선상으로 다양한 프로그램 및 프로젝트를 통하여 어떠한 환경 변화에도 탄력적으로 대응하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업계 리딩 기업으로 거듭날 것입니다.
◆ 복합운송사업부문(대상회사 : 로드스타씨앤에어(주))
로드스타는 STELL COIL, ELECTRIC CABLE, MACHINE, FOOD등을 항공 및 해상(아시아, 미국, 유럽 등)을 이용하여 국제운송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운용 가능한 운송수단 ]
가. 벌크서비스 : 중국이나 유럽 등지로 나가는 약5천톤의 물량을 핸들링하고 있으며 주요 취급 품목은 SCRAP/STEEL COIL/CABLE/LIME 등
나. 항공운송서비스 : 전세계적인 항공 망을 갖춘 자체 네트워크 및 해외파트너들과의 실시간 업무협조로 전문적이고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
다. 컨테이너서비스: 매월 약3,000TEU를 유럽, 호주, 미주 등 전 세계로 운송
◆ 제약, 바이오사업부문(대상회사 : (주)나이스팜)
㈜나이스팜은 약국, 병,의원에 의약품유통 사업과 제약회사에 당사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0EM 방식으로 약을 주문 생산 및 유통을 하고 있습니다. 유통 대상 의약품은 전문 의약품, 일반 의약품 및 건강 기능식 제품입니다.
당사는 뛰어난 영업력을 바탕으로 매년 지속적인 성장과 더불어 이익을 창출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은 캐나다 및 미국 파트너사와 협업을 통해 국내 시장에 우수한 품질의 60여종 이상의 건강 기능식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일반의약품 및 전문의약품 포함하여 약 1,000여개의 제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의 주요사업은 유통사업으로 한국표준상업분류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상 대분류, 중분류 : 46332 (도매 및 상품 중개업) |
◆ 리테일(Retail)사업 부문(대상회사 : 웰바이오텍(주))
사업초기의 단순 유통에서 상품 기획, 컨설팅, 팩키징, 브랜드 콜라보, 수출 등으로 사업분야를 확장하여, 음료, 가공식품, 냉장식품, 냉장 디저트 상품을 오프라인 시장에 전개하고 있으며, 포스트 코로나 환경을 대비하여 온라인 전용상품 등으로 사업을 전개 및 확장을 진행 하고 있습니다.
항목 | 제품기획사항 | 타켓 유통채널 |
---|---|---|
음료 | 메이저 유통사 전용 PB상품개발 카카오, 일동제약 등 브랜드 콜라보 상품 | CVS, 온라인, 수출 학교매점, 고속도로 등 |
가공식품 | 메이저 유통사 전용 PB상품개발 카카오, 일동제약 등 브랜드 콜라보 상품 | CVS, 온라인, 수출 학교매점, 고속도로 등 |
냉장식품 | 임창정 소주한잔 등의 브랜드 콜라보 상품 베이컨 소시지, 치즈 소시지 상품 | CVS, 온라인, 마트 식자재 시장 등 |
디저트 식품 | 메이저 유통사 전용PB상품개발 카카오 등의 브랜드 콜라보 제품 | CVS, 온라인 |
온라인 전용상품 | 메이저 온라인 유통사 전용PB상품개발 카카오, 자체 브랜드 상품등의 상품개발 | 온라인, 학교매점, 수출 |
육류가공식품 | 메이저 온라인 유통사 납품 제품 가공 KF365 하이포크 삼겹구이, KF365 양념육 등의 육류 가공 식품 | 온라인 |
◆ 패션브랜드 사업 부문(대상회사 : 웰바이오텍(주))
당사의 패션 브랜드 사업부문은 초기에는 'RYN'브랜드에 대한 홈쇼핑 유통 판매를 위한 프로젝트팀으로 운영되었으나, 2019년초부터 정식 사업부로 확장되어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검증된 OEM생산업체를 통해 고품질의 브랜드 상품을 제조하여, 국내 홈쇼핑사 및 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판매가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사업부문 | 브랜드 | 상품CONCEPT | 타겟 | |
---|---|---|---|---|
연령 | 특성 | |||
신발/ | 린(RYN) | 모던하고 시크한 | 20대중반 ~ | 리즈너블하며 절제된 스타일을 스포츠웨어 |
◆ 복합운송사업부문(대상회사 : 로드스타씨앤에어(주))
사업부문의 시장지역에 있어 유럽, 미주, 중동, 아프리카, 중국, 베트남에 집중되어 있으나, 강한 네트워크와 정보기술력을 바탕으로 운송영역을 전세계로 넓히고 있고, 통합된 시스템으로 좀더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보기술에 지속적인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이에 매출액 및 운송능력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 제약, 바이오사업부문(대상회사 : (주)나이스팜)
제약 유통은 국내 전지역이며, 중국 및 베트남에 꾸준히 수출 물량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전국 4,000여 약국, 병의원과 직접 거래를 하는 유통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약사 자격증을 보유한 자체 R&D 연구소에서 매년 10여종 이상의 건강 기능식 및 일반 의약품을 독자적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등
◆ 리테일(Retail)사업 부문(대상회사 : 웰바이오텍(주))
현재 FMCG(일용소비재)마켓현황은 2021년 35조3645억원으로 2년 연속 성장했다고 발표되었습니다. 시장으로 비식품 시장은 -5.3%감소 시장을 보이고 있으나, 식음료 관련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음료군이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편의점 가공군과 장류군, 조미군 (일반가공식품)의 성장하고 있습니다.
식품 전체 (담배, 제약 제외) | |||||||||
---|---|---|---|---|---|---|---|---|---|
항목 | 편의점 가공 | 주류 | 제과류 | 유가공 | 신선군 | 음료 | 커피&차 | 조미군 | 장류군 |
성장률 | +2.0% | -1.7% | -3.5% | +0.8% | -1.6% | +6.5% | -1.1% | +1.0% | +1.6% |
*참조: NIELSON RETAIL INDEX 2021
닐슨 식품 소매점 채널별 비중 변화 (vs MAT18) |
사업보고서(20200814) |
식품군에서는 냉동/간편식, 비식품군에서는 홈&퍼스널 케어 제품이 구매 경험률이 상승하고 있는 트렌드 입니다. 또한, 편의점을 제외한 모든 경로 내 FMCG시장은 감소하였으나, 식품군/비식품군은 모두 성장하여 비중이 확대하고 되고 있습니다. 오프라인 채널내 음료/편의점 가공/시선군 위주로 편의점만 매출 비중이 증가하며 높은 비중 증가로 높은 중요도를 가져가고 있습니다.
편의점내 주요 전년대비 성장률은 음료 12.2%, 편의점 가공 6.1%, 신선군 9.7%, 조미군 20.4% 성장하고 있어, 해당 사업에 집중하여, Market share를 높이는 것은 중요 전략입니다. (*참조: NIELSON RETAIL INDEX 2021)
◆ 패션브랜드 사업 부문(대상회사 : 웰바이오텍(주))
패션브랜드 사업 부문의 시장은 각각의 제품군에 대한 수요시장이 세분화되어 있고 다수의 업체들이 경쟁을 하고 있기 때문에 객관적이고 신뢰할 만한 점유율을 산정하기 어려워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 복합운송사업부문(대상회사 : 로드스타씨앤에어(주))
21세기 들어 국내기준으로만 매년 200개~300개업체가 신규로 진출할 정도로 시장규모가 거대화 되어 가고 있으며, 전체 시장규모에 비하여 동사업부문의 매출규모가 미비하여 시장점유율을 추산할 수 없습니다. 단, 국가별 컨테이너항만 최근 순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2021년 물동량 기준 세계30대 컨테이너항만 순위]
(단위:만teu, %, 괄호안은 전년도 순위) |
2021년 물동량기준세계30대컨테이너항만순위 |
(출처 : Alphaliner)
◆ 제약, 바이오사업부문(대상회사 : (주)나이스팜)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제약회사와 식품회사가 주도하는 체제이며, 20121년 기준 5조454억원 시장규모에 약 500여개 다수의 업체들이 경쟁을 하고 있습니다. 규모의 경쟁으로 상위 3% 업체가 해당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100억원 미만 매출규모의 업체들은 시장점유율이 낮을 수 밖에 없으며, 치열한 경쟁구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건강기능식품 품목별 점유율 |
(3) 시장의 특성
◆ 리테일(Retail)사업 부문(대상회사 : 웰바이오텍(주))
리테일사업 부문에서 집중하고 있는 HMR (Home Meal Replacement, 가정간편식)관련 사업은 향후 고성장을 지속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최근 밀키트 시장도 2020년 2,000억원 규모에서 2021년 3,000억원 규모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에 시장이 고성장하면서 현재는 공급이 수요를 창출하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브랜드파워나 다양한 SKU를 선 보일 수 있는 제품력 및 생산 인프라를 확보한 기업이 향후 시장을 선점할 가능성이 크고, 자체 브랜드를 빌딩하여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수익성을 개선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또한, 최근 트렌드인 브랜드 콜라보 상품을 이용하여 시장점유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데, 현재 리테일 사업부문은 “임창정의 소주한잔, 임창정의 모서리 족발”, 카카오 IX 전략적 제휴를 통한 카카오 캐릭터 상품을 기획 및 유통하고, 일동제약, 휴온스 등 다양한 분야의 국내 1위 브랜드 회사와 협업을 통하여 다양한 상품을 개발, 유통을 하고 있으며, 엔터테인먼트 업계와의 상품 콜라보를 통해 밀키트 시장에도 뛰어들며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2021년에는 더 많은 소비자들의 니즈와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상품들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웰빙이 강조되는 사회적 분위기에서 육류의 소비가 줄어들 것이라는 예상이 많습니다. 하지만 전체적인 육류소비량은 극히 미미한 수준으로 줄어들고 있으며 그것도 대부분 우육과 계육의 소비가 준 것이고 돈육의 소비량은 변화가 거의 없습니다. 미국 등 수입소고기가 많이 수입되면 돈육의 가격이나 소비량에 영향을 줄 수 있겠지만 돈육의 사육두수와 도축두수가 매년 감소하는 추세이므로 소비량이 줄더라도 가격이 폭락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패션브랜드 사업 부문(대상회사 : 웰바이오텍(주))
국내 패션 브랜드 관련 시장은 경기악화의 영향으로 예년에 비해 다소 침체되어 있으나, 수요 자체는 꾸준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신발 브랜드 상품의 경우 과거 국내 부산신발산업지역을 기점으로 많은 생산이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지속적인 인건비 상승 등의 영향으로 중국이나 베트남 등과 같은 해외 현지 공장에서 생산하고 국내에 수입하여 유통하는 구조입니다.
◆ 복합운송사업부문(대상회사 : 로드스타씨앤에어(주))
당사는 10년간 거래한 합금철 관련 대기업과의 지속적인 거래를 통한 노하우를 축적하고 있어, 이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물량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2019년부터 시작한 석유화학관련 대기업과의 거래를 시작으로 다수의 석유화학기업의 물량을 확보하여 선사와의 관계에서도 신뢰를 얻어 경쟁력있는 운임 및 선복 확보의 역량을 키워가고 있습니다.
복합운송을 위한 경쟁력중의 하나인 해외운송네트워크와 관련해서 당사는 주요 해외네트워크협회들에 가입되어 있을 뿐아니라 18년간 신뢰관계로 이어온 해외운송네트워크를 통해 안정적이고 경쟁력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비록 국제물류주선업의 진입장벽은 낮을 수 있으나 당사의 주력 아이템인 합금철 및 석유화학제품에 대한 운송노하우와 대선사와의 신뢰관계, 그리고 안정적이고 다양한 해외운송네트워크는 당사의 강력한 경쟁력으로써 작용하고 있습니다.
◆ 제약, 바이오사업부문(대상회사 : (주)나이스팜)
의약품의 품목구조는 약사에 의해 판매되는 영양제 등 일반의약품과 의사처방에 의해 판매되는 전문의약품으로 구분되고 있습니다. 의약분업 이후 일반 소비자보다는 병원 및 약국 마케팅에 주력하고 있으며, 의약품은 그 고유한 특성상 경기 및 계절적 수요가 비탄력적인 편입니다. 제품력과 연구개발력이 뛰어난 외국계 제약사들이 독자적인 사업강화로 제약시장에 대한 잠식을 가속화 하고 있는 실정이며, 외국계 제약유통업체의 진출 등으로 유통구조가 대형화, 현대화되고 있습니다. 나이스팜은 독자적인 유통망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고객군을 늘려가고 있으며, 지속적인 고객 증가를 위해 영업에 집중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등의 내용 및 전망
◆ PDRN/PN 사업
당사는 사업다각화를 위하여 PDRN(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 및 PN 사업부문을 신사업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사업 추진을 위해, 지난 2021년10월20일 (주)세원생명공학 및 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과 산학협력 업무협약(MOU) 체결을 통해, 안정적인 사업 기반을 구축하고 시너지창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PDRN 및 PN은 연어 생식세포에서 추출한 해양생물자원으로써, 세포성장 및 조직재생에 효과가 있어 의약품부터 코스메틱제품까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그 성장이 기대되는 시장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진행사항에 대해서는 향후 공시 등을 통해서 안내하도록 하겠습니다.
◆ EV충전기 사업
당사는 또 다른 신규사업으로, 전기차(EV) 충전기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최근 전기자동차 시장은 탄소중립정책 등으로 환경에 대한 정부정책이 강화되면서 2021년 하반기 국내 전기차 보급 수는 20만대, 2022년에는 30만대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장 속에서, 당사는 전기차 충전기 전문 제조 기업인 중국의 (주)주하이 파일럿 테크놀로지(PILOT)와 프로젝트 계약을 체결하였고, 주력제품군인 70kw, 100kw, 200kw의 국내KC인증 및 EV충전기 국제 전기차 충전규격OCPP1.6 인증 을 취득 완료하였습니다. 독립법인 웰바이오텍EVC를 통해 조달청에 등록하여 현재 사업을 영위중입니다.
(5) 조직도
조직도(2022년) |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2조(목적) 이 회사는 다음의 사업을 영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1 ~ 65 (생략) 66. 각호에 관련되는 통신판매업 67. 각호에 관련되는 부대사업 일체 68. 각호에 관련되는 수입,수출입업 (추가)
| 제2조(목적) 이 회사는 다음의 사업을 영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1 ~ 65 (생략) 66. 비금속 광물 제품 제조업 67. 비철 금속 판매 및 수출입업 68. 재활용 웨이퍼 판매 및 수출입업 77. 각호에 관련되는 통신판매업 78. 각호에 관련되는 부대사업 일체 79. 각호에 관련되는 수입, 수출입업 | 사업영역 |
제14조(전환사채의 발행) ① 이 회사는 사채의 액면총액이 2,0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음 각호의 경우 이사회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 제14조(전환사채의 발행) ① 이 회사는 사채의 액면총액이 5,0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음 각호의 경우 이사회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 전환사채 발행한도 증액 |
제15조(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① 이 회사는 사채의 액면총액이 2,0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음 각호의 경우 이사회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 제15조(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① 이 회사는 사채의 액면총액이 5,0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음 각호의 경우 이사회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 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한도 증액 |
(추가)
| 附 則 1. (施行日) 이 定款은 2022年 12月 29日부터 施行한다. | - |
※ 기타 참고사항
-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김태원 | 78.04.07 | 부 | 부 | 없음 | 이사회 |
김한국 | 70.03.14 | 부 | 부 | 없음 | 이사회 |
소순호 | 73.05.09 | 부 | 부 | 없음 | 이사회 |
김남영 | 58.10.25 | 부 | 부 | 없음 | 이사회 |
김헌주 | 68.03.11 | 부 | 부 | 없음 | 이사회 |
김정은 | 69.05.15 | 사외이사 | 부 | 없음 | 이사회 |
김청만 | 74.11.30 | 사외이사 | 부 | 없음 | 이사회 |
총 ( 7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년) | 내용 | |||
김태원 | 경영인 | 2022~현재 2017~2022 2006~2008 | 現) 바이오일렉트릭 상무 전) ㈜싸이노스 전) 한국교직원공제회 | 없음 |
김한국 | 경영인 | 2010~현재 2003~2010 1999~2003 1999 | 現) ㈜케이파워인베스트먼트 전) ㈜CMG제약 전) ㈜바이오에이알티코리아 인하대학교 산업공학과 대학원 | 없음 |
소순호 | 경영인 | 2016~2018 2015~2016 2003 | 전) ㈜제넨바이오 경영지원본부 이사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 없음 |
김남영 | 경영인 | 2020~현재 2019~2020 2009~2011 1989 | 現) 에코융합섬유연구원 원장 전) 법무법인 랜드마크 수석위원 전)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 산업피해조사과장 조선대학교 산업대학원 공학석사 | 없음 |
김헌주 | 공인회계사 | 2021~현재 2015~2019 2003~2015 1997 | 現) ㈜그린스퀘어 대표이사 전) 미성회계법인 대표회계사 전) 세영회계법인 회계사 경북대학교 대학원 경영학석사 | 없음 |
김정은 | 경영인 | 2019~현재 2017~2019 2017~2018 1992 | 現) (주)바이오일렉트릭 상무이사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 없음 |
김청만 | 변호사 | 2021~현재 2016~2022 2015~2016 2009 2012 | 現) 엘림 법률사무소 대표변호사 전) 법무연수원 형법/수사연수원 형사법 외래교수 전) 중앙경찰학교 교수 사법연수원 수료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박사 |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김태원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김한국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소순호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김남영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김헌주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김정은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김청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김정은 사외이사 후보자]
본 후보자들은 사외이사로서 상법 제382조 제3항 및 제542조의8 제2항을 기초로 독립적인 위치에 있어야 함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사회 및 경영진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의사결정을 할 것입니다.
3. 책임과 의무에 대한 인식 및 준수 본 후보자들은 선관주의와 충실 의무, 보고 의무, 감시 의무, 상호 업무집행 감시 의무, 경업금지 의무, 자기거래 금지 의무, 기업비밀 준수의무 등 상법상 사외이사의 의무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엄수할 것입니다. 그리고 주주 및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사외이사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겠습니다. [김청만 사외이사 후보자]
본 후보자는 사외이사로서 상법 제382조 제3항 및 제542조의8 제2항을 기초로 독립적인 위치에 있어야 함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사회 및 경영진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의사결정을 할 것입니다.
3. 책임과 의무에 대한 인식 및 준수 본 후보자들은 선관주의와 충실 의무, 보고 의무, 감시 의무, 상호 업무집행 감시 의무, 경업금지 의무, 자기거래 금지 의무, 기업비밀 준수의무 등 상법상 사외이사의 의무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엄수할 것입니다. 그리고 주주 및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사외이사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겠습니다.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김태원 사내이사 후보자] 본 후보자는 다양한 회사경력을 바탕으로 회사운영에 전문경영인으로써는 면모를 갖추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회사 이사회의 의사결정에 합리적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어 추천함. [ 김한국 사내이사 후보자] 본 후보자는 다수의 중소기업 업무 경험을 통해 재무 및 금융 전문 지식을 갖춘 전문가로 특정 이해관계에 얽매이지 않는 공정하고 투명한 이사회 활동을 수행해 당사 주주가치 제고 및 기업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어 추천함. [ 소순호 사내이사 후보자] 본 후보자는 다양한 사회경험을 바탕으로 상장회사에 대한 내부 사정에 정통하며, 조직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갖추고 있음에 회사의 정확한 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어 추천함. [ 김남영 사내이사 후보자] 본 후보자는 회사 경영 전반에 대한 지식과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경영관리 전문 역량을 통해 회사의 의사결정 사안에 대하여 합리적인 결정을 내리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며, 신규사업추진 등의 높은 전문성 및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회사 가치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어 추천함. [ 김헌주 사내이사 후보자] 본 후보자는 공인회계사로서 실무중심으로 다년간 경력을 축적하였으며, 경험과 확고한 임원으로써의 책임감을 바탕으로 앞으로 회사의 중대한 의사결정에 합리적인 판단과 방향을 제시해 줄것으로 기대되어 추천함. [김정은 사외이사 후보자] 본 후보자는 다년간의 의료사업경력을 바탕으로 사업 이해도 및 경영 노하우를 축적하였으며, 당사 주요 사업현안과 관련하여 이사회 결정에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되어 추천함. [김청만 사외이사 후보자] 본 후보자는 변호사로서 전문법률지식을 기반으로 당사 주요 사업현안과 관련하여 이사회 결정에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되어 추천함. |
확인서
확인서(김태원) |
확인서(김한국) |
확인서(소순호) |
확인서(김남영) |
확인서(김헌주) |
확인서(김정은) |
확인서(김청만) |
※ 기타 참고사항
-
□ 감사의 선임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김세현 | 79.11.16 | 없음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김세현 | 변호사 | 2018~현재 2017~2018 2010~2012 2009 2003 | 現) 법무법인 승본 대표변호사 전) 법무법인 한중 변호사 전) 서울고등검찰청 사법연수원 수료 인하대학교 법과대학 대학원 |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김세현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김세현 사외이사 후보자] 변호사로서의 풍부한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회사의 내부통제 및 이사회의 의사결정을 진행함에 있어 감사업무를 성실하게 수행할 것으로 평가되어 추천함. |
확인서
확인서(김세현) |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지 아니한 경우>
선임 예정 감사의 수 | 1(명) |
※ 기타 참고사항
-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 - |
-
◆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관련 안내 - 주주총회 개최 전,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불가피한 장소 변경이나 일자 변경 등이 발생하는 경우, 지체없이 재공시하여 안내드릴 예정입니다. ◆ 전자투표와 의결권 대리행사 제도를 적극 활용해 주실 것을 당부 드립니다.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212070002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