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4-03-13 14:47: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13000602
2024년 3월 13일 | ||
회 사 명 : | 대우전자부품 주식회사 | |
대 표 이 사 : | 문종은, 서중호 | |
본 점 소 재 지 :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공단2길 3 | |
(전 화) 063)530-8171 | ||
(홈페이지)http://www.dwecc.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이사 | (성 명) 이석호 |
(전 화) 063)530-8171 | ||
(제51기 정기)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상법 제363조 및 당사 정관 제20조에 의거 제51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4년 3월 28일(목요일) 오전 9시
2. 장 소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공단2길 3 대우전자부품(주) 본사 2층 대교육장
3. 회의목적사항
1) 보고사항
- 감사보고
- 영업보고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 외부감사인 선임보고
2) 부의안건
① 제1호 의안: 제51기(2023.01.01~2023.12.31) 재무제표(결손금처리계산서( 안) 포함) 승인의 건
② 제2호 의안: 이사 선임의 건(후보자 : 최재현)
③ 제3호 의안: 감사 선임의 건(후보자 : 이규식)
④ 제4호 의안: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⑤ 제5호 의안: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주주총회 소집통지 및 공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의3항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당사의 본사와 국민은행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였고, 금융감독원 또는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당사는 제51기 주주총회에서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 제도를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직접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 시스템
- 인터넷 주소 : https://evote.ksd.or.kr
- 모바일 주소 : https://evote.ksd.or.kr/m
나. 전자투표 행사 기간 : 2024. 03. 18. 09시 ~ 2024. 03. 27. 17시(기간 중 24시간 이용가능)
다. 시스템에서 인증서를 사용하여 주주 본인 확인 후 의안별 의결권행사를 하실 수 있습니다.
- 주주확인용 공인인증서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K-VOTE에서 사용 가능한 인증서 한정)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
6. 안내사항
1)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2) 기념품은 준비하지 않았습니다. 주주 여러분의 많은 양해를 바랍니다.
2024년 3월 13일
대우전자부품(주) 대표이사 문종은, 서중호(직인생략)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이덕영) | 사외이사 (이대영) | 사외이사 (배용호) |
---|---|---|---|---|---|
참석여부 (출석률 100%) | 참석여부 (출석률 100%) | 참석여부 (출석률 100%) | |||
찬반여부 | |||||
1 | 2023.02.09 | 제50기 내부회계관리자 및 감사의 운영실태 보고의 건 | 보고사항 | 보고사항 | - |
2 | 2023.02.14 | 제50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 |
3 | 2023.02.23 | 운영자금 기한연장의 건 | 찬성 | 찬성 | - |
4 | 2023.02.27 | 전환사채 발행의 건 | 찬성 | 찬성 | - |
5 | 2023.03.14 | 제50기 정기주주총회 개최 및 회의목적사항 결정의 건 | 찬성 | 찬성 | - |
6 | 2023.05.25 | 운영자금 기한연장의 건 | 찬성 | - | 찬성 |
7 | 2023.07.04 | 유상증자 신주 발행의 건 | 찬성 | - | 찬성 |
8 | 2023.07.07 | 유상증자 발행가액 확정의 건 | 찬성 | - | 찬성 |
9 | 2023.07.27 | 운영자금 기한연장의 건 | 찬성 | - | 찬성 |
10 | 2023.09.04 | 기한부수입신용장 및 외화채무보증 기한연장의 건 | 찬성 | - | 찬성 |
11 | 2023.11.01 | 소주법인 출자 지분증액 승인의 건 | 찬성 | - | 찬성 |
12 | 2023.11.14 | 운영자금 기한연장의 건 | 찬성 | - | 찬성 |
13 | 2023.12.15 | 주주명부 폐쇄일 결의 건 | 찬성 | - | 찬성 |
14 | 2023.12.27 | 운영자금 기한연장의 건 | 찬성 | - | 찬성 |
※ 상기 이사회 참석률은 임기내 참석률이며, 2023년 3월 29일 사외이사 배용호 선임.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천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2명 | 2,000,000 | 21,100 | 10,550 | - |
※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를 포함한 이사보수한도액임.
※ 해당사항 없음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천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DECV (기타특수관계자) | 매입 및 매출 | 2023.01.01~ 2023.12.31 | 164,987 | 0.1% |
소주 A&T (관계회사) | 매입 및 매출 | 2023.01.01~ 2023.12.31 | 1,476,616 | 1.3% |
※상기 비율은 2023년도 매출액 (113,444백만원) 대비 비율임.
가. 업계의 현황
(1) 자동차 전장사업
① 산업의 특성 : 자동차 전자제어부품(전장부품)이란 자동차의 운행/유지 등과 관련된 각종 동작을 전자제어방식으로 조정하는 자동차 부품을 지칭합니다. 현대의 차량은 환경기준을 비롯한 제도의 변화와 성능개선, 경량화, 편의성, 안정성 향상 등 소비자 기호 패턴의 변화에 부응하기 위하여 점차 기계식 구동방식에서 전자제어 방식으로 변화되고 있습니다. 여기서 전자제어 방식이란 엔진/변속기/서스펜션/브레이크/스티어링/에어백 등의 시스템 동작상태를 보다 정교하게 조정하여, 최적의 운행조건을 조성하는 것으로서, 자동차 각 부문의 주행상태를 감지하여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동작상태를 판단한 후 적절한 명령을 각 시스템의 구성부품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최근 들어 배기가스, 연비, 안전도 등에 대한 각종 규제의 심화와 소비자 구매패턴의 변화에 따라 세계적으로 자동차 신기술 적용이 확대되고 있어 자동차 전장부품 산업의 수요가 더욱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동차 전자제어부품은 반도체 제조와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차의 개발과 설계, 각종 센서와 기계부품의 제작 및 이들을 유기적으로 상호 작용하도록 하는 시스템화 기술 등 고도의 첨단기술과 지식이 요구되는 기술집약적 산업으로 대규모 연구개발비 투자가 필수적인 산업특성을가지고 있습니다.
② 산업의 성장성 : 자동차 제조원가에서 전장의 비중은 해마다 상승하고 있으며 자동차 구매 요건에서도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내연기관과 차체의 기계적인 성능개선이 한계에 보이는 상황에서 탑승자 및 보행자의 안전과 편의를 고양시키는 기능을 주로 전장이 담당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동력원이 전기적인 장치로 대체되는 전기차의 비중이 증가할수록 전장부품의 원가비중과 기능적인 측면에서 중요성을 더해갈 것임은 명확해 보여집니다. 소비자는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며 친환경적인 차량' 을 원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에 따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전자제어시스템을 개발하고 관련 기술을 확보하는 것은 자동차 시장에서 중요한 경쟁력을 가지게 될 것으로 보여, 자동차 업계의 활동이 활발해질 전망입니다.
현재 글로벌 자동차 생산량은 약 8,500만대 수준으로 예상되며, 전장부품이 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약 40%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전기차의 경우, 전장부품의 원가 비중이 70%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친환경 자동차 시장의 성장과 함께 전장부품 시장은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③ 국내외 시장여건 : 최근 자동차 시장의 화두는 친환경, 하이브리드, 연비효율 향상으로 자동차 주요생산국 및 거대소비시장 국가에서는 다양한 연비규제 및 제도를 정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듯 주요 완성차업체는 연비효율성 증대, 차체 경량화, 하이브리드 차량 및 전기차 개발을 주력하고 있습니다.
과거 고배기량과 낮은연비의 차량에서 최근에는 저배기량의 터보엔진 개발을 통해 엔진크기는 줄이고 출력은 강화된 엔진을 개발하고 연비효율을 높여주는 부품들을 적극 개발하여 반영하고 있습니다.
과거 하이브리드 차량 및 전기차는 기반시설 인프라가 부족으로 인해 완성차업체에서는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 출시를 주저였으나, 최근 전기차의 배터리 및 주행성능이 개선되고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국가에서 친환경 정책을 내세워 전기차 인프라를 급속히 확충하고 있는 상황으로 완성차업체의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차량이 앞다투어 출시되고 있는 상황으로 시장성장세가 두드러질 전망입니다.
④ 회사의 경쟁력 : 당사의 주요 제품으로는 Regulator, Solenoid, Blower Motor Driver, PWM(Pulse Width Modulation : 자동차 냉각시스템 에서 Cooling Fan Motor를 Control 하는 Module로서 펄스 폭 변조를 통해 모터의 속도를 제어), OBC(On Board Charger :전기자동차 완속충전장치), E-Actuator ACU(터보챠져 배기가스 공급 조절장치), ECF BLDC, FDC(Fuel-Cell DC-DC Converter), SCU(Suspension Control Unit) IDB, MGH를 양산하고 있습니다.
연비개선 효과(PWM, ACU)와 전기차의 핵심부품(OBC)으로 국내 주요 완성차업체의 수주를 통해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으며, 친환경, 고효율이란 자동차시장의 트랜드에 부합하여 향후 당사의 신성장동력으로 이끌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중국 동풍자동차 계열사와 합자 회사를 통해 중국 내수시장에 진출하여 신규 매출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당사는 운전자가 에어컨 및 히터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냉난방 장치로서 CCH(Climate Control Head : 공조 제어 장치), 전기자동차의 승객공간 난방을 위한 고효율 공기 가열식 히터로 발열체인 PTC소자를 사용하여 펄스폭 변조를 이용 선형적인 온도제어를 하는 PTC 히터, 전기자동차의 고전압 배터리 효율 증대를 위하여 수가열식 히팅시스템인 배터리 히터(Battery Heater)를 양산중입니다. 전기자동차용 3세대 완속충전기(Gen3 On Board Charger)는 기존 OBC보다 앞선 성능, 효율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개발중이며, Induction 히터 및 면상발열 히터도 개발중입니다. 기존 전장부품보다 복잡하고 기술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연구개발에 많은 노력과 투자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국내외 연비 및 안전에 대한 규제강화에 대응하기 위해 고객사와 즉각적이고 능동적인 전장부품 개발시스템을 통하여 경쟁사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선점해 나가고 있습니다.
(2) 콘덴서사업
① 산업의 특성 : 콘덴서(혹은 케퍼시터)란 두 도체 사이에 유전체를 배치하여, 전자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수동형 전자부품으로서, 기본적으로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일정한 조건 하에서만 전기가 흐르도록 하는 유용한 특성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전기/전자 회로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중요한 부품입니다.
콘덴서는 범용부품이기 때문에 후방산업인 가전, IT산업의 생산량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는 부품입니다.
② 산업의 성장성 : 국내 콘덴서 생산 및 내수 추이를 보면, 부품 국산화가 빠르게 진행된 2000년 까지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였으나, 국내 콘덴서 기업 및 IT기업들의 생산 시설이 중국 및 동남아시아 국가로 이전되기 시작한 2001년 이후 가파른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국내 IT 기업들의 생산시설 해외 이전이 일단락된 2005년 이후에는 그 규모가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③ 국내외 시장여건 : 콘덴서 시장 전체적으로는 2000년 대비 크게 위축된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MLCC나 필름콘덴서 등 통신용/방송용 장비 부문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품목과 Ultra Capacitor 등 대용량의 경우, 국내 및 세계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품목별로 상이한 시장전망을 보이고 있습니다.
④ 회사의 경쟁력 : 현재 회사의 주력 제품군인 알류미늄 전해콘덴서와 탄탈콘덴서 등 일부 콘덴서는 생산 기술이 널리 알려져 있고, 기술적 진입장벽이 낮기 때문에 중국 기업들과의 진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가격 경쟁이 치열한 상황입니다.
콘덴서의 경우, 각종 전자부품 중 내구성이 낮은 편에 속하기 때문에 품질에 대한 요구가 크며, 이로 인해 안정성이 열위한 중국산 콘덴서에 대한 불신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중국산 제품의 품질이 점차 개선되고 있어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중국산 제품의 시장 점유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다만, 여전히 중요한 회로나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는 회로에는 안정성이 높은 사용하려는 수요가 존재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입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① 자동차 전장사업 : 2023년 매출액은 110,857백만원으로 2022년 매출액 97,696백만원대비 13.5% 증가했습니다. 자동차 전장부품의 시장은 차량의 안전성 및 고객의 편의욕구, 연비개선 등과 맞물려 지속적인 성장을 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당사도 전기차 및 연비개선에 효과가 있는 전장부품을 개발 양산하고 있습니다. 신규개발제품의 경우 대부분 현대 및 기아자동차 신차에 적용하는 전장부품으로 고객사 볼륨모델의 신차에 대부분 적용됨에 따라, 매출 증가가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② 콘덴서사업 : 2023년 매출액은 2,587백만원으로 2022년 매출액 2,806백만원 대비 7.8% 감소했습니다. 콘덴서는 범용 전자부품으로서 경기 변동에 민감하고, 국내 대부분의 콘덴서 업체들이 주로 해외법인에서 생산한 제품으로 영업을 하고 있습니다. 당사도 베트남 현지법인 및 중국 OEM업체에서 구매하여 영업활동을 하고 있으며, 시장 장벽 및 기술적 장벽이 낮아 시장은 경쟁이 치열합니다.
③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내수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수출 비중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연구개발(R&D) 투자 비율을 높이고, 신기술 도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양산품 홍보를 통한 해외 영업 활동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전장부품인 CCH, PTC 히터, 배터리 히터, 차량용 Radar, ECF BLDC, IDB, MGH를 양산 중이며, 미국향 현대/기아차 수주 완료와 이에 따른 자회사 미국 법인 설립을 하였습니다. 향후 지속적인 수출 증가에 따른 매출 증가가 예상되며, 차세대 전기차용 히터류 및 발향 모듈 개발을 진행 중입니다.
(2) 시장점유율
자동차 부품업체간 경쟁으로 인해 시장점유율 산정이 어렵고, 콘덴서 또한 특성 및
용량, 용도, SIZE에 따라 제품이 상이하여 정확한 산정이 어려우며 신뢰할 만한 기관의 조사자료가 없어 국내시장 점유율의 기재를 생략합니다.
(3)조직도
조직도 |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ㆍ현금흐름표
※ 아래의 재무제표는 감사전 재무제표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그 내용이 외부인의 감사 결과 및 주주총회 승인 과정에서 일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3월 중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제출 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 또는 사업보고서를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 |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51기 2023. 12. 31 현재 |
제 50 기 2022. 12. 31 현재 |
(단위 : 원 ) |
과 목 | 제 51(당) 기 | 제 50(전) 기 |
---|---|---|
자 산 | ||
유동자산 | 36,289,721,504 | 34,389,415,714 |
현금및현금성자산 | 489,109,543 | 927,614,816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14,974,836,703 | 11,979,178,027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2,225,636,820 | 1,189,694,880 |
재고자산 | 17,998,905,119 | 19,502,074,834 |
기타유동자산 | 600,559,434 | 790,187,732 |
당기법인세자산 | 673,885 | 665,425 |
비유동자산 | 58,303,497,867 | 56,851,814,229 |
관계기업투자 | 4,797,352,635 | 1,846,487,336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51,621,435 | 51,621,435 |
투자부동산 | 974,668,074 | 974,668,074 |
유형자산 | 47,287,080,234 | 49,307,865,465 |
무형자산 | 4,828,504,727 | 4,110,940,212 |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115,092,101 | 278,879,964 |
이연법인세자산 | 249,178,661 | 281,351,743 |
자 산 총 계 | 94,593,219,371 | 91,241,229,943 |
부 채 | ||
유동부채 | 53,379,181,320 | 54,072,412,106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17,474,155,947 | 22,254,563,861 |
유동성차입금 | 31,506,757,025 | 30,316,781,815 |
기타유동금융부채 | 1,660,393,472 | 1,165,200,821 |
기타유동부채 | 1,220,080,410 | 335,865,609 |
전환사채 | 1,517,794,466 | - |
비유동부채 | 13,320,253,284 | 11,510,213,792 |
장기차입금 | 9,827,770,004 | 9,886,010,000 |
순확정급여부채 | 3,475,650,354 | 1,609,022,943 |
기타비유동금융부채 | 16,832,926 | 15,180,849 |
부 채 총 계 | 66,699,434,604 | 65,582,625,898 |
자 본 | ||
자본금 | 24,649,885,000 | 23,823,187,500 |
기타불입자본 | 7,458,741,353 | 5,587,440,718 |
기타자본구성요소 | 8,044,789,142 | 8,065,820,128 |
이익잉여금(결손금) | (12,259,630,728) | (11,817,844,301) |
자 본 총 계 | 27,893,784,767 | 25,658,604,045 |
부 채 및 자 본 총 계 | 94,593,219,371 | 91,241,229,943 |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51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제 50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31 까지) |
(단위 : 원 ) |
과 목 | 제 51(당) 기 | 제 50(전) 기 |
---|---|---|
매출액 | 113,444,154,855 | 100,501,934,262 |
매출원가 | 98,294,983,891 | 92,568,808,841 |
매출총이익 | 15,149,170,964 | 7,933,125,421 |
판매비 | 596,345,475 | 566,153,404 |
관리비 | 9,093,305,559 | 9,737,879,775 |
경상연구개발비 | 3,421,233,578 | 3,389,608,013 |
영업이익(손실) | 2,038,286,352 | (5,760,515,771) |
기타영업외수익 | 2,848,123,274 | 1,648,578,992 |
기타영업외비용 | 2,380,150,541 | 2,538,687,502 |
금융수익 | 328,195,218 | 50,887,777 |
금융비용 | 2,632,912,876 | 1,535,512,280 |
지분법이익 | 249,746,285 | 1,475,984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 451,287,712 | (8,133,772,800) |
법인세비용 | 221,571,315 | 610,214,178 |
당기순이익(손실) | 229,716,397 | (8,743,986,978) |
기타포괄손익(손실) | (692,533,810) | (561,079,461)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671,502,824) | (491,943,090)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손익 | (671,502,824) | (491,943,090)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수 있는 항목 | (21,030,986) | (69,136,371) |
지분법자본변동 | (21,030,986) | (69,136,371) |
당기총포괄손실 | (462,817,413) | (9,305,066,439) |
주당순손실 | ||
기본및희석주당순이익(손실) | 5 | (184) |
<결손금처리계산서 >
제 51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제 50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31 까지) |
(단위 : 원 ) |
과 목 | 제 51(당) 기말 | 제 50(전) 기말 | ||
---|---|---|---|---|
미처리결손금 | (12,259,630,728) | (11,817,844,301) | ||
전기이월결손금 | (11,817,844,301) | (2,581,914,233) | ||
당기순이익(손실) | 229,716,397 | (8,743,986,978) |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671,502,824) | (491,943,090) | ||
합 계 | (12,259,630,728) | (11,817,844,301) | ||
이월잉여금 처리액 | - | - | ||
차기이월미처리결손금 | (12,259,630,728) | (11,817,844,301) |
자 본 변 동 표
제 51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제 50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31 까지) |
대우전자부품주식회사 (단위 : 원) |
과 목 | 자 본 금 | 기타불입자본 | 이익잉여금 | 기타자본구성요소 | 총 계 | ||
---|---|---|---|---|---|---|---|
주식발행초과금 | 감자차익 | 기타자본잉여금 | |||||
2022년 1월 1일(전기초) | 23,823,187,500 | 5,375,499,888 | 1,958,000 | 209,982,830 | (2,581,914,233) | 8,134,956,499 | 34,963,670,484 |
당기순손실 | - | - | - | - | (8,743,986,978) | - | (8,743,986,978)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 - | - | (491,943,090) | - | (491,943,090) |
지분법자본변동 | - | - | - | - | - | (69,136,371) | (69,136,371) |
2022년 12월 31일(전기말) | 23,823,187,500 | 5,375,499,888 | 1,958,000 | 209,982,830 | (11,817,844,301) | 8,065,820,128 | 25,658,604,045 |
2023년 1월 1일(당기초) | 23,823,187,500 | 5,375,499,888 | 1,958,000 | 209,982,830 | (11,817,844,301) | 8,065,820,128 | 25,658,604,045 |
당기순이익 | - | - | - | - | 229,716,397 | - | 229,716,397 |
유상증자 | 826,697,500 | 1,871,300,635 | - | - | - | - | 2,697,998,135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 - | - | (671,502,824) | - | (671,502,824) |
지분법자본변동 | - | - | - | - | - | (21,030,986) | (21,030,986) |
2023년 12월 31일(당기말) | 24,649,885,000 | 7,246,800,523 | 1,958,000 | 209,982,830 | (12,259,630,728) | 8,040,806,551 | 27,893,784,767 |
현 금 흐 름 표
제 51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제 50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31 까지) |
대우전자부품주식회사 (단위 : 원 ) |
계정과목 | 제 51(당) 기 | 제 50(전) 기 | ||
---|---|---|---|---|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3,631,898,384 | 5,272,132,543 | ||
당기순이익 | 229,716,397 | (8,743,986,978) | ||
현금의 유출이 없는 비용 등의 가산 | 11,120,189,617 | 10,633,080,920 | ||
퇴직급여 | 1,411,021,193 | 1,303,992,972 | ||
감가상각비 | 4,507,761,950 | 4,204,116,234 | ||
대손상각비 | 453,652,717 | 1,376,906,756 | ||
기타의대손상각비 | 9,594,169 | 17,702,834 | ||
무형자산상각비 | 1,171,574,473 | 1,157,046,558 | ||
외화환산손실 | 2,138,068 | 4,138,388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손실 | - | 423,450,720 | ||
유형자산손상차손 | 365,479,999 | - | ||
무형자산손상차손 | 344,482,857 | - | ||
법인세비용 | 221,571,315 | 610,214,178 | ||
이자비용 | 2,594,845,014 | 1,491,818,504 | ||
금융보증비용 | 38,067,862 | 43,693,776 | ||
현금의 유입이 없는 수익등의 차감 | (1,988,849,196) | (701,468,728) | ||
외화환산이익 | 225,622,358 | 648,197,877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이익 | 1,035,941,940 | - | ||
지분법이익 | 249,746,285 | 1,475,984 | ||
이자수익 | 6,683,817 | 8,076,942 | ||
배당금수익 | 250,000 | 250,000 | ||
유형자산처분이익 | 149,343,395 | 907,090 | ||
금융보증수익 | 42,143,401 | 42,560,835 | ||
파생상품평가이익 | 279,118,000 | - | ||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부채의 변동 | (5,729,149,974) | 4,083,386,542 | ||
매출채권의 감소(증가) | (3,500,402,263) | 4,210,052,279 | ||
미수금의 감소(증가) | 5,460,497 | (430,498) | ||
미수수익의 감소(증가) | - | 1,451,014 | ||
선급금의 감소(증가) | (111,104,308) | 124,186,657 | ||
선급비용의 증가(증가) | (28,792,604) | (44,963,521) | ||
재고자산의 감소(증가) | 1,667,909,715 | 2,367,794,521 | ||
부가세대급금의 감소(증가) | 323,818,761 | (323,818,761) | ||
매입채무의 증가 | (1,421,275,933) | (2,317,678,337) | ||
미지급금의 증가 | (3,195,074,836) | 2,360,032,740 | ||
선수금의 증가 | (20,000,000) | (68,742,774) | ||
예수금의 증가 | 909,893,231 | (385,877,861) | ||
미지급비용의 증가 | 45,712,605 | 769,844,439 | ||
퇴직금의 지급 | (792,769,894) | (964,315,402) | ||
퇴직연금운용자산의 증가 | 387,475,055 | (1,644,147,954) | ||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변동액 | (8,460) | 1,120,787 | ||
법인세의 환급(납부) | 8,460 | 1,120,787 | ||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7,529,711,746) | (10,094,697,443) | ||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3,704,348,620 | 2,241,219,115 | ||
단기대여금의 감소 | 2,176,010,747 | 640,888,547 | ||
보증금의 감소 | 235,000,000 | 70,670,000 | ||
유형자산의 처분 | 277,987,644 | 909,090 | ||
정부보조금의 수령 | 1,011,987,506 | 1,524,848,769 | ||
배당금의 수취 | 250,000 | 250,000 | ||
이자의 수취 | 3,112,723 | 3,652,709 | ||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11,234,060,366) | (12,335,916,558) | ||
장기금융상품의 증가 | 41,674,590 | - | ||
단기대여금의 증가 | 2,088,480,871 | 679,931,141 | ||
미지급금의 감소 | 381,053,050 | - | ||
관계기업주식의 취득 | 2,722,150,000 | 950,100,000 | ||
유형자산의 취득 | 2,767,364,074 | 7,707,690,479 | ||
무형자산의 취득 | 2,204,671,845 | 1,708,400,845 | ||
정부보조금의 사용 | 1,017,665,936 | 1,190,844,093 | ||
보증금의 증가 | 11,000,000 | 98,950,000 | ||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3,461,446,157 | 4,988,624,554 | ||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31,180,830,874 | 18,190,992,322 | ||
단기차입금의 증가 | 20,682,832,739 | 13,274,342,322 | ||
장기차입금의 증가 | 5,800,000,000 | 4,916,650,000 | ||
유상증자 | 2,697,998,135 | - | ||
전환사채의 발행 | 2,000,000,000 | - | ||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27,719,384,717) | (13,202,367,768) | ||
단기리스부채 | 42,000,000 | 39,980,000 | ||
단기차입금의 감소 | 24,027,955,089 | 10,627,437,429 | ||
장기차입금의 감소 | - | 34,900,000 | ||
유동성장기부채의 감소 | 1,308,240,000 | 1,099,750,000 | ||
이자의 지급 | 2,341,189,628 | 1,400,300,339 | ||
현금의 증가(감소) | (436,367,205) | 166,059,654 | ||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927,614,816 | 764,180,832 | ||
외화표시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 (2,138,068) | (2,625,670) | ||
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489,109,543 | 927,614,816 |
※ 주석사항은 차후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최재현 | '61.10.08 | X | X | 계열회사 임원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최재현 | 아진산업(주) 사장 | '85년~'20년 '21년~22년 | 현대자동차 구매3사업부장 현대차 상근 자문 아진산업(주) 사장 |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최재현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해당사항 없음.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완성차 분야에서 오랜 기간 쌓아온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전장 개발 및 구매 분야에서 뛰어난 역량을 발휘했으며, 향후 회사 성장에 기여 기대 |
확인서
확인서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없음.
□ 감사의 선임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이규식 | 1959년 12월 3일 | 없음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이규식 | 現 공인회계사 | 1988.10월~1992.4월 1992.4월~현재 | 前)안진회계법인 회계사 現,)공인회계사ㆍ세무사 이규식사무소 대표 |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이규식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감사업무 및 세무업무의 전문성을 모두 갖추어 회사의 회계와 업무를 감사함에 있어 보다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직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추천 -당 회사와의 거래, 겸직 등에 따른 특정한 이해관계가 없으며, 독립성 및 책임감, 윤리의식 등을 고려하여 재선임함. |
확인서
확인서 |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지 아니한 경우>
선임 예정 감사의 수 | (명)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6명( 2명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20억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5명( 2명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0억 5천 3백만원 |
최고한도액 | 20억원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없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명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00백만원 |
(전 기)
감사의 수 | 1명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2백만원 |
최고한도액 | 20백만원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없음.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2024.03.20 |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상법 시행령」제31조제4항의 개정에 의거하여 당사의 감사보고서 및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개최 1주간 전인 2024년 3월 20일까지 DART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당사 홈페이지(http://www.dwecc.com)에 게재될 예정이오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향후 사업보고서는 정기주주총회 결과에 따라 내용이 변경 등의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업데이트 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1300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