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아제약 (00930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4-03-13 11:17: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13000199



주주총회소집공고


  2024년    3월    13일


회   사   명 : 삼아제약 주식회사
대 표 이 사 : 허 준
본 점 소 재 지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문막읍 동화공단로 49

(전   화) 02-2056-7200 (서울사무소) 

(홈페이지)http://www.samapharm.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관리본부장  (성  명) 이재영

(전  화) 02-2056-7241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51기 정기)


삼아제약(주) 제 51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통지(공고)문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우리 회사 정관 제18조에 의하여 제51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4년 3월 28일 (목) 오전 9시

2. 장 소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문막읍 동화공단로 49 삼아제약(주) 세미나실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외부감사인 선임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51기(2023.1.1.~2023.12.31.) 재무제표(이익이영금처분
                            계산서 포함)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액 승인의 건
         제3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액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이번 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행사 할 수 있습니다.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주총참석장, 신분증

  - 대리행사 : 주총참석장,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이용석 (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1 2023.02.28 제50기 내부결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찬성
2 2023.03.10 정기 주주총회 소집에 관한 건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1,000 34 34 -

(참고)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등기이사 전체(사외이사 포함)에 대한 금액임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부동산 임차 삼아개발
(기타특수관계자)
2023.01.01~
2023.11.30
임차료 20.3억
보증금 4억
보증금 제외 2.1%
보증금 포함 2.5%

※ 비율(%)은 매출총액 대비 거래금액임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해당사항 없음)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제약산업은 인간의 생명과 보건에 관련된 제품을 생산하는 정밀화학산업으로 우수 의약품 개발 및 접근성 재고를 통해 질병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의 감소 등 국민건강증진 및 건강권 확보와 직결된 산업입니다. 따라서 의약품 허가, 제조, 유통 등 안전성유효성 확보, 약가규제, 지적재산권 보장 등 정부 규제 및 정책의 역할이 큰 산업분야이며 질병의 원인이 다양하므로 생산구조도 다품종 소량생산의 형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의료행위는 의사 등 의료인에게, 조제 투약은 약사에게 면허된 행위이기 때문에 중간수요의 비중이 크며 시장이 제품별로 세분화되어 있고 유통체계가 복잡하며 보험약가의 규제, 엄격한 신약허가 및 지적재산권 제도와 같은 정부의 정책에 영향을많이 받는 산업입니다.
그리고 제약산업은 첨단기술이 집약되어 특허기술의 보호장벽이 높고 신약의약품 개발이 어렵기 때문에 기술우위에 따른 독점력이 강하고 부가가치가 매우 높습니다. 또한, 제약산업은 과학기반 산업으로서 기초과학 연구 결과가 곧바로 산업적 성과와 긴밀하게 연결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새로운 신약발견을 위한 연구가 곧 산업의 경쟁력으로서 타 산업에 비해 연구개발비 비중이 높은차별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다국적 제약기업의 시장집중도와 시장지배력이 매우 높으며 다국적제약기업은 제휴 및 인수합병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BT/IT/NT 등 기술융합을 통한 기술혁신이 가속화되고 경제발전을 이끌어갈 차세대 동력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는 산업분야입니다.

(2) 산업의 성장성 


제약 산업은 과거 정책적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급속도로 진행되는 고령화와 만성질환의 증가 등으로 향후 견조한 성장세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최근 신약 R&D 부분에서 좋은 성과가 이어지면서 과거 복제약 판매에서 탈피하여 글로벌 메이커로서의 성장이 기대되며, 또한 최근 각광받고 있는 바이오 의약품 분야와 기술융합을 통하여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국가적 차원에서 제약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2012년 3월 시행), 제약산업 글로벌 10대 강국 도약 국정과제 선정(2013년 5월) 및 보건산업 종합발전전략 (2016년 9월) 등 다양한 제도와 지원을 통하여 제약산업의 성장을 뒷받침해주고 있습니다.

                                                                                              (단위 : 십억원)

연도 업계 생산실적 성장율 GDP GDP대비 비고
2016년 18,806 10.8% 1,461,786 1.28% -
2017년 20,358 8.2% 1,730,399 1.17% -
2018년 21,105 3.7% 1,893,497 1.11% -
2019년 22,313 5.7% 1,924,498 1.15% -
2020년 24,566 10.1% 1,933,152, 1.27% -
2021년 25.491 3.8% 2,071,658 1.23% -
2022년 28,950 13.6% 2,150,576 1.35% -

[출처] 2023 식품의약품 통계연보 제23호 (식품의약품안전처)
         2023 제약바이오산업데이터북 (한국제약바이오협회)


(3) 경기변동의 특징

제약산업은 산업의 특성상 일반적으로 경기변동에 둔감하고 계절성에 영향을 받지 않으나 정부정책 및 규제에 민감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일반의약품은 전문의약품에 비하여 경기변동과 계절적요인 등에 따른 영향을 상대적으로 더 받는 편입니다.이와 더불어 FTA체결, 약제비 적정화 방안 시행, GMP 기준 선진화 추진, 비윤리적 영업관행 금지 등 최근의 제약산업 내 다양한 시장 환경 변화 요인이 공존하고 있으며, 2019년 3월에 발표된 제약사 자체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 실시 및 등록 원료의약품 사용을 기준으로 약가가 차등 부여됨을 골자로하는 보건복지부의 '제네릭 의약품 약가제도 개편방안'이 시행됨에 따라, 제네릭 의약품 의존도가 높은 특성을 띄는 국내 제약 업계 전반에 걸친 품목 구조 조정 및 시장구조 개편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4) 경쟁요소

국내 제약시장은 약 1,800여 업체(2023년 제약바이오산업데이터북 기준)가 난립하여 있는 완전경쟁의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소규모 자본으로도 시장진입이 용이하다는 특성 때문에 재벌그룹사나 타업종사의 진출이 매우 활발한 편입니다.
하지만 정부의 우수의약품 제조기준 강화 방침에 따라 많은 중소제약사가 어려움에 처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이에 당사는 이러한 정부의 정책에 맞추어, 2009년 강원도 원주에 EU GMP 수준의 공장을 준공, GMP인증을 획득하여 가동중입니다.


(5) 자원조달의 특성

제약업체는 대부분 생산원료의 조달을 외국제약사나 기술거래선에 의존하고 있으나
최근 원료합성에 대한 새로운 공정 및 기술개발이 활성화됨에 따라 원료의약품의 국산화에 상당한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제약업종은 기술집약적 산업이므로  노동력의 수급상황은 대체로 안정적입니다.

(6) 관계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및 지원

제약산업은 국민의 건강과 생명에 어느 산업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특성상 정부의 많은 규제와 제약을 받고 있습니다. 약사법,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법, 우수의약품 제조기준(KGMP), 마약법 등이 대표적인 관계법령입니다.
이러한 법령 이외에도 정부는 대체조제, 포괄수가제, 약가재평가 등 다양한 정책을 통해 국민의 건강과 삶의 질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정부는 바이오신약/장기 부문을 차세대 10대 성장동력산업으로 선정하여 여러 정책적인 지원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신약 허가자료 국제기준(CTD)의 본격 추진 및 바이오 보건분야 등 제약산업의 연구기반 조성을 위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최근 정부는 의약품 거래의 불법 리베이트를 근절하여 안정적인 보험재정 기반 마련과 제약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의약품 거래 및 약가제도 투명화 방안'을 공식화하였으며, 의약품 거래과정에서 구매이윤을 보장하여 시장기능을 작동시킴으로써 리베이트에 의한 거래 관행을 근절시키고 국민과 환자의 약가 부담을 덜어주면서 궁극적으로 제약 산업 발전 및 선진화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의 제51기 매출은 972억원으로 전년 817억원 대비 19.0% 증가하였습니다.
영업이익은 235억원으로 매출액 대비 24.2%를 시현하였으며,
전년 183억원 대비 28.7% 증가하였습니다.

법인세비용차감전 순이익은 285억원으로 매출액 대비 29.3%를 시현하였으며,

전년 184억원 대비 54.8% 증가하였습니다.

당기순이익은 214억원으로 매출액 대비 22.0%를 시현하였으며, 전년 119억원

대비 79.4% 증가하였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의약품 제조업 단일 사업만 영위하므로 사업부문을 구분하지 않습니다.

(2) 시장점유율

                                                                                          (단위 : 백만원)

회사명 2022년 2021년 2020년
삼아제약 81,699 54,666 53,653
삼진제약 274,031 250,070 235,649
경동제약 182,718 173,021 171,998
대한약품공업 184,268 171,463 166,080
환인제약 198,935 177,179 171,327
안국약품 205,389 151,043 131,884
삼천당제약 177,335 120,867 118,445
대한뉴팜 197,957 166,586 149,513
삼일제약 179,676 133,956 122,680
알리코제약 167,737 140,157 124,809
대화제약 131,912 88,705 82,325
고려제약 79,974 70,450 66,789
신일제약 80,007 58,427 61,438
서울제약 50,057 40,463 52,232
진양제약 76,264 41,005 48,810

주1) 상기 업체는 제약업체 전체 순위가 아닌 일부 표본 업체의 순위이며,
      개별 재무제표 기준입니다.
주2) 상기 타사의 매출액은 타사 제출 공시자료를 참고하였습니다. 


(3) 시장의 특성


제약산업은 정밀화학기술과 생명공학기술을 바탕으로하는 다품종 소량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국내 제약산업은 순수 신약개발보다는 개량신약 또는 제네릭제품의 개발을 위주로 하고있습니다.
국내 의약품 시장은 일반의약품과 전문의약품 시장으로 구분되며, 도매상을 통한 거래와 직거래방식을 통한 유통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의약품시장은 의료복지증진시책의 확대, 평균수명 연장, 노령인구의 증가, 의술의 발달 등으로 그 수요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당사에서는 기존의 소아과 위주의 제약사라는 이미지를 탈피하여, 정형외과(소염진통제), 내과 및 피부과 약물 등을 출시함으로써 지속적인 성장을 꾀하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해당사항 없음)

(5) 조직도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상기 III. 경영참고사항 - 1. 사업의 개요 - 나. 회사의 현황 참조)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아래의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를 받지 않은 자료로서 외부 감사인의 감사 결과 및 주주총회 승인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주주총회 일주일 전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과 당사 홈페이지(http://www.samapharm.co.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연결 ·별도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연결 재무제표

 - 연결 재무상태표

                                  

제 51 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제 50 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삼아제약 주식회사와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과      목 제 51 기 (당)기 제 50 기 (전)기
자산



 I. 유동자산
117,992,252,597
116,856,233,344
   1. 현금및현금성자산 9,019,152,367
9,175,610,079
   2. 단기투자예치금 61,100,000,000
68,100,000,000
   3. 매출채권 22,596,300,875
21,465,981,457
   4.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1,417,993,424
196,070,012
   5. 기타유동금융자산 10,646,236,112
5,563,653,580
   6. 재고자산 13,013,436,787
12,243,506,710
   7. 기타유동자산 160,761,777
71,139,247
   8. 당기법인세자산 38,371,255
40,272,259
 II. 비유동자산
113,315,660,476
86,341,710,799
   1. 장기투자예치금 3,002,000,000
2,000,000
   2.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10,457,260,000
15,879,023,950
   3.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9,031,701,510
7,465,267,600
   4. 기타비유동자산 33,152,122,311
11,851,692,583
   5. 관계기업투자주식 7,789,478,151
8,545,057,927
   6. 유형자산 32,390,096,051
35,448,911,363
   7. 투자부동산 4,996,485,727
-
   8. 무형자산 4,295,458,688
4,394,174,187
   9. 사용권자산 8,120,785,300
1,714,723,365
   10. 이연법인세자산 80,272,738
1,040,859,824
자산 총계
231,307,913,073
203,197,944,143
부채



 I. 유동부채
21,144,568,846
21,558,146,460
   1. 매입채무 및 기타유동채무 5,002,414,739
7,040,214,268
   2. 기타유동부채 7,164,258,531
5,692,686,459
   3. 기타유동금융부채 3,577,778,577
2,714,176,533
   4. 리스부채 1,857,749,274
1,724,820,575
   5. 미지급법인세 3,542,367,725
4,386,248,625
 II. 비유동부채
9,693,131,731
1,021,862,989
   1. 장기차입금 2,499,960,000
-
   2. 기타비유동부채 1,194,195,039
964,812,845
   3. 이연법인세부채 12,050,643
12,050,643
   4. 리스부채 5,645,107,077
44,999,501
   5. 복구충당부채 341,818,972
-
부채 총계
30,837,700,577
22,580,009,449
자본



 I. 지배기업의 소유지분
200,470,212,496
180,617,934,694
   1. 자본금 6,370,000,000
6,370,000,000
   2. 자본잉여금 14,413,199,530
14,413,199,530
   3. 자본조정 (1,512,536,463)
(1,512,536,463)
   4. 기타포괄손익누계액 1,995,823,213
992,917,975
   5. 이익잉여금 179,203,726,216
160,354,353,652
 II. 비지배지분

-
자본 총계
200,470,212,496
180,617,934,694
부채 및 자본 총계
231,307,913,073
203,197,944,143


- 연결 포괄손익계산서

제 51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제 50 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삼아제약 주식회사와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과       목

제 51기 (당)기 제 50 기 (전)기
I. 매출액
97,211,286,212
81,699,539,725
II. 매출원가
35,587,254,056
31,536,919,806
III. 매출총이익
61,624,032,156
50,162,619,919
IV. 판매비와 관리비
38,123,820,620
31,909,436,052
V. 영업이익
23,500,211,536
18,253,183,867
VI. 금융손익
4,424,081,118
2,368,211,102
 1. 금융수익 4,643,817,993
2,431,640,101
 2. 금융비용 (219,736,875)
(63,428,999)
VII. 기타손익
1,467,120,907
(931,300,292)
 1. 기타수익 1,612,485,384
512,862,781
 2. 기타비용 (145,364,477)
(1,444,163,073)
VIII. 지분법손익
(915,826,050)
(1,289,983,768)
IX.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28,475,587,511
18,400,110,909
X. 법인세비용
7,101,651,941
6,488,496,983
XI. 당기순이익(손실)
21,373,935,570
11,911,613,926
XII. 기타포괄손익
919,679,032
(1,792,151,054)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756,516,091
(2,426,701,456)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 요소 (83,226,206)
132,310,621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지분상품 평가 및 처분손익 839,742,297
(2,559,012,077)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163,162,941
634,548,635


   관계기업의 기타포괄손익에 대한 지분 160,246,274
626,051,976 
   해외사업환산손익 2,916,667
8,496,659 
XIII. 총포괄손익
22,293,614,602
10,119,462,872
당기순이익의 귀속



   지배기업소유주지분 21,373,935,570
11,911,613,926
   비지배지분



총포괄손익의 귀속



   지배기업소유주지분 22,293,614,602
10,119,462,872
   비지배지분



지배기업 소유주지분에 대한 주당손익



 1. 기본주당이익 3,502
1,952
 2. 희석주당이익 3,502
1,952


                           
※ 상세한 기타 연결 재무제표, 주석사항은 추후 정기 주주총회 1주일 전까지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제출 내 연결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상기 내용은 2023년도 결산실적에 대한 외부감사인의 연결 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자료이므로 향후 변동될 수 있습니다.

                

(2) 별도재무제표

-별도 재무상태표

제 51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제 50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삼아제약 주식회사  (단위 : 원)
과                        목 제 51(당) 기 제 50(전) 기
자산        
I. 유동자산
117,858,477,347
116,695,036,586
1. 현금및현금성자산 8,923,748,372
9,054,685,580
2. 단기투자예치금 61,100,000,000
68,100,000,000
3. 매출채권 22,596,300,875
21,465,981,457
4. 기타유동금융자산 3,617,481,751
2,563,108,618
5.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1,417,993,424
196,070,012
6. 상각후원가 금융자산 7,028,754,361
3,000,544,962
7. 재고자산 13,013,436,787
12,243,506,710
8. 기타유동자산 160,761,777
71,139,247
II. 비유동자산
113,398,451,561
86,472,885,220
1.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10,457,260,000
15,879,023,950
2.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9,031,701,510
7,465,267,600
3. 장기투자예치금 3,002,000,000
2,000,000
4. 종속기업 투자 주식 7,872,269,236
8,676,232,348
5. 유형자산 32,390,096,051
35,448,911,363
6. 투자부동산 4,996,485,727
-
7. 무형자산 4,295,458,688
4,394,174,187
8. 기타비유동금융자산 33,152,122,311
11,851,692,583
9. 이연법인세자산 80,272,738
1,040,859,824
10. 사용권자산 8,120,785,300
1,714,723,365
자산 총계
231,256,928,908
203,167,921,806
부채



I. 유동부채
21,093,584,681
21,528,124,123
1. 매입채무 5,002,414,739
7,040,214,268
2. 기타유동금융부채 1,860,154,412
3,834,410,306
3. 기타유동부채 7,164,258,531
4,542,430,349
4. 미지급법인세 3,542,367,725
4,386,248,625
5. 리스부채 1,857,749,274
1,724,820,575
6. 유동성장기차입금 1,666,640,000
-
II. 비유동부채
9,681,081,088
1,009,812,346
1. 장기차입금 2,499,960,000
-
2. 기타비유동부채 1,194,195,039
964,812,845
3. 리스부채 5,645,107,077
44,999,501
4. 복구충당부채 341,818,972
-
5. 순확정급여부채 -
-
6. 이연법인세부채 -
-
부채 총계
30,774,665,769
22,537,936,469
자본



1. 자본금 6,370,000,000
6,370,000,000
2. 자본잉여금 14,413,199,530
14,413,199,530
3. 자본조정 (1,512,536,463)
(1,512,536,463)
4. 기타포괄손익누계액 2,042,976,371
1,040,071,133
5. 이익잉여금 179,168,623,701
160,319,251,137
자본 총계
200,482,263,139
180,629,985,337
부채 및 자본 총계
231,256,928,908
203,167,921,806




-별도 포괄손익계산서

제51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제50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삼아제약 주식회사  (단위 : 원)
과                        목 제 51(당) 기 제 50(전) 기
I. 매출액
97,211,286,212
81,699,539,725
II. 매출원가
35,587,254,056
31,536,919,806
III. 매출총이익
61,624,032,156
50,162,619,919
IV. 판매비와 관리비
38,099,474,723
31,885,618,954
V. 영업이익
23,524,557,433
18,277,000,965
VI. 금융손익
4,424,081,118
2,368,211,102
1. 금융수익 4,643,817,993
2,431,640,101
2. 금융비용 (219,736,875)
(63,428,999)
VII. 기타손익
1,467,120,907
(931,300,292)
1. 기타수익 1,612,485,384
512,862,781
2. 기타비용 (145,364,477)
(1,444,163,073)
VIII. 지분법손익
(967,126,053)
(1,332,019,945)
IX.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28,448,633,405
18,381,890,434
X. 법인세비용
7,074,697,835
6,470,277,904
XI. 당기순이익
21,373,935,570
11,911,612,530
XII. 기타포괄손익
919,679,032
(1,792,152,821)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756,516,091
(2,426,701,456)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 요소 (83,226,206)
132,310,621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지분상품 평가손익 839,742,297
(2,559,012,077)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163,162,941
634,548,635
    지분법자본변동 163,162,941
634,548,635
XIII. 총포괄손익
22,293,614,602
10,119,459,709
XIV. 주당손익



1. 기본주당이익 3,502
1,952
2. 희석주당이익 3,502
1,952


※ 상세한 별도 기타 재무제표, 주석사항은 추후 정기 주주총회 1주일 전까지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제출 내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상기 내용은 2023년도 결산실적에 대한 외부감사인의 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자료이므로 향후 변동될 수 있습니다.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과    목 제 51(당)기(안) 제 50(당)기(안)
Ⅰ. 미처분이익잉여금
171,939,390,532
153,334,151,648
   1. 전기이월이익잉여금 150,648,681,168
141,290,228,497
   2. 확정급여채무의 재측정요소 (83,226,206)
132,310,621
   3. 기타포괄손익 - 공정가치금융자산 처분손익

-
   4. 전기오류수정손실



3. 당기순이익 21,373,935,570
11,911,612,530
Ⅱ. 임의적립금등의이입액


-
Ⅲ. 이익잉여금처분액
5,035,257,150
2,685,470,480
  1. 이익준비금 457,50,650
244,133,680
   2. 현금배당 4,577,506,500
2,441,136,800
Ⅳ.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166,904,133,382
150,648,681,168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구 분 제 51 기(안) 제 50 기
현금배당금 총액(원) 보통주 4,577,506,500 2,441,136,800
주식배당금 총액(원) 보통주 - -
주당 현금배당금(원) 보통주 750 400
주당 주식배당(주) 보통주 - -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3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억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3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5.3억 
최고한도액 10억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억 


(전 기)

감사의 수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0.6억
최고한도액 1억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4년 03월 21일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당사는 상법시행령 제31조(주주총회의 소집공고) 제4항 제4호에 의거하여 감사보고서 및 사업보고서를 상기 제출(예정)일까지 금융감동원 공시홈페이지(http://dart.fss.or.kr)와 당사 홈페이지(http://www.samapharm.co.kr → 투자정보 → 공시자료)에 게재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13000199

삼아제약 (00930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