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4-03-07 11:28: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07000177
2024년 03월 07일 | ||
회 사 명 : | (주)엔아이스틸 | |
대 표 이 사 : | 이창환 |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시 동작구 동작대로35 화민빌딩 | |
(전 화)02-758-6789 | ||
(홈페이지)http://www.hcrst.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이사 | (성 명)서경원 |
(전 화)02-758-6789 | ||
(제52기 정기) |
상법 제363조와 당사 정관 제19조의 규정에 의거 제52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5.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 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 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가. 전자투표관리시스템 (K-VOTE에서 사용 가능한 인증서 한정) |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 여부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최철호 (출석률: 100%) | |||||
찬 반 여 부 | |||||
1 | 23.02.02 | 승인 | 1) 재무제표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1 | 23.03.08 | 보고 | 1) 제51기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서보고 | 보고 | - |
승인 | 2) 제51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및 의안결정의 건 3) 제51기 정기주주총회 상정의안 승인의 건 | 가결 가결 | 찬성 찬성 | ||
3 | 23.03.16 | 승인 | 1) 제51기 재무제표 확정의 건 | 가결 | 찬성 |
4 | 23.03.24 | 승인 | 1) 제51기 정기주주총회 결과의 건 2) 제51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3) 정관 변경의 건 4) 이사 선임의 건 5) 이사보수한도 승인의 건 | 가결 가결 가결 가결 가결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보고 | 1) 감사보고 2) 영업보고 3)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 보고 보고 보고 | - - -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해 당 사 항 없 음 | - |
(단위 : 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1 | 5,000,000,000 | - | - | - |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산업의 쌀로 일컬어지는 철강재는 전 세계 어느 곳에서나 쉽게 접할 수 있는 공업소재입니다. 인류가 처음으로 철을 사용한 시기는 기원전으로 알려져 왔으며, 이러한 강재가 건축용으로 사용된 과정은 주철부터 시작하여 압연 형강류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건축물에 강재가 사용된 주요 동기는 건축물의 수명 및 안정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대두되었기 때문이며 용접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면서 철골구조의 경제성 및 시공속도의 신속화에 촉매 역할을 하였습니다.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강재의 생산량 및 제품의 종류도 많은 변천과정을 거쳐 사용자의 요구에 맞도록 연구 개발되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①. 당사의 주력제품인 강건재 합성보와 합성기둥은 강재와 콘크리트의 장점을 극대화해 성능을 향상시킨 구조 시스템으로 그 경제성, 시공성 및 안정성이 뛰어나 당사에서 개발한 제품군을 적용했을 때 강재 물량을 종전에 비해 20%이상 절감할 수 있으며, 그 밖에도 강재와 콘크리트의 합성구조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의 H빔을 이용한 공법보다 층간 간격을 줄이는 층고 절감 효과로 고층건물을 지을때 한 개 이상의 층을 추가로 건설할 수 있는 새로운 공법 및 강건재들 입니다.
또한, 건축현장의 기능인력의 부족과 공기단축의 필요성 등과 맞물려 철근콘크리트와 철골조 건축물 중 합성보와 합성기둥으로 전환할 수 있는 경제적인 공법으로 잠재적 시장규모가 점차 확대되어 나아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가 새로 제품을 개발하고 생산시설을 완비한 Deck Plate와 Steel Curtain
Wall은 건축물의 대형화, 고층화와 함께 공사기간의 단축 및 원가 절감, 건물외관의 개방성등을 이유로 그 사용이 점차 늘어 시장규모가 점점 확대 되어가고 있습니다.
②. 가설재 강재리스 산업에 있어서는 기존의 U형 Sheet Pile과 더불어 일반 H빔과 N.I-Strut(조립식 H/Beam) 제품군을 추가하여 흙막이 토목 건축 시장에서 이종의 공법에 적용 가능하도록 고객사의 니즈를 충족시켜 리스강재의 물류량이 증가하는 등 산업경기 전반의 침체에도 불구하고 신시장을 개척하여 시장 점유율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또한, 앞으로는 사회적 Trend가 고가의 강재를 소유하기보다는 공유를 통한 원가의 절감에 더욱 많은 관심을 가져감에 따라 강재리스 매출액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당사의 건설자재 판매 및 강재리스시장은 토목, 건축산업을 전방산업으로 하고 원자재인 철강산업을 후방산업으로 합니다. 따라서 성장성은 전방산업의 경기변동에 영향을 받으며, 수익성은 후방산업의 경기변동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앞서 “2. 산업의 성장성”에서 언급하였듯이 전반적인 산업의 침체에도 불구하고 시장규모의 확대에 따라 꾸준한 성장을 이루어 오고 있습니다.
계절적인 영향에 따라 2분기와 3분기에는 혹서기와 장마 및 휴가기간과 맞물려 다소 매출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며 4분기와 1분기에는 혹한기에도 불구하고 예산 집행 및 소진, 년말 마감에 따라 매출이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4. 경쟁요소
①. 철근콘크리트를 이용한 공법은 재료의 공급이 용이하고 경제적이며 철근을 콘크리트로 피복보호함에 따라 내화, 내구성이 크다는 장점이 있으나, 콘크리트의 비중이 크므로 구조체의 자체 비중이 커지고 콘크리트의 경화 및 거푸집의 존치기간에 따른 공사기간이 길어지며 기후, 기온 및 양생조건 등이 강도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구조물 전체의 균일한 시공이 곤란하며 내진 설계를 하기에도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면, 당사의 연구개발부서와 구조설계회사 및 산학협력단, POSCO 등과 공동개발한 Box형 기둥부재에 콘크리트를 채우는 형태의 ACT Column, D Column과 HyFo
Beam, Au Beam, TH Beam 등의 여러 보 (Girder) 제품군들은 거푸집 및 지지대 설치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현장 작업이 용이하고 건축 공기가 단축되며 강판 내부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해도 외측에서 강판이 구속하기 때문에 전체 내력이 상승하는 효과로 콘크리트 구조보다 구조물의 사이즈를 20~30% 축소할 수 있어 강재의 소요량을 대폭 줄이는 동시에 공간 활용도도 매우 높습니다. 그리고 구조적인 측면에서도 당사의 강건재 구조는 기존의 PC구조와 대비하여 변형 능력이 뛰어나 내진 성능이 크게 향상되어 내진 설계에 적합하고 지진이 발생할 경우 보수와 보강이 용이합니다. 또한 거푸집 공정 생략 등을 통하여 인건비 등 건축공사비를 20%이상 절감할 수 있는 보다 안전하고 경제적 공법입니다.
당사는 중, 대형 건설 프로젝트를 수주하기 위하여 고객사의 상황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하는 것과 동시에 고객사의 변화된 기술 동향을 선제적으로 파악하여 대응하고 있습니다. 특히, 요즘에는 건축물이 대형화 고층화되면서 고객사의 철강재 사용 패턴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강재의 초기 설계 단계에서부터 개입하여 고객의 요구사항을 정확히 반영하여 고객의 니즈에 기반한 솔루션을 제공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더욱 경제적인 신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당사의 연구개발부서에서는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당사는 현재 129건의 신공법과 형상, 제작에 관한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또한, 여러건을 출원중에 있습니다.
②. 가설재 리스사업은 사업초기에 자재투자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대단위 선투자가 동반되고 관련한 유형자산인 리스재의 감가상각비와 강재관리공장의 설치와 운영비용 및 운송비와 인건비를 포함한 물류관리비와 대규모 영업조직의 관리운영 등 영업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신규로 사업에 진입하기에 진입장벽이 높으며 위험부담 역시 무척 큽니다.
최근 여타의 철강재 유통업체들이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기 위한 수단으로 가설재 Sheet Pile리스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토목건축시장에서 Sheet Pile제품을 제조하여 판매를 하며 인적, 물적 인프라를 구축하고 시장을 개척하여 2001년부터 Sheet Pile 사업을 점진적으로 시작한 당사와는 달리 유통업에서 시작한 후발 진출업체들은 건축 토목경기가 급격히 호전되지 않는 한 대형화된 당사에 대한 경쟁력을 갖추기가 힘들 것으로 예측됩니다.
따라서, 당사는 더욱 더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국에 리스강재관리공장 (광양, 당진2 공장)을 운영하는 동시에 기존 제1, 제2 리스강재 관리공장을 확장하고 제3리스강재관리공장을 준비하는 등 경쟁사를 압도하는 대형화와 신규품목인 System 비계&Support를 추가하는 등 리스품목의 다양화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당사의 지속적인 투자와 대형화가 매출과 영업이익의 안정적 신장을 이룰것 입니다.
5. 관련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
①. 당해 사업의 영업활동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법령이나 정부의 규제는 없으나 점차적인 기업규모 확대로 법령상 중견 대기업으로 분류됨에 따라 중소기업만을 대상하는 사업에 입찰이나 수주에 제한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기존 공법은 건축물이 화재에 견디기 위하여 건축물 표면에 인체 유해한 자재들로 보강하는 것이 필요하였으나 당사의 강재 노출형 합성강건재는 유해자재를 제거한 친환경적인 건자재이며 화재에도 3시간 이상 견뎌 대형 건축물에서 화재발생시 거주자의 피난과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에 소요되는 시간동안 건축물이 붕괴되지 않는 등 구조적 성능이 월등히 우수합니다.
②. 토사의 붕괴를 막거나 물막이(차수) 공사를 위하여 콘크리트나 화학제품을 땅속에 주입하는 기존의 그라우팅(Grouting)등의 눈에 보이지 않는 공법이 지하수 및 빗물에 닿아 환경을 오염시키고 홍수에 하중을 버티지 못하고 제방이 무너지는 등 방제에도 부실한 반면 당사의 Z형, U형 Steel Sheet Pile은 친환경의 반영구적 구조물로서 재난방지에 관한 공로를 인정받아 정부기관의 표창을 수상하는 등 사회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강건재 합성보와 합성기둥
당사의 주력제품인 강건재 합성보와 합성기둥은 강재와 콘크리트의 장점을 극대화해 성능을 향상시킨 구조 시스템으로 그 경제성, 시공성 및 안정성이 뛰어나 당사에서 개발한 제품군을 적용했을 때 강재 물량을 종전에 비해 20%이상 절감할 수 있으며, 그 밖에도 강재와 콘크리트의 합성구조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의 H빔을 이용한 공법보다 층간 간격을 줄이는 층고 절감 효과로 고층건물을 지을때 한 개 이상의 층을 추가로 건설할 수 있는 새로운 공법 및 강건재들 입니다.
또한, 건축현장의 기능인력의 부족과 공기단축의 필요성 등과 맞물려 철근콘크리트와 철골조 건축물 중 합성보와 합성기둥으로 전환할 수 있는 경제적인 공법으로 잠재적 시장규모가 점차 확대되어 나아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가 새로 제품을 개발하고 생산시설을 완비한 Deck Plate와 Steel Curtain
Wall은 건축물의 대형화, 고층화와 함께 공사기간의 단축 및 원가 절감, 건물외관의 개방성등을 이유로 그 사용이 점차 늘어 시장규모가 점점 확대 되어가고 있습니다.
2. 강재리스 산업
가설재 강재리스 산업에 있어서는 기존의 U형 Sheet Pile과 더불어 H빔과 N.I-Strut(조립식 H/Beam), System비계&Support 제품군을 추가하여 토목 건축 시장에서 고객사의 니즈를 충족시켜 리스강재의 물류량이 증가하는 등 신시장을 개척하여 시장 점유율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또한, 앞으로는 사회적 Trend가 고가의 강재를 소유하기보다는 공유를 통한 원가의 절감에 더욱 많은 관심을 가져감에 따라 강재리스 매출액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3.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꾸준한 수요개발과 경쟁력 및 시장성 증대를 위하여 신규 합성보(AU Beam, TH Beam 등) 및 기둥부재(D Culumn등)와 여러 기능을 가진 Deck Plate, 건물외벽인 커튼월(Steel Curtain Wall)의 개발을 완료하여 신규생산 Line 투자를 끝냈으며 다양한 건축자재(강건재)를 제품화하여 이로 인한 매출액 증대를 전망합니다. 또한, 강재리스 사업부문에서는 전남, 경남권의 시장 확보를 위해 광양공장(33,474평)을 2011년9월1일준공, 2012년 10월1일 부산영업소를 개소 하였습니다.
기존의 Sheet Pile, H/Beam, N.I-Strut(조립식 H/Beam)외에 System비계&Support의리스제품을 추가하여 기존 강재리스 사업영역확대와 사업다각화를 이루고 있으며 리스용 강재의 교정 및 관리를 위하여 2015년 10월 당진에 리스강재관리공장을 완공하였으며 시장지배력과 점유율 확대를 목표로 2019년 2월 당진 강건재 제작공장 확대및 제3리스강재 관리공장의 공사를 시작하는 등 리스 관련 자산에 지속적으로 투자 더욱 대형화하여 영업력을 한층 더 강화해 나가겠습니다. 이러한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될 경우 안정적인 경쟁력 유지와 기 투자된 사업은 미래성장 사업으로서 성과창출을 가속화 할 것이며 지속적으로 매출과 이익의 신장이 이루어 질 것으로 확신합니다.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III. 경영참고사항의 1. 사업의 개요 나. 회사의 현황 참조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본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 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성된 것으로 회계감 사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석사항은 정기주주총회일(2024.3.22)의 1주간 전에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재 무 상 태 표 |
제52(당)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
제51(전)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
주식회사 엔아이스틸 | (단위 : 원) |
과 목 | 제52(당)기말 | 제51(전)기말 |
---|---|---|
자산 | ||
유동자산 | ||
현금및현금성자산 | 4,499,230,589 | 4,207,816,573 |
기타금융자산 | 50,946,495,377 | 473,400,829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44,962,804,019 | 57,973,168,592 |
계약자산 | 2,853,041,565 | 2,018,391,520 |
기타유동자산 | 1,157,657,818 | 189,802,500 |
재고자산 | 48,667,762,143 | 45,447,686,984 |
매각예정비유동자산 | 6,142,898,203 | 7,518,126,922 |
유동자산 합계 | 159,229,889,714 | 117,828,393,920 |
비유동자산 | ||
관계기업투자 | 8,142,732,376 | 3,592,103,212 |
유형자산 | 274,979,476,443 | 271,214,712,449 |
무형자산 | 520,132,450 | 525,433,176 |
사용권자산 | 1,583,531,435 | 2,258,525,937 |
기타금융자산 | 557,099,485 | 554,595,343 |
기타비유동자산 | 1,000,288,000 | 755,743,000 |
이연법인세자산 | 1,973,913,357 | 715,135,865 |
비유동자산 합계 | 288,757,173,546 | 279,616,248,982 |
자산 총계 | 447,987,063,260 | 397,444,642,902 |
유동부채 |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29,666,696,030 | 29,440,467,947 |
차입금 | 133,208,921,299 | 119,958,415,070 |
리스부채 | 923,760,055 | 912,893,131 |
기타금융부채 | 86,693,614 | - |
기타유동부채 | 3,651,290,570 | 5,793,699,124 |
계약부채 | 8,299,846,386 | 7,907,725,016 |
유동충당부채 | 3,512,833,390 | 94,680,977 |
당기법인세부채 | 8,581,985,039 | 12,745,619,156 |
유동부채 합계 | 187,932,026,383 | 176,853,500,421 |
비유동부채 | ||
차입금 | 14,333,326,675 | 22,510,115,000 |
리스부채 | 673,750,619 | 1,371,118,632 |
확정급여부채 | 10,807,723,718 | 8,474,588,655 |
기타비유동부채 | 50,000,000 | 40,000,000 |
비유동부채 합계 | 25,864,801,012 | 32,395,822,287 |
부채 총계 | 213,796,827,395 | 209,249,322,708 |
자본금 | 14,300,058,500 | 14,300,058,500 |
자본잉여금 | 8,329,229,505 | 8,329,229,505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2,943,722,765) | (1,589,057,315) |
이익잉여금 | 214,504,670,625 | 167,155,089,504 |
자본 총계 | 234,190,235,865 | 188,195,320,194 |
부채와 자본 총계 | 447,987,063,260 | 397,444,642,902 |
별첨 주석은 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
포 괄 손 익 계 산 서 |
제52(당)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제51(전)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엔아이스틸 | (단위 : 원) |
과 목 | 제52(당)기 | 제51(전)기 |
---|---|---|
매출액 | 382,911,138,805 | 355,390,202,149 |
매출원가 | (285,598,248,038) | (265,673,513,117) |
매출총이익 | 97,312,890,767 | 89,716,689,032 |
판매비와관리비 | (26,652,017,993) | (21,981,755,608) |
영업이익 | 70,660,872,774 | 67,734,933,424 |
영업외손익 | ||
금융수익 | 1,071,473,763 | 482,804,022 |
금융원가 | (7,417,885,770) | (4,961,267,783) |
지분법손익 | 570,691,436 | 280,004,816 |
기타수익 | 302,465,441 | 427,759,402 |
기타비용 | (115,389,350) | (93,059,203) |
영업외손익 합계 | (5,588,644,480) | (3,863,758,746)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65,072,228,294 | 63,871,174,678 |
법인세비용 | (14,862,635,473) | (15,081,562,283) |
당기순이익 | 50,209,592,821 | 48,789,612,395 |
기타포괄손익 |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 ||
지분법자본변동 | (54,442,272) | 19,032,527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1,300,223,178) | (321,383,195) |
기타포괄손익 합계 | (1,354,665,450) | (302,350,668) |
총포괄이익 | 48,854,927,371 | 48,487,261,727 |
주당손익 | ||
기본주당순이익 | 1,756 | 1,706 |
희석주당순이익 | 1,756 | 1,706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52기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제51기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엔아이스틸 | (단위 : 원) |
과 목 | 당 기 | 전 기 |
---|---|---|
Ⅰ. 미처분이익잉여금 | 204,347,992,897 | 157,284,412,946 |
1.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154,138,400,076 | 108,494,800,551 |
2.당기순이익 | 50,209,592,821 | 48,789,612,395 |
Ⅱ. 이익잉여금처분액 | 3,932,516,087 | 3,146,012,870 |
1.이익준비금 | 357,501,462 | 286,001,170 |
2.현금배당 | 3,575,014,625 | 2,860,011,700 |
III.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200,415,476,810 | 154,138,400,076 |
-상기 이익잉여금처분은 당기 처분예정일은 2024년 3월 22일이며, 전기 처분 확정일은 2023년 3월 24일이었습니다.
자 본 변 동 표 |
제52(당)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제51(전)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엔아이스틸 | (단위 : 원) |
과 목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기타포괄 손익누계액 | 이익잉여금 | 총 계 |
---|---|---|---|---|---|
2022.1.1.(전기초) | 14,300,058,500 | 8,329,229,505 | (1,286,706,647) | 120,510,485,884 | 141,853,067,242 |
당기순이익 | - | - | - | 48,789,612,395 | 48,789,612,395 |
기타포괄손익: | |||||
지분법자본변동 | - | - | 19,032,527 | - | 19,032,527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321,383,195) | - | (321,383,195) | ||
총포괄손익 | - | - | (302,350,668) | 48,789,612,395 | 48,487,261,727 |
연차배당 | - | - | - | (2,145,008,775) | (2,145,008,775) |
2022.12.31.(전기말) | 14,300,058,500 | 8,329,229,505 | (1,589,057,315) | 167,155,089,504 | 188,195,320,194 |
2023.1.1.(당기초) | 14,300,058,500 | 8,329,229,505 | (1,589,057,315) | 167,155,089,504 | 188,195,320,194 |
당기순이익 | - | - | - | 50,209,592,821 | 50,209,592,821 |
기타포괄손익: | |||||
지분법자본변동 | - | - | (54,442,272) | - | (54,442,272)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 | - | (1,300,223,178) | - | (1,300,223,178) |
총포괄손익 | - | - | (1,354,665,450) | 50,209,592,821 | 48,854,927,371 |
연차배당 | - | - | - | (2,860,011,700) | (2,860,011,700) |
2023.12.31.(당기말) | 14,300,058,500 | 8,329,229,505 | (2,943,722,765) | 214,504,670,625 | 234,190,235,865 |
별첨 주석은 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
현 금 흐 름 표 |
제52(당)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제51(전)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엔아이스틸 | (단위 : 원) |
과 목 | 제52(당)기 | 제51(전)기 |
---|---|---|
영업활동현금흐름 | ||
당기순이익 | 50,209,592,821 | 48,789,612,395 |
비현금항목의 조정 | ||
법인세비용 | 14,862,635,473 | 15,081,562,283 |
금융수익(이자수익) | (857,698,367) | (3,944,138) |
금융원가(이자비용) | 6,988,669,389 | 4,517,296,054 |
배당금수익 | (5,870,000) | (5,434,000) |
퇴직급여 | 1,389,555,907 | 2,085,081,607 |
감가상각비 | 23,551,281,317 | 22,078,172,538 |
사용권자산감가상각비 | 927,221,555 | 881,118,141 |
무형자산상각비 | 5,300,726 | 24,914,594 |
파생상품거래이익 | (6,672,843) | - |
파생상품평가이익 | (198,728,411) | (473,400,829) |
파생상품거래손실 | - | 56,785,062 |
파생상품평가손실 | 236,156,381 | - |
외화환산손실 | 193,060,000 | 319,970,000 |
대손상각비 | (398,764,537) | 1,747,234,481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평가이익 | (2,504,142) | (821,691) |
관계기업투자주식평가이익 | (809,693,088) | (280,004,816) |
관계기업투자주식평가손실 | 239,001,652 | - |
유형자산처분이익 | (15,098,000) | (180,511,025) |
유형자산처분손실 | - | 89,759,690 |
유동충당부채전입(환입) | 3,418,152,413 | (50,505,775) |
소 계 | 49,516,005,425 | 45,887,272,176 |
운전자본의 조정 | ||
매출채권의 감소(증가) | 13,414,629,110 | (21,955,223,974) |
미수금의 감소(증가) | (5,500,000) | 1,720,377 |
기타유동자산의 감소(증가) | (967,855,318) | 20,516,824 |
재고자산의 감소(증가) | 15,201,107,219 | (20,885,023,073) |
계약자산의 감소(증가) | (834,650,045) | (355,819,713) |
매입채무의 증가(감소) | 2,572,649,685 | (5,220,255,455) |
미지급금의 증가(감소) | (1,026,204,510) | 1,063,181,701 |
기타부채의 증가(감소) | (1,984,762,160) | 3,023,062,757 |
계약부채의 증가(감소) | 392,121,370 | 1,031,467,086 |
퇴직금의 지급 | (836,717,113) | (2,263,239,079) |
퇴직급여부채 관계사전입 | 118,324,051 | 99,048,745 |
사외적립자산의 증가 | (26,802,460) | 3,608,280 |
소 계 | 26,016,339,829 | (45,436,955,524) |
법인세의 납부 | (19,892,271,330) | (6,841,256,030)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흐름 | 105,849,666,745 | 42,398,673,017 |
투자활동현금흐름 | ||
이자의 수취 | 461,987,032 | 1,901,793 |
기타금융자산의 취득 | (38,279,157,376) | (319,861,153) |
배당금의 수취 | 171,490,000 | 299,434,000 |
관계기업투자주식의 취득 | (4,200,000,000) | - |
유형자산의 취득 | (47,264,266,866) | (34,335,772,386) |
유형자산의 처분 | 1,159,667,202 | 180,943,150 |
무형자산의 취득 | - | |
무형자산의 처분 | - | |
대여금의 증가 | (12,100,000,000) | - |
보증금의 증가 | (588,947,000) | (102,718,000) |
보증금의 감소 | 344,402,000 | 72,700,000 |
투자활동으로 인한 순현금흐름 | (100,294,825,008) | (34,203,372,596) |
재무활동현금흐름 | ||
이자의 지급 | (6,626,217,997) | (4,360,900,166) |
배당금의 지급 | (2,860,011,700) | (2,145,008,775) |
리스부채의 상환 | (987,825,928) | (938,360,732) |
수입보증금의 증가 | 10,000,000 | - |
차입금의 차입 | 223,885,494,722 | 248,995,952,774 |
차입금의 상환 | (218,684,866,818) | (247,989,933,120) |
재무활동으로 인한 순현금흐름 | (5,263,427,721) | (6,438,250,019) |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 | 291,414,016 | 1,757,050,402 |
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 | 4,207,816,573 | 2,450,766,171 |
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 4,499,230,589 | 4,207,816,573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구 분 | 제 52 기 | 제 51 기 |
---|---|---|
주당배당금 | 125원 | 100원 |
액면배당율 | 25% | 20% |
- 상기내용은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 및 정기주총 승인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 | - |
-해당사항 없음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2조【목적】 이 회사는 다음의 사업을 영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1. ~ 15. <생략> 16. 전 각호의 사업과 직접 또는 간접으로 관련되는 부대사업 17. 강구조물 제조, 판매 및 공사업 18. 금속구조물, 창호제조, 판매 및 공사업 19. 의료기기 임대업 및 판매업(도,소매) 20. 전 각호에 부대 되는 산업 | 제2조【목적】 이 회사는 다음의 사업을 영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1. ~ 15. <생략> 16. 강구조물 제조, 판매 및 공사업 17. 금속구조물, 창호제조, 판매 및 공사업 18. 의료기기 임대업 및 판매업(도,소매) 19. 비계·구조물해체공사업 20. 철근 콘크리트 공사업 21. 전 각호에 부대 되는 산업 | - 중복문구 삭제 - 항번 변경 - 사업다각화 따른 사업목적 추가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선임
제3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3-1. 사외이사 선임의 건(신규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김문모 | 1962.03.10 | 사외이사 | - | -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김문모 | (전)신구대학교 교수 | 2020~2022 | 한국방재안전학회 회장 | 해당사항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김문모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김문모 후보자 직무수행계획 가. 전문성 본 후보자는 그간 엮임해온 경력을 바탕으로 경영전반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이 사회에 참여함으로써 당사의 미래전략을 고민하고, 변화를 선도하는 창의적인 기 업으로 성장하는데 기여 하고자 함 나. 독립성 본 후보자는 회사 및 대주주등과 거래 등의 이해관계가 전혀 없으며 이사외 이사 의 독립성 요건에 대한 이사회의 엄격한 검증을 거쳐 후보자로 추천됨. 앞으로도 회사의 영업 및 경영활동에 대해 충분히 숙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정한 의사결 정과 경영진의 경영감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이사로서의 책무를 다하고자 함. 다. 직무수행 및 의사결정 기준 첫째, 기업의 영속적 성장에 의한 기업 가치 극대화 둘째, 주주ㆍ채권자ㆍ종업원 등 이해관계자의 이익 만족 셋째, 윤리 규범 준수와 정직한 조직 문화 구축 넷째, 기업의 역할 확장을 통한 사회적 가치 창출 라. 책임과 의무에 대한 인식 준수 본 후보자는 선관주의와 충실 의무, 감시 의무, 상호 업무집행 감시 의무, 경업 금지 의무, 자기거래 금지 의무, 기업비밀 준수의무, 회사의 자산 및 기회유용 금지 등 상법상 사외이사의 의무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엄수할 것임.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김문모 사외이사 후보자 경영전반에 대한 지식을 지니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객관적인 입장에서 경영진의 합리적 의사결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역량이 충분하다고 판단되어 사외이사 후로보 추천함 |
3-2. 사내이사 선임의 건(신규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서경원 | 1975.02.15 | 사내이사 | - | -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서경원 | N.I스틸 임원 | 2002년~현재 | - (주)N.I스틸 경영지원본부장 | 해당사항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서경원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해당사항 없음.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서경원 사내이사 후보자 오랜시간 당사에 근무하며 경영 관리 전반에 대한 업무 지식을 지니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객관적인 입장에서 경영진의 합리적 의사결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역량이 충분하다고 판단되어 사내이사 후보로 추천함 |
확인서
확인서 - 김문모 사외이사 |
확인서 - 서경원 사내이사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없음
□ 감사의 선임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김진호 | 1952.04.13 | 해당사항 없음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당해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김진호 | N.I스틸 감사 | 2001년~현재 | N.I스틸 감사 |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김진호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김진호 감사 후보자 후보자는 감사업무 수행에 있어 당사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갖추었으며 윤리의식, 책임감등을 바탕으로 재선임후에도 지속적으로 경영의 투명성, 건전성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어 감사 후보로 추천함 |
확인서
확인서 - 김진호 감사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50억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1억원 |
최고한도액 | 50억원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2024.03.14 |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1)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1주 전까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및 회사 홈페이지(ni.hcrst.com)게재 예정입니다.
(세부위치 : 고객센터 → IR자료실)
(2)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 및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보고서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게재된 보고서를 활용 바랍니다.
■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 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 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가. 전자투표관리시스템 (K-VOTE에서 사용 가능한 인증서 한정)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07000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