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3-10 16:48: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0000935
2023 년 3 월 10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한국특강 | |
대 표 이 사 : | 박성우 | |
본 점 소 재 지 : | 경상남도 함안군 칠서면 공단동길 98 | |
(전 화) 055-589-1000 | ||
(홈페이지) http://www.ekosco.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기획재무본부장 | (성 명) 이시영 |
(전 화) 055-589-1000 | ||
(제52기 정기주주총회) |
제52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3년 3월 27일(월) 오전 10시
2. 장 소 : 경상남도 함안군 칠서면 공단동길 98 (주)한국특강 칠서공장 대강당
3. 회의의 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1) 감사보고
2) 영업보고
3)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52기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포함) 승인의 건
(제1호 의안은 상법 제449조의2 및 당사 정관 제43조에 의거 외부감사인의 적정의견과 감사위원 전원의 동의가 있을 경우 이사회에서 승인하고 그 사항을 주주총회에서 보고할 예정입니다.)
제2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 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당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하나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 또는 공시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우리회사의 이번 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행사 할 수 있습니다
6.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정기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하고, 관리업무를 삼성증권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 관리시스템 인터넷 및 모바일 주소 : https://vote.samsungpop.com
(PC, 모바일 동일)
나. 전자투표 행사 기간 : 2023년 3월 17일 오전9시 ~ 2023년 3월 26일 오후5시
(기간 중 24시간 투표가능)
다. 본인 인증 (공동인증, 카카오페이, 휴대폰인증)을 통해 주주본인을 확인 후 의안별로 의결권 행사
라. 새로 상정된 안건이나 변경 수정 안건 등에 대한 의결권의 행사
- 주주총회시 새로이 상정된 안건이나 각호 의안에 대한 수정안이 상정될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
7. 정기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가. 직접행사 : 신분증
나.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8. 상법 제 542조의 4 및 당사 정관 제 19조에 의거 하여 발행주식총수의 1%이하 소유주주에 대하여는 이 공고로 소집통지를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김병식 (출석률:94%) | 김철준 (출석률:40%) | 이선영 (출석률:0%) | |||
찬 반 여 부 | |||||
1 | 2022/01/19 | 2021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평가 보고의 건 | 찬성 | 찬성 | 불참 |
2 | 2022/01/24 | 제51기 사업실적 확정 결의의 건 | 찬성 | 찬성 | 불참 |
3 | 2022/03/10 | 제51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결의의 건 | 찬성 | 불참 | 불참 |
4 | 2022/03/16 | 전환사채 매도청구권 행사의 건 | 찬성 | 불참 | 불참 |
5 | 2022/03/18 | 제51기 사업실적 확정 및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찬성 | 불참 | 불참 |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김병식 (출석률:94%) | 김병수 (출석률:67%) | 박기종 (출석률:58%) | |||
찬 반 여 부 | |||||
6 | 2022/03/28 | 대표이사 선임의 건 | 불참 | 찬성 | 불참 |
7 | 2022/04/21 | 안전 보건 계획 및 HSE 경영책임 규정 승인의 건 등 | 찬성 | 불참 | 불참 |
8 | 2022/04/21 | 대구은행 차입에 관한 건 | 찬성 | 불참 | 불참 |
9 | 2022/04/21 | 대구은행 차입에 관한 건 (일람불수입을 위한 외화지급보증 조건 변경) | 찬성 | 불참 | 불참 |
10 | 2022/04/21 | 경남은행 신규 차입에 관한 건 | 찬성 | 불참 | 불참 |
11 | 2022/06/13 | 대구은행 통화선물환 거래약정 | 찬성 | 찬성 | 찬성 |
12 | 2022/06/22 | 신한은행 신규 차입에 관한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13 | 2022/11/30 | 산업은행 운영자금 차입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14 | 2022/12/07 | 산업은행 외국환(LC)거래 약정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15 | 2023/01/30 | 2022년 사업실적확정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16 | 2023/02/14 | 2023년 안전보건 계획서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17 | 2023/02/14 | 산업은행 운영자금 차입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18 | 2023/03/09 | 제52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결의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감사위원회 | 김병식 김철준 이선영 | 2022/01/21 | 제51기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보고의 건 | 가결 |
2022/03/18 | 제51기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감사 결의 재무제표 이사회 승인 동의 | 가결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3 | 3,000 | 43 | 14 | - |
*상기의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를 포함한 전체 이사에 대한 승인금액입니다.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철강산업은 대규모 설비투자가 수반되는 자본집약적 장치산업으로서 산업용 필수 기초소재를 공급하는 국가기간산업이며 내수 의존도가 높고 경기변동에 민감한 특성이 있습니다. 당사는 고철을 주원료로 하여 BILLET 및 봉형강 제품을 생산하는 전기로 제강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 수요산업은 건설, 조선, 자동차, 기계산업 등입니다.
2) 산업의 성장성
철강산업은 중국의 철강 감산과 수출억제에 기반한 철강정책은 철강수급에 우호적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전세계적인 인플레이션에 대응하는 주요국의 통화 긴축, 우크라이나 전쟁 등 거시환경의 불확실성이 철강수요의 회복을 제약할 수 있습니다.향후 철강산업은 동북아 역내시장을 포함한 국내외 전반적인 경기회복과 산업발전에 의한 연관산업의 수요증가 여부에 따라 성장세가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철강산업은 건설, 조선, 자동차, 기계 등 국내외 수요산업에 기초소재를 공급하는 국가기간산업으로서 수요산업이 광범위하며, 철강업 자체적으로 수요창출을 하지 못하는 산업의 특성상 수요산업의 경기변동에 민감합니다.
조선업의 경우 국내 조선사 수주잔고 기준으로 2023년 선박 예정 인도량이 2022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2024년까지 안정적인 수요성장이 예측됩니다. 건설업은 민간부문은 주택가격 하락으로 인한 미분양 증가, PF 우발채무 금융리스크 확대로 분양 및 착공 시점을 미루는 상황이며 공공부문도 2023년 SOC예산이 전년대비 10% 감소하여 위축될 전망입니다.
4) 경쟁요소
철강산업의 경쟁요소는 안정적이고 적정한 가격의 원료조달과 생산제품의 품질 및 생산량 증가에 의한 원가절감으로 결정됩니다. 안정적인 원료 조달을 위하여 생산계획에 따른 재고관리를 철저히 하고 있으며, 생산설비의 최신 현대화와 기술축적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신제품개발, 신수요창출에 진력하고 있으며, 경쟁력강화를 위해 소량 다품종 특화전략으로 수요산업의 경기변동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2020년 하반기부터 투자해온 최신설비의 신규압연공장을 완공하여 2022년 3분기부터 생산을 시작하여 신규시장에 진입하였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단위 : 백만원) |
구분 | 2022년 | 2021년 | 증감 | 비고 |
---|---|---|---|---|
매출액 | 795,940 | 691,525 | 104,415 | - |
영업이익 | 30,700 | 40,011 | (9,311) | -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 32,335 | 33,204 | (869) | - |
당기순이익(손실) | 40,221 | 36,783 | 3,438 | - |
당기 총매출액은 7,959억원으로 제품 4,991억원, BILLET 2,930억원, 기타 매출액 38억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기 대비 1,044억원이 증가하였습니다. 당기 영업이익은 전기 대비 93억원이 감소한 307억원이고, 당기 순이익은 402억원입니다. 회사는 신규압연공장의 안정적인 생산과 이에 따른 매출증대로 외형적인 성장뿐만 아니라 판로개척과 적극적인 원가절감의 노력으로 내실을 다지는 경영활동을 통해서 불확실한 외부 환경요소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각종 철강제품의 제조 및 판매를 영업목적으로 하는 단일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한국표준산업분류표 : 241 제1차 철강 제조업) 생산제품은 건설, 조선, 자동차, 기계 등 전방산업의 기초소재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중소형 봉형강 시장의 시장 점유율은 합리적인 추정이 곤란하여 기재를 생략합니다.
(3) 시장의 특성
당사는 봉형강류를 주요 품목으로 제조·판매 하고 있으며, 대부분 유통업체를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영업을 하고 있습니다. 봉형강류는 특수강 및 판재류 등에 비해 품질상의 차별화가 용이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시장에서 가격경쟁이 치열한 편이며, 주로 건설, 자동차, 조선 등 산업분야의 기초소재로 사용되며 경기변동의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기존 봉형강 제품과의 시너지 효과와 제품 포트폴리오 개선을 통한 수익성 창출을 위해 칠서 공장에 압연공장을 신설하기로 결정하였고 2020년 하반기에 투자해온 최신설비의 신규압연공장을 완공하여 2022년 3분기부터 생산을 시작하여 신규시장에 진입하였습니다.
(5) 조직도
조직도 |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 III. 경영참고사항의 "영업개황" 참조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재무상태표ㆍ포괄손익계산서ㆍ자본변동표ㆍ현금흐름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 아래의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최종 확정전 자료이며,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 및 주석은 정기주주총회일의 1주간 전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할 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재 무 상 태 표> |
제 52 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
제 51 기 2021년 12월 31일 현재 |
(단위 : 원) |
과 목 | 제 52(당) 기 | 제 51(전) 기 | ||
---|---|---|---|---|
자산 | ||||
I.유동자산 | 241,847,071,140 | 201,355,426,519 | ||
1. 현금및현금성자산 | 51,122,078,350 | 43,942,260,720 | ||
2. 매출채권과기타채권 | 58,202,630,247 | 57,416,249,759 | ||
3. 기타유동자산 | 1,330,420,911 | 215,301,262 | ||
4. 기타금융자산 | 1,704,964,462 | 1,800,000,000 | ||
5. 당기법인세자산 | 36,667,470 | 28,850,730 | ||
6. 재고자산 | 129,450,309,700 | 97,952,764,048 | ||
II.비유동자산 | 307,981,332,561 | 257,358,556,731 | ||
1.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68,792,887 | 5,000,000 | ||
2. 유형자산 | 306,750,939,674 | 254,657,337,216 | ||
3. 영업권 이외의 무형자산 | 851,600,000 | 2,385,819,515 | ||
4.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 - | 400,000 | ||
5. 기타비유동자산 | 310,000,000 | 310,000,000 | ||
자산총계 | 549,828,403,701 | 458,713,983,250 | ||
부채 | ||||
I.유동부채 | 217,425,096,298 | 113,088,565,249 | ||
1. 매입채무 및 기타유동채무 | 51,130,651,575 | 53,037,628,101 | ||
2. 유동성차입금 및 사채 | 153,638,091,785 | 47,500,000,000 | ||
3. 유동성회생채무 | 12,656,352,938 | 12,550,937,148 | ||
II.비유동부채 | 131,150,732,334 | 203,634,680,963 | ||
1. 장기매입채무 및 기타비유동채무 | 292,930,390 | 2,183,852,428 | ||
2. 비유동차입금 및 사채 | 79,835,153,448 | 128,356,000,989 | ||
3. 비유동회생채무 | 32,823,028,844 | 45,919,180,926 | ||
4. 비유동충당부채 | 938,372,661 | 1,037,945,775 | ||
5. 퇴직급여부채 | 13,156,690,312 | 14,823,456,100 | ||
6. 이연법인세부채 | 4,104,556,679 | 11,314,244,745 | ||
부채총계 | 348,575,828,632 | 316,723,246,212 | ||
자본 | ||||
I.자본금 | 30,294,799,000 | 26,621,238,000 | ||
II.기타자본구성요소 | 82,273,205,871 | 71,040,940,984 | ||
III.이익잉여금 | 88,684,570,198 | 44,328,558,054 | ||
자본총계 | 201,252,575,069 | 141,990,737,038 | ||
부채와자본총계 | 549,828,403,701 | 458,713,983,250 |
<포 괄 손 익 계 산 서> |
제 52 기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제 51 기 2021년 01월 0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52(당) 기 | 제 51(전) 기 | ||
---|---|---|---|---|
I.매출액 | 795,939,630,828 | 691,525,199,712 | ||
II.매출원가 | 741,993,500,869 | 630,098,880,682 | ||
III.매출총이익 | 53,946,129,959 | 61,426,319,030 | ||
IV.판매비와관리비 | 23,246,544,532 | 21,414,852,807 | ||
V.영업이익 | 30,699,585,427 | 40,011,466,223 | ||
VI.영업외손익 | 1,635,325,494 | (6,806,730,502) | ||
1. 금융수익 | 1,071,894,878 | 704,261,441 | ||
2. 금융비용 | 12,489,534,270 | 9,331,673,488 | ||
3. 기타수익 | 13,266,190,448 | 1,926,638,183 | ||
4. 기타비용 | 213,225,562 | 105,956,638 | ||
VII.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32,334,910,921 | 33,204,735,721 | ||
VIII.법인세비용(수익) | (7,886,489,589) | (3,579,056,778) | ||
IX.당기순이익 | 40,221,400,510 | 36,783,792,499 | ||
X.기타포괄손익 | 3,401,233,898 | (1,516,985,032) | ||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손익 | 3,401,233,898 | (1,490,683,512)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평가손익 | - | (26,301,520) | ||
XI.총포괄이익 | 43,622,634,408 | 35,266,807,467 | ||
XII.주당손익 | ||||
1. 기본주당순이익 | 687 | 691 | ||
2. 희석주당순이익 | 583 | 618 |
<자 본 변 동 표> | |
제 52 기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제 51 기 2021년 01월 0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
(단위 : 원) |
과 목 | 자 본 금 | 자 본 잉여금 | 기타포괄 손익누계액 | 이 익 잉여금 | 총 계 |
---|---|---|---|---|---|
2021.01.01 (전기초) | 26,621,238,000 | 66,212,009,195 | 26,301,520 | 8,531,689,507 | 101,391,238,222 |
당기순이익 | - | - | - | 36,783,792,499 | 36,783,792,499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 - | (1,490,683,512) | (1,490,683,512)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평가손익 | - | - | (26,301,520) | 503,759,560 | 477,458,040 |
전환사채의 전환권대가 | - | 4,828,931,789 | - | - | 4,828,931,789 |
2021.12.31 (전기말) | 26,621,238,000 | 71,040,940,984 | - | 44,328,558,054 | 141,990,737,038 |
2022.01.01 (보고금액) | 26,621,238,000 | 71,040,940,984 | - | 44,328,558,054 | 141,990,737,038 |
오류수정에 따른 변동 | - | 788,904,907 | - | 733,377,736 | 1,522,282,643 |
2022.01.01(당기초) | 26,621,238,000 | 71,829,845,891 | - | 45,061,935,790 | 143,513,019,681 |
당기순이익 | - | - | - | 40,221,400,510 | 40,221,400,510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 - | 3,401,233,898 | 3,401,233,898 |
전환사채의 전환 | 3,673,561,000 | 10,443,359,980 | - | - | 14,116,920,980 |
2022.12.31 (당기말) | 30,294,799,000 | 82,273,205,871 | 0 | 88,684,570,198 | 201,252,575,069 |
<현 금 흐 름 표> | |
제 52 기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제 51 기 2021년 01월 0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
(단위 : 원) |
과 목 | 제 52(당) 기 | 제 51(전) 기 | ||
---|---|---|---|---|
I.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13,575,331,983 | 3,898,185,550 | ||
1. 당기순이익(손실) | 40,221,400,510 | 36,783,792,499 | ||
2. 당기순이익조정을 위한 가감 | 10,769,998,744 | 17,343,091,962 | ||
3. 영업활동으로인한자산부채변동 | (30,037,638,872) | (49,857,596,723) | ||
4. 이자수취 | 239,001,513 | 194,032,559 | ||
5. 이자지급 | (7,609,613,172) | (4,645,358,967) | ||
6. 법인세환급(납부) | (7,816,740) | (19,775,780) | ||
7. 배임관련 미수금의 회수 | - | 4,100,000,000 | ||
II.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57,781,370,145) | (51,170,507,431) | ||
1.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2,340,224,939 | 8,025,304,902 | ||
정기예적금등의 해지 | 1,800,000,000 | 6,400,000,000 | ||
매도가능금융자산의 처분 | 400,000 | 1,373,509,080 | ||
단기대여금의 감소 | 446,900,150 | 110,773,624 | ||
유형자산의 처분 | 92,000,000 | 4,920,000 | ||
무형자산의 처분 | 924,789 | 20,700,000 | ||
기타 장기성 자산의 처분 | - | 5,000,000 | ||
장기금융상품의 처분 | - | 110,402,198 | ||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60,121,595,084) | (59,195,812,333) | ||
정기예적금등의 가입 | (1,200,000,000) | (2,600,000,000) | ||
단기대여금의 증가 | (446,088,650) | (111,373,825) | ||
유형자산의 취득 | (58,167,574,554) | (55,143,193,948) | ||
무형자산의 취득 | (244,965,000) | (1,114,200,000) | ||
기타 장기성 자산의 취득 | - | (185,000,000) | ||
장기금융상품의 취득 | (62,966,880) | (42,044,560) | ||
III.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51,668,205,219 | 56,312,468,862 | ||
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72,000,000,000 | 71,896,899,760 | ||
단기차입금의 차입 | 41,000,000,000 | - | ||
장기차입금의 차입 | 31,000,000,000 | 32,000,000,000 | ||
사채의 증가 | - | 39,896,899,760 | ||
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20,331,794,781) | (15,584,430,898) | ||
단기차입금의 상환 | (500,000,002) | - | ||
유동성회생채무의 변제 | (12,903,145,611) | (10,099,447,422) | ||
유동성장기차입금의 상환 | (4,337,316,000) | (3,300,000,000) | ||
유동성리스부채의 상환 | (153,638,290) | (323,298,172) | ||
회생채무의 변제 | (2,437,694,878) | (1,861,685,304) | ||
IV.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 (282,349,427) | (9,798,426) | ||
V.현금및현금성자산의 순증감( I + II + III + Ⅳ ) | 7,179,817,630 | 9,030,348,555 | ||
VI.기초의현금 | 43,942,260,720 | 34,911,912,165 | ||
VII.기말의현금 | 51,122,078,350 | 43,942,260,720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
제 52 기 (2022.01.01 부터 2022.12.31 까지) |
제 51 기 (2021.01.01 부터 2021.12.31까지) |
(단위 : 원) |
구 분 | 제 52(당) 기 | 제 51(전) 기 |
---|---|---|
Ⅰ. 미처분이익잉여금(결손금) | 88,684,570,198 | 44,328,558,054 |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44,328,558,054 | 8,531,689,507 |
전기오류 수정 | 733,377,736 | - |
당기순이익 | 40,221,400,510 | 36,783,792,499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3,401,233,898 | (1,490,683,512) |
매도금융자산처분 | - | 503,759,560 |
Ⅱ. 임의적립금등 이입액 | - | - |
Ⅲ. 이익잉여금 처분액 | - | - |
Ⅳ.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88,684,570,198 | 44,328,558,054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최근 2사업연도 배당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8명 ( 3명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3,000백만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8명 ( 3명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284백만원 |
최고한도액 | 3,000백만원 |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2023년 03월 17일 |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 상법시행령 제31조(주주총회의 소집공고) 제4항 제4호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개최 1주 전까지 회사 홈페이지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 홈페이지 주소 : http://www.ekosco.com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가. 전자투표 관리시스템 인터넷 및 모바일 주소 : https://vote.samsungpop.com 나. 전자투표 행사 기간 : 2023년 3월 17일 오전9시 ~ 2023년 3월 26일 오후5시 (기간 중 24시간 투표가능) 다. 본인 인증 (공동인증, 카카오페이, 휴대폰인증)을 통해 주주본인을 확인 후 의안별로 의결권 행사 라. 새로 상정된 안건이나 변경 수정 안건 등에 대한 의결권의 행사 - 주주총회시 새로이 상정된 안건이나 각호 의안에 대한 수정안이 상정될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0000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