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은행 (00622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3-03 17:49: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03000702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년     3월    3일


회   사   명 : (주)제주은행
대 표 이 사 : 박우혁
본 점 소 재 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100로 3351(노형동)

(전   화)064-720-0200

(홈페이지)https://www.e-jejubank.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부장 (성  명)고병출

(전  화)064-720-0328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63기 정기)


                                                  -아       래-

1. 일 시 : 2023년 3월 22일(수) 오전 9시

2. 장 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100로 3351(노형동) 제주은행 본점 5층 대회의실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1) 감사보고
       2) 영업보고
       3) 기타보고

   나. 의결사항
        1) 제1호의안 : 제63기(2022.01.01 ~ 2022.12.31) 재무제표(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 포함)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2) 제2호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3) 제3호의안 : 이사 선임의 건
            - 제3-1호 : 사내이사 선임의 건 (후보 박찬호)
            - 제3-2호 : 사외이사 선임의 건 (후보 이원호)
            - 제3-3호 : 사외이사 선임의 건 (후보 강영순)
            - 제3-4호 : 사외이사 선임의 건 (후보 김정희)
            - 제3-5호 : 기타비상무이사(비상임이사) 선임의 건 (후보 김일환)
       
        4) 제4호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선임의 건 (후보 정순여)
       
        5) 제5호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 제5-1호 : 사내이사인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후보 박찬호)
            - 제5-2호 : 사외이사인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후보 강영순)
       
        6) 제6호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등의 비치
 상법 제542조의4 제3항에 의거 경영참고사항 등을 당사,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한국예탁결제원에 비치하오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5.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 직접 행사 : 주주총회 참석장, 신분증
- 간접 행사 : 주주총회 참석장,
                  위임장 (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및 증명서 첨부),
                  대리인의 신분증

6.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고 있으며,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시스템 인터넷 주소 : 「https://evote.ksd.or.kr」
    모바일 주소 : 「https://evote.ksd.or.kr/m」
나. 전자투표 행사 기간 : 2023년3월12일(일) 오전 9시 ~ 2023년3월21일(화) 오후 5시
다. 인증서를 이용하여 시스템에서 주주본인 확인 후 의안별 전자투표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
                                              (K-VOTE에서 사용가능한 인증서 한정)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7. 기타사항
- 주주총회 개최 전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불가피한 장소 변경이 있는 경우, 지체없이 재공시할 예정입니다.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이사회 가결여부 사외이사 비상임이사
이원호 변영철 강영순 정순여 김정희 이인균 박성현 김일환
(출석률 : 100%) (출석률 : 100%) (출석률 : 100%) (출석률 : 100%) (출석률 : 100%) (출석률 : 80.0%) (출석률 : 100%) (출석률 : 87.5%)
 
1 2022.02.08 1. 제62기(2021년도) 결산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선임 전 찬성 찬성
<보고사항>
1. 2021년도 이사회내위원회 운영결과 보고
2. 금융소비자보호 내부통제위원회 운영결과 보고
3. 비예금상품위원회 운영결과 보고
4. 2021년도 4분기 그룹사간 고객정보 공유현황 및 점검결과 보고
5. 2021년도 재산상 이익제공 점검결과 보고
6. 2021년도 하반기 자금세탁방지업무 이행실적 보고
7. 2021년도 내부통제 활동결과 보고
보고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선임 전 출석 출석
2 2022.03.02 1. 정관 및 중요규정 개정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선임 전 찬성 찬성
2. 2022년도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선임 전 찬성 찬성
3. 비상임이사 후보 추천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선임 전 찬성 찬성
4. 제62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및 의안 확정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선임 전 찬성 찬성
5. 특수관계인에 대한 신용공여한도 초과 운용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선임 전 찬성 찬성
<보고사항>
1. 2021년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결과 보고
2. 2021년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결과의 적정성
    평가결과 보고
3. 제62기 사업연도(2021년도) 감사보고서 작성 및 제출 보고
4. 제62기 정기주주총회 의안 및 서류에 대한 조사결과 보고
5. 2021년도 자금세탁방지업무 수행의 적절성과 효과성에 대한
    평가결과 보고
6. 2021년도 감사결과 보고
7. 이사회내위원회 운영실적 보고
보고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선임 전 출석 출석
3 2022.03.11 1. 제62기(2021년도) 재무제표 등 변동사항 승인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선임 전 찬성 불참
4 2022.03.23 1. 이사회 의장 선임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불참 퇴임 찬성
2. 위험관리위원회 위원 및 위원장 선임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불참 퇴임 찬성
3. 보수위원회 위원 및 위원장 선임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불참 퇴임 찬성
4. 임원후보추천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불참 퇴임 찬성
5. 고문 위촉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불참 퇴임 찬성
6. 신한금융희망재단 출연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불참 퇴임 찬성
<보고사항>
1. 감사위원회 위원장 선임 보고
2. 상임감사위원 성과평가 체계 수립 보고
3. 이사회내위원회 운영실적 보고
4. 2021년도 비예금상품 판매 내부통제체계 적정성 점검결과 보고
5. 2021년도 신용정보관리보호인 업무수행 실적 보고
보고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불참 퇴임 출석
5 2022.05.26 1. 신한상표 등 사용계약 금액 변경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퇴임 찬성
<보고사항> 보고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퇴임 출석
1. 2022년 1분기 경영실적 현황 보고
2. 이사회내위원회 운영실적 보고
3. 특수관계인에 대한 신용공여한도 연장 운용 보고
4. 재산상 이익제공 보고
5. 2022년 1분기 그룹사간 고객정보 공유현황 및 점검결과 보고
6. 2022년 1분기 비예금상품위원회 운영실적 보고
7. 2022년 1분기 자금세탁방지업무 이행실적 보고
6 2022.08.25 1. 본점 이전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퇴임 찬성
2. 업무용 부동산 매각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퇴임 찬성
3. 재산상 이익제공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퇴임 찬성
4. 콜옵션 만기도래에 따른 신종자본증권 중도 상환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퇴임 찬성
5. BIS비율 제고를 위한 신종자본증권 발행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퇴임 찬성
<보고사항> 보고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퇴임 출석
1. 2022년 상반기 경영실적 현황 보고
2. 경영진(업무집행책임자, CISO) 선임 보고
3. 자회사 경영승계계획 보고
4. 경영승계 육성후보군 역량개발 활동 결과 및 선정 현황 등 보고
5. 이사회내위원회 운영실적 보고
6. 금융소비자보호 내부통제위원회 운영실적 보고
7. 비예금상품위원회 운영실적 보고
8. 2022년 2분기 그룹사간 고객정보 공유현황 및 점검결과 보고
9. 2022년 2분기 자금세탁방지업무 이행실적 보고
7 2022.11.24 1. 감사위원회규정 개정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퇴임 찬성
2. 계열사간 거래 승인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퇴임 찬성
<보고사항> 보고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퇴임 출석
1. 2022년 3분기 경영실적 현황 보고
2. 신종자본증권 중도상환 및 발행 완료 보고
3. 외화유동성 확충 계획 보고
4. 대주주의 특수관계인인 공익법인 등에 대한 자산의 무상양도
  적정성 점검 보고
5. 이사회내위원회 운영실적 보고
6. 비예금상품위원회 운영실적 보고
7. 2022년 3분기 그룹사간 고객정보 공유현황 및 점검결과 보고
8. 2022년 3분기 자금세탁방지업무 이행실적 보고
8 2022.12.27 1. 2023년도(제64기) 경영계획 수립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퇴임 찬성
2. 사외이사, 이사회 및 이사회내위원회 운영실적 평가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퇴임 찬성
3. 경영진(업무집행책임자/CRO) 선임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퇴임 찬성
4. 2023년도 최소 자기자본비율 설정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퇴임 찬성
5. 2023년도 리스크 총한도 설정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퇴임 찬성
6. 트레이딩 정책규정 개정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퇴임 찬성
7. 2023년도 그룹사간 내부거래 포괄 승인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퇴임 찬성
<보고사항> 보고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퇴임 출석
1. 경영진(업무집행책임자/CISO) 선임 보고
2. 이사회내위원회 운영실적 보고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1) 감사위원회

위원회명 구성원 활동내역 가결여부
개최일자 의안내용
감사위원회

[2021년3월24일~2022년3월23일 이전]
※위원장 : 정순여
※사내이사위원 : 박용욱
※사외이사위원 : 강영순

[2022년3월23일~현재]
※위원장 : 정순여
※사내이사위원 : 박용욱
※사외이사위원 : 강영순
2022.02.08 1. 감사부장 임면에 대한 동의 가결
2. 2021년도 자금세탁방지업무 수행의 적절성과 효과성에 대한 평가 가결
<심의사항>
1. 공시정책의 수립 및 집행의 적정성 검토
-
2022.03.02 1. 제62기 사업연도(2021년도) 감사보고서 작성 및 제출 가결
2. 제 62기 정기주주총회 의안 및 서류에 대한 조사결과 보고 가결
<심의사항>
1. 2021년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결과의 적정성 평가
<보고사항>
1. 2021년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결과 보고
2. 2021년도 감사결과 보고
3. 2021년도 기말 재무제표 감사결과 보고
-
2022.03.11 1. 제62기 사업연도(2021년도) 감사보고서 재작성 및 제출 가결
2. 제62기 정기주주총회 의안 및 서류에 대한 조사결과 보고 가결
2022.03.23 1. 감사위원회 위원장 선임 가결
2. 상임감사위원 성과평가체계 수립 가결
<심의사항>
1. 내부통제시스템 운영의 적정성 평가
-
2022.05.26 <심의사항>
1. 2021년 외부감사인의 감사활동에 대한 평가
<보고사항>
1. 2022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 계획 보고
2. 2022년 1분기 재무제표 검토 결과 보고
-
2022.08.25 <보고사항>
1. 2022년 반기 재무제표 검토 결과 보고
-
2022.11.24 1. 외부감사인 선정기준 및 절차의 승인 가결
2. 외부감사인 선정 및 감사보수 등에 대한 결의 가결
3. 상임감사위원직무규정 개정의 건 가결
<심의사항>
1. 감사위원회규정 개정의 건
<보고사항>
1. 2022년도 내부회계관리제도 중간평가 결과 보고
2. 2022년도 통합감사계획 및 3분기 재무제표 검토 결과 보고
3. 2022년도 내부회계관리제도 중간평가 결과의 적정성 평가 보고
-
2022.12.27 1. 2023년도 감사계획(안) 수립 가결
2. 2022년도 상임감사위원 성과 평가 가결


(2) 위험관리위원회

위원회명 구성원 활동내역 가결여부
개최일자 의안내용
위험관리위원회 [2021년3월24일~2022년3월23일 이전]
※위원장 : 변영철
※사외이사위원 : 이원호, 김정희

[2022년3월23일~현재]
※위원장 : 변영철
※사외이사위원 : 이원호, 김정희
2022.02.08 1. 비상조달계획 수립의 건 가결
2. 리스크관리규정 개정의 건 가결
3. 유동성리스크관리지침 개정의 건 가결
2022.03.02 <보고사항>
1. 2021년도 12월말 기준 통합위기상황분석 시나리오 설정 보고
2. 2021년도 4분기 리스크관리 현황 보고
-
2022.05.26 <보고사항>
1. 2021년 12월말 기준 통합위기상황분석 결과 보고
2. 2022년 1분기 리스크관리 현황 보고
3. 유동성리스크(유동성 VaR) 한도 초과 보고
-
2022.07.13 1. 2022년 재무계획(IFRS9) 비소매PD 변경(안) 가결
2. 종합위기관리규정 개정의 건 가결
3. 위기관리위원회규정 개정의 건 가결
4. 위기관리협의회규정 개정의 건 가결
2022.08.25 1. 유동성리스크 산출 방법론 변경의 건 가결
2. 유형별리스크 한도 조정의 건 가결
3. 2022년도 계열 및 개별기업 Exposure Limit 설정(안) 가결
4. 리스크관리운영위원회규정 개정의 건 가결
<심의사항>
1. 콜옵션 만기도래에 따른 신종자본증권 중도 상환의 건
2. BIS비율 제고를 위한 신종자본증권 발행의 건
<보고사항>
1. 신용리스크 내부등급법 변경사항 보고
2. 2022년 6월말 기준 통합위기상황분석 시나리오 설정 보고
3. 금융감독원 시나리오 기준 스트레스테스트 결과 보고
4. 2022년 2분기 리스크관리 현황 보고
-
2022.11.24 1. 통합위기상황분석 결과 및 이에 따른 자본관리계획 및 비상조달계획(안) 가결
2. 리스크관리규정 개정의 건 가결
<보고사항>
1. 금융감독원 시나리오기준 스트레스테스트 결과 보고
2. 2022년 3분기 리스크관리 현황 보고
-
2022.12.27 1. 2023년도 유형별 리스크한도 설정의 건 가결
2. 운영리스크 산출방법론 변경의 건 가결
3. 시장리스크 산출방법론 변경의 건 가결
4. 2023년도 신용리스크 측정요소 적용에 관한 사항 가결
5. 신용리스크 내부등급법 변경 승인 신청의 건 가결
<심의사항>
1. 2023년도 최소 자기자본비율 설정의 건
2. 2023년도 리스크 총한도 설정의 건
3. 트레이딩 정책규정 개정의 건
<보고사항>
1. 2022년도 내부자본적정성 평가 보고
2. 신용평가모형 및 신용리스크 측정요소 정기 적합성 검증 결과 보고
3. 신용위험가중자산 산출시스템 정기 적합성 검증 결과 보고
4. 통합위기상황분석 정기 적합성 검증 결과 보고
5. 부도관리시스템 정기 적합성 검증 결과 보고
6. ALM시스템 정기 적합성 검증 결과 보고
-


(3) 보수위원회

위원회명 구성원 활동내역 가결여부
개최일자 의안내용
보수위원회 [2021년3월24일~2022년3월23일 이전]
※위원장 : 변영철
※사외이사위원 : 정순여
※비상임이사위원 : 박성현

[2022년3월23일~현재]
※위원장 : 변영철
※사외이사위원 : 정순여
※비상임이사위원 : 이인균
2022.02.08 1. 2021년도 보수체계 연차보고서의 작성 및 공시의 건 가결
2022.03.17 1. 2021년도 경영진 성과평가에 관한 건 가결
2. 2021년도 경영진 단기성과급 지급의 건 가결
3. 경영진 장기성과급 산정을 위한 성과지표 적용의 건 가결
4. 2021년도 보수체계 설계·운영의 적정성 평가의 건 가결
5. 2022년도 경영진 성과평가체계에 관한 건 가결
6. 2022년도 경영진 성과보수체계에 관한 건 가결
<보고사항>
1. 보수체계 연차보고서 추가 공시 보고
-


(4) 임원후보추천위원회

위원회명 구성원 개최일자 임원후보추천위원회 가결여부
의안내용
임원후보추천위원회 [2021년3월24일~2022년3월23일 이전]
※위원장 : 이원호
※사외이사위원 : 강영순, 김정희
※비상임이사위원 : 박성현, 김일환

[2022년3월23일~현재]
※위원장 : 이원호
※사외이사위원 : 강영순, 김정희
※비상임이사위원 : 이인균, 김일환
2022.02.08 1. 사외이사 선임원칙 점검 및 보완의 건 가결
2. 사외이사 후보군 관리에 관한 건 가결
3. 사외이사 예비후보 추천의 건 가결
<보고사항>
1. 사외이사 평가결과 보고
-
2022.03.02 1. 사외이사 후보 추천의 건 가결
2. 감사위원회 위원 후보 추천의 건 가결
<보고사항>
1. 사외이사 후보자 자격요건 검토 보고
-
2022.03.23 1. 임원후보추천위원회 위원장 선임의 건 가결
2022.12.27 1. 사외이사 후보군 관리에 관한 건 가결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5 1,500 194 39 기본급 및 수당
비상임이사 2 35 17 기본급 및 수당

※인원수 : 2022년도 12월말 기준(연환산 인원수), 1인당 평균지급액 : 지급총액/연환산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 등기이사(사외이사 포함) 총 한도 기준
※사외이사 등 보수지급 기준은 주총승인금액 범위 내에서 이사회에서 결정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해당사항 없음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해당사항 없음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가)  글로벌 경제 전망

 2022년 상반기 중 글로벌 경제는 COVID-19 확산세 둔화와 거리두기 완화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 높은 원자재 가격 지속과 공급망 차질 등으로 악화되었습니다. 작년 하반기부터 나타난 주요국의 높은 인플레이션은 고점을 거듭 경신하고 있으며, 각국 중앙은행이 긴축적 통화정책으로 대응하고 있어 경기둔화 혹은 침체 리스크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2분기 GDP성장률의 속보치가 -0.9%(전분기대비 연율)로 집계되어 1분기 -1.6%에 이어 2분기 연속 역성장하였습니다. 1분기는 순수출 등 대외 요인에 기인한 반면, 2분기에는 내수 부진이 크게 영향을 미쳤습니다. 경제활동 재개로 서비스 소비는 견조한 모습을 이어갔으나, 고물가 영향으로 상품소비는 감소하였습니다. 또한 미국의 6월 CPI가 9.1%로 41년래 최고치로 상승하는 등 높은 물가 오름세의 영향으로 기준금리 인상이 가팔라졌으며, 이는 소비감소 및 투자위축을 불러와 경기침체 위험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견조한 고용지표 등을 감안할 때 실질적인 경기침체가 아니라는 견해도 있으나, IMF는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3%로 제시하면서 4월 전망 대비 큰 폭으로 조정하였고 미국의 경기침체가 이미 시작됐을 수 있다고 언급하였습니다.

중국에서는 상반기중 '제로코로나 정책'으로 주요 도시가 봉쇄되며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었으며, 2분기 GDP 성장률은 0.4%(전년 동기대비)로 집계되어 경기 부진을 확인하였습니다. 하반기에는 대규모 정부 부양책과 인프라 투자가 예정되어 있으며, 6월 들어 산업활동이 확장세으로 돌아서는 등 일부 경제지표가 개선되고 있어 반등을 기대하는 시각도 있습니다. 그러나 글로벌 경기둔화 및 COVID-19 재확산, 부동산 부실과 같은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로 수요 회복이 지연되고 있어 2020년과 같은 V자형의 빠른 회복세는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中 경기 하방 리스크 확대로 다수의 IB들이 올해 목표로 설정한 5.5% 성장률 달성은 힘들 것으로 예상하는 가운데, 7월 IMF는 중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4.4%에서 3.3%로 조정하였으며 이는 팬데믹을 제외하고 40여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유로존 GDP는 경제활동 재개로 2분기에 0.7%(전분기 대비) 성장하여 시장예상보다는 선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가 약화되고 있습니다. 최근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있으며 6월 제조업 및 서비스업 PMI가 지난해 3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경제심리도 약화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기둔화 압력에도 유로존의 물가가 에너지 가격 급등 등의 요인으로 6월 CPI가 8.6%로 집계되어 통계 최고치를 경신하자, ECB는 7월 통화정책회의에서 11년만에 금리인상을 하며 예상보다 큰 폭인 빅스텝(50bp인상)을 단행하였습니다. 對러 제재 여파로 유로존의 에너지 위기가 고조되는 가운데, 러시아는 독일행 가스 공급량을 대폭 축소하여 산업 생산활동을 위축시키고 인플레를 더욱 자극하고 있습니다. 러시아가 유럽행 천연가스를 차단할 경우 독일이 연내 큰 폭의 경기침체에 직면하게 되는 등 유로존은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에너지 수급 차질 가능성으로 향후 성장경로의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입니다.

 7월 IMF는 세계경제는 우울하며,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다고(Gloomy and More Uncertain)하면서 높은 물가상승 지속과 중국의 성장둔화, 전쟁 및 코로나 영향을 근거로 성장 전망을 대폭 하향하였습니다. 선진국의 경제 성장률은 기존 대비 0.8%p 하향한 2.5%로, 신흥국은 0.2%p 하향한 3.6%로 전망하였습니다. 선진국은 높은 인플레이션에 직면하였으며, 신흥국은 주요국의 통화정책이 긴축기조로 돌아서자 자본이탈 위험과 동시에 中경기둔화에 따른 경제성장 약화 압력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경기 침체 위험이 전방위적으로 높아지는 상황에서 각국은 인플레이션 압력을 완화하는 정책을 우선순위로 하되, 취약계층을 보호하고 경기하방 리스크의 충격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통화, 재정 정책을 구사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나)  한국경제 및 금융시장 전망

 2022년 상반기 중 한국 경제는 1분기 0.6%, 2분기 0.7%의 경제성장률(전기대비)을 달성하여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였습니다. 1분기에는 반도체, 화학제품 등 주력산업의 수출이 호조세를 보였으며, 2분기에는 민간소비 반등과 정부소비가 성장을 이끌며 8분기 연속 성장하였습니다.

 민간소비는 1분기 중에는 오미크론 확대로 위축되었으나, 2분기에 의류 및 신발 등의 준내구재와 서비스 수요가 늘어 전분기 대비 3.0% 증가하였습니다. 특히 거리두기 완화에 따른 서비스 수요 확대가 도소매 및 숙박 음식업, 문화 및 기타 서비스업 부문의 증가로 이어져 2분기 성장에 주요 역할을 하였습니다. 추경 집행 및 사회보장현물 수혜를 중심으로 정부 소비도 1.1% 증가하여 2분기 성장을 뒷받침하였습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장비 및 자동차 부품 공급차질 상황으로 4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하였으며, 건설투자는 건물 건설의 양호한 수요로 플러스로 소폭 반등하였습니다. 1분기 성장을 이끌었던 수출은 2분기에는 3.1% 감소하였는데 이는 COVID-19로 타격을 받았던 2020년 2분기(-14.5%)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수치입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공급망 차질이 지속되었고, 중국의 코로나 봉쇄 등으로 對中무역의 주요 품목인 화학과 금속제품 수출이 감소된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한국은 4월부터 3개월 연속 무역적자를 기록하였으며(7월 말 현재) 2분기 순수출의 성장 기여도는 -1.1%p로 전분기 1.7%p에서 큰 폭으로 하락하였습니다.

 하반기에는 수출과 소비가 동시에 위축될 가능성이 높아 경기하방 압력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대외여건 불확실성으로 수출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으며, 원유 및 구리 등 일부 품목의 가격 조정이 있었지만 곡물, 천연가스등의 가격은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어 무역적자 폭을 확대하는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또한 높은 물가 지속과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가계의 이자부담 가중, COVID-19 재확산으로 인한 대면 모임 감소 등으로 소비심리가 악화될 우려가 있습니다. 금리상승과 높은 인플레는 소비 뿐 아니라 설비투자와 건설경기에도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다만,반도체·석유제품과 같은 주력품목과 바이오ㆍ이차전지 등 신산업부문의 수출이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자동차 부품의 공급차질 해소 시 수출물량이 증가될 것으로 기대되는 점은 국내 경기하방 압력을 다소 제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6월 한국의 CPI가 6%에 진입하는 등 높은 물가가 지속되고 있으며 글로벌 금리인상기조로 韓銀은 상반기에 세차례 기준금리를 인상하였습니다. 7월 금통위에서는 빅스텝(50bp)금리 인상을 단행하여 연초에는 1%였던 기준금리를 7월에는 2.25%까지 인상하였습니다. 이러한 금리 인상은 물가 안정을 통화 정책의 우선순위에 둔다는 인식을 반영한 것으로 향후 금통위는 韓·美 기준금리 역전과 이에 따른 자본유출 가능성, 인플레 압력, 원/달러 환율, 韓 경제상황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결정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미국이 자이언트 스텝(75bp) 금리인상을 2연속 단행하는 등 긴축을 가속화하고 있는데다 국내 물가가 수개월 동안 높은 수준에 머무를 것이라는 전망, 악화되는 무역/경상수지 적자와 이에 따른 환율 상승 등을 감안할 때 한국의 기준금리는 시장 예상보다 더 가파르게 상승할 가능성이 있어 연내 3%대 진입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마지막으로 원/달러 환율은 미국의 통화긴축 가속화와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로 고환율 기조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외환시장에서 强달러가 지속되자 원/달러 환율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빠른 속도로 상승하여 6월말 이후 1,300원 선을 상회하여 7월말 현재까지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향후 원/달러 환율은 당국의 외환시장 안정화 노력 등 일부 하방압력이 있으나, 무역수지 적자폭 확대 등으로 인하여 외환 보유고 감소가 지속되고 있으며 韓美금리차 확대로 인한 자본유출 가속화 시 1,300원 내외에서 등락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2) 금융산업 동향

(가) 은행업

① 산업의 특성
은행업은 예금을 받거나 유가증권 또는 그 밖의 채무증서를 발행하여 불특정 다수로부터 채무를 부담함으로써 조달한 자금을 대출하는 것을 주된 업으로 하는 산업입니다.
은행의 업무는 예ㆍ적금의 수입, 유가증권 또는 채무증서 발행 등으로 조달한 자금을 대출하는 업무 및 내외국환 업무 등과 같은 고유업무와 보증, 어음인수, 수납 및 지급대행 등과 같이 은행 업무를 영위하는 과정에서 수반되는 부수업무, 그리고 신탁업무 등과 같이 타 법령 등에 의해 취급할 수 있도록 정해진 겸영업무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② 산업의 성장성, 건전성 및 수익성
2022년 은행권 가계대출은 대출금리 상승 및 차주단위 DSR 확대 시행 등 가계대출 관리강화 등의 사유로 전년대비 2.7조원 감소(잔액기준)하였습니다.
(자료출처 : 금융감독원 보도자료)

2022년 12월말 예금은행 원화대출 잔액은 약 2,228조원으로 전년말 대비 4.8% 증가하였습니다. 가계대출은 주택담보대출 증가세가 둔화되는 가운데,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이 감소하여, 전년말 대비 0.2% 감소하였고, 기업대출은 운전자금 수요 지속, 회사채 시장의 위축에 따른 대기업의 은행 대출 활용 수요 등으로 전년말 대비 9.8% 증가하였습니다. (자료출처 : 한국은행 보도자료)

건전성 측면에서는 국내은행 2022년 12월말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이상 원리금 연체기준)은 0.25%(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기준)로 전년 동월말 대비하여 0.07%p 상승하였으며, 대내외 경제여건 악화에 따른 신용손실이 확대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자료출처 : 금융감독원 보도자료)

수익성 측면에서는 국내은행의 2022년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이 전년동기 대비 0.8조원 감소하였습니다. 이는 이자이익 증가에도 불구하고, 금리상승에 따른 유가증권 평가ㆍ매매 손실 등으로 인한 비이자이익 감소, 대손충당금 확대에 따른 대손비용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볼수 있습니다.(자료출처 : 금융감독원 보도자료)

③ 경쟁요소
대출금리 상승 및 차주단위 DSR 확대시행 등 가계대출 관리 강화의 지속으로 은행의 가계대출 자산 성장이 제약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시장 금리 상승으로 차주들의 상환능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어,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등의 이슈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3년 은행산업의 시장경쟁은 보다 치열해질 전망으로, 코로나 19가 장기화 되면서 전통적인 은행사업모델에 있어 디지털금융회사나 그림자금융회사들과의 경쟁 강도는 심화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국내은행들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가속화하여 비용구조 개선과 영업기회 발굴에 매진하고, 확대되는 디지털 경제에 대응하여 개방형 혁신을 통해 맞춤형 금융상품 및 서비스 개발의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와 관련하여 플랫폼 기업 등과의 제휴 및 고객중심적 영업방식과 체계를 강화함으로써 비대면거래로의 전환으로 산업생태계가 빠르게 변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④ 관련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일반은행의 경우 은행법 및 동법 시행령에서 인허가 등 은행업과 관련된 전반적인 규제 사항을 정하고 있으며,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류, 외국환관리법 등에 의한 규제를 받고 있습니다.

(3)제주은행 사업비전 및 경영방침
제주은행은 1969년 지역경제의 균형발전과 활성화라는 제주도민들의 여망 실현을 위해 설립되어, 지금까지 제주지역 경제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해 오고 있는 지방은행입니다.

설립 이래 언제나 지역과 함께 호흡하면서 축적해온 정성적인 관계형 정보와 Know-how 및 지속적인 지역사회 기여 활동으로 지역민들과 신뢰를 쌓아오고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신한금융그룹의 일원이라는 강점을 지역금융과 결합시킴으로써, 제주지역 고객들께 수준 높은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궁극적으로는 제주지역 경제 성장ㆍ발전에 공헌한다는 사명을 실현해 나가고 있습니다. 특히, 제주은행 비금융 관광플랫폼인 '제주지니' 어플리케이션 고도화를 통해 제주가 지닌 차별적 가치를 전달하고 지역사업 생태계 기반의 금융업 상생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2023년도에는 다음 사항에 전행적인 역량을 집중해 나가겠습니다.
제주은행은 전략목표를 『一流 Community Bank』로 정하고, 다음 4가지 전략과제를 정하였습니다.

4대 전략과제는 아래와 같습니다.

첫째, 「불확실성을 돌파하는 핵심경쟁력 강화」 를 추진하겠습니다.
Active 시니어, 미래 기반 MZ고객, 자산관리와 SOHO영업에 있어 촘촘한 침투 전략을 세우고 지역 內 지배력을 확대 해 나갈 것입니다.
또한 지역화폐/제주지니 요소를 융합한 제주 관광 통합 멤버십 구축, 입도객 대상 특화 상품 출시, 제주지니 회원의 금융 고객화 등 금융ㆍ비금융을 결합한 성과 창출의 결과물을 본격적으로 만들어 내겠습니다.
우리가 추구하는 가치는 지역사회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맥락을 같이하고 있습니다.
제주와 함께 상생하는 공동체로서 지역 내 선한 영향력을 확산하고, 친환경/사회공헌 부문을 선도해 나가겠습니다.

둘째, 「孤客ㆍ현장 중심 디지털 전환」 을 이루겠습니다.
올해 금융 플랫폼 JBANK는 새로운 모습으로 업그레이드 됩니다.
고객의 편의성 중심으로 프로세스를 고도화하고, 외부 플랫폼 연결성 강화, 핵심 기능 간편화 등 전반적인 리모델링을 통해 더 쉽고 편리한 금융서비스를 구현할 것 입니다.
디지털 전환이 구호로 그치지 않기 위해서는 현장 중심의 효율화 또한 반드시 필요합니다. O2O관점 비대면 서류작성 시스템 구축, 데이터 인프라 마련, 현장 중심 RPA 고도화, 챗봇 도입 등 현장에서 출발 하고, 현장에서 만족 할 수 있는 결과물을 만들겠습니다.

셋째, 「내실ㆍ효율화 관점 체질 개선」 에 집중하겠습니다.
'양적 성장’을 넘어 '질적 성장'의 시대로 진입했습니다. '더 많이, 더 크게' 보다
'기본기에 충실한 효율적 성장'을 위해 조직의 체질을 바꿔 나가겠습니다.
손익 개선 중심의 영업 체계 정착, 우량자산ㆍSOHO중심 여신 포트폴리오 재편, 전략적 비용절감 지속 등 우리의 기초체력을 단단히 다져 나갈 것입니다.
올해 핵심 키워드 중 하나는 '리스크관리'입니다. 리스크 통합 관리 체계 구축, 위기관리 컨트롤 타워 강화, 잠재리스크 모니터링 다변화 등 다양한 시나리오에 기반한 정교한 대응체계 강화에 중점을 두고 철저한 리스크관리를 추진하겠습니다.

넷째, 「조직 성장동력 RE:Boot」 를 내재화하겠습니다.
'一流 Community Bank' 를 완성시키는 것은 결국 사람과 문화입니다.
핵심인재 육성계획, 교육 과정, 제도/프로세스 혁신 등 HR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심혈을 기울이겠습니다. 직원들이 전문성ㆍPride를 가지고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조직 안에서 성장하는 경험을 만들겠습니다.
또한 조직에 활력을 불어넣고 역동성을 높이는 도전을 계속해야 합니다. 핵심 영역 중심 본부조직 개편, S.A.Q조직 고도화, 본부 협업 체계 강화 등 조직이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제도ㆍ프로세스가 정착되도록 추진하겠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2022년 말 기준 순이자익 1,533억원, 순수수료이익 111억원, 기타영업손실 420억원, 판매비와 관리비 954억원 등으로 영업이익 270억원, 영업외손실 1억원, 법인세차감전 순이익 269억원, 법인세비용 41억원, 당기순이익 228억원을 시현하였습니다.
2022년말 기준 예수금(잔액기준)은 원화예수금 60,520억원, 양도성예금증서 783억원, 외화예수금 141억원, 기타 1,090억원 등 총 62,534억원의 수신고를 보였습니다.

2022년말 기준 대출금(잔액기준)은 원화대출금 56,251억원, 외화대출금 125억원, 신탁대출금 15억원, 지급보증 195억원, 기타 676억원 등 총 57,262억원의 여신을 취급하고 있습니다.

제주도내 23개 지점, 6개 출장소, 서울ㆍ부산 지역에 각각 1개 지점으로 총 31개의 영업망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또한, 2022년말 기준 130개의 ATM(자체기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은행의 주된 사업부문은 은행법에 의한 은행업무, 외국환업무, 신탁업무, 전 각호에 부수 또는 관련되는 업무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은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취급 업무 및 상품ㆍ서비스 개요>

구  분 주요상품 및 서비스
수신업무 입출금자유상품 제주공무원연금 평생안심통장, 탐나는 J 연금 통장, 탐나는 J 사업자 통장, 탐나는 J직장인 통장, 탐나는 J 주거래 통장, 뱅크라인 통장, 멤버쉽통장, 제주 국민연금 안심통장, 제주 행복지킴이 통장,제주 희망지킴이 통장, 제은 모아팩 서비스, 365고수익예금(가계형), 365고수익예금(기업형), 스쿨뱅킹 전용통장, 사업자성공통장, BIG증권거래예금, JJB보증서담보대출 입금전용계좌, 탐나는 J법인통장, 탐나는 J임의단체통장, 저축예금, 보통예금, 기업자유예금, 한마음종합통장, 당선기원통장, 제주군인연금 평생안심통장 등
목돈굴리기상품 365고수익예금(가계형), 365고수익예금(기업형), 사이버우대 정기예금, 제주DREAM정기예금, 정기예금, 표지어음, 양도성예금증서(CD) 등
목돈만들기상품 새희망키움적금, 사이버우대 매일부금, 이어도사랑적금, 행복을 가꾸는 통장, 모아모아 월복리적금, 매일모아부금, 정기적금, 제주은행 장병내일준비적금, 더탐나는적금3, 청년희망적금, MZ플랜적금, 김만덕나눔적금 등
절세상품 제주공무원연금 평생안심통장, 탐나는 J 사업자 통장, 탐나는 J 연금 통장, 새희망키움적금, 사이버우대 정기예금, 사이버우대 매일부금, 이어도 사랑적금, 행복을 가꾸는 통장, 모아모아 월복리적금, 매일모아부금, 정기적금, 정기예금, 제주 국민연금 안심통장, 제주 행복지킴이 통장, 제은 모아팩 서비스, 365고수익예금(가계형), 365고수익예금(기업형), 스쿨뱅킹 전용통장, BIG증권거래예금 등
인터넷예금 사이버우대 정기예금, 사이버우대 매일부금, 이어도사랑적금, 행복을 가꾸는 통장, 정기적금, 모아모아월복리적금, jBANK 저금통 적금, 더탐나는적금3, MZ플랜적금, 김만덕나눔적금 등
부가 서비스 스쿨뱅킹, 가상계좌서비스, 입출금내역SMS통지 서비스
여신업무 기업자금대출 매출채권회수금융(할인어음), 구매자금지원(구매자금대출, 무역금융), 운전자금지원(일반운전자금대출, 병원/약국우대대출, 전문직우대론, 당좌대출, JJB부동산담보대출, JJB가맹점우대론), 시설자금대출(일반시설자금대출, 교회대출, 주택사업보증부대출, 태양광발전 사업자대출), 정책자금대출(정책자금대출, 산업기반기금대출), 중소기업육성자금대출(지방자치단체), 지급보증(원화지급보증, 외화지급보증), 창업지원보증대출 등
가계자금대출 직장인신용대출, 교직원드림론, 전문직우대론, 엘리트론, JDC토지분양자금대출, 경락자금지원대출, 주택연금대출, 금리STOP홈대출, 금리safe 모기지론, JJB 일반전세자금대출, JJB 부동산담보대출(주택이외 부동산 담보), 제주장기모기지론(마이홈플랜), 예금담보대출, 제주홈대출, 제주 연ㆍ월세 우대자금대출 등
서민금융상품 제주 새희망홀씨, 제주 새희망드림, 제주 징검다리론, 제주 햇살론 17
자동차대출상품 제주CAR드림(중고차)대출, 제주 개인택시 행복 대출
인터넷대출 예/적금 담보대출 등
외국환/
국제업무
외국환 수출 : 수출환어음매입(추심), 송금방식수출
수입 : 신용장발행 및 조건변경, L/G발급, 송금방식수입
외환 : 당발 및 타발송금, 외화현찰매매, T/C매매, 외화수표매입 , 해외직접투자신고수리, 외국인직접투자신고수리
국제금융 외환딜링, 외화자금 조달 및 운용
유가증권업무 통화안정증권, 국채, 정부보증채, 지방채, 사채, 주식, 기타유가증권, 외화증권, 역외외화증권
보험/신탁
/펀드업무
신탁상품 특정금전신탁(ELT, MMT, 전단채), 신탁형ISA
퇴직연금상품 원리금보장상품, 채권형, 채권혼합형(성장형, 배당형, 가치주형, 인덱스형, 해외투자형)
주식형(성장형, 가치주형, 해외투자형)
펀드상품 인터넷 펀드, 국내펀드, 해외펀드, 투자성향별 펀드
생명보험상품 연금보험, 저축보험, 보장성보험, 양로보험
손해보험상품 저축성보험, 보장성보험, 화재보험 
신용카드 업무 회원업무, 가맹점업무, 기타(체크카드, 직불카드, IC카드, 전자결제시스템 등), 제휴카드업무, 장기카드대출(카드론)
- 주요발급 카드 현황
제주교통복지카드, 아시아나 마일리지카드, 부자되세요(더오일, 홈쇼핑)카드, 플래티늄카드(제주, 드림), 제주드림카드II, KCTV알뜰카드, 국민행복카드, 아이행복카드, 제주그린카드, 스카이패스카드, 제주비자카드, 탐나는J체크카드, 드림체크카드, U&B체크카드, SIMPLE BACK카드, SIMPLE ON카드, 스카이패스플러스카드 그 외 제휴카드, 법인카드, 체크카드 등
내국환업무 당행 본지점간 자금수수, 고객간 및 타행간의 자금수수, 전금,역환, 송금환, 당좌이체대금추심 등
지로/대리점 업무 지로업무 은행지로제도
대리점업무 국고대리점(수납)업무, 공공금고업무, 시공과금 및 공공요금수납


(2) 시장점유율

구분(단위:%) 2020년말 2021년말 2022년말
예수금 30.72 30.77 32.42
대출금 23.78 23.46 23.73

주)자료출처 : 한국은행 제주지역본부의 제주지역 금융기관 여수신동향 자료를 근거로 당행산출

(3) 시장의 특성

상기 '1. 사업의 개요 - 가.업계의 현황 - (2) 금융산업 동향'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 해당사항 없음

(5) 조직도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주)제주은행은 아래와 같이 제63기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하고자 합니다.
                         
                                              -아   래-

1. 일 시 : 2023년 3월 22일(수) 오전 9시

2. 장 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100로 3351(노형동) 제주은행 본점 5층 대회의실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1) 감사보고
       2) 영업보고
       3) 기타보고

   나. 의결사항
        1) 제1호의안 : 제63기(2022.01.01 ~ 2022.12.31) 재무제표(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 포함)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2) 제2호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3) 제3호의안 : 이사 선임의 건
            - 제3-1호 : 사내이사 선임의 건 (후보 박찬호)
            - 제3-2호 : 사외이사 선임의 건 (후보 이원호)
            - 제3-3호 : 사외이사 선임의 건 (후보 강영순)
            - 제3-4호 : 사외이사 선임의 건 (후보 김정희)
            - 제3-5호 : 기타비상무이사(비상임이사) 선임의 건 (후보 김일환)
       
        4) 제4호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선임의 건 (후보 정순여)
       
        5) 제5호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 제5-1호 : 사내이사인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후보 박찬호)
            - 제5-2호 : 사외이사인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후보 강영순)
       
        6) 제6호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등의 비치
상법 제542조의4 제3항에 의거 경영참고사항 등을 당사,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한국예탁결제원에 비치하오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5.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 직접 행사 : 주주총회 참석장, 신분증
- 간접 행사 : 주주총회 참석장,
                  위임장 (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및 증명서 첨부),
                  대리인의 신분증

6.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고 있으며,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시스템 인터넷 주소 : 「https://evote.ksd.or.kr」
    모바일 주소 : 「https://evote.ksd.or.kr/m」
나. 전자투표 행사 기간 : 2023년3월12일(일) 오전 9시 ~ 2023년3월21일(화) 오후 5시
다. 인증서를 이용하여 시스템에서 주주본인 확인 후 의안별 전자투표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
                                              (K-VOTE에서 사용가능 인증서 한정)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7. 기타사항
- 주주총회 개최 전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불가피한 장소 변경이 있는 경우, 지체없이 재공시할 예정입니다.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당행은 은행, 신탁, 외국환업무 등을 주 영업목적으로 1969년 3월 20일 설립되어 1972년 12월 28일에 주식을 한국거래소에 상장하였으며, 당기말 현재의 자본금은 160,644백만원입니다. 당행은 제주지역에 영업부 외 22개 지점과 6개의 출장소, 제주지역 외의 국내에 2개의 지점 등 31개의 영업점을 개설하고 있으며, 당행의 최대주주는 75.31%의 지분을 소유한 주식회사 신한금융지주회사입니다.

당행의 2022년말 및 2021년말 연결대상 종속기업은 연금신탁 등 8개의 종속기업이 있으며, 종속기업은 지배기업 또는 지배기업의 종속기업에 의해 지배되는 기업입니다. 지배기업 또는 지배기업의 종속기업은 종속기업에 대한 관여로 변동이익에 노출되거나 변동이익에 대한 권리가 있고 종속기업에 대하여 자신의 힘으로 그러한 이익에 영향을 미치는 능력이 있을 때 종속기업을 지배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상기 III. 경영참고사항 - 1. 사업의 개요 - 나. 회사의 현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연결재무제표 및 재무제표

※ 하기 재무제표는 감사전 연결·별도 재무제표이며,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3월 6일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실제 공시일은 추후 변경될 수 있습니다.

(1) 연결재무제표
1) 연결재무상태표

연 결 재 무 상 태 표
제63(당)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제62(전)기          2021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제주은행과 그 종속기업 (단위 : 백만원)
과                        목 제63(당)기 제62(전)기말
자                        산



  현금 및 상각후원가측정예치금 (주석 4, 7, 8, 37) 235,217   292,798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주석 4) 10,059   4,266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 (주석 4, 8) 5,672,522   5,578,929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주석 4, 9) 652,113   707,912  
  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 (주석 4, 10) 302,110   184,889  
  유형자산 (주석 11, 13, 15) 45,782   42,616  
  무형자산 (주석 12) 55,901   68,445  
  투자부동산 (주석 13) 16,222   8,163  
  확정급여자산 (주석 20) 2,695   -
  이연법인세자산 (주석 33) 9,922   6,402  
  기타자산 (주석 4, 8, 14, 38) 317,761   49,794  
자      산      총      계   7,320,304   6,944,214
부                        채    

  예수부채 (주석 4, 17, 38) 6,156,301   5,733,643  
  차입부채 (주석 4, 18, 38) 215,331   232,810  
  사채 (주석 4, 19) 249,807   269,705  
  확정급여부채 (주석 20) -   2,294  
  충당부채 (주석 21, 36) 3,254   2,877  
  당기법인세부채 (주석 33) 1,520   3,255  
  기타부채 (주석 4, 22, 38) 172,237   183,685  
부      채      총      계   6,798,450   6,428,269
자                        본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521,854
515,945
  자본금 (주석 23) 160,644   160,644
  신종자본증권 49,835   49,837
  자본잉여금 (주석 23) 10,311   10,311
  자본조정 (주석 23) 255   396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주석 23) (26,244)   (15,082)
  이익잉여금 (주석 23, 24)
   (대손준비금 기적립액)
   (대손준비금 전입 필요액)
   (대손준비금 전입 예정액)
327,053
(59,037)
(1,759)
(1,759)
  309,839
(40,614)
(18,423)
(18,423)

비지배지분
-
-
자      본      총      계   521,854
515,945
부  채  및  자  본  총  계   7,320,304
6,944,214
(주) 제63기(당기)는 주주총회 승인전 재무제표로 향후 정기주주총회에서 재무제표 승인관련 안건이 부결되거나 수정이 발생한 경우 정정보고서를 통해 그 내용 및 사유 등을 반영할 예정입니다.

 

2) 연결포괄손익계산서

연 결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63(당)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62(전)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제주은행과 그 종속기업 (단위: 백만원)
과          목 제63(당)기 제62(전)기
I. 영업손익   27,020   22,602
  (1) 순이자손익 (주석 25, 35, 38)   153,323   128,430
     이자수익 254,970   184,053  
     이자비용 101,647   55,623  
  (2) 순수수료손익 (주석 26, 35, 38)   11,120   11,790
     수수료수익 19,607   19,886  
     수수료비용 8,487   8,096  
  (3) 배당수익 (주석 27, 35)   16   24
  (4)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상품관련손익(주석 35)   303   54
  (5) 외환거래손익 (주석 35)   568   498
  (6)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처분손익 (주석 9, 35)   1   24
  (7)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처분손익 (주석 35)   97   -
  (8) 신용손실충당금전입 (주석 8, 21, 28)   (23,401)   (11,545)
  (9) 일반관리비 (주석 11, 12, 20, 29, 38)   (95,366)   (89,522)
     종업원급여 49,759   55,517  
     감가상각비 6,379   5,451  
     무형자산상각비 16,118   6,869  
     기타일반관리비 23,110   21,685  
  (10) 기타영업손익 (주석 31)   (19,641)   (17,151)
II. 영업외손익 (주석 32)   (56)   253
  (1) 영업외수익 587   894  
  (2) 영업외비용 643   641  
III.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26,964   22,855
IV. 법인세비용 (주석 33)   4,144   4,409
V.  당기순이익 (주석 24)
   (대손준비금 반영후 조정이익
    당기: 21,062백만원
    전기: 23백만원)
  22,820   18,446
  (1)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22,820   18,446  
  (2) 비지배지분 -
-
VI. 기타포괄손익 (주석 23)   (11,162)   (6,706)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1) 확정급여제도 재측정요소 3,232   2,270  
    (2)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지분증권평가손익 (1,087)   (1,122)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수 있는 항목        
    (1)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채무증권평가손익 (13,307)   (7,854)  
VII. 총포괄이익   11,658   11,740
  (1)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11,658   11,740  
  (2) 비지배지분 -   -  
VIII. 주당이익 (주석 34)        
  (1) 기본주당순이익   636원   514원
  (2) 희석주당순이익   636원   514원
(주) 제63기(당기)는 주주총회 승인전 재무제표로 향후 정기주주총회에서 재무제표 승인관련 안건이 부결되거나 수정이 발생한 경우 정정보고서를 통해 그 내용 및 사유 등을 반영할 예정입니다.

 

(2) 재무제표
1) 재무상태표

재 무 상 태 표
제63(당)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제62(전)기        2021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제주은행 (단위 : 백만원)
과                        목 제63(당)기말 제62(전)기말
자                        산



  현금 및 상각후원가측정예치금 (주석 4, 7, 8, 37) 227,217   283,798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주석 4) 10,059   4,266  
  상각후원가측정대출채권 (주석 4, 8) 5,670,980   5,576,849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주석 4, 9) 652,113   707,912  
  상각후원가측정유가증권 (주석 4, 10) 302,110   184,889  
  유형자산 (주석 11, 13, 15) 45,782   42,616  
  무형자산 (주석 12) 55,901   68,445  
  투자부동산 (주석 13) 16,222   8,163  
  확정급여자산 (주석 20) 2,695   -
  이연법인세자산 (주석 33) 9,922   6,402  
  기타자산 (주석 4, 8, 14, 38) 318,028   50,093  
자      산      총      계   7,311,029   6,933,433
부                        채    

  예수부채 (주석 4, 17, 38) 6,144,377   5,720,346  
  차입부채 (주석 4, 18, 38) 215,331   232,810  
  사채 (주석 4, 19) 249,807   269,705  
  확정급여부채 (주석 20) -   2,294  
  충당부채 (주석 21, 36) 3,254   2,877  
  당기법인세부채 (주석 33) 1,520   3,255  
  기타부채 (주석 4, 22, 38) 174,886   186,201  
부      채      총      계   6,789,175   6,417,488
자                        본



  자본금 (주석 23) 160,644   160,644
  신종자본증권 49,835   49,837
  자본잉여금 (주석 23) 10,311   10,311
  자본조정 (주석 23) 255   396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주석 23) (26,244)   (15,081)
  이익잉여금 (주석 23, 24)
   (대손준비금 기적립액)
   (대손준비금 전입 필요액)
   (대손준비금 전입 예정액)
327,053
(59,037)
(1,759)
(1,759)
  309,839
(40,614)
(18,423)
(18,423)

자      본      총      계   521,854
515,945
부  채  및  자  본  총  계   7,311,029
6,933,433
(주) 제63기(당기)는 주주총회 승인전 재무제표로 향후 정기주주총회에서 재무제표 승인관련 안건이 부결되거나 수정이 발생한 경우 정정보고서를 통해 그 내용 및 사유 등을 반영할 예정입니다.

 

2) 포괄손익계산서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63(당)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62(전)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제주은행 (단위: 백만원)
과          목 제63(당)기 제62(전)기
I. 영업손익   27,020   22,602
  (1) 순이자손익 (주석 25, 35, 38)   153,250   128,364
     이자수익 254,715   183,870  
     이자비용 101,465   55,506  
  (2) 순수수료손익 (주석 26, 35, 38)   11,171   11,832
     수수료수익 19,659   19,928  
     수수료비용 8,488   8,096  
  (3) 배당수익 (주석 27, 35)   16   24
  (4)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상품관련손익(주석 35)   303   54
  (5) 외환거래손익 (주석 35)   568   498
  (6)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처분손익 (주석 9, 35)   1   24
  (7)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처분손익 (주석 35)   97
-
  (8) 신용손실충당금전입 (주석 8, 21, 28)   (23,401)   (11,545)
  (9) 일반관리비 (주석 11, 12, 20, 29, 38)   (95,366)   (89,522)
     종업원급여 49,759   55,517  
     감가상각비 6,379   5,451  
     무형자산상각비 16,118   6,869  
     기타일반관리비 23,110   21,685  
  (10) 기타영업손익 (주석 31)   (19,619)   (17,127)
II. 영업외손익(주석 32)   (56)   253
  (1) 영업외수익 587   894  
  (2) 영업외비용 643   641  
III.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26,964   22,855
IV. 법인세비용 (주석 33)   4,144   4,409
V.  당기순이익 (주석 24)
   (대손준비금 반영후 조정이익  
    당기: 21,062백만원
    전기: 23백만원)
  22,820   18,446
VI. 기타포괄손익 (주석 23)   (11,162)   (6,706)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1) 확정급여제도 재측정요소 3,232   2,270  
    (2)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지분증권평가손익 (1,087)   (1,122)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수 있는 항목        
    (1)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채무증권평가손익 (13,307)   (7,854)  
VII. 총포괄이익   11,658   11,740
VIII. 주당이익 (주석 34)        
  (1) 기본주당순이익   636원   514원
  (2) 희석주당순이익   636원   514원
(주) 제63기(당기)는 주주총회 승인전 재무제표로 향후 정기주주총회에서 재무제표 승인관련 안건이 부결되거나 수정이 발생한 경우 정정보고서를 통해 그 내용 및 사유 등을 반영할 예정입니다.



3)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주식회사 제주은행

(단위: 백만원)
구  분 당기 전기
처분예정일: 2023년 03월 22일 처분확정일: 2022년 03월 23일
Ⅰ.미처분이익잉여금 20,428 16,527
   1. 신종자본증권이자 (2,392) (1,919)
   2. 당기순이익 22,820 18,446
II. 임의적립금등의이입액 - 6,959
   1.별도준비금 - 6,959
합   계 20,428 23,486
III. 이익잉여금처분액 20,428 23,486
   1. 배당금 3,213 3,213
   2. 이익준비금 2,290 1,850
   3. 대손준비금 1,759 18,423
   4. 별도준비금 13,001 -
   5. 신종자본증권상환손실상각 165 -
Ⅳ.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
(주) 제63기(당기)는 주주총회 승인전 재무제표로 향후 정기주주총회에서 재무제표 승인관련 안건이 부결되거나 수정이 발생한 경우 정정보고서를 통해 그 내용 및 사유 등을 반영할 예정입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상기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를 참고바랍니다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 전 내용 변경 후 내용 변경의 목적


해당사항 없음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 전 내용 변경 후 내용 변경의 목적

제1장 제1조 ~제4장 제21조 (생략)

제1장 제1조 ~제4장 제21조 (현행과 동일)
제22조(소집권자)
주주총회의 소집은 법령에서 별도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사회의 결의에 의거 은행장이 이를 행하며, 은행장이 부재 중이거나 유고 시에는 이사회에서 정하는 이사가 이를 대행한다.
제22조(소집권자)
주주총회의 소집은 법령에서 별도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사회의 결의에 의거 은행장이 이를 행하며, 은행장이 부재 중이거나 유고 시에는 제35조 제3항의 규정을 준용한다.
은행장 직무대행 선정관련
제35조 제3항을 준용하도록 변경
제23조 ~제5장 제34조 (생략) 제23조 ~제5장 제34조 (현행과 동일)
제35조(은행장)
①~② (생략)
③은행장 유고 시에는 이사회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 이사가 그 직무를 대행한다.
제35조(은행장)
①~② (현행과 동일)
③은행장 유고 시에는 이사회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 이사 또는 경영진이 그 직무를 대행한다.
은행장 직무대행
선정 대상 범위 확대
제36조 ~제7장 제50조 (생략) 제36조 ~제7장 제50조 (현행과 동일)
제51조(이익배당)
①이익의 배당은 금전과 주식으로 할 수 있다.
②~③ (생략)
제1항의 배당은 매결산기말 현재의 주주명부에 기재된 주주 또는 등록된 질권자에게 지급한다.
제51조(이익배당)
① (현행과 동일)
②~③ (현행과 동일)
본 은행은 이사회 결의로 제1항의 배당을 받을 주주를 확정하기 위한 기준일을 정할 수 있으며, 기준일을 정한 경우 그 기준일의 2주 전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배당 기준일을 주주총회 의결권행사 기준일과 다른 날로 정할 수 있도록 이사회에서 배당 시 마다 결정하고, 이를 공고하도록 개정
제52조 (생략) 제52조 (현행과 동일)
부칙 (생략) 부칙 (현행과 동일)
(신설)                               부칙
(시행일) 본 정관은 제63기 정기주주총회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신설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박찬호 1967.01.22 사내이사 후보 - 없음 임원후보추천위원회
이원호 1959.05.25 사외이사 후보 - 없음 임원후보추천위원회
정순여 1970.02.22 사외이사 후보 분리선출 없음 임원후보추천위원회
강영순 1962.12.17 사외이사 후보 - 없음 임원후보추천위원회
김정희 1965.02.03 사외이사 후보 - 없음 임원후보추천위원회
김일환 1966.11.22 비상임(기타비상무) 이사 후보 - 없음 이사회
총 ( 6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박찬호 - 2021.03 ~ 2023.01
2018.02 ~ 2021.02
2017.02 ~ 2018.01
2016.07 ~ 2017.01
2013.01 ~ 2016.06

한국은행 부산본부장(1급)
한국은행 국제국 뉴욕사무소(워싱턴주재) 1급
국방대학교파견 1급
한국은행 기획협력국 국제협력실장(2급)
한국은행 국제국 2급
(국제연구팀장,국제총괄팀장,국제금융부장)
해당사항없음
이원호 - 2020.03 ~ 현재
2014.03 ~ 2017.03
2014.01 ~ 2014.02
2012.02 ~ 2013.12
2012.01 ~ 2012.01
제주은행 사외이사
신한신용정보 대표이사
신한은행 고문
신한은행 부행장보
신한은행 기관그룹 본부장
해당사항없음
정순여 제주대학교
회계학과 교수
2020.03 ~ 현재
2004.09 ~ 현재
제주은행 사외이사
제주대학교 회계학과 교수
해당사항없음
강영순 제주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2021.03 ~ 현재
2002.12 ~ 현재
제주은행 사외이사
제주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해당사항없음
김정희 제주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2021.03 ~ 현재
2005.03 ~ 현재
제주은행 사외이사
제주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해당사항없음
김일환 (주)대영물산 대표 2021.03 ~ 현재
2015.06 ~ 현재
1993.09 ~ 현재
제주은행 사외이사
주식회사 대영물산 대표
유한회사 만선물산 대표
해당사항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박찬호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이원호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정순여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강영순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김정희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김일환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후보자성명 사외이사후보자여부 직무수행계획
이원호 사외이사 후보 본 후보자는 신한은행 본부장, 부행장보, 신한신용정보 대표이사 등을 역임하였고, 다년간의 금융기관 재직 경험을 바탕으로  금융 분야에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본 후보자의 전문성을 활용하여 이사회에 참여함으로써 제주은행이 목표로 하는 '제주의 가치로 금융을 새롭게'를 실현하는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본 후보자는 선임 과정 전반에 걸쳐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를 거쳐 선임되었으며, 최대주주 및 주요주주, 그리고 회사와 이해관계가 없어 독립적인 위치에서 경영진의 경영활동을 효과적으로 감시·감독하며,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위해 공정하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본 후보자는 사외이사로서의 직무를 수행하고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있어, 제주은행의 미션인 '미래를 함께하는 따뜻한 금융'을 접목하고, 더불어 아래의 가치를 기준으로 삼고자 합니다.

첫째, 기업 성장을 통한 주주가치 제고
둘째, 동반성장을 위한 이해관계자가치 제고
셋째, 기업의 역할 확장을 통한 사회가치 제고
넷째, 회사의 지속가능경영을 통한 기업가치 제고

본 후보자는 선관주의와 충실의무, 보고의무, 감시의무, 자기거래 금지의무, 경영금지 의무, 기업비밀 준수의무 등 사외이사직무수행규준 상 사외이사의 의무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엄수할 것입니다.
정순여 사외이사 후보 본 후보자는 제주대학교 회계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경영학회 부회장 및 감사, 대한회계학회 부회장을 역임하고, 한국국제회계학회 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력을 바탕으로 회계 분야에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본 후보자의 전문성을 활용하여 이사회에 참여함으로써 제주은행이 목표로 하는 '제주의 가치로 금융을 새롭게'를 실현하는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본 후보자는 선임 과정 전반에 걸쳐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를 거쳐 선임되었으며, 최대주주 및 주요주주, 그리고 회사와 이해관계가 없어 독립적인 위치에서 경영진의 경영활동을 효과적으로 감시·감독하며,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위해 공정하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본 후보자는 사외이사로서의 직무를 수행하고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있어, 제주은행의 미션인 '미래를 함께하는 따뜻한 금융'을 접목하고, 더불어 아래의 가치를 기준으로 삼고자 합니다.

첫째, 기업 성장을 통한 주주가치 제고
둘째, 동반성장을 위한 이해관계자가치 제고
셋째, 기업의 역할 확장을 통한 사회가치 제고
넷째, 회사의 지속가능경영을 통한 기업가치 제고

본 후보자는 선관주의와 충실의무, 보고의무, 감시의무, 자기거래 금지의무, 경영금지 의무, 기업비밀 준수의무 등 사외이사직무수행규준 상 사외이사의 의무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엄수할 것입니다.
강영순 사외이사 후보 본 후보자는 제주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또한 대한리더십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한국윤리경영학회 부회장,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력을 바탕으로 경영 분야에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본 후보자의 전문성을 활용하여 이사회에 참여함으로써 제주은행이 목표로 하는 '제주의가치로 금융을 새롭게'를 실현하는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본 후보자는 선임 과정 전반에 걸쳐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를 거쳐 선임되었으며, 최대주주 및 주요주주, 그리고 회사와 이해관계가 없어 독립적인 위치에서 경영진의 경영활동을 효과적으로 감시·감독하며,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위해 공정하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본 후보자는 사외이사로서의 직무를 수행하고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있어, 제주은행의 미션인 '미래를 함께하는 따뜻한 금융'을 접목하고, 더불어 아래의 가치를 기준으로 삼고자 합니다.

첫째, 기업 성장을 통한 주주가치 제고
둘째, 동반성장을 위한 이해관계자가치 제고
셋째, 기업의 역할 확장을 통한 사회가치 제고
넷째, 회사의 지속가능경영을 통한 기업가치 제고

본 후보자는 선관주의와 충실의무, 보고의무, 감시의무, 자기거래 금지의무, 경영금지 의무, 기업비밀 준수의무 등 사외이사직무수행규준 상 사외이사의 의무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엄수할 것입니다.
김정희 사외이사 후보 본 후보자는 제주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또한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중심 경영인증제도 평가위원, 제주특별자치도 소비자정책위원회 위원을 역임하고, 한국소비문화학회 부회장으로 활동하는 등 경영 및 소비자보호 관련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력을 바탕으로 경영 및 소비자보호분야에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본 후보자의 전문성을 활용하여 이사회에 참여함으로써 제주은행이 목표로 하는 '제주의 가치로 금융을 새롭게'를 실현하는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본 후보자는 선임 과정 전반에 걸쳐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를 거쳐 선임되었으며, 최대주주 및 주요주주, 그리고 회사와 이해관계가 없어 독립적인 위치에서 경영진의 경영활동을 효과적으로 감시·감독하며,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위해 공정하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본 후보자는 사외이사로서의 직무를 수행하고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있어, 제주은행의 미션인 '미래를 함께하는 따뜻한 금융'을 접목하고, 더불어 아래의 가치를 기준으로 삼고자 합니다.

첫째, 기업 성장을 통한 주주가치 제고
둘째, 동반성장을 위한 이해관계자가치 제고
셋째, 기업의 역할 확장을 통한 사회가치 제고
넷째, 회사의 지속가능경영을 통한 기업가치 제고

본 후보자는 선관주의와 충실의무, 보고의무, 감시의무, 자기거래 금지의무, 경영금지 의무, 기업비밀 준수의무 등 사외이사직무수행규준 상 사외이사의 의무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엄수할 것입니다.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후보자성명 사외이사후보자여부 추천사유
박찬호 사내이사 후보 후보자는 한국은행에서 32년간 근무하며 기획협력국 국제협력실장, 국제국 뉴욕사무소(워싱턴주재), 부산본부장 등을 역임하였습니다. 다년간의 금융기관 재직 경험을 바탕으로한 금융분야의 전문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금융분야에 있어 깊이 있는 전문지식과 경험을 통하여 이사회의 전문성 제고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추천하였습니다.
이원호 사외이사 후보 후보자는 신한은행 본부장, 부행장보, 신한신용정보 대표이사 등을 역임하였고, 다년간의 금융기관 재직 경험을 바탕으로 금융분야의 전문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지난 3년간 제주은행 사외이사로서 이사회 의장, 임원후보추천위원회 위원장, 보수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하며 맡은 소임을 충실히 수행하였고, 금융분야에 있어 깊이 있는 전문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이사회의 전문성 제고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점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추천하였습니다.
정순여 사외이사 후보 후보자는 제주대학교 회계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경영학회 부회장 및 감사, 대한회계학회 부회장을 역임하고, 한국국제회계학회 부회장으로 활동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이론과 회계분야 실무경험에 준하는 경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사외이사 재임기간 동안 회계분야에 있어 깊이 있는 전문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이사회의 전문성 제고에 크게 기여하였고, 감사위원회 구성을 위한 회계전문가의 필요성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추천하였습니다.
강영순 사외이사 후보 후보자는 제주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대한리더십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한국윤리경영학회부회장,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부회장으로 활동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이론과 경영분야 실무경험에 준하는 경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사외이사 재임기간 동안 경영분야에 있어 깊이 있는 전문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이사회의 전문성 제고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점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추천하였습니다.
김정희 사외이사 후보 후보자는 제주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중심 경영인증제도 평가위원, 제주특별자치도 소비자정책위원회 위원을 역임하고, 한국소비문화학회 부회장으로 활동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이론과 경영 및 소비자보호분야 실무경험에 준하는 경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경영 및 소비자보호분야에 있어 깊이 있는 전문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이사회의 전문성 제고 및 소비자의 권익보호와 소비자 중심 경영활동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점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추천하였습니다.
김일환 비상임(기타비상무)이사 후보 후보자는 재일동포 사회에서 성공한 제주출신 2세 동포 사업가로서 성공적인 사업 영위와 다양한 경험을 통해 경영분야에 폭 넓은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이사회의 전문성 제고에 크게 기여하였고, 지난 2년간 제주은행 비상임이사로 재임하며 재일동포 사회와의 지속적인 교류를 위한 매개자 역할과 비상임이사로서 높은 책임감과 충실성을 보여준 점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추천하였습니다.


확인서

이사회(박찬호)

이사회(이원호)

이사회(정순여)

이사회(강영순)

이사회(김정희)

이사회(김일환)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감사위원회 위원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박찬호 1967.01.22 사내이사 후보 - 없음 임원후보추천위원회
정순여 1970.02.22 사외이사 후보 분리선출 없음 임원후보추천위원회
강영순 1962.12.17 사외이사 후보 - 없음 임원후보추천위원회
총 ( 3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박찬호 - 2021.03 ~ 2023.01
2018.02 ~ 2021.02
2017.02 ~ 2018.01
2016.07 ~ 2017.01
2013.01 ~ 2016.06
한국은행 부산본부장(1급)
한국은행 국제국 뉴욕사무소(워싱턴주재) 1급
국방대학교파견 1급
한국은행 기획협력국 국제협력실장(2급)
한국은행 국제국 2급
(국제연구팀장,국제총괄팀장,국제금융부장)
해당사항없음
정순여 제주대학교
회계학과 교수
2020.03 ~ 현재
2004.09 ~ 현재
제주은행 사외이사
제주대학교 회계학과 교수
해당사항없음
강영순 제주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2021.03 ~ 현재
2002.12 ~ 현재
제주은행 사외이사
제주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해당사항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박찬호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정순여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강영순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후보자성명 사외이사후보자여부 추천사유
박찬호 사내이사 후보 후보자는 한국은행에서 32년간 근무하며 기획협력국 국제협력실장, 국제국 뉴욕사무소(워싱턴주재), 부산본부장 등을 역임하였습니다. 다년간의 금융기관 재직 경험을 바탕으로한 금융분야의 전문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금융분야에 있어 깊이 있는 전문지식과 경험을 통하여 이사회의 전문성 제고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추천하였습니다.
정순여 사외이사 후보 후보자는 제주대학교 회계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경영학회 부회장 및 감사, 대한회계학회 부회장을 역임하고, 한국국제회계학회 부회장으로 활동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이론과 회계분야 실무경험에 준하는 경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사외이사 재임기간 동안 회계분야에 있어 깊이 있는 전문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이사회의 전문성 제고에 크게 기여하였고, 감사위원회 구성을 위한 회계전문가의 필요성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추천하였습니다.
강영순 사외이사 후보 후보자는 제주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대한리더십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한국윤리경영학회 부회장,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부회장으로 활동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이론과 경영분야 실무경험에 준하는 경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사외이사 재임기간 동안 경영분야에 있어 깊이 있는 전문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이사회의 전문성 제고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점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추천하였습니다.


확인서


감사위원회(박찬호)

감사위원회(정순여)

감사위원회(강영순)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9 (5)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5억원 (주1)
※ 이와 별도로 2023년 중 신한금융지주회사 주식을 기초로 한 장기성과연동형 주식보수
(Performance Share)를 15,000주 내에서 부여하고, 향후 4년간의 경쟁사 대비
주가 상승률과 영업순이익, ROE, 상ㆍ매각전 고정이하여신비율 목표 달성률에 따라
2027년에 해당 부여수량 범위 내에서 지급규모를 최종 확정하여 지급함

주1) 이와 별도로 2023년 중 과거 주주총회에서 승인된 장기성과연동형 주식보수의 부여한도 범위 내에서 장기성과연동형 주식보수가 지급될 수 있음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9 (5)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11억원
최고한도액 15억원 (주2)
※ 이와 별도로 2022년 중 신한금융지주회사 주식을 기초로 한 장기성과연동형 주식보수
(Performance Share)를 15,000주 내에서 부여하고, 향후 4년간의 경쟁사 대비
주가 상승률과 영업순이익, ROE, 상ㆍ매각전 고정이하여신비율 목표 달성률에 따라
2026년에 해당 부여수량 범위 내에서 지급규모를 최종 확정하여 지급함

주2) 이와 별도로 2022년 중 과거 주주총회에서 승인된 장기성과연동형 주식보수의 부여한도 범위 내에서 장기성과연동형 주식보수가 지급될 수 있음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3.03.14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주) 당사는 2023년 3월 6일 연결ㆍ별도 감사보고서를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제출할 예정이므로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될 당사의 연결ㆍ별도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당사는 상법 시행령 제31조(주주총회 소집공고) 4항 4호에 따른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중 연결ㆍ별도 감사보고서를 2023년 3월 6일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을 통해 제출할 예정이며,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개최 1주 전인 2023년 3월 14일까지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을 통해 제출할 예정입니다.

사업보고서는 제출 후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전자공시시스템에 정정제출할 수 있으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1. 주주총회 개최 전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불가피한 장소 변경이 있는 경우, 지체없이 재공시할 예정입니다.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03000702

제주은행 (00622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