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원산업 (00604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6-13 15:13: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613000263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년     06월     13일


회   사   명 : 동원산업 주식회사
대 표 이 사 : 박문서, 민은홍
본 점 소 재 지 : 서울시 서초구 마방로 68

(전   화) 02-589-3333

(홈페이지)http://www.dongwon.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경영지원실장 (성  명) 백관영

(전  화) 02-589-3290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55기 임시)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 평안을 기원합니다.

상법 제363조 및 당사 정관 제19조에 의거 제55기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 하오니 부디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3년 6월 28일 (수) 오전 9시

 

2. 장 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마방로 68, (양재동) 동원산업빌딩 20층 강당

 

3. 회의목적사항: 

1) 보고사항 : 감사보고

2) 부의안건
    제 1호 의안 : 자본금 감소의 건

 
4. 실질주주의 의결권행사에 관한 사항
금번 우리회사의 주주총회에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규정에 의거하여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행사 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행사 하실 수 있습니다.

5. 경영참고 사항 등 비치 및 공시

상법 제542조의4 제3항의 규정에 의거하여 주주총회 소집통지 및 공고사항을 당사의 본 지점, 국민은행 증권대행부,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에 비치 또는 공시하오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1) 직접행사 : 신분증

2)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대리인 신분증

* 금번 정기주주총회에서는 참석주주님을 위한 기념품을 지급하지 아니하오니 이점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김주원
(출석률: 100%)
김종필
(출석률: 100%)
민승규
(출석률: 75%)
윤종록
(출석률: 100%)
진형혜
(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1 2023-02-14 제 1호 의안 : 제 54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 2호 의안 : 제 54기 현금 배당 결정의 건
제 3호 의안 : 케이스마트양식(주) 신규차입을 위한 담보제공 승인의 건
제 4호 의안 : StarKist Co. 채무보증 승인의 건
※ 보고사항
제 1호 보고 : 2023년 제 1차 경영위원회 결과 보고의 건
제 2호 보고 : ESG 경영위원회 경영 경과 및 추진전략 보고의 건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
2 2023-03-14 제 1호 의안 : 제 54기 정기주주총회 소집결의의 건
제 2호 의안 : 임원 상여금 지급기준 및 미등기 임원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 3호 의안 : 이사회 운영규정 변경의 건
※ 보고사항
제 1호 보고 : 2023년 제 1차 감사위원회 결과 보고의 건
제 2호 보고 : 2022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평가 보고의 건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

3 2023-03-29 제 1호 의안 : 이사 등과 회사 간의 거래 승인의 건
제 2호 의안 : 경영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제 3호 의안 : 2023년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계획 승인의 건
※ 보고사항
제 1호 보고 : 2023년 제 2차 경영위원회 결과 보고의 건
찬성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
4 2023-05-12 제 1호 의안 : 자기주식 처리의 건
제 2호 의안 :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제 3호 의안 : 주주확정 기준일 설정의 건
※ 보고사항
제 1호 보고 : 2023년 제 3,4차 경영위원회 결과 보고의 건
제 2호 보고 : 2023년 제 55기 1분기 재무제표 보고의 건
찬성
찬성
찬성

-
-
찬성
찬성
찬성

-
-
불참
불참
불참

-
-
찬성
찬성
찬성

-
-
찬성
찬성
찬성

-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장 김종필
위원 김주원
위원 윤종록
2023-03-09 제 1호 의안 : 2022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제 2호 의안 : 2022년 감사 결과 보고의 건
가결
가결
내부거래위원회 위원장 김주원
위원 민승규
위원 진형혜
2023-06-07 제 1호 의안 : 동원신성장1호조합 출자의 건
제 2호 의안 : 동원부산컨테이너터미널부산(주) 출자의 건
가결
가결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천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5명 8,000,000 69,000 13,800 -

※ 상기 인원수는 공시서류 제출일 현재 재임 중인 인원 기준입니다.
※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를 포함한 등기이사 전체 보수한도 총액입니다.
※ 1인당 평균 지급액은 지급총액을 공시서류 제출일 현재 재임 중인 인원수로 나누어 계산하였습니다.
※ 상기 지급총액은 1분기까지 지급한 총액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배당금 수령 동원로엑스(주)
(계열회사)
2023.03.22 272 2.64
배당금 수령 동원시스템즈(주)
(계열회사)
2023.03.28 124 1.20

※ 상기 비율은 제 54기 별도 재무제표상 매출액(10,315억원) 대비 거래금액 비율입니다.
※ 상기 항목은 당해 사업연도 개시일로부터 1분기까지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 상기 비율은 2022년도 별도 재무제표상의 매출액 대비 거래금액 비율입니다.
※ 상기 항목은 당해 사업연도 개시일로부터 1분기까지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지주부문

 지주회사(持株會社, Holding Company)란 다른 회사의 주식을 소유한 회사이며 단순히 주식을 소유하는 것만이 아니라, 법적기준 이상의 해당회사의 주식(의결권)을 보유함으로써 그 회사에 대하여 실질적인 지배권을 취득하는 것을 사업의 목적으로 하는 회사입니다.
 우리나라의 지주회사제도는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이하 '공정거래법' 또는 '법')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정부에서는 1986년 공정거래법 개정 시 지주회사 설립 및 전환을 금지시켰으나,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기업들의 구조조정과정을 촉진한다는 취지 하에 1999년 공정거래법을 개정하여 지주회사를 허용하였습니다.

지주회사의 장점으로는 기업지배구조의 투명성을 증대시켜 시장으로부터 적정한 기업가치를 평가받음으로써 주주의 가치를 높이고, 독립적인 경영 및 객관적인 성과평가를 가능케 함으로써 책임경영을 정착시켜며, 사업부문별 특성에 맞는 신속하고 전문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한 체제를 확립하여 사업부문별 경쟁력을 강화하고, 전문화된 사업역량에 기업의 역량을 집중함으로써 경영위험의 분산 등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당사는 2022년 동원엔터프라이즈와의 합병을 통해 동원그룹의 지주회사가 되었습니다. 2022년 기말 별도 기준 총자산의 대부분이 자회사에 대한 종속기업투자주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주회사는 자회사로부터의 배당금 수입이 주요 현금창출의 수단이 됩니다. 당사는 주력 자회사들이 전반적으로 안정된 사업기반을 바탕으로 양호한 영업실적을 유지하고 있고, 배당금수입 이외에 브랜드 사용료 수취 및 용역서비스 사업 확대를 통하여 현금흐름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어, 지주회사로서의 사업안정성이 있다고 판단됩니다.

 동원그룹 내의 우수한 사업성과 시장지위를 가지고 있는 주력 계열사를 바탕으로 당사의 안정적인 수익기반이 되고 있습니다. 당사의 지주부문 영업수익은 계열회사에 대한 용역서비스 매출 및 상표권 사용수익 그리고 IT부문 매출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용역서비스 매출은 계열회사의 인사, 총무 업무에 대한 용역제공 및 그룹 연수원 운영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매출입니다. 그룹 연수원 ‘동원리더스아카데미’는 2007년 6월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에 설립되었으며, 급변하는 국내외 경영환경의 변화에 앞서가는 글로벌 리더를 양성하는 평생학습의 장으로서, 창의와 열정, 섬기고 봉사하는 리더십을 배양하는 산업교육의 요람이 되고자 천혜의 자연환경 속에서 최첨단 교육시설과 최고의 부대시설을 갖춘 Best Learning Center입니다.

 상표권 사용 수익은 당사가 ‘동원’ 상표권의 소유주로서 브랜드의 가치제고 및 육성, 보호 활동, 내부인프라구축, 건전한 기업문화정착, 그룹핵심가치교육, 그룹인재양성등 다양한 활동을 종합적으로 수행함에 따라, 그 일환으로 2008년 4월 1일부터는 ‘동원’ 브랜드를 사용하는 회사와 상호 간에 상표사용계약을 체결하여 사용 상의 권리와 의무를 명확히 함과 동시에 브랜드 사용료를 수취하고 있습니다.

 

나. 사업부문

(1) 수산부문
1) 산업의 특성
최근 연안국들의 어족자원 자국화가 더욱 강화되고, 국제수산기구의 자원보존정책강화 및 규제로 인하여 어로환경은 점차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원양산업계는 연안국 등과의 적극적인 입어교섭으로 어장을 확보해 나가고 있습니다. 원양산업은 세계 식량사업의 원료를 생산하는데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중요한 산업으로서 어장 확보만 원활히 이루어지면 지속성장이 가능한 산업입니다. 또한 안전한 건강식품인 수산물 소비량은 계속 증가되는 추세에 있어 원양산업의 중요성은 날로 더해가고 있습니다.
국내원양어업기술은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세계 최고 수준에 이르고 있습니다. 최신 선박의 신규투입과 첨단 어군 탐지장비도입, 선단 운영능력의 발전, 위성을 통한 기상/수온/플랑크톤 등에 관한 과학적 정보데이터의 활용 능력 향상은 선박의 조업능력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크게 증대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PS(Purse seiner Special) 및 ST(Super Tuna) 생산용 신조선의 투입 등으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해 나가고 있습니다.
당사는 ESG 경영강화의 일환으로 지속가능한 조업방식을 활용하여 해양자원을 보전하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실천하여 오고 있으며, 2019년 10월에는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MSC(Marine Stewardship Council)에서 Fishery 인증을 국내최초로 획득하였습니다. 2020년 7월에는 연승부문에서도 Fishery 인증을 취득하여 선망선과 연승선을 모두 운영하는 조업선사로서는 세계 최초로 두 가지 어업방식에 대해 MSC 인증을 모두 획득한 Full Scale 인증 기업이 되었습니다. 나아가 MSC 인증 범위 외의 조업방식에 있어서도 FIPs(Fishery Improvement Projects, 어업개선프로젝트)를 진행 완료하였으며, 생분해성 집어장치(Bio FAD) 사용, 폐어망 업사이클링 활동 등 해양플라스틱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통해 글로벌수산기업으로서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2) 국내외 시장여건
원양산업은 국내경기 변동보다는 미국, 일본, 유럽 등 선진국 경기추세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원양산업의 경기는 크게 생산량, 환율, 선진국들의 소비 경기변동에 의해 좌우되는데 선진국들의 소비는 건강선호 추세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어획량에 따른 가격과 원가율 변동이 수익성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원양산업은 무엇보다 조업능력과 효율적 운항능력에 따라 좌우되고 있습니다. 최근 중서부태평양수산위원회(WCPFC)와 연안국들은 참치의 어족자원 보호라는 명목 하에 조업일수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는 참치선망선의 어획증가에 따른 가격하락을 방지하고자 하는 측면도 있습니다. 해당 규제가 기존에 사업을 영위하던 나라와 업체들 위주로 조정 및 진행이 되고 있어 신규사업진출에 다소 어려움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래서 선망선 조업에 있어 성능이 우수한 선박의 확보를 통해 경쟁우위를 점할 수 있습니다. 어획물 시장의 특성은 세계적인 완전경쟁시장의 형태로 수요와 공급에 의해 시장가격이 형성되며, 대금결제는 L/C, T/T의 형태로 이루어 집니다. 원어의 품질은 어종, 크기, 그리고 유통과정에서의 신선도 등에 따라 결정되며, 당사는 과거에 도입한 선박들의 냉동처리 능력 보강과 어획물 처리기술을 강화한 신조선 도입으로 어획물의 고부가가치화를 지속추진하고 있습니다. 


3) 영업의 개황
당사는 작성기준일 현재 참치 선망선 11척, 참치 연승선 12척, 지원선 1척, 트롤선 1척, 운반선 2척 총 27척의 국적선과 합작선망선 1척, 해외 자회사 선망선 8척, 해외 자회사 운반선 3척, 해외 자회사 채낚이선 1척을 포함하여 총 40척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참치선망선은 원양어선 중에서는 가장 성력화된 선박으로서 초대형 어망을 사용하여 통조림용 참치를 어획합니다. 당사 보유 선망선은 어군탐지용 헬기를 탑재하고 있으며, 인공위성을 통해 육상과 교신할 수 있는 통신장비(Inmarsat) 및 소나(Sonar: 칼라어군탐지기) 등 첨단 설비를 갖추고 있습니다. 그리고 총 9척의 PS/ST 생산용 선망선과 3척의 PS 생산용 참치 선망선에서 횟감용 참치를 생산함으로써 부가가치 증대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현재 20척의 국내 최대 선망선단을 운영하고 있는 당사는 주 조업지역이 중서부 태평양으로서 연간 약 20만톤 내외의 참치를 어획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도양 및 대서양으로 조업지역을 다변화 하여 변화하는 조업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참치선망선에서 어획된 참치는 국내 및 해외 시장에 판매되어 주로 통조림용으로 가공되고 있으며, 이외에 기타 식품의 원료로도 공급되고 있습니다. PS(Purse seiner Special) 및 ST(Super Tuna)는 통조림용으로 가공되던 참치를 횟감용으로 처리하는 기술을 적용하여 고부가가치 횟감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최근 지속가능어업 인증인MSC(Marine Stewardship Council) 인증을 획득한 참치 공급으로, 점차 상향되어 가는 소비자 기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참치연승선은 주로 남태평양, 인도양, 대서양 등에서 횟감용 참치를 어획합니다. 낚시(주낙)를 사용하여 눈다랑어, 황다랑어 등의 어종을 타겟으로 어획하고 있으며, 횟감용 참치로서의 품질 등급을 유지하기 위하여 신속한 선상 처리 후 영하 50도 이하로 급속 동결 및 보관합니다. 참치 연승선의 연간 생산량은 척당 약 400톤 수준입니다.
트롤선은 그물을 바닥 밑으로 내려 수평방향으로 끌며 중층어족을 주 타겟으로 삼고, 남빙양에서 크릴을 어획합니다. 청정해역인 남빙양에는 오메가3와 불포화 지방산 및 기타 영양분의 함유량이 높아 인간의 미래 식량자원으로 평가 받고 있는 크릴이 대량으로 서식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주로 낚시와 양어장의 사료용으로 판매를 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크릴의 제품화와 다양한 유통경로 개척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노력의 일환으로 2019년 크릴오일 제품인 '동원 크릴리오'를 출시하였고, 더 나아가, 저변이 넓어진 시장의 니즈에 맞춰 다양한 유통경로를 확보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트롤선의 연간 생산량은 약 20,000톤 정도이며, 어획량 증대를 위한 신규어장 개척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더욱 치열해지고 있는 글로벌 수산자원 확보를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펼쳐 나가고 있습니다.


4) 시장점유율 및 시장의 특성
① 시장점유율 

회 사 명

수출실적(천$)

비율(%)

동원산업

169,920

49.18

신라교역

51,576

14.93

사조씨푸드

48,069

13.91

사조산업

30,343

8.78

정일산업

17,676

5.12

홍진실업

12,144

3.51

동원수산

4,992

1.44

사조오양

4,622

1.34

티엔에스산업

3,543

1.03

동양수산

353

0.10

기타

2,269

0.66

합 계

345,507

100.00

※ 2022년판, 한국원양어업협회 발간 '원양산업 통계연보 page. 142~143' 참조
※ 수출실적은 2021년 기준으로 기재하였습니다. 


② 시장의 특성

 참치연승선이 어획하는 횟감용 참치는 주로 일본 및 유럽 수출과 국내에 판매하고 있으며 판매가는 국제시세에 의하며, 대금결제는 현금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참치선망선에 의해 어획하는 통조림용 참치의 경우 국내 및 태국, 미국, 중남미, 유럽 등의 거래처에 국제 시세로 현금 판매하고 있습니다. 또한, 트롤 등의 어획물은 주로 일본 및 국내 고정거래처에 안정적으로 판매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인 건강선호 추세에 따라 수산물에 대한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2) 식품가공·유통부문

[일반식품부문]
1) 업계의 현황
① 산업의 특성 

 식품산업은 산업화, 도시화, 국민 식생활의 서구화를 통해 지속 성장한 분야이며, 경제의 발전에 따른 국민소득의 증대는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연결되어 국민들의 식생활 패턴을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식품 안전성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날로 커지고, 차별화된 프리미엄 식재료에 대한 Needs가 증가하며, 단순히 맛으로 소비하는 것이 아닌 하나의 식문화, 라이프 스타일로서의 식품 소비가 늘어남에 따라, 이에 맞게 특별한 가치를 제안하는 제품이 소비자의 선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② 산업의 성장성 및 경쟁요소
식품산업은 국민소득의 지속 증대와 경기변동에 따른 영향이 적은 산업의 특성에 따라 안정적 성장세를 보여왔습니다. 최근에는 1인가구 및 맞벌이가구의 증가, 인구 고령화로 인해 간편식 식품 시장이 뚜렷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향후 식품시장의 성장세를 견인해 갈 것으로 보입니다.
식품산업에서는 무엇보다 브랜드 인지도와 회사의 신뢰도가 큰 영향을 미치며, 나아가 신제품 개발능력과 전국적인 영업망의 확보, 적기에 물건을 생산하고 공급하는 물류능력이 경쟁요소로써 시장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요인입니다.

③ 관련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및 지원등
농수산물에 대한 가공은 부가가치세법에 의하여 의제매입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으며, 식품에 대한 품질 및 위생에 대하여는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와 함께 보건복지부, 식품의약안전청의 지도와 감독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또한, HACCP, ISO등의인증을 독려하고 제조물책임법(P/L)의 제정 및 시행에 따라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감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④ 기타

 식품산업은 최근 글로벌 원재료비 급등에 따른 원가 부담과 인플레이션 및 가계 소비 여력 하락에 따른 수요 감소를 극복하여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업계는 브랜드 육성과 제품 차별화를 통해 시장점유율을 높이는 전략에 중점을 두고 사업을 전개할 것으로 보입니다.


2) 사업의 현황

 동원산업은 부산광역시 감천항 수산물 유통단지에 첨단 위생관리 System을 도입하고, HACCP 및 EU에 등록된 횟감용 참치가공공장을 갖추고 있습니다. 부산공장은 총 규모 2,500평의 가공공장으로서 하루 최대 30톤을 생산하는 입체적 4개 Line으로 구성된 첨단 가공설비와 초저온 냉동창고를 완비하고 고품질의 제품만을 위생적으로 생산하여 국내의 전문점 및 백화점뿐만 아니라 아시아, 미국 및 유럽시장에 수출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MSC(Marine Stewardship Council) 인증 참치를 유럽, 미주, 일본으로 수출하며, 지속가능하고 안전한 수산물을 세계에 선보이고 있습니다.

 동원F&B는 1969년부터 영위해 온 원양어업을 통한 원재료 조달 노하우를 바탕으로 1982년 국민 식문화 향상을 위한 식품사업에 착수한 이래, 동원 브랜드의 참치캔, 농수산캔, 조리냉동, 먹는샘물, 연제품 등과 양반 브랜드의 조미김, 김치, 죽, HMR 그리고 덴마크, 소와나무 브랜드의 유제품, 리챔 브랜드의 육가공 제품 등 다양한 브랜드를 바탕으로 사업영역을 꾸준히 확장해왔습니다. 또한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에 맞춰 보다 좋은 품질과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건강기능식품, 펫푸드, 음료 등을 또 다른 성장의 축으로 키워 나가고 있습니다.

 StarKist Co.는 참치업계에서 미국 내 45%가 넘는 독보적인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안정적인 사업구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식품산업에서 소비자들의 건강과 웰빙트렌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안전하고 건강한 원재료를 사용한 제품들에 대한 수요 역시 증가하고 있습니다. 단백질이 풍부하고 오메가-3가 많은 제품인 참치는 이러한 트렌드에 따른 수혜를 계속 받을 것입니다. 또한, 소비자들의 바쁜 일상에 적합한 편의성을 제공하는 제품의 성장이 예상됨에 따라, 당사의 주력제품인 참치 파우치뿐 아니라 최근 출시된 치킨 파우치, 런치 투 고 참치키트, 스마트 보울 등의 간편 편의 제품들도 계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세네갈의 Societe de Conserverie en Africue S.A는 StarKist 인수 Knowhow를 바탕으로 적극적인 개선을 통한 인프라구축 및 영업망 확충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2011년 인수 당시 낮은 생산성과 근로환경이 경영성과 창출에 있어 큰 어려움 이었으나, 생산기술과 품질관리의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동원그룹 및 미국 StarKist 전문가가 파견되어 지속적인 교육과 품질 모니터링을 시행하여, 현재는 미국, 유럽시장에 품질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① 시장점유율

㈜동원F&B                                                                                           (단위: %)

제   품   명

제 24기 분기

제 23기

제 22기

제 21기

자료출처

참 치 캔

85.6

82.5

81.3

80.4

닐슨

캔     햄

17.3

19.0

19.3

20.0

닐슨

냉동 만두

9.0

8.5

9.0

8.2

닐슨

23.5

23.2

18.2

17.6

닐슨

냉 장 햄

10.9

10.8

10.3

10.1

닐슨

44.4

42.6

41.8

41.9

닐슨

발 효 유

12.6

12.5

13.2

12.2

닐슨

치      즈

19.5

20.5

20.2

20.5

닐슨


② 시장의 특성

 국내 식품산업은 안정적인 수요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나, 시장이 성숙기에 접어들어 성장가능성이 높지 않고, 온라인을 중심으로 하는 유통구조의 재편 및 경쟁심화 등으로 인해 판촉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글로벌 원가 급등, 급속한 식품 소비 트렌드 변화, 경기 침체, 성장률 둔화 등 많은 어려움에 직면해 있습니다. 또한 소득수준 향상에 따른 소비자들의 식문화 다양화, 식생활 수준의 향상에 따른 프리미엄식품 및 건강지향식품 등에 대한 수요 대응 등 소비자 트렌드에 대응하여야 합니다. 그러나, ㈜동원F&B의 참치캔은 고단백 저칼로리의 건강친화식품으로 식품 트렌드에 부합하며, 독보적인 시장점유율을 바탕으로 기존의 시장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③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향후 식품사업은 1인가구, 맞벌이가구의 증가 및 인구 구조의 변화로 급격한 트렌드 변화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Untact시대로의 전환 등 대외적인 환경의 변화가 지속될 것입니다. 이러한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여 새로운 미래 먹거리 및 성장 기반을 구축하는 기회로 삼도록 하겠습니다. 높은 제품력을 바탕으로 그릴리, 양반, 보성홍차 등의 브랜드를 육성하는 한편, 기존 브랜드의 가치 제고를 지속할 것입니다. 근린상권, 온라인, 해외 등 성장하는 유통채널을 중심으로 역량을 집중하여 적극 대응하는 동시에 B2B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겠습니다.


[조미유통부문]

1) 업계의 현황
① 산업의 특성
조미 및 유통사업은 나날이 그 시장이 커져가고 있으며, 국민소득 증대와 여가활동의 증가로 외식문화가 발전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분야이며, 국민들의 생활수준 향상 및 식생활 변화의 패턴 변화 시기가 짧아짐에 따라 다양한 맛을 추구하는 요구에 맞춰 변화되고 있습니다. 급식사업은 초중고의 급식을 학교직영으로 운영함을 정책적으로 바꾼 바, 그에 따른 판로개척에 급식 산업 내 기업들의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보입니다.

② 산업의 성장성 및 경쟁요소
향후 조미 및 유통사업은 외식사업의 발전과 보다 가치 있는 제, 상품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큰 폭의 성장이 예상되며, 성장전망이 밝은 만큼 대기업의 진출이 잇따르고 있어 경쟁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업계는 원가절감보다는 제품차별화를 통한 신규 소비자 확보에 중점을 두고 사업을 전개할 것으로 보입니다.

③ 관련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및 지원 등
농수산물에 대한 가공은 부가가치세법에 의하여 의제매입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으며, 식품에 대한 품질 및 위생에 대하여는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와 함께 보건복지부, 식품의약안전처의 지도와 감독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또한, HACCP, ISO등의 인증을 독려하고 제조물책임법(P/L)의 제정 및 시행에 따라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감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2) 사업의 현황
① 영업개황
㈜동원홈푸드는 B2B 조미식품 분야에서 입지를 다져왔고 피자/치킨프렌차이즈, 패밀리 레스토랑, 패스트푸드, 제과제빵회사, 급식전문회사, 종합식품회사 등 다양한 외식업체의 파트너로써 소스, 드레싱, 씨즈닝, 프리믹스, 향료, 엑기스, 즉석간편식 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신뢰의 파트너십을 구축해 왔습니다.
또한 전국 376여개 업장을 대상으로 일평균 14만식을 제공하는 급식사업은 물론 식당 직거래 유통에 적합한 시스템 개발과 선진구매기법을 바탕으로 식자재 유통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커피, 샌드위치전문점 '샌드프레소'와 프리미엄 샐러드전문점 '크리스피프레시' 등을 전국 23개 매장에서 운영 중입니다.

 ㈜동원홈푸드는 조미분야의 전문 기술력과 국내 외식시장에서 그 동안 쌓아온 노하우를 발판으로 리테일 경로 확대와 해외시장 진출 등 비즈니스 영역을 넓혀 나가고자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는 향후에 회사의 이익창출과 동시에 회사의 지속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② 시장의 특성
조미식품산업은 국민의 소득수준 향상 및 소비자들의 식생활 수준향상으로 갈수록 세분화 되고 있으며, 전체적인 시장규모는 성숙기로써 조미식품을 제조하는 업체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당사의 조미식품사업은 업계 선두로써 기존의 시장구조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신규 경로 개척을 확대함으로써 새로운 성장 기회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급식산업은 안정적인 시장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정부의 초중고교 급식 직영화 정책으로 다소 침체기를 겪고 있습니다. 기업 및 대학교를 비롯한 급식대상업체 확보를 위해 시장 내 경쟁이 치열한 상황입니다. 식자재 유통산업은 나날이 그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며 높은 수준의 품질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남에 따라 가격 경쟁력보다는 제품자체의 질적 만족성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③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조미식품의 B2B 경로의 노하우를 기반으로, 해외 유명브랜드와 제휴를 통해 B2C경로까지 사업을 확대하여 미래성장 사업으로 육성하고, 차별화된 기술, 공정으로 혁신제품 개발에 투자를 확대하여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향후 급식사업에 있어서는 KIDS및 요양원 경로를 중점적으로 사업을 확장하는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식자재유통에 있어서도 시장 트렌드를 반영하여 프렌차이즈 및 대형식당 등을 대상으로 시장에서 그 지위를 확보해 나가려 하고 있습니다. 또한 첨단 전산시스템과 정확한 물류체계를 바탕으로 제조, 유통 영역간의 시너지효과를 극대화시킬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외식사업과 HMR 온라인판매사업을 신 성장동력으로 지정하여, 향후 매출 확대에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동원홈푸드는 푸드서비스, 식자재유통, 식품제조까지 다양한 식품관련 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B2B 종합식품기업으로, 건강하고 풍요로운 식문화를 창조하는 기업이라는 경영이념을 실천하며 고객만족과 고객성공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사료부문] 

1) 업계의 현황
① 산업의 특성
사료사업은 가축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소를 고르게 공급할 수 있도록 과학적인 설계기술과 자동화된 생산설비를 바탕으로 위생적이고 안전한 사료를 생산하는 분야입니다. 이러한 배합사료 산업은 국민소득증대와 더불어 지난 30여년 동안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국내시장 규모 9조원(생산규모 21,382천톤)입니다.
또한, 배합사료의 원재료는 대부분 해외에서 수입되고 있으며 국제 곡물가격, 환율 등이 배합사료 원가의 주요 변동 요인입니다.

② 관련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및 지원 등
배합사료 산업은 사료관리법에 적용을 받고 있으며, 주요 수입원재료는 할당관세에 적용을 받고 있습니다.

③ 기타
최근 일부 사료회사가 사료공장을 신설 중에 있으며, 사료회사의 공격적인 마케팅과 계열화를 통해 수익구조를 변화해가고 있습니다.

2) 사업의 현황
① 영업개황
국내배합사료 시장은 1990년대 중반까지 급속한 성장세에 있었으나 최근 시장은 완전 경쟁 상태에 접어 들었습니다. 사료회사들은 과도한 경쟁을 극복하기 위해 M&A를 통한 대형화 및 계열화 구축, 국외 시장 진출, 제품 품질 향상 등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국내 배합사료 시장의 규모는 2022년 전체 21백만톤의 규모이며 동원팜스㈜는 약 1.8%내외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017년 4월 동종업계인 두산 생물자원과의 합병을 통하여 기존 중남부지역 (논산)을 중심으로 한 사업영역을 수도권 및 전국적 영역으로 확대 가능하게 되었으며 양계, 양돈, 낙농, 비육, 오리 등 배합사료를 생산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2007년 동원팜스㈜로 회사명을 변경 후 매년 질적 성장을 하고 있습니다. 1993년 특수사료시설(Extruder Pellet)을 완공하였고, 2006년 6월에는 국내 사료업계 최초로 ISO 2000 및 HACCP인증을 받았고, 2013년 ERP 전산 구축을 통하여 통합 전산망을 구축 하였습니다.
동원팜스㈜는 전 축종의 사료 판매를 하고 있으며 특히 양돈 및 축우사료 판매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사료업체간 경쟁이 심하지만 수익 축종 판매 증대, 전문 인력 보강 및 기술 제휴를 통해서 매출 및 이익증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존 사료 판매 중심의 사업에서 계열화 사업 등 미래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역량 집중 및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② 시장의 특성
사양가의 대형화, 집단화로 고객의 요구가 다양화되고 있으며, 시장 성장은 소폭에 그칠 것으로 보입니다. 사료의 경쟁요인은 품질, 가격, 서비스이며 축종별로는 양계는 가격조건, 양돈·낙농은 가격, 품질 및 서비스 위주로 경쟁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OEM업체들의 시장진입으로 경쟁이 더욱 심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사양가가 대형화함에 따라 더 나은 서비스와 품질뿐만 아니라 사양가의 재무상태도 경영 지도하는 등 모든 분야에서 컨설팅 마케팅으로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③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고품질의 양돈사료 생산 및 판매를 통하여 양돈중심의 사료회사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시장변화에 맞춘 신제품 개발 및 판매 증진을 통해서 수익성을 개선해 나가며 브랜드 이미지를 확대할 것입니다. 또한 양축 사업부문외 양어 시장에 진출하여 가치판매활동 및 프리미엄 제품 라인 구축을 통한 전 축종 배합사료에서 매출 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온라인사업부문]

1) 업계의 현황
① 산업의 특성
온라인사업부문은 가격, 품질, 배송 등 끊임없는 고객서비스의 개선을 통해 고객들의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인해 꾸준한 상승추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물류산업의 발전과 소비자 행동의 변화에 따른 것으로 합리적이고 편리함을 갖춘 온라인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② 산업의 성장성 및 경쟁요소
스마트폰 및 온라인결제수단의 발달과 비교적 용이한 플랫폼 구축 환경으로 인해 시장 진입 장벽이 낮은 산업입니다.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고도화 된 마케팅, 상품기획, 안정적인 배송 운영을 통해 충성 고객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진입장벽이 낮은 만큼 다양한 경쟁자의 진입으로 경쟁이 격화되면서 각종 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해당 산업의 기업들은 적절한 마진을 유지하면서 고객에게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느냐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③ 관련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및 지원 등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공정거래법, 대규모 유통업에서의 거래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인정보 보호법, 정보통신망법 등의 법률에 따라 준법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 사업의 현황

 동원디어푸드㈜는 2021년 4월 1일 ㈜동원F&B로부터 물적분할을 통하여 설립되었습니다. 동원디어푸드㈜는 전자상거래를 기반으로 자사몰(동원몰, 츄츄닷컴)과 외부몰(소셜, 오픈마켓 등)에서 영업 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특히, 동원몰은 온라인 종합 식품몰로서 동원 브랜드 제품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식품 브랜드 및 리빙, 가전 등 라이프스타일 전반에 걸친 상품을 판매하여 다양한 고객의 니즈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편의에 중점을 맞춘 모바일 앱을 리뉴얼 하여, 고객 데이터 기반 맞춤형 서비스 도입 등을 통해 고객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으며, 다양한 판촉 및 광고 활동을 통해 동원 브랜드의 온라인 사업에 역량을 쏟고 있습니다.


(3) 포장부문

1) 업계의 현황

 포장재 산업은 완성품이 아니라 부분품으로서 식품산업의 성장과 더불어 발전하였으며 최근에는 생활용품, 의약품, 산업용품 포장재까지 그 용도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또한, 생산, 유통, 소비에 있어 필수 불가결한 요소로서 포장재의 역할은 날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알루미늄은 열전도성, 가공성, 방습성 등의 특성으로 전기, 전자 및 자동차산업에 식품, 제과, 연초 등의 포장재산업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소재로서 공조기 및 열교환기의 핀재, 통신용 케이블의 피복용, 담배용 은박지, 제과포장재, 제약포장재 등 다방면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PC,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 전기자동차, 산업계 에너지저장장치(ESS)에 이르기까지 2차 전지 시장의 가파른 확장세에 발맞추어 양극박 생산설비 증설을 완료하고, 관련 R&D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알루미늄박 산업은 기술축적과 대규모의 시설투자를 필요로 하는 장치산업으로 진입장벽이 높은 편이며, 최종소비재가 아닌 중간재로서 소득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그 사용량이 증가되고 있습니다. 특히 2차전지 양극박 소재 수요가 증가 함에 따라 당사를 포함하여 동종업계는 생산설비 증설에 많은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유리병 사업은 초기투자비가 많이 요구되는 장치산업으로 신규업체의 진입장벽이 높은 산업입니다. 유리사업의 원재료인 규사, 소다회는 대부분 수입하여 조달하고 있으며, 석회석 등은 국내에서 조달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음료CAN의 주 원재료인 Aluminum은 Global업체를 통하여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PET의 주 원재료인 Resin은 대부분 국내에서 조달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2) 영업개황

 당사는 종합패키징 및 첨단소재전문기업으로서 연포장재, 알루미늄박, 성형용기, 식품용 음료용 CAN, E.O.E, 페트병, 유리병 등 대부분의 포장재와 더불어 2차전지용 알루미늄 양극박 및 배터리용 원형캔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교육 훈련된 전문인력, 첨단 생산 및 검사설비, 고객지원시스템을 통해 축적된 좋은 품질로 미국, 캐나다 등 북미 및 남미, 유럽,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등 세계 전역으로 당사의 포장재가 수출되고 있습니다. 덧붙여 당사는 기업부설연구소를 통해 생활용품에서 의약품 포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포장재 개발에 앞장서고 있으며, 2차전지용 부품소재 및 친환경 소재 등 차세대 포장재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국내 최초로 식관용 DRD 캔을 개발하였고, E.O.E를 국내 생산하여 수입 대체를 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를 수출 상품으로 육성 하였습니다. 이러한 수출 노력에 힘입어 2017년에는 무역협회로부터 '수출 1억불의 탑’을 수상한 데 이어, 2022년에는 '수출 2억불의 탑'을 수상한 바 있으며, ISO 9001, ISO 14001, ISO 22000, FSC 인증, 녹색제품 친환경인증, USDA 인증 획득 및 클린 사업장을 통해 식품 안전의 첨병이 되고 있습니다. 또한, 소비재에서 자동차 소재, 그리고 2차전지 시장에 이르기까지 그 사업영역을 확대하여 미래 신성장동력을 준비하고 있으며, 포장사업의 시너지를 창출을 위한 안정적인 수익 확보를 위해 더욱 매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리병 산업에 국내 최초 진출하여 최고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유리병 산업을 선도하고 있으며, 사업다각화의 일환으로 PET 사업과 CAN사업까지 그 영역을 넓힘으로써 국내 최대의 종합 포장재 회사로 발돋움하였습니다. 또한,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신개념 금속 포장용기인 알루미늄 Bottle Can을 국내 최초로 국산화하여 명실상부한 글로벌 기업으로 발돋움하고 있습니다.

 수지사업은 산업용 특수필름을 제조하는 사업부로서 꾸준히 기업부설연구소를 통한 R&D활동과 이를 통해 개발된 신제품들을 매출로 실현시키고 있습니다. 국내 최초로 LCD 공정용 보호필름에 성공함으로써 산업용 특수필름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한바 있으며, 현재까지도 자가점착필름관련 최고의 기술력과 연구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수축필름, 하드코팅필름분야까지 지속적으로 영역을 확대해가고 있습니다.

 인쇄사업은 판지 상자와 상업용 인쇄물을 제조하는 사업으로서 1,970여평의 전 공정 자동화 인쇄공장을 통해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력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국내 유력기업인 동서식품, 농심, 롯데, 오뚜기, 크라운제과 등의 제품 포장용 판지상자 인쇄물을 생산하여 납품하고 있습니다.

 덧붙여 당사는 '21. 11. 1.을 합병기일로 하여 엠케이씨를 흡수합병한 바 있으며, 이를 통해 2차전지 원형캔 사업에 본격적으로 진출하였습니다. 특히 당사가 주력으로 생산하는 2차전지 부품인 원형CAN의 경우, 생산을 위하여 필요한 금형설계 및 제작, 공구설계 및 제작, 생산공정 설계, 제품 설계, 공정 관리, 품질 관리 및 성능 테스트 등에 필요한 거의 대부분의 기술을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고, 당사는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현재 2차전지 중대형 원형CAN 사업에 진출하기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향후 2차전지 중대형 원형CAN 시장은 꾸준히 확대가 기대되며, 당사는 2차전지 중대형 원형CAN 시장 진출을 통해 포장재 전문기업을 넘어 첨단소재기업으로 한발짝 도약해 나아갈 예정입니다. 


2)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사업부문

품목 및 사업군

포장

연포장재

식음료연포장, 의약용품연포장, 생활용품연포장 등

알루미늄

냉난방기, CAR-FIN, 통신케이블, 변압기, AL-PASTE 등

CAN

참치CAN, E.O.E, 알루미늄CAN, BTC, 2차전지원형CAN 등

유리병

식음료병, 맥주병, 소주병, 주스병 등

PET

식음료용기, 탄산음료, 과실음료, 이온음료, 커피 용기 등

인쇄

판지상자, 상업용인쇄 등

수지

통기성필름, SLN, 산업용 랩, 원터치필름, TFT-LCD보호필름 등

2차전지

2차전지용 알루미늄 양극박, 원통형 배터리캔


3) 시장점유율

 타사의 자료확보 어려움과 객관적으로 검증된 자료의 부재로 시장점유율을 생략함.


4) 시장의 특성

 포장사업은 종합식품회사인 계열회사를 판매기반으로하여 경쟁력을 높여왔고 현재 국내의 식품사와 비식품사, 다국적기업의 국내외 지사에 판매망을 꾸준히 늘려가고 있어 안정적인 성장세를 향후에도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올 한 해 원자재가격이 급등으로 원가가 상승하여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으나 판가 인상 및 원가절감과 기술혁신을 통해 적극 대응하고 있습니다.

알루미늄박은 최종 소비재가 아닌 중간재를 생산하는 업종이기 때문에 관련 산업과 경기동향에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위생용필름 시장은 대규모 설비의 장치 산업으로써 기업 성격상 시장진입이 용이하지 않은 장점이 있는 반면 국제 시장에서는 가격경쟁력을 앞세운 중국 및 동남아국가 제품이 위협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상기의 가격경쟁력의 상황을 인지하고 회사는 통기성필름 생산라인을 최소화 하는 반면 시장에서 확보된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향후 웰빙 사업뿐 아니라 산업용 기능성필름에 역점을 둠으로써 국내 최대의 산업용 특수필름 기업으로 발돋움 할 것입니다. 판지상자는 완제품 생산이 아닌 중간재 성격으로 인하여 거래처의 수요에 적기 대응할 수 있는 기술력 확보 및 가격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유리병, CAN, PET 시장은 음료 및 주류 제조업체와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전방산업의 경기에 큰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전방시장은 최근 3년간 5%이상의 지속적인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어 용기시장도 이에 따라 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맥주시장의 고급화 및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맥주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유리병 판매가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글로벌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하여 CAN제품에 대하여 해외 수출을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생수시장의 급격한 성장으로 인하여 PET 매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향후 지속적인 성장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리고 지속적인 원가절감과 기술혁신을 통하여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제품력을 갖추고 다양한 신제품을 개발하여 고객의 매출증대에 기여한 바 기존 고객들과 

장기거래계약을 지속하고 있어 안정적인 매출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5)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① 이차전지 소재

 당사는 40여년의 종합포장재 기술력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2차전지 부품사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설정하고 2차전지 소재 사업에 진출하여 알루미늄 양극박, 원형 배터리캔을 생산하여 공급 중에 있으며 이차전지용 셀파우치 제조분야 진출을 통하여 2차전지 소재부품 기업으로서의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기 위해 기업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먼저 알루미늄 양극박은 전기 자동차의 친환경 배터리인 2차전지 내에서 전자가 이동하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핵심 부품으로, 알루미늄을 20㎛(미크론, 1mm의 1/1000) 이하의 박 형태로 매우 얇게 가공해 만듭니다. 이 과정에서 알루미늄의 두께를 균일하게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최첨단 압연 기술이 필수적이며, 당사는 양극 집전체로서 성능을 최대로 향상시키기 위한 핵심기술인 물성 제어, 두께 제어, 표면처리 및 공정기술 등에서 제품 차별화 경쟁력을 이끌어 내고 있습니다. 현재 양산/판매중인 양극박은 국내 배터리 제조업체를 통해 IT용, PT용, ESS용, xEV용 배터리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원형 배터리캔은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식/음료캔 고속 제조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캔 금형설계 기술, 딥 드로잉 성형 기술 등으로 고속생산라인을 구축하고 제품 경쟁력을 확보 중입니다. 기존 18650 원통형 배터리 캔 대비 에너지 용량을 30% 이상 늘린 21700 원통형 배터리 캔을 양산중이며, 향후 전기차 업계에서 게임 체인저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되는 4680 원통형 배터리 캔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셀파우치는 양극과 음극, 분리막 등의 소재를 돌돌 감은 ‘젤리롤’ 형태의 전극이나소재를 층층이 쌓은 ‘스태킹’ 형태의 전극을 셀 파우치로 감싼 모양의 2차 전지로, 내부 공간 효율이 높아 에너지 보관 밀도가 크다는 장점이 있으며  외관이 단단하지 않아 자유롭게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어 전기차를 비롯한 각종 전자제품의 디자인에 따라 알맞은 모양으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와같이 당사는 자체 생산한 알루미늄 필름으로 셀 파우치까지 일괄 제조 가능한 기업으로, 최고의 품질경쟁력을 통해 2차전지 전문 최첨단 종합 소재기업으로서 도약할 것입니다.

② 아셉틱 사업

 동원시스템즈는 유리병, CAN, PET 등 용기사업 노하우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2019년 아셉틱(Aseptic)사업을 신규로 진출하였습니다.

 아셉틱 사업은 기존 PET 용기보다 플라스틱 사용이 감소되어 친환경적이며, 제품의 열노화를 최소화하여 내용물의 맛과 향, 영양소 보존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동원시스템즈는 스마트 공장를 고려한 설계와 최신설비를 도입하여, 제품개발부터 음료생산, 용기포장까지 한 번에 제공할 수 있는 종합솔루션 사업으로 구축하였으며, 청정지역인 강원도 횡성에서 2019년 1호기를 시작으로 2021년 2호기를 추가 증설하며 지속적으로 성장하였습니다. 2024년 3호기 생산라인과 자동화 창고를 증설하여 생산 증대는 물론이고, 정확하고 안전한 제품 관리를 실현하여 종합 포장재 사업의 역량을 총동원한 최고의 경쟁력을 갖춘 사업으로 발전시킬 예정입니다


(4) 물류부문

1) 산업의 특성

 동원산업㈜의 물류사업은 냉장보관사업과 3자 물류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냉동냉장물류산업은 식품의 신선도와 품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그에 적합한 온도로 관리하면서 행하여지는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기까지의 일련의 단계 및 운영을 말합니다. 일명 콜드체인 시장은 소득의 증가, 소비행태 및 식품수요의 변화 등으로 급성장을 하고 있으며, 편리함의 추구 및 1인 가구 및 노령인구 증가 등으로 인한 온라인 상거래와 신속배송에 대한 욕구 증가로 큰 성장이 예상됩니다. 또한 콜드체인의 범위도 신선식품뿐만 아니라, 의약품, 화훼류, 화학 및 전자제품에 이르기까지 점점 확대되어가고 있습니다. 

 3자 물류사업은 당사의 위탁사로부터 위탁 받아 물류대행을 수행하고 있으며, 보관, 배송, 하역업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류사업은 매년 성장을 지속하고 있고, 글로벌 기업을 포함해 각 물류분야에서 다양하게 기술혁신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항만하역사업은 육상운송과 해상운송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항만을 통해 수출입 되는 모든 화물에 대한 서비스사업으로, 주로 항만 내에서 수출입 화물의 선박에 양하, 적하 또는 운송, 보관 등 유통과정을 담당하는 사업입니다. 해상을 통한 글로벌 교역역량의 증가와 국제경제의 글로벌화 추세에 따라 하역사업은 국제무역의 중요기반산업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2) 영업의 개황

 냉장보관사업은 국내 냉동수산물의 허브인 감천항 부두에 위치한 감천냉장센터, 수도권에 인접한 이천냉장센터와 성남냉장센터를 운영, 국내 저온물류 최적의 입지에 위치하여 전국 저온물류망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주요 보관품목은 냉동 수산물 및 농, 축산물, 가공식품 보관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40년 이상의 운영 노하우 및 전문 인력보유, 국내 최고 수준의 장비를 보유하여, 저온물류의 선도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3개센터 보관능력은 10만톤 규모로서 연간 60만톤 이상의 물동량을 처리하며, 국내 최대 초저온(-60℃) 횟감용 참치 보관능력과 자동화 창고 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국내는 물론 글로벌화된 저온보관 사업의 경쟁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설비 및 인프라에 지속적인 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당사 저온보관센터 및 계열사 저온보관센터와의 연계영업 및 협업을 진행하여, 저온물류 보관사업의 시너지 창출 및 영업망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물류부문 주요 자회사로는 창고보관업을 영하는 BIDC, 저온물류사업의 동원로엑스냉장㈜, 항만하역, 화물운송, 창고보관, 국제물류 등 종합물류사업을 영위하는 동원로엑스㈜, 컨테이너 화물 하역 및 운송을 하는 동원부산컨테이너터미널㈜ 등이 있습니다. 물류부문은 꾸준한 비용 개선작업을 통한 지속적인 원가절감으로 사업효율 및 수익성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5) 기타부문

[동원건설산업㈜]

1) 회사의 현황

①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장 좋은(BEST) 보금자리(NEST)를 짓겠다는 의지를 담은 'BENEST' 브랜드로 주거 목적의 단순한 집이 아닌 사람의 격과 취향 그리고 스타일까지 담은 공간을 창조하여 타운하우스, 아파트, 주상복합, 오피스텔, 호텔을 고객에게 공급을 하고 있으며, 도로/항만/철도 등 사회간접자본 시설공사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LH와 조달청으로부터 수 차례 우수시공업체로 선정되어 시공관리능력이 검증되었습니다.

 또한, BTL, BTO 등 민간투자사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우수한 경쟁력을 업계에 보여주고 있으며, 더 나아가 건축물의 시설관리 및 자산의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종합적인 건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②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부문

품목

건설

 아파트, 주택, 상가 건축 및 분양 등

PM

 부동산 관리 및 임대, 용역 등


③ 시장의 특성

 최근 부동산 거래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강력한 대책에도 불구하고 분양시장과 건설경기 침체가 전년을 이어 계속 지속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될 것으로 업계에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비주거부문의 단순경쟁입찰과 공공부문의 시장 경쟁이 더욱 치열해 질 것으로 보이고, BTL과 BTO과 같은 민자사업의 경쟁도 계속해서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반면 기존 건축물에 대한 시설관리와 리모델링 시장은 점차적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④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기존 건설시장에서의 경쟁 심화 및 수익성의 저하 등으로 지속적 성장동력 창출을 위해서 기술력 확보 및 신규사업의 발굴에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사업의 다각화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건설산업은 신축공사 위주에서 리모델링, 시설물/임대차 관리까지의 건축물의 전 생애 주기로 사업분야가 확대되어 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동원기술투자㈜]

1) 업계의 현황

 여신전문금융업은 신용카드업, 시설대여업, 할부금융업 및 신기술사업금융업을 말하며, 신용카드업을 제외한 기타 업종에 대한 진출입이 종래의 인가제에서 등록제로 전환되어 대주주 및 자본금 요건만 구비하면 진출입이 자유로운 상태입니다. 여신전문금융업법 제41조에 의하여 설립되는 신기술사업금융업자의 납입자본금은 최소 100억원 이상으로 금융위원회에 등록하는 금융기관이며, 금융감독원의 감독을 받는 제도권 금융기관입니다. 

 신기술사업금융업자의 업무로는, 신기술사업자에 대한 투자, 융자, 경영 및 기술지도, 신기술사업투자조합의 설립, 및 신기술사업투자조합 자금의 관리, 운용을 종합적으로 행하고 있습니다. 

 

2) 회사의 현황

① 영업 개황

 동원기술투자㈜는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 의해 새롭게 허가된 일반지주회사의 신기술사업금융업에 진출을 위해 2022년 2월 14일 신규 설립된 법인으로, 2022년 3월 31일 여신전문금융업법상 신기술사업금융업으로 등록되었습니다.

모회사인 동원산업의 100% 자회사로서, 현재 100억원의 자본금으로 설립되었으나, 할증 발행을 통하여 운용자금으로 300억원을 마련하였으며 향후 투자 회사의 실적이나 투자 규모에 따라 모회사로부터 자본금을 추가적으로 조달할 계획도 갖고 있습니다.

 당사는 전략적투자, M&A투자, JV 투자 등 다양한 형태의 투자를 통해 동원그룹의 밸류체인확장, 시너지 창출, 신사업진출을 지원하고 있으며 경쟁력을 갖춘 중소·중견, 벤처·신기술 기업에 대한 신속한 투자의사결정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신기술사업자에 대한 투자 등을 비롯하여 동원그룹 네트워크를 활용한 사업, 기술 및 다양한 경영지원에 집중하고자 합니다.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자본의 감소


가. 자본의 감소를 하는 사유

-주주가치 제고 


나. 자본감소의 방법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자기주식의 소각

-자본금 감소의 주요 일정

 (1) 주주총회 예정일 : 2023년 6월 28일

 (2) 채권자 이의제출 기간 : 2023년 6월 28일 ~ 2023년 7월31일

 (3) 감자기준일(효력발생일) : 2023년 8월1일

 (4) 변경등기 예정일 : 2023년 8월8일  

다. 자본감소의 목적인 주식의 종류와 수, 감소비율 및 기준일

감자주식의
종류
감자주식수 감자비율 감자기준일 감자전자본금
(발행주식수)
감자후자본금
(발행주식수)
보통주(자기주식) 3,500,000주 7.00% 2023.08.01 49,982,665,000원
(49,982,665주)
46,482,665,000원
(46,482,665주)


※ 기타 참고사항

당사는 감자 결정 이사회 결의일 기준(2023.05.12) 사업의 영업양도 및 합병 등 목적으로 총 13,959,990주(27.9%)의 자기주식을 취득하여 보유하고 있습니다. 자본금의 감소를 통해 3,500,000주(7.0%)를 소각 예정이며, 소각 완료 후 자기주식 보유 현황은 10,459,990주(22.5%)입니다.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임시주주총회 해당사항 없음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임시주주총회로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사항은 없으나, 당사의 제54기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2023.03.21. 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게재되어 있습니다.

제출한 사업보고서는 향후 변동사항이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이므로 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주주총회 집중일 주총 개최 사유 : 해당사항 없음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613000263

동원산업 (00604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