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5-09 16:38: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509000559
2023년 5월 9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이수화학 | |
대 표 이 사 : | 김동민 |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평대로 84, 이수화학 빌딩 1층 강당 | |
(전 화) (02)590-6600 | ||
(홈페이지)http://www.isuchemical.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관리본부장 | (성 명) 임태기 |
(전 화) (02)590-6845 | ||
(임시주주총회) |
당사 정관 제18조에 의거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3년 5월 24일(수) 오전 9시
2. 장 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평대로 84, 이수화학 빌딩 1층 강당
※ 주의 안내 : 소집통지, 코로나19 등 비상사태 발생시 일정/장소 변경 및 기타
집행 관련 세부사항은 대표이사에게 위임함
3. 회의목적사항
㉮ 보고사항 : 감사보고
㉯ 의결사항
제1호 의안 : 사내이사 선임의 건 (사내이사 1명, 후보자 : 주봉진)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및 하나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금번 당사의 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대리 행사할 수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 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주주님께서는 주주총회 참석장에 의거하여 의결권을 직접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하여 의결권을 간접행사 하실 수 있습니다.
6.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우리회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임시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관리시스템
① 인터넷 주소 : 「https://evote.ksd.or.kr
② 모바일 주소 : 「https://evote.ksd.or.kr/m」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3년 5월 14일 9시 ~ 2023년 5월 23일 17시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다.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투표관리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
(K-VOTE에서 사용 가능한 인증서 한정)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7.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가. 직접행사 : 신분증
나. 간접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8. 기타
주주총회에서 선물을 지급하지 않을 계획이오니 양지하시기 바랍니다.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허건수 (출석률: 100%) | 김기정 (출석률: 100%) | |||
찬 반 여 부 | ||||
2023-01 | 2023.01.13 | 이수건설(주) 관련 유동화증권 원리금 지급채무에 대한 연대보증의 건 | 찬성 | - |
2023-02 | 2023.01.20 | 이수건설(주) 제104회 사모사채 연대보증의 건 | 찬성 | - |
2023-03 | 2023.02.10 | 분할계획서 변경의 건 | 찬성 | - |
2023-04 | 2023.02.14 | (1) 주주제안권 행사 보고의 건 (2) 이수건설(주) 관련 유동화증권 원리금 지급채무에 대한 연대보증의 건 | - 찬성 | - - |
2023-05 | 2023.02.15 | 이수건설(주) 제105회 사모사채 연대보증의 건 | 찬성 | - |
2023-06 | 2023.02.20 | 차입금 조달의 건 | 찬성 | - |
2023-07 | 2023.03.03 | (1) 제55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2) (주)이수엑사켐의 산업운영자금대출 연장에 대한 연대보증의 건 | 찬성 찬성 | - - |
2023-08 | 2023.03.09 | (1) 이수건설(주) 관련 유동화증권 원리금 지급채무에 대한 연대보증의 건 (2) ISU CHEMICAL GERMANY GMBH에 대한 지급보증의 건 | 찬성 찬성 | - - |
2023-09 | 2023.03.13 | (1) 제55기(2022.01.01~2022.12.31) 별도 및 연결 결산 재무제표(안) 내부 승인의 건 (2) 제55기(2022.01.01~2022.12.31) 배당금 지급의 건 (3)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의 건 (4) 감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 보고의 건 | 찬성 찬성 - - | - - - - |
2023-10 | 2023.03.20 | (1) 2023년 경영계획 및 종합예산 편성의 건 (2) 제55기(2022.1.1~ 2022.12.31) K-IFRS 적용 별도 및 연결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3) Great Orient Chemical (Taicang) Co., Ltd.에 대한 연대보증의 건 | 찬성 찬성 찬성 | - - - |
2023-11 | 2023.03.27 | (1) 멕시코 사무소 대표 선임의 건 (2) 대표의 권한 부여 (3) 공증 및 아포스티유 지정 (4) 이수건설(주)의 제106회 사모사채 연대보증의 건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 - - - |
2023-12 | 2023.03.31 | (1) 대표이사 선임의 건 | 찬성 | 찬성 |
2023-13 | 2023.04.05 | (1) 수출성장자금대출 조달의 건 | 찬성 | 찬성 |
2023-14 | 2023.04.07 | (1)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2) 기준일 설정의 건 |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
2023-15 | 2023.04.20 | (1) 이수건설(주) 제107회 사모사채 연대보증의 건 (2) 외환거래한도(선도거래) 신규 약정에 관한 건 |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
2023-16 | 2023.04.21 | (1) 신장이수롱쿤농업개발유한공사에 대한 연대보증의 건 (2) 신장이수롱쿤농업개발유한공사 차입에 대한 외화지급보증(Stand by L/C) 약정의 건 |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
2023-17 | 2023.04.26 | (1) NH농협은행 단기차입금 조달의 건 (2) 대출약정 및 지급보증의 건 (3) 전자투표제도 도입의 건 | 찬성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
2023-18 | 2023.05.01 | (1) 분할 보고총회에 갈음하는 공고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2 | 5,000 | 6 | 6 | - |
※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 3명을 포함한 총 5명의 보수한도 총액입니다.
※ 지급총액은2023년 1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지급한 보수의 총액입니다. (2023년 3월 31일자로 신규 선임된 사외이사 1인은 해당기간 내 보수 지급 사실이 없어 동 집계에서 제외되었습니다.)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주)이수엑사켐(계열회사) | 매출/매입 등 | 2023.01.01 ~ 2023.03.31 | 569 | 4.8% |
※ 상기 거래금액은 보고일 현재까지의 잠정 결산 금액입니다.
※ 상기 비율은 최근사업연도말(2022년말) 연결재무제표상 자산총액 대비 거래금액 비율입니다.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구분 | 내용 |
1. 석유화학사업부문 | 합성세제의 원료가 되는 연성알킬벤젠(LAB)과 노말파라핀(NP)의 국내 유일 생산업체입니다. 1980년도에 합성세제 원료인 연성알킬벤젠 공장을 준공한 이래 국내유일 생산으로 안정적 입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1990년도에 연성알킬벤젠 원료 자급화와 경쟁력 강화 목적으로 노말파라핀 공장을 준공한 후 내수와 수출을 병행하는 전략으로 폭넓은 시장을 형성하여 왔습니다. 현재 전세계적인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세탁세제의 보급증대로 연성알킬벤젠(LAB)과 노말파라핀(NP)시장이 점진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
2. 건설사업부문 | 건설업은 타산업을 직,간접적으로 지원하면서 건축물 및 주택의 건설과 생산시설의 구축 그리고 국토개발 및 국제적 개발사업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영역을 담당하는 국가경제의 기간산업입니다. 사업분야는 1) 상업, 업무, 의료 및 문화시설 등을 건설하는 건축사업, 2) 도로, 철도, 항만 등 사회간접자본 시설을 건설하는 토목사업, 3) 발전소, 에너지저장시설, 산업시설 등을 건설하는 플랜트사업과 4) 아파트 등 주거시설을 건설하는 주택사업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건축사업은 공공/민간(발주처)에서 요구하는 최종 목적물을 건설하는 산업으로 업무시설, 생산시설 등 모든 건축 상품에 대한 영업 및 시공을 진행합니다. 타 산업에 비해 가치창출, 고용유발 등 경기부양의 효과가 크기때문에 침체된 경기를 활성화 하는 견인차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인간의 기본욕구 충족을 위한 주택산업은 일자리 창출을 비롯한 경기부양의 선봉산업입니다. 주택사업의 특성은, 선택의 기준이던 브랜드, 디자인, 조경과 편의시설 등에 국한되지 않고 가격경쟁력과 입지까지 고려한 소비자의 복합적이며 합리적인 선택에 의해 거래가 결정되고 있습니다. 또한, 주택의 기능 역시 단순 주거기능을 벗어나 업무, 생활의 공간으로 영역은 확대 되고 있습니다. |
3. 의약사업부문 | 바이오산업은 바이오테크놀러지를 바탕으로 생물체의 기능과 정보를 활용하여 유용물질을 상업적으로 생산하는 분야로 타 산업과는 특성이 다른 산업입니다. 또한 고부가가치를 창출 하는 지식기반산업으로 바이오의약품의 경우 부가가치 비중이 50%를 넘는 제품도 있습니다. 바이오의약품은 생산공정이 복잡하여 가격이 비싸지만 기본적으로 사람의 몸에 있는 물질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질로 만들어지므로 화학합성의약품보다 부작용은 적고 임상 성공률은 높으며, 희귀성 및 난치성 질병 등 기존에 화학합성의약품으로 치료하지 못했던 질병에 대한 치료가 가능합니다. 바이오의약품은 화학합성의약품과는 달리 분자량이 크고 구조도 복잡하기 때문에 복잡한 생물공정을 거쳐 생산되고, 제형의 경우에도 경구로 약을 먹을 때에는 위에서 분해가 되기 때문에 주사제 형태로 제품화되며, 주사제도 용액에 희석하여 주사하는 주사제와 미리 주사기에 주입된 상태로 판매되는 프리필드 주사제 등 다양한 형태로 구분됩니다. 바이오의약품은 제품 개발에 있어서 제형의 개발도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물질뿐만 아니라 공정 및 제형에 대한 기술과 특허도 중요합니다. |
(2) 산업의 성장성(시장 증감)
구분 | 내용 | ||||||||||
1. 석유화학사업부문 | 연성알킬벤젠은 일반 생활필수품인 분말 및 액체 세탁세제의 원료인 계면활성제의 기본원료로서 세제의 성장률과 동반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세제의 보급률은 과거부터 안정적이면서 점진적으로 상승해 왔습니다. 향후 인구 증가율 및 세탁기 보급률의 성장에 따라 알킬벤젠의성장도 기대 됩니다. | ||||||||||
2. 건설사업부문 | 대한건설협에서 실시한 '23년 건설 경기전망에 따르면, '22년 223.5조원에서 역대 최대치를 경신하였으나, '23년 금리상승영향, 정부 SOC 예산 감축등에 따른 영향으로 '23년 국내 건설수주는 7.5% 감소한 206.8조원으로 전망하였습니다. '23년도에는 금리인상, 부동산 PF사업에 대한 금융규제 강화로 개발사업 전반에서 신용경색이 발생하여 정부의 적극적인 위기 대응 및 대내외적 시장 신뢰 확보가 관건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23년 공공 토목 투자 공백이 클수록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커 이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으며, 정부의 先 규제완화, 後주택공급을 통한 주택시장 연착률 방안 모색으로 시장기능 정상화가 필요할것으로 판단됩니다. | ||||||||||
3. 의약사업부문 | 세계 의약품 시장규모는 2014~2019년까지 연평균 약 4.7%로 성장하였고 2019년 1조 2,504억 달러를 기록하여 2020~2024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은 3~6%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IQVIA) 하고 있습니다. 2021년 Evaluate pharma 발표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처방의약품 시장규모는 2020년 기준 약 9,010억 달러를 기록하여 2026년에는 14,080억 달러로 성장해 향후 6년(2021~2026년) 간 연평균 성장률이 6.4%로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국가별 시장 규모는 미국이 압도적인 1위로 전체 시장의 약 41%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뒤를 중국, 일본,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등의 순으로 10위권 그룹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그 외 BRICs 국가들의 의약품 시장이 빠르게 성장함에 따라 순위가 상승세에 있으며 2019년 기준 브라질 7위, 인도 11위, 러시아가 13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한국(1.3%)은 2014년에 이어 2019년에도 12위의 시장규모를 기록하였고 2024년에는 13위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출처: K 뉴딜산업 INSIGHT 보고서2 바이오의약품 산업 동향과 한국 경쟁력 현황 (2021.06.29)] 의약품 산업은 기술집약적 산업으로서 타 산업 대비 R&D 투자비 비중이 매우 높으며 세계 의약품 시장의 R&D 투자비는 2012년 1,370억 달러에서 2020년 1,980억 원으로 연평균 4.7% 상승한데 이어 2026까지 연평균 4.2% 상승이 예상되어 2,540억 달러에 이를 전망입니다. 주요 국가별 의약품 산업의 R&D 투자비는 미국이 압도적인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2018년 한국의 R&D 투자비는 미국의 약 2%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판매 제품인 희귀의약품 시장은 환자 수는 적지만, 그 종류는 7,000여 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중 개발된 치료제는 4백여 종 밖에 되지 않으며 환자 수는 전 세계 1억 명으로 알려져 있어 향후 개발 가능한 분야를 보면 전체 희귀질환 치료제 시장규모는 결코 작지 않습니다. 특히, 희귀의약품의 시판 허가 시 부여되는 장기간의 시장독점권을 비롯하여 각종 인센티브는 희귀질환이 수익성을 창출할 수 있는 잠재시장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희귀의약품 시장은 2021년 1,550억 달러를 기록하였고 2026년에는 2,730억 달러로 성장해 향후 6년 (2021~2026년) 간 연평균 성장률이 12%로 확대되어 2026년 전체 처방의약품 시장의 희귀의약품 매출이 20%까지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출처: Evaluate Pharma, Orphan Drug Report 2022] |
(3) 경기변동의 특성
구분 | 내용 |
1. 석유화학사업부문 | 합성세제의 원료인 계면활성제의 주원료인 알킬벤젠의 경우, 세제가 생활필수품에 속해 있어 국민들의 소비성향 등 커다란 장단기 변동 요인은 없습니다. 세탁기 보급률 및 세제의 소비성향의 성장률이 매년 2% 정도에 불과하여 민감한 경기변동의 특성은 없으나 계절적으로 하절기에 매출이 소폭 증가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노말파라핀은 알킬벤젠의 기본원료이므로 알킬벤젠의 경기변동과 궤를 같이 하나 국제유가의 변동에 영향을 받습니다. |
2. 건설사업부문 | 건설업의 경기민감도는 타산업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일반적인 경기상황은 물론, 대출금리, 각종 세금정책을 포함한 정부의 부동산 정책 등 다양한 변수에 영향을 받습니다. 이 중 대표적인 변수는 경기변동 및 정부정책인데, 이러한 특성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로 국내경기가 침체된 시점과 2014년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경기 부양책이 실행된 시점을 전후로 수주증감률이 급격히 변동된 사례에서 잘 드러나고 있습니다. 건설산업 수요의 높은 경기민감도는 성숙기 시장일수록 심화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주택 및 인프라 구축이 충분히 이루어진 상황에서는 발주 및 착공시기의 탄력적 조정 여지가 크기 때문입니다. 반면, 공급의 특성을 보면 공종별로 다소 차이는 있으나, 타 산업 대비 긴 생산기간(건설기간)으로 수요공급의 불일치가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서 나타난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호황기에는 발주량이 증가하며, 공급부족으로 인해 도급금액이 상승하는 등 시공사 위주로 발주환경이 조성되지만, 불황기에는 발주량이 감소하는 가운데 호황기 때 증가한 다수의 신규 경쟁자들로 인해 수주경쟁이 심화되고 도급액이 하락하며, 경쟁력이 열위한 건설회사는 사업 및 재무적으로 어려움에 직면하게 됩니다. 건설업은 낮은 진입장벽, 타 산업 대비 긴생산기간, 높은 경기민감도로 인해 수급구조에서 높은 변동성을 가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3. 의약사업부문 | 당사가 주력하고 있는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일반 제약의 경기변동과 동일하다고 볼 수 있으므로 아래의 각 항목에서는 제약시장에 대하여 서술하겠습니다. ① 일반경기변동과의 관계 일반적으로 제약산업은 경기변동성이 가장 낮은 사업 중의 하나입니다. 이는 제약 산업이 인간의 건강 및 생명이라는 가장 기본적인 필요를 채워주기 때문에 어느 소비 부문보다 우선적으로 지출되기 때문입니다. 미국 제약사의 매출액 성장률과 미국의 GDP 성장률을 비교해 보면 GDP 1만 불 이전에는 GDP 성장률과 유사한 패턴을 보이고 있으나 GDP 1만 불을 통과한 이후 제약산업 매출액 성장률이 GDP 성장률을 상회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국민 소득 수준이 높아질수록 건강에 대한 투자가 더 많이 이루어짐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일반 경기변동의 흐름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② 계절적 경기변동여부 및 변동정도 제약의 계절적 경기변동은 제약회사 매출 추이를 볼 때 하반기가 상반기보다 조금 높은 수준을 보이기는 하나, 계절적 경기변동에 특이성을 가진 모습을 띠지 않고 있어 계절적 경기변동은 미미하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
(4) 경쟁요소
구분 | 내용 |
1. 석유화학사업부문 | 연성알킬벤젠과 노말파라핀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생산하고 있고,수출시장은 전세계의 수요 공급 상황에 따라 영향을 받습니다. 당사는 생산원료를 100% 자급화하고 있고 생산규모가 세계 상위권 수준이므로 높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품질 향상과 제품 다변화 및 신규시장개발을 통해 타사 대비 경쟁 우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2. 건설사업부문 | 건설업은 완전경쟁 시장으로서 타 산업에 비해 시장 진입이 용이하여 등록된 업체수가 매우 많고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국내 건설시장의 성장성 한계로 시장의 전반적인 수익성 하락이 나타나고 있는 상황입니다. 더불어 부동산 시장의 변동성이 증대되고 있어, 미분양 및 Project Financing 부실 등 Risk가 상존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안정적인 수금이 가능한 단순도급사업은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수익성도 점차 악화 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볼 때 타 업체와 경쟁에서 비교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Risk Management 능력과 더불어 기술 경쟁력 강화, 내부 프로세스 혁신 등 지속적인 원가절감에 의한 수익성 확보 모색을 최우선 전략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한편, 과거에는 시공 및 제작 등 직접적이고 Hardware적인 요소가 산업의 주요 특성이었으나 점차 사업개발 및 기획, Project Management, 운영 및 유지보수 등 Software적인요소가 중요한 기업가치 창출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어 관련 분야로의 경쟁력 및 사업 확장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
3.의약사업부문 | 전 세계에 독점적으로 특허를 보유한 업체가 개발한 바이오의약품은 독점적 시장의 지위를 특허 만료 기간까지는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나, 특허 만료 이후 또는 특허 자유 지역에서는 바이오시밀러가 개발되어 점차 독점적 시장 지위 유지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바이오시밀러 개발과정이 신약에 준하는 임상과정을 요구하는 등 진입장벽이 상당히 존재하고 있어 완전경쟁 시장보다는 점차적으로 과점적 성격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바이오의약품 중 항체치료제의 경우 초기 제품들은 독자적인 항원을 목표로 출시되어 독점적 성격을 띠었으나, 점진적으로 동일한 항원에 대한 제품들이 출시됨에 따라 경쟁 상황이 되고 있습니다. Genentech 社의 리툭산, IDEC 社의 제발린, GSK 社의 벡사는 동일한 항원을 타깃으로 비호치킨성 림프종 질환에 대해서 1997년, 2002년, 2003년에 각각 출시되어 과점 성격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고, 최근에는 EGFR 항원을 타깃으로 한 BMS 社의 얼비툭스와 Amgen 社의 벡티빅스가 과점 성격을 띠고 있습니다. 바이오의약품 중 희귀질환을 대상으로 한 치료제들이 몇몇 회사에서 독점적으로 개발이 되어 왔으나, 희귀의약품에 대한 정부의 지원 등에 힘입어 글로벌 거대 제약사들도 최근 이 부분에 관심을 보이고 있어 직접 개발 또는 개발사 인수들의 방법으로 경쟁에 참여하는 추세입니다. 따라서 바이오 제약은 전 분야에 걸쳐 점차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
(5) 자금조달상의 특성
당사는 회사운영 및 투자 등에 필요한 자금은 회사가 보유한 현금 및 은행차입, 사채 발행 등을 통해 확보하고 있습니다.
(6) 관련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
[석유화학사업부문]
(주)이수화학은 업종 분류상 화공약품제조업에 해당됨에 따라 당사 영업활동과 관련한 법령 및 규정은 기초석유화학제품 및 정밀화학제품에 연관된 것이 대부분입니다.「위험물안전관리법」(행정안전부), 「대기환경 보전법」(환경부) 등에 의해 각종 규제를 받고 있으며, 특히 화학물질 취급에 따른 「화학물질관리법」, 「화학무기금지협약」등에 의해 허가, 신고를 하고 있습니다.
[건설사업부문]
공공부문은 건설산업기본법, 국가계약법 등 정부가 제정하는 각종 법령이나 제도 등 정부 정책 방향에 따라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종합심사낙찰제가 도입됨에 따라 공사수행능력, 가격, 사회적 책임 등을 종합평가하여 심사의 공정성이 강화되었고 다각적 측면의 사업수행 역량이 요구됩니다. 민간 주택부문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주택법, 건축법, 국토계획법, 도시개발법 등의 많은 유관 법령의 적용을 받고 있으며 국민 주거생활에 직접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사업특성으로 총부채 상환비율, 주택담보대출비율, 소형평형 의무비율 등의 규제를 받고 있습니다.
[의약사업부문]
바이오신약은 임상시험 허가, 제품 품목 허가, 시판 허가를 획득하기 위해서 국내의 경우는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처, 미국은 FDA, 유럽은 EMA등의 관련 기관이 제시하는 생물의약품 관련 규정 및 지침을 따라야 합니다.
당사는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처의 생물학적 제제의 허가 및 심사에 관한 규정 등 다수의 관련 규정 및 지침을 철저히 준수하고 있으며, 또한 해외에서 사업을 진행하는 데 있어서도 GLP, GMP, GCP등 해당지역의 관련 법령과 규제를 철저히 준수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구분 | 내용 |
1. 석유화학사업부문 | (1) 알킬벤젠 |
2. 건설사업부문 | 당사는 지난 40년간 지속적인 신공법 연구개발 및 풍부한 시공 노하우로 각종 도로와 터널, 교량시공, 부지조성공사 등의 토목공사와 오피스텔, 기숙사, 연구시설, 아파트 등 국내외에 무수히 많은 건축물을 분양에서 시공, 사후관리까지 전과정에 걸처 체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해 고객이 감동하는 브라운스톤만의 주택문화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또한 고객이 인정하는 기술력과 철저한 장인정신으로 한국 토지 주택공사등 여러 기관으로부터 우수시공업체로 선정된 바 있습니다. 또한, 한국 경제 주관 주거문화대상 브랜드 대상 한국주거학회 주관 우수 주거문화 공모전 우수상 수상 등 꾸준한 공법개발과 탁월한 시공능력을 바탕으로 국내 주요 기반산업 및 신 주거 문화창조에 앞장서는 우수 시공업체로서의 기반과 명성을 착실히 쌓고 있습니다. 주요사업내용을 보면 북일-남일간 건설공사(2공구), 인천국제공항 조경공사등의 토목공사와 경산하양LH, 부천웹툰LH공사, 전주산단LH, 음성금석LH등 다수의 공공건축공사와 브라운스톤 양산물금, 브라운스톤 부평, 대덕 브라운스톤, 브라운스톤 리버뷰, 브라운스톤 더프라임등의 민간 주택사업, 브라운스톤 양양, 여주 신근리 물류센터 신축공사등의 민간 건축공사, NEO-2 & KBD PJ OFF-SITE 건설공사, JSTT 신항3부두 액체화물 저장시설 증설공사 등의 민간 플랜트공사가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
3. 의약사업부문 | 신약의 경우 특허, 데이터 독점권 등을 통하여 일정 기간 동안 독점적인 판매권을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특허의 경우 일반적으로 출원 시점부터 20년간 제품의 권리가 보호되며 미국, 유럽, 일본, 한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의약품 임상시험 및 허가심사에 소요된 기간에 대하여 최고 5년까지 특허 존속기간을 연장해 주는 제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데이터 독점권은 신약 인허가에 투입된 노력을 보상해 주기 위하여 허가 신청 시 제출된 안전성, 유효성 자료에 대해 허가 일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 독점권을 부여해 주는 제도로 신약의 경우 5년, 신규 임상 추가의 경우 3년 동안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신약 개발은 일반적으로 타깃 발굴에서 공정 개발, 전임상, 임상, 허가 후 출시까지 12~15년 정도의 기간이 소요되며, 평균적으로 10년 이상의 기간 동안 시장을 독점할 수 있습니다. 이후에는 동일 성분을 가진 복제의약품 출시가 가능하나, 적응증 확대, 플랫폼 기술 적용을 통한 개량형 제품 출시를 통해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을 연장하는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2) 시장점유율
1) 석유화학사업부문
구분 | 국내시장 점유율 | 경쟁사 국내시장 점유율 | ||
2023년 1분기 | 2022년 | 2021년 | ||
알킬벤젠(LAB) 노말파라핀(NP) | 80% 98% | 80% 98% | 80% 98% | ▶ 경쟁사 원료수입 |
※ 출처 : 알킬벤젠의 경우 한국무역협회의 알킬벤젠 수입량 조사 자료를 근거로 당사 내수판매량 대비로 국내 시장점유율을 산출하였고, 그 외 제품의 시장점유율은 당사 영업부서의 경쟁사 동향분석을 통한 내부자료를 근거로 작성하였습니다.
2) 건설사업부문
구분 | 도급순위 | 경쟁사 국내시장 점유율 | ||
---|---|---|---|---|
2023년 1분기 | 2022년 | 2021년 | ||
토목건축시공 능력평가기준 | 94위 | 94위 | 116위 | 동아건설산업(93위), (주)선경이엔씨(95위) |
※ 출 처 : 대한건설협회(http://www.cak.or.kr)
부동산 정책의 기조가 건설 경기 부양의 성격을 띄면서 주택경기가 점차 회복될 것으로 전망되며 당사의 영업 기회는 더욱 확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시공능력한도는 3,263억원으로 도급순위 94위(2022년 기준)입니다.
3) 의약사업부문
당사에서 개발 중인 바이오의약품 중 상품화가 완료되어 시장에서 경쟁 체제에 있는 제품은 클로티냅, 애브서틴 및 파바갈 3종이 있습니다. 세 종류의 제품이 판매되는 시장 영역이 다르기 때문에 시장에 대한 비교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국내 점유율 현황에 대하여 간략히 말씀드리겠습니다. 클로티냅은 국내 유일한 Abciximab 성분으로 항혈전 항체치료제 시장을 100%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애브서틴은 고셔병의 효소 치료제로써 동일한 성분을 가지고 있는 제품은 사노피-아벤티스의 세레자임이며, 다른 치료제는 2종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파바갈은 파브리병의 효소 치료제로써 동일한 성분을 가지고 있는 제품은사노피-아벤티스의 파브라자임으로 다른 치료제는 2종이 있습니다.
각 제품의 시장점유율 (자체 집계한 국내 투약 환자 수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국내 항혈전 및 효소치료제 경쟁현황 】
제품 | 회사명 | 제품명 | 점유율 | ||
---|---|---|---|---|---|
2023년 1분기 | 2022년 | 2021년 | |||
항혈전 항체치료제 | 이수앱지스 | 클로티냅 | 100% | 100% | 100% |
Eli Lilly | 리오프로 | 0% | 0% | 0% | |
고셔병 희귀질환치료제 | 이수앱지스 | 애브서틴 | 45% | 45% | 33% |
Genzyme 외 | 세레자임 외 | 55% | 55% | 67% | |
파브리병 희귀질환치료제 | 이수앱지스 | 파바갈 | 37% | 37% | 35% |
Genzyme 외 | 파브라자임 외 | 63% | 63% | 65% |
출처 : 당사 제약사업팀
※ 시장점유율은 시장의 환자수를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2013년 하반기 출시한 고셔병 치료제의 경우 국내 시장의 45%를 점유하고 있으며, 2014년 상반기에 출시한 파브리병 치료제는 현재 국내시장의 37%를 점유하고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일반적인 시장의 특성은 '1. 사업의개요-가. 업계의 현황'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1) 석유화학사업부문
(1) 스마트팜 사업
당사는 신성장동력 확보의 일환으로 중국 신장성에 스마트팜 설계, 시공, 생산, 유통의 전 밸류체인 구축을 위한 사업을 시작했고, 2018년 4월 중국 현지업체와 조인트벤처 설립계약을 했습니다. 2018년 8월 중국정부의 부지사용 승인을 받아 11월 5ha 부지에 스마트팜 온실을 착공했고, 2019년 10월 준공해 토마토, 파프리카 등 과채류 생산 및 판매를 시작했습니다. 2021년 3월 Global 및 중국 G.A.P 인증을 취득하였으며, 스마트팜 운영 부문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중국 정부로부터 10억원 이상의 지원금을 수령했습니다. 국내에는 2021년 1월 경상북도 의성군이 시행하는 '청년농업인 스마트팜 조성단지 민간 위탁 운영사업'의 위탁 업체로 선정되어, 2.5ha 규모의 스마트팜 시설 운영을 비롯한 관련 사업을 수행하였습니다.
2022년 11월 중국 신장성 온실에 대해, 연구개발 및 우수 기술에 대한 성과를 인정받아 고신기술기업에 선정되었습니다. 그리고 12월에는 KOAT(한국농업기술진흥원)에서 발주한 '스마트팜 패키지 수출'사업에 선정되어, 한국 기업으로서는 최초로 호주에 스마트팜을 구축하고 자동화 자재를 수출하는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2) Special LAB/BAB
당사는 기존LAB/BAB/NP 대비 높은 수익성을 가진 제품의 상업화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특수 계면활성제의 원료인 Special Alkylate 와 PCM의 원료인 Special Normal Paraffin 등입니다.
2) 건설사업부문
(1) 신규사업 분야 및 진출 목적
주택사업 중심의 구조에서 토목, 플랜트, 해외공사를 통한 사업다각화를 추진하여 각기술별 실적 확보로 여러 공사의 입찰참여를 확대하고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2) 시장의 주요 특성 및 규모
건설업의 경우 경기 선행지표의 영향을 많이 받는 산업군에 속하여 정부의 부동산 대책 및 정책 기조에 영향을 받습니다. 장기화된 건설경기 불황이 최근에 들어 다소 회복되는 분위기이나 여전히 불확실성이 많이 존재하고 있어 국내 건설 경기 전체적인 공급물량의 조절이 거시적인 차원에서 예측되어야 하는 산업입니다.
(3) 신규사업과 관련된 투자 및 예상 자금소요액, 투자자금 조달원천
관공서 및 해외공사의 경우 선수금 수령을 우선으로 하여 착공하는 사업을 진행하므로 별도의 투자자금은 미미하며, 주택사업 및 민간도급의 경우 신규사업 추진시 투입되는 자금소요액을 최소화 하기 위해 사업성 분석을 여러단계에 걸쳐 검증하고 있으며 투자자금 필요시 해당 프로젝트의 수익성을 통한 외부 차입을 통해 자금을 조달할예정입니다.
3) 의약사업부문
당사는 신고서 제출일 현재 추진 중인 바이오의약품 개발 사업 외에 새로운 분야의 사업으로 희귀 난치 의약품을 도입하여 판매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첫 번째 도입 품목은 요소회로 대사이상증 치료제 페부레인으로 2015년 국내 식약처의 허가를 취득하여, 2016년부터 매출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 도입 품목은 윌슨병 치료제 트리엔탑으로2018년 도입하여 판매하기 시작했습니다. 윌슨 병은 구리 대사의 이상으로 간, 뇌 등의 장기에 구리가 과도하게 축적되는 유전성 희귀질환이며 트리엔탑은 2005년 한국 식약처로부터 승인받은 윌슨병 치료제 사이프린의 복제약입니다. 최근 사이프린의 국내 공급이 불안정해짐에 따라 당사는 윌슨병 환자들에게 치료제 선택권을 확대하고 안정적 치료를 위해 트리엔탑의 국내 도입을 결정했습니다. 또한, 당사는 글로벌 기업들과 경쟁하기 위하여 주력 사업군인 암 및 난치성 질환 치료제 부문 강화를 위하여 새로운 치료제 개발을 계속적으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는 자체 발굴한 타깃을 개발하는 방법, 외부에서 발굴한 타깃을 들여와 개발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향에서 검토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세계적인 암 및 난치성 질환 치료제 대표기업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해당 분야의 사업을 집중 강화할 것입니다.
(5) 조직도
조직도 |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주봉진 | 1969.11.22 | 사내이사 | - | 계열회사 임원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주봉진 | 現 (주)이수화학 그린바이오부문장 | 2010.01 ~ 2014.12 2015.01 ~ 2016.11 2016.11 ~ 2021.12 2022.01 ~ 2023.03 2023.03 ~ 현재 | (주)이수화학 멕시코사무소장 (주)이수화학 영업지원팀장 (주)이수화학 영업본부장 (주)이수화학 사업기획본부장 (주)이수화학 그린바이오부문장 | 해당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주봉진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해당사항 없음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사내이사 후보자 주봉진 주봉진 이사 후보는 당사의 멕시코사무소장, 영업지원팀장, 영업본부장 및 사업기획본부장을 거쳐 현재 당사의 그린바이오부문장으로 재직하고 있음. 오랜 기간 당사의 영업관리, 사업기획 등과 관련한 주요 업무를 수행해왔으며, 풍부한 전문적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당사의 성장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하여 이사회에서 추천함 |
확인서
사내이사 확인서_주봉진 |
※ 기타 참고사항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2023년 03월 20일 |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2023년 3월 20일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회사 홈페이지에 게재하였습니다.
- DART 전자공시시스템 : http://dart.fss.or.kr
- 당사 홈페이지 : http://www.isuchemical.com
-> 감사보고서 : 홈페이지-투자정보-전자공고-제55기 감사보고서
-> 사업보고서 : 홈페이지-투자정보-전자공고-제55기 사업보고서
□ 코로나19 등 비상사태 발생시 일정/장소 변경 및 기타 집행 관련 세부사항은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509000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