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1205000116
증권발행실적보고서
|
금융감독원장 귀하 | 2023년 12월 05일 |
|
|
회 사 명 :
| KG모빌리티 주식회사 |
대 표 이 사 :
| 정 용 원 |
본 점 소 재 지 : | 경기도 평택시 동삭로 455-12 |
| (전 화) 031-610-1114 |
| (홈페이지) http://www.kg-mobility.com |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경영지원본부장 (성 명) 엄 상 현 |
| (전 화) 031-610-1371 |
Ⅰ. 발행개요
1. 기업개요
상장구분 | 기업규모 | 업종구분 |
유가증권 | 대기업 |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
2. 발행 개요
구분 | 사채의 종류 | 회차별 발행총액 | 상환기일 |
무보증 | 신주인수권부사채 | 150,500,000,000 | 2028년 12월 05일 |
신용평가기관 | 신용평가등급 |
한국기업평가 | BB |
한국신용평가 | BB |
Ⅱ. 청약 및 배정에 관한 사항
청약개시일 | 청약종료일 | 납입기일 | 비고 |
2023년 11월 30일 | 2023년 12월 01일 | 2023년 12월 05일 | - |
인수기관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비 율(%) | 비 고 |
- | - | - | - | - |
계 | - | - | - | - |
구 분 | 최초 배정 | 청약 현황 | 최종 배정 현황 |
수량 | 비율 | 건수 | 수량 | 금액 | 비율 | 건수 | 수량 | 금액 | 비율 |
일반공모 | 15,050,000 | 100 | 429 | 19,699,100 | 196,991,000,000 | 100 | 429 | 15,050,000 | 150,500,000,000 | 100 |
계 | 15,050,000 | 100 | 429 | 19,699,100 | 196,991,000,000 | 100 | 429 | 15,050,000 | 150,500,000,000 | 100 |
Ⅲ. 증권교부일 등
1. 상장 및 유통 예정일
1) 신주인수권이 분리된 채권: 2023년 12월 05일
2) 신주인수권증권: 2023년 12월 19일 (예정)
2. 사채권 및 신주인수권증권 전자등록
KG모빌리티(주) 제122회 무보증 신주인수권부사채의 경우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전자등록으로 발행하므로 실물채권을 발행하지 않습니다.
주) 신주인수권증권의 상장일 및 유통일은 예정이므로 변경될 수 있음.
Ⅳ. 공시 이행상황
1. 공고일자와 공고방법
구분 | 공고신문 등 | 공고일자 |
일반공모 청약 공고 | "발행회사" 홈페이지 | 2023년 11월 30일 |
배정 공고 | "대표주관회사" 홈페이지 | 2023년 12월 05일 |
주1) "발행회사" 홈페이지: http://www.kg-mobility.com |
주2) "대표주관회사" 홈페이지: http://www.eugenefn.com |
2. 증권신고서(일괄신고 추가서류 포함) 공시
전자문서 : 금융위(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 → http://dart.fss.or.kr
3. 투자설명서 공시
전자문서 : 금융위(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 → http://dart.fss.or.kr |
서면문서 : KG모빌리티(주) → 경기도 평택시 동삭로 455-12 |
유진투자증권(주) → 서울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24 |
Ⅴ. 조달된 자금의 사용내역
신고서상 발행예정총액 | 실제 조달금액 | 비 고 |
모집금액 | 매출금액 | 발행총액 |
150,500,000,000 | 150,500,000,000 | - | 150,500,000,000 | - |
시설자금 | 영업양수 자금 | 운영자금 | 채무상환 자금 |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 기타 | 계 |
- | - | 150,500,000,000 | - | - | - | 150,500,000,000 |
가. 공모자금 세부 사용목적
공모 신주인수권부사채(BW)로 조달된 자금은 아래와 같은 우선 순위와 같이 당사의 운영자금(약 1,505억원)으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구 분 | 상세현황 | 사용(예정)시기 | 금액 | 우선순위 |
운영자금 | 신차 개발 관련 비용 | 2024년 1분기 ~ 2024년 2분기 | 50,500 | 1순위 |
운영자금 | 부품, 원부재료 구매대 등 | 2023년 4분기 ~ 2024년 2분기 | 100,000 | 2순위 |
합 계 | 150,500 | - |
주1) | 상기 우선순위는 금번 신주인수권부사채(BW) 발행에 소요되는 발행제비용을 제외한 우선순위입니다. |
단, 금번 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을 통해 조달하게 될 채무상환자금에 대한 사용 시기는 상기의 내역과 같이 증권신고서 제출 전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향후 실제 자금 집행 과정에서 그 금액 또는 사용 시기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기재된 자금사용 목적 외에 기타 운영자금 사용 및 타용도로 사용시 매 분기별 정기보고서에 공모자금 실제 사용내역에 관하여 성실하게 공시할 예정입니다.
자금 조달로부터 사용시까지 미사용 자금에 대해서는 자금 사용시점 및 금리에 따라 적격금융기관의 수시입출금 예금, 정기예금 등 금융상품 또는 AA등급대(A1등급대)이상의 단기금융상품으로 운용할 예정입니다
(1) 운영자금 - 신차 개발 관련 비용
당사는 경기도 평택시에 위치한 공장을 통해 코란도(코란도, 코란도 E-모션) 계열, 렉스턴(G4 렉스턴, 렉스턴 스포츠, 렉스턴 칸) 계열, 티볼리(티볼리, 티볼리 에어) 계열, 토레스(토레스, 토레스 EVX) 계열의 완성차를 생산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투자를 바탕으로 신차 라인업 확대, 신규 브랜드의 개발, 디자인의 변경 등 다양한 소비자의 선호를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성장성 지표 현황] |
(K-IFRS, 연결) | (단위 : 억원, %) |
구 분 | 2023년 3분기 | 2022년 | 2021년 | 2020년 |
총자산 | 24,855 | 20,019 | 18,549 | 17,686 |
매출액 | 29,951 | 34,233 | 24,293 | 29,502 |
영업손익 | 424 | (1,120) | (2,613) | (4,494) |
당기순손익 | 470 | (601) | (2,660) | (5,043) |
총자산증가율 | 24.16% | 7.92% | 4.88% | (12.41%) |
매출액증가율 | 24.60% | 40.92% | (17.65%) | (18.59%) |
영업이익증가율 | 흑자전환 | 적자지속 | 적자지속 | 적자지속 |
순이익증가율 | 흑자전환 | 적자지속 | 적자지속 | 적자지속 |
출처 : | 당사 정기보고서 |
주1) 총자산증가율 | = (해당 연도 총자산- 전년도 총자산) ÷ 전년도 총자산 |
주2) 매출액증가율 | = (해당 연도 매출액- 전년도 매출액) ÷ 전년도 매출액 |
주3) 영업이익증가율 | = (해당 연도 영업이익- 전년도 영업이익) ÷ 전년도 영업이익 |
주4) 순이익증가율 | = (해당 연도 순이익- 전년도 순이익) ÷전년도 순이익 |
주5) | 2023년 3분기 총자산증가율은 2022년말 대비 증가율, 매출액, 영업이익 및 순이익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입니다. |
[최근 3년간 차량별 판매대수 및 비중] |
(단위 : 대, %) |
구 분 | 차종 | 2023년 3분기 | 2022년 3분기 | 2022년 | 2021년 | 2020년 |
판매대수 | 비중 | 판매대수 | 비중 | 판매대수 | 비중 | 판매대수 | 비중 | 판매대수 | 비중 |
내연기관차 | 토레스 | 38,159 | 39.66% | 11,255 | 13.99% | 23,164 | 20.38% | - | - | - | - |
G4 렉스턴 | 9,579 | 9.96% | 9,365 | 11.64% | 12,964 | 11.41% | 9,687 | 11.52% | 13,605 | 12.68% |
렉스턴스포츠 | 10,058 | 10.45% | 13,554 | 16.85% | 17,958 | 15.80% | 16,073 | 19.11% | 21,276 | 19.82% |
렉스턴스포츠 칸 | 14,766 | 15.35% | 15,590 | 19.38% | 20,400 | 17.95% | 17,786 | 21.15% | 16,494 | 15.37% |
티볼리 | 7,925 | 8.24% | 12,788 | 15.89% | 15,288 | 13.45% | 16,654 | 19.80% | 26,563 | 24.75% |
티볼리에어 | 3,157 | 3.28% | 4,318 | 5.37% | 5,322 | 4.68% | 7,081 | 8.42% | 3,024 | 2.82% |
코란도 | 10,803 | 11.23% | 13,299 | 16.53% | 18,263 | 16.07% | 16,596 | 19.73% | 26,282 | 24.49% |
코란도스포츠 | - | - | - | - | - |
| - | - | 80 | 0.07% |
전기자동차 | 코란도 E-모션 | 1,772 | 1.84% | 289 | 0.36% | 301 | 0.26% | 229 | 0.27% | - | - |
합 계 | 96,219 | 100.00% | 80,458 | 100.00% | 113,660 | 100.00% | 84,106 | 100.00% | 107,324 | 100.00% |
자동차 생산업계에서 신규 자동차 출시는 매출액 성장을 위해 가장 필수적인 요소로, 당사 또한 최근 3개년 매출액을 보았을 때 2022년 신규 차종인 '토레스'의 출시에 힘입어 매출액 반등에 성공하였고 2023년에도 토레스의 판매 실적 호조가 이어지며 매출액 성장을 이어갔습니다.
또한 당사의 차량별 판매 세부내역을 살펴보면, 2020년부터 2022년까지 렉스턴 계열이 전체 판매대수의 45% 이상을 차지하여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나 2022년 토레스 출시 후 토레스는 연말 기준 총 23,164대가 판매되어 전체 대비 20.38%로 2022년말 기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등 인기를 얻었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이어져 2023년 3분기 기준 토레스는 총 38,159대가 판매되어 전체 판매량 대비 39.66%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당사의 실적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소비자들의 기호가 끊임없이 변화하는 자동차 산업 특성 상 토레스의 판매량이 지속되기는 오랜 기간동안 지속되기는 어려우며, 당사는 지속적인 신차 개발을 통해 향후 매출액 성장을 이어 나갈 수 있게 투자를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당사는 최근 3개년간 1년 평균 약 1,235억원을 신차 개발비로 사용하고 있으며, 제품개발을 위해 평균적으로 1년 간 약 668억원, 부품개발을 위해 평균적으로 1년 간 505억원, 생산설비 개발을 위해 1년 평균 약 61억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평택 공장 부지 내 위치한 기술연구소는 제품개발에 필요한 디자인, 설계, 시험차 제작 및 시험, 인증 등의 전반적인 과정을 수행하고 있으며, 필요시 외부 협력업체와 협업을 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상품기획, 차량설계, 차량 개발시험/검증 단계를 거쳐 신차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 후 마지막으로 생산준비 단계를 거쳐 신차 양산을 시작하고 있습니다. 각 단계별 상세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첫번째로 상품 기획 단계이며, 이 단계에서 상품본부는 시장분석 및 경쟁차를 분석하고 연구소와 협의를 통해 신차 Concept (차량 Size, 제원, 디자인 제안, 주요 사양, 신기술등)을 설정합니다. 설정된 제원을 바탕으로 신차 개발 투자비 및 재료비를 산정하고 영업부서와 협의를 통해 목표 판매물량, 목표판매가격 등을 제안합니다. 제안된 사항으로 경영지원본부의 수익성 분석이 이루어 지며, 충분한 수익성 확보 시 신차개발 Project 승인을 받습니다.
두번째 차량 설계 단계에서는 상품 기획단계에서 정의된 목표에 의거 실제 디자인 모델을 제작하고 컴퓨터 해석, 플랫폼 검증차 제작 및 시험을 통해 주요 Engineering Concept을 확정하고 상세 제품 설계가 이루어지며, 구매부문에서는 부품 개발 업체 선정하여 부품 개발을 착수합니다.
세번째는 차량 개발시험/검증 단계로 구매본부에서는 양산 부품 개발을 완료하고 연구소에서는 개발된 부품을 통해 시험차량을 제작하며 실차 시험을 통해 각종 법규만족여부, 차량성능, 목표 품질을 확보 및 검증 하며, 이를 통해 자동차 판매를 위한 법규만족 인증을 진행하게 됩니다. 또한 생산본부에서는 양산라인 구축을 위해 각종 설비 등을 구축하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생산 준비 단계에서는 구축된 생산 라인에서 실제 작업자를 통해 차량을 생산하고 생산라인에서 제작된 차량을 통해 연구소에서는 다시 한번 성능/품질 검증하고 품질부문에서는 고객관점에서 품질 검증이 이루어집니다, 모든 검증이 완료되면 영업본부과 경영지원본부에서는 판매가격 결정 및 판매 전략을 수립하여 신차 SOP (Start of Production)가 이루어 집니다
[최근 3개년 당사 신차 개발비 현황] |
(단위 : 백만원) |
구분 | 2023년(~9월) | 2022년 | 2021년 | 2020년 | 합계 | 평균 |
제품개발 | 64,804 | 89,724 | 38,759 | 74,030 | 267,318 | 66,829 |
부품개발 | 27,840 | 63,780 | 54,183 | 56,388 | 202,191 | 50,548 |
생산설비 | 2,241 | 6,560 | 7,908 | 7,818 | 24,527 | 6,132 |
합계 | 94,885 | 160,065 | 100,849 | 138,237 | 494,035 | 123,509 |
출처: | 당사 제공 |
주1) | 2023년의 경우 9월까지의 개발비를 반영한 것으로 2023년 12월 기준으로는 9월보다 더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당사는 매년 증가하는 전기차 수요와 급변하고 있는 자동차 산업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자체 전기차 라인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3년 하반기 토레스 EVX를 출시함에 따라 코란도 E-모션에 이어 총 2가지의 전기차 모델을 확보할 예정이며, EV 픽업트럭 개발, HEV, EV 전용 플랫폼 개발을 통해 향후 전기차 라입업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당사는 금번 공모자금 중 505억원을 신차 개발 투자금으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코란도 E-모션, 토레스 EVX를 전기자동차 라인업으로 보유중이며, 향후 본격적인 전기자동차 라인업 확대를 위해 당사는 토레스 EVX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EV Pick-up 트럭 개발을 진행 중입니다. 현재 상기 개발 단계 중 차량 설계단계에 해당하는 개발단계에 있으며, 당사는 EV Pick-up Battery 개발 용역, VCU(Vehicel Control Unit) 개발 용역 등 제품개발을 위해 약 6개월간 120억원을, 차량 판넬, 범퍼, 대쉬보드 등 금형 및 부품 개발을 위해 약 6개월간 145억원을 사용할 예정입니다.
자동차 산업에서의 플랫폼은 서스펜션과 동력장치 배치에서부터 중량 배분, 무게 중심 등 자동차의 핵심 요소들을 결정하는 차체 구조물로, 자동차의 기본 골격이라 할 수 있습니다. 완성차 업체들은 차종별로 다수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으며, 한 개의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디자인의 모델을 생산해 왔습니다.
하지만 전세계적으로 전기차가 개발되며 내연기관차의 엔진과 변속기, 배기계와 연료계 부품이 사라지고 배터리와 전기모터가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됐습니다. 이에 자동차 업체들은 전기자동차의 성능 개선과 비용 절감을 위해 배터리를 자동차 하부에 탑재하고 전륜과 후륜에 각각 전기모터를 배치하는 등 무게, 구조를 전기자동차 특성에 맞게 개발한 일종의 자동차 뼈대, 즉 전기자동차 전용 제작 틀인 EV 전용 플랫폼을 개발하였습니다.
전기자동차 사업의 선두주자 기업들은 자체 EV 플랫폼 개발을 완료하여 다양한 전기자동차 라인업을 생산중이며, 대표적인 플랫폼으로는 폭스바겐그룹의 MEB, MLB evo 플랫폼, 메르세데스-벤츠의 EVA 플랫폼, 현대자동차의 E-GMP플랫폼 등이 있습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동사는 코란도 E-모션, 토레스 EVX와 같은 전기자동차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으나 아직 자체 EV플랫폼은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향후 본격적인 EV 혹은 HEV 라인업 확보를 위해서는 EV 플랫폼 개발이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당사는 향후 내연기관 생산업체에서 본격적인 EV 혹은 HEV차량 생산업체로 전환하기 위해 필요한 HEV 및 EV 전용 플랫폼의 시스템 등의 개발에 필요한 용역 개발비 120억원을 약 6개월간 사용할 예정이며, HEV 전용 엔진 및 모터 및 EV 전용 모터 개발 등을 위해 약 6개월간 120억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상기 신차개발금액은 전체 신차개발 자금 중 일부분이나, 전체 개발자금의 규모가 아직 확정되지 않은 점, 신규 차종 개발 일정상 가까운 시일 내 개발이 완료되어야 하는 작업 순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아래와 같은 신차 개발 투자금 사용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이는 공시서류 제출 전일 기준 당사의 사업계획에 기반한 계획으로 추후 세부적인 사항은 변동될 수 있습니다.
[신차 개발 투자금 상세 사용계획] |
(단위 : 백만원) |
차종 | 개발 예정 품목 | 품목 세부설명 | 사용시기 |
2024년 1월 | 2024년 2월 | 2024년 3월 | 2024년 4월 | 2024년 5월 | 2024년 6월 | 합계 |
EV Pick-up | 제품개발 | Battery 개발 용역, VCU(Vehicel Control Unit) 개발 용역 등 | 2,000 | 2,000 | 2,000 | 2,000 | 2,000 | 2,000 | 12,000 |
부품개발 | 차량 판넬, 범퍼, 대쉬보드 등 금형 및 부품 개발 | 2,000 | 2,000 | 2,000 | 2,500 | 3,000 | 3,000 | 14,500 |
소계 | 4,000 | 4,000 | 4,000 | 4,500 | 5,000 | 5,000 | 26,500 |
HEV & EV Platform 개발 | 제품개발 | HEV(Hybrid Electric Vehicle) 개발 용역, EV 플랫폼 용역 등 시스템/플랫폼 개발에 필요한 비용 | 2,000 | 2,000 | 2,000 | 2,000 | 2,000 | 2,000 | 12,000 |
부품개발 | HEV 전용 엔진 및 모터 개발, EV 전용 모터 개발 등 | 2,000 | 2,000 | 2,000 | 2,000 | 2,000 | 2,000 | 12,000 |
소계 | 4,000 | 4,000 | 4,000 | 4,000 | 4,000 | 4,000 | 24,000 |
합계 | 8,000 | 8,000 | 8,000 | 8,500 | 9,000 | 9,000 | 50,500 |
출 처: | 당사 제시 |
주1 | 상기 내역은 당사의 사업계획에 기반한 것으로 추후 세부적인 사항은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2 | 상기 개발예정 품목 및 공모자금 사용금액은 전체 신차개발 자금 중 일부분입니다. 전체 개발자금의 규모의 경우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며 당사 자체현금으로 충당할 예정입니다. |
(2) 운영자금 - 부품, 원재료 구매대 등
당사의 부품 및 원재료 구입비 등, 인건비, 투자비 및 기타운전자금은 월평균(2023년 4월 ~ 2023년 9월 평균) 약 3,487억원이 소요되고 있습니다. 이 중 부품 및 원재료구입비는 당사의 주력 제품인 자동차 제작에 필수적인 자금이며, 인건비 또한 당사의 운전자금 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3년 3분기말 별도기준 634억원의 현금및현금성자산을 보유하고 있어 매출채권 회수 및 금융기관 차입에 실패할 경우 제품 생산에 필요한 원재료 수급에 차질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에 당사는 금번 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을 통해 조달한 자금 중 약 1,000억원을 운전자금으로 활용할 예정이며, 그 중 변속기, 촉매제, AVNT 등 과 같은 부품 구입대로 6개월간 720억원을, 철강과 같은 원재료 구입대로 6개월간 280억원을 사용 할 예정입니다. 당사는 상기한 운전자금 이 외의 목적으로 공모자금을 사용하지 않을 계획이나, 추후 우발채무 발생 등 당사가 예상하지 못한 불가피한 사정으로 인하여 상기 기재된 자금사용 목적 외에 타용도로 사용시 매 분기별 정기보고서에 공모자금 실제 사용내역에 관하여 성실하게 공시할 예정입니다. 아래는 당사의 6개월간 평균 운전자금 현황 및 2023년 4분기~2024년 1분기 중 공모자금을 이용한 운전자금 사용계획입니다. 운전자금 전체 금액 중 공모자금을 제외한 금액의 경우 매출채권 회수 등으로 발생하는 당사의 자체자금으로 충당할 계획이며, 향후 당사가 예상하지 못한 대내외 변수로 인하여 운영자금 사용시기 및 금액은 변동 될 수 있습니다.
[2023년 9월 ~ 2023년 4월 평균 운전자금 현황] |
(단위 : 백만원) |
구분 | 2023년 9월 | 2023년 8월 | 2023년 7월 | 2023년 6월 | 2023년 5월 | 2023년 4월 | 합계 | 평균 |
부품 구입 | 118,180 | 259,684 | 208,583 | 142,061 | 248,326 | 280,426 | 1,257,260 | 209,543 |
원재료 구입 | 10,720 | 15,520 | 16,015 | 15,689 | 15,019 | 16,218 | 89,182 | 14,864 |
인건비 | 23,391 | 24,917 | 19,047 | 19,984 | 19,678 | 19,772 | 126,790 | 21,132 |
투자비 | 7,180 | 10,013 | 19,138 | 14,209 | 16,687 | 9,996 | 77,222 | 12,870 |
기타비용 | 118,696 | 84,951 | 73,327 | 69,522 | 110,959 | 84,345 | 541,799 | 90,300 |
합계 | 278,167 | 395,085 | 336,109 | 261,466 | 410,669 | 410,757 | 2,092,253 | 348,709 |
[운전자금 상세 사용계획] |
(단위 : 백만원) |
구분 | 주요 품목 | 거래처 | 사용시기 |
2023년 12월 | 2024년 1월 | 2024년 2월 | 2024년 3월 | 2024년 4월 | 2024년 5월 | 합계 |
부품 | 변속기 | A사 등 | 8,000 | 4,000 | 4,000 | 3,000 | 1,000 | 1,000 | 21,000 |
촉매제 | B사 | 3,000 | 3,000 | 3,000 | 1,000 | 1,000 | 1,000 | 12,000 |
ECU, 서스펜션 등 | C사 등 | 4,000 | 2,000 | 2,000 | 1,000 | - | - | 9,000 |
SEAT 등 | D사 등 | 4,000 | 2,000 | 2,000 | 1,000 | - | - | 9,000 |
AVNT | E사 | 6,000 | 2,000 | 2,000 | 1,000 | - | - | 11,000 |
샤시 부품 | F사 등 | 4,000 | 1,000 | 1,000 | 1,000 | - | - | 7,000 |
범퍼 외 | G사 등 | 3,000 | - | - | - | - | - | 3,000 |
부품 소계 | 32,000 | 14,000 | 14,000 | 8,000 | 2,000 | 2,000 | 72,000 |
원재료 | 철강 | H사 등 | 8,000 | 8,000 | 8,000 | 2,000 | 1,000 | 1,000 | 28,000 |
원재료 소계 | 8,000 | 8,000 | 8,000 | 2,000 | 1,000 | 1,000 | 28,000 |
합계 | 40,000 | 22,000 | 22,000 | 10,000 | 3,000 | 3,000 | 100,000 |
출처 : | 당사 제시 |
주1) | 상기 내역은 당사의 사업계획에 기반한 것으로 추후 세부적인 사항은 변동될 수 있습니다 |
또한 금번 제122회 신주인수권증서의 경우 최종 실권 발생 시 대표주관회사인 유진투자증권(주)가 실권 채권에 대한 인수의무를 이행할 예정이나, 실권분에 대한 실권수수료 발생으로 인해 상기 금액은 실권규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기재 금액은 청약 초과로 인하여 실권이 발생하지 않은 상황을 가정하여 산정되었습니다. 청약 결과 실권이 발생하여 실권수수료를 공모자금으로 지급하게 될 경우 당사의 운영자금 규모는 축소 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당사는 자체 보유 현금 및 금융기관 차입을 통해 운영자금을 충당할 예정입니다.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120500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