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일제강 (00269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3-15 16:08: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5000871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  년    03 월    15 일


회   사   명 : 동일제강 주식회사
대 표 이 사 : 임 범 수, 김 우 진
본 점 소 재 지 : 경기도 안성시 미양면 안성맞춤대로 474-40

(전   화) 031-677-1234

(홈페이지)http://www.dongil-steel.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대표이사 (성  명) 김 우 진

(전  화)  031-677-1234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63기 정기)


당사 정관 제17조에 의거 제63기 정기주주총회를 다음과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주시기 바라오며, 소액주주에 대한 소집통지는 당사 정관 제19조 제2항 규정에 의거 본 공고로 갈음하오니 양지하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3년 3월 30일(목) 오전 09시

 

2. 장  소 : 경기도 안성시 고삼면 삼은길 15-48 SFG고삼연수원 세미나실

 

3. 회의목적사항 

 

   1) 보고 사항 : ① 감사보고 ② 영업보고 ③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2) 부의 안건

       

         -.제1호 의안 : 제 63기 (2022.01.01 ~ 2022.12.31) 재무제표승인의 건
                           
 [※배당 예정내용: 보통주1주당 10원]

         -.제2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제3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사내이사2명, 사외이사 1명)

               제3-1호 의안 : 사내이사 양영석 선임의 건 (임기 1년)

              제3-2호 의안 : 사내이사 민세홍 선임의 건 (임기 3년)

              제3-3호 의안 : 사외이사 유상현 선임의 건 (임기 3년)

 

         -.제4호 의안 : 감사위원회 감사위원 유상현 선임의 건 (임기 3년)

         -.제5호 의한 : 이사 보수한도액 승인의 건 (30억)

 

4.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금번 우리회사의 주주총회에는 상법 368조와 정관 26조에 의거하여 주주총회에 참석하시어 의결권을 직접행사하시거나 또는 대리인에게 위임하여 의결권을 간접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5. 경영참고사항

상법 542조의 4의 3항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당사의 본사와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였고, 금융감독원 또는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6. 기타사항

상법 제542조의4 및 당사 정관 제19조에 의거하여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이하 소유주주에 대한 통지는 전자공시시스템에 공고함으로써 서면에 의한 소집 통지를 갈음합니다. 

  

7.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직접행사 : 신분증

-대리행사: 위임장(서명 또는 인감날인), 대리인의 신분증(신분확인)

  

2023년 3월 15일


동 일 제 강 주 식 회 사

대표이사 임 범 수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김준구
(출석률: 100%)
이재창
(출석률: 100%)
구칠모
(출석률: 100%)
김종윤
(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1 2022/02/16 1. 제62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찬성 찬성 찬성 -
2 2022/03/16 1. 제62기 정기 주주총회 소집의 건
2. 이사 선임의 건
3.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찬성 찬성 찬성 -
3 2022/04/28 1. 관계회사 삼목에스폼 부동산 임대계약의 건
2. 관계사 알루미늄스크랩 소비대차 계약 승인의 건
3. 관계회사 1분기 내부거래 사후 승인의 건
4. 임원 보수 한도 승인의 건
찬성 - 찬성 찬성
4 2022/09/01 1. 관계회사 2분기 내부거래 사후 승인의 건
2. 사내 규정/규칙 제/개정 승인의 건
3. 임원보수한도 승인의 건
찬성 - 찬성 찬성
5 2022/10/20 1. 하나은행 여신 증액 취급에 관한 건 찬성 - 찬성 찬성
6 2022/11/25 1. 관계회사 3분기 내부거래 사후 승인의 건 찬성 - 찬성 찬성
7 2022/12/05 1. 동방성장론 100억원 여신 재약정에 관한 건 찬성 - 찬성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감사위원회 김준구,구칠모,이재창 2022/03/16
2022/03/16
1.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평가 보고의 건
2. 2021년(제62기) 재무제표승인 및 영업보고서승인의 건
가결
가결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3 3,000,000,000 53,870,160 17,956,720 -

- 상기 주주총회승인금액은 등기(사내, 사외)이사 전체 승인 금액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선재산업은 2차 가공을 거쳐 PC강연선, 경강선, 마봉강 등을 생산하며 사용 분야는 최종 소비재라기 보다는 중간재적인 의미로서 자동차, 건설, 조선, 가전 등의 모든 산업에 관련되어 이용 범위가 광대한 업종입니다. 또한 선재 산업은 품목별로 용도가 구분되고 가공방법 또한 상이하여 설비 운용의 규모가 비교적 큰 편으로 신규 업체의 진입이 쉽지 않은 산업입니다. 다만 최근에는 수입산의 품질수준 확보로 인한 시장경쟁의 심화현상이 커지고 있어 특화된 품질의 제품으로 시장 선점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1) 선재부문

선재부문의 용도는 교량이나 건축, Anchor, 철도침목 및 원자력 발전소등 SOC 사업등에 사용되는 PC강연선이 있고 자동차산업, 산업기계, 가구 등에 사용되는 경강선이 있으며 전선지지용, 통신선부속, 농자재 등에 사용되는 도금선(GW)으로 구분됩니다.

2) 마봉부문

 마봉 부문의 용도는 자동차, 기계류, 전자, 사무용기기(OA shaft)부품 등 이며, 마봉강은 포스코, 세아창원특수강에서 제강된 선재(WIRE ROD) 또는 압연봉을 2차 가공을 거쳐 봉강 형태의 제품을 생산하며 사용분야는 자동차, 건설, 조선, 광산, 선박 등 이용범위가 상당히 넓습니다. 마봉의 경우 각 분야별로 기술과 품질의 차이가 많은 것이 특징이며, 기술력과 고품질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단기간에 기술력이나 품질의 확보가 어려워 새로운 업체가 진입하기에 자본투자에 비해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높은 산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3) 세경봉부문
세경봉 부문의 용도는 알루미늄 인고트 등을 가공을 거쳐 봉강 형태의 제품을 생산하며 사용분야는 자동차 부품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세경봉의 경우 기술력과 고품질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단기간에 기술력이나 품질의 확보가 어려워 새로운 업체가 진입하기에 자본투자에 비해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높은 산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주요 산업별 부분 중 자동차, 조선, 일반기계, 철강 등의 대부분의 품목들의 수요는 전년 대비 소폭 증가가 예상됩니다. 

자동차산업은 완만한 회복이 예상되나 코로나 이전 수준의 회복은 어려울 전망이며 수출에서는 미국의 IRA 법안에 따른 전기차 가격경쟁력 하락으로 수출 감소 예상됩니다. 조선업은 글로벌 물동량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나 건조량과 수주잔량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일반기계 생산 및 수출은 북미, 중남미 지역을 중심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글로벌 성장세 둔화로 증가율은 감소 전망. 세계 철강 수요는 국가간의 대립과 자원의 무기화, 공급망 문제 지속, 달러 강세, 고물가등에 따른 경기 불확실성 속에 전년대비 소폭 증가가 예상되며 국내 철강 수요는 전방산업(자동차, 조선 등)의 수요증가로 점진적으로는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철강산업은 수입의존가 높아 글로벌 공급망 제한 취약하여 직접적인 수급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글로벌 원자재 가격상승에 원가 부담이 상승하여 수익성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건설수주는 2022년에 비해 민간.공동 부문 모두에서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3) 경기 변동의 특성
선재 및 마봉 제품은 산업 전반에 걸쳐 사용 되어지는 제품군들로써 기계, 전자, 건설, 자동차 산업의 경기 변동에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4) 국내외 시장여건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상존, 철강재 공급과잉, 국내시장의 수입재 점유율 증가 등 시장상황변화와 가격 혼란은 제조 및 유통가공, 최종 수요가에 영향을 미쳐 선재시장의개선을 저해하고 있습니다. 가동률의 유지와 적정수준의 수익성 확보를 위한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것으로 보입니다.

(5) 경쟁 요소

내수 시장은 수요대비 공급과잉의 상태이므로 경쟁사 대비 선점할 수 있는 강점품목개발이 매우 중요합니다. 국내 선재 및 마봉 시장은 2010년 이후 공급 과잉의 시장으로 들어 섰습니다. 선재 및 마봉 공정상 설비 및 설비 운용 면적, 인원 등이 많이 필요한 바 신규 업체의 추가 진입은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현재 공급 과잉인 시황에서 당사재의 시장 판매 영역 확대는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당사에서는 당사 강점 품목에의 판매역량을 집중함으로써 시장 점유율을 유지 및 확대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타사 대비 당사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는 품목은 선재에서는 PC강연선이고 마봉에서는 SUS 마봉입니다. PC강연선은 경쟁사 대비 품목 개발이 일찍 되어 품질 우위와 업계1위 생산 CAPA를 보유하여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SUS 마봉강 또한 경쟁사 대비 시장 진입이 빠른 편이고 타사 대비 원형제품보다 부가가치가 높은 이형(육각형태)제품 등의 선경의 정밀성 및 모서리각의 정확성, 표면의 미려함 등 품질이 우수하며, 이는 당사의 특화된 인발유 및 다이스 사용에 기인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품질 우위 및 지역적 여건을 활용하여 시장 선점을 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의 최근 3사업연도의 주요 영업활동상의 영향을 미친 사항으로서는 외부적으로는 동종업계의 설비중복 투자로 인한 공급 과잉현상의 심화 입니다. 특히 마봉강 부문에서의 동종사의 설비 신규 및 증설 투자로 공급 과잉에 따른 단가 인하 및 저가품 시장에서의 판매 경쟁의 심화가 두드러지고 있어 당사에서는 SUS 마봉강, 이형재 등 후발 업체와의 품질우위 전략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내부적으로는 선재부문에서는 제2산세장 신설, 도금 전처리라인 개조 등을 통해 산세 가동률 저하해소 및 경강선 외관 품질향상으로 경강선 시장 점유율 강화 그리고 도금선 표면품질향상으로 전선회사 납품량 증대로 매출증대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마봉부문에서는 CDM M/C 4line 증설(포항공장)로 capa 증가 및 기계별, 품목별 세분화 적용하여 품질향상 등으로 시장 점유율 증대 및 포항, 부산지역 판매 확대로 마봉강 매출을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특히 당사는 서울, 경기권에 위치한 지역적인 장점을 활용하여 신속한 납기 대응 능력으로 국내 수도권 및 중부지방까지에 이르는 시장에 대한 시장지배력이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세경봉부문에서는 알루미늄세경봉 설비를 구축하여 봉강형태로 자동차부품 업체에 납품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의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의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당 기>

구   분

철강사업부
재화 또는 용역의 유형
제품매출 195.961,447
원재료매출 78,889
기타매출 717,279
합계 196,757,615
지리적 시장
국내 192,264,581
아시아 3,855,143
미주 637,891
                 합계 196,757,615
재화나 용역의 이전 시기
한 시점에 이전하는 재화와 용역 196,757,615



(단위 : 천원)
<전 기>

구   분

철강사업부
재화 또는 용역의 유형
제품매출 181,120,292
원재료매출 250,634
기타매출 864,848
합계 182,235,774
지리적 시장
국내 175,978,357
아시아 6,063,715
미주 193,702
                 합계 182,235,774
재화나 용역의 이전 시기
한 시점에 이전하는 재화와 용역 182,235,774


(2) 시장점유율


[선재부문]

(단위 : %)

구분

제63기(2022년)

제62기(2021년)

제61기(2020년)

선재

고려제강

29.4%

30.2%

28.9%

만호제강

19.8%

19.9%

20.4%

DSR제강

17.8%

17.2%

17.7%

동일제강

14.8%

16.2%

15.8%

영흥철강

13.7%

12.5%

12.3%

기     타 4.5% 4.0% 4.9%

총 계

100.0%

100.0%

100.0%

(Source : 한국철강신문)

 

[마봉강부문] 

 (단위 : %)

제 품
품목명

제63기(2022년)

제62기(2021년)

제61기(2020년)

회사명

시장점유율

회사명

시장점유율

회사명

시장점유율

스텐리스
마봉강

세아특수강

21.9%

세아특수강

29.0%

세아특수강

38.0%

동일제강

38.0%

동일제강

34.9%

동일제강

32.0%

티플랙스

40.0%

티플랙스

36.0%

티플랙스

29.9%

기타(수입외)

0.1%

기타(수입외)

0.1%

기타(수입외)

0.1%

총   계 100% 총   계 100% 총   계 100%

(자료 : 당사 자체조사)

(3) 시장의 특성

당사는 포스코등의 원재료 maker에서 원자재인 wire rod를 매입하여 2차 인발 가공하는 선재 2차 업체로서 제품군은 PC강연선, 마봉강, 경강선, 도금선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당사 품목의 판매 구분은 내수:수출이 평균 94 : 6로 내수 비중이 상대적으로 크므로 상대적으로 내수시황의 요인들로 인해 판매 영향을 받습니다.  특히 건설 및 자동차 수요에 큰 영향을 받고 있어 정부의 SOC사업, 국내 자동차업체의 판매 예상량지표 등에 따라 당사 판매량이 증감됩니다. 특히 선재의 경우 자동차, SOC, 기계, 전자 등 다양한 산업 전반에 수요처가 다양하며 전반적인 경기에 영향을 받아 산업의 성장과 함께 성장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현재 당사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성장동력을 높이기 위해 자동차부품용 소재인 알루미늄 세경봉 영업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는 단기적인 성장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회사의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품목으로 기술력과 생산 경험을 통하여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으리라 판단됩니다.

(5) 조직도


판매조직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63 기 2022. 12. 31 현재
제 62 기 2021. 12. 31 현재
(단위 : 원)
과 목 제 63 기 제 62 기

[유동자산]

101,123,872,721 105,242,078,699

1.현금 및 현금성자산

14,437,981,226 18,679,463,143

2.단기금융상품

- 8,000,000,000

3.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51,761,522,848 46,319,124,396

4.재고자산

34,065,723,584 32,209,194,755

5.기타유동자산

79,003,532 23,357,321
6.기타유동금융자산 756,336,884 -

7.계약자산

23,304,647 10,939,084

[비유동자산]

78,584,846,316 75,270,702,710

1.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9,192,949,200 7,624,092,600

2.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110,000,000 225,000,000

3.유형자산

40,587,563,822 39,052,377,297

4.투자부동산

14,401,446,871 13,442,758,543

5.무형자산

120,666,666 120,666,666

6.기타비유동자산

12,926,063,800 13,337,056,200

7.기타비유동금융자산

600,534,434 1,468,751,404

8.순확정급여자산

645,621,523 -

자산총계

179,708,719,037 180,512,781,409

[유동부채]

18,680,811,170 23,588,479,582

1.매입채무 및 기타채무

15,019,807,776 18,872,306,974

2.계약부채

23,821,385 14,784,537

3.단기차입금

- 69,006,413

4.당기법인세부채

104,489,342 1,501,151,199

5.기타유동금융부채

3,145,235,444 3,027,385,922

6.기타유동부채

387,457,223 103,844,537

[비유동부채]

3,347,436,729 3,376,129,201

1.기타비유동금융부채

52,626,579 2,884,885
2.순확정급여부채 - 194,612,407

3.이연법인세부채

3,294,810,150 3,178,631,909

부채총계

22,028,247,899 26,964,608,783

[자본금]

10,150,180,000 10,150,180,000

[기타불입자본]

39,732,339,130 39,732,339,130

[기타포괄손익누계액]

2,780,483,632 1,508,924,236

[이익잉여금]

105,017,468,376 102,156,729,260

자본총계

157,680,471,138 153,548,172,626

부채와자본총계

179,708,719,037 180,512,781,409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63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31 까지)
제 62 기 (2021. 01. 01 부터 2021. 12. 31 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63 기 제 62 기

1.매출액

196,757,615,383 182,235,773,870

2.매출원가

187,429,930,895 167,641,860,008

3.매출총이익

9,327,684,488 14,593,913,862

4.판매비와관리비

6,870,754,538 6,720,929,470

5.영업이익

2,456,929,950 7,872,984,392

6.금융수익

264,673,032 173,281,715

7.금융비용

21,188,840 6,617,559

9.기타수익

1,423,646,904 1,006,109,636

10.기타비용

198,028,113 26,894,713

11.법인세차감전순이익

3,926,032,933 9,018,863,471

12.법인세비용

580,883,838 768,190,281

13.당기순이익

3,345,149,095 8,250,673,190

14.기타포괄손익

1,182,858,617 2,254,786,581
15.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
16.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88,700,779) 9,174,787
17.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금융자산평가손익 1,271,559,396 2,245,611,794
18.총포괄이익 4,528,007,712 10,505,459,771
19.주당손익 - -
20.기본주당이익 169 542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63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31 까지)
제 62 기 (2021. 01. 01 부터 2021. 12. 31 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63 기 제 62 기

1.미처분이익잉여금

104,860,726,791

102,039,558,595

1)전기이월이익잉여금

101,604,278,475

93,779,710,618

2)당기순이익

3,345,149,095

8,250,673,190

3)보험수리적손익

(88,700,779)

9,174,787

2.임의적립금등의 이입액

-

-

합계

104,860,726,791

102,039,558,595

3.이익잉여금처분액

217,640,060

435,280,120

1)이익준비금

19,785,460

39,570,920

2)배당금

197,854,600

395,709,200

4.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104,643,086,731 101,604,278,475



 - 자본변동표

                                                                                      <자본변동표>

제 63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31 까지)
제 62 기 (2021. 01. 01 부터 2021. 12. 31 까지)
(단위 : 원)
과 목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 총계
2021.01.01(전기초) 7,500,000,000 29,136,193,850 (736,687,558) 93,896,881,283 129,796,387,575
 유상증자 2,650,180,000 10,596,145,280 - - 13,246,325,280
 당기순이익 - - - 8,250,673,190 8,250,673,190
 기타포괄손익


-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 - 9,174,787 9,174,787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손익 - - 2,245,611,794 - 2,245,611,794
2021.12.31(전기말) 10,150,180,000 39,732,339,130 1,508,924,236 102,156,729,260 153,548,172,626
2022.01.01(당기초) 10,150,180,000 39,732,339,130 1,508,924,236 102,156,729,260 153,548,172,626
 당기순이익 - - - 3,345,149,095 3,345,149,095
 배당금지급 - - - (395,709,200) (395,709,200)
 기타포괄손익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 - (88,700,779) (88,700,779)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손익 - - 1,271,559,396 - 1,271,559,396
2022.12.31(당기말) 10,150,180,000 39,732,339,130 2,780,483,632 105,017,468,376 157,680,471,138



 - 현금흐름표

                                                <현금흐름표>

제 63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31 까지)
제 62 기 (2021. 01. 01 부터 2021. 12. 31 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63 기 제 62 기

1.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6,359,717,744)

(8,161,281,498)

(1)영업에서 창출된 현금흐름

(4,089,265,095)

(8,490,172,964)

(2)이자의수취

218,063,633

176,732,400

(3)이자의지급

-

(6,617,559)

(4)배당금의수취

55,047,600

-

(5)배당금의지급

(395,709,200)

-

(6)법인세의납부

(2,147,854,151)

158,776,625

2.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2,640,406,782

(1,004,457,243)

(1)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13,195,069,375

7,165,638,182

(2)투자활동으로인한 현금유출액

(10,554,662,593)

(8,170,095,425)

3.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517,258,237)

12,923,170,288

(1)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86,518,924

14,154,695,259

(2)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603,777,161)

(1,231,524,971)

4.현금및현금성자산의환율변동효과

(4,912,718)

(225,567)

5.현금의증가(감소)

(4,241,481,917)

3,757,205,980

6.기초의 현금

18,679,463,143

14,922,257,163

7.기말의 현금

14,437,981,226

18,679,463,143

※ 상세한 주석사항은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단위 : 원)

구                분

제 63 기

제 62 기

비      고

주당배당금(원)

대주주

10

20

보통주,현금배당

소액주주

10

20

시가배당율(%)

대주주

0.46

0.71

보통주,현금배당

소액주주

0.46

0.71

총 배 당 금 액(원)

197,854,600

395,709,200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제 29 조【이사의 수】

이 회사의 이사는 3인 이상 6인 이내로 하고 사외이사는 이사총수의 1/4 이상으로 한다.

제 29 조【이사의 수】

이 회사의 이사는 3인 이상 7인 이내로 하고 사외이사는 이사총수의 1/4 이상으로 한다.

이사의 수 

변경

< 신  설>

제 33 조의 2【의장】

① 이사회의 의장은 이사회 결의로 선임한다

투명한

지배구조 확립을 의한

의장 분리

제 34 조【이사의 직무】

① <생략>

② 부사장, 전무, 상무 및 이사는 사장를 보좌하고 이사회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이 회사의 업무를 분장 집행하며 대표이사의 유고시에는 위 순서로 직무를 대행한다. 

제 34 조【이사의 직무】

① <생략>

② 사장, 부사장, 전무이사, 상무이사 및 상무보는 대표이사를 보좌하고 이사회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이 회사의 업무를 분담 집행하며 대표이사의 유고시는 위 순서로 직무를 대행한다. 

규정 정비

제 35 조【이사회의 구성과 소집】

① <생략>

② 이사회는 대표이사 또는 이사회에서 따로 정한 이사가 있을 때에는 그 이사가 회일 1일전에 각 이사에게 통지하여 소집한다. 그러나 이사 전원의 동의가 있을 때에는 소집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제 35 조【이사회의 구성과 소집】

① <생략>

② 이사회는 이사회 의장 또는 이사회에서 따로 정한 이사가 있을 때에는 그 이사가 회일 1일전에 각 이사에게 통지하여 소집한다. 그러나 이사 전원의 동의가 있을 때에는 소집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투명한

지배구조 확립을 의한

의장 분리

제 36 조【이사회의 결의방법】

① 이사회의 결의는 이사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이사 과반수의 동의에 의한다. 다만 상법 제397조의2(회사기회유용금지) 및 제398조(자기거래금지)에 해당하는 사안에 대한 이사회결의는 이사 3분의 2 이상의 수로 한다.

② ~ ③ < 생략 > 

제 36 조【이사회의 결의방법】

① 이사회의 결의는 이사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이사 과반수의 동의에 의하며  가부동수일 경우에는 의장이 의결권을 갖는다. 다만 상법 제397조의2(회사기회유용금지) 및 제398조(자기거래금지)에 해당하는 사안에 대한 이사회결의는 이사 3분의 2 이상의 수로 한다.

② ~ ③ < 생략 >

규정 정비

제 51 조【시행일】  

본 개정 정관은 제62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승인한날(2022년 3월31일)로부터 시행한다.

제 51 조【시행일】  

본 개정 정관은 제63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승인한날(2023년 3월30일)로부터 시행한다.

시행일 변경


※ 기타 참고사항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양영석 1963.05.20 X (사내이사) - 해당없음 이사회
민세홍 1973.09.28 X (사내이사) - 해당없음 이사회
유상현 1974.09.02 ○ (사외이사) - 해당없음 이사회
총 (  3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양영석

현)동일제강

    재직


2000년07월∼2020년06월
2020년12월∼현재

울산대학교 대학원 공학석사
전) 후성정공(주) 전무

현) 동일제강 재직

없음
민세홍 현)동일제강
   재직

2006년02월∼현재
2022년01월∼현재

연세대학교 졸업
현) 삼목에스폼 재직

현) 동일제강 재직

없음
유상현 변호사

2009년∼현재

서울대학교 졸업

전) 서울중앙지법 판사

현) 법무법인 김&장 변호사

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양영석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민세홍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유상현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유상현 후보자는 변호사로서 전문성 및 독립성을 기초로 주주 및 기타 이해관계자들과 지속 발전할 수 있도록 투명하고 독립적인 의사결정을 통해 회사의 성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성실히 직무를 수행할 것입니다.
또한 본 후보자는 동일제강(주) 사외이사로서 경영진 감독의 책임이 있음을 명확히 인지하고 회사로부터 독립적인 지위에서 준법경영, 내부통제 등에 대한 관리 감독을 성실히 수행하고 나아가 회사가 사회적 책임을 이행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양영석 후보자는 철강업계에서 오랜 경험과 풍부한 식견을 바탕으로 높은 이해와 전문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회사의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이사회 구성원으로서 선진적인 지배구조 구축과 전문적인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여 동일제강(주)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여 사내이사로 추천합니다.

민세홍 후보자는 오랜 경험과 풍부한 식견을 바탕으로 회사에 대한 높은 이해와 전문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회사의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이사회 구성원으로서 선진적인 지배구조 구축과 전문적인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여 동일제강(주)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여 사내이사로 추천합니다.

유상현 후보자는 변호사로서 축적한 지식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동일제강(주)의 경영활동에 있어 발생할 수 있는 이슈에 대해, 대주주 및 다른 이사로부터 독자적인 관점으로 전문적 의견을 제시하여 기업 가치 제고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되어 추천합니다.


확인서

제63기주총사외이사선임확인서(민세홍)

제63기주총사외이사선임확인서(양영석)

제63기주총사외이사선임확인서(유상현)




※ 기타 참고사항



□ 감사위원회 위원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유상현 1974.09.02 ○(사외이사) - 해당없음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유상현 변호사

2009년∼현재

서울대학교 졸업

전) 서울중앙지법 판사

현) 법무법인 김&장 변호사

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유상현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유상현 후보자는 변호사로서의 전문성을 통하여 감사위원으로써 독립적으로 견제, 감시, 감독 역할을 수행하며, 대안 제시를 통한 당사의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어 추천합니다.


확인서

제63기주총감사위원선임확인서(유상현)




※ 기타 참고사항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7(  3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3,000,000,000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6(  3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718,581,360
최고한도액 3,000,000,000



※ 기타 참고사항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3년 03월 22일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참고사항


. 주주총회 개최(예정)일 : 2023년 3월 30일

2. 상장회사협의회가 발표한 당해년도 주주총회 집중(예상)일
   3/24일, 3/30일, 3/31일

3. 주주총회 집중(예정)일 개최사유
   당사는 금번 정기주주총회를 주주총회 집중(예상)일을 피하여 개최하고자 하였으나, 당사는 회계법인의 외부감사, 주요경영활동 관련 일정 및 원활한 주주총회 운영을 위해 불가피하게 주주총회 집중(예상)일에 주주총회를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안내사항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의 감염 및 전파를 예방하기 위하여, 총회장 입구에서 해외여행력 체크 및 체온계로 총회에 참석하시는 주주님들의 체온을 측정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예정입니다.

호흡기 질환이나 발열이 의심되는 경우, 최근 2주간 국내외 질병 위험지역에 출입한 경험이 있으신 경우, 가족, 친지등이 코로나 확진판정을 받거나 자가격리 중일 경우 출입을 제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또한 총회에 방문하신 주주님들 중, 총회 후 2주 이내에 증상이 생길 경우 회사에 발병 여부를 통보해주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질병 예방을 위하여 주주총회 참석시 반드시 마스크 착용을 부탁드립니다.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5000871

동일제강 (00269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