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성제약 (00221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3-09 17:03: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09000746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년    3 월    9 일


회   사   명 : 동성제약(주)
대 표 이 사 : 이 양 구
본 점 소 재 지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683

(전   화) 02-6911-3600

(홈페이지)http://dongsung-pharm.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이사 (성  명) 안 창 국

(전  화) 02-6911-3600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66기 정기)


1. 제 66기 정기 주주총회 일정

1) 일시 : 2023년 3월 27일(월) 오전 9시
2) 장소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683 동성제약빌딩 지하 1층


2. 회의의 목적사항

1) 보고사항 :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외부감사인 선임보고.
2) 부의안건
제 1호 의안 : 제 66 기(2022.1.1~2022.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 2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 3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3.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 542조의 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회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하나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우리회사는「상법」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 시스템 인터넷 주소 

      - 인터넷 주소 : https://evote.ksd.or.kr
        모바일 주소 : https://evote.ksd.or.kr/m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3년 3월 17일 09시 ∼ 2023년 3월 26일 17시 (기간 중 24시간 이용가능)

    다. 인증서를 이용하여 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안별 전자투표 행사

       - 주주확인용 공인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K-VOTE에서 사용 가능한 인증서 한정)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


5.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직접행사 : 참석장, 신분증
대리행사 : 참석장,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날인), 대리인신분증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이영렬
(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1 2022.02.11 제 65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찬성
2 2022.02.18 이사 후보 추천의 건 찬성
3 2022.02.25 제 65기 정기주주총회 개최의 건 찬성
4 2022.03.10 제 65기 재무제표 재승인 찬성
5 2022.04.27 문현동 재개발조합 설립동의서 제출의 건 찬성
6 2022.04.28 사규 제.개정의 건 찬성
7 2022.06.23 자기주식 취득의 건 찬성
8 2022.07.01 이사회규정 개정의 건 찬성
9 2022.10.04 운전자금 차입의 건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천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1,000,000 24,000 24,000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 의약품
제약산업은 국민 보건과 관련된 산업으로서 엄격한 제도적 규제 아래 관리물질 특허를 통한 독점적 지위를 누릴 수 있는 산업입니다. 또한, 정밀화학산업 및 생명공학 산업의 핵심산업으로 기술 및 지식 집약적인 고부가가치, 성장 잠재력을 갖춘 미래 유망산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제약산업은 국민의 건강과 직결된 산업이기 때문에 정부에서 엄격한 통제, 관리하고있으며, 품목 허가, 보험 약가 등재뿐 아니라 생산, 유통, 판매에 이르기까지 타 산업에 비해 그 과정이 매우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습니다.

- 화장품
국내 화장품 산업은 경제 성장과 함께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국내 민간 소비와 화장품 시장의 성장세는 비슷한 트랜드를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화장품 산업은 인간의 건강과 아름다움에 관련되는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특수한 효익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생산, 유통, 판매, 광고 및 소비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법률적 제약이 있습니다.
현재 화장품 시장은 치열한 경쟁을 지속하고 있으며, 소비자의 수요 패턴 변화에 부합하는 신제품 개발능력과 강한 마케팅 능력, 브랜드 이미지 제고, 제품의 차별화가 중요한 성장 여부를 가름하는 요인들로 볼 수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 의약품
 급격히 진행되고 있는 노령화와 경제 수준 향상에 따른 건강한 삶에 대한 욕구 증가 등으로 의약품 수요가 크게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특히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질환 유병률이 높아져 전문치료제 위주의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고령화 질병 구조의 변화 등으로 의료비의 증가가 지속될 것이며 복지에 대한 관심과 욕구 증가, 무상의료 논쟁 등을 거쳐 보장성 요구가 확대 되고 있습니다.  
여기에 최근 잇따르고 있는 우수신약 발매에 따른 국내 매출 및 해외수출성과, 개발중인 신약에 대한 기술수출 등도 제약산업 전망을 밝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약가 인하 정책 등 정부의 지속적인 건강보험 재정 절감 정책 등으로 매출 성장에 어려움이 예상되며,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이 예상됩니다. 따라서 많은 국내 제약사들이 전문의약품 시장이 아닌 일반의약품, 건강기능식품, 의료기기 및 헬스케어 관련 서비스 산업으로 사업을 다각화하고 있으며, 해외 수출 및 해외 시장 진출에 보다 역점을 두고 있습니다.

- 화장품
화장품시장은 경제적 수준의 향상 및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 구매패턴의 변화,  소비계층 확대, 필수소비재로서의 역할 증대 등에 따라 안정적인 성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화장품 유통채널은 소비패턴의 변화로 인해 방문판매, 백화점 등의 고가채널과 브랜드샵의 중저가 채널, 인터넷, 모바일, 홈쇼핑 등의 전자상거래 채널 등 다양한 채널로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유통채널 간 할인 경쟁의 심화, 유통채널의 다각화에 따른 유통경계의 완화 등의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성장률이 높은 판매채널의 선점을 위해 업체 간 경쟁이 더욱 심화되고 주요 업체들의 할인 등 출혈 경쟁이 지속화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메디컬 화장품, 기능성화장품 개발을 통한 다양한 신유통 채널 진입 및 고부가치 제품으로 고성장 고수익을 지향하며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갈 수 있을 것입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 의약품 
 
제약산업은 기술집약도가 높은 첨단기술산업의 한 분야로서 다른 산업에 비해 비교적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지는 않으며, 다른 산업에 비해 내수 의존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일반의약품에 비해 전문의약품의 경우에는 특히 경기변동에 대해 안정적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 화장품
화장품 산업은 고객의 소득 및 소비 수준의 변화에 민감한 영향을 받으며, 유행에 매우 민감합니다. 또한 여성들이 주요 고객인 산업 특성으로 인해 제품의 수명주기가 짧고, 계절적 수요 변동과 개인별 선호 차이로 인해 제품의 종류가 매우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여성들뿐만 아니라 남성층의 화장품 관여도가 높아졌으며, 기능성 화장품, 메디컬 화장품, 건강식품, 마사지, 스파 등의 전반적인 뷰티 산업까지 확대되고 있습니다.

4) 경쟁요소
- 의약품
세계 의약 시장의 급속한 환경변화로 글로벌 경쟁력의 확보가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어 국내기업들의 체질 개선을 위한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정부의 약제비 인하정책에 따른 지속적인 약가재평가와 선진제약회사 수준의 KGMP 시설의 시설투자에 따른 원가 상승과 한미 FTA 체결로 향후 제약시장은 큰 변화가 예상되며, 기술 제휴 및 인수 합병과 연구개발이 우수한 제약업체의 시장 지배력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으려는 기업들의 노력이 필사적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연구개발을 통한 시장성 있는 신약 개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 화장품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한 제품의 품질 및 브랜드 경쟁력의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봉독화장품, 아토피 관련 화장품 등 고부가가치 메디칼 기능성 화장품 개발로 차별화를 통한 신유통채널(병원, 약국 온라인 등) 진입 및 중국 시장 진출 등 고성장, 고수익 등이 예상됩니다.

5) 자원조달상의 특성
기초화학 공업의 산물을 원료로 하여 여러 단계의 합성과정을 거쳐 독특한 화학물질을 생성하는 제약업의 특성상 노동력이나 자원 조달 등은 안정적이나 수입의존률이 높아 환율의 변동에 따라 매출원가와 수익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국내 상위 제약업체들은 원료의 국산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중국. 인도 등에 비해 가격경쟁력이 없어 원료 수입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며, 수입 완제의약품에 대한 보험약가 등재가 이루어져 수입 완제의약품의 수입이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나아가 국내에서 행하여지는 외국 제약사로부터의 위수탁 생산마저도 생산일원화 전략 및 생산 단가 절감 등의 이유로 중국, 인도 등지로 이전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6) 관련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
- 의약품
제약업은 인간의 생명과 건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엄격한 제도적 규제가 타업종보다 많은 규제(약사법 등)가 뒤따릅니다. 약사법, 우수의약품 제조기준(KGMP), 향정신의약품 관리법, 마약법, 우수의약품 유통관리기준(KGSP) 등의 관계 법령 및 판매자 가격표시제(RPLS), 실거래가 상환제, 보험약가 규제, 포괄수가제 등 정부의 규제를 받고 있습니다.  

- 화장품
화장품은 2000년 7월부터 독립적인 화장품법 시행으로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의 전환과 소비자에 대한 업계의 책임이 강조되었습니다. 2002년 7월 1일부터 시행된 제조물 책임법과 2008년 10월 18일 이후 모든 성분을 한글로 표시하는 '화장품 전 성분 표시 의무제'가 시행되었고 2012년 화장품법 전부 개정안이 2013년 본격 시행됨에 따라 제조ㆍ판매업 등록, 화장품 안전기준 재설정, 원료 보고 의무화 등 소비자 안전을 위한 업계의 관심과 책임이 보다 더 강화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불안한 국제정세 속에서도 코로나19로 인하여 얼어붙었던 경제 상황이 조금씩 회복되어 가는 시점에서 매출액은 약 933억으로 전년도 대비 10.6% 증가하였고, 영업이익은 -30억으로 여전히 영업손실을 기록하고 있으나 전년동기 대비 41.8% 개선되어 점차 손실 폭을 줄여가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재화의 성격을 기준으로 최고경영자의 의사결정을 위해 다음과 같이 3개의 부문으로 구분하여 보고하고 있습니다.

부문 주요 재화
의약품 전문의약품 및 일반의약품
염모제 두발 염모제 및 흑채 제품
화장품 스킨케어 및 두발케어 제품


(2) 시장점유율

 주요 상장 기업의 매출액현황
                                                                                         (단위 : 백만원)

회 사 명 2021년 2020년 2019년
동아에스티 585,677 586,576 612,249
녹십자 1,170,305 1,227,760 1,146,093
유한양행 1,624,133 1,567,941 1,463,260
JW중외제약 601,815 542,635 523,047
한독 511,148 497,228 466,401
동성제약 84,407 87,799 86,536


(3) 시장의 특성

- 의약품
제약산업은 기술집약도가 높은 첨단기술산업의 한 분야로서 다른 산업에 비해 비교적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지는 않으며, 다른 산업에 비해 내수 의존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일반의약품에 비해 전문의약품의 경우에는 특히 경기변동에 대해 안정적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 염모제
초고령사회로의 빠른 진입 속도 등의 원인으로 새치커버 염색시장은 신규 소비자가 꾸준히 유입되며 안정적인 시장 규모를 보이며 사회분위기 및 유행의 빠른 변화, 소비자의 멋내기 욕구의 증가로 인하여 컬러의 수요가 다양해지는 추세입니다. 멋내기 염색시장은 염색과정의 번거로움으로 과거에는 주로 이 미용실에서 염색이 이루어 졌으나, 염모제 기술의 발전으로 최근에는 간편하게 집에서 할 수 있는 셀프 염모제의 시장이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 화장품
화장품 산업은 고객의 소득 및 소비 수준의 변화에 민감한 영향을 받으며, 유행에 매우 민감합니다. 또한 여성들이 주요 고객인 산업 특성으로 인해 제품의 수명주기가 짧고, 계절적 수요 변동과 개인별 선호 차이로 인해 제품의 종류가 매우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여성들 뿐만 아니라 남성층의 화장품 관여도가 높아 졌으며, 기능성 화장품,메디컬 화장품, 건강식품, 마사지, 스파 등의 전반적인 뷰티 산업까지 확대 되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대구 경북 첨단의료복합단지 내 제2연구소인 동성제약 대구암센터를 기점으로 광역학치료(PDT)의 가시적인 성과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암 진단과 치료에 필요한 의료기기 기술을 확보하였고, 당사에서 개발한 '포노젠'을 통한 연구는 국제학술지에 연이어 그 긍정적인 성과를 게재한 논문이 수록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금년 내 '포노젠'을 활용한 정식 임상이 승인되어 사업화를 위한 발판이 되리라 예상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무해한 살균, 소독 성분인 이산화염소수를 통해 B2G 시장에 진입하여 새로운 성과를 얻어내기 위하여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5) 조직도



66기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 경영참고사항중  1. 사업의 개요 - 나. 회사의 현황 참조.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본 재무제표는 감사중인 재무제표 입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와 상세한 주석사항은 향후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과 당사 홈페이지(http://dongsung-pharm.com)에 게시 예정입니다.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66 기 2022.12.31 현재
제 65 기 2021.12.31 현재
(단위 : 원)
과 목 제 66 기 제 65 기
자  산

Ⅰ.유동자산  54,389,189,710 49,986,318,169
  1.현금및현금성자산  4,093,782,428 3,140,164,710
  2.매출채권및기타채권 32,258,501,706 27,840,722,201
  3.기타금융자산 882,390,978 2,421,929,676
  4.재고자산  14,933,826,174 15,519,075,249
  5.당기법인세자산  8,924,630 19,551,650
  6.기타유동자산 2,211,763,794 1,044,874,683
Ⅱ.비유동자산 53,312,871,258 54,595,555,871
  1.장기기타금융자산  644,737,393 610,291,490
  2.유형자산  43,855,601,845 37,320,284,266
  3.투자부동산  7,262,695,021 14,798,917,111
  4.사용권자산 104,813,346 57,521,758
  5.무형자산  855,808,623 942,703,083
  6.기타의비유동자산 589,215,030 865,838,163
자 산 총 계 107,702,060,968 104,581,874,040
부  채

Ⅰ.유동부채  47,571,203,754 37,589,208,760
  1.매입채무및기타채무 9,937,005,469 7,752,834,163
  2.단기차입금  19,467,154,786 10,030,275,437
  3.리스부채 74,573,654 43,699,481
  4.유동성장기부채  2,439,640,000 9,640,020,000
  5.신주인수권부사채 7,292,595,964
  6.기타금융부채  3,712,167,909 5,653,445,891
  7.기타유동부채 986,156,823 739,419,326
  8.유동충당부채 3,661,909,149 3,729,514,462
Ⅱ.비유동부채 17,321,594,055 20,552,270,695
  1.장기기타금융부채 3,354,000,000 4,554,000,000
  2.장기차입금  7,732,310,000 2,621,950,000
  3.리스부채 29,557,795 11,967,422
  4.신주인수권부사채
6,966,869,838
  5.확정급여부채  3,918,511,478 4,559,255,173
  6.이연법인세부채 2,287,214,782 1,838,228,262
부 채 총 계 64,892,797,809 58,141,479,455
자  본

  1.자본금  26,100,970,000 26,100,970,000
  2.자본잉여금 25,461,300,717 30,819,824,834
  3.자본조정  (9,906,079,808) (7,909,630,598)
  4.이익잉여금(결손금) 1,153,072,250 (2,570,769,651)
자 본 총 계 42,809,263,159 46,440,394,585
부 채 및 자 본 총 계 107,702,060,968 104,581,874,040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66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31 까지)
제 65 기 (2021. 01. 01 부터 2021. 12. 31 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66 기 제 65 기
Ⅰ.매출액  93,328,194,834 84,407,657,781
  1.제품매출 83,460,002,471 71,647,595,848
  2.상품매출 9,868,192,363 12,760,061,933
Ⅱ.매출원가   51,272,754,845 50,864,013,162
  1.제품매출원가 43,480,785,919 41,534,809,489
  2.상품매출원가 7,791,968,926 9,329,203,673
Ⅲ.매출총이익 42,055,439,989 33,543,644,619
Ⅳ.판매비와관리비   45,152,425,185 38,842,693,847
Ⅴ.영업이익(손실)  (3,096,985,196) (5,299,049,228)
Ⅵ.기타수익 708,901,146 974,852,993
Ⅶ.기타비용  229,265,274 209,154,941
Ⅷ.금융수익  2,508,276,908 1,783,863,788
Ⅸ.금융비용  1,741,529,657 1,629,853,222
X.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1,850,602,073) (4,379,340,610)
XI.법인세비용(환급) 271,068,344 (66,508,351)
XII.당기순이익(손실)  (2,121,670,417) (4,312,832,259)
XIII.기타포괄손익  486,988,201 (1,045,691,858)
ⅩⅣ.총포괄손익  (1,634,682,216) (5,358,524,117)
ⅩⅤ.주당손익 

  1.기본주당이익(손실) (92) (185)
  2.희석주당이익(손실) (131) (191)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66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31 까지)
제 65 기 (2021. 01. 01 부터 2021. 12. 31 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66 기
(처분예정 : 2023.03.27)
제 65 기
(처분확정 : 2022.03.28)
Ⅰ. 미처리결손금 (1,634,682,216) (5,358,524,117)
    1.전기이월미처리결손금 - -
    2.보험수리적이익(손실) 486,988,201 (1,045,691,858)
    3.당기순손실(이익) 2,121,670,417 4,312,832,259
Ⅱ.결손금처리액 1,634,682,216 5,358,524,117
    1.주식발행초과금이입액 1,634,682,216 5,358,524,117
Ⅲ.차기이월미처리결손금 -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3명 (  1명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0백만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명 (   1명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545백만원
최고한도액 1,000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명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200백만원


(전 기)

감사의 수 1명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24백만원
최고한도액 200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3년 03월 17일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당사는 상법시행령 제31조(주주총회의 소집공고)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주주총회개최 1주 전까지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과 회사 홈페이지(http://dongsung-pharm.com)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 사업보고서 : 홈페이지 - 투자정보 - 사업보고서
- 감사보고서 : 홈페이지 - 투자정보 - 감사보고서

- 향후 사업보고서는 정기주주총회 결과에 따라 변경되거나, 오기 등이 있는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업데이트 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 전자투표에 관한 안내
 
우리 회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따라서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전자투표 관리시스템>
   - 인터넷 주소 : 「https://evote.ksd.or.kr」
   - 모바일 주소 : 「https://evote.ksd.or.kr/m」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3년 3월 17일 09시 ~ 2023년 3월 26일 17시(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시스템에 공인인증을 통해 주주 본인을 확인한 후 의안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코스콤 증권거래용 인증서, 금융결제원 개인용도
      제한용 인증서 등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

□ 재무제표에 관한 사항
첨부된 재무제표는 감사중인 재무제표 입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와 상세한 주석사항은 향후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과 당사 홈페이지(http://dongsung-pharm.com)에 게시 예정입니다.

□ 코로나19관련 안내사항
- 코로나19의 확산 방지를 위해 전자투표 등 비대면 의결권 행사를 적극 권장해 드립니다.
- 행사 당일 방역관리 지침에 따라 체온 측정 후 총회장 입장이 가능합니다. 총회장 출입 시 체온 측정 결과로 발열(37.5도 이상) 및 호흡기증상 여부, 마스크 미착용 주주님의 경우 출입이 제한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행사 전 확진자 발생 등에 따라 긴급한 총회 장소 또는 개최시간 변경이 있을 경우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및 당사 인터넷 홈페이지(http://dongsung-pharm.com)에 안내될 예정입니다.

□ 주총 집중일 주총 개최 사유
   - 해당사항 없음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09000746

동성제약 (002210) 메모